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493A -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493A
KR20200140493A KR1020190067124A KR20190067124A KR20200140493A KR 20200140493 A KR20200140493 A KR 20200140493A KR 1020190067124 A KR1020190067124 A KR 1020190067124A KR 20190067124 A KR20190067124 A KR 20190067124A KR 20200140493 A KR20200140493 A KR 20200140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terminal
terminal
travel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694B1 (ko
Inventor
정종태
최민석
Original Assignee
(주)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브 filed Critical (주)무브
Priority to KR1020190067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69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Calculating itineraries, i.e. routes leading from a starting point to a series of categorical destinations using a global route restraint, round trips, touristic 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단말은 차량용단말의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 진입한 사용자단말을 인증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 좌표와 차량스케줄에서의 차량이 이동하는 경로와 비교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좌표가 차량스케줄에 따른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 좌표가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여행콘텐츠를 사용자단말 또는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스트리밍하고, 사용자단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트리밍된 여행콘텐츠를 재생함에 따라 사용자단말의 사용자가 차량으로 이동 중에 다음 방문장소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vel Content based on Travel Schedule}
인증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여행지의 다음 방문장소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여행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여행뿐만 아니라 해외여행을 가는 여행객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여행지에서 카카오 택시, 우버, 리프트, 그랩 등의 승차공유서비스를 이용하는 여행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승차공유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출발지와 목적지를 승차공유서비스로 제공하고, 출발지로부터 목적지로 배정된 차량을 타고 이동함으로써 서비스가 종료된다. 이처럼 종래의 승차공유서비스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하나의 목적지로 이동을 위한 일시적 서비스를 제공할 뿐이다.
그러나, 여행자의 경우 하나의 장소에 머무르지 않고 하루에 다양한 장소를 들르기 때문에 여행자가 종래의 승차공유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장소를 이동할 때마다 매번 다시 차량을 요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최근 하나의 목적지뿐만 아니라 경유지를 추가할 수 있도록 승차공유서비스의 범위가 확장되고 있으나, 승차공유서비스의 특성상 하루 동안 다수의 장소를 들르는 여행자들이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외국 지역을 여행하는 경우, 여행자는 주로 택시, 렌트카를 이동수단으로 이용하게 되는데, 택시는 요금이 비싸고 우회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동할 때마다 새로운 택시를 호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최근에는 렌트카를 이용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렌트카의 경우에도 여행자가 현지 지역의 도로사정, 교통 체계, 도로표지판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 빠르고 안전하게 이동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외국 여행 시 여행자들은 현지에서 승차공유서비스를 이용하는 빈도가 크게 늘고 있다. 여행자가 공항, 관광지와 같이 다수의 여행자가 있는 장소에서 승차공유서비스를 이용하여 차량을 요청하는 경우, 많은 여행자들 및 다수의 차량이 같은 장소에 있게 되어 자신이 요청한 차량을 찾기 어렵다. 특히, 여행자의 사용 언어나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여행자는 차량의 운전자와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신이 요청한 차량 및 운전자를 찾기 어렵다.
종래의 승차공유서비스는 배차된 차량에 대한 간단한 정보만을 제공할 뿐, 여행자의 목적지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다. 여행자가 자신이 요청한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에 탑승하거나 또는 탑승후 차량으로 이동 중 차량이 어디로 이동하는지 알기 어렵다. 이로 인하여 여행자는 여행자가 원하는 장소가 아닌 다른 장소로 이동하게 되어 여행을 망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사용자가 예약한 차량을 운전자와의 의사소통 없이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차지점으로부터 다음 장소로 이동 중 차량 내에서 다음 장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방법은 차량 내에 설치되고 방문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차량용단말의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 사용자단말이 진입한 경우, 상기 차량용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용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방문장소와 각 방문장소의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여행스케줄에 기초하여 복수의 승차장소의 명칭과 각 승차장소의 도착시점이 차량의 이동 순서대로 나열된 차량스케줄이 나타내는 차량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위치 좌표와 상기 현재 위치 좌표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차량스케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 콘텐츠를 상기 차량용단말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여행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스트리밍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스트리밍된 여행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와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이동하는 경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위치 좌표, 상기 차량용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를 비교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차량용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와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위치 좌표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상기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 이동한 상기 차량용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복수의 위치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이동하는 경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위치 좌표, 상기 차량용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복수의 위치 좌표를 상기 복수의 위치 좌표가 획득된 순서대로 비교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차량용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좌표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단말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의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비컨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단말의 인증정보와 상기 차량용단말의 스토리지에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의 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국제이동국식별번호(IMS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고유단말식별자(UDID, Unique Device Identifier Descrip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비컨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비컨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비컨신호에 대한 미리 설정된 세기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한다.
상기 비컨신호에 대한 미리 설정된 세기는 상기 차량용단말이 설치된 차량의 전장에 반비례한다.
상기 스트리밍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차량스케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 언어와 동일한 언어로 작성된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 콘텐츠를 상기 스토리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 언어와 동일한 언어로 작성된 여행콘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스트리밍하고, 상기 차량용단말은 상기 사용자단말의 인증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언어를 식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방법은 상기 차량용단말이 현재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현재 시간이 오전인 경우에는 오전 시간대와 관련되는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상기 차량용단말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여행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스트리밍하고, 상기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현재 시간이 오후인 경우에는 오전 시간대와 관련되는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상기 차량용단말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여행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하고, 상기 오전 시간대와 관련되는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는 상기 제 2 승차장소에서 오전 시간대에 진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상기 오후 시간대와 관련되는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는 상기 제 2 승차장소에서 오후 시간대에 진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방법은 상기 차량용단말이 현재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제 1 승차장소의 도착시점과 상기 제 2 승차장소의 도착시점 사이인 경우,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차량 내에 설치되고 방문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저장하는 차량용단말; 상기 차량용단말로부터 스트리밍된 여행콘텐츠를 재생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차량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단말은 상기 차량용단말의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 상기 사용자단말이 진입한 경우, 상기 차량용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용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하고, 복수의 방문장소와 각 방문장소의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여행스케줄에 기초하여 복수의 승차장소의 명칭과 각 승차장소의 도착시점이 차량의 이동 순서대로 나열된 차량스케줄이 나타내는 차량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위치 좌표와 상기 현재 위치 좌표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차량스케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여행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스트리밍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방법은 차량 내에 설치되고 방문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차량용단말의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 사용자단말이 진입한 경우, 상기 차량용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용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방문장소와 각 방문장소의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여행스케줄에 기초하여 복수의 승차장소의 명칭과 각 승차장소의 도착시점이 차량의 이동 순서대로 나열된 차량스케줄이 나타내는 차량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위치 좌표와 상기 현재 위치 좌표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차량스케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여행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스트리밍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스트리밍된 여행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용단말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용단말의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 진입한 사용자단말이 차량용단말의 운전자에 의해 승인된 차량스케줄을 예약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인지를 인증하고, 차량용단말의 위치가 차량스케줄에 따라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여행콘텐츠를 인증된 사용자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단말의 사용자가 예약된 차량에 탑승하여 다음 방문장소로 이동 중에 다음 방문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가 예약한 여행스케줄에 따라 차량이 이동 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다음 장소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여행콘텐츠 제공 서비스는 인증된 사용자단말에 한하여 차량용단말에 저장된 여행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함에 따라 여행사에 의해 제작된 여행콘텐츠가 무분별하게 배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행사의 여행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으며, 여행사만의 고유하고 특색 있는 여행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행콘텐츠 제공 서비스는 차량용단말의 현재 위치와 현재 시간에 따라 상이한 여행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단말은 이동 중인 다음 방문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현재 시간대에 맞는 여행콘텐츠를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위치별, 시간대별로 적합한 여행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여행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차량용단말은 다양한 언어로 작성된 여행콘텐츠를 스토리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고, 인증된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의 사용 언어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사용 언어로 작성된 여행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의 사용 언어로 작성된 여행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지의 언어를 모르더라도 다음 방문장소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단말, 서버, 및 차량용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6은 도 2의 사용자단말(1)에 표시된 여행스케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 내지 6에 도시된 여행스케줄에 따라 도 2의 사용자단말(1)에 표시되는 지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 내지 6에 도시된 여행스케줄에 따라 도 2의 사용자단말(1)에 표시되는 차량스케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 내지 6에 도시된 여행스케줄에 따라 도 2의 차량용단말(2)에 표시되는 차량스케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단말 사이의 근거리 통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사용자단말에서 재생되는 여행콘텐츠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행스케줄링 기반의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방법 및 시스템을 간략하게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및 “여행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호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와 운전자 간의 쇼퍼서비스를 제공하는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chauffeur service application)을 통해 수행된다. 쇼퍼서비스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복수 개의 방문장소와 순위에 기초하여 작성된 차량스케줄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이하에서는 이러한 서비스를 간략하게 “쇼퍼서비스”로 호칭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여행콘텐츠 제공 서비스는 이러한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여행콘텐츠 제공 서비스는 사용자의 사용 언어와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제공되는 정보 제공 서비스로서, 해딩 지역의 차량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은 해당 지역의 렌트카와 같은 상용차일 수 있고, 운전자 소유의 자가용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차량을 렌트카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단말(1), 서버(3), 및 차량용단말(2)로 구성된다. 사용자단말(1)은 쇼퍼서비스 및 여행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행스케줄, 차량스케줄 및 여행콘텐츠를 제공한다. 차량용단말(2)은 운전자에게 쇼퍼서비스를 제공하는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사용자단말(1)에 의해 실행되는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쇼퍼서비스 및 여행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승객으로서의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고, 차량용단말(2)에 의해 실행되는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운전자 입장에서 쇼퍼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전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다.
서버(3)는 사용자단말(1)과 차량용단말(2)에 쇼퍼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1)과 차량용단말(2) 사이에서 데이터를 입력받고 여행스케줄 및 차량스케줄을 작성하여 사용자단말(1)과 차량용단말(2)에 전송한다. 사용자단말(1)과 차량용단말(2)은 사용자와 운전자에 의해 휴대 가능한 소형 단말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들 수 있고, 그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태블릿(tablet) PC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1)과 차량용단말(2)은 WCDMA, LTE와 같은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고 주변의 다른 통신 단말과 블루투스, WiFi, 비콘(beacon) 같은 근거리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다른 통신 단말로 하여금 무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라우터 역할을 수행하는 휴대용 무선 공유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서버(3)는 수많은 사용자단말(1)과 차량용단말(2)이 동시에 접속하여 쇼퍼서비스를 중개할 수 있는 고성능의 컴퓨터로서 물리적으로 하나의 컴퓨터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컴퓨터의 집합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단말(1), 서버(3), 차량용단말(2) 및 차량용단말(2)이 설치된 차량에 별도로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단말(1), 서버(3) 및 차량용단말(2) 이외에 여행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단말(2)이 설치된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행콘텐츠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여행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단말(1), 차량용단말(2), 및 서버(3)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단말(1)은 프로세서(11), 여행스케줄러(12), 차량스케줄러(13), GPS 모듈(14), 사용자인터페이스(15), 인증모듈(16), 제 1 통신모듈(17), 제 2 통신모듈(18), 및 스토리지(19)로 구성된다. 프로세서(11)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의 일반적인 태스크를 처리한다. 여행스케줄러(12)는 사용자단말(1) 측면에서 여행스케줄링과 관련된 태스크를 처리한다. 차량스케줄러(13)는 사용자단말(1) 측면에서 차량 스케줄링과 관련된 태스크를 처리한다. 여행스케줄러(12)와 차량스케줄러(13)는 프로세서(11)와는 다른 별개의 전용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11)의 컴퓨터프로그램 실행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차량용단말(2)과 서버(3) 각각의 여행스케줄러와 차량스케줄러도 마찬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GPS모듈(14)은 사용자단말(1)의 현재 위치 좌표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를 측정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15)는 사용자로부터 어떤 정보, 명령 등을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텍스트, 이미지, 동양상, 오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사용자인터페이스(15)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스크린 패널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차량용단말(2)의 사용자인터페이스도 마찬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모듈(16)은 사용자단말(1)이 차량용단말(2)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기능을 지원한다.
제 1 통신모듈(17)은 LTE 기지국 또는 와이파이 중개기에 무선 접속하여 인터넷 등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3)와 통신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 기능을 지원한다. 제 2 통신모듈(18)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과 같이 근거리에 위치된 다른 통신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지원한다. 제 1 통신모듈(17)과 제 2 통신모듈(18)은 하나의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고, 다른 별개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9)에는 사용자용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차량용단말(2)은 프로세서(21), 차량스케줄러(22), GPS 모듈(23), 사용자인터페이스(24), 제 1 통신모듈(25), 제 2 통신모듈(26), 인증모듈(27) 및 스토리지(28)로 구성된다. 프로세서(21)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의 일반적인 태스크를 처리한다. 차량스케줄러(22)는 차량용단말(2) 측면에서 차량 스케줄링과 관련된 태스크를 처리한다. 차량스케줄러(22)는 차량용단말(2) 측면에서 차량 스케줄링과 관련된 태스크를 처리한다. GPS 모듈(23)은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로서 GPS 좌표를 측정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24)는 운전자로부터 어떤 정보, 명령 등을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텍스트, 이미지, 동양상, 오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표시한다.
제 1 통신모듈(25)은 LTE 기지국 또는 와이파이 중개기에 무선 접속하여 인터넷 등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3)와 통신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 기능을 지원한다. 제 2 통신모듈(26)은 블루투스, NFC, 비콘과 같이 근거리에 위치된 다른 통신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지원한다. 제 1 통신모듈(25)과 제 2 통신모듈(26)은 하나의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고, 다른 별개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인증모듈(27)은 차량용단말(2)이 사용자단말(1)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기능을 지원한다. 스토리지(28)에는 운전자용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서버(3)는 프로세서(31), 여행스케줄러(32), 차량스케줄러(33), 번역엔진(34), 통신모듈(35), 및 스토리지(36)로 구성된다. 프로세서(31)는 대형 컴퓨터의 일반적인 태스크를 처리한다. 여행스케줄러(32)는 서버(3) 측면에서 여행 스케줄링과 관련된 태스크를 처리한다. 차량스케줄러(33)는 서버(3) 측면에서 차량 스케줄링과 관련된 태스크를 처리한다. 번역엔진(34)은 이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여행스케줄과 차량스케줄을 사용자의 사용 언어로부터 운전자의 사용 언어로 번역한다. 이러한 번역엔진(34)은 인공신경망 기술이 적용된 우수한 성능의 번역엔진이 바람직하다. 통신모듈(35)은 인터넷 등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단말(1), 차량용단말(2) 또는 휴대용 라우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유무선통신 기능을 지원한다.
스토리지(36)에는 사용자단말(1) 및 차량용단말(2)에 의해 쇼퍼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1)과 차량용단말(2)에 전송되는 대용량 데이터가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리지(36)에는 다양한 여행지역의 명칭, 지도, 각 여행지역에 위치한 여러 관광명소의 명칭, 설명, 사진, 동영상, 각 관광명소에서의 소요경비, 각 관광명소에서의 여행자 평균체류시간, 각 여행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각종 이동수단의 명칭, 각 이동수단의 평균속도, 각 이동수단의 경비 등의 다량의 정보 집합인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단말(1), 차량용단말(2), 및 서버(3)는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 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 차량용단말(2), 및 서버(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구성요소들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스를 포함하고, 도 2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각 구성요소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력모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의 특징을 흐려지게 함에 따라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스케줄링 기반의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단말(1), 차량용단말(2), 및 서버(3)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단말(1), 차량용단말(2), 및 서버(3)에서 시계열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401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프로세서(11)는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는 사용자인터페이스(1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용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으면,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 1 통신모듈(17)을 통해 서버(3)에 접속한다.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전 사용자단말(1)은 서버(3)로부터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다운로드하여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다.
402 단계에서 서버(3)의 여행스케줄러(32)는 통신모듈(35)을 통해 401 단계에서의 사용자단말(1)의 접속을 확인하면, 스토리지(36)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복수의 지역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다. 여행스케줄러(32)는 사용자단말(1)의 여행스케줄러(12)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 선택에 따라 대륙, 국가, 지역 등 단계적으로 복수의 지역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403 단계에서 서버(3)의 여행스케줄러(32)는 통신모듈(35)을 통해 402 단계에서 검색된 복수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1)로 송신하고, 사용자단말(1)의 여행스케줄러(12)는 제 1 통신모듈(17)을 통해 서버(3)로부터 복수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지역에 대한 정보는 각 지역의 명칭, 사진, 특징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404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여행스케줄러(12)는 사용자인터페이스(15)를 통해 403단계에서 수신된 복수의 지역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지역 중 사용자가 여행하기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지여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 여행스케줄러(12)는 서버(3)의 여행스케줄러(32)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륙, 국가, 지역 등 단계적으로 복수의 지역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405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여행스케줄러(12)는 제 1 통신모듈(17)을 통해 404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역에 대한 지역식별자를 서버(3)로 송신한다. 서버(3)의 여행스케줄러(32)는 통신모듈(35)을 통해 사용자단말(1)로부터 어느 하나의 지역식별자를 수신한다.
406 단계에서 서버(3)의 여행스케줄러(32)는 406 단계에서 수신된 지역식별자가 지시하는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스토리지(36)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장소는 관광지, 호텔, 식당 등을 포함하며, 복수의 장소에 대한 정보는 각 장소의 명칭, 사진, 특징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407 단계에서 서버(3)의 여행스케줄러(32)는 통신모듈(35)을 통해 406 단계에서 검색된 복수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1)로 송신한다. 사용자단말(1)의 여행스케줄러(12)는 제 1 통신모듈(17)을 통해 서버(3)로부터 복수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408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여행스케줄러(12)는 사용자인터페이스(15)를 통해 407 단계에서 수신된 복수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장소 중 사용자가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복수의 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및 각 방문장소의 순위를 입력받는다. 사용자인터페이스(15)에서 복수의 장소에 대한 명칭, 사진 설명 등의 정보와 함께 각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1)의 사용자는 사용자인터페이스(15)에 표시된 복수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보면서 사용자가 가장 먼저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장소의 아이콘을 가장 먼저 터치하고, 그 다음으로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장소의 아이콘을 그 다음으로 터치하는 방식으로 방문하기를 윈하는 순서대로 복수의 장소를 선택함으로써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복수의 방문장소의 선택을 입력함과 동시에 각 방문장소의 순위를 입력할 수 있다.
409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여행스케줄러(12)는 제 1 통신모듈(17)을 통해 408 단계에서 선택된 복수의 방문장소에 대한 복수의 장소식별자와 각 장소식별자의 순위를 서버(3)로 송신한다. 서버(3)의 여행스케줄러(32)는 통신모듈(35)을 통해 사용자단말(1)로부터 복수의 장소식별자와 각 장소식별자의 순위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각 장소식별자의 순위는 그 장소식별자에 해당하는 장소의 순위를 의미한다.
410 단계에서 서버(3)의 여행스케줄러(32)는 스토리지(36)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409 단계에서 수신된 복수의 장소식별자가 지시하는 복수의 방문장소 각각에서의 여행자의 평균 체류시간과 409 단계에서 수신된 각 장소식별자의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로를 검색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로는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의 최단경로일 수도 있고, 그 지역의 교통상황에 따른 최소시간이 소요되는 최적경로일 수도 있다.
411 단계에서 서버(3)의 여행스케줄러(32)는 410 단계에서 검색된 평균 체류시간과 이동경로에 기초하여 각 방문장소의 명칭, 각 방문장소의 체류시작시점,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이동수단의 명칭, 및 기준 이동수단에 의해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시간을 사용자의 방문순서에 따라 나열한 여행스케줄을 사용자의 사용 언어로 작성한다. 여기에서, 기준 이동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이동수단의 종류가 특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으로 설정되는 이동수단을 의미한다.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이동수단의 예로는 렌트카, 택시, 도보 등을 들 수 있고, 택시가 기준 이동수단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여행스케줄러(32)는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로의 거리를 스토리지(36)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지도 축척으로부터 산출하고, 이와 같이 산출된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로의 거리를 기준 이동수단의 기준 속력으로 나눔으로써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시간을 산출한다. 여행스케줄러(32)는 최초 출발장소의 출발시점에 이와 같이 산출된 이동시간을 가산함으로써 각 방문장소의 체류시작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이동수단의 기준속력은 각 지역별 교통상황이 반영된 속력으로, 시간 및 날짜에 따라 상이한 속력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기준 이동수단이 택시로 설정된 경우, 택시의 기준속력은 출퇴근시간인 8시에서 10시 및 17시에서 19시에는 40 km/h로 저장되고 그 외의 시간에는 60km/h로 설정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장소, B 장소, 및 C 장소를 차례로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경우, 여행스케줄러(32)는 A 장소와 B 장소 사이의 이동시간을 산출하고, A 장소의 출발시점에 산출된 이동시간을 가산함으로써 B 장소의 체류시작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여행스케줄러(32)는 B 장소의 체류시작시점에 B 장소의 평균 체류시간을 가산하여 B 장소에서 C 장소로의 출발시점을 산출하고, B 장소와 C 장소 사이의 이동시간을 산출하고, B 장소의 출발시점에 B 장소와 C 장소의 이동시간을 가산함으로써, C 장소의 체류시작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여행스케줄러(32)는 이와 같이 산출된 각 방문장소의 체류시작시점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5분 내외의 여유 시간을 가산함으로써 각 방문장소의 최종적인 체류시작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412 단계에서 서버(3)의 여행스케줄러(32)는 통신모듈(35)을 통해 411 단계에서 작성된 여행스케줄을 사용자단말(1)로 송신한다. 사용자단말(1)의 여행스케줄러(12)는 제 1 통신모듈(17)을 통해 서버(3)로부터 여행스케줄을 수신한다.
413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여행스케줄러(12)는 사용자인터페이스(15)를 통해 412 단계에서 수신된 여행스케줄을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단말(1)의 여행스케줄러(12)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복수 종류의 이동수단 중 어느 한 종류의 이동수단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에 대한 선택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기준 이동수단을 그래도 유지한다.
도 5 내지 6은 도 2의 사용자단말(1)에 표시된 여행스케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여러 여행지역 중에서 베트남의 호치민 지역을 선택하고, 호치민 지역의 뉴월드사이공호텔, 통일궁, 포퀸, 노트르담 성당, 사이공스카이덱, 사이공스퀘어을 차례대로 선택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도착장소로 뉴월드사이공호텔을 선택한다. 도 5 내지 6에는 이러한 사용자의 장소 선택에 따라 작성된 여행스케줄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서버(3)에 의해 작성되는 여행스케줄은 복수의 방문장소의 명칭과 각 방문장소의 체류시작시점을 각 방문장소 별 섹션으로 분할하여 표현하고 복수의 방문장소에 대한 복수의 섹션을 사용자의 방문 순서에 따라 나열하고, 이와 같이 나열된 복수의 섹션 중 서로 이웃하는 두 섹션 사이마다 그 두 섹션에 해당하는 두 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복수 종류의 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의 복수의 이동수단 아이콘을 배치한 포맷을 갖는다.
복수의 이동수단 아이콘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클릭 입력 등 다양한 입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복수의 방문장소에 대한 복수의 섹션의 앞에는 출발장소의 명칭과 출발시점을 표현하는 섹션이 배치되고, 복수의 방문장소에 대한 복수의 섹션의 뒤에는 복귀장소의 명칭과 복귀시점을 표현하는 섹션이 배치된다. 출발장소와 복귀장소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숙소이며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1)은 출발장소에 대한 섹션, 복수의 방문장소에 대한 복수의 섹션, 및 복귀장소에 대한 섹션을 사용자의 방문순서에 따라 나열하여 표시하고, 서로 이웃하는 두 섹션 사이마다 복수의 이동수단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도 5 내지 6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방문장소인 통일궁, 포퀸, 노트르담성당, 사이공스카이덱, 사이공스퀘어, 뉴월드사이공호텔에 출발 및 복귀 장소인 뉴월드사이공호텔이 그 앞뒤에 붙여진 순서로 여행스케줄이 작성되어 있다. 첫 번째 섹션에는 뉴월드사이공호텔의 명칭과 출발시점 "10:00"이 표시되어 있고, 두 번째 섹션에는 통일궁의 명칭과 체류시작시점 "10:10"이 표시되어 있다. 첫 번째 섹션과 두 번째 섹션 사이에는 뉴월드사이공호텔과 통일궁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복수 종류의 이동수단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서 렌트카, 택시, 도보의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다.
도 5 내지 6에는 사용자에 의해 렌트카 아이콘이 터치됨으로써 렌트카, 즉 사용자의 사용 언어와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운전자를 동반하는 차량에 대한 선택이 입력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렌트카 아이콘 주변에는 뉴월드사이공호텔과 통일궁 사이의 이동거리가 "2.2km"로 산출되어 표시되고 이동시간이 "8분"으로 산출됨에 따라 통일궁의 체류시작시점이 "10:08"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통일궁 섹션에 표시된 시계 아이콘을 터치한 후에 "10:08"을 "10:10"을 변경함으로써 통일궁의 체류시작시점에 2분의 여유 시간을 가산할 수 있다. 각 이동수단의 아이콘 주변에는 각 이동수단의 예상 비용이 표시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나머지 장소에 대한 섹션 표현도 도 5~6을 참조하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7은 도 5 내지 6에 도시된 여행스케줄에 따라 도 2의 사용자단말(1)에 표시되는 지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여행스케줄의 하단에는 경로보기 아이콘과 경로변경 아이콘이 표시된다. 사용자에 의해 경로보기 아이콘이 터치되면 사용자단말(1)에 표시되는 여행스케줄 화면은 각 방문장소의 위치에 각 방문장소의 순위가 표시된 지도 화면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에 표시된 지도 상에서 뉴월드사이공호텔은 "1" 순위로 표시되어 있고, 통일궁은 "2" 순위로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도 5 내지 6에 도시된 여행스케줄에 따라 각 장소의 위치에 각 장소의 순위가 표시된 지도를 관찰함으로써 복수의 장소에 대한 방문 순서가 하루동안의 전체 이동경로가 짧게 효율적으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하루 동안의 전체 이동경로가 중첩 구간 등으로 인해 비효율적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경로변경 아이콘을 터치한 후에 복수의 방문장소의 순위를 변경함으로써 하루 동안의 전체 이동경로를 보다 짧게 효율적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하루 동안의 전체 이동경로가 재설정된 경우, 여행스케줄도 이에 따라 변경된다.
414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여행스케줄러(12)는 제 1 통신모듈(17)을 통해 413 단계에서 선택된 이동수단에 대한 이동식별자를 서버(3)로 송신한다. 서버(3)의 여행스케줄러(32)는 통신모듈(35)을 통해 사용자단말(1)로부터 어느 하나의 이동식별자를 수신한다. 서버(3)의 여행스케줄러(32)는 414 단계에서 수신된 이동식별자가 지시하는 이동수단의 종류가 현재 여행스케줄의 이동수단과 다른 경우 여행스케줄의 이동수단의 종류 변경에 따른 사항이 반영되도록 여행스케줄을 갱신하고, 이와 같이 갱신된 여행스케줄을 다시 사용자단말(1)에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15 단계에서 서버(3)의 챠량스케줄러(33)는 414 단계에서 수신된 이동식별자가 사용자의 사용 언어와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운전자를 동한하는 차량을 지시하면, 411 단계에서 작성된 여행스케줄에 따라 복수의 승차장소의 명칭과 각 승차장소의 도착시점을 차량의 이동순서에 따라 나열한 차량스케줄을 사용자의 사용 언어로 작성한다. 사용자에 의해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415 단계가 진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스케줄러(33)는 여행스케줄의 서로 이웃하는 두 섹션 사이마다 선택된 이동수단의 종류를 참조하여 여행스케줄의 복수의 섹션 전부 또는 일부를 추출하고, 이와 같이 추출된 복수의 섹션에 표현된 복수의 방문장소의 명칭과 각 방문장소의 체류시작시점을 복수의 승차장소의 명칭과 각 승차장소의 도착시점으로 결정하고, 이와 같이 결정된 복수의 승차장소의 명칭과 각 승차장소의 도착시점을 차량의 이동 순서에 따라 나열함으로써 차량스케줄을 작성한다. 사용자와 운전자 편의를 위해 각 승차장소의 명칭에 각 승차장소의 주소가 부가될 수도 있다. 이것은 복수의 승차장소의 명칭만으로 발생할 수 있는 승차장소에 대한 오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스케줄러(33)는 스토리지(36)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포함된 지도를 이용하여 복수의 승차장소의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경로를 차량스케줄에 포함시킬 수 있다.
416 단계에서 서버(3)의 번역엔진(34)은 415 단계에서 작성된 차량스케줄을 운전자의 사용언어로 번역한다. 사용자와 운전자의 사용 언어가 동일한 경우에는 416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417 단계에서 서버(3)의 차량스케줄러(33)는 통신모듈(35)을 통해 415 단계에서 작성된 차량스케줄을 사용자단말(1)로 송신함과 동시에 416 단계에서 번역된 차량스케줄을 적어도 하나의 차량용단말(2)로 송신하다. 사용자단말(1)의 차량스케줄러(13)는 제 1 통신모듈(17)을 통해 서버(3)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언어로 작성된 차량스케줄을 수신하고,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제 1 통신모듈(25)을 통해 운전자의 사용언어로 작성된(번역된) 차량스케줄을 수신한다. 본 실시예의 쇼퍼서비스에는 매우 많은 운전자가 가입되어 있다. 차량스케줄은 쇼퍼서비스에 가입된 운전자들 중 여행스케줄의 실행 날짜에 쇼퍼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운전자의 단말(2)에 송신될 수 있다.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수신된 차량스케줄을 스토리지(28)에 저장할 수 있다.
418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차량스케줄러(13)는 사용자인터페이스(15)를 통해 417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사용언어로 작성된 차량스케줄을 표시하고,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인터페이스(24)를 통해 417 단계에서 수신된 운전자의 사용언어로 작성된 차량스케줄을 표시한다.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인터페이스(24)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표시된 차량스케줄에 대한 승인을 입력받는다. 어떠한 운전자로부터 승인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사용자단말(1)에 쇼퍼서비스 예약 불가의 메시지가 뜨면서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다. 차량스케줄러(22)가 구동되기 위해서는 운전자용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같이 실행될 필요가 있다. 차량스케줄 수신에 따라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현재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차량용단말(2)만이 차량스케줄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적어도 한 명의 운전자가 승인을 했다는 가정 하에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차량용단말(2)에는 차량스케줄과 함께 쇼퍼서비스 비용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장 먼저 승인한 운전자의 차량용단말(2)이 419 단계 등 나머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아니면, 운전자가 쇼퍼서비스 비용을 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승인한 운전자의 차량용단말(2) 중 최저가를 제시한 운전자의 차량용단말(2)이 419 단계 등 나머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쇼퍼서비스 비용이란 차량스케줄에 따라 운전자를 동반하는 차량을 이용하는 비용을 말한다.
사용자단말(1)에는 사용자의 사용언어로 작성된 여행스케줄과 차량스케줄이 표시되고, 차량용단말(2)에는 운전용자의 사용언어로 작성된 차량스케줄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을 통해 그의 여행스케줄과 차량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고, 운전자는 차량용단말(2)을 통해 운전자가 사용자를 태워야 하는 장소들과 각 장소의 도착시점 등 차량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에서의 차량스케줄 표시는 생략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는 이것을 통해 자신의 여행스케줄이 정확하게 반영된 차량스케줄이 운전자에게 전달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를 안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운전자에게 차량스케줄 대신에 운전자의 사용 언어로 작성된 여행스케줄이 전달될 수도 있으나 여행스케줄에는 사용자가 어떤 장소에서 얼마만큼 체류하는지가 표현되고 도보 등 다른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어떤 경로로 언제 이동하는지가 표현되어 있음에 따라 여행스케줄이 제공될 경우 사용자의 감시를 피해 운전자가 사용자와 약속된 운전용역 이외에 다른 일을 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위치 노출이 각종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에게 복수의 승차장소의 명칭, 주소와 각 장소의 도착시점이 표현된 차량스케줄의 번역본만 제공된다.
도 8은 도 5 내지 6에 도시된 여행스케줄에 따라 도 2의 사용자단말(1)에 표시되는 차량스케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5 내지 6에 도시된 여행스케줄에 따라 도 2의 차량용단말(2)에 표시되는 차량스케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9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여행스케줄의 전체 섹션에 표현된 복수의 방문장소의 명칭과 각 방문장소의 체류시작시점 모두가 복수의 승차장소의 명칭과 각 승차장소의 도착시점으로 변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의 사용자인터페이스(15) 상에서 사용자가 여행하기를 희망하는 지역을 선택한 후에 사용자가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그 지역의 장소들을 차례대로 선택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운전자와의 의사소통 없이도 운전자에게 출발장소, 복귀장소, 그 사이의 경유장소들과 각 장소의 승차시점을 알려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쇼퍼서비스의 운전자는 승유공유서비스의 운전자나 렌트카 회사에 고용된 운전자 등 어떠한 차량의 운전자도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많은 운전자에게 차량스케줄이 전송될 수 있고, 그 운전자들 중 한 사람만 승인하면 쇼퍼서비스 예약이 성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이곳저곳을 여행함에 따른 여러 번의 번거로운 예약 과정이 없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예약 성사 가능성이 종래의 승차공유서비스에 비해 매우 높다.
특히, 사용자단말(1)에 사용자의 사용 언어로 작성된 여행스케줄 및 차량스케줄이 표시됨과 거의 동시에, 차량용단말(2)에 운전자의 사용 언어로 번역된 차량스케줄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와 운전자간의 이동경로통역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을 통해 자신의 여행스케줄 및 차량스케줄을 확인하고 운전자는 차량용단말(2)을 통해 차량스케줄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마치 사용자가 운전자와 의사소통하면서 출발장소, 복귀장소, 그 사이의 경유장소들과 각 장소의 승차시점을 알려주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419 단계에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제 1 통신모듈(25)을 통해 418 단계에서 입력된 운전자의 승인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서버(3)로 송신한다. 이어서, 서버(3)의 차량스케줄러(33)는 통신모듈(35)을 통해 차량용단말(2)로부터 운전자의 승인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단말(1)로 쇼퍼서비스 비용을 송신한다. 사용자단말(1)의 차량스케줄러(13)는 서버(3)로부터 쇼퍼서비스 비용을 수신한다.
420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차량스케줄러(13)는 사용자인터페이스(15)를 통해 419 단계에서 수신된 쇼퍼서비스 비용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쇼퍼서비스 비용에 대한 결재정보를 입력받는다. 쇼퍼서비스 비용에 대한 결재 정보의 대표적인 예로는 신용카드의 정보를 들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도 결재 정보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차량용단말(2)에 쇼퍼서비스 예약 취소의 메시지가 뜨면서 종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결재 정보를 입력했다는 가정 하에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421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차량스케줄러(13)는 제 1 통신모듈(17)을 통해 420 단계에서 입력된 결재정보를 서버(3)로 송신한다. 서버(3)의 차량스케줄러(33)는 통신모듈(35)을 통해 사용자단말(1)로부터 쇼퍼서비스 비용에 대한 결재정보를 수신한다.
422 단계에서 서버(3)의 차량스케줄러(33)는 421 단계에서 수신된 결재 정보를 이용하여 쇼퍼서비스 비용을 예치한다. 여기에서, 쇼퍼서비스 비용의 예치는 서버(3)를 관리하는 회사의 은행계좌로의 실제 입금 외에 신용카드 승인 등을 포함하다. 쇼퍼서비스 비용이 정상적으로 예치되면 423 단계로 진행된다. 쇼퍼서비스 비용이 정상적으로 예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단말(1)에 결재 실패 등의 메시지가 뜨면서 종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쇼퍼서비스 비용이 정상적으로 예치되었다는 가정 하에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423 단계에서 서버(3)의 차량스케줄러(33)는 통신모듈(35)을 통해 사용자단말(1)과 차량용단말(2)로 쇼퍼서비스 예약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사용자단말(1)의 차량스케줄러(13)는 제 1 통신모듈(17)을 통해 서버(3)로부터 쇼퍼서비스 예약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제 1 통신모듈(25)을 통해 서버(3)로부터 쇼퍼서비스 예약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424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차량스케줄러(13)는 423 단계에서의 메시지 수신에 따라 사용자인터페이스(15)를 통해 쇼퍼서비스 예약 완료를 표시하고,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423 단계에서의 메시지 수신에 따라 사용자인터페이스(24)를 통해 쇼퍼서비스 예약 완료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에 표시된 쇼퍼서비스 예약 완료를 확인함으로써 쇼퍼서비스 예약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운전자도 차량용단말(2)에 표시된 쇼퍼서비스 예약완료를 확인함으로써 쇼퍼서비스 예약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425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차량스케줄러(13)는 사용자인터페이스(1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위치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GPS모듈(14)에 의해 현재 측정된 사용자단말(1)의 GPS 좌표를 사용자 위치로 결정한다. 사용자단말(1)의 차량스케줄러(13)는 제 1 통신모듈(17)을 통해 이와 같이 결정된 사용자 위치를 서버(3)로 송신한다. 이어서, 서버(3)의 차량스케줄러(33)는 통신모듈(35)을 통해 사용자단말(1)로부터 사용자 위치를 수신하고, 이와 같이 수신된 사용자 위치를 차량용단말(2)로 송신한다. 이어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제 1 통신모듈(25)을 통해 서버(3)로부터 사용자 위치를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401 내지 424 단계는 사용자가 여행지역으로 출발하기 전에 수행되고, 425 단계는 사용자가 여행지역에 도착한 다음에 수행되기 때문에 401 내지 424 단계에서의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종료된 후에 425 단계 전에 쇼퍼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다시 실행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426 단계에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인터페이스(24)를 통해 425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차량용단말(2)의 GPS 위치 좌표에 해당하는 운전자 위치를 동일한 지도 상에 표시하고, 운전자로부터 운전자가 출발하였음을 알리라는 명령을 입력받는다. 차량용단말(2)의 운전자는 사용자단말(1)의 위치를 표시하는 사용자단말(1)의 GPS 위치 좌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알 수 있고,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를 위해, 차량용단말(2)은 사용자단말(1)과 같이 GPS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과 차량용단말(2)에 동시에 표시되는 지도 상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운전자의 현재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와 운전자는 서로 얼마만큼 가까워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427 단계에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426 단계에서의 운전자가 출발하였음을 알리는 명령의 입력에 따라 제 1 통신모듈(25)을 통해 운전자 출발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서버(3)로 송신한다. 서버(3)의 차량스케줄러(33)는 통신모듈(35)을 통해 차량용단말(2)로부터 운전자 출발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어서, 서버(3)의 차량스케줄러(33)는 통신모듈(35)을 통해 수신된 운전자 출발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단말(1)로 송신하고, 사용자단말(1)의 차량스케줄러(13)는 제 1 통신모듈(17)을 통해 서버(3)로부터 운전자 출발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428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차량스케줄러(13)는 427 단계에서의 메시지 수신에 따라 사용자인터페이스(15)를 통해 운전자가 출발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에 표시된 운전자 출발을 확인함으로써 운전자가 출발하였음을 알 수 있게 된다.
426 내지 428 단계에서 차량용단말(2)의 운전자는 운전자가 출발하였음을 알리는 명령을 입력한 이후 사용자단말(1)의 GPS 위치 좌표로 이동하여 차량용단말(2)과 사용자단말(1)은 서로 인근에 위치하게 된다. 차량용단말(2)과 사용자단말(1) 사이의 거리가 블루투스, NFC, 비콘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차량용단말(2)과 사용자단말(1)이 위치한 경우, 차량용단말(2)과 사용자단말(1)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양 단말이 서로를 인증한다. 이하에서는 차량용단말(2)과 사용자단말(1)이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 위치되었다는 가정 하에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429 단계에서 차량용단말(2)의 인증모듈(27)은 제 2 통신모듈(26)을 통해 차량용단말(2)의 인증정보를 사용자단말(1)로 송신하고, 또한 사용자단말(1)의 인증모듈(27)은 차량용단말(2)의 인증정보에 응답하여 제 2 통신모듈(26)을 통해 사용자단말(1)의 인증정보를 차량용단말(2)로 송신한다. 인증정보는 각 단말의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국제이동국식별번호(IMS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고유단말식별자(UDID, Unique Device Identifier Description) 중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차량용단말(2)의 제 2 통신모듈(26)은 차량용단말(2)의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서 인증정보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단말(1)로 차량용단말(2)의 인증정보를 송신한다.
도 10은 도 2의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단말 사이의 근거리 통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용단말(2)의 제 2 통신모듈(26)의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로 사용자단말(1)이 위치된 경우에는 차량용단말(2)과 사용자단말(1)은 각각의 제 2 통신모듈(26)을 통하여 인증정보를 교환한다. 예를 들어, 차량용단말(2)은 제 2 통신모듈(26)을 통하여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비컨신호를 차량용단말(2)의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서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의 사용자단말(1)로 차량용단말(2)의 인증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차량용단말(2)의 제 2 통신모듈(26)은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비컨신호를 차량용단말(2)이 설치된 차량 내부로 브로드캐스트한다. 차량용단말(2)의 인증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단말(1)은 제 2 통신모듈(26)을 통하여 사용자단말(1)의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비컨신호를 차량용단말(2)로 유니캐스트(unicast)하여 송신한다.
430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인증모듈(16)은 429 단계에서 수신된 차량용단말(2)의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용단말(2)을 인증하고, 차량용단말(2)의 인증모듈(27)은 429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단말(1)의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1)을 인증한다. 각 단말의 인증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단말(1)은 419 단계에서 차량용단말(2) 및 서버(3)로부터 제 1 통신모듈(17)을 통해 차량스케줄을 승인한 차량용단말(2)의 인증정보를 운전자 승인을 나타내는 메시지와 함께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용단말(2)의 인증정보를 스토리지(19)에 저장한다. 사용자단말(1)의 인증모듈(16)은 차량용단말(2)의 국제단말식별번호(IMEI), 국제이동국식별번호(IMSI), 범용고유식별자(UUID), 고유단말식별자(UDID)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스토리지(19)에 저장하고, 429 단계에서 수신된 차량용단말(2)의 인증정보와 비교한다. 비교결과 미리 저장된 차량용단말(2)의 인증정보와 429 단계에서 수신된 차량용단말(2)의 인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단말(1)의 인증모듈(16)은 차량용단말(2)을 인증한다. 비교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단말(1)이 예약한 운전자가 아니므로 사용자단말(1)이 예약한 차량용단말(2)을 찾을 때까지 429 단계를 반복한다.
사용자단말(1)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단말(2)은 425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 및 서버(3)로부터 제 1 통신모듈(25)을 통해 차량스케줄을 예약한 사용자단말(1)의 국제단말식별번호(IMEI), 국제이동국식별번호(IMSI), 범용고유식별자(UUID), 고유단말식별자(UDID)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사용자 위치와 함께 수신하여 스토리지(28)에 저장한다. 차량용단말(2)의 인증모듈(27)은 사용자단말(1)의 인증정보에 포함된 국제단말식별번호(IMEI), 국제이동국식별번호(IMSI), 범용고유식별자(UUID), 고유단말식별자(UDID)를 미리 수신하여 스토리지(28)에 저장한 사용자단말(1)의 인증정보와 비교한다. 비교결과 미리 저장된 사용자단말(1)의 인증정보와 425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단말(1)의 인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차량용단말(2)의 인증모듈(27)은 사용자단말(1)을 인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단말(2)의 인증모듈(27)은 사용자단말(1)로부터 송신된 비컨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세기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단말(1)을 인증할 수 있다. 차량용단말(2)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차량용단말(2)이 설치된 차량 내에 사용자가 탑승한 경우에 차량용단말(2)은 사용자단말(1)을 인증할 수 있다.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단말(1)이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차량용단말(2)은 사용자단말(1)의 사용자가 차량용단말(2)이 설치된 차량에 탑승했다고 인증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신호의 세기는 설계자에 의해 미리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임의의 값은 차량 내에서 가능한 사용자단말(1)과 차량용단말(2) 사이의 최대 거리일 때 차량용단말(2)이 수신한 사용자단말(1)의 비컨신호의 세기로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신호의 세기는 차량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며, 차량의 전장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차량용단말(2)이 설치된 차량이 버스인 경우 미리 설정된 신호의 세기는 버스에 비해 전장이 짧은 승용차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비교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용단말(2)이 승인한 차량스케줄을 작성한 사용자가 아니므로 차량용단말(2)은 승인한 사용자단말(1)을 찾을 때까지 429 단계를 반복한다. 또는, 사용자단말(1)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세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단말(1)이 아직 차량용단말(2)이 설치된 차량에 탑승하지 않았으므로 차량용단말(2)은 사용자단말(1)이 설정된 범위 이내로 진입할 때까지 429 단계를 반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429 내지 430 단계에서, 차량용단말(2)은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신원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제 2 통신모듈(26)을 통해 사용자단말(1)로 송신하고, 사용자단말(1)은 차량용단말(2)의 인증정보에 포함된 운전자의 신원정보를 사용자인터페이스(15)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인증 허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신원정보는 운전자의 사진, 이름, 운전자의 차량 번호 및 차종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단말(1)은 수신된 운전자의 사진, 이름, 차량번호 및 차종을 사용자인터페이스(15)를 통해 사용자에 제공하고, 사용자인터페이스(1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증 허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인증 허가를 입력받은 경우, 사용자단말(1)은 차량용단말(2)이 인증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차량용단말(2)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허가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단말(1)은 인증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차량용단말(2)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인증 허가를 입력받지 못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예약한 차량 및 운전자가 아니므로 사용자단말(1)은 예약한 차량 및 운전자를 찾을 때까지 429 단계를 반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429 단계 내지 430 단계에서 차량용단말(2)은 사용자단말이 차량용단말의 제 2 통신모듈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단말(1)이 운전자가 승인한 차량스케줄을 예약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1)에 해당하는지를 인증한다. 또한, 차량용단말(2)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단말(1)도 사용자가 작성한 여행스케줄에 따라 이동하는 차량의 차량용단말(2)에 해당하는지를 인증한다. 여기에서, 사용자단말(1)과 차량용단말(2)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서로를 인증한다. 이하에서는 차량용단말(2)과 사용자단말(1)이 서로를 인증하였다는 가정 하에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431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인증모듈(16)은 430 단계에서의 차량용단말(2)의 인증 결과에 따라 제 2 통신모듈(18)을 통해 차량용단말(2)이 인증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차량용단말(2)로 송신한다. 또한, 차량용단말(2)의 인증모듈(27)은 430 단계에서의 사용자단말(1)의 인증 결과에 따라 제 2 통신모듈(26)을 통해 사용자단말(1)이 인증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단말(1)로 송신한다. 430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은 인증 결과 차량용단말(2)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차량용단말(2)이 인증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차량용단말(2)로 송신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차량용단말(2)은 인증 결과 사용자단말(1)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단말(1)이 인증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단말(1)로 송신한다.
432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인증모듈(16)은 431 단계에서의 메시지 수신에 따라 사용자인터페이스(15)를 통해 차량용단말(2)에 의해 사용자단말(1)이 인증되었음을 표시하고, 차량용단말(2)의 인증모듈(27)은 431 단계에서의 메시지 수신에 따라 사용자인터페이스(24)를 통해 사용자단말(1)에 의해 차량용단말(2)이 인증되었음을 표시한다. 사용자단말(1)은 사용자인터페이스(15)에 인증 완료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예약된 차량용단말(2)이 설치된 차량에 탑승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차량용단말(2)은 사용자인터페이스(24)에 인증 완료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스케줄을 예약한 사용자단말(1)이 차량에 탑승했음을 알릴 수 있다.
433 단계에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GPS 모듈(14, 23)을 통해 차량용단말(2) 또는 사용자단말(1)의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이 차량용단말(2)의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예를 들어, 차량용단말(2)이 설치된 차량의 내부)에 진입한 이후에 수행되는 단계이므로, 사용자단말(1)과 차량용단말(2)은 서로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며 양 단말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의 위치 좌표가 차량용단말(2)이 설치된 차량의 위치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차량스케줄러(22)는 GPS 모듈(14, 23)에 의해 현재 측정된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GPS 좌표를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로 식별하고, GPS 좌표를 현재 위치 좌표로 획득한다. 차량용단말(2)의 GPS 좌표를 이용하는 경우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차량용단말(2)의 GPS 모듈(23)로부터 현재 GPS 좌표를 획득하고, 사용자단말(1)의 GPS 좌표를 이용하는 경우,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제 2 통신모듈(26)을 통해 사용자단말(1)의 GPS 좌표를 수신하여 획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1) 및 차량용단말(2)은 GPS 모듈이 아닌 제 1 통신모듈(17, 25)을 이용하여 각 단말의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1) 및 차량용단말(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각 단말의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GPS 방식 이외의 방식을 이용하여 각 단말의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논점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433 단계에서,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의 현재 위치 좌표와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를 비교하여 양 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가 일치하는 경우에 일치하는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를 현재 위치로 획득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차량스케줄러(22)는 제 2 통신모듈(26)을 통해 사용자단말(1)의 현재 위치 좌표(예를 들어, GPS 좌표)를 수신하고, 차량용단말(2)의 GPS 모듈(23)을 통해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GPS 좌표)를 획득하여 양 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에 따라 양 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가 일치하는 경우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를 현재 위치로 획득한다. 여기에서,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의 현재 위치 좌표와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의 일치 여부는 양 단말의 좌표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양 단말의 좌표가 일치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434 단계에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433 단계에서 획득된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를 검색된 차량스케줄이 나타내는 차량의 이동 경로와 비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스케줄러(22)는 복수의 방문장소와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여행스케줄에 기초하여 복수의 승차장소의 명칭과 각 승차장소의 도착시점이 차량의 이동 순서대로 나열된 차량스케줄에서이 나타내는 차량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위치 좌표와 433 단계에서 획득된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를 비교한다. 여기에서, 차량스케줄은 복수의 방문장소와 각 방문장소의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 로를 포함하는 여행스케줄에 기초하여 작성되며, 복수의 승차장소의 명칭과 각 승차장소의 도착시점을 차량의 이동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435 단계에서, 차량스케줄러(22)는 434 단계에서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433 단계에서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차량스케줄에 따라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스케줄러(22)는 운전자에 의해 운행 중인 차량이 차량스케줄에 포함된 차량이동스케줄에 따라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GPS 좌표와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의 GPS 좌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GPS 좌표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이동하는 경로 상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의 범위 내에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의 GPS 좌표가 위치하는 경우 차량스커줄러(22)는 현재 위치의 GPS 좌표와 이동하는 경로 상의 GPS 좌표가 일치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가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위치 좌표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운전자에 의해 운행 중인 차량이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다시 말해, 차량스케줄러(22)는 차량이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 중이라고 결정한다.
또한, 433 내지 435 단계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스케줄러(22)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를 모두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사용자단말(1)과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가 일치하거나 사용자단말(1)의 현재 위치 좌표와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가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차량스케줄 상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위치 좌표와 비교한다. 좌표를 비교한 결과 사용자단말(1)의 현재 위치 좌표, 차량용 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 및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의 이동 경로 상의 위치 좌표가 일치하거나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과 차량용단말(2)은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433 내지 435 단계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스케줄러(22)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차량용단말(2) 또는 사용자 단말(1)의 복수의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스케줄러(22)는 433 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복수의 위치 좌표를 획득하여, 434 단계에서 획득된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각 위치 좌표를 차량스케줄 상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위치 좌표와 획득된 순서대로 비교한다. 차량스케줄러(22)는 434 단계에서 비교 결과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획득된 복수의 위치 좌표 중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좌표가 차량스케줄 상의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좌표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가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한다고 결정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이동 경로와 차량스케줄 상의 제 1 승차장소와 제 2 승차장소 사이의 이동경로와 비교하여, 제 1 승차장소와 제 2 승차장소 사이의 이동경로의 일부와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이동 경로가 일치하는 경우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이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의 이동경로 상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스케줄러(22)가 10초 동안 5초 간격으로 차량용단말(2)의 제 1, 제 2, 제 3 위치 좌표 순서로 획득하고, 획득된 제 1, 제 2, 제 3 위치 좌표 각각을 차량스케줄 상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기준 위치 좌표와 순서대로 비교한다. 비교 결과, 차량용단말(2)의 제 1, 제 2, 제 3 위치 좌표 각각이 제 1, 제 2, 제 3 기준 위치 좌표 각각과 일치하거나 기준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고 제 1, 제 2, 제 3 기준 위치 좌표가 연결되는 방향이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향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차량스케줄러(22)는 차량의 현재 이동 경로가 차량스케줄 상의 제 1 승창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의 이동 경로와 일치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이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예를 들어 5초, 10초, 20초 등과 같이 설계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승차장소와 제 2 승차장소 사이의 이동경로의 일부와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이동 경로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양 경로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사한 경우에도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이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의 이동경로 상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복수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위치 좌표만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정확하게 차량이 현재 이동 중인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목적지를 향하는 2 이상의 이동 경로가 겹치는 지점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현재 이동 중인 경로의 목적지인 다음 승차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433 내지 435 단계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433 단계에서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하고, 차량용단말(2)의 프로세서(21)로부터 현재 시간을 더 획득할 수 있다. 434 단계에서 차량스케줄러(22)는 획득된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를 차량스케줄이 나타내는 차량의 이동 경로와 비교한다. 435 단계에서, 차량스케줄러(22)는 434 단계에서 비교 결과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가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위치 좌표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고 현재 시간이 제 1 승차장소의 도착시점과 제 2 승차장소의 도착시점 사이인지를 결정한다. 도 8에 도시된 차량스케줄의 예시를 참조하면, 차량이 뉴월드사이공호텔에서 통일궁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고 현재 시간이 오전 10시 5분인 경우 현재 시간이 뉴월드사이공호텔의 도착시점인 오전 10시와 통일궁의 도착시점인 오전 10시 10분 사이인 경우,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가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차량스케줄러(22)는 현재 위치 좌표와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차량이 현재 어느 경로 상에 위치하는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다 정확하게 차량의 현재 이동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436 단계에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435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가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획득한다. 차량스케줄러(22)는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차량용단말(2)의 스토리지(28)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또는 서버(3)에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요청하고 서버(3)로부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는 차량용단말(2)이 설치된 차량의 현재 위치를 의미하며, 차량의 현재 위치가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차량이 제 2 승차장소로 이동 중이기 때문에, 차량스케줄러(22)는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차량용단말(2)의 스토리지(28)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차량스케줄러(22)는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 요청을 서버(3)로 송신하고 서버(3)로부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수신하여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획득한다.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 요청을 수신한 서버(3)의 프로세서(31)는 스토리지(36)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통신모듈(35)을 통해 차량용단말(2)로 송신한다.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서버(3)로부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획득된 여행콘텐츠는 상술한 방식 중 하나의 방식에 의해 획득되었다는 가정 하에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용단말(2)의 스토리지(28) 또는 서버(3)의 스토리지(36)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각 지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장소 각각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포함한다. 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는 장소의 명칭, 사진, 특징을 설명하는 동영상, 오디오 등과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단말에서 재생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한다. 하노이의 노트르담 성당을 예로 들면, 노트르담 성당의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는 동영상 및 오디오, 노트르담 성당 주변의 레스토랑 또는 상점을 소개하는 동영상 등이 노트르담 성당에 대한 여행콘텐츠로 스토리지(28, 36)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는 제 2 승차장소를 소개하는 동영상, 오디오 등과 같이 사용자단말(1), 차량용단말(2)과 같은 통신단말에서 재생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이동 경로의 목적지인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는 제 2 승차장소가 관광지인 경우 개장 시간 및 폐장 시간, 입장비용, 방문장소의 특징을 설명하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승차장소가 음식점인 경우 대표 메뉴, 각 메뉴의 가격 등을 설명하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와 현재 시간에 따라 여행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프로세서(22)로부터 현재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가 차량스케줄에 따라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현재 시간이 오전인 경우에는 오전 시간대와 관련되는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획득한다. 또한,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가 차량스케줄에 따라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현재 시간이 오후인 경우에는 오후 시간대와 관련되는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차량용단말(2)의 스토리지(28) 또는 서버(3)로부터 획득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뉴월드사이공호텔에서 통일궁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고 현재 시간이 오전 10시 5분인 경우,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스토리지(28)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제 2 승차장소인 통일궁에 대한 여행콘텐츠 중 오전 시간의 통일궁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여행콘텐츠를 획득한다. 다른 예에서 차량이 뉴월드사이공호텔에서 통일궁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고 현재 시간이 오후 4시 30분인 경우,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스토리지(28)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제 2 승차장소인 통일궁에 대한 여행콘텐츠 중 오후 시간의 통일궁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여행콘텐츠를 획득한다. 오전에 통일궁을 방문하는 경우 오전에 통일궁에서 진행되는 통일궁내부투어, 근위병 교대식 등과 같은 오전 이벤트들을 소개하는 동영상을 사용자단말(1)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오후에 통일궁을 방문하는 경우 오후에 통일궁에서 진행되는 분수쇼, 불꽃놀이 등과 같은 오후 이벤트들을 소개하는 동영상을 사용자단말(1)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와 현재 시간에 따라 여행콘텐츠를 획득한다. 여기에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프로세서(21)로부터 현재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가 차량스케줄에 따라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현재 시간이 차량스케줄에서 제 1 승차장소의 도착시점과 제 2 승차장소의 도착시점 사이라고 결정된 경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차량용단말(2)의 스토리지(28) 또는 서버(3)로부터 획득한다.
도 8에 도시된 차량스케줄의 예시를 참조하면, 차량이 뉴월드사이공호텔에서 통일궁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고 현재 시간이 오전 10시 5분인 경우 현재 시간이 뉴월드사이공호텔의 도착시점인 오전 10시와 통일궁의 도착시점인 오전 10시 10분 사이에 해당함으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제 2 승차장소인 통일궁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통일궁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사용자단말로 스트리밍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차량스케줄러(22)는 이동경로와 차량스케줄 상의 이동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다음 장소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현재 이동 중인 경로와 현재 이동 경로의 다음 목적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작성한 여행스케줄대로 여행이 진행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차량용단말(2)은 현재 위치와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장소별, 시간대별로 사용자에게 적절한 최적의 여행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단말(2)의 스토리지(28) 또는 서버(3)의 스토리지(36)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언어로 작성된 각 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6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베트남의 하노이를 예로 들면, 하노이의 통일궁, 포퀸, 노트르담 성당 등 각 장소에 대한 설명이 영어,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로 작성된 동영상, 오디오 등이 여행콘텐츠로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436 단계에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의 사용자의 사용 언어와 동일한 언어로 작성된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획득한다.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로부터 송신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국제단말식별번호(IMEI), 국제이동국식별번호(IMSI), 범용고유식별자(UUID), 고유단말식별자(UDID)를 통하여 사용자단말(1)의 국가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국가의 언어를 사용자단말(1)의 사용 언어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제 2 통신모듈(26)을 통해 사용자단말(1)로부터 사용자의 사용 언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1)은 사용자단말(1)에 삽입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로부터 사용자단말(1)의 가입자정보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사용언어를 식별할 수 있다.
437 단계에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제 2 통신모듈(26)을 통해 436 단계에서 획득된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사용자단말(1)로 스트리밍(streaming)한다.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획득된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사용자단말(1)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송신한다. 437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이 차량용단말(2)의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밖으로 벗어나거나 사용자단말(1)의 인증이 취소되는 경우, 차량용단말(2)은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중단한다.
436 단계 내지 437 단계에서 차량스케줄러(22)는 사용자단말(1) 또는 차량용단말(2)의 현재 위치 좌표가 차량스케줄에 따라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 콘텐츠를 차량용단말(2)의 스토리지(28)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서버(3)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여행콘텐츠를 사용자단말(1)로 스트리밍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단말(2)이 설치된 차량 내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앞좌석 등받이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뒷좌석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여행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반적인 테스크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프로세서 및 통신모듈 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437 단계에서, 차량용단말(2)의 차량스케줄러(22)는 436 단계에서 획득된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사용자단말(1)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스트리밍한다. 차량스케줄러(22)는 획득된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제 2 통신모듈(26)을 통해 사용자단말(1)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송신한다. 차량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여행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송신함으로써, 차량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여행콘텐츠가 저장되지 않는다. 차량 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경우 사용자단말(1)의 화면 보다 큰 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여행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438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의 차량스케줄러(13)는 제 2 통신모듈(18)을 통해 437 단계에서 스트리밍된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사용자인터페이스(15)를 통하여 재생한다. 사용자단말(1)은 차량용단말(2)로부터 스트리밍된 여행콘텐츠를 스토리지(19)에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인터페이스(15)에서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여행콘텐츠에 포함된 정보를 제공한다. 여행콘텐츠의 스트리밍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용단말(2)은 여행콘텐츠의 파일 전체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단말(1)의 사용자인터페이스(15)에서 현재 재생되는 여행콘텐츠 부분만큼의 데이터를 제 2 통신모듈(26)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단말(1)로 송신하고, 사용자단말(1)은 차량용단말(2)로부터 송신된 여행콘텐츠 일부분을 스토리지(19)에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인터페이스(15)에서 재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가 운전자가 운행 중인 차량에 탑승하고 차량이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 중인 경우, 사용자단말(1)로 다음 방문장소인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차량이 사용자가 작성한 여행스케줄에 따라 정상적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단말(2)은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단말(1)로 송신하여 송신된 여행콘텐츠는 사용자단말(1)의 스토리지(19)에 저장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여행콘텐츠는 차량용단말(2)의 스토리지(28) 또는 서버(3)의 스토리지(36)에만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단말(1)에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여행콘텐츠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2의 사용자단말에서 재생되는 여행콘텐츠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승차장소인 뉴월드사이공호텔에서 차량에 탑승하고 제 2 승차장소인 통일궁을 향해 이동 중인 경우, 사용자단말(1)의 사용자인터페이스(15)에서 재생되는 여행콘텐츠의 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1)은 사용자인터페이스(15)에서 현재 이동 중인 차량의 목적지인 통일궁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사용자단말(1)은 사용자인터페이스(15)에서 여행콘텐츠를 재생하는 동시에 차량이 현재 이동 중인 경로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의 화면에서 상단은 목적지인 통일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콘텐츠가 재생되고 있고, 화면의 하단에서는 현재 차량이 이동 중인 경로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단말(2)은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단말과 차량에 설치되는 휴대용 라우터로 분리되어 본 실시예들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 다른 401 단계 내지 428 단계는 사용자단말(1), 서버(3), 및 운전자의 통신단말 사이에서 수행되어 사용자의 여행스케줄 및 차량의 차량스케줄이 작성되고, 429 단계 내지 437 단계는 사용자단말(1)과 차량에 설치된 휴대용 라우터 사이에서 수행되어 사용자단말(1)과 휴대용 라우터가 서로를 인증하고 여행콘텐츠를 스트리밍한다. 여기에서, 휴대용 라우터는 프로세서, 스토리지, 인증모듈, GPS모듈, 차량스케줄러, 및 제 2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용라우터의 프로세서, 스토리지, 인증모듈, GPS모듈, 차량스케줄러, 및 제 2 통신모듈 각각은 429 단계 내지 437 단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용 라우터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하여는 429 단계 내지 437 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은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차량으로 이동 중 다음 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계획한 여행스케줄대로 차량이 이동 중인 지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다음 방문장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효율적이고 즐거운 여행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은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용단말의 근처에 위치하고 차량용단말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단말에 한하여 여행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단말에 여행콘텐츠가 저장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들의 사용자단말에 여행사만의 고유의 여행콘텐츠가 저장되지 않고 인증된 사용자단말에 한하여 여행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여행사에 의해 제작된 여행콘텐츠가 무분별하게 배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행사에 의해 제작된 여행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으며, 여행사만의 고유한 여행콘텐츠를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단말이 사용자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사용 언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사용 언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로 사용자 언어와 일치하는 여행콘텐츠를 검색하고 사용자단말로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모두가 알 수 있는 여행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행자들에게 맞춤형 여행콘텐츠를 제공하여 현지의 언어를 모르는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사용 언어로 작성된 방문장소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여행콘텐츠 제공방법은 컴퓨터의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실행시키는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임베디드 타입의 컴퓨터 등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모든 타입의 컴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램(RAM), 롬(ROM),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사용자단말
2: 차량용단말
3: 서버
11, 21, 31: 프로세서
12, 32: 여행스케줄러
13, 22, 33: 차량스케줄러
14, 23: GPS 모듈
15, 24: 사용자인터페이스
16, 27: 인증모듈
17, 25: 제 1 통신모듈
18, 26: 제 2 통신모듈
34: 번역엔진
35: 통신모듈
19, 28, 36: 스토리지

Claims (11)

  1. 차량 내에 설치되고 방문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차량용단말의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 사용자단말이 진입한 경우, 상기 차량용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용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방문장소와 각 방문장소의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여행스케줄에 기초하여 복수의 승차장소의 명칭과 각 승차장소의 도착시점이 차량의 이동 순서대로 나열된 차량스케줄이 나타내는 차량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위치 좌표와 상기 현재 위치 좌표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차량스케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 콘텐츠를 상기 차량용단말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여행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스트리밍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스트리밍된 여행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와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이동하는 경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위치 좌표, 상기 차량용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를 비교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차량용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와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위치 좌표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 이동한 상기 차량용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복수의 위치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이동하는 경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위치 좌표, 상기 차량용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복수의 위치 좌표를 상기 복수의 위치 좌표가 획득된 순서대로 비교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차량용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좌표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단말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의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비컨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단말의 인증정보와 상기 차량용단말의 스토리지에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의 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국제이동국식별번호(IMS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고유단말식별자(UDID, Unique Device Identifier Descrip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비컨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비컨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비컨신호에 대한 미리 설정된 세기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신호에 대한 미리 설정된 세기는 상기 차량용단말이 설치된 차량의 전장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차량스케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 언어와 동일한 언어로 작성된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 콘텐츠를 상기 스토리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 언어와 동일한 언어로 작성된 여행콘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스트리밍하고,
    상기 차량용단말은 상기 사용자단말의 인증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언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단말이 현재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현재 시간이 오전인 경우에는 오전 시간대와 관련되는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상기 차량용단말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여행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하고, 상기 복수의 승차장소 중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현재 시간이 오후인 경우에는 오전 시간대와 관련되는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상기 차량용단말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여행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스트리밍하고,
    상기 오전 시간대와 관련되는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는 상기 제 2 승차장소에서 오전 시간대에 진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상기 오후 시간대와 관련되는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는 상기 제 2 승차장소에서 오후 시간대에 진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단말이 현재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제 1 승차장소의 도착시점과 상기 제 2 승차장소의 도착시점 사이인 경우,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10. 차량 내에 설치되고 방문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저장하는 차량용단말;
    상기 차량용단말로부터 스트리밍된 여행콘텐츠를 재생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차량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단말은 상기 차량용단말의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 상기 사용자단말이 진입한 경우, 상기 차량용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용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하고, 복수의 방문장소와 각 방문장소의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여행스케줄에 기초하여 복수의 승차장소의 명칭과 각 승차장소의 도착시점이 차량의 이동 순서대로 나열된 차량스케줄이 나타내는 차량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위치 좌표와 상기 현재 위치 좌표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차량스케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여행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스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콘텐츠 제공 시스템.
  11. 차량 내에 설치되고 방문장소에 대한 여행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차량용단말의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 사용자단말이 진입한 경우, 상기 차량용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용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방문장소와 각 방문장소의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여행스케줄에 기초하여 복수의 승차장소의 명칭과 각 승차장소의 도착시점이 차량의 이동 순서대로 나열된 차량스케줄이 나타내는 차량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위치 좌표와 상기 현재 위치 좌표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차량스케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승차장소 중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좌표가 상기 제 1 승차장소로부터 상기 제 2 승차장소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 2 승차장소에 대한 여행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여행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스트리밍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스트리밍된 여행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190067124A 2019-06-07 2019-06-07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36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124A KR102236694B1 (ko) 2019-06-07 2019-06-07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124A KR102236694B1 (ko) 2019-06-07 2019-06-07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493A true KR20200140493A (ko) 2020-12-16
KR102236694B1 KR102236694B1 (ko) 2021-04-06

Family

ID=7404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124A KR102236694B1 (ko) 2019-06-07 2019-06-07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6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673A (ko) * 2002-01-18 2003-07-28 주식회사 넥스템 위성 항법 시스템을 이용한 미디어 재생 장치
KR20130006036A (ko) * 2011-07-08 2013-01-16 김정민 스마트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569021B1 (ko) * 2014-06-12 2015-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96827A (ko) * 2015-02-06 2016-08-17 임재현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161479A (ja) * 2015-03-04 2016-09-05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673A (ko) * 2002-01-18 2003-07-28 주식회사 넥스템 위성 항법 시스템을 이용한 미디어 재생 장치
KR20130006036A (ko) * 2011-07-08 2013-01-16 김정민 스마트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569021B1 (ko) * 2014-06-12 2015-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96827A (ko) * 2015-02-06 2016-08-17 임재현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161479A (ja) * 2015-03-04 2016-09-05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694B1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8167B2 (en) Transmitting navigational data to driver devices for transporting a user to destinations specified in a transportation request
US94884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e selection based on recorded and calculated routes
US99042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aptive transitioning between operational modes of an autonomous vehicle
US6349257B1 (en) System for personalized mobile navigation information
JP590949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CN105761175A (zh) 旅游路线订制方法和服务器
US20120010816A1 (en) Navigation system, route search server, route search agent server, and navigation method
JP7044002B2 (ja) 車両予約システム、車両予約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63172B2 (ja) 情報処理装置、乗車車両調整方法及び乗車車両調整プログラム
US20200132481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3581724B (zh) 服务器装置、车辆、服务提供系统和非暂态存储介质
US202001347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3117378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2031538A (ja) 経路誘導方法及びそのための端末装置
US202001754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axi dispatch,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axi dispatch requests
KR102362369B1 (ko) 여행스케줄링 기반의 쇼퍼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221025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가 행하는 합승 제안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236694B1 (ko) 여행스케줄 기반의 여행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7111497A (ja) 旅行者位置情報確認システム、旅行者位置情報確認方法
KR102069304B1 (ko) 여행스케줄링 기반의 쇼퍼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0298461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
KR100418827B1 (ko) 여행경로 제공장치 및 방법
JP2002373397A (ja) 広告情報提供装置と予約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
US20110301833A1 (en) Route guidance system, route search server, and route guidance method
JP739310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