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44U - 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post - Google Patents

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po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44U
KR20210001044U KR2020190004467U KR20190004467U KR20210001044U KR 20210001044 U KR20210001044 U KR 20210001044U KR 2020190004467 U KR2020190004467 U KR 2020190004467U KR 20190004467 U KR20190004467 U KR 20190004467U KR 20210001044 U KR20210001044 U KR 202100010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attached
guardrail post
reflective ban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4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임
Original Assignee
박용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임 filed Critical 박용임
Priority to KR2020190004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044U/en
Publication of KR202100010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44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용 반사밴드는 내측면이 자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장착 시 그 자체의 자성으로 가드레일 지주를 둘러싸면서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에 반사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휘도 반사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점착테이프부를 포함하고, 가드레일 지주에 반사밴드가 장착된 경우, 베이스부 내측면의 자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가 금속성인 가드레일 지주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상기 반사밴드가 가드레일 지주를 따라 흘러내리거나 미끄러져내리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점착테이프부는 반사밴드의 타측 단부의 일측면에 덧대어 부착되어, 반사밴드를 가드레일 지주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 reflective band for the guardrail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so that the inner surface is magnetic, and when mounted, the base part is attached while surrounding the guardrail post with its own magnetism, an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flective ba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art. It includes a high luminance reflective portion, and an adhesive tap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ase portion, and when a reflective band is mounted on the guardrail pillar, the base portion is firmly against the metallic guardrail pillar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s attached, the reflective band is prevented from flowing down or slipping down along the guardrail post, and the adhesive tape part formed at one e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reflective band, so that the reflective band is attached to the guardrail post. It can be fixed more firmly against.

Description

가드레일 지주용 반사밴드{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POST}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POST}

본 고안은 가드레일 지주용 반사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면이 자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장착 시 그 자체의 자성으로 가드레일 지주를 둘러싸면서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에 반사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휘도 반사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점착테이프부를 포함하고, 가드레일 지주에 반사밴드가 장착된 경우, 베이스부 내측면의 자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가 금속성인 가드레일 지주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상기 반사밴드가 가드레일 지주를 따라 흘러내리거나 미끄러져내리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점착테이프부는 반사밴드의 타측 단부의 일측면에 덧대어 부착되어, 반사밴드를 가드레일 지주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가드레일 지주용 반사밴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post, and more specifically, the inner surface is made to have a magnetic property, and the base part attached while surrounding the guardrail post with its own magnetism upon installation, and reflect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art Including a high-brightness reflective portion form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and, and an adhesive tap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ase portion, and when the reflective band is mounted on the guardrail post, the base portion is metallic due to magnetic for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t is firmly attached to the guardrail post, preventing the reflective band from flowing down or sliding down the guardrail post, and the adhesive tape part formed at one e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reflective band. It relates to a 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post that can more firmly fix the reflective band to the guardrail post.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 및 중앙, 횡단 보도와 인도 경계선, 공원입구, 자전거 전용도로의 경계부분 등에는 가드레일 또는 차량 규제봉 등과 같은 도로안전시설물이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차량의 진입 및 충돌을 방지하여, 운전자 또는 보행자를 보호하게 된다.In general, road safety facilities such as guard rails or vehicle regulation rods are installed at the edges and centers of roads, crosswalks and sidewalk borders, park entrances, and bicycle-only roads. By preventing entry and collision of the vehicle, it protects the driver or pedestrian.

상기 도로안전시설물에는 야간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휘도 반사시트가 소정의 간격을 갖는 띠 형상으로 부착된다.A high-brightness reflective sheet is attached to the road safety facility in a strip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order to secure night visibility.

상기 고휘도 반사시트는 일반적으로 상기 도로시설물의 표면에 접착제로 부착되는데, 차량과의 충돌 및 접촉, 극고온 및 극저온의 날씨, 기상 등의 영향으로 접착력의 약화 및 박리가 발생되거나 먼지, 흙탕물, 매연 등으로 인하여 고휘도 반사시트의 표면이 오염되어 최상의 시인성을 유지하기가 힘들어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The high-brightness reflective sheet is general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oad facility with an adhesive, and weakening and peeling of adhesion occurs due to collisions and contact with vehicles, extreme high and cryogenic weather, and weather, or dust, muddy water, and soot. The surface of the high-brightness reflective sheet is contaminated due to the like,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best visibility, so continuous maintenance is required.

특히, 종래의 가드레일에 있어서는, 가드레일 지주에 일정크기의 반사지를 재단하여 반사지를 직접 부착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반사지의 재단규격이 설치하는 작업구간 또는 작업자마다 각기 다르고, 재단된 반사지를 가드레일 지주에 부착할 때 습기 또는 먼지로 인하여 부착이 어려우며, 강력 접착제를 이용하여 반사지를 가드레일 지주에 부착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conventional guardrail, a reflective paper of a certain size is cut on the guardrail post and the reflective paper is directly attached. However, the cutting standards of the reflective paper are different for each installation work section or worker, and when the cut reflective paper is attached to the guardrail support, it is difficult to attach it due to moisture or dust, and the reflective paper is attached to the guardrail support using a strong adhesive. There was a hassle on the back.

또한, 훼손된 고휘도 반사시트를 교체시, 구조물에 접착제 흔적이 남아있거나 이들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어 새로운 교체 반사지를 부착하여도 접착상태가 불량하여 제대로 접착되지 않고, 미관상 좋지 않으며, 상당한 불편함과 오랜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나아가 번거러운 작업으로 인하여 설치 시 상당한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amaged high-brightness reflective sheet is replaced, adhesive traces remain on the structure or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attached to them. It takes a long time and takes a long time, and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a significant risk during installation due to cumbersome work.

한편, 종래에는 가드레일 지주에 반사시트를 직접 부착하였는데, 이 경우 가드레일 지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한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하여, 반사시트가 쉽게 훼손됨은 물론, 반사시트 이면의 점착제 성분이 열에 의해 노화되어 반사시트가 가드레일 지주로부터 쉽게 이탈 내지 박리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나아가, 반사시트가 부착된 가드레일 지주의 상단으로부터 표면을 타고 유입되는 이물질에 반사시트가 그대로 노출되어 쉽게 오염되고, 가드레일 지주 표면에 면접된 상태의 반사시트는 지주 상측과 하측으로 빛의 번짐(분산)을 야기시켜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the reflective sheet was directly attached to the guardrail post. In this case, the reflective sheet is easily damaged due to contraction and expansion due to heat transferred from the guardrail post, and the adhesive component on the back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is aged by heat.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reflective sheet is easily separated or peeled from the guardrail post. Furthermore, the reflective sheet is easily contaminated by exposing the reflective sheet to foreign matter flowing through the surface from the top of the guardrail post with the reflective sheet attached, and the reflective sheet interviewed with the guardrail post surface spreads light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ost. There was also a problem of causing (dispersion) and lowering the visibility.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8303호 [2008년 5월 8일 공고]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28303 [Announcement on May 8, 2008]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7076호 [2001년 6월 15일 공고]2.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27076 [Announcement on June 15, 2001]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접착제 등과 같은 어떠한 도구나 부품 없이, 간단한 작업에 의해 신속히 반사밴드를 부착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번거러운 작업 등에 의해 설치 시 초래될 수 있는 위험을 불식시킬 수 있는 반사밴드를 제공함에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allowing the reflective band to be quickly attached by a simple operation without any tools or parts such as adhesives, etc. It is to provide a reflective band that can eliminate possible dangers.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부의 적어도 내측면이 자성을 가져서, 가드레일 지주에 부착 시, 베이스부의 내측면과 가드레일 지주 사이의 자력에 의해 반사밴드가 가드레일 지주를 따라 흘러내리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사밴드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t least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s magnetic, so when attached to the guardrail support, the reflective band flows down or slides along the guardrail support due to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guardrail support. It is to provide a reflective band that can prevent this.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가드레일 지주에 부착 시, 베이스부 자체가 외측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구성됨으로써, 가드레일 지주 표면을 따라 상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에 쉽게 노출되지 않고, 돌출된 단턱 높이에 의해 반사시트에 반사된 빛이 지주 상측과 하측 번짐(분산)되지 않아, 보다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반사밴드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attached to the guardrail post, the base part itself is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it is not easily exposed to foreign substances flowing from the top along the guardrail post surface, and the protruding stepped jaw It is to provide a reflective band capable of securing more excellent visibility because the light reflected by the height of the reflective sheet does not spread (dispers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ost.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반사시트가 가드레일 지주에 직접 부착되는 방식이 아닌, 반사시트와 가드레일 지주 사이에 베이스부가 개재된 구조이기에, 상기 베이스부가 가드레일 지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반사시트 및 반사시트 이면의 점착제 성분이 열에 직접 노출되어 노화되지 않고, 그 결과 반사시트가 쉽게 이탈 내지 박리되지 않는 반사밴드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method in which the reflective sheet is directly attached to the guardrail post, but a structure in which the base part is interposed between the reflective sheet and the guardrail post, so that the base part blocks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guardrail post. Thu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lective band in which the reflective sheet and the adhesive component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ve sheet are not directly exposed to heat and are not aged, and as a result, the reflective sheet is not easily separated or peeled off.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베이스부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점착테이프부가 그 타측 단부에 덧대어 부착될 수 있는 구조이기에, 반사밴드의 흘러내림 또는 미끄러짐을 2중으로 방지함은 물론, 특히 고속 주행 차량에 의해 야기되는 엄청난 바람, 태풍, 비바람,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반사밴드가 이탈되는 것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는 반사밴드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adhesive tape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part can be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base part, so that it doubles the flow of the reflective band and prevents it from slipping. It is to provide a reflective band that can further prevent the reflective band from being separated by a tremendous wind, typhoon, rainstorm, external shock, etc. caused by a vehic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드레일용 반사밴드에 있어서, 내측면이 자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장착 시 그 자체의 자성으로 가드레일 지주를 둘러싸면서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에 반사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휘도 반사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점착테이프부를 포함하고, 가드레일 지주에 반사밴드가 장착된 경우, 베이스부 내측면의 자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가 금속성인 가드레일 지주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상기 반사밴드가 가드레일 지주를 따라 흘러내리거나 미끄러져내리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점착테이프부는 반사밴드의 타측 단부의 일측면에 덧대어 부착되어, 반사밴드를 가드레일 지주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comprising: a base portion that is made to have a magnetic inner surface, and is attached while surrounding the guardrail post with its own magnetism when mounted; A high luminance reflecto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flective band; And an adhesive tap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ase portion, and when a reflective band is mounted on the guardrail pillar, the base portion is firmly attached to the metallic guardrail pillar by magnetic force on the inner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reflection The band is prevented from falling or slipping along the guardrail post, and the adhesive tape part formed at one e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reflective band to make the reflective band more rigid with respect to the guardrail po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은 자성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은 흑갈색을 가진 비자성재료로 이루어고, 흑갈색의 베이스부 외측면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백색 또는 황색의 반사시트와 보색 역할을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Preferably,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s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having a black brown colo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lack brown base portion is white or yellow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t serves as a complementary color to the reflective sheet, improving visibility.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휘도 반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시트가 전체로 또는 소정 간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More preferably, the high luminance reflectiv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t least one reflective sheet extends as a whole 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가드레일 지주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두께는 0.4 내지 1.5 mm이다. Most preferably, the bas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guard rail post, and the thickness is 0.4 to 1.5 mm.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접착제 등과 같은 어떠한 도구나 부품 없이, 간단한 작업에 의해 신속히 반사밴드를 부착시킬 수 있어서, 설치 시의 기존의 번거러운 작업 등에 의해 초래될 수 있는 위험 또는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First, it is possible to quickly attach the reflective band by a simple operation without any tools or parts such as adhesives, and thu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r safety accident that may be caused by the existing cumbersome work at the time of installation.

둘째, 베이스부의 내측면이 자성을 가져서, 가드레일 지주에 부착 시, 베이스부의 내측면과 가드레일 지주 사이의 자력에 의해 반사밴드가 가드레일 지주를 따라 흘러내리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inner side of the base portion is magnetic, when attached to the guardrail post, the reflective band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or slipping along the guardrail post by magnetic force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base unit and the guardrail post.

세째, 가드레일 지주에 부착 시, 베이스부 자체가 외측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구성됨으로써, 가드레일 지주 표면을 따라 상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에 쉽게 노출되지 않고, 돌출된 단턱 높이에 의해 반사시트에 반사된 빛이 지주 상측과 하측 번짐(분산)되지 않아, 보다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Third, when attached to the guardrail post, the base part itself is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it is not easily exposed to foreign substances flowing from the top along the guardrail post surface, and is reflected on the reflective sheet by the protruding stepped height. The resulting light does not bleed (dispers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osts, so that more excellent visibility can be secured.

네째, 반사시트가 가드레일 지주에 직접 부착되는 방식이 아닌, 반사시트와 가드레일 지주 사이에 베이스부가 개재된 구조이기에, 상기 베이스부가 가드레일 지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반사시트 및 반사시트 이면의 점착제 성분이 열에 직접 노출되어 노화되지 않고, 그 결과 반사시트가 쉽게 이탈 내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ourth, since the reflective sheet is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guardrail post, but the base part is interposed between the reflective sheet and the guardrail post, the base part blocks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guardrail post, so that the reflective sheet and the reflective shee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nent on the back surface is directly exposed to heat and does not age,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flective sheet from being easily separated or peeled off.

다섯째, 베이스부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점착테이프부가 그 타측 단부에 덧대어 부착될 수 있는 구조이기에, 반사밴드의 흘러내림 또는 미끄러짐을 2중으로 방지함은 물론, 특히 고속 주행 차량에 의해 야기되는 엄청난 바람, 태풍, 비바람,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반사밴드가 이탈되는 것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다.Fifth, since the adhesive tape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part can be attached to the other end part, it prevents the reflection band from falling down or slipping twice, and in particular, a tremendous wind caused by a high-speed vehicle. ,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the reflection band from being separated by typhoon, rain and wind, external shock, etc.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용 반사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용 반사밴드가 가드레일 지주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용 반사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lective band for a guard rai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guardrail pos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lective band for a guard rail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용 반사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용 반사밴드가 가드레일 지주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용 반사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guardrail post. It is a reference diagram,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lective band for a guard rail po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반사밴드(100)는 내측면이 자성을 갖도록 이루어진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의 외측면에 반사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 고휘도 반사부(20), 및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점착테이프부(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1, the reflective band 100 for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10 formed such that an inner side thereof has magnetic properties, and a reflective band on the outer side of the base portion 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igh luminance reflective part 20 atta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d an adhesive tape part 30 formed at one end of the base part 10.

상기 베이스부(10)는 적어도 그 내측면이 자성을 갖는 고무 자석으로 이루어져서, 베이스부(10)가 가드레일 지주에 부착될 때, 베이스부 그 자체의 자성으로 가드레일 지주를 둘러싸면서 부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은 흑갈색을 가진 비자성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그 결과 흑갈색의 베이스부 외측면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백색 또는 황색의 반사시트(20)와 보색 역할을 하여, 고휘도 반사부(20)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10)는 다양한 형상의 가드레일 지주를 둘러싸서 밀착/부착될 수 있도록, 높은 유연성과 휨성을 가진 재료로 제조된다. The base portion 10 is made of a rubber magnet having magnetic properties at least on its inner side, so that when the base portion 10 is attached to the guardrail post, it is attached while surrounding the guardrail post with the magnetism of the base portion itself. More 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may be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having a dark brown color, and as a result, a white or yellow reflective sheet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with a dark brown outer surface It serves as a complementary color to (20), and improves the visibility of the high-luminance reflective portion (20). Preferably, the base portion 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flexibility and flexibility so that it can be closely attached/attached by surrounding guardrail posts of various shapes.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10)는 상기 가드레일 지주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께는 0.4 내지 1.5 mm이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10) 자체가 가드레일 지주 표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구성됨으로써, 가드레일 지주 표면을 따라 상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에 쉽게 노출되지 않고, 돌출된 단턱 높이에 의해 반사시트에 반사된 빛이 지주 상측과 하측 번짐(분산)되지 않아, 보다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종래, 반사시트가 가드레일 지주에 직접 부착되는 방식이 아닌, 반사시트와 가드레일 지주 사이에 베이스부가 중간 개재된 구조이기에, 상기 베이스부(10) 자체가 가드레일 지주로부터 반사시트(20)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반사시트 및 반사시트 이면의 점착제 성분이 열에 직접 노출되어 노화되지 않게 하고, 그 결과 반사시트 자체가 쉽게 이탈 내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base portion 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guard rail support. More preferably, the thickness is 0.4 to 1.5 mm. In this way, the base portion 10 itself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guardrail post surface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it is not easily exposed to foreign substances flowing from the upper end along the guardrail post surface, and is reflected on the reflective sheet by the protruding stepped height. The resulting light does not bleed (dispers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osts, so that more excellent visibility can be secured.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base part is interposed between the reflective sheet and the guardrail post, rather than a method in which the reflective sheet is directly attached to the guardrail post, so the base part 10 itself reflects from the guardrail post. By blocking the heat transmitted to the sheet 20, the reflective sheet and the adhesive component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ve sheet are not directly exposed to heat to prevent aging, and as a result, the reflective sheet itself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or peeled off.

즉, 베이스부(10)는 그 내측에 자성을 가져서 금속성인 가드레일 지주를 둘러싸면서 용이하게 안착 내지 부착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가드레일 지주로부터 반사시트로 전달될 수 있는 여러 악영향을 중간에서 차단시키는 보호부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10)는 그 내측면이 자성을 가짐과 동시에, 그 외측면은 비자성재료로 이루어져, 베이스부(10)의 외측면에 고휘도 반사부(20) 또는 점착테이프부(30)가 보다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base portion 10 has magnetic properties inside it so that it can be easily seated or attached while surrounding a metallic guardrail post, and at the same time, various adverse effects tha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guardrail post to the reflective sheet are prevented in the middle. Simultaneously plays the role of blocking protection member. Preferably, the base portion 10 has a magnetic inner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surface is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and a high-brightness reflective portion 20 or an adhesive tape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30) makes it possible to attach more firmly.

상기 고휘도 반사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외측면에 반사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띠 형상으로 부착된다. 즉, 상기 고휘도 반사부(20)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시트가 전체로 또는 소정 간격으로 연장되게 부착된다. 도 1은 베이스부(10)의 종방향 길이 보다 작은 하나의 반사시트(20)가 베이스부(10)의 외측면에 부착된 것을 도시하고, 도 3은 반사시트(20)가 전체로 또는 소정 간격으로 베이스부(10)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The high luminance reflective part 2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art 10 in a strip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eflective band. That is, the high luminance reflective part 20 is attached such that at least one reflective sheet extends as a whole 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1 shows that one reflective sheet 20 small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base part 1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art 10, and FIG. 3 shows that the reflective sheet 20 is entirely or predetermined. It shows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at intervals.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 단부에는 점착테이프부(30)가 부착되어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 점착테이프부(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의 외측면 일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베이스부(10)의 내측면 일측 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점착테이프부(30)가 베이스부(10)의 일측 단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and 3, an adhesive tape part 30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base part 10.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adhesive tape part 30 may be provided on one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base part 10, as shown in the drawing, as well as at one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base part 10.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Accordingly, in the present design, the adhesive tape portion 30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ing both the adhesive tape portion 30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ase portion 10.

도 2를 참조하면, 가드레일 지주에 반사밴드(100)를 장착할 경우, 먼저 반사밴드(100)는 베이스부 내측면의 자력에 의해 금속성인 가드레일 지주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이후,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점착테이프부(30)의 이형지(32)를 제거한 후, 노출된 점착부가 반사밴드의 타측 단부의 일측면에 덧대어지게 부착한다. 물론, 먼저 이형지를 제거한 후, 베이스부가 가드레일 지주를 둘러싸게 부착함과 동시에, 점착부가 덧대어 부착되게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Referring to FIG. 2, when the reflective band 100 is mounted on the guardrail post, the reflective band 100 is first maintained in a state attached to the metallic guardrail post by magnetic force on the inner side of the base part. Thereafter, after the release paper 32 of the adhesive tape portion 30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portion 10 is removed, the exposed adhesive portion is attached so as to be pasted on on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reflective band.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after removing the release paper first, the base portion may be attached to surround the guardrail post, and the adhesive portion may be added and attached.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접착제 등과 같은 어떠한 도구나 부품 없이, 간단한 수작업에 의해 신속히 반사밴드를 가드레일 지주에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기존의 번거러운 작업 등에 기인하여, 설치 시 초래될 수 있는 안전사고 또는 위험을 불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ttach the reflective band to the guardrail post by simple manual operation without any tools or parts such as adhesives.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of eliminating safety accidents or dangers that may occur during installation due to the existing cumbersome work.

특히, 본 고안은 점착테이프부의 점착력에 의해서만 가드레일 지주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부 그 자체의 자력에 의해 1차적으로 가드레일 지주에 고정되고, 2차적으로 점착테이프부의 점착력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부착/고정된다. 따라서, 가드레일 지주의 외면 및 그와 면접하는 베이스부 내측면의 상호적인 자력에 의해, 가드레일 지주에 부착 시, 반사밴드가 가드레일 지주를 따라 흘러내리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design is not fixed to the guardrail support only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tape portion, but is primarily fixed to the guardrail support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base portion itself, and secondarily, more firmly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tape portion. Attached/fixed. Therefore, by the mutual magnetic for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uardrail pos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art interviewed therewith, when attached to the guardrail post,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reflective band from flowing down or slipping along the guardrail post. There is an advantage.

한편, 본 고안의 고휘도 반사부(20)가 습기 또는 이물질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해 오염 내지 손상되어, 제대로 시인성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반사부(20)를 부착한 후, 반사부의 보호 효과가 탁월한 보호막을 제시하고자 한다.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that the high luminance reflective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aminated or damaged by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so that visibility may not be properly exhibited, after attaching the reflective unit 20, the reflective unit We intend to present a protective film with excellent protective effect.

이와 같이, 고휘도 반사부(20)의 외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공층(G1) 및 다공층(G1)의 외면 전체를 덮는 보호층(G2)을 포함하는 보호막이 도포된다. In this way, a protective film including a porous layer G1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protective layer G2 covering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porous layer G1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igh-luminance reflecting unit 20.

구체적으로, 다공층(G1)은 보호막에 완충성을 부가하는 구성으로, 발포폴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Sb2O3) 5 중량부,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7 중량부 및 팽창 흑연 10 중량부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porous layer (G1) is a configuration that adds buffering properties to the protective film,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expanded polystyrene , 5 parts by weight of antimony trioxide (Sb 2 O 3 ), 7 parts by weight of melamine polyphosphate, and 10 parts by weight of expanded graphite. Includes parts by weight.

각 조성물 별로,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은 난연성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단열성능이 뛰어나고 제조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 때문에 사용되었다. 다공층(G1)의 각 조성물은 발포스트렌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For each composition, expanded polystyren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vulnerable to flame retardancy, but has been used because of its excellent insulation performance and low manufacturing cost. Each composition of the porous layer (G1) is determin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expanded styrene.

그리고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Sb2O3)는 휘안석으로부터 취득되는 금속산화물로, 기타 난연재에 비해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다는 장점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는 발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연소 시에 발생하는 라디칼 화합물이 인체에 유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고가인 이유로 경제성이 저하된다.And antimony trioxide (Sb 2 O 3 ) is a metal oxide obtained from luminous stone, and was used for the advantage of having superior flame retardancy compared to other flame retardant materials. Such antimony trioxide preferably contains 5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expanded styrene.If used in excess of this, the radical compound generated during combustion may be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economical efficiency is achieved due to relatively high cost. It is lowered.

그리고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Melamine Polyphosphate)는 폴리인산화?d물의 일종으로, 유리도막을 형성하여 산소접근을 차단하는 기능을 위해 첨가된다. 반복 실험 결과, 유리도막의 적정 두께 형성을 위한 최적의 사용량은 발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7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다.And melamine polyphosphate (Melamine Polyphosphate) is a kind of polyphosphorylated?d water, added for the function of blocking oxygen access by forming a glass coating. As a result of the repeated experiment, the optimal amount of use for forming an appropriate thickness of the glass coating film is that 7 parts by weight are included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expanded styrene.

그리고 팽창 흑연(Expanded Graphite)은 연소 시 탄화물을 생성함으로써 난연 기능을 부가하는 흑연화합물로서 첨가되며, 바람직한 사용량은 1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인데, 반복 실험 결과 상기한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와의 중량 비율이 0.7 : 1로 사용될 때 난연 효과가 최대로 발현되었으며, 이 결과 1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And expanded graphite (Expanded Graphite) is added as a graphite compound that adds a flame-retardant function by generating carbides during combustion, and the preferred amount is that it contains 10 parts by weight.As a result of repeated experiments, the weight ratio of the melamine polyphosphate is 0.7: When used as 1, the flame retardant effect was maximized, and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it is desirable to include 10 parts by weight.

상기 다공층(G1)은 상기 구성들을 물을 용매로 하여 분산시킨 후 소정의 경화 작업을 거쳐 제조된다. 여기에서, 다공층(G1)의 경화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기 공지된 기술 및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 상식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The porous layer G1 is prepared through a predetermined curing operation after dispersing the above components using water as a solvent. Here, matters related to the curing of the porous layer G1 are ou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llow the known techniques and general common sense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다음으로, 보호층(G2)은 보호막(G)의 기본 구성으로, 상기한 다공층(G1) 전체 부위를 덮어서 보호한다. 이러한 보호층(G2)은 테트라에톡시실란 5 중량%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5 중량%와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실리카 결합수 100 중량부 대비, 포졸란 10 중량부, 계면활성제 3 중량부, 벤토나이트 1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3 중량부를 포함한다.Next, the protective layer G2 is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otective film G, and covers and protects the entire portion of the porous layer G1. This protective layer (G2)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silica bonded water containing 5% by weight of tetraethoxysilane, 5% by weight of methyltriethoxysilane and the balance of water, 10 parts by weight of pozzolan, 3 parts by weight of surfactant, bentonite 1 part by weight, 40 parts by weight of hydroxyethyl acrylate, and 3 parts by weight of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are included.

각 구성 별로, 실리카 결합수는 포졸란의 지오 폴리머 반응을 위해 첨가되며, 다량의 실리카(SiO)가 함유된 것이 좋다. 이러한 실리카 결합수는 결합수 전체 중량 대비,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5 중량%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MTES) 5 중량%와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데, 테트라에톡시실란은 실리카 분자의 안정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며,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은 네트워크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테트라에톡시실란이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보호층(G2)의 경도 저하가 발생하고,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실리카 전구체 함량이 높아져 건조 시의 크랙 발생 우려가 있다. 또한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이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유연성이 저하되며,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보호층(G2)의 경도가 저하된다. 보호층(G2)을 구성하는 이하의 조성물은 실리카 결합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For each composition, silica bonded water is added for the geopolymer reaction of pozzolan, and it is preferable that a large amount of silica (SiO) is contained. The silica bonded water contains 5% by weight of tetraethoxysilane (TEOS) and 5% by weight of methyltriethoxysilane (MTES) and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onded water. It forms a network structure, and methyltriethoxysilane increases the flexibility of the network. When tetraethoxysilane is added in less than the composition ratio, the hardness of the protective layer (G2) is lowered, and when the tetraethoxysilane is added in excess of the composition ratio, the silica precursor content is increased and there is a risk of cracking during drying. In addition, when methyltriethoxysilane is used in less than the above composition ratio, the flexibility decreases, and when it is used in excess of the above composition ratio, the hardness of the protective layer (G2) decreases. The following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protective layer (G2)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silica bonded water.

그리고 포졸란은 지오 폴리머 반응의 주요한 결합재로서, 화산재 등과 같은 천연 포졸란, 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쉬, 실리카 흄 등과 같은 인공 포졸란 중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포졸란은 10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무 과도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할 때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조성비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 발현이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pozzolan is a major binder in the geopolymer reaction, and any of natural pozzolans such as volcanic ash, artificial pozzolans such as slag fine powder, fly ash, silica fume, etc. may be selected. It is preferable to use 10 parts by weight of such pozzolan, and assuming that the composition is not too excessive, the composition ratio may be exceeded. However, when the composition ratio is less than the composition ratio, it is difficult to develop strength.

그리고 계면활성제는 작업성 개선을 위해 첨가되고, 벤토나이트는 탈락 방지를 위한 점탄성 조절제로서 첨가되어 요변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와 벤토나이트는 공지된 기술 및 일반 상식을 참고하여 시판되는 제품을 상기 조성비로 첨가되면 족하다. 상기 조성비를 벗어나는 경우, 흐름성이 기준치에 과도하거나 또는 미달되게 된다.In addition, a surfactant is added to improve workability, and bentonite is added as a viscoelastic modifier to prevent dropping, there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a thixotropic agent. These surfactants and bentonite are sufficient if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are added in the above composition ratio with reference to known techniques and common sense. If the composition is out of the above composition ratio, the flowability is excessive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그리고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acrylate)는 부착증진제로서 첨가되며, 특히 경화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어 채용되었다. 반복 실험 결과, 바람직한 사용량은 40 중량부이며,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부착 증진 효과 발현이 미미하며,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휘발도가 높아지고 독성이 강해진다.And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ethylacrylate) is added as an adhesion promoter, and was particularly adopted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curability. As a result of repeated experiments, the preferred amount is 40 parts by weight, and when used in less than the above composition ratio, the adhesion promoting effect is insignificant, and when used in excess of the composition ratio, the volatility increases and the toxicity becomes strong.

그리고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Ehtylenediaminetetracetate)는 흡착강화제로서 첨가되며, 보호막(G)의 초기 시공 시의 흡착력을 강화하여 결과적으로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반복 실험 결과, 최적의 흡착 강화 효과를 발현하는 사용량은 3중량부로 확인되었다.In addition, ethylenediaminetetracetate is added as an adsorption enhancer, and as a result, adhesion is improved by reinforcing the adsorption power during the initial construction of the protective film (G). As a result of repeated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used to express the optimal adsorption enhancing effect was 3 parts by weight.

본 고안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specific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specific structu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or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However, such simple design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are all intended to be clearly identified in advance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가드레일용 반사밴드에 있어서,
내측면이 자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장착 시 그 자체의 자성으로 가드레일 지주를 둘러싸면서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에 반사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휘도 반사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점착테이프부;를 포함하고,
가드레일 지주에 반사밴드가 장착된 경우, 베이스부 내측면의 자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가 금속성인 가드레일 지주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상기 반사밴드가 가드레일 지주를 따라 흘러내리거나 미끄러져내리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점착테이프부는 반사밴드의 타측 단부의 일측면에 덧대어 부착되어, 반사밴드를 가드레일 지주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반사밴드.
In the reflection band for the guard rail,
The inner surface is made to have a magnetic base, which is attached while surrounding the guardrail post with its own magnetism when mounted;
A high luminance reflecto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flective band; And
Including; an adhesive tap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ase portion,
When a reflective band is attached to the guardrail post, the base part is firmly attached to the metallic guardrail post by magnetic force on the inner side of the base part, preventing the reflective band from flowing down or sliding down the guardrail post. And, the adhesive tap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reflective ba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reflective band, the reflective band is more rigidly fixed to the guardrail po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은 자성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은 흑갈색을 가진 비자성재료로 이루어고, 흑갈색의 베이스부 외측면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백색 또는 황색의 반사시트와 보색 역할을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반사밴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s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having a black brown color, and an outer surface of the black brown base portion is a whit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Or a reflective band for a guard rail, characterized in that it serves as a complementary color to the yellow reflective sheet to improve visib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 반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시트가 전체로 또는 소정 간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반사밴드. The reflective band of claim 1, wherein the high luminance reflective portion is formed so that at least one reflective sheet extends as a whole 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가드레일 지주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두께는 0.4 내지 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반사밴드.

The reflective band of claim 1, wherein the bas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guardrail post, and the thickness is 0.4 to 1.5 mm.

KR2020190004467U 2019-11-05 2019-11-05 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post KR2021000104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67U KR20210001044U (en) 2019-11-05 2019-11-05 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po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67U KR20210001044U (en) 2019-11-05 2019-11-05 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po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44U true KR20210001044U (en) 2021-05-13

Family

ID=7591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467U KR20210001044U (en) 2019-11-05 2019-11-05 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po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044U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076Y1 (en) 2000-12-22 2001-06-15 동신기술개발주식회사 A Delineator for Guard rail
KR100828303B1 (en) 2007-12-06 2008-05-08 석수 윤 Assembling reflection co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076Y1 (en) 2000-12-22 2001-06-15 동신기술개발주식회사 A Delineator for Guard rail
KR100828303B1 (en) 2007-12-06 2008-05-08 석수 윤 Assembling reflection co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4971D1 (en) EXHAUST BRAKE-RESISTANT VEHICLES, BEDS AND METHOD THEREFOR
NZ332540A (en) Vehicle arresting bed with layer over bed sufficient to support pedestrian
ES542877A0 (en) CLIMATIZATION INSTALLATION FOR MOUNTING ON THE ROOF OF AUTOMOBILE VEHICLES
KR20210001044U (en) Reflective band for a guardrail post
KR101168428B1 (en) Prop having insulating layer
KR102366210B1 (en) Reflective body for a curved guardrail
KR101617406B1 (en) Road marker
CA1215261A (en) Draw box for use in an apparatus for applying marking strips on roadway surfaces
KR102049801B1 (en) Mixture for Non-slip Layer and Non-slip Layer Stacked Structure Thereof
KR102093635B1 (en) Boundary stone with improved anti-slip and reflection visib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boundary stone
DE69804246D1 (en) TIRES WITH AN AIRTIGHT LEVEL CONTAINING DUCTILE METAL
DE19825178A1 (en) Floor, wall or ceiling section with embedded lighting strip, e.g. for safety lighting on stairs, platform edges etc.
JP3138781U (en) Grating
JP2001287977A (en) Road pavement material
KR200288155Y1 (en) a way of boundary layer stone
KR102264511B1 (en) Construction Method of Slope Edge Using Mixture with Non-Slip and Snow-Melting Additives
CN217174431U (en) Sound barrier device for urban elevated road
KR100995808B1 (en) Structure for sliding preven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8291702U (en) Warning device
KR100640148B1 (en) The indicator
JP2008215061A (en) Road surface structure
KR960001373A (en) Roof guardrail waterproofing structure
KR101701408B1 (en) Block for road
KR200370292Y1 (en) Support Frame of Licence Plate for Car
KR19990019391U (en) Road Firewall Ca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