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073A - Hydrogen production system using acid-base solution - Google Patents

Hydrogen production system using acid-base solu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073A
KR20210000073A KR1020190074865A KR20190074865A KR20210000073A KR 20210000073 A KR20210000073 A KR 20210000073A KR 1020190074865 A KR1020190074865 A KR 1020190074865A KR 20190074865 A KR20190074865 A KR 20190074865A KR 20210000073 A KR20210000073 A KR 20210000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moving part
hydrogen production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8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4669B1 (en
Inventor
최영우
서민호
차정은
이종민
김범준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74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669B1/en
Publication of KR2021000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6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3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perforated or foraminous
    • C25B11/031Porous electrodes
    • C25B11/035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25B15/087Recycling of electrolyte to electrochemical cell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5/00Electrogenerative processes, i.e. processes for producing compounds in which electricity is generated simultaneously
    • C25B9/08
    • C25B9/18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producing hydrogen, capable of generating the hydrogen and electricity by supplying an acid solution and a base solution to an electrolyte part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the hydrogen. Since the apparatus for producing the hydrogen generates the hydrogen and the electricity by utilizing waste acid and/or waste base, it is unnecessary to apply an external voltage to produce an economical effect. The waste acid and/or waste base are neutralized and discharged, which considerably may contribute to an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very effective in that electrical energy, which is generated as the waste acid and/or waste base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apparatus for producing the hydrogen, is stored in an energy storage device, such as a capacitor, a secondary battery, or a flow battery, and then is utilized as a power source in another industrial field.

Description

산-염기 용액을 이용한 수소생산 장치{HYDROGEN PRODUCTION SYSTEM USING ACID-BASE SOLUTION}Hydrogen production device using acid-base solution {HYDROGEN PRODUCTION SYSTEM USING ACID-BASE SOLUTION}

본 발명은 산용액 및 염기용액을 수소생산 장치의 전해질부에 공급함으로써 수소 및 전기를 발생시키는 수소생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gen production device for generating hydrogen and electricity by supplying an acid solution and a base solution to an electrolyte portion of a hydrogen production device.

일반적으로, 수소는 최근 청정 에너지원을 비롯한 다양한 사용으로 인해 크게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수소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다양하고 심도 있게 연구되고 있다.In general, hydrogen has recently attracted great attention due to its various uses including a clean energy source, and a method for efficiently producing such hydrogen has been studied in various and in depth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globally.

이에 따라, 수소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메탄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수증기 개질하여 얻은 후 이를 정제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최근에는 화석연료의 유한성과 환경문제를 극복하고자 물을 전기분해하는 수전해를 이용하는 방식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Accordingly, the main method of producing hydrogen is to obtain fossil fuels such as methane gas through steam reforming, and then purify and use them, but in recent years, water is electrolyzed to overcome the finiteness and environmental problems of fossil fuels. It is actively developing and applying a method using water electrolysis.

즉,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얻는 방법으로는 알칼리 수용액을 전해질로 하는 알칼리 수전해 방식이 대표적이나 이러한 방법은 낮은 수소 순도로 인한 정제공정의 필요, 산소와 수소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의 필요, 수용액 상태의 전해질을 지속적으로 보충해야만 하는 공정관리의 필요, 수용액 전해질에 의한 전극 및 구성부품의 부식, 낮은 전류밀도로 인한 수소생산 효율의 저하, 높은 전압에 의한 과다한 전력소모 등의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In other words, as a method of obtaining hydrogen by electrolyzing water, an alkaline water electrolysis method using an alkaline aqueous solution as an electrolyte is typical, but such a method requires a purification process due to low hydrogen purity, a need for a separation process to separate oxygen and hydrogen, It has many disadvantages such as the need for process management to continuously replenish the electrolyte in the aqueous solution, corrosion of electrodes and components by the aqueous electrolyte, decrease in hydrogen production efficiency due to low current density, and excessive power consumption due to high voltage. have.

한편, 다수의 화학산업을 포함한 일부 산업 특성 상 상당한 양의 폐산(waste acid) 또는 폐염기(waste base)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는 유해 폐기물로 간주되어, 환경에 배출되기 전에 부가적인 처리를 요구한다. 따라서, 상기 폐산 또는 폐염기의 처리에 있어서, 부가적인 비용이 불가피하게 발생하며 이는 기업에 막대한 부담을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ome industries, including many chemical industries, a significant amount of waste acid or waste base is generated, which is considered a hazardous waste and requires additional treatment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environment. . Therefore, in the treatment of the waste acid or the waste base, additional costs are inevitably incurred, which puts an enormous burden on enterprises.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폐산 또는 폐염기의 처리와 수소생산을 접목하여 연구하던 중, 신규한 수소생산 장치에 상기 폐산 또는 폐염기를 공급원으로서 공급하고, 상기 수소생산 장치의 전해질부에 포함된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상기 폐산 또는 폐염기에 포함되어 있는 양이온 및 음이온을 각각 교환시킴으로써 수소 및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더불어, 상기 수소생산 장치는 외부 전압의 인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공급되는 폐산 또는 폐염기의 중화를 통하여 물 및 염의 형태로서 배출시키기 때문에 환경적으로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conducting research by combining the treatment of the waste acid or the waste base with hydrogen production, supplying the waste acid or the waste base as a source to a novel hydrogen production device, and a cation exchange membrane included in the electrolyte part of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And it was found that hydrogen and electricity can be generated by exchanging the cations and anions contained in the waste acid or waste base, respectively, through an anion exchange membrane,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ince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does not require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voltage and discharges it in the form of water and salt through neutralization of the supplied waste acid or waste base, it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environment.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3177호는 광전-전해 일체형 수소생산 시스템용 전해전지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63177 discloses an electrolytic cell for an integrated photoelectric-electrolysis hydrogen 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산용액 및 염기용액을 수소생산 장치의 전해질부에 공급함으로써 수소 및 전기를 발생시키는 수소생산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for generating hydrogen and electricity by supplying an acid solution and a base solution to an electrolyte portion of a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애노드; 캐소드;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부;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를 연결하는 수소이동관과 도선; 및 상기 전해질부에 산용액, 물 및 염기용액을 각각 공급하는 산용액 공급부, 물 공급부 및 염기용액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부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음이온 교환막 및 양이온 교환막을 포함하는 단위셀을 포함하고, 상기 캐소드와 음이온 교환막 사이에 산용액 이동부, 상기 음이온 교환막과 양이온 교환막 사이에 물 이동부 및 상기 양이온 교환막과 애노드 사이에 염기용액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용액 공급부 및 염기용액 공급부는 상기 단위셀 내의 산용액 이동부 및 염기용액 이동부에 각각 산용액 및 염기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단위셀 내의 물 이동부에 물을 공급하는 것인 수소생산 장치를 제공한다.Anode; Cathode; An electrolyte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 hydrogen transfer tube and a conducting wire connecting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an acid solution supply unit, a water supply unit, and a base solution supply unit respectively supplying an acid solution, water, and base solution to the electrolyte unit, wherein the electrolyte unit includes a unit cell including an anion exchange membrane and a cation exchange membrane sequentially disposed. And an acid solution transfer part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a water transfer part between the an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a base solution transfer part betwee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ode, and the acid solution supply part and the base solution supply part An acid solution and a base solution are supplied to an acid solution moving part and a base solution moving part in a unit cell, respectively, and the water supply part supplies water to a water moving part in the unit cell.

상기 캐소드에서 수소 이온이 전자와 반응하여 환원반응을 통하여 수소기체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수소기체가 상기 수소이동관을 통하여 애노드로 전달되며, 상기 애노드로 전달된 수소기체가 수산화이온과 반응하여 산화반응을 통하여 물 및 전자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전자가 상기 도선을 통하여 상기 캐소드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In the cathode, hydrogen ions react with electrons to generate hydrogen gas through a reduction reaction, and the generated hydrogen gas is transferred to the anode through the hydrogen transfer tube, and the hydrogen gas transferred to the anode reacts with hydroxide ions to be oxidized. Water and electrons are generated through the reaction, and the generated electrons may be transferred to the cathode through the conducting wire.

상기 산용액 및 염기용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폐산용액 또는 폐염기용액인 것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acid solution and the base solution may be a waste acid solution or a waste base solution.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는 다공성 구조인 것일 수 있다.The anode and cathode may have a porous structure.

상기 단위셀 내의 인접하는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간의 간격은 100 μm 내지 300 μm인 것일 수 있다.The interval between adjacent cation exchange membranes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in the unit cell may be 100 μm to 300 μm.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는 각각 외측면이 집전판과 접해있는 것일 수 있다.Each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may have an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urrent collector plate.

상기 단위셀은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에 물 이동부를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부에서 상기 단위셀 사이의 물 이동부에 물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unit cells may further include a water moving unit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cells and the unit cells, and may supply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a water moving unit between the unit cells.

상기 수소생산 장치는 상기 산용액 이동부, 염기용액 이동부 및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의 물 이동부에서 배출되는 용액을 배출하는 제1 배출부 및 상기 단위셀 내의 물 이동부에서 배출되는 용액을 배출하는 제2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includes a first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a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acid solution moving part, the base solution moving part, and the water moving part between the unit cell and the unit cell, and the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water moving part in the unit cell. It may be to further include a second discharge unit to discharge.

상기 제1 배출부에서 물이 배출되고, 상기 제2 배출부에서 염이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Water may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unit, and salt may be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scharge unit.

상기 산용액은 염산(hydrochloric acid, HCl)을 포함하고, 염기용액은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acid solution may contain hydrochloric acid (HCl), and the base solution may contain sodium hydroxide (NaOH).

상기 염산의 클로라이드 이온이 상기 음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상기 산용액 이동부와 접해있는 물 이동부로 이동하며, 상기 수산화나트륨의 소듐 이온이 상기 양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상기 염기용액 이동부와 접해있는 물 이동부로 이동하여 상기 산용액 이동부 및 염기용액 이동부와 접해있는 물 이동부에서 소듐 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NaCl)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chloride ions of the hydrochloric acid move through the anion exchange membrane to the water moving part in contact with the acid solution moving part, and the sodium ions of the sodium hydroxide move to the water moving part in contact with the base solution moving part through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Sodium chloride (NaCl) may be formed in the water moving part in contact with the acid solution moving part and the base solution moving part.

상기 수소생산 장치는 상기 형성된 소듐 클로라이드를 저장하는 소듐 클로라이드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odium chloride tank for storing the formed sodium chlori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복수 개의 상기 수소생산 장치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것인, 스택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stack, wherein a plurality of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s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소생산 장치는 폐산 및/또는 폐염기를 활용하여 수소 및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전압의 인가를 필요로 하지 않아 경제적일 수 있으며, 폐산 및/또는 폐염기를 중화시켜 배출시킴으로써 환경적으로 크게 기여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can generate hydrogen and electricity using waste acid and/or waste base, it may be economical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pplication of external voltage, and waste acid and/or waste base By neutralizing it and discharging it, it may contribute greatly to the environment.

또한, 상기 폐산 및/또는 폐염기를 상기 수소생산 장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줌으로써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커패시터, 이차전지, 흐름전지 등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저장한 후에 타 산업에 전력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다.In addition,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continuously supplying the waste acid and/or waste base to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can be stored in energy storage devices such as capacitors, secondary batteries, flow batteries, etc., and then used as a power source for other industries, It is very efficien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위셀을 하나 포함하는 수소생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위셀을 복수 개 포함하는 수소생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수 개의 수소생산 장치가 직렬로 연결된 스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수 개의 수소생산 장치가 병렬로 연결된 스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including one unit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hydrogen production devices are connected in ser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hydrogen production devices are connected in parall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entir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본원의 제 1 측면은,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애노드(110); 캐소드(120); 상기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부(200); 상기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를 연결하는 수소이동관(300)과 도선(400); 및 상기 전해질부(200)에 산용액, 물 및 염기용액을 각각 공급하는 산용액 공급부(500), 물 공급부(550) 및 염기용액 공급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부(200)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음이온 교환막(240) 및 양이온 교환막(250)을 포함하는 단위셀(220)을 포함하고, 상기 캐소드(120)와 음이온 교환막(240) 사이에 산용액 이동부(270), 상기 음이온 교환막(240)과 양이온 교환막(250) 사이에 물 이동부(280) 및 상기 양이온 교환막(250)과 애노드(110) 사이에 염기용액 이동부(290)를 포함하고, 상기 산용액 공급부(500) 및 염기용액 공급부(600)는 상기 단위셀(220) 내의 산용액 이동부(270) 및 염기용액 이동부(290)에 각각 산용액 및 염기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물 공급부(550)는 상기 단위셀(220) 내의 물 이동부(280)에 물을 공급하는 것인 수소생산 장치(101)를 제공한다.Anode 110; Cathode 120; An electrolyte part 200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110 and the cathode 120; A hydrogen transfer tube 300 and a conducting wire 400 connecting the anode 110 and the cathode 120; And an acid solution supply unit 500, a water supply unit 550, and a base solution supply unit 600 respectively supplying an acid solution, water, and base solution to the electrolyte unit 200, wherein the electrolyte unit 200 includes A unit cell 220 including an anion exchange membrane 240 and a cation exchange membrane 250 disposed in sequence, and an acid solution moving part 270 between the cathode 120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40, and the anion A water transfer unit 280 between the exchange membrane 240 and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50 and a base solution transfer unit 290 betwee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50 and the anode 110, and the acid solution supply unit 500 And the base solution supply unit 600 supplies an acid solution and a base solution to the acid solution movement unit 270 and the base solution movement unit 290 in the unit cell 220, respectively, and the water supply unit 550 is the unit It provides a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101 that supplies water to the water moving unit 280 in the cell 220.

이하,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수소생산 장치(101)를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101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는 일반적인 연료전지와 유사하게 애노드(110), 캐소드(120), 전해질부(200) 및 도선(400)을 포함한다. 다만, 본원의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는 추가적으로 상기 전해질부(200)에 산용액, 물 및 염기용액을 각각 공급하는 산용액 공급부(500), 물 공급부(550) 및 염기용액 공급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를 연결하는 수소이동관(300)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includes an anode 110, a cathode 120, an electrolyte unit 200, and a conducting wire 400 similar to a general fuel cell. However,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of the present application additionally provides an acid solution supply unit 500, a water supply unit 550, and a base solution supply unit 600 respectively supplying an acid solution, water, and base solution to the electrolyte unit 200. It may further include, and may further include a hydrogen transfer tube 300 connecting the anode 110 and the cathode 120.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는 상기 전해질부(20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음이온 교환막(240) 및 양이온 교환막(250)을 포함하는 단위셀(220)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셀(220)에 산용액, 물 및 염기용액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캐소드(120)에서 수소 이온이 전자와 반응하여 환원반응을 통하여 수소기체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수소기체가 상기 수소이동관(300)을 통하여 애노드(110)로 전달되며, 상기 애노드(110)로 전달된 수소기체가 수산화이온과 반응하여 산화반응을 통하여 물 및 전자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전자가 상기 도선(400)을 통하여 상기 캐소드(120)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소드(120)가 인접한 단위셀(220)의 산용액 이동부(270)와 접해있음으로써, 산용액 이동부(270)에 공급되는 산용액에 포함된 수소이온이 상기 캐소드(1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달된 수소이온이 애노드(110)에서 생성된 전자와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환원반응을 통하여 수소기체가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includes a unit cell 220 including an anion exchange membrane 240 and a cation exchange membrane 250 in which the electrolyte part 200 is sequentially disposed, By supplying an acid solution, water and a base solution to the unit cell 220, hydrogen ions react with electrons in the cathode 120 to generate hydrogen gas through a reduction reaction, and the generated hydrogen gas is transferred to the hydrogen transfer tube ( 300) is transferred to the anode 110, and the hydrogen gas transferred to the anode 110 reacts with hydroxide ions to generate water and electrons through an oxidation reaction, and the generated electrons pass through the conducting wire 400.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athode 120 through. Specifically, since the cathode 120 is in contact with the acid solution moving part 270 of the adjacent unit cell 220, hydrogen ions contained in the acid solution supplied to the acid solution moving part 270 are transferred to the cathode 120 ) Can be delivered. The transferred hydrogen ions may be electrons generated in the anode 110 and hydrogen gas is generated through a reduction reaction as shown in Formula 1 below.

<화학식 1><Formula 1>

4H+ + 4e- → 2H2(g) 4H + + 4e - → 2H 2 (g)

이때, 상기 환원반응은 상온에서 환원 포텐셜값이 0 V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duction reaction may have a reduction potential value of 0 V at room temperature.

또한, 상기 캐소드(120)에서 생성된 수소기체가 상기 수소이동관(300)을 통하여 애노드(110)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애노드(110)가 인접한 단위셀(220)의 염기용액 이동부(290)와 접해있음으로써, 염기용액 이동부(290)에 공급되는 염기용액에 포함된 수산화이온이 상기 애노드(11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된 수산화이온 및 수소기체가 하기 화학식 2와 같이 산화반응을 통하여 물 및 전자가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ydrogen gas generated in the cathode 120 may be transferred to the anode 110 through the hydrogen transfer pipe 300. At this time, since the anode 110 is in contact with the base solution moving part 290 of the adjacent unit cell 220, the hydroxide ions contained in the base solution supplied to the base solution moving part 290 are transferred to the anode 110. Can be delivered to. Therefore, it may be that the transferred hydroxide ions and hydrogen gas generate water and electrons through an oxidation reaction as shown in Formula 2 below.

<화학식 2><Formula 2>

4OH- + 2H2 → 4e- + 4H2O 4OH - + 2H 2 → 4e - + 4H 2 O

이때, 상기 산화반응은 상온에서 환원 포텐셜값이 0.4 V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oxidation reaction may have a reduction potential value of 0.4 V at room temperature.

상기 화학식 2에서 생성된 전자는 도선(400)을 통하여 상기 애노드(110)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화학식 1의 반응이 다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The electrons generated in Formula 2 may be transferred to the anode 110 through the conducting wire 400, and thus the reaction of Formula 1 may be performed again.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산용액 및 염기용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폐산용액 또는 폐염기용액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폐산용액 또는 폐염기용액은 산업적으로 방출될 수 있는 통상의 폐산용액 또는 폐염기용액일 수 있으며,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는 폐산용액 또는 폐염기용액을 통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외부 전압의 인가가 필요없어 경제적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산업상 폐산용액 및 폐염기용액 중 어느 하나만 배출되는 것이 통상적인 바, 폐산용액을 배출하는 산업일 경우 염기용액은 따로 구입하여 공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와 반대일 경우에는 산용액을 따로 구입하여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폐산용액 및 폐염기용액 모두를 배출하는 산업일 경우 상기 배출된 폐산용액 및 폐염기용액을 모두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t least one of the acid solution and the base solution may be a waste acid solution or a waste base solution. The waste acid solution or waste base solution may be a conventional waste acid solution or waste base solution that can be released industrially, and since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is driven through a waste acid solution or a waste base solution, application of an external voltage is not required. It is not necessary, so the economic cost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in industry, it is common for only one of the waste acid solution and the waste base solution to be discharged.In the case of an industry that discharges the waste acid solution, the base solution may be separately purchased and supplied, and in the opposite case, the acid solution is purchased separately. It may be to supply. However, in the case of an industry that discharges both the waste acid solution and the waste base solution, it may be to supply both the discharged waste acid solution and the waste base solution.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는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 촉매로 사용될 수 있는 전극 또는 금속 촉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 전극은 은(Ag), 은 합금, 백금, 이리듐,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또는 백금-M 합금 (M은 Ir, Ga, Ti, V, Cr, Mn, Fe, Co, Ni, Cu 및 Z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이 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은(Ag), 은 합금, 백금, 이리듐, 루테늄, 오스뮴, 백금-이리듐 합금,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백금-코발트 합금 및 백금-니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 전극의 금속 촉매로는 담체에 지지된 것으로서, 아세틸렌 블랙, 흑연과 같은 탄소,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등을 담체로 하여 금속을 담지한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담체에 담지된 귀금속을 촉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용화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담체에 귀금속을 담지시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node 110 and the cathode 120 may include an electrode or a metal catalyst that can be used as a catalyst for the anode 110 and the cathode 120, for example, the anode ( 110) and the cathode 120 electrodes are silver (Ag), silver alloy, platinum, iridium, ruthenium, osmium, platinum-ruthenium alloy, platinum-osmium alloy, platinum-palladium alloy or platinum-M alloy (M is Ir, Ga , Ti, V, Cr, Mn, Fe, Co, Ni, Cu, and one or more transition met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n) may include one or more catalysts selected from, for example, silver (Ag ), silver alloy, platinum, iridium, ruthenium, osmium, platinum-iridium alloy, platinum-ruthenium alloy, platinum-osmium alloy, platinum-palladium alloy, platinum-cobalt alloy, and platinum-nickel. I can. In addition, as the metal catalyst of the anode 110 and the cathode 120 electrode, as a catalyst supported on a carrier, a catalyst supporting a metal using carbon such as acetylene black, graphite, alumina, silica, zirconia, titania, etc. Can be used. When a noble metal supported on a carrier is used as a catalyst, a commercially available one may be used, or it may be prepared and used by supporting a noble metal on the carrier.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는 다공성 구조인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소드(120)에서 생성된 수소기체가 캐소드(120)로부터 탈착되어 상기 수소이동관(300)으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된 수소기체가 상기 수소이동관(300)을 통하여 애노드(110)로 전달되어 수산화이온과 반응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node 110 and the cathode 120 may have a porous structure. Accordingly, the hydrogen gas generated in the cathode 120 may be desorbed from the cathode 120 and transferred to the hydrogen transfer pipe 300. In addition, the transferred hydrogen gas may be transferred to the anode 110 through the hydrogen transfer pipe 300 to react with hydroxide ions.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120) 및 애노드(110)의 크기는 제한이 없으며, 상기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의 크기는 상기 캐소드(120) 및 애노드(110)의 크기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ize of the cathode 120 and the anode 110 is not limited, and the size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may be the same as the sizes of the cathode 120 and the anode 110 have.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220) 내의 인접하는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간의 간격은 100 μm 내지 300 μ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50 μm 내지 200 μ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간격이 100 μm 미만일 경우 간격이 매우 협소하여 압력손실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산용액, 물 및 염기용액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300 μm 초과일 경우 상기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간의 간격이 너무 넓어 발생한 이온이 양쪽의 이온교환막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이온이 이동하기 위한 저항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adjacent to the unit cell 220 may be 100 μm to 300 μm, preferably 150 μm to 200 μm. If the distance is less than 100 μm, the distance betwee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may not be smooth because the distance is very narrow and a large pressure loss occurs. Since the distance that the generated ions move to both ion exchange membranes is increased due to the wide area, the size of the resistance to move the ions may increase.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는 상기 단위셀(220)을 복수 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단위셀(220)과 단위셀(220) 사이에 물 이동부(295)를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부(550)에서 상기 단위셀(220) 사이의 물 이동부(295)에 물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에서 상기 단위셀(220)을 많이 포함할수록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 간의 포센셜 값의 차이가 증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단위셀(220)을 6개 포함할 경우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 간의 포텐셜 값의 차이는 2.4 V인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cells 220, and in this case, water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cells 220 and the unit cell 220 Each of the moving parts 295 may be further included, and water may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550 to the water moving parts 295 between the unit cells 220. The more the unit cell 220 is included i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the potential value between the anode 110 and the cathode 120 may increase. For example, the unit cell 220 When six are included, the difference in potential value between the anode 110 and the cathode 120 may be 2.4 V.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는 각각 외측면이 집전판(800)과 접해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집전판(800)의 재질은 크게 제한이 없으며, 상기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 각각의 외측면에 접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소기체 또는 물이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전판(800)의 크기는 상기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ach of the anode 110 and the cathode 120 may have an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urrent collector plate 800. The material of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800 is not limited, and hydrogen gas or water generated b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anode 110 and the cathode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It may be to prevent it. Accordingly, the size of the current collector plate 80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anode 110 and the cathode 120.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는 상기 산용액 이동부(270), 염기용액 이동부(290) 및 단위셀(220)과 단위셀(220) 사이의 물 이동부(295)에서 배출되는 용액을 배출하는 제1 배출부(650) 및 상기 단위셀(220) 내의 물 이동부(280)에서 배출되는 용액을 배출하는 제2 배출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includes the acid solution moving part 270, the base solution moving part 290, and the water moving part between the unit cell 220 and the unit cell 220 ( 295)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ischarge unit 650 for discharging the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unit cell 220, and a second discharge unit 700 for discharging the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water moving unit 280 in the unit cell 220. have.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650)에서 물이 배출되고, 상기 제2 배출부(700)에서 염이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용액 이동부(270)에 공급되는 산용액은 수소 양이온이 양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이동되며, 음이온 또한 음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이동되어 배출 시 물만 배출되는 것일 수 있으며, 동일한 이유로 염기용액 이동부(600)에 공급되는 염기용액은 양이온이 양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이동되며, 수산화이온이 음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이동되어 배출 시 물만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셀 간 물 이동부(295)에는 물 공급부(550)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며, 일측면에 음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접한 염기용액 이동부(290)에서 상기 음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수산화이온이 전달되고, 타측면에 양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접한 산용액 이동부(270)에서 상기 양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수소이온이 전달되어 물이 생성되어 배출 시 물만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산용액 이동부(270), 염기용액 이동부(290) 및 단위셀 간 물 이동부(295)에서 배출되는 용액은 물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 배출부(650)를 통하여 동일한 곳으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반면, 상기 단위셀 내 물 이동부(280)에는 상기 물 공급부(550)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나, 일측면에 음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접한 산용액 이동부(270)에서 음이온이 전달되고, 타측면에 양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접한 염기용액 이동부(290)에서 양이온이 전달되어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이 염을 형성하기 때문에 배출되는 용액은 염일 수 있으며, 상기 염은 상기 제2 배출부(700)를 통하여 동일한 곳으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ater may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unit 650 and salt may be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scharge unit 700. Specifically, the acid solution supplied to the acid solution transfer unit 270 may be that hydrogen cations are moved through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anions are also transferred through the anion exchange membrane so that only water is discharged when discharged.For the same reason, the base solution transfer unit The base solution supplied to 600 may be that cations are moved through a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hydroxide ions are moved through an anion exchange membrane, so that only water is discharged when discharged. In addition,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transfer unit 295 between unit cells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550, and hydroxide ions are transferred through the anion exchange membrane from the base solution moving unit 290 in contact with the anion exchange membrane on one side. In addition, hydrogen ions are transferred through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from the acid solution moving part 270 in contact with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on the other side to generate water, and only water may be discharged when discharged. Therefore, the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acid solution moving part 270, the base solution moving part 290, and the water moving part 295 between unit cells may be water, which is the same plac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rt 650. It may be discharged. On the other hand,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moving part 280 in the unit cell through the water supply part 550, but anions are transferred from the acid solution moving part 270 in contact with the anion exchange membrane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ince the cation is transferred from the base solution moving part 290 in contact with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and the cation form a salt, the discharged solution may be a salt, and the salt is at the same plac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700 It may be discharged.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산용액 공급부(500), 물 공급부(550) 및 염기용액 공급부(600)에서 산용액 이동부(270), 물 이동부(280, 295) 및 염기용액 이동부(290)로 연결되는 배관에는 펌프 및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펌프 및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공급되는 산용액, 물 및 염기용액의 유량 또는 유속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를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each of the acid solution supply unit 500, the water supply unit 550, and the base solution supply unit 600, the acid solution movement unit 270, the water movement unit (280, 295) and the base solution A pump and a valve may be installed in the pipe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290. By installing the pump and the valve, the flow rate or flow rate of the supplied acid solution, water, and base solution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so that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can be smoothly operated.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산용액은 H+ 양이온 및 F-, Cl-, Br-, I-, SO4 2-, NO3 -, ClO4 - 중 어느 하나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기용액은 Li+, Na+, K+, Mg2+, Ca2+, Ba2+ 중 어느 하나의 양이온 및 OH-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id solution is a cation H + and F -, Cl -, Br - , I -, SO 4 2-, NO 3 -, ClO 4 - could be to include any of the anion of have. In addition, the base solution may contain a cation of any one of Li + , Na + , K + , Mg 2+ , Ca 2+ , Ba 2+ and an anion of OH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산용액은 염산(hydrochloric acid, HCl)을 포함하고, 염기용액은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염산의 클로라이드 이온이 상기 음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상기 산용액 이동부(270)와 접해있는 물 이동부(280)로 이동하며, 상기 수산화나트륨의 소듐 이온이 상기 양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상기 염기용액 이동부(290)와 접해있는 물 이동부(280)로 이동하여 상기 산용액 이동부(270) 및 염기용액 이동부(290)와 접해있는 물 이동부(280)에서 소듐 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NaCl)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는 상기 형성된 소듐 클로라이드를 저장하는 소듐 클로라이드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소듐 클로라이드 탱크는 상기 제2 배출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형성된 소듐 클로라이드는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전달된 소듐 이온 및 클로라이드 이온으로 형성된 것이므로, 불순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고순도 소듐 클로라이드인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eferably, the acid solution may include hydrochloric acid (HCl), and the base solution may include sodium hydroxide (NaOH). In this case, the chloride ions of the hydrochloric acid move through the anion exchange membrane to the water transfer section 280 in contact with the acid solution transfer section 270, and the sodium ions of the sodium hydroxide pass through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Sodium chloride (NaCl) in the water moving part 280 in contact with the acid solution moving part 270 and the base solution moving part 290 by moving to the water moving part 280 in contact with the moving part 290 ) May be formed. Meanwhile, the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101 may further include a sodium chloride tank for storing the formed sodium chloride. That is, the sodium chloride tank may be the second discharge unit. Since the formed sodium chloride is formed of sodium ions and chloride ions transferred through a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an anion exchange membrane, it may be a high purity sodium chloride containing almost no impurities.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는 운전 시작 시에 애노드(110)에 수소기체를 외부에서 공급하여 주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운전 시작 시 애노드(110)에 수소기체가 공급되어야 애노드(110)에 접해있는 염기용액 이동부(290)로부터 전달된 수산화이온이 반응하여 전자가 생성되며, 상기 전자가 캐소드(120)로 전달되어야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가 운전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의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캐소드(120)에서 수소기체가 생성되어 상기 생성된 수소기체가 상기 애노드(110)로 수소이동관(300)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소기체는 그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may supply hydrogen gas to the anode 110 from the outside at the start of operation. This means that when hydrogen gas is supplied to the anode 110 at the start of operation, the hydroxide ions transferred from the base solution moving unit 290 in contact with the anode 110 react to generate electrons, and the electrons are transferred to the cathode 120. This may be because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can be operated only. However, when the operation of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starts, hydrogen gas is generated in the cathode 120 and the generated hydrogen gas can be transferred to the anode 110 through the hydrogen transfer pipe 300. The hydrogen gas supplied from may stop the supply.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는 도선(400)에 커패시터, 축전기, 이차전지 또는 흐름전지 등의 에너지 저장 장치(미도시)를 연결함으로써 운전 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집된 전기 에너지를 기타 산업에 전력원으로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는 산용액 및 염기용액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애노드(110)에서 발생하는 전자가 상기 도선(400)을 통하여 캐소드(120)로 전달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도선(400)에 커패시터 또는 축전기를 연결하여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collects electrical energy generated during operation by connecting an energy storage device (not shown) such as a capacitor, a capacitor, a secondary battery, or a flow battery to the conducting wire 400 It can be. Therefore, the collected electric energy may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other industries. That is,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supplies an acid solution and a base solution so that electrons generated from the anode 110 are transferred to the cathode 120 through the conductor 400, and at this time, the conductor 400 It may be to recycle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connecting a capacitor or a capacitor to.

본원의 제 2 측면은,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복수 개의 상기 제 1 측면의 수소생산 장치(101)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것인, 스택을 제공한다.A plurality of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es 101 of the first side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to provide a stack.

본원의 제 1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본원의 제 1 측면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제 2 측면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s of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been omitted, but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equally applied even if the description is omitted in the second aspect.

이하,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상기 스택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가 직렬로 연결된 스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가 병렬로 연결된 스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Hereinafter, the stack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ck in which the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101 is connected in series, and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ck in which the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101 is connected in parallel.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3에 따라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는 직렬로 연결되어 스택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 간의 연결은 도선(400)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에 있어서,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를 연결하는 도선(400)이 단일 수소생산 장치(101) 내에서 연결된 구조가 아닌 이웃하는 수소생산 장치(101) 간에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즉, 본원의 제 1 측면의 수소생산 장치(101)의 개략도를 나타낸 도 1 및 2에서 수소이동관(300)을 포함한 모든 구성이 도 3에 나타낸 수소생산 장치(101) 각각의 구성과 같은 것이나, 도선(400)만은 이웃하는 수소생산 장치(101)와 연결된 형태이며, 직렬로 연결된 스택 양 끝단의 수소생산 장치(101) 또한 상기 도선(400)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ccording to FIG. 3,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may be connected in series to form a stack.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may be connected by a conducting wire 400, in this case, i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node 110 and the cathode 120 The conducting wire 400 connecting the is not a structure connected within a singl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but may be connected between neighboring hydrogen production devices 101. That is, all the configurations including the hydrogen transfer pipe 300 in FIGS. 1 and 2 showing a schematic diagram of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s 101 shown in FIG. 3, Only the conductive wire 400 is connected to the adjacent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and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s 101 at both ends of the stack connected in series may also be connected by the conductive wire 400.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가 직렬로 연결되어 스택을 구성할 경우, 캐소드(120)에서 수소 이온이 전자와 반응하여 환원반응을 통하여 수소기체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수소기체가 수소이동관(300)을 통하여 애노드(110)로 전달되며, 상기 애노드(110)로 전달된 수소기체가 수산화이온과 반응하여 산화반응을 통하여 물 및 전자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전자가 도선(400)을 통하여 이웃하는 수소생산 장치(101)의 캐소드(120)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원리로 직렬로 연결된 각각의 수소생산 장치(101)가 작동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일측 끝단에 위치한 수소생산 장치(101)의 애노드에서 발생한 전자는 타측 끝단에 위치한 수소생산 장치(101)의 캐소드로 전달되어 상기 스택이 전체적으로 작동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is connected in series to form a stack, hydrogen ions react with electrons at the cathode 120 to generate hydrogen gas through a reduction reaction, and the generation The generated hydrogen gas is transferred to the anode 110 through the hydrogen transfer tube 300, and the hydrogen gas transferred to the anode 110 reacts with hydroxide ions to generate water and electrons through an oxidation reaction, and the generated electrons May be transmitted to the cathode 120 of the neighboring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through the conducting wire 400. Each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connected in series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described above, and at this time, electrons generated from the anode of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located at one end are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located at the other end. It may be transferred to the cathode of the stack to operate as a whole.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가 직렬로 연결되어 스택을 구성할 경우 각각의 수소생산 장치(101)에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수집하여 기타 산업의 전력원 등으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택 전체의 전류는 일정하나 전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생산 장치(101) 10 개를 직렬로 연결한 스택의 경우, 각각의 수소생산 장치(101)에서 0.4 V의 전위차가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스택 전체에서는 4 V의 전위차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is connected in series to form a stack,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from each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is collected and used as a power source for other industries. In particular, the current of the entire stack is constant, but since the voltage increases, power may be increas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tack in which 10 hydrogen production devices 101 are connected in series, assuming that a potential difference of 0.4 V occurs in each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a potential difference of 4 V may occur in the entire stack. There may be.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4에 따라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는 병렬로 연결되어 스택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 간의 연결은 도선(400)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에 있어서,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를 연결하는 도선(400)이 단일 수소생산 장치(101) 내에서 연결된 구조가 아닌 모든 수소생산 장치(101) 간에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ccording to FIG. 4, the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101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form a stack.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may be connected by a conducting wire 400, in this case, i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node 110 and the cathode 120 The conductive wire 400 connecting the hydrogen may be connected between all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s 101 rather than a structure connected within a singl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가 병렬로 연결되어 스택을 구성할 경우, 캐소드(120)에서 수소 이온이 전자와 반응하여 환원반응을 통하여 수소기체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수소기체가 수소이동관(300)을 통하여 애노드(110)로 전달되며, 상기 애노드(110)로 전달된 수소기체가 수산화이온과 반응하여 산화반응을 통하여 물 및 전자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전자가 도선(400)을 통하여 모든 수소생산 장치(101)의 캐소드(120)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원리로 병렬로 연결된 각각의 수소생산 장치(101)가 작동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is connected in parallel to form a stack, hydrogen ions react with electrons at the cathode 120 to generate hydrogen gas through a reduction reaction, and the generation The generated hydrogen gas is transferred to the anode 110 through the hydrogen transfer tube 300, and the hydrogen gas transferred to the anode 110 reacts with hydroxide ions to generate water and electrons through an oxidation reaction, and the generated electrons May be delivered to the cathode 120 of all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through the wire 400. Each of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s 101 connected in parallel may operate on the same principle as described above.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산 장치(101)가 병렬로 연결되어 스택을 구성할 경우 각각의 수소생산 장치(101)에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수집하여 기타 산업의 전력원 등으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택 전체의 전압은 일정하나 전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s 101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form a stack, electric energy generated from each hydrogen production device 101 is collected and used as a power source for other industries. In particular, the voltage across the stack is constant, but power may be increased because the current increases.

101: 수소생산 장치
110: 애노드
120: 캐소드
200: 전해질부
220: 단위셀
240: 음이온 교환막
250: 양이온 교환막
270: 산용액 이동부
280: 단위셀 내 물 이동부
290: 염기용액 이동부
295: 단위셀 간 물 이동부
300: 수소이동관
400: 도선
500: 산용액 공급부
550: 물 공급부
600: 염기용액 공급부
650: 제1 배출부
700: 제2 배출부
800: 집전판
101: hydrogen production device
110: anode
120: cathode
200: electrolyte part
220: unit cell
240: anion exchange membrane
250: cation exchange membrane
270: acid solution moving part
280: water moving part in the unit cell
290: base solution moving part
295: water moving part between unit cells
300: hydrogen transfer pipe
400: lead
500: acid solution supply
550: water supply
600: base solution supply unit
650: first discharge unit
700: second discharge unit
800: collector plate

Claims (13)

애노드;
캐소드;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부;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를 연결하는 수소이동관과 도선; 및
상기 전해질부에 산용액, 물 및 염기용액을 각각 공급하는 산용액 공급부, 물 공급부 및 염기용액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부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음이온 교환막 및 양이온 교환막을 포함하는 단위셀을 포함하고,
상기 캐소드와 음이온 교환막 사이에 산용액 이동부, 상기 음이온 교환막과 양이온 교환막 사이에 물 이동부 및 상기 양이온 교환막과 애노드 사이에 염기용액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용액 공급부 및 염기용액 공급부는 상기 단위셀 내의 산용액 이동부 및 염기용액 이동부에 각각 산용액 및 염기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단위셀 내의 물 이동부에 물을 공급하는 것인 수소생산 장치.
Anode;
Cathode;
An electrolyte part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 hydrogen transfer tube and a conducting wire connecting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An acid solution supply unit, a water supply unit, and a base solution supply unit respectively supplying an acid solution, water and a base solution to the electrolyte unit;
Including,
The electrolyte unit includes a unit cell including an anion exchange membrane and a cation exchange membrane sequentially disposed,
An acid solution moving part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a water moving part between the an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a base solution moving part betwee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ode,
The acid solution supply unit and the base solution supply unit supply an acid solution and a base solution to an acid solution moving unit and a base solution moving unit in the unit cell, respectively, and the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to a water moving unit in the unit cell Phosphorus hydrogen produ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에서 수소 이온이 전자와 반응하여 환원반응을 통하여 수소기체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수소기체가 상기 수소이동관을 통하여 애노드로 전달되며,
상기 애노드로 전달된 수소기체가 수산화이온과 반응하여 산화반응을 통하여 물 및 전자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전자가 상기 도선을 통하여 상기 캐소드로 전달되는 것인, 수소생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athode, hydrogen ions react with electrons to generate hydrogen gas through a reduction reaction,
The generated hydrogen gas is transferred to the anode through the hydrogen transfer tube,
Hydrogen gas transferred to the anode reacts with hydroxide ions to generate water and electrons through oxidation,
The generated electrons are transferred to the cathode through the conducting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용액 및 염기용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폐산용액 또는 폐염기용액인 것인, 수소생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acid solution and the base solution is a waste acid solution or a waste base sol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는 다공성 구조인 것인, 수소생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node and cathode will have a porous structure, hydrogen produ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 내의 인접하는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간의 간격은 100 μm 내지 300 μm인 것인, 수소생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val between the adjacent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in the unit cell is 100 μm to 300 μm, hydrogen produ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는 각각 외측면이 집전판과 접해있는 것인, 수소생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node and the cathode, respectively, the out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current collector plate,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은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에 물 이동부를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부에서 상기 단위셀 사이의 물 이동부에 물을 공급하는 것인 수소생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cell is plural,
Each further comprises a water moving part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cells and the unit cell,
The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moving part between the unit cells in the water suppl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산 장치는 상기 산용액 이동부, 염기용액 이동부 및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의 물 이동부에서 배출되는 용액을 배출하는 제1 배출부 및 상기 단위셀 내의 물 이동부에서 배출되는 용액을 배출하는 제2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수소생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includes a first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a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acid solution moving part, the base solution moving part, and the water moving part between the unit cell and the unit cell, and the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water moving part in the unit cell. The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ischarge unit to dischar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에서 물이 배출되고, 상기 제2 배출부에서 염이 배출되는 것인, 수소생산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unit, and the salt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scharge unit,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용액은 염산(hydrochloric acid, HCl)을 포함하고, 염기용액은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을 포함하는 것인, 수소생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cid solution contains hydrochloric acid (HCl), and the base solution contains sodium hydroxide (NaOH).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염산의 클로라이드 이온이 상기 음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상기 산용액 이동부와 접해있는 물 이동부로 이동하며, 상기 수산화나트륨의 소듐 이온이 상기 양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상기 염기용액 이동부와 접해있는 물 이동부로 이동하여 상기 산용액 이동부 및 염기용액 이동부와 접해있는 물 이동부에서 소듐 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NaCl)가 형성되는 것인, 수소생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chloride ions of the hydrochloric acid move through the anion exchange membrane to the water moving part in contact with the acid solution moving part, and the sodium ions of the sodium hydroxide move to the water moving part in contact with the base solution moving part through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Sodium chloride (NaCl) is formed in the water moving part in contact with the acid solution moving part and the base solution moving part, hydrogen production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산 장치는 상기 형성된 소듐 클로라이드를 저장하는 소듐 클로라이드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수소생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sodium chloride tank for storing the formed sodium chloride.
복수 개의 상기 제1항의 수소생산 장치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것인, 스택.A stack of a plurality of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s of claim 1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KR1020190074865A 2019-06-24 2019-06-24 Hydrogen production system using acid-base solution KR1022046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865A KR102204669B1 (en) 2019-06-24 2019-06-24 Hydrogen production system using acid-base solu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865A KR102204669B1 (en) 2019-06-24 2019-06-24 Hydrogen production system using acid-base solu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73A true KR20210000073A (en) 2021-01-04
KR102204669B1 KR102204669B1 (en) 2021-01-19

Family

ID=7412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865A KR102204669B1 (en) 2019-06-24 2019-06-24 Hydrogen production system using acid-base solu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6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7429A (en) 2022-07-08 2024-01-16 이종철 A hydrogen produc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178A (en) * 1995-03-10 1996-09-24 Permelec Electrode Ltd Electrochemical recovering method of salts and device therefor
KR20180083717A (en) * 2017-01-13 2018-07-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odium hydroxid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and hybrid system using the same
KR101966784B1 (en) * 2017-10-12 2019-04-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The generating device for contiuous hydrogen peroxide
KR20190051186A (en) * 2017-11-06 2019-05-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Hybrid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electricity and desal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178A (en) * 1995-03-10 1996-09-24 Permelec Electrode Ltd Electrochemical recovering method of salts and device therefor
KR20180083717A (en) * 2017-01-13 2018-07-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odium hydroxid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and hybrid system using the same
KR101966784B1 (en) * 2017-10-12 2019-04-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The generating device for contiuous hydrogen peroxide
KR20190051186A (en) * 2017-11-06 2019-05-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Hybrid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electricity and desal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669B1 (en)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7396B2 (en) Alkaline water electrolysis method
JP6450636B2 (en) Electrolysis method
CN104114748A (en) Electrolysis cell and electrolysis tank
WO2010134717A2 (en) Electrolytic synthesis of hydrogen peroxide directly from water and application thereof
JP6788378B2 (en) Water electrolysis cell and multi-pole water electrolysis tank
JP5836016B2 (en) Water electrolyzer
KR20120130671A (en) The portable water generator containing hydrogen gas or containing oxygen gas
JP2022541385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JP2005144240A (en) Electrolytic cell and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KR102204669B1 (en) Hydrogen production system using acid-base solution
CN113862696A (en) Hydrogen production method based on solid oxide electrolyzed water
JP4601647B2 (en) Hydrogen generator and fuel cell system using the same
CN114402095A (en) Cross-flow water electrolysis
EP1358365A2 (en) Electrochemical cell
KR102199185B1 (en) Fuel cell system based on acidic or basic waste water
US20070131541A1 (en) Electrolysis vessel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lyzed water
WO2018079965A1 (en)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energy-independent hydrogen-electricity hybrid charging station, which us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producing hydrogen-electricity
JP7170061B2 (en) Hydrogen production method
CN113026044A (en) Three-chamber two-power-supply full-decomposition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method
CN106898805A (en) A kind of concentration cell
KR101274620B1 (en) System for generating disinfectants
JP3921300B2 (en) Hydrogen generator
KR102375655B1 (en) Apparatus of generating hydrogen peroxide using two electron oxygen reduction reaction
KR102328131B1 (en) Hydrogen production device using high concentration ionic solution
JP4582784B2 (en) Ion exchange membrane electrolysi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