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386U - Packaging of absorbent articles - Google Patents

Packaging of absorbent art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386U
KR20210000386U KR2020217000001U KR20217000001U KR20210000386U KR 20210000386 U KR20210000386 U KR 20210000386U KR 2020217000001 U KR2020217000001 U KR 2020217000001U KR 20217000001 U KR20217000001 U KR 20217000001U KR 20210000386 U KR20210000386 U KR 202100003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region
width direction
absorbent articl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70000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오코 고모리
마사시 기타가와
도시유키 다니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08171A external-priority patent/JP7133989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08172A external-priority patent/JP7133990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0817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208922A/en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03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38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A61F13/5514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each item packaged sing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47Folding; Pleating; Coiling; Stacking;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체를 전개할 때에, 본체 박리 시트를 본체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를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110)는, 윙(3)이 본체부(3)의 피부 대향면측(T1)에 절첩된 제1 접음 상태에서, 포장체의 후단 가장자리(110R)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음선(FL1)을 기점으로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며, 전단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된다. 본체 박리 시트(75)는, 본체 고정부(91)를 통해 포장 시트(100)에 접합되어 있다.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서, 포장 시트와 플랩 박리 시트가 마주보는 영역에 있어서, 포장 시트와 플랩 박리 시트를 접합하는 플랩 고정부(92)를 갖는다. 제3 접음 상태에서, 본체 고정부와 플랩 고정부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ckaging body for an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easily peeling the body release sheet from the body adhesive portion when the packaging body is unfolded. In the first folded state in which the wing 3 is fold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body portion 3, the packaging body 110 of the absorbent article has a rear edge 110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fold line FL1 is folded to the inside of the package body, and the second fold line FL2 located on the front edge side is folded to the inside of the package body. The body release sheet 75 is bonded to the packaging sheet 100 via the body fixing portion 91. In a thir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second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a flap fixing portion 92 for bonding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provided in a region where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face each other. In the third folded state, the body fixing portion and the flap fixing portion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Packaging of absorbent articles

본 발명은 포장 시트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packaging body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individually packaged by a packaging sheet.

특허문헌 1에는, 흡수성 물품을 포장 시트에 의해 개별로 포장한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은, 본체부와, 본체부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플랩부를 갖는다.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플랩부가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플랩 점착부를 덮는 플랩 박리 시트와, 본체 점착부를 덮는 본체 박리 시트와, 본체 박리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여, 흡수성 물품을 내포하는 포장 시트를 갖는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absorbent article packaging body in which an absorbent article is individually packaged with a packaging sheet. The absorbent article of Patent Document 1 has a body portion and a flap portion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body portion. The packaging body of the absorbent article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body release sheet, the flap release sheet covering the flap adhesion part, the body release sheet covering the body adhesion part, and the body release sheet in a state where the flap part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art. It has a packaging sheet that encloses the article.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플랩부가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되며,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제1 접음선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다.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포장 시트와 플랩 박리 시트가 마주보는 영역에 있어서, 포장 시트와 플랩 박리 시트가 접합되어 있다.The packaging body of the absorbent article of Patent Document 1 is folded from the first fold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is folded from the first fold line as the starting point. ,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folded from the second fold line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fold line.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are bonded to each other in a region where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face each other in a state folded with the second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제2 접음선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제3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다. 제3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포장 시트의 전단 가장자리는, 포장 시트의 제1 접음선과 제2 접음선 사이의 영역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태그 테이프에 의해 고정 접착되어 있다.The packaging body of the absorbent article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being folded with the second fold line as a starting point, and is folded with a third fold line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fold line as the starting point. In a state folded with the third fold line as a starting point, the front edge of the packaging sheet is fixedly bonded to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of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and the second fold line of the packaging sheet with a tag tape.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를 전개할 때는, 태그 테이프 등의 포장체의 전단부 부근을 잡아 흡수성 물품의 전측 부분을 전개하고, 계속해서 흡수성 물품의 전단 부분을 잡아 전개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본체 박리 시트로부터 본체 점착부를 박리함과 동시에,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박리시킨다(특허문헌 1의 단락 0046).When unfolding the packaging body of the absorbent article of Patent Document 1, the front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is unfolded by hold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ackaging body such as a tag tape, and then grasp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pulling it in the unfolding direction,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is peeled from the main body release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peeled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paragraph 0046 of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1-45608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1-45608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본체 박리 시트 및 포장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의 전개 시에 본체 박리 시트로부터 본체 점착부를 박리할 때는, 태그 테이프 등의 포장 시트의 전단부 부근을 잡고, 포장 시트를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전개 방향으로 당긴다. 그러나, 흡수성 물품의 본체 점착부는, 포장 시트가 아니라, 본체 박리 시트에 접하고 있다. 그 때문에,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박리하기 어렵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In the packaging body of the absorbent article, a body release sheet and a packaging sheet are dispos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When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is peeled from the main body release sheet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unfolded, the packaging sheet is pulled in the sprea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bsorbent article by hold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ackaging sheet such as a tag tape. However, the body adhesive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is in contact with the body release sheet, not the packaging sheet. Therefore, there was a case where it was difficult to peel the flap release sheet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그래서, 포장 시트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로서, 포장체를 전개할 때에, 본체 박리 시트를 본체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가 요구된다.Therefore, as a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individually packaged by a packaging sheet, there is a need for a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easily peeling the main body release sheet from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when the package is unfolded.

일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포장 시트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된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랩부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본체 점착부와, 상기 플랩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랩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플랩 점착부와, 상기 본체 점착부를 덮으며, 또한 상기 포장 시트와 본체 고정부를 통해 접합된 본체 박리 시트와,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랩 점착부를 덮는 플랩 박리 시트를 갖는다. 상기 포장체의 상기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인 제1 단가장자리는,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제1 접음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며, 상기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2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단가장자리와 반대측의 제2 단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된다. 상기 플랩 점착부 및 상기 플랩 박리 시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음선보다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 시트와 플랩 박리 시트가 마주보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와 상기 플랩 박리 시트를 접합하는 플랩 고정부를 갖는다. 상기 제3 접음 상태에서, 상기 본체 고정부와 상기 플랩 고정부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다.In the packaging body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bsorbent article is individually packaged by a packaging sheet. The absorbent article includes: a body adhesive portion having a body portion, a flap portion extending outward in a width direction than the body portion, and an adhesive disposed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fixing the body portion to the undergarment; A flap adhesive portion dispos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flap portion and having an adhesive for fixing the flap portion to the undergarment; a body release sheet covering the body adhesive portion and bonded through the packaging sheet and the body fix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flap release sheet is provided to cover the flap adhesive portion. The first end edge, which is an outer edge of the packag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in a first folded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fold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used as a starting point. A second fold line that is folded to the inside of an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econ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first fold line as a starting point, and is located on the second end edge side opposite to the first end edge It is folded into the inside of the package body starting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disposed on the second edge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In a thir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second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in a region where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face each other, a flap fixing portion for bonding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provided. In the third folded state, the main body fixing portion and the flap fixing portion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다른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포장 시트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 폭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플랩부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본체 점착부와, 상기 각 플랩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한쌍의 플랩 점착부와,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플랩 점착부를 덮는 플랩 박리 시트를 갖는다. 상기 포장체는,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제1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체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인 제1 단가장자리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며, 상기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2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단가장자리와 반대측의 제2 단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어 있다. 상기 플랩 점착부 및 상기 플랩 박리 시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음선보다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 시트와 플랩 박리 시트가 마주보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와 상기 플랩 박리 시트를 접합하는 플랩 고정부를 갖는다. 상기 흡수 코어는, 주위보다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이 낮은 저단위중량부를 갖는다.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제2 접음선보다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을 갖는다.A package for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s a package for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individually packaged by a packaging sheet. The absorbent article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n absorbent core; a pair of flap portions extending outwardly in a width direction than the body portion; and an adhesive that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fixes the body portion to the underwear And a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having an adhesive that is disposed on the non-skin side of each flap portion and fixes the body portion to the undergarment, and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flap release sheet covering the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The package body, in a first folded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a first folding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unit edge, which is an outer edge of the packag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a starting point. A second folded inward of the package body,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econ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first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and positioned on a second edge side opposite to the first edge It is folded into the inside of the package body from the fold line.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disposed on the second edge side of the second folding line. In a thir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second fold line as a starting point, a flap fixing portion for bonding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provided in a region where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face each other. The absorbent core has a low unit weight portion of which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ent core is lower than that of its surroundings. The low unit weight portion has a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extending in a front-rear direction on the second unit edge side than the second fold line.

또한, 다른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포장 시트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플랩부와, 상기 플랩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플랩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한쌍의 플랩 점착부와,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랩 점착부를 덮는 플랩 박리 시트를 구비한다. 상기 포장체는,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제1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체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인 제1 단가장자리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며, 상기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2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단가장자리와 반대측의 제2 단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된다. 상기 플랩 점착부 및 상기 플랩 박리 시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음선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2 단가장자리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 시트와 플랩 박리 시트가 마주보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와 상기 플랩 박리 시트를 접합하는 플랩 고정부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기립성의 샘 방지 개더를 갖는다. 상기 샘 방지 개더는, 샘 방지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기립하는 수축부와, 상기 수축부의 기립의 기점이 되는 기점부를 갖는다. 상기 기점부는, 상기 수축부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기점부를 갖는다. 상기 수축부는, 상기 제1 기점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절첩된 되접어 꺽음부를 갖는다. 상기 되접어 꺽음부는, 상기 샘 방지 탄성 부재를 가지고, 또한 상기 플랩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대하여 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되접어 꺽음부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 코어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Further, the absorbent article packaging bod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s a packaging body for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individually packaged by a packaging sheet. The absorbent article includes a body portion, a pair of flap portions extending outward in a width direction than the body portion, and a pair of adhesives disposed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flap portion, respectively, to fix the flap portion to the undergarment. A flap adhesive portion and a flap release sheet covering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The package body, in a first folded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a first folding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unit edge, which is an outer edge of the packag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a starting point. A second folded inward of the package body,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econ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first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and positioned on a second edge side opposite to the first edge The fold line is folded into the inside of the package.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disposed on the second end edg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rather than the second fold line. In a thir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second fold line as a starting point, a flap fixing portion for bonding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provided in a region where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face each other. The body portion has an absorbent core, a top sheet position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core, and an upright leak-proof gathers position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top sheet. The leakage prevention gathers have a contraction portion that rises due to contraction of the leakage prevention elastic member, and a starting point portion that serves as a starting point of the rise of the contraction portion. The starting point portion has a first starting point portion positioned outside the constricte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traction portion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the first starting point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folded back portion fold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using an inner edge of the extension portion as a starting point. The folded back portion has the leakage preventing elastic member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tand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portion in a flap reg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lap portion. The outer edge of the folded back portion is disposed outside the absorbent core in the width direction.

도 1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포장체를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포장체를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플랩부가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제1 접음 상태에 있어서의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포장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접음 상태에 있어서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포장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1A-1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흡수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에 나타내는 1B-1B 선을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기립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에 나타내는 1B-1B 선을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에 나타내는 1C-1C 선을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기립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에 나타내는 1C-1C 선을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포장 상태에 있어서의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11A-11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전개 공정 2 및 3의 포장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전개 공정 4의 포장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전개 공정 5의 포장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전개 공정 6 및 7의 포장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전개 공정 7의 포장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전개 공정 4에 있어서의 포장체(110)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13A-13A 선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3에 나타내는 13A-13A 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에 있어서의 전개 공정 4의 포장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13에 나타내는 13A-13A 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에 있어서의 전개 공정 4의 포장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13에 나타내는 13A-13A 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에 있어서의 전개 공정 4의 포장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흡수 코어의 변형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전개 공정 4에 있어서의 포장체(110)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package body in an expanded state as viewed from the side facing the ski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package body in an unfolded state as viewed from the non-skin facing surface side.
Fig. 3 is a plan view of the package body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kin-facing surface in a first folded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Fig. 4 is a plan view of the package body viewed from the side of the non-skin facing surface in a first folded stat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A-1A shown in FIG. 1.
6 is a plan view of the absorbent co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taken along line 1B-1B shown in FIG. 1 in an expanded state.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taken along line 1B-1B shown in Fig. 1 in a standing state.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taken along line 1C-1C shown in Fig. 1 in an expanded state.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taken along line 1C-1C shown in Fig. 1 in a standing stat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e body in a packaged stat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1A-11A shown in FIG. 11.
13 has shown the package body of the deployment process 2 and 3. FIG.
14 shows the package body of the development process 4.
15 shows the package of the development step 5.
16 has shown the package body of the development process 6 and 7.
Fig. 17 shows the package of the development step 7.
1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ackage body 110 in the development step 4.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3A-13A in FIG. 13.
FIG. 20 is a diagram showing the package of the unfolding step 4 in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13A-13A shown in FIG. 13.
FIG. 21 is a view showing the package of the unfolding step 4 in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13A-13A shown in FIG. 13.
FIG. 22 is a diagram showing the package of the unfolding step 4 in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13A-13A shown in FIG. 13.
2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mode of the absorbent core.
2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ackage 110 in the development step 4. FIG.

(1) 실시형태의 개요(1) Summary of embodiment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하다.At least the following matters are clear from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일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포장 시트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된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랩부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본체 점착부와, 상기 플랩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랩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플랩 점착부와, 상기 본체 점착부를 덮고, 또한 상기 포장 시트와 본체 고정부를 통해 접합된 본체 박리 시트와,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랩 점착부를 덮는 플랩 박리 시트를 갖는다. 포장체는, 상기 포장체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인 제1 단가장자리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고, 또한 상기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단가장자리와 반대측의 제2 단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된다. 상기 플랩 점착부 및 상기 플랩 박리 시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음선보다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 시트와 플랩 박리 시트가 마주보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와 상기 플랩 박리 시트를 접합하는 플랩 고정부를 갖는다. 상기 제3 접음 상태에서, 상기 본체 고정부와 상기 플랩 고정부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다.In the packaging body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bsorbent article is individually packaged by a packaging sheet. The absorbent article includes: a body adhesive portion having a body portion, a flap portion extending outward in a width direction than the body portion, and an adhesive disposed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fixing the body portion to the undergarment; A flap adhesive portion disposed on the side of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flap portion and having an adhesive for fixing the flap portion to the undergarment; a body release sheet covering the body adhesive portion and bonded through the packaging sheet and the body fixing portion; It has a flap release sheet covering the flap adhesive part in a state where the flap part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main body part. The package body is folded to the inside of the package body based on a first folding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hich is an outer end edge of the package bod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is also folded with the first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In this state, the second folding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positioned on the second end edge side opposite to the first end edge is folded to the inside of the package body.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disposed on the second edge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In a thir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second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in a region where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face each other, a flap fixing portion for bonding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provided. In the third folded state, the main body fixing portion and the flap fixing portion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종래의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본체 박리 시트 및 포장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의 전개 시에 본체 박리 시트로부터 본체 점착부를 박리할 때는, 태그 테이프 등의 포장 시트의 전단부 부근을 잡고, 포장 시트를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전개 방향으로 당긴다. 그러나, 흡수성 물품의 본체 점착부는, 포장 시트가 아니라, 본체 박리 시트에 접하고 있다. 그 때문에, 포장체의 전개 시에, 포장 시트를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전개 방향으로 당겨도, 그 전개 방향의 힘이 본체 박리 시트에 적절하게 가해지지 않아, 본체 박리 시트를 본체 점착부로부터 박리하기 어렵거나,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박리하기 어렵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양태에 따른 포장체는, 포장체를 전개할 때에, 본체 박리 시트를 본체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하며,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 conventional packaging body for an absorbent article, a body release sheet and a packaging sheet are dispos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When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is peeled from the main body release sheet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unfolded, the packaging sheet is pulled in the sprea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bsorbent article by hold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ackaging sheet such as a tag tape. However, the body adhesive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is in contact with the body release sheet, not the packaging sheet. Therefore, when the packaging body is unfolded, even if the packaging sheet is pulled in the unfol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bsorbent article, the force in the unfolding direction is not properly applied to the body release sheet, making it difficult to peel the body release sheet from the body adhesive portion. In some cases, the flap release sheet was difficult to peel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Therefore, the packag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o that the main body release sheet is easily peeled from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when the package body is unfolded.

본 양태에 따르면, 제3 접음 상태에서 제2 접음 상태로 포장체를 전개할 때에, 본체 고정부와 플랩 고정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고정부를 통해 포장 시트로부터 본체 박리 시트 및 흡수성 물품에 힘을 전달하여,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포장체를 전개하며, 플랩 고정부를 통해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따라서, 본체 박리 시트를 본체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하며,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when the package body is unfolded from the third folded state to the second folded state, since the body fixing portion and the flap fixing portion are overlapp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body peeling sheet and the absorbent property from the packaging sheet through the body fixing portion By transmitting a force to the article, the package body is unfolded from the second fold line, and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pulled away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through the flap fixing portion. Accordingly, the main body release sheet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본체 고정부 및 상기 플랩 고정부는, 상기 포장체가 상기 제1 접음선 및 상기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음선과 상기 제1 접음선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상기 제1 접음선측에 배치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main body fixing part and the flap fixing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package body is folded from the first fold line and the second fold line, before and after the second fold line and the first fold line It may b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first folding line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direction.

본 양태에 따르면,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포장체를 전개할 때에, 본체 고정부 및 플랩 고정부가 회전축이 되는 제2 접음선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포장 시트를 당김으로써, 제2 접음선측을 중심으로 하여 제1 접음선측이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기 쉽다.According to this aspect, when the package body is unfolded from the second fold line, the main body fixing portion and the flap fixing portion are separated from the second fold line serving as the rotation axis, and thus the second fold line side is centered by pulling the packaging sheet. As a result, the first folding line side is easy to move in the rotation direc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플랩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한쌍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플랩 점착부는, 상기 한쌍의 플랩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플랩 박리 시트는, 상기 한쌍의 플랩 점착부를 덮고 있고, 상기 플랩 고정부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랩 점착부 사이의 영역에 중첩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flap portion is provided in a pair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flap adhesive portion is provided on each of the pair of flap portions, and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I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the flap release sheet covers the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and the flap fixing portion may be overlapped with a region between the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in the thickness direction.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포장체를 전개할 때에, 사용자가 포장 시트를 당기면, 플랩 박리 시트가 플랩 점착부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한다. 이때, 플랩 점착부와 플랩 고정부가 중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플랩 박리 시트에 있어서의 플랩 고정부에 접하는 영역이 먼저 이동하고, 플랩 박리 시트에 있어서의 플랩 점착부에 접하는 영역이 추종하여 이동한다. 각 플랩부의 선단이 각 플랩의 근원부를 기점으로 하여 기립하여, 한쌍의 플랩부 및 본체부에 의해 대략 삼각형의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When the packaging body is unfolded from the second fold line, when the user pulls the packaging sheet, the flap release sheet moves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At this time, since the flap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fixing portion do not overlap, the region in contact with the flap fixing portion in the flap release sheet moves first, and the region in contact with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the flap release sheet follows and moves. The tip end of each flap part stands up with the base part of each flap as a starting point, and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a substantially triangular space may be surrounded by a pair of flap parts and a body part.

플랩부 및 흡수성 물품이 삼각형을 구성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는, 플랩 박리 시트의 폭 방향의 중앙(플랩 고정부와 중첩되는 부분)이 포장 시트측으로 당겨져, 플랩 박리 시트는 만곡한다. 이때, 플랩 박리 시트는, 포장 시트와 동시에 당겨짐으로써, 평면 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그 결과, 플랩부가 본체부에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의 플랩 점착부의 외측 가장자리가 플랩 박리 시트로부터 박리되기 시작한다. 플랩 박리 시트가 서서히 플랩 점착부로부터 떨어져,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and the absorbent article are arranged to form a triangle, the center of the flap releas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flap fixing portion) is pulled toward the packaging sheet side,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curved. At this time, the flap release sheet is pulled at the same time as the packaging sheet, thereby attempting to maintain a flat state. As a result, the outer edge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is folded over the body portion begins to peel from the flap release sheet. The flap release sheet gradually falls off the flap adhesion part, and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flap adhesion part.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플랩 고정부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는, 상기 본체 고정부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flap fix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longer than that of the body fix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본 양태에 따르면,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포장체를 전개할 때에, 플랩 고정부를 통해 플랩 박리 시트를 폭 방향으로 넓은 범위에서 박리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when unfolding the package body from the second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pulled in the peeling direction in a wid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through the flap fixing portion. Accordingly,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플랩 고정부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는, 상기 본체 고정부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보다 짧아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flap fix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shorter than that of the body fix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본 양태에 따르면, 각 플랩의 선단이 각 플랩의 근원에 대하여 기립하도록 변형되었을 때에, 각 플랩의 선단을 본체부의 폭 방향의 중심측으로 더욱 당겨, 플랩의 기립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보다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when the tip end of each flap is deformed so as to stand up with respect to the root of each flap, the tip of each flap is further pulled toward the cen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standing angle of the flap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flap peeling sheet can be peeled more easily from the flap adhesive part.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플랩 고정부는, 한쌍의 플랩 점착부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플랩 점착부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이격하여 배치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flap fixing portion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n a region between the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본 양태에 따르면, 플랩의 기립 각도를 더욱 크게 할 수 있어,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standing angle of the flap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플랩 점착부는, 제1 플랩 점착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랩 점착부보다 상기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플랩 점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플랩 점착부의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 플랩 점착부의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의 가장자리보다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에 배치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flap adhesive portion includes a first flap adhesive portion, and a second flap adhesive portion position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first flap adhesive portion in the deployed stat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An edge of the first flap adhesive portion on the side of the second edge may be disposed at a side of the second edge of the second flap adhesive portion than an edge on the side of the second edge of the second flap adhesive portion.

본 양태에 따르면, 플랩 점착부의 제2 단가장자리측의 가장자리는,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포장체를 전개할 때에, 전개 기점이 되는 제2 접음선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이 된다. 플랩부의 근원측에 위치하는 제2 플랩 점착부는, 플랩부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1 플랩 점착부보다 전개 기점과 떨어지는 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각 플랩의 선단이 각 플랩의 근원에 대하여 기립하도록 변형될 때에, 플랩부의 근원측보다 플랩의 선단측이 먼저 기립하기 쉽다. 플랩부의 기립 각도를 크게 하여, 플랩 점착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플랩 박리 시트를 서서히 박리시켜, 더욱 용이하게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edge on the side of the second edge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becomes a side separated from the second folding line serving as the deployment starting point when the package is unfolded from the second folding line. The second flap adhesive portion positioned on the proximal side of the flap portion extends from the first flap adhesive portion position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flap portion to a side separated from the deployment starting point. Therefore, when the tip end of each flap is deformed so as to stand up with respect to the root of each flap, the tip side of the flap is more likely to rise earlier than the base side of the flap portion. By increasing the standing angle of the flap portion, the outer edge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peeling sheet are gradually peeled off, so that the flap peeling sheet can be more easily peeled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본체 고정부는, 상기 제1 접음선보다 상기 제1 단가장자리측의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본체 고정부를 가져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body fixing portion may have a first body fixing portion disposed in a first area on the first edge side of the first folding line.

본 양태에 따르면, 제1 접음선보다 제1 단가장자리측의 제1 영역에 있어서 포장 시트 및 본체 박리 시트가 제1 본체 고정부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전개되도록 포장 시트를 당겼을 때에, 포장 시트 및 본체 박리 시트를 통해 흡수성 물품을 더욱 전개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the packaging sheet and the body release sheet are joined in the first body fixing portion in the first region on the first edge side of the first folding line, the packaging sheet is developed so as to develop from the second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When pulled, the absorbent article becomes easier to develop through the packaging sheet and the body release sheet.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본체 고정부는, 상기 제1 본체 고정부와, 상기 포장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음선과 상기 제2 접음선 사이의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본체 고정부를 가져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main body fixing part, the first body fixing part, and a second body fixing part disposed in a second area between the first folding line and the second folding line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package body You may have

본 양태에 따르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양방에 있어서 포장 시트 및 본체 박리 시트가 본체 고정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전개되도록, 포장 시트를 통해 제1 접음선측에 힘을 가하였을 때에, 제1 접음선을 사이에 둔 양측에 힘을 가할 수 있어, 포장 시트 및 본체 박리 시트를 통해 흡수성 물품을 더욱 전개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in both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he packaging sheet and the body release sheet are joined by the body fixing portio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fold line side through the packaging sheet so as to develop from the second fold line as a starting point, force can be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fold line between them, so that it is absorbent through the packaging sheet and the body release sheet. The article becomes easier to deploy.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본체 고정부와 상기 제2 본체 고정부는, 상기 제3 접음 상태에서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body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body fixing portion may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third folded state.

본 양태에 따르면, 제1 본체 고정부 및 제2 본체 고정부에 의해 제1 접음선을 사이에 둔 양측에 힘을 가할 때에, 그 힘이 전달되기 쉬워져, 포장 시트 및 본체 박리 시트를 통해 흡수성 물품을 더욱 전개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when a force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body fixing portion sandwiching the first folding line, the force is easily transmitted, and absorbability through the packaging sheet and the body peeling sheet The article becomes easier to deploy.

다른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포장 시트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 폭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플랩부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본체 점착부와, 상기 각 플랩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한쌍의 플랩 점착부와,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플랩 점착부를 덮는 플랩 박리 시트를 갖는다. 상기 포장체는,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제1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체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인 제1 단가장자리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며, 상기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2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단가장자리와 반대측의 제2 단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어 있다. 상기 플랩 점착부 및 상기 플랩 박리 시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음선보다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 시트와 플랩 박리 시트가 마주보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와 상기 플랩 박리 시트를 접합하는 플랩 고정부를 갖는다. 상기 흡수 코어는, 주위보다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이 낮은 저단위중량부를 갖는다.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제2 접음선보다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을 갖는다.A package for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s a package for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individually packaged by a packaging sheet. The absorbent article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n absorbent core; a pair of flap portions extending outwardly in a width direction than the body portion; and an adhesive that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fixes the body portion to the underwear And a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having an adhesive that is disposed on the non-skin side of each flap portion and fixes the body portion to the undergarment, and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flap release sheet covering the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The package body, in a first folded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a first folding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unit edge, which is an outer edge of the packag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a starting point. A second folded inward of the package body,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econ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first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and positioned on a second edge side opposite to the first edge It is folded into the inside of the package body from the fold line.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disposed on the second edge side of the second folding line. In a thir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second fold line as a starting point, a flap fixing portion for bonding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provided in a region where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face each other. The absorbent core has a low unit weight portion of which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ent core is lower than that of its surroundings. The low unit weight portion has a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extending in a front-rear direction on the second unit edge side than the second fold line.

종래의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태그 테이프 등의 포장체의 전단부 부근을 통해 포장 시트를 전개 방향으로 당겨, 흡수성 물품을 전개시키면서, 포장 시트와 함께 플랩 박리 시트를 당긴다. 그러나, 플랩 박리 시트가 플랩 점착부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플랩부는, 플랩 점착부를 통해 플랩 박리 시트에 추종하도록 변형되기 쉽다. 플랩부가 플랩 박리 시트에 추종하면, 플랩부의 선단이 플랩부의 근원에 대하여 기립한다. 이 상태에서, 포장 시트와 함께 플랩 박리 시트를 당기면, 플랩 박리 시트가 플랩부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플랩 점착부에 의해 전단 응력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박리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양태에 따른 포장체는,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conventional packaging body of an absorbent article, the packaging sheet is pulled in the unfolding direction through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ackaging body such as a tag tape, while unfolding the absorbent article, the flap release sheet is pulled together with the packaging sheet. However, since the flap release sheet is in contact with the flap adhesion part, the flap part is easily deformed so as to follow the flap release sheet through the flap adhesion part. When the flap part follows the flap release sheet, the tip end of the flap part rises with respect to the root of the flap part. In this state, when the flap release sheet is pulled together with the packaging sheet, when the flap release sheet slides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ap part, shear stress is generated by the flap adhesion part. Therefore, there was a case where it was difficult to peel the flap release sheet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Therefore, the package body according to this aspect is configured so that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본 양태에 따르면,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포장체를 전개할 때에, 포장 시트를 통해 제1 접음선에 대하여 힘을 가하면, 포장체는, 제2 접음선을 중심으로 하여, 제2 접음선보다 제2 단가장자리측의 영역에 대하여, 제2 접음선보다 제1 접음선측의 영역이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이동에 따라 포장 시트와 함께 플랩 박리 시트가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2 접음선보다 제2 단가장자리측의 영역은,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에 의해, 폭 방향으로 굴곡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 및 플랩 점착부를 통해 플랩부가 당겨질 때에, 플랩부의 근원부가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플랩 박리 시트는, 포장 시트와 함께 전개 방향으로 당겨져, 평면 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한편, 플랩부는, 플랩부의 근원부의 폭 방향의 내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기립하는 각도가 커진다. 그 때문에, 플랩 박리 시트와 플랩부가 전개 방향으로 분리하기 쉬워져, 플랩 점착부의 외측 가장자리가 플랩 박리 시트로부터 박리되어,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when unfolding the package body from the second fold lin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fold line through the packing sheet, the package body is centered on the second fold line, and is more than the second fold line. With respect to the region on the second edge side, the region on the side of the first fold line rather than the second fold line moves in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moves in the rotation direction along with the packaging sheet according to the movement. At this time, the region on the second edge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is more likely to bend in the width direction due to the deformation starting point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Accordingly, when the flap portion is pulled through the flap release sheet and the flap adhesive portion, the base portion of the flap portion mov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e flap release sheet is pulled together with the packaging sheet in the spreading direction, and tries to maintain a flat state. On the other hand, as the flap portion mov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of the flap portion, the angle to stand up from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increases. Therefore, the flap release sheet and the flap part are easily separated in the development direction, the outer edge of the flap adhesion part is peeled from the flap release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flap adhesion part.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평행한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접음선보다 상기 제1 단가장자리측의 영역에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low unit weight portion has a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region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region is on the first unit edge side than the first fold line in the deployed state. It does not have to be provided in the realm of.

본 양태에 따르면,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전개할 때는, 제2 접음선보다 제2 단가장자리측의 영역에 대하여, 제2 접음선보다 제1 접음선측의 영역을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접음선과 플랩 고정부 사이의 영역이 폭 방향의 내측으로 변형되기 어렵고, 상대적으로 제2 접음선보다 제2 단가장자리측의 영역이 폭 방향의 내측으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 및 플랩 점착부를 통해 플랩부가 당겨질 때에, 플랩부의 근원부가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플랩부의 기립 각도가 커지기 쉽다.According to this aspect, when expanding the second fold line as a starting point, the area on the side of the first fold line rather than the second fold line is mov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rea on the second edge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In this case,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and the flap fixing portion is less likely to be deform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egion on the second end edge side is relatively more easily deformed toward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second fold line. Therefore, when the flap portion is pulled through the flap release sheet and the flap adhesive portion, the base portion of the flap portion mov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tanding angle of the flap portion tends to be large.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접음선과 상기 제2 접음선 사이의 영역에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regions may not be provided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and the second fold line in the deployed state.

본 양태에 따르면,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전개할 때에, 제2 접음선보다 제1 단가장자리측의 영역이 변형되기 어렵고, 상대적으로 제2 접음선보다 제2 단가장자리측의 영역이 폭 방향의 내측으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 및 플랩 점착부를 통해 플랩부가 당겨질 때에, 플랩부의 근원부가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플랩부의 기립 각도가 커지기 쉽다.According to this aspect, when developing the second fold line as a starting point, the area on the first edge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is less likely to be deformed, and the area on the second side edge side than the second fold line is relatively inside the width direction. It becomes easy to deform. Therefore, when the flap portion is pulled through the flap release sheet and the flap adhesive portion, the base portion of the flap portion mov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tanding angle of the flap portion tends to be large.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 및 상기 플랩 고정부는, 상기 제3 접음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음선과 상기 제1 접음선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상기 제1 접음선측에 배치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area and the flap fixing part are disposed on the first fold line side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econd fold line and the first fold line in the third fold state. May be.

본 양태에 따르면,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전개할 때의 회전축이 되는 제2 접음선으로부터 플랩 고정부가 떨어져 있음으로써, 그 전개 시에 있어서, 포장 시트를 당김으로써, 플랩 박리 시트를 전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쉬워진다. 이때,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한 변형 기점이 제1 접음선측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제1 접음선측에 있어서 플랩부의 기립 각도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flap fix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folding line which becomes the rotation axis when the second folding line is unfolded as a starting point,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moved in the unfolding direction by pulling the packaging sheet at the time of deployment. It becomes easy to move. At this time, since the deformation starting point due to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fold, the angle of standing of the flap portion on the side of the first fold can be further increased.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저단위중량부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음선보다 상기 제1 단가장자리측에 배치된 제1 측 저단위중량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1 측 저단위중량 영역은, 전개 상태의 상기 제1 접음선과 상기 플랩 고정부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음선측을 향하여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low unit weight portion has a first side low unit weight region disposed on the first unit edge side than the first fold line in the deployed state, and the first side low unit weight region is unfolded.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ing line and the flap fixing portion in a state, it may exten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first folding line side.

본 양태에 따르면, 제1 접음선과 플랩 고정부 사이의 영역에, 제1 접음선측을 향하여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형성된다. 두께 방향의 단면에서 보아, 플랩 고정부보다 플랩 박리 시트측의 흡수 코어는, 제1 측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한 변형 기점에 의해 플랩 고정부로부터 제1 접음선을 향하여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형성된다. 따라서, 포장 시트에 의해 플랩 박리 시트를 당길 때에, 플랩 박리 시트도, 플랩 고정부로부터 제1 접음선을 향하여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형성된다. 플랩 박리 시트가 플랩 점착부로부터 이격하도록 변형되어,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a deformation starting point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first folding line side is formed in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ing line and the flap fixing portion. From the cross s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absorbent core on the flap release sheet side rather than the flap fixing part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lap fixing part toward the first fold line by the deformation origin by the first side low unit weight region. An origin of deformation is formed. Accordingly, when the flap release sheet is pulled by the packaging sheet, the flap release sheet also forms a deformation starting point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lap fixing portion toward the first folding line. The flap release sheet is de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ap adhesion part, so that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easily released from the flap adhesion part.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본체 점착부를 덮으며, 상기 포장 시트에 본체 고정부를 통해 접합되는 본체 박리 시트를 가지고, 상기 본체 고정부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접음선보다 상기 제1 단가장자리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접음선과 상기 제2 접음선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는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을 가져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t has a main body release sheet that covers the main body adhesive part and is bonded to the packaging sheet through a main body fixing part, and the main body fixing part is on the first end edge side than the first fold line in the deployed state. And the low unit weight portion may have an intermediate low unit weight region positioned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and the second fold line in an expanded state.

본 양태에 따르면, 포장 시트에 가한 힘은, 본체 고정부를 통해 본체 박리 시트에 전해진다. 본체 박리 시트는, 흡수성 물품의 본체 점착부와 접하고 있어, 흡수성 물품에 힘을 전하기 쉽다. 그 때문에, 제3 접음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포장 시트를 통해 제1 접음선에 대하여 힘을 가하였을 때에, 본체 고정부를 통해 본체 박리 시트에 힘이 전해져, 제2 접음선을 중심으로 하여 본체부의 제1 접음선측이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기 쉽다. 제3 접음 상태에서 본체부의 제1 접음선측이 제2 접음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1 접음선과 상기 제2 접음선 사이의 영역의 흡수 코어가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을 기점으로 변형된다. 제1 접음선과 상기 제2 접음선 사이의 영역의 흡수 코어가 변형됨으로써, 플랩 박리 시트가 플랩 점착부로부터 이격하도록 변형되어,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force applied to the packaging sheet is transmitted to the body release sheet through the body fixing portion. The main body release sheet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so that force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absorbent article. Therefore, in the third folded state,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first fold line through the packing sheet,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release sheet through the main body fixing portion, and the main body is centered on the second fold line. The negative first folding line side is easy to move in the rotation direction. In the third folded state, when the side of the first fold line of the main body mov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round the second fold line, the absorbent core in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and the second fold line starts from the middle low unit weight region. Transformed. As the absorbent core in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and the second fold line is deformed, the flap release sheet is de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ap adhesive part, so that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flap adhesion part.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플랩 고정부보다 제2 단가장자리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in a region on the second end edge side than the flap fixing portion in the deployed state.

본 양태에 따르면,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이 플랩 고정부보다 제2 단가장자리측의 영역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그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해 뒤틀림을 흡수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제2 단가장자리에 대하여 포장 시트를 대략 수직으로 당길 수 없는 경우라도,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이 뒤틀림을 흡수하여,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당길 수 있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region on the second unit edge side than the flap fix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absorb distortion by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 Even when the packaging sheet cannot be pulled substantially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unit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absorbs the distor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pulled substantially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lap adhesive portion. Accordingly,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플랩 고정부와 상기 제1 접음선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region between the flap fixing portion and the first folding line in the deployed state.

본 양태에 따르면, 플랩 고정부와 상기 제1 접음선 사이의 영역은, 제4 전개 공정에 있어서, 전개 방향의 힘이 더욱 가해지기 쉽다.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플랩 고정부와 상기 제1 접음선 사이의 영역에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이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본체부의 뒤틀림을 흡수하는 효과를 더욱 얻기쉽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region between the flap fixing portion and the first folding line is more likely to be applied with a force in the unfolding direction in the fourth unfolding step. Since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is provided in the region between the flap fixing portion and the first folding line in the deployed state, the effect of absorbing the dist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more easily obtained.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은,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에 도달하여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may reach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본 양태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의 제2 단가장자리측의 영역과, 플랩 고정부와 중첩되는 영역을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해 분단할 수 있어, 본체부의 뒤틀림을 흡수하는 효과를 더욱 얻기 쉽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area on the second unit edg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area overlapping with the flap fixing portion can be divided by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area, so that the effect of absorbing dist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more easily obtained. .

또한, 다른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포장 시트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플랩부와, 상기 플랩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플랩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한쌍의 플랩 점착부와,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랩 점착부를 덮는 플랩 박리 시트를 구비한다. 상기 포장체는,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제1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체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인 제1 단가장자리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며, 상기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2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단가장자리와 반대측의 제2 단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된다. 상기 플랩 점착부 및 상기 플랩 박리 시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음선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2 단가장자리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 시트와 플랩 박리 시트가 마주보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와 상기 플랩 박리 시트를 접합하는 플랩 고정부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기립성의 샘 방지 개더를 갖는다. 상기 샘 방지 개더는, 샘 방지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기립하는 수축부와, 상기 수축부의 기립의 기점이 되는 기점부를 갖는다. 상기 기점부는, 상기 수축부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기점부를 갖는다. 상기 수축부는, 상기 제1 기점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절첩된 되접어 꺽음부를 갖는다. 상기 되접어 꺽음부는, 상기 샘 방지 탄성 부재를 가지고, 또한 상기 플랩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대하여 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되접어 꺽음부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 코어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Further, the absorbent article packaging bod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s a packaging body for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individually packaged by a packaging sheet. The absorbent article includes a body portion, a pair of flap portions extending outward in a width direction than the body portion, and a pair of adhesives disposed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flap portion, respectively, to fix the flap portion to the undergarment. A flap adhesive portion and a flap release sheet covering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The package body, in a first folded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a first folding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unit edge, which is an outer edge of the packag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a starting point. A second folded inward of the package body,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econ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first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and positioned on a second edge side opposite to the first edge The fold line is folded into the inside of the package.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disposed on the second end edg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rather than the second fold line. In a thir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second fold line as a starting point, a flap fixing portion for bonding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provided in a region where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face each other. The body portion has an absorbent core, a top sheet position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core, and an upright leak-proof gathers position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top sheet. The leakage prevention gathers have a contraction portion that rises due to contraction of the leakage prevention elastic member, and a starting point portion that serves as a starting point of the rise of the contraction portion. The starting point portion has a first starting point portion positioned outside the constricte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traction portion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the first starting point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folded back portion fold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using an inner edge of the extension portion as a starting point. The folded back portion has the leakage preventing elastic member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tand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portion in a flap reg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lap portion. The outer edge of the folded back portion is disposed outside the absorbent core in the width direction.

종래의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를 전개할 때는, 태그 테이프 등의 포장체의 전단부 부근을 잡고, 포장 시트를 전개 방향으로 당겨, 흡수성 물품을 전개시키면서 포장 시트와 함께 플랩 박리 시트를 당긴다. 그러나, 플랩 박리 시트가 플랩 점착부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플랩부는, 플랩 점착부를 통해 플랩 박리 시트에 추종하도록 변형되기 쉽다. 플랩부가 플랩 박리 시트에 추종하면, 플랩부가 꼬여, 플랩 점착부가 의도치 않게 접착하여, 흡수성 물품의 사용 시에 적절하게 플랩 점착부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양태에 따른 포장체는, 플랩 박리 시트를 포장 시트와 함께 당겨, 플랩 박리 시트를 플랩 점착부로부터 박리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에 있어서, 플랩 점착부가 의도치 않게 접착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박리 시트를 본체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음으로써, 플랩 점착부가 의도치 않게 접착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When unfolding a conventional packaging body for an absorbent article, the packaging sheet is pulled in the unfolding direction while hold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ackaging body such as a tag tape,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pulled together with the packaging sheet while unfolding the absorbent article. However, since the flap release sheet is in contact with the flap adhesion part, the flap part is easily deformed so as to follow the flap release sheet through the flap adhesion part. When the flap portion follows the flap release sheet, the flap portion is twisted, the flap adhesive portion is unintentionally adhered, and the flap adhesive portion may not be appropriately used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used. Therefore, the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uppress the problem of unintentionally adhering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the packaging body of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flap release sheet is pulled together with the packaging sheet to peel the flap release sheet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It is structured to be able to. In more detail, the main body release sheet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so that a problem in which the flap adhesive portion unintentionally adheres can be suppressed.

본 양태에 따르면, 되접어 꺽음부의 기립 정점이 되는 외측 가장자리가 흡수 코어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3 접음 상태에서의 전개 시에 플랩부가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려고 하였을 때에, 플랩부가 절첩된 상태의 플랩부의 내면에, 되접어 꺽음부의 기립 정점이 닿기 쉽다. 그 되접어 꺽음부의 기립 정점에 의해 폭 방향의 외측 또한 착용자측을 향하여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와 함께 플랩부가 당겨져도, 플랩부의 폭 방향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플랩부의 꼬임을 억제하여, 플랩 점착부끼리가 달라붙거나, 플랩 점착부가 의도치 않은 영역에 달라붙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the outer edge, which becomes the standing apex of the folded back portion, is positioned outside the absorbent cor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flap portion attempts to move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during deployment in the third folded state, It is easy to reach the standing apex of the fold-back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p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is folded. It is possible to press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oward the wearer side by the standing apex of the folding portion. Accordingly, even if the flap portion is pulled together with the flap release sheet, movement of the flap portion to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regulated. By suppressing twisting of the flap por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problem that the flap adhesive portions adhere to each other or the flap adhesive portion adheres to an unintended reg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점부의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플랩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inner edge of the first starting point portion may be disposed outside the absorbent core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lap region.

본 양태에 따르면, 수축부 전체의 기립 지점이 되는 제1 기점부의 내측 가장자리가 흡수 코어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플랩부가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려고 하였을 때에, 제1 접음 상태에 있어서의 플랩부의 내면에 수축부가 닿기 쉬워, 플랩부를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압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the inner edge of the first starting point that becomes the standing point of the entire contraction portion is located outside the absorbent cor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flap portion is about to move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folded state It is easy to contact the constricted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p portion of the slit, and the flap portion can be pressed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기점부는, 상기 수축부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기점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기점부의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 코어에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arting point portion may have a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positioned outside the constricted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inner edge of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may be dispos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absorbent core.

본 양태에 따르면, 제2 기점부가 비교적 강성이 높은 흡수 코어에 중첩되어 있음으로써, 수축부가 더욱 기립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by overlapping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with the absorbent core having relatively high rigidity, the contraction portion is more likely to stand up.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플랩 점착부는, 상기 플랩부를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하는 플랩 접음선과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이격하여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flap adhesive portion may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flap fold line that folds the flap portion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플랩 접음선의 근방은, 플랩부의 접음에 의한 주름이나 꼬임이 발생하기 쉽다. 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플랩부의 접음에 의한 주름 등에 의해 플랩 점착부가 의도치 않게 접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vicinity of the flap fold line, wrinkles and twists due to the fold of the flap portion are likely to occur. According to this aspect, it is possible to suppress unintentional adhesion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due to wrinkles or the like caused by folding of the flap por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플랩 고정부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랩 점착부 사이의 영역에 중첩되어 있고, 상기 플랩 점착부와 이격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flap fixing portion may be overlapped with an area between the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본 양태에 따르면, 제3 접음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포장 시트를 당기면,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플랩 박리 시트가 플랩 점착부로부터 떨어지는 전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플랩 점착부는, 폭 방향에 있어서 플랩 고정부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플랩 고정부와 함께 전개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 평면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가 플랩 점착부로부터 박리되기 쉬워, 플랩 점착부끼리가 달라붙거나, 플랩 점착부가 의도치 않은 영역에 달라붙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in the third folded state, when the user pulls the packaging sheet, the flap release sheet moves in the spreading direction away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At this time, since the flap adhesive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lap fix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difficult to move in the developing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lap fixing portion, and it is easy to maintain a flat state. Accordingly, the flap peeling sheet is easily peeled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so that the flap adhesive portion adheres to each other or the flap adhesive portion adheres to an unintended region can be suppressed.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기점부는, 상기 수축부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기점부를 가지고, 상기 샘 방지 개더의 상기 제2 기점부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상기 되접어 꺽음부와 상기 연장부를 접합하는 샘 방지 접합부와, 상기 샘 방지 접합부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되접어 꺽음부와 상기 연장부가 접합되지 않고 중첩되는 샘 방지 비접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샘 방지 비접합부는, 상기 되접어 꺽음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도달하여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arting point portion has a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located outside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constricting portion, and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of the leakage preventing gather, the folding back and There is provided a leak-proof joint for joining the extension part, and a leak-proof non-joined part that is locat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leak-proof joint and overlaps the foldable part and the extension without being joined, and the leakage prevention The non-joined portion may reach the outer edge of the folded portion.

본 양태에 따르면, 되접어 꺽음부의 외측 가장자리는, 연장부에 접합되지 않고, 연장부에 대하여 기립한다. 되접어 꺽음부가 폭 방향의 외측 또한 착용자측으로 더욱 기립하기 쉬워져, 플랩부를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압박하여, 플랩부의 폭 방향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outer edge of the folded back portion is not joined to the extension portion, but stands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portion. The folded back portion is more likely to stan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oward the wearer side, and the flap portion is pressed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movement of the flap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nward can be regulated.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샘 방지 접합부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outer edge of the leakage preventing join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in the width direction.

제2 기점부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영역의 되접어 꺽음부의 기립 지점은, 샘 방지 접합부의 외측 가장자리가 된다. 되접어 꺽음부의 기립 지점이 흡수 코어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플랩부가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려고 하였을 때에, 그 플랩부의 폭 방향의 내측의 면에 수축부가 닿기 쉬워, 플랩부를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압박할 수 있다.The standing point of the folded back portion in the region overlapping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becomes the outer edge of the leak-proof joint portion. Since the stand-up point of the folded back portion is located outside the absorbent cor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flap portion is about to move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striction portion easily touches the inner surface of the flap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lap portion is wide. It can be pres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direc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샘 방지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접음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랩 박리 시트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leakage preventing elastic membe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lap releas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folded state.

플랩 박리 시트보다 폭 방향의 외측의 영역은, 플랩 박리 시트에 의해 덮여 있지 않고, 그 강성이 낮아, 변형되기 쉽다. 그 영역에, 되접어 꺽음부의 샘 방지 탄성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비교적 강성이 낮은 영역에 있어서의 플랩부의 폭 방향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The region outside the flap releas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is not covered by the flap release sheet, its rigidity is low, and it is easily deformed. By providing the leak-preventing elastic member of the folded portion in the reg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flap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nward in a region having relatively low rigidity.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포장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플랩 점착부의 면적은, 상기 플랩부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플랩 점착부의 면적보다 커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package, the area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an area inside the center of the flap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an area outside the center of the flap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t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the above.

플랩부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내측의 영역은, 플랩 접음선에 가까워, 플랩부의 접음에 의한 주름이나 꼬임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플랩부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플랩 점착부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플랩 접음선의 근방에 있어서의 주름이나 꼬임을 억제하여, 플랩 점착부에 주름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area inside the flap portion of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is close to the flap fold line, and wrinkles or twists due to the fold of the flap portion are liable to occur.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the area in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ap por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wrinkles or twists in the vicinity of the flap fold line,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in the flap adhesive portion. .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흡수 코어에는, 상기 플랩 영역에 있어서, 주위보다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이 낮은 저단위중량부가 마련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absorbent core may be provided with a low unit weight portion in which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ent material is lower than that of the periphery in the flap region.

본 양태에 따르면, 플랩 영역의 흡수 코어는, 저단위중량부를 기점으로 굴곡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가 플랩 점착부로부터 떨어지도록 당겨질 때에, 플랩부의 근원부가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플랩 박리 시트가 전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플랩부를 수축부에 의해 폭 방향의 외측으로 압박하여, 플랩 점착부를 평면 상태로 유지하기 쉽다. 플랩 점착부에 주름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absorbent core of the flap region is easily bent from the low unit weight part. Accordingly, when the flap release sheet is pulled away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the flap release sheet moves in the spreading direction while the base portion of the flap portion mov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t this time, by pressing the flap portion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contraction portion, it is easy to keep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a flat stat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wrinkles or the like on the flap adhesive por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랩 점착부 사이의 영역에 중첩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low unit weight portion may be overlapped with a region between the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in the thickness direction.

플랩 영역의 흡수 코어는, 한쌍의 플랩 점착부 사이에서 저단위중량부를 기점으로 굴곡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를 통해 플랩 점착부가 당겨질 때에, 플랩부가 더욱 기립하기 쉬워진다. 이때, 수축부에 의해 플랩부를 폭 방향의 외측으로 압박하여, 플랩 점착부를 평면 상태로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플랩 점착부에 주름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면서, 플랩 박리 시트를 전개 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랩 점착부로부터 플랩 박리 시트를 박리할 수 있다.The absorbent core in the flap region is easily bent from the low unit weight part between the pair of flap adhesion parts. Accordingly, when the flap adhesive portion is pulled through the flap release sheet, the flap portion is more likely to stand up. At this time, by pressing the flap portion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contraction portion, it is easy to keep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a flat state. Accordingly,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removed from the flap adhesion part by moving the flap release sheet in the developing direction while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or the like in the flap adhesion part.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본체 점착부를 가지고,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포장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점착부 및 상기 플랩 점착부에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마련되어도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absorbent article has a body adhesive portion dispos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n adhesive to fix the body portion to the undergarment, and the low unit weight portion is in an unfolded state of the package body. In this case, it may be provided in a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body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adhesive portion.

본 양태에 따르면, 본체 점착부 및 플랩 점착부에 중첩되지 않는 영역은, 장착 시에 속옷에 대하여 접합되지 않아, 변형되기 쉬운 영역이다. 그 영역에 저단위중량부를 마련함으로써, 흡수 코어가 저단위중량부를 기점으로 더욱 변형되기 쉬워, 플랩부가 더욱 기립하기 쉬워진다. 플랩 박리 시트와 플랩부가 전개 방향으로 분리되기 쉬워져, 플랩부의 꼬임을 억제하면서, 플랩 점착부로부터 플랩 박리 시트를 박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area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body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adhesive portion is a region that is not bonded to the undergarment at the time of wearing and is easily deformed. By providing a low unit weight part in the region, the absorbent core is more easily deformed starting from the low unit weight part, and the flap portion is more likely to stand up. The flap release sheet and the flap part are easily separated in the developing direc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can be peeled from the flap adhesive part while suppressing the twist of the flap part.

(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2)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분변 패드와 같은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은, 속옷과 같은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물품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나이트용의 생리용 냅킨이며,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285 ㎜ 이상이다.Hereinafter,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sanitary napkin, a panty liner, an incontinence pad, or a fecal pad.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an article attached to the inside of a worn article such as an undergarment and used. The absorbent article 1 of this embodiment is a sanitary napkin for night use, and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1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285 mm or more.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part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the ratio of each dimension may differ from that of the actual one. Therefore, specific dimensions and the like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parts having different dimensional relationships and ratios between the drawings are included.

도 1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포장체를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포장체를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평면도는,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다. 전개 상태는, 흡수성 물품 및 포장 시트가 절첩되지 않은 상태로서, 샘 방지 개더 등에 의한 주름이 형성되지 않을 정도로 흡수성 물품을 펼친 상태이다. 여기서, 「피부 대향면측」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측에 상당한다. 「피부 비대향면측」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를 향하게 되는 측에 상당한다.1 is a plan view of a package body in an expanded state as viewed from the side facing the ski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package body in an unfolded state as viewed from the non-skin facing surface side. 1 and 2 are plan views in an expanded state. The unfolded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packaging sheet are not folded, and the absorbent article is unfolded to such an extent that wrinkles due to leakage prevention gathers or the like are not formed. Here, the "skin facing surface side" corresponds to the side facing the wearer's skin during use. The "skin non-facing side" corresponds to the side facing away from the wearer's skin during use.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110)(이하, 포장체로 함)는, 흡수성 물품(1)과,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100)를 갖는다. 포장체(110)는, 포장체(110)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인 제1 단가장자리와 제2 단가장자리를 갖는다. 제1 단가장자리는, 도 1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로 포장된 포장 상태에 있어서, 포장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단가장자리이고, 제2 단가장자리는, 포장 상태에 있어서 포장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가장자리이다. 포장체의 내측이란, 포장 상태의 포장체(110)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내측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1 단가장자리는, 후단 가장자리(110R)이고, 제2 단가장자리는, 전단 가장자리(110F)이다.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제1 단가장자리는, 후단 가장자리(110R)이고, 제2 단가장자리는, 전단 가장자리(110F)여도 좋다. 또한, 포장체(110)의 전단 가장자리(110F)는, 포장 시트(100)의 전단 가장자리(100F)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1F)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포장체(110)의 후단 가장자리(110R)는, 포장 시트(100)의 후단 가장자리(100R)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1R)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110)의 전단 가장자리(110F)는, 포장 시트(100)의 전단 가장자리(100F)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포장체(110)의 후단 가장자리(110R)는,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1R)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absorbent article package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ckage article) includes an absorbent article 1 and a packaging sheet 100 for individually packaging the absorbent article. The package body 110 has a first unit edge and a second unit edge that are outer edge edges of the package body 1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unit edge is a unit edge positioned inside the package body in the individually packaged state, and the second unit edge is a stage positioned outside the package body in the packaged state. It's the edge. The inside of the package body is the in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package body 110 in a packaged state. The first e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rear edge 110R, and the second edge is the front edge 110F. In addition, in another form, the first end edge may be the rear end edge 110R, and the second end edge may be the front end edge 110F. In addition, the front edge 110F of the package body 110 may be constituted by the front edge 100F of the packaging sheet 100 or may be constituted by the front edge 1F of the absorbent article 1. . Similarly, the rear edge 110R of the package body 110 may be constituted by the rear edge 100R of the packaging sheet 100, or may be constituted by the rear edge 1R of the absorbent article 1 . The front edge 110F of the package body 110 of this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the front edge 100F of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rear edge 110R of the package body 110 is an absorbent article ( It is constituted by the trailing edge 1R of 1).

흡수성 물품(1)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전측(배측)으로부터 후측(등측)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 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흡수성 물품은, 피부 대향면측(T1)과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연장되는 두께 방향(T)을 갖는다.The absorbent article 1 has a front-rear direction (L) and a width direction (W).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L is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abdominal side) of the wearer to the rear side (back side), or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wearer to the front side. The width direction W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L. The absorbent article has a thickness direction T extending to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and the non-skin-facing surface side T2.

흡수성 물품(1)은, 중앙 영역(S3), 전측 영역(S1) 및 후측 영역(S2)을 갖는다. 중앙 영역(S3)은, 착용자의 배설구(예컨대 질구)에 접촉하는 배설구 접촉부를 갖는 영역이다. 흡수성 물품이 속옷에 장착되었을 때에, 중앙 영역(S3)은, 속옷의 가랑이부에 위치한다. 즉, 중앙 영역은, 착용자의 가랑이, 즉 착용자의 양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중앙 영역(S3)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전측으로 편의하여도 좋다.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 영역(S3)의 전후 방향(L)의 중심은,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전측에 위치하여도 좋다.The absorbent article 1 has a central region S3, a front region S1, and a rear region S2. The central region S3 is a region having an excretory contact portion that contacts an excretory mouth (eg, a vaginal mouth) of the wearer.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attached to the undergarment, the central region S3 is located in the crotch of the undergarment. That is, the central region is an area disposed between the wearer's crotch, that is, the wearer's legs. The central region S3 may be convenient to the front side in the absorbent article. More specifically,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central region S3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absorbent article 1.

전측 영역(S1)은, 중앙 영역(S3)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전측 영역(S1)의 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후측 영역(S2)은, 중앙 영역(S3)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후측 영역(S2)의 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후측 영역(S2)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중앙 영역(S3)의 전후 방향(L)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어도 좋다.The front region S1 is located in front of the central region S3. The shear edge of the front region S1 defines the sh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 The rear region S2 is located behind the central region S3. The trailing edge of the rear region S2 defines the trailing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 The length of the rear area S2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enter area S3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흡수성 물품(1)은, 본체부(2)와, 플랩부(5)를 갖는다. 본체부(2)는, 흡수 코어(31), 표면 시트(10) 및 이면 시트(20)를 적어도 가지고, 세로로 긴 형상이다. 플랩부(5)는, 본체부(2)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플랩부(5)는, 중앙 영역(S3)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가장자리이고, 내측 가장자리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의 단가장자리이다. 플랩부(5)는, 윙(3) 및 히프 플랩(4)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윙(3)은, 중앙 영역(S3)에 마련되고, 히프 플랩(4)은, 후측 영역(S2)에 마련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플랩부(5)는, 후술하는 제2 접음선(FL2)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포장체(110)를 전개할 때에, 전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플랩부(5)는, 윙(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히프 플랩(4)이 제2 접음선(FL2)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히프 플랩(4)이 본 발명의 플랩부를 구성하여도 좋다.The absorbent article 1 has a body portion 2 and a flap portion 5. The main body 2 has at least the absorbent core 31, the top sheet 10, and the back sheet 20, and is long vertically. The flap part 5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main body part 2. The flap portion 5 may exten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than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31 in the central region S3. In addition, the outer edge in this embodiment is an outer end edg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inner edge is an inner end edge in the width direction. The flap portion 5 may be constituted by the wing 3 and the hip flap 4. In this embodiment, the wing 3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region S3, and the hip flap 4 may be provided in the rear region S2. The flap part 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fold line FL2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configured to be expandable when the package body 110 is unfolded from the second fold line FL2. . The flap part 5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by the wing 3. In another form, in the form in which the hip flap 4 is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folding line FL2, the hip flap 4 may constitute the fla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윙(3)은, 본체부(2)의 폭 방향의 양측에 한쌍으로 마련되고, 히프 플랩(4)도, 본체부(2)의 폭 방향의 양측에 한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윙(3) 및 히프 플랩(4)은, 후술하는 사이드 시트(15)와 이면 시트(20)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윙(3)은, 이면 시트(20)측으로 되접어 꺽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윙(3)은, 사용 시에 속옷의 크로치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절첩된다.The wings 3 are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2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hip flaps 4 are also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2 in the width direction. The wing 3 and the hip flap 4 may be formed by lamination of the side sheet 15 and the back sheet 20 described later. The wing 3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by folding back to the rear sheet 20 side. The wing 3 is folded to the side of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crotch portion of the underwear during use.

히프 플랩(4)은, 윙(3)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후측 영역(S2)에 마련되어 있다. 히프 플랩(4)은, 사용 시에 절첩되지 않고, 속옷과 착용자의 둔부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히프 플랩(4)에는 흡수 재료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 대신에, 히프 플랩(4)에는, 흡수 재료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The hip flap 4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wing 3 and is provided in the rear area S2. The hip flap 4 is not folded during us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underwear and the buttocks of the wearer. In this embodiment, an absorbent material is not provided in the hip flap 4. Instead of this, the bottom flap 4 may be provided with an absorbent material.

윙(3)의 전단 가장자리는, 윙(3)의 조인트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가장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움패인 2개의 부분 중, 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윙(3)의 전단 가장자리는, 중앙 영역(S3)과 전측 영역(S1)의 경계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다. 윙(3)의 후단 가장자리는, 윙(3)의 조인트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가장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움패인 2개의 부분 중, 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윙(3)의 후단 가장자리는, 중앙 영역(S3)과 후측 영역(S2)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윙(3)의 전단 가장자리와 윙(3)의 후단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을 「플랩 영역」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형태의 플랩 영역은, 중앙 영역과 일치하기 때문에, 이하, 중앙 영역(S3)으로서 설명한다.The front end edge of the wing 3 is defined by the joint of the wing 3, and corresponds to a portion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two portions that are most depress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front edge of the wing 3 may define a boundary between the central region S3 and the front region S1. The rear edge of the wing 3 is defined by the joint of the wing 3, and corresponds to a portion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two portions that are most depressed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rear edge of the wing 3 may be located between the center region S3 and the rear region S2. Here, the area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wing 3 and the rear edge of the wing 3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is referred to as a "flap area". Since the flap reg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oincides with the central region, it will be described below as the central region S3.

흡수성 물품(1)은, 포장 시트(100)에 의해 개별로 포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포장체(110)는, 흡수성 물품(1)을 포장 시트(100) 위에 실은 전개 상태에서, 플랩 접음선(FL5)을 기점으로 하여, 플랩부(5)가 본체부(2)의 피부 대향면측(T1)으로 절첩된다. 도 3은 플랩부(5)가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제1 접음 상태에 있어서의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포장체(11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접음 상태에 있어서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포장체(110)의 평면도이다. 본체부(2)와 플랩부(5)의 경계는, 플랩 접음선(FL5)이어도 좋고, 플랩부(5)의 조인트(윙의 근원부)여도 좋다. 플랩 접음선(FL5)은,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후 방향(L)에 평행하여도 좋다.The absorbent article 1 is configured to be individually packaged by a packaging sheet 100. In the unfolded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1 is loaded on the packaging sheet 100, the packaging body 110 has the flap fold line FL5 as a starting point, and the flap portion 5 is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2 It is folded with (T1). 3 is a plan view of the package body 110 viewed from the skin-facing surface side in a first folded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5 is folded to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4 is a plan view of the package body 110 viewed from the side of the non-skin facing surface in the first folded state. The boundary between the body portion 2 and the flap portion 5 may be a flap fold line FL5 or a joint of the flap portion 5 (the base portion of the wing). The flap fold line FL5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and may be parallel to the front-rear direction L.

포장체(110)는, 윙(3)이 본체부(2)의 피부 대향면측(T1)에 절첩된 제1 접음 상태에서,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제1 접음선(FL1)을 기점으로 포장체(110)의 내측으로 절첩된다. 포장체(110)는, 제1 접음선(FL1)에 의해 절첩된 제2 접음 상태에서,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된다. 제2 접음선(FL2)은, 제1 접음선(FL1)보다 제2 단가장자리인 전단 가장자리(110F)측에 위치하고 있다.In the first folded state in which the wing 3 is fold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body portion 2, the package 110 starts with a first folding line FL1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It is folded into the inside of the package 110. The package body 110 is folded to the inside of the package body from the second folding line FL2 in a second folded state folded by the first folding line FL1. The second fold line FL2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ront end edge 110F which is the second unit edge than the first fold line FL1.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110)는, 제2 접음선(FL2)에 의해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서,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제3 접음선(FL3)을 기점으로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어 있다. 제3 접음선(FL3)은, 제2 접음선(FL2)보다 제2 단가장자리인 전단 가장자리(110F)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3 접음선(FL3)에 의해 절첩된 제4 접음 상태에서, 포장 시트(100)의 전단 가장자리(100F)는, 태그 테이프(102)에 의해 포장 시트(100)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포장 시트(100)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이 개별로 포장된 포장 상태가 된다(도 11 참조). 또한, 포장 시트(100)의 내면(100T)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측에 위치하는 면이고, 포장 시트(100)의 외면(100B)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접음선(FL1)과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1R) 사이의 제1 영역(R11)과, 제1 접음선(FL1)과 제2 접음선(FL2) 사이의 제2 영역(R12)과, 제2 접음선(FL2)과 제3 접음선(FL3) 사이의 제3 영역과, 제3 접음선(FL3)과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1F) 사이의 제4 영역(R14)을 갖는다.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 포장체(110)는, 제3 접음선(FL3)을 기점으로 절첩되지 않아도 좋다.In addition, the package body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ackage body based on the third folding line FL3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third folding state folded by the second folding line FL2. Is folded inward. The third fold line FL3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ront end edge 110F that is the second unit edge than the second fold line FL2. In the fourth folded state folded by the third folding line FL3, the front edge 100F of the packaging sheet 10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sheet 100 by the tag tape 102. In this way, the absorbent article 1 is individually packaged by the packaging sheet 100 (see Fig. 11).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100T of the packaging sheet 100 is a surface positioned on the absorbent article 1 side in the unfolded state, and the outer surface 100B of the packaging sheet 100 is the absorbent article 1 in the unfolded state. It is the sid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 In the absorbent articl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in the deployed state, a first region R11 between the first fold line FL1 and the rear edge 1R of the absorbent article 1 And, a second region R12 between the first fold line FL1 and the second fold line FL2, a third region between the second fold line FL2 and the third fold line FL3, and It has a fourth region R14 between the three fold line FL3 and the front end edge 1F of the absorbent article 1. In addition, in another form, the package body 110 does not need to be folded based on the third folding line FL3.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1A-1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게 되는 표면 시트(10)와,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을 향하게 되는 이면 시트(20)와,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배치된 흡수 코어(31)를 포함한다. 표면 시트(10)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쪽을 향한다. 이면 시트(20)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을 향하게 된다. 흡수 코어(31)는,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 재료를 포함하고,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A-1A shown in FIG. 1. The absorbent article 1 is disposed between the top sheet 10 facing the wearer's skin, the back sheet 20 facing the opposite side from the wearer's skin, and the top sheet 10 and the back sheet 20 Absorbent core (31). The surface sheet 10 faces toward the wearer's skin during use. The back sheet 20 faces the opposite side to the wearer's skin during use. The absorbent core 31 contains an absorbent material that absorbs body fluid, and extends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absorbent article.

표면 시트(10)는, 부직포, 직포, 유공(有孔) 플라스틱 시트, 메쉬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를 갖는 임의의 시트형의 재료로 구성된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The top sheet 10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a woven fabric, a perforated plastic sheet, a mesh sheet, or any other sheet-like material having a liquid-permeable structure. As the material for the woven or nonwoven fabric, either natural fibers or chemical fibers can be used.

이면 시트(20)는,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이다. 이면 시트(20)는, 폴리에틸렌 시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back sheet 20 is a liquid impermeable sheet. As the back sheet 20, a laminated nonwoven fabric mainly made of a polyethylene sheet, polypropylene, etc., a breathable resin film, a spun bond, or a sheet in which a breathable resin film is bonded to a nonwoven fabric such as spunlace can be used.

도 6은 흡수 코어의 평면도이다. 흡수 코어(31)는, 적어도 중앙 영역(S3) 및 후측 영역(S2)에 배치된다. 또한, 흡수체 코어는, 중앙 영역(S3)으로부터 전측 영역(S1)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 코어(31)는,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흡수 코어(31)는, 코어 랩(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도 좋다. 코어 랩은, 적어도 흡수 코어(31)보다 피부 대향면측에서 흡수 코어(31)를 덮고 있으면 좋다. 구체적 일례로서, 코어 랩은, 흡수 코어(31)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시트와, 흡수 코어(31)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시트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6 is a plan view of the absorbent core. The absorbent core 31 is disposed at least in the central region S3 and the rear region S2. Further, the absorber core may extend from the center region S3 to the front region S1. The absorbent core 31 may be made of an absorbent material that absorbs liquid. The absorbent core 31 may be surrounded by a core wrap (not shown). It is sufficient that the core wrap covers the absorbent core 31 at least on the side facing the skin than the absorbent core 31. As a specific example, the core wrap may have a sheet dispos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han the absorbent core 31, and a sheet disposed on the non-skin-facing side than the absorbent core 31.

흡수 코어(31)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는, 예컨대, 친수성 섬유, 펄프 및 고흡수성 고분자(SAP)로 형성할 수 있다. 코어 랩은, 예컨대 부직포나 티슈 시트로 구성할 수 있다. 코어 랩을 구성하는 피부 대향면측의 시트와 피부 비대향면측의 시트는, 동일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변형예로서, 흡수 코어(31)는, 코어 랩에 의해 덮여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흡수 코어(31)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에 의해 덮여 있으면 좋다.The absorbent material constituting the absorbent core 31 can be formed of, for example, hydrophilic fibers, pulp, and super absorbent polymer (SAP). The core wrap can be made of,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or a tissue sheet. The sheet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and the sheet on the non-skin-facing surface side constituting the core wrap may be constituted by the same sheet. As a modification, the absorbent core 31 may not be covered with a core wrap. In this case, the absorbent core 31 should just be covered with the top sheet 10 and the back sheet 20.

흡수 코어(31)는, 단위중량이 다른 영역을 복수 가져도 좋다. 도 6은 흡수 코어(31)의 피부 대향면측(T1)에서 본 평면도이다. 흡수 코어(31)는, 고단위중량부(33)와, 저단위중량부(34)와, 중단위중량부(35)를 적어도 가져도 좋다. 고단위중량부(33)의 흡수 재료(펄프)의 단위중량은, 중단위중량부(35)의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보다 높고, 중단위중량부(35)의 흡수 재료(펄프)의 단위중량은, 저단위중량부(34)의 흡수 재료(펄프)의 단위중량보다 높다. 고단위중량부(33)는, 주위의 흡수 코어(31)보다 두껍게, 중고부(36)를 구성한다. 고단위중량부(33)는, 전후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고단위중량부(331) 및 제2 고단위중량부(332)를 갖는다. 제2 고단위중량부(332)는, 제1 고단위중량부(331)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제1 고단위중량부(331)와 제2 고단위중량부(332)의 전후 방향(L) 사이에는, 제1 저단위중량부(341)가 배치되어도 좋다.The absorbent core 31 may have a plurality of regions having different unit weights. 6 is a plan view of the absorbent core 31 as viewed from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The absorbent core 31 may have at least a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 low unit weight portion 34, and a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ent material (pulp) of the high unit weight part 33 is higher than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ent material of the middle weight part 35, and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ent material (pulp) of the middle weight part 35 Silver is higher than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ent material (pulp) of the low unit weight part 34.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is thicker than the surrounding absorbent core 31 and constitutes the middle portion 36.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has a first high unit weight portion 331 and a second high unit weight portion 332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econd high unit weight portion 332 is located at a rear side of the first high unit weight portion 331. A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first high unit weight portion 331 and the second high unit weight portion 332.

고단위중량부(33)는,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 코어(31)의 중앙에 배치되어도 좋다. 고단위중량부(33)의 외측 가장자리는,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31E)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 위치하여도 좋다. 고단위중량부[제1 고단위중량부(331) 및 제2 고단위중량부(332)](33) 중 적어도 일부는, 중앙 영역(S3)에 배치되어도 좋다. 고단위중량부(33)는, 중앙 영역(S3)을 넘어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고단위중량부(33)의 전후 방향(L)의 중심은,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전측에 위치하여도 좋고, 중앙 영역(S3)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전측에 위치하여도 좋다. 또한, 고단위중량부(33)의 전후 방향(L)의 중심은, 제1 고단위중량부(331)의 전단 가장자리와 제2 고단위중량부(332)의 후단 가장자리의 전후 방향의 중심이 된다.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absorbent core 31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outer edge of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W than the outer edge 31E of the absorbent core 31. At least a part of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the first high unit weight portion 331 and the second high unit weight portion 332) 33 may be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S3.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may extend beyond the central region S3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absorbent article (1), and the front side of the center of the central region (S3) It may be located in 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is the cent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ront edge of the first high unit weight portion 331 and the rear edge of the second high unit weight portion 332 do.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단위중량부(33)에는,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에서 흡수 코어(31)의 피부 비대향면까지 두께 방향(T)으로 관통하는 관통공(38)이 복수 형성되어도 좋다. 관통공(38)은, 평면에서 보아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도 좋다. 관통공(38)이 고단위중량부(33)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한번에 많은 경혈이나 소변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에도, 흡수 코어(31) 내부에 체액을 인입하여, 오버 플로우하기 어렵다.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의 드라이성을 유지하여, 피트감 및 장착감의 양호함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5,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has a through hole 38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from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1 to the non-skin-facing surface of the absorbent core 31. A plurality of these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8 may be formed at intervals in plan view. Since the through hole 38 is formed i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even when a lot of body fluids such as acupuncture points or urine are excreted at once, it is difficult to draw in the body fluid into the absorbent core 31 and overflow. By maintaining the dryness of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intain a good fit and fit.

관통공(38)은, 고단위중량부(33)보다 후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후측 영역(S2)의 제2 저단위중량부(342)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잠자는 자세에 있어서 중력 방향에 따라 피부를 따라 흐르는 체액을, 흡수체측에 더욱 인입하기 쉽다.The through hole 38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or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342 of the rear region S2. In the sleeping posture, it is easier to draw in the body fluid flowing along the skin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to the absorber side.

고단위중량부(33)의 외측 가장자리(33E)와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31E) 사이 및 고단위중량부(33)의 전단 가장자리와 흡수 코어(31)의 전단 가장자리 사이에는, 고단위중량부(33)보다 단위중량이 낮고, 또한 저단위중량부(34)보다 단위중량이 높은 중단위중량부(35)가 배치되어 있다. 중단위중량부(35)는, 단위중량이 다른 영역 중,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 및 전단 가장자리에 배치된 영역이다. 또한,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31E)에 있어서 단위중량이 다른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외측 가장자리(31E)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영역이고, 흡수 코어(31)의 전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단위중량이 다른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전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의 중단위중량부(35)의 단위중량은, 300 g/㎡이고, 저단위중량부(34) 및 고단위중량부(33) 이외의 부분이며,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31E)의 전후 방향(L)의 전체 영역 및 흡수 코어(31)의 전단 가장자리의 폭 방향의 전체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Between the outer edge 33E of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outer edge 31E of the absorbent core 31, and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front edge of the absorbent core 31, high The mid-range weight portion 35 having a unit weight lower than that of the unit weight portion 33 and having a unit w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is disposed. The mid-range weight portion 35 is a region disposed at the outer edge and the front edge of the absorbent core 31, among regions having different unit weights. Further,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regions having different unit weights are provided in the outer edge 31E of the absorbent core 31, the region occupied by the outer edge 31E is the highest, and the front edge of the absorbent core 31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regions having different unit weights are provided, the region occupied by the shear edge is the highest. The unit weight of the mid-high weight portion 35 of this embodiment is 300 g/m2, which is a portion other than the low-unit weight portion 34 and the high-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31 It is arrange|positioned in the whole area|reg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31E, and the whole area|reg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end edge of the absorbent core 31.

저단위중량부(34)는, 제1 저단위중량부(341)와, 제1 저단위중량부(341)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제2 저단위중량부(342)와, 제2 저단위중량부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제3 저단위중량부(343)와, 전후 저단위중량부(345)를 적어도 가져도 좋다. 저단위중량부(34)는, 중단위중량부(35)보다 단위중량이 낮고, 강성이 낮다. 따라서, 흡수 코어(31)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저단위중량부가 가장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저단위중량부(34)가 변형되어 힘을 흡수하거나, 저단위중량부(34)가 흡수 코어(31)의 변형 기점이 되거나 한다.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includes a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a pair of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s 342 positioned behind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and a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341. You may have at least a pair of third low unit weight parts 343 and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parts 345 positioned at the rear side of the unit weight part.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has a lower unit weight than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and has low rigidity. Therefor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absorbent core 31, the low unit weight portion is most easily deformed. Accordingly,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is deformed to absorb the force, or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becomes a deformation starting point of the absorbent core 31.

저단위중량부(34)의 단위중량은, 150 g/㎡ 이하이면 좋고, 본 실시형태의 저단위중량부의 단위중량은, 100 g/㎡이다. 저단위중량부(34)는, 저단위중량부(34)에 인접하는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의 5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이어도 좋다. 저단위중량부(34)와 그 주변의 단위중량차를 크게 함으로써, 흡수 코어(31)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그 힘을 저단위중량부(34)에 국소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단위중량부가 변형되어, 흡수 코어(31)를 더욱 신체에 피트시킬 수 있다.The unit weight of the low unit weight part 34 may be 150 g/m 2 or less, and the unit weight of the low unit weight part in this embodiment is 100 g/m 2.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may be less than 50%, more preferably less than 35% of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ent core 31 adjacent to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By increasing the difference in unit weight between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and its surroundings,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absorbent core 31, the force can be locally concentrated on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Thereby, as described later, the low unit weight is deformed, and the absorbent core 31 can be further fitted to the body.

저단위중량부(34), 중단위중량부(35) 및 고단위중량부(33)는, 다음과 같이 규정하여도 좋다.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31E)에 있어서 가장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영역을 중단위중량부(35)로 한다. 단면에서 보아, 중단위중량부(35)의 두께에 대하여 20% 이상 두께가 두껍고, 평면 방향으로 신장하는 부분을 고단위중량부(33)로 한다. 고단위중량부(33)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는, 중단위중량부(35)의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고단위중량부(33)의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두께 방향(T)의 중심을 규정하고, 그 두께 방향(T)의 중심보다 두꺼운 부분을 고단위중량부(33)로 하고, 그 두께 방향(T)의 중심보다 얇은 부분을 중단위중량부(35)로 한다. 마찬가지로, 단면에서 보아, 중단위중량부(35)의 두께에 대하여 20% 이상 두께가 얇고, 평면 방향으로 신장하는 부분을 저단위중량부(34)로 한다. 저단위중량부(34)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는, 중단위중량부(35)의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저단위중량부(34)의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두께 방향의 중심을 규정하고, 그 두께 방향(T)의 중심보다 두꺼운 부분을 중단위중량부(35)로 하고, 그 두께 방향(T)의 중심보다 얇은 부분을 저단위중량부(34)로 한다.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and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may be defined as follows. The region in which the proportion occupied the most in the outer edge 31E of the absorbent core 31 is taken as the mid-to-mid portion 35. As seen from the cross-section, the portion that is 20% or more thick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middle portion 35 and extends in the planar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The boundary betwee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is between a portion extending i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and a portion extending i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The center of the thickness direction (T) is defined, and a portion thicker than the center of the thickness direction (T) is a high unit weight part (33), and a portion thinner than the center of the thickness direction (T) is the middle-to-mid position ( 35). Similarly, when viewed from the cross-section, a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20% or more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middle portion 35 and extending in the plan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The boundary between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and the middle weight portion 35 is between a portion extending in the plane direction of the middle weight portion 35 and a portion extending in the plane direction of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The center of the thickness direction is defined, the portion thicker than the center of the thickness direction (T) is designated as the mid-top weight portion (35), and the portion thinner than the center of the thickness direction (T) is designated as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do.

제2 저단위중량부(342)는, 제1 저단위중량부(341)와 전후 방향(L)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고, 제1 저단위중량부(341)보다 후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저단위중량부(342)는, 중앙 영역(S3)보다 후측에 위치하여도 좋고, 윙(3)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위치하여도 좋다. 제2 저단위중량부(342)는,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31E)로부터 폭 방향(W)의 내측을 향하여, 또한 폭 방향(W)에 대하여 경사하여 연장되어도 좋다.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34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and is provided behind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342 may be located at a rear side of the central region S3 or may be located at a rear side of the rear end edge of the wing 3. 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342 may extend from the outer edge 31E of the absorbent core 31 toward the inside of the width direction W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W.

제3 저단위중량부(343)는, 제2 저단위중량부(342)와 전후 방향(L)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고, 제2 저단위중량부(342)보다 후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3 저단위중량부(343)는, 후측 영역(S2)에 배치되어도 좋다. 제2 저단위중량부(342)는,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31E)로부터 폭 방향(W)의 내측을 향하여, 또한 폭 방향(W)에 대하여 경사하여 연장되어도 좋다.The third low unit weight portion 343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342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and is provided behind 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342. The third low unit weight portion 343 may be arranged in the rear region S2. 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342 may extend from the outer edge 31E of the absorbent core 31 toward the inside of the width direction W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W.

전후 저단위중량부(345)는, 후측 영역(S2)에 마련되어 있다. 전후 저단위중량부(345)는,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W)의 중심을 걸쳐도 좋다. 전후 저단위중량부(345)는,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W)의 중앙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전후 저단위중량부(345)는, 제2 고단위중량부(332)보다 후측 또한 중앙 영역(S3)보다 후측에 마련되어 있다. 전후 저단위중량부(345)는, 제2 고단위중량부(332)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도 좋다.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portions 345 are provided in the rear region S2.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portions 345 may span the center of the absorbent core 31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portions 345 are provid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the center of the absorbent core 31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portions 345 ar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high unit weight portion 332 and on the rear side of the central region S3.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portions 345 may extend from the rear end edge of the second high unit weight portion 332 toward the rear.

저단위중량부(34)는, 복수의 저단위중량 영역을 갖는다. 저단위중량부(34)는, 제2 접음선(FL2)보다 전단 가장자리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을 갖는다.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은, 제3 영역(R13) 및 제4 영역(R14)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고, 제1 저단위중량부(341)와, 제2 저단위중량부(342)의 일부와, 전후 저단위중량부(345)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저단위중량부(342)는, 제2 접음선(FL2)을 걸치고 있고, 제2 접음선(FL2)과 중첩되는 영역 및 제2 접음선(FL2)보다 후단 가장자리측의 영역은,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을 구성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전후 저단위중량부(345)는, 제2 접음선(FL2)을 걸치고 있고, 제2 접음선(FL2)과 중첩되는 영역 및 제2 접음선(FL2)보다 후단 가장자리측의 영역은,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 6에 있어서, 제2 저단위중량부(342)에 있어서의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 및 전후 저단위중량부(345)에 의한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에 사선을 그어 나타낸다. 또한,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은, 조금이라도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좋고, 폭 방향(W)에 평행이 아니면 좋다. 따라서, 제1 저단위중량부(341)의 전체는,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을 구성한다.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has a plurality of low unit weight regions.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has a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R41 that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front edge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FL2.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R41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third region R13 and the fourth region R14, and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and the second low unit It is constituted by a part of the weight part 342 and a part of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parts 345. 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342 has a second fold line FL2,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fold line FL2, and a region on the rear edge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FL2. The 2-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is not configured. Similarly,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portions 345 have a second fold line FL2,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fold line FL2, and a region on the rear edge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FL2,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is not configured. In FIG. 6,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R41 in 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342 and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R41 due to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portions 345 are oblique lines. To show. Moreover, the 2nd side low unit weight area|region R41 should just extend at least a litt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and should not be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W. Accordingly, the entir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constitutes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 중 적어도 일부는, 제3 접음 상태에 있어서 플랩 고정부(92)에 중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저단위중량부(341)에 있어서의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이, 제3 접음 상태에 있어서 플랩 고정부(92)에 중첩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은, 제3 접음 상태에 있어서, 제2 접음선(FL2)과 제1 접음선(FL1)의 전후 방향의 중심(CL12)보다 제1 접음선(FL1)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플랩 고정부(92)보다 전단 가장자리측의 영역에 있어서,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저단위중량부(341)의 일부는, 플랩 고정부(92)보다 전단 가장자리측으로서, 포장 상태에 있어서의 플랩 고정부(92)와 제1 접음선(FL1)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은, 조금이라도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좋고, 전후 방향에 평행이 아니면 좋다.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은,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에 도달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저단위중량부(341)는,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에 도달하고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second-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overlaps the flap fixing portion 92 in the third folded stat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in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overlaps the flap fixing portion 92 in the third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12,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is more than the center CL12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econd fold line FL2 and the first fold line FL1 in the third folded state. It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first folding line FL1.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region on the front edge side of the flap fixing portion 92 in the deployed state. Specifically, a part of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is on the front edge side of the flap fixing portion 92, and is between the flap fixing portion 92 and the first folding line FL1 in the packed state. It is placed in the area. In addition,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just needs to be slightly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not parallel to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may reach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31. Specifically,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reaches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31.

저단위중량부(34)는, 전후 방향(L)에 평행한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R42)을 갖는다.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R42)은, 전후 저단위중량부(34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R42)은, 제2 접음선(FL2)을 걸쳐 배치되어 있다.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R42)은, 제2 영역(R12)과 제3 영역(R13)에 배치되고, 제1 영역(제1 접음선보다 제1 단가장자리측의 영역)(R11)과 제4 영역(R14)에 배치되지 않는다.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has a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region R42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L.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regions R42 are constituted by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portions 345.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regions R42 are arranged across the second folding line FL2.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regions R42 are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R12 and the third region R13, and the first region (the region on the first edge of the first fold line) R11 and the fourth region It is not placed in (R14).

저단위중량부(34)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접음선(FL1)보다 후단 가장자리측에 배치된 제1 측 저단위중량 영역(R43)을 갖는다. 제1 측 저단위중량 영역(R43)은, 제1 영역(R11)에 위치하면 좋고, 제3 저단위중량부(343)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제3 저단위중량부(343)에 있어서의 제1 측 저단위중량 영역(R43)에 사선을 그어 나타낸다. 제1 측 저단위중량 영역(R43)은, 도 6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의 제1 접음선(FL1)과 플랩 고정부(92)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제1 접음선(FL1)측을 향하여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개 상태의 플랩 고정부(92) 및 본체 고정부(91)의 위치는, 포장 상태의 플랩 고정부(92) 및 본체 고정부(91)의 위치를 전개하였을 때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전개하였을 때의 플랩 고정부(92) 및 본체 고정부(91)의 위치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has a first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3 disposed on the rear edge side of the first fold line FL1 in the deployed state. The first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3 may be positioned in the first region R11 and is constituted by a part of the third low unit weight portion 343. In FIG. 6, the first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3 in the third low unit weight portion 343 is shown by drawing an oblique line. The first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3 has a width toward the first fold line FL1 in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FL1 and the flap fixing portion 92 in the expanded state shown in FIG. 6. It extends outward in the direction W.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s of the flap fixing part 92 and the main body fixing part 91 in the unfolded state are when the positions of the flap fixing part 92 and the body fixing part 91 in the packaged state are unfolded. This is the corresponding location. The positions of the flap fixing part 92 and the main body fixing part 91 when deployed are shown in FIGS. 1 and 2.

저단위중량부(34)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접음선(FL1)과 제2 접음선(FL2)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R44)을 갖는다.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R44)은, 제2 영역(R12)에 위치하면 좋고, 제3 저단위중량부(343)의 일부 및 제2 저단위중량부(342)의 일부 및 전후 저단위중량부(345)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R44)에 사선을 그어 나타낸다.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has an intermediate low unit weight region R44 disposed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FL1 and the second fold line FL2 in the deployed state. The intermediate low unit weight region R44 may be positioned in the second region R12, and a part of the third low unit weight part 343 and a part of the second low unit weight part 342 and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parts It is composed of part of (345). In Fig. 6, the middle low unit weight region R44 is shown by drawing a diagonal line.

계속해서, 도 1에 기초하여, 압착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압착부(81)는, 제1 저단위중량부(341) 중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고, 또한 제1 저단위중량부(341)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1 압착부(81)가 제1 저단위중량부(341)를 따라 연장되는 양태란, 제1 저단위중량부(341)가 연장되는 방향과, 제1 압착부(81)가 연장되는 방향이 일치하고 있는 구성뿐만 아니라, 양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5도 미만인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저단위중량부(341)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1 압착부(81)가 연장되는 방향은, 각 부분이 일정한 폭을 갖는 구성에 있어서는 그 부분의 폭중심을 잇는 선이 된다. 제1 압착부(81)는, 제1 저단위중량부(341) 중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어, 제1 저단위중량부(341)를 따라 마련되어도 좋다. 제1 압착부(81)의 외측 가장자리는,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31E)보다 내측에 위치하여도 좋고, 제1 압착부(81)의 내측 가장자리는, 제1 저단위중량부(341) 내에서 종단하여도 좋다. 제1 압착부(81)는, 고단위중량부(33)의 외측 가장자리(33E)(도 6 참조)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 위치하여도 좋다. 복수의 고단위중량부를 갖는 구성에 있어서는, 가장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고단위중량부의 외측 가장자리가 된다.Subsequently, based on FIG. 1, the crimping part is demonstrated. The first pressing portion 81 overlaps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and extends along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The aspect in which the first compression unit 81 extends along the first low unit weight unit 341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ow unit weight unit 341 extends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mpression unit 81 extends In addition to these matching configurations, configurations in which the angle formed by both directions is less than 5 degrees are included. 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extend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rimp portion 81 extends become lines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portion in a configuration in which each portion has a constant width. The first pressing portion 81 may overlap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and may be provided along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The outer edge of the first crimp portion 81 may be located inside the outer edge 31E of the absorbent core 31, and the inner edge of the first crimp portion 81 is the first low unit weight ( 341) may be terminated within. The first pressing portion 81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W than the outer edge 33E (see FIG. 6) of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In a configuration having a plurality of high unit weight parts, it becomes the outer edge of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제2 압착부(82)는, 제2 저단위중량부(342) 중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고, 또한 제2 저단위중량부(342)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2 압착부(82)의 외측 가장자리는,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여도 좋고, 제2 압착부(82)의 내측 가장자리는, 제2 저단위중량부(342)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여도 좋다. 제3 압착부(83)는, 제3 저단위중량부(343)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고, 또한 제3 저단위중량부(343)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3 압착부(83)의 외측 가장자리(83E)는,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31E)보다 내측에 위치하여도 좋고, 제3 압착부(83)의 내측 가장자리는, 제3 저단위중량부(343)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second pressing portion 82 overlap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342 and extends along 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342.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crimp portion 82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31, and the inner edge of the second crimp portion 82 is of 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342. It may be locat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W than the inner edge. The third pressing portion 83 overlaps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low unit weight portion 343 and extends along the third low unit weight portion 343. The outer edge 83E of the third crimp portion 83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outer edge 31E of the absorbent core 31, and the inner edge of the third crimp portion 83 is a third low unit. It may be locat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W than the inner edge of the weight part 343.

제1 압착부(81), 제2 압착부(82) 및 제3 압착부(83)는, 폭 방향(W)에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1 압착부(81), 제2 압착부(82) 및 제3 압착부(83)는,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W)의 중심을 지나며, 또한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이다.The 1st crimping part 81, the 2nd crimping part 82, and the 3rd crimping part 83 are provided in a pair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first crimping portion 81, the second crimping portion 82, and the third crimping portion 83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It is a line symmetry.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10)와 흡수 코어(31) 사이에 배치된 제2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가져도 좋다. 제2 시트는, 체액 등의 액체를 투과하는 액투과성의 시트여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제2 시트의 친수도는 표면 시트(10)의 친수도보다 높다. 제2 시트는, 표면 시트(10)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The absorbent article 1 may have a second sheet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top sheet 10 and the absorbent core 31. The second sheet may be a liquid-permeable sheet that permeates a liquid such as a body fluid. Preferably, the hydrophilicity of the second sheet is higher than that of the top sheet 10. The second sheet can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sheet 10.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10)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는 사이드 시트(15)를 가져도 좋다. 사이드 시트(15)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10)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으며, 표면 시트(10)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은 사이드 시트(15)를 가지고 있지만, 흡수성 물품(1)은 사이드 시트(15)를 갖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표면 시트(10)는 흡수 코어 전체를 덮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단이고, 내측 가장자리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단이다.The absorbent article 1 may have a side sheet 15 covering the outer edge of the top sheet 10. The side sheet 15 covers the outer edge of the top sheet 10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top sheet 10 in the width direction W.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absorbent article 1 has the side sheet 15, but the absorbent article 1 does not need to have the side sheet 15. In this case, the top sheet 10 may cover the entire absorbent core. In addition, the outer edge in this invention is an outer edg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inner edge is an inner edge in a width direction.

사이드 시트(15)는, 표면 시트(10)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단, 표면 시트(10)에 부착된 체액이, 사이드 시트(15)를 타고 넘어,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이드 시트(15)는, 소수성 또는 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15)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 윙(3) 및 히프 플랩(4)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The side sheet 15 can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sheet 10. However, in order to prevent bodily fluid adhering to the top sheet 10 from crossing over the side sheet 15 and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1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side sheet 15 , It is preferable to have hydrophobicity or water repellency. The side sheet 15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the wing 3 and the hip flap 4 in the width direction W.

흡수성 물품(1)은, 기립성의 샘 방지 개더(60)를 가져도 좋다. 샘 방지 개더(60)는, 표면 시트(10)의 피부 대향면측(T1)에 위치하고, 착용 시에 표면 시트(10)보다 피부 대향면측(T1)으로 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에 나타내는 1B-1B 선을 따른 흡수성 물품(1)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샘 방지 개더(60)가 기립한 기립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에 나타내는 1B-1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에 나타내는 1C-1C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기립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에 나타내는 1C-1C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The absorbent article 1 may have an erect leak prevention gather 60. The leak prevention gathers 60 are position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top sheet 10, and are configured to be able to stand up to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than the top sheet 10 when wor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1 taken along the line 1B-1B shown in FIG. 1 in an expanded state.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B-1B shown in Fig. 1 in a standing state in which the leakage preventing gather 60 is standing up.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C-1C shown in FIG. 1 in an expanded state.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C-1C shown in Fig. 1 in a standing state.

샘 방지 개더(60)는, 사이드 시트(15)와, 샘 방지 탄성 부재(6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샘 방지 개더(60)는, 샘 방지 탄성 부재(61)의 수축에 의해 기립하는 수축부(62)와, 수축부(62)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수축부의 기립의 기점이 되는 제1 기점부(63)와, 수축부(62)보다 전후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수축부의 기립의 기점이 되는 제2 기점부(64)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기점부(64)의 내측 가장자리(64I)는, 제1 기점부(63)의 내측 가장자리(63I)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기점부(63)의 내측 가장자리(63I)는, 제2 기점부(64)보다 전후 방향(L)의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 흡수 코어(31)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기점부(64)보다 전후 방향(L)의 내측의 영역에는, 중앙 영역(S3)이 포함되어 있다. 제2 기점부(64)의 내측 가장자리(64I)는, 흡수 코어(31)에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기점부(63)의 외측 가장자리(63E)는, 제2 기점부(64)의 외측 가장자리(64E)와 일치한다.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제1 기점부(63)의 외측 가장자리(63E)는, 제2 기점부(64)의 외측 가장자리(64E)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2 기점부(64)에서는, 사이드 시트(15)와 표면 시트(10)가 폭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2열의 접착 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열의 접착 영역에 의해 구성된 기점부의 내측 가장자리는, 가장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열의 접착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이다. 또한, 복수열의 접착 영역에 의해 구성된 기점부의 외측 가장자리는, 가장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열의 접착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이다.The leakage prevention gathers 60 are constituted by a side sheet 15 and a leakage prevention elastic member 61. The leak-preventing gatherer 60 is located outside the contraction part 62 which stands by contraction of the leakage prevention elastic member 61, and the width direction W than the contraction part 62,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rise of the contraction part It has a first starting point part 63 to be used, and a second starting point part 64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constriction part 62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and serves as a starting point of the standing of the contraction part. As shown in FIG. 1, the inner edge 64I of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64 is locat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W than the inner edge 63I of the first starting point portion 63. The inner edge 63I of the first starting point portion 63 is disposed outside the absorbent core 31 in the width direction W in a region inside the front-rear direction L than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64 Has been. In addition, the center region S3 is included in the region inside the front-rear direction L than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64. The inner edge 64I of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64 is dispos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absorbent core 31. The outer edge 63E of the first starting point part 63 coincides with the outer edge 64E of the second starting point part 64. Further, in another form, the outer edge 63E of the first starting point portion 63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W than the outer edge 64E of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64. Moreover, in the 2nd starting point part 64, the side sheet 15 and the top sheet 10 are comprised by two rows of bonding regions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The inner edge of the starting point portion constituted by the plurality of rows of bonding areas as described above is the inner edge of the bonding area of the row located inside the most widthwise direction. In addition, the outer edge of the starting point portion constituted by the plurality of rows of adhesive regions is the outer edge of the adhesive region of the row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사이드 시트(15)는, 수축부(62)의 선단에 있어서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절첩되어, 2층으로 적층되어 있고, 이 2층의 사이드 시트(15) 사이에 샘 방지 탄성 부재(61)가 배치되어 있다. 수축부(62)는, 제1 기점부(63)로부터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21)와, 연장부(621)의 내측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하여 폭 방향의 외측으로 절첩된 되접어 꺽음부(622)를 갖는다. 되접어 꺽음부(622)는, 샘 방지 탄성 부재(61)를 가지고, 연장부(621)는, 샘 방지 탄성 부재(61)를 갖지 않는다. 되접어 꺽음부(622)는, 플랩부(5)로부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플랩 영역으로서의 중앙 영역(S3)에 있어서 연장부(621)에 대하여 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되접어 꺽음부(622)는, 적어도 중앙 영역(S3)에 있어서 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기점부(64)보다 전후 방향의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 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되접어 꺽음부(622)는, 연장부(621)의 피부 대향면측(T1)에 배치되어 있다. 연장부(621) 및 되접어 꺽음부(622)는, 각각 2층의 사이드 시트(15)를 갖는다. 샘 방지 개더(60)의 기립 정점은, 되접어 꺽음부(622)의 외측 가장자리(선단)가 된다. 되접어 꺽음부(622)의 내측 가장자리는, 연장부(621)의 내측 가장자리와 일치한다. 되접어 꺽음부(622)의 외측 가장자리는, 연장부(621)의 외측 가장자리와 일치하여도 좋다. 되접어 꺽음부(622)의 외측 가장자리는, 도 7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side sheet 15 is fold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at the tip end of the contraction portion 62 and is laminated in two layers, and a leakage preventing elastic member ( 61) is placed. The contraction portion 62 is fold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using an extension portion 621 extending inward from the first starting point portion 63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an inner edge of the extension portion 621 as a starting point. It has a folded back portion 622 that has been made. The folded back portion 622 has a leak-preventing elastic member 61 and the extension portion 621 does not have a leak-preventing elastic member 61. The folded back portion 622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tand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portion 621 in the central region S3 as a flap region extending from the flap portion 5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folded back portion 622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stand up at least in the central region S3,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tand up in a region inside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64 Has been. The folded back portion 622 is dispos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extension portion 621. The extended portion 621 and the folded back portion 622 each have two layers of side sheets 15. The standing apex of the leak prevention gathers 60 is folded back and becomes the outer edge (tip) of the bent part 622. The inner edge of the folded back portion 622 coincides with the inner edge of the extension portion 621. The outer edge of the folded back portion 622 may coincide with the outer edge of the extension portion 621. The outer edge of the folded back portion 622 is disposed out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31 in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expanded state shown in FIG. 7.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기점부(64)보다 전후 방향(L)의 내측의 영역에서는, 되접어 꺽음부(622)는, 연장부(621)에 대하여 접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기점부(64)보다 전후 방향(L)의 내측의 영역에서는, 수축부(62)는, 제1 기점부(63)의 내단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착용자측으로 기립한다. 샘 방지 개더(60)의 기립 정점은, 되접어 꺽음부의 외측 가장자리(선단)가 된다.As shown in FIGS. 7 and 8, in a region inside the front-rear direction L than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64, the folded back portion 622 is not joined to the extension portion 621. Therefore, in the area|region inside the front-rear direction L than the 2nd starting point part 64, the contraction part 62 stands on the wearer side with the inner edge of the 1st starting point part 63 as a starting point. The standing apex of the leak prevention gathers 60 is folded back and becomes the outer edge (tip) of a bent part.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기점부(64)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되접어 꺽음부(622)와 연장부(621)를 접합하는 샘 방지 접합부(65)와, 샘 방지 접합부(65)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되접어 꺽음부(622)와 연장부(621)가 접합되지 않고 중첩되는 샘 방지 비접합부(66)를 갖는다. 샘 방지 접합부(65) 및 샘 방지 비접합부(66)는, 되접어 꺽음부(622)와 연장부(621)가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어 있다. 샘 방지 접합부(65)는, 되접어 꺽음부(622)와 연장부(621)가 대향하는 면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샘 방지 접합부(65)의 외측 가장자리(65E)는,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31E)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샘 방지 비접합부(66)는, 샘 방지 접합부(65)의 외측 가장자리와 되접어 꺽음부(622)의 외측 가장자리(622E)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즉, 샘 방지 비접합부(66)는, 되접어 꺽음부(622)의 외측 가장자리(622E)에 도달한다. 따라서, 제2 기점부(64)와 중첩되는 영역에서는, 수축부(62)의 되접어 꺽음부(622)는, 샘 방지 접합부(65)의 외측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착용자측으로 기립한다.9 and 10,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64, a leak-proof joint 65 for joining the folded back portion 622 and the extended portion 621, and a leak-proof joint portion It has a leak-proof non-joined portion 66 that is locat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W than 65, and is folded back and overlapped with the folded portion 622 and the extended portion 621 without being joined. The leak-proof bonding portion 65 and the leak-proof non-joining portion 66 are provided on a surface where the folded back portion 622 and the extended portion 621 face each other. The leak-proof joint 65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from the inner edge of the surface where the fold portion 622 and the extension portion 621 face each other by being folded back. The outer edge 65E of the leak prevention bonding part 65 is arrange|position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W than the outer edge 31E of the absorbent core 31. The leak-proof non-joined portion 66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edge of the leak-proof bonding portion 65 and the outer edge 622E of the folded portion 622. That is, the leakage preventing non-joined portion 66 is folded back and reaches the outer edge 622E of the bent portion 622. Accordingly,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64, the folded back portion 622 of the constricting portion 62 rises toward the wearer with the outer edge of the leak-proof joint 65 as a starting point.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이면 시트(2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마련된 점착부(70)를 갖는다. 점착부(70)는, 흡수성 물품(1)을 속옷 등의 착용 물품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제가 마련된 영역이다.As shown in FIG. 2 and the like, the absorbent article 1 has an adhesive portion 70 provid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T2 of the back sheet 20. The adhesive portion 70 is a region provided with an adhesive for fixing the absorbent article 1 to a worn article such as underwear.

점착부(70)는, 본체 점착부(71)와, 윙 점착부(72)와, 히프 플랩 점착부(73)를 가져도 좋다. 윙 점착부(72)는, 본 발명의 플랩 점착부를 구성한다. 본체 점착부(71)는, 본체부(2)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어, 본체부(2)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다. 본체 점착부(71)는, 흡수성 물품(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흡수 코어(31)와 중첩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본체 점착부(71)는, 적어도 중앙 영역(S3)으로부터 흡수성 물품(1)의 후방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점착부(71)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고, 또한 폭 방향(W)에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본체 점착부(71)는, 본체부(2)의 폭 방향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4개씩 배치되어 있다.The adhesive portion 70 may have a main body adhesive portion 71, a wing adhesive portion 72, and a hip flap adhesive portion 73.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constitutes the flap adhesiv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adhesive portion 71 is dispos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T2 of the body portion 2 and has an adhesive that fixes the body portion 2 to the undergarment. The body adhesive portion 71 is provid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absorbent core 31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absorbent article 1.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adhesive portion 71 extends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from at least the central region S3 to the rear of the absorbent article 1.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1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and is provided in plurality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s 71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disposed four by one with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 in the width direction therebetween.

본체 점착부(71)는, 본체 박리 시트(75)에 의해 덮여 있다. 본체 박리 시트(75)는, 포장 시트(100)와 흡수성 물품(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 박리 시트(75)는, 본체 고정부(91)를 통해 포장 시트(100)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본체 점착부(71) 및 본체 박리 시트(75)는, 제1 접음선(FL1), 제2 접음선(FL2) 및 제3 접음선(FL3)을 걸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고정부(91)는, 전후 방향(L)에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본체 고정부(91)는, 제1 영역(R11)에 마련된 제1 본체 고정부(911)와, 제2 영역(R12)에 배치된 제2 본체 고정부(912)와, 제3 영역에 배치된 제3 본체 고정부(913)와, 제4 영역(R14)에 배치된 제4 본체 고정부(914)를 갖는다. 또한, 본체 고정부(91)는, 적어도 제1 본체 고정부(911)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The body adhesive portion 71 is covered with the body release sheet 75.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is disposed between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absorbent article 1. The body release sheet 75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aging sheet 100 via the body fixing portion 91.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1 and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are disposed across the first fold line FL1, the second fold line FL2, and the third fold line FL3.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fixing part 91 is arrange|positio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at intervals in multiple numbers. The body fixing part 91 is disposed in a first body fixing part 911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R11, a second body fixing part 912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R12, and a third region The third body fixing portion 913 and the fourth body fixing portion 914 disposed in the fourth region R14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body fixing part 91 just needs to have at least the 1st body fixing part 911.

윙 점착부(72)는, 윙(3)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어, 윙(3)을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윙 점착부(72)는, 제1 윙 점착부(721)와, 제2 윙 점착부(722)를 갖는다. 제1 윙 점착부(721)는, 제1 플랩 점착부를 구성하고, 제2 윙 점착부(722)는, 제2 플랩 점착부를 구성한다. 제2 윙 점착부(722)는, 흡수성 물품(1)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윙 점착부(721)보다 폭 방향의 내측(윙의 근원측)에 위치한다. 히프 플랩 점착부(73)는, 히프 플랩(4)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어, 히프 플랩(4)을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다. 제1 윙 점착부(721)의 전단 가장자리는, 제2 윙 점착부(722)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제1 윙 점착부(721)의 후단 가장자리는, 제2 윙 점착부(722)의 후단 가장자리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일치하여도 좋다.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s dispos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T2 of the wing 3 and has an adhesive that fixes the wing 3 to the underwear. As shown in FIG. 2,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ncludes a first wing adhesive portion 721 and a second wing adhesive portion 722. The first wing adhesive portion 721 constitutes a first flap adhesive portion, and the second wing adhesive portion 722 constitutes a second flap adhesive portion. The second wing adhesive portion 722 is position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the root side of the wing) than the first wing adhesive portion 721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absorbent article 1.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 73 is disposed on the non-skin-facing surface side T2 of the hip flap 4 and has an adhesive that fixes the hip flap 4 to the undergarment. The front edge of the first wing adhesive portion 721 may be disposed behind the front edge of the second wing adhesive portion 722. The rear edge of the first wing adhesive portion 721 may coincide with the rear edge of the second wing adhesive portion 722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1 윙 점착부(721)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제2 윙 점착부(722)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도 좋다. 또한, 제1 윙 점착부(721)의 면적은, 제2 윙 점착부(722)의 면적보다 크다. 포장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윙(3)의 폭 방향(W)의 중심보다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윙 점착부(72)의 면적은, 윙의 폭 방향의 중심보다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윙 점착부(72)의 면적보다 커도 좋다. 윙(3)의 폭 방향(W)의 중심보다 내측의 영역은, 플랩 접음선(FL5)에 가까워, 윙(3)의 접음에 의한 주름이나 꼬임이 발생하기 쉽다. 윙(3)의 폭 방향(W)의 중심보다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윙 점착부(72)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플랩 접음선(FL5)의 근방에 있어서의 주름이나 꼬임을 억제하여, 윙 점착부(72)에 주름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윙(3)의 꼬임을 억제하여, 윙 점착부(72)끼리가 달라붙거나, 윙 점착부(72)가 의도치 않은 영역에 달라붙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wing adhesive portion 721 in the front-rear direction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wing adhesive portion 722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the area of the first wing adhesive portion 721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wing adhesive portion 722.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package, the area of the wing adhesion portion 72 in the area inside the center of the wing 3 in the width direction W is in the area outside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ng. It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The area inside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wing 3 is close to the flap fold line FL5, and wrinkles and twists due to the folding of the wing 3 are likely to occur.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n the area inside the area of the wing 3 in the width direction W, wrinkles and twists in the vicinity of the flap fold line FL5 are suppressed, and the wing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wrinkles and the like in the adhesive portion 72. In addition, twisting of the wings 3 is suppressed, and a problem in which the wing adhesive portions 72 stick together or the wing adhesive portions 72 stick to an unintended region can be suppressed.

윙 점착부(72) 및 히프 플랩 점착부(73)는, 플랩 접음선(FL5)과 폭 방향(W)에 있어서 이격되어도 좋다. 플랩 접음선(FL5)의 근방은, 윙(3) 및 히프 플랩(4)의 접음에 의한 주름이나 꼬임이 발생하기 쉽다. 윙 점착부(72) 및 히프 플랩 점착부(73)는, 플랩 접음선(FL5)과 폭 방향(W)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그 주름 등에 의해 윙 점착부(72)나 히프 플랩 점착부(73)가 의도치 않게 접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윙(3) 등의 꼬임을 억제하여, 윙 점착부(72)끼리나 히프 플랩 점착부(73)끼리가 달라붙거나, 윙 점착부(72) 등이 의도치 않은 영역에 달라붙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nd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 7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lap fold line FL5 in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vicinity of the flap fold line FL5, wrinkles and twists due to the folds of the wing 3 and the hip flap 4 are likely to occur.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nd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 73 are separated from the flap fold line FL5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thus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or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unintentional adhesion of (73). In addition, twisting of the wing 3 or the like is suppressed, so that the wing adhesive portions 72 or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s 73 stick together, or the wing adhesive portions 72 stick to an unintended area. You can suppress the problem.

윙(3)에 있어서 윙 점착부(72)가 마련되지 않은 영역의 강성은, 윙 점착부(72)가 마련된 영역의 강성보다 낮다. 마찬가지로, 히프 플랩(4)에 있어서 히프 플랩 점착부(73)가 마련되지 않은 영역의 강성은, 히프 플랩 점착부(73)가 마련된 영역의 강성보다 낮다. 윙 점착부(72)와 플랩 접음선(FL5) 사이 및 히프 플랩 점착부(73)와 플랩 접음선(FL5) 사이에, 비교적 강성이 낮은 영역을 마련함으로써, 그 영역에 있어서 윙(3) 등의 접음에 의한 변형을 흡수하여, 윙 점착부(72)나 히프 플랩 점착부(73)에 주름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윙(3) 등의 꼬임을 억제하여, 윙 점착부(72)끼리나 히프 플랩 점착부(73)끼리가 달라붙거나, 윙 점착부(72) 등이 의도치 않은 영역에 달라붙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The rigidity of the region in which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s not provided in the wing 3 is lower than that of the region in which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s provided. Similarly, the rigidity of the region where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 73 is not provided in the hip flap 4 is lower than the rigidity of the region where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 73 is provided. By providing a region with relatively low rigidity between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nd the flap fold line FL5 and between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 73 and the flap fold line FL5, the wing 3 or the like in the region By absorbing the deformation caused by folding of,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wrinkles or the like in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nd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 73. In addition, twisting of the wing 3 or the like is suppressed, so that the wing adhesive portions 72 or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s 73 stick together, or the wing adhesive portions 72 stick to an unintended area. You can suppress the problem.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윙(3) 및 히프 플랩(4)이 본체부(2)의 피부 대향면측(T1)에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윙 점착부(72) 및 히프 플랩 점착부(73)는, 흡수성 물품(1)의 표면측[포장 시트(100)를 향하는 면과 반대측]에 배치되고, 플랩 박리 시트(76)에 의해 덮여 있다. 윙(3)이 본체부(2)의 피부 대향면측(T1)에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한쌍의 윙 점착부(72)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히프 플랩(4)이 본체부(2)의 피부 대향면측(T1)에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한쌍의 히프 플랩 점착부(73)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in a state in which the wing 3 and the hip flap 4 are fold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main body 2,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nd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 73 ) Is dispos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1 (the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facing the packaging sheet 100), and is covered by the flap release sheet 76. In the state where the wing 3 is fold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body portion 2, the pair of wing adhesive portions 7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imilarly, in the state where the hip flap 4 is fold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main body 2, the pair of hip flap adhesive portions 7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플랩 박리 시트(76)는, 한쌍의 윙 점착부(72)를 덮고 있다. 또한, 플랩 박리 시트(76)는, 제2 접음선(FL2)을 걸쳐 배치되어 있고, 윙 점착부(72) 및 히프 플랩 점착부(73)의 양방을 덮는다.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 플랩 박리 시트(76)는, 윙 점착부(72)만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윙 점착부(72) 및 플랩 박리 시트(76)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접음선(FL2)보다 포장체의 전단 가장자리(110F)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The flap release sheet 76 covers the pair of wing adhesive portions 72. Moreover, the flap peeling sheet 76 is arrange|positioned over the 2nd fold line FL2, and covers both the wing adhesive part 72 and the bottom flap adhesive part 73. In addition, in another aspect, the flap release sheet 76 may be disposed so as to cover only the wing adhesion portion 72. At least a part of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edge 110F side of the package than the second folding line FL2.

포장 시트(100)는, 제1 접음선(FL1)보다 후단 가장자리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3 접음 상태에서, 플랩 박리 시트(76)와 포장 시트(100)의 외면(100B)은, 대향하고 있다. 플랩 박리 시트(76)는, 제3 접음 상태에 있어서, 플랩 고정부(92)를 통해 포장 시트(100)의 외면(100B)에 접합되어 있다. 플랩 고정부(92)는, 제2 접음선(FL2)보다 포장체(110)의 전단 가장자리(110F)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3 접음 상태에서, 포장 시트(100)와 플랩 박리 시트(76)가 마주보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The packaging sheet 100 extends to the rear end edge side than the first folding line FL1, and in the third folding state, the flap release sheet 76 and the outer surface 100B of the packaging sheet 100 face each other. .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bonded to the outer surface 100B of the packaging sheet 100 via the flap fixing portion 92 in the third folded state. The flap fixing portion 92 is disposed on the front edge 110F side of the package body 110 than the second fold line FL2, and in the third folded state,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 Is placed in the facing area.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상태에 있어서, 포장 시트(100)의 외면(100B)은, 플랩 고정부(92)를 통해 플랩 박리 시트(76)에 접합되고, 포장 시트(100)의 내면(100T)은, 본체 고정부(91)를 통해 본체 박리 시트(75)에 접합되어 있다. 본체 고정부(91)와 플랩 고정부(92)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다. 본체 고정부(91) 중 적어도 일부와, 플랩 고정부(92) 중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있으면 좋다.As shown in FIG. 12, in the packaged state, the outer surface 100B of the packaging sheet 100 is bonded to the flap release sheet 76 through the flap fixing portion 9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aging sheet 100 ( 100T) is bonded to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via the main body fixing part 91. The main body fixing part 91 and the flap fixing part 92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At least a part of the main body fixing part 91 and at least part of the flap fixing part 92 may overlap each other.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랩 박리 시트(76)는, 한쌍의 윙 점착부(72)를 걸쳐 배치되어 있지만, 다른 형태에 있어서, 플랩 박리 시트(76)는, 폭 방향으로 분리되어 있어, 각 윙 점착부(72)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플랩 박리 시트(76)가 각 윙 점착부(72)를 덮는 구성에 있어서는, 플랩 고정부(92)는, 각 플랩 박리 시트(76)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In addition, the flap release sheet 76 of this embodiment is arranged over a pair of wing adhesive portions 72, but in another form,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separat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each wing It may be arranged so as to cover the adhesive portion 72.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lap release sheet 76 covers each wing adhesive portion 72, the flap fixing portion 92 may be provided on each flap release sheet 76.

본체 고정부(91)에 의한 포장 시트(100)와 본체 박리 시트(75)의 접합 강도는, 본체 점착부(71)에 의한 본체 박리 시트(75)와 흡수성 물품의 접합 강도보다 높다. 그 때문에, 사용 시에, 포장 시트를 통해 본체 박리 시트(75)를 당겼을 때에, 포장 시트(100)와 본체 박리 시트(75)가 박리되지 않고, 본체 박리 시트(75)가 흡수성 물품(1) 및 본체 점착부(71)로부터 분리된다.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body release sheet 75 by the body fixing portion 91 is higher than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body release sheet 75 and the absorbent article by the body adhesive portion 71. Therefore, at the time of use, when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is pulled through the packing sheet, the packing sheet 100 and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are not separated, and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is absorbed by the absorbent article 1 ) And separated from the body adhesive portion 71.

마찬가지로, 플랩 고정부(92)에 의한 포장 시트(100)와 플랩 박리 시트(76)의 접합 강도는, 윙 점착부(72)에 의한 플랩 박리 시트(76)와 흡수성 물품(1)의 접합 강도보다 높다. 그 때문에, 사용 시에, 포장 시트를 통해 플랩 박리 시트(76)를 당겼을 때에, 포장 시트(100)와 플랩 박리 시트(76)가 박리되지 않고, 플랩 박리 시트(76)가 흡수성 물품 및 본체 점착부(71)로부터 분리된다.Similarly,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by the flap fixing portion 92 is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lap release sheet 76 and the absorbent article 1 by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Higher than Therefore, at the time of use, when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pulled through the packing sheet, the packing sheet 100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are not peeled off,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an absorbent article and a main body. It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part 71.

또한, 태그 테이프(102)와 포장 시트(100)의 접합 강도는, 포장 시트(100)와 본체 박리 시트(75)를 접합하는 본체 고정부(91)의 강도보다 높아도 좋다. 그 때문에, 포장 시트(100)와 본체 박리 시트(75)를 접합하는 본체 고정부(91)의 파손없이, 태그 테이프(102)를 쥔 채로, 포장체(110)를 전개할 수 있다.Further,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tag tape 102 and the packaging sheet 100 may be higher than the strength of the body fixing portion 91 that bonds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body release sheet 75 together. Therefore, the package body 110 can be unfolded while holding the tag tape 102 without damage to the main body fixing part 91 which bonds the packing sheet 100 and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together.

태그 테이프(102)와 포장 시트(100)의 접합 강도는, 본체 박리 시트(75)와 본체 점착부(71)의 접합 강도보다 높아도 좋다. 또한, 태그 테이프(102)와 포장 시트(100)의 접합 강도는, 플랩 박리 시트(76)와 윙 점착부(72)의 접합 강도보다 높아도 좋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에 따르면, 사용자는, 태그 테이프(102) 부근의 포장체(110)와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 근방을 잡고 전개하기 시작하여, 전개가 완료될 때까지 손을 고쳐 잡지 않고, 포장 시트(100)와 흡수성 물품을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태그 테이프(102)와 포장 시트(100)의 접합 강도가 본체 박리 시트(75)와 본체 점착부(71)의 접합 강도보다 높음으로써, 태그 테이프(102)와 포장 시트(100)의 접합을 유지하면서, 포장 시트(100)를 통해 본체 점착부(71)와 본체 박리 시트(75)를 박리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태그 테이프(102)와 포장 시트(100)의 접합 강도가 플랩 박리 시트(76)와 윙 점착부(72)의 접합 강도보다 높음으로써, 태그 테이프(102)와 포장 시트(100)의 접합을 유지하면서, 포장 시트(100)를 통해 윙 점착부(72)와 플랩 박리 시트(76)를 박리시킬 수 있다.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tag tape 102 and the packaging sheet 100 may be higher than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and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1. Further,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tag tape 102 and the packaging sheet 100 may be higher than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lap release sheet 76 and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s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packaging body of this embodiment, the user starts to unfold by holding the packaging body 110 near the tag tape 102 and the vicinity of the sh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 and the unfolding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absorbent article without holding the hand until it is fixed. At this time, sinc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tag tape 102 and the packaging sheet 100 is higher than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body release sheet 75 and the body adhesive portion 71, the tag tape 102 and the packaging sheet 100 are bonded. While maintaining, it is possible to peel the body adhesive portion 71 and the body release sheet 75 through the packaging sheet 100. Similarly, sinc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tag tape 102 and the packaging sheet 100 is higher tha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flap release sheet 76 and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the bonding of the tag tape 102 and the packaging sheet 100 While maintaining,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may be peeled through the packaging sheet 100.

계속해서, 도 1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포장체의 사용 시에 있어서의 전개 양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포장 시트(100)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이 개별로 포장된 포장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11A-11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도 11에 나타내는 11A-11A 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에 있어서의 전개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전개 공정 2 및 3의 포장체(1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전개 공정 4의 포장체(1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전개 공정 5의 포장체(1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전개 공정 6 및 7의 포장체(1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전개 공정 7의 포장체(1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전개 공정 4에 있어서의 포장체(1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3의 13A-13A 선의 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22는 도 13에 나타내는 13A-13A 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에 있어서의 전개 공정 4의 포장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19 및 도 20에 있어서는, 샘 방지 개더를 생략하고, 도 21 및 도 22에 있어서는, 샘 방지 개더(60)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전개 양태는, 일례이며, 사용자에 의해 다른 양태로 전개되어도 좋다.Subsequently,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20,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development mode in use of the packag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ed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1 is individually packaged by the packaging sheet 100.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1A-11A shown in FIG. 11. 13 to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pansion step in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11A-11A shown in FIG. 11. 13 shows the package body 110 of the development process 2 and 3. 14 shows the package body 110 of the development process 4. 15 shows the package 110 of the development process 5. 16 shows the package body 110 of the development process 6 and 7. 17 shows the package 110 in the development step 7. 18 is a diagram showing the package 110 in the development step 4.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3A-13A in FIG. 13. 20 to 22 are views showing the packaged body of the unfolding step 4 in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13A-13A shown in FIG. 13.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FIGS. 19 and 20, the leakage prevention gather is omitted, and in FIGS. 21 and 22, the leakage prevention gather 60 is shown. In addition, the deployment mode shown below is an example and may be developed in another mode by a user.

사용자는, 먼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포장 상태에서 포장체(110)를 전개하기 위해, 태그 테이프(102)를 파지하고, 제3 접음선(FL3)을 기점으로 흡수성 물품(1) 및 포장 시트(100)를 전개한다(전개 공정 1). 도 13은 제1 접음선(FL1) 및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절첩되고, 또한 제3 접음선(FL3)에 의해 절첩되지 않은 제3 접음 상태의 포장체(110)를 나타내고 있다.First, in order to unfold the package body 110 in the packaging state shown in Figs. 11 and 12, the user holds the tag tape 102, and the absorbent article 1 and the absorbent article 1 and the third fold line FL3 The packaging sheet 100 is unfolded (deployment step 1). FIG. 13 shows the package 110 in a third folded state that is folded with the first folding line FL1 and the second folding line FL2 as a starting point and not folded by the third folding line FL3. .

사용자는, 계속해서, 포장 시트(100)를 본체 점착부(71)로부터 박리한다(전개 공정 2). 더욱 상세하게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접음선(FL2)을 중심으로 하여 포장 시트(100)의 전단 가장자리(100F)를 회전 방향(X131)으로 이동시켜, 포장 시트(100)를 본체 점착부(71)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이때, 본체 박리 시트(75)는, 본체 고정부(91)에 의해 포장 시트(100)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 시트(100)와 함께 이동한다. 도 13에 있어서, 전개 공정 2에 있어서의 포장 시트(100) 및 본체 박리 시트(75)를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The user subsequently peels the packaging sheet 100 from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1 (deployment step 2).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3, the front edge 100F of the packaging sheet 100 is mov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X131 with the second fold line FL2 as the center, so that the packaging sheet 100 is moved. It is mov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adhesive part 71. At this time, since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is bonded to the packing sheet 100 by the main body fixing part 91, it moves together with the packing sheet 100. In FIG. 13,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in the development process 2 are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사용자는, 제2 접음선(FL2)의 근방까지 포장 시트(100)를 본체 점착부(71)로부터 박리한 후에, 제1 접음선(FL1)을 중심으로 하여 포장 시트(100)를 회전 방향(X132)으로 이동시켜, 포장 시트(100)를 본체 점착부(71)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시킨다(전개 공정 3). 도 13에 있어서, 전개 공정 3에 있어서의 포장 시트(100) 및 본체 박리 시트(75)를 실선으로 나타낸다.After peeling the packaging sheet 100 from the body adhesive portion 71 to the vicinity of the second fold line FL2, the user rotates the packaging sheet 100 around the first fold line FL1 in the rotation direction ( X132), the packaging sheet 100 is mov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1 (deployment step 3). In FIG. 13,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in the development step 3 are indicated by a solid line.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계속해서, 포장 시트(100) 및 흡수성 물품(1)을,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전개한다(전개 공정 4). 전개 공정 4에서는, 제3 접음 상태에서 제2 접음 상태로 포장체(110)를 전개한다.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 있어서, 포장 시트(100)와 플랩 박리 시트(76)는, 플랩 고정부(92)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접음 상태에서 제2 접음 상태로 포장체(110)를 전개하면, 포장 시트(100)를 통해 플랩 박리 시트(76)가 윙 점착부(7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제2 접음선(FL2)을 중심으로 하여 포장 시트(100)를 회전 방향(X14)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시트(100), 본체부(2) 및 플랩 박리 시트(76)가 회전 방향(X14)으로 이동하여, 플랩 박리 시트(76)가 윙 점착부(72)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한다. 도 14는 포장 시트와 같이 플랩 박리 시트가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랩 박리 시트가 윙 점착부(72)로부터 떨어진 상태이다.As shown in FIG. 14, the user then expands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absorbent article 1 starting from the second folding line FL2 (deployment step 4). In the deployment process 4, the package body 110 is unfolded from the third folded state to the second folded state. In the thir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second folding line FL2 as a starting point,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are joined via the flap fixing portion 92. Therefore, when the package body 110 is unfolded from the third folded state to the second folded state,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pulled away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through the packing sheet 100. In more detail, the user moves the packaging sheet 100 in the rotation direction X14 around the second fold line FL2. Thereby, as shown in FIG. 14, the packaging sheet 100, the main body part 2,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mov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X14,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the wing adhesive part 72 Move away from ). 14 is a state in which the flap release sheet mov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separat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like a packaging sheet.

사용자는, 또한 포장 시트(100)를 더욱 당겨, 포장 시트(100) 및 흡수성 물품(1)이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절첩되지 않고, 전개된 상태로 한다(전개 공정 5). 도 15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플랩 박리 시트(76)만이 제2 접음선(FL2)에 있어서 접혀 있고, 그 외의 부재는, 제2 접음선(FL2)에 있어서 접히지 않은 제1 접음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플랩 박리 시트(76)는 제2 영역(R12)에 위치하는 히프 플랩 점착부(73)에 접하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단면에서는, 히프 플랩 점착부(73)는 나타나지 않지만, 히프 플랩 점착부(73)에 대응하는 위치를 가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The user further pulls the packaging sheet 100 so that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absorbent article 1 are not folded at the second folding line FL2 as a starting point, but are in an unfolded state (unfolding step 5). In the state shown in Fig. 15, only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folded at the second fold line FL2, and the other members are in the first folded state not folded at the second fold line FL2. In this state,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in contact with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 73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R12. In the cross section shown in FIG. 15,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 73 does not appear, bu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 73 is virtually shown.

사용자는, 계속해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접음선(FL1)을 기점으로 포장 시트(100)를 회전 방향(X161)으로 이동시킨다(전개 공정 6). 이때, 포장 시트(10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본체 박리 시트(75) 및 플랩 박리 시트(76)는, 제1 접음선(FL1)을 기점으로, 회전 방향(X161)으로 이동한다. 제1 영역(R11)에 있어서, 본체 박리 시트(75)는, 본체 점착부(71)로부터 박리된다. 이때, 제2 접음선(FL2)보다 후단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플랩 박리 시트(76)는, 제2 영역(R12)의 히프 플랩 점착부(73)에 접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포장 시트(100)를 더욱 당기면, 포장체(110)는, 제1 접음선(FL1)을 기점으로 회전 방향(X162)(도 16) 및 회전 방향(X17)(도 17)으로 이동한다(전개 공정 7). 도 17은 포장 시트(100) 및 흡수성 물품(1)의 제1 접음선(FL1)보다 후단 가장자리측의 영역이, 제1 접음선(FL1)을 기점으로 회전 방향(X17)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포장 시트(100)와 함께 본체 박리 시트(75) 및 플랩 박리 시트(76)를 박리하여, 본체 점착부(71), 윙 점착부(72) 및 히프 플랩 점착부(73)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태그 테이프(102) 부근의 포장체(110)와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 근방을 잡고 전개하기 시작하여, 전개가 완료될 때까지 손을 고쳐 잡지 않고, 포장 시트(100)와 흡수성 물품을 분리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6, the user moves the packaging sheet 100 in the rotational direction X161 with the 1st folding line FL1 as a starting point (expanding process 6). At this time,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disposed with the packaging sheet 100 interposed therebetween mov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X161 with the first folding line FL1 as a starting point. In the first region R11,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is peeled from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1. At this time, the flap release sheet 76 positioned at the rear edge of the second fold line FL2 is in contact with the hip flap adhesive portion 73 of the second region R12. Therefore, when the user pulls the packaging sheet 100 further, the packaging body 110 will rotate in the rotation direction X162 (FIG. 16) and the rotation direction X17 (FIG. 17) based on the first folding line FL1. Move to) (deployment process 7). FIG. 17 shows a state in which the area on the rear edge side of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absorbent article 1 is moved in the rotation direction X17 based on the first fold line FL1. Is shown. The user peels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together with the packaging sheet 100 to expose the main body adhesion part 71, the wing adhesion part 72, and the hip flap adhesion part 73. I can make it. According to this unfolding method, the user starts to unfold by holding the package body 110 near the tag tape 102 and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 without fixing his hand until unfolding is completed,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separated.

전술한 전개 공정 4는, 사용자에 따라서는, 제1 접음선(FL1) 근방에 있어서 포장 시트(100) 및 흡수성 물품(1)을 파지하고,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하여 제1 접음선(FL1) 근방의 포장체를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개하면, 포장 시트(100)를 전개하는 힘이 플랩 고정부(92)에 전해지기 쉬워, 윙 점착부(72)로부터 플랩 박리 시트(76)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deployment step 4, depending on the user,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absorbent article 1 are hel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fold line FL1, and the first fold line FL2 is used as a starting point. The package body near the fold line FL1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When deployed in this manner, the force for spreading the packaging sheet 100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flap fixing portion 92,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서는, 전술한 전개 공정 4와 같이, 그 전의 전개 공정 3에 계속하여, 포장 시트(100)의 전단 가장자리(100F)측을 파지하고, 포장 시트(100)를 당겨 전개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한쪽 손으로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1F)를 파지하고, 다른쪽 손으로, 포장 시트(100)의 전단 가장자리(100F)를 파지하여, 제1 접음선(FL1)과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1F)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포장 시트(100)를 본체 점착부(71)로부터 박리하고(전개 공정 3), 그대로 포장 시트(100) 및 흡수성 물품(1)을 파지하여, 포장 시트(100)를 통해 제1 접음선(FL1)에 대하여 힘을 가하여, 포장체(110)를 전개한다(전개 공정 4).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110)는, 이와 같이,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포장 시트(100)를 파지하여, 포장체(110)를 전개할 때에, 본체 박리 시트(75)를 본체 점착부(71)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하며,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However, depending on the user, the wrapping sheet 100 is pulled and unfolded by holding the front edge 100F side of the packaging sheet 100 following the unfolding process 3 before that, as in the unfolding process 4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for example, by holding the shear edge 1F of the absorbent article 1 with one hand and the shear edge 100F of the packaging sheet 100 with the other hand, the first folding line FL1 ) And the front edge 1F of the absorbent article 1, the packaging sheet 100 is peeled from the body adhesive portion 71 (deployment step 3), and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absorbent article ( 1) is gripped, and a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folding line FL1 through the packaging sheet 100 to unfold the package body 110 (unfolding step 4). In this way, the packaging body 110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olds the packaging sheet 100 in the unfolding step 4 to unfold the packaging body 110 by using the body release sheet 75 as the body. It is configured to be easily peeled from the adhesive portion 71, and the flap peeling sheet 76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포장 시트(100)를 통해 제1 접음선(FL1)에 대하여 힘을 가하면, 포장체(110)는, 제2 접음선(FL2)을 중심으로 하여 제1 접음선(FL1)측이 회전 방향(X14)(도 14)으로 이동하고, 그 이동에 따라 포장 시트(100)와 함께 플랩 박리 시트(76)가 회전 방향(X14)으로 이동하여, 제3 영역(R13)에 있어서 플랩 박리 시트(76)가 윙 점착부(72)로부터 떨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unfolding process 4,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fold line FL1 through the packing sheet 100, the package body 110 is centered on the second fold line FL2. The first folding line FL1 side moves in the rotation direction X14 (FIG. 14), 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 flap release sheet 76 together with the packaging sheet 100 moves in the rotation direction X14.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separat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n the three regions R13.

이 제2 접음선(FL2)측을 중심으로 하여 제1 접음선(FL1)측을 회전 방향(X14)으로 이동시킬 때는, 포장 시트(100)뿐만 아니라, 흡수성 물품(1) 전체를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포장 시트(100)에만 힘을 가하여도, 흡수성 물품(1)이 회전 방향(X14)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포장 시트(100)에만 전후 방향(L)으로 이동하는 힘이 걸려, 플랩 고정부(92)를 통해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당길 수 없다. 그 결과, 플랩 박리 시트(76)에 접하는 윙 점착부(72)에 의해 전단 응력이 발생하여, 제3 영역(R13)에 있어서 플랩 박리 시트(76)가 윙 점착부(72)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When moving the first folding line FL1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X14 centering on the second folding line FL2 side, the entire absorbent article 1 as well as the packaging sheet 100 is mov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Need to move. Even if a force is applied only to the packaging sheet 100, if the absorbent article 1 does not mov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X14, the force to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is applied only to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flap fixing portion 92 ) Through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not be pull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s a result, shear stress is generated by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n contact with the flap peeling sheet 76, and it is difficult for the flap peeling sheet 76 to fall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n the third region R13. There is a risk of losing.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110)에서는, 포장 시트(100)에 가해진 힘은, 본체 고정부(91)를 통해 본체 박리 시트(75)에 전해진다. 본체 박리 시트(75)는, 본체 점착부(71)와 접하고 있어, 흡수성 물품(1)에 힘을 전하기 쉽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포장 시트(100)를 통해 제1 접음선(FL1)측을 회전 방향(X14)을 향하게 하여 힘을 가하면, 본체 고정부(91)를 통해 본체 박리 시트(75)에 힘이 전해져, 흡수성 물품(1)의 제1 접음선(FL1)측이 회전 방향(X14)으로 이동하기 쉽다.In the package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rce applied to the packaging sheet 100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through the main body fixing portion 91. This is because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1, and it is easy to transmit a force to the absorbent article 1. When a user applies a force to the first folding line FL1 through the packaging sheet 100 in the rotation direction X14,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through the main body fixing portion 91, The side of the first fold line FL1 of the absorbent article 1 easily moves in the rotation direction X14.

본체 고정부(91)는, 플랩 고정부(92)와 두께 방향(T)으로 중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체 고정부(91)를 통해 포장 시트(100)로부터 본체 박리 시트(75) 및 흡수성 물품(1)에 힘을 전하며, 포장 시트(100) 및 본체 박리 시트(75)가 회전 방향(X14)으로 이동할 때에, 플랩 박리 시트(76)도 회전 방향(X14)으로 이동하기 쉬워, 플랩 박리 시트(76)를 용이하게 윙 점착부(72)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 박리 시트(75)를 본체 점착부(71)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하며,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The main body fixing part 91 overlaps the flap fixing part 92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Therefore,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packing sheet 100 to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and the absorbent article 1 through the main body fixing part 91, and the packing sheet 100 and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rotat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 When moving to X14),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also easily mov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X14,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ccordingly,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1,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본체 고정부(91) 및 플랩 고정부(92)는, 포장체(110)가 제1 접음선(FL1) 및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 있어서, 제2 접음선(FL2)과 제1 접음선(FL1)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제1 접음선(FL1)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제2 접음선(FL2)과 제1 접음선(FL1)의 전후 방향(L)의 중심은, 제3 영역(R13)의 전후 방향의 중심이 된다. 본체 고정부(91) 및 플랩 고정부(92)가 전개 공정 4에 있어서의 회전축이 되는 제2 접음선(FL2)으로부터 떨어져 있음으로써, 그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제2 접음선(FL2)을 중심으로 하여 제1 접음선(FL1)측이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체 고정부(91) 중 적어도 일부 및 플랩 고정부(92) 중 적어도 일부가, 제2 접음선(FL2)과 제1 접음선(FL1)의 전후 방향(L) 의 중심보다 제1 접음선(FL1)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더욱 적합하게는, 본체 고정부(91) 및 플랩 고정부(92)는, 제2 접음선(FL2)과 제1 접음선(FL1)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제1 접음선(FL1)측으로 편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fixing part 91 and the flap fixing part 92 are in a third folded state in which the package body 110 is folded with the first folding line FL1 and the second folding line FL2 as a starting point, The fold line FL2 and the first fold line FL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fold line FL1 side than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L.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2nd fold line FL2 and the 1st fold line FL1 becomes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3rd area|region R13. Since the main body fixing part 91 and the flap fixing part 92 are separated from the second folding line FL2 serving as the rotation axis in the unfolding process 4, the second folding line FL2 is removed in the unfolding process 4. As the center, the first folding line FL1 side tends to move in the rotation direction.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body fixing portion 9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p fixing portion 92 are first folded from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second folding line FL2 and the first folding line FL1. It may b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line FL1. More suitably, the body fixing part 91 and the flap fixing part 92 are the first folding line FL1 than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second folding line FL2 and the first folding line FL1. It is desirable to be convenient to the) side.

플랩 고정부(92)는, 포장체(110)가 제1 접음선(FL1) 및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 있어서,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한쌍의 윙 점착부(72) 사이의 영역에 중첩되어 있어도 좋다.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플랩 박리 시트(76)가 윙 점착부(72)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할 때에, 플랩 박리 시트(76)에 있어서의 플랩 고정부(92)에 접하는 영역이 먼저 이동하고, 플랩 박리 시트(76)에 있어서의 윙 점착부(72)에 접하는 영역이 추종하여 이동한다. 윙 점착부(72)와 플랩 고정부(92)가 중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도 18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윙(3)의 선단이 각 윙의 근원을 기점으로 하여 회전 방향(X18)으로 이동하여,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기립한다. 한쌍의 윙(3) 및 본체부(2)에 의해 대략 삼각형의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The flap fixing portion 92 is a pair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in the third folded state in which the package body 110 is folded with the first folding line FL1 and the second folding line FL2 as a starting point. It may be overlapped with the area between the wing adhesive portions 72 of. When the flap release sheet 76 moves away from the wing adhesive part 72 in the development process 4,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flap fixing part 92 in the flap release sheet 76 first moves, and the flap release sheet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wing adhesion portion 72 in (76) follows and moves. This is because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nd the flap fixing portion 92 did not overlap. 18 and 20, the tip of each wing 3 mov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X18 with the root of each wing as a starting point, and stands up from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absorbent article 1 . It is arranged so as to surround a substantially triangular space by a pair of wings 3 and the body portion 2.

윙(3) 및 본체부(2)가 삼각형을 구성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는, 플랩 박리 시트(76)의 폭 방향(W)의 중앙[플랩 고정부(92)와 중첩되는 부분]이 포장 시트(100)측으로 당겨져, 플랩 박리 시트(76)는 만곡한다. 그러나, 플랩 박리 시트(76)는, 포장 시트(100)와 함께 당겨짐으로써, 평면 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그 때문에,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윙(3)의 선단이 윙의 근원으로부터 기립하도록 변형된 상태에서 플랩 박리 시트(76)가 이동함으로써, 제1 접음 상태에 있어서의 윙 점착부(72)의 외측 가장자리가 플랩 박리 시트(76)로부터 박리되기 시작한다. 플랩 박리 시트(76)가 서서히 윙 점착부(72)로부터 떨어져,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wing 3 and the main body 2 are arranged to form a triangle, the center of the flap release sheet 76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part overlapping the flap fixing part 92) is the packaging sheet ( It is pulled to the 100) side,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curved. However, the flap release sheet 76 tries to maintain a flat state by being pulled together with the packaging sheet 100. Therefore, in the unfolding step 4,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tip end of the wing 3 is deformed to stand up from the root of the wing, so that the wing adhesion portion 72 in the first folded state is The outer edge begins to peel from the flap release sheet 76.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gradually separat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플랩 고정부(92)의 폭 방향(W)의 길이는, 본체 고정부(91)의 폭 방향(W)의 길이보다 짧아도 좋다.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각 윙(3)의 선단이 윙(3)의 근원에 대하여 기립하도록 변형되었을 때에, 각 윙의 선단을 본체부(2)의 폭 방향(W)의 중심측으로 더욱 당겨, 윙(3)의 기립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lap fixing part 92 in the width direction W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main body fixing part 91 in the width direction W. When the tip of each wing (3) is deformed to stand with respect to the root of the wing (3) in the development step 4, the tip of each wing is further pulled toward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body (2), and the wing (3) The standing angle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more easily peel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다른 형태에 있어서, 플랩 고정부(92)의 폭 방향(W)의 길이는, 본체 고정부(91)의 폭 방향(W)의 길이보다 길어도 좋다.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플랩 고정부(92)를 통해 플랩 박리 시트(76)를 폭 방향으로 넓은 범위에서 전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flap fixing part 92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main body fixing part 91. In the development process 4,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pulled out in the spreading direction in a wid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through the flap fixing part 92. Therefore,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peeled off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플랩 고정부(92)는, 한쌍의 윙 점착부(72)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윙 점착부(72)와 폭 방향에 있어서 이격하여 배치되어도 좋다.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각 윙(3)의 선단이 윙(3)의 근원에 대하여 기립하도록 변형되었을 때에, 윙(3)의 기립 각도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보다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The flap fixing part 9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ing adhesion part 72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region between the pair of wing adhesion parts 72. When the tip end of each wing 3 is deformed so as to stand with respect to the root of the wing 3 in the development step 4, the angle of standing of the wing 3 can be further increased. Therefore, the flap peeling sheet 76 can be peeled more easily from the wing adhesive part 72.

제1 윙 점착부(721)의 전단 가장자리는, 제2 윙 점착부(722)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윙 점착부(72)의 제2 단가장자리측의 가장자리인 전단 가장자리는, 전개 공정 4에 있어서의 전개 기점이 되는 제2 접음선(FL2)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이 된다. 윙(3)의 근원측에 위치하는 제2 윙 점착부(722)가, 윙(3)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1 윙 점착부(721)보다 제2 접음선(FL2)으로부터 떨어지는 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윙(3)이 본체부(2)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제1 접음 상태에 있어서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윙 점착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다. 그 때문에, 각 윙(3)의 선단이 각 윙(3)의 근원에 대하여 기립하도록 변형될 때에, 윙(3)의 근원측보다 윙(3)의 선단측이 먼저 기립하기 쉽다. 윙(3)의 기립 각도를 크게 하여, 윙 점착부(72)의 외측 가장자리와 플랩 박리 시트(76)를 서서히 박리시켜, 더욱 용이하게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The front edge of the first wing adhesive portion 721 may be disposed behind the front edge of the second wing adhesive portion 722. The front edge, which is the edge on the second end edge side of the wing adhesion portion 72, becomes a side separated from the second folding line FL2 serving as an unfolding starting point in the unfolding step 4. The second wing adhesive portion 722 positioned at the base side of the wing 3 is farther from the second folding line FL2 than the first wing adhesive portion 721 positioned at the tip side of the wing 3 It is extended. In the first folded state in which the wing 3 is folded to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2, the length of the wing adhesive portion locat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short. Therefore, when the tip end of each wing 3 is deformed to stand with respect to the root of each wing 3, the tip side of the wing 3 is more likely to rise earlier than the root side of the wing 3. By increasing the standing angle of the wing 3, the outer edge of the wing adhesive part 72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are gradually peeled off,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more easily peeled from the wing adhesive part 72. can do.

또한, 저단위중량부(34)의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은, 제2 접음선(FL2)보다 전단 가장자리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제2 접음선(FL2)보다 전단 가장자리측의 영역의 흡수 코어(31)는,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에 의해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형성되어, 폭 방향(W)으로 굴곡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플랩 박리 시트(76) 및 윙 점착부(72)를 통해 윙(3)이 당겨질 때에, 제2 접음선(FL2)보다 전단 가장자리측의 영역의 폭 방향(W)의 중심이 플랩 박리 시트(76)로부터 떨어지도록 변형된다. 제2 접음선(FL2)보다 전단 가장자리측의 영역의 흡수 코어(31)가 만곡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에 의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접음선(FL2)보다 전단 가장자리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윙(3)의 근원이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윙(3)의 기립 각도가 커진다. 따라서, 각 윙의 선단이 각 윙의 근원을 기점으로 하여 기립하여, 한쌍의 윙(3) 및 본체부(2)에 의해 대략 삼각형의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음 상태에 있어서의 윙 점착부(72)의 외측 가장자리가 플랩 박리 시트(76)로부터 박리되기 시작한다. 플랩 박리 시트(76)가 서서히 윙 점착부(72)로부터 떨어져,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R41 of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may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on the front edge side than the second fold line FL2. The absorbent core 31 in the region on the front edge side of the second folding line FL2 is formed with a deformation starting point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by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R41, and the width direction ( It becomes easy to bend with W). Therefore, in the development step 4, when the wing 3 is pulled through the flap release sheet 76 and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region on the front edge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FL2 The center of is deformed so that it is separated from the flap release sheet 76. The absorbent core 31 in the region on the front edge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FL2 is deformed into a curved shape.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8, the root of the wing 3 located in the region on the front edge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FL2 moves to the inside of the width direction W, and the wing 3 stands up. The angle increases. Therefore, the tip of each wing stands up from the root of each wing, and is arranged so as to surround a substantially triangular space by the pair of wings 3 and the body portion 2.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edge of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n the first folded state starts to peel from the flap release sheet 76.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gradually separat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또한, 저단위중량부(34)의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R42)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접음선(FL1)보다 후단 가장자리측의 제1 영역(R11)에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전개할 때는, 제2 접음선(FL2)보다 전단 가장자리측의 영역에 대하여, 제2 접음선(FL2)보다 제1 접음선(FL1)측의 영역을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접음선(FL1)과 플랩 고정부(92) 사이의 영역이 폭 방향의 내측으로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2 접음선(FL2)보다 전단 가장자리측의 영역이 폭 방향의 내측으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76) 및 윙 점착부(72)를 통해 윙(3)이 당겨질 때에, 윙의 근원이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윙(3)의 기립 각도가 커지기 쉽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Further,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regions R42 of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may not be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R11 on the rear edge side of the first folding line FL1 in the deployed state. In the development step 4, when expanding the second fold line FL2 as a starting point, the first fold line FL1 is more than the second fold line FL2 in the area on the front edge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FL2. Move the area on the) sid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At this time, since the area between the first fold line FL1 and the flap fixing part 92 is difficult to deform in the width direction, the area on the front edge side is relatively more than the second fold line FL2 in the width direction. It becomes easy to deform inward. Therefore, when the wing 3 is pulled through the flap release sheet 76 and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the root of the wing mov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the standing angle of the wing 3 is likely to increase. . Accordingly,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R42)은, 제2 영역(R12)에도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즉,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R42)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접음선(FL1)과 제2 접음선(FL2) 사이의 영역에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제1 영역(R11) 및 제2 영역(R12)의 양방에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R42)이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제2 접음선(FL2)보다 제1 단가장자리측의 영역이 더욱 변형되기 어려워지고, 상대적으로 제2 접음선(FL2)보다 전단 가장자리측의 영역이 폭 방향(W)의 내측으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76) 및 윙 점착부(72)를 통해 윙(3)이 당겨질 때에, 윙(3)의 근원부가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윙(3)의 기립 각도가 커지기 쉽다. 따라서, 윙(3)의 기립 각도가 더욱 커져,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regions R42 may not be provided also in the second region R12. That is,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regions R42 may not be provided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FL1 and the second fold line FL2 in the expanded state. Since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regions R42 are not provided in both the first region R11 and the second region R12, in the unfolding step 4, the first unit edge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FL2 The region becomes more difficult to deform, and the region on the front edge side is relatively more easily de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width direction W than the second fold line FL2. Therefore, when the wing 3 is pulled through the flap release sheet 76 and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the base portion of the wing 3 mov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standing angle of the wing 3 is likely to increase. . Therefore, the rising angle of the wing 3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flap peeling sheet 76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wing adhesion portion 72.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 및 플랩 고정부(92)는, 포장체(110)가 제1 접음선(FL1) 및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 있어서, 제2 접음선(FL2)과 제1 접음선(FL1)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제1 접음선(FL1)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전개할 때의 회전축이 되는 제2 접음선(FL2)으로부터 플랩 고정부(92)가 떨어져 있음으로써, 그 전개 시에 있어서, 포장 시트(100)를 당김으로써, 플랩 박리 시트(76)를 전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쉬워진다. 이때,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에 의한 변형 기점이 제1 접음선(FL1)측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제1 접음선(FL1)측에 있어서 윙(3)의 기립 각도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and the flap fixing portion 92 are in a third folded state in which the package 110 is folded with the first folding line FL1 and the second folding line FL2 as a starting point. In this case, the second folding line FL2 and the first folding line FL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folding line FL1 side than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L. The flap fixing part 92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fold line FL2, which becomes the rotation axis when the second fold line FL2 is unfolded as a starting point, and by pulling the packaging sheet 100 at the time of deployment, , It becomes easy to move the flap release sheet 76 in the developing direction. At this time, since the deformation starting point due to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R41 is provided on the first folding line FL1 side, the standing angle of the wing 3 on the first folding line FL1 side is further increased. You can make it big.

저단위중량부(34)의 제1 측 저단위중량 영역(R43)은, 전개 상태의 제1 접음선(FL1)과 플랩 고정부(92)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제1 접음선(FL1)측을 향하여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제1 접음선(FL1)과 플랩 고정부(92) 사이의 영역에, 제1 접음선(FL1)측을 향하여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형성된다. 두께 방향의 단면에서 보아, 플랩 고정부(92)보다 플랩 박리 시트측의 흡수 코어(31)는, 제1 측 저단위중량 영역(R43)에 의한 변형 기점에 의해 플랩 고정부(92)로부터 제1 접음선(FL1)을 향하여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포장 시트(100)를 통해 플랩 박리 시트(76)를 당겼을 때에, 플랩 박리 시트(76)에도, 플랩 고정부(92)로부터 제1 접음선(FL1)을 향하여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형성된다. 플랩 박리 시트(76)가 윙 점착부(72)로부터 이격하도록 변형되어,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The first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3 of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is a first fold line FL1 in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FL1 and the flap fixing portion 92 in the unfolded state. It may exten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toward the side.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ing line FL1 and the flap fixing part 92, a deformation starting point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toward the first folding line FL1 is formed. When viewed from the cross s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absorbent core 31 on the flap release sheet side than the flap fixing part 92 is removed from the flap fixing part 92 by the deformation starting point due to the first low unit weight region R43. 1 A deformation starting point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toward the fold line FL1 is formed. Therefore, when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pulled through the packaging sheet 100 in the development step 4, the flap release sheet 76 also has a width from the flap fixing portion 92 toward the first fold line FL1. A deformation origin extending outward in the direction W is formed.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de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ing adhesion part 72, so that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wing adhesion part 72.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는, 제4 전개 상태에 있어서, 플랩 점착부로서의 윙 점착부(72)가 의도치 않게 접착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되접어 꺽음부(622)의 외측 가장자리(622E)는, 흡수 코어(31)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수축부(62)의 되접어 꺽음부(622)는, 샘 방지 탄성 부재(61)를 가지고 있고, 중앙 영역(S3)에 있어서 연장부(621)의 내측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폭 방향의 외측 또한 착용자측으로 기립한다.The package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suppress a problem in which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s the flap adhesive portion is unintentionally adhered in the fourth unfolded state. Specifically, the outer edge 622E of the folded back portion 62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absorbent core 31 in the width direction. The fold-back portion 622 of the contraction portion 62 has a leak-preventing elastic member 61, and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inner edge of the extension portion 621 in the central region S3. Stand to the side.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윙(3)이 플랩 접음선(FL5)을 기점으로 절첩된 상태에서는, 플랩 접음선(FL5)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윙(3)과 본체부(2) 사이에, 샘 방지 개더(60)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의 윙(3)의 내면(전개 상태의 피부 대향면측)은, 되접어 꺽음부(622)의 외측 가장자리(622E)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윙(3)이 플랩 박리 시트(76)와 함께 당겨져 폭 방향(W)의 내측(X221)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윙(3)의 내면에 되접어 꺽음부(622)의 외측 가장자리(622E)가 닿아, 윙(3)의 폭 방향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도 22는 윙(3)의 내면에 되접어 꺽음부(622)의 외측 가장자리(622E)가 닿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되접어 꺽음부(622)의 외측 가장자리(622E)는, 흡수 코어(31)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며,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31E) 근방에 있어서 윙(3)을 폭 방향의 외측 또한 착용자측을 향하여 압박한다(X222). 따라서, 전개 공정 4에 있어서의 윙(3)의 꼬임을 억제하여, 윙 점착부(72)끼리가 달라붙거나, 윙 점착부(72)가 의도치 않은 영역에 달라붙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1, in a state in which the wing 3 is folded with the flap fold line FL5 as the starting point, between the wing 3 and the body portion 2 disposed with the flap fold line FL5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leakage prevention gathers 60 are arranged. Therefore, the inner surface of the wing 3 in the folded state (the skin-facing surface side in the expanded state) is disposed to face the outer edge 622E of the folded portion 622. As shown in Fig. 22, in the development step 4, when the wing 3 is pulled together with the flap release sheet 76 and moved to the inside (X221) in the width direction (W), it is plac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ing (3). The outer edge 622E of the folding part 622 abuts, and movement of the wing 3 to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regulated. 22 shows a state in which the outer edge 622E of the bent portion 622 touches the inner surface of the wing 3 by being folded back. The outer edge 622E of the folded back portion 622 is located outside the absorbent core 31 in the width direction, and closes the wing 3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outer edge 31E of the absorbent core 31 The outer side is also pressed toward the wearer side (X222).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wisting of the wings 3 in the development process 4, thereby suppressing the problem that the wing adhesive portions 72 stick to each other or the wing adhesive portions 72 stick to an unintended area. I can.

제1 기점부(63)의 내측 가장자리(63I)는, 중앙 영역(S3)에 있어서, 흡수 코어(31)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중앙 영역(S3)에 있어서의 수축부(62) 전체의 기립 지점은, 제1 기점부(63)가 된다. 상기 제1 기점부(63)의 내측 가장자리가 흡수 코어(31)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윙(3)이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려고 하였을 때에, 제1 접음 상태에 있어서의 윙(3)의 내면에 수축부(62)가 닿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랩부를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압박할 수 있어, 전개 공정 4에 있어서의 윙의 꼬임을 억제할 수 있다.The inner edge 63I of the first starting point portion 63 may be disposed outside the absorbent core 31 in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central region S3. The standing point of the entire constricted portion 62 in the central region S3 becomes the first starting point portion 63. Since the inner edge of the first starting point 63 is locat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W than the absorbent core 31, when the wing 3 tries to move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in the first folded state. It becomes easy for the contraction part 62 to touch the inner surface of the wing 3 in this. Accordingly, the flap portion can be pressed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wisting of the wing in the development step 4 can be suppressed.

또한, 제2 기점부(64)의 내측 가장자리(64I)는, 흡수 코어(31)에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제2 기점부(64)는, 전후 방향에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마련되어 있고,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제2 기점부(64) 사이의 영역은, 제2 기점부(64)를 기점으로 기립한다. 비교적 강성이 높은 흡수 코어(31)에 제2 기점부(64)가 중첩되어 있음으로써, 제2 기점부(64)에 의한 기립 지점이 안정되어,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제2 기점부(64)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수축부(62)가 더욱 기립하기 쉬워진다.Further, the inner edge 64I of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64 may be dispos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absorbent core 31.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s 64 are provided in pairs at interval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region between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s 64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is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64 as a starting point. Stand up. By overlapping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64 on the absorbent core 31 having relatively high rigidity, the standing point by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64 is stabilized, and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L) In the region between (64), the contraction portion 62 is more likely to stand up.

플랩 고정부(92)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한쌍의 윙 점착부(72) 사이의 영역에 중첩되어 있고, 윙 점착부(72)와 이격되어도 좋다.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사용자가 포장 시트(100)를 당기면,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플랩 박리 시트(76)가 윙 점착부(72)로부터 떨어지는 전개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16의 X162, 도 17의 X17). 이때, 윙 점착부(72)는, 폭 방향(W)에 있어서 플랩 고정부(92)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플랩 고정부(92)와 함께 전개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 평면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플랩 박리 시트(76)가 윙 점착부(72)로부터 박리되기 쉬워, 윙 점착부끼리가 달라붙거나, 윙 점착부(72)가 의도치 않은 영역에 달라붙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The flap fixing portion 92 may overlap the region between the pair of wing adhesive portions 72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n the deployment process 4, when the user pulls the packaging sheet 100, the flap release sheet 76 moves in the spreading direction away from the wing adhesion portion 72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X162 in FIG. 16, FIG. 17 x 17). At this time, since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s spaced apart from the flap fixing portion 92 in the width direction (W), it is difficult to move in the spreading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lap fixing portion 92, and it is easy to maintain a flat state. . Therefore, in the development process 4, the flap peeling sheet 76 is easily peel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nd the wing adhesive portions adhere to each other, or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dheres to an unintended area. You can suppress the problem.

샘 방지 개더(60)의 샘 방지 비접합부(66)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되접어 꺽음부(922)의 외측 가장자리(622E)에 도달하여도 좋다. 되접어 꺽음부(622)의 외측 가장자리는, 연장부(621)에 접합되지 않고, 연장부(621)에 대하여 기립한다. 되접어 꺽음부(622)가 폭 방향(W)의 외측 또한 착용자측으로 더욱 기립하기 쉬워져, 윙(3)을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압박하고, 윙(3)의 폭 방향(W)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The leakage preventing non-joined portion 66 of the leakage preventing gather 60 may be folded back to reach the outer edge 622E of the bent portion 922 in the expanded state. The outer edge of the fold-back portion 622 is not joined to the extension portion 621 but stands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portion 621. The folded back portion 622 is more likely to stan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toward the wearer, and the wing 3 is pressed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inside of the wing 3 in the width direction (W) Can regulate movement to

샘 방지 접합부(65)의 외측 가장자리(65E)는,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31E)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제2 기점부(64)와 중첩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되접어 꺽음부(622)의 기립 지점은, 샘 방지 접합부(65)의 외측 가장자리(65E)가 된다. 되접어 꺽음부(622)의 기립 지점이 흡수 코어(31)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되접어 꺽음 상태의 윙(3)이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이동하려고 하였을 때에, 윙의 내면에 수축부(62)가 닿기 쉽다. 윙(3)을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압박하여, 윙(3)의 폭 방향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The outer edge 65E of the leakage preventing joint 65 may be disposed outside the outer edge 31E of the absorbent core 31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standing point of the folded back portion 622 in the region overlapping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64 becomes the outer edge 65E of the leak-proof joint 65. Since the standing point of the folded back portion 622 is locat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W than the absorbent core 31, the wing 3 in the folded back state would have tried to move inside the width direction W. At this time, the contraction portion 62 is likely to touch the inner surface of the wing. By pressing the wing 3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wing 3 to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샘 방지 탄성 부재(61)는, 제1 접음 상태에 있어서, 플랩 박리 시트(76)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제1 접음 상태에 있어서의 플랩 박리 시트(76)보다 폭 방향(W)의 외측의 영역은, 플랩 박리 시트(76)에 의해 덮여 있지 않아, 그 강성이 낮고, 변형되기 쉽다. 상기 영역에, 되접어 꺽음부(622)의 샘 방지 탄성 부재(61)를 마련함으로써, 비교적 강성이 낮은 영역에 있어서의 윙(3)의 폭 방향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The leakage preventing elastic member 61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lap release sheet 76 in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first folded state. The area outside the flap release sheet 76 in the first folded state in the width direction W is not covered by the flap release sheet 76, and its rigidity is low and it is easily deformed. By providing the leak-preventing elastic member 61 of the folded portion 622 in the above reg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wing 3 in the width direction inward in a region having relatively low rigidity.

중앙 영역(S3)에는, 저단위중량부(34)가 마련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영역(S3)에는, 적어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저단위중량부(34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저단위중량부(34)는, 폭 방향의 중앙이 전측을 향하여 돌출한 만곡 형상이고,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앙 영역(S3)의 흡수 코어(31)는, 제1 저단위중량부(341)를 기점으로 굴곡하기 쉬워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랩 박리 시트(76) 및 윙 점착부(72)를 통해 윙(3)이 당겨질 때에,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W)의 중심이 플랩 박리 시트(76)로부터 떨어지도록 만곡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에 의해, 도 18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접음선(FL2)보다 전단 가장자리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윙(3)의 근원이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이동한다.A low unit weight portion 34 may be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S3. Specifically, a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extending at least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S3.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has a curved shape in which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and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The absorbent core 31 of the center region S3 is easily bent from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as a starting point.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2, when the wing 3 is pulled through the flap release sheet 76 and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bsorbent core 31 is flap It is deformed into a curved shape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release sheet 76.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8 and 22, the root of the wing 3 located in the region on the front edge side of the second folding line FL2 mov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따라서,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윙(3)의 근원이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플랩 박리 시트(76)가 전개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16의 X162, 도 17의 X17). 이때, 윙(3)을 수축부(62)에 의해 폭 방향의 외측으로 압박하여, 윙 점착부(72)를 평면 상태로 유지하기 쉽다. 윙 점착부(72)에 주름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development step 4, the flap release sheet 76 moves in the development direction while the root of the wing 3 mov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X162 in FIG. 16 and X17 in FIG. 17). At this time, by pressing the wing 3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contraction portion 62, it is easy to keep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n a flat stat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wrinkles and the like in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저단위중량부(34)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한쌍의 윙 점착부(72) 사이의 영역에 중첩되어도 좋다. 중앙 영역(S3)의 흡수 코어(31)는, 한쌍의 윙 점착부(72) 사이에서 저단위중량부(34)를 기점으로 굴곡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76)를 통해 윙 점착부(72)가 당겨질 때에, 윙(3)이 더욱 기립하기 쉬워진다. 이때, 수축부(62)에 의해 윙(3)을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압박하여, 윙 점착부(72)를 평면 상태로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윙 점착부(72)에 주름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면서, 플랩 박리 시트(76)를 전개 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may be overlapped with a region between the pair of wing adhesive portions 72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The absorbent core 31 of the central region S3 is easily bent from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between the pair of wing adhesive portions 72. Therefore, when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s pulled through the flap release sheet 76, the wing 3 is more likely to stand up. At this time, the wing 3 is urged to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by the contraction portion 62, so that it is easy to maintain the wing adhesion portion 72 in a flat state. Accordingly,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moved in the spreading direction, while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or the like in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peel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저단위중량부(34)는, 포장체(11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본체 점착부(71) 및 윙 점착부(72)에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마련되어도 좋다. 본체 점착부(71) 및 윙 점착부(72)에 중첩되지 않는 영역은, 장착 시에 속옷 등에 대하여 접합되지 않고, 변형되기 쉬운 영역이다. 상기 영역에 저단위중량부(34)를 마련함으로써, 흡수 코어(31)가 저단위중량부(34)를 기점으로 더욱 변형되기 쉽고, 윙(3)이 더욱 기립하기 쉬워진다. 플랩 박리 시트(76)와 윙(3)이 전개 방향으로 떨어지기 쉬워져, 윙(3)의 꼬임을 억제하면서,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may be provided in a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body adhesive portion 71 and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n the expanded state of the package body 110. A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body adhesive portion 71 and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is a region that is not bonded to an undergarment or the like at the time of wearing and is easily deformed. By providing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in the above region, the absorbent core 31 is more easily deformed starting from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and the wing 3 is more likely to stand up. The flap release sheet 76 and the wing 3 easily fall apart in the spreading direc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peel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while suppressing the twist of the wing 3.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는, 제4 전개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뒤틀림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플랩 고정부(92)보다 전단 가장자리측의 영역에 있어서,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전개할 때에, 사용자에 따라서는,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1F)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포장 시트(100)를 당기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한쪽 손으로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1F)를 파지하고, 다른쪽 손으로 포장 시트(100)를 당기면, 포장 시트(100)를 통해 힘이 가해지는 플랩 고정부(92)가 비스듬하게 당겨져, 플랩 고정부(92)와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1F) 사이의 영역의 본체부(2)에 뒤틀림이 생긴다. 플랩 고정부(92)와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1F) 사이의 영역의 본체부(2)에 뒤틀림이 생기면, 플랩 박리 시트(76)와 윙 점착부(72)가 서로 박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윙 점착부(72)에 의한 전단 응력이 생겨,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원활하게 박리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The package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absorb the dist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ourth unfolded state. Specifically,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R41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region on the front edge side of the flap fixing portion 92 in the deployed state. When expanding the second folding line FL2 as a starting point, depending on the user, it may be difficult to pull the packaging sheet 100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hear edge 1F of the absorbent article 1. When the front edge 1F of the absorbent article 1 is gripped with one hand and the packaging sheet 100 is pulled with the other hand, the flap fixing portion 92 applied by force through the packaging sheet 100 is obliquely It is pulled, and a distortion occurs in the body portion 2 in the region between the flap fixing portion 92 and the front edge 1F of the absorbent article 1.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ap release sheet 76 and the wing adhesive part 7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warping occurs in the main body 2 in the region between the flap fixing part 92 and the front edge 1F of the absorbent article 1 It becomes difficult to move. There is a fear that shear stress occurs due to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nd the flap peeling sheet 76 cannot be smoothly peel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이 플랩 고정부(92)보다 전단 가장자리(제2 단가장자리)(1F)측의 영역에 있어서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에 의해 본체부(2)의 뒤틀림을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저단위중량부(341)에 의한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이 변형되어,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에 있어서의 뒤틀림을 흡수할 수 있다. 도 23은 흡수성 물품의 평면에서 본 흡수 코어(31)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의 (a)는 변형 전의 상태이고, 도 23의 (b)는 변형 후의 상태이다. 예컨대,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1F)에 대하여, 플랩 고정부(92) 및 포장 시트(100)를 통해 윙(3)이, 도 21에 있어서의 좌측 또한 상측으로 당겨지면, 윙(3)에 의해 사이에 낀 본체부(2)에는, 좌측 또한 상측에 힘이 가해진다. 도 2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또한 상측을 향하여 본체부(2)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제1 저단위중량부(341)가 변형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2)의 좌측의 영역에 부호(X211)의 힘이 가해지고, 본체부의 우측에 부호(X211)의 힘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제1 저단위중량부(341)가 변형되어, 플랩 고정부(92) 및 본체 고정부(91)가 좌측 또한 상측을 향하여 기울어, 플랩 고정부(92)와 윙 점착부(72)의 뒤틀림을 흡수할 수 있다. 도 24는 전개 공정 4에 있어서의 포장체(110)의 사시도이고, 제4 전개 공정에 있어서 플랩 고정부(92)보다 전단 가장자리측의 영역의 뒤틀림을 흡수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4의 부호(22WCL)는, 본체부(2)의 폭 방향(W)의 중심을 나타내고 있다.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에 대하여 포장 시트를 대략 수직으로 당길 수 없는 경우라도,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이 뒤틀림을 흡수하여,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당길 수 있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R41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region on the front edge (second short edge) 1F side than the flap fixing portion 92, so that the second low unit The distortion of the main body 2 can be absorbed by the weight region R41.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3, 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R41 due to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is deformed, so that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L) and the width direction (W). It can absorb distortion. Fig. 2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deformation of the absorbent core 31 as viewed from a plan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Fig. 23(a) is a state before deformation, and Fig. 23(b) is a state after deformation.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front edge 1F of the absorbent article, when the wing 3 is pulled to the left side and the upper side in FIG. 21 through the flap fixing portion 92 and the packaging sheet 100, the wing 3 Thus, a force is applied to the body portion 2 sandwiched between the left and upper sides. As shown in FIG. 23B,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body 2 toward the left and upper sides,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is deformed. More specifically, the force of the symbol X211 is applied to the area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2, and the force of the symbol X211 is appli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Thereby,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341 is deformed, so that the flap fixing portion 92 and the main body fixing portion 91 are inclined toward the left and upward, and the flap fixing portion 92 and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Can absorb the distortion of.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ckage body 110 in the unfolding step 4, and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tortion of the region on the front edge side of the flap fixing portion 92 is absorbed in the fourth unfolding step. Reference numeral 22WCL in FIG. 24 denotes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 in the width direction W. Even when the packaging sheet cannot be pulled substantially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sh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absorbs distor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transferred to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Can be pulled approximately vertically. Accordingly,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플랩 고정부(92)와 제1 접음선(FL1)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플랩 고정부(92)와 제1 접음선(FL1) 사이의 영역은, 제4 전개 공정에 있어서, 전개 방향의 힘이 더욱 가해지기 쉽다. 플랩 고정부와 제1 접음선(FL1) 사이의 영역에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이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본체부(2)의 뒤틀림을 흡수하는 효과를 더욱 얻기 쉽다.The second low unit weight region R41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region between the flap fixing portion 92 and the first folding line FL1 in the deployed state. In the region between the flap fixing portion 92 and the first folding line FL1, in the fourth unfolding step, the force in the unfolding direction is more likely to be applied. Since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is provided in the region between the flap fixing portion and the first folding line FL1, the effect of absorbing the distortion of the main body 2 is more easily obtained.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은,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에 도달하여도 좋다.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1F)측의 영역과, 플랩 고정부(92)와 중첩되는 영역을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에 의해 분단할 수 있어, 본체부(2)의 뒤틀림을 흡수하는 효과를 더욱 얻기 쉽다.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may reach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31. The area on the front edge 1F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1 and the area overlapping with the flap fixing portion 92 can be divided by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area R41, It is easier to obtain the effect of absorbing distortion.

본체 고정부(91)는, 제1 본체 고정부(911)를 가져도 좋다. 제1 본체 고정부(911)는, 제1 영역(R11)에 마련되어 있고, 제1 접음선(FL1)보다 제1 단가장자리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음선보다 후단 가장자리측에 있어서 포장 시트(100) 및 본체 박리 시트(75)가 제1 본체 고정부(911)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전개되도록 포장 시트(100)를 당겼을 때에, 포장 시트(100) 및 본체 박리 시트(75)를 통해 흡수성 물품을 더욱 전개하기 쉬워진다. 제1 본체 고정부(911)는, 도 14의 회전 방향(X14)으로 포장체(110)를 이동시킬 때에, 이동시키는 영역(제2 접음선보다 후측의 영역)에 대하여 이동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시키는 영역 전체에 힘을 가하기 쉬워져, 더욱 원활하게 회전 방향(X14)으로 포장체(110)를 이동시켜,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포장체(110)를 전개할 수 있다.The body fixing portion 91 may have a first body fixing portion 911. The 1st body fixing part 911 is provided in the 1st area|region R11, and is arrange|positioned at the 1st end edge side rather than the 1st folding line FL1. Since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are joined at the first main body fixing portion 911 on the rear edge side of the first fold line, the second fold line FL2 is formed in the unfolding step 4. When the packaging sheet 100 is pulled to develop from the starting point, the absorbent article becomes more easily unfolded through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body release sheet 75. When moving the package body 110 in the rotation direction X14 of FIG. 14, the first main body fixing part 911 is located outside the mov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area (area behind the second folding line). . Accordingly, it is easy to apply a force to the entire area to be moved, and the package body 110 can be more smoothly moved in the rotation direction X14, and the package body 110 can be unfolded from the second fold line.

본체 고정부(91)는, 제1 본체 고정부(911)를 가지고, 저단위중량부(34)는, 제2 영역(R12)(제1 접음선과 제2 접음선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는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R44)을 가져도 좋다. 포장 시트(100)에 가해지는 힘은, 본체 고정부(91)를 통해 본체 박리 시트(75)에 전해진다. 본체 박리 시트(75)는, 본체 점착부(71)와 접하고 있어, 흡수성 물품(1)에 힘을 전하기 쉽다. 그 때문에, 제3 접음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포장 시트(100)를 통해 제1 접음선(FL1)에 대하여 힘을 가하였을 때에, 본체 고정부(91)를 통해 본체 박리 시트(75)에 힘이 전해져, 제2 접음선(FL2)을 중심으로 하여 본체부(2)의 제1 접음선측이 회전 방향(X162, X17)(도 16 및 도 17)으로 이동하기 쉽다. 제3 접음 상태에서 본체부(2)의 제1 접음선측이 제2 접음선(FL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2 영역(R12)의 흡수 코어(31)가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R44)을 기점으로 변형한다. 제2 영역(R12)의 흡수 코어(31)가 변형됨으로써, 플랩 박리 시트(76)가 제2 영역(R12)의 흡수 코어(31)에 추종하여 변형되고, 플랩 박리 시트(76)가 윙 점착부(72)로부터 이격하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R44)은, 제2 영역(R12)의 흡수 코어(31)가 변형되기 쉽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R44)은, 폭 방향에 대하여 연장되고, 또한 전후 방향에 대하여도 연장되어도 좋다. 즉,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R44)은,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또한 전후 방향에 대하여도 경사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2 영역(R12)의 흡수 코어가 전후 방향에서도 폭 방향에 있어서도 굴곡하기 쉬워, 윙 점착부(72)로부터 이격하도록 플랩 박리 시트(76)가 더욱 변형되기 쉬워진다.The body fixing part 91 has a first body fixing part 911, and the low unit weight part 34 is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R12 (a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and the second fold line). You may have a medium low unit weight region R44. The force applied to the packaging sheet 100 is transmitted to the body release sheet 75 through the body fixing portion 91.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1, and it is easy to transmit a force to the absorbent article 1. Therefore, when the user exerts a force on the first fold line FL1 through the packaging sheet 100 in the third folded state, the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body release sheet 75 through the main body fixing portion 91. The first fold line side of the main body 2 tends to move in the rotational directions X162 and X17 (FIGS. 16 and 17) centering on the second fold line FL2. In the third folded state, when the first folding line side of the main body 2 mov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round the second folding line FL2, the absorbent core 31 of the second region R12 has an intermediate low unit weight. The region R44 is transformed as a starting point. As the absorbent core 31 of the second region R12 is deformed,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deformed following the absorbent core 31 of the second region R12,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wing adhesion. It is de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rtion 72. Accordingly,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The medium low unit weight region R44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absorbent core 31 of the second region R12 is easily deformed,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r may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More preferably,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mediate low unit weight region R44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y also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the intermediate low unit weight region R44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and may als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absorbent core of the second region R12 is easily bent bo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is more easily de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ing adhesion portion 72.

본체 고정부(91)는, 제1 본체 고정부(911)와, 제2 본체 고정부(912)를 가져도 좋다. 제2 본체 고정부(912)는, 포장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접음선(FL1)과 제2 접음선(FL2) 사이의 제2 영역(R12)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영역(R11)과 제2 영역(R12)의 양방에 있어서 포장 시트(100) 및 본체 박리 시트(75)가 본체 고정부(91)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제2 접음선(FL2)을 기점으로 전개되도록 포장 시트(100)를 당겼을 때에, 제1 접음선(FL1)을 사이에 둔 양측에 힘을 가할 수 있어, 포장 시트(100) 및 본체 박리 시트(75)를 통해 흡수성 물품을 더욱 전개하기 쉬워진다.The main body fixing part 91 may have a first body fixing part 911 and a second body fixing part 912. The second body fixing portion 912 is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R12 between the first folding line FL1 and the second folding line FL2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package. In both the first region R11 and the second region R12,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body release sheet 75 are joined by a body fixing portion 91. When the packaging sheet 100 is pulled so as to develop from the second fold line FL2 as a starting point, force can be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fold line FL1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the packaging sheet 100 and the body release sheet Through (75), the absorbent article becomes easier to deploy.

제1 본체 고정부(911)와 제2 본체 고정부(912)는, 제3 접음 상태에서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중첩되어도 좋다. 제1 본체 고정부(911) 중 적어도 일부와 제2 본체 고정부(912) 중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있으면 좋다. 전개 공정 4에 있어서, 제1 본체 고정부(911) 및 제2 본체 고정부(912)에 의해 제1 접음선을 사이에 둔 양측에 힘을 가할 때에, 그 힘이 전달되기 쉬워져, 포장 시트 및 본체 박리 시트를 통해 흡수성 물품을 더욱 전개하기 쉬워진다.The first body fixing portion 911 and the second body fixing portion 912 may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in the third folded st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ody fixing portion 91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ody fixing portion 912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unfolding process 4, when a force is applied to both sides between the first folding line by the first body fixing portion 911 and the second body fixing portion 912, the force is easily transmitted, and the packaging sheet And the absorbent article is more easily developed through the body release sheet.

제3 접음선(FL3)보다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1F)측에는, 고단위중량부(33)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가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고단위중량부(33)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는, 고단위중량부(33)의 폭 방향의 외측 가장자리와 고단위중량부(33)의 전후 방향(L)의 단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다. 이 중, 전측에 위치하는 고단위중량부(33)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가, 제3 접음선(FL3)보다 전측에 있어서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고단위중량부(33)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는,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차에 따른 강성차가 생겨, 변형되기 쉽다. 고단위중량부(33)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에 의해, 전개 공정 4에 있어서의 본체부(2)가 뒤틀림을 흡수할 수 있다. 제3 접음선(FL3)보다 전측의 영역은, 포장체의 태그 테이프(102) 등의 한쪽 손으로 포장체를 파지하는 부분에 가깝다. 따라서, 포장체(110)를 파지하는 부분에 가까운 영역에 있어서 본체부(2)의 뒤틀림을 흡수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에 대하여 포장 시트(100)를 대략 수직으로 당길 수 없는 경우라도, 고단위중량부(33)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가 뒤틀림을 흡수하여,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당길 수 있다. 따라서,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The boundary betwee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W to the front edge 1F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1 from the third folding line FL3. The boundary betwee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middle weight portion 35 is at the outer e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unit edge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There is. Among these, the boundary betwee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W in front of the third folding line FL3. The boundary betwee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causes a difference in rigidity according to the unit weight difference of the absorbent material, and is easily deformed. Due to the boundary betwee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the body portion 2 in the development step 4 can absorb distortion. The area on the front side of the third folding line FL3 is close to a portion of the package body, such as the tag tape 102, that is held by one hand. Accordingly, distortion of the main body 2 can be absorbed in a region close to the portion that holds the package 110. Even when the packaging sheet 100 cannot be pulled substantially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sh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boundary betwee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absorbs distor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76 ) Can be pulled approximately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Accordingly,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고단위중량부(33)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에 의한 뒤틀림을 흡수하는 효과를 더욱 얻기 위해, 고단위중량부(33)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보다 전측에,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저단위중량부(34)를 마련하여도 좋다. 고단위중량부(33)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에 의한 강성차와, 저단위중량부의 변형에 의해 본체부(2)의 뒤틀림을 흡수할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obtain the effect of absorbing the distortion caused by the boundary betwee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the front side of the boundary betwee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A low unit weight portion 34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may be provided. The distortion of the main body 2 can be absorbed by the difference in rigidity due to the boundary betwee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middle weight portion 35 and the deformation of the low unit weight portion.

또한, 고단위중량부(33)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에 의한 뒤틀림을 흡수하는 효과를 더욱 얻기 위해, 고단위중량부(33)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보다 전측에, 점착부(70)가 마련되지 않은 비점착부를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하여도 좋다. 비점착부는, 장착 시에 속옷 등에 대하여 접합되지 않고, 변형되기 쉬운 영역이다.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비점착부를 마련함으로써, 본체부(2)의 비점착부와 중첩되는 영역이 변형되어, 본체부(2)의 뒤틀림을 흡수할 수 있다.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점착부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점착부가 전후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형태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점착부 사이의 영역이어도 좋다.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obtain the effect of absorbing distortion caused by the boundary betwee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the front side of the boundary betwee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In addition, a non-adhesive portion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70 is not provided may be provid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The non-adhesive portion is a region that is not bonded to the underwear or the like at the time of wearing and is easily deformed. By providing the non-adhesive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area overlapping the non-adhesive portion of the main body 2 is deformed, and the distortion of the main body 2 can be absorbed. The non-adhesive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a region between the adhesive portion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form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front-rear direction.

고단위중량부(33)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단위중량부(34) 및 비점착부는, 적어도 어느 하나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이들이 조합되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고단위중량부(33)와 중단위중량부(35)의 경계,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단위중량부(34) 및 비점착부는,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에 도달하여도 좋고,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에 도달하지 않아도 좋다.At least one of the boundary betwee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non-adhesive portion may be provided,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high unit weight portion 33 and the middle portion weight portion 35, the low unit weight portion 34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non-adhesive portion may reach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31. It is not necessary to reach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31.

또한, 제1 압착부(81)는,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를 구성하는 제1 저단위중량부(431)에 중첩되어 있다. 제1 압착부(81)에 의해, 변형에 따른 제1 저단위중량부(431)의 형태 붕괴를 억제할 수 있고, 흡수 코어(31)의 변형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과 제1 압착부(81)가 중첩되는 영역은, 주위의 흡수 코어(31)에 대하여 더욱 강성차가 생기기 쉬워, 더욱 변형 기점이 되기 쉽다. 따라서, 포장체의 전개 시에 흡수 코어(31)를 변형시켜, 더욱 원활하게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Further, the first pressing portion 81 overlaps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431 constituting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By the first compression portion 8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llapse of the shape of the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431 due to the deformation, and the deformation of the absorbent core 31 can be continued. Further, in the region where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and the first crimping portion 81 overlap, a difference in stiffness is more likely to occur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absorbent core 31, and it is more likely to become a deformation starting point. Accordingly, the absorbent core 31 is deformed when the package is unfolded, so that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more smoothly releas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마찬가지로, 제2 압착부(82)는,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R41) 및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R44)를 구성하는 제2 저단위중량부(432)에 중첩되어 있다. 제2 압착부(82)에 의해, 변형에 의한 제2 저단위중량부(432)의 형태 붕괴를 억제할 수 있고, 흡수 코어(31)의 변형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R44)과 제2 압착부(82)가 중첩되는 영역은, 주위의 흡수 코어(31)에 대하여 강성차가 생기기 쉬워, 더욱 변형 기점이 되기 쉽다. 따라서, 포장체의 전개 시에 흡수 코어(31)를 변형시켜, 더욱 원활하게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pressing portion 82 is overlapped with 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432 constituting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41 and the intermediate low unit weight region R44. By the second compression portion 82,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llapse of the shape of 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432 due to deformation, and the deformation of the absorbent core 31 can be continued. In addition, in the region where the intermediate low unit weight region R44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82 overlap, a difference in stiffness is likely to occur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absorbent core 31, and it is more likely to become a deformation starting point. Accordingly, the absorbent core 31 is deformed when the package is unfolded, so that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more smoothly releas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마찬가지로, 제3 압착부(83)는,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R44)를 구성하는 제3 저단위중량부(433)에 중첩되어 있다. 제3 압착부(83)에 의해, 변형에 의한 제3 저단위중량부(433)의 형태 붕괴를 억제할 수 있고, 흡수 코어(31)의 변형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R44)과 제3 압착부(83)가 중첩되는 영역은, 주위의 흡수 코어(31)에 대하여 강성차가 생기기 쉬워, 더욱 변형 기점이 되기 쉽다. 따라서, 포장체의 전개 시에 흡수 코어(31)를 변형시켜, 더욱 원활하게 플랩 박리 시트(76)를 윙 점착부(72)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Similarly, the third pressing portion 83 overlaps the third low unit weight portion 433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low unit weight region R44. By the third pressing portion 83,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llapse of the shape of the third low unit weight portion 433 due to deformation, and the deformation of the absorbent core 31 can be continued. In addition, in the region where the intermediate low unit weight region R44 and the third crimping portion 83 overlap, a difference in stiffness is likely to occur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absorbent core 31, and it is more likely to become a deformation starting point. Accordingly, the absorbent core 31 is deformed when the package is unfolded, so that the flap release sheet 76 can be more smoothly released from the wing adhesive portion 72.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는 일없이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조금도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modified and modified aspec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Therefor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description, and does not have any restrictive meaning with respect to this invention.

또한, 2018년 6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08170호의 전내용, 2018년 6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08171호 및 2018년 6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08172호의 전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삽입된다.In addition, the entire content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108170 filed on June 5, 2018,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108171 filed on June 5, 2018, and Japan filed on June 5, 2018 The entire contents of Patent Application No. 2018-108172 are incorporated into this specification by reference.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체를 전개할 때에, 본체 박리 시트를 본체 점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Advantageous Effects of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package capable of easily peeling the main body release sheet from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when the package is unfolded.

110: 포장체
1: 흡수성 물품
2: 본체부
3: 윙 플랩부(플랩부)
4: 히프 플랩부
10: 표면 시트
15: 사이드 시트
20: 이면 시트
31: 흡수 코어
34: 저단위중량부
341: 제1 저단위중량부
342: 제2 저단위중량부
343: 제3 저단위중량부
345: 전후 저단위중량부
60: 샘 방지 개더
61: 샘 방지 탄성 부재
62: 수축부
621: 연장부
622: 되접어 꺽음부
63: 제1 기점부
64: 제2 기점부
65: 샘 방지 접합부
66: 샘 방지 비접합부
70: 점착부
71: 본체 점착부
72: 윙 점착부(플랩 점착부)
721: 제1 윙 점착부
722: 제2 윙 점착부
73: 히프 플랩 점착부
75: 본체 박리 시트
76: 플랩 박리 시트
91: 본체 고정부
911: 제1 본체 고정부
912: 제2 본체 고정부
913: 제3 본체 고정부
914: 제4 본체 고정부
92: 플랩 고정부
100: 포장 시트
102: 태그 테이프
110: 포장체
FL1: 제1 접음선
FL2: 제2 접음선
FL3: 제3 접음선
FL5: 플랩 접음선
L: 전후 방향
R11: 제1 영역
R12: 제2 영역
R13: 제3 영역
R14: 제4 영역
R41: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
R42: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
R43: 제1 측 저단위중량 영역
R44: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
T: 두께 방향
T1: 피부 대향면측
T2: 피부 비대향면측
W: 폭 방향
110: package
1: absorbent article
2: main body
3: Wing flap part (flap part)
4: Bottom flap
10: surface sheet
15: side seat
20: back sheet
31: absorbent core
34: low unit weight part
341: first low unit weight part
342: second low unit weight part
343: third low unit weight part
345: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parts
60: leak-proof gather
61: leakage preventing elastic member
62: contraction
621: extension
622: fold back
63: first starting point
64: second starting point
65: leak-proof junction
66: leak-proof non-junction
70: adhesive part
71: body adhesive portion
72: wing adhesive portion (flap adhesive portion)
721: first wing adhesive portion
722: second wing adhesive portion
73: bottom flap adhesive portion
75: main body release sheet
76: flap release sheet
91: body fixing part
911: first body fixing part
912: second body fixing portion
913: third body fixing part
914: fourth body fixing part
92: flap fixing part
100: packing sheet
102: tag tape
110: package
FL1: first fold line
FL2: second fold line
FL3: 3rd fold line
FL5: Flap fold line
L: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R11: first area
R12: second area
R13: third area
R14: fourth area
R41: second side low unit weight area
R42: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area
R43: low unit weight area on the first side
R44: medium low unit weight area
T: thickness direction
T1: The side facing the skin
T2: the non-facing side of the skin
W: width direction

Claims (31)

포장 시트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랩부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본체 점착부와,
상기 플랩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랩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플랩 점착부와,
상기 본체 점착부를 덮고, 또한 상기 포장 시트와 본체 고정부를 통해 접합된 본체 박리 시트와,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랩 점착부를 덮는 플랩 박리 시트
를 가지고,
상기 포장체는,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제1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체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인 제1 단가장자리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며, 상기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2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단가장자리와 반대측의 제2 단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고,
상기 플랩 점착부 및 상기 플랩 박리 시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음선보다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 시트와 상기 플랩 박리 시트가 마주보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와 상기 플랩 박리 시트를 접합하는 플랩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제3 접음 상태에서, 상기 본체 고정부와 상기 플랩 고정부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As a packaging body of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individually packaged by a packaging sheet,
The absorbent article,
The body part,
A flap portion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body portion,
A body adhesive portion dispos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n adhesive for fixing the body portion to the undergarment;
A flap adhesive portion disposed on the side of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flap portion and having an adhesive for fixing the flap portion to the underwear,
A body release sheet covering the body adhesive portion and bonded through the packaging sheet and the body fixing portion,
A flap release sheet covering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Have,
The package body, in a first folded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a first folding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unit edge, which is an outer edge of the packag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a starting point. A second folded inward of the package body,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econ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first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and positioned on a second edge side opposite to the first edge It is folded into the inside of the package body from the fold line,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disposed on the second edge side of the second folding line,
In a thir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second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in a region where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face each other, a flap fixing portion for bonding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In the third folded state, the body fixing portion and the flap fixing portion are overlapped in a thicknes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고정부 및 상기 플랩 고정부는, 상기 포장체가 상기 제1 접음선 및 상기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음선과 상기 제1 접음선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상기 제1 접음선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dy fixing part and the flap fixing part are in a state in which the package body is folded with the first folding line and the second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before and after the second folding line and the first folding line. A package for an absorbent article, which is disposed on the first folding li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한쌍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플랩 점착부는, 상기 한쌍의 플랩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플랩 박리 시트는, 상기 한쌍의 플랩 점착부를 덮고 있고,
상기 플랩 고정부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랩 점착부 사이의 영역에 중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lap portions are provided in a pair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flap adhesive portions are provided respectively on the pair of flap portion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lap portions are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flap release sheet covers the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The said flap fixing part is a package body of an absorbent article which overlaps with the area|region between the said pair of flap adhesive parts in the said thickness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고정부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는, 상기 본체 고정부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긴,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length of the flap fix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longer than a length of the body fix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고정부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는, 상기 본체 고정부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length of the flap fix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shorter than a length of the body fix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고정부는, 한쌍의 플랩 점착부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플랩 점착부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packaging body for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lap fixing portion is disposed in a region between the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점착부는, 제1 플랩 점착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랩 점착부보다 상기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플랩 점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플랩 점착부의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 플랩 점착부의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의 가장자리보다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lap adhesive portion has a first flap adhesive portion and a second flap adhesive portion position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first flap adhesive portion in the deployed stat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packaging body of an absorbent article, wherein an edge of the first flap adhesive portion on the side of the second edge is disposed on the second edge side of the second flap adhesive portion from an edge on the side of the second edge of the second flap adhesive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고정부는, 상기 제1 접음선보다 상기 제1 단가장자리측의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본체 고정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ody fixing portion has a first body fixing portion disposed in a first area on the first edge side of the first folding li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고정부는, 상기 제1 본체 고정부와, 상기 포장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음선과 상기 제2 접음선 사이의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본체 고정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main body fixing portion, the first body fixing portion, and a second body fixing portion disposed in a second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ing line and the second folding line in an unfolded state of the package body Having a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고정부와 상기 제2 본체 고정부는, 상기 제3 접음 상태에서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first body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body fixing portion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third folded state. 포장 시트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 폭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플랩부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본체 점착부와,
상기 각 플랩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한쌍의 플랩 점착부와,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플랩 점착부를 덮는 플랩 박리 시트
를 가지고,
상기 포장체는,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제1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체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인 제1 단가장자리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며, 상기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2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단가장자리와 반대측의 제2 단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고,
상기 플랩 점착부 및 상기 플랩 박리 시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음선보다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 시트와 플랩 박리 시트가 마주보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와 상기 플랩 박리 시트를 접합하는 플랩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흡수 코어는, 주위보다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이 낮은 저단위중량부를 가지고,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제2 접음선보다 상기 제2 단가장자리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As a packaging body of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individually packaged by a packaging sheet,
The absorbent article,
A body portion having an absorbent core,
A pair of flap portions extending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body portion,
A body adhesive portion dispos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n adhesive for fixing the body portion to the undergarment;
A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disposed on the non-skin-facing side of each of the flap portions and having an adhesive for fixing the body portion to the underwear,
A flap release sheet covering the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in a state where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Have,
The package body, in a first folded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a first folding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unit edge, which is an outer edge of the packag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a starting point. A second folded inward of the package body,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econ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first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and positioned on a second edge side opposite to the first edge It is folded into the inside of the package body from the fold line,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disposed on the second edge side of the second folding line,
In a thir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second fold line as a starting point, a flap fixing portion for bonding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in a region where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face each other,
The absorbent core has a low unit weight part of which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ent core is lower than that of its surroundings,
The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low unit weight portion has a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that extends in a front-rear direction on the second unit edge side than the second fold li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평행한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접음선보다 상기 제1 단가장자리측의 영역에 마련되지 않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ow unit weight portion has a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region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region is not provided in a region on the first unit edge side of the first fold line in an unfolded st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저단위중량 영역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접음선과 상기 제2 접음선 사이의 영역에 마련되지 않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packaging body for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front and rear low unit weight regions are not provided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and the second fold line in an expanded state.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 및 상기 플랩 고정부는, 상기 제3 접음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음선과 상기 제1 접음선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상기 제1 접음선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center of any one of claims 11 to 13, wherein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and the flap fixing portion ar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econd fold line and the first fold line in the third folded state. The absorbent article packaging body further disposed on the first folding line side.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음선보다 상기 제1 단가장자리측에 배치된 제1 측 저단위중량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1 측 저단위중량 영역은, 전개 상태의 상기 제1 접음선과 상기 플랩 고정부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음선측을 향하여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wherein the low unit weight portion has a first side low unit weight region disposed at a side of the first unit edge than the first fold line in the deployed state,
The first side low unit weight region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first fold line side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in an unfolded state and the flap fixing portion.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점착부를 덮으며, 상기 포장 시트에 본체 고정부를 통해 접합되는 본체 박리 시트를 가지고,
상기 본체 고정부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접음선보다 상기 제1 단가장자리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접음선과 상기 제2 접음선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는 중간 저단위중량 영역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The body releas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which covers the body adhesive portion and is bonded to the packaging sheet through a body fixing portion,
The main body fixing portion is disposed in an area on the first edge side of the first folding line in the deployed state,
The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low unit weight portion has an intermediate low unit weight region located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and the second fold line in an unfolded state.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플랩 고정부보다 제2 단가장자리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wherein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in a region on the second end edge side than the flap fixing portion in the deployed state, Yes, packaging of absorbent article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플랩 고정부와 상기 제1 접음선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absorbent article packag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in a region between the flap fixing portion and the first folding line in an unfolded state.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 저단위중량 영역은,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에 도달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18. The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second side low unit weight region reaches an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포장 시트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플랩부와,
상기 플랩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플랩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한쌍의 플랩 점착부와,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랩 점착부를 덮는 플랩 박리 시트
를 구비하고,
상기 포장체는, 상기 플랩부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된 제1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체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인 제1 단가장자리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며, 상기 제1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2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단가장자리와 반대측의 제2 단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포장체의 내측으로 절첩되고,
상기 플랩 점착부 및 상기 플랩 박리 시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음선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2 단가장자리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제3 접음 상태에서, 상기 포장 시트와 플랩 박리 시트가 마주보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와 상기 플랩 박리 시트를 접합하는 플랩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기립성의 샘 방지 개더를 가지고,
상기 샘 방지 개더는, 샘 방지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기립하는 수축부와, 상기 수축부의 기립의 기점이 되는 기점부를 가지고,
상기 기점부는, 상기 수축부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기점부를 가지고,
상기 수축부는, 상기 제1 기점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되접어 꺽인 되접어 꺽음부를 가지고,
상기 되접어 꺽음부는, 상기 샘 방지 탄성 부재를 가지고, 또한 상기 플랩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대하여 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되접어 꺽음부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 코어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As a packaging body of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individually packaged by a packaging sheet,
The absorbent article,
The body part,
A pair of flap portions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body portion,
A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each disposed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flap portion and having an adhesive for fixing the flap portion to the underwear,
A flap release sheet covering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package body, in a first folded state in which the flap portion is folded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a first folding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unit edge, which is an outer edge of the packag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a starting point. A second folded inward of the package body,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econ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first folding line as a starting point, and positioned on a second edge side opposite to the first edge It is folded into the inside of the package body from the fold line,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release sheet is disposed on the second end edg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than the second fold line,
In a third folded state folded with the second fold line as a starting point, a flap fixing portion for bonding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in a region where the packaging sheet and the flap release sheet face each other,
The body portion has an absorbent core, a top sheet position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core, and an upright leak-proof gathers positioned on the skin-facing side of the top sheet,
The leakage prevention gathers have a contraction portion that stands up by contraction of the leakage prevention elastic member, and a starting point portion serving as a starting point of the rise of the contraction portion,
The starting point portion has a first starting point portion located outside the constriction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traction portion ha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the first starting point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folding back fold portion that is folded back to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using an inner edge of the extension portion as a starting point,
The folded back portion has the leak-preventing elastic member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tand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portion in a flap reg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lap portion,
An outer edge of the folded back portion is disposed outside the absorbent core in the width directio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점부의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플랩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inner edge of the first starting point portion is disposed outside the absorbent core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lap region.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점부는, 상기 수축부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기점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기점부의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 코어에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0 or 21, wherein the starting point part has a second starting point part located outside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contraction part,
The inner edge of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is dispos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absorbent core.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점착부는, 상기 플랩부를 본체부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절첩하는 플랩 접음선과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packaging body for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20 or 21, wherein the flap adhesive portion is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flap fold line that folds the flap portion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고정부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랩 점착부 사이의 영역에 중첩되어 있고, 상기 플랩 점착부와 이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20 or 21, wherein the flap fixing portion is overlapped with an area between the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lap adhesive portion.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점부는, 상기 수축부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기점부를 가지고,
상기 샘 방지 개더의 상기 제2 기점부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상기 되접어 꺽음부와 상기 연장부를 접합하는 샘 방지 접합부와, 상기 샘 방지 접합부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되접어 꺽음부와 상기 연장부가 접합되지 않고 중첩되는 샘 방지 비접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샘 방지 비접합부는, 상기 되접어 꺽음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도달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0 or 21, wherein the starting point part has a second starting point part located outside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contraction part,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starting point portion of the leak-proof gather, a leak-proof joint for joining the folded back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and is locat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leak-proof joint, and the folding There is provided a leak-proof non-joined portion overlapping without joining the bent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The packaging body for an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leak-preventing non-joined portion reaches the outer edge of the folded portion.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샘 방지 접합부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26. The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25, wherein an outer edge of the leakage preventing joint portion is disposed outside an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in the width direction.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샘 방지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접음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랩 박리 시트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packaging body for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20 or 21, wherein the leak-preventing elastic member is disposed outside the flap releas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folded state.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플랩 점착부의 면적은, 상기 플랩부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플랩 점착부의 면적보다 큰,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area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an area inside the flap portion in an area in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ap portion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package body is greater than a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ap portion. A package for an absorbent article that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an outer region.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에는, 상기 플랩 영역에 있어서, 주위보다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이 낮은 저단위중량부가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22. The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20 or 21, wherein the absorbent core is provided with a low unit weight portion having a lower unit weight of the absorbent material than the periphery in the flap region.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랩 점착부 사이의 영역에 중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The package of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low unit weight portion is overlapped with a region between the pair of flap adhesive portions in the thickness direction.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제를 갖는 본체 점착부를 가지고,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포장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점착부 및 상기 플랩 점착부에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The body adhesive portion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absorbent article has a body adhesive portion disposed on a side of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n adhesive for fixing the body portion to the undergarment,
The low unit weight portion is provided in a region not overlapping with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and the flap adhesive portion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packaging body.
KR2020217000001U 2018-06-05 2019-05-29 Packaging of absorbent articles KR20210000386U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08171A JP7133989B2 (en) 2018-06-05 2018-06-05 Absorbent article package
JPJP-P-2018-108171 2018-06-05
JPJP-P-2018-108172 2018-06-05
JP2018108172A JP7133990B2 (en) 2018-06-05 2018-06-05 Absorbent article package
JP2018108170A JP2019208922A (en) 2018-06-05 2018-06-05 Absorbent article package
JPJP-P-2018-108170 2018-06-05
PCT/JP2019/021345 WO2019235326A1 (en) 2018-06-05 2019-05-29 Packaging body for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86U true KR20210000386U (en) 2021-02-17

Family

ID=6877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7000001U KR20210000386U (en) 2018-06-05 2019-05-29 Packaging of absorbent article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10000386U (en)
CN (1) CN214511526U (en)
WO (1) WO201923532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6765B2 (en) * 2020-07-10 2023-11-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individual packages and individual packag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5608A (en) 2009-08-28 2011-03-10 Daio Paper Corp Individually packaged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3685B2 (en) * 2005-03-31 2010-11-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package
JP5444864B2 (en) * 2009-06-15 2014-03-1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2011120650A (en) * 2009-12-08 2011-06-23 Kao Corp Individual package for absorbent article
JP5546441B2 (en) * 2010-12-14 2014-07-09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5924921B2 (en) * 2011-12-12 2016-05-25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080262B2 (en) * 2013-11-20 2017-02-15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288551B2 (en) * 2013-12-26 2018-03-07 大王製紙株式会社 Reversible pad type absorbent article
JP6453207B2 (en) * 2015-12-28 2019-01-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5608A (en) 2009-08-28 2011-03-10 Daio Paper Corp Individually packaged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5326A1 (en) 2019-12-12
TW202011914A (en) 2020-04-01
CN214511526U (en)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190B1 (en) Absorptive article
JP2018061839A (en) Disposable dia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osable diaper
JP5114078B2 (en)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body
JP6427535B2 (en) Absorbent articles
JP5702105B2 (en) Absorbent package
JP5466328B1 (en) Absorbent articles
JP5565920B1 (en) Packaging for men's urine pad
JP3994377B2 (en) Absorbent articles
WO2014054594A1 (en) Absorbent article
JP3228704U (en) Packaging of absorbent articles
JP2019198579A (en) Absorbent article
KR20210000386U (en) Packaging of absorbent articles
JP7133990B2 (en) Absorbent article package
JP3240795U (en) Absorbent article package
WO2021241056A1 (en) Absorbent article
JP7328098B2 (en) Packaged absorbent article
JP7133989B2 (en) Absorbent article package
JP7133991B2 (en) Absorbent article package
TWI837135B (en) Absorbent article packaging
JP7241007B2 (en) Absorbent article package
JP5615457B1 (en) Disposable diapers
JP4173703B2 (en) Absorbent articles
JP7065602B2 (en) Absorbent article
JP2019208922A (en) Absorbent article package
JP6253836B1 (en) Urine p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