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785A -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 - Google Patents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785A
KR20200139785A KR1020207031884A KR20207031884A KR20200139785A KR 20200139785 A KR20200139785 A KR 20200139785A KR 1020207031884 A KR1020207031884 A KR 1020207031884A KR 20207031884 A KR20207031884 A KR 20207031884A KR 20200139785 A KR20200139785 A KR 20200139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space
base station
pdcch
random access
u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356B1 (ko
Inventor
토모야 오하라
히로키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0013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유저장치는, 기지국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의 세트(組: set)인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DL(Downlink) 신호를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서치 스페이스에 규정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PDCCH 후보를 취득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PDCCH 후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장치에 UL(Uplink)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시스템 용량의 더욱의 대용량화, 데이터 전송 속도의 더욱의 고속화, 무선 구간에 있어서의 더욱의 저지연화 등을 실현하기 위해, 5G 혹은 NR(New Radio)이라 불리는 무선 통신 방식(이하, 해당 무선 통신 방식을 '5G' 혹은 'NR'이라고 한다.)의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5G에서는, 10 Gbps 이상의 스루풋을 실현하면서 무선 구간의 지연을 1 ms 이하로 한다는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무선 기술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NR에서는, 유저장치와 기지국장치가 접속을 확립할 때의 초기 액세스에 있어서, 기지국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에 의한 셀 검출 및 셀 동정(同定: Identification), 및 초기 액세스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의 일부의 취득이, 유저장치에 의해 수행된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또, NR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동일한 낮은 주파수대부터, LTE보다도 더욱 높은 주파수대까지의 폭넓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특히, 고주파수대에서는 전파 로스가 증대됨으로써, 해당 전파 로스를 보완하기 위해, 빔 폭이 좁은 빔포밍을 적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1: 3GPP TS 38.213 V15.1.0(2018-03) 비특허문헌 2: 3GPP TS 38.211 V15.1.0(2018-03)
NR에 있어서, 유저장치가 모니터링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Candidates)의 세트(組: set)인 서치 스페이스는, 복수의 종별이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유저장치가, 어느 종별의 서치 스페이스를, 언제 모니터링할지가 명확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유저장치는, NR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 수순에서 사용되는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하고, 효율적으로 모니터링을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의 기술에 의하면, 기지국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의 세트(組: set)인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DL(Downlink) 신호를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서치 스페이스에 규정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PDCCH 후보를 취득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PDCCH 후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장치에 UL(Uplink)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유저장치가 제공된다.
개시의 기술에 의하면, 유저장치는, NR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 수순에서 사용되는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하고, 효율적으로 모니터링을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 수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 수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1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2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100) 또는 유저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일 예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형태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무선통신시스템의 동작에 있어서는, 적절하게, 기존 기술이 사용된다. 단, 해당 기존 기술은, 예를 들면 기존의 LTE이지만, 기존의 LTE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LTE'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LTE-Advanced, 및, LTE-Advanced 이후의 방식(예: NR 또는 5G)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기존의 LTE에서 사용되고 있는 SS(Synchronization Signal), PSS(Primary SS), SSS(Secondary SS),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PRACH(Physical RACH), DL(Downlink), UL(Uplink)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기재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이들과 동일한 신호, 기능 등이 다른 명칭으로 불려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중통신(Duplex) 방식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어도 좋으며,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어도 좋으며, 또는 그 이외(예를 들면, Flexible Duplex 등)의 방식이어도 좋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송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프리코딩 벡터가 승산된(프리코딩 벡터로 프리코드된)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수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소정의 가중 벡터를 수신한 신호에 승산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송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특정한 안테나 포트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수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특정한 안테나 포트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어도 좋다. 안테나 포트란, 3GPP의 규격에서 정의되어 있는 논리 안테나 포트 또는 물리 안테나 포트를 가리킨다.
또한, 송신빔 및 수신빔의 형성 방법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지국장치(100) 또는 유저장치(200)에 있어서, 각각의 안테나의 각도를 바꾸는 방법을 이용해도 좋으며, 프리코딩 벡터를 이용하는 방법과 안테나의 각도를 바꾸는 방법을 조합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좋으며, 다른 안테나 패널을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복수의 안테나 패널을 합쳐 사용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좋으며, 그 외의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고주파수대에 있어서, 복수의 서로 다른 송신빔이 사용되어도 좋다. 복수의 송신빔이 사용되는 것을, 멀티빔 운용이라고 하며, 하나의 송신빔이 사용되는 것을, 싱글빔 운용이라고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선 파라미터 등이 '설정된다'란, 소정의 값이 미리 설정(Pre-configure) 또는 규정되는 것이어도 좋으며, 기지국장치(100) 또는 유저장치(200)로부터 통지되는 무선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것이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100) 및 유저장치(20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기지국장치(100) 및 유저장치(200)가 하나씩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이며, 각각 복수여도 좋다.
기지국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NR 셀을 제공하고, 유저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장치이다. 기지국장치(100)는, 동기 신호 및 시스템 정보를 유저장치(200)로 송신한다. 동기 신호는, 예를 들면, NR-PSS 및 NR-SSS이다. 시스템 정보는, 예를 들면, NR-PBCH에서 송신된다. 또, 시스템 정보는, 알림 정보라고도 한다. 기지국장치(100) 및 유저장치(200)는 모두, 빔포밍을 수행하여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저장치(200)는, 스마트폰, 휴대전화기, 태블릿, 웨어러블 단말, M2M(Machine-to-Machine)용 통신 모듈 등의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통신장치이며, 기지국장치(100)에 무선 접속하고, 무선통신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다. 초기 액세스의 단계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랜덤 액세스의 프리앰블 신호를 기지국장치(100)로 송신한다. 해당 랜덤 액세스는,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수신한 NR-PBCH에 의한 시스템 정보에 더해, NR-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의해 스케줄링된 NR-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의한 시스템 정보인 RMSI(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RMSI는, 예를 들면, RACH 설정 등의 초기 액세스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100)는, PDCCH를 통해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L 신호를 유저장치(200)로 송신한다. 초기 액세스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DL 신호에 대해 랜덤 액세스용 서치 스페이스에 기초하여 모니터링한다. 랜덤 액세스용 서치 스페이스는,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인 메시지 2, 충돌 해결을 수행하는 메시지 4를 스케줄링하는 PDCCH를 포함하고, 해당 유저장치(200)는 해당 PDCCH에서 스케줄링되는 PDSCH을 수신한다. 또, 랜덤 액세스용 서치 스페이스는, 예를 들면 메시지 3을 재송하기 위한 UL 신호의 스케줄링에 대응되는 PDCCH을 포함하고, 해당 유저장치(200)는 해당 PDCCH의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메시지 3을 재송한다.
유저장치(200)가 모니터링하는 PDCCH 후보의 세트(組)는, PDCCH 서치 스페이스의 세트로서 정의된다. PDCCH 서치 스페이스의 세트는, 커먼 서치 스페이스의 세트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의 세트이다. 유저장치(200)는, PDCCH 후보를, 1 또는 복수의 서치 스페이스의 세트로부터 모니터링한다. 기지국장치(100)는, 어느 유저장치(200) 앞으로의 PDCCH을, PDCCH 서치 스페이스에 배치하고, 해당 PDCCH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배치된 PDCCH을 포함하는 신호를 유저장치(200)로 송신한다.
랜덤 액세스용 서치 스페이스는,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라 정의되어도 좋다.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정보 요소 'ra-SearchSpace'에 의해 내용이 유저장치(200)에 통지되어도 좋으며, 미리 규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인 메시지 2를 스케줄링하는 PDCCH은, RA-RNTI(Random Access-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스크램블된다. 또 예를 들면, 메시지 3의 재송을 스케줄링하는 PDCCH은, Temporary C-RNTI(Cell-RNTI)에서 CRC 스크램블된다. 또 예를 들면, 충돌 해결을 수행하는 메시지 4는, Temporary C-RNTI 또는 C-RNTI에서 CRC 스크램블된다. 상기와 같이 CRC 스크램블된 제어 정보를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모니터링한다.
또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인 메시지 1은, 랜덤 액세스용 서치 스페이스에서 트리거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메시지 1은, RRC 시그널링에 의해 트리거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메시지 1은, 유저장치(200)에 트리거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네트워크로부터 PDCCH를 통한 제어 정보에 의해 트리거되어도 좋으며, 해당 PDCCH은, 다른 종별의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를 유저장치(200)는 모니터링하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 수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2는, 충돌형 랜덤 액세스의 수순의 예를 나타낸다. 충돌형 랜덤 액세스의 경우, 소정의 범위의 프리앰블 인덱스로부터, 랜덤하게 사용하는 프리앰블이 선택된다.
단계 S1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기지국장치(100)로부터 미리 취득한 RACH 리소스 및 프리앰블 인덱스를 특정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메시지 1)을 기지국장치(100)로 송신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0)는, 랜덤 액세스 리소폰스(메시지 2)를 유저장치(200)로 송신한다.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이며, PDCCH에서 RA-RNTI 앞으로 송신되고, 적어도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식별자, 타이밍 얼라이먼트 및 초기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한다. 비충돌형 랜덤 액세스의 경우, 단계 S2에서 랜덤 액세스 수순은 완료되고, 충돌형 랜덤 액세스의 경우, 단계 S3으로 진행된다. 단계 S2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를 수신하기 위해 서치 스페이스를 모니터링한다.
단계 S3에 있어서, 단계 S2에서 수신된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에 포함되는 초기 상향 링크 그랜트에 기초하여, 유저장치(200)는, 스케줄된 UL 송신(메시지 3)을 기지국장치(100)에 수행한다. 기지국장치(100)에 있어서, 메시지 3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 메시지 3의 재송 지시에 대응되는 스케줄링이, PDCCH을 통해 유저장치(200)로 송신된다. 유저장치(200)는, 해당 PDCCH을 수신하기 위해 서치 스페이스를 모니터링한다.
단계 S4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0)는, 충돌 해결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스케줄링이 PDCCH을 통해 유저장치(200)로 송신된다. 유저장치(200)는, 해당 PDCCH을 수신하기 위해 서치 스페이스를 모니터링한다. 유저장치(200)는, 충돌 해결을 위한 정보에 의해, 충돌 해결이 성공한 경우, 랜덤 액세스가 성공했다고 간주하여 랜덤 액세스 수순을 완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 수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충돌형 랜덤 액세스 수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랜덤 액세스 수순 개시 시에, 송신 카운터는 '1'이 설정된다.
단계 S11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랜덤 액세스 수순을 실행하기 위한 리소스, 즉,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서 특정되는 RACH 리소스 및 프리앰블 포맷 등을 특정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에 사용하는 리소스를 선택한다. 이어서, 유저장치(200)는, 선택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메시지 1)을 기지국장치(100)로 송신한다(S12).
단계 S13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0)는,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메시지 2)를 유저장치(200)로 송신한다.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이며, PDCCH에서 RA-RNTI 앞으로 송신되고, 해당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는, 적어도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식별자, 타이밍 얼라이먼트, 초기 상향 링크 그랜트 및 템포러리 C-RNTI를 포함한다. 유저장치(200)는,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를 수신하기 위해 서치 스페이스를 모니터링한다.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가 유저장치(200)에 있어서 수신된 경우(S13의 YES), 단계 S14로 진행되고,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가 유저장치(200)에 있어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S13의 NO), 단계 S16으로 진행된다. 기지국장치(100)에 있어서, 메시지 3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 메시지 3의 재송 지시에 대응되는 스케줄링이, PDCCH을 통해 유저장치(200)로 송신된다. 유저장치(200)는, 해당 PDCCH을 수신하기 위해 서치 스페이스를 모니터링한다.
단계 S14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 그랜트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송신(메시지 3)을 수행한다. 상향 링크 송신에 있어서, 적어도 RRC 접속 요구, NAS(Non-Access Stratum) UE(User Equipment)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송신된다. 이어서,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유저장치(200)로, 충돌 해결(Contention resolution, 메시지 4)로서 PDCCH에서 템포러리 C-RNTI 또는 C-RNTI 앞으로 송신되고, 해당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은, 적어도 RRC 접속 확립을 위한 제어 정보 및 단계 S14에서 유저장치(200)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제어 요소를 포함한다. 해당 MAC 제어 요소는, 충돌 해결에 이용된다. 유저장치(200)는, 메시지 4가 포함되는 PDSCH을 스케줄링하는 PDCCH을 수신하기 위해 서치 스페이스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충돌 해결(단계 S14)은, 충돌형 랜덤 액세스 수순이 실행될 때에 수행되고, 비충돌형 랜덤 액세스 수순이 실행될 때에는 수행되지 않아도 좋다. 유저장치(200)는, 해당 MAC 제어 요소가 단계 S14에서 송신한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와 합치한 경우(S14의 YES), 단계 S15로 진행되고, 합치하지 않은 경우(S14의 NO), 단계 S16으로 진행된다.
단계 S15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랜덤 액세스가 성공했다고 간주하고, 템포러리 C-RNTI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는 템포러리 C-RNTI를 C-RNTI로서, 랜덤 액세스 수순을 종료한다.
단계 S16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송신 카운터가 통지되는지 미리 규정되는 상한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한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S16의 YES), 단계 S17로 진행되고, 상한을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S16의 NO), 단계 S18로 진행된다.
단계 S17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랜덤 액세스가 실패했다고 간주하고, 랜덤 액세스 수순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8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송신 카운터를 1 늘려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재송하기 위해 단계 S11로 되돌아와서, 재차 랜덤 액세스 리소스의 선택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유저장치(200)는,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용 서치 스페이스 즉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를 모니터링한다. 그러나, 유저장치(200)가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를 항상 계속해서 모니터링한 경우, 불필요하게 PDCCH 후보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유저장치(200)가 모니터링 가능한 PDCCH 후보의 수에는 제한이 존재하기 때문에, 유저장치(200)가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를 항상 계속해서 모니터링한 경우, 소비되는 리소스가 증대되고, 다른 종별의 서치 스페이스의 모니터링에 영향이 발생한다.
그래서, 랜덤 액세스용 서치 스페이스 즉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를 모니터링하는 시간 영역을 제한함으로써, 유저장치(200)는, 효율적으로 서치 스페이스의 모니터링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유저장치(200)는, 서치 스페이스에 규정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서치 스페이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장치(100)는, 서치 스페이스에 규정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어느 유저장치(200) 앞으로의 PDCCH을 해당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도록 배치하여, 해당 유저장치(200)로 송신한다.
유저장치(200)가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의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시점을 이하의 어느 하나의 시점으로 한다.
1) 메시지 2를 수신하기 위한 RAR(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윈도우가 개시되는 시점
2) 메시지 1을 송신한 시점
3) 메시지 2에 대응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시점
유저장치(200)가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의 모니터링을 종료하는 시점을 이하의 어느 하나의 시점으로 한다.
4) 랜덤 액세스 수순이 완료된 시점
5) 메시지 4의 수신이 완료된 시점
6) 메시지 4에 의해 충돌 해결이 완료된 시점
상기의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의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시점 1), 2) 또는 3)과,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의 모니터링을 종료하는 시점 4), 5) 또는 6)은, 어느 조합으로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의 모니터링하는 시간 영역을 특정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하기 7)과 같이 모니터링이 규정되어도 좋다.
7) 유저장치(200)는, 메시지 2, 메시지 3의 재송 지시 또는 메시지 4를 스케줄링하는 PDCCH을 모니터링하는 경우에만,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를 사용한다.
또 예를 들면, 상기의 1)-7)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유저장치(200)는, 메시지 4의 수신 후, 다른 종별의 서치 스페이스가 유저장치(200)에 설정되기까지의 기간에 수신되는 PDCCH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가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의 1)-7)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유저장치(200)는, 랜덤 액세스 수순의 완료 후, 다른 종별의 서치 스페이스가 유저장치(200)에 설정되기까지의 기간에 수신되는 PDCCH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가 사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이 유저장치(200)의 동작이 표준화 사양으로 규정되어도 좋다.
표준화 사양 규정 예: 유저장치(200)는, RAR 윈도우의 개시로부터 랜덤 액세스 수순의 완료까지의 기간에 한해,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를 모니터링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유저장치(200)는,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PDCCH 후보가 포함되는 서치 스페이스를 시간 영역에서 특정하여, 효율적으로 서치 스페이스의 모니터링을 실행할 수 있다. 또, 유저장치(200)는, 특정한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PDCCH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소정의 종별의 서치 스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서치 스페이스의 모니터링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유저장치는, NR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 수순에서 사용되는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하고, 효율적으로 모니터링을 실행할 수 있다.
(장치 구성)
다음으로, 지금까지 설명한 처리 및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장치(100) 및 유저장치(200)의 기능 구성 예를 설명한다. 기지국장치(100) 및 유저장치(200)는 상술한 실시 예를 실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단, 기지국장치(100) 및 유저장치(200)는 각각, 실시 예 중의 일부의 기능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기지국장치(100)〉
도 4는, 기지국장치(1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100)는, 송신부(110)와, 수신부(120)와, 설정 정보 관리부(130)와, 초기 액세스 설정부(140)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되는 기능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능 구분 및 기능부의 명칭은 어떤 것이어도 좋다.
송신부(110)는, 유저장치(200) 측으로 송신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수신부(120)는, 유저장치(200)로부터 송신된 각종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예를 들면 보다 상위의 레이어의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 송신부(110)는, 유저장치(200)로 NR-PSS, NR-SSS, NR-PBCH, DL/UL 제어 신호 등을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예를 들면, 송신부(110)는, 유저장치(200)로 초기 액세스에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 또는 UL 스케줄링을 송신하고, 수신부(120)는, 유저장치(200)로부터 RACH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설정 정보 관리부(130)는, 미리 설정되는 설정 정보, 및, 유저장치(200)로 송신하는 각종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설정 정보의 내용은, 예를 들면, 초기 액세스의 송수신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 등이다.
초기 액세스 설정부(140)는, 실시 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장치(200)에 초기 액세스에 사용되는 정보를 통지하고, 유저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수신 시의 처리,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의 송신 등을 실행한다. 또, 초기 액세스 설정부(140)는,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와 같이 규정된 서치 스페이스에 유저장치(200)로 송신하는 PDCCH을 배치한다.
〈유저장치(200)〉
도 5는, 유저장치(2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200)는, 송신부(210)와, 수신부(220)와, 설정 정보 관리부(230)와, 초기 액세스 제어부(240)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되는 기능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능 구분 및 기능부의 명칭은 어떤 것이어도 좋다.
송신부(210)는, 송신 데이터로부터 송신 신호를 작성하고, 해당 송신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수신부(220)는, 각종 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수신한 물리 레이어의 신호로부터 보다 상위의 레이어의 신호를 취득한다. 또, 수신부(220)는,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NR-PSS, NR-SSS, NR-PBCH, DL/UL 제어 신호 등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예를 들면, 송신부(210)는, NR-PRACH, NR-PUSCH 등을 기지국장치(100)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설정 정보 관리부(230)는, 수신부(220)에 의해 기지국장치(100) 또는 유저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각종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또, 설정 정보 관리부(230)는, 미리 설정되는 설정 정보도 저장한다. 설정 정보의 내용은, 예를 들면, 초기 액세스의 송수신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 등이다.
초기 액세스 제어부(240)는, 실시 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장치(200)로부터 기지국장치(100)로 송신하는 초기 액세스에 따른 프리앰블 및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 초기 액세스 제어부(240)는, Type-1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와 같이 규정된 서치 스페이스를 모니터링하고, 자국 앞으로의 PDCCH을 취득한다. 초기 액세스 제어부(240)에 있어서의 신호 송신에 관한 기능부를 송신부(210)에 포함시키고, 초기 액세스 제어부(240)에 있어서의 신호 수신에 관한 기능부를 수신부(220)에 포함시켜도 좋다.
(하드웨어 구성)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기능 구성도(도 4 및 도 5)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복수 요소가 결합한 하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예를 들면,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100) 및 유저장치(200)는 모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100) 또는 유저장치(200)인 무선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기지국장치(100) 및 유저장치(200)는 각각,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기억장치(1002), 보조기억장치(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기지국장치(100) 및 유저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1001∼1006으로 도시되는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기지국장치(100) 및 유저장치(20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프로세서(1001), 기억장치(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 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에 의한 통신, 기억장치(1002) 및 보조기억장치(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또는 쓰기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1)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데이터를, 보조기억장치(1003) 및/또는 통신장치(1004)로부터 기억장치(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기지국장치(100)의 송신부(110), 수신부(120), 설정 정보 관리부(130), 초기 액세스 설정부(140)는, 기억장치(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유저장치(200)의 송신부(210)와, 수신부(220)와, 설정 정보 관리부(230), 초기 액세스 제어부(240)는, 기억장치(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상술한 각종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1001)에서 실행되는 취지를 설명했으나, 2개 이상의 프로세서(1001)에 의해 동시 또는 축차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프로세서(1001)는, 하나 이상의 칩으로 실장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어도 좋다.
기억장치(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기억장치(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기억장치(10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보조기억장치(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c ROM) 등의 광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보조기억장치(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상술한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기억장치(1002) 및/또는 보조기억장치(1003)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매체여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장치(100)의 송신부(110) 및 수신부(120)는, 통신장치(1004)로 실현되어도 좋다. 또, 유저장치(200)의 송신부(210) 및 수신부(220)는, 통신장치(1004)로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및 기억장치(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로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에 다른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기지국장치(100) 및 유저장치(200)는 각각,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로 실장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의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지국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의 세트(組: set)인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DL(Downlink) 신호를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서치 스페이스에 규정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PDCCH 후보를 취득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PDCCH 후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장치에 UL(Uplink)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유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유저장치(200)는,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PDCCH 후보가 포함되는 서치 스페이스를 시간 영역에서 특정하여, 효율적으로 서치 스페이스의 모니터링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유저장치는, NR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 수순에서 사용되는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하여, 효율적으로 모니터링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서치 스페이스에 규정된 유효 기간은, 랜덤 액세스 수순을 실행하는 기간이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유저장치(200)는, 특정한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PDCCH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소정의 종별의 서치 스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서치 스페이스의 모니터링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서치 스페이스에 규정된 유효 기간이 개시되는 시점은,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를 수신하기 위한 윈도우가 개시되는 시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한 시점 또는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에 대응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시점의 어느 하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유저장치(200)는, 서치 스페이스가 개시되는 시점을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서치 스페이스에 규정된 유효 기간이 종료되는 시점은, 랜덤 액세스 수순이 완료된 시점, 충돌 해결을 위한 메시지 4의 수신이 완료된 시점 또는 메시지 4에 의해 충돌 해결이 완료된 시점의 어느 하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유저장치(200)는, 서치 스페이스가 종료되는 시점을 특정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수순이 완료된 후, 더욱 상기 서치 스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서치 스페이스 이외의 종별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되기까지의 기간,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PDCCH 후보를 취득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수행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유저장치(200)는, 랜덤 액세스 수순이 완료된 후, 사용하는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의 세트(組: set)인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DL(Downlink) 신호를 상기 유저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서치 스페이스에 규정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PDCCH 후보를 상기 서치 스페이스에 배치하는 설정부와,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PDCCH 후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송신된 UL(Uplink)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갖는 기지국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기지국장치(100)는,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 PDCCH 후보가 포함되는 서치 스페이스를 시간 영역에서 특정하여, 효율적으로 서치 스페이스의 모니터링이 수행되도록 PDCCH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유저장치는, NR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 수순에서 사용되는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하고, 효율적으로 모니터링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보충)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개시되는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의 항목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인 것이 아니며, 2 이상의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필요에 따라서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좋으며, 어느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다른 항목에 기재된 사항에(모순되지 않은 한) 적용되어도 좋다. 기능 블록도에 있어서의 기능부 또는 처리부의 경계는 반드시 물리적인 부품의 경계에 대응된다고는 할 수 없다. 복수의 기능부의 동작이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부품에서 수행되어도 좋으며, 혹은 하나의 기능부의 동작이 물리적으로는 복수의 부품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처리 수순에 대해서는, 모순이 없는 한 처리의 순서를 바꿔도 좋다. 처리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장치(100) 및 유저장치(200)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기지국장치(100)가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유저장치(200)가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는 각각,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OM),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HDD), 리무버블 디스크, CD-ROM,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어떠한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도 좋다.
또, 정보의 통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System Information Block)),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고,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SUPER 3G, IMT-Advanced, 4G, 5G, FRA(Future Radio Access), W-CDMA(등록 상표), GSM(등록 상표),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또는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장치(100)를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유저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장치(100) 및/또는 기지국장치(100)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 또는 S-GW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0)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가 하나인 경우를 예시했으나,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조합(예를 들면, MME 및 S-GW)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유저장치(200)는, 당업자에 따라,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장치(100)는, 당업자에 따라, NB(NodeB), eNB(evolved NodeB), gNB,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판단(determining)', '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판단', '결정'은, 예를 들면, 판정(judging),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 '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 '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판단', '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포함하는(include)', 포함하고 있는(including)' 및 이들의 변형이,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comprising)'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은,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본 개시의 전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영어로의 a, an 및 the와 같이, 번역으로 인해 관사가 추가된 경우, 이들의 관사는, 문맥에서 명백하게 그렇지 않은 것이 나타내어져 있지 않으면,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초기 액세스 제어부(240)는, 제어부의 일 예이다. 초기 액세스 설정부(140)는, 설정부의 일 예이다. PDCCH 커먼 서치 스페이스는, 서치 스페이스의 일 예이다. 송신부(210) 또는 수신부(220)는, 통신부의 일 예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 인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100 기지국장치
110 송신부
120 수신부
130 설정 정보 관리부
140 초기 액세스 설정부
200 유저장치
210 송신부
220 수신부
230 설정 정보 관리부
240 초기 액세스 제어부
1001 프로세서
1002 기억장치
1003 보조기억장치
1004 통신장치
1005 입력장치
1006 출력장치

Claims (6)

  1. 기지국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의 세트(組: set)인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DL(Downlink) 신호를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서치 스페이스에 규정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PDCCH 후보를 취득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PDCCH 후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장치에 UL(Uplink)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치 스페이스에 규정된 유효 기간은, 랜덤 액세스 수순을 실행하는 기간인 유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치 스페이스에 규정된 유효 기간이 개시되는 시점은,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를 수신하기 위한 윈도우가 개시되는 시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한 시점 또는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에 대응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시점의 어느 하나인 유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치 스페이스에 규정된 유효 기간이 종료되는 시점은, 랜덤 액세스 수순이 완료된 시점, 충돌 해결을 위한 메시지 4의 수신이 완료된 시점 또는 메시지 4에 의해 충돌 해결이 완료된 시점의 어느 하나인 유저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수순이 완료된 후, 더욱 상기 서치 스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서치 스페이스 이외의 종별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되기까지의 기간,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PDCCH 후보를 취득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유저장치.
  6. 유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의 세트(組: set)인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DL(Downlink) 신호를 상기 유저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서치 스페이스에 규정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PDCCH 후보를 상기 서치 스페이스에 배치하는 설정부;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PDCCH 후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송신된 UL(Uplink)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갖는 기지국장치.
KR1020207031884A 2018-05-15 2018-05-15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 KR102568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8825 WO2019220551A1 (ja) 2018-05-15 2018-05-15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785A true KR20200139785A (ko) 2020-12-14
KR102568356B1 KR102568356B1 (ko) 2023-08-18

Family

ID=6853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884A KR102568356B1 (ko) 2018-05-15 2018-05-15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1350403B2 (ko)
EP (2) EP4274345A3 (ko)
JP (1) JP7127121B2 (ko)
KR (1) KR102568356B1 (ko)
CN (1) CN112020895A (ko)
BR (1) BR112020022686A2 (ko)
CO (1) CO2020015344A2 (ko)
PT (1) PT3796735T (ko)
RU (1) RU2769458C1 (ko)
WO (1) WO2019220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3796735T (pt) * 2018-05-15 2023-10-23 Ntt Docomo Inc Dispositivo de utilizador, aparelho de estação de base e método executado por um dispositivo de utilizador
AU2019314850A1 (en) * 2018-08-01 2021-02-2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andom access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220104280A1 (en) * 2019-03-29 2022-03-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552A (ko) * 2015-06-19 2018-02-2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965B1 (ko) * 2008-12-19 2012-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향링크 제어채널 자원을 고려한 기지국에서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EP3893426A1 (en) 2009-04-23 2021-10-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US9049709B2 (en) * 2010-07-21 2015-06-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TWI459847B (zh) 2011-04-01 2014-11-01 Mediatek Inc 管理與維持多重時序提前的方法
CN102932950B (zh) * 2011-08-09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辅小区上随机接入的方法和设备
WO2013022285A2 (ko) * 2011-08-10 2013-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임의 접속 방법 및 장치
WO2013066386A1 (en) * 2011-11-04 2013-05-10 Intel Corporation Search space determination
JP2013157699A (ja) * 2012-01-27 2013-08-15 Sharp Corp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3192039A (ja) * 2012-03-14 2013-09-26 Sharp Corp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3327637A (zh) * 2012-03-19 2013-09-25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随机接入从小区的方法和接收数据的方法
JP2013229770A (ja) 2012-04-26 2013-11-07 Sharp Corp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3688588B (zh) * 2012-06-26 2018-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网络节点、用户设备及系统
KR20150051303A (ko) * 2013-11-01 2015-05-12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51093A (ko) * 2013-11-01 2015-05-11 주식회사 아이티엘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JP6381217B2 (ja) 2014-01-30 2018-08-29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制御情報検出方法
WO2016047618A1 (ja) * 2014-09-25 2016-03-31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制御チャネル受信方法
JP6255642B2 (ja) * 2015-03-04 2018-01-10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3457803A1 (en) 2016-05-12 2019-03-20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T3796735T (pt) * 2018-05-15 2023-10-23 Ntt Docomo Inc Dispositivo de utilizador, aparelho de estação de base e método executado por um dispositivo de utilizad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552A (ko) * 2015-06-19 2018-02-2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2022* *
비특허문헌 1: 3GPP TS 38.213 V15.1.0(2018-03)
비특허문헌 2: 3GPP TS 38.211 V15.1.0(2018-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20895A (zh) 2020-12-01
EP4274345A3 (en) 2024-01-03
US11350403B2 (en) 2022-05-31
BR112020022686A2 (pt) 2021-02-09
RU2769458C1 (ru) 2022-03-31
KR102568356B1 (ko) 2023-08-18
JP7127121B2 (ja) 2022-08-29
EP3796735B1 (en) 2023-10-04
US20210127370A1 (en) 2021-04-29
WO2019220551A1 (ja) 2019-11-21
EP4274345A2 (en) 2023-11-08
EP3796735A4 (en) 2022-01-05
JPWO2019220551A1 (ja) 2021-05-13
EP3796735A1 (en) 2021-03-24
CO2020015344A2 (es) 2020-12-21
PT3796735T (pt) 2023-10-23
US20220256517A1 (en)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209B1 (ko)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
US20220256517A1 (en) Terminal,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9167842A1 (ja)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KR102473073B1 (ko) 유저장치
WO2019159294A1 (ja)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KR102401433B1 (ko)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
CN111108793A (zh) 用户装置及基站装置
JP7030179B2 (ja) 端末及び基地局装置
JP2019212957A (ja)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JP2019041163A (ja)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CA3092291C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apparatus
KR102324530B1 (ko) 기지국 장치
KR20210118814A (ko)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
US11575477B2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apparatus
JP6933713B2 (ja)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