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277A -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277A
KR20200139277A KR1020190065066A KR20190065066A KR20200139277A KR 20200139277 A KR20200139277 A KR 20200139277A KR 1020190065066 A KR1020190065066 A KR 1020190065066A KR 20190065066 A KR20190065066 A KR 20190065066A KR 20200139277 A KR20200139277 A KR 20200139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electronic prescription
authentication server
electronic
health insu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65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9277A/ko
Publication of KR20200139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은, 병원(의원)의 의사가 발급한 전자처방전을 보관하고, 메신저 인증 서버로 OTT 검증을 요청 및 OTT 검증 결과를 수신하고, OTT가 일치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전자처방전을 전송하는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사용자 단말기로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전자서명을 검증한 후, OTT를 발급하여 전문접수번호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의 OTT 검증 요청에 따라 OTT 검증 결과를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 전송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 및 메신저 인증 서버로부터의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확인 및 전자서명을 수행하고, 메신저 인증 서버로부터의 OTT를 수신하여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에 제출하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 전송된 전자처방전을 다운로드하고, 사용자의 약국 방문에 따라 전자처방전을 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병원에서는 종이 처방전의 인쇄 및 교부가 불필요하고, 약국에서는 최대 3년간 종이 처방전 형태로 보관해야 하는 부담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prescriptions using messenger authenticating server}
본 발명은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존의 종이 처방전이 아닌 전자처방전을 발급함으로써, 병원에서는 종이 처방전의 인쇄 및 교부가 불필요하고, 약국에서는 최대 3년간 종이 처방전 형태로 보관해야 하는 부담을 제거할 수 있으며, 환자 또는 보호자는 언제든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의 모바일 웹서버에 접속하여 처방약에 대한 상세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병·의원, 약국 전반에서 전자기록 시스템을 활용(보급률 92.1%, 2016년 건강보험 심사평가원)하고 있으나, 처방전은 종이 처방전만 발급 및 보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병의원에서 환자(또는 보호자)는 처방전 발급을 대기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고, 병의원에서는 키오스크(kiosk) 설치 등 부대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환자(또는 보호자) 입장에서는 처방약에 대한 상세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검색을 필요로 하고, 복용약 이력을 의사에게 설명하기 곤란하다.
아울러, 국가사회적 측면에서는 종이 처방전 발급 및 폐기에 따른 탄소 배출, 환경자원 낭비 등 제반 부작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 수진 환자에 대한 종이 처방전 발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수진 환자에 대한 종이 처방전 발급 시스템(100)은 먼저 병원(의원)의 의사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05)를 이용하여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110)에 접속하여, 원외 처방전 작성을 위해 의약품 안전 점검을 실시한다(도 1의 ①). 그런 후, 병원(의원)의 의사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05)를 이용하여(이때의 사용자 단말기(105)는 프린터까지 포함하는 개념임) 종이 처방전을 발급한다(도 1의 ②). 그러면, 환자(또는 보호자)는 그 종이 처방전을 소지한 채 약국을 방문하여 약사에게 종이 처방전을 제시한다(도 1의 ③). 이에 따라 약사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종이 처방전에 인쇄되어 있는 QR 코드를 스캔한 후, 처방약을 조제한다(도 1의 ④). 또한, 약국에서는 종이 처방전을 최소 3년간 보관한 후 폐기한다(도 1의 ⑤).
이상과 같은 종래 종이 처방전 발급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환자(또는 보호자)는 처방전 발급을 대기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고, 처방약에 대한 상세정보 파악이 수월하지 않으며, 복용약 이력을 의사에게 설명하기 곤란하다. 또한, 약국에서는 종이 처방전을 최소 3년간 보관 후 폐기해야 하는 부담이 있고, 종이 처방전 발급 및 폐기에 따른 탄소 배출, 환경자원 낭비 등 제반 부작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3924호(특허문헌 1)에는 "전자영수증 및 전자처방전 자동 발급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 바, 이에 따른 전자처방전 자동 발급 시스템은, 근거리통신장치를 구비하고 전자처방전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고객단말기; 고객으로부터 결제요청을 받아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정보를 저장하고 의사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입력받는 병원단말기; 상기 고객단말기로부터 고객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식별정보를 상기 병원단말기에 전달하며, 상기 병원단말기로부터 상기 처방전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로 전송하는 비콘장치; 상기 고객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병원단말기 및 상기 비콘장치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비콘서버; 및 상기 고객단말기로부터 상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처방전을 생성하고, 상기 전자처방전을 상기 고객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자처방전 발급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특허문헌 1의 경우, 기존의 종이 처방전이 아닌 전자처방전을 발급한다는 면에서 일단 종이 처방전 발급에 따른 각종 폐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문자메시지(SMS), 푸시(Push) 메시지 등을 통해 결제정보를 카드사의 결제서버로부터 제공받지 않더라도 비콘장치로부터 제공받아 전자처방전을 발급받을 수 있고, 전자처방전을 발급하기 위하여 병원단말기가 별도의 서버에 결제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비콘서버가 병원단말기나 비콘장치를 인증하도록 하여 거래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기는 하겠으나,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고객단말기에 전자처방전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야 하고, 고객단말기와 병원단말기를 연계해주는 별도의 비콘장치 및 비콘서버가 구비되어야 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적 부담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자처방전 발급서버가 고객단말기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처방전을 생성하는 메커니즘으로 되어 있어, 전자처방전 발급서버에 의해 전자처방전을 발급하기 이전에 처방전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3924호(2017.09.0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종이 처방전이 아닌 전자처방전을 발급함으로써, 병원에서는 종이 처방전의 인쇄 및 교부가 불필요하고, 약국에서는 최대 3년간 종이 처방전 형태로 보관해야 하는 부담을 제거할 수 있으며, 환자(또는 보호자)는 언제든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의 모바일 웹서버에 접속하여 처방약에 대한 상세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처방전 정보를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에서만 취급함으로써 처방전 정보의 외부 유출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종이 처방전 발급 및 보관에 따른 환경 오염, 자원 낭비 등 제반 부작용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은,
병원(의원)의 의사가 발급한 전자처방전을 수신하여 DB에 보관하고, 환자가 수신할 정보를 메신저 인증 서버로 전송 및 메신저 인증 서버로부터 전문접수번호(tx-id)를 수신하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전자서명 검증 후 메신저 인증 서버가 발급한 OTT(One Time Token)와 함께 전문접수번호(tx-id)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접수하여 메신저 인증 서버로 OTT 검증을 요청 및 OTT 검증 결과를 수신하고, OTT가 일치할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모바일 웹 접속을 허용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자처방전을 전송하여 화면에 전자처방전을 표시하는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와 유/무선 인터넷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 전송된 환자가 수신할 정보를 수신 및 전문접수번호(tx-id)를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전자서명을 검증한 후, 1회용 접속 보안 토큰(One Time Token; OTT)을 발급하여 전문접수번호(tx-id)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의 OTT 검증 요청에 따라 OTT를 검증하여 그 결과를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 전송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 및
환자 또는 보호자에 의해 소지되어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및 메신저 인증 서버와 유/무선 인터넷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로부터의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확인하고 전자서명을 수행하며, 메신저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된 1회용 접속 보안토큰(OTT) 및 전문접수번호(tx-id)를 수신하여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의 모바일 웹서버에 제출하며,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화면에 표시된 전자처방전을 다운로드하고, 사용자의 약국 방문에 따라 전자처방전을 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로부터 전자처방전의 송신 및 수신 일시, 송신자 및 수신자 정보, 전자처방전의 해시(hash)값을 포함하는 전자처방전 송수신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보관하며, 병원(의원),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또는 전자처방전 수신자 측으로부터 전자처방전 유통증명서 발급 요청이 있을 시, 전자처방전 유통증명서를 발급하여 해당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전자문서 유통증명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는 OTT 검증 결과를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 전송한 후, 전자문서 유통 정보를 상기 전자문서 유통증명 서버의 전자문서 유통증명 블록체인에 업로드하는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문서 유통 정보는 전자처방전 해시(hash)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는 카카오 인증 서버, 네이버 인증 서버, 통신사 인증(PASS) 서버, 페이코(PAYCO) 인증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 메신저 인증 서버로 전송되는 환자가 수신할 정보는 환자의 핸드폰 번호, 생년월일, 성명,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모바일 웹주소, 전자처방전 도착 안내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전자서명은 지문 접촉, 얼굴 인식,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개인 식별 번호)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처방전은 사용자에 의해 클릭될 경우 전자처방전에 처방되어 있는 해당 약품의 부작용 및 주의 사항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처방전에는 처방된 특정 약품과 대체 가능한 호환 약품이 병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처방전은 그 일측에 환자의 "과거 복용약 이력 보기" 버튼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과거 복용약 이력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환자의 과거 복용약 이력을 표시해 주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긴급 전자처방전 발급 요청이 있을 경우, 1회 1일 분량에 한하여 해당 병원(의원)의 담당 의사의 허락하에, 동일한 전자처방전을 발급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메신저 인증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으로서,
a) 병원(의원)의 의사가 원외 처방전 작성을 위해 의약품 안전 점검을 실시한 후, 해당 환자에 대한 전자처방전을 발급하여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에 의해 병원(의원)의 의사가 발급한 전자처방전을 수신하여 DB에 보관하고, 환자가 수신할 정보를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에 의해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 전송된 환자가 수신할 정보를 수신하고 전문접수번호(tx-id)를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에 의해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 및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확인하고 전자서명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전자서명을 검증한 후, 1회용 접속 보안 토큰(OTT)을 발급하여 전문접수번호(tx-id)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메신저 인증 서버로부터의 OTT 및 전문접수번호(tx-id)를 수신하여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의 모바일 웹서버에 제출하는 단계;
g)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OTT 및 전문접수번호(tx-id)를 수신하여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로 OTT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h)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에 의해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의 OTT 검증 요청에 따라 OTT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i)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에 의해 OTT 검증 결과를 수신하고, OTT가 일치할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모바일 웹 접속을 허용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자처방전을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에 의해 OTT 검증 결과를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 전송한 후, 전자문서 유통 정보를 전자문서 유통증명 서버의 전자문서 유통증명 블록체인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문서 유통 정보는 전자처방전 해시(hash)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는 카카오 인증 서버, 네이버 인증 서버, 통신사 인증(PASS) 서버, 페이코(PAYCO) 인증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i) 이후에,
j)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화면에 표시된 전자처방전을 다운로드하고, 사용자 (환자 또는 보호자)의 약국 방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처방전을 제시하는 단계; 및
k) 약국 측에 의해 환자 또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전자처방전의 QR 코드를 스캔 후 처방약을 조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 메신저 인증 서버로 전송되는 환자가 수신할 정보는 환자의 핸드폰 번호, 생년월일, 성명,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모바일 웹주소, 전자처방전 도착 안내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d)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전자서명은 지문 접촉, 얼굴 인식,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개인 식별 번호)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처방전은 사용자에 의해 클릭될 경우 전자처방전에 처방되어 있는 해당 약품의 부작용 및 주의 사항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처방전에는 처방된 특정 약품과 대체 가능한 호환 약품이 병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처방전은 그 일측에 환자의 "과거 복용약 이력 보기" 버튼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과거 복용약 이력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환자의 과거 복용약 이력을 표시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긴급 전자처방전 발급 요청이 있을 경우, 1회 1일 분량에 한하여 해당 병원(의원)의 담당 의사의 허락하에, 동일한 전자처방전을 발급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종이 처방전이 아닌 전자처방전을 발급함으로써, 병원에서는 종이 처방전의 인쇄 및 교부가 불필요하고, 약국에서는 최대 3년간 종이 처방전 형태로 보관해야 하는 부담을 제거할 수 있으며, 환자 또는 보호자는 언제든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의 모바일 웹서버에 접속하여 처방약에 대한 상세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처방전 정보를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에서만 취급함으로써 처방전 정보의 외부 유출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종이 처방전 발급 및 보관에 따른 환경 오염, 자원 낭비 등 제반 부작용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수진 환자에 대한 종이 처방전 발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메신저 인증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서명을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전자처방전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200)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 메신저 인증 서버(220), 사용자 단말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는 병원(의원)의 의사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5)를 통해 발급한 전자처방전을 수신하여 DB에 보관하고, 환자가 수신할 정보를 메신저 인증 서버(220)로 전송 및 메신저 인증 서버(220)로부터 전문접수번호(tx-id)를 수신하며, 환자(또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230)에 의한 전자서명 검증 후 메신저 인증 서버(220)가 발급한 OTT(One Time Token)와 함께 전문접수번호(tx-id)를 사용자 단말기(230)를 통해 접수하여 메신저 인증 서버(220)로 OTT 검증을 요청 및 OTT 검증 결과를 수신하고, OTT가 일치할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230)의 모바일 웹 접속을 허용하고 사용자 단말기(230)로 전자처방전을 전송하여 화면에 전자처방전을 표시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로부터 후술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220)로 전송되는 환자가 수신할 정보는 환자의 핸드폰 번호, 생년월일, 성명,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모바일 웹주소, 전자처방전 도착 안내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상과 같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사용자 단말기(230)를 통해 긴급 전자처방전 발급 요청이 있을 경우, 1회 1일 분량에 한하여 해당 병원(의원)의 담당 의사의 허락하에, 동일한 전자처방전을 발급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메신저 인증 서버(220)는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와 유/무선 인터넷에 의해 연결되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로부터 전송된 환자가 수신할 정보를 수신 및 전문접수번호(tx-id)를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로 전송하고, 후술하는 환자(또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230)로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230)로부터의 전자서명을 검증한 후, 1회용 접속 보안 토큰(One Time Token; OTT)을 발급하여 전문접수번호(tx-id)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230)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로부터의 OTT 검증 요청에 따라 OTT를 검증하여 그 결과를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메신저 인증 서버(220)는 카카오 인증 서버, 네이버 인증 서버, 통신사 인증(PASS) 서버, 페이코(PAYCO) 인증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30)는 환자 또는 보호자에 의해 소지되어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 및 메신저 인증 서버(220)와 유/무선 인터넷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220)로부터의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확인하고 전자서명을 수행하며, 메신저 인증 서버(220)로부터 전송된 1회용 접속 보안토큰(OTT) 및 전문접수번호(tx-id)를 수신하여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의 모바일 웹서버(210w)(도 4 참조)에 제출하며,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로부터 전송되어 화면에 표시된 전자처방전을 다운로드하고, 사용자의 약국 방문에 따라 전자처방전을 제시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230)에 의한 전자서명은 지문 접촉, 얼굴 인식,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개인 식별 번호)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처방전은 사용자에 의해 클릭될 경우 전자처방전에 처방되어 있는 해당 약품의 부작용 및 주의 사항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처방전에는 처방된 특정 약품과 대체 가능한 호환 약품이 병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처방전은 그 일측에 환자의 "과거 복용약 이력 보기" 버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그 "과거 복용약 이력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환자의 과거 복용약 이력을 표시해 주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환자 본인 이외에는 접근할 수 없는 처방전 이력을 환자가 접근하여 그 내용을 의사에게 보여줌으로써, 의사가 환자를 진료 및 처방전을 작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200)은 바람직하게는 전자문서 유통증명 서버(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전자문서 유통증명 서버(240)는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220)로부터 전자처방전의 송신 및 수신 일시, 송신자 및 수신자 정보, 전자처방전의 해시(hash)값을 포함하는 전자처방전 송수신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보관하며, 병원(의원),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또는 전자처방전 수신자 측으로부터 전자처방전 유통증명서 발급 요청이 있을 시, 전자처방전 유통증명서를 발급하여 해당 요청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220)는 OTT 검증 결과를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로 전송한 후, 전자문서 유통 정보를 상기 전자문서 유통증명 서버(240)의 전자문서 유통증명 블록체인(미도시)에 업로드하는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문서 유통 정보는 전자처방전 해시(hash)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 메신저 인증 서버(220) 및 사용자 단말기(230)를 포함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200)을 바탕으로 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으로서, 먼저 병원(의원)의 의사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5)를 이용하여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에 접속하여, 원외 처방전 작성을 위해 의약품 안전 점검을 실시한 후, 해당 환자에 대한 전자처방전을 발급하여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로 전송한다(단계 S301, 도 4의 ①, ②).
그러면,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는 병원(의원)의 의사가 발급한 전자처방전을 수신하여 DB에 보관하고, 환자가 수신할 정보를 메신저 인증 서버 (220)로 전송한다(단계 S302, 도 4의 ③). 여기서,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210)로부터 메신저 인증 서버(220)로 전송되는 환자가 수신할 정보는 환자의 핸드폰 번호, 생년월일, 성명,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모바일 웹주소, 전자처방전 도착 안내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220)는 카카오 인증 서버, 네이버 인증 서버, 통신사 인증(PASS) 서버, 페이코(PAYCO) 인증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220)는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로부터 전송된 환자가 수신할 정보를 수신하고 전문접수번호(tx-id)를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로 전송한다(단계 S303).
그런 후, 메신저 인증 서버(220)는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 (23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확인하고, 도 6과 같이 전자서명을 수행한다(단계 S304, 도 4의 ④, ⑤). 이때, 사용자 단말기(230)에 의한 전자서명은 지문 접촉, 얼굴 인식,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개인 식별 번호)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메신저 인증 서버(220)는 사용자 단말기(230)로부터의 전자서명을 검증한 후, 1회용 접속 보안 토큰(OTT)을 발급하여 전문접수번호(tx-id)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230)로 전송한다(단계 S305, 도 4의 ⑥).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230)는 메신저 인증 서버(220)로부터의 OTT 및 전문접수번호(tx-id)를 수신하여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의 모바일 웹서버(210w)에 제출한다(단계 S306, 도 4의 6-2).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는 사용자 단말기(230)로부터의 OTT 및 전문접수번호(tx-id)를 수신하여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220)로 OTT 검증을 요청한다(단계 S307, 도 4의 ⑦).
그러면, 메신저 인증 서버(220)는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로부터의 OTT 검증 요청에 따라 OTT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로 전송한다(단계 S308, 도 4의 ⑧).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는 OTT 검증 결과를 수신하고, OTT가 일치할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230)의 모바일 웹 접속을 허용하고, 사용자 단말기(230)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처방전을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S309, 도 4의 ⑨). 여기서, 상기 전자처방전은 사용자에 의해 클릭될 경우 전자처방전에 처방되어 있는 해당 약품의 부작용 및 주의 사항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처방전에는 처방된 특정 약품과 대체 가능한 호환 약품이 병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처방전은 그 일측에 환자의 "과거 복용약 이력 보기" 버튼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과거 복용약 이력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환자의 과거 복용약 이력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는 환자 본인 이외에는 접근할 수 없는 처방전 이력을 환자가 접근하여 그 내용을 의사에게 보여줌으로써, 의사가 환자를 진료 및 처방전을 작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또한 상기 단계 S308에서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220)에 의해 OTT 검증 결과를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로 전송한 후, 전자문서 유통 정보를 전자문서 유통증명 서버(240)의 전자문서 유통증명 블록체인(미도시)에 업로드하는 단계(도 4의 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문서 유통 정보는 전자처방전 해시(hash)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309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230)가 화면에 표시된 전자처방전을 다운로드하고, 사용자(환자 또는 보호자)의 약국 방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30)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처방전을 제시하는 단계(도 4의 ⑩) 및 약국 측에 의해 환자 또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230)의 화면에 표시된 전자처방전의 QR 코드를 스캔 후 처방약을 조제하는 단계(도 4의 ⑪)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약국에서 처방약을 조제한 이후, 약국에서는 전자처방전을 데이터베이스에 일정 기간(예컨대, 최소 3년) 보관 후, 폐기한다(도 4의 ⑫).
또한, 상기 단계 S309 이후에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210)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사용자 단말기(230)를 통해 긴급 전자처방전 발급 요청이 있을 경우, 1회 1일 분량에 한하여 해당 병원(의원)의 담당 의사의 허락하에, 동일한 전자처방전을 발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 기존의 종이 처방전이 아닌 전자처방전을 발급함으로써, 병원에서는 종이 처방전의 인쇄 및 교부가 불필요하고, 약국에서는 최대 3년간 종이 처방전 형태로 보관해야 하는 부담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환자 또는 보호자는 언제든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의 모바일 웹서버에 접속하여 처방약에 대한 상세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복용약 이력을 설명하기 곤란한 환자의 과거 복용약 이력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료 서비스의 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처방전 정보를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에서만 취급함으로써 처방전 정보의 외부 유출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종이 처방전 발급 및 보관에 따른 환경 오염, 자원 낭비 등 제반 부작용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본 발명)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105, 205: 병의원 의사 사용자 단말기
110, 210: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210w: 모바일 웹서버 220: 메신저 인증 서버
230: 환자(보호자) 사용자 단말기 240: 전자문서 유통증명 서버

Claims (22)

  1. 병원(의원)의 의사가 발급한 전자처방전을 수신하여 DB에 보관하고, 환자가 수신할 정보를 메신저 인증 서버로 전송 및 메신저 인증 서버로부터 전문접수번호(tx-id)를 수신하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전자서명 검증 후 메신저 인증 서버가 발급한 OTT(One Time Token)와 함께 전문접수번호(tx-id)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접수하여 메신저 인증 서버로 OTT 검증을 요청 및 OTT 검증 결과를 수신하고, OTT가 일치할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모바일 웹 접속을 허용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자처방전을 전송하여 화면에 전자처방전을 표시하는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와 유/무선 인터넷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 전송된 환자가 수신할 정보를 수신 및 전문접수번호(tx-id)를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전자서명을 검증한 후, 1회용 접속 보안 토큰(One Time Token; OTT)을 발급하여 전문접수번호(tx-id)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의 OTT 검증 요청에 따라 OTT를 검증하여 그 결과를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 전송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 및
    환자 또는 보호자에 의해 소지되어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및 메신저 인증 서버와 유/무선 인터넷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로부터의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확인하고 전자서명을 수행하며, 메신저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된 1회용 접속 보안토큰(OTT) 및 전문접수번호(tx-id)를 수신하여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의 모바일 웹서버에 제출하며,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화면에 표시된 전자처방전을 다운로드하고, 사용자의 약국 방문에 따라 전자처방전을 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로부터 전자처방전의 송신 및 수신 일시, 송신자 및 수신자 정보, 전자처방전의 해시(hash)값을 포함하는 전자처방전 송수신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보관하며, 병원(의원),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또는 전자처방전 수신자 측으로부터 전자처방전 유통증명서 발급 요청이 있을 시, 전자처방전 유통증명서를 발급하여 해당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전자문서 유통증명 서버를 더 포함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는 OTT 검증 결과를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 전송한 후, 전자문서 유통 정보를 상기 전자문서 유통증명 서버의 전자문서 유통증명 블록체인에 업로드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유통 정보는 전자처방전 해시(hash) 정보를 포함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는 카카오 인증 서버, 네이버 인증 서버, 통신사 인증(PASS) 서버, 페이코(PAYCO) 인증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로 전송되는 환자가 수신할 정보는 환자의 핸드폰 번호, 생년월일, 성명,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모바일 웹주소, 전자처방전 도착 안내문을 포함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전자서명은 지문 접촉, 얼굴 인식,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개인 식별 번호)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처방전은 사용자에 의해 클릭될 경우 전자처방전에 처방되어 있는 해당 약품의 부작용 및 주의 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처방전에는 처방된 특정 약품과 대체 가능한 호환 약품이 병기되어 있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처방전은 그 일측에 환자의 "과거 복용약 이력 보기" 버튼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과거 복용약 이력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환자의 과거 복용약 이력을 표시해 주는 기능을 가지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긴급 전자처방전 발급 요청이 있을 경우, 1회 1일 분량에 한하여 해당 병원(의원)의 담당 의사의 허락하에, 동일한 전자처방전을 발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12.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메신저 인증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으로서,
    a) 병원(의원)의 의사가 원외 처방전 작성을 위해 의약품 안전 점검을 실시한 후, 해당 환자에 대한 전자처방전을 발급하여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에 의해 병원(의원)의 의사가 발급한 전자처방전을 수신하여 DB에 보관하고, 환자가 수신할 정보를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에 의해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 전송된 환자가 수신할 정보를 수신하고 전문접수번호(tx-id)를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에 의해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 및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확인하고 전자서명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전자서명을 검증한 후, 1회용 접속 보안 토큰(OTT)을 발급하여 전문접수번호(tx-id)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메신저 인증 서버로부터의 OTT 및 전문접수번호(tx-id)를 수신하여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의 모바일 웹서버에 제출하는 단계;
    g)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OTT 및 전문접수번호(tx-id)를 수신하여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로 OTT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h)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에 의해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의 OTT 검증 요청에 따라 OTT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i)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에 의해 OTT 검증 결과를 수신하고, OTT가 일치할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모바일 웹 접속을 허용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자처방전을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에 의해 OTT 검증 결과를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 전송한 후, 전자문서 유통 정보를 전자문서 유통증명 서버의 전자문서 유통증명 블록체인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유통 정보는 전자처방전 해시(hash) 정보를 포함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인증 서버는 카카오 인증 서버, 네이버 인증 서버, 통신사 인증(PASS) 서버, 페이코(PAYCO) 인증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 이후에,
    j)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화면에 표시된 전자처방전을 다운로드하고, 사용자 (환자 또는 보호자)의 약국 방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처방전을 제시하는 단계; 및
    k) 약국 측에 의해 환자 또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전자처방전의 QR 코드를 스캔 후 처방약을 조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로부터 메신저 인증 서버로 전송되는 환자가 수신할 정보는 환자의 핸드폰 번호, 생년월일, 성명,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모바일 웹주소, 전자처방전 도착 안내문을 포함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전자서명은 지문 접촉, 얼굴 인식,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개인 식별 번호)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처방전은 사용자에 의해 클릭될 경우 전자처방전에 처방되어 있는 해당 약품의 부작용 및 주의 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처방전에는 처방된 특정 약품과 대체 가능한 호환 약품이 병기되어 있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처방전은 그 일측에 환자의 "과거 복용약 이력 보기" 버튼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과거 복용약 이력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환자의 과거 복용약 이력을 표시해 주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긴급 전자처방전 발급 요청이 있을 경우, 1회 1일 분량에 한하여 해당 병원(의원)의 담당 의사의 허락하에, 동일한 전자처방전을 발급하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
KR1020190065066A 2019-06-03 2019-06-03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9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066A KR20200139277A (ko) 2019-06-03 2019-06-03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066A KR20200139277A (ko) 2019-06-03 2019-06-03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277A true KR20200139277A (ko) 2020-12-14

Family

ID=7377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066A KR20200139277A (ko) 2019-06-03 2019-06-03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92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218B1 (ko) * 2021-02-19 2021-11-16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사용자단말과 약국단말 사이의 종단간 전자처방전 및 맞춤형 알림메시지 제공방법
KR20230114865A (ko) 2022-01-25 2023-08-02 주식회사 마음연구소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924B1 (ko) 2017-02-03 2017-09-01 디에이치이노시스 주식회사 전자영수증 및 전자처방전 자동 발급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924B1 (ko) 2017-02-03 2017-09-01 디에이치이노시스 주식회사 전자영수증 및 전자처방전 자동 발급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218B1 (ko) * 2021-02-19 2021-11-16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사용자단말과 약국단말 사이의 종단간 전자처방전 및 맞춤형 알림메시지 제공방법
KR20230114865A (ko) 2022-01-25 2023-08-02 주식회사 마음연구소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64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edication prescriptions using biometric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US109848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ducement to purchase incident to a physician's prescription of medication
US200300932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remote access to patient files by authenticating personnel with biometric data
US201302973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prescribing
US201002991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edication prescriptions using biometric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KR20020081306A (ko) 전자 카드를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88142A (ko) 의료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238192A (zh) 匿名保健和记录系统
US201401807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healthcare messaging
KR20200139277A (ko)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
US20020188472A1 (en) Medical data management method and medical data management system
US103112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ducement of a purchase in conjunction with a prescription
JP2002245162A (ja) 医療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と医療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2261680B1 (ko)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US20130179193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on of patient communication
JP2018032106A (ja) 処方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561314B1 (ko) 진료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5376644A (zh) 一种医检报告分享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US200200690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medical or consulting services
JP2004152182A (ja)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処理サーバ
JP2004318374A (ja) 薬剤情報処理システム
US20240013876A1 (en) Med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TWI672660B (zh) 藥師憑證藥物領取販賣系統
KR102144702B1 (ko) 메신저 인증 기반의 진료비 허위·부당 청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6821A (ko) 보험청구 자료 활용 동의만으로 청구가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의 실손보험 청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