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446U -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 Google Patents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446U
KR20210000446U KR2020200004092U KR20200004092U KR20210000446U KR 20210000446 U KR20210000446 U KR 20210000446U KR 2020200004092 U KR2020200004092 U KR 2020200004092U KR 20200004092 U KR20200004092 U KR 20200004092U KR 20210000446 U KR20210000446 U KR 202100004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enter
circulation hole
cornea
corn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960Y1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이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훈 filed Critical 이정훈
Priority to KR2020200004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96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4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446U/ko
Priority to KR2020210002081U priority patent/KR202100015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960Y1/ko
Priority to KR2020230000810U priority patent/KR202300009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7Contact lens fitting; Contact lenses fo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for specially shaped cornea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4Annular configuration, e.g. pupil tun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는 렌즈의 중심에 위치하고, 각막을 가압하여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중심부; 상기 렌즈와 상기 각막 사이에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중심부로부터 이동한 상피 세포들을 쌓아 두는 피팅부; 상기 렌즈의 중심이 상기 각막의 중심에 오도록 상기 렌즈를 정렬시키고, 안구와 접촉하는 고정부; 상기 렌즈 및 상기 안구 사이의 눈물이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주변부; 및 상기 중심부를 관통하는 순환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막굴절교정용 렌즈{ORTHOKERATO LENS}
아래의 설명은 각막굴절교정용 렌즈에 관한 것이다.
비수술적 시력교정술로써 사용되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Orthokerato lens)의 시력교정원리는, 근시의 원인이 되는 망막과 각막 정점의 거리를 줄이기 위해 렌즈로 각막을 눌러주어 각막의 일정 부분을 평평하게 하여 망막에 상이 맺히도록 하는 것이다.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면, 수면하는 동안 각막의 일부가 가압되어 각막의 굴절률이 변화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근시가 일시적으로 해소되어 망막에 상이 맺힐 수 있다. 다만, 저산소성 각막염으로 인한 통증 또는 각막 부종과 같은 각막굴절교정용 렌즈의 부작용에 주의하여야 하는데, 특히 각막굴절교정용 렌즈의 유착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수면 중 눈을 감았을 때, 각막 주변부 혈관에서 유리된 산소에 의하여 산소가 공급된다. 유리된 산소는 눈물을 통해서 각막 전체로 퍼지게 된다. 눈물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각막굴절교정용 렌즈가 유착되어, 저산소증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도 근시인 경우, 각막굴절교정용 렌즈의 유착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도 근시의 각막은, 렌즈의 피팅부(리버스 커브, Reverse curve)로 상피의 이동량이 많아지면서 렌즈가 틀에 끼이는 듯한 현상이 발생하여 렌즈 유착이 유발된다. 또한 건조증이 심한 경우, 눈물의 윤활 작용이 줄어들면서 렌즈의 움직임이 줄어 들어 렌즈의 유착이 생긴다. 따라서, 각막굴절교정용 렌즈와 관련된 기술에 있어서 유착에 따른 부작용 방지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이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렌즈의 개발이 요구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는, 렌즈의 중심에 위치하고, 각막을 가압하여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중심부; 상기 렌즈와 상기 각막 사이에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중심부로부터 이동한 상피 세포들을 쌓아 두는 피팅부; 상기 렌즈의 중심이 상기 각막의 중심에 오도록 상기 렌즈를 정렬시키고, 안구와 접촉하는 고정부; 상기 렌즈 및 상기 안구 사이의 눈물이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주변부; 및 상기 중심부를 관통하는 순환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및 상기 안구 사이에서, 상기 순환공 및 상기 주변부를 통하여 눈물이 순환하는 순환 경로가 다원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공은 상기 중심부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공은,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순환공은,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순환공은,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직경이 일정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순환공은 상기 중심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 개가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공은,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제 1 순환공; 및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 2 순환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팅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주변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는, 렌즈의 중심에 위치하고, 각막을 가압하여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중심부; 상기 렌즈와 상기 각막 사이에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중심부로부터 이동한 상피 세포들을 쌓아 두는 피팅부; 상기 렌즈의 중심이 상기 각막의 중심에 오도록 상기 렌즈를 정렬시키고, 안구와 접촉하는 고정부; 상기 렌즈를 기준으로, 상기 피팅부의 곡률 중심 및 상기 중심부의 곡률 중심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곡률 중심을 갖고, 상기 고정부의 곡률 반경보다 더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주변부; 및 상기 중심부를 관통하는 순환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는, 상기 렌즈 및 상기 안구 사이에서, 상기 순환공 및 상기 주변부를 통하여 눈물이 순환하는 순환 경로가 다원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공은,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순환공은,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순환공은,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직경이 일정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5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1)는 안구에 장착되어 근시를 교정하는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막굴절교정용 렌즈(1)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면할 경우, 수면 중에 근시가 교정되어 낮시간이나 활동하는 동안 렌즈를 탈착하여도 시력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각막굴절교정용 렌즈(1)는 중심부(11), 피팅부(12), 고정부(13), 주변부(14) 및 순환공(15)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11)는 렌즈(1)의 중심에 위치하고, 각막을 가압하여 각막상피의 이동을 만듦으로써, 굴절률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부(11)는 각막을 평평하게 할 수 있도록 렌즈(1)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큰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중심부(11)의 곡률 반경은 사용자의 각막 형상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곡률 반경이란, 렌즈(1)의 내면, 즉, 렌즈(1) 중 각막을 바라보는 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하는 것이며, 렌즈(1)의 외면의 곡률 반경은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렌즈(1)의 외면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피팅부(12)는 렌즈(1)와 각막 사이에 음압을 형성하여, 렌즈(1)가 각막으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피팅부(12)는 중심부(11)에 의해 밀린 각막 상피층을 두텁게 쌓아 두는 작용을 하여 전체적으로 중심부의 각막모양을 편평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피팅부(12)는 중심부(11)를 둘러싸고, 중심부(11)의 곡률 반경보다 더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피팅부(12)와 각막은 접촉하지 않고,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공간 내부에는 음압이 형성되어, 렌즈(1)가 각막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고정부(13)는 렌즈의 중심이 각막의 중심에 오도록 렌즈를 정렬시키고, 안구와 접촉할 수 있다. 고정부(13)는 불안정한 렌즈(1)의 움직임을 안정시키기 위해 렌즈(1) 중 각막주변부에 적절한 힘으로 닿아 있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고정부(13)는 인접한 다른 부분, 즉, 중심부(11) 및 피팅부(12)와 다른 곡률을 가짐으로써, 중심잡기(centration)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고정부(13)는 피팅부(12)를 둘러싸고, 렌즈(1)를 기준으로 피팅부(12) 및 중심부(11)의 곡률 중심과 반대측에 곡률 중심이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14)는 렌즈 및 안구 사이의 눈물이 순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주변부(14)는 렌즈(1)의 외측 단부로써, 렌즈(1)를 착용시 각막으로부터 약간 들려 있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눈물의 순환을 도와주며, 렌즈(1)가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도와주며, 착용감을 좋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주변부(14)는 고정부(13)를 둘러싸고, 고정부(13)로부터 멀어질수록 각막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주변부(14)는 렌즈(1)를 기준으로 피팅부(12) 및 중심부(11)의 곡률 중심과 반대측에 곡률 중심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13)보다 더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고정부(13)와 각막 사이를 유동하는 눈물이 렌즈(1) 밖으로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순환공(15)은 중심부(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순환공(15)은, 렌즈(1)와 각막 사이의 공간으로 눈물이 원활하게 유입되거나 유출되게 함으로써, 렌즈(1)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공(15)의 내측 단부 및/또는 외측 단부는 테이퍼 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순환공(15)의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눈물의 순환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공(15)은 도 1 및 도 4 등에 도시된 것처럼, 렌즈(1)의 외면으로부터 렌즈(1)의 내면을 향하여 직경이 일정한 형상을 가지거나, 도 2, 도 3 및 도 5 등에 도시된 것처럼, 렌즈(1)의 외면으로부터 렌즈(1)의 내면을 향하여 가면서 직경을 달리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자별로, 근시의 정도나 안구의 건조한 정도에 따라 순환공(15)의 직경을 달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 순환공(15)은, 도 1 내지 도 3처럼 중심부(11)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순환공(15)은, 피팅부(12)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피팅부(12)에서 형성되는 음압이 감소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공(15)은, 중심부(11)의 전체 영역 중에 1개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중심부(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피팅부(12), 고정부(13) 및 주변부(14)에는 순환공(15)을 비롯한 어떠한 구멍도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피팅부(12)를 통해 형성되는 음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함으로써, 렌즈(1)가 각막으로부터 이탈하고 각막을 평편하게 하는 힘이 감소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렌즈(1)에 의하면, 피팅부(12)가 충분히 높은 음압을 형성할 수 있고, 중심부(11)가 각막에 높은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순환공(15)을 통해 눈물이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는 시도하지 못하였던 고도 근시의 환자에도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2 실시 예에 따른 렌즈(2)는, 중심부(21), 피팅부(22), 고정부(23), 주변부(24) 및 순환공(25)을 포함할 수 있다.
순환공(25)은, 렌즈(2)의 외면으로부터 렌즈(2)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공(25)은,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순환공(25)의 형상에 의하면, 렌즈(2)의 외면 중앙측에서 유동하는 눈물이 순환공(25)을 통하여 렌즈(2)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눈물은 순환공(25)을 통하여 렌즈(2)의 내부로 유입되고, 주변부(24)에 의하여 렌즈(2)의 외부로 유출되며 순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공(25)의 최소 직경 및/또는 최대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눈물이 순환하는 속도 및 순환량이 조절될 수 있다. 환자별로, 근시의 정도나 안구의 건조한 정도에 따라 순환공(25)의 직경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3 실시 예에 따른 렌즈(3)는, 중심부(31), 피팅부(22), 고정부(23), 주변부(24) 및 순환공(25)을 포함할 수 있다.
순환공(35)은, 렌즈(3)의 외면으로부터 렌즈(3)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성을 가질 수 있다. 순환공(35)의 형상에 의하면, 각막과 렌즈(3) 사이에서 유동하는 눈물이 순환공(35)을 통하여 렌즈(3)의 외면으로 유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주변부(24)에 의하여 렌즈(2)의 내부로 유입된 눈물은 순환공(35)을 통하여 렌즈(2)의 외부로 유출되며 순환할 수 있다.
도 4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4 실시 예에 따른 렌즈(4)는, 중심부(41), 피팅부(42), 고정부(43), 주변부(44) 및 복수 개의 순환공(4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순환공(45)은 중심부(41)에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순환공(45)은, 중심부(41)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총 4개의 순환공(45)이 중심부(41)의 중심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순환공(45)의 개수 및 간격이 반드시 이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중심부(4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서 눈물의 순환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고, 렌즈(4)의 전 영역에서 눈물이 균일하게 흐르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 5는 제 5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5 실시 예에 따른 렌즈(5)는, 중심부(51), 피팅부(52), 고정부(53), 주변부(54) 및 복수 개의 순환공(55a, 55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순환공(55a, 55b)은 렌즈(5)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 1 순환공(55a)과, 렌즈(5)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제 2 순환공(55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순환공(55b) 및 주변부(5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렌즈(5)의 외면에서 유동하는 눈물이 렌즈(2)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 1 순환공(55a) 및 주변부(5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눈물이 렌즈(2)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눈물이 순환하는 경로가 다원화되어, 눈물이 정체되는 구간을 줄일 수 있고, 저산소증과 같은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4)

  1. 렌즈의 중심에 위치하고, 각막을 가압하여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중심부;
    상기 렌즈와 상기 각막 사이에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중심부로부터 이동한 상피 세포들을 쌓아 두는 피팅부;
    상기 렌즈의 중심이 상기 각막의 중심에 오도록 상기 렌즈를 정렬시키고, 안구와 접촉하는 고정부;
    상기 렌즈 및 상기 안구 사이의 눈물이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주변부; 및
    상기 중심부를 관통하는 순환공을 포함하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및 상기 안구 사이에서, 상기 순환공 및 상기 주변부를 통하여 눈물이 순환하는 순환 경로가 다원화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공은 상기 중심부의 중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공은,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공은,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공은,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직경이 일정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공은 상기 중심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 개가 대칭으로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공은,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제 1 순환공; 및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 2 순환공을 포함하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주변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10. 렌즈의 중심에 위치하고, 각막을 가압하여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중심부;
    상기 렌즈와 상기 각막 사이에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중심부로부터 이동한 상피 세포들을 쌓아 두는 피팅부;
    상기 렌즈의 중심이 상기 각막의 중심에 오도록 상기 렌즈를 정렬시키고, 안구와 접촉하는 고정부;
    상기 렌즈를 기준으로, 상기 피팅부의 곡률 중심 및 상기 중심부의 곡률 중심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곡률 중심을 갖고, 상기 고정부의 곡률 반경보다 더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주변부; 및
    상기 중심부를 관통하는 순환공을 포함하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및 상기 안구 사이에서, 상기 순환공 및 상기 주변부를 통하여 눈물이 순환하는 순환 경로가 다원화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공은,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공은,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공은,
    상기 렌즈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내면을 향하여 직경이 일정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KR2020200004092U 2020-02-07 2020-11-12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KR200493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092U KR200493960Y1 (ko) 2020-02-07 2020-11-12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KR2020210002081U KR20210001542U (ko) 2020-11-12 2021-07-01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KR2020230000810U KR20230000933U (ko) 2020-11-12 2023-04-21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999 2020-02-07
KR2020200004092U KR200493960Y1 (ko) 2020-02-07 2020-11-12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999 Division 2020-02-07 2020-02-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081U Division KR20210001542U (ko) 2020-11-12 2021-07-01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46U true KR20210000446U (ko) 2021-02-24
KR200493960Y1 KR200493960Y1 (ko) 2021-07-08

Family

ID=7471613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092U KR200493960Y1 (ko) 2020-02-07 2020-11-12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KR2020210002081U KR20210001542U (ko) 2020-11-12 2021-07-01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KR2020230000810U KR20230000933U (ko) 2020-11-12 2023-04-21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081U KR20210001542U (ko) 2020-11-12 2021-07-01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KR2020230000810U KR20230000933U (ko) 2020-11-12 2023-04-21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049396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9990A (ja) * 1999-03-01 2000-09-14 Yasuyoshi Mihashi 中央に小孔を有するコンタクトレンズ
KR20030039973A (ko) * 2001-11-16 2003-05-22 미쯔이 이와네 근시 및/또는 난시교정용 콘택트렌즈
JP2004510199A (ja) * 2000-09-28 2004-04-02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増加した涙流のための有孔レンズ及びそのレンズの製造方法
JP2016077873A (ja) * 2014-10-10 2016-05-16 石根 三井 矯正角膜クロスリンキング用コンタクトレン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9990A (ja) * 1999-03-01 2000-09-14 Yasuyoshi Mihashi 中央に小孔を有する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4510199A (ja) * 2000-09-28 2004-04-02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増加した涙流のための有孔レンズ及びそのレンズの製造方法
KR20030039973A (ko) * 2001-11-16 2003-05-22 미쯔이 이와네 근시 및/또는 난시교정용 콘택트렌즈
JP2016077873A (ja) * 2014-10-10 2016-05-16 石根 三井 矯正角膜クロスリンキング用コンタクト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33U (ko) 2023-05-09
KR200493960Y1 (ko) 2021-07-08
KR20210001542U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9608B2 (en) Contact lenses for myopic eyes and methods of treating myopia
US10191301B2 (en) Corneal remodelling contact lenses and methods of treating refractive error using corneal remodelling
TWI688797B (zh) 用於預防及/或減緩近視加深之包含非同軸微透鏡的隱形眼鏡
US9477097B2 (en) Means for controll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US20060290883A1 (en) Scleral contact lens with grooves and method of making lens
KR20040043110A (ko) 정상방법 또는 뒤집은 방법중 하나로 착용할 수 있는소프트 콘텍트렌즈
US6695449B2 (en) Lens design to enhance vision quality
US11662606B2 (en) Orthokeratology lens and method for making orthokeratology lenses
CN109073914B (zh) 隐形眼镜及其制造方法
JP6101633B2 (ja) 色付コンタクトレンズ
CN211293489U (zh) 多焦点角膜接触镜
KR20140003482U (ko) 콘택트렌즈
CN211293490U (zh) 角膜接触镜
CN114545656B (zh) 角膜塑形镜
JP2022531745A (ja) 美容的配慮及び効能の注意事項を有するフォトクロミック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KR200493960Y1 (ko)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KR102077579B1 (ko)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KR20240000988U (ko)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CN114545659A (zh) 角膜接触镜及其设计方法
US11209670B2 (en) Method for designing edge to edge photochromic soft contact lenses
WO2020202081A1 (en) Contact lens and method to prevent myopia progression
TWI839248B (zh) 隱形眼鏡
RU2783105C1 (ru) Фотохромная мягкая контактная линза с косметическими соображениями и соображениями эффективности
US20220283449A1 (en) Contact lens
CN220154750U (zh) 一种带有仿生泪渠设计的硬性角膜接触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