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784A -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 Google Patents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784A
KR20200141784A KR1020190068763A KR20190068763A KR20200141784A KR 20200141784 A KR20200141784 A KR 20200141784A KR 1020190068763 A KR1020190068763 A KR 1020190068763A KR 20190068763 A KR20190068763 A KR 20190068763A KR 20200141784 A KR20200141784 A KR 20200141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verhead type
evaporator
type ai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7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6060B1 (en
Inventor
강인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060B1/en
Publication of KR2020014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7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0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comprises: 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 lower case and an upper cover which closes an opened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an evaporator and a blower fan dispos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 lower case comprises a floor unit and a side wall unit formed on the floor unit. The side wall unit comprises: a front surface unit having an air inlet; a rear surface unit having an air outlet; and a pair of side surface units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unit and the rear surface unit and having a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The floor unit has a curvature which goes higher in a convex shape as getting farther from the pair of side surface units. The lower case has a drain guide unit which protrudes from the floor unit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blower fan to connect the pair of side surface units.

Description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Vehicle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system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실시 예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승합차와 같은 대형 차량에는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1열의 탑승 공간에 대한 냉난방을 수행하는 메인 공조장치 외에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In a large vehicle such as a van,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main air conditioner tha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nd performs cooling and heating for the first row of passenger spaces.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는 차실 천장에 설치되어 2열 또는 3열의 탑승 공간에 차가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vehicle cabin and can supply cold air to the second or third row of passenger spaces.

이를 위해,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는 차량의 루프 패널 등에 고정되는 공조케이스, 및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증발기, 송풍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may include an air conditioning case fixed to a roof panel of a vehicle, and an evaporator and a blower fan dispos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공조케이스에는 공기 흡입구, 공기 토출구, 응축수 배출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는 공조케이스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되는 반면, 응축수 배출공은 공조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n air intake port, an air outlet port, and a condensate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re generally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while the condensate discharge hole is generally formed on th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응축수는 증발기 표면에서 발생할 수 있고, 공조케이스의 응축수 배출공에 연결되는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차량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Condensed water may b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a condensat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condensate discharge hol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하지만, 응축수 중 일부가 공기 유동 방향을 따라 공기 토출구를 통해 차실 내로 배출되는 경우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some of the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vehicle cabin through the air outlet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discomfort to the occupant.

특히, 차량이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응축수 배출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uphill, the possibility of condensate discharge may be further increased.

또한, 차량이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공기 흡입구를 통해 차실 내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downhi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is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air intake por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1165호(2007.03.28.,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기조화장치)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701165 (2007.03.28.,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실시 예는 증발기 표면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공기 토출구 등을 통해 차실 내로 배출되는 문제를 개선한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which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surface of an evaporator is discharged into a vehicle interior through an air outlet or the like.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bjectives and effects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solutions or embodiments of the problems described below are also included.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상부커버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 및 상기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증발기 및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 상에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전면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연결하고 응축수 배출공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아지게 볼록한 곡률을 가지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증발기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서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측면부를 연결하는 배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 lower case and an upper cover for clos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an evaporator and a blower fan dispos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wherein the lower case includes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de wall portion includes a front portion having an air inlet and a rear portion having an air outlet. , And a pair of side portions connecting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and having a condensate discharge hole formed therein, and the bottom portion has a convex curvature so as to increase away from the pair of side portions, and the lower case includes the evaporator and the blower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cluding a drain guide part protruding from the bottom part between the fans and connecting the pair of side parts may be provided.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양단부의 높이가 중앙부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The height of both ends of the drain guide part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central part.

상기 양단부의 상단 모서리는 상기 중앙부의 상단 모서리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Upper edges of both ends may be disposed higher than upper edges of the central portion.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송풍팬은 상기 양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evaporator and the blowing fan may be disposed between both ends.

상기 중앙부의 폭은 상기 증발기의 폭보다 클 수 있다.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evaporator.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팬모터; 및 상기 팬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바닥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속도제어유닛을 둘러싸는 수밀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상기 수밀격벽을 통해 상기 측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A fan motor driving the blowing fan; And a spee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an motor, wherein the lower case includes a watertight partition wall formed on the bottom and surrounding the speed control unit, and the drainage guide part through the watertight partition wall It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part.

상기 수밀격벽의 상단 모서리는 상기 배수 가이드부의 상단 모서리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edge of the watertight partition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drain guide part.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측면부를 연결하는 제1 댐 및 제2 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댐은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댐은 상기 송풍팬과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lower case includes a first dam and a second dam protruding from the bottom portion and connecting the pair of side portions, the first dam is dispos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evaporator, the second dam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lowing fan and the air outlet.

상기 제1 댐 및 상기 제2 댐은 양단부의 상단 모서리가 중앙부의 상단 모서리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In the first dam and the second dam, upper edges of both ends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central portion.

상기 송풍팬은 상기 증발기보다 상기 공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blowing fan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air outlet than the evaporator.

상기 송풍팬은 횡류팬(cross flow fan)일 수 있다.The blowing fan may be a cross flow fan.

실시 예에 따르면, 공조케이스의 바닥부에 곡률을 형성하고 증발기의 하류 측에 배수 가이드부를 배치함으로써,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공을 향해 유동하게 하는 한편, 공기 토출구 등을 통해 차실 내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forming a curvature at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rranging a drainage guid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evaporator, condensed water is allowed to flow toward the condensate discharge hole, while being suppressed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I can.

또한, 배수 가이드부의 양단부에서의 응축수 범람을 억제하는 한편, 배수 가이드부로 인한 풍량 감소 또는 제품의 높이 방향 사이즈 증가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suppressing condensate overflow at both ends of the drain guide por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blem of reducing the air volume due to the drain guide portion or increasing the size of the product in the height direction.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Various and beneficial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may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상부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 A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 - B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C - C에서의 단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rear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plan view of Figure 1,
5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is removed in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 5,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C-C of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select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combined with and substituted for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explicitly defined and described. It can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and C”, it is combined with A, B, and C. It may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by the term.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connected','coupled' or'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the component and It may also include the case of being'connected','coupled' or'connected' due to another element between the other elements.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요소가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of each component,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is not only when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one It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above other component is formed or dispos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per (upper) or lower (lower)”, the meaning of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may be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FIG. 3 is a rear view of FIG. 1, and FIG. 4 is a plan view of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10)는 공조케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vehicle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ir conditioning case 100.

공조케이스(100) 내에는 증발기, 송풍팬 등 공조유닛이 탑재될 수 있다.An air conditioning unit such as an evaporator and a blower fan may be mount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공조케이스(100)는 하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상부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may include a lower case 110 and an upper cover 120 that closes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10.

하부케이스(110)는 바닥부(111), 및 바닥부(111) 상에 형성되는 측벽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case 110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111 and a sidewall portion 113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111.

측벽부(113)는 바닥부(11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dewall portion 11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portion 1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측벽부(113)는 전면부(113a), 후면부(113b), 및 전면부(113a)의 양단과 후면부(113b)의 양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부(113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wall portion 113 may include a front portion 113a, a rear portion 113b, and a pair of side portions 113c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ront portion 113a and both ends of the rear portion 113b.

전면부(113a) 및 후면부(113b)는 바닥부(111)의 X축 방향의 양단에 연결되는 반면, 한 쌍의 측면부(113c)는 바닥부(111)의 Y축 방향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은 Z축 방향, 예를 들어 상하 방향 또는 연직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고, Y축 방향은 X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방향은 차량의 전후 방향일 수 있고, Y축 방향은 차량의 폭 방향일 수 있다.The front part 113a and the rear part 113b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ottom part 111 in the X-axis direction, while a pair of side parts 113c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ottom part 111 in the Y-axis direction. .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may be a Z-axis direction, for example, a vertic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axis direction. For example, the X-axis direction may be a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Y-axis direction may be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전면부(113a) 및 후면부(113b)는 바닥부(111)에 대하여 경사지게, 예를 들어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반면, 한 쌍의 측면부(113c)는 바닥부(111) 또는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ront part 113a and the rear part 113b ar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part 111, for example, to form an obtuse angle, while the pair of side parts 113c ar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art 111 or a horizontal plane. It may b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전면부(113a)에는 전면부(113a)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공기 흡입구(113a-1)가 형성될 수 있고, 후면부(113b)에는 후면부(113b)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공기 토출구(113b-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송풍팬에 의해 공기 흡입구(113a-1)를 통해 공조케이스(100)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를 거쳐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 후에 공기 토출구(113b-1)를 통해 공조케이스(100)의 외부, 즉 차실로 토출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ir intake ports 113a-1 penetrating through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13a may be formed on the front portion 113a, and a plurality of air intake holes 113a-1 penetrating through the rear portion 113b may be formed on the front portion 113a. The air outlet (113b-1) of the may be formed. Accordingly,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through the air inlet 113a-1 by the blowing fan, and the introduced air is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rough the evaporator, and then the air outlet 113b-1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that is, to the vehicle compartment.

공기 흡입구(113a-1) 및 공기 토출구(113b-1)에는 그릴 구조체가 결합될 수 있다.A grill structure may be coupled to the air inlet 113a-1 and the air outlet 113b-1.

후면부(113b)에는 송풍팬을 구동하는 팬모터의 온오프신호, 회전 속도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다이얼, 터치패널 등의 입력부(113b-2)가 배치될 수 있다.An input unit 113b-2 such as a dial or a touch panel may be disposed on the rear part 113b to receive an on/off signal of a fan motor driving a blower fan, a rotation speed, and the like.

측면부(113c)의 하부에는 측면부(113c)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응축수 배출공(113c-1)이 형성될 수 있다.A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113c-1 penetrating throug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de portion 113c may be formed under the side portion 113c.

응축수 배출공(113c-1)은 증발기 표면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공조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고, 응축수 배출공(113c-1)에는 배출된 응축수를 이송하는 응축수 배출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113c-1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and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for transferring the discharged condensate to the condensate discharge hole 113c-1 ( Not shown) can be connected.

한 쌍의 측면부(113c) 사이에서 바닥부(111)는 상향 볼록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즉, 바닥부(111)는 한 쌍의 측면부(113c)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portion 111 between the pair of side portions 113c may have an upward convex curvature. That is, the bottom portion 111 may be formed to increase as it moves away from the pair of side portions 113c.

따라서, 증발기 표면에서 낙하한 응축수는 공조케이스(100)의 좌우 양단으로 유동하여 응축수 배출공(113c-1)을 향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that has fallen from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may flow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to be smoothly discharged toward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113c-1.

상부커버(120)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pper cover 120 may have a plat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는 도 4에서 상부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is removed in FIG. 4.

도 5를 참조하면, 공조케이스 내에는 증발기(200) 및 송풍팬(300)이 탑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evaporator 200 and a blower fan 300 may be mount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증발기(200) 및 송풍팬(300)은 송풍팬(300)에 의한 공기 유동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300)은 증발기(200)보다 공기 토출구(113b-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evaporator 200 and the blowing fan 30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by the blowing fan 300. For example, the blowing fan 300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air outlet 113b-1 than the evaporator 200.

증발기(200)는 증발기(200)에 접촉하는 공기를 냉매의 증발 잠열에 의해 냉각시킬 수 있다.The evaporator 200 may cool air in contact with the evaporator 200 by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증발기(200)에서 기체 상태로 변환된 냉매는 증발기(200)에 연결된 제1 냉매 배관(2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고,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차례로 거쳐 저온의 액체 상태로 변환된 후, 증발기(200)에 연결된 제2 냉매 배관(220)을 통해 증발기(200)로 재 유입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converted to a gaseous state in the evaporator 20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pipe 210 connected to the evaporator 200, and a compressor (not shown), a condenser (not shown), and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After being converted into a low-temperature liquid state through sequentially, it may be re-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200 through the second refrigerant pipe 220 connected to the evaporator 200.

제1 냉매 배관(210) 및 제2 냉매 배관(220)은 공조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The first refrigerant pipe 210 and the second refrigerant pipe 220 may be drawn ou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송풍팬(300)은 팬모터(310)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 흡입구(113a-1)에서 공기 토출구(113b-1)로의 공기 유동을 생성할 수 있다. 팬모터(310)는 전장품 와이어(320)를 통해 연결된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blowing fan 300 may be rotated by the fan motor 310 to generate air flow from the air inlet 113a-1 to the air outlet 113b-1. The fan motor 310 may receive electricity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connected through the electrical equipment wire 320.

송풍팬(300)은 회전축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류팬(cross flow fan)일 수 있다.The blowing fan 300 may be a cross flow fan whose rotation axis extends in the Y-axis direction.

팬모터(310)의 회전 속도는 속도제어유닛(3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rotational speed of the fan motor 310 may be controlled by the speed control unit 330.

속도제어유닛(330)은 입력부(113b-2)를 통해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팬모터(310)의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속도제어유닛(330)은 복수의 전기저항소자 또는 가변 저항기(variable re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eed control unit 330 may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an motor 310 and the like according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3b-2. To this end, the speed control unit 3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ical resistance elements or variable resistors.

하부케이스(110)는 제1 댐(115), 제2 댐(117), 배수 가이드부(118) 및 수밀격벽(119)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case 110 may include a first dam 115, a second dam 117, a drain guide part 118, and a watertight partition wall 119.

제1 댐(115), 제2 댐(117) 및 배수 가이드부(118)는 바닥부(111)로부터 돌출되어 한 쌍의 측면부(113c)를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dam 115, the second dam 117, and the drainage guide part 118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part 111 to connect a pair of side parts 113c.

제1 댐(115)은 공기 흡입구(113a-1)와 증발기(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am 11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ir inlet 113a-1 and the evaporator 200.

제1 댐(115)은 증발기(200)에서 낙하하여 제1 댐(115)과 배수 가이드부(118) 사이에 고인 응축수가 공기 흡입구(113a-1)를 통해 차실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first dam 115 may suppress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evaporator 200 and accumulated between the first dam 115 and the drainage guide 118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vehicle compartment through the air inlet 113a-1. .

제2 댐(117)은 송풍팬(300)과 공기 토출구(113b-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dam 11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lowing fan 300 and the air outlet 113b-1.

제2 댐(117)은 증발기(200)로부터 공기 유동 방향을 따라 유동하다가 송풍팬(300)에 충돌 후 낙하하여 제2 댐(117)과 배수 가이드부(118) 사이에 고인 응축수가 공기 토출구(113b-1)를 통해 차실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second dam 117 flows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from the evaporator 200 and falls after colliding with the blowing fan 300, and the condensed water accumulated between the second dam 117 and the drainage guide 118 is an air outlet ( 113b-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vehicle compartment.

배수 가이드부(118)는 증발기(200)와 송풍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drain guide part 118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vaporator 200 and the blowing fan 300.

배수 가이드부(118)는 증발기(200)에서 낙하하여 제1 댐(115)과 배수 가이드부(118) 사이에 고인 응축수를 응축수 배출공(113c-1)가 형성된 측면부(113c)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drainage guide part 118 can guide the condensed water that has fallen from the evaporator 200 and accumulated between the first dam 115 and the drainage guide part 118 to the side part 113c where the condensate discharge hole 113c-1 is formed. have.

또한, 배수 가이드부(118)는 응축수가 공기 유동 방향을 따라 공기 토출구(113b-1)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age guide part 118 may suppress the condensed water from flowing toward the air outlet 113b-1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즉, 대부분의 응축수는 배수 가이드부(118)에 의해 제1 댐(115)과 배수 가이드부(118) 사이에 배치된 응축수 배출공(113c-1)으로 안내될 수 있고, 송풍팬(300)으로 유입된 일부 응축수는 제2 댐(117)에 의해 제2 댐(117)과 배수 가이드부(118) 사이에 배치된 응축수 배출공(113c-1)으로 안내될 수 있다.That is, most of the condensed water may be guided to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113c-1 disposed between the first dam 115 and the drain guide part 118 by the drain guide part 118, and the blower fan 300 Some of the condensed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dam 117 may be guided to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113c-1 disposed between the second dam 117 and the drain guide unit 118.

수밀격벽(119)은 바닥부(111)로부터 돌출되어 속도제어유닛(330)을 감쌀 수 있다. 따라서, 바닥부(111)에 고인 응축수가 속도제어유닛(330)에 유입 내지 접촉하여 속도제어유닛(330)의 고장을 초래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The watertight partition wall 119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part 111 to surround the speed control unit 33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a problem in which condensed water accumulated in the bottom part 111 flows into or contacts the speed control unit 330 and causes a failure of the speed control unit 330.

수밀격벽(119)은 바닥부(111) 상에 속도제어유닛(330)이 배치되는 캐비티(C)를 형성할 수 있다.The watertight partition wall 119 may form a cavity C on the bottom part 111 in which the speed control unit 330 is disposed.

수밀격벽(119)의 양단은 한 쌍의 측면부(113c) 중 하나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캐비티(C)는 측면부(113c)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부(113c)에는 캐비티(C)에 접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홀에는 속도제어유닛(33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 등이 배치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watertight partition wall 119 may be connected to one of the pair of side parts 113c at the same time, whereby the cavity C may contact the side parts 113c. Accordingly, a through hole (not shown) in contact with the cavity C may be formed in the side portion 113c, and a connector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speed control unit 330 may b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배수 가이드부(118)의 일단은 수밀격벽(119)을 통해 측면부(113c)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drainage guide portion 118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113c through the watertight partition wall 119.

도 6은 도 5의 A - A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 - B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C - C에서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 5,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C-C of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배수 가이드부(118)는 중앙부(118a), 및 중앙부(118a)의 Y축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양단부(118b)를 포함할 수 있다.5 and 6, the drain guide portion 118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118a and both end portions 118b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118a in the Y-axis direction.

중앙부(118a)와 양단부(118b)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entral portion 118a and both ends 118b may be integrally form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중앙부(118a)는 양단부(118b)를 통해 측면부(113c)에 연결될 수 있다.The central portion 118a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113c through both ends 118b.

중앙부(118a)의 상단 모서리는 양단부(118b)의 상단 모서리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118a) 및 양단부(118b)의 상단 모서리는 Y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중앙부(118a)의 상단 모서리와 양단부(118b)의 상단 모서리는 상호간에 Z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edge of the central portion 118a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upper edge of both end portions 118b. For example, the upper edge of the central portion 118a and both ends 118b may extend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and the upper edge of the central portion 118a and the upper edge of both ends 118b are mutually in the Z-axis direction. Can be placed at a distance.

따라서, 바닥부(111)의 곡률로 인해 바닥부(111)의 Y축 방향의 양단 상에 모이게 되는 응축수의 범람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overflow of condensed water collected on both ends of the bottom part 111 in the Y-axis direction due to the curvature of the bottom part 111.

또한, 상술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예시로서, 양단부(118b)의 Z축 방향의 높이(H1)는 중앙부(118a)의 Z축 방향의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effect, the height H1 of both ends 118b in the Z-axis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H2 of the central portion 118a in the Z-axis direction.

이때, 중앙부(118a) 또는 양단부(118b)의 Z축 방향의 높이는 중앙부(118a) 또는 양단부(118b)의 중심부의 Z축 방향의 높이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Z축 방향의 최소 높이 또는 최대 높이일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height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118a or both ends 118b may be the height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118a or both ends 118b,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inimum in the Z-axis direction It can be the height or the maximum height.

수밀격벽(119)의 상단 모서리는 배수 가이드부(118)의 상단 모서리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밀격벽(119)의 상단 모서리를 배수 가이드부(118)의 상단 모서리와 같이 Y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수밀격벽(119)의 상단 모서리와 배수 가이드부(118)의 상단 모서리는 상호간에 Z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edge of the watertight partition wall 119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drainage guide part 118. For example, the upper edge of the watertight partition wall 119 may extend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like the upper edge of the drainage guide portion 118, and the upper edge of the watertight partition wall 119 and the drainage guide portion 118 The upper corners of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Z-axis direction.

증발기(200) 및/또는 송풍팬(300)은 Y축 방향을 따라 배수 가이드부(118)의 양단부(118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evaporator 200 and/or the blowing fan 300 may be disposed between both ends 118b of the drainage guide 118 along the Y-axis direction.

즉, 증발기(200) 및/또는 송풍팬(300)은 X축 방향으로 배수 가이드부(118)의 중앙부(118a)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evaporator 200 and/or the blowing fan 300 may be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central portion 118a of the drainage guide 118 in the X-axis direction.

이를 위해, 배수 가이드부(118)의 중앙부(118a)의 폭(W1)은 증발기(200)의 폭(W2) 및 송풍팬(300)의 폭(W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width W1 of the central portion 118a of the drainage guide portion 118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W2 of the evaporator 200 and the width W3 of the blowing fan 300.

따라서, 증발기(200)와 송풍팬(300) 사이에 배수 가이드부(118)를 배치함으로 인해 유로 면적이 줄어들고, 그로 인해 풍량이 감소하거나 공조케이스 내지 공조장치의 Z축 방향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by disposing the drainage guide part 118 between the evaporator 200 and the blower fan 300, the flow path area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air volume or increasing the siz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or the air conditioning device in the Z-axis direction. Can be minimized.

도 7을 참조하면, 제1 댐(115)은 중앙부(115a), 및 중앙부(115a)의 Y축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양단부(115b)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first dam 115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115a and both ends 115b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115a in the Y-axis direction.

중앙부(115a)와 양단부(115b)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entral portion 115a and both ends 115b may be integrally form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중앙부(115a)는 양단부(115b)를 통해 측면부(113c)에 연결될 수 있다.The central portion 115a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113c through both ends 115b.

중앙부(115a)의 상단 모서리는 양단부(115b)의 상단 모서리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115a) 및 양단부(115b)의 상단 모서리는 Y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중앙부(115a)의 상단 모서리와 양단부(115b)의 상단 모서리는 상호간에 Z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edge of the central portion 115a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upper edge of both end portions 115b. For example, the upper edge of the central portion 115a and both ends 115b may extend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and the upper edge of the central portion 115a and the upper edge of both ends 115b are mutually in the Z-axis direction. Can be placed at a distance.

따라서, 바닥부(111)의 곡률로 인해 바닥부(111)의 Y축 방향의 양단 상에 모이게 되는 응축수가 범람하여 공기 흡입구를 통해 차실 내로 배출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condensed water collected on both ends of the floor 111 in the Y-axis direction due to the curvature of the floor 111 overflows and is discharged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air intake port.

중앙부(115a)와 양단부(115b) 사이에는 연결부(115c)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115c)의 상단 모서리는 중앙부(115a)의 상단 모서리와 양단부(115b)의 상단 모서리를 연결할 수 있고, Y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A connection portion 115c may be form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115a and both ends 115b. The upper edge of the connection portion 115c may connect the upper edge of the central portion 115a and the upper edge of both ends 115b, and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Y-axis direc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2 댐(117)은 중앙부(117a), 및 중앙부(117a)의 Y축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양단부(117b)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second dam 117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117a and both ends 117b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117a in the Y-axis direction.

중앙부(117a)와 양단부(117b)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entral portion 117a and both ends 117b may be integrally form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중앙부(117a)는 양단부(117b)를 통해 측면부(113c)에 연결될 수 있다.The central portion 117a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113c through both ends 117b.

중앙부(117a)의 상단 모서리는 양단부(117b)의 상단 모서리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117a) 및 양단부(117b)의 상단 모서리는 Y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중앙부(117a)의 상단 모서리와 양단부(117b)의 상단 모서리는 상호간에 Z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edge of the central portion 117a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upper edge of both end portions 117b. For example, the upper edge of the central portion 117a and both ends 117b may extend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and the upper edge of the central portion 117a and the upper edge of both ends 117b are mutually in the Z-axis direction. Can be placed at a distance.

따라서, 바닥부(111)의 곡률로 인해 바닥부(111)의 Y축 방향의 양단 상에 모이게 되는 응축수가 범람하여 공기 토출구를 통해 차실 내로 배출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condensed water collected on both ends of the floor 111 in the Y-axis direction overflows due to the curvature of the floor 111 and is discharged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air outlet.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and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공조장치 100: 공조케이스
110: 하부케이스 111: 바닥부
113: 측벽부 113a: 전면부
113a-1: 공기 흡입구 113b: 후면부
113b-1: 공기 토출구 113b-2: 입력부
113c: 측면부 113c-1: 응축수 배출공
115: 제1 댐 115a: 중앙부
115b: 양단부 115c: 연결부
117: 제2 댐 117a: 중앙부
117b: 양단부 118: 배수 가이드부
118a: 중앙부 118b: 양단부
119: 수밀격벽 120: 상부커버
200: 증발기 210: 제1 냉매 배관
220: 제2 냉매 배관 300: 송풍팬
310: 팬모터 320: 전장품 와이어
330: 속도제어유닛
10: air conditioning device 100: air conditioning case
110: lower case 111: bottom
113: side wall portion 113a: front portion
113a-1: air intake 113b: rear
113b-1: air outlet 113b-2: input
113c: side part 113c-1: condensate discharge hole
115: first dam 115a: central portion
115b: both ends 115c: connection
117: second dam 117a: central part
117b: both ends 118: drainage guide portion
118a: central portion 118b: both ends
119: watertight bulkhead 120: upper cover
200: evaporator 210: first refrigerant pipe
220: second refrigerant pipe 300: blowing fan
310: fan motor 320: electronic product wire
330: speed control unit

Claims (11)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상부커버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 및
상기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증발기 및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 상에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전면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연결하고 응축수 배출공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아지게 볼록한 곡률을 가지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증발기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서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측면부를 연결하는 배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 lower case and an upper cover for closing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Including an evaporator and a blowing fan dispos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 lower case includes a bottom portion and a sidewall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The side wall portion includes a front portion having an air inlet, a rear portion having an air outlet, and a pair of side portions connecting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and having a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The bottom portion has a convex curvature so as to increase away from the side portions of the pair,
The lower case is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cluding a drain guide part protruding from the bottom part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blowing fan to connect the pair of side pa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양단부의 높이가 중앙부의 높이보다 큰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ainage guide portion is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which the height of both ends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central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부의 상단 모서리는 상기 중앙부의 상단 모서리보다 높게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edge of the both ends of the vehicle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central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송풍팬은 상기 양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evaporator and the blower fan are disposed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vehicle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폭은 상기 증발기의 폭보다 큰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width of the central part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evapor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팬모터; 및
상기 팬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바닥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속도제어유닛을 둘러싸는 수밀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상기 수밀격벽을 통해 상기 측면부에 연결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fan motor driving the blowing fan; And
Including a spee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an motor,
The lower case includes a watertight partition wall formed on the bottom and surrounding the speed control unit,
The drainage guide portion is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through the watertight parti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격벽의 상단 모서리는 상기 배수 가이드부의 상단 모서리보다 높게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upper edge of the watertight partition wall is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drain guide portio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측면부를 연결하는 제1 댐 및 제2 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댐은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댐은 상기 송풍팬과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case includes a first dam and a second dam protruding from the bottom portion and connecting the pair of side portions,
The first dam is dispos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evaporator,
The second dam is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disposed between the blowing fan and the air outl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 및 상기 제2 댐은 양단부의 상단 모서리가 중앙부의 상단 모서리보다 높게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dam and the second dam is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which upper edges of both ends are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centra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증발기보다 상기 공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lower fan is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disposed closer to the air outlet than the evapora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횡류팬(cross flow fan)인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blower fan is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that is a cross flow fan.
KR1020190068763A 2019-06-11 2019-06-11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KR1026560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763A KR102656060B1 (en) 2019-06-11 2019-06-11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763A KR102656060B1 (en) 2019-06-11 2019-06-11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784A true KR20200141784A (en) 2020-12-21
KR102656060B1 KR102656060B1 (en) 2024-04-11

Family

ID=7409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763A KR102656060B1 (en) 2019-06-11 2019-06-11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0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1530A (en) * 2023-08-31 2023-09-29 扬州新杰信巴士空调配件有限公司 Novel overhead air conditioner for new energy bus and intelligent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162U (en) * 1998-06-03 2000-01-15 오상수 Evaporator unit case of overhead air conditioner
JP2000343931A (en) * 1999-06-02 2000-12-12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Vehicle air conditioning unit
JP2004338595A (en) * 2003-05-16 2004-12-02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Air conditioning unit
KR100701165B1 (en) 2001-05-15 2007-03-28 한라공조주식회사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14113839A (en) * 2012-12-06 2014-06-26 Calsonic Kansei Corp Blower for vehicle
KR20170080102A (en) * 2015-12-31 201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162U (en) * 1998-06-03 2000-01-15 오상수 Evaporator unit case of overhead air conditioner
JP2000343931A (en) * 1999-06-02 2000-12-12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Vehicle air conditioning unit
KR100701165B1 (en) 2001-05-15 2007-03-28 한라공조주식회사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4338595A (en) * 2003-05-16 2004-12-02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Air conditioning unit
JP2014113839A (en) * 2012-12-06 2014-06-26 Calsonic Kansei Corp Blower for vehicle
KR20170080102A (en) * 2015-12-31 201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conditio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1530A (en) * 2023-08-31 2023-09-29 扬州新杰信巴士空调配件有限公司 Novel overhead air conditioner for new energy bus and intelligent control method thereof
CN116811530B (en) * 2023-08-31 2024-02-13 扬州新杰信巴士空调配件有限公司 Novel overhead air conditioner for new energy bus and intelligent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060B1 (en)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7837B2 (en) Seal and drain structure for a front and rear integrated HVAC system
JP4098495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0651685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3512591A (en) Cooling air circulation system for refrigerator
KR101998172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656060B1 (en)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JP2000018646A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583212B1 (en)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CN107901725B (en) Condenser air duct device and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WO2015093014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US11040592B2 (en) Climate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2649580B1 (en)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WO2011093052A1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unit
KR102656055B1 (en)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KR10094293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624869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CN220793231U (en) Air guide channel and refrigerating type range hood provided with same
KR20190032207A (en) Heater/air conditioning for a motor vehicle
JP2006056342A (en) Air-conditioner for automobile
JPH0623432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13853312B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016361B2 (en)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s
JP3609215B2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KR200151004Y1 (en) Air control case for a vehicle
US20030230395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