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337A - 5g nr 기반의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5g nr 기반의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337A
KR20200144337A KR1020190072245A KR20190072245A KR20200144337A KR 20200144337 A KR20200144337 A KR 20200144337A KR 1020190072245 A KR1020190072245 A KR 1020190072245A KR 20190072245 A KR20190072245 A KR 20190072245A KR 20200144337 A KR20200144337 A KR 20200144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sb
location
base station
ssb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832B1 (ko
Inventor
김신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072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83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5G NR 기반에서 기지국이 위치 측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단말에 페이징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단말이 위치한 빔 커버리지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인덱스가 포함된 물리 임의 접속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SSB 인덱스를 위치 관리 기능 블록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이다.

Description

5G NR 기반의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POSITIONING METHOD BASED ON 5G NEW RADIO NETWORK}
본 발명은 5G NR 기반의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무선망에서의 위치 측위 기술로서 E-CID(Enhanced Cell ID),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하며, 이 중에서 GPS 수신 범위 밖에 있는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E-CID 측위이다. 이 방법은 기본적으로 셀 구분자(Cell ID)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기존의 CID 방식에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방식을 결합하여 단말의 위치를 좁혀가는 방식이다. 다만, 셀 영역의 전 범위가 위치 오차 범위에 해당된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심에서는 수백m, 비도심에서는 수 Km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E-CID 방식은 수신 전계 강도(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를 이용하거나, 혹은 기지국과 단말간의 측정 거리차(Round Trip Time, RTT)를 이용하여 서비스 기지국과의 거리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값들을 이용하여 X축 상의 오차를 최소화 할 수는 있으나, Y축 상의 오차를 줄일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5G NR 기반의 무선망에서의 위치 측정 오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빔포밍을 할 때 사용되는 빔의 SSB 인덱스를 위치 정보로 활용하여 위치 측위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른 5G NR 기반에서 기지국이 위치 측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단말에 페이징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단말이 위치한 빔 커버리지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인덱스가 포함된 물리 임의 접속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SSB 인덱스를 위치 관리 기능 블록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관리 기능 블록은 상기 기지국의 셀 구분자, 상기 기지국이 설치된 위도와 경도, 상기 기지국의 주소,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SSB 인덱스들의 정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SSB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5G NR 기반에서 위치 관리 기능 블록이 위치 측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기지국에 할당된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인덱스들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부터 전송된 SSB 인덱스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SSB 인덱스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SSB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SB 인덱스들의 위치 정보는 SSB 인덱스별 방향각, SSB 인덱스별 수평 빔 폭, SSB 인덱스별 수직 빔 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SSB 인덱스는 상기 단말이 위치한 빔 커버리지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SSB 인덱스들의 위치 정보는 상기 기지국 내 무선신호 처리 장치의 포트와 건물 내 복수의 중계기들이 설치된 각각의 층계를 대응시킨 것이고, 상기 SSB 인덱스는 상기 복수의 중계기들 중 상기 단말이 무선 신호를 받는 중계기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5G NR 기반의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시스템으로서,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인덱스들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관리 기능 블록(Location Management Function, LMF), 그리고 단말로부터 SSB 인덱스를 수신하고 상기 SSB 인덱스를 상기 LMF로 전송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LMF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SSB 인덱스를 수신하며, 상기 SSB 인덱스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SSB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한다.
상기 SSB 인덱스는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것이고, 상기 단말이 위치한 빔 커버리지에 대응하거나 상기 단말이 신호를 받는 중계기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5G NR 기반의 무선망 대상으로 위치 측위 오차를 최소화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내부에서도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단말이 서비스를 받고 있는 층을 세분화하여 인빌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빔 커버리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층내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의 설명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사용자 기기로서, 디바이스(Device), UE(User Equipment),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단말은 게이트웨이(gateway), 기지국(base station, BS),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5G NB(gNB)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여 원격의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3GPP에서 제정한 5세대 이동 통신 NR(New Radio) 기지국을 의미하며, 5G 무선 접속망 NG-RAN(Next Generation-Radio Access Network)은 다수의 gNodeB들로 연결 구성되며, 기존의 eNodeB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명세서에서는 5G NR의 기지국을 gNB라고 통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FS_NextGen(Study on Architecture for Next Generation System)과 같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세대(5G) 시스템과 관련된 표준 문서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한편, 5G NR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이 적용된다. 이를 위해서는 빔 스위핑(Beam Sweeping) 기술이 구현되어야 한다.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이하 'SSB'라 통칭하여 기재함)은 5G 무선망에서 단말이 동기를 획득하거나, 기본적인 셀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SS(Sync Signal),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등의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단위 블록이다.
한편, SSB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특정한 시간,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서 반복 전송된다. 예를 들어, 최대 8개의 SSB를 전송할 때 셀 전체에 전송을 하는 경우 1개의 SSB만 전송이 되며, 빔포밍을 위하여 빔 스위핑을 할 경우에는 최대 8개의 시간 영역에서 SSB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SSB는 고유한 SSB 인덱스를 가지며, SSB 인덱스는 빔 스위핑이 수행될 때 각각 독립적으로 각기 다른 타이밍에 전송된다. SSB 인덱스에 따른 각각의 빔은 첨예한 빔 각도를 갖고 방사되며, 단말은 전송 시간에 대한 분석을 통해 SSB 인덱스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SSB 인덱스를 통해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빔 커버리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gNB(200)는 복수개의 빔을 사용하고, 각 빔의 커버리지를 구분하여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NB(200)가 8개의 빔을 사용할 때, 각 SSB 인덱스 별로 빔각도를 다르게 하여 방사할 수 있다.
이 때 gNB(200)가 빔 커버리지에 따라 SSB 인덱스를 부여하는 경우, 각 SSB 인덱스는 지형적 전송 범위가 결정된 상태로 전송된다. 따라서 단말(100)은 전송 시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단말(100)이 위치한 빔 커버리지의 SSB 인덱스를 파악할 수 있고, SSB 인덱스를 이용하여 빔의 방향각에 대한 위치 보정을 통해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반경에 대한 위치 오차 보정은 LTE 품질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전계 강도(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또는 왕복 지연 시간(Round Trip-Dealy, RTD)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위치 측정 시스템(1000)은 단말(100), gNB(200),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블록(300), 위치 관리 기능 블록(400)을 포함한다. 단말(100)은 gNB(200)에 페이징,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이하 'PRACH'라 통칭하여 기재함)을 무선망을 통해 전송하는 장치이다. gNB(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SSB 인덱스를 보관하고, 위치 관리 기능 블록(Location Management Function, 이하 'LMF'라 통칭함)(400)에 전송한다. LMF(400)는 gNB(200)로부터 위치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며, 본 발명에서 설명한 동작을 수행한다.
LMF(400)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블록(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이하 'AMF'라 통칭함)(300)에 가입자 위치 서비스를 요청한다(S100).
AMF(300)는 gNB(200)에 위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페이징(paging)신호를 전송한다(S110). 4G 네트워크에서 MME의 기능이 분해되면서, AMF는 이동성 관리 장치(MultiMedia Equipment, MME) 기능의 일부를 수행하며, 등록 관리, 연결 관리, 이동성 관리, 액세스 인증 및 권한 부여 등을 수행한다.
gNB(200)는 단말(100)에 빔을 통해 페이징 신호를 전송한다(S120). 이 때, gNB(200)는 하나 이상의 빔 방향으로 SSB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셀 구분자를 활용한 측위 기술 중 하나인 E-CID에서, 단말의 위치는 gNB 및 셀에 대한 정보를 통해 추정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페이징을 통해 gNB 및 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나, gNB 및 셀에 대한 정보는 페이징 뿐 아니라 등록 또는 다른 방법을 통해 얻을 수도 있다.
단말(100)은 호 셋업을 수행하며 현재 위치한 빔 커버리지에 대응되는 SSB 인덱스를 결정하고, PRACH 전송을 준비한다(S130). 예를 들어, 단말(100)은 gNB(200)의 송신 빔의 세기를 측정하여 세기가 가장 강한 송신 빔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SSB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단말(100)은 결정한 SSB 인덱스를 gNB(200)에 전송한다(S140). 이때 단말(100)은 SSB 인덱스를 gNB(200)에 전송하기 위해, PRACH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NB(200)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100)은 PRACH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100)은 gNB(200)에 PRACH 전송을 할 때 단말(100)이 속한 빔에 대응하는 SSB 인덱스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따라서 SSB 인덱스 값을 이용한 위치 측위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gNB(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SSB 인덱스를 보관한다(S150). gNB(200)는 수신한 SSB 인덱스를 기초로, 어떤 빔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할지 판단하며, 단말(10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설정한 빔패턴에 따라 빔을 형성한다. 이후, gNB(200)는 단말(100)에 대한 세션이 유지되는 경우, 단말(100)에 대응되는 SSB 인덱스 값을 지속적으로 추적한다. 이에 따라 단말(100)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단말(100), gNB(200), AMF(300), LMF(400)는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S160).
gNB(200)는 LMF(400)에 보관한 SSB 인덱스를 전송한다(S170).
LMF(400)는 gNB(200)로부터 SSB 인덱스를 수신하여 단말(100)의 위치 측위를 수행한다(S180). LMF(400)가 수행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E-CID, OTDOA, GPS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은 이미 공지된 것인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5G NR의 기지국인 gNB(200)는 LMF(400)로부터 위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다(S200). 구체적으로 LMF(400)가 AMF(300)에 가입자 위치 서비스를 요청하면, 그 다음 AMF(300)가 gNB(200)에 페이징을 전송하여 gNB(200)가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gNB(200)는 단말(100)에 페이징을 전송한다(S210). gNB(200)는 단말(100)이 유휴 모드에 있는 경우, 페이징을 전송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PRACH를 수신할 수 있다.
gNB(200)는 단말(100)로부터 SSB 인덱스 정보를 포함한 PRACH를 수신한다(S220). 단말(100)은 SSB 수신 인덱스를 파악하고, 페이징에 대한 응답으로 gNB(200)에 PRACH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고하면 단말(100)은 SSB 인덱스 0인 빔 커버리지에 위치하므로, gNB에 PRACH 전송을 할 때 SSB 인덱스 0이라는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단말(100), gNB(200), AMF(300), LMF(400)는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
gNB(200)는 수신한 SSB 인덱스를 LMF(400)에 전송한다(S230). 또한 gNB(200)는 확보한 SSB 인덱스를 관리할 수 있다.
이후 LMF(400)는 단말들의 위치 측위를 수행한다. 이 때, LMF(400)가 수행하는 방법은 셀 구분자를 활용한 E-CID, OTDOA, GPS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은 이미 공지된 것인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LMF(400)는 각 셀에 해당하는 SSB 인덱스 값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되는 위치 정보는 SSB 인덱스에 따른 빔의 전송 각도, 빔의 수직 폭, 수평 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LMF(400)가 관리하는 위치 측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표 1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필드 항목 내용
셀 구분자(ID) 이동통신망에서 활용이 되는 고유 기지국 구분자(섹터 단위)
위도, 경도 이동통신 기지국이 설치된 위도, 경도로, 기지국 운용자가 삽입한 정보이며 기지국 GPS 수신 보드에서 획득 가능
주소 이동통신 기지국이 설치된 주소로, 기지국 운용자가 삽입한 정보
SSB 인덱스 예를 들면, 0~n 중 할당된 값
SSB 인덱스별 방향각 SSB 인덱스에 따른 빔 전송 각도
SSB 인덱스별 수평 빔 폭 빔스위핑 할 때 각 빔의 수평 폭
SSB 인덱스별 수직 빔 폭 빔스위핑 할 때 각 빔의 수직 폭
한편, 본 발명이 제안하는 SSB 인덱스를 단말(100)의 위치 파악에 활용하는 기술은 건물 내부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gNB(200) 내의 무선신호 처리 장치(Remote Unit, 이하 'RU'로 통칭함)(210)의 경우, 빔포밍이 불가능하여 1개의 빔을 사용한다. 이 경우 SSB 인덱스 개수는 빔의 개수와 동일하므로 1개이다. 본 발명은 RU(210)의 포트가 각 층계마다 분기되는 것을 이용하여, 포트마다 서로 다른 SSB 인덱스 값을 부여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층내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옥내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gNB(200) 내의 RU(210)는 중계기(500)와 연결되며, 이때 RU(210)는 4개 또는 8개의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8개의 통신 포트를 가진 중계기 연결용 RU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한편, 단말(100)이 서비스를 받고 있는 층을 세분화하여 인빌딩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1개의 빔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단말(100)의 위치를 세분화할 수 있도록, RU(210)의 포트마다 서로 다른 SSB 인덱스 값을 부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LMF(400)는 RU(210)의 포트가 분기되는 층별 위치에 따라 SSB 인덱스를 다르게 부여한다. 즉, gNB(200) 내 RU(210)의 포트와 건물 내 복수의 중계기들(500)이 설치된 각각의 층계를 대응시켜서 SSB 인덱스의 위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개의 포트를 구비한 RU(210)에 대해 포트번호 순서대로 SSB 인덱스 0부터 SSB 인덱스 8까지 순서대로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건물의 층계에 대응되도록 SSB 인덱스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후 gNB(200)의 RU(210)를 통해 전송되는 IF 신호 또는 RF 신호는 중계기(500)에 인입되고, 중계기(500)는 RF 신호를 송출한다.
이후, 단말(100)은 SSB 인덱스를 포함한 PRACH를 gNB(200)에 전송한다. 즉 단말이 송신하는 SSB 인덱스는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중계기들(500) 중 단말(100)이 무선 신호를 받는 중계기에 대응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말이 4층에 위치하는 경우, 4층의 중계기(500)로 인입되는 포트는 SSB 인덱스 4를 부여받았으므로, 단말은 SSB 인덱스 4를 포함한 PRACH를 gNB(200)에 전송한다.
이후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gNB(200)는 SSB 인덱스를 LMF(400)에 전송한다. 또한 gNB(200)는 확보한 SSB 인덱스를 관리할 수 있다.
LMF(400)는 gNB(200)로부터 수신한 셀 구분자와 SSB 인덱스를 이용하여 위치 측위를 수행하고, 단말(100)이 위치한 건물 내 층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단말(100)이 gNB(200)에 PRACH를 전송하는 과정 및 이후의 과정은 도 4와 동일한 바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LMF(400)는 gNB(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 할 수 있고, 위치 측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표 2와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필드 항목 내용
셀 구분자(ID) 이동통신망에서 활용이 되는 고유 기지국 구분자(섹터 단위)
위도, 경도 이동통신 기지국이 설치된 위도, 경도로, 기지국 운용자가 삽입한 정보이며 기지국 GPS 수신 보드에서 획득 가능
주소 이동통신 기지국이 설치된 주소로, 기지국 운용자가 삽입한 정보
SSB 인덱스 예를 들면, 0~n 중 할당된 값
SSB 인덱스별 위치 건물 및 층계에 따라 SSB 인덱스를 대응시킨 정보
본 발명에 따르면 5G NR 기반의 무선망 대상으로 위치 측위 오차를 최소화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의 위치를 건물 내부에서도 파악할 수 있어, 단말이 서비스를 받고 있는 층을 세분화하여 인빌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5G NR 기반에서 기지국이 위치 측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단말에 페이징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단말이 위치한 빔 커버리지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인덱스가 포함된 물리 임의 접속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SSB 인덱스를 위치 관리 기능 블록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위치 관리 기능 블록은
    상기 기지국의 셀 구분자, 상기 기지국이 설치된 위도와 경도, 상기 기지국의 주소,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SSB 인덱스들의 정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SSB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
  3. 5G NR 기반에서 위치 관리 기능 블록이 위치 측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기지국에 할당된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인덱스들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부터 전송된 SSB 인덱스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SSB 인덱스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SSB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SSB 인덱스들의 위치 정보는 SSB 인덱스별 방향각, SSB 인덱스별 수평 빔 폭, SSB 인덱스별 수직 빔 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SSB 인덱스는 상기 단말이 위치한 빔 커버리지에 대응하는,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SSB 인덱스들의 위치 정보는 상기 기지국 내 무선신호 처리 장치의 포트와 건물 내 복수의 중계기들이 설치된 각각의 층계를 대응시킨 것이고,
    상기 SSB 인덱스는 상기 복수의 중계기들 중 상기 단말이 무선 신호를 받는 중계기에 대응하는,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
  6. 5G NR 기반의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시스템으로서,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인덱스들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관리 기능 블록(Location Management Function, LMF), 그리고
    단말로부터 SSB 인덱스를 수신하고 상기 SSB 인덱스를 상기 LMF로 전송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LMF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SSB 인덱스를 수신하며, 상기 SSB 인덱스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SSB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SSB 인덱스는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것이고, 상기 단말이 위치한 빔 커버리지에 대응하거나 상기 단말이 신호를 받는 중계기에 대응하는,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시스템.
KR1020190072245A 2019-06-18 2019-06-18 5g nr 기반의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 및 시스템 KR102294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245A KR102294832B1 (ko) 2019-06-18 2019-06-18 5g nr 기반의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245A KR102294832B1 (ko) 2019-06-18 2019-06-18 5g nr 기반의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37A true KR20200144337A (ko) 2020-12-29
KR102294832B1 KR102294832B1 (ko) 2021-08-26

Family

ID=7409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245A KR102294832B1 (ko) 2019-06-18 2019-06-18 5g nr 기반의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0585A (zh) * 2022-02-09 2022-05-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波束扫描方法、装置和网络侧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131A (ko) * 2008-03-19 2009-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정보를서비스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109047A (ko) * 2017-03-24 2018-10-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131A (ko) * 2008-03-19 2009-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정보를서비스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109047A (ko) * 2017-03-24 2018-10-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90336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0585A (zh) * 2022-02-09 2022-05-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波束扫描方法、装置和网络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832B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207B1 (ko) 위치 판정에 사용하기 위한 위치 기준 신호들의 수신을 관리하는 무선 단말 및 방법
EP1380184B1 (en) Location method and system
CN101932950B (zh) 用于定位移动装置的系统和方法
EP213783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measurement of network bas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g-pcell database according to location
US810328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geographical loca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P2066143B1 (en) Radio cell performance monitoring and/or control based on user equipment positioning data and radio quality parameters
US2022020164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ositioning of a device
US201203022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080085699A1 (en) Sensing RF environment to determine geographic location of cellular base station
KR20170131554A (ko) 포지셔닝 레퍼런스 시그널의 전송
US20090104917A1 (en) Position-finding method in a radiocommunication system, position finding system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JPH11275642A (ja) 移動通信装置の位置判定方法、機器および移動通信装置
KR20120005525A (ko) 네트워크 자율 무선 위치파악 시스템
US8630649B2 (en) Terminal, method for handover thereof and supporting method for handover of base station
KR20200097276A (ko) 무선 네트워크들에서의 다수의 rtt(round trip time) 측정들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WO2018090697A1 (zh) Lmu设备融合的方法、装置和系统
WO2008092391A1 (fr) Procédé, système et entité de localisation
KR100757526B1 (ko) 비동기 wcdma망에서 왕복 시간을 이용한 위치 추정방법 및 시스템
KR20230132577A (ko) 비-육상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측정 및 시그널링
US7295846B2 (en) Method for localizing a mobile terminal in an area under radio coverage of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and of a localization point,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server and localization point
KR102294832B1 (ko) 5g nr 기반의 위치 측위 정확도 향상 방법 및 시스템
KR100766602B1 (ko) Cdma망에서 왕복 지연 정보를 이용한 위치 추정 방법및 시스템
KR20100048881A (ko) 단말,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기지국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KR20160073640A (ko)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Deligiannis et al. Mobile positioning based on existing signalling messages in GSM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