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997A - Connector For Wire Tube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Wire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997A
KR20200142997A KR1020190070700A KR20190070700A KR20200142997A KR 20200142997 A KR20200142997 A KR 20200142997A KR 1020190070700 A KR1020190070700 A KR 1020190070700A KR 20190070700 A KR20190070700 A KR 20190070700A KR 20200142997 A KR20200142997 A KR 20200142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band
connector
box
condui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1027B1 (en
Inventor
이준성
Original Assignee
이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성 filed Critical 이준성
Priority to KR1020190070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027B1/en
Publication of KR2020014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9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0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74/00Electricity: conductors and insulators
    • Y10S174/08Shrinkable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it connector for easily and safely connecting a conduit installed in a building to a switch box or a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it connector comprises a connecting rot in which a conduit adapter is provided on one side for connection with a conduit, and a box adapter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for connection with a plate provided in a switch box, a distribution box, or the like. The conduit adapter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 band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on one side and a fitting piec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n the other side; and binding protrusions provided in the form of teeth on a band insertion groove and the fitting piece, respectively. The box adapter includes a cylindrical shape which is fitted into a hole provided in the plate, and includes a hook which elastically moves in a radial direction on a peripheral wall of a cylinder.

Description

전선관 커넥터{Connector For Wire Tube}Conduit connector {Connector For Wire Tube}

본 발명은 전선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에 설치되는 전선관을 스위치박스 또는 배전함에 용이하고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한 전선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it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duit connector for easily and safely connecting a conduit installed in a building to a switch box or a distribution box.

각종 건물에 전등 또는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전선관이 널리 이용된다. 전선관은 플렉시블한 소재에 의한 주름관 형태로 되어 있으며 내충격성도 가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전선관은 벽이나 기둥에 매립되기도 하고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기도 한다. 전선관의 말단에는 스위치박스, 배전함 또는 콘센트박스 등의 전기기구가 설치된다.Conduit tubes are widely used to install lights or outlets in various buildings. The conduit is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usually has impact resistance. The conduit can be embedded in a wall or pillar or installed in an exposed state. At the end of the conduit, electric devices such as switch boxes, distribution boxes, or outlet boxes are installed.

그러므로 이들 전기기구와 전선관의 연결부위가 존재하게 된다. 종래에는 케이블타이를 이용하여 이들을 연결하거나 나사로 조일 수 있는 철밴드를 이용하여 연결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01547호와 같은 커넥터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Therefore, there is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se electric devices and the conduit. Conventionally, they were connected using a cable tie or an iron band that can be tightened with screws. In addition, a connector such a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5-0001547 has been proposed.

이 종래기술은 커넥터 상하측에 결합되는 피복보호구 및 패킹이 주름관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각각 수밀된 상태로 안정감 있게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 기술은 전선관과 커넥터 연결부위 간의 수밀성이 향상됨은 물론, 외부 충격에 의해 전선관의 내경이 축소되거나 전선관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선관의 결합상태를 안정감 있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한다.This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ing protection and packing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nector support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corrugated pipe in a watertight state, respectively, with a sense of stability. This technology not only improves the watertightness between the conduit and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but also prevents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duit from being reduced or the conduit be bent due to external impact,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stably maintaining the conduit state of the conduit.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7-0058961호는 벽체에 매입되는 접속함에 다수의 전선관을 결합시키기 위한 전선관 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접속함에 형성된 체결구멍으로 끼워지며 상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요철식 주름관체로 된 고정구와, 외측 환테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상기 고정구의 주름관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탄성체결부가 구비되고 타측은 나사부가 형성된 커플링과,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의 나사부와 체결되며 타측은 주름관체로 된 전선관을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체결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58961 is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conduit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duit to a junction box embedded in a wall, which is inserted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in a junction box, and a flange is formed on the upper end, And an elastic fastening part elastically coupled to the corrugated body of the fastener on one side around the outer ring frame, and on the other side, a coupling with a threaded portion formed thereon, and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to be fastened with the threaded portion of the coupling. The other side provide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elastic fastening part for elastically coupling the conduit tube made of a corrugated tube body is formed.

종래의 전선관 커넥터는 설치과정에서 나사식으로 조임으로써 전선관을 고정시키는 구성이며 2~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간단한 구성이라고만 보기는 어렵다. 나사식으로 조여야 하므로 스패너 등의 보조공구가 필요하고 공간이 좁은 곳에서는 스패너를 사용하기 어려워서 설치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The conventional conduit connector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duit is fixed by screwing in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a simple configuration as it is composed of 2 to 3 parts. Since it has to be screwed in, an auxiliary tool such as a spanner is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 spanner in a narrow space, making installation difficult.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01547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5-0001547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7-0058961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58961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류 드라이버 또는 스패너 등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부품수가 적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도 빠른 시간에 전선관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전선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onduit connector that does not require tools such as a screwdriver or a spanner, and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due to a small number of parts, and allows an operator to connect conduit in a short time. have.

위와 같은 목적은, 일측은 전선관과의 연결을 위한 전선관연결구가 마련되고; 타측은 스위치박스, 분전함 박스 등에 마련된 플레이트와의 연결을 위한 박스연결구가 마련되며; 상기 전선관연결부와 박스연결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되For the above purpose, one side is provided with a conduit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a conduit;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box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a plate provided in a switch box, a distribution box box, or the like; Including; a connecting rod for connecting the conduit connector and the box connector to each other;

상기 전선관연결구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결합홈이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끼움편이 마련되어 있는 밴드; 상기 밴드삽입홈과 끼움편에 각각 톱니 형태로 마련되는 결착돌기;를 포함하며;The conduit connector has a cylindrical shape, a band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on one side and a fitting piec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n the other side; Includes; binding protrusions provided in the shape of teeth, respectively, in the band insertion groove and the fitting piece;

상기 박스연결구는 상기 플레이트에 마련된 구멍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원통의 주벽에 반경방향으로 탄성적 거동을 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The box connector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is fitted into a hole provided in the plate, and is achieved by a conduit connector comprising a hook that elastically moves in a radial direction on a peripheral wall of the cylind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박스연결구의 결합홈은 상기 밴드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외측편;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groove of the box connector may include an outer side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nd;

상기 외측편과 평행하게 이격된 것으로서 상기 외측편의 내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밴드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는 내측편에 의해 마련되며; 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nd so as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ide and is spaced parallel to the outer side, and is provided by an inner side that is elastically bent by decreasing the thickness toward the end;

상기 결착돌기는 상기 외측편의 내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ind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ide.

본 발명에 따르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종래의 커넥터에 비하여 부품수가 적고, 스패너나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손의 힘으로도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설치하는데 특별한 공구가 필요치 아니한 전선관 커넥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configured as an integral type, the number of parts is small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connector, does not require tools such as a spanner or a screwdriver,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and can be installed by hand. Conduit connectors are provided that require no special tools to instal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의 결합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의 절개 사시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of a use of a condui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dui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condui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conduit connector in a combin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7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condui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기본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Hereinafter, specific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The remaining drawings will be cited where necessary.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전선관연결구(3), 박스연결구(5)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대(7)를 포함한다. The conduit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includes a conduit connector 3, a box connector 5, and a connecting rod 7 connecting them.

전선관 커넥터(1)의 일측은 전선관(100)과의 연결을 위한 전선관연결구(3)가 되고, 타측은 스위치박스, 분전함(200) 등에 마련된 플레이트(210)와의 연결을 위한 박스연결구(5)가 된다. One side of the conduit connector 1 becomes a conduit connector 3 for connection with the conduit 100, and the other side has a box connector 5 for connection with a plate 210 provided in a switch box, distribution box 200, etc. do.

그리고 연결대(7)는 전선관연결구(3)와 박스연결구(5)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들은 모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대(7)는 전선관연결구(3)와 박스연결구(5)가 약간의 유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쪽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마련되는 띠 형태로 되어 있다. And the connecting rod (7) is to connect the conduit connector (3) and the box connector (5)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se are configured integrally. The connecting rod 7 is in the form of a band provided in a position skewed to one side so that the conduit connector 3 and the box connector 5 can have some fluidity.

상기 전선관연결구(3)는 양 단부가 호스밴드 또는 허리띠처럼 서로 결합되어 링 형상이 되는 밴드(9)를 포함한다. 전선관연결구(3)는 밴드(9)의 내경을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밴드(9)의 일측에는 결합홈(11)이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는 끼움편(13)이 마련되어 있다. 밴드(9)의 양쪽에 각각 톱니 형태로 된 결착돌기(15,17)가 마련되어 있다. The conduit connector 3 includes a band 9 whose both ends are coupled to each other like a hose band or a waistband to form a ring shape. The conduit connector 3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band 9. A coupling groove 1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nd 9, and a fitting piece 13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Both sides of the band 9 are provided with binding protrusions 15 and 17 in a serrated shape, respectively.

전선관연결구의 결합홈(11)은 밴드(9)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외측편(19)과, 외측편(19)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내측편(21)을 포함한다. 내측편(21)은 외측편(19)의 내면에 대향하도록 밴드(9)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다. 이 내측편(21)과 외측편(19) 사이의 공간이 결합홈(11)이 되는 것이다. 내측편(21)은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적어도 끝부분은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The coupling groove 11 of the conduit connector includes an outer piece 19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nd 9 and an inner piece 21 spaced parallel to the outer piece 19. The inner piece 2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nd 9 so as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iece 19.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iece 21 and the outer piece 19 becomes the coupling groove 11. As the inner piece 21 becomes thinner toward the end, at least the end portion can be elastically bent.

외측편(19)은 내측편(21) 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되어 있으므로 외측편(19) 자체가 벌어지지는 않는다. 제1결착돌기(15)는 상기 외측편(19)의 내면에 마련되어 있고, 제1결착돌기(15)와 치합하는 제2결착돌기(17)는 끼움편(13)의 외면에 마련되어 있다. 결착돌기(15,17)는 래칫과 같이 이빨의 방향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끼움편(13)을 결합홈(11)에 압입하여 끼울 때는 용이하게 삽입되지만 반대로 빠지지는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전선관(100)을 밴드(9)의 내측에 끼워 넣은 다음에 밴드(9)의 양단을 압박하게 되면 밴드(9)가 조여지면서 전선관(100)에 강하게 밀착되고 이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Since the outer piece 19 is relatively thicker than the inner piece 21, the outer piece 19 itself does not open.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5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iece 19,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7 meshing with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5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tting piece 13. The binding protrusions (15, 17) have tooth orientation like a ratchet. Therefore, when the fitting piece 13 is press-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 it is easily inserted but does not fall out on the contrary. That is, when the conduit 1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band 9 and then presses both ends of the band 9, the band 9 is tightened and strongly adheres to the conduit 100 and this state is mainta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밴드(9)를 좀 더 편리하게 조이기 위한 잡이대(23,25)가 밴드(9)의 양단에 마련되어 있다. 일측 잡이대(23)는 외측편(19)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고, 타측 잡이대(25)는 끼움편(13)의 후단에 마련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lders 23 and 25 for tightening the band 9 more conveniently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nd 9. One side gripper 23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outer piece 19, and the other side gripper 25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tting piece 13.

잡이대(23,25)는 손이나 플라이어(집게) 등으로 잡기에 편하도록 평평한 잡이면(23a,25a)을 제공하며, 이 잡이면(23a,25a)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다. The grippers 23 and 25 provide flat gripping surfaces 23a and 25a for easy gripping with hands or pliers (tongs), and the gripping surfaces 23a and 25a are provided with uneven portions for preventing slipping.

한편 밴드(9)의 내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관(100)의 외면을 국부적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중심을 향해 "∧"의 형태로 돌출된 가압구(27)가 1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이 가압구(27)는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연결대(7)가 설치된 위치에 마련된다(도 7 참조). 그래서 가압구(27)는 연결대(7)는 전선관연결구(3), 연결대(7) 및 박스연결구(5) 전체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가압구(27)의 능선(27a)은 전선관(100)의 연장방향과 같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2개의 가압구(27)가 마련된다. 가압구(27)의 연결대(7)에 마련된 부분은 연결대(7)의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의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side of the band 9, as shown in FIG. 5, one or more pressurizing holes 27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in the form of "∧" are provided so as to locally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it 100 Can be. As shown, the pressurization port 27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rod 7 is installed (see FIG. 7 ). So, the pressure port 27 can be provided over the entire connector (7), the conduit connector (3), the connector (7) and the box connector (5). The ridge line 27a of the pressurization hole 27 is the same a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nduit 100. As shown, two pressurization ports 27 are provided. The portion provided on the connecting rod 7 of the pressing port 27 serves as a rib that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rod 7.

또한 밴드(9)의 내면에는 주름진 전선관(100)의 골에 삽입될 수 있도록 스토퍼(29)가 밴드(9)의 원주방향을 따라 1곳 이상에 마련된다(도 7 참조). 도시된 바에 의하면 2개의 스토퍼(29)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29)는 단면이 "

Figure pat00001
"와 같이 전선관(100)의 골과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도 6 참조). 스토퍼(29)는 가압구(27)와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된다. Fur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9, a stopper 29 is provided in one or more plac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nd 9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valley of the corrugated conduit 100 (see FIG. 7). As shown, two stoppers 29 are provided. The stopper 29 has a cross section of "
Figure pat00001
It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alley of the conduit 100 (see Fig. 6). The stopper 29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pressing hole 27.

이하, 박스연결구(5)를 도 5와 도 6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박스연결구(5)는 전선관(100)을 구멍(211)이 타공된 플레이트(210)에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Hereinafter, the box connector 5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5 and 6. The box connector 5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fixing the conduit 100 to the plate 210 having the hole 211 perforated in a one-touch manner.

박스연결구(5)는 링 또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플레이트의 구멍(211)에 적은 유격을 갖고 끼워지는 외경을 가진다. The box connector 5 has a ring or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outer diameter that is fitted with a small clearance in the hole 211 of the plate.

후크(31)가 원통형으로 된 박스연결구(5)의 주벽(33) 상에 설치된다. 후크(31)는 반경방향을 따라서 탄성적으로 거동하며 화살표 형태의 걸림구(35)를 제공한다. The hook 31 is installed on the main wall 33 of the box connector 5 in a cylindrical shape. The hook 31 elastically moves along the radial direction and provides an arrow-shaped locking hole 35.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 후크(31)는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2개가 나란히 마련된다. 그리고 후크(31)의 반대쪽으로는 지지대(37)가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wo hooks 31 are provided side by side in a position skewed to one side. In addition, the support 37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hook 31.

그래서 지지대(37)가 있는 쪽을 먼저 플레이트의 구멍(211)에 끼운 다음 반대쪽에 힘을 가함으로써 후크(31)가 찰칵하면서 구멍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So, by first inserting the side with the support 37 into the hole 211 of the plate and then applying a force to the opposite side, the hook 31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while clicking.

박스연결구(5)의 중간 지점에는 도넛 형상의 제한판(39)이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이 제한판(39)은 전선관(100)의 끝이 닿는 부분으로서 전선관의 삽입 깊이가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한판(39)의 중심에 있는 전선통과공(39a)으로는 전선(110)이 통과된다. 제한판(39)의 중심부에는 단턱(41)이 마련되어 있어 전선관(100)이 일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A donut-shaped limit plate 39 is integrally installed at the middle point of the box connector 5. The limiting plate 39 is a part where the end of the conduit 100 touches, so that the insertion depth of the conduit is limited. The wire 110 passes through the wire through hole 39a in the center of the limit plate 39. The stepped portion 41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limit plate 39 so that the conduit 100 can be guided to be seated at a certain position.

또한 박스연결구(5)의 측면에는 전선관(100)이 제한판(39)까지 삽입이 되었는지를 볼 수 있는 투시공(43)이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e-through hole 43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x connector 5 to see whether the conduit 100 has been inserted up to the limit plate 39.

박스연결구(5)는 플레이트(210)에 삽입되는 삽입부(5a)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5b)로 구성되며 이들의 경계에는 지지판(45)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The box connector 5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5a inserted into the plate 210 and an exposed portion 5b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upport plate 45 may be installed at the boundary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외측편(19)의 선단에는 지레작용대(20)가 돌기 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도구(T)의 끝을 지레작용대(20)의 저면에 대고, 타측 잡이대(25)를 지레받침대로 이용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도구(T)를 회전시키게 되면 밴드(9)를 이완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front end of the outer piece 19, the lever 20 protrudes in a protruding shape. According to this, as shown in Fig. 5, the end of the tool T, such as a screwdriver,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lever 20, and the tool 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s used using the other holder 25 as a lever support. When rotated, the band 9 can be relaxed.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The configuration shown and described above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based on common technical knowledge,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may be included 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전선관 커넥터 3 : 전선관연결구
5 : 박스연결구 7 : 연결대
9 : 밴드 11 : 결합홈
13 : 끼움편 15,17 : 결착돌기
19 : 외측편 20 : 지레작용대
21 : 내측편 23,25 : 잡이대
27 : 가압구 29 : 스토퍼
31 : 후크 35 : 걸림구
37 : 지지대 39 : 제한판
43 : 투시공 45 : 지지판
1: conduit connector 3: conduit connector
5: box connector 7: connector
9: band 11: coupling groove
13: fitting piece 15, 17: binding protrusion
19: outer side 20: lever action table
21: inner side 23,25: holder
27: pressure port 29: stopper
31: hook 35: locking hole
37: support 39: limited plate
43: see-through 45: support plate

Claims (6)

일측은 전선관과의 연결을 위한 전선관연결구가 마련되고; 타측은 스위치박스, 분전함 박스 등에 마련된 플레이트와의 연결을 위한 박스연결구가 마련되며; 상기 전선관연결부와 박스연결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되;
상기 전선관연결구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결합홈이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끼움편이 마련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밴드삽입홈과 끼움편에 각각 톱니 형태로 마련되는 결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연결구는 상기 플레이트에 마련된 구멍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원통의 주벽에 반경방향으로 탄성적 거동을 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커넥터.
One side is provided with a conduit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the conduit;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box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a plate provided in a switch box, a distribution box box, or the like; And a connecting rod for connecting the conduit connector and the box connector to each other;
The conduit connector has a cylindrical shape, a band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on one side and a fitting piec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n the other side; Includes; binding protrusions provided in the shape of teeth, respectively, in the band insertion groove and the fitting piece;
The box connector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is fitted into a hole provided in the plate, and includes a hook having an elastic behavior in a radial direction on a peripheral wall of the cylin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연결구의 결합홈은,
상기 밴드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외측편;
상기 외측편과 평행하게 이격된 것으로서 상기 외측편의 내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밴드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는 내측편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결착돌기는 상기 외측편의 내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groove of the box connector,
An outer side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nd;
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nd so as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ide and is spaced parallel to the outer side, and is provided by an inner side that is elastically bent by decreasing the thickness toward the e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a condui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를 좀 더 편리하게 조이기 위한 잡이대(23,25)가 상기 밴드(9)의 양단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측 잡이대(23)는 상기 외측편(19)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고, 타측 잡이대(25)는 상기 끼움편(13)의 후단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As being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nd (9), the holder (23, 25) for tightening the band more conveniently,
One side gripper 23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outer piece 19, and the other side gripper 25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tting piece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내측면에는 상기 전선관의 외면을 국부적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중심을 향해 "∧"의 형태로 돌출된 가압구(27)가 1개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A condui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pressurizing hole (27)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in the form of "∧"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and to locally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내면에는 주름진 전선관(100)의 골에 삽입될 수 있도록 스토퍼(29)가 밴드(9)의 원주방향을 따라 1곳 이상에 마련되되;
상기 스토퍼(29)는 단면이 "
Figure pat00002
"와 같이 상기 전선관의 골과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a stopper 29 is provided in one or more plac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nd 9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valley of the corrugated conduit 100;
The stopper 29 has a cross section of "
Figure pat00002
Condui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alley of the conduit, such as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를 좀 더 편리하게 조이기 위한 잡이대(23,25)가 상기 밴드(9)의 양단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측 잡이대(23)는 상기 외측편(19)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고, 타측 잡이대(25)는 상기 끼움편(13)의 후단에 마련되고;
상기 밴드를 이완시킬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외측편(19)의 선단에는 지레작용대(20)가 돌기 형태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잡이대(23,25) 중 타측 잡이대(25)는 지레받침대로 이용할 수 있게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As being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nd (9), the holder (23, 25) for tightening the band more conveniently,
One side gripper 23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outer piece 19, and the other side gripper 25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tting piece 13;
As a means for allowing the band to relax,
At the front end of the outer piece 19, the lever 20 protrudes in the form of a protrusion;
Condui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23, 25) is configured to be used as a lever holder.
KR1020190070700A 2019-06-14 2019-06-14 Connector For Wire Tube KR1023210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700A KR102321027B1 (en) 2019-06-14 2019-06-14 Connector For Wire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700A KR102321027B1 (en) 2019-06-14 2019-06-14 Connector For Wire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97A true KR20200142997A (en) 2020-12-23
KR102321027B1 KR102321027B1 (en) 2021-11-03

Family

ID=7408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700A KR102321027B1 (en) 2019-06-14 2019-06-14 Connector For Wire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0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313B1 (en) * 2021-11-26 2023-10-12 이준성 Connector For Electric Wire Tub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5480A (en) * 2006-05-12 2007-11-22 Nec Lighting Ltd Connector, electrical apparatus and luminaire
KR20080005804U (en) * 2007-05-28 2008-12-03 대신산전 주식회사 Connector for Wire Tube
KR20090003428U (en) * 2007-10-09 2009-04-14 이용운 Outlet set with connector
KR20160000451U (en) * 2014-07-29 2016-02-12 (주)현대배관 The connector of electric cable pipe
KR20160120841A (en) * 2015-04-08 2016-10-19 (주)이산솔루션 Smart clea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cleaning robot
KR20170058961A (en) 2014-09-10 2017-05-29 워싱턴 유니버시티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pre-cancerous skin lesions
JP2018088382A (en) * 2016-11-30 2018-06-07 株式会社Subaru connect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5480A (en) * 2006-05-12 2007-11-22 Nec Lighting Ltd Connector, electrical apparatus and luminaire
KR20080005804U (en) * 2007-05-28 2008-12-03 대신산전 주식회사 Connector for Wire Tube
KR20090003428U (en) * 2007-10-09 2009-04-14 이용운 Outlet set with connector
KR20160000451U (en) * 2014-07-29 2016-02-12 (주)현대배관 The connector of electric cable pipe
KR20170058961A (en) 2014-09-10 2017-05-29 워싱턴 유니버시티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pre-cancerous skin lesions
KR20160120841A (en) * 2015-04-08 2016-10-19 (주)이산솔루션 Smart clea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cleaning robot
JP2018088382A (en) * 2016-11-30 2018-06-07 株式会社Subaru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027B1 (en)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18779A1 (en) Quick assembling electrical connection box apparatus and method
WO1982001296A1 (en) Cable clamp
EP0921604A1 (en) Device for clamping the cable in electrical outlets or plugs
US10316991B2 (en) Wide range edge mounting clamp
US2236130A (en) Locking key for outlet boxes
EP1448924B1 (en) Sleeve of a gland assembly
KR101885713B1 (en) Connector for distribution boxes and pipe
JP2008298153A (en) Wiring/piping material fixture
KR20200142997A (en) Connector For Wire Tube
WO2009102137A2 (en) Hose joint clamp
US4238132A (en) Connector
KR20200143862A (en) Cover Plate For Connecting Electric Wire
CA3106632C (en) Electrical conduit connector
US3600008A (en) Self-locking outlet box connector
KR102098300B1 (en) Securing device for safety of underground cable
KR200360643Y1 (en) a Wire Pipe Connector.
JP3223511U (en) Prevention connector
CN217648290U (en) Screwing element for a threaded joining/attachment system
JP2020184507A (en) Disconnection prevention connector
JP2554387Y2 (en) Cable gland retainer
US20190137023A1 (en) Coupling device for releasably connecting conduit portions
KR20190004555A (en) One Touch Type Connector for Hot Water Distributor
US5848910A (en) Multi-purpose lever actuated connector
CA2114305C (en) Hub locknut
JPS6141085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