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738A - 케이블 연결에 상태에 기초한 소비 전력 저감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에 상태에 기초한 소비 전력 저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738A
KR20200144738A KR1020190072761A KR20190072761A KR20200144738A KR 20200144738 A KR20200144738 A KR 20200144738A KR 1020190072761 A KR1020190072761 A KR 1020190072761A KR 20190072761 A KR20190072761 A KR 20190072761A KR 20200144738 A KR20200144738 A KR 20200144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network cable
connector
forming apparatus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07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738A/ko
Priority to PCT/US2020/034217 priority patent/WO2020256890A1/en
Priority to US17/299,172 priority patent/US11533409B2/en
Publication of KR20200144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8Power saving in modem or I/O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907Details of supply connection, e.g. arrangement of power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소자를 갖는 커넥터와 물리층 프로토콜(PHY)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PHY 칩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인쇄 엔진, 및 통신 장치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인쇄 엔진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발광 소자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PHY 칩이 절전 상태를 갖도록 PHY 칩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연결에 상태에 기초한 소비 전력 저감{POWER CONSUMPTION REDUCTION BASED ON STATE OF CABLE CONNECTION}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개시의 통신 장치의 제1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4는 본 개시의 통신 장치의 제2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5는 네트워크 케이블과 접속되는 커넥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케이블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 예들의 특징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한다면, PDF, XPS, BMP, JPG 등의 파일 자체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노멀 모드" 또는 "정상 모드"란 인쇄 작업을 수행하거나,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바로 인쇄할 수 있는 동작 상태를 의미하고, "절전 모드"란 시스템이 아무런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부분의 모듈의 전력 공급을 차단 또는 최소화하는 동작 모드를 말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장치(110), 인쇄 엔진(120) 및 프로세서(13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제어 단말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 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서버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장치(110)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통신 장치(110)는 유선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모두를 지원하며, 무선 통신 방식만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내부 하드웨어 구성을 절전 상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근의 화상형성장치는 무선 통신 방식도 지원함에 따라 유선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다. 다만, 화상형성장치가 두 가지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 가능한 경우라도, 실제 적용 환경에서는 하나의 통신 방식만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가 무선 통신 방식만을 이용하는 환경에 설치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운영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환경에서도 유선 통신 방식에 필요한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였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있었다.
특히, 유선 케이블이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지 않았으면 유선망을 이용한 통신 자체가 불가능함에도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물리층 프로토콜(physical layer protocol: PHY)에 지속적으로 전력 소비가 발생하였다는 점에서, 유선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감지하고, 유선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유선 통신 구성과 관련된 내부 구성에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에서는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았으면 물리층 프로토콜에 전원 소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개시의 통신 장치(110)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커넥터(111)와 PHY 칩(113)을 포함하고, 커넥터(111)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으면 PHY 칩(113)의 동작을 중단시켜 소비 전력을 줄인다. 이하에서는 통신 장치(1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커넥터(111)는 네트워크 케이블(또는 유선 케이블)과 물리적/전기적 연결 가능하며,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소자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111)는 RJ-45 커넥터일 수 있다.
RJ-45 커넥터는 8가닥의 선을 이용하여 컴퓨터 랜 선(즉, 네트워크 케이블)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이다. 이러한 RJ-45 커넥터는 시스템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는지를 표시하는 발광 소자를 가질 수 있는데, 본 개시에서는 RJ-45 커넥터의 발광 소자가 발광(즉, 턴-온)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케이블이 커넥터(111)에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위하여,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는 표현을 사용하였지만, RJ-45 커넥터의 발광 소자는 네트워크 케이블의 반대 측(허브, 공유기 등)에도 정상 연결되어야 빛을 발광한다는 점에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유선 네트워크에 정상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케이블은 네트워크를 유선으로 연결해주는 케이블로, 랜 케이블 또는 랜 선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CAT5, CAT5e, CAT6, CAT7 규격의 UTP 케이블일 수 있다.
PHY 칩(113)은 물리층 프로토콜(physical layer protocol: PHY)을 수행하는 칩이다. 여기서 물리층 프로토콜은 물리적 매체(즉, 네트워크 케이블)를 통하여 비트 흐름을 전송하는 프로토콜로, 화상형성장치(100)와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맞춰 데이터 전송을 송수신할 수 있다.
PHY 칩(113)은 네트워크 케이블이 커넥터(111)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외부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맞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PHY 칩(113)은 인쇄 데이터 및 각종 제어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PHY 칩(113)은 외부에서 제공하는 리셋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데, 리셋 신호가 기설정된 값(예를 들어, 하이 값)을 가지면 정상 동작하고, 로우 값의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 절전 상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리셋 신호가 로우 값에서 하이 값으로 천이 되면, PHY 칩(113)은 리셋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 엔진(120)은 인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 엔진(120)은 통신 장치(110)를 통해 수신된 인쇄 데이터 또는 기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통신 장치(110)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가 수행되도록 인쇄 엔진(12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커넥터(111)에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감지 신호는 커넥터(111)의 발광 소자의 일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이 값 또는 로우 값을 갖는 신호이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플로팅 값을 입력받으면 발광 소자가 발광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즉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30)는 감지 신호가 접지 값 또는 기설정된 값 이하의 전원을 갖는 경우에는 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감지 신호가 하이 값일때 네트워크 케이블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프로세서(130)와 커넥터(111)의 발광 소자를 연결하는 회로 구성에 따라 반대 값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감지 신호가 로우 값일때 네트워크 케이블에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프로세서(130)가 별도의 동작 없이 감지 신호만으로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 장치(110)를 제어하고, 해당 신호의 전송 과정 중에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30)는 PHY 칩이 절전 상태를 갖도록 통신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PHY 칩(113)에 제공되는 리셋 신호가 로우 값을 갖도록 통신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30)는 내부의 복수의 기능 블럭 중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하는 블럭에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인쇄 작업의 유무, 인쇄 작업 이후의 경과 시간 등을 판단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할 것인지, 노멀 모드로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를 갖도록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로 결정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통신 장치(110) 및 프로세서(130)만이 동작하도록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다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장치(110), 인쇄 엔진(120), 프로세서(130), 메모리(140), 디스플레이(150) 및 조작 입력 장치(16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장치(110) 및 인쇄 엔진(120)에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에 대해서도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하였는바, 도 1에서 설명한 내용은 중복 기재하지 않고, 도 2에서 추가된 구성과 관련된 내용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메모리(140)는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40)는 통신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저장매체뿐만 아니라, 외부 저장 매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화상형성장치의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설정 정보는 유선 통신망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망의 사용 여부는 후술하는 조작 입력 장치(160)를 이용한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설정 값이다.
디스플레이(15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5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기능 및 옵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5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절전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조작 입력 장치(16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작 입력 장치(160)는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15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한 각종 구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조작 입력 장치(16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의 전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 노멀 모드로의 전환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노멀 모드인 경우에 절전모드로의 전환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한편, 조작 입력 장치(160)는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다는 설정을 입력받았으면, 프로세서(130)는 유선 네트워크를 위한 구성들이 절전 상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HY 칩(113)이 절전 상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설정이 네트워크 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으로 변경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 또는 노멀 모드에서 PHY 칩(113)이 정상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설정에 기초하여 PHY 칩(113)에 하이 값의 리셋 신호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발광 소자의 턴-온 여부를 고려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았으면 유선 통신만을 위한 구성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바, 소비 전력 저감에 유리하며, 특히나 절전 모드시에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종래와 같이 PHY 칩에 전원이 공급되면 절전 모드인 경우라도 대략 20.328mW의 소비 전력이 발생하는데, 본 개시와 같이 PHY 칩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대략 3.3mW의 소비 전력만이 발생하여 대략 17mW 소비전력 감축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개시의 통신 장치의 제1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10)는 커넥터(111) 및 PHY 칩(113)을 포함한다.
커넥터(111)는 네트워크 케이블과 접속 가능하다. 커넥터(111)는 네트워크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단자 각각은 일 단이 네트워크 케이블 내의 복수의 케이블 각각과 연결되며, 타 단은 PHY 칩(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111)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녹색 및 노랑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커넥터(111)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커넥터(111)의 녹색 발광 소자의 일 단은 프로세서(130)의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해당 포트에서 감지된 신호 값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의 발광 여부 즉, 네트워크 테이블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PHY 칩(113)은 무선 케이블을 통한 비트 흐름을 전송하는 물리층 프로토콜(physical layer protocol: PHY)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PHY 칩(113)은 리셋 신호(nRST_NW_PHY)에 기초하여 동작하며, 리셋 신호가 하이 값을 가지면 노멀 모드로 동작하고, 로우 값이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 절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리셋 신호가 하이 값 일 때, PHY 칩(113)은 물리층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인쇄 제어 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 및 각종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PHY 칩(113)은 프로세서(130)의 네트워크 블럭(131)과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고, 수신한 인쇄 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를 프로세서(130)의 네트워크 블럭(131)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블럭(131)과 PHY 칩(113)은 MII(Media Independent Interface), RMII(Reduced Media Independent Interface), GMII(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RGMII(Reduced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등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PHY 칩(113)은 네트워크 블럭(131)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커넥터(11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PHY 칩(113)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기능 불럭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기능 블럭 중 하나는 네트워크 블럭(13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블럭(131)은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하는 기능 블럭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블럭(131)은 PHY 칩(113)과 상술한 MII, RMII, GMII, RGMII 등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며, PHY 칩(113)을 제어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11)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3에 도시된 PHY 칩(113) 및 네트워크 블럭(131)은 동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있지 않음이 판단되면,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GPO 포트를 이용하여, 로우 값의 리셋 신호(nRST_NW_PHY)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내부의 네트워크 블럭(131)에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 블럭(131)에 대한 핀 패드(pin pad)를 다운하여 해당 블럭이 절전 상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상태에서 네트워크 케이블이 커넥터에 연결되면, 커넥터(111)의 발광 소자는 발광하게 되고, 프로세서(130)는 입력 포트 값이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된 것으로 확인하고, PHY 칩(113)에 하이 값의 리셋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네트워크 블럭(131)에 대한 절전 모드도 노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HY 칩(113)은 리셋되어 정상 모드로 전환되고, 커넥터(111), PHY 칩(113) 및 네트워크 블럭(131)를 이용한 통신 채널이 정상화 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가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성되고, PHY 칩도 유선 통신을 위한 PHY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PHY 칩은 유선 통신을 위한 기능 및 무선 통신을 위한 기능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통신 장치의 제2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110)는 커넥터(111) 및 PHY 칩(113')을 포함한다.
커넥터(111)는 도 3의 구성과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PHY 칩(113')은 두 개의 PHY을 포함한다. 제1 PHY(115)(또는 유선 PHY)는 유선 케이블에서의 비트 흐름을 제어하는 물리층 프로토콜이고, 제2 PHY(117)(또는 무선 PHY)은 무선 통신(안테나)을 통한 비트 흐름을 전송하는 물리층 프로토콜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PHY 칩(113')은 무선 통신을 위하여 안테나와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PHY(115)는 리셋 신호(nRST_NW_PHY)에 기초하여 동작하며, 리셋 신호가 하이 값을 가지면 동작하고, 로우 값을 가지면 절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PHY(11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와 무관하게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에 따라 노멀 모드와 절전 모드가 천이 된다. 즉,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 모드인 경우라도,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라면 제1 PHY(115)는 정상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가 노멀 모드인 경우라도, 네트워크 테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라면, 제1 PHY(115)는 절전 모드로 동작한다.
그리고 노멀 모드시에 제1 PHY(115)는 제1 프로세서(133)의 네트워크 블럭(134)과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고, 수신한 인쇄 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를 제1 프로세서(133)의 네트워크 블럭(134)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PHY(115)는 네트워크 블럭(134)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커넥터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PHY(117)는 무선 통신(안테나)을 통한 비트 흐름을 전송하는 물리층 프로토콜이다. 만약,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PHY(115)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제2 PHY(117)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1 프로세서(133)와 PHY 칩(113') 사이에 하나의 인터페이스만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PHY 칩(113')과 제1 프로세서(133)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즉, 제1 PHY(115)와 제1 프로세서(133)를 연결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와 제2 PHY(117)와 제2 프로세서(135)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프로세서(133)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프로세서(133)는 화상형성장치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인쇄 잡의 처리, 스캔 데이터 처리, 이미지 처리 등을 수행하거나, 이와 같은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로세서(133)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정상 모드시에 제1 PHY(115)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블럭(13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로세서(133)는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네트워크 블럭(134) 및 제1 PHY(115)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각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술한 구성을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135)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PHY 칩(113')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2 프로세서(135)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동작하는 절전 컨트롤러이다.
제2 프로세서(135)는 커넥터(111)의 발광 소자의 일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111)에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에 따라 제2 프로세서(135)는 제1 PHY(115)의 동작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로세서(135)는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제1 프로세서(133)에 통지하여 네트워크 블럭(134)이 절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프로세서(135)는 절전 모드시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는 것이 확인되면, 제1 PHY(115)가 노멀 상태로 전환하도록 리셋 신호를 천이하고, 네트워크 블럭(134)이 턴-온되도록 제1 프로세서(133)에 통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전 상태로 동작하는 제2 프로세서(135)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 상태인 경우라도,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네트워크 케이블과 접속되는 커넥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111)는 네트워크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고,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112-1, 112-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112-1, 112-2)는 네트워크 케이블이 커넥터에 연결되면, 기설정된 색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 소자(112-1)는 초록색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라면 초록색 빛을 발광할 수 있다.
한편, 제2 발광 소자(112-2)는 노란색 LED 소자일 수 있으며, 실질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있는 경우에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가 제1 발광 소자(112-1)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발광 소자가 발광하는지 여부만을 확인하여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발광 소자(111-2)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의 제어 이후에 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통하여 커넥터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인터넷 케이블의 연결 여부만을 확인하고, 그에 대응되게 PHY 칩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팩스 송수신을 위한 전화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대응되게 팩스 송수신을 제어하는 칩 및 그에 대응되는 기능 블럭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케이블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커넥터의 발광 소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한다(S610). 구체적으로, RJ-45 커넥터의 발광 소자가 턴-온된 상태인지 턴-오프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된 발광 소자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S620). 구체적으로, 커넥터의 발광 소자가 발광 동작 중이면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발광 소자가 발광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의 포트 중 하나가 커넥터(111)의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프로세서(130) 측에서는 해당 포트가 로우 상태인지 또는 하이 상태인지 여부로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물리층 프로토콜(PHY)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PHY 칩의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S630). 구체적으로, PHY 칩에 제공되는 리셋 신호의 신호 값을 가변하여 PHY 칩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이면, 리셋 신호를 하이 값을 유지하여 PHY 칩이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았으면 리셋 신호를 로우 값을 갖도록 하여 PHY 칩이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프로세서의 복수의 기능 블럭 중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하는 블럭을 절전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즉, PHY 칩이 절전된 상태에서 무선 통신용 칩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용 칩을 통하여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케이블 감지 방법은 발광 소자의 턴-온 여부를 고려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케이블 감지 방법은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았으면 유선 통신만을 위한 구성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바, 소비 전력 저감에 유리하며, 특히나 절전 모드시에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네트워크 케이블 감지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화상형성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케이블 감지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통신 장치
111: 커넥터 113: PHY 칩
120: 인쇄 엔진 130: 프로세서
140: 메모리 150: 디스플레이
160: 조작 입력 장치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소자를 갖는 커넥터와 물리층 프로토콜(PHY)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PHY 칩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인쇄 엔진; 및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상기 인쇄 엔진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광 소자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PHY 칩이 절전 상태를 갖도록 상기 PHY 칩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Y 칩은,
    하이 값의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 노멀 모드로 동작하고, 로우 값의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 절전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로우 값의 리셋 신호를 상기 PHY 칩에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주기로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면 하이 값의 리셋 신호를 상기 PHY 칩에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갖는 RJ-45 인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LED의 일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출력 포트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기능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기능 블럭 중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하는 블럭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시에 상기 인쇄 엔진을 제어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시에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서브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하는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인 프로세서의 상기 블럭이 절전되도록 상기 메인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용 칩을 더 포함하고,
    상기 PHY 칩이 절전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용 칩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Y 칩은,
    상기 네트워크 케이블에 대한 물리층 프로토콜 기능을 수행하는 유선 PHY 블럭과 무선 통신망에 대한 물리층 프로토콜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PHY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유선 PHY 블럭이 절전 상태를 갖도록 상기 PHY 칩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11. 화상형성장치에서의 네트워크 케이블 감지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커넥터의 발광 소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발광 소자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물리층 프로토콜(PHY)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PHY 칩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케이블 감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HY 칩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PHY 칩에 제공되는 리셋 신호의 신호 값을 가변하여 상기 PHY 칩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네트워크 케이블 감지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프로세서의 복수의 기능 블럭 중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하는 블럭을 절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케이블 감지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의 발광 소자가 발광 동작 중이면 상기 커넥터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네트워크 케이블 감지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HY 칩이 절전된 상태에서 무선 통신용 칩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케이블 감지 방법.
KR1020190072761A 2019-06-19 2019-06-19 케이블 연결에 상태에 기초한 소비 전력 저감 KR20200144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61A KR20200144738A (ko) 2019-06-19 2019-06-19 케이블 연결에 상태에 기초한 소비 전력 저감
PCT/US2020/034217 WO2020256890A1 (en) 2019-06-19 2020-05-22 Power consumption reduction based on state of cable connection
US17/299,172 US11533409B2 (en) 2019-06-19 2020-05-22 Power consumption reduction based on state of cable conn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61A KR20200144738A (ko) 2019-06-19 2019-06-19 케이블 연결에 상태에 기초한 소비 전력 저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738A true KR20200144738A (ko) 2020-12-30

Family

ID=7404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761A KR20200144738A (ko) 2019-06-19 2019-06-19 케이블 연결에 상태에 기초한 소비 전력 저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33409B2 (ko)
KR (1) KR20200144738A (ko)
WO (1) WO20202568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863A (en) * 1995-06-09 1998-10-27 Canon Information Systems, Inc. Interface device connected between a LAN and a printer for outputting formatted debug information about the printer to the printer
DE19611945C1 (de) * 1996-03-26 1997-11-20 Daimler Benz Ag Einrichtung für den busvernetzten Betrieb eines elektronischen Gerätes mit Microcontroller sowie deren Verwendung
US7079830B2 (en) * 2002-01-24 2006-07-18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with wireless LAN and wired LAN activity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ology
CN1778027A (zh) 2003-03-06 2006-05-24 加塞米·帕蒂西派科斯·索西塔里亚斯有限公司 能量提取和转换的量子发生器和相关装置
TW200805045A (en) * 2006-07-07 2008-01-16 Asustek Comp Inc Networ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network chip
TW201038008A (en) * 2009-04-13 2010-10-16 Jmicron Technology Corp Network apparatus with power saving capability and power saving method applied to network module
US9015509B2 (en) 2011-02-07 2015-04-21 Silicon Image, Inc. Mechanism for low power standby mode control circuit
JP5382818B2 (ja) 2011-03-03 2014-01-08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通信回路および通信方法
JP2012212399A (ja) 2011-03-31 2012-11-01 Toshiba Corp 電子制御装置及びリセット制御方法
JP2013141170A (ja) * 2012-01-06 2013-07-18 Ricoh Co Ltd 通信装置
JP2018130910A (ja) 2017-02-16 2018-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省電力モード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33409B2 (en) 2022-12-20
US20220103710A1 (en) 2022-03-31
WO2020256890A1 (en)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641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96417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activating power-saving mode, rela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omputer program
US20070058190A1 (en) Multi-function printer
US853926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US20090141303A1 (en) Printing system and printer specifying method
US2015015397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notifying temporary disconnection from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289702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086284A1 (en) Network interface based on detection of input combination interface
CN104104812A (zh) 图象处理系统以及图象处理装置
JP2019097107A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117585A1 (en)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via internet network
CN103391386A (zh) 能够以自动协商模式工作的通信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00144738A (ko) 케이블 연결에 상태에 기초한 소비 전력 저감
JP5495743B2 (ja) 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40139868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9104957B2 (en) Imaging device having information protection function
JP4775146B2 (ja) 画像出力装置および画像出力装置における消費電力削減方法
JP2017132167A (ja) 処理装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37985A (ja) 画像処理装置、制御回路及びプログラム
JP719189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008088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5211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state controlling method for th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11800034B2 (en) Recording medium, power sav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US10983586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US99463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