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6007A - 동영상 시스템 및 동영상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동영상 시스템 및 동영상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6007A
KR20200146007A KR1020200006076A KR20200006076A KR20200146007A KR 20200146007 A KR20200146007 A KR 20200146007A KR 1020200006076 A KR1020200006076 A KR 1020200006076A KR 20200006076 A KR20200006076 A KR 20200006076A KR 20200146007 A KR20200146007 A KR 20200146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dentifier
stream data
cloud server
service scenar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223B1 (ko
Inventor
밍루 리
휘펑 션
페이페이 차오
리 요우
홍바이 동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14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6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5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generat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 or scheduling item distribution according to such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시스템 및 처리 방법, 장치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프론트 엔드 장치와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는,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당하며, 상기 동영상 식별자,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기술안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버 상에 동영상 처리 서비스가 호스팅되는 바, 동영상 서비스 처리를 가능한 빠르게 수행할 수 있어서, 동영상 처리 능력이 유저에 더 가까워지게 하고, 더 빠른 처리 응답을 실현함으로써, 동영상 시스템 중의 동영상 처리 링크를 효과적으로 단축시키고, 동영상 처리의 지연을 줄이며, 동영상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시스템 및 동영상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VIDEO SYSTEM AND VIDEO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컴퓨터 응용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인 바, 특히 동영상 시스템 및 동영상 처리 방법, 장치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커넥티드 동영상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의 보급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온 디맨드, 생방송 및 쇼트 동영상은 더욱이 유저의 하루하루의 대부분의 레저 시간을 차지하는 바, 동영상 보기는 이미 현재의 새로운 오락 추세로 되었다.
커넥티드 모바일 동영상 시스템에 있어서, 동영상 생산은 모바일 네트워크, 모바일 장치 및 클라우드 서비스과 함께 진일보 발전하여, 핸드폰 카메라를 캐리어로 동영상을 온시키는 새로운 추세가 대두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동영상 시스템의 서비스 시나리오의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동영상 시스템은 프론트 엔드 장치, 클라우드 서버 및 서비스 처리 장치와 같은 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론트 엔드 장치는 업로드 단말 및/또는 소비(커스터머) 단말, 카메라, 인코딩/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클라우드 서버는 업로드 리소스 배포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CDN) 노드, 배포 CDN 노드 및 저장 노드를 포함하며, 서비스 처리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의 저장 노드에 저장된 동영상에 대해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 주요 흐름은, 업로드 단말이 유저의 트리거를 받아 카메라를 온시켜 화면을 수집하고, 인코딩/디코딩 모듈을 통해 수집된 화면의 데이터에 대해 인코딩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동영상 파일을 합성하여, 클라우드 서버 중의 업로드 CDN 노드에 업로드하는 것이다. 당해 업로드 CDN 노드는 동영상 파일을 저장 노드에 저장한다. 서비스 처리 장치는 저장 노드에서 동영상 파일을 취득하고, 동영상 파일에 대해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여, 서비스 처리 후의 동영상 파일을 저장 노드에 계속 저장한다. 소비 단말이 클라우드 서버에 동영상을 요청할 경우, 배포 CDN 노드는 소비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저장 노드에서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취득하고, 포맷된 데이터로 패키징하여, 소비 단말 중의 인코딩/디코딩 모듈에 전송하며, 당해 인코딩/디코딩 모듈이 데이터를 패키징 해체하여 소비 단말에 송신하며, 소비 단말이 OpenGL처리를 수행하여 동영상 화면을 표시한다.
종래의 상술한 동영상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전체의 동영상 처리 링크가 상대적으로 길기에, 동영상 처리의 비교적 큰 지연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 처리 링크를 단축시키고, 동영상 처리 지연을 줄이기 위한 동영상 시스템 및 동영상 처리 방법, 장치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상기 시스템은 프론트 엔드 장치와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는,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당하며, 상기 동영상 식별자,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저장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 처리 방법을 더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당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 식별자,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 처리 방법을 더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프론트 엔드 장치가 업로드한 상기 동영상 식별자,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프론트 엔드 장치를 더 제공하는 바, 상기 장치는,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모듈;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당하기 위한 배당 모듈; 및
상기 동영상 식별자,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를 더 제공하는 바,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업로드 CDN 노드와 저장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업로드 CDN 노드는, 프론트 엔드 장치가 업로드한 상기 동영상 식별자,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업로드 CDN 노드는 또한,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업로드 CDN 노드는 또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저장 노드에 저장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 장치를 더 제공하는 바, 상기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상기의 동영상 처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더 제공하는 바,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시, 상기의 동영상 처리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 시스템 및 처리 방법, 장치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따르면, 상술한 기술안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 상에 동영상 처리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바, 동영상이 저장되기까지 대기한 후 동영상 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동영상 서비스 처리를 가능한 빠르게 수행할 수 있기에, 동영상 처리 능력이 유저에 더 가까워지게 하고, 더 빠른 처리 응답을 실현함으로써, 동영상 시스템 중의 동영상 처리 링크를 효과적으로 단축시키고, 동영상 처리의 지연을 줄이며, 동영상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와 비교하면, 데이터 링크를 통한 전송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기에, 광대역 네트워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론트 엔드 장치 중의 인코딩/디코딩 모듈을 생략함으로써, 인코딩/디코딩 프로세스를 생략하여, 인코딩/디코딩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문제를 줄였으며, 동영상 데이터이 가능한 빠르게 데이터의 업로드 혹은 전송을 완성하도록 하여, 동영상 처리 링크를 더 한층 줄이고, 동영상 처리 지연을 줄이며, 동영상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안에 있어서, 인코딩/디코딩 모듈을 생략함으로써, 프론트 엔드 장치 측의 동영상 시스템의 클라이언트를 간소화할 수 있어, 유저는 업그레이드하지 않고도 유저의 사용 체험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동영상 시스템의 서비스 시나리오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동영상 시스템의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동영상 시스템의 서비스 시나리오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레임 삽입 정렬의 방식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동영상 처리 방법의 실시예1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동영상 처리 방법의 실시예2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장치의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의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컴퓨터 장치의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컴퓨터 장치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 기술안 및 장점을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하여,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르 결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동영상 시스템의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동영상 시스템은 프론트 엔드 장치 (10) 및 클라우드 서버 (20)를 구비할 수 있다. 당해 프론트 엔드 장치 (10)와 클라우드 서버 (20)는 통신 연결된다.
여기서, 프론트 엔드 장치 (10)는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고,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동영상 식별자를 배분하고,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의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생성하며, 동영상 식별자,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클라우드 서버 (20)에 업로드하며, 본 실시예의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는 프론트 엔드 장치(10)가 수집한 일정한 시간 장단이 있는 동영상 데이터이다.
본 실시예의 동영상 식별자는 대응하는 동영상을 유일하게 식별하도록 하는 바, 예를 들면, 동영상 식별자는 프론트 엔드 장치(10)가 당해 동영상에 배분한 순서 번호, 혹은 비 순서 번호와 같은 기타 유일한 식별자이다. 당해 동영상 식별자는 텍스트, 문자 혹은 숫자 중의 임의의 하나, 혹은 두개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는 프론트 엔드 장치(10)가 수집한 동영상 데이터의 서비스 시나리오를 식별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동영상을 업로드하는 유저가 프론트 엔드 장치 (10)를 온시켜 동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경우, 먼저 프론트 엔드 장치 (10)에서 서비스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프론트 엔드 장치 (10)는 당해 서비스 시나리오 하에서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할 시, 대응하여 당해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분할 수 있다. 같은 원리로, 본 실시예의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도 수요에 따라 텍스트, 문자 혹은 숫자 중의 임의의 하나, 혹은 두개 이상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본 실시예의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는 사전에 프론트 엔드 장치 (10) 및 클라우드 서버 (20)에 정의될 필요가 있는 바, 클라우드 서버 (20)로 하여금 프론트 엔드 장치 (10)가 업로드한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이 어느 종류의 서비스 시나리오에 속하는 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 (20)는 프론트 엔드 장치 (10)가 업로드한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동영상 식별자 및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동영상 파일을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실제 응용에 있어서, 프론트 엔드 장치 (10)는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전에, 동영상을 업로드한 유저가 입력한 동영상 명칭, 동영상 분야 혹은 동영상 라벨 등과 같은 기타 동영상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클라우드 서버 (20)는 수신한 동영상 명칭, 동영상 분야 혹은 동영상 라벨 등 정보를 동영상 파일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도 2에 나타낸 구조도에서, 동영상 시스템 중에 하나의 프론트 엔드 장치 (10)가 포함되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안을 설명한다. 실제 응용에 있어서, 하나의 클라우드 서버 (20)는 동시에 복수의 프론트 엔드 장치 (1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프론트 엔드 장치 (10)와 클라우드 서버 (20)의 기능 설명은 동영상 시스템에서 동영상을 업로드하는 과정에 발생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동영상 업로드를 완성한 후, 클라우드 서버 (20)는 또한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에 기반하여 동영상 리스트를 생성하고, 동영상 리스트를 로그인된 프론트 엔드 장치 (10)에 송신하는 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영상 리스트 중에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포함되는 예를 들지만, 실제 응용에 있어서, 당해 동영상 리스트 중에는 동영상의 명칭, 동영상 라벨 등 기타 동영상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프론트 엔드 장치 (10)는 또한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렇게 하여, 프론트 엔드 장치 (10)를 사용하는 제1 유저가 동영상 리스트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당해 제1 유저는 동영상의 소비 유저인 바, 당해 제1 유저가 동영상 리스트 중의 어느 동영상 식별자 대응하는 동영상을 보려고 하는 경우, 프론트 엔드 장치 (10)를 통해 동영상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영상 요청을 트리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때, 프론트 엔드 장치 (10)는 또한 제1 유저가 동영상 리스트를 통해 트리거한 동영상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영상 요청을 수신하고, 동영상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영상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 (20)에 송신한다.
클라우드 서버 (20)는 또한, 수신한 동영상 요청 중의 동영상 식별자에 기반하여 저장된 동영상 파일에서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취득하고,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프론트 엔드 장치 (10)에 전송한다.
프론트 엔드 장치 (10)는 또한 클라우드 서버 (20)가 전송한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기술안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버 (20)가 프론트 엔드 장치 (10)에 동영상을 전송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동영상 시스템의 서비스 시나리오 도이다. 본 실시예의 프론트 엔드 장치 (10)에는 업로드 단말 및/또는 소비 단말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도 3에 나타낸 실시예는 업로드 단말과 소비 단말을 동시에 포함하는 예를 들며, 여기서, 업로드 단말 상에는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가 구비된다. 여기서, 업로드 단말은 동영상을 업로드하기 위한 단말이고, 소비 단말은 동영상을 보기 위한 단말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온 디맨드 시나리오와 쇼트 동영상 시나리오에 있어서, 업로드 단말과 소비 단말은 동일한 하나의 단말 실체일 수 있는 바, 먼저 업로드 단말이 동영상을 업로드한 후, 소비 단말이 동영상을 볼 수 있다. 생방송 시나리오에 있어서 동일한 하나의 단말은 업로드와 재생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없다. 그러나, 시간대를 나누어 수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하나의 시간대에서 생방송자로서 동영상을 업로드하여, 생방송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한 시간대에서 생방송 시청자로서 동영상 다운로드하여, 생방송 시청을 구현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 (20)는 업로드 CDN 노드, 배포 CDN 노드 및 저장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을 수집할 시, 구체적으로, 프론트 엔드 장치 (10) 중의 업로드 단말의 카메라가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고, 업로드 단말이 수집한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동영상 식별자를 배당하며, 제2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분한 후, 업로드 단말이 동영상 식별자,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클라우드 서버 (20)에 업로드한다. 본 실시예의 제2 유저는 동영상을 업로드는 유저인 바, 즉 동영상을 생산하는 유저이다.
예를 들면, 제2 유저가 업로드 단말과 같은 사용하는 단말 상의 동영상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를 온시킨 후 촬영을 클릭하여 카메라를 트리거하여 촬영하기 시작할 시, 업로드 단말은 우선 서비스 시나리오 선택 박스를 팝업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시나리오 선택 박스에 온 디맨드 동영상, 생방송 동영상 혹은 쇼트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유저가 여기서 하나의 서비스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클릭하여 확정한다. 이에 대응하여, 업로드 단말은 제2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 시나리오가 검출될 경우, 제2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당해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분한다. 동시에, 카메라가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한다. 온 디맨드 시나리오 혹은 쇼트 동영상일 경우, 업로드 단말은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한 후, 수집한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1차적으로 전부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한다. 생방송 시나리오일 경우, 실시간의 요구가 있으므로, 업로드 단말은 1s, 2s, 3s와 같은 하나의 주기 혹은 기타 시간 주기에 따라, 매 하나의 주기의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가 수집된 후, 수집된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을 동영상 식별자,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 (20)에 업로드해야 한다. 물론, 온 디맨드과 쇼트 동영상 시나리오의 경우에도, 주기에 따라 여러 조로 나누어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 (2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업로드 CDN 노드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동영상 식별자 및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동영상 파일을 저장 노드에 저장한다.
배포 CDN 노드는 저장된 동영상 파일,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에 기반하여 동영상 리스트를 생성하고, 동영상 리스트를 로그인된 소비 단말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하나의 프론트 엔드 장치 (10)의 예를 드는 바, 이때 당해 프론트 엔드 장치 (10) 중의 소비 단말이 당해 동영상 시스템에 로그인했을 경우, 당해 소비 단말은 배포 CDN 노드가 전송한 동영상 리스트를 수신하게 된다.
이어서, 소비 단말은 또한 당해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바, 이렇게 하여, 당해 소비 단말의 제1 유저는 당해 동영상 리스트 중의 모든 동영상 정보를 볼 수 있게 되며, 여기서 시청하려는 동영상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저는 소비 단말을 통해 동영상 요청을 트리거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소비 단말이 터치 스크린일 경우, 당해 제1 유저가 동영상 리스트 중의 하나의 동영상 정보를 직접 클릭하면, 하나의 동영상 요청을 트리거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소비 단말은 또한 제1 유저가 동영상 리스트를 통해 트리거한 동영상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영상 요청을 검출하여 수신한 후, 동영상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영상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 (20)에 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배포 CDN 노드는 또한 소비 단말이 송신한 동영상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영상 요청을 수신하고, 동영상 요청 중의 동영상 식별자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취득하여, 동영상 파일을 대응하는 소비 단말에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소비 단말은 또한 클라우드 서버가 전송한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소비 단말은 동영상 파일을 수신한 후, 먼저 중앙 프로세서(Central Processing Unit ;CPU)를 통해 오픈 그래픽 라이브러리(Open Graphics Library;OpenGL) 기술을 이용하여 동영상 파일에 대응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중의 큐 원시 데이터를 텍스처 객체에 비동기적으로 로드한 후,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GPU)를 통해 마운트 프레임 객체에 대해 캐스케이드 프로세싱을 수행하며, 마지막으로 소비 단말 상에 렌더링하는 바, 이로써 도 3에 나타낸 서비스 시나리오 중의 엔드로부터 클라우드로의 전부의 동영상 처리 프로세스가 완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서비스 시나리오는 이하의 여러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생방송 시나리오 식별자일 경우, 이때 업로드 CDN 노드는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프레임 삽입 정렬 방식을 사용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는 카메라가 하드웨어 장치이가 때문에, 발열 혹은 결함 등 원인으로 인해 프레임 손실과 같은 수집한 화면의 비정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때 생방송할 경우, 유저가 볼때 렉 걸리는 현상이 출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영상 스트림 중 각 프레임 동영상 데이터의 타임 스탬프를 차례로 검출하여,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존재할 경우, 프레임 삽입 정렬 방식을 이용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프레임 삽입 정렬의 방식의 모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는 time line상의 time 0 - time n의 동영상 스트림을 수집하고, 매 하나의 time에 대해 대응하여 당해 프레임의 동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며, 대응하는 동영상 데이터 버퍼(buffer)로 표기한다. 만약, 업로드 CDN 노드에 의해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 time x대응하는 동영상 데이터 버퍼(buffer) x가 손실된 것이 검출되면, 이때 프레임 손실 후의 동영상 데이터를 차례로 모두 앞으로 하나의 프레임을 이동시켜, 앞의 손실된 프레임을 보충하는 바, 이렇게 처리한 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의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의 time line이 time 0 - time n-1로 되며, 대응하는 동영상 데이터도 buffer 0 ~ buffer n-1만 포함하게 된다. 또한, 진일보로,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당해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하나의 엔딩 크레딧 동영상 데이터를 다시 추가하여 time n의 buffer n로 함으로써, 유저의 체험을 증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추가한 엔딩 크레딧 동영상 데이터는 실제 시나리오의 수요에 따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기술안의 처리를 수행한 후, 소비 단말 측에서 생방송 동영상을 시청할 시, 손실된 프레임 위치에서 렉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지만, 프레임의 전후의 두 프레임 동영상 데이터가 손실되면, 화면 차이가 비교적 큰 바, 빨리 감기 재생의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온 디맨드 시나리오일 경우, 이때 업로드 CDN 노드는,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프레임 손실 위치에 사전 설정된 약정 화상 프레임을 삽입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온 디맨드 시나리오는 동영상의 실시간 요구가 높지 않기에, 업로드 CDN 노드에 의해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서 프레임 손실이 검출되면, 프레임 손실 위치에 사전 설정된 약정 화상 프레임을 삽입하여, 그 후 모든 프레임의 동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당해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쇼트 동영상 식별자인 경우, 업로드 CDN 노드는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인터랙티브를 증강시키도록 프레임 손실 위치에 사전 준비된 시나리오 프레임을 삽입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쇼트 동영상 시나리오일 경우, 온 디맨드 시나리오와 다른 점은, 쇼트 동영상 시나리오 중의 동영상의 시간의 장단이 비교적 짧을 수 있기에, 유저와의 인터랙티브에 더 중점을 기울인다. 따라서, 쇼트 동영상 시나리오에 있어서, 업로드 CDN 노드에 의해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서 프레임 손실이 검출되면, 인터랙티브를 증강시키도록 프레임 손실 위치에 사전 준비된 시나리오 프레임을 삽입한 후, 모든 프레임의 동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당해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동영상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 (20) 중의 업로드 CDN 노드는 동영상 서비스 처리를 직접 수행할 수 있는 바, 도 1에 나타낸 종래기술 중의 서비스 처리 장치에서 수행하는 동영상 서비스 처리와 대등하다. 이렇게 하여, 도 1과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 (20) 중의 업로드 CDN 노드에서 직접 동영상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므로, 클라우드 서버 (20)의 업로드 CDN 노드 상에 동영상 처리 서비스가 호스팅되는 것과 대등한 바, 동영상이 저장 노드에 저장되기를 대기한 후 동영상 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동영상 서비스 처리를 가능한 빠르게 수행할 수 있기에, 동영상 처리 능력이 유저에 더 가까워지게 하고, 더 빠른 처리 응답을 실현함으로써, 동영상 시스템 중의 동영상 처리 링크를 효과적으로 단축시키고, 동영상 처리의 지연을 줄이며, 동영상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와 비교하면, 데이터 링크를 통한 전송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기에, 광대역 네트워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업로드 단말와 소비 단말과 같은 프론트 엔드 장치 중의 인코딩/디코딩 모듈 직접 생략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 중의 인코딩/디코딩 프로세스를 생략하여, 인코딩/디코딩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문제를 줄였으며, 동영상 데이터가 가능한 빠르게 데이터의 업로드 혹은 전송을 완성하도록 하여, 동영상 처리 링크를 더 한층 줄이고, 동영상 처리 지연을 줄이며, 동영상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있어서, 업로드 단말 및 소비 단말에 인코딩/디코딩 모듈이 설치되어 있기에, 인코딩/디코딩 모듈의 하드웨어 상의 칩 버전 레벨이 낮아 업그레이드되지 않을 경우, 인코딩/디코딩 처리 압력 커지게 되어, 동영상 처리 효율이 낮으며, 인코딩/디코딩 모듈의 소프트웨어 버전을 빈번히 업그레이드할 경우, 단말의 메모리 공간을 소모하게 되어, 단말의 부담이 너무 커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기술안에 따르면, 인코딩/디코딩 모듈을 생략함으로써, 업로드 단말 및 소비 단말 중의 동영상 시스템의 클라이언트를 간소화함으로써, 유저는 업그레이드하지 않고도 유저의 사용 체험을 효과적으로 증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동영상 처리 방법의 실시예1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동영상 처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00에 있어서,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한다.
S101에 있어서,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당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는 생방송 시나리오, 온 디맨드 시나리오 혹은 쇼트 동영상 시나리오일 수 있다.
S102에 있어서, 동영상 식별자,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로 하여금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동영상 식별자 및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동영상 처리 방법은 상술한 도 2 ~ 도 3에 나타낸 동영상 시스템의 동영상 처리 방법에 기초한 것인 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단계S100 ~ S102의 동영상 처리 방법은 프론트 엔드 장치 측에서 본 발명의 기술안을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구체적으로 프론트 엔드 장치 측의 업로드 단말이 상술한 단계S100 ~ S102를 수행함으써, 동영상의 업로드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는 상술한 도 2와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의 관련 기재를 참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술한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술안의 기초 상에서, 단계S102에서 동영상 식별자,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한 후, 이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1)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가 송신한 동영상 리스트를 수신하는 바, 당해 동영상 리스트는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에 기반하여 생성한 것이다.
(b1)에 있어서,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한다.
설명할 점이라면, 온 디맨드 시나리오와 쇼트 동영상 시나리오의 경우, 본 실시예의 프론트 엔드 장치는 업로드 단말로서 동영상을 업로드한 후, 소비 단말로서 온 디맨드한 동영상 혹은 쇼트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생방송 시나리오의 경우, 프론트 엔드 장치는 업로드 단말로서 동영상을 생방송할 시, 소비 단말로서 생방송을 시청할 수 없다. 그러나, 기타 시간대에서 소비 단말로서 기타 업로드 단말의 생방송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단계 S100 ~ S102는 업로드 단말이 동영상을 업로드하는 과정인 바, 온 디맨드 시나리오, 생방송 시나리오 및 쇼트 동영상 시나리오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a1) ~ (b1)은 프론트 엔드 장치가 소비 단말인 경우에 동영상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과정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단계(b1)에서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한 후, 이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2)에 있어서, 제1 유저가 동영상 리스트를 통해 트리거한 동영상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영상 요청을 수신한다.
(b2)에 있어서, 동영상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영상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한다.
(c2)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가 전송한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고 재생한다.
같은 원리로, 단계(a2) ~ (c2)도 프론트 엔드 장치가 소비 단말인 경우 동영상을 요청하고,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제1 유저는 소비 단말의 사용 유저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술한 도 5에 나타낸 실시예 중의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분하는 것은, 업로드 단말 측에 위치하는 제2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분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저는 업로드 단말의 사용 유저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동영상 처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상술한 도 2와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의 관련 기재를 참고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동영상 처리 방법은, 상술한 기술안을 통해 동영상 처리 과정에서 인코딩/디코딩 프로세스를 생략하여, 동영상 데이터가 최대한 빠르게 데이터 업로드 혹은 전송을 완성하도록 함으로써, 동영상 처리 링크를 더 한층 줄이고, 동영상 처리 지연을 줄이며, 동영상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동영상 처리 방법은, 인코딩/디코딩 프로세스가 필요 없기에, 단말 측의 동영상 시스템의 클라이언트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유저는 업그레이드하지 않고도 유저의 사용 체험을 효과적으로 증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동영상 처리 방법의 실시예2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동영상 처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200에 있어서, 프론트 엔드 장치가 업로드한 동영상 식별자,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수신한다.
S201에 있어서,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동영상 식별자 및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S202에 있어서, 동영상 파일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여기서 단계S201의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동영상 식별자 및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은, 이하의 여러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생방송 시나리오 식별자인 경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프레임 삽입 정렬 방식을 사용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제2 케이스: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온 디맨드 시나리오인 경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프레임 손실 위치에 사전 설정된 약정 화상 프레임을 삽입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며,
제3 케이스: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쇼트 동영상 식별자일 경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인터랙티브를 증강시키도록 프레임 손실 위치에 사전 준비된 시나리오 프레임을 삽입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같은 원리로, 본 실시예의 동영상 처리 방법도 상술한 도 2 ~ 도 3에 나타낸 동영상 시스템의 동영상 처리 방법에 기초한 것인 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단계S200 ~ S202의 동영상 처리 방법은 클라우드 서버 측에서 본 발명의 기술안을 설명한 것인바,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는 상술한 도 2와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의 관련 기재를 참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선택적으로, 단계S202에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저장한 후, 이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3)에 있어서,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에 기반하여 동영상 리스트를 생성한다.
(b3)에 있어서, 동영상 리스트에 로그인된 프론트 엔드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프론트 엔드 장치가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단계(b3)에서 동영상 리스트를 로그인된 프론트 엔드 장치에 송신한 후, 이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4)에 있어서, 프론트 엔드 장치가 송신한 동영상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영상 요청을 수신하는 바, 당해 동영상 요청은 프론트 엔드 장치가 제1 유저에 의해 동영상 리스트를 통해 트리거된 요청을 수신한 것이다.
(b4)에 있어서, 동영상 요청 중의 동영상 식별자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취득한다.
(c4)에 있어서, 동영상 파일을 프론트 엔드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프론트 엔드 장치가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동영상 처리 방법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는 상술한 도 2와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의 관련 기재를 참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동영상 처리 방법에 따르면, 상술한 기술안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동영상 처리 서비스가 호스팅되고, 동영상이 저장되기까지 대기한 후 동영상 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동영상 서비스 처리를 가능한 빠르게 수행할 수 있기에, 동영상 처리 능력이 유저에 더 가까워지게 하고, 더 빠른 처리 응답을 실현함으로써, 동영상 시스템 중의 동영상 처리 링크를 효과적으로 단축시키고, 동영상 처리의 지연을 줄이며, 동영상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와 비교하면, 데이터 링크를 통한 전송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기에, 광대역 네트워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동영상 처리 방법에 따르면, 상술한 기술안을 통해 동영상 처리 과정에서 인코딩/디코딩 프로세스를 생략하여, 동영상 데이터가 가능한 빠르게 데이터 업로드 혹은 전송을 완성하도록 하여, 동영상 처리 링크를 더 한층 줄이고, 동영상 처리 지연을 줄이며, 동영상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동영상 처리 방법에 따르면, 인코딩/디코딩 프로세스가 필요 없기에, 단말 측의 동영상 시스템의 클라이언트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유저는 업그레이드하지 않고도 유저의 사용 체험을 효과적으로 증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장치의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론트 엔드 장치는,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모듈 (11);
수집 모듈 (11)이 수집한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당하기 위한 배당 모듈 (12); 및
수집 모듈 (11)이 수집한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배당 모듈 (12)이 배당한 동영상 식별자 및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로 하여금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동영상 식별자 및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송신 모듈 (13)을 구비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론트 엔드 장치는,
수신 모듈 (14)은 클라우드 서버가 송신한 동영상 리스트를 수신하는 바, 동영상 리스트는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에 기반하여 생성한 것이다.
표시 모듈 (15)은 수신 모듈 (14)이 수신한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론트 엔드 장치는 재생 모듈 (16)을 더 구비한다.
수신 모듈 (14)은 또한, 제1 유저가 동영상 리스트를 통해 트리거한 동영상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영상 요청을 수신한다.
송신 모듈 (13)은 또한, 수신 모듈 (14)이 수신한 동영상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영상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수신 모듈 (14)은 또한, 클라우드 서버가 전송한 동영상 파일을 수신한다.
재생 모듈 (16)은 수신 모듈 (14)이 수신한 클라우드 서버가 전송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나.
본 실시예의 프론트 엔드 장치가 상술한 모듈을 사용하여 동영상 처리를 구현하는 원리 및 기술 효과는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와 같은 바,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의 기재를 참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의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클라우드 서버는 이하의 노드를 구비한다.
업로드 CDN 노드 (21)는 프론트 엔드 장치가 업로드한 동영상 식별자,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수신하고,
업로드 CDN 노드 (21)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동영상 식별자 및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며,
업로드 CDN 노드 (21)는 또한 생성한 동영상 파일을 저장 노드 (22)에 저장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클라우드 서버는 배포 CDN 노드 (23)를 더 구비하는 바,
배포 CDN 노드 (23)는 저장 노드 (22)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식별자 동영상 리스트를 생성하고, 동영상 리스트를 로그인된 프론트 엔드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프론트 엔드 장치가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한다;
진일보로, 배포 CDN 노드 (23)는 또한, 프론트 엔드 장치가 송신한 동영상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영상 요청을 수신하는 바, 동영상 요청은 프론트 엔드 장치 수신 제1 유저가 동영상 리스트를 통해 트리거한 것이며,
배포 CDN 노드 (23)는 또한, 동영상 요청 중의 동영상 식별자에 기반하여 저장 노드 (22)에서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취득하며,
배포 CDN 노드 (23)는 또한, 동영상 파일을 프론트 엔드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프론트 엔드 장치로 하여금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업로드 CDN 노드 (21)는 구체적으로,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생방송 시나리오 식별자인 경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프레임 삽입 정렬 방식을 사용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온 디맨드 시나리오인 경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프레임 손실 위치에 사전 설정된 약정 화상 프레임을 삽입하여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쇼트 동영상 식별자일 경우, 검출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 否존재 프레임 손실, 존재할 경우, 프레임 손실 위치에 사전 준비된 시나리오 프레임을 삽입 인터랙티브를 증강시키도록,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의 클라우드 서버가 상술한 모듈을 사용하여 동영상 처리를 구현하는 원리 및 기술 효과는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와 같은 바,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의 기재를 참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컴퓨터 장치의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컴퓨터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30),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40)를 구비하며, 메모리 (40)에 저장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30)에 의해 수행될 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30)가 도 5 ~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의 동영상 처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도 9에 나타낸 실시예는 복수의 프로세서 (30)를 포함하는 예를 들었다. 본 실시예의 컴퓨터 장치는, 프론트 엔드 장치일 수 있는 바, 상술한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동영상 처리 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클라우드 서버는 상술한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의 동영상 처리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컴퓨터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 실시 방식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터 장치 (12a)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컴퓨터 장치 (12a)는 단지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 실시예의 기능과 사용 범위에 어떠한 제한도 하지 않는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 (12a)는 범용 계산 장치의 형식으로 구현된다. 컴퓨터 장치 (12a)의 구성 요소는 하나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 (16a), 시스템 메모리 (28a), 및 서로 다른 시스템 구성 요소(시스템 메모리 (28a)와 프로세서 (16a)를 포함)를 연결하는 버스 (18a)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버스 (18a)는 여러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에서 하나 또는 다양한 것을 표시하는 바,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제어기, 주변 장치 버스, 그래픽 가속 포트, 프로세서 또는 멀티 버스 구조에서의 임의의 버스 구조를 사용한 로컬 버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체계 구조는 (ISA)버스, 마이크로 채널 구조(MAC)버스, 향상된 ISA버스, 동영상 전자 표준 위원회(VESA)로컬 버스 및 (PCI)버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장치 (12a)는 전형적으로 멀티 컴퓨터 시스템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매체는 휘발성 매체와 비 휘발성 매체, 분리형 매체와 비 분리형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12a)에 의해 액세스할 수 있는 모든 사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 (28a)는 휘발성 메모리의 형식의 컴퓨터 시스템 판독 가능 매체, 예를 들어 램(RAM)(30) 및/또는 캐시 메모리 (32a)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 (12a)는 분리형/비 분리형, 휘발성/비 휘발성 컴퓨터 시스템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한다. 단지 예를 든 것으로서, 저장 시스템 (34a)은 판독 기록에 사용될 수 있는 비 분리형, 비 휘발성 자기 매체(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음, 통상적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로 지칭함)이다. 비록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분리형 비 휘발성 디스크(예를 들어"플로피 디스크")에 대해 판독 기록하기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분리형 비 휘발성 시디롬(예를 들어: CD-ROM, DVD-ROM 또는 기타 광학 매체)에 대해 판독 기록하기 위한 시디롬 드라이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드라이브는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매체 인터페이스를 통해 버스 (18a)와 서로 연결된다. 메모리 (28a)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 있고, 당해 프로그램 제품은 한 조(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프로그램 모듈을 구비하며,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상술한 도 2 ~ 도 6의 각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 조(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 (42a)을 구비한 프로그램/유틸리티 (40a)는, 예를 들어 메모리 (28a)에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42a)은 운영 체제, 하나 또는 복수의 응용 프로그램, 기타 프로그램 모듈 및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러한 예시에서의 각각 또는 일부 조합에는 네트워크 환경의 구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 (42a)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한 상술한 도 2 ~ 도 6의 각 실시예 중의 기능 및/또는 방법을 통상적으로 수행한다.
컴퓨터 장치 (12a)는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장치 (14a)(예를 들어 키보드, 포인팅 기기, 표시 (24a) 등)와 통신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당해 컴퓨터 장치 (12a)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및/또는 당해 컴퓨터 장치 (12a)가 하나 또는 복수의 기타 계산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기기(예를 들어 랜카드, 모뎀 등)와 통신한다. 이런 통신은 입력/출력 (I/O) 인터페이스 (22a)를 통해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장치 (12a)는 네트워크 어댑터 (20a)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및/또는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어댑터 (20a)는 버스 (18a)를 통해 컴퓨터 장치 (12a)의 기타 모듈과 통신한다. 이해해야 하는 것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컴퓨터 장치 (12a)를 결합하여 마이크로 코드, 기기 드라이브, 리던던트 프로세싱 유닛, 외부 디스크 드라이브 배열, RAID시스템, 테이프 드라이브 및 데이터 백업 저장 시스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기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사용할 수 있음을 명백히 하여야 한다.
프로세서 (16a)는 시스템 메모리 (28a)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통해, 각종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바,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나타낸 동영상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더 제공하는 바,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시, 상술한 실시예에 나타낸 동영상 처리 방법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상술한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 중의 시스템 메모리 (28a) 중의 RAM (30a), 및/또는 캐시 메모리 (32a), 및/또는 저장 시스템 (34a)을 포함할 수 있다.
과학의 발전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 경로는 더 이상 유형 매체에 제한되지 않는 바, 직접 네트워크에서 다운로드하거나, 혹은 기타 방식을 통해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중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유형의 매체를 포함할 뿐 아니라, 뮤형의 매체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신호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전기,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의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 또는 상기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더 구체적인 예(비 완정적인 리스트)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도선을 구비하는 전기적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크, 하드 디스크, 램(RAM), 롬(ROM), 이피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시디롬(CD-ROM), 광학 저장 소자, 자기 저장 소자, 또는 상술한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한다. 본 문서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임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하는 유형의 매체일 수 있고, 당해 프로그램은 명령 수행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이들과 결합하여 사용된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신호 매체는 베이스 밴드 또는 반송파의 일부분으로 전파되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적재한다. 이러한 전파된 데이터 신호는 전자기 신호, 광학 신호 또는 상술한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형식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신호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이외의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도 있고, 당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 수행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이들과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송신,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임의의 적합한 무선, 유선, 광 케이블, RF 등 또는 상술한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 매체로 전송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가지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이의 조합으로 본 발명의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편집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예를 들어 Java, Smalltalk, C++와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C"언어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통상적인 프로시저식 프로그래밍 언어를 더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완전히 사용자 컴퓨터에서 수행할 수 있고, 부분적으로 사용자 컴퓨터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수행할 수 있고, 일부분이 사용자 컴퓨터에서 일부분이 원격 컴퓨터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완전히 원격 컴퓨터 또는 서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에 관한 상황에서, 원격 컴퓨터는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을 포함하는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외부 컴퓨터(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연결)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모식적인 것인 바,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단지 로직 기능 분할로써, 실제 구현할 시 다른 분할 방식도 가능하다.
분리 구성 요소로 설명된 상기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되지 않은 것일 수 있으며, 유닛으로 나타낸 구성 요소는 물리 유닛이거나 또는 물리 유닛이 아닐 수 있는 바, 즉 하나의 장소에 위치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 부분 혹은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식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통합된 유닛는 하드웨어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 플라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는 통합된 유닛은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복수의 명령을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컴퓨터 장치 (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 혹은 프로세서 (processor)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의 부분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모바일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 (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수행한 임의의 수정, 동등 교체, 개량 등은 모두 본 발명이 보호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프론트 엔드 장치와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동영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는,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당하며, 상기 동영상 식별자,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또한, 저장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에 기반하여 동영상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로그인된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는 또한,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는 또한, 제1 유저가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통해 트리거한 상기 동영상 식별자가 포함된 동영상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동영상 식별자가 포함된 상기 동영상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또한, 상기 동영상 요청 중의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 파일을 취득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는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전송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는 업로드 단말과 소비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업로드 단말은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동영상 식별자를 배당하며, 제2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당하고, 상기 동영상 식별자,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며,
    상기 소비 단말은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유저가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통해 트리거한 상기 동영상 식별자가 포함된 동영상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동영상 식별자가 포함된 동영상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소비 단말은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전송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업로드 CDN 노드, 배포 CDN 노드 및 저장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업로드 CDN 노드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저장 노드에 저장하며,
    상기 배포 CDN 노드는, 저장된 상기 동영상 파일,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에 기반하여 동영상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로그인된 상기 소비 단말에 송신하며,
    상기 배포 CDN 노드는, 상기 소비 단말이 송신한 상기 동영상 식별자가 포함된 상기 동영상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동영상 요청 중의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 파일을 취득하며, 상기 동영상 파일을 대응하는 상기 소비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CDN 노드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생방송 시나리오 식별자인 경우,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프레임 삽입 정렬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업로드 CDN 노드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온 디맨드 시나리오일 경우,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상기 프레임 손실 위치에 사전 설정된 약정 화상 프레임을 삽입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업로드 CDN 노드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쇼트 동영상 식별자일 경우,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인터랙티브를 증강시키도록 상기 프레임 손실 위치에 사전 준비된 시나리오 프레임을 삽입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시스템.
  7. 동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당하는 단계 ; 및
    상기 동영상 식별자,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식별자,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송신한 동영상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동영상 리스트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에 기반하여 생성한 것임 - ; 및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한 후,
    상기 방법은,
    제1 유저가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통해 트리거한 상기 동영상 식별자가 포함된 동영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식별자가 포함된 상기 동영상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전송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
  9. 동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프론트 엔드 장치가 업로드한 동영상 식별자,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저장한 후,
    상기 방법은,
    저장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에 기반하여 동영상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로그인된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로 하여금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로그인된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에 송신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가 송신한 상기 동영상 식별자가 포함된 상기 동영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동영상 요청은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가 제1 유저가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통해 트리거한 동영상 요청을 수신한 것임 - ;
    상기 동영상 요청 중의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 파일을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로 하여금 상기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생방송 시나리오 식별자인 경우,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프레임 삽입 정렬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온 디맨드 시나리오일 경우,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상기 프레임 손실 위치에 사전 설정된 약정 화상 프레임을 삽입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쇼트 동영상 식별자일 경우,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인터랙티브를 증강시키도록 상기 프레임 손실 위치에 사전 준비된 시나리오 프레임을 삽입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
  12. 프론트 엔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모듈;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배당하기 위한 배당 모듈; 및
    상기 동영상 식별자,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송신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송신한 동영상 리스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 상기 동영상 리스트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에 기반하여 생성한 것임 - ; 및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모듈; 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제1 유저가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통해 트리거한 상기 동영상 식별자가 포함된 동영상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동영상 식별자가 포함된 상기 동영상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하며,
    재생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전송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장치.
  14. 클라우드 서버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업로드 CDN 노드와 저장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업로드 CDN 노드는, 프론트 엔드 장치가 업로드한 동영상 식별자,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및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업로드 CDN 노드는 또한,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업로드 CDN 노드는 또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저장 노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배포 CDN 노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포 CDN 노드는, 저장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상기 동영상 식별자 및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에 기반하여 동영상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로그인된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로 하여금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며,
    상기 배포 CDN 노드는 또한,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가 송신한 상기 동영상 식별자가 포함된 상기 동영상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동영상 요청은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가 제1 유저가 상기 동영상 리스트를 통해 트리거한 동영상 요청을 수신한 것이며,
    상기 배포 CDN 노드는 또한, 상기 동영상 요청 중의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 파일을 취득하고,
    상기 배포 CDN 노드는 또한,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전송, 상기 프론트 엔드 장치로 하여금 상기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CDN 노드는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생방송 시나리오 식별자인 경우,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프레임 삽입 정렬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온 디맨드 시나리오일 경우,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상기 프레임 손실 위치에 사전 설정된 약정 화상 프레임을 삽입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며,
    서비스 시나리오 식별자가 쇼트 동영상 식별자일 경우, 상기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중에 프레임 손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할 경우, 인터랙티브를 증강시키도록 상기 프레임 손실 위치에 사전 준비된 시나리오 프레임을 삽입하여 상기 동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17.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청구항 7 내지 8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 혹은 청구항 9 내지 11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8.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시, 청구항 7 내지 8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 혹은 청구항 9 내지 11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00006076A 2019-06-19 2020-01-16 동영상 시스템 및 동영상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255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533002.XA CN110381326B (zh) 2019-06-19 2019-06-19 视频系统及处理方法、设备与计算机可读介质
CN201910533002X 2019-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6007A true KR20200146007A (ko) 2020-12-31
KR102255223B1 KR102255223B1 (ko) 2021-05-24

Family

ID=6824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076A KR102255223B1 (ko) 2019-06-19 2020-01-16 동영상 시스템 및 동영상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23750B2 (ko)
JP (1) JP7124835B2 (ko)
KR (1) KR102255223B1 (ko)
CN (1) CN1103813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0599B (zh) * 2019-12-18 2022-04-12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多场景视频流的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2070599A (zh) * 2020-08-27 2020-12-11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现金业务异步处理的方法及装置
CN112235605B (zh) * 2020-11-03 2023-03-10 新东方教育科技集团有限公司 视频处理系统和视频处理方法
CN112866409B (zh) * 2021-02-08 2022-10-11 深圳市杉岩数据技术有限公司 基于对象存储分片上传的对象传送及收集方法、终端设备
CN114125502B (zh) * 2021-11-19 2023-11-24 武汉中科通达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流管理方法及装置
CN116405611A (zh) * 2023-06-07 2023-07-07 建信金融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图像上传方法、系统、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8162A1 (en) * 2013-11-01 2015-05-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Real-time tracking collection for video experienc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6073B2 (en) * 2010-05-12 2013-12-10 Woodman Labs, Inc. Broadcast management system
CN102098586A (zh) * 2010-11-25 2011-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前向纠错的iptv传输质量控制方法及iptv终端
CN102752574B (zh) * 2011-04-18 2015-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监控系统及方法
US8935611B2 (en) * 2011-10-10 2015-01-13 Vivoom, Inc. Network-based rendering and steering of visual effects
US9094737B2 (en) * 2013-05-30 2015-07-28 Sonic Ip, Inc. Network video streaming with trick play based on separate trick play files
US9917873B2 (en) * 2013-10-15 2018-03-13 Cyberlink Corp. Network-based playback of content in cloud storage based on device playback capability
JP2014241146A (ja) 2014-07-22 2014-12-25 株式会社アイ・コミュニケーション 告知双方向通信システム及び視聴者端末
CN104202673A (zh) * 2014-08-27 2014-12-10 杨锦才 基于行车记录仪的实时路况视频分享点播方法及系统
CN104378647B (zh) * 2014-11-04 2018-04-27 深圳市天威视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电视的智能空间存储系统及方法
US10750236B2 (en) 2015-04-23 2020-08-18 The Nielsen Company (Us), Llc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with local matching
CN104869438B (zh) * 2015-05-06 2018-06-22 华南理工大学 基于移动终端的现场视频云发布系统的云发布方法
CN107306341A (zh) * 2016-04-19 2017-10-31 深圳正谱云教育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云技术自动录播和直播的系统及其管理方法
CN105915944A (zh) * 2016-05-31 2016-08-31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视频共享方法及装置
CN105872581A (zh) * 2016-05-31 2016-08-17 深圳市佑嘉互动科技有限公司 一种提供视频直播间服务的系统及方法
CN106302810A (zh) * 2016-09-21 2017-01-04 福建省百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远程学习系统
CN106899577A (zh) * 2017-01-21 2017-06-27 北京优教互动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远程教育的视频服务云平台
US10104427B1 (en) * 2017-04-24 2018-10-16 Google Llc Temporary modifying of media content metadata
CN107249121A (zh) * 2017-07-25 2017-10-13 上海尧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平台的视频监控系统
CN109819345B (zh) * 2017-11-20 2021-08-10 网宿科技股份有限公司 直播视频的处理、时移方法、视频处理装置及云存储系统
CN108305513A (zh) * 2018-02-07 2018-07-20 商丘职业技术学院 具有语音识别功能的网络教学系统及方法
US20200045350A1 (en) * 2018-08-01 2020-02-06 Sling Media Pvt Ltd Prefetching video segments to reduce playback startup delay
CN109615962A (zh) * 2019-02-18 2019-04-12 心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互联教学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8162A1 (en) * 2013-11-01 2015-05-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Real-time tracking collection for video experie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24835B2 (ja) 2022-08-24
US11323750B2 (en) 2022-05-03
US20200404345A1 (en) 2020-12-24
CN110381326A (zh) 2019-10-25
JP2021002823A (ja) 2021-01-07
KR102255223B1 (ko) 2021-05-24
CN110381326B (zh)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223B1 (ko) 동영상 시스템 및 동영상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N108391179B (zh) 直播数据处理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US20220263885A1 (en) Adaptive media stream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decoding performance
US10567809B2 (en) Selective media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live streaming and recorded streaming
US9508080B2 (en) System and method of presenting a commercial product by inserting digital content into a video stream
WO2020233142A1 (zh) 多媒体文件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8898338B1 (en) Traffic shaping for live media streaming
CN111541913B (zh) 一种拼接屏的视频播放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介质
US201201843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game service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WO2021159770A1 (zh) 视频播放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17080175A1 (zh) 用于多机位的视频播放器、播放系统及播放方法
CN110290398B (zh) 视频下发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8935432B1 (en) Clock locking for live media streaming
CN104363509B (zh) 一种视频转换方法、装置、播放系统及终端
US200702605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ng Digital Content Across Multiple Network Elements
CN101127780A (zh) 将在线视频进行下载、保存、再播放的方法及其在线视频网络的构造
US9800901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storage of media content events
CN101341751A (zh) 提供点播多媒体服务的方法以及实现该方法的服务平台、程序和解码器
CN112399257A (zh) 云桌面视频播放方法、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US9635424B2 (en) Virtual high definition video player
CN114844871B (zh) 云应用的访问方法及装置
KR101405865B1 (ko) 셋탑박스 화면 가상화 방법 및 시스템
TW571594B (en) Methods for providing video-on-demand services for broadcasting systems
KR102318733B1 (ko) 동영상 배너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12887742B (zh) 直播流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