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314A - 리소스 구성 방법, 장치 및 그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리소스 구성 방법, 장치 및 그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314A
KR20210000314A KR1020207033672A KR20207033672A KR20210000314A KR 20210000314 A KR20210000314 A KR 20210000314A KR 1020207033672 A KR1020207033672 A KR 1020207033672A KR 20207033672 A KR20207033672 A KR 20207033672A KR 20210000314 A KR20210000314 A KR 20210000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cal
resources
transmission
uplink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 수
펭 린
추앙 장
첸 퀴안
빈 유
잉지에 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899502.0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830193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969845.X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858797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1459991.4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518933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1462831.5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263446A/zh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9/00614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225970A1/en
Publication of KR2021000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1Suppression of signals in the return path, i.e. bidirectional control circuits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8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리소스 구성 방법을 제안하며, 이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서,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하는 단계; 및 단말기에 의해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단말기에 의해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것은, 단말기에 의해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도 수행하지 않고 다운링크 수신도 수행하지 않는 것; 단말기에 의해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만을 수행하는 것; 및 단말기에 의해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만을 수행하는 것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 및 그 저장 매체가 더 제공된다.

Description

리소스 구성 방법, 장치 및 그 저장 매체
본 개시는 간섭 제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섭 제거를 위한 리소스 구성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의 급속한 성장, 특히 고화질 비디오 서비스 및 초고화질 비디오 서비스의 기하 급수적인 성장으로 인해, 무선 통신의 전송 속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풀-듀플렉스(full-duplex) 기술은 기존 시스템들을 기반으로 하여 스펙트럼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풀-듀플렉스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핵심 문제는 자기 간섭(self-interference)을 제거하는 솔루션을 설계하여, 자기 간섭 신호의 강도를 적어도 노이즈 플로어의 것과 동일한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다.
풀-듀플렉스 모드에서 작동하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 장치는 아날로그 제거 회로로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지국이나 단말기가 풀-듀플렉스 송신에 대해 스케줄링되기 전에 단방향 송신 신호를 전송할 기회와 반복적 수렴(iterative convergence)을 위한 시간이 있게 되는 것을 보장하는 특정 설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것은 기존 통신 시스템의 기준 신호와 물리적 리소스 할당을 통해서는 보장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단방향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기회와 반복적 수렴 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이 제공된다: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하는 단계; 및
구성된 리소스들을 단말기에 통지하는 단계.
여기서, 단말기는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지도 않고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하지도 않거나; 또는 단말기는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만을 수행하거나; 또는 단말기는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만을 수행한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은 각각의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하나의 기준 신호에 대한 리소스들을 포함하고, 이 방법은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되는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반복적 수렴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각각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되는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반복적 수렴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신호의 송신 주기;
기준 신호 송신을 위한 요청 또는 트리거;
기준 신호의 대역폭;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들;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의 수;
기준 신호의 밀도;
기준 신호의 전력 오프셋; 및
기준 신호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일부 예들에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은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을 더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서의 기준 신호의 송신 주기 및/또는 대역폭은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서의 기준 신호의 송신 주기 및/또는 대역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은 시분할 다중화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대해 중복 매핑을 여러 번 수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 방법은 단말기가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지 않거나, 단말기가 그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을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규칙에 의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한 표시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시스템 규칙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비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컨텐츠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을 인에이블하도록 하는 트리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시스템 규칙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은,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기를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주기의 정수배로 결정하는 것; 및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를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들에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이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과 중첩되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또는 대역폭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또는 대역폭보다 크거나 같다.
일부 예들에서, 동일한 시작 시간에 송신되는,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은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로 펑처링된다.
일부 예들에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는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전이고,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이 존재하며; 및/또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는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후이고,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이 존재한다.
일부 예들에서, 단말기가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 및 단말기가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은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에 기반한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기에 의해서,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하는 단계; 및
단말기에 의해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
단말기에 의해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것은, 단말기에 의해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도 수행하지 않고 다운링크 수신도 수행하지 않는 것; 단말기에 의해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만을 수행하는 것; 및 단말기에 의해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만을 수행하는 것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은 각각 기준 신호에 대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을 포함하고, 단말기에 의해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른 송신을 수행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가 다운링크 기준 신호인 경우, 단말기에 의해,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및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가 업링크 기준 신호인 경우, 단말기에 의해,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상기 예들 중 일부에서, 이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반복적 수렴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단말기에 의해, 각각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반복적 수렴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2 구성 파라미터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기준 신호의 송신 주기;
기준 신호 송신을 위한 요청 또는 트리거;
기준 신호의 대역폭;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들;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의 수;
기준 신호의 밀도;
기준 신호의 전력 오프셋; 및
기준 신호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일부 예들에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은 시분할 다중화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대해 중복 매핑을 여러 번 수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규칙에 의해 표시되며, 이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에서는 단말기가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지 않거나, 단말기가 그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한 표시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시스템 규칙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비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컨텐츠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을 인에이블하도록 하는 트리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시스템 규칙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비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의 경우,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은,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기를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주기의 정수배로 결정하는 것; 및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를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이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과 중첩되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또는 대역폭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또는 대역폭보다 크거나 같다.
일부 예들에서, 동일한 시작 시간에 송신되는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은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로 펑처링된다.
일부 예들에서, 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의 경우,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가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전이며,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 및/또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는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후이고,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
본 개시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는 기지국이 제공된다: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리소스 구성 모듈; 및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단말기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구성 통지 모듈,
단말기는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도 수행하지 않고 다운링크 수신도 수행하지 않거나,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만을 수행하거나,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만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구성 획득 모듈; 및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
송신 모듈은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도 수행하지 않고 다운링크 수신도 수행하지 않거나,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만을 수행하거나,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제 5 양태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기계 판독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본 개시의 제 6 양태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기계 판독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본 개시의 제 7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에 따르면, 단방향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기회와 반복적 수렴을 위한 시간이 제공되어 시스템의 간섭 제거 능력이 향상된다.
상술한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리소스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아래에 취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구성을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구성에 기초한 송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실시예에 따른 제 1 구성의 파라미터 및 제 2 구성의 파라미터에 따라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구성의 파라미터 및 제 2 구성의 파라미터에 따라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대한 것과 동일한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대한 시간 도메인 심볼들을 사용하고, 또한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대한 것과 상이한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대한 서브캐리어들을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 및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다운링크 단방향 송신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제어 채널 코어세트의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블랭크 리소스들을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리소스들에서 코어세트의 펑처드 송신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위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과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을 다중화하는 방식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구성에 기초한 송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구성을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구성에 기초한 송신 방법의 개략적 구현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비유효 리소스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비유효 리소스를 결정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비유효 리소스를 결정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비유효 리소스에 대한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 이동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을 위한 기준 신호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다운링크 분산 매핑 및 업링크 주파수 호핑의 물리적 리소스 할당 다이어그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UE에서 수행되는 송신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UE에서 수행되는 송신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6a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25에 나타낸 방법을 사용하여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송신을 처리하는 다이어그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6b는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25에 나타낸 방법을 사용하여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송신을 처리하는 다이어그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7a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25에 나타낸 방법을 사용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송신을 처리하는 다이어그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7b는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25에 나타낸 방법을 사용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송신을 처리하는 다이어그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UE에서 수행되는 송신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9a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28에 나타낸 방법을 사용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송신을 처리하는 다이어그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9b는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28에 나타낸 방법을 사용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송신을 처리하는 다이어그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송신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1은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송신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송신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UE의 구조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5는 본 출원의 실시예 V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6은 본 출원의 실시예 VIII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제 1 구현의 제 1 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7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큘레이터에 기초한 수동 억제의 구조 및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7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이중 편파 및 물리적 분리에 기초한 수동 억제의 구조 및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 송신 신호의 제거 중첩에 기초한 수동 억제의 구조 및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순수 아날로그 도메인 제거의 구현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원리도이다.
도 4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의 구현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원리 다이어그램이다.
도 41은 본 출원의 실시예 VIII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제 1 구현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2는 본 출원의 실시예 VIII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제 2 구현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경로 지연 및 이득 조정 가능 회로의 특정 구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4는 본 출원의 실시예 VIII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제 2 구현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5는 본 출원의 실시예 IX에 따른 뉴럴 네트워크에 기초한 디지털 보조 아날로그 제거의 구현 회로이다.
도 46은 본 출원의 실시예 IX에 따른 피드포워드 뉴럴 네트워크에 기초한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의 구현 회로이다.
도 47은 본 출원의 실시예 X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제 1 구현 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8은 본 출원의 실시예 X의 제 1 구현 예의 성분 신호 피팅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도 49는 본 출원의 실시예 XI에 따른 주파수 도메인에서 코드 연산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은 본 출원의 실시예 XI에 따른 시간 도메인에서 코드 연산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본 출원의 실시예 XI에 따른 주파수 도메인 및 시간 도메인에서 동시에 코드 연산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2는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 및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3은 본 출원의 실시예 XI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에 기초한 상호 작용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4는 본 출원의 실시예 XI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에 기초한 다른 상호 작용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5는 본 출원의 실시예 XI에 따른 상이한 유형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코드 연산 및 변조 모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은 본 출원의 실시예 XI에 따른 동일한 크기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를 사용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은 본 출원의 실시예 XI에 따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기 위해 동일한 쌍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은 본 출원의 실시예 XI에 따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기 위해 여러 쌍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9는 본 출원의 실시예 XI에 따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기 위해 여러 쌍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0은 본 출원의 실시예 XI에 따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1은 본 출원의 실시예 XI에 따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2는 본 출원의 실시예 XI에 따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3은 본 출원의 실시예 XII에 따른 다중 안테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4a 및 도 64b는 본 출원의 실시예 XII에 따른 수신단 아날로그 제거 모듈이 직렬 시퀀스를 삭제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5는 본 출원의 실시예 XIII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에 기초한 상호 작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6은 본 출원의 실시예 XIII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에 기초한 다른 상호 작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로 식별된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출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본 개시 내용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로서 예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개시 내용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이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본 개시 내용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잘 알려진 회로, 재료 또는 방법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실시예", "일 실시예", "일 예"또는 "예"에 대한 언급은 해당 실시예 또는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곳에서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서", "일 예에서" 또는 "예에서"라는 문구의 출현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조합 및/또는 하위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제공된 첨부 도면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반드시 일정한 실제 크기대로 그려진 것은 아님을 당업자는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나열된 관련 항목의 임의의 또는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의 추정에 따르면 2020 년까지 전 세계 월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62 엑사바이트(1EB = 2^30GB)에 도달할 것이며, 2020년부터 2030년까지,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는 연간 약 55 %의 속도로 성장할 것이다. 또한,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에서 비디오 서비스 및 머신 대 머신 통신 서비스의 비율이 점차 증가할 것이다. 2030년에는, 비디오 서비스의 양이 비-비디오 서비스의 양의 6 배가 될 것이며 머신 대 머신 통신 서비스는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의 약 12 %를 차지할 것이다(“IMT traffic estimates for the years 2020 to 2030, Report ITU-R M.2370-0” 참조).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의 급속한 성장, 특히 고화질 비디오 서비스와 초고화질 비디오 서비스의 기하 급수적인 성장으로 인해, 무선 통신의 송신 속도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이러한 증가하는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우리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신 속도와 처리량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4G 또는 5G 기반의 새로운 기술을 제안해야 한다. 풀-듀플렉스 기술은 기존 시스템을 기반으로 스펙트럼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시간 도메인에서의 직교 분할(TDD(Time Division Duplexing)) 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직교 분할(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시에 채용된 기존의 하프-듀플렉스 시스템과 비교하여, 풀-듀플렉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는 시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 모두에서 동시에 송신되게 한다. 따라서, 풀-듀플렉스 시스템은 이론적으로 하프-듀플렉스 시스템의 2 배의 처리량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업링크와 다운링크는 동일한 주파수에서 동시에 송신되기 때문에, 풀-듀플렉스 시스템의 송신 신호는 풀-듀플렉스 시스템의 수신 신호에 강한 자기(self)-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자기 간섭 신호는 노이즈 플로어(noise floor)보다 120dB 이상 높을 수 있다. 따라서, 풀-듀플렉스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핵심 과제는 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솔루션을 설계하여, 자기 간섭 신호의 강도를 최소한 노이즈 플로어의 강도와 동일한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다.
현재, 자기 간섭 제거 방법은 크게 수동 제거 방식, 아날로그 제거 방식, 디지털 제거 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수동 제거 방법은 가장 일반적인 자기 간섭 제거 기법으로, 이는 주로 안테나의 물리적 분리 또는 이중 분극 분리 또는 다수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상쇄 중첩을 사용하여, 수신 안테나에 도달하는 자기 간섭 신호의 강도를 줄여서, 자기 간섭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수동 제거 기술은 종종 제한된 제거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실제 응용에 있어서, 수동 제거 방법은 더 양호한 자기 간섭 제거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아날로그 제거 기술 등과 같은 다른 자기 간섭 제거 기술과 함께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아날로그 제거 방법은 수신 링크의 아날로그 도메인에서(즉,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 전),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것이다.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 전에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이유는,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가 적절한 동적 범위를 갖도록 보장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자기 간섭 신호의 잔여 부분의 에너지가 원하는 신호 성능보다 훨씬 높거나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최대 에너지보다 더 높으면,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 동작이 매우 큰 양자화 노이즈 및 기타 비선형 왜곡을 초래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수동 제거 방법은 자기 간섭 신호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며, 이 경우에, 아날로그 제거 기술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어떤 형태의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사용하든, 아날로그 제거 회로가 초기화 및 계수 업데이트 동안에 반복적 수렴을 완료하는 데에는 일정 양의 시간이 걸리며, 반복적 수렴 동안 지속적으로 신호를 송신하여 자기 간섭 신호를 아날로그 제거 회로로의 입력으로서 생성할 필요가 있다. 기존 문헌에 따르면, 반복적 수렴을 위한 시간은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구현 복잡성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약 1 밀리 초이며, 자기 간섭 채널이 변경되면, 아날로그 제거 회로가 반복적 수렴을 다시 수행해야 한다.
요약하면, 풀-듀플렉스 모드에서 동작하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 장치는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갖게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지국이나 단말기가 풀-듀플렉스 송신을 위해서 스케줄링 되기 전에, 단일방향 송신 신호를 송신할 기회와 반복적 수렴을 위한 시간이 존재하도록 보장하는 특정 설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바가 기존 통신 시스템의 기준 신호 및 물리적 리소스의 할당을 통해 보장되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리소스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구성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동작들을 포함한다.
동작 S110에서, 물리적 리소스들이 구성된다.
동작 S120에서, 구성된 리소스들이 단말기로 통지된다.
여기서, 단말기는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거나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단말기는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만을 수행하거나; 또는 단말기는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 만을 수행한다.
구정된 리소스들은 본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통지 방식으로 단말기에 통지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 솔루션들은 임의의 통지 구현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성된 리소스들은 구성 시그널링, 시스템 규칙, 협상 등을 통해 단말기에 통지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은 각각 기준 신호에 대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되는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반복적 수렴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각각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되는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반복적 수렴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신호의 송신 주기;
기준 신호 송신을 위한 요청 또는 트리거;
기준 신호의 대역폭;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들;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의 수;
기준 신호의 밀도;
기준 신호의 전력 오프셋; 및
기준 신호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일부 예들에서,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서의 기준 신호의 송신 주기 및/또는 대역폭은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서의 기준 신호의 송신 주기 및/또는 대역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은 시분할 다중화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대해 중복 매핑을 여러 번 수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 방법은 단말기가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지 않거나, 단말기가 그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을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규칙에 의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한 표시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시스템 규칙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비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컨텐츠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을 인에이블하도록 하는 트리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시스템 규칙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은,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기를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주기의 정수배로 결정하는 것; 및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를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들에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이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과 중첩되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또는 대역폭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또는 대역폭보다 크거나 같다.
일부 예들에서, 동일한 시작 시간에 송신되는,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은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로 펑처링된다.
일부 예들에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는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전이고,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이 존재하며; 및/또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는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후이고,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이 존재한다.
일부 예들에서, 단말기가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 및 단말기가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은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상기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또 다른 리소스 구성 방법을 더 제공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구성에 기초한 송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동작들을 포함한다:
동작 S210에서,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이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다.
동작 S220에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송신이 수행된다.
단말기에 의해,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것은, 단말기에 의해,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지 않거나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단말기에 의해,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만을 수행하는 것; 및 단말기에 의해,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만을 수행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은 기준 신호에 대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각각 구성되는 리소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에 의해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가 다운링크 기준 신호인 경우, 단말기에 의해,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및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가 업링크 기준 신호인 경우, 단말기에 의해,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상기 예들 중 일부에서, 이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반복적 수렴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단말기에 의해, 각각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반복적 수렴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2 구성 파라미터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신호의 송신 주기;
기준 신호 송신을 위한 요청 또는 트리거;
기준 신호의 대역폭;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들;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의 수;
기준 신호의 밀도;
기준 신호의 전력 오프셋; 및
기준 신호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일부 예들에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은 시분할 다중화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대해 중복 매핑을 여러 번 수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규칙에 의해 표시되며, 이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에서는 단말기가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지 않거나, 단말기가 그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한 표시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시스템 규칙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비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컨텐츠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을 인에이블하도록 하는 트리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시스템 규칙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비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의 경우,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은,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기를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주기의 정수배로 결정하는 것; 및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를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이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과 중첩되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또는 대역폭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또는 대역폭보다 크거나 같다.
일부 예들에서, 동일한 시작 시간에 송신되는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은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로 펑처링된다.
일부 예들에서, 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의 경우,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가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전이며,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 및/또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는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후이고,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
상기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리소스 구성 모듈(310) 및 구성 통지 모듈(320)을 포함한다. 리소스 구성 모듈(310)은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구성 통지 모듈(320)은 구성된 리소스들을 단말기에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단말기는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거나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단말기는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만을 수행하거나; 또는 단말기는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 만을 수행한다.
구성된 리소스들은 구성 통지 모듈(320)에 의해 본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통지 방식으로 단말기에 통지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 솔루션들은 구성 통지 모듈(320)의 임의의 구현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성된 리소스들은 구성 통지 모듈(320)에 의해 구성 시그널링, 시스템 규칙 또는 협상 등을 통해(이에 한정되지 않음) 단말기에 통지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은 기준 신호에 대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기지국은 제 2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구성되는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따른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반복적 수렴을 수행하거나; 또는 각각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되는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반복적 수렴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반복적 수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신호의 송신 주기;
기준 신호 송신을 위한 요청 또는 트리거;
기준 신호의 대역폭;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들;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의 수;
기준 신호의 밀도;
기준 신호의 전력 오프셋; 및
기준 신호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일부 예들에서,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서의 기준 신호의 송신 주기 및/또는 대역폭은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서의 기준 신호의 송신 주기 및/또는 대역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은 시분할 다중화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대해 중복 매핑을 여러 번 수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 통지 모듈(320)은 단말기가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지 않거나, 단말기가 그 전용 물리적 리소스에서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을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규칙에 의해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한 표시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시스템 규칙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비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컨텐츠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을 인에이블하도록 하는 트리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시스템 규칙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리소스 구성 모듈(310)은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기를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주기의 정수 배수로서 결정하며; 또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를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이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과 중첩되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또는 대역폭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또는 대역폭보다 크거나 같다.
일부 예들에서, 리소스 구성 모듈(310)에서, 동일한 시작 시간에 송신되는,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은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로 펑처링된다.
일부 예들에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는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전에 있을 수 있고,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이 존재할 수 있으며; 및/또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는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후에 있을 수 있고,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이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리소스 설정 모듈(310)은 단말기가 송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과 단말기가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을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구성 획득 모듈(410) 및 송신 모듈(420)을 포함한다. 구성 획득 모듈(410)은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420)은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420)은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지도 않고 다운링크 수신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만을 수행하거나; 또는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은 기준 신호에 대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각각 구성된 리소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송신 모듈(420)은,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가 다운링크 기준 신호인 경우,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지 않고; 또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가 업링크 기준 신호인 경우,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들 중 일부 예들에서, 도 4에 도시된 단말기는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반복적 수렴을 수행하거나; 또는 각각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반복적 수렴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반복적 수렴 모듈(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2 구성 파라미터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신호의 송신 주기;
기준 신호 송신을 위한 요청 또는 트리거;
기준 신호의 대역폭;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들;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의 수;
기준 신호의 밀도;
기준 신호의 전력 오프셋; 및
기준 신호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일부 예들에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은 시분할 다중화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에 대해 중복 매핑을 여러 번 수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규칙에 의해 표시되며, 이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에서는 단말기가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지 않거나, 단말기가 그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한 표시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시스템 규칙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비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컨텐츠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을 인에이블하도록 하는 트리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시스템 규칙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비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의 경우, 구성 획득 모듈(410)은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기를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주기의 정수 배로 결정하고; 또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를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이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과 중첩되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또는 대역폭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또는 대역폭보다 크거나 같다.
일부 예들에서, 송신 모듈(420)에서, 동일한 시작 시간에 송신되는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은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로 펑처링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의 경우, 구성 획득 모듈(410)은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가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전에 있고,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며; 및/또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가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후에 있고, 여기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기술 솔루션들에 대하여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 솔루션들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일 뿐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 솔루션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 고정 단말기, 또는 본 기술 분야에서 리소스 구성을 수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거나 개발될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 1-4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은 본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음 설명에서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은 " 다운링크 제어 채널 코어세트 " 또는 "코어세트"를 예로 들어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 솔루션들은 넓은 의미에서 물리적 신호 또는 물리적 채널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코어세트" 또는 "코어세트"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블랭크 리소스(blank resource)"가 위에서 설명한 특정 물리적 리소스를 지정하기 위해 다음 설명에서 사용되지만, 위에서 설명한 특정 물리적 리소스는 다른 이름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I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 신호의 송신을 위해 기존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추가 송신되는 기준 신호들이 다른 기능들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 신호의 구성 및 송신 방법을 설명한다. 풀-듀플렉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경우, 추가 송신되는 기준 신호들은 기준 신호들의 원래 용도 외에, 풀-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반복적 수렴에 사용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경우, 추가 송신되는 기준 신호들은 기준 신호들의 원래 용도 외에, 인접 셀 측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기존 시스템은 WiFi, GSM, TDS-CDMA, LTE, LTE-A, 새로운 무선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준 신호는 동기화를 위한 기준 신호, 예를 들어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등과 같은 기준 신호; 다운링크/업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 예를 들어,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등과 같은 기준 신호; 및 복조를 위한 기준 신호, 예를 들어,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URS(User-specific Reference Signal) 등과 같은 기준 신호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준 신호의 원래 파라미터 구성을 제 1 구성으로 표시하고, 추가로 제공되는 동일한 기준 신호의 파라미터 구성을 제 2 구성으로 표시한다. 제 2 구성의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기준 신호에 대한 파라미터 구성 컨텐츠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기준 신호의 송신 주기; 기준 신호 송신을 위한 요청 또는 트리거; 기준 신호의 대역폭;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들;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의 수; 기준 신호의 밀도; 기준 신호의 전력 오프셋; 기준 신호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그리고 제 1 구성에 포함된 기타 파라미터 구성 컨텐츠. 제 2 구성의 임의의 파라미터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다운링크 제어 정보 또는 암시적 방식(예를 들어, 기지국과 단말 간에 협상된 시스템 규칙을 사용)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시적 획득 방식에서, 제 2 구성의 파라미터는 제 1 구성의 파라미터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암시적 획득 방식에서, 제 2 구성의 파라미터는 고정된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들은 기준 신호를 위한 고정 안테나 포트들이다. 제 2 구성의 임의의 두 개의 파라미터가 획득되는 방식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2 구성의 파라미터의 값은 제 1 구성의 동일한 파라미터의 값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주기성 또는 비주기성은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것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즉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가 주기적 기준 신호인 경우,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는 주기적 기준 신호일 수 있거나, 또는 비주기적 기준 신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가 비주기적 기준 신호일 때에는 그 반대가 된다.
시스템의 원래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가 주기적 신호(예를 들면, CSI-RS 또는 SRS)인 경우, 도 5 및 6은 제 1 구성의 파라미터와 제 2 구성의 파라미터에 따라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두 가지 예를 보여주며, 여기서 도 5는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가 주기적 기준 신호인 예이고, 도 6은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가 비주기적 기준 신호인 예이다. 기준 신호가 구성된 시스템 대역폭 또는 대역폭의 일부에서, 제 1 구성의 파라미터들에 따라 송신되는 기준 신호는 기존 시스템에 존재하는 기준 신호이며, 단말기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제 1 구성의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고, 제 1 구성으로 기준 신호를 판독 및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제 2 구성의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고, 제 2 구성을 따르는 동일한 기준 신호를 판독 또는 송신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및/또는 암시적 구성 방식에 따라 제 2 구성을 갖는 주기적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들을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구성 파라미터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송신 주기,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대역폭,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대한 안테나 포트들,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밀도,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전력 오프셋. 단말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구성의 주기에 따라 제 2 구성을 갖는 주기적 기준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대안적으로, 단말기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 암시적 구성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 2 구성을 갖는 비주기적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들을 획득할 수 있다. 제 2 구성을 갖는 비주기적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들은 기준 신호에 대한 요청 또는 트리거 메시지,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대역폭,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대한 안테나 포트들, 및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에 대한 요청 또는 트리거 메시지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 획득되고; 제 2 구성을 가진 기준 신호의 대역폭, 제 2 구성을 가진 기준 신호를 위한 안테나 포트들, 제 2 구성을 가진 기준 신호의 밀도, 제 2 구성을 가진 기준 신호의 전력 오프셋 등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암시적 구성 방식으로 획득된다. 단말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대한 요청 또는 트리거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 2 구성을 갖는 비주기적 기준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일 구현에서,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주기 및/또는 대역폭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주기 및/또는 대역폭보다 클 수 있다. 특히, 이 구성 모드의 기준 신호는 풀-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반복적 수렴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주기가 긴 기준 신호는 자기 간섭 채널의 느린 변화 특성을 따르며, 대역폭이 큰 기준 신호는 메인 로브가 좁은 시간 도메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일 구현에서,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물리적 리소스들 및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물리적 리소스들이 시분할 다중화되며, 즉,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들이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것과 다르다.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다른 구현에서,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물리적 리소스들 및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물리적 리소스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되며, 즉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은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과 다르다.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들이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것들과 다른 경우,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은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것들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이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과 다른 경우,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들은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것들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들에 대한 것들과 동일한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대한 시간 도메인 심볼들을 사용하고,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대한 것들과 상이한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대한 서브캐리어들을 사용하는 것의 일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채널 측정 등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와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는 기준 신호에 대해 정의된 특정 하나 이상의 안테나 포트를 통해서만 송신될 수 있다. 특정 안테나 포트(안테나 포트 i로 표시)에서 제 2 구성을 가진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는 것은, 제 2 구성을 가진 기준 신호가 제 1 구성의 기준 신호의 안테나 포트 i에서 사용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을 통해 송신되고, 및/또는 제 2 구성을 가진 기준 신호가 제 1 구성의 기준 신호의 안테나 포트 i에 의해 사용되는 코드 시퀀스를 사용하여 송신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대해 여러 번 중복 매핑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도 7은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가 동일한 시간 도메인 심볼들에서 상이한 서브캐리어들의 여러 안테나 포트들 상의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매핑 유닛의 다중 카피들인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구성 및/또는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일 구현에서, 단방향 송신 방식이 사용된다. 단방향 송신 방식은 서브프레임/슬롯/미니 슬롯의 복수의 리소스 파티클이 제 1 구성 및/또는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경우, 제 1 구성 및/또는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단방향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슬롯/미니 슬롯의 리소스 파티클들은 다른 방향의 송신에 사용될 수 없다. 단방향 송신은 업링크 단방향 송신 및 다운링크 단방향 송신을 포함한다. 풀-듀플렉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경우, 기준 신호의 단방향 송신은 기준 신호가 풀-듀플렉스 모드에서 기지국 또는 단말기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반복적 수렴 목적을 더 잘 구현하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반복적 수렴 계산 프로세스에 있어서 원하는 신호의 수신에 의해 간섭되지 않게 된다. 도 8은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 및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다운링크 단방향 송신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 및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는 다운링크 송신에서 기준 신호들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특정 규칙에 따라 제 1 구성 및/또는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단방향 송신을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는 사용된 리소스 파티클들이 위치한 무선 프레임/서브프레임/슬롯/미니 슬롯의 인덱스, 및 사용된 리소스 파티클들의 시간 도메인 심볼들의 인덱스들 및 서브캐리어들의 인덱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시스템 규칙의 일 구현에서, 단말기는 기준 신호의 구성 타입에 따라 기준 신호의 단방향 송신을 위한 리소스 파티클들의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8의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모든 리소스 파티클들이 단방향 송신에 사용된다. 특정 시스템 규칙의 다른 구현에서,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의 단방향 송신을 위한 리소스 파티클들은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대한 리소스 파티클들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8의 규칙에서, 제 2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대한 것과 동일한 시간 도메인 심볼들에 위치하는 제 1 구성을 갖는 기준 신호에 대한 리소스 파티클들은 단방향 송신을 위한 리소스 파티클들이다.
단말기가 단방향 송신을 위한 서브프레임/슬롯/미니 슬롯에 포함되어 물리적 채널들의 송수신을 위해 할당되는 리소스 파티클들을 획득할 경우, 상기 단방향 송신의 것과 동일한 방향이 아닌 단방향 송신을 위한 서브프레임/슬롯/미니 슬롯에 포함되는 리소스 파티클들에 대한 물리적 채널들을 위한 리소스 매핑이 수행되지 않는다. 리소스 매핑 방식에서는, 단방향 송신을 위한 리소스 파티클들이 나타나는 위치들에서 물리적 채널들에 대해 데이터 펑처링이 수행되거나, 또는 서브프레임/슬롯/미니 슬롯에서 단방향 송신을 위한 리소스 파티클들이 아닌 리소스 파티클들에 대해서만 레이트 매칭이 수행된다.
실시예 II
본 실시예에서는, 리소스 구성 방법이 설명된다. 시스템의 블랭크 리소스들은 기지국 및/또는 단말기가 사운딩 신호, 기준 신호 또는 변조 심볼 등을 포함하는, 구성된 블랭크 리소스들에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풀-듀플렉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경우, 풀-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는 풀-듀플렉스 기지국 또는 단말기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반복적 수렴 계산을 위해 블랭크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단방향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시스템의 블랭크 리소스들은 인접 셀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 등과 같은, 로컬 셀에서 사용자들에게 사용되지 않는 신호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블랭크 리소스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로컬 셀의 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블랭크 리소스들에서 수신 또는 송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거나; 또는 로컬 셀의 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블랭크 리소스들에서 수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반복적 수렴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풀-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인접 셀의 기지국 또는 단말기를 위한 물리적 신호 또는 물리적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셀룰러 셀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또한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반복적 수렴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풀-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인접 셀의 기지국 또는 단말기를 위한 물리적 신호 또는 물리적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인접 셀의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단말기는 블랭크 리소스들의 타입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블랭크 리소스들의 타입 구성 정보는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 또는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을 나타내며, 구성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 및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 중 고정된 것을 나타내도록 시스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및 "송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물론 "수신하다"과 "송신하다"는 같은 의미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표시되지 않은 경우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시적으로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이 블랭크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경우,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의 리소스 매핑의 일 구현에서, 업링크 물리적 채널/업링크 물리적 신호/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다운링크 물리적 신호가 블랭크 리소스들에 매핑되지 않는다. 이 매핑 방법은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이 블랭크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경우,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의 리소스 매핑의 다른 구현에서,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또는 다운링크 물리적 신호가 블랭크 리소스들에 매핑되지 않는다. 이 매핑 방법은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이 블랭크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경우,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의 리소스 매핑의 세 번째 구현에서, 단말기는 물리적 채널/물리적 신호가 물리적 채널/물리적 신호의 타입에 따라 블랭크 리소스들에 매핑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매핑 방법은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의 경우와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의 경우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의 경우,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및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그리고 대응하는 복조 기준 신호들이 블랭크 리소스들에 매핑되지 않으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등과 같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및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을 제외한 다른 물리적 채널들, 및 프라이머리 및 세컨더리 동기화 신호들, CSI-RS, 및 SRS 등과 같은, 대응하는 복조 기준 신호들을 제외한 다른 물리적 신호들은 모두 블랭크 리소스들을 커버하며, 즉 구성된 블랭크 리소스들이 위의 물리적 채널들 및 물리적 신호들과 중첩되는 경우, 블랭크 리소스들의 구성은, 위의 물리적 채널들 및 물리적 신호들이 완전히 송신될 때까지 무효화되거나 연기된다.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의 경우,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및 대응하는 복조 기준 신호는 블랭크 리소스들에 매핑되지 않으며; 모든 업링크 물리적 채널들과 업링크 물리적 신호들은 블랭크 리소스들을 커버하며; 또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을 제외한 다른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 및 대응하는 다운링크 복조 기준 신호를 제외한 다른 다운링크 물리적 신호들의 경우, 블랭크 리소스들의 구성은 물리적 채널들 및 물리적 신호들이 완전히 송신될 때까지 무효화되거나 연기된다.
시간 도메인에서 구성된 블랭크 리소스들의 단위는 서브프레임/슬롯/미니 슬롯/시간 도메인 심볼 등일 수 있다. 구성된 블랭크 리소스들은 시간 도메인에서의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슬롯/미니 슬롯/시간 도메인 심볼이거나, 또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하나 이상의 비연속적 서브프레임/슬롯/미니 슬롯/시간 도메인 심볼들일 수 있다. 구성된 블랭크 리소스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하나 이상의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일 수 있다.
구성된 블랭크 리소스들은 주기적이거나 비주기적일 수 있다. 블랭크 리소스들은 단말기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및/또는 특정 시스템 규칙에 따라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위치들을 획득함으로써 주기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컨텐츠는 블랭크 리소스들의 주기,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블랭크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은 구체적으로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작 서브프레임/슬롯/시간 도메인 심볼, 및/또는 블랭크 리소스들의 종료 서브프레임/슬롯/시간 도메인 심볼, 및/또는 블랭크 리소스들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슬롯/시간 도메인 심볼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블랭크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은 구체적으로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작 PRB/서브캐리어의 인덱스, 및/또는 블랭크 리소스들의 대역폭, 및/또는 블랭크 리소스들의 끝 PRB/서브캐리어의 인덱스, 및/또는 블랭크 리소스들에 대해 할당된 PRB들/서브캐리어들 사이의 인터벌을 나타낼 수 있다. 시스템 규칙에서, 블랭크 리소스들의 위치는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도 9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코어세트의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블랭크 리소스들을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 코어세트는 비연속적으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이며, 여기서 코어세트는 프라이머리 및 세컨더리 동기화 신호들인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PHICH, PCFICH, CRS, CSI-RS, SRS, PUCCH 등으로 대체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블랭크 리소스들을 결정하는 방법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위치들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구현에서, 블랭크 리소스의 주기는 코어세트 주기의 정수 배일 수 있으며,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는 코어세트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같거나 이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구성된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이 코어세트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과 중첩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 대역폭은 코어세트의 것들과 같거나 이보다 클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시작 시간에 송신되는 코어세트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에서 있어서, 블랭크 리소스들에서 펑처링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풀-듀플렉스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들의 수신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코어세트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은 다운링크 단방향 송신 모드(즉, 하프-듀플렉스 송신 모드)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풀-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기지국은 블랭크 리소스들을 통해 다운링크 단방향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코어세트에 대한 다운링크 단방향 송신 신호들 및 블랭크 리소스들에 대한 다운링크 단방향 신호들은 풀-듀플렉스 기지국에서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반복적 수렴에 사용되는, 좁은 메인 로브를 갖는 연속 시간 도메인 신호들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블랭크 리소스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나 이상의 비연속적 서브캐리어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준 신호 패턴들은 각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구성된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에 의해 다중화될 수 있다. 도 10은 블랭크 리소스들에서 코어세트를 펑처링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여기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복조 기준 신호들의 리소스 위치들이 각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서 블랭크 리소스들에 의해 점유되는 리소스 파티클 위치들에 의해 다중화될 수 있거나, 또는 각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서 블랭크 리소스들에 의해 점유되는 리소스 파티클 위치들이 복조 기준 신호들의 리소스 위치들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블랭크 리소스들은 단말기가 시스템 시그널링에 의해 및/또는 특정 시스템 규칙에 따라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위치들을 획득함으로써 비주기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시스템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시스템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컨텐츠는 블랭크 리소스 트리거 스위치,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블랭크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히, 블랭크 리소스 트리거 스위치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트리거된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위치들에 대한 특정 구현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는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전이며, 구성된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특정 인터벌이 존재할 수 있으며; 및/또는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는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후이고, 구성된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특정 인터벌이 존재할 수 있다.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위치들을 구성하는 방법의 특정 구현에서,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서브프레임/슬롯/시간 도메인 심볼의 인덱스 및 블랭크 리소스들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슬롯/시간 도메인 슬롯의 수가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서브프레임/슬롯/시간 도메인 심볼의 인덱스는 지정될 수 있으며, 블랭크 리소스들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슬롯/시간 도메인 심볼의 수는 구성될 수 있다.
트리거된 블랭크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들의 특정 구현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블랭크 리소스들의 대역폭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 대역폭을 커버하거나; 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블랭크 리소스들의 대역폭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 대역폭 밖에 있다. 더 큰 대역폭을 가진 블랭크 리소스들은 풀-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가 더 큰 대역폭을 갖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인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반복적 수렴에 더욱 적합한 시간 도메인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풀-듀플렉스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구성된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심볼들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 시간과 중첩되지만 구성된 블랭크 리소스들의 대역폭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것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이 블랭크 리소스들과 동시에 송신될 때 하프-듀플렉스 송신 모드로 송신되며(즉, 동일한 시간-주파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한 방향으로의 물리적 채널 또는 신호 송신만 있음), 또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은 남은 송신 시간에서 풀-듀플렉스 송신 모드로 송신된다.
특히, 단말기는 동일한 셀의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의 구성 및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 및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은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할당된다. 풀-듀플렉스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기가 모두 풀-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경우, 풀-듀플렉스 기지국은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에서 기지국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반복적 수렴을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풀-듀플렉스 단말기는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에서 단말기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반복적 수렴을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비주기적 블랭크 리소스들의 구성을 예로 들어,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과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을 다중화하는 특정 구현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기지국이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에서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동일한 사용자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및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경우, 단말기와 기지국 모두가 풀-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한다. 따라서, 아날로그 제거 모듈들의 반복적 수렴이 개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 경우, 단말기는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의 구성 및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 및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위치들은 단말기에 대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유 채널들의 시작 이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과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은 시분할 다중화되며 간격을 두고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블랭크 리소스들의 구성 듀레이션 동안, 제 1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 및 제 2 타입의 블랭크 리소스들은 각각 수 개의 시간 도메인 심볼들을 점유하며, 교대로 나타난다.
아날로그 제거 방법은 수신 링크의 아날로그 도메인에서(즉,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이전에)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가 적절한 동적 범위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엔지니어링 구현에서는, 자기 간섭 에너지가 노이즈 임계값 미만으로 감소되도록 하기 위해 복잡한 아날로그 제거 회로가 종종 필요하다. 풀-듀플렉스 장치의 비용 및 구현 복잡성을 고려하여, 디지털 제거 모듈이 종종 아날로그 제거 모듈 뒤에 추가됨으로써 자기 간섭 신호의 에너지를 더욱 줄이게 된다.
디지털 제거 방법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수신 단말기에서(즉,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이후에) 디지털 도메인의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것의 기본 원리는 풀-듀플렉스 장치가 알려진 변조 심볼 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특정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자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풀-듀플렉스 장치는 알려진 송신 변조 심볼 또는 기준 신호에 따라 자기 간섭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풀-듀플렉스 장치는 다른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수신과 송신을 동시에 수행하며, 송신된 신호는 자기 간섭 채널을 통해 수신 단말기에 간섭을 일으킨다. 풀-듀플렉스 장치는 추정된 자기 간섭 채널에 기초하여 이러한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한 자기 간섭 신호를 재구성하고, 수신된 디지털 도메인 신호에서 재구성된 자기 간섭 신호를 삭제할 수 있다.
자기 간섭 채널 추정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알려진 변조 심볼 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자기 간섭 채널 추정을 위해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변조 심볼 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지 않는다. 이것은 풀-듀플렉스 양방향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자기 간섭 채널 추정을 위해 단방향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방향 송신 리소스들을 구성해야 함을 의미한다. 단방향 송신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송신이 하나만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 프로토콜이 시분할 듀플렉싱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등과 같은 하프-듀플렉스 통신(단방향 통신)만을 지원하고 있으며, 풀-듀플렉스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에서 단방향 송신 신호를 구성하는 방법이 해결되어야 할 새로운 긴급 문제임을 발견했다.
한편, 풀-듀플렉스 통신은 기존의 시분할 듀플렉스 통신 시스템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통신 시스템에 대한 향상 기술로 간주될 수 있으며, 풀-듀플렉스 통신은 향후의 시분할 듀플렉싱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을 위한 스펙트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페어링된 스펙트럼 세그먼트들이 각각 업링크 송신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에 사용된다. 사용자는 다운링크 동기화를 위해 다운링크 스펙트럼에서 프라이머리 및 세컨더리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고, 업링크 동기화를 위해 업링크 스펙트럼에서 물리적 랜덤 액세스 신호를 송신해야 하며, 즉 하나의 스펙트럼 세그먼트에서만 한 방향의 동기화가 완료된다. 이러한 두 개의 스펙트럼 세그먼트가 풀-듀플렉스 통신에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각 스펙트럼 세그먼트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양방향 통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 스펙트럼 세그먼트에 대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의 반대되는 신호들을 구성해야 한다. 사용자가 각 스펙트럼 세그먼트에서 업링크 동기화 및 다운링크 동기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운링크 스펙트럼/대역폭에서 업링크 기준 신호를 구성 및 송신하는 방법 및 업링크 스펙트럼/대역폭에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구성 및 송신하는 방법은 풀-듀플렉스 통신에 의해 발생하는 새로운 문제이다.
상기한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리소스 구성에 기반한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구성에 기반한 송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동작들을 포함한다:
동작 S1310에서,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1 방향으로 송신하기 위한 제 2 방향에 대한 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 및/또는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고, 여기서 제 1 방향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중 한 방향이고, 제 2 방향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중 다른 방향이다.
동작 S1320에서,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에서 제 2 방향에 대해 구성된 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수신하며, 및/또는 제 1 방향에 대해 구성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제 1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수신하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에 대한 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것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의 송신을 위해 예비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의 송신을 위해 예비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한 이후에, 이 방법은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로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온-오프-스위치 표시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방향에 대해 구성된 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 있어서의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의 송신 또는 수신은 온-오프-스위치 표시에 기초한다.
상기한 예들에서, 이 방법은, 제 2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에 대한 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할 경우, 이 방법은,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특정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특정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것은, 제 2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이 방법은,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를 획득하는 단계; 및 표시가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이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송신 또는 수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이 송신 또는 수신될 때, 제 2 방향에 대해 구성된 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한 연기 또는 펑처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방향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것은 다음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 1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시간-도메인 심볼들을,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할당되는,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에 대한 비유효 리소스들로서 결정하는 것; 제 1 방향에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들을,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할당되는,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에 대한 비유효 리소스들로서 결정하는 것; 또는 제 1 방향에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을,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할당되는,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에 대한 비유효 리소스들로서 결정하는 것.
일부 예들에서, 이 방법은 다음 중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 - 여기서 이 표시가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이 구성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미리 결정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이 획득되거나,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이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됨 -; 또는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는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
일부 예들에서, 이 방법은,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해 구성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에 대해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해 물리적 리소스들을 시프트하는 단계; 및 시프트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통해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이 방법은 동일한 업링크 대역/대역폭 및/또는 다운링크 대역/대역폭을 사용하여 다른 장치들의 복조 기준 신호들에 대한 업링크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업링크 구성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다른 장치로부터의 간섭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리소스 구성을 위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구성을 위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포함한다.
동작 S1410에서,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에 대한 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 및/또는 제 1 방향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단말기에게 통지하며, 여기서 제 1 방향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중 한 방향이고, 제 2 방향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중 다른 방향이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에 대한 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단말기에게 통지하는 것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의 송신을 위해 예비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단말기에 통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이 방법은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로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기에 온-오프-스위치 표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 방법은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 방법은 다음 중 하나를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 - 여기서 이 표시가 비무효 물리적 리소스들이 구성되었음을 표시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이 획득되거나, 또는 시그널링을 통해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이 획득됨 -; 또는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
상기한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구성 획득 모듈(1510) 및 송신 모듈(1520)을 포함한다. 구성 획득 모듈(1510)은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에 대한 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 및/또는 제 1 방향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방향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중 하나이며, 제 2 방향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중 다른 하나이다. 송신 모듈(1520)은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에 대해 구성된 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고, 및/또는 제 1 방향에 대해 구성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제 1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 획득 모듈(1510)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의 송신을 위해 예비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의 송신을 위해 예비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한 후, 구성 획득 모듈(1510)은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로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온-오프-스위치 표시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방향에 대해 구성된 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서의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의 송신 또는 수신은 온-오프-스위치 표시에 기초한다.
상기한 예들에서, 구성 획득 모듈(1510)은 또한 제 2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에 대한 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이 획득되는 경우, 구성 획득 모듈(1510)은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특정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 획득 모듈(1510)은, 제 2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 획득 모듈(1510)은,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표시가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이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송신 또는 수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이 송신 또는 수신될 때, 송신 모듈(1520)은, 제 2 방향에 대해 구성된 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한 연기 또는 펑처링을 수행한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 획득 모듈(1510)은 다음 동작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시간-도메인 심볼들을,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할당되는,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에 대한 비유효 리소스들로서 결정하는 동작; 제 1 방향에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들을,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할당되는,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에 대한 비유효 리소스들로서 결정하는 동작; 또는 제 1 방향에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을,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할당되는,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에 대한 비유효 리소스들로서 결정하는 동작.
일부 예들에서, 구성 획득 모듈(1510)은 다음 중 하나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 - 여기서 이 표시가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이 구성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미리 결정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이 획득되거나,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이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됨 -; 또는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는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
일부 예들에서, 도 15에 도시된 단말기는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해 구성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에 대해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해 물리적 리소스들을 시프트하도록 구성되는 리소스 시프트 모듈(1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모듈(1520)은 시프트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 획득 모듈(1510)은 동일한 업링크 대역/대역폭 및/또는 다운링크 대역/대역폭을 사용하여 다른 장치들의 복조 기준 신호들에 대한 업링크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단말기는 및 업링크 구성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다른 장치로부터의 간섭을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간섭 추정 모듈(1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측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를 더 제공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측 장치는 구성 통지 모듈(1610)을 포함한다. 구성 통지 모듈(1610)은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에 대한 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 및/또는 제 1 방향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단말기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방향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중 한 방향이고, 제 2 방향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중 다른 방향이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 통지 모듈(1610)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의 송신을 위해 예비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단말기에 통지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 통지 모듈(1610)은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로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기에 온-오프-스위치 표시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 통지 모듈(1610)은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구성 통지 모듈(1610)은 다음 중 하나를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 - 여기서 이 표시가 비무효 물리적 리소스들이 구성되었음을 표시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이 획득되거나, 또는 시그널링을 통해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이 획득됨 -; 또는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
도 1-4에 도시된 기술 솔루션들에 대하여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 솔루션들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일 뿐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 솔루션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 고정 단말기, 또는 본 기술 분야에서 리소스 구성을 수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거나 개발될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간결함을 위해, 단말기가 물리적 신호를 송신하려고 하는 방향(일부 예들에서는 "이 방향"이라 함)으로 주로 사용되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중 하나를 취하여 구체적인 기술 솔루션을 설명하며,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의 다른 방향은 "이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 또는 대향 방향으로 지칭된다. 그러나, 명시적인 표시나 모순이 없는 한, 아래에 설명된 솔루션들에서, 업링크/다운링크에 대해 설명된 솔루션은 다운링크/업링크에 대한 시나리오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며, 이것은 창의적인 작업 없이도 당업자에게 적응적인 수정만을 필요로 한다.
실시예 III
본 실시예에서는, 다운링크(업링크) 스펙트럼 또는 대역폭에서 반대의 물리적 신호를 구성하여 송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반대의 물리적 신호의 의미와 관련하여, 업링크 물리적 신호는 다운링크 스펙트럼 또는 대역폭에 대한 반대 신호이며; 유사하게, 다운링크 물리적 신호는 업링크 스펙트럼 또는 대역폭에 대한 반대 신호이다. 구성된 반대의 물리적 신호는 사용자의 송신 방향 동기화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물리적 신호 송신 방법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을 위해 페어링된 스펙트럼들에서 동작하는 풀-듀플렉스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단말기가 다운링크(업링크) 스펙트럼 또는 대역폭에서 반대의 물리적 신호에 대한 구성을 획득하고, 이 물리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프로세스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 S1710에서, 단말기는 동기화 신호를 판독하고, 다운링크 대역/대역폭에서 다운링크 동기화를 완료하고, PCID(Physical Cell Identity)를 획득하여, 셀 탐색을 완료하며; 또한 프라이머리 메시지 블록 및 시스템 메시지 블록을 판독하고, 업링크 대역/대역폭의 위치 및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에 대한 구성을 획득하고, 업링크 동기화 및 RRC 연결 확립을 완료한다.
단계 S1720에서, 단말기는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업링크 물리적 신호에 대한 구성을 획득하고/하거나, 업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다운링크 물리적 신호에 대한 구성을 획득한다.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의 업링크 물리적 신호 및 업링크 대역/대역폭 상의 다운링크 물리적 신호는 예를 들어, 시스템 메시지 블록 등과 같은 셀 특정 시그널링에 의해 또는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시그널링의 표시 컨텐츠는 업링크 물리적 신호가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 구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온-오프-스위치 표시이거나, 또는 다운링크 물리적 신호가 업링크 대역/대역폭 상에 구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온-오프-스위치 표시이거나, 또는 반대의 물리적 신호들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대역들/대역폭들 상에 구성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온-오프-스위치 표시일 수 있다.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의 업링크 물리적 신호는 랜덤 액세스 신호,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업링크)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등일 수 있다. 업링크 대역/대역폭 상의 다운링크 물리적 신호는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 세컨더리 동기화 신호,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다운링크)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등일 수 있다.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의 랜덤 액세스 신호의 구성 및 송신을 예로 들어 업링크 물리적 신호 구성 방법의 구현을 설명한다. 이 방법은 랜덤 액세스 신호에 적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물리적 신호,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 CRS, 주기적 CSI-RS, 주기적 SRS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업링크 물리적 신호의 구성에 사용되는 경우, 아래에서 설명하는 업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다운링크 물리적 신호를 구성 및 송신하는 방법은 적응적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단말기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시스템에 의해 예비된 랜덤 액세스 채널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며, 여기서 물리적 리소스들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및 시퀀스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그 다음,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단말기 자체에 의해 랜덤 액세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고; 그 다음, 랜덤 액세스 신호에 대해 획득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랜덤 액세스 신호를 송신한다. 단말기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시스템에 의해 예비된 랜덤 액세스 채널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특정 구현은, 단말기가 랜덤 액세스 채널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 구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온-오프-스위치 표시를 획득하고, 또한 온-오프-스위치 표시가 인에이블된 경우, 시스템은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예비하고 - 여기서 랜덤 액세스 채널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는 대역폭/대역폭 상에서 시스템에 의해 예비되는 것들과 동일할 수 있음 -; 그렇지 않은 경우,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예비된 랜덤 액세스 채널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은 존재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단말기 자체에 의해 랜덤 액세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특정 구현은 업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단말기 자체 의해 랜덤 액세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램덤 액세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단말기가 획득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랜덤 액세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은 업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단말기에 의해 랜덤 액세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들과 동일하다.
물리적 신호를 구성하는 방법의 다른 구현에 대하여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의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 신호의 구성 및 송신을 예로 들어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 방법은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 신호에 적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업링크 신호 또는 다운링크 신호, 예를 들어 복조 기준 신호, 비주기적 CSI-RS 등에 적용될 수도 있다. 업링크 물리적 신호의 구성에 사용되는 경우, 아래에서 설명하는 업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다운링크 물리적 신호를 구성 및 송신하는 방법은 적응적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단말기는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며 - 여기서 물리적 리소스들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및 시퀀스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의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표시 컨텐츠는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의 표시 컨텐츠는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요청/사운딩 기준 신호를 구성하기 위한 스위치, 및/또는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예를 들어, 사운딩 기준 신호의 주기, 서브 대역 대역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가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방식은 단말기가 업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방식과 동일할 수 있으며; 또는 단말기는 암시적 표시 방식으로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의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사운딩 기준 신호를 구성하기 위한 스위치가 턴온된 상태라고 결정하면, 이것은 사운딩 기준 신호가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송신됨을 표시하며; 또한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은 추가적인 시그널링 통지 없이도 업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해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과 동일할 수 있다.
단계 S1730에서, 단말기는 업링크(또는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반대의 물리적 신호를 송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를 획득한다. 이 표시가 반대의 물리적 신호가 송신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단계 S1740에서, 반대의 물리적 신호가 단계 S1720에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단말기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된다. 이 표시가 반대의 물리적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단계 S1720에서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이 시스템에 의해 예비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인 경우, 단계 S1750에서, 반대의 물리적 신호에 대해 시스템에 의해 예비된 물리적 리소스들은 단말기에 대해 비유효한 리소스들이며, 즉, 단말기는 업링크(또는 다운링크) 대역/대역폭 상에서 송신이 수행될 때 시스템에 의해 예비된 비유효한 리소스들에서 송신을 연기하거나 또는 펑처링된 송신을 수행한다.
실시예 IV
본 실시예에서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신호 송신 방법을 제안한다. 업링크(또는 다운링크) 물리적 신호의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은 다른 방향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리소스들로 구성되어, 물리적 신호의 송신이 단방향 송신이 되는 것을 보장하며, 즉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에서의 다른 방향으로의 신호 송신이 없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 송신 방법은 풀-듀플렉스 통신 시나리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성된 단방향 송신 물리적 신호는 자기 간섭 채널 추정 또는 사용자-간 간섭 추정을 위해 풀-듀플렉스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방향 송신 복조 기준 신호의 구성을 예로 들어 물리적 채널 송신을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로부터 단말기에 의해 비유효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여 송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 단방향 송신 물리적 신호가 구성되는 경우, 단방향 송신 물리적 신호에 대한 리소스 구성 획득에만 차이가 있을뿐, 다음과 같은 방법이 여전히 적용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단말기는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고, 물리적 리소스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이 방향으로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리소스들로서 사용되며, 여기서 이 방향의 물리적 채널의 송신이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송신인 경우, 반대의 송신은 업링크 송신이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의 물리적 리소스들은, 예를 들어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들의 인덱스,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의 인덱스,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에 의해 사용되는 직교 시퀀스들, 예를 들어 ZC 시퀀스들의 사이클릭 시프트 값,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리적 채널이 송신되는 경우, 단말기는 비유효 리소스들에서의 송신을 연기하거나 또는 펑처링된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가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 방향에서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비유효 리소스로서 결정하는 방법은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처음 N개의 심볼들의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의 위치를, 이 방향에서의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리소스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의 값은 프로토콜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되거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거나,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다. 도 18은 송신 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PDSCH와 PUSCH가 동일한 슬롯들에서 동일한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로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고, 다운링크 복조 기준 신호와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가 동일한 심볼들에 있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기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따라 PUSCH 송신을 위한 비유효 리소스들로서 다운링크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처음 N 개 심볼의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을 획득하며, PUSCH가 서브프레임에 매핑되는 방식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단말기에 의해서,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 방향에서의 물리적 신호 송신을 위한 비유효 리소스들로서 결정하는 방법은,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들을 이 방향에서의 물리적 신호 손신을 위한 비유효 리소스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방향에서의 물리적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시퀀스들은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의 송신을 위한 시퀀스들의 직교 또는 준-직교 시퀀스들일 수 있고, 이들은 프로토콜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되거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거나,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의 송신을 위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이 방향에서의 복조 기준 신호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하다. 도 19는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PDSCH와 PUSCH가 동일한 슬롯들에서 동일한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로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고, 다운링크 복조 기준 신호와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다운링크 복조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 리소스들은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를 위해 비유효한 리소스들이다.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들은 다운링크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직교 또는 준-직교 시퀀스들일 수 있으며, 이 시퀀스들은 프로토콜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되거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거나,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의사 랜덤 시퀀스 생성기의 초기 값을 획득하고, 여기서 다운링크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초기 값과 이 초기 값 사이에 차분
Figure pct00001
가 있으며,
Figure pct00002
의 값은 프로토콜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며,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다. 다른 예에서, 업링크 다운링크 복조 신호와 다운링크 복조 신호는 동일한 루트 시퀀스를 사용하는 ZC 시퀀스들이며, 단말기는 ZC 시퀀스로서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의 사이클릭 시프트 값
Figure pct00003
을 획득한다. 사이클릭 시프트 값
Figure pct00004
은 다운링크 복조 기준 신호의 사이클릭 시프트 값과 다르며,
Figure pct00005
은 프로토콜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되거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거나,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에 의해,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 방향에서의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비유효 리소스로 결정하는 방법은,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를 위한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의 위치를 이 방향에서의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리소스들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방향에서의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유효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은 프로토콜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되거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거나, 또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다. 이 방법은 동일한 심볼들 상의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이 불연속적인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은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PDSCH와 PUSCH는 동일한 슬롯들 상에서 동일한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로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고, 동일한 심볼들에서 다운링크 복조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은 불연속적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가 다운링크 복조 기준 신호와 동일한 심볼들에 매핑될 수 있으며, 다운링크 복조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은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비유효 리소스들이다.
단말기에 의해,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 리소스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 방향에서의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리소스로 결정하는 상기한 세 가지 방법은 서로 결합되어 새로운 결정 방법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일 구현에서, 단말기는 반대의 송신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구현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통해 복조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단말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업링크 물리적 채널을 통해 복조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동일한 단말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업링크 물리적 채널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과 다운링크 스케줄링 승인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정보와 다운링크 스케줄링 승인 정보는 각각 다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정보와 다운링크 스케줄링 승인 정보는 동일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동시에 전달되어 송신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단말기에 의해 물리적 채널 송신을 위해 물리적 리소스들로부터 비유효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고 송신하는 또 다른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고정 프로토콜 규칙 및/또는 시그널링을 통해 비유효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비유효 리소스 구성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물리적 업링크(또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리소스들을 얻기 위해 업링크(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무효 리소스들은 반대의 복조 기준 신호와 같은, 반대의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일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단말기는 업링크(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승인 정보에 비유효 리소스들이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스위치 표시를 획득한다. 스위치 표시가 인에이블되면, 프로토콜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된 비유효 리소스들이 획득되며, 스위치 표시가 디스에이블되면, 비유효 리소스 구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프로토콜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되는 비유효 리소스들은 위에서 설명한 도 18,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및/또는 시퀀스 리소스들일 수 있다. 다른 특정 구현에서, 단말기는 업링크(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승인 정보에서 비유효 리소스들의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여기서 구성된 비유효 리소스들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및/또는 시퀀스 리소스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유효 리소스들의 위치가 리소스 파티클들의 열
Figure pct00006
또는 리소스 파티클의 두 개의 열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임을 1 비트를 사용하여 표시하며, 여기서 k는 물리적 채널의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에 속하는 서브캐리어의 인덱스이며;
Figure pct00009
는 슬롯들에서 물리적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초기 OFDM 심볼의 인덱스이거나 또는 단말기의 스케줄링 승인 정보에 의해 구성되는 비유효 리소스들의 초기 OFDM 심볼의 인덱스이다. 다른 예에서는, 비유효 리소스 파티클들이 표 1의 조건들 중 하나를 만족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1은 물리적 채널 송신을 위한 표시 상태 인덱스들과 비유효 리소스 파티클들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것이며, 여기서 k는 물리적 채널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에 속하는 서브캐리어의 인덱스이며;
Figure pct00010
는 슬롯들에서 물리적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초기 OFDM 심볼의 인덱스, 또는 단말기의 승인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구성되는 비유효 리소스들의 초기 OFDM 심볼의 인덱스이다. 다른 예에서는, 비유효 리소스들의 위치들이 리소스 파티클들
Figure pct00011
임을 나타내며, 여기서 k는 물리적 채널의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에 속하는 서브캐리어의 인덱스이며;
Figure pct00012
는 비트 매핑을 통해 표시된다. 예를 들어, 표시 정보가 00011000000000인 경우, 1인 4 번째 및 5 번째 비트는 스케줄링된 물리적 채널의 송신을 위해 슬롯들의 4 번째 및 5 번째 OFDM 심볼들에 비유효 리소스들이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표 1: 물리적 채널 송신을 위한 표시 상태 인덱스들과 비유효 리소스 파티클들 간의 대응 관계
또한, 구성된 비유효 리소스들이 물리적 신호에 대해 구성된 리소스들(예를 들어, 복조 기준 신호, 사운딩 기준 신호, CSI-RS 등일 수 있음)의 위치들과 중첩될 수 있음을 고려하면, 물리적 채널의 경우, 비유효 리소스 구성이 물리적 신호의 일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유효 리소스들과 물리적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 사이에 중첩을 발생키지 않는 물리적 신호 패턴이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이 시프트될 수도 있다. 물리적 신호 패턴들을 구성하고 물리적 신호 송신을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프트를 구성하는 방법이 이하에서 제공된다. 특히, 비유효 리소스들이 물리적 채널에 대한 리소스 구성과 중첩되는 경우의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다음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음의 방법에서 "물리적 신호"를 "물리적 채널"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한, 세부 내용은 여기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물리적 신호 패턴들을 구성하는 방법의 특정 구현에서, 단말기는 스위치 표시에 따라 물리적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 즉 물리적 신호 패턴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풀-듀플렉스 송신에서 다운링크 복조 기준 신호가 단방향 송신이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시스템이 업링크 송신에서 비유효 리소스들을 구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기가 스위치 표시가 인에이블된 것으로 결정하면, 단말기는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복조 기준 신호를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한다. 이 경우, 단말기에 의해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은 단말기에 의해 다운링크 복조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과 상이하며, 여기서 업링크 송신을 위한 단말기와 다운링크 수신을 위한 단말기는 동일한 단말기이거나 상이한 단말기들일 수 있다. 동시에,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업링크 물리적 채널에 대한 비유효 리소스 구성을 추가로 획득해야 한다. 이 구성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물리적 신호 송신을 위한 물리적 리소스의 시프트를 구성하는 방법의 특정 구현에서는, 단말기가 물리적 신호의 물리적 리소스 시프트 표시를 획득하며, 이 물리적 신호는 시프트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송신되고, 여기서 물리적 리소스들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및/또는 시퀀스 리소스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의 시프트 값은 하나 이상의 OFDM 심볼들일 수 있고;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의 시프트 값은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일 수 있으며; 시퀀스 리소스들의 시프트 값은 시퀀스들의 사이클릭 시프트 값일 수 있다. 단말기에 의해, 물리적 신호의 물리적 리소스 시프트 표시를 획득하는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비유효 리소스들의 위치에 따라 물리적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 시프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구성된 비유효 리소스들의 위치가 물리적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경우, 단말기가 물리적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물리적 리소스들을 시프트하는 단계; 그렇지 않은 경우, 단말기가 원래의 물리적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물리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프트 값은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될 수 있음 -를 포함할 수 있다.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프트 값을 구성하는 방법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 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사용하여, 물리적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프트 값, 예를 들어,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OFDM 심볼의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는 시프트 값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를 예로 들면,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는 물리적 채널의 송신을 위해 초기 OFDM 심볼(
Figure pct00014
로 표시됨)에서 송신된다. 이 경우에 구성되는 비유효 리소스들이 모두 심볼
Figure pct00015
상의 서브캐리어들이며, 즉 구성된 비유효 리소스들이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를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시그널링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획득되는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OFDM 심볼의 인덱스 시프트 값은 N이고,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는 인덱스가
Figure pct00016
인 OFDM 심볼에서 송신된다. 도 21은 이 예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유사하게,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서브캐리어/물리적 리소스 블록의 시프트가 또한 표시될 수 있다. 유사하게,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시퀀스의 사이클릭 시프트의 시프트 값,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시퀀스의 초기 생성 값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단방향 송신 물리적 신호가 자기 간섭 채널 추정을 위해 풀-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단방향 송신 업링크 물리적 신호가 단말-간 간섭 채널의 추정을 위해 더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풀-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하 업링크 단말기라 함)와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하 다운링크 단말기라 함)에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할당될 수 있으며, 다운링크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들의 업링크 송신 신호들을 수신하면서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함으로써, 단말-간 간섭을 유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방향 송신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가 구성되면, 다운링크 단말기는 단방향 송신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간 간섭 채널을 추정하며, 이에 따라 수신기의 검출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업링크 피드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단방향 송신 업링크 물리적 신호의 구성 및 송신 방법에 대하여 복조 기준 신호를 예로 들어 이하 설명한다. 특정 구현에서, 다운링크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업링크 단말기들의 복조 기준 신호들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며, 이것은 각 업링크 단말기의 다음 구성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복조 기준 신호 시퀀스, 송신 전력, 및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의 시간 도메인 위치들 및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들. 복조 기준 신호 시퀀스의 구성 정보는 UE ID(User Equipment Identity), 스크램블링 ID(Scrambling Identity), 확산 코드 인덱스 및 사이클릭 시프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운링크 단말기에 의해, 업링크 단말기의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는 방법은 다운링크 단말기에 의해 다운링크 스케줄링 승인 정보 또는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에서, 다운링크 단말기는 업링크 단말기의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고, 업링크 복조 신호의 리소스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리소스로서 사용하며; 동시에, 다운링크 단말기는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의 구성에 따라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새로운 업링크 기준 신호들/이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새로운 구성 파라미터들이 더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방향 송신 업링크 물리적 신호를 구성 및 송신하는 방법의 다른 특정 구현에서, 다운링크 단말기는 업링크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며, 이것은 적어도 다음 컨텐츠들 중 하나를 포함한다: 기준 신호 시퀀스 관련 구성 정보, 송신 전력, 및 기준 신호(또는 업링크 물리적 채널)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위치들. 이 프로세스에서, 다운링크 단말기는 업링크 단말기의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을,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리소스들로서 획득한다. 동시에, 다운링크 단말기는 전용 업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에 따라 제 2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업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들은 셀 레벨 구성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업링크 기준 신호는 고정된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단말기들에 의해 송신되며, 이것은 셀 레벨 구성 파라미터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 2 업링크 기준 신호는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의 일부일 수 있으며,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를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점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은 구성된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들의 제 2 OFDM 심볼 상의 모든 서브캐리어들이 제 2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리소스들로 사용되거나;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에 사용되지 않는 물리적 리소스들이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것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지정한다. 구체적으로, 제 2 업링크 기준 신호는 짧은 시퀀스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고, 동일한 시퀀스가 제 2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에서 반복 송신될 수 있으며, 여기서 짧은 시퀀스는 프로토콜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된 시퀀스이거나 또는 셀 특정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된 시퀀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업링크 기준 신호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을 점유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길이 12의 시퀀스가 각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매핑될 수 있으며, 이 매핑 프로세스가 서로 다른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 상에서 반복된다. 복수의 업링크 단말기들 및 다운링크 단말기들에 대하여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할당되는 경우, 모든 업링크 단말기들은 동일한 짧은 시퀀스를 송신하거나 시퀀스 확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즉 서로 다른 업링크 단말기들이 서로 다른 확산 코드들을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업링크 단말기들이 서로 다른 사이클릭 시프트들을 사용한다. 서로 다른 업링크 단말기들에 의해 사용되는 확산 코드들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들의 값은 다운링크 스케줄링 승인 정보에 의해 전달될 수 있으며, 다운링크 단말기들에게 통지될 수 있다. 시퀀스 확산은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 도메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단말기가 2 개라고 가정하면, 주파수 도메인 확산을 위해 길이 6의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시퀀스의 각 요소는 길이가 2인 동일한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확산되고, 확산 후의 시퀀스는 도 22와 동일하게 길이가 12이며, 단일 물리적 리소스 블록의 하나의 OFDM 심볼에 매핑된다. 길이가 12인 시퀀스가 시간 도메인 확산에 또한 사용되며, 각 시퀀스의 각 요소는 길이가 2인 동일한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확산되고, 동일한 서브캐리어의 두 OFDM 심볼에 각각 매핑된다. 따라서, 확산 이후의 시퀀스는 24의 길이를 가지며, 단일 물리적 리소스의 두 OFDM 심볼에 매핑된다.
또한, 풀-듀플렉스 시스템에는 하프-듀플렉스 시스템의 것과 상이한 또 다른 간섭이 존재한다. 기지국이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에서 한 사용자의 업링크 송신과 다른 사용자의 다운링크 송신을 동시에 스케줄링하는 경우, 업링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업링크 송신은 다운링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수신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스케줄링된 업링크 사용자와 다운링크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울 경우, 이러한 사용자-간 간섭은 더욱 심해진다. 일반적으로, 풀-듀플렉스 송신에서 사용자-간 간섭은 기지국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최적화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의 스케줄링이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와 채널 정보가 모두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스케줄링 알고리즘도 사용자-간 간섭이 노이즈 임계값 미만으로 감소되도록 보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간 간섭은 이러한 유형의 풀-듀플렉스 송신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기존 시스템의 설계 하에서는, 간섭을 받는 다운링크 사용자가 업링크 간섭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용자-간 간섭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다운링크 사용자 수신기는 사용자-간 간섭에 대한 추가 최적화를 수행할 수 없다. 수신기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운링크 수신을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이 동일한 간섭 원으로부터의 사용자-간 간섭에 의해 간섭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동일한 다운링크 사용자에 대한 동일한 물리적 리소스들에 복수의 사용자가 스케줄링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운링크 수신 프로세스의 서로 다른 심볼들이 서로 다른 간섭 강도를 받게 되어, 비트 오류 전파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시스템의 설계에 따르면, 풀-듀플렉스 리소스 할당의 경우 다운링크 사용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에 동일한 업링크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간 간섭만 존재하도록 보장하기가 어렵다. 첫째, 실제 시스템들에서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의 파형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파형들이 서로 다른 리소스 할당 타입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프리코더가 인에이블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파형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인 타입의 리소스 할당을 사용해야 하는 반면; 변환 프리코더가 인에이블되지 않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파형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이거나 연속적이지 않는 타입의 리소스 할당을 사용해야 한다. 업링크 사용자와 다운링크 사용자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인 리소스 할당과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이지 않은 리소스 할당을 사용하는 경우, 한 쌍의 업링크 사용자와 다운링크 사용자만이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에서 스케줄링하는 것이 보장될 수 없다. 둘째,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의 파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주파수 도메인 다이버시티를 획득하는 방법들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기존 시스템에서는,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파형들을 사용하고 변환 프리코더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주파수 도메인 다이버시티를 얻는 방법은 분산 매핑 또는 인터리브 매핑이며, 즉 하나의 전송 블록의 데이터가 불연속적인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에 매핑되고,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의 인덱스는 분산 매핑의 패턴 또는 인터리빙 매핑 공식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기존 시스템에서는, 업링크 물리적 채널이 변환 프리코더가 인에이블되거나 인에이블되지 않는 OFDM 파형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파수 도메인 다이버시티를 획득하는 방법은 주파수 호핑이고, 즉 동일한 OFDM 심볼들에서 업링크 송신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적 리소스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이며, 동일한 업링크 송신의 서로 다른 OFDM 심볼들에 의해 점유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이 서로 다르다. 도 23은 다운링크 분산 매핑 및 업링크 주파수 호핑을 위한 물리적 리소스 할당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현재의 시스템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들에 서로 다른 주파수 도메인 다이버시티 기술을 사용하면, 풀 듀플렉스 기지국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들에서 완전히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다중화되는 것을 보장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2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UE에서 수행되는 송신 방법의 흐름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UE에서 수행되는 송신 방법(2400)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2400)은 단계 2401 및 2403을 포함한다.
단계 2401에서, UE는 다음 송신 리소스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한다: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을 위한 송신 리소스 구성, 여기서 이 송신 및 매핑 방법들은 분산 매핑 및 중앙 집중식 매핑, 인터리브 매핑 및 비-인터리브 매핑, 주파수 호핑 송신 및 비-주파수 호핑 송신의 세 가지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에서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한 구성.
단계 2403에서, UE는 획득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 및 매핑 방법, 또는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에 대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소들에서의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한 구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송신을 수행한다.
이것은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 및 풀-듀플렉스 통신에서 스케줄링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이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을 다중화하는 매핑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함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들 중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은, 물리적 업링크/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에서 사용하는 물리적 리소스들과 물리적 다운링크/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서 사용되는 물리적 리소스들이 중첩되지 않게 됨으로써, 물리적 제어 채널의 송신 성능을 보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UE가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방식,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주파수 호핑 및 매핑 방법에 대해 각각 상세히 설명한다.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 획득
본 명세서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은 구체적으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 파형"을 지칭하며, 여기서 업링크/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은 물리적 업링크/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물리적 업링크/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물리적 채널 송신 파형은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에이블되는 OFDM,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에이블되지 않는 OFDM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는 하나의 송신 방향의 송신 파형을 획득하고,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 간의 관계에 대한 표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과 하나의 송신 방향에서 획득된 송신 파형 사이의 관계에 따라 다른 송신 방향에 대한 송신 파형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표현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실제 적용에서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지칭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을 예로 들면, 예시적인 구현에서,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의 1 비트는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이 업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과 동일한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UE에 의해 획득된 업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이 OFDM이고,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에이블되며, UE가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이 업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과 동일함을 나타내는 표시를 획득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UE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은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에이블되는 OFDM이고; 그렇지 않고, UE가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이 업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과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획득하는 경우, UE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은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에이블되는 OFDM이 아니며, 예를 들어,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에이블되지 않는 OFDM일 수 있으며, 또는 다른 파형들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는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의 조합(즉, 결합 표시 모드)에 대한 표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또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의 조합에 따른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에서, 하나의 표시 필드는 업링크 물리적 채널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파형의 조합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표 2는 이러한 인스턴스를 보여준다.
[표 2]
Figure pct00017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의 파형을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UE는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또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정보는 풀-듀플렉스 통신/풀-듀플렉스 대역폭 부분/풀-듀플렉스 대역폭의 표시 정보, 즉 시스템 레벨 풀-듀플렉스 표시 정보일 수 있다. 이 표시 정보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이것은 시스템 대역폭/현재 대역폭 부분/현재 구성된 대역폭에서 풀-듀플렉스 스케줄링이 허용됨을 의미하며, 즉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에서의 서로 다른 사용자들 또는 동일한 사용자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들이 허용됨을 의미한다. 풀-듀플렉스 대역폭 부분의 표시를 예로 들면, 예시적인 구현에서, UE에 의해 획득된 현재 대역폭 부분의 풀-듀플렉스 표시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대역폭 부분에서 UE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물리적 채널과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파형들은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에이블되지 않는 OFDM들이고; UE에 의해 획득된 현재 대역폭 부분의 풀-듀플렉스 표시가 인에이블되지 않는 경우, 대역폭 부분에서 UE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물리적 채널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파형들이 기존 하프-듀플렉스 시스템 구성에 따라 획득된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에서, UE에 의해 획득된 현재 대역폭 부분의 풀-듀플렉스 표시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대역폭 부분에서 UE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들은 업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과 동일하다. 특히, 업링크 물리적 채널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의 인에이블 여부를 구성하고, 업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 구성에 따라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이 획득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을 획득할 수 있다.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전달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일 수 있다. 그 후, UE는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로부터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의 표시를 획득할 수 있다. 이 표시는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1 비트일 수 있다(즉, 파형이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에이블되는 OFDM 또는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에이블되지 않는 OFDM임을 나타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의 파형을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에서, UE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통해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또한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리소스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의 풀-듀플렉스 송신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1 비트가 사용되며, 여기서 동일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업링크 물리적 채널과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은 동일한 UE로부터의 것이거나 또는 상이한 UE들로부터의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표시 정보는 UE 레벨 풀-듀플렉스 표시 정보일 수 있다. 일 예에서, UE에 의해 획득된 풀-듀플렉스 표시 정보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스케줄링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파형들은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 에이블되지 않는 OFDM일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스케줄링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파형은 하프-듀플렉스 시스템 구성에 따라 획득된다.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 획득
본 명세서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은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리소스 할당 타입"을 의미하며, 기존 LTE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 및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즉, 명시적 표시)에 의해 전달되는 스케줄링 그랜트 내의 하나의 표시 필드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풀-듀플렉스 시스템은 스케줄링 그랜트를 전달하는 하나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지원할 수 있으며, 동일한 UE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들을 동시에 스케줄링할 수 있다. UE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들을 동시에 스케줄링하기 위해 하나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경우, UE는 스케줄링 그랜트의 표시 필드를 판독하여 업링크 물리적 채널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리소스 할당 타입들을 획득할 수 있다. 스케줄링 그랜트의 표시 필드는 하나의 표시 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하나의 리소스 할당 타입일 수 있으며, 여기서 리소스 할당 타입은 UE에 대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물리적 채널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리소스 할당들 모두에 적용 가능하고; 또는 스케줄링 그랜트의 표시 필드는 사용자에 대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물리적 채널의 리소스 할당 타입과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리소스 할당 타입을 공동으로 표시하는 표시 필드일 수 있다. 표 3은 이러한 인스턴스를 보여준다.
[표 3]
Figure pct00018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을 암시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즉, 획득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구성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 사이의 미리 정의된 연관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UE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의 파형 조합에 따라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의 리소스 할당 타입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풀-듀플렉스 송신을 위해 허용된 대역폭 또는 대역폭 부분에 대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들의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에이블되는 OFDM인 경우, 풀 듀플렉스 송신을 위해 허용되는 대역폭 또는 대역폭 부분 상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들을 모두 수행하는 UE에 대한 리소스 할당 타입들은 리소스 할당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인 리소스 할당 타입, 예를 들면, 업링크/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 1이고; 획득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의 파형들이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에이블되지 않는 OFDM인 경우, 듀플렉스 송신이 허용되는 대역폭 또는 대역폭 부분 상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들을 수행하는 UE에 대한 리소스 할당 타입들은 동일해야 하며, 이것은 리소스 할당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인 리소스 할당 타입이거나, 또는 리소스 할당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이지 않은 리소스 할당 타입일 수 있다. 이것은 시스템에 의해 정의되거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 간의 관계에 대한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 간의 관계 및 획득된 하나의 송신 방향에서의 송신 파형에 따라 다른 송신 방향에 대한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의 조합에 대한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의 조합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통해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의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통해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을 위한 송신 리소스 구성 획득
본 명세서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은 구체적으로 분산 매핑 및 중앙 집중식 매핑, 인터리브 매핑 및 비-인터리브 매핑, 주파수 호핑 송신 및 비-주파수 호핑 송신의 세 가지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 및 매핑 방법"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다운링크 제어 정보)을 통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즉, 명시적 표시)의 표시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서, UE는 풀-듀플렉스 송신 구성 파라미터에서 송신 및 매핑 방법에 대한 표시를 획득하며, 이것은 1 비트 표시 필드 {분산 매핑, 주파수 호핑 송신}일 수 있으며, 풀-듀플렉스 송신 구성 파라미터는 풀-듀플렉스 송신을 위해 허용된 대역폭 부분에 대한 하이-레벨 구성 파라미터, 풀-듀플렉스 송신을 위해 허용된 구성 대역폭, 또는 풀-듀플렉스 송신을 위해 허용된 시스템 대역폭일 수 있다. 또한, UE는 스케줄링 그랜트로부터, 표시된 송신 및 매핑 방법의 인에이블 여부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풀 듀플렉스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UD에 의해 먼저 획득되는 풀 듀플렉스 대역폭 부분을 통해 송신되는 업링크 물리적 채널과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송신 및 매핑 방법이 주파수 호핑 송신인 경우, UE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주파수 호핑 송신을 인에이블할지 여부의 표시를 획득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는 암시적으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에 대한 구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서, UE는 업링크 물리적 채널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파형 구성들에 따라 업링크 물리적 채널 및/또는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송신 및 매핑 방법을 획득하고, 여기서 업링크 물리적 채널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파형들과 업링크 물리적 채널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매핑 방법들 사이에는 연관이 있다. 구체적으로, 파형들과 송신 및 매핑 방법들 사이의 연관이 일대일 연관이거나 일대다 연관인 경우, 표시 비트를 사용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의 송신 및 매핑 방법들을 표시할 필요가 없다. 특정 예에서, UE에 의해 획득된 업링크 물리적 채널 파형이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에이블되는 OFDM인 경우, 업링크 물리적 채널과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송신 및 매핑 방법들은 주파수 호핑 송신들로서 동일한 주파수 호핑 패턴을 사용하며, UE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주파수 호핑 송신이 인에이블되는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추가로 획득한다. UE에 의해 획득된 업링크 물리적 채널과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파형들이 변환 도메인 프리코딩이 인에이블되지 않는 OFDM인 경우, 업링크 물리적 채널과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송신 및 매핑 방법들은 분산 매핑(또는 인터리브 매핑)으로서 동일한 매핑 규칙을 사용하고, UE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분산 매핑(또는 인터리빙 매핑)이 인에이블되는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추가로 획득한다. 분산 매핑(또는 인터리브 매핑)이 인에이블되지 않는 경우, 업링크 물리적 채널과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 모두는 중앙 집중식 매핑(또는 비-인터리브 매핑)을 사용한다.
여기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 간의 관계에 대한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 간의 관계 및 획득된 하나의 송신 방향에서의 송신 파형에 따라 다른 송신 방향에 대한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의 조합에 대한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의 조합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통해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의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통해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전술한 내용은 UE가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주파수 호핑 및 매핑 방법들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방법을 각각 상세히 설명한 것이다. 실제 시스템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UE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 및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주파수 호핑 및 매핑 방법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표시 정보를 획득하는 상이한 방법들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기존(하프-듀플렉스) 시스템에서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UE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은 충돌이 있을 경우 UE에 의해 수신되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과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의 우선 순위만 지정하면 되며, 정상적인 다운링크 수신이 보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기존(하프-듀플렉스) 시스템에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될 수 있으며, 그 처리 방법은 유사하다. 하프-듀플렉스 시스템의 경우, 업링크 송신과 다운링크 송신이 풀-듀플렉스 시스템과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 블록에서 다중화되는 시나리오가 없다.
풀-듀플렉스 시스템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UE들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들이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에서 스케줄링되는 것을 의미하며,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에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에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과 충돌하거나; 또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에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과 충돌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업링크 및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 송신들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풀-듀플렉스 시스템에서도, 업링크 및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은 단방향 하프-듀플렉스 송신 모드를 보장해야 한다. 이 경우, 물리적 제어 채널(들)의 회피는 새로운 물리적 프로세스를 정의할 것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단계 2401에서,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 중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한 구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UE는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여, 물리적 업링크/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에 의해 사용되는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의해 사용되는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함음으로써, 물리적 제어 채널(들)의 송신 성능을 보장한다.
이하에서는, UE가 단계 2401에서,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 중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고, 단계 2403 단계에서 송신을 수행하는 실시예가 도 2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비교의 편의를 위해, 도 24의 단계에 대응하는 도 25의 단계는 도 24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 25는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UE에서 수행되는 송신 방법(2500)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2500)은 단계 2501 및 2503을 포함한다.
단계 2501에서, UE는 자신에게 구성된 제 1 송신 방향으로 구성된 물리적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 구성과,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한다.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UE 특정 또는 UE 그룹 특정 또는 셀 특정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UE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에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인, 물리적 리소스들(이하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이라 함);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UE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의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이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이라 함).
단계 2503에서, UE가 제 1 송신 방향으로 물리적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풀-듀플렉스 송신이 있거나 존재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송신은,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 이외의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획득된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수행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음 기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 1 송신 방향으로 획득된 물리적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의 풀-듀플렉스 송신이 있거나 존재할 수 있다고 결정된다:
획득된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송신 서브프레임이 제 2 송신 방향의 서브프레임이고, 여기서 제 1 송신 방향은 제 2 송신 방향과 상이하며; 예를 들어, 제 1 송신 방향이 업링크이고, 제 2 송신 방향은 다운링크이거나; 또는 제 1 송신 방향이 다운링크이고, 제 2 송신 방향은 업링크이거나;
획득된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송신 대역폭이 제 2 송신 방향의 대역폭이거나;
획득된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이, 풀-듀플렉스 송신이 인에이블되는 대역폭 부분/구성된 대역폭/시스템 대역폭에 위치되거나;
획득된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이, 풀 듀플렉스 송신이 인에이블되는 서브프레임/OFDM 심볼/시간 슬롯에 위치되거나; 또는
획득된 스케줄링 그랜트가 풀 듀플렉스 송신을 나타냄.
제 1 송신 방향이 업링크이고 제 2 송신 방향이 다운링크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계 2501에서, UE는 자신에 대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추가로 획득하고, 획득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 할당 및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 구성에 따라,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의 일부로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을 결정하여,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한다.
단계 2503에서, UE가 획득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의 풀-듀플렉스 송신이 있거나 존재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중첩되는 제 1 물리적 리소스들 이외의 획득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으로 펑처링;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리소스 요소들 근처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레이트 매칭; 또는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이 끝날 때까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 연기.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예들을 참조하여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 간의 물리적 리소스 충돌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UE는 단계 2501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 및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고, 획득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에서의 풀-듀플렉스 송신이 있거나 존재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획득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의 풀-듀플렉스 송신이 있거나 존재할 수 있다고 UE가 판단하는 기준은 UE에 의해 획득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거나; 또는 UE에 의해 획득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 대역폭이 다운링크 대역폭이거나; 또는 UE에 의해 획득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이 풀-듀플렉스 송신이 인에블되는 대역폭 부분/구성 대역폭/시스템 대역폭에 위치하거나; 또는 UE에 의해 획득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이 풀-듀플렉스 송신이 인에이블되는 서브프레임/OFDM 심볼/시간 슬롯에 위치한다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은 시스템에서 구성되고 UE에 의해 획득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일 수 있다. 시스템에서 구성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의 의미는 셀 내의 연결 상태에 있는 모든 사용자들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물리적 리소스의 집합이다. 예를 들어, UE가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 채널을 통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도록 표시하거나, UE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물리적 제어 채널(들) 코어세트의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한다.
UE가 획득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에서의 풀-듀플렉스 송신이 있거나 존재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지 여부가 추가로 결정된다. 물리적 리소스들의 중첩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에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과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물리적 리소스 요소가 있음을 의미한다.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경우, UE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방법에 의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을 처리한다: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에 의해 사용되는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로의 펑처링;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사용되는 물리적 리소스 요소 근처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레이트 매칭; 또는 중첩되는 물리적 리소스 이후까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매핑 연기. 송신/매핑을 연기하는 것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을 계속하기 위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에 의해 사용되는 OFDM 심볼 다음의 OFDM 심볼까지 연기하거나, 시스템 측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 기간의 마지막 송신 서브프레임/슬롯 다음의 서브프레임/슬롯까지 연기하는 것일 수 있다. 앞서의 두 가지 처리 방법의 효과에 대한 개략도가 도 26a에 도시되어 있으며, 세 번째 처리 방법의 효과에 대한 개략도가 도 26b에 도시되어 있다.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UE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통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한다.
제 1 송신 방향이 다운링크이고 제 2 송신 방향이 업링크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리적 리소스 충돌을 해결하는 방법은 제 1 송신 방향이 업링크이고 제 2 송신 방향이 다운링크인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상이하다. 왜냐하면 시스템 측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이 셀-레벨 리소스 구성이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모든 UE들은 시스템 측에서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할 수 있지만; 풀-듀플렉스 시스템에서는, 한 UE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과 충돌하는 것이 항상 다른 UE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이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리소스 구성은 사용자-레벨이기 때문이다. 기존 시스템 설계는 하나의 UE가 다른 UE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을 얻도록 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과 충돌하는 문제에 대한, 한 가지 방법은 UE가 다른 UE들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설계하는 것이며; 또 다른 방법은, 리소스 할당 메커니즘으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사용되는 물리적 리소스들과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에 사용되는 물리적 리소스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는 단계 2501에서, 다운링크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UE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한다.
단계 2503에서, UE가 획득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풀-듀플렉스 송신이 있거나 존재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 2 물리적 리소스들 이외의 획득된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수신이 수행되며 이것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된다: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수신으로 펑처링;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리소스 요소 근처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레이트 매칭; 또는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이 끝날 때까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 연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하는 것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UE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해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획득된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획득된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경우, 중첩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제 2 물리적 리소스들로서 사용하는 것; 및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획득하는 것.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예들을 참조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간의 물리적 리소스 충돌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UE는 단계 2501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고, 획득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풀-듀플렉스 송신이 있거나 존재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획득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풀-듀플렉스 송신이 있거나 존재할 수 있다고 UE가 결정하는 기준은 UE에 의해 획득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 서브프레임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거나; 또는 UE에 의해 획득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 대역폭이 업링크 대역폭이거나; 또는 UE에 의해 획득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이 풀 듀플렉스 송신이 인에블되는 대역폭 부분/구성 대역폭/시스템 대역폭에 위치하거나; 또는 UE에 의해 획득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이 풀 듀플렉스 송신이 인에이블되는 서브프레임/OFDM 심볼/시간 슬롯에 위치한다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UE는 또한 단계 2501에서, 다운링크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은 다운링크 물리적 신호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수신이 수행되지 않을,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 내에서 UE에 의해 구성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이다.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획득하는 UE의 구현은 다음을 포함한다: UE가 자신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고, 자신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 물리적 리소스들이 자신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물리적 리소스들을 사용하는 UE가, 제 2 물리적 리소스들로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자신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을 사용하는 것. 구체적으로, UE가 자신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방법은 기존 프로세스와 동일할 수 있으며, 즉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및/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부터 자신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UE는 서로 다른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따라 각각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물리적 리소스들 및 다운링크 공유 채널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로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이 다른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ACK/NACK을 전달하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인 경우, UE가 이것에 기초하여 일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즉,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 물리적 리소스)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이 이것에 기초하여 스케줄링되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과 상이하다.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획득하는 UE의 다른 구현은, UE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컨텐츠는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에 의해 점유되는 슬롯/서브프레임/미니 서브프레임,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 위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 위치, 또는 제 2 물리적 리소스드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캐리어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 표시를 수행하는 방법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의 시간 도메인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작 또는 종료 위치를 참조하여 상대적 위치를 통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은 시간 도메인에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작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UE에 의해 획득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에서의 시작 위치가 서브프레임 #4의 심볼 #3이고, UE에 의해 획득되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가 시간 도메인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작 위치로부터 다섯 번째 심볼인 것으로 가정하면, UE에 의해 실제 획득되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는 서브프레임 #4의 심볼 #8이다. 구체적으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은 UE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 리소스일 수 있거나, 다른 UE들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 리소스들일 수 있다.
UE는 획득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에 따라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에 의해 실제 송신되는 물리적 리소스들을 결정할 수 있다.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물리적 리소스들에 사일런스 리소스가 있는 경우, UE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방법에 의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을 처리한다: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수신으로 펑처링;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리소스 요소들 근처로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레이트 매칭; 또는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종료 후까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 연기. 수신/매핑을 연기하는 것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수신을 계속하기 위해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마지막 OFDM 심볼 다음의 심볼까지 연기하는 것일 수 있다. 앞서의 두 가지 처리 방법의 효과에 대한 개략도가 도 27a에 도시되어 있으며, 세 번째 처리 방법의 효과에 대한 개략도가 도 27b에 도시되어 있다.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에 제 2 물리적 리소스가 없는 경우, UE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통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UE에 의해 수행되는 송신 방법(2400)은 도 28에 도시된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사이의 물리적 리소스 충돌을 처리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단계 2802에서, UE는 자신에 대해 구성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획득하고 - 여기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은, UE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제외한 모든 업링크 채널들을 송신하는, UE의 활성 대역폭/대역폭 부분과 상이함 -; 또한
단계 2803에서, UE는 획득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대역폭/대역폭 부분에 따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한다.
비-풀 듀플렉스 송신의 대역폭/대역폭 부분에서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 송신을 구성함으로써,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 송신 및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송신에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할당되지 않도록 한다. 도 29a 및 도 29b는 각각 두 가지 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특정 구현에서, UE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획득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은, UE가 다른 업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들을 수행하는 대역폭/대역폭 부분과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업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을 위한 UE의 대역폭/대역폭 부분은 특히 활성화된 업링크 대역폭 부분이거나, 또는 최신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구성된 대역폭이거나, 또는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특정 대역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대역폭 또는 대역폭 부분이 100 개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시스템 대역폭 또는 대역폭 부분에서 다른 업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들이 수행될 수 있는 대역폭은 인덱스가 3 내지 96인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이며, 비-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위한 물리적 리소스 블록의 인덱스는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다.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획득하는 UE의 특정 구현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이 시스템에 의해 정의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대역폭 부분이 100 개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이 대역폭 부분에서 다른 업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들이 수행될 수 있는 대역폭은 인덱스가 3 내지 96인 물리적 리소스 블록으로 정의되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 송신이 수행될 수 있는 대역폭은 0 내지 2의 인덱스 및 97 내지 99의 인덱스를 갖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인 것으로 가정하거나; 또는 시스템이 여러 개의 대역폭 부분을 포함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 송신에 사용될 수 있는 대역폭 부분 인덱스는 시스템에 의해 정의되며, 예를 들어, 이것은 동기화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일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획득하는 UE의 또 다른 특정 구현은, UE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셀에 특정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일 수 있으며, 조건을 충족하는 UE가 구성된 대역폭/대역폭 부분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함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조건을 충족하는 UE는 셀 내의 모든 UE들 또는 특정 대역폭/대역폭 부분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수행하는 UE들일 수 있으며, 여기서 특정 대역폭/대역폭 부분의 특정 구현은 풀-듀플렉스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일 수 있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획득하는 UE의 또 다른 구현은, UE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획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대역폭 또는 대역폭 부분을 표시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에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 인덱스를 표시할 수 있다.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획득하는 UE의 또 다른 특정 구현은, UE가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획득한다.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 또는 대역폭 부분을 표시하는 특정 방법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 또는 대역폭 부분이 다른 업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들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과 동일하거나 상이함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들이 동일하다고 표시되는 경우, UE는 다른 업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들을 위해 구성된 대역폭/대역폭 부분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수행하고; 이들이 서로 다르다고 표시되는 경우, UE는 다른 업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들에 사용되지 않는 대역폭/대역폭 부분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수행한다. 다른 업링크 물리적 채널 송신들에 사용되지 않는 대역폭/대역폭 부분은 시스템에 의해 정의되거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이것의 구체적인 방법은 앞에서 설명했다).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 또는 대역폭 부분을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또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에 사용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 인덱스를 표시하는 것; 또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에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 인덱스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송신 리소스 구성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간결함을 위해, 도 2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상기 방법(2400)의 세부 사항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송신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3000)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3000)은 단계 3001 및 30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01에서, 기지국은 UE 또는 UE 그룹에 대해, 다음 송신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한다: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 - 여기서 송신 및 매핑 방법들은 분산 매핑 및 중앙 집중식 매핑, 인터리브 매핑 및 비-인터리브 매핑, 주파수 호핑 송신 및 비-주파수 호핑 송신의 세 가지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의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
단계 3002에서, 기지국은 구성된 송신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UE 또는 UE 그룹으로 송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계 3002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해 구성된 송신 리소스 구성을 UE 또는 UE 그룹에 송신하는 것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 간의 관계에 대한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의 조합에 대한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표시 정보를,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하는 것;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포함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는, 풀-듀플렉스 통신/풀-듀플렉스 대역폭 부분/풀-듀플렉스 대역폭에 대한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대응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들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는 풀-듀플렉스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에 대한 구성은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계 3002에서 UE 또는 UE 그룹으로 송신되며, 여기서 표시 필드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며,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의 리소스 할당 타입의 표시가 표시 필드에 포함되고, 리소스 할당 타입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들 모두에 적용되거나; 또는 스케줄링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들의 조합의 표시가 표시 필드에 포함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에 대한 구성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계 3002에서 송신된다.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단계 3001에서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의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의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하여, 물리적 업링크/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에 의해 사용되는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의해 사용되는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리적 제어 채널의 송신 성능을 보장한다.
이하에서는, 단계 3001에서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의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을 기지국이 구성하는 실시예를 도 3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비교의 편의를 위해, 도 30의 단계들에 대응하는 도 31의 단계들은 도 30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 31은 본 개시 내용의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송신 리소스들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3100)은 단계 3101, 3102 및 3103을 포함한다.
단계 3101에서, 기지국은 UE 또는 UE 그룹에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을 할당하며,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풀-듀플렉스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의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단계 3102에서, 기지국은 UE 또는 UE 그룹에 다음과 같은 구성들을 송신한다: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풀-듀플렉스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의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UE 특정 또는 UE 그룹 특정 또는 셀 특정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에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의 일부인 제 1 물리적 리소스;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 내에 있지만 다운링크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
단계 3103에서, 기지국은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 이외의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제 1 송신 방향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송신을 수행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송신 방향은 업링크이고, 단계 3101은 UE에 대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단계 3103은 다음을 포함한다: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경우,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중첩되는 제 1 물리적 리소스들 이외의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수신을 수행한다: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수신으로 펑처링;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리소스 요소들 근처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레이트 매칭; 또는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이 끝날 때까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수신 연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송신 방향은 다운링크이고, 단계 3101은, UE에 대해,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에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단계 3103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 2 물리적 리소스들 이외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으로 펑처링;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리소스 요소들 근처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레이트 매칭; 또는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이 끝날 때까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송신 연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계 3102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UE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UE에 대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구성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경우, 중첩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제 2 물리적 리소스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 내에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UE로 송신하는 것.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컨텐츠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슬롯(들)/서브프레임(들)/미니 서브프레임(들),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심볼(들)의 위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의 위치, 또는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캐리어 위치의 위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케줄링 그랜트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작 또는 종료 위치를 참조하여 상대적 위치를 통지함으로써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표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은 다른 UE들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을 더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송신 리소스들을 구성하는 방법(3000)은 도 32에 도시된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2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사이의 물리적 리소스 충돌을 처리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단계 3201에서, 기지국은 UE 또는 UE 그룹에 대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구성하고, 여기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은, UE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제외한 모든 업링크 채널들을 송신하는 UE의 활성 대역폭/대역폭 부분과 상이하고;
단계 3202에서, 기지국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의 구성을, UE 또는 UE 그룹으로 송신하며; 또한
단계 3203에서, 기지국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구성된 대역폭/대역폭 부분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도 3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UE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UE(3300)의 구조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UE(3300)는 도 24를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된 방법(2400), 도 25를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된 방법(2500), 및 도 28을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된 방법(2800)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3300)는 방법들의 상이한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단일 유닛 또는 다중 유닛의 조합일 수 있는,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3301);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되는 메모리(3302) - 프로세서(3301)에 의해 실행될 때, 명령어들은 UE(3300)로 하여금 방법(2400), 방법(2500) 및 방법(2800)을 수행하게 함 -를 포함한다. 간결함을 위해,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UE의 개략적인 구조에 대해서만 여기서 설명될 것이며, 도 24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방법(2400) 및 도 25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방법(2500) 및 도 28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방법(2800)에서 설명된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프로세서(3301)에 의해 실행될 때, 명령어들이 UE(3300)로 하여금 방법(2400)을 수행하게 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어들은 UE(3300)로 하여금,
다음 송신 리소스 구성들 중 적어도 획득하고: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을 위한 송신 리소스 구성 - 여기서 이 송신 및 매핑 방법들은 분산 매핑 및 중앙 집중식 매핑, 인터리브 매핑 및 비-인터리브 매핑, 주파수 호핑 송신 및 비-주파수 호핑 송신의 세 가지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의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한 구성; 및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 리소스 구성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것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송신 방향에서 송신 파형을 획득하고,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 간의 관계에 대한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 간의 관계 및 획득된 하나의 송신 방향에서의 송신 파형에 따라 다른 송신 방향에 대한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의 조합에 대한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의 조합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통해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의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통해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는, 풀-듀플렉스 통신/풀-듀플렉스 대역폭 부분/풀-듀플렉스 대역폭에 대한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부터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는 풀-듀플렉스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것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스케줄링 그랜트에서의 동일한 표시 필드에 따라 업링크 및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들 모두를 획득하는 것; 또는
구성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 사이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을 결정하는 것.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의 표시 필드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을 획득하는 것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표시 필드로부터 하나의 리소스 할당 타입의 표시를 획득하는 것 - 리소스 할당 타입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리소스 할들당 모두에 적용됨 -; 또는
표시 필드로부터 스케줄링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들의 조합의 표시를 획득하는 것.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 사이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을 결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구성 획득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 간의 관계에 대한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 간의 관계 및 획득된 하나의 송신 방향에서의 송신 파형에 따라, 다른 송신 방향에서의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의 조합에 대한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의 조합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통해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의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통해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의 표시를 획득하는 것;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해 획득된 구성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 간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을 결정하는 것.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해 획득된 구성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 간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구성 획득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 간의 관계에 대한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 간의 관계 및 획득된 하나의 송신 방향에서의 송신 파형에 따라 다른 송신 방향에서의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의 조합에 대한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의 조합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통해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의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통해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획득하고,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의 미리 정의된 연관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결정하는 것.
프로세서(3301)에 의해 실행될 때, 명령어들이 UE(3300)로 하여금 방법(2500)을 수행하게 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어들은 UE(3300)로 하여금,
UE에 구성된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고; 또한
제 1 송신 방향에서 물리적 공유 채널의 획득된 물리적 리소스에 대해 풀-듀플렉스 송신이 존재하는지 또는 존재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의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해 획득된 구성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것은,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획득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풀-듀플렉스 송신이 있거나 존재할 수 있는 경우,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 이외의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획득된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물리적 리소스에서 제 1 송신 방향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물리적 리소스들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UE 특정 또는 UE 그룹 특정 또는 셀 특정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에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의 일부인 제 1 물리적 리소스;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이지만 다운링크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송신 방향에서 획득된 물리적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의 풀-듀플렉스 송신이 있거나 존재할 수 있는지 여부는 다음 기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다:
획득된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송신 서브 프레임이 제 2 송신 방향의 서브 프레임이고, 여기서 제 1 송신 방향은 제 2 송신 방향과 상이하며;
획득된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송신 대역폭이 제 2 송신 방향의 대역폭이거나;
획득된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이, 풀-듀플렉스 송신이 인에이블되는 대역폭 부분/구성된 대역폭/시스템 대역폭에 위치되거나;
획득된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이, 풀 듀플렉스 송신이 인에이블되는 서브 프레임/OFDM 심볼/시간 슬롯에 위치되거나; 또는
획득된 스케줄링 그랜트가 풀 듀플렉스 송신을 나타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송신 방향은 업링크이고, 제 2 송신 방향은 다운링크이며,
명령어들은 또한 UE(3300)로 하여금 UE에 구성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게 하고,
상기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한 구성을 획득하는 것은, 획득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 할당 및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 구성에 따라,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의 일부로서,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 이외의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획득된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제 1 송신 방향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중첩되는 제 1 물리적 리소스들 이외의 획득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으로 펑처링;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리소스 요소들 근처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레이트 매칭; 또는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이 끝날 때까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 연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송신 방향은 다운링크이고, 제 2 송신 방향은 업링크이며,
상기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하는 것은, 다운링크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드에서 UE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 이외의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획득된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제 1 송신 방향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 이외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획득된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수신으로 펑처링;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리소스 요소들 근처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레이트 매칭; 또는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이 끝날 때까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 연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하는 것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UE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위한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획득된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획득된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경우, 중첩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제 2 물리적 리소스들로서 사용하는 것; 및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획득하는 것.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컨텐츠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슬롯(들)/서브프레임(들)/미니 서브프레임(들),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심볼(들)의 위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의 위치, 또는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캐리어 위치의 위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케줄링 그랜트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작 또는 종료 위치를 참조하여 상대적 위치를 통지함으로써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표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은 다른 UE들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을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3301)에 의해 실행될 때, 명령어들이 UE(3300)로 하여금, 방법(2800)을 수행하게 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어들은 UE(3300)로 하여금,
UE에 대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해 구성된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획득하고 - 여기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은, UE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제외한 모든 업링크 채널들을 송신하는, UE의 활성 대역폭/대역폭 부분과 상이함 -; 또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해 구성된 획득된 대역폭/대역폭 부분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해 구성된 대역폭/대역폭 부분이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해 구성된 대역폭/대역폭 부분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되며,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구성된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은 구성된 대역폭/대역폭 부분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조건을 충족하는 UE를 나타내며, 여기서 조건을 충족시키는 UE는 셀 내의 모든 UE들, 및/또는 특정 대역폭/대역폭 부분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수행하는 UE들일 수 있으며, 여기서 특정 대역폭/대역폭 부분은 풀-듀플렉스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포함하며;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표시하기 위한 UE 전용 시그널링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은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되며, 여기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그랜트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 또는 대역폭 부분을 획득하는 것, 여기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표시된다: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이 다른 업링크 물리적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과 동일하거나 상이함을 표시하는 것 - 여기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이 다른 업링크 물리적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과 동일하다고 표시되는 경우, UE는 다른 업링크 물리적 채널들에 의해 사용되는 구성된 대역폭/대역폭 부분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함;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이, UE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제외한 모든 업링크 채널을 송신하는 UE의 활성 대역폭/대역폭 부분과 다르다고 표시되는 경우, UE가 비-다른 업링크 물리적 채널의 송신에 사용되는 대역폭/대역폭 부분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고, 여기서 비-다른 업링크 물리적 채널들의 송신에 사용되는 대역폭/대역폭 부분은 시스템에 의해 정의되거나 상위 레벨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의해 획득됨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에 사용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 인덱스를 표시하는 것; 또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에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 인덱스를 표시하는 것.
이하에서는, 도 3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3400)의 구조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기지국(3400)은 도 30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방법(3000), 도 3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방법(3100) 및 도 3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방법(1000)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3400)은 방법들의 상이한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단일 유닛 또는 다중 유닛의 조합일 수 있는,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3401);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되는 메모리(3402) - 프로세서(3301)에 의해 실행될 때, 명령어들은 기지국(3400)으로 하여금 방법(3000), 방법(3100) 및 방법(1000)을 수행하게 함 -를 포함한다. 간결함을 위해,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조에 대해서만 여기서 설명될 것이며, 도 30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방법(300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방법(3100) 및 도 3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방법(1000)에서 설명된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명령어가 프로세서(3301)에 의해 실행될 때, 기지국(3400)으로 하여금 방법(3000)을 수행하게 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어들은 기지국(3400)으로 하여금,
UE 또는 UE 그룹에 대해, 다음 송신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고: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 - 여기서 송신 및 매핑 방법들은 분산 매핑 및 중앙 집중식 매핑, 인터리브 매핑 및 비-인터리브 매핑, 주파수 호핑 송신 및 비-주파수 호핑 송신의 세 가지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의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 및
구성된 송신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UE 또는 UE 그룹으로 송신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해 구성된 송신 리소스 구성을 UE 또는 UE 그룹에 송신하는 것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 간의 관계에 대한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형들의 조합에 대한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표시 정보를,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하는 것;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UE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포함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는, 풀-듀플렉스 통신/풀-듀플렉스 대역폭 부분/풀-듀플렉스 대역폭에 대한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대응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파들형과 미리 정의된 연관을 갖는 표시 정보는 풀-듀플렉스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에 대한 구성은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UE 또는 UE 그룹으로 송신되며, 여기서 표시 필드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며,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의 리소스 할당 타입의 표시가 표시 필드에 포함되고, 리소스 할당 타입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들 모두에 적용되거나; 또는 스케줄링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들의 조합의 표시가 표시 필드에 포함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에 대한 구성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계 3002에서 송신된다.
명령어가 프로세서(3401)에 의해 실행될 때, 기지국(3400)으로 하여금 방법(3100)을 수행하게 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어는 기지국(3400)으로 하여금,
UE 또는 UE 그룹에, 제 1 송신 방향 및 풀 듀플렉스 송신에서 물리적 공유 채널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할당하고; 또한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 이외의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제 1 송신 방향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송신을 수행하게 한다.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물리적 리소스들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UE 특정 또는 UE 그룹 특정 또는 셀 특정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에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의 일부인 제 1 물리적 리소스;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 내에 있지만 다운링크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다운링크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송신 방향은 업링크이고, 명령어들은 또한 기지국(3400)으로 하여금 UE에 대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하게 한다.
상기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 이외의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제 1 방향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의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경우,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중첩되는 제 1 물리적 리소스들 이외의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수신을 수행한다: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수신으로 펑처링;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리소스 요소들 근처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레이트 매칭; 또는
제 1 물리적 리소스들이 끝날 때까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수신 연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송신 방향은 다운링크이고, 명령어들은 또한 기지국(3400)으로 하여금,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하게 하며;
상기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 이외의 제 1 송신 방향에서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제 1 방향의 물리적 공유 채널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 2 물리적 리소스들 이외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 내의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으로 펑처링;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리소스 요소들 근처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레이트 매칭; 또는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이 끝날 때까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송신 연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 내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UE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UE에 대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구성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과 중첩되는 경우, 중첩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제 2 물리적 리소스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 내에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UE로 송신하는 것.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컨텐츠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슬롯(들)/서브프레임(들)/미니 서브프레임(들),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심볼(들)의 위치,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의 위치, 또는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캐리어 위치의 위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케줄링 그랜트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작 또는 종료 위치를 참조하여 상대적 위치를 통지함으로써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를 표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2 물리적 리소스들은 다른 UE들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물리적 리소스들을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3401)에 의해 실행될 때, 명령어들이 기지국(3400)으로 하여금, 방법(1000)을 수행하게 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어들은 기지국(3400)으로 하여금,
UE 또는 UE 그룹에 대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을 구성하고 - 여기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대역폭 부분은, UE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제외한 모든 업링크 채널들을 송신하는 UE의 활성 대역폭/대역폭 부분과 상이함 -; 또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구성된 대역폭/대역폭 부분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게 한다.
동일한 송수신기에서 자기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풀-듀플렉스 송수신기,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출원에서 언급되는 자기 간섭 신호는 동일한 송수신기의 수신 회로 상에서 송신 회로의 송신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간섭 신호이다.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 및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에 의해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대하여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의 특정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념 또는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V
도 35는 본 출원의 실시예 V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 회로, 적어도 하나의 수신 회로 및 아날로그 제거 모듈을 포함하는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를 제공한다.
어떤 쌍의 송신 및 수신 회로들에 있어서도,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수신 회로와 송신 회로에 연결되어, 송신 신호에 따른 수신 신호의 자기 간섭 신호를 아날로그 제거한다.
본 출원에서 언급된 연결은 전기 연결, 광 신호 송신에 따른 광 경로 연결, 광 경로 연결 및 전기 연결을 갖는 광전 변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는 풀-듀플렉스 통신에 의해 야기되는 동일한 장치에서의 송신 회로의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수신 회로의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자기 간섭을 더 잘 억제할 수 있으며, 자기 간섭 억제 성능과 구현 복잡성(하드웨어 복잡성 및 소프트웨어 복잡성 포함) 간에 합리적인 타협을 달성한다.
실시예 VI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른 가능한 구현을 제공한다. 실시예 V에 기초하여, 실시예 VI에 도시된 풀-듀플렉스 송수신기가 더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에서,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은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 대응하는 제어 유닛 및 가산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가산기는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고;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은 입력이 송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되고, 출력이 수신 회로에 연결되어,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고, 이 피드백 신호 및 송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의 디지털 송신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은 출력이 대응하는 가산기의 한쪽 입력에 연결되고, 피드백 체인이 대응하는 제어 유닛을 통해 가산기의 출력에 연결되거나, 또는 피드백 체인이 대응하는 제어 유닛을 통해 수신 회로의 디지털 회에 연결됨으로써, 수신 회로에 있는 디지털 도메인 회로의 디지털 송신 신호 및 대응하는 가산기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에 따라, 또는 수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로부터의 디지털 송신 신호 및 피드백 신호에 따라 자기 간섭 신호에 대한 아날로그 제거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은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 대응하는 제어 유닛 및 가산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가산기는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고;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은 출력이 대응하는 가산기의 입력에 연결되고, 피드백 체인이 대응하는 제어 유닛을 통해 가산기의 출력에 연결되거나, 또는 피드백 체인이 대응하는 제어 유닛을 통해 수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됨으로써, 수신 회로에 있는 디지털 도메인 회로의 디지털 송신 신호에 따라, 또는 수신 회로에 있는 디지털 도메인 회로로부터의 디지털 송신 신호 및 피드백 신호에 따라 자기 간섭 신호들에 대한 아날로그 제거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 및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을 포함하며;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 및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수신 회로의 자기 간섭 신호에 대해 순차적 아날로그 제거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들은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서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고;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은 아날로그 제거 유닛, 대응하는 제어 유닛 및 가산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대응하는 가산기는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직렬 연결되고, 가산기의 출력은 다른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가산기의 입력에 연결되거나 또는 제 1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가산기의 입력에 연결되고;
아날로그 제거 유닛은 입력이 송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되고, 출력이 대응하는 가산기의 입력에 연결되며, 피드백 체인이 대응하는 제어 유닛을 통해 가산기의 출력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은 지연 및 이득 회로의 단일 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들은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직렬 연결되고, 그 입력들은 모두 송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되며; 또한 하나의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 지연 유닛, 적어도 하나의 성분 신호 피팅 유닛, 다운 컨버터, 증폭기, 제 1 가산기 및 제 2 가산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조정 가능 지연 유닛의 입력은 송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되고, 그 출력은 대응하는 성분 신호 피팅 유닛의 입력에 연결되고;
각각의 성분 신호 피팅 유닛의 출력은 제 2 가산기의 각 입력에 연결되고;
제 2 가산기의 출력은 증폭기를 통해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제 1 가산기의 입력에 연결되고;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제 1 가산기의 다른 입력은 이전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제 1 가산기의 출력 또는 마지막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가산기의 출력에 연결되고;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제 1 가산기의 출력은 다운 컨버터를 통해 각 성분 신호 피팅 유닛의 다른 입력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 지연 유닛은 멀티탭 지연 조정 가능 및 이득 조정 가능 회로를 포함한다.
멀티탭 지연 조정 가능 및 이득 조정 가능 회로는 제 1 지연 량을 갖는 특정 수의 제 1 지연 라인 회로 및 제 2 지연 량을 갖는 제 2 지연 라인 회로, 지연 선택 온-오프-스위치 및 조정 가능 이득 모듈 ;
각각의 제 1 지연 라인 회로들은 직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제 1 지연 라인 회로의 출력은 대응하는 제 2 지연 라인 회로의 입력에 연결되고;
제 1 지연 라인 회로들 및 제 2 지연 라인 회로 각각의 출력들은 각기 지연 선택 온-오프-스위치의 각 입력에 연결되고;
지연 선택 온-오프-스위치의 출력은 선택적으로 그 입력들 중 하나에 연결되고, 출력은 조정 가능 이득 모듈의 입력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성분 신호 피팅 유닛은 다운 컨버터, 공액기, 반복 단계 크기 계산기, 제 1 승산기, 적분기, 제 2 승산기, 가중치 계수 업데이트기, 레지스터, 벡터 변조기를 포함하며;
다운 컨버터의 입력은 조정 가능 지연 유닛의 출력에 연결되고, 그 출력은 공액기의 입력과 반복 단계 크기 계산기의 하나의 입력에 연결되고;
공액기의 하나의 출력은 반복 단계 크기 계산기의 다른 입력에 연결된다.
제 1 승산기의 2 개의 입력은 각각 공액기의 다른 출력 및 베이스밴드 에러 신호 단부에 연결되고, 그 출력은 적분기를 통해 제 2 승산기의 제 1 입력에 연결되고;
제 2 승산기의 다른 입력은 반복 단계 크기 계산기의 출력에 연결되고, 그 출력은 가중치 계수 업데이트기를 통해 벡터 변조기의 하나의 입력에 연결되고;
가중치 계수 업데이트기는 레지스터에 연결되고;
벡터 변조기의 다른 입력은 조정 가능 지연 유닛의 입력에 연결되고, 그 출력은 성분 신호 피팅 유닛의 출력이 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는 디지털 제거 모듈을 더 포함한다.
디지털 제거 모듈은 송신 회로에 연결되고 또한 수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됨으로써, 송신 신호에 따라 수신된 신호에서 아날로그 제거한 후 잔류 자기 간섭 신호에 대한 디지털 제거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보조 무선 주파수 링크는 순서대로 연결된 믹서들, 저역 통과 필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유닛을 포함하고;
믹서의 입력은 송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유닛의 출력은 디지털 제거 모듈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는 프리-이퀄라이제이션(pre-equalization) 모듈을 더 포함한다.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은 송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 및 디지털 제거 모듈에 연결된다.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은 I/Q 임밸런스를 완화하기 위해 연결된 I/Q 임밸런스 추정 유닛과 프리-이퀄라이제이션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I/Q 임밸런스 추정 유닛의 입력은 디지털 제거 모듈의 채널 추정 유닛의 출력에 연결되고, 그 출력은 프리-이퀄라이제이션 유닛의 하나의 입력에 연결된다.
프리-이퀄라이제이션 유닛은 송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에 직렬 연결됨으로써, 추정된 I/Q 밸런스 정보에 따라 송신될 디지털 신호에 대해 I/Q 기반 밸런스 보상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는 온-오프-스위치 장치를 더 포함한다.
온-오프-스위치 장치는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에 연결됨으로써, I/Q 임밸런스 추정에 따라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을 동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한다.
선택적으로, 온-오프-스위치 장치는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에 연결됨으로써, 아날로그 제거 모듈에 입력되는 신호의 평균 강도에 따라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한다.
선택적으로, 디지털 제거 모듈은 디지털 빔 포밍 유닛을 포함하며;
또한, 본 출원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는 디지털 사전 제거 모듈을 더 포함한다.
디지털 사전 제거 모듈은 송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된다.
디지털 사전 제거 모듈은 연결된 MAC(Media Access Control/Medium Access Control) 계층 처리 유닛 및 송신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MAC 계층 처리 유닛은 확산 코드/스크램블링 코드 할당 서브유닛을 포함하며; 또한 송신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유닛은 확산/스크램블링 서브유닛 및 송신 빔 포밍 서브유닛을 포함하고;
채널 추정 유닛의 하나의 입력은 디지털 빔 포밍 유닛을 통해 송신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유닛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는 전치 왜곡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전치 왜곡 모듈은 송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와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된다.
전치 왜곡 모듈은 연결된 전치 왜곡 추정 유닛과 전치 왜곡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치 왜곡 추정 유닛은 입력이 송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서 전력 증폭기의 출력에 연결되고, 출력이 전치 왜곡 유닛의 입력에 연결됨으로써, 송신 회로에서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성분에 대한 오프라인 추정을 수행한다.
전치 왜곡 유닛은 출력이 송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됨으로써, 오프라인 추정 결과에 따라 송신될 송신 신호를 전처리하며, 이에 따라 전력 증폭기를 통과한 후 처리되는 송신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비선형 성분가 지정된 수준으로 감소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에서는, 임의의 두 쌍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에 있어서, 한 쌍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다른 쌍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과 일치하거나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에서는, 임의의 두 쌍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에 있어서, 한 쌍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디지털 제거 모듈은 다른 쌍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디지털 제거 모듈과 일치하거나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에서는, 아날로그 제거 모듈이 상이한 송신 회로의 송신 안테나 포트들과 동일한 수신 회로의 수신 안테나 포트 사이에 연결되며, 상이한 송신 안테나 포트들로부터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자기 간섭 신호들의 강도에 따라, 상이한 송신 안테나 포트들의 자기 간섭 신호들에 대한 직렬 제거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에서는, 상이한 송신 안테나 포트들에서, 제 1 부분의 송신 안테나 포트 및 동일한 수신 안테나 포트가 동일한 안테나 어레이 요소에 배열되고; 제 1 부분을 제외한 다른 송신 안테나 포트들은 다른 안테나 어레이 요소들에 배열되고;
동일한 안테나 어레이 요소에 위치한 제 1 부분의 송신 안테나 포트의 편파 방향이 수신 안테나 포트의 편파 방향과 상이하고;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먼저 제 1 부분에서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의 자기 간섭 신호들을 제거한 다음, 다른 송신 안테나 포트들로부터의 자기 간섭 신호들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의 입력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 포트들에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송신 안테나 포트들로부터 자기 간섭 신호의 중첩된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는 수동 억제 모듈을 더 포함한다.
송신 안테나 포트,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 및 송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수신 안테나 포트,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 및 수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임의의 쌍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경우, 수동 억제 모듈은 송신 안테나 포트와 수신 안테나 포트에 연결됨으로써, 송신 신호에 따라,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를 공유하는 수신 신호들에서 원래의 자기 간섭 신호를 억제한다.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 및 송신 회로에 연결됨으로써, 송신 신호에 따라 수신 신호를 억제한 후 자기 간섭 신호에 대해 아날로그 제거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수동 억제 모듈은 송신 신호에 따라 제거 중첩을 수행하는 서큘레이터, 이중 편파 및 물리적 분리 안테나 및 다중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에서, 임의의 두 쌍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에 있어서, 한 쌍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수동 억제 모듈은 다른 쌍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수동 억제 모듈과 일치하거나 상이하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출원의 실시예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는 풀-듀플렉스 통신에 의해 야기되는 동일한 장치에서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자기 간섭을 더 잘 억제할 수 있으며,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더 유연한 풀-듀플렉스 송수신기 구현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 많은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맞춤형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를 선택하고 얻을 수 있으므로, 자기 간섭 억제 성능과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구현 복잡성 사이에서 합리적인 절충을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VII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공하는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전자 장치는 단말기 장비 또는 기지국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효과는 실시예 V 내지 VI의 기술적 효과와 일치하므로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VIII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른 가능한 구현을 제공한다. 실시예 V 또는 실시예 VI에 기초하여, 실시예 VIII에 도시된 풀-듀플렉스 송수신기가 더 포함된다.
실시예 VIII에서 도입된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는 순수 아날로그 도메인 제거 모듈 및/또는 디지털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과 같은 다른 간섭 억제 또는 제거 모듈들을 추가함으로써,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기술에 따라, 수신단에서 더 나은 간섭 제거 성능을 달성한다. 디지털 보조 아날로그 제거 유닛 기술의 원리는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이 유닛은 디지털 도메인에서 자기 간섭 신호들의 선형 및 비선형 성분들을 모델링 및 재구성하고, 수신단의 아날로그 도메인에서 재구성된 간섭 신호들을 삭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VIII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는 단순화, 특수화 및 일부 추가 보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본 출원의 전술한 실시예들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일부 모듈 등의 선택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 VIII의 제 1 구현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제 1 구현에서,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만 사용한다. 제 1 구현은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을 포함하지 않는 제 1 예와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제 2 예를 포함한다.
도 36은 본 출원의 실시예 VIII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제 1 구현의 제 1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 VIII의 제 1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는 각각 하나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로 단순화되며;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만 포함하도록 단순화되고,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은 하나의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로 단순화된다.
송신 회로의 송신 안테나 포트는 도 36에서 송신 포트로 구현되며; 송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는 도 36에서 직렬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유닛), 믹서(즉, 곱셈 기호 X가 있는 원) 및 전력 증폭기로 구현되고, 전력 증폭기의 출력은 송신 포트에 연결되며; 또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유닛)의 입력은 송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된다.
수신 회로의 수신 안테나 포트는 도 36에서 수신 포트로 구현되며;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는 도 36에서 직렬로 대역 통과 필터, 저노이즈 증폭기, 믹서, 저역 통과 필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유닛)을 포함하고, 대역 통과 필터의 입력은 수신 포트에 연결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유닛)의 출력은 수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된다.
풀-듀플렉스 장치 수신기 솔루션이 도 36에 나와 있으며, 이것은 수동 억제 모듈, 아날로그 제거 모듈 및 디지털 제거 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서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적어도 디지털 보조 아날로그 제거 유닛을 포함한다. 이 솔루션의 구현 회로는 상대적으로 간단하며, 낮은 수신기 복잡도를 전제로 더 나은 자기 간섭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수동 억제 모듈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현을 채택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 이중 편파 및 물리적 분리 안테나, 및 송신 신호에 따라 제거 중첩을 수행하는 다중 안테나.
수동 억제 모듈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수동 억제 방법은 안테나의 물리적 분리 또는 이중 편파 분리 또는 다중 안테나 송신 신호의 제거 중첩을 활용하여 수신 안테나에 도달하는 자기 간섭 신호의 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자기 간섭을 억제한다. 수동 억제를 구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도 37a는 서큘레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수동 억제 방법을 제공하며, 서큘레이터에는 3 개의 포트가 있고, 여기서 송신 신호가 포트 1을 통해 포트 2로 송신되고 수신 신호는 포트 2에서 포트 3으로 수신되며, 서큘레이터는 포트 1에서 포트 3으로 누출되는 신호를 통한 자기 간섭을 억제한다.
도 37b는 안테나 이중 편파 및 물리적 분리에 기반하는 수동 억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도면에서, 송신 포트와 수신 포트는 서로 다른 편파 방향을 채택하고,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음으로써, 수신 포트와 다른 편파 방향 및 경로 손실로 인해 수신 포트에 도달하는 송신 신호가 감소하게 된다.
도 38은 다중 안테나 송신 신호의 제거 중첩에 기반하는 수동 억제 방법을 제공하며, 도면에는 두 개의 송신 포트와 하나의 수신 포트가 있고, 여기서 송신 포트 1 또는 송신 포트 2에서 수신 포트까지의 거리는
Figure pct00019
또는
Figure pct00020
(
Figure pct00021
는 신호 파장)이고, 수신 포트에서 수신되는 두 개의 송신 신호는 두 개의 송신 포트로 동시에 동일한 신호를 송신하여 역 위상 제거될 수 있다.
이하,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작동 원리, 즉 자기 간섭 신호를 유사하게 제거하는 방법의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아날로그 제거 방법은 수신 링크의 아날로그 도메인(즉,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전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서 자기 간섭 신호에 대한 제거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구현에서, 아날로그 제거는 하나 이상의 지연 회로를 통해 송신 신호의 서로 다른 지연 카피들을 얻은 다음, 제어 회로를 통해 서로 다른 지연 카피들의 이득 계수들을 반복 조정함으로써, 중첩된 신호가 자기 간섭 신호에 근접하게 되도록 하여, 수신 신호에서 중첩된 신호를 빼서 자기 간섭을 제거한다. 아날로그 제거는 지연 회로의 입력이 아날로그 도메인 신호인지 디지털 도메인 신호인지에 따라 순수 아날로그 도메인 제거와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로 나눌 수 있다.
도 39는 지연 및 이득 제어 가능한 링크로 구성된 순수 아날로그 도메인 제거를 위한 구현 방법을 제공하며, 이 제어 유닛은 피드백 신호 강도를 기반으로 링크의 지연 및 이득을 반복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유닛이 자기 간섭을 제거한 이후에 신호 강도가 특정 수준 미만이 되도록 한다.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는 송신 링크의 디지털 도메인 심볼을 활용하고, 디지털 도메인에서 수신된 신호에 존재하는 선형 및 비선형 성분들을 재구성한 다음, 재구성된 디지털 도메인 신호를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상향 변환에 의해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되고, 위상 반전 이후에, 수신 신호를 추가하여 자기 간섭을 제거한다. 도 40은 특정 구현 회로를 제공한다. 먼저, 송신된 심볼의 홀수 차(1, 3, ..., P, 최상위 P는 실제 링크 비선형 특성에 따라 결정됨) 성분들이 디지털 도메인에서 생성된 다음, 이러한 성분들이 직교화되고, 직교화된 출력의 각 성분들이 탭 지연 라인 회로를 각각 통과한다. 모든 탭 지연 라인 회로의 출력 신호들이 중첩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에 의해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변환되며, 상향 변환 및 위상 반전 이후에 수신 신호에 추가된다. 탭 지연 라인 회로의 탭 차수는 실제 채널에 따라 설계될 수 있으며, 실제 채널 경로 수와 지연이 큰 경우에는 더 높은 차수가 사용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더 낮은 차수가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은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 대응하는 제어 유닛 및 가산기를 포함한다.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가산기는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은 입력이 송신 회로에 연결됨으로써(디지털 도메인 데이터, 심볼 또는 신호 수신), 디지털 송신 신호(즉, 송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데이터, 심볼 또는 신호) 및 대응하는 가산기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에 따라, 수동 억제 모듈에 의해 억제된 후 자기 간섭 신호에 대한 아날로그 제거를 수행한다.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의 출력은 대응하는 가산기의 입력에 연결되고, 피드백 체인은 대응하는 제어 유닛을 통해 가산기의 출력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는,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의 피드백 체인이 대응하는 제어 유닛을 통해 수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된다.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은 디지털 송신 신호(즉, 송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데이터, 심볼 또는 신호) 및 수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에 따라 수동 억제 모듈에 의해 억제된 후 자기 간섭 신호에 대해 아날로그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현을 채택할 수 있다.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의 각 탭의 이득은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제어 유닛에 의해 조정된다. 제어 유닛은 피드백의 피드백 신호 강도가 특정 임계값 미만이 되거나 피드백 신호 대 간섭 + 노이즈 비율이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때까지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각 탭의 파라미터를 반복적으로 업데이트한다.
바람직하게는, 피드백 신호는 다음 중 하나로부터의 것이다: 무선 주파수 종단으로부터의 피드백(도 36의 피드백 A1로 표시된 바와 같은 가산기 이후, 저노이즈 증폭기 이전), 또는 디지털 도메인으로부터의 피드백(도 36의 피드백 A2로 표시된 바와 같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 이후).
특히, 무선 주파수 종단에서 피드백 신호가 피드백되는 경우, 피드백 신호의 물리적 의미는 신호 강도일 수 있다. 특히, 피드백 신호가 디지털 종단에서 피드백되는 경우, 피드백 신호의 물리적 의미는 신호 강도 또는 신호 대 간섭 + 노이즈 비율일 수 있다. 서로 다른 피드백 신호 소스들은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에서 탭 이득의 반복적 수렴 속도와 자기 간섭 제거에 대한 디지털 아날로그 제거 유닛의 성능에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종단 피드백에 따른 수렴 속도는 디지털 종단 피드백의 수렴 속도보다 빠르지만, 자기 간섭 제거 성능은 상대적으로 낮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제거 모듈의 작동 원리, 즉 자기 간섭 신호에 대한 디지털 제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제거 방법은 수신단에서 디지털 도메인(즉,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이후)의 자기 간섭 신호 제거를 수행한다. 디지털 제거 방법은 알려진 송신 심볼들을 사용하여 자기 간섭 채널을 추정한 다음, 추정된 채널을 기반으로 자기 간섭 신호를 재구성하고, 수신된 디지털 도메인 신호에서 재구성된 자기 간섭 신호를 차감한다. 알려진 송신 심볼은 파일럿 심볼 또는 송신된 데이터 심볼일 수 있거나; 또는 보조 링크에 의해 피드백되는 심볼일 수 있다. 디지털 자기 간섭 채널의 추정은 선형 성분의 채널 추정과 비선형 성분의 채널 추정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선형 성분를 먼저 추정한 다음, 수신된 신호에서 추정된 선형 성분를 차감한 후 비선형 성분를 추정하거나, 또는 선형 성분와 비선형 성분를 공동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추정 방법은 최소 평균 제곱 등으로 채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지털 제거 모듈은 종래 기술의 임의의 디지털 제거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기 간섭 채널을 추정한 다음 자기 간섭 신호를 재구성하는 것에 의할 수 있다. 디지털 도메인 채널 추정에 사용되는 심볼은 도 40에서 디지털 입력 D1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파일럿 심볼 또는 송신된 데이터 심볼일 수 있거나; 또는 도 40의 디지털 입력 D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보조 링크에 의해 피드백되는 심볼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두 가지 방식을 비교하면, 디지털 입력 D1 기반 방법은 추가 회로가 필요하지 않지만, 추정의 정확도는 디지털 입력 D2를 기반으로 하는 것보다 떨어진다.
도 41은 본 출원의 실시예 VIII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제 1 구현의 제 2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제 2 예는 도 40에 도시된 제 1 예를 기반으로 하며, 송신 링크의 디지털 도메인이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과 함께 추가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은 I/Q 임밸런스 추정 유닛과 프리-이퀄라이제이션 유닛을 포함한다.
I/Q 임밸런스 추정 유닛의 입력은 디지털 제거 모듈의 채널 추정 유닛의 출력에 연결되며, 그 출력은 프리-이퀄라이제이션 유닛의 하나의 입력에 연결된다.
프리-이퀄라이제이션 유닛은 추정된 I/Q 임밸런스 정보에 따라 송신될 디지털 신호에 대해 I/Q 기반 밸런스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에 직렬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은 I/Q 임밸런스 추정 유닛과 프리-이퀄라이제이션 유닛을 포함하며, I/Q 임밸런스 추정 및 프리-이퀄라이제이션 유닛의 파라미터 설정은 종래 기술의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송신 링크에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을 추가함으로써 송신 링크의 I/Q 임밸런스를 효과적으로 보상하고, 디지털 도메인 제거 모듈의 채널 추정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수신기의 자기 간섭 제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구현을 기반으로 하는, 전체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작동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송신단에서, 디지털 도메인 심볼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모듈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믹서에 의해 상향 변환되고, 전력 증폭기에 의해 전력 증폭이 수행된 다음, 최종적으로 송신 포트에서 방사되며; 수신 포트는 수동 억제 모듈에 의한 특정 억제 후의 자기 간섭 신호 및 유용한 중첩 신호를 수신하고, 이 중첩 신호는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후 자기 간섭 신호를 추가로 제거하기 위해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으로 구성된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모듈을 통과할 수 있으며 - 여기서 출력 신호 강도는 이 모듈의 일관된 제거 이후에 신호 강도가 디지털 도메인의 동적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특정 임계값보다 낮음 -; 그 다음, 잔류 신호가 저노이즈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고, 믹서에 의해 하향 변환되고,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후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에 의해 디지털 도메인 심볼로 변환되며; 그 다음, 디지털 제거 모듈이 알려진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 간섭 채널을 추정하고, 추정된 채널에 기초하여 잔류 자기 간섭 신호를 재구성하고, 수신된 디지털 도메인 신호에서 재구성된 자기 간섭 신호를 차감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이 잔여 신호에 대하여 후속 디지털 필드 처리를 수행하여 유용한 신호를 복조한다. 특히, 송신단에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이 있는 경우, 디지털 신호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전에 프리-이퀄라이제이션됨으로써 송신 링크의 I/Q 임밸런스를 보상한 다음, 후속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 VIII의 제 2 구현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제 2 구현은 제 1 구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을 추가한 것이다. 제 2 구현은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을 포함하지 않는 제 1 예와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제 2 예를 포함한다.
도 42는 본 출원의 실시예 VIII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제 2 구현의 제 1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제 2 구현의 제 1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은 하나의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로 단순화된다.
선택적으로,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이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직렬로 연결되며;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은 시뮬레이션된 송신 신호에 따라 억제된 자기 간섭 신호의 주요 경로 성분에 대해 아날로그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주요 경로는 신호 강도가 가장 강한 누설 경로 또는 직접 경로이다.
선택적으로, 제 1 레벨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은 아날로그 제거 유닛, 대응하는 제어 유닛 및 가산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대응하는 가산기는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직렬로 연결되며, 가산기의 출력은 다음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가산기 입력에 연결되거나 제 1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가산기 입력에 연결된다.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은 입력이 송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되고, 출력이 대응하는 가산기의 입력에 연결되며, 피드백 체인이 대응하는 제어 유닛을 통해 가산기의 출력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풀-듀플렉스 장치 송수신기 솔루션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억제 모듈, 아날로그 제거 모듈 및 디지털 제거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과 그 제어 유닛 및 제 2 스테이지 디지털 지원 제거 유닛 및 그 제어 유닛에 의해서 계단식으로 구성된다. 이 솔루션은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를 활용하며, 더욱 강한 아날로그 도메인 자기 간섭 제거 기능을 갖는다.
수동 억제 모듈의 기능 및 구체적 구현은 제 1 구현과 일치하며,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은 주로 가장 강한 누설 경로 또는 직접 경로로 인한 자기 간섭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경로의 채널 변경이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의 파라미터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1 차 아날로그 제거 유닛은 가장 강한 누설 경로 또는 직접 경로로 인한 자기 간섭을 제거한다. 2 레벨 디지털 보조 아날로그 제거 유닛은 더 빠른 수렴 속도를 달성하고 더 높은 자기 간섭 제거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은 지연 및 이득 회로의 단일 탭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 및 이득 회로의 단일 탭을 사용할 수 있다.
4 개의 4Ts 첫 번째 지연 라인 회로와 4 개의 2Ts 낮은 지연 라인이 지연 조정 가능 및 이득 조정 가능 회로의 단일 탭에서 사용되는 경우, 단일 경로 지연 이득 조정 가능 회로는 특히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현으로서 구현된다. 예를 들어, 도 43에 도시된 회로는 4 개의 4Ts 지연 라인, 4 개의 2Ts 지연 라인, 8-선택형 지연 선택 스위치 및 8 개의 서로 다른 지연(4Ts, 6Ts, ..., 18Ts)이 지연 온-오프-스위치 선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8 개의 서로 다른 지연) 조정 가능 이득 모듈로 구성된다. 도 43의 회로는 도 39의 하나의 구현일 뿐이며, 다른 지연 이득 조정 가능 회로가 또한 자기 간섭 제거 솔루션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은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에 기초하여 자기 간섭 신호를 추가로 제거하며, 이 유닛의 구체적인 구현은 상기 구현과 일치하며, 세부 사항에 대해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디지털 제거 모듈의 기능 및 구체적 구현은 제 1 구현의 것과 일치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44는 본 출원의 실시예 VIII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제 2 구현의 제 2 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2에 도시된 제 2 구현의 제 1 예에 기초하여, 송신 링크의 디지털 도메인이 또한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과 함께 추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56에 도시된 제 2 구현의 제 2 예를 형성할 수 있다.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의 기능 및 구체적 구현은 제 1 구현의 것과 일치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 2 구현을 기반으로 하는, 전체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작동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송신단에서, 디지털 도메인 심볼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모듈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믹서에 의해 상향 변환되고, 전력 증폭기에 의해 전력 증폭이 수행된 다음, 최종적으로 송신 포트에서 방사되며; 수신 포트는 수동 억제 모듈에 의한 특정 억제 후의 자기 간섭 신호 및 유용한 중첩 신호를 수신하고, 이 중첩 신호는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을 통과한 다음, 중첩 신호가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후 자기 간섭 신호를 추가로 제거하기 위한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으로 구성된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모듈을 통과할 수 있으며 - 여기서 출력 신호 강도는 신호 강도가 디지털 도메인의 동적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특정 임계값보다 낮음 -; 그 다음, 잔류 신호가 저노이즈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고, 믹서에 의해 하향 변환되고,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후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에 의해 디지털 도메인 심볼로 변환되며; 그 다음, 디지털 제거 모듈이 알려진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 간섭 채널을 추정하고, 추정된 채널에 기초하여 잔류 자기 간섭 신호를 재구성하고, 수신된 디지털 도메인 신호에서 재구성된 자기 간섭 신호를 차감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이 잔여 신호에 대하여 후속 디지털 필드 처리를 수행하여 유용한 신호를 복조한다. 특히, 송신단에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이 있는 경우, 디지털 신호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전에 프리-이퀄라이제이션됨으로써 송신 링크의 I/Q 임밸런스를 보상한 다음, 후속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는 온-오프-스위치 장치를 더 포함하며;
온-오프-스위치 장치는 I/Q 임밸런스 추정에 따라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을 동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해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에 연결된다.
또한, 온-오프-스위치 장치는 디지털 도메인 회로의 신호에 따라 I/Q 임밸런스의 추정을 결정하기 위해, 수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온-오프-스위치 장치는 아날로그 제거 모듈에 입력되는 신호의 평균 강도에 따라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해,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에 연결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제 2 구현의 제 2 예는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적응형 풀-듀플렉스 장치 송수신기 솔루션을 제공하며, 이 솔루션의 자기 간섭 제거 블록도는 도 44의 블록도와 일치하며, 제 2 구현에서 설명한 제 2 예와는 다르다. 이 솔루션에서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 및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은 각각의 I/Q 임밸런스 추정 및 아날로그 제거 모듈에 입력된 신호 강도에 따라 동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추정된 송신 링크 I/Q 임밸런스가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임계값보다 계속 더 클 경우, 송신 링크는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을 활성화하고; 추정된 송신 링크 I/Q 임밸런스가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임계값 미만으로 계속되는 경우, 시스템은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을 턴 오프한다. 유사하게, 아날로그 제거 모듈에 입력된 평균 신호 강도가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임계값보다 클 경우, 시스템은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을 활성화하고; 아날로그 제거 모듈에 입력된 평균 신호 강도가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임계값 미만일 경우, 시스템은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을 턴 오프한다. 링크에 사용되는 모듈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최적화된 자기 간섭 제거 성능을 달성하면서 송수신기의 전력 소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Figure pct00022
,
Figure pct00023
,
Figure pct00024
,
Figure pct00025
는 추정된 순간 진폭, 송신단의 I-경로의 위상, 추정된 순간 진폭 및 송신단의 Q-경로의 위상이고,
Figure pct00026
,
Figure pct00027
는 각각 진폭 및 위상 임밸런스의 임계값들이며, 이들은 시스템에 의해 사전 설정되거나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며;
Figure pct00028
는 시스템에 의해 사전 설정되거나 구성되는 아날로그 제거 모듈에 입력되는 신호 강도의 임계값인 것으로 가정한다. 송신기의 추정된 I/Q 임밸런스가 일정 기간
Figure pct00029
동안(
Figure pct00030
은 시스템에 의해 사전 설정되거나 구성됨)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을 계속 만족할 경우, I/Q 임밸런스 자기 간섭 제거가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 때,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이 활성화된다. 반대로,
Figure pct00033
에서 추정된 I/Q 임밸런스가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I/Q 임밸런스는 자기 간섭 제거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이 턴 오프된다. 유사하게, 아날로그 제거 모듈에 입력된 평균 신호 강도가 일정 기간
Figure pct00036
(
Figure pct00037
는 시스템에 의해 사전 설정되거나 구성됨) 동안
Figure pct00038
보다 클 경우, 1 차 아날로그 제거 유닛이 활성화되고; 아날로그 제거 모듈에 입력된 평균 신호 강도가
Figure pct00039
에서
Figure pct00040
보다 작은 경우,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이 턴 오프된다.
링크에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이 있고,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이 없는 경우에는, 도 41에 기반한 적응형 솔루션이 설계될 수도 있다. 이 때, 링크의 동적 조정은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로 제한되며, 채택되는 규칙은 앞서 언급한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에 대한 적응 규칙과 일치하며; 유사하게, 프리-이퀄라이제이션 모듈 없이, 링크에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이 있는 경우, 도 42에 기반한 적응 솔루션이 설계될 수도 있다. 이 때, 링크의 동적 조정은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유닛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로 제한되며, 채택되는 규칙은 위에서 언급한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에 대한 적응 규칙과 일치한다.
실시예 IX
이 실시예는 뉴럴 네트워크에 기반한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디지털 도메인에서 뉴럴 네트워크 모델을 사용하면, 회로의 비-이상적인(non-ideal) 팩터들(비선형성, I/Q 임밸런스 등)을 더 잘 근사화할 수 있으며; 뉴럴 네트워크의 입력 수를 변경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다중 경로 채널을 시뮬레이션하는 것도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뉴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회로는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송신된 심볼은 뉴럴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도메인에서 출력 심볼을 생성한 다음,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상향 변환을 통해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출력 신호는 수신 RF 도메인에서 수신되는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한다. 여기서, 뉴럴 네트워크 모델은 예를 들어 피드포워드 뉴럴 네트워크,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 순환 뉴럴 네트워크 등을 채택할 수 있으며, 뉴럴 네트워크의 구체적 구조(예를 들어, 계층 수, 각 계층의 뉴런 수, 각 뉴런의 활성화 기능 등)는 트레이닝에 의해 결정된다. 뉴럴 네트워크의 입력 신호는 서로 다른 시간들에서 송신되는 심볼이며, 현재 시간에 송신된 심볼과 이전에 여러 번 송신된 심볼을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뉴럴 네트워크의 입력은 나중에 송신되는 심볼과, 송신된 심볼의 홀수 성분, 예를 들어 3 차 성분, 5 차 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심볼의 수는 환경의 시간 지연 확산에 따라 초기에 결정되며; 시간 지연 확산이 크면, 다른 시간들에서의 입력 심볼의 수가 더 커지고; 그렇지 않으면, 그 수가 더 작아진다. 입력 심볼의 최종 개수는 뉴럴 네트워크 트레이닝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뉴럴 네트워크는 실수 신호만 처리하기 때문에, 실수부와 허수부는 각 복소수 디지털 기호에 대해 두 개의 입력으로 간주된다. 뉴럴 네트워크의 출력은 각각 I-경로 및 Q-경로의 입력 신호로 사용되는 두 개의 실수 기호이다.
도 46은 피드포워드 뉴럴 네트워크에 기반한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예이다. 여기서 뉴럴 네트워크는 입력 계층, 2 개의 은닉 계층 및 출력 계층으로 구성된, 피드포워드 뉴럴 네트워크 구조를 채택한다. 여기서, 입력 계층은 각각
Figure pct00041
,
Figure pct00042
,
Figure pct00043
,
Figure pct00044
,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인, 즉 현재 시점과 이전 두 개의 시점의 기호의 실수부와 허수부인 6 개의 입력을 가지며, 뉴런의 활성화 함수는 항등 함수, 즉 f(x)=x이다. 두 개의 은닉 계층에는 각각 5 개의 뉴런이 있으며, 각 뉴런의 활성화 함수는 정류 선형 단위 ReLU, 즉 f(x)=max{x, 0} 또는 항등 함수 f(x)=x이고, 예를 들어, 각 계층의 모든 뉴런의 활성화 함수를 정류 선형 단위로 설정하거나 각 계층의 뉴런 일부의 활성화 함수를 항등 함수로 설정하고, 나머지 뉴런의 활성화 함수를 정류 선형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출력 계층에는 두 개의 뉴런이 있으며, 그 중 출력은 각각
Figure pct00047
Figure pct00048
이고, 활성화 함수는 항등 함수, 즉 f(x)=x이다.
뉴럴 네트워크의 계수는 트레이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트레이닝 데이터의 레이블, 즉 (
Figure pct00049
,
Figure pct00050
) 는 각각 수신 링크의 I-경로 및 Q-경로의 샘플링 출력, 송신단의 레이블 및 심볼을 가져와 뉴럴 네트워크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트레이닝 데이터의 일부를 구성하고, 복수의 트레이닝 데이터가 트레이닝 세트를 구성하며, 여기서 트레이닝 방법은 예를 들어 랜덤 경사 하강 법 등을 채택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는, 수신된 자기 간섭 신호가 강하기 때문에, 수신 링크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의 동적 범위를 초과함으로써, 획득한 라벨 데이터에 심각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신 링크의 아날로그 도메인 제거 모듈 이후에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 이전에 감쇠기를 추가할 수 있으며, 라벨 데이터를 얻을 때 감쇠를 크게 설정함으로써, 수신 신호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의 동적 범위 내에 있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뉴럴 네트워크 트레이닝을 위한 데이터의 레이블은 수신단의 샘플링 데이터에 감쇠기 이득의 역수를 곱한 것이다. 실제 송신 중에, 감쇠기의 이득은 1로 설정된다. 또한, 이 장치는 자기 간섭 채널의 변화를 더 잘 추적하기 위해, 송신 중에 파일럿 신호를 기반으로 뉴럴 네트워크의 계수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실시예 X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른 가능한 구현을 제공한다. 실시예 VIII 또는 실시예 VI에 기초하여, 실시예 X에 도시된 풀-듀플렉스 송수신기가 더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 X는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를 도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X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는 단순화, 특수화 및 일부 추가 보충을 포함하는 본 출원의 전술한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선호이다. 실시예 X와 실시예 VIII의 주요 차이점은 실시예 X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이 순수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을 사용하고 더 이상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실시예 X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들 각각은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직렬로 연결되며, 그 입력들이 모두 송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들에 연결됨으로써, 아날로그 송신 신호에 따라 억제 후 자기 간섭 신호의 주요 경로를 제외한 다중 경로 성분에 대한 아날로그 제거를 수행한다.
도 47은 본 출원의 실시예 X에 따른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제 1 구현의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실시예 X의 제 1 구현의 예에서,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도 47의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이며;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은 하나의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로 단순화되고, 특히 도 47에서의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로 되며; 선택적으로, 도 47의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아날로그-베이스밴드 지원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이다.
선택적으로,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 지연 유닛, 적어도 하나의 성분 신호 피팅 유닛, 다운 컨버터, 증폭기, 제 1 가산기 및 제 2 가산기를 포함하며;
각 조정 가능 지연 유닛의 입력은 송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에 연결되고, 그 출력은 대응하는 성분 신호 피팅 유닛의 입력에 연결되고;
각 성분 신호 피팅 유닛의 출력은 제 2 가산기의 각 입력에 연결되고;
제 2 가산기의 출력은 증폭기를 통해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제 1 가산기의 하나의 입력에 연결되고;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제 1 가산기의 다른 입력은 이전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제 1 가산기의 출력 또는 마지막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가산기 출력에 연결되며;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서브 모듈의 제 1 가산기의 출력은 각각 다운 컨버터를 통해 각 성분 신호 피팅 유닛의 다른 입력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 지연 유닛은 멀티탭 지연 조정 가능 및 이득 조정 가능 회로를 포함하고;
멀티탭 지연 조정 가능 및 이득 조정 가능 회로는 특정 개수의 제 1 지연 량의 제 1 지연 라인 회로 및 제 2 지연 량의 제 2 지연 라인 회로, 지연 선택 온-오프-스위치 및 조정 가능 이득 모듈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 1 지연 라인 회로는 직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제 1 지연 라인 회로의 출력은 대응하는 제 2 지연 라인 회로의 입력에 연결되고;
각각의 제 1 지연 라인 회로 및 각각의 제 2 지연 라인 회로의 출력은 각각 지연 선택 온-오프-스위치의 각 입력에 연결되고;
지연 선택 온-오프-스위치의 출력은 선택적으로 입력들 중 하나와 조정 가능 이득 모듈의 입력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는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을 포함하는 풀-듀플렉스 장치 송수신기 솔루션을 설명하며, 여기서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는 아날로그-베이스밴드 지원 제거이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솔루션에는 2-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 외에, 전치 왜곡 모듈, 수동 억제 모듈 및 디지털 제거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2-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를 채택하여 다중 경로 성분의 제거에서 자기 간섭 신호의 주 경로 성분의 제거를 분리하고, 아날로그-베이스밴드에서 자기 간섭 신호의 피팅 계수를 반복적으로 추정함으로써, 공동 반복 및 반복 시간의 복잡성을 줄이고, 자기 간섭 신호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효과를 달성하며; 2-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를 기반으로 다른 모듈을 추가하면 수신기 자기 간섭 제거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수동 억제 모듈 및 디지털 제거 모듈의 기능 및 구현은 실시예 VIII의 것과 일치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전치 왜곡 모듈의 기능은 전치 왜곡 추정 유닛에 의해 송신 링크에서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성분를 오프라인으로 추정하고, 전치 왜곡 유닛을 통해 송신 신호를 전처리함으로써, 전력 증폭기를 통과한 후 처리된 송신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비선형 성분가 크게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2-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계단식 2-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2-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단일 탭의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과 멀티탭의 아날로그-베이스밴드 지원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은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이 단일 탭의 지연 라인을 채택하고, 지연 유닛을 사용하여 시간 동기화를 실현하고, 내부 제어 유닛을 통해 최적의 가중치 계수를 획득하고, 자기 간섭 신호의 주 경로 성분를 제거하는 것이며; 아날로그-베이스밴드 지원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2 탭 지연 라인을 채택하고, 지연 유닛을 통해 각 지연 라인의 시간 동기화를 실현하고, 내부 제어 유닛에 의해 지연 라인에 대한 최적의 피팅 계수를 반복적으로 획득하고, 자기 간섭 신호의 다중 경로 성분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2-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조정 가능한 지연 장치이고, 아날로그-베이스밴드 지원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조정 가능한 지연 장치이다. 조정 가능 지연 장치의 일 구현은 복수의 고정 길이 지연 성분들을 다중 기어 위치를 갖는 조정 가능 지연 유닛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조정 가능한 지연 값은 수동으로 또는 시그널링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특정 구현은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지연 량이 오프라인으로 수동으로 조정될 수 있고, 아날로그-베이스밴드 지원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지연 량이 시그널링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시그널링에 의해 조정 가능한 지연 값을 선택하는 구체적인 구현은 실시예 VIII의 8-기어 조정 가능한 지연 유닛이며, 이것은 지연 라인 양이 4Ts인 4 개의 지연 라인과 지연 라인 양이 2Ts인 4 개의 짧은 지연 라인으로 구성되며, 총 8 개의 기어로 구성되고, 대응하는 선택 가능한 지연 량은 4Ts, 6Ts, 8Ts, 10Ts, 12Ts, 14Ts, 16Ts, 및 18Ts이며, 여기서 Ts는 샘플링 간격이고; 0에서 7까지의 TDI(Time Delay Indicator) 값은 각각 8 개의 지연 량에 대응한다. 기지국은 자기 간섭 채널 추정을 위해 스케줄링되지 않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서브프레임을 주기적으로 구성하고, 그 추정에 따라 PHY(PHYsical, physical)로 전송될 시그널링 TDI로서 전력 2 차 강도 및 2 차 강한 직경의 양자화 지연 량을 선택하고, 두 개의 지연 라인의 지연을 나타낼 수 있다. n 번째 데이터 블록의 m 번째 지연 라인을 예로 들어 들면(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동기화 모드가 수동 조정인 경우, m = 1 또는 2이고,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동기화 모드가 시그널링 선택인 경우, m = 1, 2 또는 3), 송신 링크 전력 증폭기의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는
Figure pct00051
이고, 스케줄링되지 않은 사용자의 서브프레임에서 마지막으로 얻은 TDI가
Figure pct00052
라고 가정하면, 이에 해당하는 지연 량은
Figure pct00053
이고, m 번째 지연 라인의 조정 가능한 지연 단위의 출력은
Figure pct00054
이며, 여기서 QTD는 Quantized Time Delay의 약자이다.
아날로그-베이스밴드 지원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성분 피팅 기술을 활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은 다음과 같다: 아날로그-베이스밴드 지원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아날로그-베이스밴드에서, 주 경로 성분가 제거된 자기 간섭 신호에 대한 다중 경로 신호 제거를 수행한다. 아날로그-베이스밴드 지원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내부적으로 조정 가능 지연 유닛, 성분 신호 피팅 유닛, 다운 컨버전 장치, 가산기 및 저노이즈 증폭기로 구성된다.
조정 가능 지연 유닛은 송신 신호와 자기 간섭 신호의 시간 동기화를 실현하며, 시간 동기화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는 성분 신호 피팅 유닛을 통과하여 제 2 강한 경로 및 제 3 강한 경로(이것은 가산기와 저노이즈 증폭기를 통과하는 자기 간섭 신호의 제 2 강한 경로보다 약함)의 피팅 신호를 얻게 되고, 주 경로 성분가 제거된 자기 간섭 신호로부터 차감하고, 제거된 잔류 신호가 다음 데이터 블록의 자기 간섭 신호 제거를 위해 이 모듈로 피드백된다.
성분 피팅 기술은 아날로그-베이스밴드 영역에서 지연 라인의 가중치 계수를 반복하고, 자기 간섭 신호에서 해당 지연 량의 성분 신호 피팅을 완료하고, 피팅 신호를 유닛의 출력으로 사용하여, 가산기에 입력되고 수신단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차감되어 다중 경로 성분 제거를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X의 제 1 구현의 예의 성분 신호 피팅 유닛의 내부 구조는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것은 다운 컨버터, 공액기, 반복 단계 크기 계산기, 제 1 승산기, 적분기, 제 2 승산기, 가중치 계수 업데이트기, 레지스터 및 벡터 변조기를 포함하고;
다운 컨버터의 입력은 조정 가능 지연 유닛의 출력에 연결되고, 그 출력은 공액기의 입력과 반복 단계 크기 계산기의 하나의 입력에 연결되고;
공액기의 하나의 출력은 반복 단계 크기 계산기의 다른 입력에 연결되고;
제 1 승산기의 2 개의 입력은 각각 공액기의 다른 출력 및 베이스밴드 에러 신호 단부에 연결되고, 그 출력은 적분기를 통해 제 2 승산기의 제 1 입력에 연결되고;
제 2 승산기의 다른 입력은 반복 단계 크기 계산기의 입력에 연결되고, 그 출력은 가중치 계수 업데이트기를 통해 벡터 변조기의 하나의 입력에 연결되고;
가중치 계수 업데이트기는 레지스터에 연결되고;
벡터 변조기의 다른 입력은 조정 가능 지연 유닛의 출력에 연결되고, 출력은 성분 신호 피팅 유닛의 출력으로 사용된다.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 X의 제 1 구현 예의 성분 신호 피팅 유닛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m 번째 지연에서 n 번째 데이터 블록의 계산 흐름을 예로 들면, m = 1 또는 2이다. 첫째, 조정 가능 지연 모듈의 출력 신호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에 의해 표시되는 아날로그-베이스밴드로 하향 변환되며; 둘째, 베이스밴드 신호
Figure pct00057
의 켤레에 현재 데이터 블록의 베이스밴드 오류 신호
Figure pct00058
를 곱하여, 적분기 이후의 오류 함수 평균 전력의 기울기를 구하며, 이것은
Figure pct00059
에 의해 표시되고, 여기서 *는 켤레 연산을 나타내며; 그 다음, 가중치 계수의 반복 단계 크기를 계산하기 위해 반복 단계 크기 계산기에
Figure pct00060
과 이것의 켤레가 함께 입력된다. 반복 단계 크기를 계산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으며, 예를 들어 가장 가파른 하강 방법과 뉴턴 하강 방법이다. 뉴턴 하강 방법을 예로 들면, 반복 단계 크기는
Figure pct00061
과 그 켤레의 곱을 적분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즉, 반복 단계 크기
Figure pct00062
); 단계 크기를 얻은 후, 현재 데이터 블록의 가중치 계수가 업데이트된다. 현재 데이터 블록에는 n으로 표시되는 시퀀스 번호가 있다. 레지스터에 저장된 선행 데이터 블록의 가중치 계수
Figure pct00063
를 레지스터에서 가져오고, 세 번째 단계와 두 번째 단계에서 계산된 단계 크기
Figure pct00064
과 기울기
Figure pct00065
를 수신하고, 현재 데이터 블록의 가중치 계수
Figure pct00066
를 업데이트하며, 이 업데이트 결과가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다음 데이터 블록의 가중치 계수가 업데이트될 때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현재 데이터 블록의 가중치 계수가 벡터 변조기에 입력되어, 자기 간섭 신호의 성분 피팅 신호를 성분 피팅 모듈의 출력으로 얻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 X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작동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송신단에서, 디지털 도메인 심볼이 전치 왜곡 모듈에 의해 처리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모듈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믹서에 의해 상향 변환되고, 전력 증폭기에 의해 전력 증폭이 수행된 다음, 최종적으로 송신 포트에서 방사되며; 수신 포트는 수동 억제 모듈에 의한 특정 억제 후의 자기 간섭 신호와 유용한 중첩 신호를 수신하고, 이 중첩 신호는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을 통과한 다음, 중첩 신호가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후 자기 간섭 신호를 추가로 제거하기 위한 디지털 지원 아날로그 제거 유닛을 통과할 수 있으며 - 여기서 출력 신호 강도는 신호 강도가 디지털 도메인의 동적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특정 임계값보다 낮음 -; 그 다음, 잔류 신호가 저노이즈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고, 믹서에 의해 하향 변환되고,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후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에 의해 디지털 도메인 심볼로 변환되며; 그 다음, 디지털 제거 모듈이 알려진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 간섭 채널을 추정하고, 추정된 채널에 기초하여 잔류 자기 간섭 신호를 재구성하고, 수신된 디지털 도메인 신호에서 재구성된 자기 간섭 신호를 차감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이 잔여 신호에 대하여 후속 디지털 필드 처리를 수행하여 유용한 신호를 복조한다.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하고, 실시예 V 내지 실시예 X의 임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실시예 XI)는 풀-듀플렉스 시스템(예를 들어, 풀-듀플렉스 송수신기 또는 풀-듀플렉스 장치)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실시예에서, 풀-듀플렉스 시스템의 리소스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및 코드 도메인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풀-듀플렉스 시스템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은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하며, 실시예 VIII 및 실시예 X의 자기 간섭 제거 방법을 기반으로 상이한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 대해, 단일 쌍 또는 복수 쌍의 코드워드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고, 코드 연산들이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코드워드를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코드워드 쌍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다르다.
선택적으로, 한 쌍의 코드워드를 사용하여 반복되는 시간은 동일하거나 다르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코드 연산을 수행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여기서 업링크 데이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는 심볼이고, 코드 도메인, 시간 도메인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의 심볼에 대해 다음 연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확산, 스크램블링.
특히, 코드 도메인의 데이터 연산에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1.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확산
변조된 심볼 d의 경우, 길이 L의 확산 코드 [s1, s2, ... , sL]를 사용하여 확산을 수행하고, 확산 후의 심볼은 [s1d, s2d, ... , sLd]이고, L 개의 리소스 요소(RE)를 차지한다.
2.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
L 개의 변조된 심볼 [d1, d2, … , dL]의 경우, 길이 L의 스크램블링 코드 [c1, c2, ... , cL]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을 수행하고, 스크램블링 후의 심볼은 [c1d1, c2d2, ... , cLdL]이고, L 개의 RE를 차지한다.
3.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확산 및 동시에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
하나의 변조된 심볼 d에 대해, 길이 L의 확산 코드 [s1, s2, ... , sL]를 먼저 사용하여 확산을 수행하고 길이 L의 스크램블링 코드 [c1, c2, ... , cL]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을 수행, 확산 및 스크램블링 후 심볼은 [c1s1d, c2s2d, ... , cLsLd]이며, L 개의 RE를 차지한다.
상기의 코드 연산들은 다음과 같이 시간 도메인,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 모두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1. 주파수 도메인에서 코드 연산 수행
변조된 하나 또는 L 개의 심볼이 d 또는 [d1, d2, … , dL]인 경우, 길이 L의 확산 코드는 [s1, s2, ... , sL]이고, 길이 L의 스크램블링 코드는 [c1, c2, ... , cL]이며, 이 경우, 도 49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코드 연산을 수행하는 예시도이고, 도 49는 L=4일 때 주파수 도메인에서 코드 연산을 수행하는 세 가지 예를 보여주며, 이것은 확산 단독(도 49의 a), 스크램블링 코드 단독(도 49의 b) 및 확산과 스크램블링 코드 모두의 경우(도 49의 c, 박스 중 하나는 RE를 나타냄)에 각각 대응한다.
2. 시간 도메인에서 코드 연산 수행
변조된 하나 또는 L 개의 심볼이 d 또는 [d1, d2, … , dL]인 경우, 길이 L의 확산 코드는 [s1, s2, ... , sL]이고, 길이 L의 스크램블링 코드는 [c1, c2, ... , cL]이며, 이 경우, 도 50은 시간 도메인에서 코드 연산을 수행하는 예시도이고, 도 50은 L=4일 때 시간 도메인에서 코드 연산을 수행하는 세 가지 예를 보여주며, 이것은 확산 단독(도 50의 a), 스크램블링 코드 단독(도 50의 b), 확산 및 스크램블링 코드 모두의 경우(도 50의 c, 박스 중 하나는 RE를 나타냄)에 각각 대응한다.
3.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 모두에서 코드 연산 수행
변조된 L 개 또는 LM 개의 심볼이 d 또는 [d11, d12, … , dLM]인 경우, 길이 L의 주파수 도메인 확산 코드는 [s1, s2, ... , sL]이고, 길이 M의 시간 도메인 확산 코드는 [p1, p2, ... , pM]이고, 길이 L의 주파수 도메인 스크램블링 코드는 [c1, c2, ... , cL]이고, 길이 M의 시간 도메인 확산 코드는 [q1, q2, ... , qL]이며, 이 경우, 도 51은 주파수 도메인과 시간 도메인에서 동시에 코드 연산을 수행하는 예시도이고, 도 51은 L=M=일 때 주파수 도메인과 코드 영역에서 코드 연산을 수행하는 세 가지 예를 보여주며, 이것은 확산 단독(도 51의 a), 스크램블링 코드 단독(도 51의 b), 확산 및 스크램블링 코드 모두의 경우(도 51의 c, 박스 중 하나는 RE를 냄)에 각각 대응한다.
도 51의 (c)에서 주파수 도메인과 시간 도메인 모두에서 확산 및 스크램블링을 수행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실제 다른 가능한 경우들을 포함한다: 시간 도메인 확산과 함께 주파수 도메인 확산 및 스크램블링, 시간 도메인 스크램블링과 함께 주파수 도메인 확산 및 스크램블링, 시간 도메인 확산 및 스크램블링과 함께 주파수 도메인 확산, 시간 도메인 스크램블링과 함께 주파수 도메인 확산, 시간 도메인 확산 및 스크램블링과 함께 주파수 도메인 스크램블링, 주파수 시간 도메인 확산과 함께 도메인 스크램블링.
특정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변조된 심볼의 경우, 상기 코드 도메인 연산 후에 여러 개의 연속적인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가 점유된다. 이 경우,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 대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한 상호 직교(또는 준-직교) 확산 코드가 할당될 수 있으며 및/또는 풀-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자기 간섭의 영향을 추가로 제거하기 위해 상이한 스크램블링 코드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 송신 효율성과 시스템 처리량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다운링크 송신과 업링크 송신에 사용되는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을 개별적으로 정의하고, 두 리소스 풀의 코드 도메인 리소스를 쌍으로 구성 할 수 있다: 고정된 크기의 여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 대해, 특정 고정 크기의 시간 및 주파수에 대해 여러 쌍의 코드 도메인 리소스가 정의되며, 그중 하나는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에 할당되고 다른 하나는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에 할당되며,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의 쌍은 상호 직교(또는 준-직교) 확산 코드 및/또는 다른 스크램블링 코드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후속 예시 도면에서, F 개의 서브캐리어 또는 PRB 및 T 개의 심볼을 점유하는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크기는
Figure pct00067
로 정의된다. 주파수가 확산되고, 및/또는, 스크램블링 동작 후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 크기가
Figure pct00068
인 경우, 이 코드의 크기도
Figure pct00069
로 정의된다.
도 52는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 및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의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이고; 도 52는 미리 정의된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 및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2에서,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과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은 a 쌍의 코드
Figure pct00070
, b 쌍의 코드
Figure pct00071
및 c 쌍의 코드
Figure pct00072
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코드의 a + b + c 쌍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임의의 쌍의 코드는 상호 직교(또는 준-직교) 확산 코드들 및/또는 다른 스크램블링 코드들이다.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과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은 미리 기지국과 단말기에 로컬로 저장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본 출원 및 전술한 실시예들에 기초한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상호 작용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는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다음 단계 S5301 내지 S5303을 포함한다:
S5301: 각 단말기 장비의 업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과 서로 다른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기지국이 업링크 데이터에 대해 할당할 수 있는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과, 각 단말기 장비의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할당되는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은 완전히 커버되거나(즉,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부분적으로 커버되거나, 전혀 커버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각 단말기 장비의 업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본 출원의이 실시예에서, 코드 도메인 리소스가 직교 리소스 또는 비-직교 리소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포함한다. 각각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 대해, 업링크-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은 하나 이상의 코드워드 쌍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코드워드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코드 연산들을 수행한다. 이 단계에서의 코드 연산은 본 출원의 실시예 XI의 전술한 코드 연산들과 일치하며,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다른 코드워드 쌍들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다르다.
선택적으로, 한 쌍의 코드워드를 사용하여 반복되는 시간은 동일하거나 다르다.
단말기 장비는 UE(User Equipment)를 포함한다.
1. 기지국은 단말기에게 다운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과 업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을 할당하고, 다른 정보(예를 들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서 송신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동기화 신호들,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브로드캐스트 정보 등)를 송신하기 위한 다운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을 결정한다.
2. 기지국은 다운링크 송신과 업링크 송신을 위한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을 각각 할당한다. 할당 방식은 다음과 같다: 다운링크 송신과 업링크 송신(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에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의 블록이 동시에 할당되는 경우, 동일한 수의 상호 대응 코드들이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과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에서 각각 선택되어, 각각 다운링크 송신과 업링크 송신에 할당된다.
S5302: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할당들과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할당들을 단말기 장비에 알린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할당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과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을 단말기 장비에 발행한다.
3. 기지국은 할당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과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을 UE에 송신한다.
S5303: 다운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할당들 및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할당들에 따라 단말기 장비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업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할당들 및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할당들에 기초하여 단말기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및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기 장비로 송신하고,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및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에 기초하여 단말기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4. 기지국은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고, UE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신한다.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가 다운링크 송신에 사용되는 경우,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에서 선택된 코드가 다운링크 송신에 사용되고;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해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가 사용되는 경우,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에서 선택된 코드가 업링크 송신 검출에 사용된다. 특정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가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 또는 업링크 송신에만 할당된 경우(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가 아님),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리소스 풀에서 여러 개의 코드가 선택될 수 있으며, 이 선택된 코드가 다운링크 송신 또는 업링크 검출에 사용되거나, 또는 코드 연산 없이 직접 다운링크 송신 또는 업링크 검출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단계 S5303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은 단계 S5302보다 늦게 수행될 수도 있고, 단계 S5302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단계 S5302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코드 도메인 리소스 표시는 디스플레이 가능(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확산 코드 및/또는 스크램블링 코드를 나타냄)이거나, 암시적(예를 들면,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 또는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에서 코드 도메인 리소스를 나타내는 인덱스)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 및 전술한 실시예들에 기초한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다른 상호 작용 방법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는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다음 단계 S5401-S5402를 포함한다:
S5401: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할당들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할당들 수신.
선택적으로, 단말기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고 발행된 업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와 다운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를 동일한 리소스로서 수신한다.
1. 단말기 장비, 예를 들어 UE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할당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과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을 수신한다.
S5402: 할당된 다운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및 할당된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할당된 업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및 할당된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
선택적으로, 단말기 장비가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및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및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2. 수신된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송신 검출이 수행되고, 수신된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이 수행된다.
또한, 스케줄링되지 않은 송신에 기초하는 경우, UE는 또한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에서 여러 코드워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코드워드를 사용하여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의 코드워드들에 기초하여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에 대한 UE의 업링크 송신 데이터를 블라인드 검출할 수 있다.
이전과 같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의 경우, 코드 도메인 리소스 풀의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에 기초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각각 코드 연산들을 수행한 후, 업링크 및 다운링크가 기존의 CP-OFDM(Cyclic Prefix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의해 송신되고; 고유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의 경우,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가 기존의 CP-OFDM 또는 DFT-S-OFDM을 사용하여 직접 송신될 수 있다. 도 55는 상이한 타입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코드 연산들 및 변조 솔루션들의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이며; 도 55는 이러한 송신 솔루션의 예를 보여준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 대해, 단일 쌍 또는 복수 쌍의 코드워드들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들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며,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코드워드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코드 연산들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단계들에서, 하나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 대한 특정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 및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의 할당은 다음과 같은 상이한 경우들을 포함할 수 있다.
1. 한 쌍의 코드워드들은 하나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는데 사용되며 코드워드들은 재사용되지 않는다.
하나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 대해, 현재 주파수 리소스 블록과 동일한 크기의 코드워드 쌍이 커버링에 사용된다. 도 56은 이 경우에 있어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 커버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은 동일한 크기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들을 커버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에서, 동일한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 대해, 다운링크 송신은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D1을 사용하고, 업링크 송신은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U1을 사용한다.
2. 하나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기 위해 단일 쌍의 코드워드들이 사용되며, 코드워드들은 재사용될 수 있다.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경우, 선택된 코드워드가 현재 주파수 리소스 블록보다 작을 때, 블록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이 동일한 쌍의 코드워드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커버될 수 있다. 도 57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은 이 경우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 커버리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에서, 하나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는 세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각 부분에 대해, 다운링크 송신은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D1을 사용하고, 업링크 송신은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U1을 사용한다.
3. 여러 쌍의 코드워드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며, 코드워드들은 재사용되지 않는다.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경우, 선택된 코드워드가 현재 주파수 리소스 블록보다 작을 때, 블록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은 다중 쌍의 코드워드들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도 58은 이 경우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 커버리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에서, 하나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는 세 부분으로 나뉜다: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첫 번째 부분의 경우, 다운링크 송신은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D1을 이용하고, 업링크 송신은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U1을 이용하고;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두 번째 부분의 경우, 다운링크 송신은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D2를 이용하고, 업링크 송신은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U2를 이용하며; 또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세 번째 부분의 경우, 다운링크 송신은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D3를 이용하고, 업링크 송신은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U3를 이용한다.
상이한 코드워드 쌍들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4. 하나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기 위해 여러 쌍의 코드워드들이 사용되며 코드워드들은 재사용될 수 있다.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경우, 선택된 코드워드가 현재 주파수 리소스 블록보다 작을 때, 블록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은 단일 코드워드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여러 쌍의 코드워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9는 이 경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 커버리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9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9에서, 하나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는 네 부분으로 나뉜다: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경우, 다운링크 송신 모두는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D1을 이용하고, 업링크 송신 모두는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U1을 이용하고;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세 번째 부분과 네 번째 부분의 경우, 다운링크 송신 모두는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D2를 사용하고, 업링크 송신 모두는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U2를 사용한다.
상이한 코드워드 쌍들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코드워드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횟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및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각 단일의 연속적인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 및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과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방법은 또한 시스템 처리량 및 송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술과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 기반의 상호 작용 방법에서, 업링크 리소스 또는 다운링크 리소스가 비-직교 다중 액세스 사용자에게 할당될 때,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된다:
다중 액세스 서명들을 할당하지 않고 상이한 업링크 코드워드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서 비-직교 다중 액세스로 여러 사용자를 스케줄링한다.
상이한 업링크 코드워드들 및 상이한 다중 액세스 서명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서 비-직교 다중 액세스로 여러 사용자를 스케줄링한다.
동일한 업링크 코드워드 및 상이한 다중 액세스 서명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서 비-직교 다중 액세스로 여러 사용자를 스케줄링한다.
구체적으로, 업링크 리소스가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경우(사용자는 사용자 장비의 약자이며, 다른 부분에서 동일함),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 여러 사용자가 할당될 수 있으며, 코드 도메인 리소스 할당에 기초하여, MA Signature(Multiple Access Signature)가 상이한 사용자들을 구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이한 사용자들에게 더 할당될 수 있다. 대체로, 상이한 NoMA 사용자들에 대한 다중 액세스 서명들은 서로 다른 비트 수준 스크램블링 코드들, 서로 다른 심볼 수준 스크램블링 코드들, 서로 다른 심볼 수준 확산 코드들, 서로 다른 성상 맵들, 서로 다른 리소스 맵들, 서로 다른 비트 수준 인터리빙, 그리고 서로 다른 심볼 수준 인터리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업링크 코드워드들이 상이한 사용자들에게 할당되는 경우, 상이한 업링크들 및/또는 다운링크 코드워드들이 사용자들을 구별하기 위해 상이한 다중 액세스 서명들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들을 구별하기 위해 할당된 코드워드들에 기초하여 다른 다중 액세스 서명들이 할당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 실시예의 후속 설명에서 다중 액세스 서명은 코드워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 또는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일부, 특정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할당, 코드 도메인 리소스 및 다중 액세스 서명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상황이 포함될 수 있다.
1.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NoMA 사용자들이 상이한 업링크 코드워드들을 사용하고 다중 액세스 서명들을 할당하지 않도록 스케줄링한다.
하나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 대해, 여러 사용자들의 업링크 리소스들이 블록 리소스에 동시에 할당되는 경우, 상이한 업링크 코드워드들이 이 사용자들에게 할당될 수 있다. 도 60은 이 경우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 커버리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0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0에서, 3 개의 UE가 업링크 송신을 위해 동일한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를 할당 받고, 다운링크 송신은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D1을 사용하며, UE1, UE2 및 UE3의 업링크 송신은 각각 코드워드 U1, 코드워드 U2, 및 코드워드 U3을 사용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2.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NoMA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업링크 코드워드들을 사용하고 서로 다른 다중 액세스 서명들을 할당하도록 스케줄링한다.
하나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 대해, 여러 사용자의 업링크 리소스들이 블록 리소스에 동시에 할당되는 경우, 서로 다른 업링크 코드워드들과 서로 다른 다중 액세스 서명들이 이들 사용자에게 할당될 수 있다. 도 61은 이 경우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 커버리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1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의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61에서 3 개의 UE가 업링크 송신을 위해 동일한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를 할당 받고, 다운링크 송신은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D1을 사용하며, UE1, UE2 및 UE3의 업링크 송신은 각각 코드워드 U1 및 다중 액세스 서명 M1, 코드워드 U2 및 다중 액세스 서명 M2, 및 코드워드 U3 및 다중 액세스 서명 M3을 사용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3.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NoMA 사용자들이 동일한 업링크 코드워드를 사용하고 서로 다른 다중 액세스 서명들을 할당하도록 스케줄링한다.
하나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 대해, 여러 사용자의 업링크 리소스가 블록 리소스에 동시에 할당되는 경우, 동일한 업링크 코드워드들과 서로 다른 다중 액세스 서명들이 이러한 사용자들에게 할당될 수 있다. 도 62는 이 경우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 커버리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2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워드의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62에서, 3 개의 UE가 업링크 송신을 위해 동일한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를 할당 받고, 다운링크 송신은 코드 연산을 위해 코드워드 D1을 사용하고, UE1, UE2 및 UE3의 업링크 송신은 각각 코드워드 U1 및 다중 액세스 서명 M1, 코드워드 U2 및 다중 액세스 서명 M2, 코드워드 U3 및 다중 액세스 서명 M3을 사용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다운링크 리소스가 할당되는 경우,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가 여러 사용자들에게 할당될 수 있으며, 코드 도메인 리소스 할당에 기초하여, 다중 액세스 서명들이 서로 다른 사용자들에게 추가로 할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들을 구별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 또는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일부의 경우, 특정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할당,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 및 다중 액세스 서명들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상황이 포함될 수 있다:
1.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NoMA 사용자가 서로 다른 다운링크 코드워드들을 사용하고 다중 액세스 서명을 할당하지 않도록 스케줄링한다.
2.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NoMA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다운링크 코드워드들을 사용하고 서로 다른 다중 액세스 서명을 할당하도록 스케줄링한다.
3.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NoMA 사용자들이 동일한 다운링크 코드워드를 사용하고 서로 다른 다중 액세스 서명들을 할당하도록 스케줄링한다.
또한, 기지국은 다수의 사용자를 동일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 동시에 할당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 또는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일부의 경우, 특정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할당, 코드 도메인 리소스 및 다중 액세스 서명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상황이 포함될 수 있다.
1.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 있는 NoMA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업링크 코드워드들과 서로 다른 다운링크 코드워드들을 사용하고, 다중 액세스 서명을 할당하지 않도록 스케줄링한다.
2.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 있는 NoMA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업링크 코드워드들과 서로 다른 다운링크 코드워드들을 사용하고, 서로 다른 다중 액세스 서명을 할당하도록 스케줄링한다.
3.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 있는 NoMA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업링크 코드워드들과 동일한 다운링크 코드워드를 사용하고, 서로 다른 다중 액세스 서명을 할당하도록 스케줄링한다.
4.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 있는 NoMA 사용자들이 동일한 업링크 코드워드 및 서로 다른 다운링크 코드워드들을 사용하고, 서로 다른 다중 액세스 서명을 할당하도록 스케줄링한다.
5.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 있는 NoMA 사용자들이 동일한 업링크 코드워드 및 동일한 다운링크 코드워드를 사용하고, 서로 다른 다중 액세스 서명을 할당하도록 스케줄링한다.
실시예 VIII 및 실시예 X에서 제공되는 자기 간섭 제거 방법을 기반으로, 실시예 XI의 리소스 할당 방법을 디지털 도메인에 추가하여 서로 다른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에 대한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을 할당하고, 송신단에서 디지털 신호들에 대한 해당 코드 연산들을 수행하여, 자기 간섭의 영향을 더욱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 처리량 및 송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XII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른 가능한 구현을 제공하고, 실시예 V 내지 실시예 X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실시예 XII에 도시된 풀-듀플렉스 송수신기가 더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 XII에서는 다중 안테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가 제공된다. 다중 안테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회로와 적어도 두 개의 수신 회로,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송신 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 회로를 포함한다. 각 송신 회로는 하나의 안테나에 대응하고, 각 수신 회로는 하나의 안테나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두 쌍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에 있어서, 한 쌍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수동 억제 모듈, 아날로그 제거 모듈 또는 디지털 제거 모듈은 다른 쌍의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수동 억제 모듈, 아날로그 제거 모듈 또는 디지털 제거 모듈과 일치하거나 다르다.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단말기 장비 또는 기지국이다. 단말기 장비는 사용자 장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디지털 제거 모듈은 디지털 빔 포밍 유닛을 더 포함한다.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는 다음을 더 포함한다: 디지털 사전 제거 모듈; 디지털 사전 제거 모듈은 연결된 MAC 계층 처리 유닛 및 송신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MAC 계층 처리 유닛은 확산 코드/스크램블링 코드 할당 서브유닛을 포함하고; 송신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유닛은 확산/스크램블링 서브유닛 및 송신 빔 포밍 서브유닛을 포함한다.
채널 추정 유닛의 입력은 디지털 빔 포밍 유닛을 통해 송신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유닛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다중 안테나 풀-듀플렉스 장치의 수신기와 송신기의 공동 설계 솔루션(이하 송수신기 솔루션이라 함)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 솔루션은 다중 안테나 및 풀-듀플렉스의 기지국 또는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Nr 개의 수신 안테나 포트와 Nt 개의 송신 안테나 포트로 구성된 기지국을 예로 들어 보면, 여기서 Nr과 Nt는 모두 0보다 큰 자연수이다. 도 63은 다중 안테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의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3은 안테나 풀 듀플렉스 송수신기 구조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II 내지 VI의 솔루션과 유사하게, 수신기 측 아날로그 제거 모듈, 수신기 측 디지털 제거 모듈 및 송신기 측 디지털 사전 제거 모듈이 주로 포함된다. 실시예 VI 내지 실시예 X의 수동 억제 기술, 전치 왜곡 기술 및 전치 왜곡 기술은 본 실시예의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임의의 쌍의 송신 안테나 포트 및 수신 안테나 포트의 조합에도 적용 가능하며, 그 구현은 실시예 VI 내지 실시예 IX의 구현과 일치하며 여기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수신단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
수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는 아날로그 도메인이고, 송신 회로의 아날로그 도메인 회로는 아날로그 도메인이다.
모듈의 기능은 모두 아날로그 도메인에 있는 실시예 VI 내지 실시예 X의 기능과 일치하며, 즉 동일한 장치의 송신 안테나 포트에서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자기 간섭 신호가 수신단의 저노이즈 증폭기 이전에 삭제된다.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수신단 아날로그 제거 모듈에서 아날로그 제거 유닛의 기능은 실시예 VI 내지 실시예 X의 기능과 유사하며, 수신된 아날로그 도메인 간섭 신호를 재구성하기 위해, 도메인 간섭 신호가 아날로그 도메인에서의 각 수신 안테나 포트에 의해 각 수신 안테나 포트의 신호로부터 제거된다.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수신단 아날로그 제거 모듈에서 제어 유닛의 기능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실시예 VI 내지 실시예 X의 기능과 유사하며 피드백 신호에 따라(예를 들어, 실시예 VI 내지 실시예 X의 아날로그 제거 파라미터 반복 프로세스) 각 아날로그 안테나 포트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도메인 간섭 신호의 필터 계수 생성 프로세스를 재구성한다.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에 있는 아날로그 제거 유닛의 입력 신호는 도 63에서 각각 입력 소스 타입 1 또는 입력 소스 타입 2인, 서로 다른 송신 안테나 포트들의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이며;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에 있는 제어 유닛의 피드백 신호는 도 63에서 각각 피드백 타입 1 또는 피드백 타입 2인, 서로 다른 송신 안테나 포트들의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이다.
구체적으로, 다중 안테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 솔루션에서 수신단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구현은 다중 안테나 장치에서 임의의 단일 수신 안테나 포트와 단일 송신 안테나 포트의 조합일 수 있으며, 실시예 VI 내지 실시예 X의 아날로그 제거 솔루션들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현은 예를 들어, 송신 안테나 포트와 수신 안테나 포트의 상이한 조합에서 수신 안테나 포트에 대한 송신 안테나 포트의 상이한 자기 간섭 크기에 따라, 상이한 아날로그 안테나 포트 및 송신 안테나 포트가 상이한 아날로그 제거 솔루션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이한 아날로그 제거 솔루션들이 선택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 편파 균일 평면 어레이 안테나로 구성된 풀-듀플렉스 장치의 경우(즉, 균일 평면 어레이는 두 개의 편파 안테나 요소로 구성), 두 개의 편파 안테나 요소가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서로 다른 편파 방향들을 가지면, 송신 포트와 수신 포트를 사용하여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을 줄이게 된다. 이 때, 하나의 수신 안테나 포트에 대해, 동일한 배열 요소의 다른 편파 방향과 다른 안테나 요소들의 간섭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된다. 다른 안테나 요소들의 간섭 에너지에 비해, 동일한 어레이 요소에서의 다른 편파 방향의 간섭 에너지가 더 크며, 따라서 동일한 안테나 요소에 속하는 송신 안테나 포트와 수신 안테나 포트의 조합은 실시예 VIII의 솔루션과 같이, 더 나은 성능을 활용할 수 있지만, 자기 간섭 제거에 대한 더 복잡한 솔루션이 되며; 서로 다른 안테나 요소들에 속하는 송신 안테나 포트와 수신 안테나 포트의 조합은 실시예 X의 솔루션과 같이, 덜 성능을 활용할 수 있지만 덜 복잡한 자기 간섭 제거 솔루션이 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서로 다른 송신 안테나 포트들과 동일한 수신 안테나 포트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 안테나 포트에 따라 서로 다른 송신 안테나 포트들의 자기 간섭 신호의 강도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며, 서로 다른 송신 안테나 포트들의 자기 간섭 신호들에 대해 직렬 제거를 수행한다.
또한, 상이한 송신 안테나 포트들 중에서, 첫 번째 부분의 송신 안테나 포트는 동일한 수신 안테나 포트와 동일한 안테나 어레이 요소에 배치되고; 첫 번째 부분을 제외한 다른 송신 안테나 포트들은 다른 안테나 어레이 요소들에 배치되고; 송신 안테나 포트의 첫 번째 부분은 편파 방향에서 수신 안테나 포트와 다르며;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먼저 첫 번째 부분의 송신 안테나 포트에서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한 다음, 다른 송신 안테나 포트들에서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의 입력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자기 간섭 신호의 중첩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송신 안테나 포트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다중 안테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 솔루션에서 수신단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구현은 직렬 제거 방식일 수 있으며, 즉 동일한 수신 안테나 포트에 대한 서로 다른 송신 안테나 포트들의 서로 다른 간섭 크기에 따라, 더 큰 간섭이 먼저 제거된 다음, 더 적은 간섭이 제거된다. 수신 안테나 포트의 간섭 신호는 서로 다른 송신 안테나 포트의 앨리어싱 신호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송신 안테나 포트에서 동일한 수신 안테나 포트로 전달되는 간섭 신호는 간섭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거되어, 더 큰 간섭 신호들이 존재함으로 인해 더 적은 간섭 신호의 비이상적인 수행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렬 제거 방법은 먼저 강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선형 성분을 제거한 다음, 약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선형 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어서 강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비선형 성분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약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비선형 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는 먼저 강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선형 성분을 제거한 다음, 강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비선형 성분을 제거하고, 이어서 약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선형 성분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약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비선형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일부 송신 안테나 포트들로부터 장치 내의 타겟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강도가 매우 약할 경우, 수신단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이러한 간섭 신호를 제거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송신 안테나가 수신 안테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음). 특히, 특정 직렬 취소 방법의 일부 단계에서는, 직렬 취소 방법을 형성하기 위해 일부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렬 제거 방법은 먼저 강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선형 성분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약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선형 성분을 제거하며, 강한 간섭 및 약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비선형 성분은 제거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직렬 제거 방법은 먼저 강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선형 성분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강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비선형 성분을 제거하며, 강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아날로그 제거 모듈의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는 제거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크기는 송신 안테나 포트와 수신 안테나 포트가 속하는 안테나 어레이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중 편파 균일 평면 어레이 안테나로 구성된 풀-듀플렉스 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안테나 어레이 요소의 두 편파 방향을 각각 송신 안테나 포트와 수신 안테나 포트로 사용하는 경우, 수신 안테나 포트와 동일한 안테나 어레이 요소에 속하는 송신 안테나 포트는 강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약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이다.
도 64a 및 도 64b는 수신단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에 대한 직렬 취소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4a 및 도 64b는 수신단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에 대한 직렬 취소 방법의 예를 보여준다.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는 수신 안테나 포트 1이고, 수신 안테나 포트 1의 강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는 송신 안테나 포트 1이고, 수신 안테나 포트 1의 약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는 송신 안테나 포트 2 내지 송신 안테나 포트 n(n
Figure pct00073
2)이며, 나머지 송신 안테나 포트는 수신 안테나 포트 1의 매우 약한 안테나 포트이다. 이 예에서, 수신단의 아날로그 제거 모듈은 매우 약한 송신 안테나 포트에서 생성된 간섭 신호를 제거하지 않는다. 도 64a 및 도 64b에서,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 및 제 1 레벨 제어 유닛은 강한 간섭 송신 안테나로부터 타겟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선형 성분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며, 여기서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 및 제 1 스테이지 제어 유닛의 구현 방법은 도 39에 도시된 아날로그 제거로서의 실시예 VI 내지 실시예 X의 관련 모듈들, 또는 도 47에 도시된 제 1 스테이지 및/또는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과 일치할 수 있다. 제 1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동작을 완료한 후, 간섭 제거 이후 수신되는 신호는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에 의해 추가로 제거되고,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 및 제 2 스테이지 제어 유닛은 약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선형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며, 여기서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 및 제 2 스테이지 제어 유닛의 구현 방법은 도 39에 도시된 아날로그 제거로서의 실시예 VI 내지 실시예 X의 관련 모듈들, 또는 도 47의 제 1 스테이지 및/또는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모듈과 일치할 수 있다.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의 입력 신호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 포트 송신 신호의 중첩 신호일 수 있다. 제 2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동작을 완료한 후, 간섭 제거 이후 수신되는 신호는 제 3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에 의해 추가로 제거되고, 제 3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 및 제 3 스테이지 제어 유닛은 강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비선형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며, 또한 제 3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 및 제 3 스테이지 제어 유닛에서 3 차 내지 P 차 성분 제거 유닛의 구현 방법은 실시예 VIII에서 설명된 방법과 일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3 스테이지 제어 유닛의 피드백 타입은 수신단의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고, 이것은 도 64a 및 도 64b의 피드백 타입 1 및 피드백 타입 2에 각각 대응한다. 제 3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동작 완료 후, 간섭 제거 이후 수신되는 신호는 제 4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거되며, 제 4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과 제 4 스테이지 제어 유닛은 약한 간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의 비선형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며, 제 4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 및 제 4 스테이지 제어 유닛에서 3 차 내지 -P 차 성분 제거 유닛의 구현 방법은 실시예 VIII에서 설명한 방법과 일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4 스테이지 제어 유닛의 피드백 타입은 수신단의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고, 이것은 도 64a 및 도 64b의 피드백 타입 1 및 피드백 타입 2에 각각 대응한다. 제 4 스테이지 아날로그 제거 유닛의 입력 신호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 포트 송신 신호들의 중첩 신호일 수 있다.
수신단의 디지털 제거 모듈
수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는 디지털 도메인이고, 송신 회로의 디지털 도메인 회로는 디지털 도메인이다.
수신단의 디지털 제거 모듈의 기능은 모두 디지털 도메인에 있는 실시예 VI 내지 실시예 X에서 설명된 것과 일치하며, 즉 수신단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 이후에, 동일한 장치의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간섭 신호가 제거되며, 동일한 장치는 동일한 기지국 또는 동일한 단말기를 의미한다.
도 63은 일 예로서 기지국을 취한 수신단의 디지털 제거 모듈의 구조적 블록도이다.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디지털 제거 모듈에서 채널 추정 유닛의 일부 기능은 실시예 VIII 내지 실시예 X의 기능과 일치하며, 먼저 동일한 다중 안테나 풀-듀플렉스 장치에서의 각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각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자기 간섭 채널을 동일하게 추정하는 기능을 하며, 여기서 다중 안테나 풀-듀플렉스 장치는 풀-듀플렉스 기지국 또는 풀-듀플렉스 단말기일 수 있다. 실시예 VIII 내지 실시예 X와 달리, 다중 안테나 풀-듀플렉스 장치가 풀-듀플렉스 기지국인 경우, 디지털 제거 모듈에서 디지털 제거를 위한 채널 추정 유닛은 단말기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기지국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업링크 채널 추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중 안테나 풀-듀플렉스 장치가 풀-듀플렉스 단말기인 경우, 디지털 제거 모듈에서의 디지털 제거를 위한 채널 추정 유닛은 기지국 송신 안테나 포트로부터 단말기 수신 안테나 포트로의 다운링크 채널 추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제거를 위한 채널 추정 유닛에 포함된 업링크 채널 추정 또는 다운링크 채널 추정은 디지털 빔 포밍 유닛에 사용될 수 있다.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수신단의 디지털 제거 모듈에서 디지털 빔 포밍의 기능은 종래 기술과 일치하며, 이것은 송신단의 송신 빔 포밍 벡터를 계산하고/하거나 수신단의 빔 포밍 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복소 변조 신호는
Figure pct00074
로 표시되며, 송신단을 통한 송신 빔 포밍 신호는
Figure pct00075
로 표시되고, 여기서
Figure pct00076
는 송신 빔 포밍 벡터를 의미하고,
Figure pct00077
는 송신 신호 벡터를 의미하며, 차원은 송신 안테나의 수에 1을 곱한 것이다. 수신 신호 벡터는
Figure pct00078
로 표시되고, 차원은 송신 안테나의 수에 1을 곱한 것이며, 수신 신호 벡터가 빔 포밍된 후 획득되는 추정 송신 신호는
Figure pct00079
로 표시될 수 있고, 여기서,
Figure pct00080
는 수신 빔 포밍 벡터(또는 등화 벡터라고 함)를 의미하며, 차원은 송신 안테나의 수에 1을 곱한 값이고,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와 같은 복소수인 추정 송신 신호를 의미한다. 송신 빔 포밍과 수신 빔 포밍의 계산 방법은 많은 참고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전파 채널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빔 포밍 벡터 계산에 추가하여, 참조에서와 같이, 자기 간섭 신호 에너지는 다중 안테나 풀-듀플렉스 시스템에 대한 송신 및 수신 빔 포밍 벡터를 합리적으로 설계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빔 포밍 벡터는 자기 간섭 신호를 최소화하고, 잔류 자기 간섭 신호 및 노이즈의 평균 제곱 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수신단에 있는 디지털 제거 모듈의 디지털 제거 유닛은 수신단의 자기 간섭 신호를 계산하고, 수신된 신호에서 자기 간섭 신호를 차감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단의 자기 간섭 신호 계산은 추정된 자기 간섭 채널 또는 추정된 자기 간섭 채널 및 디지털 빔 포밍 벡터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장치의 다중 수신 안테나에 대한 다중 송신 안테나의 추정된 자기 간섭 채널 매트릭스는
Figure pct00083
로 표시되며, 차원은 송신 안테나 수에 1을 곱한 값이다. 동시에 송신단의 송신 신호 벡터는
Figure pct00084
로 표시되며, 차원은 송신 안테나 수에 1을 곱한 값이다. 그러면, 추정된 자기 간섭 채널에 따라 수신단의 자기 간섭 신호를 계산하고 수신 신호에서 자기 간섭 신호를 차감하는 프로세스는
Figure pct00085
로 표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Figure pct00086
는 수신된 신호 벡터이고, 차수는 송신 안테나 수에 1을 곱한 값이다.
송신단에 디지털 빔 포밍이 있는 경우, 송신단의 디지털 빔 포밍이 자기 간섭 신호 제거에 사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동시에 송신단의 송신 신호 벡터를
Figure pct00087
로 표시한 다음 디지털 제거 유닛은 추정하고자 하는 자기 간섭 채널과 디지털 빔 포밍 벡터에 따라 자기 간섭 신호를 계산하고, 수신 신호에서 자기 간섭 신호를 차감한다. 이 프로세스는 또한
Figure pct00088
로 표기되며, 여기서
Figure pct00089
는 송신단의 디지털 빔 포밍 벡터를 의미하고, 차원은 송신 안테나의 수에 1을 곱한 값이며,
Figure pct00090
는 복소수인 송신된 복소 신호를 의미한다.
송신단의 디지털 사전 제거 모듈
송신단의 디지털 사전 제거 모듈은 송신 신호를 처리하여 자기 간섭을 줄이거 나 제거하는 목적을 달성하도록 기능한다. 송신 신호의 프로세스는 실시예 XI의 확산 또는 스크램블링 기술 및 송신단의 빔 포밍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안테나 풀-듀플렉스 장치가 기지국인 경우, 기지국의 MAC 계층에서 획득되는 할당된 확산 코드/스크램블링 코드가 송신 신호의 확산/스크램블링에 사용된다. 다중 안테나 풀-듀플렉스 장치가 단말기인 경우, 기지국 시그널링에 따라 획득되는 할당된 확산 코드/스크램블링 코드는 송신 신호의 확산/스크램블링에 사용된다. 확산 및 스크램블링의 특정 구현은 실시예 XI에서 참조된다.
확산/스크램블링 서브유닛에 대응하여, 디지털 제거 모듈에 의해 처리된 수신단 신호 후, 확산 해제 및 스크램블링 해제 서브유닛들이 복조, 디코딩 등의 동작 전에 추가되어야 하며, 이것은 실시예 XI에서 참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XIII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호 작용 장치(65)를 제공하고, 상호 작용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가 도 65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리소스 할당 유닛(6501) 및 데이터 송수신 유닛(6502)을 포함한다.
리소스 할당 유닛(6501)은 각 단말기 장비의 업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과 서로 다른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을 할당하는데 사용되며, 코드 도메인 리소스들은 직교 리소스들 또는 비-직교 리소스들이다.
데이터 송수신 유닛(6502)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할당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할당을 단말기 장비에 알리고; 또한 다운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할당들 및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할당들에 따라 단말기 장비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업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할당들 및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할당들에 기초하여 단말기 장비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리소스 할당 유닛(6501)은 특히 업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를 할당하는데 사용되며;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각각의 연속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 대해, 단일 쌍 또는 복수 쌍의 코드워드들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공통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커버하고,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코드워드를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코드 연산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및/또는 상이한 코드워드 쌍들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및/또는, 단일 쌍의 코드워드를 사용하여 반복되는 시간은 동일하거나 다르다.
선택적으로, 리소스 할당 유닛(6501)은 특히, 업링크 데이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심볼인 경우, 코드 도메인, 시간 도메인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의 심볼에 대해 다음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확산, 스크램블.
선택적으로, 리소스 할당 유닛(6501)은 비-직교 다중 액세스 사용자에 대해 업링크 리소스 또는 다운링크 리소스를 할당할 때,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더 사용된다: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서 비-직교 다중 액세스를 갖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업링크 코드워드를 가지며 다중 액세스 서명을 할당하지 않도록 스케줄링하고;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서 비-직교 다중 액세스를 갖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업링크 코드워드를 가지며 서로 다른 다중 액세스 서명을 갖도록 스케줄링하고;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서 비-직교 다중 액세스를 갖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업링크 코드워드를 가지며 서로 다른 다중 액세스 서명을 갖도록 스케줄링한다.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에 기초한 또 다른 상호 작용 장치(66)를 제공하고, 이 상호 작용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가 도 66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데이터 송수신 유닛(6601)을 포함한다.
데이터 송수신 유닛(6601)은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할당들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 할당들을 수신하며; 또한 할당된 다운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및 할당된 다운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할당된 업링크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및 할당된 업링크 코드 도메인 리소스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출원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를 기반으로 하는 본 실시예의 상호 작용 장치(65) 및 상호 작용 장치(66)는 본 출원의 실시예 XI에 도시된 본 출원의 풀-듀플렉스 송수신기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 작용 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구현 원리는 유사하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XIV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이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실시예 XI에 도시된 방법을 구현한다.
특히, 당업자는 본 출원이 풀-듀플렉스 송수신기 및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여기에 설명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장치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필요한 목적을 위해 특별히 설계 및 제조되거나 범용 컴퓨터의 알려진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에는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거나 재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CD-ROM 및 광 자기 디스크,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마그네틱 카드 또는 라이트 카드를 비롯한, 임의의 타입의 디스크를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 전자 명령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하고 버스에 커플링되는 임의의 타입의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즉, 판독 가능한 매체는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XIV의 기술적 효과는 실시예 XII의 기술적 효과와 일치하며,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 적합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솔루션들은 충돌없이 임의로 조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3 내지 22의 솔루션, 도 23 내지 34의 솔루션, 및 도 35 내지 66의 솔루션은 도 1 및/또는 도 2에 도시된 솔루션들의 특정 구현 또는 보충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24의 수신/획득 단계는 도 1의 수신 단계의 특정 구현일 수 있고, 도 13 및 도 24의 송신 단계는 도 1의 송신 단계의 특정 구현일 수 있으며, 기타 이와 같다. 또한, 다른 조합이 또한 당업자에게 공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조합은 일 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도 1-12의 솔루션은 또한 도 13-22의 솔루션 및/또는 도 23-34의 솔루션 및/또는 도 35-66의 솔루션의 특정 구현 또는 보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6700)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장치(6700)는 프로세서(6710),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710)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단일 장치 또는 다중 장치일 수 있다. 장치(6900)는 다른 엔티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다른 엔티티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I/O) 장치(6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6700)는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 메모리의 형태일 수 있는 메모리(6720), 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6720)에는 프로세서(6710)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다.
당업자는 전술한 방법들이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단계 및 시퀀스로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장치는 더 많은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UE 등을 위해 개발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식별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고, 본 개시는 이러한 식별의 예로서 특정 셀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된 실시예의 교시 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에 의해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장치 내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아날로그 회로 장치, 디지털 회로 장치, 디지털 신호 처리(DSP) 회로,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CPLD(Programmable Logic Device)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기지국"은 송신 전력이 크고 커버리지 영역이 비교적 큰 이동 통신 데이터 및 제어 교환 센터를 의미하며, 리소스 할당 스케줄링,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등의 기능을 갖는다. "단말기"는 사용자 장비, 예를 들어 휴대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기지국 또는 마이크로 기지국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기술 솔루션을 구현하기 위한 관련 동작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로직으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갖는 제품이다. 컴퓨팅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 프로그램 로직은 프로세서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동작(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 코드 및/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로서 제공되며, 광학 매체(예를 들어, CD-ROM), 플로피 디스크, 또는 하드 디스크 등, 하나 이상의 ROM 또는 RAM 또는 PROM 칩의 마이크로 코드용 펌웨어 또는 기타 미디어, 또는 하나 이상의 모듈 내의 다운로드 가능한 소프트웨어 이미지, 공유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배치되거나 인코딩된다.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또는 그러한 구성은 컴퓨팅 장치에 설치되어 컴퓨팅 장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솔루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함께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에 대해 다양한 수정, 대체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리소스 구성에 기반한 송신 방법으로서,
    단말기에 의해,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도 수행하지 않고 다운링크 수신도 수행하지 않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만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만을 수행하는 단계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은 각각의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하나의 기준 신호에 대한 리소스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상기 기준 신호가 다운링크 기준 신호인 경우,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및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상기 기준 신호가 업링크 기준 신호인 경우,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또는 상기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상기 기준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반복적 수렴(iterative convergence)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 및 상기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이 시분할 다중화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할당되고,
    상기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상기 기준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 1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해 중복 매핑(duplicate mapping)을 여러 번 수행함으로써 획득되는, 송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송신도 수신도 수행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기가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을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규칙에 의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한 표시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및
    상기 시스템 규칙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며; 및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비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컨텐츠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을 인에이블하도록 하는 트리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및
    상기 시스템 규칙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인, 송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의 경우,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주기를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주기의 정수배로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를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이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과 중첩되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또는 대역폭은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 듀레이션 및/또는 대역폭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주기적인 물리적 리소스들의 경우,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물리적 리소스 위치들에 따라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 및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가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전이며,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 및/또는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는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 이후이고,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 사이에는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동일한 시작 시간에 송신되는, 물리적 신호(들) 또는 물리적 채널(들)의 시간 도메인/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은 상기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로 펑처링(puncturing)되는, 송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송신도 수신도 수행하지 않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 및 상기 단말기가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할당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동시에 업링크 송신 및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에 의해,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하는 단계는: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에 대한 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 및/또는 상기 제 1 방향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향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중 한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중 다른 방향이며; 및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구성된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구성된 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수신하며, 및/또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구성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수신하지 않는, 송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에 대한 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의 송신을 위해 예비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의 송신을 위해 예비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한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로 상기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온-오프-스위치 표시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구성된 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서의 상기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의 송신 또는 수신은 상기 온-오프-스위치 표시에 기초하는, 송신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상기 제 2 방향에 대한 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할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특정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상기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특정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표시가 상기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이 상기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송신 또는 수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이 송신 또는 수신될 때,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구성된 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한 연기(postponing) 또는 펑처링을 수행하는 단계,
    동일한 업링크 대역/대역폭 및/또는 다운링크 대역/대역폭을 사용하여 다른 장치들의 복조 기준 신호들에 대한 업링크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업링크 구성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다른 장치로부터의 간섭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는 딘계는: 상기 제 1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시간-도메인 심볼들을,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할당되는, 상기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에 대한 비유효 리소스들로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에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들을,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할당되는, 상기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에 대한 비유효 리소스들로서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방향에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을,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할당되는, 제 2 방향의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에 대한 비유효 리소스들로서 결정하는 단계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로서, 상기 표시가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이 구성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미리 결정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이 획득되거나,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이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됨; 또는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는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
    중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해 구성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의 위치에 대해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해 물리적 리소스들을 시프트하는 단계; 및
    시프트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통해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하는 단계는 다음의 송신 리소스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파형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타입에 대한 송신 리소스 구성,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 및 매핑 방법을 위한 송신 리소스 구성으로서, 상기 송신 및 매핑 방법은 분산 매핑 및 중앙 집중식 매핑, 인터리브 매핑 및 비-인터리브 매핑, 주파수 호핑 송신 및 비-주파수 호핑 송신의 세 가지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에서 유효하지 않은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한 구성,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획득된 상기 송신 리소스 구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12. 단말기로서,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획득 모듈; 및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도 수행하지 않고 다운링크 수신도 수행하지 않거나,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만을 수행하거나,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은 각각의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및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하나의 기준 신호에 대한 리소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에서 송신되는 상기 기준 신호가 다운링크 기준 신호인 경우, 상기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및
    상기 물리적 리소스들의 구성에서 송신되는 상기 기준 신호가 업링크 기준 신호인 경우, 상기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구성 파라미터들 또는 상기 제 2 구성 파라미터들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상기 기준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반복적 수렴을 수행하는,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송신도 수신도 수행하지 않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 및 상기 단말기가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전용 물리적 리소스들이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할당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동시에 업링크 송신 및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 획득 모듈은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제 2 방향에 대한 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 및/또는 상기 제 1 방향의 송신을 위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 구성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제 1 방향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중 한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중 다른 방향이며; 및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제 1 방향의 대역/대역폭 상에서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구성된 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수신하며, 및/또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구성된 비유효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물리적 신호/물리적 채널을 송수신하지 않도록 더 구성되는, 단말기.
  15. 기지국으로서,
    물리적 리소스들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리소스 구성 모듈; 및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단말기에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통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도 수행하지 않고 다운링크 수신도 수행하지 않거나,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수신만을 수행하거나, 상기 구성된 물리적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만을 수행하는, 기지국.
KR1020207033672A 2018-05-22 2019-05-22 리소스 구성 방법, 장치 및 그 저장 매체 KR202100003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496781 2018-05-22
CN201810496781.6 2018-05-22
CN201810899502.0A CN110830193A (zh) 2018-08-08 2018-08-08 资源配置方法及其设备和存储介质
CN201810899502.0 2018-08-08
CN201810969845.X 2018-08-23
CN201810969845.XA CN110858797A (zh) 2018-08-23 2018-08-23 基于资源配置的传输方法及其设备和存储介质
CN201811459991.4A CN110518933B (zh) 2018-05-22 2018-11-30 全双工收发机、电子设备和交互方法
CN201811459991.4 2018-11-30
CN201811462831.5 2018-11-30
CN201811462831.5A CN111263446A (zh) 2018-11-30 2018-11-30 传输方法、传输资源配置方法、ue、基站及计算机可读介质
PCT/KR2019/006147 WO2019225970A1 (en) 2018-05-22 2019-05-22 Method for resource configuration,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14A true KR20210000314A (ko) 2021-01-04

Family

ID=7403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672A KR20210000314A (ko) 2018-05-22 2019-05-22 리소스 구성 방법, 장치 및 그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3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9618A1 (zh) * 2022-03-25 2023-09-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9618A1 (zh) * 2022-03-25 2023-09-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2654B2 (en) Configuring physical resources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US11736213B2 (en) Transmission method of physical signal, terminal and base station
EP34339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KR102262300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협대역을 이용한 신호 전송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80220305A1 (en) Broadcast control channel for shared spectrum
CN116346180A (zh) 用于信道状态信息获取的方法和设备
KR20210116708A (ko)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 information)의 다중화 및 생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93336A (ko) 고속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3744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보고에 대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55798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dmrs 포트 그룹핑 방법 및 장치
CN116076135A (zh) 用于快速波束指示的方法和设备
CN113169790B (zh) 无线通信系统中收发csi报告的方法和设备
EP3917066A1 (en) Method for generating low papr sequ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CN110999117B (zh) 用于先进无线通信系统中csi报告的波束选择的方法和装置
US202301247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13950861A (zh) 用于非周期性参考信号发送和接收的方法和装置
CN113366770B (zh) 具有频域中的差分相位反馈的码本设计
EP4315700A1 (en) Receive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230088887A (ko) Iab 노드에 대한 보고, 설정 및 송신 방법
KR20210000314A (ko) 리소스 구성 방법, 장치 및 그 저장 매체
WO2015122733A1 (ko) Fdr 전송을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838915A (zh) 物理信号的传输方法、终端和基站
US11496171B1 (en) Multi-stage signal reconstruction
US20230072549A1 (en) Bandwidth part (bwp) partition and sub-bwp hopping
US10965435B2 (en) Techniques for pre- and decoding a multicarrier signal based on a mapping function with respect to inband and out-of-band subcarri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