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897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897A
KR20200144897A KR1020190073099A KR20190073099A KR20200144897A KR 20200144897 A KR20200144897 A KR 20200144897A KR 1020190073099 A KR1020190073099 A KR 1020190073099A KR 20190073099 A KR20190073099 A KR 20190073099A KR 20200144897 A KR20200144897 A KR 20200144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vaporization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2333B1 (ko
Inventor
윤성욱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9007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333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는 궐련 삽입부 및 궐련을 가열할 수 있는 제1 히터를 포함하는 제1 증기화 조립체, 저장부에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고, 심지를 통해 저장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운반하고, 제2 히터를 통해 심지를 가열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제2 증기화 조립체, 제1 증기화 조립체 또는 제2 증기화 조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증기화 조립체가 결합되면,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출원에 의해 개시되는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거듭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는 추세이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기성품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여전히 필요한 기능에 대한 사용자 선택의 폭이 좁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다른 외부 기기와의 호환가능성도 낮은 문제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각각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들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된 복수의 조립체들과, 복수의 조립체들이 결합하여 구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과제는, 결합되는 증기화 조립체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는 궐련 삽입부 및 궐련을 가열할 수 있는 제1 히터를 포함하는 제1 증기화 조립체, 저장부에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고, 심지를 통해 저장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운반하고, 제2 히터를 통해 심지를 가열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제2 증기화 조립체, 제1 증기화 조립체 또는 제2 증기화 조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증기화 조립체가 결합되면,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하는 퍼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 조립체는 제1 증기화 조립체와 결합하면, 제1 히터를 제1 온도로 가열하는 제1 구간 및 제1 히터를 제1 온도와 상이한 제2 온도로 가열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제1 증기화 조립체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2 증기화 조립체와 결합하면, 퍼프 센서가 퍼프를 감지함에 따라 제2 히터가 제3 온도로 가열되도록 제2 증기화 조립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 제1 증기화 조립체는 제1 접속부를 포함하고, 제2 증기화 조립체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고, 제어 조립체는 제1 접속부와 접속될 수 있는 제1 단자 및 제2 접속부와 접속될 수 있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제어 조립체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의 접속 상태에 따라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인덕턴스 변화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제1 증기화 조립체는 제1 전자기 유도체 및 제2 증기화 조립체는 제2 전자기 유도체를 포함하고, 조립체는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제1 증기화 조립체 또는 제2 증기화 조립체의 결합에 따라 발생한 인덕턴스 변화량에 기초하여,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 제1 증기화 조립체는 제1 식별용 저항을 포함하고, 제2 증기화 조립체는 제2 식별용 저항을 포함하고, 제어 조립체는 제1 식별용 저항 또는 제2 식별용 저항을 감지함에 따라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 제1 증기화 조립체는 제어 조립체와 결합 시 제어 조립체에 제1 식별용 신호를 송신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제2 증기화 조립체는 제어 조립체와 결합 시 제어 조립체에 제2 식별용 신호를 송신하는 제3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제어 조립체는 제1 식별용 신호 또는 제2 식별용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이 삽입되는 궐련 수용부, 삽입된 궐련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 및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 및 가열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제3 증기화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제어 조립체는 제3 증기화 조립체의 결합을 식별하고, 제3 증기화 조립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배터리 및 제3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제어 조립체는 제3 접속부를 통해 전력 공급 조립체의 결합을 식별하고, 배터리로부터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는 입출력부 및 제4 접속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제어 조립체는 제4 접속부를 통해 인터페이스 조립체의 결합을 식별하고,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또,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및 제5 접속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제어 조립체는 제5 접속부를 통해 무선 통신 조립체의 결합을 식별하고, 무선 통신 조립체를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또, 증기화 조립체 및 무선 통신 조립체는 제어 조립체에 결합 시,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 제어 조립체는 복수의 제6 접속부들을 포함하고, 제6 접속부들은 제어 조립체의 외곽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은 궐련 삽입부 및 제1 히터를 포함하는 제1 증기화 조립체 및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소, 심지 및 제2 히터를 포함하는 제2 증기화 조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증기화 조립체가, 제어 조립체에 결합하면, 결합된 어느 하나의 증기화 조립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어느 하나의 증기화 조립체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조립체들이 결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들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결합되는 증기화 조립체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으로써, 가열 대상, 가열 강도 및 가열 메커니즘 등을 고려한 최적화된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립체들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조립체 및 증기화 조립체의 결합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라 제어 조립체 및 증기화 조립체의 결합 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접속부의 접속 상태에 따라,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를 식별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공급 전력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립체들에 관한 도면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복수의 조립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조립체들이 결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로 동작할 수 있고, 또 복수의 조립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탈착되어 분리될 수 있다.
복수의 조립체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제공할 수 있는 각 기능들을 기준으로 하여, 물리적으로 구분된 단위체이다. 복수의 조립체들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제공할 수 있는 각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 구분되어 할당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조립체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기화시키는 증기화 조립체(1100),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와 관련된 정보들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조립체(1300),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와 외부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조립체(1400)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조립체(1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조립체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립체들은 결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립체들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된 조립체들의 종류 복수의 조립체들을 결합하는 순서 및 배열 등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들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로 동작하기 위해 제어 조립체(1200) 및 증기화 조립체(1100)는 필수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조립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당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조립체들은 미리 정해진 조합에 따라 조립된 경우에만 할당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복수의 조립체들은 각각에 할당된 기능에 따른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증기화 조립체(1100)는, 히터(1102) 및 접속부(1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기화 조립체(1100)는 별도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증기화 조립체(1100)는 히터(1102)를 통해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 조립체(110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 조립체(110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터(1102)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1102)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증기화 조립체(1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기화 조립체(1100)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는 궐련 삽입부를 포함하고, 삽입된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증기화 조립체(1100)는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심지를 통해 저장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운반하고, 심지에 운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증기화 조립체(1100)는, 삽입된 궐련을 가열하거나,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심지에 운반한 후 가열하는 두 방식을 동시에 채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증기화 조립체(1100)는 유도 가열을 이용하여 서셉터를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열을 전달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증기화 조립체(11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더 자세히 후술한다.
증기화 조립체(1100)는 접속부(1104)를 통해 다른 조립체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 증기화 조립체(1100)는 접속부(1104)를 통해 다른 조립체들과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기화 조립체(1100)는 접속부(1104)를 통해 제어 조립체(1200)로부터 가열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는 입출력부(1502) 및 접속부(15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는 별도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는 입출력부(1502)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502)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입출력부(1502)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싱 모듈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는 접속부(1504)를 통해 다른 조립체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는 접속부(1504)를 통해 다른 조립체들과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는 접속부(1504)를 통해 제어 조립체(1200)로부터 출력할 정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접속부(1504)를 통해 제어 조립체(12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의 접속부(1504)를 통해 제어 조립체(1200)는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의 결합을 식별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의 접속부(1504)를 통해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 접속부(1504)의 식별 저항, 접속부(1504)의 결합 시 발생되는 인덕턴스 변화량 및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의 접속부(1504)와 제어 조립체(1200)의 접속부(1220) 간 접속 상태 등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가 접속함을 식별할 수 있다.
도 4의 S1100 단계에서 후술하는 제어 조립체(1200)가 증기화 조립체(1100)의 접속을 식별하는 것에 관한 내용은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통해 후술하는 제어 조립체(1200)가 접속부들 간 접속 상태에 기초하여 증기화 조립체(1100)를 식별하는 것에 관한 내용은,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조립체(1300)는 배터리(1302) 및 접속부(13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 조립체(1300)는 별도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배터리(130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1302)는 증기화 조립체(1100)의 히터(1102)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30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를 구성하는 다른 조립체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302)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1302)이거나 일회용 배터리(130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302)는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130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원 공급 조립체(1300)는 접속부(1304)를 통해 다른 조립체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 전원 공급 조립체(1300)는 접속부(1304)를 통해 다른 조립체들과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 전원 공급 조립체(1300)의 접속부(1304)를 통해 제어 조립체(1200)는 전원 공급 조립체(1300)의 결합을 식별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전원 공급 조립체(1300)의 접속부(1304)를 통해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 접속부(1304)의 식별 저항, 접속부(1304)의 결합 시 발생되는 인덕턴스 변화량 및 전원 공급 조립체(1300)의 접속부(1304)와 제어 조립체(1200)의 접속부(1220) 간 접속 상태 등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 조립체(1300)가 접속함을 식별할 수 있다.
도 4의 S1100 단계에서 후술하는 제어 조립체(1200)가 증기화 조립체(1100)의 접속을 식별하는 것에 관한 내용은 전원 공급 조립체(1300)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통해 후술하는 제어 조립체(1200)가 접속부들 간 접속 상태에 기초하여 증기화 조립체(1100)를 식별하는 것에 관한 내용은, 전원 공급 조립체(1300)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조립체(1400)는 통신 모듈(1402) 및 접속부(14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조립체(1400)는 별도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조립체(1400)는 통신 모듈(1402)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예를 들면, 외부 기기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랩탑(laptop),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접속부(1404)를 통해 무선 통신 조립체(1400)의 결합을 식별하고, 무선 통신 조립체(1400)를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 조립체(1400)는 외부 기기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들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조립체(1400)가 수신하는 정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사용 횟수, 빈도, 소비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양, 소비한 전력량 및 사용한 증기화 조립체(1100)의 종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수신한 정보들을 기록하여 사용자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사용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조립체(140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조립체(140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무선 통신 조립체(140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조립체(14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조립체(1400)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근거리 통신망, 원거리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조립체(1400)는 접속부(1404)를 통해 다른 조립체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 무선 통신 조립체(1400)는 접속부(1404)를 통해 다른 조립체들과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조립체(1400)는 접속부(1404)를 통해 제어 조립체(1200)로부터 출력할 정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접속부(1404)를 통해 제어 조립체(12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 무선 통신 조립체(1400)의 접속부(1404)를 통해 제어 조립체(1200)는 무선 통신 조립체(1400)의 결합을 식별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무선 통신 조립체(1400)의 접속부(1404)를 통해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 접속부(1404)의 식별 저항, 접속부(1404)의 결합 시 발생되는 인덕턴스 변화량 및 무선 통신 조립체(1400)의 접속부(1404)와 제어 조립체(1200)의 접속부(1220) 간 접속 상태 등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조립체(1400)가 접속함을 식별할 수 있다.
도 4의 S1100 단계에서 후술하는 제어 조립체(1200)가 증기화 조립체(1100)의 접속을 식별하는 것에 관한 내용은 무선 통신 조립체(1400)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통해 후술하는 제어 조립체(1200)가 접속부들 간 접속 상태에 기초하여 증기화 조립체(1100)를 식별하는 것에 관한 내용은, 무선 통신 조립체(1400)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프로세서(1240) 및 접속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를 구성하기 위해 결합된 조립체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4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전원 공급 조립체(1300) 및 증기화 조립체(1100)를 제어함으로써, 히터(1102)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공급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조립체(1200)는 히터(1102)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102)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조절하도록 전원 공급 조립체(1300) 및 증기화 조립체(1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센서 조립체들로부터 센싱된 결과를 수신하고, 센싱된 결과를 분석하며, 뒤이어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조립체(1200)는 센서 조립체의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한 후, 히터(1102)의 모드를 예열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증기화 조립체(1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 조립체(1200)는 센서 조립체의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전원 공급 조립체(1300)로부터 증기화 조립체(1100)의 히터(1102)에 공급되는 전력이 중단되도록 전원 공급 조립체(1300) 및 증기화 조립체(1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히터(1102)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증기화 조립체(1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제어 조립체(1200)는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조립체(1200)는 센서 조립체의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의 램프, 모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곧 종료될 것임을 예고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15000)는 제어 조립체(120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0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제어 조립체(1200) 외부의 구성으로서, 별도의 메모리 조립체에 포함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탈부착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센서 조립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에서 센싱된 결과는 제어 조립체(1200)로 전달되고, 센싱 결과에 따라 제어 조립체(1200)는 히터(1102)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궐련(또는 카트리지) 삽입 유/무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복수의 조립체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조립체는 퍼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압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또, 센서 조립체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는 히터(1102)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조립체는 히터(1102)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대신 히터(1102) 자체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센서 조립체는 위치변화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변화 감지 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기울임 및 가속도 변화 등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를 파지하고 있는 자세 및 사용자의 흡연 의사 등에 관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크래들 조립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 조립체는 전원 공급 조립체(1300)를 충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조립체(1300)는 크래들 조립체 내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래들 조립체의 배터리(130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원 공급 조립체(1300)의 배터리(1302)를 충전할 수 있다.
결합된 조립체들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제공하는 기능 및 동작들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1(a)을 참조하면, 제어 조립체(1200), 증기화 조립체(1100),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 전원 공급 조립체(1300) 및 무선 통신 조립체(14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각각의 조립체가 제공하는 기능들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b)를 참조하면, 도 1(a)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서 인터페이스 조립체(1500) 및 무선 통신 조립체(1400)가 분리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제어 조립체(1200), 증기화 조립체(1100) 및 전원 공급 조립체(1300)를 포함하므로, 전원 공급 조립체(1300)의 전력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증기화 조립체(1100)를 통해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립체들은 접속부를 통해 결합 및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조립체들이 결합 및 접속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하나의 조립체의 접속부는 복수의 조립체의 접속부와 결합 및 접속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제어 조립체(1200)의 접속부는 다수의 조립체들과 결합 및 접속될 수 있다.
접속부의 위치, 형상 및 크기 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립체 간 결합 및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위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제어 조립체(1200)의 접속부(1220)는 제어 조립체(1200)의 일 면에 배치되고, 제어 조립체(1200)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들과 일 면을 통해 결합 및 접속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제어 조립체(1200)는 복수의 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접속부(12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접속부(1220)들은 제어 조립체(1200)의 외곽에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각 면에 배치된 접속부(1220)를 통해 다른 조립체들과 결합 및 접속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증기화 조립체(1100)는 제어 조립체(1200)에 결합 시, 다른 조립체들과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증기화 조립체(1100)는 내부에 구비하는 히터(1102)로 인해 온도가 상승될 수 있으므로, 온도에 민감한 다른 조립체는 증기화 조립체(1100)와 이격 배치됨으로써, 다른 조립체들이 열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조립체(1400)는 증기화 조립체(1100)와 이격 배치되고,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조립체(1400)는 제어 조립체(1200)를 기준으로 증기화 조립체(1100)의 반대 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어 조립체(1200)가 복수의 조립체들과 결합 및 접속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하나의 조립체를 기준으로 복수의 조립체들이 결합 및 접속될 수도 있다.
접속부의 종류 및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접속부는 예를 들면, 연성회로기판 (FPC; Flexible Printed Circuit)와의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연성회로기판 커넥터(FPC Connector), 암(female) 및 수(male)로 구별되어 사용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BTB; Board TO Board Connector), 인쇄회로기판(PCB)에 솔더링(soldering)되는 웨이퍼(WAFER), 하니스(harness)되는 하우징 및 단자로 구성되는 보드 투 와이어 커넥터(Board TO Wire Connector), 디지털기기의 외부 접속용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Interface Connector), 메모리 스틱, 메모리 카드 및 심 카드 등 각종 카드류에 연결되는 소켓 커넥터인 카드 커넥터(Card Connector), 무선 랜 카드, 디스플레이, 기지국에 있는 증폭장치 등 주로 이동통신 및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동축 커넥터 등 다양한 커넥터 및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조립체(1200) 및 증기화 조립체(1100)의 결합에 관한 도면이다. 증기화 조립체(1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증기화 조립체(1120)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는 궐련 삽입부(1120), 궐련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1124) 및 접속부(1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기화 조립체(1120)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수용 공간에 궐련이 수용됨에 따라 히터(1124)는 궐련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히터(1124)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1124)는 궐련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히터(1124)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1124)는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124)들은 궐련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궐련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124)들 중 일부는 궐련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궐련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히터(1124)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궐련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의 제 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에는 제 1 부분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에 제 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한편, 히터(1124)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히터(1124)는 궐련 또는 카트리지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 또는 카트리지에는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증기화 조립체(1140)는 카트리지(1142) 및 접속부(1144)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142)는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운반하는 액체 전달 수단 및 액체 전달 수단을 통해 운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는 니켈크롬과 같은 소재를 포함하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1142)는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나, 기체 상태나, 겔(gel) 상태 등의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의 어느 하나의 성분이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임의의 중량비의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액상 조성물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트리지(1142)는 제어 조립체(120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 또는 무선 신호 등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카트리지(1142)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142)는 제어 조립체(1200)로부터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거나,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하거나,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카트리지(1142)가 자체적인 전력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어 조립체(1200)로부터 카트리지(1142)에 전달되는 전기적인 제어 신호나 무선 신호에 의해 카트리지(1142)가 작동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저장부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는 것은 저장부가 그릇(container)의 용도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단순히 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저장부의 내부에 예를 들어 스펀지(sponge)나 솜이나 천이나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함침(함유)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액체 전달 수단(wick; 윅; 심지)과, 액체 전달 수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예를 들어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액체 전달 수단에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하여 구리, 니켈, 텅스텐 등의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예를 들어, 금속 열선(wire),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니크롬선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현되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무화기는 또한 별도의 액체 전달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메시 형상(mesh shape)이나 판 형상(plate shape)의 발열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3 증기화 조립체(1160)는, 삽입된 궐련을 가열하거나,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액체 전달 수단에 운반한 후 가열하는 두 방식을 동시에 채용할 수도 있다.
제3 증기화 조립체(1160)는 궐련이 삽입되는 궐련 삽입부(1162), 삽입된 궐련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1164),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 및 가열할 수 있는 카트리지(1166) 및 접속부(1168)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증기화 조립체(1160)는, 히터(1164)를 통한 궐련에 대한 가열 동작 및 카트리지(1166) 내 무화기를 통한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대한 가열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궐련에 대한 동작 및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대한 가열 동작은, 가열의 개시 및 종료, 가열 강도, 가열 온도, 예열의 유무, 가열의 중단 등이 상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3 증기화 조립체(1160)에서 궐련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기류 통로 및 카트리지(1166)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기류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하나로 병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라 제어 조립체 및 증기화 조립체의 결합 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접속부의 접속 상태에 따라,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를 식별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공급 전력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를 식별할 수 있다(S1100). 제어 조립체(1200)는 증기화 조립체(1100)가 결합되면, 증기화 조립체(1100)의 결합을 인식하고,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110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증기화 조립체(1100)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조립체의 결합 및 결합된 조립체의 종류도 식별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증기화 조립체(1100)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인덕턴스 변화량을 측정하는 인덕턴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턴스 센서는 센서 조립체에 구비되거나 또는 제어 조립체(1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인덕턴스 센서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증기화 조립체(1100)들은 각각 전자기 유도체를 구비할 수 있다. 증기화 조립체(1100)가 제어 조립체(1200)에 결합됨에 따라, 전자기 유도체는 전자기 유도에 따라 인덕턴스 변화량을 발생시키고, 인덕턴스 센서는 인덕턴스 변화량을 비롯한 전류의 특성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각 증기화 조립체(1100)에 구비되는 전자기 유도체가 발생시키는 인덕턴스 변화량은 각 전자기 유도체의 고유한 양으로서 상이하게 설정된다. 센서 또는 센서의 측정 결과를 수신한 제어 조립체(1200)는 인덕턴스 변화량에 기초하여, 증기화 조립체(1100)의 결합 여부 및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110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인덕턴스 센서가 전자기 유도에 따른 인덕턴스 변화량을 감지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에는 교류 전류가 인가될 수 있고, 이 교류 전류는 전자기 유도체에 와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전자기 유도체에 흐르는 와전류는 다시 코일과의 상호 유도를 통해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인덕턴스 센서는 이 때 코일에 나타나는 인덕턴스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인덕턴스 센서가 전자기 유도에 따른 인덕턴스 변화량을 감지한다라는 것은, 인덕턴스 계측기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인덕턴스 값을 측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방법으로 인덕튼스 값을 감지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기술자라면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 기전력의 변화 또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도 인덕턴스 센서가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전자기 유도체는 예를 들면, 금속 물질, 마그네틱 잉크, 마그네틱 테이프, 알루미늄 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자기 유도체는 자속 변화 및 인덕턴스 변화를 유발하여 감지될 수 있는 물질들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증기화 조립체(1100)들은 각각 식별용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증기화 조립체(1100)에 구비된 식별용 저항들은 각각 상이한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증기화 조립체(1100)에 포함된 식별용 저항들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조립체(1200)는,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1100)에 구비된 식별용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식별용 저항에 관한 전기적 특성(예: 전압, 전류, 전력, 컨덕턴스 등)에 대한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식별용 저항의 저항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조립체(1200)는,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1100)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제어 조립체(1200)는 증기화 조립체(1100)에 구비된 식별용 저항을 거치면서 발생한 전압 강하에 기초하여 식별용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각 식별용 저항의 저항값을 저장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고, 제어 조립체(1200)는 측정한 식별용 저항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증기화 조립체(1100)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증기화 조립체(1100)가 제어 조립체(1200)와 결합 시, 제어 조립체(1200)에 식별용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식별용 신호는,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1100)의 종류 및 증기화 조립체(1100)에 요구되는 전력 프로파일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식별용 신호를 수신하고, 식별용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해독함으로써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1100)의 종류 및 증기화 조립체(1100)에 요구되는 전력 프로파일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획득한 증기화 조립체(1100)의 종류 및 전력 프로파일에 따라 결정된 전력을 증기화 조립체(1100)에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조립체(1200)는 접속부의 접속 상태에 따라 결합된 어느 하나의 증기화 조립체(1100)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조립체(1200)의 접속부는 복수의 접속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접속 단자들은 각각 특이적으로 증기화 조립체(1100) 중 일부와 결합 및 접속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복수의 접속 단자 중 증기화 조립체(1100)와 접속한 단자에 기초하여,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1100)를 식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조립체(1200)의 접속부(1126)는 제1 증기화 조립체(1120)의 접속부(1126)와 접속될 수 있는 제1 단자(1224) 및 제2 증기화 조립체(1140)의 접속부(1144)와 접속될 수 있는 제2 단자, 제3 증기화 조립체(1160)의 접속부(1168)와 접속될 수 있는 제3 단자(1228) 및 접지를 위한 접지 단자(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기화 조립체(1120)의 접속부(1126)는 제어 조립체(1200)의 제1 단자(1224)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단자(1126-2) 및 접지 단자(112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증기화 조립체(1140)의 접속부(1144)는 제어 조립체(1200)의 제2 단자(1226)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단자(1126-2) 및 접지 단자(112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증기화 조립체(1160)의 접속부(1168)는 제어 조립체(1200)의 제3 단자(1228)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단자(1168-2) 및 접지 단자(116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1224), 제2 단자(1226) 및 제3 단자(1228)들은 각각 제어 조립체(120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1224), 제2 단자(1226) 및 제3 단자(1228)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단자(1224), 제2 단자(1226) 및 제3 단자(1228)들은 각각 제어 조립체(1200)의 상이한 일 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각 증기화 조립체(1100)들의 접속 단자(1126-2, 1144-2, 1168-2)는, 제1 단자(1224), 제2 단자(1226) 및 제3 단자(1228)들 중 각각 접속하는 단자들의 위치에 대응되는 증기화 조립체(1100)의 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조립체(1200) 및 증기화 조립체(1100)의 결합은, 단자의 위치에 따라 특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 단자(1224), 제2 단자(1226) 및 제3 단자(1228)들은 각각 상이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각 증기화 조립체(1100)들의 접속 단자(1126-2, 1144-2, 1168-2)는, 제1 단자(1224), 제2 단자(1226) 및 제3 단자(1228)들 중 각각 접속하는 단자들의 형상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조립체(1200) 및 증기화 조립체(1100)의 결합은, 단자의 형상에 따라 특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조립체(1200)는 제1 단자(1224), 제2 단자(1226) 및 제3 단자(1228)의 접속 상태에 따라 결합된 어느 하나의 증기화 조립체(1100)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제1 단자(1224)가 외부의 단자와 접속되면, 제1 증기화 조립체(1120)가 결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제2 단자(1226)가 외부의 단자와 접속되면, 제2 증기화 조립체(1140)가 결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제3 단자(1228)가 외부의 단자와 접속되면, 제3 증기화 조립체(1160)가 결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 조립체(1200)는 접속부의 접속 상태에 따라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1100)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증기화 조립체(1100)를 제어할 수 있다(S1200). 각 증기화 조립체(1100)는, 가열 대상인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상이하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따라 가열 강도 및 히터에 따라 가열 메커니즘 등이 상이하므로, 각 증기화 조립체(1100)에 최적화된 가열 방식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조립체(1200)는 각 증기화 조립체(1100)에 따라 최적화된 가열 방식을 미리 저장하고, 이에 따라 각 증기화 조립체(1100)에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어 조립체(1200)에 제1 증기화 조립체(1120)가 결합된 경우, 미리 정해진 대로,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제1 증기화 조립체(1120)에 전력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히터(1124) 온도가 제어되도록, 전원 공급 조립체(1300)로부터 제1 증기화 조립체(1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히터(1124)의 온도 프로파일은 복수의 서로 상이한 온도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프로파일은 퍼프에 대비하여 히터(1124)를 예열하는 예열 구간, 궐련 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기화할 수 있는 기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프로파일은 히터(1124)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는 저온 유지 구간 및 히터(1124)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이를 보상하기 위한 온도 보상 구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프로파일이 상술한 구간들을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온도 프로파일은 증기화 조립체(1100)의 종류, 궐련의 종류 및 사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터(1124)가 궐련 내부로 삽입되는 봉형인 경우, 히터(1124)가 궐련 외부 가열형인 경우 및 히터(1124)가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인 경우에 따라, 온도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각 구간의 지속 시간, 각 구간에서 가열 온도, 가열 온도를 구현하기 위해 제공되는 전력량 등이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열 구간(가열 개시부터 t2a의 시점까지)에서, 제어 조립체(1200)는 제1 증기화 조립체(1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차후 감지되는 퍼프에 대비하여, 퍼프 감지 시 궐련 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기화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히터(1124)는 예열 온도(T1a)까지 가열할 수 있다.
기화 구간(t3a부터 t4a까지)에서, 제어 조립체(1200)는 제1 증기화 조립체(1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궐련 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기화할 수 있는 기화 온도(T2a)까지 히터(1124)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예열 구간보다 기화 구간에서 증기화 조립체(1100)에 더 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기화 구간에서 사용자의 퍼프에 따라 에어로졸이 발생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6(a)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프로파일은 저온 유지 구간 및 온도 보상 구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온 유지 구간에서, 제어 조립체(1200)는 제1 증기화 조립체(1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기화 구간에서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히터(1124)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저온 유지 구간에서 공급 전력은 기화 구간에서의 공급 전력보다 작으므로, 소비 전력이 절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온 유지 구간의 온도는 예열 온도와 동일할 수 도 있다.
온도 보상 구간에서, 제어 조립체(1200)는 제1 증기화 조립체(1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저온 유지 구간에서 히터(1124)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이를 보상하기 위해 저온 유지 구간의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 히터(1124)를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보상 구간에서 공급 전력은 저온 유지 구간에서의 공급 전력보다 증가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어 조립체(1200)에 제2 증기화 조립체(1140)가 결합된 경우, 제어 조립체(1200)는 미리 정해진 대로, 퍼프의 감지에 따른 전력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퍼프의 감지에 따라 제2 증기화 조립체(1140)의 카트리지(1142) 내 히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퍼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한 시점(t1b, t2b, t3b)에, 카트리지(1142) 내 히터가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도록 제2 증기화 조립체(1140)에 소정의 전력(P1b)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퍼프를 감지한 시점(t1b, t2b, t3b)에, 소정의 크기만큼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전력 공급을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공급되는 전력량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마다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으나, 또는 퍼프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조립체(1200)는 퍼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흡연/흡입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고, 제어 조립체(1200)는 카운팅 결과에 따라 제2 증기화 조립체(1140)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조립체(1200)는 검출된 흡입의 회차 별로 미리 결정된 전력량을 히터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횟수의 흡입이 반복되는 1 사이클의 가열 동작 기간에 있어, 제어 조립체(1200)는 1회차 흡입에 응답하여 제1 전력량을 히터에 공급하고, 2회차 흡입에 응답하여 제2 전력량을 히터에 공급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 조립체(1200)는 제3 증기화 조립체(1160)가 결합된 경우, 미리 정해진 대로, 온도 프로파일 및 퍼프의 감지에 따른 전력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1164) 및 카트리지(1166) 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미리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온도 프로파일은 도 5(a)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예열 구간 및 가열 구간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저온 유지 구간 및 보상 구간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증기화 조립체(1160)가 따르는 온도 프로파일 및 제1 증기화 조립체(1120)가 따르는 온도 프로파일은 동일할 수도 있으나, 제3 증기화 조립체(1160)의 카트리지(1166)를 통해 생성되는 에어로졸을 고려하여,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3 증기화 조립체(1160)의 예열 온도 및 기화 온도는 제1 증기화 조립체(1120)의 예열 온도 및 기화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제3 증기화 조립체(1160)는 카트리지(1166)를 통해 에어로졸을 생성 및 제공할 수 있으므로, 예열 온도 및 기화 온도가 낮음으로 인한 에어로졸 생성량 및 생성된 에어로졸 물질을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조립체(1200)는 미리 정해진 대로, 퍼프의 감지에 따라 카트리지(1166)의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여 가열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는 퍼프 감지 시, 카트리지(1166)의 히터에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 크기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b)를 통해 상술한 내용들이 제3 증기화 조립체(116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어 조립체(1200)의 전력 공급 방식이 상술한 내용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증기화 조립체의 종류, 가열 대상, 가열 강도 등에 기초한 다양한 방식으로 증기화 조립체에 공급되는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00 증기화 조립체
1200 제어 조립체
1300 전원 공급 조립체
1400 무선 통신 조립체
1500 인터페이스 조립체
1120 제1 증기화 조립체
1140 제2 증기화 조립체
1160 제3 증기화 조립체

Claims (13)

  1. 궐련이 삽입될 수 있는 궐련 삽입부 및 상기 궐련을 가열할 수 있는 제1 히터를 포함하는 제1 증기화 조립체;
    저장부에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고, 심지를 통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운반하고, 제2 히터를 통해 상기 심지를 가열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제2 증기화 조립체;
    상기 제1 증기화 조립체 또는 상기 제2 증기화 조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증기화 조립체가 결합되면, 상기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하는 퍼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제1 증기화 조립체와 결합하면, 상기 제1 히터를 제1 온도로 가열하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히터를 상기 제1 온도와 상이한 제2 온도로 가열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제1 증기화 조립체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증기화 조립체와 결합하면, 상기 퍼프 센서가 퍼프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제2 히터가 제3 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제2 증기화 조립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화 조립체는 제1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증기화 조립체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제1 접속부와 접속될 수 있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2 접속부와 접속될 수 있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의 접속 상태에 따라 상기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를 식별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인덕턴스 변화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증기화 조립체는 제1 전자기 유도체 및 상기 제2 증기화 조립체는 제2 전자기 유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1 증기화 조립체 또는 상기 제2 증기화 조립체의 결합에 따라 발생한 인덕턴스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를 식별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화 조립체는 제1 식별용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증기화 조립체는 제2 식별용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제1 식별용 저항 또는 상기 제2 식별용 저항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를 식별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화 조립체는 상기 제어 조립체와 결합 시 상기 제어 조립체에 제1 식별용 신호를 송신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증기화 조립체는 상기 제어 조립체와 결합 시 상기 제어 조립체에 제2 식별용 신호를 송신하는 제3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제1 식별용 신호 또는 상기 제2 식별용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를 식별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이 삽입되는 궐련 수용부, 상기 삽입된 궐련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 및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 및 가열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제3 증기화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제3 증기화 조립체의 결합을 식별하고, 상기 제3 증기화 조립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배터리 및 제3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제3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조립체의 결합을 식별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결합된 증기화 조립체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는 입출력부 및 제4 접속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제4 접속부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조립체의 결합을 식별하고, 상기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및 제5 접속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제5 접속부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조립체의 결합을 식별하고, 상기 무선 통신 조립체를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화 조립체 및 상기 무선 통신 조립체는 상기 제어 조립체에 결합 시, 상호 이격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조립체는 복수의 제6 접속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6 접속부들은 상기 제어 조립체의 외곽에 이격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궐련 삽입부 및 제1 히터를 포함하는 제1 증기화 조립체 및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소, 심지 및 제2 히터를 포함하는 제2 증기화 조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증기화 조립체가, 제어 조립체에 결합하면, 상기 결합된 어느 하나의 증기화 조립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결합된 어느 하나의 증기화 조립체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073099A 2019-06-19 2019-06-19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42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099A KR102342333B1 (ko) 2019-06-19 2019-06-19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099A KR102342333B1 (ko) 2019-06-19 2019-06-19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897A true KR20200144897A (ko) 2020-12-30
KR102342333B1 KR102342333B1 (ko) 2021-12-22

Family

ID=7408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099A KR102342333B1 (ko) 2019-06-19 2019-06-19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3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170A (ko) * 2021-06-22 2022-12-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20170403A (ko) * 2021-06-22 2022-12-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142A (ko) * 2015-04-30 2016-11-10 (주)차남들 흡연 신호 송신 장치
KR20180081506A (ko) * 2015-11-17 2018-07-1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식별 인덕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카트리지
KR20180124740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온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57734A (ko) * 2017-11-20 2019-05-29 주식회사 이씨엠 전자담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전자담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142A (ko) * 2015-04-30 2016-11-10 (주)차남들 흡연 신호 송신 장치
KR20180081506A (ko) * 2015-11-17 2018-07-1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식별 인덕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카트리지
KR20180124740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온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57734A (ko) * 2017-11-20 2019-05-29 주식회사 이씨엠 전자담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전자담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170A (ko) * 2021-06-22 2022-12-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20170403A (ko) * 2021-06-22 2022-12-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333B1 (ko)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0815A1 (en) Flavor inhaler
CN113543666B (zh) 气溶胶生成装置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12218549B (zh) 气溶胶生成装置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10237470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4233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925209B2 (en) Cartridg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2584719B (zh) 气溶胶生成装置及其操作方法
KR20210015530A (ko) 열 전도 요소 및 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가열 조립체
KR102536916B1 (ko) 외부 디바이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US11944124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10042744A (ko) 궐련 및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10014013A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10012310A (ko) 마우스피스 교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10016865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42785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113412066B (zh) 气溶胶生成装置
CN116940251A (zh) 气溶胶生成制品和气溶胶生成系统
KR20200126831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충전용 전원변환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는 시스템
KR20200126271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40027081A (ko) 인터렉티브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EP4337046A1 (en) Customizable aerosol generation device by calibration
KR2023006437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21001230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