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074U -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074U
KR20210000074U KR2020190005264U KR20190005264U KR20210000074U KR 20210000074 U KR20210000074 U KR 20210000074U KR 2020190005264 U KR2020190005264 U KR 2020190005264U KR 20190005264 U KR20190005264 U KR 20190005264U KR 20210000074 U KR20210000074 U KR 202100000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rubber
flat cable
flexible flat
cable structure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 쳉 친
쿠오 슈 첸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00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07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8Parallel wires, sandwiched between two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체층, 제1 복합재료층, 제1 절연고무층, 제2 절연고무층 및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를 공개한다. 도체층, 제1 복합재료층, 제1 절연고무층 및 제2 절연고무층은 결합된 이후 복수의 스트립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스트립은 복수의 와이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은 제2 절연고무층에 노출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FLEXIBLE FLAT CABLE STRUCTURE}
본 고안은 플랫 케이블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립식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있어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은 PET 절연재 주석 도금 플랫 구리 와이어가 자동화 설비 생산 라인의 압축에 의해 형성된 데이터 케이블로서, 신호 전송에 제공되며 임의의 굽힘 가능함 및 고주파 신호 전송 능력 등 이점을 갖는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임의의 굽힘 특성을 가지며, 상이한 요구에 따라 상이한 절연층 두께를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안정적인 특성 임피던스를 제공하고 고주파수 신호 전송에 적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복수의 스트립을 제공하고, 각각의 스트립에 단일 또는 복수의 와이어가 내장되어 굽힘 내성 및 플렉시블을 증가시키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전술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에 따라, 도체층, 절연고무층, 복합재료층의 다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전술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에 따라, 안정적인 특성 임피던스를 제공하고 고주파 신호 전송에 적합하도록 복합재료층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4 목적은 전술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에 따라, 전자기 신호의 차폐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층 또는 이층의 복합재료층을 도체층의 측면에 설치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5 목적은 전술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에 따라, 제1 연결 헤드 및 제2 연결 헤드에서 회로 기판에서의 수형단 또는 암형단을 연결시키고 전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6 목적은 전술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에 따라, 제1 연결 헤드와 제2 연결 헤드를 결합하고 제1 연결 헤드와 제2 연결 헤드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도록 보강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7 목적은 전술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에 따라, 제1 연결 헤드와 제2 연결 헤드의 접지단을 연결하도록 복합재료층에서 접지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8 목적은 전술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에 따라, 도체층은 본체 및 커플링부를 구비하며, 본체와 커플링부 사이 부분이 점차 축소되는 형상의 사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9 목적은 전술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에 따라, 커플링부의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단면 형상이 본체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거나 상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10 목적은 전술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에 따라, 상이한 회로 설계에 적응하기 위해 와이어의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이 동시에 동일한 측의 절연고무층 또는 상이한 측의 절연고무층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에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도체층, 제1 복합재료층, 제1 절연고무층, 제2 절연고무층 및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를 제공한다. 도체층은 제1면과 제2면을 갖는다. 제1 복합재료층은 도체층의 상기 제1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복합재료층은 전자기 신호를 차폐한다. 제1 절연고무층은 도체층과 제1 복합재료층 사이에 형성된다. 제2 절연고무층은 상기 도체층에서 제1 절연고무층이 아닌 일측에 형성된다. 보강 플레이트는 제1 절연고무층과 제1 복합재료층 사이에 설치되고, 보강 플레이트의 일부는 제1 복합재료층에 노출된다. 여기서, 도체층, 제1 복합재료층, 제1 절연고무층 및 제2 절연고무층은 결합된 후 복수의 스트립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스트립은 복수의 와이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은 동시에 상기 제1 절연고무층 또는 상기 제2 절연고무층에 노출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제1 말단은 상기 제1 절연고무층에 노출되며,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제2 말단은 상기 제2 절연고무층에 노출되거나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제1 말단은 상기 제2 절연고무층에 노출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제2 말단은 상기 제1 절연고무층에 노출된다.
종래의 기술에 비해,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는 다층 구조이며, 전자기 신호/전원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복수의 스트립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스트립은 복수의 와이어를 제공하고, 또한 도체층의 적어도 일면에 전자기 신호를 차폐하기 위한 복합재료층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도 3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의 평면 모식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기능을 충분히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고안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하나” 또는 “한 개”를 사용하여 본문에서의 유닛, 소자 및 부품을 설명한다.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본 고안의 범주에 대해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한다. 따라서,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이러한 설명은 하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단수 형태가 복수 형태도 함께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용어 “포함하다”, “포괄하다”, “구비하다”, “함유하다” 또는 다른 임의의 유사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물을 포함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부품을 포함한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는 본문에 열거된 상기 복수의 부품에 한정될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열거되지 않지만 상기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에 통상적으로 고유된 기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반대된 명확한 설명이 없는 한, 용어 “또는”은 포괄적인 “또는”을 지칭하고 배타적인 “또는”을 지칭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에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10)는 도체층(12), 제1 복합재료층(14), 제1 절연고무층(16), 제2 절연고무층(18) 및 보강 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도체층(12)은 제1면(122) 및 제2면(124)을 갖는다. 여기서, 제1면(122)은 하부를 가리키고, 제2면(124)은 상부를 가리킨다. 도체층(12)은 복수의 와이어(126)로 이루어지며, 동시에 도 2의 평면 모식도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와이어(126) 사이에 간격(d)이 있다. 여기서, 와이어(126)의 개수는 5개를 예로 설명되며, 다른 실시예에서, 개수는 실제 수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도체층(12)은 본체(128) 및 커플링부(1210)를 더 포함한다. 본체(128)는 커플링부(1210)에 연결되며 동시에 확대도를 참조한다. 본체(128)와 커플링부(1210) 사이 부분은 후속에 언급될 연결 헤드에 적용되도록 사면(pitch)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커플링부(1210)의 와이어(126)의 단면 형상은 본체(128)에 위치한 와이어(126)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여기서, 본체(128)에 위치한 와이어(126)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고, 커플링부(1210)에 위치한 와이어(126) 단면 형상은 박편 형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128)에 위치한 와이어(126)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직사각형 및 다변형 등일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1 복합재료층(14)은 도체층(12)의 제1면(122)에 형성되고, 예를 들어, 제1 복합재료층(14)의 재료는 금속 재료, 세라믹 재료 또는 고분자 재료 등 2가지 또는 2가지 이상의 재료의 복합 공법에 의해 제조된 기재일 수 있다. 제1 복합재료층(14)이 금속 재료를 포함하므로, 전자기 신호에 저항할 수 있다. 제1 복합재료층(14)은 도체층(12)에 스택되고 제1 복합재료층(14)의 길이는 도체층(12)의 길이보다 짧다.
제1 절연고무층(16)은 도체층(12)과 제1 복합재료층(14)을 결합하도록 도체층(12)과 제1 복합재료층(14) 사이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결합 방식은 점착, 커플링 또는 접착 등이고, 제1 절연고무층(16)의 재질은 제1 복합재료층(14)과 도체층(12)을 결합하기 위한 것인 외에 상기 복수의 와이어(126) 사이의 전기 신호가 서로 접촉되어 오류 동작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절연고무층(18)은 도체층(12)에서 제1 절연고무층(16)이 아닌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와이어(126) 사이의 전기 신호가 서로 접촉되어 오류 동작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20)는 제1 절연고무층(16)과 제1 복합재료층(14) 사이에 설치되고, 보강 플레이트(20)의 일부는 제1 복합재료층(14)에 노출된다. 보강 플레이트(20)의 목적은 도체층(12)의 말단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전기 연결 헤드의 연결에 사용되어 와이어(126)를 전기 연결 헤드에 버클링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체층(12), 제1 복합재료층(14), 제1 절연고무층(16) 및 제2 절연고무층(18)은 결합된 후 복수의 스트립(또는 총 개수를 지칭함)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스트립(또는 일부를 지칭함)은 하나 또는 복수의 와이어(126)를 제공하며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복수의 와이어(126)의 제1 말단(1262) 및 제2 말단(1264)은 제2 절연고무층(18)에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126)가 동일한 측에 나타나고 동시에 제2 절연고무층(18)에 노출되는 경우를 제외한 이외,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126)의 제1 말단(1262) 및 제2 말단(1264)은 제1 절연고무층(16) 및 제2 절연고무층(18)에 각각 노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와이어(126)의 제1 말단(1262)은 제1 절연고무층(16)에 노출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126)의 제2 말단(1264)은 제2 절연고무층(18)에 노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에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10’)는 제1 실시예의 도체층(12), 제1 복합재료층(14), 제1 절연고무층(16), 제2 절연고무층(18) 및 보강 플레이트(20)를 포함한 이외, 제1 연결 헤드(22), 제2 연결 헤드(24) 및 제2 복합재료층(26)을 더 포함한다.
동시에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 3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의 평면 모식도일 수 있다. 제1 연결 헤드(22)는 수형 헤드 또는 암형 헤드이고, 여기서 수형 헤드를 예로 설명한다. 제1 연결 헤드(22)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126)의 제1 말단(1262)을 연결하기 위해 복수의 단자를 제공한다. 이밖에, 제1 연결 헤드(22)는 회로 기판의 접지단을 연결하기 위한 접지 단자를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 헤드(22)는 상기 상기 복수의 와이어(126)의 제1 말단(1262)을 직접 제공할 수 있다.
제2 연결 헤드(24)는 수형 헤드 또는 암형 헤드일 수 있고, 여기서 수형 헤드를 예로 설명한다. 제2 연결 헤드(24)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126)의 제2 말단(1264)을 연결하기 위해 복수의 단자를 제공한다. 이밖에, 제2 연결 헤드(24)는 회로 기판의 접지단을 연결하기 위한 접지 단자를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연결 헤드(24)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126)의 제2 말단(1264)을 직접 제공할 수 있다.
제2 복합재료층(26)은 도체층(12)의 제2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복합재료층(26)은 전자기 신호를 차폐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복합재료층(26)은 제2 복합재료층(26)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접지 개구(262)를 더 형성한다. 전술한 접지 개구(262)는 제1 연결 헤드(22)의 접지 단자에 커플링되고 제2 연결 헤드(24)의 접지 단자에 커플링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접지 개구(262)에 설치된 알루미늄 박편(264)을 더 포함하며, 제1 연결 헤드(22)의 접지 단자를 연결하고, 제2 연결 헤드(24)의 접지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미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 개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실시예와 등가적인 변화와 치환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10’: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12: 도체층
122: 제1면 124: 제2면 126: 와이어
1262: 제1 말단 1264: 제2 말단 128: 본체
1210: 커플링부 14: 제1 복합재료층 16: 제1 절연고무층
18: 제2 절연고무층 20: 보강 플레이트 22: 제1 연결 헤드
24: 제2 연결 헤드 26: 제2 복합재료층 264: 알루미늄 박편
d: 간격

Claims (10)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로서,
    제1면 및 제2면을 갖는 도체층;
    상기 도체층의 상기 제1면에 형성되고, 전자기 신호를 차폐하는 제1 복합재료층;
    상기 도체층과 상기 제1 복합재료층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절연고무층;
    상기 도체층에서 제1 절연고무층이 아닌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절연고무층; 및
    상기 제1 절연고무층과 상기 제1 복합재료층 사이에 설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1 복합재료층에 노출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체층, 상기 제1 복합재료층, 상기 제1 절연고무층 및 상기 제2 절연고무층은 결합된 후 복수의 스트립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스트립은 복수의 와이어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은 동시에 상기 제1 절연고무층 또는 상기 제2 절연고무층에 노출되거나,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은 각각 상기 제1 절연고무층 및 상기 제2 절연고무층에 노출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층의 상기 제2면에 형성되고, 전자기 신호를 차폐하는 제2 복합재료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합재료층은 상기 제2 복합재료층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접지 개구를 추가로 형성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개구에 설치된 알루미늄 박편을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제1 말단에 연결되는 제1 연결 헤드 및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제2 말단에 연결되는 제2 연결 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헤드의 접지단 및 상기 제2 연결 헤드의 접지단은 각각 상기 접지 개구에 커플링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층은 본체 및 커플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커플링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커플링부 사이 부분은 사면(pitch)으로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단면 형상은 상기 본체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상기 본체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직사각형 및 다변형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단면 형상은 원형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단면 형상은 박편 형상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 사이에 간격이 있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KR2020190005264U 2019-07-01 2019-12-26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KR20210000074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208526 2019-07-01
TW108208526U TWM587354U (zh) 2019-07-01 2019-07-01 可撓式扁平排線結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74U true KR20210000074U (ko) 2021-01-12

Family

ID=69585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264U KR20210000074U (ko) 2019-07-01 2019-12-26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29385U (ko)
KR (1) KR20210000074U (ko)
CN (1) CN211150129U (ko)
TW (1) TWM587354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587354U (zh) 2019-12-01
JP3229385U (ja) 2020-12-03
CN211150129U (zh)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5582B2 (en) Shielded flat cable
JP3982511B2 (ja) フラット型ケーブル製造方法
US10062942B2 (en) High-frequency transmission line
KR20220116124A (ko)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US10038231B2 (en) Signal transmission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US9666925B2 (en) Transmission line, a transmission line apparatus, and an electronic device
KR20240093435A (ko)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US8648668B2 (en) Electrical impedance precision control of signal transmission line for circuit board
US20130153283A1 (en) Flexible Flat Cable
US9177697B2 (en) Flat cable and electronic device
KR20180054415A (ko) 형상 기억을 가지는 고속 플랫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
US10217545B2 (en) Cable structure
US20040011552A1 (en) Controlled impedance extruded flat ribbon cable
CN211457494U (zh) 一种柔性电路板
CN211457495U (zh) 一种柔性电路板
KR20210000074U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구조
JP5929557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JP2020013696A (ja) 片面シールド層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CN211150128U (zh) 具有标准型补强板的柔性扁平电缆
KR102722838B1 (ko)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CN114283972B (zh) 一种用于高频信号传输的ffc屏线
US11984637B2 (en) Transmission line and electronic device
US20230328883A1 (en) Multilayer substrate
KR101052160B1 (ko) 멀티 배선 레이어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TWM604973U (zh) 具有金屬箔遮蔽補強板的柔性扁平排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