KR20210001110U - 하드셸 캐리어 - Google Patents

하드셸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110U
KR20210001110U KR2020190004578U KR20190004578U KR20210001110U KR 20210001110 U KR20210001110 U KR 20210001110U KR 2020190004578 U KR2020190004578 U KR 2020190004578U KR 20190004578 U KR20190004578 U KR 20190004578U KR 20210001110 U KR20210001110 U KR 202100011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door
door
right auxiliary
hard shell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섭
Original Assignee
송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섭 filed Critical 송경섭
Priority to KR2020190004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110U/ko
Publication of KR20210001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1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3Suit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52Other locks for chests, boxes, trunks, baskets, travelling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3Suitcases
    • A45C2005/037Suitcases with a hard shell, i.e. rigid shell as volume creating element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하드셸 캐리어는, 본체부 및 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에는 양문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좌측 보조도어 및 우측 보조도어가 구비된다.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각각 그 일측이 상기 커버부의 내측단에 힌지연결되고, 타측단이 서로 연접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는 상기 커버부와 동일한 두께로 구성되는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도어패널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는 보강몰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몰딩은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의 도어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어지며, 도어패널의 전후면을 일정폭만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 보조도어의 보강몰딩과, 상기 우측 보조도어의 보강몰딩은 연접부분이 서로 교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의 상단과 커버부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결속하는 상부 잠금장치와,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의 하단과 커버부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결속하는 하부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하드셸 캐리어는 커버부에 양문 여단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가 구비되는 구조상,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짐을 수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하드셸 캐리어{hardshell carrier}
본 고안은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보조도어가 구비된 하드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시에 사용되는 캐리어 형태의 가방(이하, 캐리어)은 의류나 각종 생활소품 등을 다량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바퀴가 달려있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캐리어는 그 재질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재질에 따라서는 직물소재로 이루어진 이른바 소프트셸 형태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하드셸 형태가 있다.
도 1과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종래 하드셸 캐리어(5)는 내용물이 수납되는 본체부 및 이에 대칭되는 형태로 조합되는 커버부(12), 본체부(10)와 커버부(12)의 결합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하드셸 캐리어(5)는 본체부(10)와 커버부(12)가 거의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체부(10)와 커버부(12)가 양분할되어 벌어지는 방식으로 개방된다.(도 2 참조)
따라서, 종래의 하드셸 캐리어(5)에 의하면 본체부(10)와 커버부(12)가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본체부(10)와 커버부(12)가 양분할되는 벌어지는 방식으로 개방되는 특성상, 본체부(10)와 커버부(12)에 거의 동일한 용량으로 짐을 수납할 수 있으며, 개방된 상태에서는 짐을 수월하게 넣거나 꺼낼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와 커버부(12)가 양분할되어 벌어지는 방식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짐을 넣거나 꺼내기 위해서는,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캐리어(5)를 눕힌 상태에서, 커버부(12)를 열어서 들어올리거나, 완전히 젖혀야 하며, 캐리어(5)가 세워진 상태에서 그대로 개방하게 되면 짐이 쏟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캐리어에 안전하게 짐을 수납하거나 꺼내기 위해서는 캐리어(5)를 눕혀야 되므로 이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리어(5)를 눕힐 수 있을 만한 최소한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간의 사용에 따른 장소제약이 있다는 불편함이 유발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문 여하드셸 캐리어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보조도어가 구비됨으로써, 커버부와 본체부를 완전히 양분할하여 분리하지 않고, 보조도어만을 개방하여 간편하게 짐을 수납할 수 있는 하드셸 캐리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하드셸 캐리어는, 본체부 및 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에는 양문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좌측 보조도어 및 우측 보조도어가 구비된다.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각각 그 일측이 상기 커버부의 내측단에 힌지연결되고, 타측단이 서로 연접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는 상기 커버부와 동일한 두께로 구성되는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도어패널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는 보강몰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몰딩은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의 도어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어지며, 도어패널의 전후면을 일정폭만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 보조도어의 보강몰딩과, 상기 우측 보조도어의 보강몰딩은 연접부분이 서로 교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의 상단과 커버부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결속하는 상부 잠금장치와,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의 하단과 커버부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결속하는 하부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하드셸 캐리어는 커버부에 양문 여단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가 구비되는 구조상,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짐을 수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종래 하드셸 캐리어를 나타낸 도면
도 2: 종래 하드셸 캐리어가 눕혀져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본 고안에 의한 하드셸 캐리어를 나타낸 도면
도 4: 본 고안에 의한 하드셸 캐리어의 양측 보조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 본 고안에 의한 하드셸 캐리어의 일측 보조도어만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본 고안에 의한 하드셸 캐리어가 눕혀져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 본 고안에 있어서, 보조도어의 도어패널과 보강몰딩의 단면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3부터 도 7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드셸 캐리어(8)는, 본체부(10) 및 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20)에는 양문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좌측 보조도어(22) 및 우측 보조도어(22')가 구비된다.
상기 좌측 보조도어(22)와 우측 보조도어(22')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각각 그 일측이 상기 커버부(20)의 내측단에 힌지연결되고, 타측단이 서로 연접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 보조도어(22)와 우측 보조도어(22')는 상기 커버부(20)와 동일한 두께로 구성되는 도어패널(221)(221')과, 상기 도어패널(221)(22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도어패널(221)(221')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는 보강몰딩(222)(2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몰딩(222)(222')은 도어패널(221)(2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어지며, 도어패널(221)(221')의 전후면을 일정폭만큼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 보조도어(22)의 보강몰딩(222)과, 상기 우측 보조도어(22')의 보강몰딩(222')은 연접부분이 서로 교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도 7 참조)
상기 좌측 보조도어(22)와 우측 보조도어(22')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커버부(20)의 내측 가장자리에도 상기 보조도어(22)(22')의 보강몰딩(222)(222')과 대응되는 보강몰딩(201)이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하드셸 캐리어(8)는 상기 좌측 보조도어(22)와 우측 보조도어(22')의 상단과 커버부(20)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결속하는 상부 잠금장치(24)와, 상기 좌측 보조도어(22)와 우측 보조도어(22')의 하단과 커버부(2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결속하는 하부 잠금장치(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는 보조도어에 구비된 버클(241)과 커버부(20)에 구비된 후크(242)가 조합되어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버클방식이 가능하며, 이는 공지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하드셸 캐리어의 특징적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하드셸 캐리어(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20)에 양문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좌측 보조도어(22)와 우측 보조도어(22')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캐리어(8)를 눕힌 상태에서 커버부(20)와 본체부(10)를 양분할 하는 방식으로 완전히 개방하지 않고,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보조도어(22)(22')만을 개방하여서도 짐을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소량의 짐을 수납하거나 꺼내기 위하여 상기 좌측 보조도어(22)와 우측 보조도어(22')만을 개방하거나(도 4, 5 참조), 많은 양의 짐을 수납하거나 꺼내기 위하여 캐리어(8)를 눕힌 상태에서 커버부(20)와 본체부(10)를 양분할하는 방식으로 완전개방할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좌측 보조도어(22)와 우측 보조도어(22')만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캐리어(8)를 눕히지 않고, 세운 상태에서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 신속하게 짐을 정리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좌측 보조도어(22)와 우측 보조도어(22')의 도어패널(221)(221')에 보강몰딩(222)(222')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각 보조도어(22)(22')는 개방된 상태에서도 견고하게 그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하여 언급된 구체적인 내용들은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8: 하드셸 캐리어
10: 본체부 20: 커버부
22: 좌측 보조도어 22': 우측 보조도어
221: 도어패널 221': 도어패널
222: 보강몰딩 222': 보강몰딩
24: 상부 잠금장치 26: 하부 잠금장치

Claims (6)

  1. 본체부 및 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에는 양문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좌측 보조도어 및 우측 보조도어가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셸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각각 그 일측이 상기 커버부의 내측단에 힌지연결되고, 타측단이 서로 연접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셸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는
    상기 커버부와 동일한 두께로 구성되는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도어패널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는 보강몰딩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드셸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몰딩은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의 도어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어지며, 도어패널의 전후면을 일정폭만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셸 캐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보조도어의 보강몰딩과, 상기 우측 보조도어의 보강몰딩은 연접부분이 서로 교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셸 캐리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의 상단과 커버부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결속하는 상부 잠금장치와,
    상기 좌측 보조도어와 우측 보조도어의 하단과 커버부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결속하는 하부 잠금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드셸 캐리어.
KR2020190004578U 2019-11-15 2019-11-15 하드셸 캐리어 KR202100011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578U KR20210001110U (ko) 2019-11-15 2019-11-15 하드셸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578U KR20210001110U (ko) 2019-11-15 2019-11-15 하드셸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10U true KR20210001110U (ko) 2021-05-25

Family

ID=7614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578U KR20210001110U (ko) 2019-11-15 2019-11-15 하드셸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11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80087A (en) Beverage case
US1557382A (en) Multiple-slide closure
US20130175130A1 (en) Multi-purpose wheeled luggage
CN210076794U (zh) 模块化行李箱物品
US20090020579A1 (en) Roll-top closure pack
WO2015135502A1 (zh) 一种拉杆箱
KR20210001110U (ko) 하드셸 캐리어
US1502987A (en) Traveling bag
JP3168972U (ja)
KR101182715B1 (ko) 박스형 파일 케이스 및 그 제작방법
US2205205A (en) Case for toilet accessories
US1934360A (en) Traveling bag
US10299555B1 (en) Luggage cover
US2512588A (en) Combination billfold, purse, and pocket case
US2438780A (en) Cover structure for suitcases, valises, and similar carrying cases
KR20110010008U (ko) 셔터도어 개폐식 여행용 가방
EP3485758A1 (en) Luggage item
EP2016852B1 (en) Roll-top closure pack
US1983847A (en) Billfold
US2019044A (en) Metal mesh lining
US2887196A (en) Travel bags
US2179126A (en) Case
US2354793A (en) Flexible pocket receptacle
US2428227A (en) Bag and closure therefor
JP3822560B2 (ja) 合成樹脂製カバ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