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77A -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 Google Patents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77A
KR20210000177A KR1020190075161A KR20190075161A KR20210000177A KR 20210000177 A KR20210000177 A KR 20210000177A KR 1020190075161 A KR1020190075161 A KR 1020190075161A KR 20190075161 A KR20190075161 A KR 20190075161A KR 20210000177 A KR20210000177 A KR 20210000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ve
frequency
circuit
axis direction
resonanc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13316B1 (en
Inventor
정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모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모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모아텍
Priority to KR1020190075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316B1/en
Priority to US16/850,612 priority patent/US11460357B2/en
Publication of KR2021000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77A/en
Priority to KR1020210132805A priority patent/KR1024963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inductive force sensor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ve force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 gesture pattern comprises: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a first resonant circuit; and a determination circuit obtaining information on a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a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due to a first inductance formed in an inductive coil based on a displacement between a target and an inductive coil formed by an external force inputted in a Z-axis direction. The determination circuit determines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Description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Inductive force sensor and its operation method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외부 힘에 의하여 타겟 레이어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유연 인쇄 회로 기판(FBCB) 상에 형성되거나, 투명 전극으로 형성된 코일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가변하는 인덕턴스를 이용하여 가해지는 힘의 정도를 감지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 sensor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specifically, a target layer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BCB) by an external force, or a transparent electro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ive force sensor that senses a degree of applied force using an inductance that varies according to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formed coil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최근의 터치 인식 기술은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X축과 Y축 상의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인식하는 2차원 터치 인식 기술에서, 단순히 터치 여부가 아닌 터치의 강도(Z축 방향으로 가해진 힘의 크기)를 감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풍부하게 하는 3D 터치 인식 기능이 대두되었다.The recent touch recognition technology has made rapid progress, and in a two-dimensional touch recognition technology that recognizes a touch position using coordinates on the X and Y axes, the strength of the touch (the force applied in the Z-axis direction 3D touch recognition function that enriches the user interface by detecting the size) has emerged.

APPLE INC 사의 3D 터치는 터치 센서와 압력 센서를 결합하여, 터치의 강도를 차등화하여 인식하는 기술을 도입한 바 있다. 그러나 압력센서를 터치센서와 결합하는 방식은 하드웨어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고, 압력센서의 감도가 높지 않아 사용자의 터치 강도를 정확히 인식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APPLE INC's 3D touch has introduced a technology that differentiates and recognizes the intensity of a touch by combining a touch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However, the method of combining the pressure sensor with the touch sensor increases the hardware manufacturing cost, and the sensitivity of the pressure sensor is not high, so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cognize the user's touch strength.

Texas Instruments Inc 사의 미국공개특허 US 2017/0269754 "Dual Touch Sensor Architecture With XY-Position And Z-Force Sensing For Touch-On-Surface Button"는 용량형 터치 센서와 인덕티브 센서를 결합하여, 터치 여부 및 터치의 XY 평면 상의 위치는 용량형 터치 센서로 인식하고, 터치 위치에서의 Z축 방향의 터치 힘(touch force)은 인덕티브 센서로 인식한다. US 2017/0269754 "Dual Touch Sensor Architecture With XY-Position And Z-Force Sensing For Touch-On-Surface Button" of Texas Instruments Inc. is a combination of a capacitive touch sensor and an inductive sensor. The position on the XY plane of is recognized by the capacitive touch sensor, and the touch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t the touch position is recognized by the inductive sensor.

Texas Instruments Inc 사의 또 다른 미국공개특허 US 2018/0180450 "Inductive Touch Input"는 복수개의 인덕티브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서 터치 여부 및 터치 힘을 감지하고, 터치 여부 및 터치 힘의 이동 패턴을 인식하여 터치 스크롤 제스쳐를 인식한다.Another US published patent US 2018/0180450 "Inductive Touch Input" of Texas Instruments Inc. uses a plurality of inductive touch sensors to detect whether or not touch and force are touched at different locations, and whether or not to touch and the movement pattern of the touch force To recognize the touch scroll gesture.

이러한 3D 터치 힘 인식 기술을 응용하여 자동차 도어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여 자동차 도어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는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KR 10-2017-0007127 및 미국공개특허 US 2017/0016255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등이 있고,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상에 코일을 구현하여 인덕티브 포스 센서를 구현하는 선행문헌으로서 한국등록특허 KR 10-1920440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한국등록특허 KR 10-1954368 "3D 터치 구현을 위한 뮤추얼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등이 소개된 바 있다. As a prior art that detects the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the car door by applying such a 3D touch force recognition technolog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 10-2017-0007127 and US Patent Publication US 2017 /0016255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etc., as a prior document that implements an inductive force sensor by implementing a coil 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Korean Patent Registration KR 10-1920440 "Self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3D Touch Implementa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KR 10-1954368 "Mutual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3D Touch Implementation" have been introduced.

인덕티브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힘을 감지하는 선행문헌들은 부품 및 요소의 배치, FPCB 등 새로운 재료 또는 부품을 선택하여 터치 힘을 인식하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으나, 인덕티브 센서만을 이용하는 경우 터치 위치 및 터치 힘을 감지하는 정밀도가 낮고, 인덕티브 센서와 다른 센서를 결합하는 경우 하드웨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Prior literature that detects the touch force using an inductive sensor introduces a technology that recognizes the touch force by selecting a new material or part such as the arrangement of parts and elements, and FPCB. However, when using only the inductive sensor, the touch position and touch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ecision of sensing force is low, and the hardware cost increases when the inductive sensor and other sensors are combined.

또한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두로 인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경험에 대한 다양한 니즈가 존재하고, 이를 충족하기 위하여 미세 영역 별로 터치 힘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기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터치 센서/터치 포스 센서를 밀집하여 배치하되, 각 센서를 구분하여 인식하는 기술도 필요한데, 상기 선행기술들로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recent emergence of mobile devices and smart devices, various needs for user interfaces and user experiences exist, and in order to meet these needs, a technology that recognizes the touch force by dividing each fine area is required. Densely arranged, but a technique for distinguishing and recognizing each sensor is also required, and it is difficult to meet such a demand with the prior techniques.

미국공개특허 US 2017/0269754 "Dual Touch Sensor Architecture With XY-Position And Z-Force Sensing For Touch-On-Surface Button" (2017년 9월 21일)US Patent Publication US 2017/0269754 "Dual Touch Sensor Architecture With XY-Position And Z-Force Sensing For Touch-On-Surface Button" (September 21, 2017) 미국공개특허 US 2018/0180450 "Inductive Touch Input" (2018년 6월 28일)US Patent Publication US 2018/0180450 "Inductive Touch Input" (June 28, 2018) 한국공개특허 KR 10-2017-0007127 "자동차 도어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는 디바이스" (2017년 1월 18일)Korean Patent Publication KR 10-2017-0007127 "Device that detects the intention of a user to lock or unlock a car door" (January 18, 2017) 미국공개특허 US 2017/0016255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2017년 1월 19일)US Patent Publication US 2017/0016255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January 19, 2017) 한국등록특허 KR 10-1920440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2018년 11월 14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KR 10-1920440 "Self-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3D Touch Implementation" (November 14, 2018) 한국등록특허 KR 10-1954368 "3D 터치 구현을 위한 뮤추얼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2019년 2월 26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KR 10-1954368 "Mutual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3D Touch Implementation" (February 26, 2019)

상기 선행기술들은 부품 및 요소의 배치, 부품 또는 재료의 선택을 통하여 센서의 감도를 개선하거나, 인덕티브 센서와 다른 센서를 결합하여 터치 힘과 터치 위치를 분담하여 감지하거나, 인덕티브 센서를 복수 개 구현하고, 인덕티브 센서들의 센싱 정보를 추적하여 사용자 제스쳐 패턴을 인식하는 기술들이다.The prior art is to improve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through the arrangement of parts and elements, selection of parts or materials, or by combining an inductive sensor and another sensor to share and sense the touch force and the touch position, or to detect a plurality of inductive sensors. These are technologies that implement and track sensing information of inductive sensors to recognize user gesture patterns.

또한 선행 기술들은 공진 회로에 인가되는 입력 전기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입력 전기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출력 전기 신호의 크기를 스캔하여 최대 크기를 가지는 경우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산출하는 구성을 취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선행기술은 입력 전기 신호의 가변 주파수의 해상도 만큼의 오차를 가지며, 전기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여 공진 주파수를 산출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정확도가 떨어지고, 입력 전기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해야 하므로 측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ior arts vary the frequency of the input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resonant circuit, scan the size of the outpu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sonant circuit in response to the input electrical signal, and calculate the frequency in the case of having the maximum size as the resonant frequency. Take the composition. For this reason, the prior art has an error as much as the resolution of the variable frequency of the input electrical signal, is an indirect method of calculating the resonant frequency by detecting the size of the electrical signal, and the accuracy is low, and the frequency of the input electrical signal must be vari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또한 선행 기술들은 전기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여 공진 주파수 및 인덕턴스를 산출하므로 정밀한 측정이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인덕턴스 변화가 어떤 임계값을 넘어서는지 여부를 주로 판정할 뿐, 그 인덕턴스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하지 못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 signal and calculates the resonant frequency and inductance, so it is difficult to make precise measurements.For this reason, it is only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nductance change exceeds a certain threshold, and quantitatively analyze the change in inductance. It doesn't provide as much accuracy as possible.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인덕티브 터치 센서만을 이용하여 하드웨어 비용을 절감하고, 인덕티브 터치 센서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터치 위치 및 터치 힘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encountered in the prior art, and the hardware cost is reduced by using only the inductive touch sensor, and even when only the inductive touch sensor is used,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force can be accurately detec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uctive force sensor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주파수의 변동이나 서로 다른 주파수 성분의 입력 없이 단일 측정만으로도 인덕턴스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다채널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경우에도 신속하게 터치 위치 및 터치 힘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할 수 있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change in inductance with only a single measurement without frequency fluctuation or input of different frequency components, so that even in the case of a multi-channel inductive force sensor, the touch position and touch force are quickly detected, and the user's intention is recogniz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uctive force sensor capable of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덕티브 터치 센서만을 이용할 뿐 아니라 주파수의 변동이나 서로 다른 주파수 성분의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터치 위치 및 터치 힘을 감지하는 데 소요되는 소비 전력을 절감하고, 다채널 인덕티브 포스 센서인 경우에도 소비 전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uses an inductive touch sensor, but also does not require fluctuations in frequency or input of different frequency components,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required to detect touch position and touch force, and multi-channel inductive force sens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ctive force senso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hat can greatly reduce power consumption even in the case of

본 발명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는 공진 주파수의 편이(shift)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회로 및 동작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는 입력 전기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터치 위치 및 터치 힘의 센싱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ircuit and an operating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detecting a shift in a resonant frequency. In addition, since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process of varying the frequency of an input electrical signal,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orten the sensing time of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force.

본 발명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는 정전용량형 센서 없이 인덕티브 터치 센서만으로도 터치 위치와 터치 힘을 동시에 인식함으로써, 센싱 시간을 단축하고 센싱 시 소비 전력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horten a sensing time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during sensing by simultaneously recognizing a touch position and a touch force with only an inductive touch sensor without a capacitive sensor.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출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는 Z축 방향의 외력에 노출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1 부품; 상기 제1 부품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인덕티브 코일; 상기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제1 부품의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공진 회로; 상기 제1 공진 회로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1 오실레이터;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 상기 제1 오실레이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제1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부품의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판정 회로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deriv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 first part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the line; An inductive coil formed on a substr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mponent; A first resonant circuit coupled to the inductive coil and having a first resonant frequency resulting from a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inductive coil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 A first oscillator for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the first resonance circuit;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a predetermined first state among states that the first resonant circuit may have; A reference oscillator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and applying a reference AC signal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And receiving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first resonant circuit, receiving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and receiving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a reference resonance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And a determination circuit that determines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ased on the frequ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인가되는 상기 레퍼런스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제1 부품이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하여 움직인 상대적인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AC signal applied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onance frequencies is detected, an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resonance circuit deviates from the first state, and the first component moves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 It is possible to obtain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relative displacement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가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가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In 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threshold value,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is regarded as causing a significant change, and the Z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is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인덕티브 코일은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이 동심 구조로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ductive coil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in a concentric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인덕티브 코일은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은 특정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멀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inductive coil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et of a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nd the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re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y move away from a specific position. I can.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의 차이의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change patter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in the region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It is possible to recognize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user gesture intended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구하는 연산기(operator); 상기 연산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및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는(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에 비례하는 디지털화된 값을 출력하는) 타임-투-디지털 변환기(Time-to-Digital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or for obtaining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 low pass filte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or to remove a high frequency component; And digitally counting the frequency of the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by being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low pass filter (outputting a digitized value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of the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It may include a) time-to-digital converter (Time-to-Digital Conver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외부에서 강제로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while the first resonant circuit is forcibly adjusted externally so that it is in the first state. Thus, the calibr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는 Z축 방향의 외력에 노출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2 부품; 상기 제2 부품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 각각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중 제1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제2 부품 내의 상기 개별 영역들의 제1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채널 공진 회로;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1 오실레이터;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중 제2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제2 부품 내의 상기 개별 영역들의 제2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2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2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채널 공진 회로;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제2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2 오실레이터;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2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 상기 제1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제2 오실레이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2 전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변위,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판정 회로를 포함한다.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that are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2 parts; A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formed on a substrat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mponen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and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A first inductive coil coupled to a first inductive coil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and formed in the first inductive coil based on a first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the second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inductive coil. A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having a first resonance frequency due to inductance; A first oscillator for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A second inductive coil coupled to a second inductive coil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and formed in the second inductive coil based on a second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the second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A second channel resonant circuit having a second resonant frequency due to inductance; A second oscillator for applying a second AC signal to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A reference resonance circuit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a predetermined first state among states that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can have and a second predetermined state among states that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can have; A reference oscillator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and the second oscillator and applying a reference AC signal to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And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a second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and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The first displacement, the second displacement,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re input based o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of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And a determination circu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and the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인가되는 상기 레퍼런스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제2 부품 내 상기 개별 영역들의 상기 제1 변위, 및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1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가 상기 제2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제2 부품 내 상기 개별 영역들의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2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AC signal applied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resonant frequencies, an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channel resonant circuit deviates from the first state, and the first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the second component Acquires displacement and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a first individu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uctive coil, and detects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 A degree that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deviates from the second state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the second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the second component, and the second inductance. It is possible to obtain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a second individu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v co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 또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또는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In 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is a first threshold. If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alue, at least one of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may be regarded as causing a significant change,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의 차이의 제1 변화 패턴 및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의 차이의 제2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2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hange pattern of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in a time domain,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in a time domain. Based on the second change pattern of the difference in the resonance frequency, the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first area covered by the first inductive coil, the second inductive coil covered by the second inductive coil In area 2,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user gesture intended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may be recogn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의 차이,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2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사용자에 의하여 의도된 입력인 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a first area covered by the TV coil, and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a second area covered by the second inductive coil Is extracted,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an input intend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를 곱셈 연산하고,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를 곱셈 연산하는 연산기(operator); 상기 연산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및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1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고,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2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는 타임-투-디지털 변환기(Time-to-Digital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or for multiplying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multiplying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 low pass filte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or to remove a high frequency component; And digitally counting a frequency of a first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tha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low-pass filter and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It may include a time-to-digital converter (Time-to-Digital Converter) digitally counting the frequency of the second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corresponding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은 제1 오실레이터가, 상기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제1 부품의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공진 회로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1 오실레이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가,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판정 회로가 상기 제1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제1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부품의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oscillator is coupled to the inductive coil and formed in the inductive coil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a first resonant circuit having a first resonant frequency due to the first inductance; Applying, by a reference oscillator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a reference AC signal to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a predetermined first state among states that the first resonant circuit may have; Receiving, by a determination circuit, a first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first resonant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rst AC signal; Receiving,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a reference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And determining,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이때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제1 부품이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하여 움직인 상대적인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termining of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includes: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a degree that the first resonant circuit deviates from the first state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moving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 and the Z-axis. It may include the step of obtain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of th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판정 회로가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의 차이의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ea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is based on a pattern of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ognizing the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of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user gesture intended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은 제1 오실레이터가,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중 제1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제2 부품 내의 상기 개별 영역들의 제1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채널 공진 회로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제2 오실레이터가,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중 제2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제2 부품 내의 상기 개별 영역들의 제2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2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2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제2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1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제2 오실레이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가,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2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판정 회로가 상기 제1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판정 회로가 상기 제2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2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변위,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method of ope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oscillator is coupled to a first inductive coil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and the second component for the first inductive coil is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a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having a first resonance frequency due to a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first inductive coil based on the first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The second oscillator is coupled to a second inductive coil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and the second inductive coil is based on a second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the second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Applying a second AC signal to a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having a second resonance frequency caused by a second inductance formed in the second inductance; A reference oscillator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and the second oscillator may have a predetermined first state among states that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may have and a state that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may have. Applying a reference AC signal to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the second state; Receiving, by a determination circuit, a first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rst AC signal; Receiving, by a determination circuit, a second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second AC signal; Receiving,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a reference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And the determination circuit comprises the first displacement and the second displacement based o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of the first electric signal,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of the second electric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 signal.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and the external force.

이때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제2 부품 내의 상기 개별 영역들의 상기 제1 변위, 및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1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공진 회로가 상기 제2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제2 부품 내의 상기 개별 영역들의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2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termining,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determin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and the external force includes: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resonant circuit deviates from the first state, the first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the second component, and the first inductive coil Acquir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a first individual region corresponding to a; And a degree that the second resonance circuit deviates from the second stat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the second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the second component, and the second inductiv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btain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a second individu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il.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덕티브 센서만을 이용하여 인덕티브 터치 포스 센서를 구현할 수 있어 하드웨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nductive touch force sensor using only the inductive sensor, thereby reducing hardware cost.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덕티브 센서만을 이용하여 인덕티브 터치 포스 센서를 구현하는 경우에도 터치 위치, 터치 힘, 터치 패턴, 및 제스쳐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위치, 및/또는 터치 힘은 하나의 출력값에 의하여 동시에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n inductive touch force sensor is implemented using only the inductive sensor, a touch position, a touch force, a touch pattern, and a gesture can be precisely sensed. In this case, the touch position and/or the touch force may be simultaneously indicated by one output value.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 성분의 스캔 없이 단일 측정으로 인덕턴스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절감하고 센싱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hange in inductance can be detected with a single measurement without scanning a frequency component, power consumption and sensing time can be shortened.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 성분의 스캔 없이 센서 별 단일 측정으로 인덕턴스의 변화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인덕티브 센서 어레이 또는 인덕티브 센서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동작하더라도 소비 전력과 센싱 시간의 제약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우며, 어레이 또는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터치 패턴, 터치 제스쳐, 및 터치 상황을 정밀하게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nge in inductance can be accurately detected with a single measurement for each sensor without scanning the frequency component, even if the inductive sensor array or the inductive sensor matrix is formed and operated, it is relatively free from the constraints of power consumption and sensing tim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various touch patterns, touch gestures, and touch conditions using an array or matrix.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싱글 채널 또는 싱글 코일의 인덕티브 센서를 이용하여 시간 도메인에서의 변화를 검출하고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nge in a time domain may be detected and a gesture may be recognized using an inductive sensor of a single channel or a single co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채널들 또는 코일들에 대해서 동시에 검출된 센싱 결과를 조합하여 센싱 결과에 오류가 없는지 검증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코일들에 대하여 동시에 검출된 센싱 결과와 코일들이 커버하는 영역들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센싱 결과 도출된 터치 포스가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것인지 여부, 또는 오류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erify whether there is an error in the sensing result by combining sensing results simultaneously detected for a plurality of channels or coils. In consideration of a sensing result detected at the same time for a plurality of coils and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regions covered by the coils, it is possible to verify whether a touch force derived from the sensing result is due to a user's intention or an error.

종래 기술들은 공진 신호의 진폭을 검출하거나, 아날로그 교류 신호의 진폭을 검출하기 때문에, 검출된 결과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 여부만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차동 신호의 공진 주파수 차이를 산출하고, 이를 디지털 카운트하므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시간-공간 상의 터치 포스의 변화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Since the prior art detects the amplitude of the resonance signal or the analog AC signal, it is only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detected result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fference i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differential signal is calculated and digitally counted,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d a change in the touch force in time-space can be accurately detected using th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코일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코일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회로 및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회로 및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coil structure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 coil structure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and an operating method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and an operating method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는 싱글 버튼/채널/코일을 가정한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가 도시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shows an inductive force sensor 100 assuming a single button/channel/coi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는 Z축 방향의 외력(150)에 노출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150)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1 부품(130); 상기 제1 부품(130)의 변형에 기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타겟 레이어(140); 상기 타겟 레이어(14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110) 상에 형성되는 인덕티브 코일(112); 및 제1 부품(130)을 지지하고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를 다른 센서 또는 센싱 채널과 구분하는 스페이서 레이어(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inductive force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150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150 in the Z-axis direction. A first part 130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the line; A target layer 140 disposed to be movable along the Z-axis direction based on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part 130; An inductive coil 112 formed on the substrate 110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arget layer 140; And a spacer layer 160 that supports the first component 130 and separates the inductive force sensor 100 from other sensors or sensing channels.

도 1에 도시된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는 싱글 채널을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과 같은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를 복수 개 병렬 배치하여 어레이 또는 매트릭스를 구현할 수 있다.The inductive force sensor 100 shown in FIG. 1 forms a single channel.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n array or matrix may be implement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inductive force sensors 100 as shown in FIG. 1 in parallel.

Z축 방향을 따라 인가되는 외력(150)에 의하여 제1 부품(130)이 탄성적으로 변형하면, 제1 부품(130)의 변형 정도에 따라서 타겟 레이어(140)가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인쇄 회로 기판(110) 상에 형성된 인덕티브 코일(112)과 타겟 레이어(140)는 인덕티브 결합(inductive coupled)되어 있다. When the first part 13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external force 150 applied along the Z-axis direction, the target layer 140 may move along the Z-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first part 130. have. At this time, the inductive coil 112 and the target layer 140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10 are inductively coupled.

이때, 타겟 레이어(140)과 인덕티브 코일(112) 간에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 예를 들어 폼(foam)이 배치될 수 있다. 외력(150)이 가해지면 타겟 레이어(140)가 인덕티브 코일(112)에 가까워지고, 이에 따라 타겟 레이어(140)와 인덕티브 결합된 인덕티브 코일(112)에 형성되는 인덕턴스가 변화한다.In this case,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example, a foam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arget layer 140 and the inductive coil 112. When the external force 150 is applied, the target layer 140 approaches the inductive coil 112, and accordingly, the inductance formed in the inductive coil 112 inductively coupled to the target layer 140 changes.

외력(150)이 제거되면 폼이 가지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타겟 레이어(140)는 변형 전의 위치로 돌아간다. 즉, 외력(150)이 가해지는 동안에만 인덕턴스의 변화가 나타나며, 이를 감지하면 Z축 방향의 외력(150)을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150 is removed, the target layer 140 returns to the position before deforma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oam. That is, the change in inductance appears only while the external force 150 is applied, and when this is detected, the external force 150 in the Z-axis direction can be sensed.

외력(150)이 인가되지 않은 제1 상태에서 타겟 레이어(140)이 인덕티브 코일(112)과 이격되는 거리를 d0라 하고, 외력(150)이 인가된 상태에서 타겟 레이어(140)이 인덕티브 코일(112)과 이격되는 거리를 d라 하면, 변위 △d = |d-d0|는 타겟 레이어(140)와 인덕티브 결합된 인덕티브 코일(112)에 형성되는 인덕턴스의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이다. 따라서 인덕턴스의 변화를 검출하면 변위 △d를 검출할 수 있고, 외력(150)의 크기를 정량화할 수 있다.The distance at which the target layer 140 is separated from the inductive coil 112 in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150 is not applied is denoted d0, and the target layer 140 is inductive when the external force 150 is applied. If the distance from the coil 112 is d, the displacement Δd = |d-d0| causes a change in inductance formed in the inductive coil 112 inductively coupled to the target layer 140. Therefore, when a change in inductance is detected, the displacement Δd can be detected, and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150 can be quantified.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인덕티브 코일(112) 및 그 인덕티브 코일(112)이 커버하는 영역의 외력(150)을 감지하는 단위를 채널(channel)로 칭하기로 한다. 타겟 레이어(14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다른 채널과 분리되어 하나의 채널마다 배치될 수도 있고, 후술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의 채널들로 이루어진 그룹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개별 채널마다 타겟 레이어(140)가 배치되며, 각 채널은 스페이서 레이어(160)에 의하여 다른 채널과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unit for sensing the external force 150 of one inductive coil 112 and a region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112 is referred to as a channel. The target layer 140 may be separated from other channels and disposed for each channel as illustrated in FIG. 1, or may be commonly disposed in a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hannels as illustrated in FIG. 2 to be described later. In FIG. 1, a target layer 140 is disposed for each individual channel, and an embodiment in which each channel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other channels by a spacer layer 160 is illustrated.

타겟 레이어(140)는 비자성 금속일 수도 있고, 자성을 띠는 금속일 수도 있다. 타겟 레이어(140)는 에디 전류(Eddy current)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전도성을 띠는 도체가 선호된다. 타겟 레이어(140)가 자성을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서, 외력(150)이 가해졌을 때 인덕턴스가 증가할 지, 감소할 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타겟 레이어(140)의 자성/비자성, 및 채널의 하드웨어적 설계에 기반하여 변위 대비 인덕턴스 검출 감도 등의 변수가 최적화된 재료가 타겟 레이어(140)로 선택될 수 있다.The target layer 140 may be a non-magnetic metal or a magnetic metal. As for the target layer 140, a conductive conductor is preferred so that an Eddy current can be formed. Depending on whether the target layer 140 has magnetism,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inductance increases or decreases when the external force 150 is applied. A material in which variables such as displacement versus inductance detection sensitivity are optimized based on the magnetic/nonmagnetic of the target layer 140 and the hardware design of the channel may be selected as the target layer 1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의 인덕티브 코일(112)은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이 동심 구조로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ductive coil 112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in a concentric structure.

타겟 레이어(140)는 외력(150)에 의하여 Z축 방향으로 이동하되, 타겟 레이어(140)가 인덕티브 코일(112)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타겟 레이어(140)가 인덕티브 코일(112)과 평행하지 않은 상태로 외력(150)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에 따라서 인덕티브 코일(112)과 약간의 경사를 형성하면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측정 상의 오차 요인이 되어 정확한 터치 포스 센싱이 어려운 요인이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덕턴스의 차동 검출에 기반하여 인덕턴스의 변화를 정밀하게 정량화할 수 있으므로, 터치 포스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은 물론이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력(150)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를 세밀하게 검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서는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target layer 140 is moved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150, but the target layer 140 may be implemented to maintain a state parallel to the inductive coil 112,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layer 140 may move while forming a slight inclination with the inductive coil 112 according to a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150 is concentrated while the target layer 140 is not parallel to the inductive coil 112. In this case, in the prior art, it becomes a factor of measurement error,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sense the touch forc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nge in inductance can be accurately quantified based on the differential detection of the inductance, it is not necessary to accurately detect the touch force. Of cours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150 is concentrated may be detected in detail.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대부분의 웨어러블 장치는 외부와의 경계를 형성하는 인클로저(enclosure)에 컷 아웃이 필요한 기계식 버튼을 사용하므로 장치를 밀봉하기가 어려워지고 방진 방수 기능을 의미하는 IP 레이팅(IP Rating)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기계식 버튼은 움직이는 부품(moving parts), 금속 접점(metallic contacts), 및 개스킷(gaskests)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들은 장기적으로 신뢰성 문제를 안고 있으며,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환경 요인에 대한 내성이 낮은 문제점을 가진다.Most wearable devices use mechanical buttons that require cutouts in the enclosure forming the boundary with the outside, so it is difficult to seal the device, and the IP rating, which means the dustproof and waterproof function, may be lowered. Mechanical buttons also use moving parts, metallic contacts, and gaskets, which have long-term reliability issues, cause cost increases, and are less resistant to environmental factors. It has a low problem.

컷 아웃이 필요하지 않은 인클로저(cut out free enclosure)를 구현할 수 있으면 높은 IP 레이팅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보다 높은 IP 레이팅을 가지는 웨어러블 장치는 이전에 활용되지 못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개스킷을 사용하지 않고(gasket-less), 움직이는 부품을 사용하지 않는다면(no moving parts), 웨어러블 장치는 물리적으로 더욱 강인해질(robust)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장갑(gloves)과 같은 웨어러블 요소에 임베디드될 수 있고, 수중(under water)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If a cut out free enclosure can be implemented, a high IP rating can be implemented, and a wearable device having a higher IP rating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that have not been previously utilized. If gasket-less and no moving parts are used, the wearable device can be physically more robust and embedded in wearable elements, e.g. gloves. It could be, and it could be used under water.

이러한 높은 IP 레이팅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계식 버튼 대신 터치 압력을 인식하는 전자기적 장치를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이러한 시도 중 하나로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를 이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으나,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는 전기장의 영향을 받으며 주변의 통전 여부에 영향을 받으므로, 수중에서는 활용할 수 없고, 활용 범위에 제약이 주어진다.In order to achieve such a high IP rating, there is an attempt to utilize an electromagnetic device that recognizes a touch pressure instead of a mechanical button. As one of these attempts, there is a movement to use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but the capacitive proximity sensor is affected by the electric field and is affected by whether or not the surrounding is energized, so it cannot be used underwater, and the range of application is limited. .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를 대신하여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하여 터치 압력을 인식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자기장의 변화를 일으켜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인덕티브 터치 센서가 제안된 바 있다. 인덕티브 센서가 정전용량식 센서에 비하여 외부 교란에 민감하지 않은 점도 인덕티브 센서의 사용이 확산되는 원인이 된다. In place of the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n inductive touch sensor has been proposed that measures inductance by causing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in a way to recognize a touch pressure by measuring a change in impedance. The fact that inductive sensors are not sensitive to external disturbances compared to capacitive sensors is a reason for the spread of inductive sensors.

인덕티브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인덕티브 포스 센서를 구현하는 방식은 이미 앞서 언급한 선행문헌들, 예를 들어, 미국공개특허 US 2018/0180450 "Inductive Touch Input", 미국공개특허 US 2017/0016255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또는 한국등록특허 KR 10-1920440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등에서 언급되고 있다.The method of implemen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using an inductive touch sensor is described in the previously mentioned prior documents, for example, US Patent Publication No. US 2018/0180450 "Inductive Touch Input", US Patent Publication US 2017/0016255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or Korean Patent No. KR 10-1920440 "Self-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3D touch implementation".

한편,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정밀한 검출이 가능한 정전용량식 센서에 비하여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해야 하는 인덕티브 센서는 검출 정밀도를 높이기 쉽지 않다. 상기 선행문헌들의 인덕티브 센싱 기술 또한 정밀한 측정보다는 어떤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정도로, 특정 이벤트를 검출하는 용도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a capacitive sensor capable of precise detection using an electrical signal, an inductive sensor that must use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is not easy to increase detection accuracy. The inductive sensing technology of the prior literature is also mainly used for detecting a specific event to the extent that it detects whether it is above a certain threshold rather than precise measurement.

도 1의 구성 및 상기 선행문헌들은 본 발명의 구성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이후에 언급될 본 발명의 새로운 구성들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고유한 효과를 달성하게 될 것이다. 특히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 스마트 디바이스, 가상 현실, 증강 현실 등과 결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정밀한 터치 포스를 인식할 것과 사용자 제스쳐를 정확히 인식하고,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인덕티브 센싱을 개선하여 터치 포스, 터치 포스에 기인한 타겟의 변위, 인덕턴스의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정량화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사용자 제스쳐를 정확히 인식하는 기술을 제안한다.The configuration of FIG. 1 and the prior documents may be included as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y combining with the new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mentioned later, the uniqu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hieved. In particular, in combination with recent mobile devices, smart device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he user interface aims to recognize a precise touch force, accurately recognize user gestures, and understand the user's int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inductive sensing of the prior art to precisely measure and quantify the change in the touch force,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due to the touch force, and the change in inductance, thereby proposing a technology to understand the user's intention and accurately recognize the user gesture. do.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레이어(140)에 별도의 코일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덕티브 코일(112)과 타겟 레이어(140)의 에디 전류가 호응하여 셀프 인덕티브 방식으로 타겟 레이어(140)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eparate coil is not disposed on the target layer 140, the eddy current of the inductive coil 112 and the target layer 140 responds to each other in a self-inductive method.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140 may be measur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레이어(140)에 뮤추얼 인덕티브 코일(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되고, 타겟 레이어(140)의 뮤추얼 인덕티브 코일과 기판(110) 상의 인덕티브 코일(112)이 호응하여 뮤추얼 인덕티브 방식으로 타겟 레이어(140)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tual inductive coil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target layer 140, the mutual inductive coil of the target layer 140 and the inductive coil 112 on the substrate 110 In response to this,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140 may be measured in a mutual inductive metho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는 Z축 방향의 외력에 노출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232)을 포함하는 제2 부품(230); 상기 제2 부품(230)이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2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변형하는 경우에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타겟 레이어(240); 및 상기 타겟 레이어(24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210)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232)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232) 각각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212)을 포함한다.2,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is elastically deformed along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 second part 230 comprising a plurality of possible individual regions 232; A target layer 240 disposed to be movable along the Z-axis direc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232 of the second component 230 is deformed; And formed on the substrate 210 spaced apart from the target layer 24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232, and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232 It includes a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212.

제2 부품(230)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개별 영역들(232)은 제2 부품(230)의 개별 영역들(23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부품(230)은 도 2에 도시된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의 전체 영역을 하나의 외피로 둘러쌀 수 있으므로,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의 IP 레이팅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개별 영역들(232)이 독립된 번호를 가지는 스마트 워치 등을 가정해 보면, 스마트 워치에서 노출되는 개별 영역들(232)은 하나의 외피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우수한 방진 방수 성능이 기대된다. 개별 영역들(232)은 스페이서 레이어(260)의 hole에 대응하여 배치되므로 개별 영역들(23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2 부품(230)의 탄성에 기반하여 해당 영역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The second component 23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able, and the individual regions 23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remaining regions except for the individual regions 232 of the second component 230. That is, since the second component 230 may surround the entire area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illustrated in FIG. 2 with a single shell, the IP rating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may be increased. For example, assuming a smart watch in which the individual areas 232 have independent numbers as shown in FIG. 2, the individual areas 232 exposed by the smart watch are surrounded by a single shell, so excellent dustproof waterproof performance is achieved. It is expected. Since the individual regions 232 are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holes of the spacer layer 26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individual regions 232, the corresponding region is elastic based on the elasticity of the second component 230. Can be sexually trans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2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베젤, 사이드, 또는 뒷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개별 영역들(232)은 사용자에 의하여 식별되지 않도록 작은 크기를 가지고 밀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는 사용자가 해당 디바이스를 잡고 있는지, 또는 해당 디바이스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 영역에 소정의 사용자 제스쳐를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of FIG. 2 may be located on the bezel, side, or rear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individual regions 232 have a small size so that they are not identified by the user. It can also be placed in a dense manner. In this case,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may be used as a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holding the corresponding device or whether a predetermined user gesture is input to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area of the corresponding device.

도 1에서와 달리 도 2에서는 타겟 레이어(240)가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232)와 인덕티브 코일들(212)로 이루어진 모듈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스페이서 레이어(260)도 약한 탄성복원력을 가진다고 가정하면, 개별 영역들(232) 중 어느 영역에 터치 포스가 인가되었는지에 따라 타겟 레이어(240)는 XYZ 공간 상에서 뒤틀리며 인덕티브 코일들(212)에 비대칭적인 변위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1번 버튼이 눌린 경우와 6번 버튼이 눌린 경우의 인덕티브 코일들(212)에 형성되는 인덕턴스 분포는 상이할 것이며, 이러한 패턴을 사전에 테스트 과정을 거쳐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의 컨트롤러가 저장해 둘 수 있다.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는 실제로 외력이 인가되어 복수의 인덕티브 코일들(212)에 나타난 인덕턴스의 분포와 사전에 저장된 인덕턴스 분포 패턴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은 무엇인지를 추출해 낼 수 있다.Unlike in FIG. 1, in FIG. 2, the target layer 240 is commonly disposed in a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232 and inductive coils 212. Assuming that the spacer layer 260 also has a weak elastic restoring force, the target layer 240 is distorted in the XYZ space and asymmetrical to the inductive coils 212 according to which of the individual regions 232 the touch force is applied. Will provide a natural displacement. For example, the distribution of inductances formed in the inductive coils 212 when the 1st button is pressed and when the 6th button is pressed will be different, and this pattern is tested beforehand and then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 Of the controller can store it.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may extract the input intended by the user by comparing the distribution of inductances displayed in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212 and the inductance distribution pattern stored in advance when an external force is actually applied. .

종래 기술들에서는 복수 개의 채널들의 인덕턴스를 동시에 검출하기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채널들의 인덕턴스를 실질적으로 시간 차이 없이 동시에 검출 가능하며, 정량화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인덕턴스 포스 센서(200)가 커버하는 영역 내의 터치 포스의 공간 분포를 얻을 수 있고, 정확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In the prior art, it is not easy to simultaneously detect the inductance of a plurality of channel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ance of a plurality of channels can be detected at the same time without substantially time difference, and since quantified data can be obtain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touch force within the area covered by the inductance force sensor 200 can be obtained. You can understand your intentions.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레이어(240)에 별도의 코일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덕티브 코일(212)과 타겟 레이어(240)의 에디 전류가 호응하여 셀프 인덕티브 방식으로 타겟 레이어(240)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eparate coil is not disposed on the target layer 240, the inductive coil 212 and the eddy current of the target layer 240 correspond to each other in a self-inductive method.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240 may be measur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레이어(240)에 뮤추얼 인덕티브 코일(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되고, 타겟 레이어(240)의 뮤추얼 인덕티브 코일과 기판(210) 상의 인덕티브 코일(212)이 호응하여 뮤추얼 인덕티브 방식으로 타겟 레이어(240)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tual inductive coil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target layer 240, and the mutual inductive coil of the target layer 240 and the inductive coil 212 on the substrate 210 In response to this,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240 can be measured in a mutual inductive metho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 및 그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300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 내의 복수 개의 코일들(312)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한 세트로서, 하나의 모듈(310a)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3, as a set consisting of a set of a plurality of coils 312 in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one module 310a is shown.

모듈(310a) 내에서 복수 개의 코일들(312)에 나타나는 인덕턴스의 XY 평면 상에서의 공간적 분포를 시간 도메인에서 추적함으로써 모듈(310a)에 의하여 커버되는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터치 포스가 시간-공간적으로 변화하는 패턴을 추적할 수 있다.In the module 310a, the user's touch force changes temporally and spatially within the area covered by the module 310a by track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inductance on the XY plane on the XY plane in the module 310a. You can trace the pattern.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는 복수 개의 코일들(312) 각각이 커버하는 개별 영역들에서 인식되는 Z축 방향의 외력의 XY 평면 상에서의 공간적 분포를 시간 도메인에서 추적하여, 외력의 중심이 XY 평면 상에서 시간 도메인에서 이동하는 방향과 속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는 사용자가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가 커버하는 영역에서 가해지는 터치 포스의 패턴, 예를 들어 두드리거나, 슬라이드/스크롤/스와이프하거나, 줌 인/줌 아웃하는 등의 사용자 제스쳐를 인덕티브 센싱 기법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track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on the XY plane recognized in individual regions cover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312 in the time domain, so that the center of the external force is the XY plane.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direction and speed of movement in the time domain. According to this,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is a pattern of a touch force applied by a user in the area covered by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for example, tapping, slide/scroll/swipe, zoom in/zoom out. User gestures, such as doing, can be recognized as an inductive sensing technique.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는 X축 방향을 따라 터치 포스의 중심 위치가 이동하는 X축 이동 정보, 및 Y축 방향을 따라 터치 포스의 중심 위치가 이동하는 Y축 이동 정보를 결합하여 XY 평면 상에서 터치 포스의 중심 위치가 이동하는 XY 평면 상의 이동 정보를 도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는 복수 개의 코일들(312) 각각이 커버하는 개별 영역들에서 얻어지는 터치 포스의 변동 패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XY 평면 상에서 터치 포스의 중심 위치가 이동하는 제스쳐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각 채널 정보는 독립적으로 얻어지므로,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는 복수 개의 코일들(312)에 의하여 커버되는 센싱 영역 내에서 멀티 터치에 의한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더라도 혼동 없이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combines the X-axis movement information in which the center position of the touch force moves along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movement information in which the center position of the touch force moves along the Y-axis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derive movement informa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center position of the touch force moves. In another embodiment,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includes gesture information in which the center position of the touch force moves on the XY plane directly from the variation pattern of the touch force obtained in individual regions cover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312 You can also get In addition, since each channel information is obtained independently,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can recognize the user gesture without confusion even if a user gesture by multi-touch is input within the sensing area covered by the plurality of coils 312. hav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400) 및 그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400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인덕티브 포스 센서(400) 내의 복수 개의 코일들(412)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한 세트로서, 하나의 모듈(410a)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4, as a set consisting of a set of a plurality of coils 412 in the inductive force sensor 400, one module 410a is shown.

예를 들어, 모듈(410a)이 각 개별 영역들에 번호가 부여되어 외부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외력이 입력되는 범위(452) 내에서 개별 영역을 특정하기 어려운 정도로 외력이 균등하게 측정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특정한 번호 영역을 터치할 것을 의도한 것이 아니라 단지 디바이스를 손에 들고 있거나 외부에서 다른 요인으로 압력이 가해진 것으로 측정할 수도 있어서 디바이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odule 410a is an interface that is displayed externally by numbering individual areas, as shown in FIG. 4, the external force is difficult to specify the individual areas within the range 452 into which the external force is input. If this is measured equally, it is not intended that the user touches a specific number area, but it can be measured that the device is simply holding the device in hand or pressure is applied by other factors from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device.

이를 위해서는 모듈(410a) 내에 포함되는 개별 영역들 및 복수 개의 코일들(412)에 대한 실질적으로 동 시간의 인덕턴스 분포 패턴을 검출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레퍼런스 인덕턴스와의 차동 공진 신호에 기반하여 인덕턴스의 변화 및 각 코일들(412)에 관련된 개별 영역들의 터치 포스를 검출함으로써 이를 달성한다. 이와 관련된 사항은 도 7과 도 8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inductanc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individual regions included in the module 410a and the plurality of coils 412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an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fferential resonance signal with the reference inductance. This is achieved by detecting the change and the touch force of the individual regions associated with each of the coils 412. Related matter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S. 7 and 8.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500)의 코일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coil structure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500)의 인덕티브 채널 코일(512)은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은 특정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멀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5, the inductive channel coil 512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up of a set of a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nd the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re at a specific position. It can have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so as to be spaced farther apart from each other as the distance increases.

도 1에서 도시된 타겟 레이어(140)는 Z축 방향의 외력이 인가되면 Z축 방향의 변위를 일으키는데, 이때 타겟 레이어(140)가 반드시 인덕티브 코일(512)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타겟 레이어(140)는 XYZ 공간 상에서 뒤틀린 채로 Z축 방향의 변위를 일으킬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인덕티브 채널 코일(512)이 커버하는 채널 영역(514) 내에서 외력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에 따라서 타겟 레이어(140)의 변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인덕티브 코일(512)의 코일 구조가 인덕티브 포스 센서(50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인덕티브 코일(512) 내의 단위 코일 권선 간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구조라면, 채널 영역(514) 내에서 외력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에 따라 인덕티브 코일(512)이 감지하는 인덕턴스 변화가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사전에 미리 테스트되고 저장된 인덕턴스의 정량화 패턴과 실제로 측정된 인덕턴스의 정량화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채널 영역(514) 내에서 외력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The target layer 140 shown in FIG. 1 causes a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applied. In this case, the target layer 140 must be able to maintain a state parallel to the inductive coil 512 no. Accordingly, the target layer 140 may cause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while being distorted in the XYZ space. In this case,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140 may differ according to a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an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in the channel region 514 covered by one inductive channel coil 512.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if the coil structure of the inductive coil 512 i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unit coil windings in the inductive coil 512 increases or becomes closer as the coil structure of the inductive coil 512 moves away from the center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500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inductive coil 512 will vary according to the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in the channel region 514. Therefore, by comparing the quantification pattern of the inductance previously tested and stored with the quantification pattern of the actually measured inductance, the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in the channel region 514 can be identified.

이때 시간 도메인 상에서 채널 영역(514) 내에서 외력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를 식별하고 추적함으로써, 싱글 채널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에서도 두드리거나 슬라이딩/스크롤/스와이핑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identifying and tracking the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in the channel region 514 in the time domain, even a single channel inductive force sensor can recognize a user gesture of tapping or sliding/scrolling/swiping.

도 5에서는 각 인덕티브 코일(512)의 구조는 비대칭적이지만, 인덕티브 코일들(512)의 집합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모듈을 구성할 경우, 그 모듈은 대칭성을 가지도록 인덕티브 포스 센서(500)가 구현될 수 있다.In FIG. 5, the structure of each inductive coil 512 is asymmetric, but when one module is formed by being formed as a set of inductive coils 512, the module is an inductive force sensor 500 to have symmetry. ) Can be implemen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600)의 코일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 coil structure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600)의 인덕티브 채널 코일(612)은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은 특정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멀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6, the inductive channel coil 612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et of a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nd the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re at a specific position. It can have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 distance from the

이때 하나의 인덕티브 채널 코일(612)이 커버하는 채널 영역(614) 내에서 외력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고, 시간 도메인 상에서 외력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를 추적할 경우 싱글 채널 영역(614) 내에서도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음은 앞의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in the channel region 614 covered by one inductive channel coil 612 can be identified, and when tracking the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in the time domain It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that the user gesture can be recognized even within the channel region 614.

도 6에서는 각 인덕티브 코일(612)의 구조가 비대칭적이고, 인덕티브 코일들(612)의 집합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모듈을 구성할 경우, 그 모듈이 비대칭성을 유지하지만 규칙성을 인덕티브 포스 센서(600)가 구현될 수 있다.In FIG. 6, when the structure of each inductive coil 612 is asymmetric and is formed as a set of inductive coils 612 to form one module, the module maintains asymmetry, but the regularity is inductive force. The sensor 600 may be implemen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700)의 회로 및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and an operating method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와 도 7의 회로를 함께 참조하면,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700)는 인덕티브 코일(112, 712)과 결합하며 상기 인덕티브 코일(112, 712)에 대한 타겟 레이어(140, 740)의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112, 712)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ω1)를 가지는 제1 공진 회로(7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inductive force sensor 100 of FIG. 1 and the circuit of FIG. 7 toge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ve force sensors 100 and 700 are combined with the inductive coils 112 and 712 and the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140, 740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s 112 and 712,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is caused by the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inductive coils 112 and 712. 1 resonant circuit 720 is included.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700)는 상기 제1 공진 회로(720)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1 오실레이터(722); 상기 제1 공진 회로(720)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외력(150, 750)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가 선호됨)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상기 제1 오실레이터(722)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제1 공진 회로(720)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와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레이어(140, 740)의 변위 △d = |d-d0|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150, 750)을 판정하는 판정 회로(770)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inductive force sensors 100 an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oscillator 722 for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the first resonant circuit 720;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not shown in FIG. 7)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a first predetermined state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s 150 and 750 are applied is preferred) among states that the first resonant circuit 720 may have. ); A reference oscillator (not shown in FIG. 7) that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722 and applies a reference AC signal to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And receiving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first resonant circuit 720, receiving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and receiving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The displacement Δd of the target layers 140 and 740 based o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Δd = |d-d0| And a determination circuit 770 that determines the external forces 150 and 750 in the Z-axis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인가되는 상기 레퍼런스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타겟 레이어(140, 740)가 상기 인덕티브 코일(112, 712)에 대하여 움직인 상대적인 변위 △d = |d-d0|,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150, 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770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100 and 7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ference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AC signal applied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The first resonant circuit detects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The degree of deviation from the first state, the relative displacement Δd = |d-d0| that the target layers 140 and 740 moved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s 112 and 712, and the external force 150 in the Z-axis direction , 750)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도 7에 도시된 제1 공진 회로(720)는 등가 회로를 나타낸 것이며, 반드시 lumped RLC 요소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패시턴스 C(716)과 저항 R(718)은 독립적인 소자일 수도 있고, 기생 성분을 나타낸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독립적인 소자를 이용하여 제1 공진 회로(720)를 구현한 경우에도, 소자의 배치가 반드시 도 7을 따를 필요는 없으며 등가적으로 제1 공진 회로(720)에 대응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The first resonant circuit 720 shown in FIG. 7 represents an equivalent circuit, and does not necessarily include a lumped RLC element. For example, the capacitance C 716 and the resistor R 718 may be independent devices or may represent parasitic components. In addition, even when the first resonant circuit 720 is implemented by using an independent element, the arrangement of the elements does not necessarily follow FIG. 7 and it is sufficient if the arrangement of the elements can correspond to the first resonant circuit 720 equivalent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간의 차이가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가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150)이 입력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즉, 노이즈,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 의도하지 않은 접촉, 의도하지 않은 진동에 의하여 제1 공진 주파수(ω1)의 변화가 감지되었으나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1 공진 주파수(ω1)가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770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100 and 7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threshold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150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by considering that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has caused a significant change. That is, when the change i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is detected due to noise, unintended motion, unintentional contact, and unintentional vibration, but below the first threshol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makes a significant change. It can be regarded as not causing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상기 제1 공진 회로(720)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외부에서 강제로 조정된 상태에서(외부의 압력(150, 750)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가 선호됨)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770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100 an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that is forcibly adjust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first resonance circuit 720 is in the first state (external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s 150 and 750 are not applied is preferred.) A calibr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판정 회로(770)는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판정 회로(770)는 외력(150, 750)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통해 제1 공진 주파수(ω1) 및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가 zero가 되도록 제1 공진 회로(720) 또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통해 외력(150, 750)이 인가되지 않은 제1 상태에서 검출되는 제1 공진 주파수(ω1) 및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가 별도의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되어 향후 인덕티브 포스 센싱 과정에서 오프셋 정보로 처리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을 거친 후 제1 공진 주파수(ω1) 및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에 대한 조정은 제1 공진 회로(720)에 부가될 수 있는 가변 저항기 R' 의 값을 조정하는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770 may perform a calibration process. The determination circuit 770 may perform a calibration process in a state in which external forces 150 and 750 are not applied. At this time, the first resonance circuit 720 or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may be adjusted so that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becomes zero through the calibr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detected in the first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150, 750) is applied through the calibration process is stored in a separate memory or storage. It may be processed as offset information in the inductive force sensing process. Adjustmen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fter calibration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hat can be added to the first resonant circuit 720. Can be executed by

일반적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인덕티브 센싱 기술은 가변 주파수 스캔을 통하여 복수의 주파수 신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한 이후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었는데, 이 같은 방법은 신호의 크기를 정확히 검출하고 비교해야 하는 전제 조건이 있었다. 그런데 일반적인 인덕티브 센서에서 노이즈에도 불구하고 신호들의 크기를 정확히 검출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In general, the inductive sensing technology known to date is to measure the change in impedance after sequentially inputting a plurality of frequency signals through a variable frequency scan. This method is a prerequisite for accurately detecting and comparing the size of the signal. There was thi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accurately detect the magnitude of signals despite noise in a general inductive sensor.

본 발명은 신호들의 진폭을 주된 검출 대상으로 삼는 대신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주된 검출 대상으로 삼았으며, 또한 가변 주파수 스캔과 같은 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동일 주파수의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수단만으로도 충분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은 신속하게 해당 시점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정량화할 수 있다. 후술할 도 8의 방식에 의하여 공진 신호의 진폭과 관련 없이 제1 공진 주파수(ω1)의 실시간 변화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공진 주파수(ω1)가 간접적인 방법으로 검출되는 것이 아니라 주파수의 값이 직접적으로 검출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디지털화하기 용이하며, 디지털화된 값을 이용하여 인덕턴스의 변화 및 터치 포스의 변화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변 주파수 스캔과 같은 과정이 없으므로 센싱 과정이 빠르고 소비 전력이 적다. 하나의 코일 및 채널에 대한 인덕티브 센싱 과정이 신속하면서 센싱 결과는 디지털화된 값으로 얻어지므로, 다수의 채널을 구현한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시에 인덕턴스의 변화 및 터치 포스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각각의 채널 및 코일이 XY 평면 상의 위치에 대응할 경우, 신속하게 얻어진 터치 포스의 XY 평면 상에서의 공간적 변화는 터치 포스가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것인지, 오류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터치 포스의 XY 평면 상에서의 공간적 변화를 시간 도메인 상에서 추적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제스쳐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using the amplitude of the signals as the main detection object, the change of the resonance frequency is the main detection object. Also, a means of applying an AC signal of the same frequency without adopting a method such as variable frequency scanning is sufficient. Can be achieved. Therefore, using this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detect and quantify the change in inductance at the time point. A real-time change of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may be detected regardless of the amplitude of the resonant signal by the method of FIG. 8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since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is not detected by an indirect method, but the value of the frequency is directly detected, it is easy to digitize using this, and the change in inductance and touch force are precisely controlled by using the digitized valu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tect it. Also, since there is no process such as variable frequency scanning, the sensing process is fast and power consumption is low. Since the inductive sensing process for one coil and channel is quick and the sensing result is obtained as a digitized value, even when a plurality of channels are implemented, a change in inductance and a change in touch force can be detect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When each channel and coil corresponds to a position on the XY plane, the spatial change of the quickly obtained touch force on the XY plane makes it easy to identify whether the touch force is due to the user's intention, error or other cause. To be. In addition, by tracking the spatial change of the touch force on the XY plane in the time domain,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a gesture by the user's inten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와 도 7의 회로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 700)는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212, 712) 중 제1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타겟 레이어(240, 740)의 제1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ω1)를 가지는 제1 채널 공진 회로(720);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720)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1 오실레이터(722);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212, 712) 중 제2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타겟 레이어(240, 740)의 제2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2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2 공진 주파수(ω2)를 가지는 제2 채널 공진 회로(도시되지 않음);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제2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2 오실레이터(도시되지 않음);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720)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2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 상기 제1 오실레이터(722) 및 상기 제2 오실레이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720)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2 전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변위,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750)을 판정하는 판정 회로(7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of FIG. 2 and the circuit of FIG.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ve force sensors 200 an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with a first inductive coil among the inductive coils 212 and 712 and formed in the first inductive coil based on the first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240 and 740 with respect to the first inductive coil. A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720 having a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due to the first inductance; A first oscillator (722)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720); The second inductive coil is coupled to a second inductive coil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212 and 712 and based on a second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240 and 740 with respect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A second channel resonant circuit (not shown) having a second resonant frequency (ω2) caused by a second inductance formed in the inductance; A second oscillator (not shown) for applying a second AC signal to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A reference resonance circuit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a predetermined first state among states that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720 may have and a second state of the states that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may have; A reference oscillator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722 and the second oscillator and applying a reference AC signal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And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720, a second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and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and the first The first displacement, the second based o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of the electrical signal,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ω2) of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And a determination circuit 770 for determining a displacement and a position at which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and the external force 7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인가되는 상기 레퍼런스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720)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타겟(240, 740)의 상기 제1 변위, 및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1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가 상기 제2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타겟(240, 740)의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2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770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200 and 7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ference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AC signal applied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an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 720) deviates from the first state, the first displacement of the targets 240 and 740, and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a first individu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uctive coil Obtaining the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for,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ω2),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ω2) Based on the degree to which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deviates from the second state, the second displacement of the targets 240 and 740, and the Z axis appearing in a second individu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direction may be ob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간의 차이, 또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 간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또는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이 입력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770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200 and 7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or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 And at least on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ω2) and the first threshold value, at least one of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ω2) has caused a significant change. Considering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has been inpu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와 도 7의 회로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의 차이의 제1 변화 패턴 및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의 차이의 제2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2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of FIG. 3 and the circuit of FIG.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an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70) is a first change patter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ω2)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 Based on the second change pattern of the difference,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first area covered by the first inductive coil, and the second inductive coil covers In the second region, the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intended user gesture by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may be recognized.

이때 하나의 모듈(310a)의 개별 코일들(312)마다 판정 회로가 할당되지 않고 하나의 모듈(310a)에 하나의 판정 회로가 할당되어도 충분히 개별 코일들(312)의 인덕턴스 분포를 실질적으로 시간 차이 없이 측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even if the determination circuit is not allocated for each individual coil 312 of one module 310a and one determination circuit is allocated to one module 310a, the inductance distribution of the individual coils 312 is substantially timed apart. Can be measured withou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400)와 도 7의 회로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4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의 차이,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2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사용자에 의하여 의도된 입력인 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inductive force sensor 400 of FIG. 4 and the circuit of FIG.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400 an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70) i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ω2, the first inductive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first area covered by the coil, and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second area covered by the second inductive coil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for and determine whether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an input intended by the user.

이때 하나의 모듈(410a)의 개별 코일들(412)마다 판정 회로가 할당되지 않고 하나의 모듈(410a)에 하나의 판정 회로가 할당되어도 충분히 개별 코일들(412)의 인덕턴스 분포를 실질적으로 시간 차이 없이 측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even if the determination circuit is not allocated to each individual coil 412 of one module 410a and one determination circuit is allocated to one module 410a, the inductance distribution of the individual coils 412 is substantially timed apart. Can be measured withou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500)와 도 7의 회로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5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의 차이의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512)이 커버하는 채널 영역(514)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즉, 단일 채널 영역(514) 내에서도 외력(750)의 XY 평면 상의 위치 변화를 인식할 수 있고, 외력(750)의 XY 평면 상의 위치 변화를 시간 도메인 상에서 추적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inductive force sensor 500 of FIG. 5 and the circuit of FIG.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500 an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70) is the Z-axis in the channel region 514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512 based on a change patter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The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direction and the intended user gesture may be recognized by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That is, even within the single channel region 514,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750 on the XY plane can be recognized, and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750 on the XY plane can be tracked in the time domain to recognize the user's intended gesture. hav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800)의 회로 및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and an operating method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800)는 제1 공진 회로(820), 제1 오실레이터(822), 및 레퍼런스 공진 회로(820a), 레퍼런스 오실레이터(822a)를 포함한다. 도 8의 제1 공진 회로(820), 제1 오실레이터(822), 및 레퍼런스 공진 회로(820a), 레퍼런스 오실레이터(822a)의 동작은 도 7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1 and 8 together, the inductive force sensors 100 and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resonance circuit 820, a first oscillator 822, and a reference resonance circuit 820a. , A reference oscillator 822a. Since operations of the first resonance circuit 820, the first oscillator 822, and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820a and the reference oscillator 822a of FIG. 8 a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FIG. 7, overlapping descriptions Is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800)의 판정 회로(870)는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를 구하는 연산기(operator) 회로(872), 상기 연산기 회로(87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874), 및 상기 저역통과필터(87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는(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에 비례하는 디지털화된 값을 출력하는) 타임-투-디지털 변환기(Time-to-Digital Converter)(876)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870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100 and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or circuit that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 872), a low pass filter 874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alculator circuit 872 to remove a high frequency component,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low pass filter 874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 Time-to-digital converter (Time to digitally count the frequency of the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outputting a digitized value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of the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to-Digital Converter) 876 may be included.

연산기 회로(872)는 제1 전기 신호와 레퍼런스 전기 신호 간의 산술 연산(가산, 감산, 승산)을 이용하여 즉각적으로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타임-투-디지털 변환기(876)는 차동 주파수(또는 차동 주파수에 비례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신호의 펄스 개수를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카운트하거나, 차동 주파수(또는 차동 주파수에 비례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신호의 펄스폭 또는 주기에 대한 디지털 카운트 값을 생성할 수 있다.The operator circuit 872 may immediately obtain a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by using arithmetic operations (addition, subtraction, and multiplication) between the first electric signal and the reference electric signal. The time-to-digital converter 876 counts the number of pulses of a pulse signal having a differential frequency (or a frequency proportional to the differential frequenc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a pulse having a differential frequency (or a frequency proportional to the differential frequency). You can generate a digital count value for the pulse width or period of the signal.

판정 회로(870)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에 대한 샘플러 및 비교기(comparator)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판정 회로(87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샘플러 및 비교기는 제1 임계값보다 충분히 크고, 감지 대상 변위에 대응하는 공진 주파수 성분의 동작 범위보다 충분히 큰 동작 주파수를 선택하여 설계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f the determination circuit 870, a sampler and a comparator for the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sampler and the comparator are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first threshold for smooth operation of the determination circuit 870. It can be designed by selecting an operating frequency that is large and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operating range of the resonance frequency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to be detected.

이때 레퍼런스 공진 회로(820a)는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차단되어 초기화된 설정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된다.At this time,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820a is blocked from external influences and is managed to keep the initial setting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인 도 2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 800)의 판정 회로(870)는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의 차이를 구하고,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의 차이를 구하는 연산기 회로(872), 연산기 회로(87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874), 및 상기 저역통과필터(87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1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고,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2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는 타임-투-디지털 변환기 (87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of FIG. 2 and FIG. 8,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circuit 870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and 8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bove. A calculator circuit 872 and a calculator circuit 872 that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ω2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low pass filter 874 to remove high frequency components,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 The frequency of the first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ω_ref) is digitally counted, and the frequency of the second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ω2)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is calculated. A digital counting time-to-digital converter 876 may be included.

다수의 인덕티브 코일(212) 및 채널들이 추가되는 경우, 각 인덕티브 코일(212) 및 채널에 대응하여 공진 회로가 하나씩 추가될 수 있다. 다수의 인덕티브 코일(212) 및 채널들이 추가되는 경우에도, 레퍼런스 공진 회로(820a), 및 판정 회로(870)는 추가될 필요는 없다. 다수의 인덕티브 코일(212) 및 채널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를 판정 회로(870)가 타임 멀티플렉싱 기법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각 채널의 전기 신호의 채널 공진 주파수 각각과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를 검출하여 각 채널의 인덕턴스, 각 채널에서 발생하는 변위, 각 채널에서 발생하는 터치 포스를 검출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판정 회로(870)에서 검출된 각 채널의 인덕턴스, 각 채널에서 발생하는 변위, 각 채널에서 발생하는 터치 포스 데이터는 각 채널을 식별할 수 있는 채널 식별 정보와 연관되어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212 and channels are added, a resonant circuit may be added one by one corresponding to each inductive coil 212 and channel. Even when a number of inductive coils 212 and channels are added,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820a and the determination circuit 870 need not be added. The determination circuit 870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s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212 and the channels by a time multiplexing technique, and between each of the channel resonance frequencies of the electrical signals of each received channel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By detecting the difference, inductance of each channel, displacement occurring in each channel, and touch force occurring in each channel can be detected. Although not shown, the inductance of each channel detected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870, the displacement occurring in each channel, and the touch force data generated in each channel are associated with the channe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each channel, and thus the memory or storage Can be stored i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판정 회로(770, 870)에서 즉각적으로 각 채널의 공진 주파수와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동 주파수 성분을 구할 수 있으므로, 시간 지연 없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다수의 채널들의 인덕턴스, 변위, 터치 포스를 식별할 수 있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between the resonant frequency of each channe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can be immediately obtained by the determination circuits 770 and 870, the inductance of a plurality of channels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without time delay, Displacement and touch force can be identifi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판정 회로(770, 870)에서 각 채널들의 전기 신호 및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진폭과 독립적으로(진폭의 검출 없이) 각 채널들의 공진 주파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는 공진 주파수와 독립적으로 진폭을 검출하는 종래의 기술을 병행적으로 적용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얻어진 두 개의 감지 정보(진폭의 검출에 기반한 제1 감지 정보, 진폭과 독립적으로 공진 주파수의 검출에 기반한 제2 감지 정보)를 상호 교차 검증할 수도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circuits 770 and 870 may detect the resonance frequency information of each channel independently (without detecting the amplitude) of the electric signal and the reference electric signal of each channel.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detecting amplitude independently of the resonance frequency is applied in parallel, and two pieces of detection information obtain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first det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amplitude, the resonance frequency independently of the amplitude The second det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ction of may be cross-verifi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동작 방법은 도 1, 도 7, 도 8이 함께 참조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700, 8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The operation method of FIG. 9 may be executed in the inductive force sensors 100, 700, and 800 with reference to FIGS. 1, 7, and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700, 800)의 동작 방법은 제1 오실레이터(722, 822)가, 인덕티브 코일(112, 712)과 결합하며 상기 인덕티브 코일(112, 712)에 대한 타겟(140, 740, 840)의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112, 712)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ω1)를 가지는 제1 공진 회로(720, 820)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910); 상기 제1 오실레이터(722, 822)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822a)가, 상기 제1 공진 회로(720, 820)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820a)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920); 판정 회로(770, 870)가 상기 제1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제1 공진 회로(720, 820)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930); 상기 판정 회로(770, 870)가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820a)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930); 및 상기 판정 회로(770, 870)가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140, 740, 840)의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150, 750)을 판정하는 단계(S960)를 포함한다.In an operating method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100, 700, and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scillators 722 and 822 are coupled to the inductive coils 112 and 712, and the inductive coil 112 , A first resonance circuit having a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due to a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inductive coils 112 and 712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s 140, 740, and 840 with respect to 712 (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720 and 820 (S910); The reference oscillator 822a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s 722 and 822 is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a predetermined first state among states that the first resonant circuits 720 and 820 may have Applying a reference AC signal to (820a) (S920); Receiving, by a determination circuit (770, 870),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first resonance circuit (720, 820)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rst AC signal (S930); Receiving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820a by the determination circuits 770 and 870 (S930); And displacement of the targets 140, 740, 840 based o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of the first electric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of the reference electric signal by the determination circuits 770 and 870 And determining the external forces 150 and 750 in the Z-axis direction (S960).

이때 상기 판정 회로(770, 870)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S940)를 수행하고, 단계(S940)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720, 820)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타겟(140, 740, 840)이 상기 인덕티브 코일(112, 712)에 대하여 움직인 상대적인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150, 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960)를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circuits 770 and 870 perform step (S940) of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and based on the result of step (S940), the 1 The degree to which the resonance circuits 720 and 820 deviate from the first state,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targets 140, 740 and 840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s 112 and 712, and the Z-axis direction An operation (S960) of obtain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s 150 and 750 may be performed.

이때 상기 판정 회로(770, 870)는 단계(S940)의 결과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유의미한 변화가 검출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S950)를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circuits 770 and 870 may determine whether the result of step S940 exceeds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perform step S950 of determining whether a significant change is detect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500, 700, 8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판정 회로(770, 870)가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의 차이의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512, 712)이 커버하는 채널 영역(514)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것으로 추측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inductive force sensors 500, 700, and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by the determination circuits 770 and 870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channel region 514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s 512 and 712 based on the change pattern of the difference of (ω1), and the Z-axis It may further include recognizing a user gesture that is assumed to be intended by the user based on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direc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의 동작 방법은 도 2, 도 7, 도 8이 함께 참조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 700, 8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The operating method of FIG. 10 may be executed by the inductive force sensors 200, 700, and 800 with reference to FIGS. 2, 7, and 8 toge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 700, 800)의 동작 방법에서는 제1 채널에 대하여 도 9의 단계 S910 내지 S930이 수행되고, 특히 판정 회로(770, 870)가 단계 S930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채널에 대해서도 개별적으로 도 9의 단계 S910 내지 S930이 수행된다.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inductive force sensors 200, 700, and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s S910 to S930 of FIG. 9 are performed for the first channel, and in particular, the determination circuits 770 and 870 are performed at step S930. Perform. In addition, steps S910 to S930 of FIG. 9 are individually performed for the second channel.

판정 회로(770, 870)가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변위,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S1020, S1040)를 수행한다. The determination circuit (770, 870) based o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of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the first displacement, the Steps S1020 and S1040 of determining the second displacement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and the external force are performed.

이때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S1010);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S1030);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타겟의 상기 제1 변위, 및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1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20, S1060);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공진 회로가 상기 제2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타겟의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2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40, S10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termining,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determin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and the external force may include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S1010);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S1030);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 degree of the first resonance circuit deviating from the first state, the first displacement of the target, and a first individu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uctive coil Obtain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an area (S1020, S1060); And a second corresponding to a degree that the second resonance circuit deviates from the second state, the second displacement of the target, and the second inductive coil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obtaining (S1040, S1060)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on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the individual region.

판정 회로(770, 870)는 단계 S1020 및 S1040의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채널과 제2 채널에 대하여 감지된 터치 포스가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인지를 판정하고, 오류 또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다른 요인에 의한 신호 변동은 아닌지를 판정한다(S1050).The determination circuits 770 and 870 determine whether the touch force sensed for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is an input intended by the user, based on the results of steps S1020 and S1040, and an error or other not intended by the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signal fluctuation due to a factor (S1050).

단계 S1050의 수행 결과 터치 포스가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으로 판정되면, 판정 회로(770, 870)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하여 터치 힘이 입력된 위치 및 터치 힘의 크기를 디지털화하고 정량화한다(S1060).When the touch force is determined to be the input intended by the user as a result of performing step S1050, the determination circuits 770 and 870 determine the location where the touch force is input and the magnitude of the touch force with respect to the region including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Digitize and quantify (S106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는 싱글 버튼/채널/코일을 가정한 인덕티브 포스 센서(1100)가 도시된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1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inductive force sensor 1100 assuming a single button/channel/coil.

도 11은 도 1의 실시예에서 타겟 레이어(140)와 제1 부품(130)의 기능을 도 11의 제1 부품(1140)이 수행하도록 변형된 실시예이다. 즉, 도 11에서는 별도의 타겟 레이어가 존재하지 않으며, 제1 부품(1140)의 변형에 따른 Z축 방향의 변위가 인덕티브 코일(1112)과 제1 부품(1140)의 인덕티브 결합에 의하여 나타나는 인덕턴스의 변화와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통하여 검출될 수 있다.11 is an embodiment modified so that the first component 1140 of FIG. 11 performs the functions of the target layer 140 and the first component 130 in the embodiment of FIG. 1. That is, in FIG. 11, there is no separate target layer, and the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component 1140 is caused by inductive coupling between the inductive coil 1112 and the first component 1140. It can be detected through a change in inductance and a change in resonant frequency.

도 11에서 외력(1150), 기판(1110), 및 스페이서 레이어(1160)는 도 1의 외력(150), 기판(110), 및 스페이서 레이어(16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FIG. 11, since the external force 1150, the substrate 1110, and the spacer layer 1160 are the same as the external force 150, the substrate 110, and the spacer layer 160 of FIG. 1,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종래의 인덕티브 센싱 기술들은 외력(1150)에 의한 제1 부품(1140)의 Z축 방향의 변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제1 부품(130)의 아래에 타겟 레이어(140)를 별도로 배치하고, 제1 부품(130)의 Z축 방향의 변형에 기반하여 타겟 레이어(140)가 Z축 방향으로 변위하면 그 변위가 감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덕턴스의 변화를 차동 신호의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통하여 검출하므로, 측정값의 정량화 및 디지털화가 용이하여 변위의 감도가 높다. 따라서 도 11에서와 같이 하나의 제1 부품(1140)만으로도 Z축 방향의 외력(1150)의 검출 및 정량화가 가능하다. 이때, 제1 부품(1140)과 인덕티브 코일(1112) 간의 Z축 방향의 거리에 따라 제1 부품(1140)과 인덕티브 코일(1112) 간의 인덕티브 결합에 의하여 인덕티브 코일(1112)에 연결되는 공진 회로의 인덕턴스가 변동된다. 따라서 제1 부품(1140)의 Z축 방향의 변위만으로도 인덕턴스의 변화 및 공진 주파수의 변화가 검출되며, Z축 방향의 외력(1150)의 검출 및 정량화가 가능하다. 이때 제1 부품(1140)이 변형되어 인덕티브 코일(1112)에 보다 가까워지는 부분에 에디 전류(Eddy Current)가 유도되면 제1 부품(1140)의 Z축 방향의 변위에 의한 합성 인덕턴스의 변화가 검출된다. 따라서 제1 부품(1140)은 전기 전도성을 띠도록 구현될 수 있다. Conventional inductive sensing techniques are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first component 1140 due to the external force 1150, so as part of an effort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the first When the target layer 140 is separately disposed under the part 130 and the target layer 140 is displaced in the Z-axis direction based on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part 130 in the Z-axis direction, the displacement is detected.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nge in inductance is detected through the difference in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differential signal, it is easy to quantify and digitize the measured value, so that the sensitivity of the displacement is high.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1,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quantify the external force 1150 in the Z-axis direction with only one first component 1140. At this time, the first component 1140 and the inductive coil 1112 are connected to the inductive coil 1112 by inductiv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mponent 1140 and the inductive coil 1112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the Z-axis direction. The inductance of the resonant circuit to be changed varies. Accordingly, a change in inductance and a change in resonance frequency are detected only by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1140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external force 1150 in the Z-axis direction can be detected and quantified. At this time, when the first component 1140 is deformed and the eddy current is induced in the portion closer to the inductive coil 1112, the change in the composite inductance due to the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first component 1140 Is detected.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1140 may be implemented to exhibit electrical conductivity.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2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1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2의 실시예에서 타겟 레이어(240)와 제2 부품(230)의 기능을 도 12의 제2 부품(1230)이 수행하도록 변형된 실시예이다. 즉, 도 12에서는 별도의 타겟 레이어가 존재하지 않으며, 제2 부품(1230) 내의 개별 영역들(1232)의 변형에 따른 Z축 방향의 변위가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1212)과 제2 부품(1230) 내의 개별 영역들(1232) 간의 인덕티브 결합에 의하여 나타나는 인덕턴스의 변화와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통하여 검출될 수 있다.FIG. 12 is an embodiment modified so that the second component 1230 of FIG. 12 performs the functions of the target layer 240 and the second component 230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at is, in FIG. 12, there is no separate target layer, and the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second component 1230 is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1212 and the second component. It may be detected through a change in inductance and a change in resonant frequency caused by inductive coupling between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1230.

도 12에서 기판(1210) 및 스페이서 레이어(1260)은 도 2의 기판(210) 및 스페이서 레이어(26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FIG. 12, since the substrate 1210 and the spacer layer 1260 are the same as the substrate 210 and the spacer layer 260 of FIG. 2,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종래의 인덕티브 센싱 기술들은 외력에 의한 제2 부품(1230) 내의 개별 영역들(1232) 각각의 Z축 방향의 변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제2 부품(230)의 아래에 타겟 레이어(240)를 별도로 배치하고, 제2 부품(230)의 Z축 방향의 변형에 기반하여 타겟 레이어(240)가 Z축 방향으로 변위하면 그 변위가 감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덕턴스의 변화를 차동 신호의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통하여 검출하므로, 측정값의 정량화 및 디지털화가 용이하여 변위의 감도가 높다. 따라서 도 12에서와 같이 타겟 레이어가 배치되지 않고 제2 부품(1230) 내의 개별 영역들(1232) 각각과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1212) 간의 인덕티브 결합에 의하여 개별 영역들(1232) 각각의 변위를 검출하고 정량화할 수 있다. Conventional inductive sensing techniques are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of each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second part 1230 due to an external force, so as part of an effort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FIG. 2 As shown in, if the target layer 240 is separately disposed under the second part 230 and the target layer 240 is displaced in the Z-axis direction based on the deformation of the second part 230 in the Z-axis direction, Displacement is detected.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nge in inductance is detected through the difference in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differential signal, it is easy to quantify and digitize the measured value, so that the sensitivity of the displacement is high. Therefore, as shown in FIG. 12, the target layer is not disposed, and each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s formed by inductive coupling between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second component 1230 and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1212. The displacement can be detected and quantified.

개별 영역들(1232) 중 제1 개별 영역에 외력이 인가되어 제1 개별 영역이 변형되고 제1 개별 영역이 Z축 방향으로 변위한 경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1212) 중에서 제1 개별 영역과 대향하는 제1 인덕티브 코일에서 감지되는 인덕턴스의 변화에 기반하여 제1 개별 영역에 대한 외력의 인가 여부 및 외력의 크기가 판정될 수 있다. 제1 인덕티브 코일과 제1 개별 영역 간의 인덕티브 결합에 의하여 제1 개별 영역의 Z축 방향의 변위(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제1 개별 영역의 변형 및 Z축 방향의 변위)가 제1 인덕티브 코일이 연결되는 제1 공진 회로의 인덕턴스에 영향을 미친다. 제1 공진 회로의 변경된 인덕턴스에 기반하여 제1 공진 회로의 제1 공진 주파수(ω1)의 변화를 판정 회로(770, 870)에서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제1 공진 주파수(ω1)의 차이에 기반하여 검출하고,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제1 공진 주파수(ω1)의 차이에 기반하여 제1 공진 주파수(ω1)의 변화가 정량화된다. 정량화된 제1 공진 주파수(ω1)의 변화는 디지털화되어 별도의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individual region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the first individual region is deformed and the first individual region is displaced in the Z-axis direction, a first individual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1212 Whether or not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individual region and a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change in inductance sensed by the first inductive coil opposite to. Due to the inductive coupling between the first inductive coil and the first individual region, the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first individual region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individual reg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inductive coil and the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is first It affects the inductance of the first resonant circuit to which the inductive coil is connected. Based on the changed inductance of the first resonant circuit, the change i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of the first resonant circuit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in the determination circuits 770 and 870. Based on the detection, a change i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is quantifi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The quantified change i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may be digitized and stored in a separate memory or storage.

이때 제2 부품(1230) 내의 개별 영역들(1232)과 대향하는 인덕티브 코일들(1212) 간의 인덕티브 결합에 의하여 인덕티브 코일들(1212) 각각에 연결되는 공진 회로의 인덕턴스가 변동된다. 따라서 개별 영역들(1232)의 Z축 방향의 변위만으로도 인덕턴스의 변화 및 공진 주파수의 변화가 검출되며, Z축 방향의 외력의 검출 및 정량화가 가능하다. 이때 제2 부품(1230) 내의 개별 영역들(1232) 중 외력에 의하여 인덕티브 코일들(1212)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부분에 에디 전류(Eddy Current)가 유도되면 Z축 방향의 변위에 의한 합성 인덕턴스의 변화가 검출된다. 에디 전류가 유도되기 쉽도록 개별 영역들(1232)이 구현되면 합성 인덕턴스의 변화가 더욱 잘 나타나게 되므로,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개별 영역들(1232)에 에디 전류가 쉽게 유도되기 위하여 제2 부품(1230) 내에서 개별 영역들(1232)은 제2 부품(1230) 내의 나머지 영역들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을 띠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자성체이면서 전기 전도체인 알루미늄 등의 금속 박막을 개별 영역들(1232)에 배치하여 개별 영역들(1232)의 전기 전도성을 높일 수 있고, 개별 영역들(1232)의 Z축 방향의 변위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ductance of the resonant circuit connected to each of the inductive coils 1212 is varied by inductive coupling between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second component 1230 and the opposite inductive coils 1212. Accordingly, a change in inductance and a change in resonance frequency are detected only by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Z-axis direction, and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can be detected and quantified. At this time, if an eddy current is induced in a portion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second part 1230 where the distance to the inductive coils 1212 is close due to an external force, it is synthesized by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A change in inductance is detected. When the individual regions 1232 are implemented so that the eddy current is easily induced, the change in the composite inductance is more pronounced, so that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can be improved. In this case, in order to easily induce the eddy current in the individual regions 1232,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second component 1230 will be implemented to have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remaining regions in the second component 1230. I ca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by arranging a metal thin film such as aluminum, which is a nonmagnetic and electric conductor, in the individual regions 1232, and the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Z-axis direction It can improve the sensitiv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A method of operating a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소개된 길이, 높이, 크기, 폭 등은 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s. The length, height, size, width, etc. introduc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to aid understand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is is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If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elong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1100, 1200: 인덕티브 포스 센서
110, 210, 1110, 1210: PCB
310a, 410a: 복수 개의 코일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모듈
112, 212, 312, 412, 1112, 1212: 인덕티브 코일
512, 612: 채널 코일
514, 614: 채널 영역
130, 230: 변형 가능한 부품
232, 1232: 개별 영역
140, 240: 타겟 레이어
150, 750: 외부로부터의 힘(외력)
452: 외력이 입력되는 범위
160, 260, 1160, 1260: 스페이서 레이어
770, 870: 판정 회로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1100, 1200: inductive force sensor
110, 210, 1110, 1210: PCB
310a, 410a: one module consisting of a set of multiple coils
112, 212, 312, 412, 1112, 1212: inductive coil
512, 612: channel coil
514, 614: channel area
130, 230: deformable parts
232, 1232: individual areas
140, 240: target layer
150, 750: external force (external force)
452: range in which external force is input
160, 260, 1160, 1260: spacer layer
770, 870: decision circuit

Claims (19)

Z축 방향의 외력에 노출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1 부품;
상기 제1 부품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인덕티브 코일;
상기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제1 부품의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공진 회로;
상기 제1 공진 회로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1 오실레이터;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
상기 제1 오실레이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제1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부품의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판정 회로;
를 포함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A first component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 inductive coil formed on a substr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mponent;
A first resonant circuit coupled to the inductive coil and having a first resonant frequency resulting from a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inductive coil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
A first oscillator for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the first resonance circuit;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a predetermined first state among states that the first resonant circuit may have;
A reference oscillator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and applying a reference AC signal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And
Receiving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first resonant circuit, receiving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A determination circuit for determining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circuit;
Inductive force senso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인가되는 상기 레퍼런스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제1 부품이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하여 움직인 상대적인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rmination circuit is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AC signal applied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resonant circuit deviates from the first state,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 and the Z-axis direction An inductive force sensor that acquires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force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가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가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정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rmination circuit is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threshold value,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is considered to have caused a significant change, and the inductive force sensor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티브 코일은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이 동심 구조로 중첩되어 형성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ductive coil is an inductive force sensor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in a concentric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티브 코일은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은 특정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멀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구조인 인덕티브 포스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ductive coil is formed of a set of a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nd the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re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y move away from a specific posi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회로는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의 차이의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The method of claim 5,
The determination circuit is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area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based on a change patter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and the Z-axis direction Inductive force sensor for recognizing an intended user gesture by the external force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회로는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구하는 연산기(operator);
상기 연산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및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는 타임-투-디지털 변환기(Time-to-Digital Converter);
를 포함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rmination circuit is
An operator for obtaining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 low pass filte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or to remove a high frequency component; And
A time-to-digital converte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low-pass filter to digitally count a frequency of a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Inductive force senso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회로는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외부에서 강제로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rmination circuit is
An inductive force sensor that performs a calibration process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while the first resonance circuit is forcibly adjusted externally to be in the first state.
Z축 방향의 외력에 노출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2 부품;
상기 제2 부품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 각각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중 제1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개별 영역들의 제1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채널 공진 회로;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1 오실레이터;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중 제2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개별 영역들의 제2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2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2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채널 공진 회로;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제2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2 오실레이터;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2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
상기 제1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제2 오실레이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2 전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변위,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판정 회로;
를 포함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A second component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that are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formed on a substrat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mponen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and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The first inductive coil is coupled to a first inductive coil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and is caused by a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first inductive coil based on a first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inductive coil. A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having one resonance frequency;
A first oscillator for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The second inductance is coupled to a second inductive coil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and is caused by a second inductance formed in the second inductive coil based on a second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with respect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A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having 2 resonance frequencies;
A second oscillator for applying a second AC signal to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A reference resonance circuit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a predetermined first state among states that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can have and a second predetermined state among states that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can have;
A reference oscillator that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and the second oscillator and applies a reference AC signal to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And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a second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and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are received, and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he first displacement, the second displacement,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re input based o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of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A determination circuit for determining a position and the external force;
Inductive force sensor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인가되는 상기 레퍼런스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개별 영역들의 상기 제1 변위, 및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1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가 상기 제2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개별 영역들의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2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The method of claim 9,
The determination circuit is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AC signal applied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 degree of the first channel resonant circuit deviating from the first state, the first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and a first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uctive coil 1 Acquire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an individual area,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deviates from the second state, the second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and a seco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2 An inductive force sensor that acquires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individual regio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 또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또는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정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The method of claim 9,
The determination circuit is
If at least on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threshold value, at least one of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or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An inductive force sensor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by considering at least one significant chang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회로는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의 차이의 제1 변화 패턴 및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의 차이의 제2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2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The method of claim 9,
The determination circuit is
Based on a first change patter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in a time domain and a second change patter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in the time domain, the first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a first region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and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a second region covered by the second inductive coil And an inductive force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 gesture intended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의 차이,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2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사용자에 의하여 의도된 입력인 지 여부를 판정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The method of claim 9,
The determination circuit i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a first region covered by the first inductive coil The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for, and the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re extracted from the second area covered by the second inductive coil,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tended by the user. Inductive force senso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a faulty inpu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회로는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를 곱셈 연산하고,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를 곱셈 연산하는 연산기(operator);
상기 연산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및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1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고,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2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는 타임-투-디지털 변환기(Time-to-Digital Converter);
를 포함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The method of claim 9,
The determination circuit is
An operator for multiplying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multiplying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 low pass filte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or to remove a high frequency component; And
The frequency of the first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low-pass filter and corresponds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is digitally coun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is calculated. A time-to-digital converter for digitally counting the frequency of the corresponding second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Inductive force sensor comprising a.
Z축 방향의 외력에 노출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1 부품, 상기 제1 부품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인덕티브 코일;을 포함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오실레이터가, 상기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제1 부품의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공진 회로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1 오실레이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가,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판정 회로가 상기 제1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제1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부품의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
A first component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an inductive coil formed on a substr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mponent;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inductive force sensor comprising a,
A first resonant circuit having a first oscillator coupled to the inductive coil and having a first resonant frequency resulting from a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inductive coil based on a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the device;
Applying, by a reference oscillator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a reference AC signal to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a predetermined first state among states that the first resonant circuit may have;
Receiving, by a determination circuit, a first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first resonant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rst AC signal;
Receiving,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a reference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And
Determining,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a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Operating method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제1 부품이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하여 움직인 상대적인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p of determining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resonant circuit deviates from the first state,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 and the Z-axis direction Obtain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of
Operating method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회로가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의 차이의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a region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based on a change patter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and Recognizing a user gesture intended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inductive force sensor further comprising.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덕티브 포스 센서는
Z축 방향의 외력에 노출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2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 각각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을 포함하고,
제1 오실레이터가,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중 제1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개별 영역들의 제1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채널 공진 회로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제2 오실레이터가,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중 제2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개별 영역들의 제2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2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2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제2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1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제2 오실레이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가,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2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판정 회로가 상기 제1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판정 회로가 상기 제2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2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변위,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The inductive force sensor
A second component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that are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formed on a substrat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mponen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and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Including,
A first oscillator is coupled to a first inductive coil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and is formed in the first inductive coil based on a first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inductive coil.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a first channel resonant circuit having a first resonant frequency due to inductance;
A second oscillator is coupled to a second inductive coil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and is formed in the second inductive coil based on a second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with respect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Applying a second AC signal to a second channel resonant circuit having a second resonant frequency due to inductance;
A reference oscillator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and the second oscillator may have a predetermined first state among states that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may have and a state that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may have. Applying a reference AC signal to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the second state;
Receiving, by a determination circuit, a first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rst AC signal;
Receiving, by a determination circuit, a second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second AC signal;
Receiving,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a reference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And
The determination circuit comprises the first displacement, the second displacement, based o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of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And determining a position to which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and the external force.
Operating method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comprising a.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개별 영역들의 상기 제1 변위, 및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1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공진 회로가 상기 제2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개별 영역들의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2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a position to which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and the external force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the first resonant circuit deviates from the first state, the first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and a first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uctive coil Acquir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an individual area; An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the second resonant circuit deviates from the second state, the second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and a seco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Acquir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an individual area;
Operating method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comprising a.
KR1020190075161A 2019-06-24 2019-06-24 Inductive force sens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313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161A KR102313316B1 (en) 2019-06-24 2019-06-24 Inductive force sens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6/850,612 US11460357B2 (en) 2019-06-24 2020-04-16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ower-on button and inductive touch force sensor
KR1020210132805A KR102496360B1 (en) 2019-06-24 2021-10-07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161A KR102313316B1 (en) 2019-06-24 2019-06-24 Inductive force sens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805A Division KR102496360B1 (en) 2019-06-24 2021-10-07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77A true KR20210000177A (en) 2021-01-04
KR102313316B1 KR102313316B1 (en) 2021-10-18

Family

ID=741274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161A KR102313316B1 (en) 2019-06-24 2019-06-24 Inductive force sens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0210132805A KR102496360B1 (en) 2019-06-24 2021-10-07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805A KR102496360B1 (en) 2019-06-24 2021-10-07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331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121A (en) *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트루윈 Inductive Displacement Sensor Using Frequency Modulation
KR20170007127A (en) 2015-07-08 2017-01-1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KR20180051774A (en) * 2016-11-09 2018-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80084484A (en) * 2017-01-17 2018-07-25 주식회사 트루윈 Inductive Displacement Sensor Using Frequency Modulation
KR101920440B1 (en) 2017-08-21 2018-11-20 (주)실리콘인사이드 Self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3d touch implementation
KR101954368B1 (en) 2017-08-31 2019-03-05 (주)실리콘인사이드 Mutual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3d touch impleme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079B1 (en) * 2009-06-12 2011-08-24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device of touch sensing and the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121A (en) *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트루윈 Inductive Displacement Sensor Using Frequency Modulation
KR20170007127A (en) 2015-07-08 2017-01-1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KR20180051774A (en) * 2016-11-09 2018-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80084484A (en) * 2017-01-17 2018-07-25 주식회사 트루윈 Inductive Displacement Sensor Using Frequency Modulation
KR101920440B1 (en) 2017-08-21 2018-11-20 (주)실리콘인사이드 Self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3d touch implementation
KR101954368B1 (en) 2017-08-31 2019-03-05 (주)실리콘인사이드 Mutual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3d touch implementation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공개특허 US 2017/0016255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2017년 1월 19일)
미국공개특허 US 2017/0269754 "Dual Touch Sensor Architecture With XY-Position And Z-Force Sensing For Touch-On-Surface Button" (2017년 9월 21일)
미국공개특허 US 2018/0180450 "Inductive Touch Input" (2018년 6월 28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360B1 (en) 2023-02-06
KR20210125964A (en) 2021-10-19
KR102313316B1 (en)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3531B1 (en) Touch force sensor using inductive sensing and capacitive sens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146035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ower-on button and inductive touch force sensor
US9535598B2 (en) Hover and touch detection for a digitizer
KR101975596B1 (en) Touch screen device for compensating distortion of input sensing signal
KR101159955B1 (en) Sensor device for detecting contact or approach of object, and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CN106445262B (en) Calibrating charge mismatch in baseline correction circuits
US11740715B2 (en) Capacitive touch panel for sensing mechanical inputs to a device
KR20130001724A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generation of a signal correlated with a manual input operation
CN105045445B (en) Drive sensor electrode for noise measurement
KR20120065393A (en) Input device based on voltage gradients
CN115485652B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touch input at a human-machine interface
US11075634B2 (en) Switching operation sensing apparatus with touch input member identification
US93671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user input and interference on an input device
KR102340385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ower-on button and inductive touch force sensor
KR102496360B1 (en)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US11507230B2 (en) Hybrid sensor for detecting touch and touch for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220035475A1 (en) Multi-region motion sensor for motion feedback interfa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10137018A (en) Touch sensing panel for touch screen
KR20110134153A (en)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othod and record media recorded program realiz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