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714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714A
KR20210000714A KR1020200184759A KR20200184759A KR20210000714A KR 20210000714 A KR20210000714 A KR 20210000714A KR 1020200184759 A KR1020200184759 A KR 1020200184759A KR 20200184759 A KR20200184759 A KR 20200184759A KR 20210000714 A KR20210000714 A KR 20210000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riven protrusion
coupler
washing machine
connection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982B1 (ko
Inventor
표준호
이정욱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7283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17539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4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9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7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by clamping together two faces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e.g. with bolted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8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물이 담기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 내에서 탈수축에 의해 회전되는 세탁조와,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세탁조 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탈수축과 스플라인 결합되고, 접속위치에서 상기 구동축과 상기 탈수축을 축이음(접속)하고, 상기 접속위치로부터 상승된 접속해제위치에서는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분리되는 커플러와, 전류가 인가될 시 자기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커플러를 지지하고 축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에 의해 상승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피동 돌기를 구비한 클러치와, 상기 커플러가 상기 접속위치에 있을 시, 상기 클러치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상기 피동 돌기의 하단을 지지하는 서포트 면이,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접속위치에 있을 시에는 상기 간격 내에 상기 피동 돌기가 위치되는 클러치 서포터와, 상기 서포트 면의 상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접속위치로부터 상기 접속해제위치로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피동 돌기의 상단과 간섭되어, 상기 피동 돌기를 상기 서포트 면과 대응하는 위치로 선회시키는 가이드 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축과 탈수축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클러치 시스템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하며, 세탁축과 탈수축을 선택적으로 접속(또는, 축이음) 또는 접속해제(또는, 축이음 해제)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세탁기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특2003-0023316(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은, 탈수축과 세레이션 결합된 슬라이더가 솔레노이드의 흡인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세탁 모터의 로터에 형성된 구동구(驅動具)와 분리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로터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계속하여 전류를 인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첫째, 구동축과 탈수축의 접속(또는, 접속해제)시에만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여도 접속(또는, 접속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동축과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탈수축을 서로 접속하는 클러칭 시스템을 단순화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부품수를 줄이고, 종래에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작동에 쓰이던 별도의 모터와 이와 연동하는 제반 구성들을 삭제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탈수축과 스플라인 결합된 커플러가, 접속위치에서 구동축과 상기 탈수축을 축이음하고, 상기 접속위치로부터 상승된 접속해제위치에서는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분리된다.
전류가 인가될 시 자기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가 구비된다. 상기 커플러를 지지하는 클러치가 축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의 자기장에 의해 상승된다.
상기 커플러가 상기 접속위치에 있을 시, 상기 클러치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상기 피동 돌기의 하단을 지지하는 서포트 면이 형성된 클러치 서포터가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면은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접속위치에 있을 시에는 상기 간격 내에 상기 피동 돌기가 위치된다.
상기 서포트 면의 상측에는 가이드 면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접속위치로부터 상기 접속해제위치로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면이 상기 피동 돌기의 상단과 간섭되어, 상기 피동 돌기를 상기 서포트 면과 대응하는 위치로 선회시킨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외주면에 코일이 권취된 보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면은, 상기 보빈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의 저면과의 사이에 상기 탈수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어링 하우징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클러치 서포터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포트 면은 각각, 상기 피동 돌기가 선회되는 방향으로 점점 하강하는 제 1 하강 경사면과, 상기 하강 경사면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동 돌기의 선회 동작을 제한하는 제 1 선회 제한면과, 상기 선회 의 상단에서 상기 피동 돌기가 선회되는 방향으로 점점 하강하는 제 2 하강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동 돌기의 하단에는,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접속위치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하강 경사면과 면접촉되는 하단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면은, 상기 피동 돌기의 상단과 접촉되고, 상기 피동 돌기의 선회방향으로 점점 상승하는 상승 경사면과, 상기 상승 경사면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동 돌기의 선회 동작을 제한하는 제 2 선회 제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구동축과 탈수축의 접속 또는, 접속해제가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지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종래에 클러치 시스템의 작동에 쓰이던 별도의 모터와 이와 연동하는 제반 구성들이 삭제됨으로써 제품의 제조 비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로터 허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커플러가 접속해제위치로 상승된 상태에서의 외관도, (b)는 그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커플러가 접속위치로 하강된 상태에서의 외관도, (b)는 그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클러치의 동작을 차례로 도시한 것으로, (a)는 클러치가 하강된 상태, (b)는 클러치가 상승되어 피동 돌기의 상단이 가이드 면과 맞닿은 상태, (c)는 피동 돌기의 상단이 가이드 면을 따라 안내되며 클러치가 선회된 상태, (d)는 클러치가 하강되어 피동 돌기의 하단이 서포트 면의 제 1 하강 경사면과 맞닿은 상태, (e)는 피동 돌기의 하단이 서포트 면을 따라 안내되며 클러치가 선회된 상태, (f)는 클러치가 다시 상승되어 피동 돌기의 상단이 가이드 면과 맞닿은 상태, (g)는 피동 돌기의 상단이 가이드 면을 따라 안내되며 클러치가 선회된 상태, (h)는 클러치가 다시 하강되어 피동 돌기의 하단이 제 2 하강 경사면과 맞닿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로터 허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커플러가 접속해제위치로 상승된 상태에서의 외관도, (b)는 그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커플러가 접속위치로 하강된 상태에서의 외관도, (b)는 그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클러치의 동작을 차례로 도시한 것으로, (a)는 클러치가 하강된 상태, (b)는 클러치가 상승되어 피동 돌기의 상단이 가이드 면과 맞닿은 상태, (c)는 피동 돌기의 상단이 가이드 면을 따라 안내되며 클러치가 선회된 상태, (d)는 클러치가 하강되어 피동 돌기의 하단이 서포트 면의 제 1 하강 경사면과 맞닿은 상태, (e)는 피동 돌기의 하단이 서포트 면을 따라 안내되며 클러치가 선회된 상태, (f)는 클러치가 다시 상승되어 피동 돌기의 상단이 가이드 면과 맞닿은 상태, (g)는 피동 돌기의 상단이 가이드 면을 따라 안내되며 클러치가 선회된 상태, (h)는 클러치가 다시 하강되어 피동 돌기의 하단이 제 2 하강 경사면과 맞닿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싱(1)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저수조(3)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싱(1)은 상면이 개구된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고, 대략 중앙부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탑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탑커버(12)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4)은 탑커버(12)에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4)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의 작동 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예를 들어, 버튼, 다이얼, 터치패드 등)와, 세탁기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예를 들어, LCD, LED 디스플레이 등)가 구비될 수 있다.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내하는 급수관(7)과, 급수관(7)을 단속하는 급수밸브(8)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밸브(8)는 제어부(17)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7)는 급수밸브(8) 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탁기를 구성하는 전기/전자 부품들에 대한 제어는 제어부(17)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탑커버(12)에는 세제가 담기는 드로워(18)가 인출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다. 급수밸브(8)를 통해 공급된 물이 드로워(18)를 경유하면서 세제와 혼합된 후, 저수조(3) 또는 세탁조(4) 내로 배출된다.
저수조(3)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21)과, 배출관(21)을 단속하는 배수밸브(22)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관(21)을 통해 배출된 물이 배수 펌프(24)에 의해 압송되어 배수관(25)을 통해 세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탁조(4)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저수조(3) 내에서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세탁조(4) 내에는 펄세이터(5)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5)는 펄세이터축(31)과 연결된다. 저수조(3)와 세탁조(4) 간에 물이 교류될 수 있도록, 세탁조(4)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축(6a)은 펄세이터(5)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6)에 의해 회전된다. 구동축(6a)은 모터(6)의 로터(63)와 연결된다. 구동축(6a)은 펄세이터(5)와 직결될 수 있으나(즉, 구동축과 펄세이터의 회전비가 1:1), 이에 한하지 않고, 구동축(6a)의 출력을 정해진 속도비 또는 토크비로 변환하여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유성기어열(미도시, Planetary Geartrains)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탈수축(9)은 세탁조(2)와 연결되는 것으로, 구동축(4)이 통과하는 중공(9h)이 형성된 관상의 형태이다. 세탁조(2)의 하측에는, 세탁조(2)의 바닥과 결합되는 허브 베이스(1815)가 구비될 수 있다. 탈수축(9)은 허브 베이스(1815)와 결합될 수 있다.
저수조(1)의 하측에는 베어링 하우징(16)이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6)은 저수조(1)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6) 내에는 탈수축(9)을 지지하는 베어링(19)이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6)은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저수조(3)의 저면에 결합되어, 저수조(3)의 저면과의 사이에 베어링(19)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베어링 하우징(16)의 바닥에는 탈수축(9)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모터(6)는 아웃터 로터(outer rotor) 타입의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 일 수 있다. 다만, 모터(6)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터(6)는 인너 로터(inner rotor) 타입인 것도 가능하고, 인덕션 모터(induction motor), 세이드형 모터(shaded pole motor) 등의 AC 모터도 가능하며, 그 밖에도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6)는 스테이터 코어(61a)에 스테이터 코일(61b)이 감긴 스테이터(61)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영구자석(62)을 고정하는 로터 프레임(63)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 프레임(63)의 중심부를 구동축(6a)과 연결하는 로터 허브(6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수개의 영구자석(62)과 스테이터(61)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로터 프레임(63)이 회전되고, 구동축(6a)도 함께 회전된다.
한편, 로터 허브(65)는, 구동축(6a)과 결합되는 로터 부시(65a)와, 로터 부시(65a)를 로터 프레임(63)의 중심부에 결합하는 결합 플랜지(65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플랜지(65b)는 로터 부시(65a)가 삽입되는 관상의 플랜지 본체부(65b1)와 플랜지 본체부(65b1)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어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로터 프레임(63)과 결합되는 플랜지부(65b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플랜지 본체부(65b1)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커플러(40)와 맞물리는 치합홈(65b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40)는 탈수축(9)과 스플라인 결합된다. 여기서, 스플라인 결합이란, 탈수축(9)과 커플러(40) 중 어느 하나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치(tooth) 또는 키(key)와 같은 스플라인 돌기(41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스플라인 돌기(41a)와 치합되는 스플라인 홈(9a, 도 4, 도 5 참조.)이 형성되어, 스플라인 돌기(41a)와 스플라인 홈(9a)이 서로 맞물리는 것을 의미한다. 스플라인 돌기(41a)의 단면이 삼각형인 경우, 이를 세레이션(serration)이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스플라인 홈(9a)과 스플라인 돌기(41a) 간의 맞물림에 의해 커플러(40)가 회전될 시 탈수축(9)도 함께 회전된다.
스플라인 홈(9a)과 스플라인 돌기(41a) 간의 맞물림(또는, 치합)은 커플러(40)의 승강(또는,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기도 하다. 커플러(40)는 접속위치(도 5 참조.)에서 구동축(6a)과 탈수축(9)을 축이음(접속)하고, 상기 접속위치로부터 상승된 접속해제위치(도 6 참조.)에서는 구동축(6a)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은 커플러(40)의 상기 접속위치로부터 상기 접속해제 위치로의 상승은, 솔레노이드(50)와 클러치(플런저(plunger), 또는 코어(core))에 의해 이루어진다. 클러치(9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탈수축(9)에 끼워질 수 있다. 커플러(40)는 클러치(90)에 의해 지지되며, 따라서, 클러치(90)의 승강 동작에 따라 커플러(40)도 함께 이동(승강)된다.
전류가 인가될 시 자기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50)가 구비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50)는 후술하는 클러치 서포터(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50)는 외주면에 코일(미도시)이 권취된 보빈(5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51)에는 탈수축(9)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이 보빈(51)의 외둘레에 권취된다.
상기 코일은 난연(難燃) 재질의 수지(55)로 감싸질 수 있다. 보빈(51)은 상기 코일이 감기는 원통형의 보빈 본체부(511)와 보빈 본체부(511)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된 상판부(512)와, 보빈 본체부(51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하판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90)는 커플러(40)를 지지하고 축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솔레노이드(5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승된다. 클러치(9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피동 돌기(81)를 구비한다. 피동 돌기(81)는 클러치(90)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클러치(90)는 관상(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탈수축(9)에 끼워지는 접극자(70)와, 접극자(70)의 외측에 고정되어, 접극자(70)와 함께 이동되는 원통형의 클러칭 작동체(80)를 포함할 수 있다.
접극자(70)는 강자성체(强磁性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극자(70)는 원통형의 코어 측벽부(71)와, 코어 측벽부(71)의 하단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된 서포트 림(72)을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40)는 서포트 림(7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커플러(40)는 내주면에 스플라인 홈(9a)이 형성된 관상의 커플러 본체(41)와, 커플러 본체(41)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환형의 걸림리브(42)와, 걸림리브(42)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커플러 본체(41)의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리브(42)의 하단이 접극자(70)의 서포트 림(72)에 안착(또는, 지지)될 수 있다. 커플러(40)가 상기 접속위치있을 시, 치(41a)들이 결합 플랜지(65b)의 치합홈(65b3)들과 맞물릴 수 있다.
클러칭 작동체(80)는 원통형의 작동체 본체(82)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피동 돌기(81)는 작동체 본체(8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작동체 본체(8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스토퍼(8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커플러(40)가 상기 접속위치에 있을 시, 클러치(90)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피동 돌기(81)의 하단을 지지하는 서포트 면(310)이 형성된 클러치 서포터(30)가 구비된다. 서포트 면(310)은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가 형성된다. 커플러(40)가 상기 접속위치에 있을 시, 피동 돌기(81)는 상기 간격 내에 위치한다. (도 6의 (a) 참조.)
클러치 서포터(30)는 베어링 하우징(16)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클러치 서포터(30)는 클러치(90)의 둘레를 감싸는 원통형의 서포터 본체(32)와, 서포터 본체(32)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링형의 서포터 플랜지(33)와, 서포터 본체(32)의 하단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고 대략 중앙에 탈수축(9)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링형의 서포터 베이스(34)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 베이스(34)의 상기 개구부 둘레에, 다수개의 서포트 리브(31)가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서포트 면(310)은 서포트 리브(31)에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면(310)은 제 1 하강 경사면(311), 제 1 선회 제한면(312), 제 2 하강 경사면(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강 경사면(311)은 피동 돌기(81)가 선회되는 방향(D)으로 점점 하강될 수 있다. 제 1 선회 제한면(312)은 제 1 하강 경사면(311)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선회 제한면(312)은, 바람직하게는, 제 1 하강 경사면(311)의 하단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하강 경사면(313)은 제 1 선회 제한면(312)의 상단에서 피동 돌기(81)가 선회되는 방향(D)으로 점점 하강될 수 있다.
피동 돌기(81)의 하단에는, 클러치(90)가 상기 접속위치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제 1 하강 경사면(311)과 면접촉되는 하단 접촉면(81a)이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면(310)의 상측에는 가이드 면(52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면(520)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클러치(90)가 상기 접속위치로부터 상기 접속해제위치로 상승되는 과정에서, 피동 돌기(81)의 상단이 가이드 면(520)과 간섭되어 피동 돌기(81)를 서포트 면(310)과 대응하는 위치로 선회시킨다. 가이드 면(520)은 보빈(5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면(520)은 상승 경사면(521)과 제 2 선회 제한면(5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승 경사면(521)은 피동 돌기(81)의 상단과 접촉되고, 피동 돌기(81)의 선회방향(D)으로 점점 상승할 수 있다.
제 2 선회 제한면(522)은 상승 경사면(521)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피동 돌기(81)의 선회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제 2 선회 제한면(522)은, 바람직하게는, 상승 경사면(521)의 상단으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연장된다.
피동 돌기(81)의 상단에는, 클러치(90)가 상기 접속위치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승 경사면(521)과 면접촉되는 상단 접촉면(8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클러치(90)의 동작을 설명한다.
클러치(90)가 접속위치(도 6의 (a) 참조.)에 있을 시, 피동 돌기(81)는 서포트 리브(또는, 서포트 면(310))들 사이의 간격 내에 위치한다. 이때, 클러칭 작동체(80)에 형성된 스토퍼(83)는 하측에 있는 서포트 리브(31)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되어, 클러치(90)가 더 이상 하강되지는 못한다. 상기 접속위치에서는 커플러(40)와 로터 허브(65)는 서로 맞물려(또는, 치합)되어 있어 구동축(6a)과 탈수축(9)이 축이음되며, 따라서, 모터(6)가 동작될 시 펄세이터(5)와 세탁조(4)가 함께 회전된다.
제어부(17)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50)의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접극자(70)가 상승되고, 따라서, 클러칭 작동체(80)도 함께 상승된다. 이렇게 클러칭 작동체(80)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피동 돌기(81)의 상단이 제 1 가이드 면(520(1))의 상승 경사면(521)과 맞닿게 되고(도 6의 (b) 참조.), 피동 돌기(81)의 상단이 상승 경사면(521)을 따라 습동(또는, 슬라이딩)되고, 이러한 습동은 피동 돌기(81)가 제 2 선회 제한면(522)과 맞닿아 더 이상 클러칭 작동체(80)가 선회되지 못할때까지 이루어지고, 이때, 피동 돌기(81)는 서포트 면(31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도 6의 (c) 참조.)
이후, 제어부(17)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50)의 코일에 인가되던 전류가 차단되면, 접극자(70)와 함께 클러칭 작동체(80)가 함께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하강 과정에서 피동 돌기(81)의 하단이 제 1 하강 경사면(311)과 맞닿게 된다.(도 6의 (d) 참조.)
피동 돌기(81)의 하단이 제 1 하강 경사면(311)을 따라 습동(또는, 슬라이딩)되고, 이러한 습동은 피동 돌기(81)가 제 1 선회 제한면(312)과 맞닿아 더 이상 클러칭 작동체(80)가 선회되지 못할때까지 이루어지고, 이때, 피동 돌기(81)는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하강 경사면(311)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이 때의 클러치(90)의 위치가 접속해제위치이다. (도 6의 (e) 참조.) 클러치(90)가 상기 접속해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하강 경사면(311)에 의해 지지되어 위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제어부(17)는 솔레노이드(50)의 코일에 인가되던 전류가 차단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접속해제위치에서는, 커플러(40)가 로터 허브(65)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모터(6)가 동작할 시 구동축(6a)에 의해 펄세이터(5)만 회전된다.
제어부(17)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50)의 코일에 다시 전류가 인가되면, 접극자(70)가 상승되고, 따라서, 클러칭 작동체(80)도 함께 상승된다. 이렇게 클러칭 작동체(80)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피동 돌기(81)의 상단이 이번에는 제 2 가이드 면(520(2))의 상승 경사면(521)과 맞닿게 되고(도 6의 (f) 참조.), 피동 돌기(81)의 상단이 상승 경사면(521)을 따라 습동(또는, 슬라이딩)되고, 이러한 습동은 피동 돌기(81)가 제 2 선회 제한면(522)과 맞닿아 더 이상 클러칭 작동체(80)가 선회되지 못할때까지 이루어진다. (도 6의 (g) 참조.)
이후, 제어부(17)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50)의 코일에 인가되던 전류가 차단되면, 접극자(70)와 함께 클러칭 작동체(80)가 함께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하강 과정에서 피동 돌기(81)의 하단이 제 2 하강 경사면(313)과 맞닿게 된다.(도 6의 (h) 참조.) 피동 돌기(81)의 하단이 제 2 하강 경사면(313)을 따라 습동되어 클러치(90)가 선회되고, 피동 돌기(81)의 하단이 제 2 하강 경사면(313)의 하단을 지나 간격(g)에 이르면 클러치(90)가 접속위치(도 6의 (a) 참조.)로 복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 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물이 담기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서 탈수축에 의해 회전되는 세탁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세탁조 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펄세이터;
    상기 탈수축과 스플라인 결합되고, 접속위치에서 상기 구동축과 상기 탈수축을 축이음(접속)하고, 상기 접속위치로부터 상승된 접속해제위치에서는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분리되는 커플러;
    전류가 인가될 시 자기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상기 커플러를 지지하고 축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에 의해 상승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피동 돌기를 구비한 클러치;
    상기 커플러가 상기 접속위치에 있을 시, 상기 클러치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상기 피동 돌기의 하단을 지지하는 서포트 면이,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접속위치에 있을 시에는 상기 간격 내에 상기 피동 돌기가 위치되는 클러치 서포터; 및
    상기 서포트 면의 상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접속위치로부터 상기 접속해제위치로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피동 돌기의 상단과 간섭되어, 상기 피동 돌기를 상기 서포트 면과 대응하는 위치로 선회시키는 가이드 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면은 상기 솔레노이드의 내주 형성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외주면에 코일이 권취된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면은,
    상기 보빈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저면과의 사이에 상기 탈수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어링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서포터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포트 면은 각각,
    상기 피동 돌기가 선회되는 방향으로 점점 하강하는 제 1 하강 경사면;
    상기 하강 경사면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동 돌기의 선회 동작을 제한하는 제 1 선회 제한면; 및
    상기 선회 의 상단에서 상기 피동 돌기가 선회되는 방향으로 점점 하강하는 제 2 하강 경사면을 포함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돌기의 하단에는,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접속위치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하강 경사면과 면접촉되는 하단 접촉면이 형성되는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면은,
    상기 피동 돌기의 상단과 접촉되고, 상기 피동 돌기의 선회방향으로 점점 상승하는 상승 경사면; 및
    상기 상승 경사면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동 돌기의 선회 동작을 제한하는 제 2 선회 제한면을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200184759A 2018-12-28 2020-12-28 세탁기 KR102339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59A KR102339982B1 (ko) 2018-12-28 2020-12-28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837A KR102217539B1 (ko) 2018-12-28 2018-12-28 세탁기
KR1020200184759A KR102339982B1 (ko) 2018-12-28 2020-12-28 세탁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837A Division KR102217539B1 (ko) 2018-12-28 2018-12-28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14A true KR20210000714A (ko) 2021-01-05
KR102339982B1 KR102339982B1 (ko) 2021-12-15

Family

ID=7886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759A KR102339982B1 (ko) 2018-12-28 2020-12-28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9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012B1 (ko) * 2017-01-10 201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012B1 (ko) * 2017-01-10 201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982B1 (ko)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539B1 (ko) 세탁기
US11299844B2 (en) Washing machine
KR20210000714A (ko) 세탁기
US11603620B2 (en) Washing machine
KR102198186B1 (ko) 세탁기
KR102454765B1 (ko) 세탁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11293129B2 (en) Washing machine
EP3683346B1 (en) Washing machine
AU2020264416B2 (en) Washing machine
AU2020264411B2 (en) Washing machine
US12018425B2 (en) Washing machine
KR102292256B1 (ko) 세탁기
AU2020264415B2 (en) Washing machine
KR102099131B1 (ko) 세탁기
KR20210082810A (ko) 세탁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54814A (ko) 세탁기
KR20190050222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