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586A -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586A
KR20200139586A KR1020190066269A KR20190066269A KR20200139586A KR 20200139586 A KR20200139586 A KR 20200139586A KR 1020190066269 A KR1020190066269 A KR 1020190066269A KR 20190066269 A KR20190066269 A KR 20190066269A KR 20200139586 A KR20200139586 A KR 20200139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titude
learning data
diagnosis
typ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혁
Original Assignee
강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혁 filed Critical 강동혁
Priority to KR1020190066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9586A/ko
Publication of KR2020013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PC 혹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 데이터를 입력할 때, 학습 데이터를 분석하고 초기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학습 데이터에 따라 개인의 적성진단결과를 출력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며, 운영 서버는 사용자 단말과의 유무선 통신을 제어하고 보안을 제어하는 통신단말과,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적성진단 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하에 적성진단을 처리하는 적성진단 프로그램모듈과, 사용자 단말과의 입력 및 출력신호 처리하여 그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적성진단 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적성진단 프로그램모듈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 {Methods and systems for diagnosing aptitude through learning data}
본 발명은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 데이터 즉, 학생별 학습과제 평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과제와 관련된 적성 유형을 추출하고 해당 적성 유형에 대한 평가점수의 평균값을 도출함으로써 학생의 적성을 분석하고, 적성 기반의 진로를 준비할 수 있게 하는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육부 산하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11가지 적성유형 (언어, 수리/논리, 창의, 공간지각, 손재능, 신체/운동, 음악, 예술, 자연친화, 대인관계, 자기성찰)을 제시하고 적성유형별 적합한 직업을 매칭하여 진로탐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학생의 적성을 진단하기 위해서 일회성 테스트(시험)를 통한 적성검사를 실시하거나 혹은 지문, 장문 등의 신체적인 특징이나 생년월일 정보를 바탕으로 적성을 추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적성 진단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은 상황이다.
학생의 학습활동을 바탕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적성을 진단하는 것이 적성 진단의 신뢰도를 높이는 최선의 방법이라는 가정하에 학습과제의 평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생의 적성을 진단하는 시스템을 고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학습활동의 평가 데이터라는 객관적인 데이터의 분석을 바탕으로 학생 개인의 적성을 진단하여 제공함으로써 교사와 학생에게 적성 기반의 진로를 준비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학생에게 학습동기를 부여하는 새로운 형태의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시스템은,
사용자가 PC 혹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운영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 데이터를 입력할 때, 입력정보를 분석하고 초기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학습 데이터에 따라 개인의 적성진단결과를 출력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 단말과의 유무선 통신을 제어하고 보안을 제어하는 통신단말과,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적성진단 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하에 적성진단를 처리하는 적성진단 프로그램모듈과,
사용자 단말과의 입력 및 출력신호 처리하여 그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적성진단 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적성진단 프로그램모듈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는 과목별 학습과제의 평가 데이터이고, 과목 데이터와, 교사가 지정한 2개 이하의 적성 유형 데이터, 과제물 평가 점수를 포함하고,
상기 적성진단 프로그램모듈은 상기 학습 데이터의 과목에 대응하는 적성 유형을 제1 적성(first aptitude)으로 결정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에 대해서 해당 과제에 대해 교사가 지정한 첫번째 적성 유형을 제2 적성(Second aptitude)으로 결정하고,
상기 평가 데이터에 대해서 해당 과제에 대해 교사가 지정한 두번째 적성 유형을 제3 적성(Third aptitude)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2, 3 적성에 대해 상기 학습 데이터의 평가 점수를 10점 만점 기준의 점수로 환산하여 환산평가점수를 결정하고,
적성 유형별로 환산평가점수를 합산하고 합산 횟수로 나누어 적성 유형별 적성점수(aptitude score)를 결정하고,
상기 저장부는 회원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회원(정보) DB,
회원에게 적성진단정보를 제공한 진단이력을 저장하고 있는 진단이력 DB,
회원의 학습 데이터에 따라 적성진단을 수행하고 적성별 적성점수를 저장하고 있는 적성진단 DB,
각각의 적성 유형에 대한 안내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성안내 DB,
각각의 적성 유형에 대한 적합한 진로와 관련한 축적된 정보를 저장해 놓은 진로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적성진단 프로그램 모듈은
입력된 학습 데이터의 적성 유형을 결정하는 적성유형 결정부,
입력된 학습 데이터의 적성 유형별 적성점수를 누적시키고 계산하는 적성점수 결정부,
적성점수 계산값에 따라 사용자의 적성을 판단하는 적성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성을 진단함으로써 취업 등 진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은 물론, 학습과 진로를 연계하여 학습동기를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의 적성진단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4는 11가지 적성 유형의 분류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시스템은,
사용자가 PC(1,...,1-N) 혹은 모바일 단말기(2,..., 2-N)를 통해 유무선 통신망(20)을 거쳐 적성진단 시스템 운영 서버(10)에 접속하여 학습 데이터를 입력할 때, 입력정보를 분석하고 초기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학습 데이터 입력과 입력신호에 따라 개인의 적성진단결과를 출력하는 적성진단 시스템 운영 서버(1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과의 유무선 통신을 제어하고 보안을 제어하는 통신단말(140)과,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제어부(110)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적성진단 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하에 적성진단를 처리하는 적성진단 프로그램모듈(130)과,
사용자 단말과의 입력 및 출력신호 처리하여 그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1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적성진단 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적성진단 프로그램모듈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20)는
학생 개인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회원정보 DB(121),
회원에게 적성진단정보를 제공한 진단이력을 저장하고 있는 진단이력 DB(122),
회원의 학습 데이터에 따라 적성 유형별 적성점수를 저장하고 있는 적성점수 DB(123),
각각의 적성 유형에 대한 안내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성안내 DB(124),
각각의 적성 유형에 대한 적합한 진로와 관련한 축적된 정보를 저장해 놓은 진로 DB(125)를 포함한다.
상기 적성진단 프로그램 모듈(130)은
입력된 학습 데이터의 적성 유형을 결정하는 적성유형 결정부(131),
입력된 학습 데이터의 평가점수를 바탕으로 적성 유형별 적성점수를 결정하는 적성점수 결정부(132),
적성점수에 따라 사용자의 적성을 진단하는 적성 진단부(133)를 포함한다.
도 3를 참조하면, 적성진단 프로세스 흐름도로서, 우선 학습 데이터 취합 단계로서, 해당 과제의 과목에 따른 적성 유형과 교사가 지정한 적성 유형, 그리고 각 평가 점수를 확인한다.
이후 데이터 분석 단계로서, 취합한 데이터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적성 유형별 적성점수를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각 평가 데이터별 평가점수를 10점 만점으로 환산한 점수를 해당 적성 유형에 합산하고 합산 횟수로 나누어 적성점수를 결정한다.
도 4은 11가지 적성 유형의 분류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11가지 적성 유형은 교육부 산하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사용하는 적성 분류 방식이며, 업데이트될 수 있다.
110: 중앙제어부
120: 저장부
130: 적성진단 프로그램 모듈
140: 통신단말

Claims (3)

  1.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PC 혹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운영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 데이터를 입력할 때, 입력정보를 분석하고 초기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학습 데이터 입력에 따라 개인의 적성진단결과를 출력 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 단말과의 유무선 통신을 제어하고 보안을 제어하는 통신단말과,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적성진단 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하에 적성진단를 처리하는 적성진단 프로그램모듈과,
    사용자 단말과의 입력 및 출력신호 처리하여 그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적성진단 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적성진단 프로그램모듈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는 과목별 학습과제의 평가 데이터이고, 과목 데이터와, 교사가 지정한 2개 이하의 적성 유형 데이터, 과제물 평가 점수를 포함하며,
    상기 적성진단 프로그램모듈은 상기 평가 데이터에 대해서 과목에 대응하는 적성 유형을 제1 적성(first aptitude)으로 결정하고,
    상기 평가 데이터에 대해서 해당 과제에 대해 교사가 지정한 첫번째 적성 유형을 제2 적성(Second aptitude)으로 결정하고,
    상기 평가 데이터에 대해서 해당 과제에 대해 교사가 지정한 두번째 적성 유형을 제3 적성(Third aptitude)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2, 3 적성에 대해 상기 학습 데이터의 평가 점수를 10점 만점 기준으로 환산하여 환산평가점수를 결정하고,
    적성 유형별로 환산평가점수를 합산하고 합산 횟수로 나누어 적성 유형별 적성점수(aptitude score)를 결정하고,
    상기 저장부는 회원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회원정보 DB,
    회원에게 적성진단 정보를 제공한 진단이력을 저장하고 있는 진단이력 DB,
    회원의 학습 데이터에 따라 적성별 적성점수를 저장하고 있는 적성점수 DB,
    각각의 적성 유형에 대한 안내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적성안내 DB,
    각각의 적성 유형에 대한 적합한 진로와 관련한 축적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진로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성진단 프로그램 모듈은
    입력된 학습 데이터의 적성 유형을 결정하는 적성유형 결정부,
    입력된 학습 데이터의 적성 유형별 적성점수를 누적시키고 계산하는 적성점수 결정부,
    적성점수 계산값에 따라 사용자의 적성을 진단하는 적성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시스템.
  3.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PC 혹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되,
    학습 데이터를 입력하고 운영 서버에 진단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단계,
    사용자가 PC 혹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에 학습 데이터를 입력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단계를 통하여 개인의 적성진단 결과를 표시하되,
    상기 학습 데이터는 과목별 학습과제의 평가 데이터이고, 과목 데이터와, 교사가 지정한 2개 이하의 적성 유형 데이터, 과제물 평가 점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과목 데이터에 대응하는 적성 유형을 제1 적성(first aptitude)으로 결정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에 대해서 해당 과제에 대해 교사가 지정한 첫번째 적성 유형을 제2 적성(Second aptitude)으로 결정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에 대해서 해당 과제에 대해 교사가 지정한 두번째 적성 유형을 제3 적성(Third aptitude)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2, 3 적성에 대해 상기 학습 데이터의 평가 점수를 10점 만점 기준으로 환산하여 환산평가점수를 결정하고,
    적성 유형별로 환산평가점수를 합산하고 합산 횟수로 나누어 적성 유형별 적성점수(aptitude score)를 결정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적성진단 요구신호에 따라 적성진단 프로그램모듈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회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회원정보 DB,
    회원에게 적성진단정보를 제공한 진단이력을 저장하고 있는 진단이력 DB,
    회원의 학습 데이터에 따라 적성별 적성점수를 저장하고 있는 적성점수 DB,
    각각의 적성 유형에 대한 안내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성안내 DB,
    각각의 적성 유형에 대한 적합한 진로와 관련한 축적된 정보를 저장해 놓은 진로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

KR1020190066269A 2019-06-04 2019-06-04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9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269A KR20200139586A (ko) 2019-06-04 2019-06-04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269A KR20200139586A (ko) 2019-06-04 2019-06-04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586A true KR20200139586A (ko) 2020-12-14

Family

ID=7377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269A KR20200139586A (ko) 2019-06-04 2019-06-04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95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704A (ko) 2021-05-26 2022-12-05 주식회사한국장애인심리지원센터 진로진단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704A (ko) 2021-05-26 2022-12-05 주식회사한국장애인심리지원센터 진로진단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lb et al.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Previous research and new directions
Sheu et al. Testing the choice model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cross Holland themes: A meta-analytic path analysis
US20130260357A1 (en) Skill Screening
Manley The policy Delphi: a method for identifying intended and unintended consequences of educational policy
CN108256022A (zh) 人才评价模型构建方法及人才评价方法及系统
KR101895961B1 (ko) 점수 추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Hoyt et al. Improving the quality of research in counseling psychology: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Özgenel et al. Effects of organizational cynicism occup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dissent on knowledge inertia
Roth et al. Forging new evaluation paradigms: Beyond statistical generalization
CN113744101A (zh) 新高考模式下考生志愿智能填报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Yang et al. Leveraging selected operational improvement practices to achieve both efficiency and creativity: A multi-level study in frontline service operations
KR20160109575A (ko) 진로 멘토링 방법 및 장치
Kyriakides et al. Us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research to desig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turning limitations into new perspectives
Liu et al. Educational process mining for discover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in computer programming education
Cherner et al. AI-powered presentation platforms for improving public speaking skills: Takeaway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KR20200139586A (ko) 학습 데이터를 통한 적성진단 방법 및 시스템
CN116090879A (zh) 一种基于眼动数据的飞行训练品质评估方法
KR102573140B1 (ko) Ai 기반 합격 예측 시스템
Zakopoulos et al. Controlling Attrition in Blended Courses by Identifying Students at Risk: A Case Study on MS-Teams
Ogunkunle et al. A data mining based optimization of selecting learning material in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advancing STEM education
Lazure et al. Certified Flight Instructors’ Performance–Review of the Literature and Exploration of Future Steps
Imbar et al.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mart campus levels in Indonesia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Matthiesen et al. An Approach to Develop Designer-Centred Methods: Illustrated by an Example on How to Overcome Cognitive Bias in Product Development
Arman et al. The concept of smartness based on the level of technology: A case of system smartnes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Indonesia
Pinter Teaching mathematics in the middle grades: Connecting seminal education philosophies to current best pract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