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76U - 매설관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매설관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76U
KR20210001076U KR2020200002936U KR20200002936U KR20210001076U KR 20210001076 U KR20210001076 U KR 20210001076U KR 2020200002936 U KR2020200002936 U KR 2020200002936U KR 20200002936 U KR20200002936 U KR 20200002936U KR 20210001076 U KR20210001076 U KR 202100010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ipe
buried
undergroun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589Y1 (ko
Inventor
전해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셈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셈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셈즈
Publication of KR202100010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5Labels or tickets for tubes, pipes and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5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ables, pip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설관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관로의 매설깊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표면에 눈금이 표시된 봉과, 상기 봉의 일단에 결합되어 지면에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지하관로의 위치를 표시하며, 내부에 RFID 칩이 구비되는 표시못 및 상기 봉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봉을 상기 지하관로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지하관로의 위치, 매설깊이, 상태 등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매설관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매설관로 표시장치{Apparatus for indicating underground pipe}
본 고안은 매설관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들어갈 수 없는 코너나 분기점에 매설된 지하관로의 위치, 매설깊이, 누수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매설관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생활에 필수적인 물, 가스, 전기 등을 공급하는 상하수도관, 가스관, 전기/정보통신 케이블관은 지하에 매설되고, 사회가 발전할수록 더욱 복잡한 형태로 연장 설치된다.
따라서 지하관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하관로의 위치, 매설깊이, 상태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는데, 작업자가 들어갈 수 없는 코너나 분기지점의 지하관로는 지상에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할 수 없어 지하관로의 유지, 보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들어가 작업하기 어려운 코너나 분기지점에 매설된 지하관로의 위치, 매설깊이, 상태를 손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매설관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지하관로의 매설깊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표면에 눈금이 표시된 봉; 상기 봉의 일단에 형성되어 지면에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지하관로의 위치를 표시하며, 내부에 RFID 칩이 구비되는 표시못; 및 상기 봉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봉을 상기 지하관로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매설관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지하관로의 누수음을 청음할 수 있도록 상기 봉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수단은 클램프 또는 자석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못의 내부에 수압계가 설치되고, 상기 수압계와 연결된 신호선은 상기 봉을 통해 지하관로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지하관로가 꺾이거나 분기되는 지점의 지면에 맨홀뚜껑이 설치되고, 상기 맨홀뚜껑에 형성된 관통홀에 상기 표시못이 삽입되어 지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하관로와 맨홀뚜껑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며, 다수의 홀을 갖는 설치플레이트와;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홀에 상단이 관통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지하관로에 고정되는 봉과;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다른 홀에 결합되거나 상기 맨홀뚜껑의 거치를 위한 받침대의 일측에 고정되는 표시못; 및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또 다른 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봉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지하관로를 따라 다른 지점의 설치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리드선;을 포함하되, 상기 리드선의 일단에는 계측기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배터리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계측기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서 누수 발생시 변동되는 저항값을 분석하여 누수발생 여부를 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표시못이 지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봉의 표면에 눈금이 표심됨으로써 지상에서 지하관로의 매설위치와 깊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봉이 금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지하관로에서 발생하는 누수음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압계와 신호선을 이용하여 지하관로 내부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다.
아울러, 맨홀뚜껑과 연계하여 설치됨으로써 표시못의 위치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표시못이 매립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비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지하관로의 일지점과 타지점이 리드선에 의해 연결되고, 리드선의 일단과 타단에 계측기와 배터리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누수발생시 리드선에서 달라지는 저항값을 분석하여 지하관로의 일지점에서 타지점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대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변형예를 타나낸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설치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설관로 표시장치(100)는 봉(110)과, 표시못(120) 및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봉(110)은 지하관로(12)의 매설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표시못(120)과 지하에 매설된 지하관로(12)를 연결할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봉(110)의 표면에는 눈금(111)이 표시되며, 이러한 눈금(111)을 통해 작업자가 지상에서 지하관로(12)의 매설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11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일정 단위로 0 ~ 1.5m의 눈금(111)이 형성되면 작업자가 지상에서 봉(110)의 상단에 표시된 눈금(111)을 확인하여 지하관로(12)의 매설깊이가 1.5m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봉(110)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봉(110)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면 소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청음봉으로 기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하관로(12)에서 누수가 발생했을 경우 지상에서 누수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표시못(120)은 지하관로(12)의 매설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봉(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면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표시못(120)의 내부에는 RFID 칩(도면 미도시)이 설치된다.
RFID 칩은 표시못(120)의 표면에 표시하기 어려운 지하관로(12)의 세부 정보, 예컨대, 지하관로(12)의 매설시기, 직경, 재질, 주변 시설물, 설치 상태 등이 저장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는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지하관로(12)의 관련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고정수단은 봉(110)을 지하관로(12)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봉(110)의 하단에 결합된다. 고정수단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클램프(130)(131)나 도 3에 도시된 자석(135)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램프(130)(131)는 U자 구조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지하관로(12)를 상하에서 반분하여 감싸며, 이 상태에서 볼트(133)와 너트(134)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봉(110)을 지하관로(1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프(130)의 상부에는 봉(110)의 결합을 위한 소켓(13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석(135)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지하관로(12)의 외부 표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봉(110)을 고정하게 된다.
본 고안은 지하관로(12) 내부의 수압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표시못(120)의 내부에 수압계(도면 미도시)가 설치되고, 이러한 수압계와 연결된 신호선이 봉(110)의 내부로 관통되어 지하관로(12)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지하관로(12) 내부를 흐르는 물 등의 수압을 지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선의 설치를 위해 봉(110)이 중공 구조를 가져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표시못(120)의 위치를 보다 쉽게 확인하고, 표시못(120)이 매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설관로 표시장치(100)가 맨홀뚜껑(10)과 연계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관로 표시장치(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표시못(120)이 위치하는 지면에 표시못(120) 주변으로 받침대(11)를 설치하고, 이러한 받침대(11)에 맨홀뚜껑(10)을 거치한다. 이 경우, 맨홀뚜껑(10)에는 관통홀(10a)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홀(10a)을 통해 표시못(120)이 삽입되어 지면에 노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표시못(120)이 지면에 노출될 뿐 아니라 표시못(120)보다 큰 크기의 맨홀뚜껑(10)이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작업자가 표시못(120)의 위치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맨홀뚜껑(10)의 크기는 표시못(120)의 위치를 인식 가능하게 할 정도이면 족하다. 특히, 본 고안의 매설관로 표시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들어갈 수 없는 코너나 분기점에 설치되기 때문에 일반 맨홀뚜껑 대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들어갈 수 없는 코너나 분기점에 배치된 지하관로(12)의 매설 토양을 파내고, 지하관로(12)의 표면을 클램프(130)(131)로 감싼 후 볼트(133) 및 너트(134)를 체결하거나 자석(135)을 지하관로(12)의 표면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이후, 봉(110)의 주변을 일정 높이까지 토양으로 메우고, 표시못(120) 주변에 받침대(11)를 설치한 다음 표시못(120)이 관통홀(10a)을 통해 노출되도록 받침대(11)에 맨홀뚜껑(10)을 거치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후, 지하관로(12)의 유지, 보수가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맨홀뚜껑(10) 및 표시못(120)을 확인하여 지하관로(12)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맨홀뚜껑(10)을 개방한다.
이후, 봉(110)에 표시된 눈금(111)을 읽어 지하관로(12)의 매설깊이를 확인하거나, 수압계를 확인하여 지하관로(12) 내부의 수압을 체크하거나, 또는 봉(110)을 이용하여 누수음을 측정하여 지하관로(12)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는 등의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지하관로(12)에 필요한 조치를 취한 후 맨홀뚜껑(10)을 받침대(11)에 거치하여 닫으면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설관로 표시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매설관로 표시장치의 설치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설관로 표시장치(200)는 파이프(210)와, 설치플레이트(220)와, 봉(230)과, 표시못(240) 및 리드선(25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210)는 나머지 구성요소의 설치 및 보호를 위한 것으로 대략 맨홀뚜껑(10)과 유사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지하관로(12)와 맨홀뚜껑(10) 사이에 수직하게 매립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파이프(210)의 상단은 맨홀뚜껑(10)의 거치를 위한 받침대(11)의 하부에 결합되고, 파이프(210)의 하단은 지하관로(12)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 경우, 파이프(210)의 상단은 속뚜껑(2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210)의 소재로는 PE(polyethylene)나 PVC(Poly Vinyl Chlori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른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설치플레이트(220)는 봉(230)과, 표시못(240) 및 리드선(25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210)의 내측 상단에 고정된다. 설치플레이트(220)에는 3개의 홀(220a)(220b)(220c)이 형성되고, 이러한 홀(220a)(220b)(220c)에는 표시못(240), 파이프(210) 및 리드선(250)이 각각 결합된다.
봉(230)은 지하관로(12)의 상태를 점검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중공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상단은 앞서 설명한 설치플레이트(220)의 홀(220b)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하단은 클램프(231) 또는 자석을 이용하여 지하관로(12)에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상에서 봉(230)의 상단에 귀를 대고 지하관로(12)의 소리를 들어 누수 여부 등을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봉(230)의 표면에는 지하관로(12)의 매설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못(240)은 지하관로(12)의 매설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플레이트(220)의 홀(220c)에 결합된다. 표시못(240)의 내부에는 지하관로(12)의 세부 정보가 저장된 RFID 칩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표시못(240)은 설치플레이트(220)의 홀(220c)에 결합되는 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의 일측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지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리드선(250)은 비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주변의 지하관로를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설치플레이트(220)의 홀(220c)에 리벳 등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봉(230)의 상단 내측으로 관통되어 하방으로 인출된 후 비금속 지하관로를 따라 다른 지점의 설치플레이트에 고정된다. 이러한 리드선(250)의 일단에는 계측기(도면 미도시)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배터리(도면 미도시)가 연결된다.
계측기는 리드선(250)을 통해 인가되는 배터리의 전압과 리드선(250)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대략적으로 누수가 발생된 지점을 탐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계측기와 배터리 사이의 길이가 길면 저항값이 커지고, 반대로 길이가 짧으면 저항값이 작아지므로 저항값의 측정으로 대략적인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맨홀뚜껑 11 : 받침대
12 : 지하관로 100 : 매설관로 표시장치
110 : 봉 111 : 눈금
120 : 표시못 130, 131 : 클램프
132 : 소켓 133 : 볼트
134 : 너트 135 : 자석
200 : 매설관로 표시장치 210 : 파이프
211 : 속뚜껑 220 : 설치플레이트
220a, 220b, 220c, 220d : 홀 230 : 봉
231 : 클램프 240 : 표시못
250 : 리드선

Claims (6)

  1. 지하관로의 매설깊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표면에 눈금이 표시된 봉;
    상기 봉의 일단에 결합되어 지면에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지하관로의 위치를 표시하며, 내부에 RFID 칩이 구비되는 표시못; 및
    상기 봉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봉을 상기 지하관로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매설관로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하관로의 누수음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봉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로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클램프 또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로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못의 내부에 수압계가 설치되고, 상기 수압계와 연결된 신호선은 상기 봉을 통해 지하관로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로 표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하관로가 꺾이거나 분기되는 지점의 지면에 맨홀뚜껑이 설치되고, 상기 맨홀뚜껑에 형성된 관통홀에 상기 표시못이 삽입되어 지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로 표시장치.
  6. 지하관로와 맨홀뚜껑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며, 다수의 홀을 갖는 설치플레이트와;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홀에 상단이 관통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지하관로에 고정되는 봉과;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다른 홀에 결합되거나 상기 맨홀뚜껑의 거치를 위한 받침대의 일측에 고정되는 표시못; 및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또 다른 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봉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지하관로를 따라 다른 지점의 설치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리드선;
    을 포함하되,
    상기 리드선의 일단에는 계측기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배터리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계측기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서 누수 발생시 변동되는 저항값을 이용하여 누수 지점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로 표시장치.
KR2020200002936U 2019-11-08 2020-08-11 매설관로 표시장치 KR20049458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4512 2019-11-08
KR2020190004512 2019-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76U true KR20210001076U (ko) 2021-05-18
KR200494589Y1 KR200494589Y1 (ko) 2021-11-09

Family

ID=7614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936U KR200494589Y1 (ko) 2019-11-08 2020-08-11 매설관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58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883A (ko) * 2008-05-08 2009-11-12 주식회사 셈즈 엘이디 및 노이즈 차폐시트를 갖는 매설물 표시장치
KR20170004358A (ko) *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와텍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KR20180003668U (ko) * 2017-06-20 2018-12-28 서영수 지중 매설관 부착형 침하 관측장치
KR101925946B1 (ko) * 2016-12-29 2019-02-26 전진용 수압측정 겸용 경사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883A (ko) * 2008-05-08 2009-11-12 주식회사 셈즈 엘이디 및 노이즈 차폐시트를 갖는 매설물 표시장치
KR20170004358A (ko) *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와텍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KR101925946B1 (ko) * 2016-12-29 2019-02-26 전진용 수압측정 겸용 경사계
KR20180003668U (ko) * 2017-06-20 2018-12-28 서영수 지중 매설관 부착형 침하 관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589Y1 (ko)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997B1 (ko) 매설위치 및 관로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KR101306882B1 (ko) 지하 매설물에 대한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US9869602B2 (en) Pipeline leak detection device and method
US20140167763A1 (en) Tracer wire connector devices and methods for use
KR20180058241A (ko) 전주 진단장비
KR20150061255A (ko) 지하매설관 특정위치 탐지시스템 및 방법
KR100948293B1 (ko) 도통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도통 측정 방법
KR200494589Y1 (ko) 매설관로 표시장치
CN103697332A (zh) 埋地输水管道在线渗漏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0770154B1 (ko)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KR101363371B1 (ko) 지중 관로 매설위치 및 깊이 표시장치
US20190219624A1 (en) Buried gas pipeline multi-measurement device
CN204114445U (zh) 地下管线定位装置
KR20040020763A (ko) 수도관로용 원격 누수탐지모니터링시스템
CN209947042U (zh) 一种地下管线探测预警装置
KR101564718B1 (ko) 전자기 반응 분석을 통한 지하 관로 위치 및 매설 깊이 분석 시스템
KR102324265B1 (ko) 지하관로 점검장치
JP3780460B2 (ja) 沈下計測方法及び沈下計測計
KR101118419B1 (ko) 전자탐측수단이 구비된 테스트 박스의 지중 매설 배관 및 배선 탐지용 전선 케이블의 마감 캡
CN216520979U (zh) 一种便于检测燃气管道泄漏的结构
KR20110114251A (ko) 위치 탐사선 및 이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구비한 지중 매설용 파이프
CN216339144U (zh) 一种燃气管道定位示踪警示装置
KR100707719B1 (ko) 관로용 관리 표시구
KR100983103B1 (ko) 관로 확인용 자기마크 고정장치
KR101741782B1 (ko)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