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96U -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와 이를 포함한 공기펌프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와 이를 포함한 공기펌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96U
KR20210001096U KR2020190004545U KR20190004545U KR20210001096U KR 20210001096 U KR20210001096 U KR 20210001096U KR 2020190004545 U KR2020190004545 U KR 2020190004545U KR 20190004545 U KR20190004545 U KR 20190004545U KR 20210001096 U KR20210001096 U KR 202100010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pump
manual
rubber bag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효묵
Original Assignee
최효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효묵 filed Critical 최효묵
Priority to KR2020190004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096U/ko
Publication of KR20210001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9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6Air or water being indistinctly used as working fluid, i.e. the machine can work equally with air or water without any mo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 고무 펌프를 구속하는 거치대에 관련되며 실시예로 수축이 가능한 고무 주머니의 전, 후방부 각각에 공기토출관과 흡기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수동 고무 펌프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대에 있어서, 배드부, 상기 배드부의 일측에 상부로 세워지고, 상기 흡기체크밸브가 구비된 고무 주머니의 후방부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측거치부 및 상기 배드부의 타측에 상부로 세워지며, 상기 공기토출관이 돌출된 상기 고무 주머니의 전방부를 수용하는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방측거치부를 포함하는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와 이를 포함한 공기펌프장치{Holder for handy rubber pump and Pumping device having it}
본 고안은 수동 고무 펌프를 구속하는 거치대에 관련되며, 구체적으로 팽이완구 작동을 위해 토출구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누름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한 공기펌프장치와 관련된다.
수동 고무 펌프는 수축이 가능한 고무 주머니의 일측 공기를 토출하는 노즐을 달고, 타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고무 주머니 안으로 유입시키되 내부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게 막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으로, 널리 보급되어 먼지 제거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수동 고무 펌프의 고무 주머니는 대략 성인의 손아귀에 쥐어지는 크기로 제작되는 것으로, 손에 쥐면 고무 주머니가 수축하여 바람을 내보내고, 이후 자체의 탄성에 의해 복원되며 체크밸브를 통해 들어온 공기가 다시 채워지는 것이다.
바람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일부 완구 제품에, 바람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수동 고무 펌프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대개의 수동 고무 펌프는 성인이 사용할 것으로 예상하며 제작됨으로써, 완구를 다루는 저연령대 아동에게는 수축시키기 매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아동 등이 펌프를 수축 작동시킴에 있어서, 체중까지 실어가면서 고무 주머니를 누르거나 팔 힘을 과도하게 사용하게 됨으로써 의도한 방향에 맞춰 바람을 내보내기가 쉽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279692호 (2013.06.21)
본 고안은 적은 힘으로도 수축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토출 바람의 방향을 일정 높이로 맞출 수 있도록 한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한 공기펌프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수축이 가능한 고무 주머니의 전, 후방부 각각에 공기토출관과 흡기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수동 고무 펌프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대에 있어서, 배드부, 상기 배드부의 일측에 상부로 세워지고, 상기 흡기체크밸브가 구비된 고무 주머니의 후방부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측거치부 및 상기 배드부의 타측에 상부로 세워지며, 상기 공기토출관이 돌출된 상기 고무 주머니의 전방부를 수용하는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방측거치부를 포함하는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를 제시한다.
한편 상기 장착부는 입구의 내주면이 상기 고무 주머니에 접촉하는 장착홀과, 상기 장착홀에서 전면 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상기 공기토출관의 둘레를 파지하는 거치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드부에는 볼록한 상기 고무 주머니의 중간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드부에는 굴림 가능한 바퀴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장착되는 수동 고무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 고무 펌프의 상기 공기토출관 끝단부에 형성된 노즐은 슬릿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펌프장치를 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저 연령층대에도 완구 등에 바람을 공급하기 위해 수동 고무 펌프를 손쉽게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바람의 토출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펌프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펌프장치에 채용된 거치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의 (a)와 (b)는 도 4에 도시된 팽이의 사시도와 단면도.
상술한 본 고안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고안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와 이를 포함한 공기펌프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펌프장치와 관련된다.
제1 실시예의 공기펌프장치(200)는 수동 고무 펌프(300)와 거치대(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동 고무 펌프(300)는 외관이 대략 계란 형인 고무 주머니(301), 공기토출관(302) 및 흡기체크밸브(303)를 포함한다. 고무 주머니(301)는 탄성이 있어 외력에 의해 수축된 후 복원되어 원래의 계란 형상이 되며, 수축 시에 공기토출관(302)으로 바람을 내보내고, 복원 시에 흡기체크밸브(303)가 열리면서 외부 공기로 고무 주머니(301) 내부를 채우는 것이다. 이러한 수동 고무 펌프(300)는 이미 시판 중인 것과 사실상 동일하다.
한편 거치대(100)는 배드부(10), 후방측거치부(20) 및 전방측거치부(30)를 포함한다.
배드부(10)는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고무 주머니(301)의 전후 길이보다 다소 크게 제작될 수 있다. 배드부(10)는 후방측거치부(20)와 전방측거치부(30)가 결합되는 구조물 역할을 수행하며, 가운데에는 볼록한 고무 주머니의 중간부가 들어가는 수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용부(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태이거나,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된 홀의 형태일 수 있다.
수용부(11)는 고무 주머니(301)의 하부를 받치는 부분으로, 손으로 고무 주머니(301)를 위에서 눌러 수축시킬 때에 반대편에서 고무 주머니(3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후방측거치부(20)와 전방측거치부(30)는 배드부(10)의 후방측과 전방측에서 상부로 세워지는 구조물이다.
후방측거치부(20)에는 흡기체크밸브(303)가 구비되는 고무 주머니(301)의 후방부가 끼워지는 끼움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고무 주머니(301)의 후방부는 원통 형상으로 짧게 돌출되어 있고, 그 안쪽에 흡기체크밸브가 구비되는데, 끼움부(21)는 고무 주머니(301)의 후방부가 삽입되는 홈이나 홀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방측거치부(30)는 후방측거치부(20)와 마주보게 위치하며, 공기토출관(302)이 돌출된 고무 주머니(301)의 전방부를 수용하는 장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장착부(31)는 공기토출관(302)이 연결된 고무 주머니의 전방부를 수용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측거치부(30)과 후방측거치부(20)의 이격 간격은 대략 고무 주머니(301)의 전후 길이에 대응하는 것이다. 고무 주머니(301)가 전후 방향으로 수축하면서 전방측거치부(30)의 장착부(31)로 공기토출관(302)을 통과시킨 후 후방측거치부(20)의 끼움부(21)에 고무 주머니(301)의 후방부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거치대(100)에 수동 고무 펌프(300)를 장착할 수 있다.
한편 거치대(100) 전체 또는 거치대(100)의 전방측거치부(30)와 후방측거치부(20)를 합성수지나 고무 등의 휘어짐이 가능한 재질로 하여 수동 고무 펌프(300)를 더욱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장착부(31)는 입구의 내주면이 고무 주머니의 전방부와 접촉하는 장착홀(311)과, 장착홀(311)에서 전면 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공기토출관(302)의 둘레를 파지하는 거치홀(312)을 포함한다.
전방측거치부(30)는 배드부(10)의 상부로 세워진 벽면 형상의 제1 부분(32)과, 제1 부분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2 부분(33)을 구비하며, 장착홀(311)은 제1 부분(32)을 관통하는 원형 홀이고, 제2 부분(33)은 장착홀(31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깔때기 형상의 공간을 이루는 거치홀(312)을 형성한다.
장착홀(311)의 입구 내주면에 고무 주머니(301)의 전방부가 접촉하고, 거치홀(312)의 끝단부는 공기토출관(302)의 중간 부위를 파지함으로써, 수동 고무 펌프(300)의 전방부는 장착홀(311)의 입구 부분과 거치홀(312)의 끝단부의 두 곳에서 파지된다. 이로써 고무 주머니가 눌려져 수축할 때에도 공기토출관의 높낮이 변동이 최소화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펌프장치는 지면에 배드부(10)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손바닥 등으로 고무 주머니(301)의 가운데를 누르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배드부(10)가 지면에 안정되게 놓이고, 전방측거치부(30)가 공기토출관(302)의 높이를 고정시킴으로써 고무 주머니의 수축 작동시에도 일정한 높이에서 바람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동 고무 펌프(300)가 거치대(100)에 안정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고무 주머니를 누르기만 하면 바람을 내보낼 수 있다. 따라서 체중을 실어 눌러야 고무 주머니를 쉽게 누르는 저연령층도 쉽게 수동 고무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공기토출관(302)의 끝단부에 형성된 노즐(304)은 슬릿 형상이다. 노즐(304)을 슬릿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슬릿의 길이 방향으로는 바람의 분사 각도가 넓고, 슬릿의 폭 방향으로는 바람의 분사 각도가 좁아지게 된다.
거치대(100)에 안치되는 수동 고무 펌프(300)를 돌림으로써, 슬릿이 지면에 대해 세워지거나 수평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바람의 분사 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토출된 바람을 이용하는 완구에 공기펌프장치를 사용할 때에, 노즐(304)의 방향을 달리하여 그에 완구의 작동 거동이 달라짐을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게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펌프장치와 그와 함께 사용되는 완구와 관련된다.
먼저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는 배드부(10), 후방측거치부(20) 및 전방측거치부(30)를 포함하여, 이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사실상 동일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의 배드부(10)에는 굴림 가능한 바퀴부재(40)가 장착된다.
바퀴부재(40)는 배드부(10)의 전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축(41)과, 각 축(4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휠(42)을 포함한다.
축(41)은 배드부(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축받침(43)을 통과하며, 축받침(43)은 고무 주머니(301)와 축(41)이 간섭을 일으키지 아니하도록 후방측거치부(20)나 전방측거치부(30)에 가깝게 위치한다.
도 4와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펌프장치의 사용 상태와 관련된다. 여기서 바람을 이용하는 완구의 예로 팽이(400)를 사용하고 있다. 공기펌프장치와 팽이는 완구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한 팽이는 몸체의 중간부에 회오리날개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회오리날개부(410)는 회전 중심(G)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휨벽(411)을 구비하는데, 각 휨벽(411)은 팽이(400)의 원형 평면 단면에서 외주면으로부터 회전 중심(G)을 향하여 곡선을 이루며 말린 형상이다.
방사상으로 배치된 휨벽들(411)은 평면 상에서 서로 접하지 아니함에 따라 이웃하는 휨벽들(411) 사이로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 중심을 향하는 휨벽들(411)의 내측 끝단부는 회전 중심에 이르지 아니함으로써, 회오리날개부(410)의 중심에는 이웃하는 휨벽들(411) 사이의 틈과 연결되는 원통형 공간부(412)가 형성된다.
외부에서 불어준 바람이 회오리날개부(410)의 측면에서 비스듬히 진입함에 따라, 바람이 휨벽(411)을 타고 팽이 내부로 들어가면서 팽이를 더욱 빠르게 회전시키고, 회전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 후 원통형 공간부에서 각 휨벽들 사이의 틈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거치대(100)에 장착된 수동 고무 펌프(300)의 공기토출관(302)의 높이는 대략 팽이(400)의 회오리날개부(410)의 높이와 맞춰진다. 놀이 방식의 한 예시로, 사용자는 공기펌프장치(200)를 마치 자동차 완구처럼 지면 위에서 가지고 놀면서 공기토출관(302)의 끝단부를 팽이(400)의 주변에 위치시키고, 고무 주머니(301)를 눌러 바람을 팽이에 보낼 수 있다.
이때 팽이에 대한 공기토출관(302)의 방향이나 노즐의 슬릿 방향을 이리저리 바꿔 가면서, 그에 따른 팽이의 거동을 관찰하거나 다른 사람의 팽이와 부딪치면서 팽이 싸움을 하는 식으로 놀이 방식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공기펌프장치
300 : 수동 고무 펌프
301 : 고무 주머니 302 : 공기토출관 303 : 흡기체크밸브
304 : 노즐
100 : 거치대
10 : 배드부 11 : 수용부
20 : 후방측거치부 21 : 끼움부
30 : 전방측거치부 31 : 장착부 32 : 제1 부분 311 : 장착홀
33 : 제2 부분 312 : 거치홀
40 : 바퀴부재 41 : 축 42 : 휠 43 : 축받침
400 : 팽이
G : 회전 중심 410 : 회오리날개부 411 : 휨벽
412 : 원통형 공간부

Claims (5)

  1. 수축이 가능한 고무 주머니의 전, 후방부 각각에 공기토출관과 흡기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수동 고무 펌프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대에 있어서,
    배드부,
    상기 배드부의 일측에 상부로 세워지고, 상기 흡기체크밸브가 구비된 고무 주머니의 후방부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측거치부 및
    상기 배드부의 타측에 상부로 세워지며, 상기 공기토출관이 돌출된 상기 고무 주머니의 전방부를 수용하는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방측거치부를 포함하는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
  2. 제1항에서,
    상기 장착부는
    입구의 내주면이 상기 고무 주머니에 접촉하는 장착홀과,
    상기 장착홀에서 전면 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상기 공기토출관의 둘레를 파지하는 거치홀을 포함하는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
  3. 제1항에서,
    상기 배드부에는
    볼록한 상기 고무 주머니의 중간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
  4. 제1항에서,
    상기 베드부에는
    굴림 가능한 바퀴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장착되는 수동 고무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 고무 펌프의 상기 공기토출관 끝단부에 형성된 노즐은 슬릿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펌프장치.
KR2020190004545U 2019-11-13 2019-11-13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와 이를 포함한 공기펌프장치 KR202100010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545U KR20210001096U (ko) 2019-11-13 2019-11-13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와 이를 포함한 공기펌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545U KR20210001096U (ko) 2019-11-13 2019-11-13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와 이를 포함한 공기펌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96U true KR20210001096U (ko) 2021-05-24

Family

ID=7614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545U KR20210001096U (ko) 2019-11-13 2019-11-13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와 이를 포함한 공기펌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096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692B1 (ko) 2011-11-04 2013-06-27 블루 젠티안 엘엘씨 팽창 및 수축가능한 호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692B1 (ko) 2011-11-04 2013-06-27 블루 젠티안 엘엘씨 팽창 및 수축가능한 호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5748A (en) Angle adjustable tubular waterslide
US6969293B2 (en) Bubble generating assembly
US11166602B2 (en) Foam discharge container
US5909877A (en) Bean bag toss game target
US20190091594A1 (en) Balloon holder and balloon holder base
JP5826267B2 (ja) 可膨張性傘
US6004597A (en) Combination edible product holding dispenser and writing accessory device
WO2019236629A1 (en) Foldable reusable chopsticks and storage case
US1485577A (en) Toy balloon
KR20210001096U (ko) 수동 고무 펌프용 거치대와 이를 포함한 공기펌프장치
US9574362B2 (en) Inflatable pool with drawing board
CN108525329B (zh) 一种吹泡泡装置
US20110192544A1 (en) Apparatus for manipulating and shaping adhereable arts and crafts building elements
US8562385B2 (en) Doll with water squirting feature
JP2010094658A (ja) 可搬放水装置
USD957551S1 (en) Exercising apparatus equipped with weight scale
US6139392A (en) Glider toy
US7374503B2 (en) Wavable basketball backboard and rim
KR101350783B1 (ko) 휴대용 색소폰 안전 스탠드
JP2001218986A (ja) 飛行ゴム風船
JP2020081310A (ja) 飛行玩具
ES2341328T3 (es) Peonza.
US6582265B1 (en) Floatation toy
CN219223496U (zh) 一种背包便携式水枪
KR200495627Y1 (ko) 팽이 완구 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