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727U - 접착 부재 및 이의 어셈블리, 위조 방지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접착 부재 및 이의 어셈블리, 위조 방지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727U
KR20210000727U KR2020200003456U KR20200003456U KR20210000727U KR 20210000727 U KR20210000727 U KR 20210000727U KR 2020200003456 U KR2020200003456 U KR 2020200003456U KR 20200003456 U KR20200003456 U KR 20200003456U KR 20210000727 U KR20210000727 U KR 202100007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ember
layer
tear
glue layer
lo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806Y1 (ko
Inventor
완훼이 우
팅 천
Original Assignee
선전 피커스 테크놀로지 홀딩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피커스 테크놀로지 홀딩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피커스 테크놀로지 홀딩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07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7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8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B42D25/46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using chemicals or adhesives
    • B42D25/47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using chemicals or adhesive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65B61/02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for applying, e.g. print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글루층 및 글루층의 최상측에 설치된 제1층을 포함하는 접착 부재로서, 상기 제1층은 상기 글루층에 고정되고, 상기 제1층의 외부 표면에는 복권부가 설치되며, 상기 복권부는 상기 제1층의 외부 표면에 직접 형성되는 접착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전술한 적어도 2개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착 부재는 나란히 안착되거나 적층되도록 안착되는 접착 부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수납 공간을 한정하고, 인열부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인열부는 케이스의 일부분이고, 인열부와 케이스의 다른 부분 간에는 인열 가능부를 통해 연결되는 위조 방지 포장 장치로서, 상기 인열부의 외부 표면에는 복권부의 유효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복권부의 유효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열부의 외부 표면에 직접 형성되는 위조 방지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해결수단에 따라 복권을 사용하여 상품에 위조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착 부재 및 이의 어셈블리, 위조 방지 포장 장치{ADHESIVE MEMBER AND ASSEMBLY THEREOF, ANTI-COUNTERFEITING PACKAGING DEVICE}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품 포장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착 부재, 접착 부재 어셈블리 및 위조 방지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상품, 특히 고급 상품의 위조 방지에 대해 갈수록 중요시하고 있다. 많은 제조업체가 바코드 및 레이저 상표를 사용하는 등 제품에 대해 동시에 다양한 위조 방지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제품은 여전히 타인에 의해 지속적으로 위조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구매자 본인이 바코드와 레이저 상표의 진위를 구별하기 어렵고 제조업체가 적용한 일부 위조 방지 수단이 기술적으로 위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적 과제 중 적어도 하나의 양태를 해결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제안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글루층 및 글루층의 최상측에 설치된 제1층을 포함하는 접착 부재로서,
상기 제1층은 상기 글루층에 고정되고, 상기 제1층의 외부 표면에는 복권부가 설치되며, 상기 복권부는 상기 제1층의 외부 표면에 직접 형성되는 접착 부재를 개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접착 부재의 평면도에서, 상기 복권부는 전체적으로 글루층의 위치와 중첩되거나; 또는 접착 부재의 평면도에서, 상기 복권부는 부분적으로만 글루층의 위치와 중첩되거나; 또는 접착 부재의 평면도에서, 상기 복권부는 글루층의 외부에 위치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접착 부재는 글루층의 바닥측에 설치된 제2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글루층은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층은 글루층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글루층으로부터 박리되기에 적합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접착 부재는 스트립 형상 또는 면 블록 형상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접착 부재의 길이는 10 cm보다 길거나; 또는 상기 접착 부재의 폭은 10 cm보다 넓다.
본 고안은 또한 전술한 적어도 2개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착 부재는 나란히 안착되거나 적층되도록 안착되는 접착 부재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접착 부재에는 상기 제2층이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착 부재는 동일한 제2층에 설치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접착 부재에는 상기 제2층이 설치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스트립 형상이며, 적어도 2개의 접착 부재 중 인접한 접착 부재 간에는 인열 가능부를 통해 연결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인열 가능부는 제2층에 설치되고, 2개의 인접한 접착 부재의 글루층과 제1층은 서로 연결되지 않거나 서로 이격된다.
본 고안은 또한 수납 공간을 한정하고, 인열부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인열부는 케이스의 일부분이고, 인열부와 케이스의 다른 부분 간에는 인열 가능부를 통해 연결되는 위조 방지 포장 장치로서, 상기 인열부의 외부 표면에는 복권부의 유효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복권부의 유효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열부의 외부 표면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인열부는 인열 스트립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복권부의 유효 영역은 상기 인열부의 외부 표면의 일부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의 일부를 커버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복권부의 유효 영역은 상기 인열부의 외부 표면에만 설치된다.
접착 부재에 복권을 설치하거나 위조 방지 포장 장치의 인열부에 복권을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상품의 위조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은 본 고안에 의해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의 상기 및 기타 특징 및 이점을 더 잘 이해하는데 유리하고,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항상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조 방지용 접착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조 방지 포장 장치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대한 아래 설명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고안 사상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조 방지용 접착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 부재(100)는 글루층(10), 글루층(10)의 최상측에 설치된 제1층(20) 및 글루층(10)의 바닥측에 설치된 제2층(3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층의 외부 표면에는 복권부(22)가 더 설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복권부(22)는 복권부의 스크래치 영역, 복권 바코드 영역 및 상품 교환 바코드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소위 복권부는 확인 가능한 복권임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복권은 국가 관련 기관에서 승인하여 발행된 복권이며, 소비자는 조회를 통해 복권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접착 부재는 글루층을 구비하고, 글루층의 일측은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플렉시블 포장의 상부)에 접착될 수 있으므로, 접착 부재는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복권부를 통해 상품 진위를 확인할 수 있거나 적어도 복권부를 상품의 진위를 판단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여기서 제2층(30)은 글루층(10)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고, 제1층(20)은 글루층(10)에 고정된다(여기서 고정은 예를 들어, 제1층을 파괴하지 않고는 글루층으로부터 제1층을 박리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도 1에는 제2층(30)이 도시되었으나 제2층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2개의 접착 부재가 적층된 경우, 상부에 놓인 접착 부재의 글루층의 바닥측은 하부에 놓인 접착 부재의 제1층의 표면에 직접 위치한다. 상부에 놓인 접착 부재는 직접 접착되어 복권부를 커버하거나 복권부를 커버하지 않을 수도 있다(하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복권부는 접착 부재의 평면도에서 글루층과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1에서, 복권부(22)의 위치는 평면도에서 글루층의 영역 내에 완전히 놓이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접착 부재의 평면도에서, 상기 복권부는 부분적으로만 글루층의 위치와 중첩되거나; 또는 접착 부재의 평면도에서, 상기 복권부는 글루층의 외부에 위치하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접착 부재는 스트립 형상(예를 들어, 평면도에서 접착 부재의 종횡비는 2보다 크고, 더욱이 3보다 큼)이다. 스트립 형상의 접착 부재는 상품의 플렉시블 포장 개구와 같은 상품 포장의 개구를 둘러싸면서 밀봉할 수 있고, 상기 스트립 형상의 접착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밀봉되는 개구 부분에는 복권부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예시적으로, 이는 접착 부재의 평면도에서, 상기 복권부는 부분적으로만 글루층의 위치와 중첩되거나; 또는 접착 부재의 평면도에서, 상기 복권부가 글루층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에 대응됨).
접착 부재는 면 블록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예를 들어, 평면도에서 접착 부재의 종횡비는 2보다 작고, 더욱이 1.5보다 작음).
상품 포장의 개구를 용이하게 밀봉하기 위해, 상기 접착 부재의 길이는 10 cm보다 크고, 상기 접착 부재는 폭이 10 cm보다 큰 블록 형상일 수도 있다.
이 밖에, 접착 부재의 크기는 실제 사용되는 복권의 크기와 매칭될 수 있으며 접착 부재의 구체적인 크기는 인쇄된 복권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 어셈블리(200)의 모식도이다.
도 2의 오른쪽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부재 어셈블리는 하나의 동일한 제2층(30)에 안착된 복수의 접착 부재(100)일 수 있고, 인접한 접착 부재(100) 간에는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2의 왼쪽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접착 부재(100) 간에는 인열링이 용이한 인열부(2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열부는 약한 연결부일 수 있는데, 양자 사이의 연결을 약화시켜 양자의 분리에 용이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결부라면 모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왼쪽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 부재는 스트립 형상이고 상기 제2층(30)을 구비하며, 적어도 2개의 접착 부재 중 인접한 접착 부재 간에는 인열 가능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인열 가능부는 제2층에만 설치될 수 있으며, 2개의 인접한 접착 부재의 글루층과 제1층은 서로 연결되지 않거나 서로 이격된다. 인열 가능부는 약한 연결, 즉 틈새선이나 두께 감소선과 같이 인열링이 쉬운 부분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와 같이, 2개 또는 2개 이상의 접착 부재가 적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층은 층별 플랫 적층 또는 권선 적층일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조 방지 포장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조 방지 포장 장치(300)는,
수납 공간을 한정하고, 인열부(320)가 설치되는 케이스(310)를 포함하며, 상기 인열부(320)는 케이스의 일부분이고, 인열부와 케이스의 다른 부분 간에는 인열 가능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인열부(320)의 외부 표면에는 복권부(22)가 설치되고, 상기 복권부(22)는 상기 인열부의 외부 표면에 직접 형성된다.
복권부의 유효 부분은 인열부에만 설치될 수 있거나, 일부는 인열부에 설치되고 다른 일부는 케이스의 다른 표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복권부(22)의 유효 영역은 복권부의 스크래치 영역, 복권 바코드 영역 및 상품 교환 바코드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유효 영역 중 일부는 인열부의 외부 표면에만 설치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열부와 케이스의 다른 부분 사이에는 약한 연결, 즉 틈새선이나 두께 감소선과 같이 인열링이 쉬운 인열 가능부가 적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열부는 인열 스트립이다. 이 밖에, 인열 스트립에는 사용자가 당길 수 있는 인열 헤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실링 개봉 부재로 사용되고 외부 표면에 복권부가 설치되는 한, 본 고안은 인열부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고안의 도면은 예시적일 뿐임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그 상부의 인열부에 복권부 또는 복권의 유효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는 한, 원기둥체 또는 다른 입체 형상이거나 대체로 편평한 형상일 수도 있으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또 다른 예로서, 인열부는 케이스에 설치되어 케이스의 실링 스트립을 개봉할 수 있고 또한 그 상부에 복권부 또는 복권의 유효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는 한, 도시된 인열 스트립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 가압면 또는 인열면일 수도 있으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개시한다.
1. 글루층 및 글루층의 최상측에 설치된 제1층을 포함하는 접착 부재로서,
상기 제1층은 상기 글루층에 고정되고, 상기 제1층의 외부 표면에는 복권부가 설치되며, 상기 복권부는 상기 제1층의 외부 표면에 직접 형성된다.
2. 접착 부재 어셈블리로서,
상술한 적어도 2개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착 부재는 나란히 안착되거나 적층되도록 안착된다.
3. 수납 공간을 한정하고, 인열부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인열부는 케이스의 일부분이고, 인열부와 케이스의 다른 부분 간에는 인열 가능부를 통해 연결되는 위조 방지 포장 장치로서,
상기 인열부의 외부 표면에는 복권부의 유효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복권부의 유효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열부의 외부 표면에 직접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원리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3)

  1. 글루층 및 글루층의 최상측에 설치된 제1층을 포함하는 접착 부재로서,
    상기 제1층은 상기 글루층에 고정되고, 상기 제1층의 외부 표면에는 복권부가 설치되며, 상기 복권부는 상기 제1층의 외부 표면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접착 부재의 평면도에서, 상기 복권부는 전체적으로 글루층의 위치와 중첩되거나; 또는
    접착 부재의 평면도에서, 상기 복권부는 부분적으로만 글루층의 위치와 중첩되거나; 또는
    접착 부재의 평면도에서, 상기 복권부는 글루층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글루층의 바닥측에 설치된 제2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글루층은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층은 글루층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글루층으로부터 박리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스트립 형상 또는 면 블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의 길이는 10 cm보다 길거나; 또는
    상기 접착 부재의 폭은 10 cm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부재.
  6. 접착 부재 어셈블리로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2개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착 부재는 나란히 안착되거나 적층되도록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부재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제3항에 따른 접착 부재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착 부재는 동일한 제2층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부재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제3항에 따른 접착 부재이고, 상기 접착 부재는 스트립 형상이며, 적어도 2개의 접착 부재 중 인접한 접착 부재 간에는 인열 가능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부재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가능부는 제2층에 설치되고, 2개의 인접한 접착 부재의 글루층과 제1층은 서로 연결되지 않거나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부재 어셈블리.
  10. 수납 공간을 한정하고, 인열부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인열부는 케이스의 일부분이고, 인열부와 케이스의 다른 부분 간에는 인열 가능부를 통해 연결되는 위조 방지 포장 장치로서,
    상기 인열부의 외부 표면에는 복권부의 유효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복권부의 유효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열부의 외부 표면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 포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부는 인열 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 포장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권부의 유효 영역은 상기 인열부의 외부 표면의 일부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 포장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권부의 유효 영역은 상기 인열부의 외부 표면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 포장 장치.
KR2020200003456U 2019-09-23 2020-09-22 접착 부재 및 이의 어셈블리, 위조 방지 포장 장치 KR2004958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1579150.7 2019-09-23
CN201921579150.7U CN210942935U (zh) 2019-09-23 2019-09-23 粘附件及其组件、防伪包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27U true KR20210000727U (ko) 2021-03-31
KR200495806Y1 KR200495806Y1 (ko) 2022-08-24

Family

ID=7137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456U KR200495806Y1 (ko) 2019-09-23 2020-09-22 접착 부재 및 이의 어셈블리, 위조 방지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229631U (ko)
KR (1) KR200495806Y1 (ko)
CN (1) CN210942935U (ko)
SG (1) SG10202009231PA (ko)
TW (1) TWM617993U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137A (ko) * 1982-01-23 1983-03-25 군너칼슨 상품 포장 방법
JPH071666Y2 (ja) * 1986-10-30 1995-01-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シールくじ
KR970054672U (ko) * 1996-03-29 1997-10-13 전자제품용 포장용기
KR19990035293U (ko) * 1999-06-11 1999-09-06 차영길 스티커식즉석복권
JP2015000483A (ja) * 2013-06-13 2015-01-05 凸版印刷株式会社 くじ付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137A (ko) * 1982-01-23 1983-03-25 군너칼슨 상품 포장 방법
JPH071666Y2 (ja) * 1986-10-30 1995-01-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シールくじ
KR970054672U (ko) * 1996-03-29 1997-10-13 전자제품용 포장용기
KR19990035293U (ko) * 1999-06-11 1999-09-06 차영길 스티커식즉석복권
JP2015000483A (ja) * 2013-06-13 2015-01-05 凸版印刷株式会社 くじ付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29631U (ja) 2020-12-17
SG10202009231PA (en) 2021-04-29
CN210942935U (zh) 2020-07-07
KR200495806Y1 (ko) 2022-08-24
TWM617993U (zh) 202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5075A (en) Security label
US10565486B2 (en) Tamper evident secure pack with anchored card carrier
JP2006341858A (ja) 包装商品に対するicタグの装着方法
AU2017380319B2 (en) Anti-counterfeit container
JP2005216054A (ja) 貼り換え防止用icラベル
KR200496298Y1 (ko) 상품 위조 방지용 포장 장치
KR20210000727U (ko) 접착 부재 및 이의 어셈블리, 위조 방지 포장 장치
KR100989183B1 (ko) 정품인증라벨
US9676533B2 (en) Tamper-evident packag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2084156B1 (ko) 인증용 인쇄물 은폐 기능이 구비된 다층 라벨
GB2506429A (en) Window arrangement for a packaged product
RU11247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товара от подделки
JP2005212811A (ja) ブリスター包装体
CN216469678U (zh) 彩票组件和包装装置
RU247753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товара от подделки
CN216469487U (zh) 彩票组件和包装装置
CN212135791U (zh) 一种新型防伪标签
CN213958414U (zh) 一种易碎防伪标签
CN210271498U (zh) 一种揭开式电子防伪标
JP4601986B2 (ja) Ptp包装体
JP7185455B2 (ja) 情報秘匿ラベル
JP6798864B2 (ja) 不正防止構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ラベル、並びに不正防止方法
JPH10301495A (ja) 封印用シール
US20120312817A1 (en) Box with two tearing stages for receiving an element
WO2016160050A1 (en) Tamper-evident package and method for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