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734A -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734A
KR20200144734A KR1020190072747A KR20190072747A KR20200144734A KR 20200144734 A KR20200144734 A KR 20200144734A KR 1020190072747 A KR1020190072747 A KR 1020190072747A KR 20190072747 A KR20190072747 A KR 20190072747A KR 20200144734 A KR20200144734 A KR 20200144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sity
fuel
rpm
valu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섭
홍승표
손진성
Original Assignee
조남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섭 filed Critical 조남섭
Priority to KR1020190072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734A/ko
Publication of KR20200144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11/1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oving a body within the material
    • G01N11/14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oving a body within the material by using rotary bodies, e.g. v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추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는, 선박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유로관에 설치되어 유로관을 통과하는 연료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임펠라 및 임펠라를 회전축에 연결한 모터를 포함하는 감지장치, 및 모터를 지정 주파수로 구동하여 임펠라를 회전시키며, 회전축의 회전 속도(RPM)가 목표 알피엠(RPM)에 도달할 때까지 온도를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변화되는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인터페이스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Viscometer of Oil for Shipping Engin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점도감지센서, 케이블 및 인터페이스 박스가 일체화되어 형성된 점도감지장치를 이용하여 벙커 C유 등의 점도를 측정하는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도계는, 유체의 점성률을 측정하는 장치로 여러 종류가 있는데, 우선 가는 관 속을 일정 부피의 유체가 흐르는 시간을 재든가, 정상적인 유체를 흘려보내 유량(흐름의 양)을 재고, '푸아죄유의 법칙'을 적용해서 점성률을 구하는 것을 세관 점도계라 한다. 그 중에서 오스트발트점도계는 물의 점성률을 표준 삼아 그것과 비교되는 값을 실측하는 것으로서 역사적·실용적으로 기본적인 점도계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 정지한 유체 속의 작은 구(球)의 낙하속도를 측정해서 스토크스의 법칙을 적용하는 낙구점도계, 기포의 상승속도를 측정하는 기포점도계, 동축(同軸) 원통간에 유체를 채우고 내부 원통을 회전시켜 점성저항을 재는 회전점도계, 유체 속의 진동체가 하는 비틀림 진동의 감쇠를 재는 진동점도계, 엥글러도를 측정하는 엥글러점도계 등이 있다.
대표적으로 종래의 비틀림 진자 원리를 이용한 센서는 물성 이론을 갖춰야만 제작이 가능하다. 해당 센서의 장점은 점도에 따라 선형(1차함수) 그래프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단점은 센서로서 정밀도를 갖춘 제품을 제작하는 데 오랜 기간 동안 축적된 경험과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어야만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의 센서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어 있고 외부에는 DLC(Diamond Like Carbon)로 제작되어 있다. 스테인리스로 제작된 이유는 "비틀림 전자" 원리와 열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며, 외부 코팅을 DLC로 한 것은 외부 유속에 따라 내부에 위치한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의 센서의 민감도를 고려해 볼 때 외관을 금속 재질로 제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벙커 C유의 온도를 고려할 때 최대 180도까지 측정하기 위해, 또 센서의 망실을 막고자 특수 코팅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센서는 기름의 점도와 유속을 고려하여 축의 비틀림이나 변형에 대해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를 설치하고,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전기 케이블을 각종 노이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쉴드(shield) 케이블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쉴드 케이블은 비용이 매우 비싸고 작업도 매우 힘든 문제가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해, 센서로부터 주파수 인입/인출로 인한 등분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센서 길이는 정확하게 결정되어야 하며, 작업자가 조금이라도 실수를 하여 절단할 경우 측정되는 점도값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한, 센서로부터 인터페이스 박스까지 특수재질의 전기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200×100×50w의 인터페이스 박스를 추가 설치해야 하므로 금액이 상승한다. 나아가, 인터페이스 박스에서 메인 컨트롤러까지 설치하는 전기 케이블은 노이즈 방지를 위한 쉴드 타입을 이용하기 때문에 엔진제어룸에서 청정기실까지 거리가 멀어 비용이 매우 증가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47406호(2002.07.23) 국제공개특허공보 WO00/22412(2000.04.20) 국제공개특허공보 WO93/02347(1993.02.04)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080671(2003.10.17)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15-0003852호(2015.10.2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6152호(2010.04.27)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점도감지센서, 케이블 및 인터페이스 박스가 일체화되어 형성된 점도감지장치를 이용하여 벙커 C유 등의 점도를 측정하는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는, 선박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유로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관을 통과하는 상기 연료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임펠라(Impeller) 및 상기 임펠라를 회전축에 연결한 모터를 포함하는 감지장치, 및 상기 모터를 지정 주파수로 구동하여 상기 임펠라를 회전시키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RPM)가 목표 알피엠(RPM)에 도달할 때까지 온도를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변화되는 상기 연료의 점도(viscosity)를 측정하는 인터페이스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회전 속도가 증가할 때의 알피엠값, 상기 변화되는 온도값 및 상기 측정한 점도값을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회전 속도가 제1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까지의 알피엠값, 온도값 및 상기 측정한 점도값을 매칭시키고, 상기 제1 목표 알피엠에 도달하면 다음 단계의 제2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까지의 알피엠값, 온도값 및 상기 측정한 점도값을 매칭시켜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온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회전 속도가 증가할 때 상기 연료의 저항력에 의해 상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전류량을 더 측정해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연료의 온도가 100도 이상이 될 때 상기 센싱장치를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선박 엔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광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RS(Recommended Standard)-485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RS-485 통신을 통해 상기 점도의 측정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센싱값을 생성하는 센서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측정한 동일 점도에서 원산지별 연료의 온도값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선박 엔진의 초기 가동시 상기 연료의 원산지와 상관없이 상기 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점도감지장치의 고장시 원산지에 근거한 온도값에 따라 상기 연료를 가열하도록 상기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의 점도값에 대한 정보를 선박의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의 구동방법은, 선박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유로관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임펠라 및 상기 임펠라를 회전축에 연결한 모터를 포함하는 점도감지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모터를 지정 주파수로 구동하여 상기 임펠라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RPM)가 목표 알피엠(RPM)에 도달할 때까지 온도를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변화되는 상기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회전 속도가 증가할 때의 알피엠값, 상기 변화되는 온도값 및 상기 측정한 점도값을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회전 속도가 제1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까지의 알피엠값, 온도값 및 상기 측정한 점도값을 매칭시키고, 상기 제1 목표 알피엠에 도달하면 다음 단계의 제2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까지의 알피엠값, 온도값 및 상기 측정한 점도값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온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회전 속도가 증가할 때 상기 연료의 저항력에 의해 상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전류량을 더 측정해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연료의 온도가 100도 이상이 될 때 상기 센싱장치를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선박 엔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광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RS(Recommended Standard)-485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RS-485 통신을 통해 상기 점도의 측정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센싱값을 생성하는 센서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선박 엔진의 초기 가동시 상기 연료의 원산지를 구별하여 상기 점도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한 동일 점도에서의 원산지별 온도값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점도감지장치의 고장시 원산지에 근거한 온도값에 따라 상기 연료를 가열하도록 상기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의 점도값에 대한 정보를 선박의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점도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광 케이블을 활용함으로써 저비용의 케이블을 이용함에도 아날로그 데이터의 손실이나 노이즈에 간편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도 편리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점도감지센서가 고장이 나는 경우에도 기저장된 점도별 온도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고장 전과 동일하게 운항을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선박 엔진 연료공급시스템에서의 점도추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점도감지장치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점도감지장치의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인터페이스 보드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도감지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선박 엔진용 연료공급시스템에서의 점도추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점도감지장치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메인 구동부와 점도감지장치의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 점도추출장치(90)는 점도감지장치(110)와 메인 구동부(혹은 구동장치, 제어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메인 구동부(1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점도추출장치(90)가 구성되거나 메인 구동부(1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점도감지장치(110)에 일체화(혹은 통합)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도감지장치(110)는 가령 벙커 C유 등을 가열하는 히팅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히팅장치에 연결된 유로관(100)을 통해 히팅장치에서 가열된 벙커 C유를 공급받아 점도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적절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선박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은 메인 구동부(12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점도감지장치(110)는 히팅장치와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동작하느냐에 따라 물론 다양한 형태로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메인 구동부(120)에서 선박의 전박적인 제어를 담당하되, 히팅장치의 제어는 점도감지장치(110)에서 직접 제어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점도감지장치(110)가 히팅장치에서 가열된 벙커 C유에 대하여 점도를 간헐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점도감지장치(110)는 히팅장치에서 공급되는 엔진용 연료를 제1 유로관을 통해 공급받아 점도를 측정하고, 측정값은 메인 구동부(120)로 제공하며, 이에 따라 메인 구동부(120)는 측정값을 근거로 기준 상태의 연료가 히팅장치에서 공급된다고 판단될 때, 밸브(111)를 제어하여 점도감지장치(110)로 유입되는 연료를 차단하고 인렛 관(IN)에서 아웃렛 관(OUT)으로 직접 연결되는 제2 유로관(100)을 통해 연료를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 물론 점도감지장치(110)는 제2 유로관(100)을 통해 엔진룸으로 히팅장치의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이의 과정에서 간헐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밸브(111)를 개방하여 점도감지장치(110)로 유입되는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유입된 연료는 정확한 점도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이를 위하여 유입되는 입력부와 인출되는 출력부 사이에 단의 차이 즉 단차가 없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제2 유로관(100)이 생략되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점도감지장치(110)는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히팅장치에서 공급되는 엔진용 연료를 유로관을 통해 공급받아 점도를 측정하고, 측정값은 메인 구동부(120)로 제공하며, 이에 따라 메인 구동부(120)는 측정값을 근거로 기준 상태의 연료가 히팅장치에서 공급된다고 판단될 때, 연료 히팅용 컨트롤밸브를 제어하여 기준 상태의 점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유입된 연료는 정확한 점도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유입되는 입력부와 인출되는 출력부 사이에 단의 차이 즉 단차는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도감지장치(110)는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감지장치와 인터페이스 보드(board)(혹은 인터페이스부, 인터페이스장치)의 형태로 구비되고, 인터페이스 보드(200)에 연결되어 동작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를 구성하는 모터(210) 및 모터(210)에 연결되어 본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혹은 구동축)(210a)과, 회전축(210a)의 일측 단부에 체결된 임펠라 모양의 날개부(혹은 측정부)(2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물론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본체 케이스의 내벽에 스크류 등을 통해 고정되겠지만, 외부면에 장착되어도 무관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터페이스 보드(20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칭하여 센서부(혹은 감지장치, 센싱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더 정확히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는 인터페이스 보드(200)에 구성되어 모터(210)의 동작을 센싱하는 센서모듈(또는 센서)(20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1)와 센서모듈(203)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가령 BLDC 모터와 축, 임펠라로 구성되어 메인 컨트롤러(121)로부터 시작된 명령이 인터페이스 보드(200)를 거쳐 핸들링되는 대로 모터(210)가 구동된다. 또한,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메인 컨트롤러(121)와 센서모듈(203)의 사이에서 명령어와 데이터를 전달해 주는 중간 통신 연결부로서 동작하며, 가령 MCU를 내장하여 메인 컨트롤러(121)에서 전달된 명령을 통해 모터(210), 임펠라로 구성된 센서모듈(203)을 직접적으로 컨트롤 즉 제어하는 센서 컨트롤러 또는 서브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모터(210)의 기준 RPM을 가변하고 벙커 C유의 점도를 측정하고, 또 가변하는 것을 반복한다. 가령 목표 RPM이 7500이라 가정하면, 1000 RPM 목표로 1차적으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그에 따라 변하는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고, 또 해당 목표에 도달하면 다시 5000 RPM을 목표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그에 따라 변하는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기준 RPM 및 온도를 변화하면서 점도를 측정하여 목표 RPM에까지 도달할 때의 점도를 최종적으로 측정하게 된다.
인터페이스 보드(200)에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부(201)는 도 1의 메인 구동부(120) 또는 그 메인 구동부(120)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 3의 컨트롤러(121) 즉 제어부(혹은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도 2의 모터(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인터페이스부(201)는 CPU 등의 별도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 구동부(120)는 메인 컨트롤러(121)를 구비하고,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서브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인터페이스부(201)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로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터(210)는 메인 컨트롤러(121)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여 모터(210)에 연결된 도 2의 회전축(210a)을 구동시키게 된다.
다시 정리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점도감지장치(110)는 센서(혹은 감지장치) 상부에 인터페이스 보드(200)를 위치시키고,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도 3의 메인 컨트롤러(121)가 구비된 보드와 기본 RS-485 통신(혹은 이더넷 통신) 기반으로 각종 신호 와이어(예: 광케이블)를 연결하여 그 아래쪽으로 모터(210)가 배치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보드(200), 신호 와이어 및 모터(210)는 일정한 크기의 박스(예: ø100) 내부에 모두 설치된다.
모터(210)에는 약 50 ~ 100 mm의 회전축(210a)이 연결되고, 회전축(210a)의 맨 아래 부분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임펠라 모양의 좁은 날개부(220)를 가공하여 회전축(210a)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도 센서는 인터페이스 보드(200), 모터(210)와 회전축(210a)을 일체형으로 하여 1 세트(set)로 구성하게 된다. 이때, 임펠라 모양의 날개부(220)의 면적은 실험 등을 통해 적절한 사이즈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름(oil)의 점도와 유속을 고려하여 회전축(210a)의 비틀림이나 변형에 대해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를 설치하게 된다.
도 1의 메인 구동부(120) 혹은 메인 구동부(120)와 통신하는 도 2의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점도감지장치(110) 내에서의 점도 측정을 위하여 모터(210)의 회전축(210a)을 시계 방향으로 또 반시계방향으로 일정하게 빠른 속도로 회전을 시키면서 점도에 따른 축의 회전 속도를 측정한다. 기본적으로 기준이 되는 축의 회전 알피엠(RPM)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점도에 의한 RPM을 얻게 된다. 이렇게 점도에 의해 달라지게 되는 RPM을 기준 RPM과 비교 분석하여 점도(혹은 점성)를 판독한다. RPM은 모터(210)의 회전축(210a)이 1분 동안 회전하는 회전수를 의미한다.
한편, 점도에 따라 축의 회전에 따른 저항력이 발생하게 되고, 컨트롤러(121), 더 정확하게는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그에 비례하여 부하에 전류가 상승하게 되는 것을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게 되며, 모터(210)의 성능 저하에 대비하여 가령 도 2의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엔코더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되는 엔코더를 통해 회전 RPM에 대한 각도 변화를 측정하여 모터(210)의 성능이 저하되더라도 동작상 문제가 없도록 임의의 시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실시간으로 보정(calibration)하여 항상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시킨다. 기준 RPM은 히터의 온도를 근거로 점도에 따라 가변하여 적용할 수 있다. 판독할 수 있게 되려면 이미 기준 RPM과 비교한 현재 점도에 따른 RPM을 비교한 RPM DB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RPM 정보를 DB화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점도의 측정은 연료의 온도가, 가령 히터의 온도가 100도 이상이 될 때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상적인 점도에 이르기 위한 RPM이 7500 RPM이라 가정할 때, 해당 목표 RPM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별 기준 RPM(예: 1단계는 1000 RPM, 2단계는 5000 RPM 등)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연료의 온도를 서서히 변화 즉 증가시키면서 온도가 증가될 때 해당 연료의 점도를 측정한다. 이를 통해 변화하는 RPM, 변화하는 온도 및 그때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1단계의 기준 즉 설정 RPM에 도달하면 다시 2단계의 기준 RPM을 목표로 서서히 RPM와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이때의 점도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목표 RPM에 도달할 때까지의 단계별 혹은 점증적으로 변화하는 기준 RPM, 변화하는 온도, 또 그때의 점도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가령, 이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이 이루어질 때, 벙커 C유의 경우, 원산지별로 동일한 기준 RPM과 동일한 점도라 하더라도 온도값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부 보드(200)는 사용되는 벙커 C유의 원산지를 구분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령 운항 중에 점도계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원산지의 목표 RPM에서의 점도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면, 해당 점도값에 원산지별로 서로 다른 온도값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연료를 해당 온도값으로 선박 관리자의 제어하에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A라는 원산지의 연료가 사용되고 있고, 엔진 가동 초기에 이에 대한 점도별 온도값을 측정하여 기저장하고 있는 경우, 혹은 그 전에 이미 측정하여 기저장하고 있는 경우 점도계가 고장이 날 때, 목표 RPM에 도달할 때의 점도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에 매칭되어 있는 온도값에 따라 연료가 가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는 회전축(210a)의 날개와 센서의 보호를 위해 온도센서, 가령 PT 100 센서를 설치하여 HFO(Heavy fuel oil)가 100도 이상 상승할 때까지 구동하지 않는다. 온도가 100도를 넘어서게 되면 기름이 유체로 바뀐 후, 펌프(pump)가 가동하게 되고 HFO는 관로 내부에서 천천히 흐름을 유지하게 된다. 온도가 100도를 넘으면 온도를 제어하는 센서가 작동하게 되고, 동시에 점도 측정을 하도록 모터(210)를 자동으로 구동시키면서 모터(210)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모터(210)와 연결된 회전축(210a)은 모터(210)의 동작에 의해 임펠라를 구동하게 되면서 관로 내부에 흐르는 기름의 점성 정도를 계측한다. 즉 점성이 높으면 임펠라 회전속도는 느리게 되고, 점성이 낮으면 임펠라 회전속도는 빠르게 된다.
회전축(210a)의 회전 속도의 저항력은 크게 2가지로 측정이 가능하다. 첫째는 모터(210)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저항력이 상승하게 되면 전류 소모량도 비례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를 DB화하여 사용한다. 둘째는 기준 RPM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히터의 온도를 상승시키면 벙커 C유의 점도가 낮아지게 될 것이고, 기준 RPM을 높이고 또 히터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지는 데이터를 센서 개발 과정이나 실험을 통해 취득한 기준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판독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인 컨트롤러 보드 즉 도 1의 메인 구동부(120)나 도 3의 메인 컨트롤러(121)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메인 컨트롤러(121)와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RS-485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아날로그 데이터의 손실이나 노이즈에 대응할 수 있게 되며, 광케이블선을 이용하므로 작업 관리와 케이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인터페이스부(201)는 모터(210)와 모터 제어, 센서모듈(203)로부터 센싱된 점도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 점도를 측정하고, 또 기준 RPM을 가변하여 점도를 측정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 보드(200)는 앞서 언급한 대로 반도체 소자 등을 활용하여 가급적 종래의 제품(예: 비틀림 전자 원리 센서 등)보다 그 크기를 30~40% 내외로 축소하여 점도 센서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메인 구동부(120) 또는 도 3의 컨트롤러(121), 더 정확하게는 인터페이스부 보드(200) 내의 서브 컨트롤러나 점도계측부는 가상 점도레벨(Virtual Viscosity Level: VVL)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선박이 항해 중에 점도 센서가 고장(혹은 망실)이 나는 상황을 고려하여 그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점도 센서는 1개가 장착이 되며, 부수적인 장치이고, PT 100(0도~200도)을 사용한다. 기존 시스템의 경우, 점도 센서가 망실되면 선박 운항자는 매뉴얼 모드로 전환하여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전환한 후 운항에 필요한 벙커 C유의 적정 점도에 맞는 온도를 숙지하여, 벙커 C유의 온도를 설정하여 선박 운항을 지속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박 운항을 위해 벙커 C유에 대한 정보를 (기)설정 혹은 저장한다. 선박이 항구에 정박 중인 상태에서 운항을 위해 엔진을 가동시키고 벙커 C유를 가열시킬 때, 센서에서 취득되는 정보를 각 점도의 기준에 맞는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도에 따른 온도를 저장하는 기능은 매번 배가 운항할 때 엔진을 구동하는 시점에서 실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벙커 C유의 원산지가 달라지거나 혼용되더라도 그에 상관없이 가용한 점도에 대한 온도 데이터를 취득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설정하게 될 경우, 선박 운항 중 점도 센서의 망실이 되는 상황에서 기존 방식대로 임의의 적정 온도를 설정하여 운항을 지속할 수 있지만, 가상의 점도 레벨을 사용자(예: 선박 관리자 등)에게 제공함으로써 점도 센서가 망실되기 전과 동일하게 운항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럴 경우 사용자는 적합한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기억하고 있는 적절한 온도에 맞는 점도 레벨 테이블을 활용하여 컨트롤러(121)에 입력하면 그에 맞는 온도로 가열하게 되고, 점도 센서가 망실되기 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운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의 메인 구동부(120)는 메인 컨트롤러(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컨트롤러(121)는 선박의 조종실에서 액정을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현재의 점도 상태 및 점도 설정이 가능하다. 최소 선박 운항이 시작될 때, 히터로 벙커 C유를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온에서 고체상태의 벙커 C유의 온도가 100도를 넘기면 반드시 액체 상태가 되는 것에 착안하여 모터(210)를 구동하여 점도를 측정하는 것은 100도에 도달한 이후부터이다. 100도에 도달하면서부터 점도를 측정하여 각 점도에 따른 온도를 내부 저장공간(예: 메모리카드, EEPROM, 플래시(Flash) 메모리 등)에 (룩업)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한다.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 RPM에 도달할 때까지 히터를 제어한다. 이의 과정에서 가변하는 RPM, 그때의 변화하는 온도값, 또 그의 과정에서 점도를 측정하여 점도값을 얻게 된다. 메인 구동부(120)는 RS-485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보드(200)를 통해 명령을 전달하고 히터와 센서부 즉 인터페이스 보드(200) 내의 센싱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구동부(120)는 디스플레이부(예: LCD), 내부 데이터 저장공간(예: SD, EEPROM 등), 그리고 통신을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는 선박의 다양한 상태가 표시될 수 있고, 외부 인터페이스부는 광 케이블을 통해 도 1의 점도감지장치(110)와 RS-485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점도감지장치(110)를 구성하는 인터페이스 보드(200)와 연결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인터페이스 보드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혹은 인터페이스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410), 점도계측부(420) 및 저장부(4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4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점도계측부(4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4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도 1의 메인 구동부(120)와 가령 광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며, 이를 통해 RS-485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광 케이블을 통해 점도감지장치(110)의 모터(2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또한 모터(210)의 동작시 센서모듈(203)에서 센싱되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41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모터(210)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 주파수의 동작 주파수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기준 주파수는 연료를 가열하는 히팅장치 등의 온도 정보에 따라 가변된 동작 주파수의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가령 제어부(410)의 요청에 따라 히팅장치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수신한 온도 정보를 확인한 결과, 제어부(410)가 가령 100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때, 제어부(410)의 제어하에 점도감지장치(110), 더 정확하게는 감지장치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기저장된 기준 주파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주파수에 따라 모터(210)가 동작할 때, 즉 모터(210)의 회전축(210a)이 기준 주파수에 따라 회전할 때 모터(210)에서 발생하는 부하 특성과 관련되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41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부하 특성이란 RPM이나, 모터(210)에 유입되는 전류량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전류량은 RPM에 부수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410)는 메인 구동부(12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점도계측부(420) 및 저장부(4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앞서 언급한 대로, 가령 히팅장치에서 제공하는 온도 정보를 근거로 점도감지장치(110) 내의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210)의 부하 특성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가령 센서모듈(203)로부터 수신하여 점도계측부(420)로 제공한다. 물론 부하 특성은 회전축(210a)의 회전수가 되거나 회전축(210a)의 저항력에 의해 모터(210)에서 발생하는 전류량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상 점도레벨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가령 제어부(410)는 도 1의 메인 구동부(120)로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 있지만, 제어부(410)는 점도감지장치(110)의 망실 즉 고장을 대비하여 선박 엔진이 초기에 가동할 때마다 점도별로 온도값을 저장부(430)에 기저장한 후, 점도감지장치(110)가 고장이라 판단될 때, 해당 점도값에 대한 정보를 선박의 관리자, 가령 선장 등에게 제시할 수 있다. 물론, 선박을 조종하는 조종실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정보를 근거로 조종실의 선박 조종사는 특정 점도값에 매칭되어 있는 온도값으로 연료가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선박 엔진에 정상 상태의 연료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가령 벙커 C유의 원산지를 구분하여 연료를 가열시킬 수 있게 된다. 원산지별로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까지의 RPM값, 점도값 및 온도값을 매칭시켜 기저장하고 있으므로, 점도값만 이용하더라도 그에 매칭되어 있는 온도값으로 연료가 가열되도록 지시할 수 있는 것이다.
점도계측부(4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10)와 연동하여 다양한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팅장치의 온도가 100도 이상이 될 때, 점도계측부(420)는 제어부(410)로 점도감지장치(110)를 가동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점도계측부(420)는 점도감지장치(110)의 동작에 따라 제공되는 점도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저장부(4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점도계측부(420)는 가령 벙커 C유의 연료에 대한 점도를 측정한 결과 기준값 즉 목표 RPM에 도달할 때까지의 단계적인 기준 RPM에 미치지 못할 경우, 히팅장치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점도를 측정한 결과 점도가 기준값에 도달할 때에는 다음 목표의 기준 RPM으로 이동하여 위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최종 목표하는 목표 RPM에 도달할 때까지의 데이터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점도계측부(420)는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에 따라 히팅장치에서 가열되는 온도를 조절하여 연료가 항상 일정한 점도로 선박의 엔진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점도계측부(420)는 엔진의 초기 가동시에 점도에 따른 온도값을 저장부(430)에 저장시킨다. 물론 이는 같은 벙커 C유라 하더라도, 원산지에 따라 미세값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가령 원산지에 따라서도 정확히 제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동일한 점도를 갖는다 하더라도 원산지에 따라 가열되는 온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관련 값들을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존에 저장한 데이터와 현재 측정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원산지를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점도감지장치(110)가 고장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기저장한 점도별 온도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이를 근거로 적절한 온도로 연료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저장부(430)는 제어부(4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한다. 대표적으로 저장부(430)는 점도감지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를 제어부(410)의 제어하에 저장한 후 점도계측부(4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30)는 원산지별로 점도별 온도 데이터를 저장한 후, 점도감지장치(110)가 고장났다고 판단될 때, 저장한 점도별 온도 데이터를 제어부(410)의 제어하에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도감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도감지장치(110)는 선박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유로관(100)에 설치되어 연료에 접촉하여 회전하여 임펠라 및 임펠라를 회전축에 연결한 모터를 포함하는 점도감지장치에 있어서, 모터를 지정 주파수로 동작시켜 임펠라를 회전시킨다(S5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의 메인 구동부(120)가 가령, 기준 주파수로 모터를 동작시키기 이전에, 히팅장치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온도 정보를 근거로 100도 이상인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100도 이상일 때,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이어, 점도감지장치(110)는 회전축의 회전 속도(RPM)가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까지 온도를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그때) 변화되는 연료의 점도를 측정한다(S510). 이를 위하여 점도감지장치(110)는 히팅장치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히팅장치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지만, 도 1의 메인 구동부(120)를 통해 간접적으로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접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점도감지장치(110)는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까지 기준 RPM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온도 변화에 따라 기준 RPM에 도달할 때까지의 점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단계별 기준 RPM에 따른 온도값과, 또 그때 측정된 점도값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엔진의 가동 초기에는 원산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를 근거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점도계 즉 점도감지장치(110)가 고장나게 되는 경우, 기생성한 또는 기저장해 둔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료의 가열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가령 메인 컨트롤러에서 연료의 원산지별 점도 및 그에 따른 온도테이블을 DB로 저장하여 운영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의 실시예로는 가령 A라는 원산지의 연료를 사용하면서 점도별, 온도별 DB를 저장하고, 또 B라는 원산지의 연료를 사용하게 되면 추가로 점도별, 온도별 DB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연료의 원산지가 달라지게 될 때마다 새롭게 자동 측정이 되어 새로운 DB를 구축하고, 확장된 DB를 통해 다양하고, 탄력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점도계의 망실에 대한 리스크를 최소화하거나 무방하게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임펠라는 기준 주파수 즉 RPM으로 회전축을 좌우로 번갈아가며 회전될 수 있다. 가령 우측 즉 시계방향으로 일정시간 회전한 후 다시 좌측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임펠라에는 연료에 의한 저항력이 발생하며 점도가 낮으면 임펠라의 회전이 정상적이므로 모터에서 발생하는 부하력, 가령 전류량은 작게 된다. 반면, 저항력이 증가하게 되면 모터는 임펠라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더 큰 힘(F)을 부가하게 되며, 이를 위해서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량은 증가하게 된다. 즉 모터에 공급되는 전압은 일정하므로 전력(P)이 저항력에 의해 증가하게 되면 모터에 유입되는 전류가 증가한다. 이때, 점도추출장치(90)는 모터로 유입되는 전류량을 측정함으로써 이를 근거로 점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전류량의 이용은 회전속도를 이용하는 방식에 부수적으로 병행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점도감지장치(110)는 기준 주파수에서의 점도값과 전류값에 대한 데이터를 룩업테이블(LUT)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1분 동안 500회를 회전하도록 기준 주파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정상적인 점도값에 매칭되는 전류값이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류값이 변화함에 따라 그에 매칭되는 점도값을 룩업테이블에서 찾아 이를 점도값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의 과정에서 가령 점도감지장치(110)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점도값이 목표 RPM에 도달했다고 판단될 때, 히팅장치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점도감지장치(110)는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일정한 정도의 점도를 유지하는 연료가 엔진룸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외에도 점도감지장치(110)는 룩업테이블(LUT) 형태로 데이터를 기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지만, 알고리즘을 이용해 연산을 통해 직접 계산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유로관 110: 점도감지장치
120: 메인 구동부 121: 컨트롤러(혹은 제어장치)
200: 인터페이스 보드 201: 인터페이스부
203: 센서모듈 210: 모터
210a: 회전축(혹은 구동축) 220: 날개부
400: 통신 인터페이스부 410: 제어부
420: 점도계측부 430: 저장부

Claims (10)

  1. 선박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유로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관을 통과하는 상기 연료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임펠라(Impeller) 및 상기 임펠라를 회전축에 연결한 모터를 포함하는 감지장치; 및
    상기 모터를 지정 주파수로 구동하여 상기 임펠라를 회전시키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RPM)가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까지 온도를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변화되는 상기 연료의 점도(viscosity)를 측정하는 인터페이스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회전 속도가 증가할 때의 알피엠값, 상기 변화되는 온도값 및 상기 측정한 점도값을 매칭시키는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회전 속도가 제1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까지의 알피엠값, 온도값 및 상기 측정한 점도값을 매칭시키고, 상기 제1 목표 알피엠에 도달하면 다음 단계의 제2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까지의 알피엠값, 온도값 및 상기 측정한 점도값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온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회전 속도가 증가할 때 상기 연료의 저항력에 의해 상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전류량을 더 측정해 매칭시켜 저장하는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연료의 온도가 100도 이상이 될 때 상기 센싱장치를 가동시키는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선박 엔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광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RS(Recommended Standard)-485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RS-485 통신을 통해 상기 점도의 측정 결과를 전송하는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센싱값을 생성하는 센서모듈을 구비하는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한 점도의 동일 점도에서의 원산지별 연료의 점도값을 서로 상이하며,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선박 엔진의 초기 가동시 원산지와 상관없이 상기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는, 상기 점도감지장치의 고장시 원산지에 근거한 온도값에 따라 상기 연료를 가열하도록 상기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의 점도값에 대한 정보를 선박의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10. 선박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유로관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임펠라 및 상기 임펠라를 회전축에 연결한 모터를 포함하는 점도감지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모터를 지정 주파수로 구동하여 상기 임펠라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RPM)가 목표 알피엠에 도달할 때까지 온도를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변화되는 상기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90072747A 2019-06-19 2019-06-19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144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47A KR20200144734A (ko) 2019-06-19 2019-06-19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47A KR20200144734A (ko) 2019-06-19 2019-06-19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734A true KR20200144734A (ko) 2020-12-30

Family

ID=7408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747A KR20200144734A (ko) 2019-06-19 2019-06-19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4734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2347A1 (en) 1991-07-23 1993-02-04 Vaf Instruments B.V. Viscometer
WO2000022412A1 (en) 1998-10-13 2000-04-20 V.A.F. Instruments B.V. Piezo-electric viscometer
KR100347406B1 (ko) 1994-05-02 2002-11-29 바프 인스트루먼츠 비.브이. 점성도계
KR20030080671A (ko) 2002-04-10 2003-10-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엔진 윤활유 상태 진단시스템
KR100956152B1 (ko) 2006-11-27 2010-05-06 온누리산업주식회사 벙커-c유 공급장치의 일체형 점도감지유닛
KR20150003852U (ko) 2014-04-14 2015-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 가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2347A1 (en) 1991-07-23 1993-02-04 Vaf Instruments B.V. Viscometer
KR100347406B1 (ko) 1994-05-02 2002-11-29 바프 인스트루먼츠 비.브이. 점성도계
WO2000022412A1 (en) 1998-10-13 2000-04-20 V.A.F. Instruments B.V. Piezo-electric viscometer
KR20030080671A (ko) 2002-04-10 2003-10-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엔진 윤활유 상태 진단시스템
KR100956152B1 (ko) 2006-11-27 2010-05-06 온누리산업주식회사 벙커-c유 공급장치의 일체형 점도감지유닛
KR20150003852U (ko) 2014-04-14 2015-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 가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29844B (zh) 潜水泵系统
US7573220B2 (en) Self calibrating fan
US7446494B2 (en) HVAC actuator having torque compensation
US20040055363A1 (en) Speed and fluid flow controller
JP2006307682A (ja) ポンプ装置
JP6016889B2 (ja) 周波数変換装置を制御するコントローラ、及び制御方法
CN103389676B (zh) 用于接收多种不同类型的输入信号的控制器和方法
US9509243B2 (en) Automatic actuator calibration using back EMF
JP2016501381A (ja) 斜板角位置検出に用いられる誘電センサ構造および方法
US20180306682A1 (en) Smart pump for a portable gas detection instrument
CN104514705B (zh) 泵系统的控制
US6629455B2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throughflow of a gas mixture
KR20200144734A (ko) 선박 엔진 연료의 점도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20080294311A1 (en) Fault Diagnostics
CN210664651U (zh) 液位传感器的测量装置
US1125555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n input power supplied to a fan motor of a climate control system
US201602520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Fuel Pump
CN112384702B (zh) 用于求取流体输送参量的方法
US11143190B2 (en) Pump assembly having an impeller, a motor, and a shaft, with the shaft passing from the motor to the impeller through a fluid reservoir and a seal arrangemnet with a tration
KR20190022818A (ko) 습윤 가스 조건 하에서의 압축기 서지 방지 보호
EP4219987A1 (en) Fuel metering unit
US87405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pump drive so that a pump flow corresponds with an incoming flow
KR101485372B1 (ko) 회전 점도계
KR20070012034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팬 모터 제어장치
CN105137353A (zh) 宽幅温度环境中带载荷电机测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