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878A - 쉐이퍼 유닛 및 흔들림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쉐이퍼 유닛 및 흔들림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878A
KR20200142878A KR1020190070301A KR20190070301A KR20200142878A KR 20200142878 A KR20200142878 A KR 20200142878A KR 1020190070301 A KR1020190070301 A KR 1020190070301A KR 20190070301 A KR20190070301 A KR 20190070301A KR 20200142878 A KR20200142878 A KR 20200142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isposed
shaper
driving uni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성
정수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0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2878A/ko
Priority to US17/596,574 priority patent/US11974041B2/en
Priority to PCT/KR2020/007470 priority patent/WO2020251243A1/ko
Publication of KR2020014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8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6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with a variable apex pr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04N5/225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쉐이퍼 유닛 및 흔들림 보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쉐이퍼 유닛은 투명 재질의 쉐이퍼 바디; 상기 쉐이퍼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글래스; 상기 제1 글래스의 일측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변형 프리즘; 및 상기 가변형 프리즘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글래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쉐이퍼 유닛 및 흔들림 보정 장치{SHAPER UNIT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쉐이퍼 유닛 및 흔들림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휴대폰 등의 이동단말기, 노트북, 드론, 차량 등에 장착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에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스(autofocus, A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카메라 모듈은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피사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줌 업(zoom up) 또는 줌 아웃(zoom out)의 주밍(zoom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카메라 모듈은 영상 흔들림 방지(image stabilization, IS)기술을 채용하여 불안정한 고정장치 혹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인한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방지하는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 흔들림 방지(IS) 기술에는 광학적 영상 흔들림 방지(optical image stabilizer, OIS)기술과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영상 흔들림 방지기술 등이 있다.
OIS기술은 빛의 경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움직임을 보정하는 기술이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영상 흔들림 방지기술은 기계적인 방식과 전자적인 방식으로 움직임을 보정하는 기술인데, OIS기술이 더 많이 채용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쉐이퍼 유닛 및 흔들림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쉐이퍼 유닛은 투명 재질의 쉐이퍼 바디; 상기 쉐이퍼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글래스; 상기 제1 글래스의 일측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변형 프리즘; 및 상기 가변형 프리즘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글래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쉐이퍼 바디의 면적은 상기 제1 글래스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쉐이퍼 바디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상기 제1 글래스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은 비투과성 재질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쉐이퍼 유닛은 개구가 형성되는 금속부와, 상기 금속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투광부를 포함하는 쉐이퍼 바디; 상기 투광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글래스; 상기 제1 글래스의 일측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변형 프리즘; 및 상기 가변형 프리즘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부의 하면은 상기 투광부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과 접촉하고, 상기 개구 및 상기 투광부는 상기 제1 글래스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된다.
또한, 상기 쉐이퍼 바디는 상기 금속부의 하면 중 상기 개구와 인접하는 영역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투광부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형 프리즘은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안에 배치되는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의 면적은 상기 제1 글래스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의 면적은 상기 액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는 투명 재질의 쉐이퍼 바디; 상기 쉐이퍼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글래스; 상기 제1 글래스의 일측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변형 프리즘; 상기 가변형 프리즘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글래스; 상기 쉐이퍼 바디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와 대향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쉐이퍼 바디의 면적은 상기 제1 글래스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쉐이퍼 바디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상기 제1 글래스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은 비투과성 재질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는 개구가 형성되는 금속부와, 상기 금속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투광부를 포함하는 쉐이퍼 바디; 상기 투광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글래스; 상기 제1 글래스의 일측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변형 프리즘; 상기 쉐이퍼 바디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와 대향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부의 하면은 상기 투광부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과 접촉하고, 상기 개구 및 상기 투광부는 상기 제1 글래스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된다.
또한, 상기 쉐이퍼 바디는 상기 금속부의 하면 중 상기 개구와 인접하는 영역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투광부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형 프리즘은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안에 배치되는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의 면적은 상기 제1 글래스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의 면적은 상기 액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 중 하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 중 다른 하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쉐이퍼 바디의 테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쉐이퍼 바디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제품의 사이즈를 울일 수 있는 쉐이퍼 유닛 및 흔들림 보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형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변형례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변형례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형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10)는 쉐이퍼 바디(100)와, 제1 글래스(200)와, 멤브레인(330)과, 가변형 프리즘(300)과, 제2 글래스(400)와, 제1 구동부(500)와, 제2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 중, 쉐이퍼 바디(100)와, 제1 글래스(200)와, 멤브레인(330)과, 가변형 프리즘(300)과, 제2 글래스(400)는 쉐이퍼 유닛(shaper unit)으로 호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10)는 주밍(zooming)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10)는 고정형 프리즘(40)에서 반사된 광을 투과하는 광학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흔들림 보정 장치(10)는 쉐이퍼 바디(100)를 포함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쉐이퍼 바디(100)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쉐이퍼 바디(100)의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는 고정형 프리즘(40)에서 반사된 광을 투과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는 제1 글래스(2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쉐이퍼 바디(100)는 글래스(glas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의 면적은 제1 글래스(20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는 제1 글래스(200)의 CA(Clear aperture)와 광축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의 하면은 제1 글래스(200)의 상면과 광학 접합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는 제1 글래스(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형 프리즘(40)에서 반사된 광이 투명 재질의 쉐이퍼 바디(100)를 통과하여 제1 글래스(200)로 입사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에는 제1 구동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의 테두리 영역에는 제1 구동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의 상면 및/또는 하면의 테두리 영역에는 제1 구동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의 측면에는 제1 구동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구동부(500)와 제2 구동부(60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쉐이퍼 바디(1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쉐이퍼 바디(100)는 제1 글래스(200)와 함께 틸트(tilt)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쉐이퍼 바디(100)의 상면 및/또는 하면 중 제1 글래스(200)와 광축 또는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은 비투과성 재질(110)로 적층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의 상면 및/또는 하면 중 제1 글래스(200)의 CA(clear aperture)와 광축 또는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은 비투과성 재질(110)로 적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글래스(200)로 입사되는 잡광을 차단할 수 있다.
흔들림 보정 장치(10)는 제1 글래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글래스(200)는 쉐이퍼 바디(100)의 일측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글래스(2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래스(200)는 글래스(glass)일 수 있다. 제1 글래스(200)의 상면은 쉐이퍼 바디(100)의 하면과 면접촉할 수 있다. 제1 글래스(200)의 상면은 쉐이퍼 바디(100)의 하면과 광학 접합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제1 글래스(200)의 면적은 쉐이퍼 바디(10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글래스(200)의 전체 영역은 CA(Clear aperture)일 수 있다. 제1 글래스(200)의 일부 영역은 CA(Clear aperture)일 수 있다. 제1 글래스(200)의 CA(Clear aperture)는 쉐이퍼 바디(100)와 광축 또는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CA(Clear aperture)는 원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CA(Clear aperture)는 타원일 수도 있고, 이외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글래스(200)는 멤브레인(33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글래스(200)의 하면은 멤브레인(330)의 상면과 면접촉할 수 있다. 제1 글래스(200)의 하면은 멤브레인(330)의 상면과 광학 접합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제1 글래스(200)의 면적은 멤브레인(33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구동부(500)와 제2 구동부(60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쉐이퍼 바디(1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 글래스(200)는 쉐이퍼 바디(100)와 멤브레인(330)과 함께 틸트(tilt)될 수 있다.
흔들림 보정 장치(10)는 멤브레인(membrane)(330)을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330)은 얇은 막일 수 있다. 멤브레인(330)은 제1 글래스(200)의 일측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멤브레인(330)의 상면은 제1 글래스(200)의 하면과 면접촉할 수 있다. 멤브레인(330)의 상면은 제1 글래스(2200)의 하면과 광학 접합 방식을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멤브레인(330)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330)은 가변형 프리즘(300)의 타측 또는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멤브레인(330)은 가변형 프리즘(300)의 상면과 면접촉할 수 있다. 멤브레인(330)의 하면은 가변형 프리즘(300)의 상면과 광학 접합 방식을 이용하여 접할될 수 있다. 멤브레인(330)의 일부 영역은 가변형 프리즘(300)의 컨테이너(320)와 접촉하고, 다른 영역은 액체(31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구동부(500)와 제2 구동부(60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쉐이퍼 바디(100)에 외력이 가해지면, 멤브레인(330)은 쉐이퍼 바디(100)와, 제1 글래스(200)와 함께 틸트(tilt)될 수 있다.
흔들림 보정 장치(10)는 가변형 프리즘(3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형 프리즘(300)은 멤브레인(330)의 일측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형 프리즘(300)의 상면은 멤브레인(330)의 하면과 면접촉할 수 있다. 가변형 프리즘(300)의 상면은 멤브레인(330)의 하면과 광학 접합 방식을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변형 프리즘(300)의 면적은 멤브레인(330)의 면적과 같은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가변형 프리즘(300)의 면적은 멤브레인(33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가변형 프리즘(300)은 컨테이너(container)(320)와, 컨테이터(320)의 안에 배치되는 액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310)의 면적은 제1 글래스(20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액체(310)의 상면은 멤브레인(33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액체(310)의 상부는 멤브레인(33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액체(310)는 투명할 수 있다. 액체(310)는 투광성일 수 있다. 액체(310)의 면적은 멤브레인(33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가변형 프리즘(300)은 제2 글래스(400)의 타측 또는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형 프리즘(300)의 하면은 제2 글래스(400)의 상면과 면 접촉할 수 있다. 가변형 프리즘(300)의 하면은 제2 글래스(400)의 상면과 광학 접합 방식을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가변형 프리즘(300) 중 액체(310)의 면적은 제2 글래스(40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가변형 프리즘(300)의 전체 면적은 제2 글래스(400)의 면적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가변형 프리즘(300) 중 액체(310)의 하부는 제2 글래스(40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가변형 프리즘(300)의 하면과 제2 글래스(400)의 상면 사이에는 추가 멤브레인(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다.
가변형 프리즘(300)을 통해, 제1 구동부(500)와 제2 구동부(60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쉐이퍼 바디(1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쉐이퍼 바디(100)와, 제1 글래스(200)와, 멤브레인(330)을 틸트(tilt)시킬 수 있다.
흔들림 보정 장치(10)는 제2 글래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글래스(400)는 가변형 프리즘(300)의 일측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글래스(400)의 상면은 가변형 프리즘(300)의 하면에 면 접촉될 수 있다. 제2 글래스(400)의 상면은 가변형 프리즘(300)의 하면에 광학 접합 방식을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글래스(400)와 가변형 프리즘(300) 사이에는 추가 멤브레인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글래스(400)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잇다. 제2 글래스(4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글래스(400)는 글래스(glass)일 수 있다.
흔들림 보정 장치(10)는 제1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500)는 쉐이퍼 바디(1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구동부(500)는 쉐이퍼 바디(100)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핸되지 않고 제1 구동부(500)는 쉐이퍼 바디(100)의 상면 및/또는 하면의 테두리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구동부(500)는 제2 구동부(600)와 대향할 수 있다. 제2 구동부(600)가 마그네트인 경우, 제1 구동부(500)는 코일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구동부(600)가 코일인 경우, 제1 구동부(500)는 마그네트일 수 있다. 제1 구동부(500)는 제2 구동부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쉐이퍼 바디(10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흔들림 보정 장치(10)는 제2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600)는 고정 부재(미도시) 또는 하우징(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동부(600)는 제1 구동부(500)와 대향할 수 있다. 제1 구동부(500)가 코일인 경우, 제2 구동부(600)는 마그네트일 수 있다. 제1 구동부(500)가 마그네트인 경우, 제2 구동부(600)는 코일일 수 있다. 제1 구동부(500)가 마그네트이고 제2 구동부(600)가 코일인 경우, 코일인 제2 구동부(600)는 고정 부재 또는 하우징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으로부터 전류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구동부(500)와 제2 구동부(60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이 없는 경우, 외부로부터 입사된 제1 광(L1)은 고정형 프리즘(40)에서 반사되어 흔들림 보정 장치(10)를 지나 제2 광(L1a)으로 출사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구동부(500)와 제2 구동부(60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쉐이퍼 바디(100)에 외력이 가해지고, 쉐이퍼 바디(100)와 제1 글래스(200)와 멤브레인(330)이 틸트(tilt)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입사되어 고정형 프리즘(40)에서 반사되는 제2 광(L1a)은 흔들림 보정 장치(10)를 지나 제3 광(L1b)으로 출사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10)는 투광성 재질의 쉐이퍼 바디(100)가 제1 글래스(200)의 상면에 면접촉되므로, 쉐이퍼 바디(100)의 가로 길이를 줄여, 카메라 모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20)는 쉐이퍼 바디(100)와, 제1 글래스(200)와, 멤브레인(330)과, 가변형 프리즘(300)과, 제2 글래스(400)와, 제1 구동부(500)와, 제2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 중, 쉐이퍼 바디(100)와, 제1 글래스(200)와, 멤브레인(330)과, 가변형 프리즘(300)과, 제2 글래스(400)는 쉐이퍼 유닛(shaper unit)으로 호칭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지 않은 구성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10)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1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10)와 다른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흔들림 보정 장치(20)는 쉐이퍼 바디(100)를 포함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는 제1 글래스(2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의 하면은 제1 글래스(200)의 상면에 면접촉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의 하면은 제1 글래스(200)의 상면과 광학 접합 방식을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는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금속부(130)와, 금속부(130)의 일측 또는 아래에 배치되는 투광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는 투광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투광부(120)는 제1 글래스(2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투광부(120)의 하면은 제1 글래스(200)의 상면에 면접촉(surface-contact)될 수 있다. 투광부(120)의 하면은 제1 글래스(200)의 상면과 광학 접합 방식을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투광부(120)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투광부(12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광부(120)는 글래스(glass)로 형성될 수 있다. 투광부(120)는 제1 글래스(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투광부(120)의 면적은 제1 글래스(20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투광부(120)의 면적은 제1 글래스의 CA(clear aperture)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투광부(120)는 금속부(130)의 일측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투광부(120)는 금속부(130) 중 개구에 인접한 영역과 광축 또는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투광부(120)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은 금속부(13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투광부(120)는 금속부(130)의 개구와 광축 또는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투광부(120)의 면적은 금속부(130)의 개구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투광부(120)의 면적은 금속부(13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쉐이퍼 바디(100)는 금속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부(130)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부(130)의 개구는 투광부(120)와, 제1 글래스(200)와 광축 또는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금속부(130) 중 개구와 인접한 영역의 하면은 투광부(120)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에 면접촉될 수 있다. 이 때, 금속부(130) 중 개구와 인접한 영역의 하면은 투광부(120)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에 광학 접합 방식을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금속부(13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부(130)에는 제1 구동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금속부(130)의 측면에는 제1 구동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금속부(130)의 상면 및/또는 하면의 테두리 영역에는 제1 구동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10)에 따르면 쉐이퍼 바디(10) 중 중앙에 배치되는 투광부(120)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투광부(120)의 테두리 영역에 금속부(130)가 배치됨으로써, 제1 글래스(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흔들림 보정 장치(10)의 가로 사이즈를 줄이므로 제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변형례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의 변형례의 작동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장치(20)의 쉐이퍼 바디(100)는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40)는 금속부(130)의 하면 중 개구와 인접하는 영역에서 일측 또는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140)의 하면은 투광부(120)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40)의 하면은 투광부(120)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과 광학 접합 방식을 이용하여 접합할 수 있다. 돌출부(14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40)는 금속부(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흔들림 보정 장치 100: 쉐이퍼 바디
200: 제1 글래스 300: 가변형 프리즘
330: 멤브레인 400: 제2 글래스
500: 제1 구동부 600: 제2 구동부

Claims (19)

  1. 투명 재질의 쉐이퍼 바디;
    상기 쉐이퍼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글래스;
    상기 제1 글래스의 일측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변형 프리즘; 및
    상기 가변형 프리즘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글래스를 포함하는 쉐이퍼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퍼 바디의 면적은 상기 제1 글래스의 면적보다 큰 쉐이퍼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퍼 바디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상기 제1 글래스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은 비투과성 재질로 적층되는 쉐이퍼 유닛.
  4. 개구가 형성되는 금속부와, 상기 금속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투광부를 포함하는 쉐이퍼 바디;
    상기 투광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글래스;
    상기 제1 글래스의 일측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변형 프리즘; 및
    상기 가변형 프리즘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부의 하면은 상기 투광부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과 접촉하고,
    상기 개구 및 상기 투광부는 상기 제1 글래스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쉐이퍼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퍼 바디는 상기 금속부의 하면 중 상기 개구와 인접하는 영역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투광부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과 접촉하는 쉐이퍼 유닛.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프리즘은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안에 배치되는 액체를 포함하는 쉐이퍼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면적은 상기 제1 글래스의 면적보다 큰 쉐이퍼 유닛.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의 면적은 상기 액체의 면적보다 큰 쉐이퍼 유닛.
  9. 투명 재질의 쉐이퍼 바디;
    상기 쉐이퍼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글래스;
    상기 제1 글래스의 일측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변형 프리즘;
    상기 가변형 프리즘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글래스;
    상기 쉐이퍼 바디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와 대향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흔들림 보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퍼 바디의 면적은 상기 제1 글래스의 면적보다 큰 흔들림 보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퍼 바디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상기 제1 글래스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은 비투과성 재질로 적층되는 흔들림 보정 장치.
  12. 개구가 형성되는 금속부와, 상기 금속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투광부를 포함하는 쉐이퍼 바디;
    상기 투광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글래스;
    상기 제1 글래스의 일측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변형 프리즘;
    상기 쉐이퍼 바디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와 대향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부의 하면은 상기 투광부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과 접촉하고,
    상기 개구 및 상기 투광부는 상기 제1 글래스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흔들림 보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퍼 바디는 상기 금속부의 하면 중 상기 개구와 인접하는 영역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투광부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과 접촉하는 흔들림 보정 장치.
  14. 제 9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프리즘은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안에 배치되는 액체를 포함하는 흔들림 보정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면적은 상기 제1 글래스의 면적보다 큰 흔들림 보정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의 면적은 상기 액체의 면적보다 큰 흔들림 보정 장치.
  17. 제 9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 중 하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 중 다른 하나는 코일을 포함하는 흔들림 보정 장치.
  18. 제 9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쉐이퍼 바디의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는 흔들림 보정 장치.
  19. 제 9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쉐이퍼 바디의 측면에 배치되는 흔들림 보정 장치.
KR1020190070301A 2019-06-13 2019-06-13 쉐이퍼 유닛 및 흔들림 보정 장치 KR2020014287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301A KR20200142878A (ko) 2019-06-13 2019-06-13 쉐이퍼 유닛 및 흔들림 보정 장치
US17/596,574 US11974041B2 (en) 2019-06-13 2020-06-09 Shaper unit and image stabilization device
PCT/KR2020/007470 WO2020251243A1 (ko) 2019-06-13 2020-06-09 쉐이퍼 유닛 및 흔들림 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301A KR20200142878A (ko) 2019-06-13 2019-06-13 쉐이퍼 유닛 및 흔들림 보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878A true KR20200142878A (ko) 2020-12-23

Family

ID=7408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301A KR20200142878A (ko) 2019-06-13 2019-06-13 쉐이퍼 유닛 및 흔들림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28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1677B1 (ko) 렌즈 구동장치
KR101349589B1 (ko) 카메라 모듈
US1095182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US11347077B2 (en) Camera module with tilting part
US20220128885A1 (en) A lens assembly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20180338089A1 (en) Camera Module for Both Normal Photography and Infrared Photography
KR102513041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20011963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102580308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0012522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30054816A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90093275A (ko) 필터 스위칭 장치
KR102508493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JP2024512007A (ja) アクチュエータ装置
US20210018818A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11974041B2 (en) Shaper unit and image stabilization device
KR102345120B1 (ko) 광로변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 단말기
KR20200041067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52995B1 (ko) 렌즈 구동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디바이스
KR20200142878A (ko) 쉐이퍼 유닛 및 흔들림 보정 장치
KR102516769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20130092914A (ko) 카메라 모듈
CN114174885B (zh) 相机致动器以及包括该相机致动器的相机模块
KR20230011048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20106547A (ko) 카메라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