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360B1 -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 Google Patents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360B1
KR102496360B1 KR1020210132805A KR20210132805A KR102496360B1 KR 102496360 B1 KR102496360 B1 KR 102496360B1 KR 1020210132805 A KR1020210132805 A KR 1020210132805A KR 20210132805 A KR20210132805 A KR 20210132805A KR 102496360 B1 KR102496360 B1 KR 102496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direction
inductive
external force
resonant frequency
electr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8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5964A (en
Inventor
정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모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모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모아텍
Priority to KR1020210132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360B1/en
Publication of KR20210125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9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3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 및 제1 공진 회로를 포함하고, Z축 방향을 따라 입력되는 외력에 의하여 형성되는 타겟과 인덕티브 코일 간의 변위에 기반하여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 및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판정 회로를 포함한다. 판정 회로는 제1 공진 주파수 및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의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을 판정한다.An inductive force senso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resonance circuit and a first resonance circuit, and generates an inductive force sensor based on a displacement between a target and an inductive coil formed by an external force input along a Z-axis direction. and a decision circuit for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first resonant frequency due to a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coil and a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 determination circuit determines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Description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Inductive force sensor and its operating method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외부 힘에 의하여 타겟 레이어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유연 인쇄 회로 기판(FBCB) 상에 형성되거나, 투명 전극으로 형성된 코일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가변하는 인덕턴스를 이용하여 가해지는 힘의 정도를 감지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 sensor and its operating method, and specifically, it is formed on a target layer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CB,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BCB) by an external force, or as a transparent electrode. An inductive force sensor that senses the degree of applied force using inductance that varies according to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formed coil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최근의 터치 인식 기술은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X축과 Y축 상의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인식하는 2차원 터치 인식 기술에서, 단순히 터치 여부가 아닌 터치의 강도(Z축 방향으로 가해진 힘의 크기)를 감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풍부하게 하는 3D 터치 인식 기능이 대두되었다.Recent touch recognition technology has made rapid progress, and in the 2D touch recognition technology that recognizes the touch position using coordinates on the X and Y axes, the strength of the touch (the force applied in the Z-axis direction) The 3D touch recognition function that enriches the user interface by detecting the size) has emerged.

APPLE INC 사의 3D 터치는 터치 센서와 압력 센서를 결합하여, 터치의 강도를 차등화하여 인식하는 기술을 도입한 바 있다. 그러나 압력센서를 터치센서와 결합하는 방식은 하드웨어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고, 압력센서의 감도가 높지 않아 사용자의 터치 강도를 정확히 인식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3D touch of APPLE INC has introduced a technology that differentiates and recognizes the strength of a touch by combining a touch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However, the method of combining the pressure sensor with the touch sensor increases hardware manufacturing cost, and since the sensitivity of the pressure sensor is not high,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cognize the user's touch intensity.

Texas Instruments Inc 사의 미국공개특허 US 2017/0269754 "Dual Touch Sensor Architecture With XY-Position And Z-Force Sensing For Touch-On-Surface Button"는 용량형 터치 센서와 인덕티브 센서를 결합하여, 터치 여부 및 터치의 XY 평면 상의 위치는 용량형 터치 센서로 인식하고, 터치 위치에서의 Z축 방향의 터치 힘(touch force)은 인덕티브 센서로 인식한다. US 2017/0269754 "Dual Touch Sensor Architecture With XY-Position And Z-Force Sensing For Touch-On-Surface Button" by Texas Instruments Inc. combines a capacitive touch sensor and an inductive sensor, A position on the XY plane of is recognized by a capacitive touch sensor, and a touch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t the touch position is recognized by an inductive sensor.

Texas Instruments Inc 사의 또 다른 미국공개특허 US 2018/0180450 "Inductive Touch Input"는 복수개의 인덕티브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서 터치 여부 및 터치 힘을 감지하고, 터치 여부 및 터치 힘의 이동 패턴을 인식하여 터치 스크롤 제스쳐를 인식한다.Another US published patent US 2018/0180450 "Inductive Touch Input" by Texas Instruments Inc. uses a plurality of inductive touch sensors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touch and touch force are detected at different locations, and whether or not the touch is touched and the movement pattern of the touch force to recognize a touch scroll gesture.

이러한 3D 터치 힘 인식 기술을 응용하여 자동차 도어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여 자동차 도어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는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KR 10-2017-0007127 및 미국공개특허 US 2017/0016255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등이 있고,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상에 코일을 구현하여 인덕티브 포스 센서를 구현하는 선행문헌으로서 한국등록특허 KR 10-1920440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한국등록특허 KR 10-1954368 "3D 터치 구현을 위한 뮤추얼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등이 소개된 바 있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KR 10-2017-0007127 and US Patent Publication US 2017 as a prior art for detecting the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the car door by detecting the force applied to the car door by applying this 3D touch force recognition technology /0016255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etc., as prior literature implemen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by implementing a coil 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Korean Registered Patent KR 10-1920440 "Self-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realizing 3D touch", Korean Patent Registered Patent KR 10-1954368 "Mutual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realizing 3D touch" have been introduced.

인덕티브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힘을 감지하는 선행문헌들은 부품 및 요소의 배치, FPCB 등 새로운 재료 또는 부품을 선택하여 터치 힘을 인식하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으나, 인덕티브 센서만을 이용하는 경우 터치 위치 및 터치 힘을 감지하는 정밀도가 낮고, 인덕티브 센서와 다른 센서를 결합하는 경우 하드웨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Prior literature for detecting touch force using an inductive sensor introduces a technology for recognizing touch force by selecting a new material or part such as placement of parts and elements, FPCB, etc.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precision of detecting the force is low and the hardware cost increases when the inductive sensor and other sensors are combined.

또한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두로 인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경험에 대한 다양한 니즈가 존재하고, 이를 충족하기 위하여 미세 영역 별로 터치 힘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기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터치 센서/터치 포스 센서를 밀집하여 배치하되, 각 센서를 구분하여 인식하는 기술도 필요한데, 상기 선행기술들로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recent rise of mobile devices and smart devices, there are various needs for user interfaces and user experiences. To meet these needs, a technology that distinguishes and recognizes touch forces for each microscopic area is required. To this end, a touch sensor/touch force sensor While arranging them densely, a technique for distinguishing and recognizing each sensor is also required, and it is difficult to meet this demand with the prior art.

미국공개특허 US 2017/0269754 "Dual Touch Sensor Architecture With XY-Position And Z-Force Sensing For Touch-On-Surface Button" (2017년 9월 21일)US Patent Publication US 2017/0269754 "Dual Touch Sensor Architecture With XY-Position And Z-Force Sensing For Touch-On-Surface Button" (September 21, 2017) 미국공개특허 US 2018/0180450 "Inductive Touch Input" (2018년 6월 28일)US Patent Publication US 2018/0180450 "Inductive Touch Input" (June 28, 2018) 한국공개특허 KR 10-2017-0007127 "자동차 도어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는 디바이스" (2017년 1월 18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 10-2017-0007127 "Device for detecting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car door" (January 18, 2017) 미국공개특허 US 2017/0016255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2017년 1월 19일)US Patent Publication US 2017/0016255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January 19, 2017) 한국등록특허 KR 10-1920440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2018년 11월 14일)Korean Registered Patent KR 10-1920440 "Self-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realizing 3D touch" (November 14, 2018) 한국등록특허 KR 10-1954368 "3D 터치 구현을 위한 뮤추얼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2019년 2월 26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KR 10-1954368 "Mutual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realizing 3D touch" (February 26, 2019)

상기 선행기술들은 부품 및 요소의 배치, 부품 또는 재료의 선택을 통하여 센서의 감도를 개선하거나, 인덕티브 센서와 다른 센서를 결합하여 터치 힘과 터치 위치를 분담하여 감지하거나, 인덕티브 센서를 복수 개 구현하고, 인덕티브 센서들의 센싱 정보를 추적하여 사용자 제스쳐 패턴을 인식하는 기술들이다.The prior art improves the sensitivity of a sensor through the arrangement of parts and elements, or the selection of parts or materials, or combines an inductive sensor with another sensor to sense a touch force and a touch position by sharing it, or uses a plurality of inductive sensors. These are technologies that implement and track sensing information of inductive sensors to recognize user gesture patterns.

또한 선행 기술들은 공진 회로에 인가되는 입력 전기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입력 전기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출력 전기 신호의 크기를 스캔하여 최대 크기를 가지는 경우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산출하는 구성을 취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선행기술은 입력 전기 신호의 가변 주파수의 해상도 만큼의 오차를 가지며, 전기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여 공진 주파수를 산출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정확도가 떨어지고, 입력 전기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해야 하므로 측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ior art varies the frequency of the input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resonance circuit, scans the magnitude of the outpu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sonance circuit in response to the input electrical signal, and calculates the frequency when it has the maximum magnitude as the resonance frequency. take the configuration Due to this, the prior art has an error as much as the resolution of the variable frequency of the input electrical signal, and is an indirect method of calculating the resonance frequency by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and the accuracy is low, and since the frequency of the input electrical signal must be varied, measure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t of time.

또한 선행 기술들은 전기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여 공진 주파수 및 인덕턴스를 산출하므로 정밀한 측정이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인덕턴스 변화가 어떤 임계값을 넘어서는지 여부를 주로 판정할 뿐, 그 인덕턴스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하지 못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ior art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to calculate the resonant frequency and inductance, precise measurement is difficult,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change in inductance only to determine whether the change in inductance exceeds a certain threshold. It does not provide sufficient accuracy.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인덕티브 터치 센서만을 이용하여 하드웨어 비용을 절감하고, 인덕티브 터치 센서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터치 위치 및 터치 힘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hardware cost by using only an inductive touch sensor and to accurately detect a touch position and touch force even when only an inductive touch sensor is us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uctive force senso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주파수의 변동이나 서로 다른 주파수 성분의 입력 없이 단일 측정만으로도 인덕턴스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다채널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경우에도 신속하게 터치 위치 및 터치 힘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할 수 있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change in inductance with only a single measurement without frequency fluctuation or input of different frequency components, so that even in the case of a multi-channel inductive force sensor, the touch position and touch force are quickly detected and the user's intention is recogniz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uctive force senso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덕티브 터치 센서만을 이용할 뿐 아니라 주파수의 변동이나 서로 다른 주파수 성분의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터치 위치 및 터치 힘을 감지하는 데 소요되는 소비 전력을 절감하고, 다채널 인덕티브 포스 센서인 경우에도 소비 전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ly an inductive touch sensor and does not require frequency fluctuation or input of different frequency components, power consumption required for sensing the touch position and touch force is reduced, and the multi-channel inductive force sens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ctive force senso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power consumption even in the case of

본 발명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는 공진 주파수의 편이(shift)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회로 및 동작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는 입력 전기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터치 위치 및 터치 힘의 센싱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detecting a shift in a resonant frequency. In addition, since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process of varying the frequency of an input electric sig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orten the sensing time of the touch position and touch force.

본 발명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는 정전용량형 센서 없이 인덕티브 터치 센서만으로도 터치 위치와 터치 힘을 동시에 인식함으로써, 센싱 시간을 단축하고 센싱 시 소비 전력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sensing time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during sensing by simultaneously recognizing a touch position and a touch force using an inductive touch sensor without a capacitive sensor.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출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는 Z축 방향의 외력에 노출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1 부품; 상기 제1 부품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인덕티브 코일; 상기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제1 부품의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공진 회로; 상기 제1 공진 회로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1 오실레이터;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 상기 제1 오실레이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제1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부품의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판정 회로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deriv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is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Z-axis direction. a first part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an inductive coil formed on a substr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mponent; a first resonant circuit coupled to the inductive coil and having a first resonant frequency due to a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inductive coil based on a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relative to the inductive coil; a first oscillator for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the first resonance circuit;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a predetermined first state among possible states of the first resonant circuit; a reference oscillator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and applying a reference AC signal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and receiving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first resonant circuit, receiving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ce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and a determination circuit for determining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ased on a frequ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인가되는 상기 레퍼런스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제1 부품이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하여 움직인 상대적인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by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AC signal applied to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and the first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resonant frequencies, an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resonant circuit deviates from the first state, and the first part moves relative to the inductive coil. Relative displacement and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may be ob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가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가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The decis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that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has caused a significant chang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threshold value, and the Z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is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인덕티브 코일은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이 동심 구조로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ductive coil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in a concentric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인덕티브 코일은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은 특정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멀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inductive coil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et of a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nd the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y move away from a specific position. can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의 차이의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cis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inductive force sensor in an area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based on a change pattern of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on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user gesture intended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may be recogn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구하는 연산기(operator); 상기 연산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및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는(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에 비례하는 디지털화된 값을 출력하는) 타임-투-디지털 변환기(Time-to-Digital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A decision circuit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or that obtains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 low pass filte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alculator to remove high frequency components; An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low-pass filter to digitally count the frequency of the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utputting a digitized value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of the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a) time-to-digital converter (Time-to-Digital Conver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외부에서 강제로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decis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resonant circuit is externally forcibly adjusted to be in the first state. to perform the calibration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는 Z축 방향의 외력에 노출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2 부품; 상기 제2 부품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 각각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중 제1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제2 부품 내의 상기 개별 영역들의 제1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채널 공진 회로;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1 오실레이터;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중 제2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제2 부품 내의 상기 개별 영역들의 제2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2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2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채널 공진 회로;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제2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2 오실레이터;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2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 상기 제1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제2 오실레이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2 전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변위,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판정 회로를 포함한다.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2 parts; a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formed on a substrat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mponen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and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A first coupled to a first one of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and formed in the first inductive coil based on a first displacement of the discrete regions in the second component relative to the first inductive coil. a first channel resonant circuit having a first resonant frequency due to inductance; a first oscillator for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A second inductive coil coupled to a second one of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and formed in the second inductive coil based on a second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the second component relative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a second channel resonant circuit having a second resonant frequency due to inductance; a second oscillator for applying a second AC signal to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a reference resonance circuit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a first predetermined state among states that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may have and a second predetermined state among states that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may have; a reference oscillator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and the second oscillator and applying a reference AC signal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and receiving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a second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and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The first displacement, the second displacement,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re input based o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of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and a determination circu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and the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인가되는 상기 레퍼런스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제2 부품 내 상기 개별 영역들의 상기 제1 변위, 및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1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가 상기 제2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제2 부품 내 상기 개별 영역들의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2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by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AC signal applied to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and the first A difference between resonance frequencies is detected, and a degree to which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deviates from the first stat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the first state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the second part. Obtain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displacement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a first individu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uctive coil,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 the degree to which the second channel resonant circuit deviates from the second stat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the second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the second component, and the second inductor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the second individu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V coil may be ob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 또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또는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threshold at least one of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or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If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has been input by considering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has caused a significant ch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의 차이의 제1 변화 패턴 및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의 차이의 제2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2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A decision circuit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hange pattern of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first area covered by the first inductive coil based on the second change pattern of the difference in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area covered by the second inductive coil. In area 2, it is possible to recognize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user gesture intended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의 차이,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2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사용자에 의하여 의도된 입력인 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irst inductor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first area covered by the active coil, and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second area covered by the second inductive coil. It is possible to extract and determine whether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an input intend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판정 회로는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를 곱셈 연산하고,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를 곱셈 연산하는 연산기(operator); 상기 연산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및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1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고,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2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는 타임-투-디지털 변환기(Time-to-Digital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A decision circuit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or that multiplies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multiplies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 low pass filte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alculator to remove high frequency components; and digitally counting a frequency of a first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low-pass filter,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It may include a time-to-digital converter that digitally count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corresponding to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은 제1 오실레이터가, 상기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제1 부품의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공진 회로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1 오실레이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가,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판정 회로가 상기 제1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제1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부품의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 operating method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oscillator is coupled to the inductive coil and is formed in the inductive coil based on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a first resonant circuit having a first resonant frequency due to the first inductance; applying a reference AC signal to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in which the reference oscillator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has the same impedance as a predetermined first state among possible states of the first resonator circuit; receiving, by a decision circuit,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first resonance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rst AC signal; receiving, by the decision circuit,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and determining,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part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이때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제1 부품이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하여 움직인 상대적인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termining of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includes: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a degree of deviation of the first resonant circuit from the first state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part moved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 and the Z-axis. The method may include acquir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판정 회로가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의 차이의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operating method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circuit is based on a change pattern of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and the area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ognizing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user gesture intended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은 제1 오실레이터가,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중 제1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제2 부품 내의 상기 개별 영역들의 제1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채널 공진 회로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제2 오실레이터가,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 중 제2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제2 부품 내의 상기 개별 영역들의 제2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2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2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제2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1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제2 오실레이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가,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2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판정 회로가 상기 제1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판정 회로가 상기 제2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2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변위,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 operating method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oscillator is coupled to a first inductive coil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and the second component for the first inductive coil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a first channel resonant circuit having a first resonant frequency due to a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first inductive coil based on the first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A second oscillator is coupled to a second inductive coil of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and based on a second displacement of the discrete regions in the second component relative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applying a second AC signal to a second channel resonant circuit having a second resonant frequency due to a second inductance formed in the; The reference oscillator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and the second oscillator is configured to select a first state among states that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can have and a state that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can have. applying a reference AC signal to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the second state; receiving, by a decision circuit,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first channel resonant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rst AC signal; receiving, by a decision circuit, a second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second channel resonant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second AC signal; receiving, by the decision circuit,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and wherein the determination circuit determines the first displacement, the second displacement based o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of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 and determining a posi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and the external force.

이때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제2 부품 내의 상기 개별 영역들의 상기 제1 변위, 및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1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공진 회로가 상기 제2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제2 부품 내의 상기 개별 영역들의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2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put position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includes: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The degree of deviation of the first resonant circuit from the first stat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the first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the second part, and the first inductive coil obtain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a first individual region corresponding to ?; and a degree of deviation of the second resonant circuit from the second state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the second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the second component, and the second inductive valu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cquir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the second individu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il.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덕티브 센서만을 이용하여 인덕티브 터치 포스 센서를 구현할 수 있어 하드웨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inductive touch force sensor can be implemented using only an inductive sensor, hardware cost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덕티브 센서만을 이용하여 인덕티브 터치 포스 센서를 구현하는 경우에도 터치 위치, 터치 힘, 터치 패턴, 및 제스쳐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위치, 및/또는 터치 힘은 하나의 출력값에 의하여 동시에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inductive touch force sensor is implemented using only the inductive sensor, the touch position, touch force, touch pattern, and gesture can be precisely sensed. In this case, the touch position and/or the touch force may be simultaneously indicated by one output value.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 성분의 스캔 없이 단일 측정으로 인덕턴스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절감하고 센싱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 change in inductance with a single measurement without scanning frequency components,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reducing sensing time.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 성분의 스캔 없이 센서 별 단일 측정으로 인덕턴스의 변화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인덕티브 센서 어레이 또는 인덕티브 센서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동작하더라도 소비 전력과 센싱 시간의 제약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우며, 어레이 또는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터치 패턴, 터치 제스쳐, 및 터치 상황을 정밀하게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hange in inductance can be accurately detected by a single measurement for each sensor without scanning frequency components, even if an inductive sensor array or an inductive sensor matrix is formed and operated, it is relatively free from limitations in power consumption and sensing time. In addition, various touch patterns, touch gestures, and touch situations can be precisely determined using an array or matrix.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싱글 채널 또는 싱글 코일의 인덕티브 센서를 이용하여 시간 도메인에서의 변화를 검출하고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nge in the time domain may be detected and a gesture may be recognized using a single-channel or single-coil inductive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채널들 또는 코일들에 대해서 동시에 검출된 센싱 결과를 조합하여 센싱 결과에 오류가 없는지 검증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코일들에 대하여 동시에 검출된 센싱 결과와 코일들이 커버하는 영역들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센싱 결과 도출된 터치 포스가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것인지 여부, 또는 오류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erify that there is no error in the sensing result by combining sensing results simultaneously detected for a plurality of channels or coils. It is possible to verify whether the touch force derived from the sensing result is due to the user's intention or an error by considering the sensing result simultaneously detected for the plurality of coils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areas covered by the coils.

종래 기술들은 공진 신호의 진폭을 검출하거나, 아날로그 교류 신호의 진폭을 검출하기 때문에, 검출된 결과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 여부만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차동 신호의 공진 주파수 차이를 산출하고, 이를 디지털 카운트하므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시간-공간 상의 터치 포스의 변화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Since the prior art detects the amplitude of a resonance signal or the amplitude of an analog AC signal, it can only detect whether or not the detected result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resonant frequency difference of the differential signal and digitally counts it,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d a change in touch force in time-space can be precisely detected using th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코일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코일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회로 및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회로 및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il structure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il structure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n inductive force senso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attach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는 싱글 버튼/채널/코일을 가정한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가 도시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shows an inductive force sensor 100 assuming a single button/channel/coi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는 Z축 방향의 외력(150)에 노출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150)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1 부품(130); 상기 제1 부품(130)의 변형에 기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타겟 레이어(140); 상기 타겟 레이어(14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110) 상에 형성되는 인덕티브 코일(112); 및 제1 부품(130)을 지지하고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를 다른 센서 또는 센싱 채널과 구분하는 스페이서 레이어(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n inductive force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150 in the Z-axis direction, and is applied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150 in the Z-axis direction. a first part 130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a target layer 140 disposed to be movable along the Z-axis direction based on deformation of the first part 130; an inductive coil 112 formed on a substrate 110 spaced apart from the target layer 140; and a spacer layer 160 supporting the first component 130 and separating the inductive force sensor 100 from other sensors or sensing channels.

도 1에 도시된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는 싱글 채널을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과 같은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를 복수 개 병렬 배치하여 어레이 또는 매트릭스를 구현할 수 있다.The inductive force sensor 100 shown in FIG. 1 forms a single channel. Depending on embodiments, an array or matrix may be implement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inductive force sensors 100 in parallel as shown in FIG. 1 .

Z축 방향을 따라 인가되는 외력(150)에 의하여 제1 부품(130)이 탄성적으로 변형하면, 제1 부품(130)의 변형 정도에 따라서 타겟 레이어(140)가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인쇄 회로 기판(110) 상에 형성된 인덕티브 코일(112)과 타겟 레이어(140)는 인덕티브 결합(inductive coupled)되어 있다. When the first part 13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external force 150 applied along the Z-axis direction, the target layer 140 may move along the Z-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first part 130. there is. At this time, the inductive coil 112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10 and the target layer 140 are inductively coupled.

이때, 타겟 레이어(140)과 인덕티브 코일(112) 간에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 예를 들어 폼(foam)이 배치될 수 있다. 외력(150)이 가해지면 타겟 레이어(140)가 인덕티브 코일(112)에 가까워지고, 이에 따라 타겟 레이어(140)와 인덕티브 결합된 인덕티브 코일(112)에 형성되는 인덕턴스가 변화한다.In this case,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example, foam,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arget layer 140 and the inductive coil 112 . When an external force 150 is applied, the target layer 140 moves closer to the inductive coil 112, and accordingly, inductance formed in the inductive coil 112 coupled inductively to the target layer 140 changes.

외력(150)이 제거되면 폼이 가지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타겟 레이어(140)는 변형 전의 위치로 돌아간다. 즉, 외력(150)이 가해지는 동안에만 인덕턴스의 변화가 나타나며, 이를 감지하면 Z축 방향의 외력(150)을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150 is removed, the target layer 140 returns to the position before deforma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oam. That is, a change in inductance appears only while the external force 150 is applied, and when this is detected, the external force 150 in the Z-axis direction can be sensed.

외력(150)이 인가되지 않은 제1 상태에서 타겟 레이어(140)이 인덕티브 코일(112)과 이격되는 거리를 d0라 하고, 외력(150)이 인가된 상태에서 타겟 레이어(140)이 인덕티브 코일(112)과 이격되는 거리를 d라 하면, 변위 △d = |d-d0|는 타겟 레이어(140)와 인덕티브 결합된 인덕티브 코일(112)에 형성되는 인덕턴스의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이다. 따라서 인덕턴스의 변화를 검출하면 변위 △d를 검출할 수 있고, 외력(150)의 크기를 정량화할 수 있다.The distance at which the target layer 140 is separated from the inductive coil 112 in a first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150 is not applied is d0,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150 is applied, the target layer 140 is inductively If the distance away from the coil 112 is d, the displacement Δd = |d-d0| is a cause of change in inductance formed in the inductive coil 112 inductively coupled to the target layer 140. Accordingly, when the change in inductance is detected, the displacement Δd can be detected and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150 can be quantified.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인덕티브 코일(112) 및 그 인덕티브 코일(112)이 커버하는 영역의 외력(150)을 감지하는 단위를 채널(channel)로 칭하기로 한다. 타겟 레이어(14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다른 채널과 분리되어 하나의 채널마다 배치될 수도 있고, 후술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의 채널들로 이루어진 그룹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개별 채널마다 타겟 레이어(140)가 배치되며, 각 채널은 스페이서 레이어(160)에 의하여 다른 채널과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e inductive coil 112 and a unit for sensing the external force 150 of the area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112 will be referred to as a channel. The target layer 140 may be disposed for each channel separately from other channels as shown in FIG. 1 , or may be commonly disposed for a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hannels as shown in FIG. 2 described later. 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target layer 140 is disposed for each individual channel and each channel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other channels by a spacer layer 160 .

타겟 레이어(140)는 비자성 금속일 수도 있고, 자성을 띠는 금속일 수도 있다. 타겟 레이어(140)는 에디 전류(Eddy current)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전도성을 띠는 도체가 선호된다. 타겟 레이어(140)가 자성을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서, 외력(150)이 가해졌을 때 인덕턴스가 증가할 지, 감소할 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타겟 레이어(140)의 자성/비자성, 및 채널의 하드웨어적 설계에 기반하여 변위 대비 인덕턴스 검출 감도 등의 변수가 최적화된 재료가 타겟 레이어(140)로 선택될 수 있다.The target layer 140 may be a non-magnetic metal or a magnetic metal. The target layer 140 is preferably a conductive conductor so that an eddy current can be formed. Depending on whether the target layer 140 has magnetism, whether the inductance increases or decreases when the external force 150 is applied may be determined. A material optimized for variables such as displacement vs. inductance detection sensitivity based on the magnetic/non-magnetic properties of the target layer 140 and the hardware design of the channel may be selected as the target layer 14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의 인덕티브 코일(112)은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이 동심 구조로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ductive coil 112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in a concentric structure.

타겟 레이어(140)는 외력(150)에 의하여 Z축 방향으로 이동하되, 타겟 레이어(140)가 인덕티브 코일(112)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타겟 레이어(140)가 인덕티브 코일(112)과 평행하지 않은 상태로 외력(150)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에 따라서 인덕티브 코일(112)과 약간의 경사를 형성하면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측정 상의 오차 요인이 되어 정확한 터치 포스 센싱이 어려운 요인이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덕턴스의 차동 검출에 기반하여 인덕턴스의 변화를 정밀하게 정량화할 수 있으므로, 터치 포스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은 물론이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력(150)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를 세밀하게 검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서는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target layer 140 is moved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150, but the target layer 140 may be implemented to maintain a state parallel to the inductive coil 112,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ove while forming a slight inclination with the inductive coil 112 according to a loca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150 is concentrated in a state where the target layer 140 is not parallel to the inductive coil 112 . In this case, in the prior art, it becomes an error factor in measurement, making accurate touch force sensing a difficult factor.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nge in inductance can be precisely quantified based on differential detection of inductance, it is Of cours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150 is concentrated may be precisely detected.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대부분의 웨어러블 장치는 외부와의 경계를 형성하는 인클로저(enclosure)에 컷 아웃이 필요한 기계식 버튼을 사용하므로 장치를 밀봉하기가 어려워지고 방진 방수 기능을 의미하는 IP 레이팅(IP Rating)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기계식 버튼은 움직이는 부품(moving parts), 금속 접점(metallic contacts), 및 개스킷(gaskests)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들은 장기적으로 신뢰성 문제를 안고 있으며,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환경 요인에 대한 내성이 낮은 문제점을 가진다.Since most wearable devices use mechanical buttons that require cutouts in an enclosure that forms a boundary with the outside, it is difficult to seal the device and the IP rating, which means dust and water resistance, may be lowered. In addition, mechanical buttons use moving parts, metallic contacts, and gaskets, which have long-term reliability problems, cause cost increases, and are resistant to environmental factors. have low problems.

컷 아웃이 필요하지 않은 인클로저(cut out free enclosure)를 구현할 수 있으면 높은 IP 레이팅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보다 높은 IP 레이팅을 가지는 웨어러블 장치는 이전에 활용되지 못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개스킷을 사용하지 않고(gasket-less), 움직이는 부품을 사용하지 않는다면(no moving parts), 웨어러블 장치는 물리적으로 더욱 강인해질(robust)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장갑(gloves)과 같은 웨어러블 요소에 임베디드될 수 있고, 수중(under water)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If a cut out free enclosure can be implemented, a high IP rating can be implemented, and a wearable device with a higher IP rating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that have not been utilized before. With gasket-less and no moving parts, wearable devices can be physically more robust, embedded in wearable elements such as gloves, for example. It can be used, and it can be used underwater.

이러한 높은 IP 레이팅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계식 버튼 대신 터치 압력을 인식하는 전자기적 장치를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이러한 시도 중 하나로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를 이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으나,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는 전기장의 영향을 받으며 주변의 통전 여부에 영향을 받으므로, 수중에서는 활용할 수 없고, 활용 범위에 제약이 주어진다.In order to achieve such a high IP rating, there is an attempt to utilize an electromagnetic device that recognizes touch pressure instead of a mechanical button. As one of these attempts, there is a movement to use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but the capacitive proximity sensor is affected by an electric field and whether or not the surroundings are energized, so it cannot be used underwater, and the range of use is limited. .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를 대신하여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하여 터치 압력을 인식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자기장의 변화를 일으켜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인덕티브 터치 센서가 제안된 바 있다. 인덕티브 센서가 정전용량식 센서에 비하여 외부 교란에 민감하지 않은 점도 인덕티브 센서의 사용이 확산되는 원인이 된다. In place of the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n inductive touch sensor has been proposed that measures inductance by generating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in a manner of recognizing a touch pressure by measuring a change in impedance. The fact that the inductive sensor is less sensitive to external perturbation than the capacitive sensor is also a reason for the spread of the use of the inductive sensor.

인덕티브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인덕티브 포스 센서를 구현하는 방식은 이미 앞서 언급한 선행문헌들, 예를 들어, 미국공개특허 US 2018/0180450 "Inductive Touch Input", 미국공개특허 US 2017/0016255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또는 한국등록특허 KR 10-1920440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등에서 언급되고 있다.A method of implemen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using an inductive touch sensor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the aforementioned prior literature, for example, US Patent Publication US 2018/0180450 "Inductive Touch Input", US Patent Publication US 2017/0016255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or Korean Registered Patent KR 10-1920440 "Self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Realizing 3D Touch".

한편,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정밀한 검출이 가능한 정전용량식 센서에 비하여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해야 하는 인덕티브 센서는 검출 정밀도를 높이기 쉽지 않다. 상기 선행문헌들의 인덕티브 센싱 기술 또한 정밀한 측정보다는 어떤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정도로, 특정 이벤트를 검출하는 용도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not easy to increase the detection accuracy of an inductive sensor that must use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compared to a capacitive sensor that can precisely detect using an electrical signal. The inductive sensing technology of the prior literature is also mainly used for detecting a specific event to the extent of detecting whether or not it is above a certain threshold value rather than precise measurement.

도 1의 구성 및 상기 선행문헌들은 본 발명의 구성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이후에 언급될 본 발명의 새로운 구성들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고유한 효과를 달성하게 될 것이다. 특히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 스마트 디바이스, 가상 현실, 증강 현실 등과 결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정밀한 터치 포스를 인식할 것과 사용자 제스쳐를 정확히 인식하고,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인덕티브 센싱을 개선하여 터치 포스, 터치 포스에 기인한 타겟의 변위, 인덕턴스의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정량화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사용자 제스쳐를 정확히 인식하는 기술을 제안한다.The configuration of FIG. 1 and the preceding documents may be included as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niqu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hieved by combining with new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mentioned later. In particular, recently combined with mobile devices, smart device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s aim to recognize precise touch forces, accurately recognize user gestures, and grasp user intentions.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inductive sensing of the prior art and proposes a technology that accurately measures and quantifies the touch force,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due to the touch force, and the change in inductance, thereby grasping the user's intention and accurately recognizing the user's gesture. do.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레이어(140)에 별도의 코일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덕티브 코일(112)과 타겟 레이어(140)의 에디 전류가 호응하여 셀프 인덕티브 방식으로 타겟 레이어(140)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eparate coil is not disposed in the target layer 140, the eddy current of the inductive coil 112 and the target layer 140 respond in a self-inductive manner.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140 may be measur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레이어(140)에 뮤추얼 인덕티브 코일(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되고, 타겟 레이어(140)의 뮤추얼 인덕티브 코일과 기판(110) 상의 인덕티브 코일(112)이 호응하여 뮤추얼 인덕티브 방식으로 타겟 레이어(140)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tual inductive coil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target layer 140, and the mutual inductive coil of the target layer 140 and the inductive coil 112 on the substrate 110 In response to this,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140 can be measured in a mutually inductive mann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는 Z축 방향의 외력에 노출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232)을 포함하는 제2 부품(230); 상기 제2 부품(230)이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2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변형하는 경우에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타겟 레이어(240); 및 상기 타겟 레이어(24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210)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232)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232) 각각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21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is elastically deformed along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 second part 230 comprising a possible plurality of discrete regions 232; a target layer 240 disposed to be movable along the Z-axis direc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232 is deformed by the second part 230; and formed on the substrate 210 spaced apart from the target layer 24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232, and disposed opposit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232. A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212 are included.

제2 부품(230)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개별 영역들(232)은 제2 부품(230)의 개별 영역들(23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부품(230)은 도 2에 도시된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의 전체 영역을 하나의 외피로 둘러쌀 수 있으므로,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의 IP 레이팅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개별 영역들(232)이 독립된 번호를 가지는 스마트 워치 등을 가정해 보면, 스마트 워치에서 노출되는 개별 영역들(232)은 하나의 외피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우수한 방진 방수 성능이 기대된다. 개별 영역들(232)은 스페이서 레이어(260)의 hole에 대응하여 배치되므로 개별 영역들(23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2 부품(230)의 탄성에 기반하여 해당 영역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The second part 230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the individual regions 23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rest of the regions except for the individual regions 232 of the second part 230 . That is, since the second part 230 may surround the entire area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shown in FIG. 2 with one outer shell, the IP rating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may be increased. For example, assuming a smart watch in which individual regions 232 have independent numbers as shown in FIG. 2 , since the individual regions 232 exposed in the smart watch are surrounded by a single shell, excellent dustproof and waterproof performance is obtained. It is expected. Since the individual regions 232 ar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holes of the spacer layer 26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individual regions 232, the corresponding region is elastic based on the elasticity of the second part 230. Can be sexually trans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2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베젤, 사이드, 또는 뒷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개별 영역들(232)은 사용자에 의하여 식별되지 않도록 작은 크기를 가지고 밀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는 사용자가 해당 디바이스를 잡고 있는지, 또는 해당 디바이스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 영역에 소정의 사용자 제스쳐를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of FIG. 2 may be located on a bezel, side, or rear surface of a mobile device, and individual regions 232 are small in size so as not to be identified by a user. It can also be arranged densely with At this time,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may be used as a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holding the corresponding device or whether a predetermined user gesture has been input to an area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of the corresponding device.

도 1에서와 달리 도 2에서는 타겟 레이어(240)가 복수 개의 개별 영역들(232)와 인덕티브 코일들(212)로 이루어진 모듈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스페이서 레이어(260)도 약한 탄성복원력을 가진다고 가정하면, 개별 영역들(232) 중 어느 영역에 터치 포스가 인가되었는지에 따라 타겟 레이어(240)는 XYZ 공간 상에서 뒤틀리며 인덕티브 코일들(212)에 비대칭적인 변위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1번 버튼이 눌린 경우와 6번 버튼이 눌린 경우의 인덕티브 코일들(212)에 형성되는 인덕턴스 분포는 상이할 것이며, 이러한 패턴을 사전에 테스트 과정을 거쳐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의 컨트롤러가 저장해 둘 수 있다.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는 실제로 외력이 인가되어 복수의 인덕티브 코일들(212)에 나타난 인덕턴스의 분포와 사전에 저장된 인덕턴스 분포 패턴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은 무엇인지를 추출해 낼 수 있다.Unlike in FIG. 1 , in FIG. 2 , the target layer 240 is commonly disposed in a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regions 232 and inductive coils 212 . Assuming that the spacer layer 260 also has a weak elastic restoring force, the target layer 240 is distorted in the XYZ space depending on which region of the individual regions 232 a touch force is applied and is asymmetric to the inductive coils 212. will provide a positive displacement. For example, the distribution of inductance formed on the inductive coils 212 when the No. 1 button is pressed and when the No. 6 button is pressed will be different, and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 can be stored by the controller.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may extract an input intended by the user by comparing an inductance distribution displayed in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212 when an external force is actually applied and an inductance distribution pattern stored in advance. .

종래 기술들에서는 복수 개의 채널들의 인덕턴스를 동시에 검출하기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채널들의 인덕턴스를 실질적으로 시간 차이 없이 동시에 검출 가능하며, 정량화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인덕턴스 포스 센서(200)가 커버하는 영역 내의 터치 포스의 공간 분포를 얻을 수 있고, 정확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In the prior art, it is not easy to simultaneously detect inductances of a plurality of channel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ductance of a plurality of channels can be simultaneously detected without a substantial time difference and quantified data can be obtain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touch force within the area covered by the inductance force sensor 200 can be obtained, and the user's accurate intent can be discerned.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레이어(240)에 별도의 코일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덕티브 코일(212)과 타겟 레이어(240)의 에디 전류가 호응하여 셀프 인덕티브 방식으로 타겟 레이어(240)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eparate coil is not disposed on the target layer 240, the eddy current of the inductive coil 212 and the target layer 240 respond in a self-inductive manner.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240 may be measur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레이어(240)에 뮤추얼 인덕티브 코일(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되고, 타겟 레이어(240)의 뮤추얼 인덕티브 코일과 기판(210) 상의 인덕티브 코일(212)이 호응하여 뮤추얼 인덕티브 방식으로 타겟 레이어(240)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tual inductive coil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target layer 240, and the mutual inductive coil of the target layer 240 and the inductive coil 212 on the substrate 210 In response to this,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240 can be measured using a mutual inductive metho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 및 그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300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 내의 복수 개의 코일들(312)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한 세트로서, 하나의 모듈(310a)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3 , one module 310a is shown as a set of a plurality of coils 312 in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

모듈(310a) 내에서 복수 개의 코일들(312)에 나타나는 인덕턴스의 XY 평면 상에서의 공간적 분포를 시간 도메인에서 추적함으로써 모듈(310a)에 의하여 커버되는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터치 포스가 시간-공간적으로 변화하는 패턴을 추적할 수 있다.The user's touch force changes temporally and spatially within the area covered by the module 310a by track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n the XY plane of the inductance appearing in the plurality of coils 312 within the module 310a in the time domain. patterns can be traced.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는 복수 개의 코일들(312) 각각이 커버하는 개별 영역들에서 인식되는 Z축 방향의 외력의 XY 평면 상에서의 공간적 분포를 시간 도메인에서 추적하여, 외력의 중심이 XY 평면 상에서 시간 도메인에서 이동하는 방향과 속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는 사용자가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가 커버하는 영역에서 가해지는 터치 포스의 패턴, 예를 들어 두드리거나, 슬라이드/스크롤/스와이프하거나, 줌 인/줌 아웃하는 등의 사용자 제스쳐를 인덕티브 센싱 기법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tracks the spatial distribution on the XY plane of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recognized in the individual regions cover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312 in the time domain, so that the center of the external force is located on the XY plane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direction and speed of movement in the time domain on the image. According to this,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controls the pattern of the touch force applied by the user in the area covered by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for example, tapping, sliding/scrolling/swiping, or zooming in/zooming out. A user gesture, such as doing, may be recognized using an inductive sensing technique.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는 X축 방향을 따라 터치 포스의 중심 위치가 이동하는 X축 이동 정보, 및 Y축 방향을 따라 터치 포스의 중심 위치가 이동하는 Y축 이동 정보를 결합하여 XY 평면 상에서 터치 포스의 중심 위치가 이동하는 XY 평면 상의 이동 정보를 도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는 복수 개의 코일들(312) 각각이 커버하는 개별 영역들에서 얻어지는 터치 포스의 변동 패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XY 평면 상에서 터치 포스의 중심 위치가 이동하는 제스쳐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각 채널 정보는 독립적으로 얻어지므로,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는 복수 개의 코일들(312)에 의하여 커버되는 센싱 영역 내에서 멀티 터치에 의한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더라도 혼동 없이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combines X-axis movement information, in which the center position of the touch force moves along the X-axis direction, and Y-axis movement information, in which the center position of the touch force moves along the Y-axis direction, on the XY plane. Movement information on the XY plane in which the center position of the touch force moves may be derived. In another embodiment,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provides gesture information in which the center position of the touch force moves on the XY plane directly from the change pattern of the touch force obtained in individual regions cover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312. can also be obtained. In addition, since each channel information is obtained independently,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can recognize a user gesture without confusion even if a user gesture is input by multi-touch within the sensing area covered by the plurality of coils 312. there i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400) 및 그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400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인덕티브 포스 센서(400) 내의 복수 개의 코일들(412)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한 세트로서, 하나의 모듈(410a)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4 , one module 410a is shown as a set of a plurality of coils 412 in the inductive force sensor 400 .

예를 들어, 모듈(410a)이 각 개별 영역들에 번호가 부여되어 외부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외력이 입력되는 범위(452) 내에서 개별 영역을 특정하기 어려운 정도로 외력이 균등하게 측정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특정한 번호 영역을 터치할 것을 의도한 것이 아니라 단지 디바이스를 손에 들고 있거나 외부에서 다른 요인으로 압력이 가해진 것으로 측정할 수도 있어서 디바이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odule 410a is an interface where numbers are assigned to individual regions and displayed on the outside, as shown in FIG. If this is measured evenly, it is not intended that the user touches a specific number area, but it may be measured that the device is held in the hand or pressure is applied by another factor from the outside, so that malfunction of the device can be prevented.

이를 위해서는 모듈(410a) 내에 포함되는 개별 영역들 및 복수 개의 코일들(412)에 대한 실질적으로 동 시간의 인덕턴스 분포 패턴을 검출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레퍼런스 인덕턴스와의 차동 공진 신호에 기반하여 인덕턴스의 변화 및 각 코일들(412)에 관련된 개별 영역들의 터치 포스를 검출함으로써 이를 달성한다. 이와 관련된 사항은 도 7과 도 8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inductanc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individual regions and the plurality of coils 412 included in the module 410a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It achieves this by detecting the change and the touch force of the individual regions associated with each of the coils 412 . Matter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S. 7 and 8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500)의 코일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il structure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500)의 인덕티브 채널 코일(512)은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은 특정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멀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inductive channel coil 512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et of a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nd the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re located at specific positions. It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so as to be spaced farther apart from each other as the distance increases.

도 1에서 도시된 타겟 레이어(140)는 Z축 방향의 외력이 인가되면 Z축 방향의 변위를 일으키는데, 이때 타겟 레이어(140)가 반드시 인덕티브 코일(512)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타겟 레이어(140)는 XYZ 공간 상에서 뒤틀린 채로 Z축 방향의 변위를 일으킬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인덕티브 채널 코일(512)이 커버하는 채널 영역(514) 내에서 외력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에 따라서 타겟 레이어(140)의 변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인덕티브 코일(512)의 코일 구조가 인덕티브 포스 센서(50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인덕티브 코일(512) 내의 단위 코일 권선 간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구조라면, 채널 영역(514) 내에서 외력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에 따라 인덕티브 코일(512)이 감지하는 인덕턴스 변화가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사전에 미리 테스트되고 저장된 인덕턴스의 정량화 패턴과 실제로 측정된 인덕턴스의 정량화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채널 영역(514) 내에서 외력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The target layer 140 shown in FIG. 1 causes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applied. At this time, the target layer 140 can necessarily maintain a state parallel to the inductive coil 512. no. Accordingly, the target layer 140 may be displaced in the Z-axis direction while being distorted in the XYZ space. In this case,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140 may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a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within the channel region 514 covered by one inductive channel coil 512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if the coil structure of the inductive coil 512 i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unit coil windings in the inductive coil 512 increases or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500 increases, A change in inductance sensed by the inductive coil 512 will vary according to a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within the channel region 514 . Therefore, by comparing a previously tested and stored inductance quantification pattern with an actually measured inductance quantification pattern,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within the channel region 514 .

이때 시간 도메인 상에서 채널 영역(514) 내에서 외력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를 식별하고 추적함으로써, 싱글 채널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에서도 두드리거나 슬라이딩/스크롤/스와이핑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identifying and tracking a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within the channel region 514 in the time domain, a user gesture of tapping or sliding/scrolling/swiping can be recognized even in a single-channel inductive force sensor.

도 5에서는 각 인덕티브 코일(512)의 구조는 비대칭적이지만, 인덕티브 코일들(512)의 집합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모듈을 구성할 경우, 그 모듈은 대칭성을 가지도록 인덕티브 포스 센서(500)가 구현될 수 있다.In FIG. 5, the structure of each inductive coil 512 is asymmetric, but when it is formed as a set of inductive coils 512 to form one module, the inductive force sensor 500 has symmetry so that the module has symmetry. ) can be implemen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600)의 코일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il structure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600)의 인덕티브 채널 코일(612)은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은 특정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멀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inductive channel coil 612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et of a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nd the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re located at specific positions. It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so as to be spaced farther apart from each other as the distance increases.

이때 하나의 인덕티브 채널 코일(612)이 커버하는 채널 영역(614) 내에서 외력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고, 시간 도메인 상에서 외력이 집중되는 XY 평면 상의 위치를 추적할 경우 싱글 채널 영역(614) 내에서도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음은 앞의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can be identified within the channel region 614 covered by one inductive channel coil 612, and when the position on the XY plane where the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is tracked in the time domain, a single The fact that a user gesture can be recognized even within the channel area 614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6에서는 각 인덕티브 코일(612)의 구조가 비대칭적이고, 인덕티브 코일들(612)의 집합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모듈을 구성할 경우, 그 모듈이 비대칭성을 유지하지만 규칙성을 인덕티브 포스 센서(600)가 구현될 수 있다.In FIG. 6, the structure of each inductive coil 612 is asymmetrical, and when a module is formed by a set of inductive coils 612, the module maintains asymmetry but maintains regularity as an inductive force. A sensor 600 may be implemen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700)의 회로 및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와 도 7의 회로를 함께 참조하면,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700)는 인덕티브 코일(112, 712)과 결합하며 상기 인덕티브 코일(112, 712)에 대한 타겟 레이어(140, 740)의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112, 712)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ω1)를 가지는 제1 공진 회로(7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inductive force sensor 100 of FIG. 1 and the circuit of FIG. 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the inductive force sensors 100 and 700 are coupled to the inductive coils 112 and 712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due to the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inductive coil 112 or 712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140 or 740 relative to the inductive coil 112 or 712. 1 includes a resonant circuit 72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700)는 상기 제1 공진 회로(720)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1 오실레이터(722); 상기 제1 공진 회로(720)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외력(150, 750)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가 선호됨)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상기 제1 오실레이터(722)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제1 공진 회로(720)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와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레이어(140, 740)의 변위 △d = |d-d0|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150, 750)을 판정하는 판정 회로(770)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inductive force sensor 100 or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oscillator 722 for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the first resonance circuit 720; A reference resonance circuit (not shown in FIG. 7 )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a first predetermined state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s 150 and 750 are applied is preferred) among states that the first resonance circuit 720 may have. ); a reference oscillator (not shown in FIG. 7)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722 and applying a reference AC signal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and receiving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first resonant circuit 720, receiving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and measuring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140, 740) based o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Δd = |d-d0| and a decision circuit 770 that determines the external forces 150 and 750 in the Z-axis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인가되는 상기 레퍼런스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타겟 레이어(140, 740)가 상기 인덕티브 코일(112, 712)에 대하여 움직인 상대적인 변위 △d = |d-d0|,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150, 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ecision circuit 770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100 an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reference electric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AC signal applied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the first resonant circuit performs the The degree of deviation from the first state,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140 or 740 relative to the inductive coil 112 or 712 Δd = |d-d0|, and the external force 150 in the Z-axis direction , 750) can be obtained.

도 7에 도시된 제1 공진 회로(720)는 등가 회로를 나타낸 것이며, 반드시 lumped RLC 요소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패시턴스 C(716)과 저항 R(718)은 독립적인 소자일 수도 있고, 기생 성분을 나타낸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독립적인 소자를 이용하여 제1 공진 회로(720)를 구현한 경우에도, 소자의 배치가 반드시 도 7을 따를 필요는 없으며 등가적으로 제1 공진 회로(720)에 대응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The first resonant circuit 720 shown in FIG. 7 represents an equivalent circuit and does not necessarily include a lumped RLC element. For example, the capacitance C (716) and the resistor R (718) may be independent elements or may represent parasitic components. In addition, even when the first resonance circuit 720 is implemented using independent elements, the arrangement of elements does not necessarily follow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간의 차이가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가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150)이 입력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즉, 노이즈,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 의도하지 않은 접촉, 의도하지 않은 진동에 의하여 제1 공진 주파수(ω1)의 변화가 감지되었으나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1 공진 주파수(ω1)가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The decision circuit 770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100 or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threshold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150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by considering that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has significantly changed. That is, when a change i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is detected due to noise, unintentional motion, unintentional contact, or unintentional vibration, but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shows a significant change. can be regarded as non-exis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상기 제1 공진 회로(720)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외부에서 강제로 조정된 상태에서(외부의 압력(150, 750)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가 선호됨)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decision circuit 770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100 an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forcibly adjust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first resonance circuit 720 is in the first state (external A state in which no pressure 150 or 750 is applied is preferable. A calibr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판정 회로(770)는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판정 회로(770)는 외력(150, 750)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통해 제1 공진 주파수(ω1) 및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가 zero가 되도록 제1 공진 회로(720) 또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통해 외력(150, 750)이 인가되지 않은 제1 상태에서 검출되는 제1 공진 주파수(ω1) 및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가 별도의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되어 향후 인덕티브 포스 센싱 과정에서 오프셋 정보로 처리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을 거친 후 제1 공진 주파수(ω1) 및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에 대한 조정은 제1 공진 회로(720)에 부가될 수 있는 가변 저항기 R' 의 값을 조정하는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The decision circuit 770 may perform a calibration process. The decision circuit 770 may perform a calibration process in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s 150 and 750 are not applied. At this time, the first resonant circuit 720 or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may be adjusted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becomes zero through a calibr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detected in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s 150 and 750 are not applied through the calibration process is stored in a separate memory or storage for future use. It can be processed as offset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inductive force sensing. After calibr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is adjusted using means such as adjusting th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 that can be added to the first resonant circuit 720. and can be executed.

일반적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인덕티브 센싱 기술은 가변 주파수 스캔을 통하여 복수의 주파수 신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한 이후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었는데, 이 같은 방법은 신호의 크기를 정확히 검출하고 비교해야 하는 전제 조건이 있었다. 그런데 일반적인 인덕티브 센서에서 노이즈에도 불구하고 신호들의 크기를 정확히 검출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In general, the inductive sensing technology known to date has been to sequentially input a plurality of frequency signals through variable frequency scan and then measure the change in impedance. This method is a prerequisite for accurately detecting and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signal. there wa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accurately detect the magnitudes of signals in spite of noise in a general inductive sensor.

본 발명은 신호들의 진폭을 주된 검출 대상으로 삼는 대신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주된 검출 대상으로 삼았으며, 또한 가변 주파수 스캔과 같은 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동일 주파수의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수단만으로도 충분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은 신속하게 해당 시점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정량화할 수 있다. 후술할 도 8의 방식에 의하여 공진 신호의 진폭과 관련 없이 제1 공진 주파수(ω1)의 실시간 변화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공진 주파수(ω1)가 간접적인 방법으로 검출되는 것이 아니라 주파수의 값이 직접적으로 검출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디지털화하기 용이하며, 디지털화된 값을 이용하여 인덕턴스의 변화 및 터치 포스의 변화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변 주파수 스캔과 같은 과정이 없으므로 센싱 과정이 빠르고 소비 전력이 적다. 하나의 코일 및 채널에 대한 인덕티브 센싱 과정이 신속하면서 센싱 결과는 디지털화된 값으로 얻어지므로, 다수의 채널을 구현한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시에 인덕턴스의 변화 및 터치 포스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각각의 채널 및 코일이 XY 평면 상의 위치에 대응할 경우, 신속하게 얻어진 터치 포스의 XY 평면 상에서의 공간적 변화는 터치 포스가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것인지, 오류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터치 포스의 XY 평면 상에서의 공간적 변화를 시간 도메인 상에서 추적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제스쳐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aking the amplitude of signals as the main detection target, the main detection target is the change of the resonance frequency, and also a means of applying an AC signal of the same frequency without adopting a method such as a variable frequency scan is sufficient for the intended purpose. can be achieved. Therefore, using this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detect the change in inductance at a corresponding time and quantify it. A real-time change of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may be detected regardless of the amplitude of the resonant signal by the method of FIG. 8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since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is not detected in an indirect way, but the value of the frequency is directly detected, it is easy to digitize using this, and the change in inductance and the change in touch force can be precisely measured using the digitized valu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detectable.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process such as variable frequency scan, the sensing process is fast and power consumption is low. Since the inductive sensing process for one coil and channel is fast and the sensing result is obtained as a digitized value, a change in inductance and a change in touch force can be detect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even when a plurality of channels are implemented. If each channel and coil correspond to a position on the XY plane, the spatial change of the quickly obtained touch force on the XY plane can easily identify whether the touch force is due to the user's intention, error, or other causes. let it be In addition, by tracking the spatial change of the touch force on the XY plane in the time domain,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a gesture by the user's inten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와 도 7의 회로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 700)는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212, 712) 중 제1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타겟 레이어(240, 740)의 제1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ω1)를 가지는 제1 채널 공진 회로(720);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720)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1 오실레이터(722); 상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212, 712) 중 제2 인덕티브 코일과 결합하며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상기 타겟 레이어(240, 740)의 제2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2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2 공진 주파수(ω2)를 가지는 제2 채널 공진 회로(도시되지 않음);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제2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제2 오실레이터(도시되지 않음);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720)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2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 상기 제1 오실레이터(722) 및 상기 제2 오실레이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720)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2 전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변위,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750)을 판정하는 판정 회로(7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of FIG.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ircuit of FIG. 7 together, the inductive force sensors 200 an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plurality of Combined with a first inductive coil of the inductive coils 212 and 712 and formed on the first inductive coil based on a first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240 and 740 relative to the first inductive coil a first channel resonant circuit 720 having a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due to the first inductance; a first oscillator 722 for applying a first AC signal to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720; It is combined with a second inductive coil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212 and 712 and based on the second displacement of the target layer 240 and 740 relative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the second inductive coil a second channel resonant circuit (not shown) having a second resonant frequency (ω2) due to a second inductance formed in; a second oscillator (not shown) for applying a second AC signal to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a reference resonance circuit having the same impedance as a first predetermined state among possible states of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720 and a predetermined second state among possible states for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a reference oscillator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 722 and the second oscillator and applying a reference AC signal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and receiving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first channel resonance circuit 720, a second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second channel resonance circuit, and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The first displacement,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based o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of the electrical signal,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ω2 of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and a determination circuit 770 for determining displacement, and a position at which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and the external force 75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인가되는 상기 레퍼런스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채널 공진 회로(720)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타겟(240, 740)의 상기 제1 변위, 및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1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채널 공진 회로가 상기 제2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타겟(240, 740)의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2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ecision circuit 770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200 an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value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AC signal applied to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the first channel resonant circuit ( 720) is out of the first state, the first displacement of the target 240, 740, and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a first individu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uctive coil Obtain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for ,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ω2,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ω2 The degree of deviation of the second channel resonant circuit from the second state, the second displacement of the target 240, 740, and the Z axis appearing in a second individu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based on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750 in a direction may be ob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간의 차이, 또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 간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또는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이 입력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The decision circuit 770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200 an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or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ω2), if at least one of the differenc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value, at least one of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ω2) has caused a significant chang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와 도 7의 회로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3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의 차이의 제1 변화 패턴 및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의 차이의 제2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2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inductive force sensor 300 of FIG.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ircuit of FIG. 7 together, 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300 an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70) The first change patter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ω2 ), the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first area covered by the first inductive coil, the second inductive coil covers In the second area, it is possible to recognize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user gesture intended by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이때 하나의 모듈(310a)의 개별 코일들(312)마다 판정 회로가 할당되지 않고 하나의 모듈(310a)에 하나의 판정 회로가 할당되어도 충분히 개별 코일들(312)의 인덕턴스 분포를 실질적으로 시간 차이 없이 측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even if a decision circuit is not assigned to each individual coil 312 of one module 310a and one decision circuit is assigned to one module 310a, the inductance distribution of the individual coils 312 can be substantially measured with a time difference. can be measured withou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400)와 도 7의 회로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4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의 차이,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제2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사용자에 의하여 의도된 입력인 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inductive force sensor 400 of FIG. 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ircuit of FIG. 7 together, 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400 an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70)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ω2, the first inductive resonant frequency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first area covered by the coil, and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second area covered by the second inductive coil It is possible to extract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an input intended by the user.

이때 하나의 모듈(410a)의 개별 코일들(412)마다 판정 회로가 할당되지 않고 하나의 모듈(410a)에 하나의 판정 회로가 할당되어도 충분히 개별 코일들(412)의 인덕턴스 분포를 실질적으로 시간 차이 없이 측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even if a decision circuit is not assigned to each individual coil 412 of one module 410a and one decision circuit is assigned to one module 410a, the inductance distribution of the individual coils 412 can be substantially measured with a time difference. can be measured withou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500)와 도 7의 회로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500, 700)의 판정 회로(770)는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의 차이의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512)이 커버하는 채널 영역(514)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즉, 단일 채널 영역(514) 내에서도 외력(750)의 XY 평면 상의 위치 변화를 인식할 수 있고, 외력(750)의 XY 평면 상의 위치 변화를 시간 도메인 상에서 추적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inductive force sensor 500 of FIG. 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ircuit of FIG. 7 together, the determination circuit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500 an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70) is the Z-axis in the channel region 514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512 based on the change patter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direction and a user gesture intended by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may be recognized. That is, even within the single channel region 514,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750 on the XY plane can be recognized, and a gesture intended by the user can be recognized by tracking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750 on the XY plane in the time domain. there i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800)의 회로 및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800)는 제1 공진 회로(820), 제1 오실레이터(822), 및 레퍼런스 공진 회로(820a), 레퍼런스 오실레이터(822a)를 포함한다. 도 8의 제1 공진 회로(820), 제1 오실레이터(822), 및 레퍼런스 공진 회로(820a), 레퍼런스 오실레이터(822a)의 동작은 도 7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1 and 8 together, an inductive force sensor 100 or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sonance circuit 820, a first oscillator 822, and a reference resonance circuit 820a. , a reference oscillator 822a. Since the operations of the first resonance circuit 820, the first oscillator 822, and the reference resonance circuit 820a and reference oscillator 822a of FIG. 8 a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FIG. 7,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made. is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800)의 판정 회로(870)는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를 구하는 연산기(operator) 회로(872), 상기 연산기 회로(87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874), 및 상기 저역통과필터(87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는(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에 비례하는 디지털화된 값을 출력하는) 타임-투-디지털 변환기(Time-to-Digital Converter)(876)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cision circuit 870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100 and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or circuit for obtaining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 872), a low pass filter 874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alculator circuit 872 to remove high frequency components, and a low pass filter 874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low pass filter 874 to obtai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 A time-to-digital converter (Time -to-Digital Converter) 876.

연산기 회로(872)는 제1 전기 신호와 레퍼런스 전기 신호 간의 산술 연산(가산, 감산, 승산)을 이용하여 즉각적으로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타임-투-디지털 변환기(876)는 차동 주파수(또는 차동 주파수에 비례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신호의 펄스 개수를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카운트하거나, 차동 주파수(또는 차동 주파수에 비례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신호의 펄스폭 또는 주기에 대한 디지털 카운트 값을 생성할 수 있다.The calculator circuit 872 may immediately obtain a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by using an arithmetic operation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between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The time-to-digital converter 876 counts the number of pulses of a pulse signal having a differential frequency (or a frequency proportional to the differential frequency) during a certain time period, or pulses having a differential frequency (or a frequency proportional to the differential frequency) You can create a digital count value for the pulse width or period of a signal.

판정 회로(870)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에 대한 샘플러 및 비교기(comparator)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판정 회로(87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샘플러 및 비교기는 제1 임계값보다 충분히 크고, 감지 대상 변위에 대응하는 공진 주파수 성분의 동작 범위보다 충분히 큰 동작 주파수를 선택하여 설계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decision circuit 870 may include a sampler and a comparator for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s. In this case, for smooth operation of the decision circuit 870, the sampler and the comparator are set sufficiently above the first threshold value. It can be designed by selecting an operating frequency that is large and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operating range of the resonant frequency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to be sensed.

이때 레퍼런스 공진 회로(820a)는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차단되어 초기화된 설정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된다.At this time,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820a is managed to maintain the initialized setting by being blocked from external influence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인 도 2의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 800)의 판정 회로(870)는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의 차이를 구하고,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의 차이를 구하는 연산기 회로(872), 연산기 회로(87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874), 및 상기 저역통과필터(87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1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고, 상기 제2 공진 주파수(ω2)와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2 차동 주파수 성분 신호의 주파수를 디지털 카운트하는 타임-투-디지털 변환기 (87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inductive force sensor 200 of FIG. 2 and FIG. 8, which ar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ision circuit 870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s 200 and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calculator circuit 872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ω2 and the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ω_ref, and the calculator circuit 872 )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low pass filter (Low pass filter) 874 for removing high frequency components, and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low pass filter 874 to determine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 The frequency of the first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ω_ref) is digitally counted, and the frequency of the second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ω2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is digitally counted. Time-to-digital converter 876 for digital counting.

다수의 인덕티브 코일(212) 및 채널들이 추가되는 경우, 각 인덕티브 코일(212) 및 채널에 대응하여 공진 회로가 하나씩 추가될 수 있다. 다수의 인덕티브 코일(212) 및 채널들이 추가되는 경우에도, 레퍼런스 공진 회로(820a), 및 판정 회로(870)는 추가될 필요는 없다. 다수의 인덕티브 코일(212) 및 채널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를 판정 회로(870)가 타임 멀티플렉싱 기법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각 채널의 전기 신호의 채널 공진 주파수 각각과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이를 검출하여 각 채널의 인덕턴스, 각 채널에서 발생하는 변위, 각 채널에서 발생하는 터치 포스를 검출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판정 회로(870)에서 검출된 각 채널의 인덕턴스, 각 채널에서 발생하는 변위, 각 채널에서 발생하는 터치 포스 데이터는 각 채널을 식별할 수 있는 채널 식별 정보와 연관되어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212 and channels are added, one resonant circuit may be added corresponding to each inductive coil 212 and channel. Even if a number of inductive coils 212 and channels are added,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820a and the decision circuit 870 need not be added. The determination circuit 870 receives electrical signals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212 and channels by time multiplexing, and the difference between each channel resonant frequency of the received electrical signal of each channe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By detecting the difference, the inductance of each channel, the displacement generated by each channel, and the touch force generated by each channel can be detected. Although not shown, the inductance of each channel detected by the decision circuit 870, the displacement generated in each channel, and the touch force data generated in each channel are associat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each channel and are associated with memory or storage. can be stored i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판정 회로(770, 870)에서 즉각적으로 각 채널의 공진 주파수와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 간의 차동 주파수 성분을 구할 수 있으므로, 시간 지연 없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다수의 채널들의 인덕턴스, 변위, 터치 포스를 식별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fferential frequency component between the resonant frequency of each channe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can be obtained immediately in the decision circuits 770 and 870, the inductance of a plurality of channels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without time delay, Displacement and touch force can be identifi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판정 회로(770, 870)에서 각 채널들의 전기 신호 및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진폭과 독립적으로(진폭의 검출 없이) 각 채널들의 공진 주파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는 공진 주파수와 독립적으로 진폭을 검출하는 종래의 기술을 병행적으로 적용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얻어진 두 개의 감지 정보(진폭의 검출에 기반한 제1 감지 정보, 진폭과 독립적으로 공진 주파수의 검출에 기반한 제2 감지 정보)를 상호 교차 검증할 수도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ision circuits 770 and 870 may detect resonant frequency information of each channel independently of the amplitudes of the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of each channel (without detecting the amplitude).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ventional technique of detecting the amplitude independently of the resonance frequency is applied in parallel, and two independently obtained sensing information (first sensing information based on detection of amplitude, resonance frequency independently of amplitude) The second det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ction of ) may be mutually cross-validat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9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동작 방법은 도 1, 도 7, 도 8이 함께 참조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700, 8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The operating method of FIG. 9 may be executed in the inductive force sensors 100, 700, and 800 to which FIGS. 1, 7, and 8 are referred toge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00, 700, 800)의 동작 방법은 제1 오실레이터(722, 822)가, 인덕티브 코일(112, 712)과 결합하며 상기 인덕티브 코일(112, 712)에 대한 타겟(140, 740, 840)의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112, 712)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ω1)를 가지는 제1 공진 회로(720, 820)에 제1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910); 상기 제1 오실레이터(722, 822)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레퍼런스 오실레이터(822a)가, 상기 제1 공진 회로(720, 820)가 가질 수 있는 상태 중 미리 결정된 제1 상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레퍼런스 공진 회로(820a)에 레퍼런스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920); 판정 회로(770, 870)가 상기 제1 교류 신호의 영향으로 상기 제1 공진 회로(720, 820)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930); 상기 판정 회로(770, 870)가 상기 레퍼런스 공진 회로(820a)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930); 및 상기 판정 회로(770, 870)가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140, 740, 840)의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150, 750)을 판정하는 단계(S960)를 포함한다.In an operating method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100, 700,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scillator 722, 822 is coupled to the inductive coil 112, 712, and the inductive coil 112 , 712,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140, 740, 840, the first resonant circuit ( 720, 820) applying a first AC signal (S910); The reference oscillator 822a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oscillators 722 and 822 has the same impedance as a predetermined first state among possible states of the first resonator circuit 720 and 820. Applying a reference AC signal to (820a) (S920); receiving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first resonant circuit 720 or 820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rst AC signal by the decision circuit 770 or 870 (S930); receiving, by the decision circuits 770 and 870,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the reference resonant circuit 820a (S930); and the determination circuit (770, 870) determines the displacement of the target (140, 740, 840) based o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and determining the external forces 150 and 750 in the Z-axis direction (S960).

이때 상기 판정 회로(770, 870)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S940)를 수행하고, 단계(S940)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720, 820)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타겟(140, 740, 840)이 상기 인덕티브 코일(112, 712)에 대하여 움직인 상대적인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150, 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960)를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cision circuits 770 and 870 perform step S940 of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and based on the result of step S940,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ref is detected. 1 degree of deviation of the resonance circuits 720 and 820 from the first state,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target 140, 740 and 840 relative to the inductive coil 112 and 712, and the A step of acquir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s 150 and 750 (S960) may be performed.

이때 상기 판정 회로(770, 870)는 단계(S940)의 결과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유의미한 변화가 검출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S950)를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circuits 770 and 870 may perform a step S950 of determining whether a significant change is detect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result of the step S940 exceeds a first threshold valu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500, 700, 8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판정 회로(770, 870)가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ω1)의 차이의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512, 712)이 커버하는 채널 영역(514)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750)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것으로 추측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operating method of the inductive force sensor 500, 700,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circuit 770, 870 determines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in the time domain.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750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channel region 514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s 512 and 712 based on the change pattern of the difference of (ω1), and the Z-axi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ognizing a user gesture estimated to be intended by the user based on the external force 750 of the direc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10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inductiv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의 동작 방법은 도 2, 도 7, 도 8이 함께 참조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 700, 8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The operating method of FIG. 10 may be executed in the inductive force sensors 200, 700, and 800 to which FIGS. 2, 7, and 8 are referred toge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200, 700, 800)의 동작 방법에서는 제1 채널에 대하여 도 9의 단계 S910 내지 S930이 수행되고, 특히 판정 회로(770, 870)가 단계 S930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채널에 대해서도 개별적으로 도 9의 단계 S910 내지 S930이 수행된다.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inductive force sensors 200, 700, and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s S910 to S930 of FIG. 9 are performed for the first channel, and in particular, the decision circuits 770 and 870 perform step S930. do Also, steps S910 to S930 of FIG. 9 are individually performed for the second channel.

판정 회로(770, 870)가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변위,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S1020, S1040)를 수행한다. A decision circuit (770, 870) determines the first displacement,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of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Steps (S1020 and S1040) of determining the second displacement, the loca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and the external force are performed.

이때 상기 판정 회로가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S1010);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S1030);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타겟의 상기 제1 변위, 및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1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20, S1060);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공진 회로가 상기 제2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 상기 타겟의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는 제2 개별 영역에서 나타나는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40, S10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put position and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 determination circuit includes: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S1010);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S1030); A degree of deviation of the first resonant circuit from the first state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the first displacement of the target, and a first individu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uctive coil. obtaining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the region (S1020, S1060); and a degree of deviation of the second resonant circuit from the second state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a second displacem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cement of the target, and the second inductive coi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btaining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ppearing in the individual area (S1040 and S1060).

판정 회로(770, 870)는 단계 S1020 및 S1040의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채널과 제2 채널에 대하여 감지된 터치 포스가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인지를 판정하고, 오류 또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다른 요인에 의한 신호 변동은 아닌지를 판정한다(S1050).Based on the results of steps S1020 and S1040, the decision circuits 770 and 870 determine whether the sensed touch force for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is an input intended by the us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is an error or another input not intended by the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ignal variation is due to a factor (S1050).

단계 S1050의 수행 결과 터치 포스가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으로 판정되면, 판정 회로(770, 870)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하여 터치 힘이 입력된 위치 및 터치 힘의 크기를 디지털화하고 정량화한다(S1060).As a result of performing step S105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force is an input intended by the user, the decision circuits 770 and 870 determine the location where the touch force is input and the magnitude of the touch force with respect to the region including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Digitize and quantify (S106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는 싱글 버튼/채널/코일을 가정한 인덕티브 포스 센서(1100)가 도시된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1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inductive force sensor 1100 assuming a single button/channel/coil.

도 11은 도 1의 실시예에서 타겟 레이어(140)와 제1 부품(130)의 기능을 도 11의 제1 부품(1140)이 수행하도록 변형된 실시예이다. 즉, 도 11에서는 별도의 타겟 레이어가 존재하지 않으며, 제1 부품(1140)의 변형에 따른 Z축 방향의 변위가 인덕티브 코일(1112)과 제1 부품(1140)의 인덕티브 결합에 의하여 나타나는 인덕턴스의 변화와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통하여 검출될 수 있다.FIG. 11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part 1140 of FIG. 11 performs the functions of the target layer 140 and the first part 130 in the embodiment of FIG. 1 . That is, in FIG. 11, a separate target layer does not exist, and the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part 1140 appears due to the inductive coupling between the inductive coil 1112 and the first part 1140. It can be detected through a change in inductance and a change in resonance frequency.

도 11에서 외력(1150), 기판(1110), 및 스페이서 레이어(1160)는 도 1의 외력(150), 기판(110), 및 스페이서 레이어(16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FIG. 11 , the external force 1150 , the substrate 1110 , and the spacer layer 1160 are the same as the external force 150 , the substrate 110 , and the spacer layer 160 in FIG. 1 , so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종래의 인덕티브 센싱 기술들은 외력(1150)에 의한 제1 부품(1140)의 Z축 방향의 변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제1 부품(130)의 아래에 타겟 레이어(140)를 별도로 배치하고, 제1 부품(130)의 Z축 방향의 변형에 기반하여 타겟 레이어(140)가 Z축 방향으로 변위하면 그 변위가 감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덕턴스의 변화를 차동 신호의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통하여 검출하므로, 측정값의 정량화 및 디지털화가 용이하여 변위의 감도가 높다. 따라서 도 11에서와 같이 하나의 제1 부품(1140)만으로도 Z축 방향의 외력(1150)의 검출 및 정량화가 가능하다. 이때, 제1 부품(1140)과 인덕티브 코일(1112) 간의 Z축 방향의 거리에 따라 제1 부품(1140)과 인덕티브 코일(1112) 간의 인덕티브 결합에 의하여 인덕티브 코일(1112)에 연결되는 공진 회로의 인덕턴스가 변동된다. 따라서 제1 부품(1140)의 Z축 방향의 변위만으로도 인덕턴스의 변화 및 공진 주파수의 변화가 검출되며, Z축 방향의 외력(1150)의 검출 및 정량화가 가능하다. 이때 제1 부품(1140)이 변형되어 인덕티브 코일(1112)에 보다 가까워지는 부분에 에디 전류(Eddy Current)가 유도되면 제1 부품(1140)의 Z축 방향의 변위에 의한 합성 인덕턴스의 변화가 검출된다. 따라서 제1 부품(1140)은 전기 전도성을 띠도록 구현될 수 있다. Sinc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part 1140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1150 in conventional inductive sensing technologies, as part of an effort to increase the accuracy of measurement, the first part 1140 as shown in FIG. The target layer 140 is separately disposed under the part 130, and when the target layer 140 is displaced in the Z-axis direction based on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part 130 in the Z-axis direction, the displacement is detected.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nge in inductance is detected through the difference in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differential signal, it is easy to quantify and digitize the measurement value, and the displacement sensitivity is high. Therefore, as shown in FIG. 11 ,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quantify the external force 1150 in the Z-axis direction using only one first part 1140 . At this time, the first part 1140 and the inductive coil 1112 are connected to the inductive coil 1112 by inductive coupling between the first part 1140 and the inductive coil 1112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the Z-axis direction. The inductance of the resonant circuit to be changed. Therefore, only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part 1140 in the Z-axis direction can detect the change in inductance and the change in resonant frequency,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quantify the external force 1150 in the Z-axis direction. At this time, when the first component 1140 is deformed and an eddy current is induced in a portion closer to the inductive coil 1112, a change in combined inductance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component 1140 in the Z-axis direction is detected Accordingly, the first part 1140 may be implemented to be electrically conductiv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포스 센서(12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1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2의 실시예에서 타겟 레이어(240)와 제2 부품(230)의 기능을 도 12의 제2 부품(1230)이 수행하도록 변형된 실시예이다. 즉, 도 12에서는 별도의 타겟 레이어가 존재하지 않으며, 제2 부품(1230) 내의 개별 영역들(1232)의 변형에 따른 Z축 방향의 변위가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1212)과 제2 부품(1230) 내의 개별 영역들(1232) 간의 인덕티브 결합에 의하여 나타나는 인덕턴스의 변화와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통하여 검출될 수 있다.FIG. 12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part 1230 of FIG. 12 performs the functions of the target layer 240 and the second part 230 in the embodiment of FIG. 2 . That is, in FIG. 12 , a separate target layer does not exist, and the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second part 1230 is caused by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1212 and the second part. It can be detected through a change in inductance caused by inductive coupling between individual regions 1232 in 1230 and a change in resonance frequency.

도 12에서 기판(1210) 및 스페이서 레이어(1260)은 도 2의 기판(210) 및 스페이서 레이어(26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FIG. 12 , since the substrate 1210 and the spacer layer 1260 are the same as the substrate 210 and the spacer layer 260 in FIG. 2 ,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종래의 인덕티브 센싱 기술들은 외력에 의한 제2 부품(1230) 내의 개별 영역들(1232) 각각의 Z축 방향의 변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제2 부품(230)의 아래에 타겟 레이어(240)를 별도로 배치하고, 제2 부품(230)의 Z축 방향의 변형에 기반하여 타겟 레이어(240)가 Z축 방향으로 변위하면 그 변위가 감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덕턴스의 변화를 차동 신호의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통하여 검출하므로, 측정값의 정량화 및 디지털화가 용이하여 변위의 감도가 높다. 따라서 도 12에서와 같이 타겟 레이어가 배치되지 않고 제2 부품(1230) 내의 개별 영역들(1232) 각각과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1212) 간의 인덕티브 결합에 의하여 개별 영역들(1232) 각각의 변위를 검출하고 정량화할 수 있다. Conventional inductive sensing technologies are difficult to precisely measure the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of each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second part 1230 due to external force. As part of an effort to increase the accuracy of measurement, FIG. As in, if the target layer 240 is separately disposed under the second part 230 and the target layer 240 is displaced in the Z-axis direction based on the deformation of the second part 230 in the Z-axis direction, displacement is detected.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nge in inductance is detected through the difference in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differential signal, it is easy to quantify and digitize the measurement value, and the displacement sensitivity is high. Therefore, as shown in FIG. 12, the target layer is not disposed, and each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s formed by inductive coupling between each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second part 1230 and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1212. Displacement can be detected and quantified.

개별 영역들(1232) 중 제1 개별 영역에 외력이 인가되어 제1 개별 영역이 변형되고 제1 개별 영역이 Z축 방향으로 변위한 경우, 복수 개의 인덕티브 코일들(1212) 중에서 제1 개별 영역과 대향하는 제1 인덕티브 코일에서 감지되는 인덕턴스의 변화에 기반하여 제1 개별 영역에 대한 외력의 인가 여부 및 외력의 크기가 판정될 수 있다. 제1 인덕티브 코일과 제1 개별 영역 간의 인덕티브 결합에 의하여 제1 개별 영역의 Z축 방향의 변위(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한 제1 개별 영역의 변형 및 Z축 방향의 변위)가 제1 인덕티브 코일이 연결되는 제1 공진 회로의 인덕턴스에 영향을 미친다. 제1 공진 회로의 변경된 인덕턴스에 기반하여 제1 공진 회로의 제1 공진 주파수(ω1)의 변화를 판정 회로(770, 870)에서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제1 공진 주파수(ω1)의 차이에 기반하여 검출하고,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ω_ref)와 제1 공진 주파수(ω1)의 차이에 기반하여 제1 공진 주파수(ω1)의 변화가 정량화된다. 정량화된 제1 공진 주파수(ω1)의 변화는 디지털화되어 별도의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individual region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and the first individual region is deformed and the first individual region is displaced in the Z-axis direction, the first individual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ve coils 1212 Whether or not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discrete region and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change in inductance sensed by the first inductive coil facing the first inductive coil.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first individual region (deformation of the first individual reg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inductive coil and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first individual region by inductive coupling between the first inductive coil and the first individual region The inductance of the first resonant circuit to which the inductive coil is connected is affected. Based on the changed inductance of the first resonant circuit, the change i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of the first resonant circuit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in the determination circuit 770 or 870.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ω_ref and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the change i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is quantified. The change of the quantified first resonant frequency ω1 may be digitized and stored in a separate memory or storage.

이때 제2 부품(1230) 내의 개별 영역들(1232)과 대향하는 인덕티브 코일들(1212) 간의 인덕티브 결합에 의하여 인덕티브 코일들(1212) 각각에 연결되는 공진 회로의 인덕턴스가 변동된다. 따라서 개별 영역들(1232)의 Z축 방향의 변위만으로도 인덕턴스의 변화 및 공진 주파수의 변화가 검출되며, Z축 방향의 외력의 검출 및 정량화가 가능하다. 이때 제2 부품(1230) 내의 개별 영역들(1232) 중 외력에 의하여 인덕티브 코일들(1212)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부분에 에디 전류(Eddy Current)가 유도되면 Z축 방향의 변위에 의한 합성 인덕턴스의 변화가 검출된다. 에디 전류가 유도되기 쉽도록 개별 영역들(1232)이 구현되면 합성 인덕턴스의 변화가 더욱 잘 나타나게 되므로,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개별 영역들(1232)에 에디 전류가 쉽게 유도되기 위하여 제2 부품(1230) 내에서 개별 영역들(1232)은 제2 부품(1230) 내의 나머지 영역들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을 띠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자성체이면서 전기 전도체인 알루미늄 등의 금속 박막을 개별 영역들(1232)에 배치하여 개별 영역들(1232)의 전기 전도성을 높일 수 있고, 개별 영역들(1232)의 Z축 방향의 변위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nductance of a resonant circuit connected to each of the inductive coils 1212 is varied by inductive coupling between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second part 1230 and the opposing inductive coils 1212 . Accordingly, a change in inductance and a change in resonant frequency are detected only by the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Z-axis direction,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quantify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t this time, when an eddy current is induced in a part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second part 1230 where the distance to the inductive coils 1212 becomes closer due to an external force, synthesis by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A change in inductance is detected. I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are implemented so that the eddy current is easily induced, the change in the combined inductance is better displayed, so that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can be improved. At this time, in order to easily induce eddy current in the individual regions 1232, the individual regions 1232 within the second part 1230 should have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rest of the regions within the second part 1230. can For example, a thin metal film such as aluminum, which is nonmagnetic and electrically conductive, may be disposed on the individual regions 1232 to increas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and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s 1232 in the Z-axis direction sensitiv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A method of operating a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소개된 길이, 높이, 크기, 폭 등은 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Length, height, size, width, etc. introduc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for better understand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will be said that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se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1100, 1200: 인덕티브 포스 센서
110, 210, 1110, 1210: PCB
310a, 410a: 복수 개의 코일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모듈
112, 212, 312, 412, 1112, 1212: 인덕티브 코일
512, 612: 채널 코일
514, 614: 채널 영역
130, 230: 변형 가능한 부품
232, 1232: 개별 영역
140, 240: 타겟 레이어
150, 750: 외부로부터의 힘(외력)
452: 외력이 입력되는 범위
160, 260, 1160, 1260: 스페이서 레이어
770, 870: 판정 회로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1100, 1200: Inductive force sensors
110, 210, 1110, 1210: PCB
310a, 410a: one module consisting of a set of a plurality of coils
112, 212, 312, 412, 1112, 1212: inductive coil
512, 612: channel coil
514, 614: channel area
130, 230: deformable parts
232, 1232: individual area
140, 240: target layer
150, 750: force from outside (external force)
452: range in which external force is input
160, 260, 1160, 1260: spacer layer
770, 870: decision circuit

Claims (11)

기판 상에 배치되고 Z축 방향의 외력에 노출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1 부품;
상기 제1 부품에 대응하여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인덕티브 코일;
상기 인덕티브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인덕티브 코일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처리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의 차이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부품의 상측면이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하여 상기 Z축 방향으로 움직인 상대적인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가 나타내어지고,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상기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의 변화 패턴이 상기 감지 신호의 시간 도메인 상의 변화 패턴에 의하여 나타나도록 상기 감지 신호를 시간 도메인 상에서 출력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a first part disposed on a substrate,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 inductive coil formed on the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ponent;
a first resonant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uctive coil; and
a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receiving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on the first resonance circuit and the inductive coil and receiving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a reference resonance circuit;
including,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performs signal processing on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to obtain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a first resonant frequency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a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creat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rt moved in the Z-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 by the detection signal and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re displayed,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converts the detection signal in the time domain such that a change pattern of the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a region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is represented by a change pattern in the time domain of the detection signal. Inductive force sensor outputting on ph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의 크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공진 주파수가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간주되어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정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According to claim 1,
If the magnitude of the detection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threshold value, it is considered that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has undergone a significant chang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Inductive forc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의 상기 상측면 상에 배치되는 타겟;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겟의 자성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진 회로에 나타나는 제1 인덕턴스 변화의 방향이 상기 Z축 방향의 외력에 기인한 것인지 여부가 판정되고, 상기 제1 인덕턴스 변화의 방향이 상기 Z축 방향의 외력에 기인하도록 제1 임계값의 극성이 결정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According to claim 1,
a target disposed on the top side of the first part;
Including more,
Based on whether or not the target is magnetic,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ductance change appearing in the first resonant circuit is due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ductance change is in the Z-axis direction. An inductive force sensor in which a polarity of a first threshold is determined to be due to an external force.
기판 상에 배치되고 Z축 방향의 외력에 노출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1 부품;
상기 제1 부품에 대응하여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인덕티브 코일;
상기 인덕티브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인덕티브 코일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처리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의 차이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부품의 상측면이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하여 움직인 상대적인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가 나타내어지고,
상기 인덕티브 코일은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코일 권선들은 특정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멀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구조인 인덕티브 포스 센서.
a first part disposed on a substrate,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 inductive coil formed on the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ponent;
a first resonant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uctive coil; and
a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receiving a first electrical signal formed on the first resonance circuit and the inductive coil and receiving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a reference resonance circuit;
including,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performs signal processing on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to obtain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a first resonant frequency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a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create,
Relative displacement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rt moves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 and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re indicated by the sensing signal,
The inductive force senso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ductive coil is formed of a set of a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nd the plurality of unit coil winding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 distance from a specific position increases.
제4항에 있어서,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의 변화 패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According to claim 4,
Based on the change pattern of the sense information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the change pattern of the quantified sense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area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and the inten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 inductive force sensor that recognizes user gestures.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 인덕티브 코일;
상기 기판 상의 제2 인덕티브 코일;
부품의 상측면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고 Z축 방향의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며 상기 Z축 방향의 외력에 노출되는 상기 상측면의 제1 개별 영역;
상기 상측면의 다른 일 부분으로서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고 상기 Z축 방향의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며 상기 Z축 방향의 외력에 노출되는 상기 상측면의 제2 개별 영역;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개별 영역의 제1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전기 신호가 형성되는 제1 채널 공진 회로;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과 연결되며 상기 제2 개별 영역의 제2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2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2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전기 신호가 형성되는 제2 채널 공진 회로; 및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레퍼런스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처리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의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1 채널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상기 제2 전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2 채널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채널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감지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위,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가 나타내어지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Board;
a first inductive coil on the substrate;
a second inductive coil on the substrate;
a first individual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uctive coil,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exposed to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 second individual region of the upper si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as another part of the upper side,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 first electrical signal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ive coil and having a first resonant frequency due to a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first inductive coil based on a first displacement of the first discrete region is formed. 1-channel resonant circuit;
A second electrical signal connected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and having a second resonant frequency due to a second inductance formed in the second inductive coil based on a second displacement of the second individual region is formed. 2-channel resonant circuit; and
a signal processing circuit receiv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receiving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formed in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including,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generates a first channel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a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by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on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generates a second channel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by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displacement, and the loca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and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are indicated by the first channel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channel detection signal. active force sensor.
제6항에 있어서,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제1 채널 감지 신호의 제1 변화 패턴 및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제2 채널 감지 신호의 제2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개별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의 변화 패턴, 상기 제2 개별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의 변화 패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가 인식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According to claim 6,
Based on the first change pattern of the first channel detection signal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and the second change pattern of the second channel detection signal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determined in the first individual region. An inductive device for recognizing a change pattern of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 change pattern of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second individual region, and a user gesture intended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force sens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개별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 및 상기 제2 개별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사용자에 의하여 의도된 입력인 지 여부를 판정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
According to claim 6,
Based on the first channel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channel detection signal, the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on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first individual region and the Z-axis direction in the second individual region An inductive force sensor that extracts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an input intended by a user.
신호 처리 회로가,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며 Z축 방향의 외력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1 부품의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노출되는 상측면의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전기 신호를 상기 인덕티브 코일과 연결되는 제1 공진 회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 처리 회로가, 레퍼런스 공진 회로로부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 처리 회로가,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의 차이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처리 회로가, 상기 감지 신호를 시간 도메인 상에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부품의 상측면이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하여 상기 Z축 방향으로 움직인 상대적인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가 나타내어지고,
상기 감지 신호의 시간 도메인 상의 변화 패턴에 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의 변화 패턴이 나타내어지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is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first part corresponding to the inductive coil and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receiving a first electrical signal having a first resonant frequency due to a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inductive coil from a first resonant circuit connected to the inductive coil;
receiving, by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having a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from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generating, by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by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on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by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the detection signal in a time domain;
including,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rt moved in the Z-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 by the detection signal and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re displayed,
A method of ope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in which a change pattern of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represented in a region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by a change pattern of the sensing signal in the time domain.
신호 처리 회로가,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며 Z축 방향의 외력에 의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1 부품의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노출되는 상측면의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전기 신호를 상기 인덕티브 코일과 연결되는 제1 공진 회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 처리 회로가, 레퍼런스 공진 회로로부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처리 회로가,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의 차이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부품의 상측면이 상기 인덕티브 코일에 대하여 움직인 상대적인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가 나타내어지고,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나는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인덕티브 코일이 커버하는 영역에서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의 변화 패턴,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의도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is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first part corresponding to the inductive coil and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the Z-axis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receiving a first electrical signal having a first resonant frequency due to a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inductive coil from a first resonant circuit connected to the inductive coil;
receiving, by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having a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from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and
generating, by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by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on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including,
Relative displacement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rt moves with respect to the inductive coil and quantified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re indicated by the sensing signal,
Based on the change pattern of the sense information appearing in the time domain, the change pattern of the quantified sense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area covered by the inductive coil and the inten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recognizing a user's gesture;
Method of operating an inductive force sensor further comprising a.
신호 처리 회로가, 부품의 상측면의 일 부분으로서 제1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며 Z축 방향의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노출되는 상기 상측면의 제1 개별 영역의 제1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1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전기 신호를 상기 제1 인덕티브 코일과 연결되는 제1 공진 회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 처리 회로가, 상기 상측면의 다른 일 부분으로서 제2 인덕티브 코일에 대응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며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에 노출된 상기 상측면의 제2 개별 영역의 제2 변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에 형성되는 제2 인덕턴스에 기인하는 제2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전기 신호를 상기 제2 인덕티브 코일과 연결되는 제2 공진 회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 처리 회로가, 레퍼런스 공진 회로로부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레퍼런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 처리 회로가,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1 채널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처리 회로가, 상기 제2 전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전기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레퍼런스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2 채널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감지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위, 상기 제2 변위, 및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외력이 입력된 위치 및 상기 외력에 대한 정량화된 감지 정보가 나타내어지는 인덕티브 포스 센서의 동작 방법.
A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a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component, corresponds to the first inductive coil, is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is exposed to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receiving a first electrical signal having a first resonant frequency due to a first inductance formed in the first inductive coil based on a first displacement from a first resonant circuit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ive coil;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corresponds to a second inductive coil as another part of the upper side surface, is deformable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is exposed to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 second electrical signal having a second resonant frequency resulting from the second inductance formed in the second inductive coil based on the second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region is received from a second resonant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inductive coil. doing;
receiving, by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a reference electrical signal having a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from a reference resonant circuit;
generating, by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a first channel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by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on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and
generating, by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a second channel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ference resonant frequency by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electrical signal;
including,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displacement, and the loca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input and quantified detection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force are indicated by the first channel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channel detection signal. Operation method of the active force sensor.
KR1020210132805A 2019-06-24 2021-10-07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4963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805A KR102496360B1 (en) 2019-06-24 2021-10-07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161A KR102313316B1 (en) 2019-06-24 2019-06-24 Inductive force sens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0210132805A KR102496360B1 (en) 2019-06-24 2021-10-07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161A Division KR102313316B1 (en) 2019-06-24 2019-06-24 Inductive force sens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964A KR20210125964A (en) 2021-10-19
KR102496360B1 true KR102496360B1 (en) 2023-02-06

Family

ID=741274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161A KR102313316B1 (en) 2019-06-24 2019-06-24 Inductive force sens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0210132805A KR102496360B1 (en) 2019-06-24 2021-10-07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161A KR102313316B1 (en) 2019-06-24 2019-06-24 Inductive force sens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331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440B1 (en) 2017-08-21 2018-11-20 (주)실리콘인사이드 Self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3d touch implementation
KR101954368B1 (en) * 2017-08-31 2019-03-05 (주)실리콘인사이드 Mutual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3d touch impleme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079B1 (en) * 2009-06-12 2011-08-24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device of touch sensing and the device
KR101697975B1 (en) * 2015-03-10 2017-01-19 주식회사 트루윈 Inductive Displacement Sensor Using Frequency Modulation
FR3038642B1 (en) 2015-07-08 2017-07-14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EVICE FOR DETECTING THE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VEHICLE OF A MOTOR VEHICLE BY A USER
KR102626773B1 (en) * 2016-11-09 2024-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80084484A (en) * 2017-01-17 2018-07-25 주식회사 트루윈 Inductive Displacement Sensor Using Frequency Modul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440B1 (en) 2017-08-21 2018-11-20 (주)실리콘인사이드 Self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3d touch implementation
KR101954368B1 (en) * 2017-08-31 2019-03-05 (주)실리콘인사이드 Mutual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3d touch implemen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77A (en) 2021-01-04
KR20210125964A (en) 2021-10-19
KR102313316B1 (en)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2236B2 (en) Touch force sensor using inductive sensing and capacitive sensing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146035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ower-on button and inductive touch force sensor
KR101975596B1 (en) Touch screen device for compensating distortion of input sensing signal
KR101159955B1 (en) Sensor device for detecting contact or approach of object, and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JP2018005932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interface sensitive to movement of body or object, and control device incorporating device
US2012016179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put objects associated with proximity events
JP2013519930A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on of signals correlated with manual input action
KR1019138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touch screen input
CN115485652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touch inputs at a human-machine interface
US11075634B2 (en) Switching operation sensing apparatus with touch input member identification
US93671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user input and interference on an input device
KR102340385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ower-on button and inductive touch force sensor
KR102496360B1 (en) Inductive force sensor and ma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6020578B (en) Single receiver super inactive mode
KR20230056596A (en) Adaptive position detection for inductive linear position sensing
CN106155437A (en) Operator scheme determination methods, touch points position judging method and touch control circuit
KR102364056B1 (en) Hybrrid sensor capable of sensing touch and touch for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KR102378616B1 (en) Multi region motion sensor for motion feedback interfa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KR102357724B1 (en) Hybrrid gesture sensor capable of sensing gesture, touch, and touch force based on single channel sens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11262874B2 (en) Touch sens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ouch sensing and force sensing using single sensing structure and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505916B1 (en) Touch sensing app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