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286A -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 - Google Patents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286A
KR20200139286A KR1020190065159A KR20190065159A KR20200139286A KR 20200139286 A KR20200139286 A KR 20200139286A KR 1020190065159 A KR1020190065159 A KR 1020190065159A KR 20190065159 A KR20190065159 A KR 20190065159A KR 20200139286 A KR20200139286 A KR 20200139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sulation
insulating material
flame retardant
k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용
Original Assignee
박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용 filed Critical 박상용
Priority to KR102019006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9286A/ko
Publication of KR2020013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04F13/087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the basic insulating layer comprising mutual alignment or inter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Abstract

본 발명의 단열, 불연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는, 건축물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에 일정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을 페놀폼의 외부면에 부착시켜 내습성을 보강하는 것에 의해 페놀폼(PF) 성분 단열재의 우수한 단열성과 불연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고,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 또는 EPS, XPS 성분의 유기 단열재 또는 글라스울, 미네랄울, 세라믹 화이버 성분의 무기 단열재에도 적용이 가능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Architectural finishing materials for insulation and non-flammable effect}
본 발명은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건축물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에 일정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재질의 AL층, 크라프트층을 부착시켜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의 단점인 내습성에 약하다는 문제를 해결한 내습성, 단열성, 난연성을 갖는 건축 마감재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 마감재를 구성하는 단열재는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 또는 EPS, XPS 성분의 유기 단열재 또는 글라스울, 미네랄울, 세라믹 화이버 성분의 무기 단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어 과거에 비교해서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많은 생활기술들이 개발되어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21세기는 세계적으로 인구 이동의 추세가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도시화이며, 인구 1,000만 명을 초과하는 초거대 도시권들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도시들은 한정된 지역에 많은 인구가 거주해야 하기 때문에, 신도심은 예외 없이 고층아파트, 주상복합빌딩들 위주로 건축되고 있으며 기존의 구도심도 고층 건물들을 건설하여 재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21세기는 건축기술의 발달로 인해 과거에 비해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의 초고층 건물들이 건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고층 건물들이 건축됨에 따라 화재의 위험성에 대비하기 위해 소방설비 및 비상대피수단의 확충과 더불어 건축마감재도 불연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자재를 적용한다.
여기서, 건물의 마감재 중 단열재는 단열효과를 이용하여 건물내부의 보온성을 높여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하며, 단열재 중에서도 페놀폼(PF : Phenol Foam)은 우수한 단열성과 함께 불연 및 난연 효과도 우수하여 화재에도 잘 타지 않아 유독가스 발생이 적다.
따라서 페놀폼은 법적으로 건물 마감재에 요구되는 난연 성능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단열재이다.
하지만 페놀폼은 습기를 쉽게 흡수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보완 기술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이다.
선행기술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7992호 건축용 진공단열재를 포함한 복합단열 패널 조립체 선행기술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3733호 불연성 알루미늄 복합판넬 선행기술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5801호 복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발포 알루미늄 패널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에 일정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재질의 AL층, 크라프트층을 부착시켜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의 단점인 내습성에 약하다는 문제를 해결한 내습성, 단열성, 난연성을 갖는 건축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 마감재를 구성하는 단열재는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 또는 EPS, XPS 성분의 유기 단열재 또는 글라스울, 미네랄울, 세라믹 화이버 성분의 무기 단열재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는,
습기로부터 단열재(500)를 물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단열재(3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면 형상의 알루미늄 재질인 AL층(100)과;
상기 AL층(100) 하측에 형성되어 AL층(100)과 크라프트층(300)을 상호 접착시키는 제1접착제층(200)과;
AL층(100)이 단열재(500)에 찢어짐 없이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제1접착제층(200)에 의해 AL층(100)에 접착되는 크라프트층(300)과;
크라프트층(300) 하측에 형성되어 크라프트층(300)과 단열재(500)를 상호 접착시키는 제2접착제층(400)과;
단열, 난연, 불연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제2접착제층(400)에 의해 크라프트층(300)에 접착되는 단열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는, 건축물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에 일정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재질의 AL층, 크라프트층을 부착시켜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의 단점인 내습성에 약하다는 문제를 해결한 내습성, 단열성, 난연성을 갖는 건축 마감재이기 때문에, 건물의 화재시에 발생되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므로 법적으로 건축마감재에 요구되는 난연 성능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최근 트랜드에 적합한 단열재로서 널리 보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 마감재를 구성하는 단열재는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 또는 EPS, XPS 성분의 유기 단열재 또는 글라스울, 미네랄울, 세라믹 화이버 성분의 무기 단열재 등 다양한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가능성도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들의 결합 예시도 1
도 5는 본 발명의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들의 결합 예시도 2
도 6는 본 발명의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들의 결합 예시도 3
도 7은 본 발명의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들의 결합 예시도 4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 마감재(이하 '건축 마감재')는, 건축물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에 일정 두께를 갖는 면 형상의 알루미늄 재질인 AL층(100)을 부착시켜 내습성을 보강함으로써, 습기에 약한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 단점을 개선시켜 내습, 단열,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이다.
물론 본 발명의 단열재는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뿐만 아니라 EPS, XPS 성분의 유기 단열재 또는 글라스울, 미네랄울, 세라믹 화이버 성분의 무기 단열재 도 포함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최근에 단열재 시장 트렌드는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의 강화, 친환경 주택건설 기준의 강화, 내단열재 두께 증가로 단열재 수량 증가, 발포가스 규제로 인한 대체재 등장이다.
이러한 트랜드에 따라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단열재 중 하나가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이다.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는 우수한 단열 및 난연 효과로 건물의 화재시에 발생되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법적으로 건축마감재에 요구되는 단열 및 난연 성능 규제에 부응하는 단열재로서 최근 트랜드에 적합한 단열재로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는 습기에 약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즉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는 주변의 습기를 흡습하는 성질이 있어 이로 인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심 기술 사상은 습기에 약한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의 단점인 내습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는,
습기로부터 단열재(500)를 물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단열재(3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면 형상의 알루미늄 재질인 AL층(100)과;
상기 AL층(100) 하측에 형성되어 AL층(100)과 크라프트층(300)을 상호 접착시키는 제1접착제층(200)과;
AL층(100)이 단열재(500)에 찢어짐 없이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제1접착제층(200)에 의해 AL층(100)에 접착되는 크라프트층(300)과;
크라프트층(300) 하측에 형성되어 크라프트층(300)과 단열재(500)를 상호 접착시키는 제2접착제층(400)과;
단열, 난연, 불연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제2접착제층(400)에 의해 크라프트층(300)에 접착되는 단열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열, 불연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단열, 불연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 단면도이다.
도 2,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마감재(10)는 AL층(100), 제1접착제층(200), 크라프트층(300), 제2접착제층(400), 단열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건축마감재(10)는 상기 단열재(500)의 상부에 제2접착제층(400), 크라프트층(300), 제1접착제층(200), AL층(100)의 순서대로 적층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AL층(100)은 습기로부터 단열재(500)를 물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상기 단열재(3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면 형상의 알루미늄 재질의 박판으로서 상기 AL층(100)은 일종의 알루미늄 호일(aluminum foil)이다.
이때, 상기 AL층(100)은 박판의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우수한 방수성과 내습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전기도 방지할 수 있어 습기에 약한 단열재(500)의 단점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AL층(100)의 두께는 0.1~2㎜ 정도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이상이 적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L층(100)은 제1접착제층(200)과 제2접착제층(400)을 통한 층간 접착 시, 가스 분출로 인한 기공이 발생하지 않도록 복수의 개소에 가스 분출 구멍(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마감재(10)는 상기 단열재(500)의 상부에 제2접착제층(400), 크라프트층(300), 제1접착제층(200), AL층(100)의 순서대로 적층 구조로 형성되는데, 제2접착제층(400)과 제1접착제층(200)을 이루는 접착제 성분에 의해 층간 접착이 이루어질 때, 접착을 위한 접착제의 화학적 성분 변형 시 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가스는 층 구조의 건축마감재(10) 측면으로 배출되기도 하지만 다수의 가스가 수직 상승해 AL층(100) 하부에 모이게 되고 이로 인해 AL층(100)과 크라프트층(300) 사이에 기공이 형성된다.
형성된 기공은 AL층(100)이 크라프트층(300)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도록 방해하거나 심한 경우 기공이 형성된 부위의 AL층(100)을 파손시켜 찢어지게 만든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AL층(100) 복수 개소에 가스 분출구멍(110)을 도 2,3과 같이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형성된 가스 분출구멍(110)들을 통해 발생된 가스가 AL층(100) 외부로 방출되어 AL층(100)과 크라프트층(300) 사이에 기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접착제층(200)은 AL층(100) 하측에 형성되어 AL층(100)과 크라프트층(300)을 상호 접착시키는 접착제로 구성된 층이다.
상기 제2접착제층(400)는 크라프트층(300) 하측에 형성되어 크라프트층(300)과 단열재(500)를 상호 접착시키는 접착제로 구성된 층이다.
또한, 상기 크라프트층(300)은 AL층(100)이 단열재(500)에 찢어짐 없이 안정적으로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제1접착제층(200)에 의해 AL층(100)에 접착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크라프트층(300)을 구성하는 성분은 크라프트 펄프, 크라프트 종이,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크라프트 펄프나 종이는 표면이 거칠고 강인한 성질이 있어 패키지, 쇼핑백, 택배상자, 명함, 커버, 음식물 패키지, 고급패키지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내습성도 우수하여 식료품 패키지에 최적화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크라프트층(300)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크라프트층(300)에 의해 AL층(100)은 단열재(500)에 찢어짐 없이 안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이다.
또한, 크라프트층(300)을 구성하는 이유는 상술한 AL층(100)이 단열재(500)에 찢어짐 없이 안정적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 이외에 AL층(100)을 단열재(500)에 직접 부착하게 되면 발생되는 '박리현상(백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박리현상이란 박판의 알루미늄 재질인 AL층(100)이 단열재(500)에 직접 부착되면 알루미늄 재질인 AL층(100)과 단열재(500)의 화학적 성분에 의해 AL층(100)이 시간이 지나면 하얗게 변하면서 삭아서 부스러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건축마감재(10)는 AL층(100)과 단열재(500) 사이에 크라프트층(300)을 형성하여 단열재(500)에 대한 AL층(100)의 안정적인 상호 결합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재질인 AL층(100)과 단열재(500)의 화학적 성분에 의해 발생하는 상술한 박리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2, 3을 참조하면, 상기 단열재(500)는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제2접착제층(400)에 의해 크라프트층(300)에 접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단열재(500)는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 또는 발포 폴리스티렌(EPS), 압출 폴리스티렌(XPS) 성분의 유기 단열재 또는 글라스울(glass wool), 미네랄울(meneral wool), 세라믹 화이버(ceramic fiber), 실리카(silica), 펄라이트(perlite) 성분의 무기 단열재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란 페놀수지(Phenol Resin)를 90% 독립기포로 발포한 단열재로서, 영국, 일본에서 20여년 이상 검증된 프리미엄 단열재로 내열성이 강한 열경화성 수지에, 조밀한 50μm size의 독립 발포체를 형성하여 고성능 단열성 구현한다.
또한, 상기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는 열을 퍼트리는 열전도율이 낮아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막아 단열 성능이 우수하여, 화재 시 유독가스를 최소 배출하는 준불연 성능으로 2016년 4월에 시행한 화재안전기준 강화법 (건축물을 지을 때 외벽에 불연·준불연 마감재를 사용해야 하는 대상을 종전 30층 이상 건축물에서 6층 이상 건축물까지 확대 적용)에 적합한 단열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축마감재(10)를 구성하는 단열재(500)는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 또는 발포 폴리스티렌(EPS), 압출 폴리스티렌(XPS) 성분의 유기 단열재 또는 글라스울, 미네랄울, 세라믹 화이버 성분의 무기 단열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들의 결합 예시도 1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들의 결합 예시도 2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들의 결합 예시도 3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들의 결합 예시도 4이다.
도 4, 5를 참조하면, 상기 단열재(500)는 단열재 설치 시, 다른 건축마감재(10)와의 안정적인 결합 설치를 위해, 단열재(500)의 양측에는 계단형 결합부(510)가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열재(500)의 양측에는 계단형 결합부(510)가 각각 형성되어 단열재 설치 시 다른 건축 마감재의 계단형 결합부(510)와 상호 결합되는데, 특히, 도 5와 같이, 단열재(500)의 양측 중, 일측에 형성된 계단형 결합부(5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형 돌기(1)가 형성되고, 타측에 형성된 계단형 결합부(5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형 돌기홈(2)이 형성되어 다른 건축 마감재와의 결합 시 안정적인 결합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어느 한 단열재의 계단형 결합부(510)에 형성된 직선형 돌기(1)가 다른 단열재의 계단형 결합부(510)에 형성된 직선형 돌기홈(2)에 삽입 결합함으로 서로 다른 단열재들의 결합 강도를 높여 건축 마감재들의 안정된 결합 설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 7을 참조하면, 상기 단열재(500)는 단열재 설치 시, 다른 건축마감재(10)와의 안정적인 결합 설치를 위해, 단열재(500)의 일측 측부에는 요(凹)부(520)가 형성되고, 타측 측부에는 철(凸)부(530)가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열재(500)의 어느 한 측부에는 요(凹)부(520)가 형성되고, 다른 측부에는 철(凸)부(530)가 각각 형성되어 단열재 설치 시 다른 건축 마감재와 상호 결합되는데, 특히 도 7과 같이, 상기 요(凹)부(520) 일측에는 직선형 돌기(1)가 형성되고, 상기 철(凸)부(530) 일측에는 직선형 돌기홈(2)이 형성되어 다른 건축 마감재와의 결합 시 안정적인 결합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어느 한 단열재의 요(凹)부(520)에 형성된 직선형 돌기(1)가 다른 단열재의 철(凸)부(530)에 형성된 직선형 돌기홈(2)에 삽입 결합함으로 서로 다른 단열재들의 결합 강도를 높여 건축 마감재들의 안정된 결합 설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건축마감재
100 : AL층
200 : 제1접착제층
300 : 크라프트층
400 : 제2접착제층
500 : 단열재

Claims (6)

  1.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에 있어서,
    습기로부터 단열재(500)를 물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단열재(3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면 형상의 알루미늄 재질인 AL층(100)과;
    상기 AL층(100) 하측에 형성되어 AL층(100)과 크라프트층(300)을 상호 접착시키는 제1접착제층(200)과;
    AL층(100)이 단열재(500)에 찢어짐 없이 안정적으로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제1접착제층(200)에 의해 AL층(100)에 접착되는 크라프트층(300)과;
    크라프트층(300) 하측에 형성되어 크라프트층(300)과 단열재(500)를 상호 접착시키는 제2접착제층(400)과;
    단열, 난연, 불연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제2접착제층(400)에 의해 크라프트층(300)에 접착되는 단열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 마감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L층(100)의 두께는 0.1~2㎜이고, 제1접착제층(200)과 제2접착제층(400)을 통한 층간 접착 시, 발생한 가스로 인한 기공이 발생하지 않도록 복수의 개소에 가스 분출 구멍(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 마감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라프트층(300)은,
    크라프트 펄프, 크라프트 종이, 부직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 마감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500)는,
    페놀폼(PF) 성분의 단열재 또는 발포 폴리스티렌(EPS), 압출 폴리스티렌(XPS) 성분의 유기 단열재 또는 글라스울, 미네랄울, 세라믹 화이버 성분의 무기 단열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 마감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500)는,
    다른 건축 마감재와의 안정적인 결합 설치를 위해, 단열재(500)의 양측에는 계단형 결합부(510)가 형성되고,
    단열재(500)의 양측 중, 일측에 형성된 계단형 결합부(5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형 돌기(1)가 형성되고, 타측에 형성된 계단형 결합부(5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형 돌기홈(2)이 형성되어 다른 건축 마감재와의 결합 시 안정적인 결합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 마감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500)는,
    다른 건축 마감재와의 안정적인 결합 설치를 위해, 단열재(500)의 일측 측부에는 요(凹)부(520)가 형성되고, 타측 측부에는 철(凸)부(530)가 형성되고,
    상기 요(凹)부(520) 일측에는 직선형 돌기(1)가 형성되고, 상기 철(凸)부(530) 일측에는 직선형 돌기홈(2)이 형성되어 다른 건축 마감재와의 결합 시 안정적인 결합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 마감재.
KR1020190065159A 2019-06-03 2019-06-03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 KR20200139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159A KR20200139286A (ko) 2019-06-03 2019-06-03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159A KR20200139286A (ko) 2019-06-03 2019-06-03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286A true KR20200139286A (ko) 2020-12-14

Family

ID=7378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159A KR20200139286A (ko) 2019-06-03 2019-06-03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928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992A (ko) 2014-04-13 2015-10-21 장준민 건축용 진공단열재를 포함한 복합단열 패널 조립체
KR101633733B1 (ko) 2016-02-25 2016-06-27 주식회사 대명 불연성 알루미늄 복합판넬
KR101975801B1 (ko) 2018-08-22 2019-05-08 주식회사 지씨씨그래핀알폼텍 복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발포 알루미늄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992A (ko) 2014-04-13 2015-10-21 장준민 건축용 진공단열재를 포함한 복합단열 패널 조립체
KR101633733B1 (ko) 2016-02-25 2016-06-27 주식회사 대명 불연성 알루미늄 복합판넬
KR101975801B1 (ko) 2018-08-22 2019-05-08 주식회사 지씨씨그래핀알폼텍 복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발포 알루미늄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399B1 (ko) 보온 및 단열용 샌드위치 판넬
KR102064271B1 (ko)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화문
CN202563883U (zh) 金属面隔音板
KR102346217B1 (ko) 내화성과 단열성능이 우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샌드위치 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2017101402A (ja)
KR20200139286A (ko) 단열 및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마감재
KR20150041273A (ko) 단열 특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타입의 단열재 구조물
KR101830688B1 (ko) 샌드위치 판넬
KR101820400B1 (ko) 방화 및 방음용 샌드위치 판넬
CN216156867U (zh) 一种建筑外墙保温结构
CN205296437U (zh) 一种超薄高效的内保温复合板
KR20190136376A (ko) 불연성 복합 단열판
CN213115070U (zh) 一种层叠式屏障隔声保温板
CN211342605U (zh) 一种防火隔声门
CN206189634U (zh) 一种阻燃板结构
KR20190030663A (ko) 복합 결로(結露)방지 페놀폼 패널
JP5441878B2 (ja) 間仕切用パネル及びその取付構造
CN219007280U (zh) 一种具有防火阻燃功能的胶合板
KR100750091B1 (ko) 진공코아를 이용한 패널
CN211037505U (zh) 一种高强度复合玻镁板
CN220889029U (zh) 一种防水防潮的复合型保温板
CN214575300U (zh) 一种地铁建筑防火性的室内装修板
JPH0596675A (ja) サンドイツチ板
CN213806287U (zh) 一种建筑装修装饰用防火隔音板
CN218257146U (zh) 一种隔音防火门芯和防火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