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077A - Window cover for display, window cover parts, manufactur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Window cover for display, window cover parts, manufactur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077A
KR20200139077A KR1020190133396A KR20190133396A KR20200139077A KR 20200139077 A KR20200139077 A KR 20200139077A KR 1020190133396 A KR1020190133396 A KR 1020190133396A KR 20190133396 A KR20190133396 A KR 20190133396A KR 20200139077 A KR20200139077 A KR 20200139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rea
window cover
reg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2697B1 (en
Inventor
이인호
장동식
홍승희
구민
이현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200139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0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6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 B29C45/2711Gate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5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vacuum or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5/1486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4901Coating a sheet-like insert small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adjacent mould wall
    • B29C2045/14918Coating a sheet-like insert small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adjacent mould wall in-mould-lab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cover material comprising: a film part in which a film part gate region to which an injection material is supplied, and a body par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lm part, wherein the film part gate region is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film part, and the central region is formed in a region between +10% and -10% based on a center line with respect to the entire region of the film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in birefringence is improved to have excellent optical performanc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윈도우 커버재 및 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WINDOW COVER FOR DISPLAY, WINDOW COVER PARTS, MANUFACTUR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window cover material, and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INDOW COVER FOR DISPLAY, WINDOW COVER PARTS, MANUFACTUR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윈도우 커버재 및 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 window cover material,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윈도우 커버재는 필름에 사출재를 결합시켜 성형한 것이다. 이를 위한 필름 인서트성형은 광범위한 사출성형 플라스틱 제품을 위한 3차원 장식부품을 생산한다. 필름 인서트 성형 공정은 인쇄, 필름성형, 트리밍, 사출성형 등 크게 4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인쇄 공정을 수행하여 필름 표면에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된 도형, 문자, 패턴 등을 인쇄한 이후, 압공성형 및 진공성형등의 다양한 필름성형을 통해 제품의 표피층에 해당하는 3차원 곡면형상을 성형한다. 필름의 불필요한 부위를 잘라내는 트리밍을 수행하고, 필름을 금형에 삽입한 이후, 용융된 수지를 사출하는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필름과 일체화된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할 수 있다.The window cover material is molded by bonding an injection material to a film. Film insert molding for this produces three-dimensional decorative parts for a wide range of injection-molded plastic products. The film insert molding proces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our stages, such as printing, film molding, trimming, and injection molding. After performing the printing process to print figures, characters, and patterns composed of various colors on the film surface, a three-dimensional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kin layer of the product is formed through various film molding such as pressure-pneumatic molding and vacuum molding. A plastic product integrated with the film can be molded by performing trimming to cut out unnecessary portions of the film, inserting the film into a mold, and then performing injection molding in which molten resin is injected.

한편, 윈도우 커버재 중에서 차량용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는 운전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클러스터를 비롯해 차량 내 각종 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CID(CenterInformation Display), 뒷좌석 탑승자를 위한 인포테인먼트용 RSE(Rear Seat Entertainment), 리얼 뷰 미러나 사이드미러를 대체하는 RMD(Room Mirror Display)에 적용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window cover materials, the vehicle display cover window includes a cluster that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to the driver, CID (Center Information Display), which can display and control the operation status of various devices in the vehicle, and RSE (for infotainment) for rear seat occupants. Rear Seat Entertainment), and RMD (Room Mirror Display), which replaces real-view mirrors or side mirrors.

또한, 디스플레이 표시장치는 각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의 외곽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표시영역은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에서 생성된 이미지 또는 정보를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는 영역이며, 비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에서 생성된 이미지 또는 정보를 사용자가 시인할 수 없는 영역으로, 일반적으로 베젤 영역으로 불리기도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area in which each pixel is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a non-display area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area. The display area is an area in which a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image or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isplay device, and the non-display area is an area in which the user cannot view the image or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isplay device, and is generally a bezel area. It is also called

그리고 윈도우 커버재인 CID의 커버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투명부와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차광부를 포함한다. 차광부는 투명부에 비해 불투명하며 투명부의 외곽에 배치된다.The cover window of the CID, which is a window covering material, serves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of the display device, and includes a transparent portion corresponding to a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and a light shiel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display device. The light blocking portion is opaque compared to the transparent portion and is disposed outside the transparent portion.

아울러, 플라스틱 재료는 유리 대비 안전하고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plastic materials are safer than glass and have the advantage of implementing various shapes, the demand for plastic cover windows is increasing.

즉, CID의 커버 윈도우에는 기능성층의 부가, 매끄러운(seamless) 디자인, 다양한 디자인 등이 요구되며, 디스플레이에 대한 높은 시인성, 정보전달력, 고광택의 심미성이 요구되고, 복굴절 차이의 개선에 따른 광학성능 향상이 요구된다.In other words, the CID cover window requires the addition of a functional layer, a seamless design, and a variety of designs, and high visibility,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high gloss aesthetics are required for the display, and optic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difference in birefringence. Improvement is required.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은 프리포밍된 IML 필름에 사출재를 공급하기 위해 IML 필름을 별도의 필름걸이에 거치한 상태에서 사출공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사출시 인쇄부의 밀림현상, 외곽단차부 발생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사출공정 후 필름걸이를 제거해야 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Meanwhil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cover window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order to supply the injection material to the preformed IML film, the injection process is performed while the IML film is mounted on a separate film hanger. Accordingly, problems such as a push phenomenon of the printing unit and occurrence of an outer stepped portion occur during injection, and a problem of lowering productivity occurs as the film hanger must be removed after the injection process.

또한, 필름에 사출재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가 금형 외부에 배치됨에 따라 복굴절 성능이 저하되고, Ear flow 현상과 Weld Line의 발생에 따른 불량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as the gate for supplying the injection material to the film is disposed outside the mold, 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decreases, and the defect rate increases due to the ear flow phenomenon and the occurrence of the weld line.

본 발명의 목적은 복굴절 차이가 개선되어 우수한 광학성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윈도우 커버재 및 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 window cover material, and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have excellent optical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difference in birefringe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Ear flow 현상과 Weld Line 저감에 따른 필름 안정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윈도우 커버재 및 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 window cover material,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aving film st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ear flow phenomenon and weld line redu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름걸이를 최소화 하면서도 인서트 필름의 안착성을 향상시키고, 사출 공정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윈도우 커버재 및 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 window cover material,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at can improve the seating property of an insert film while minimizing the film hanger and secure reliability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출공정의 신뢰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윈도우 커버재 및 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 window cover material,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ith improved reliability in an injection process.

[용어정의][Term Definition]

본 발명에서 복굴절이란 방향에 따라 굴절률이 다른 결정체에 입사한 빛이 방향이 다른 두 개의 굴절광으로 굴절되는 현상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irefringence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light incident on a crystal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according to a direction is refracted into two refracted light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본 발명에서 Ear flow란 필름의 가장자리부가 말려 올려가는 접힘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 flow means a folding in which the edge of the film is rolled up.

본 발명에서 Weld line란 사출재의 유동에 따라 사출재의 경계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라인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d line means a bonding line formed by the boundary of the inje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본 발명에서 중심선이란 임의의 점에서 미리 지정한 방향으로의 양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재었을 때 동일한 거리가 되는 임의의 점을 중심점이라고 하고, 미리 지정한 방향에 대한 중심점을 연속적으로 찍었을 때 중심점의 연결선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line refers to an arbitrary point that becomes the same distance when the distance from an arbitrary point to both end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s measured, and a connecting line of the center point when the central poi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s continuously taken. Means.

또한, 중심선은 통상 직선이지만, 중심선이 직선이 아닌경우, 임의의 선을 그었을 때 임의의 선에 50% 이상의 중심점이 포함되는 경우, 그 임의의 선을 중심선으로 본다.In addition, the center line is usually a straight line, but when the center line is not a straight line, when an arbitrary line contains 50% or more of the center point, the arbitrary line is regarded as the center line.

본 발명에 의한 중심선의 정의에 의해, 한 제품에서 1 이상의 중심선이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제품을 실제로 장착/장식하였을 때 사용자가 바라보는 정면에서 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제1 중심선, 제 1중심선과 수직하는 방향의 중심선을 제2 중심선이라 하고, 통상의 중심선은 제1 중심선으로 한다.By the definition of the center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center lines may be defined in a product. At this time, when the product is actually installed/decorated, the center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ront viewed by the user is called the first center line, and the center lin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center line is called the second center line, and the normal center line is the first center line do.

여기서 양측 단부는, 제품의 경우 제품의 외주면, 제품의 일부분의 경우는 해당 부분의 외주면, 기능의 경우는 기능에 해당하는 형상에 해당한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중심선은 제품의 중심선을 의미한다.Here, both ends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duct in the case of a produc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rt in the case of a part of the product, and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in the case of a function. Unless otherwise stated, the center line means the center line of the product.

본 발명에서 실질적 대칭이란 본 발명에서의 중심선의 정의에 따라, 중심선에서 벗어난 중심점이 20% 이내인 경우를 의미한다.Substantially symmetric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ase where the center point deviated from the center line is within 20%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center line in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의 경우 대칭은 아니지만, 중심선이 정의가 되면 대칭이라는 것으로 바꾸면, 대칭된다)(In the case of the attached drawing, it is not symmetrical, but if the center line is defined, it is symmetrical if it is changed to symmetrical)

본 발명에서 파팅라인은 분할금형의 분할선을 의미한다. 즉, 금형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분할되고,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분리 또는 닫을 때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접촉하는 선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ng line means a dividing line of a split mold. That is, the mold is divided into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and wh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separated or closed, it refers to a line where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contact each other.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shown in the claims and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는 사출재가 공급되는 필름부 게이트 영역이 형성된 필름부와, 상기 필름부의 일면에 결합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부 게이트 영역은 상기 필름부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 영역은 필름부 전체 영역에 대하여 중심선을 기준으로 +10 % 내지 -10 %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다. The window cove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m portion in which a film portion gate region is formed to which an injection material is supplied, and a body portion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lm portion, and the film portion gate region is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film portion. The central region is formed in a region between +10% and -10% based on the center line with respect to the entire region of the film unit.

또한, 윈도우 커버재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에는 필름부 버튼영역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필름부 버튼영역에 대응된 바디부 버튼영역이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a button region of a film part is further formed in the film part, and a button region of a body part corresponding to the button region of the film part is formed in the body part.

또한, 윈도우 커버재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 게이트 영역은 상기 필름부 버튼영역에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the film part gate region is formed in the film part button region.

또한, 윈도우 커버재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 버튼영역과 상기 바디부 버튼영역은 상기 일면에서 타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the film portion button region and the body portion button region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또한, 윈도우 커버재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 버튼영역과 상기 바디부 버튼영역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the film part button region and the body part button region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또한, 윈도우 커버재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투명부와, 상기 투명부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차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게이트 영역과 상기 필름부 버튼 영역은 상기 차광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the film portion may include a transparent portion and a light blocking portion form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transparent portion, and the film gate region and the film portion button region may be formed in the light blocking portion.

또한, 윈도우 커버재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디스플레이영역과 연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 게이트 영역과 상기 필름부 버튼 영역은 상기 연장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the light blocking portion may include a display area and an extended area, and the film gate area and the film portion button area may be formed in the extended area.

또한, 윈도우 커버재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필름부 게이트 영역에 대응되는 바디부 게이트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a body portion gat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lm portion gate region may be formed on the body portion.

또한, 윈도우 커버재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게이트 영역은 상기 바디부 버튼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the body portion gate region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button regi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은 인서트 필름에 관통된 형상의 필름부 게이트 영역을 상기 인서트 필름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시킨 인서트 필름 프리포밍 단계와, 상기 필름 거치부를 금형의 돌출부에 거치하는 인서트 필름 금형 거치단계와, 상기 인서트 필름에 사출재를 제공하는 사출재 토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 영역은 필름부 전체 영역에 대하여 중심선을 기준으로 +10 % 내지 -10 %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preforming an insert film in which a gate region of a film portion having a shape penetrating through the insert film is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insert film, and the film mounting portion of the mold. Including an insert film mold mounting step mounted on the protrusion, and an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of providing an injection material to the insert film, wherein the central region is between +10% and -10% based on a center line for the entire area of the film unit It can be formed in the area of.

또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출재 토출단계는 상기 인서트 필름의 일면이 상기 금형에 접하도록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필름 게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인서트 필름의 타면으로 사출재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material,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may provide an injection material to the other surface of the insert film through the film gate area in a stat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insert film is mounted to contact the mold have.

또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출재 토출단계는 상기 인서트 필름이 제1 금형에 접하도록 거치되고, 상기 인서트 필름의 타면으로 사출재를 제공하고, 제2 금형을 상기 제1 금형을 향하도록 이동시키는 금형 가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is mounted so that the insert film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mold, the injection material is provi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insert film, and the second mold is attached to the first mold. 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step of the mold to move to the direction.

또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필름 프리포밍 단계는 인서트 필름에 단차진 형상의 필름부 버튼영역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material, the insert film preforming step may further form a stepped button region of the film portion on the insert film.

또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름 게이트 영역은 상기 필름부 버튼영역에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material, the film gate region is formed in the button region of the film part.

또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 버튼영역을 상기 금형의 단차부에 거치하고, 상기 필름 버튼부 영역이 상기 단차부에 접하도록 상기 필름 버튼부 영역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 suction step of providing a suction force to the film button region such that the film button region is mounted on a stepped portion of the mold, and the film button region contacts the stepped portion. It may contain mor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인서트 필름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된 필름 게이트 영역에 대향되는 핫러너가 형성된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에 대향된 제2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핫러너는 상기 제1 금형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 영역은 필름부 전체 영역에 대하여 중심선을 기준으로 +10 % 내지 -10 %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mold having a hot runner facing a film gate area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an insert film, and a second mold facing the first mold are included. In addition, the hot runner may be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first mold, and the central region may be formed in a region between +10% and -10% based on a center line with respect to the entire region of the film unit.

상기 윈도우 커버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에는 필름부 버튼영역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a button region of the film part may be formed in the first mol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는 투명부와, 상기 투명부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차광부가 형성된 필름부와, 상기 필름부의 일면에 결합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부에는 필름부 버튼홀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필름부 버튼홀부에 대응되는 바디부 버튼홀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필름부의 내부에 사출재가 공급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부를 형성하는 사출재의 유동흐름은 상기 바디부 버튼홀영역으로부터 바디부의 외주부를 향해 유동되고, 상기 필름부 버튼홀영역 내에는 사출재가 토출되는 필름부 게이트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필름부 게이트 영역은 상기 필름부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 영역은 필름부 전체 영역에 대하여 중심선을 기준으로 +10 % 내지 -10 %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다.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portion, a film portion having a light-shielding portion formed to surround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transparent portion, and a body portion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lm portion, and the film portion includes a film A secondary buttonhole area is formed, a body buttonhole area corresponding to the film buttonhole is formed in the body, and the body is made by supplying an injection material into the film part, and injection forming the body part The flow of ash flows from the buttonhole region of the body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art, and a gate region of the film part through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is formed in the buttonhole region of the film part, and the gate region of the film part is a central region of the film part. And the central region is formed in a region between +10% and -10% based on the center line with respect to the entire region of the film unit.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의하면 복굴절 차이가 개선되어 우수한 광학성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윈도우 커버재 및 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fference in birefringence is improved, and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 window cover material,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aving excellent optical performance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의하면 Ear flow 현상과 Weld Line 저감에 따른 필름 안정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윈도우 커버재 및 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 window cover material,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aving film stability according to the ear flow phenomenon and weld line redu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걸이를 최소화 하면서도 인서트 필름의 안착성을 향상시키고, 사출 공정시 신뢰성을 확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윈도우 커버재 및 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 window cover material,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can minimize the film hanger and improve the seating property of an insert film and secure reliability during an injection process.

본 발명에 의하면 인서트 필름을 흡입하여 인서트 필름을 가공부에 밀착고정시킴에 따라, 사출공정의 신뢰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윈도우 커버재 및 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 window cover material,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ith improved reliability of an injection process can be obtained by sucking the insert film and fixing the insert film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cessing unit.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필름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의 개략적인 A-A단면도이다.
도 5은 도 1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의 세부구성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에 있어서, 필름부 게이트영역의 기술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는 도 7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금형 및 사출재 토출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7의 필름 사출 성형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금형에 거치되는 프리포밍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7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인서트 필름 상부금형 거치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출재 토출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사출재 토출단계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는 도 7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부금형 가압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흡입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인서트 필름 흡입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개략적인 B-B 단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lm material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indow cover materi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3.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a gate area of a film portion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5.
7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materi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ld and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7.
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reforming film mounted on a mold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njection molded film of FIG. 7.
10 and 11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implementing an insert film upper mold mounting step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7.
1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implementing an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7.
13 is a schematic view of a state of use of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shown in FIG. 12.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implementing a lower mold pressing step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7.
1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ction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15.
1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implementing the insert film suction step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15.
1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the window cover for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8.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it means that an arbitrary component is disposed on the "top (or lower)" of the component or the "top (or lower)" of the component, the arbitrary component is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component. In addition,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are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ntervening"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필름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lm material shown in FIG.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는 필름재와 바디부를 포함하고, 바디부를 형성하기 위해 필름재에 사출재를 사출결합시킨다.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includes a film material and a body part, and injection-bonding the injection material to the film material to form the body part.

이를 위해, 필름재를 고정한 상태에서 사출재를 토출하고, 필름재의 특정영역에 사출재를 토출한다. To this end,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while the film material is fixed, and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to a specific area of the film material.

또한, 사출재의 고정방법과 사출재의 초기 토출 대상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성능에 매우 중요하다.In addition, the method of fixing the injection material and the initial discharge target area of the injection material are very important to the performance of the window cover for the display device.

즉,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는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하여 복굴절 차이가 최소화되고, Ear flow 현상과 Weld Line이 저감되어야 필름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That is, in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the difference in birefringence must be minimiz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nd the ear flow phenomenon and the weld line must be reduced to obtain film stability.

이를 위한 본원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For thi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재(10)에는 게이트 영역(11)이 형성된다. 게이트 영역(11)은 사출재가 필름재(10)에 토출될 경우 사출재가 유입되는 필름부 게이트 영역(G)을 수행한다.As shown, a gate region 11 is formed on the film material 10. The gate area 11 performs a film part gate area G into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is introduced when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film material 10.

이를 위해, 사출재 분사장치(30)는 사출재가 배출되는 사출재 토출부(31)를 포함하고, 사출재 토출부(31)의 단부는 게이트 영역(11)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injection material injection device 30 includes an injection material discharge part 31 from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and an end of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e part 3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gate region 11.

사출재 토출부(31)는 필름재(10)의 전면(FS) 게이트 영역(11)을 통과하고, 필름재(10)의 후면(RS) 사출재를 분사하여 필름재(10)의 후면(RS)에 바디부를 형성시킨다.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e part 31 passes through the front (FS) gate area 11 of the film material 10, and sprays the rear surface (RS) of the film material 10 to spray the injection material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lm material 10 ( RS) to form a body part.

이 때, 게이트 영역(11)은 사출부 토출부(31)에 거치되어, 게이트 영역(11)은 사출시 필름재(10)를 고정하는 필름 걸이부(F)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gate region 11 may be mounted on the ejection portion discharge portion 31, and the gate region 11 may serve as a film hook portion F fixing the film material 10 during injec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필름재에 사출재를 분사하는 사출공정시 필름재를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게이트 영역(11)이 필름재를 고정하는 걸이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as described above, without a separate fixing member to fix the film material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of spraying the injection material to the film material, the gate region 11 serves as a hook to fix the film material. It is implemented simply and efficiently.

또한, 필름재의 게이트 영역(11)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버튼홀 영역에 대응되는 필름재의 버튼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ate region 11 of the film material may be formed in a buttonhole region of the film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buttonhole region of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이때, 버튼홀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버튼부에 대응되는 홀 영역을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 buttonhole area means a hole area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when the window cover for the display device is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또한, 게이트 영역(11)은 윈도우 커버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윈도우 커버재의 내부에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gate region 11 is formed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window cover of the display device.

이에 더하여 필름부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게이트영역(11)은 중심선(C)에 위치된다. 중심선(C)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는 필름부 게이트영역의 이격거리(W2)는 필름재의 전체 거리(W1)에 비하여 1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lm portion has a shap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nd the gate region 11 is positioned at the center line C.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W2 of the gate region of the film portion that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center line C is formed to be 10% or less compared to the total distance W1 of the film material.

상기한 바와 같이, 게이트영역(11)을 중심선으로부터 10%의 이격거리로 위치시킬 경우 복굴절의 대칭에 따른 광학성능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gate region 11 is positioned at a distance of 10% from the center line, an effect of improving optical performance due to symmetry of birefringence can be obtain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의 개략적인 A-A단면도이다.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window cover materi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A-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3.

윈도우 커버재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재이다. The window cover material is an intermediate material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 커버재(1000)는 필름부(1100) 및 바디부(120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window cover material 1000 includes a film portion 1100 and a body portion 1200.

보다 구체적으로, 필름부(1100)는 프리포밍된 IML(In Mold Label)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부(1100)는 윈도우 커버재(1000)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로 구현되도록 투명부(1110)와 차광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투명부(111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차광부(1120)는 투명부(1110)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film unit 1100 may be formed of a preformed In Mold Label (IML) film. The film unit 1100 may include a transparent unit 1110 and a light blocking unit 1120 so that the window cover material 1000 is implemented as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That is, the transparent portion 11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area, and the light blocking portion 1120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transparent portion 1110.

또한, 차광부(1120)에는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과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film part gate region 1121 and a film part buttonhole region 1122 are formed in the light blocking part 1120.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은 필름부(1100)에 사출재를 분사하기 위한 게이트 영역이다. 즉,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은 사출재가 유입되는 게이트 영역이다. The film part gate region 1121 is a gate region for spraying the injection material onto the film part 1100. That is, the film part gate region 1121 is a gate region into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is introduced.

또한, 도 3 내지 도 6은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한 일례로서,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이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3 to 6 are examples of locations where the film part gate region 1121 is formed, and illustrate that the film part gate region 1121 is formed in the film part buttonhole region 1122.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은 필름부(1100)에 대하여 바디부(120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lm part buttonhole area 1122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art 1200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film part 1100.

이는 바디부 버튼홀영역(1220)이 사출재 공급시 걸이영역으로 수행되기 위한 것이다. 즉, 걸이영역은 필름부의 일면에 대하여 단차부로 형성된다.This is for the body buttonhole area 1220 to be performed as a hanging area when the injection material is supplied. That is, the hanging region is formed as a stepped portion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film portion.

또한, 바디부(1200)는 필름부(110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필름부(1100)인 IML 필름의 배면에 사출재가 사출 성형되어 바디부(1200)가 형성됨과 동시에 바디부(1200)는 필름부(1100)에 결합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200 is coupled to the film portion 1100. To this end, an injection molding material is injection-mol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ML film, which is the film unit 1100, to form the body unit 1200, and the body unit 1200 is coupled to the film unit 1100.

그리고 바디부(1200)에는 필름부(1100)의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에 대응되는 바디부 게이트영역(1210)이 형성되고,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에 대응되는 바디부 버튼홀영역(1220)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body part gate region 1210 corresponding to the film part gate region 1121 of the film part 1100 is formed in the body part 1200, and a body part buttonhol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lm part buttonhole region 1122 1220 is formed.

이하, 도 5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필름부 게이트영역과 필름부 버튼홀영역의 세부구성과 형상 각각의 기술사상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and shapes of the gate region of the film part and the buttonhole region of the film par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의 세부구성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 커버재(1000)의 필름부(1100)는 일축(도 5에 X축으로 도시함)방향에 대한 제1 중심선(C1)과 타축(도 5에 Y축으로 도시함)방향에 대한 제2 중심선(C2)을 포함하는 일면을 갖는다.As shown, the film part 1100 of the window cover material 1000 has the first center line C1 and the other axis (shown as the Y-axis in FIG. 5) with respect to one axis (shown as the X-axis in FIG. 5). It has one surface including the second center line C2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즉, X축 방향에 대하여 필름부(1100)는 제1 중심선(C1)으로부터 양단부까지 동일한 거리(D1)를 갖고, Y축 방향에 대하여 필름부(1100)는 제2 중심선(C2)으로부터 양단부까지 동일한 거리(D2)를 갖는다.That is, with respect to the X-axis direction, the film part 1100 has the same distance D1 from the first center line C1 to both ends, and the film part 1100 is from the second center line C2 to both ends in the Y-axis direction. It has the same distance D2.

상기한 바와 같이 정의된 제2 중심선(C2)에 대하여 필름부(1100)의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과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은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lm part gate region 1121 and the film part buttonhole region 1122 of the film part 1100 may be located at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center line C2 defined as described above.

이에 대한 일례로, 제2 중심선(C2)에 대하여 필름부(1100)의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과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은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this, the film part gate region 1121 and the film part buttonhole region 1122 of the film part 1100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center line C2.

이는 필름부(1100)에 사출재를 토출할 경우 일측에서 타측으로 방해없이 유동되도록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film part gate region 1121 is formed on one side so as to flow from one side to the other without interference when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film part 110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버튼부가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형성됨에 따라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이 일측헤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display device, as the button portion is formed under the display portion, the film portion buttonhole region 1122 is formed at one side.

또한, 바디부 버튼홀영역(1220)과 바디부 게이트영역(1210) 역시 제2 중심선(C2)에 대하여 하부에 위치된다.In addition, the body buttonhole region 1220 and the body gate region 1210 are also positioned below the second center line C2.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에 있어서, 필름부 게이트영역의 기술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a gate region of a film part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5.

보다 구체적으로,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은 제1 중심선(C1)에 위치된다. More specifically, the film part gate region 1121 is located on the first center line C1.

또한, 제1 중심선(C1)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는 필름부 게이트영역의 이격거리(D3)는 윈도우 커버재의 전체 거리(D4)에 비하여 1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D3 of the gate region of the film portion that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enter line C1 is 10% or less than the total distance D4 of the window cover material.

이때, 인서트 필름과 바디부는 상기 제1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sert film and the body portion may have a shap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center line.

이는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을 사출성형시 사출재가 유입되는 게이트 역할을 수행할 경우, 중심선으로부터 허용가능한 이격거리를 상기한 바와 같이 10% 이내일 경우 복굴절의 대칭에 따른 광학성능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hen the gate area 1121 of the film part serves as a gate through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flows in during injection molding, the effect of improving optical performance due to the symmetry of birefringence when the allowabl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center line is within 10% as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또한, 바디부 게이트영역(1210) 역시 제1 중심선(C1)에 위치되고, 바디부 게이트영역(1210)이 제1 중심선(C1)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는 바디부 게이트영역의 이격거리는 윈도우 커버재의 전체 거리(D4)에 비하여 1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dy part gate region 1210 is also located at the first center line C1, and the body part gate region 121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enter line C1,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ody part gate region is a window cover. It is preferable to form less than 10% of the total distance (D4) of the ash.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materi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S1000)은 인서트 필름 프리포밍 단계(S1100), 인서트 필름 상부금형 거치단계(S1200), 사출재 토출단계(S1300), 및 하부금형 가압단계(S140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S1000) includes the insert film preforming step (S1100), the insert film upper mold mounting step (S1200),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S1300), and the lower mold pressing step (S1400). Include.

보다 구체적으로, 인서트 필름 프리포밍 단계(S1100)는 필름이 광학특성을 만족하도록 인서트 필름으로 형성되는 IML 필름을 프리포밍하는 단계이다. More specifically, the insert film preforming step (S1100) is a step of preforming an IML film formed as an insert film so that the film satisfies optical properties.

또한, 인서트 필름 프리포밍 단계(S1100)를 통해 인서트 필름에 걸이부인 필름부 버튼홀영역과, 사출재 토출단계에서 사출재가 인서트 필름으로 유입되는 게이트인 필름부 게이트영역을 형성한다. In addition, through the insert film preforming step (S1100), a buttonhole region of the film part, which is a hook part, and a gate region of the film part, which is a gate through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flows into the insert film in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are formed.

다음으로 인서트 필름 상부금형 거치단계(S1200)는 인서트 필름을 상부금형에 거치하는 단계이다. 우선, 상부 금형의 상부금형 게이트 단차부에 인서트 필름의 필름부 게이트영역을 거치한다. 그리고 인서트 필름의 필름부 버튼홀영역을 상부 금형의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에 거치할 수 있다.Next, the insert film upper mold mounting step (S1200) is a step of mounting the insert film on the upper mold. First, the gate region of the film portion of the insert film is mounted on the stepped portion of the upper mold gate of the upper mold. In addition, the buttonhole region of the film portion of the insert film may be mounted on the upper mold buttonhole hook portion of the upper mold.

이때, 인서트 필름의 필름부 버튼홀영역에 형성된 필름부 게이트영역은 상부금형의 핫러너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In this case, the gate region of the film part formed in the buttonhole region of the film part of the insert film is positioned to face the hot runner of the upper mold.

그리고 사출재 토출단계(S1300)는 게이트인 필름부 게이트영역을 통해 사출재를 인서트 필름의 중심부 영역에 공급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금형에 인서트 필름의 일면이 접하도록 거치된 상태에서 핫러너를 통해 인서트 필름의 타면에 사출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S1300) is a step of supplying the injection material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insert film through the gate region of the film part as a gate. More specifically, the injection material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sert film through a hot runner while being mounted on the upper mold so that one surface of the insert film is in contact.

그리고 중심부 영역은 필름부 전체 영역에 대하여 중심선을 기준으로 +10 % 내지 -10 % 사이의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ral region may be formed as a region between +10% and -10% based on the center line with respect to the entire region of the film unit.

이에 따라 인서트 필름에 사출재가 결합된다.Accordingly, the injection material is bonded to the insert film.

또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S1000)은 하부금형을 상부금형 측으로 이동시키는 하부금형 가압단계(S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S100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mold pressing step (S1400) of moving the lower mold toward the upper mold.

하부금형 가압단계(S1500)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사출재가 채워진 상태에서 하부금형을 상부금형에 향해 이동시키킨다. In the lower mold pressing step (S1500), the lower mold is moved toward the upper mold while the injection material is filled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필름부에 바디부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인서트 필름에 결합된 사출재의 두께가 조정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injection material bonded to the insert film is adjusted while bonding the body part to the film part.

또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은 바디부 게이트영역 형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 게이트영역 형성단계는 사출재가 인서트 필름에 공급된 이후, 바디부 게이트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금형으로부터 바디부 게이트영역 형성바가 인서트 필름의 필름부 게이트영역을 통해 삽입되어 바디부 게이트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body part gate region. In the step of forming the body gate region, after the injection material is supplied to the insert film, the body gate region forming bar is inserted from the upper mold through the film gate region of the insert film to form the body gate region to form the body gate region. Can be.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금형 및 사출재 토출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ld and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7.

도시한 바와 같이, 일서트 필름에 사출재를 결합시켜 윈도우 커버재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100)은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금형(110)에는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111), 핫러너(112) 및 상부금형 게이트 단차부(113)가 형성된다.As shown, the mold 100 for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material by bonding the injection material to the insert film includes an upper mold 110 and a lower mold 120. In addition, an upper mold buttonhole hook 111, a hot runner 112, and an upper mold gate step 113 are formed on the upper mold 110.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111)는 인서트 필름의 필름부 버튼홀영역이 삽입되고 지지되도록 필름부 버튼홀영역에 대응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핫러너(112)는 상부금형 게이트 단차부(113)에 연통되도록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111)에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mold buttonhole hook 111 is formed of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hole region of the film portion so that the buttonhole region of the insert film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addition, the hot runner 112 is formed on the upper mold buttonhole hook portion 11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mold gate stepped portion 113.

핫러너(112)는 상부금형(110)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 영역은 필름부 전체 영역에 대하여 중심선을 기준으로 +10 % 내지 -10 % 사이의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ot runner 112 may be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upper mold 110, and the central region may be formed in an area between +10% and -10%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entire area of the film unit.

또한, 상부금형 게이트 단차부(113)는 필름부(1100)의 필름 게이트 영역(1121)을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필름부(1100)가 상부금형에 보다 정확하게 구속된 상태에서 사출재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mold gate stepped portion 113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film gate region 1121 of the film portion 1100 and has a protruding shap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jection material in a state in which the film part 1100 is more accurately constrained to the upper mold.

하부금형(120)에는 상부금형(110)의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111)에 대응되는 홈부(121)가 형성된다.The lower mold 120 is provided with a groove 121 corresponding to the upper mold buttonhole hook 111 of the upper mold 110.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금형(110)의 외형과 하부금형(120)의 외형이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부금형에 접하는 인서트 필름과 하부금형에 접하는 사출재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outer shape of the upper mold 110 and the lower mold 12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insert film in contact with the upper mold and the injection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lower mold have the same shape.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금형에 핫러너가 형성되고 토출노즐을 하부금형을 통해 삽입하여 사출재를 제공할 수도 있다. 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a hot runner may be formed in the lower mold and a discharge nozzle may be inserted through the lower mold to provide an injection material.

도 9는 도 7의 필름 사출 성형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금형에 거치되는 인서트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sert film mounted on a mold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njection molded film of FIG. 7.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사출 성형체의 필름부인 인서트 필름부(1100)는 투명부(1110)와 차광부(1120)를 포함한다. 또한, 차광부(1120)에는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과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이 형성된다. As shown, the insert film portion 1100, which is a film portion of a film injection molded body, includes a transparent portion 1110 and a light blocking portion 1120. In addition, a film part gate region 1121 and a film part buttonhole region 1122 are formed in the light blocking part 1120.

인서트 필름부(1100)의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은 인서트 필름부(1100)에 사출재를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로 구현된다. The film part gate region 1121 of the insert film part 1100 is implemented as a gate for providing an injection material to the insert film part 1100.

또한, 사출재 성형을 위한 인서트 필름부(1100)은 도 1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1000)의 인서트 필름부(1100)과 달리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과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In addition, the insert film unit 1100 for molding an injection material is different from the insert film unit 1100 of the window cover material 1000 shown in FIG. 1, the buttonhole area 1122 and the gate area 1121 of the film unit It is positioned so as to face upward.

이는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을 통해 사출재를 공급할 경우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를 통해 인서트 필름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This is for mounting the insert film through the film buttonhole region 1122 when the injection material is supplied through the film part gate region 1121.

도 10 및 도 11는 도 7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인서트 필름 상부금형 거치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10 and 11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implementing an insert film upper mold mounting step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7.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금형(110)에 인서트 필름부(1100)이 지지되도록 상부금형 게이트 단차부(113)에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을 거치시키고,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111)에 인서트 필름부(1100)의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를 거치시킨다. As shown, the film part buttonhole area 1122 is mounted on the upper mold gate stepped part 113 so that the insert film part 1100 is supported on the upper mold 110, and the upper mold buttonhole hook part 111 The buttonhole area 1122 of the film part of the insert film part 1100 is mounted on the insert film part 1100.

또한, 상부금형 게이트 단차부(113)에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이 거치시킬 경우,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은 핫러너(112)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In addition, when the film part buttonhole region 1122 is mounted on the upper mold gate step 113, the film part gate region 1121 is positioned to face the hot runner 112.

상기한 바와 같이, 인서트 필름부(1100)의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과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을 각각 상부금형(110)의 상부금형 게이트 단차부(113)와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111)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인서트 필름부(1100)을 상부금형(110)에 거치시킴에 따라 별도의 필름 걸이 없이도 사출성형을 위한 필름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lm part buttonhole area 1122 and the film part buttonhole area 1122 of the insert film part 1100 are respectively separated from the upper mold gate step 113 and the upper mold buttonhole of the upper mold 110. As the insert film part 1100 is mounted on the upper mold 110 in a manner of being inserted into the hook part 111, it is possible to fix the film for injection molding without a separate film hook.

이에 따라, 일면이 상부금형(110)에 접촉된 인서트 필름부(1100)의 타면으로 사출재의 도포가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pply the injection material to the other surface of the insert film portion 1100 in which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mold 110.

도 12는 도 7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출재 토출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사출재 토출단계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implementing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in the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shown in FIG. 7, and FIG. 13 is a schematic use of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shown in FIG. It is a state diagram.

도시한 바와 같이, 핫러너(112)를 통해 사출재가 인서트 필름부(1100)의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을 통해 토출된다. 이때, 사출재는 토출방향으로의 유동이 하부금형(120)에 의해 제한되고 하부방향으로 유동된다. As shown,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through the hot runner 112 through the film portion gate region 1121 of the insert film portion 1100. At this time, in the injection material, the flow in the discharge direction is limited by the lower mold 120 and flows downward.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재의 유동은 제1 유동흐름(F1), 제2 유동흐름(F2), 제3 유동흐름(F3)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3, th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ludes a first flow flow F1, a second flow flow F2, and a third flow flow F3.

제1 유동흐름(F1)은 사출재의 게이트인 필름부 게이트영역(1121)을 통해 토출된 사출재의 유동을 정의한 것이고, 제2 유동흐름(F2)은 수평방향으로의 사출재의 유동을 정의한 것이고, 제3 유동흐름(F3)은 사출재의 유동압에 따라 사출재의 수직방향 유동을 정의한 것이다. The first flow flow (F1) defines th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film part gate region 1121, which is the gate of the injection material, and the second flow flow (F2) defines th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3 Flow flow (F3) defines the vertical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flow press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또한, 사출재의 수직방향 유동은 중략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rtical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correspond to the neutral direc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사출재가 제1 유동흐름(F1), 제2 유동흐름(F2), 제3 유동흐름(F3)으로 유동됨에 따라, 사출재의 역류 및 Meld line 형성이 저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injection material flows in the first flow flow (F1), the second flow flow (F2), and the third flow flow (F3),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lowering the revers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and formation of the melt line. .

도 14는 도 7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부금형 가압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implementing a lower mold pressing step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7.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재가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 사이에 토출된 상태에서 하부금형(120)을 이동시킨다.As shown, the lower mold 120 is moved while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between the upper mold 110 and the lower mold 120.

즉,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 사이에 토출재를 정량에 미달되도록 토출시키고, 하부금형(120)을 상부금형(110)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초기의 토출압으로 인해 사출재 유동의 급격한 변화가 방지되고 사출재가 안정적으로 유동되고,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의 간격을 조정하여 사출재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discharge material between the upper mold 110 and the lower mold 120 is discharged so as to be less than the quantity, and the lower mold 120 is moved to the upper mold 110. Accordingly, a rapid change in th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prevented due to the initial discharge pressure, the injection material flows stably, and the thickness of the injection material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upper mold 110 and the lower mold 120.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1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은 도 7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과 비교해서 인서트 필름 흡입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insert film suction step compared to the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shown in FIG. 7.

보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S2000)은 인서트 필름 프리포밍 단계(S2100), 인서트 필름 상부금형 거치단계(S2200), 인서트 필름 흡입단계(S2300), 사출재 토출단계(S2400), 및 하부금형 가압단계(S250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S2000) includes the insert film preforming step (S2100), the insert film upper mold mounting step (S2200), the insert film suction step (S2300),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S2400), and the lower part. It includes a mold pressing step (S2500).

또한, 인서트 필름 프리포밍 단계(S2100)와 인서트 필름 상부금형 거치단계(S2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S1000)의 인서트 필름 프리포밍 단계(S1100) 및 인서트 필름 상부금형 거치단계(S1200)과 동일하다.In addition, the insert film preforming step (S2100) and the insert film upper mold mounting step (S2200) are the insert film preforming step (S1100) and the insert film upper mold mounting step of the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S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is the same as step S1200.

다음으로 인서트 필름 흡입단계(S2300)는 인서트 필름에 흡입부를 통해 흡입력을 제공하여 인서트 필름을 상부금형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상부 금형에 거치된 인서트 필름은 흡입력에 의해 상부금형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된다.Next, the insert film suction step (S2300) is a step of fixing the insert film to the upper mold by providing suction power to the insert film through the suction unit. Accordingly, the insert film mounted on the upper mold is maintained in a state adsorbed to the upper mold by the suction force.

상기한 바와 같이 인서트 필름이 상부금형에 흡착됨에 따라 사출재 토출단계에서 사출재가 인서트 필름에 공급될 경우 보다 안정적인 인서트 필름의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insert film is adsorbed to the upper mold, more stable support of the insert film becomes possible when the injection material is supplied to the insert film in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e step.

다음으로 사출재 토출단계(S2400) 및 하부금형 가압단계(S25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S1000)의 사출재 토출단계(S1300), 및 하부금형 가압단계(S1400)와 동일하고 전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Next,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S2400) and the lower mold pressing step (S2500) are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S1300) of the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S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lower mold pressing step (S1400). The same and detailed descriptions as described above are omitted.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흡입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7은 도 15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인서트 필름 흡입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1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ction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15, and FIG. 17 is an insert film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15 It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pecific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inhalation step.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금형(110)에는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111)에 연장되도록 흡입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the suction part 2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mold 110 so as to extend to the upper mold buttonhole hook part 111.

또한, 인서트 필름에 흡입력을 제공할 경우 필름부 버튼홀영역(1122)가 상부 금형(110)의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111)에 밀착됨에 따라 넓은 면적으로 밀착면적(S)이 형성됨에 따라 고정효율이 증대된다. In addition, when a suction force is provided to the insert film, as the buttonhole area 1122 of the film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uttonhole hook part 111 of the upper mold 110 of the upper mold 110, the contact area S is formed in a large area. Fix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출재 토출단계에서 인서트 필름을 흡입하여 상부금형에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고정시킬 수 있고, 인서트 필름이 밀착된 상태에서 사출재를 인서트 필름에 토출시킴에 따라 인서트 필름의 밀림등의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고 효율적인 도포가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sert film can be sucked into the upper mold by sucking the insert film in the step of discharging the injection material, and the insert film is pushed by discharging the injection material to the insert film while the insert film is in close contact. The phenomenon of the back is prevented in advance and effective application is possible.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9은 도 18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개략적인 B-B 단면도이다. 1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schematic B-B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8.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2000)는 도 3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1000)와 비교하여 필름부 버튼홀영역과 사출부 버튼홀 영역이 절삭되어 관통부로 형성된다.As shown, the window cover 2000 for a display device is formed as a through portion by cutting a buttonhole area of a film portion and a buttonhole area of an ejection portion compared to the window cover material 1000 shown in FIG. 3.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2000)는 필름부(2100) 및 바디부(220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window cover 2000 for a display device includes a film part 2100 and a body part 2200.

보다 구체적으로, 필름부(2100)는 프리포밍된 IML(In Mold Label)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부(2100)는 투명부(2110)와 차광부(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투명부(211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차광부(2120)는 투명부(2110)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film unit 2100 may be formed of a preformed In Mold Label (IML) film. The film part 2100 may include a transparent part 2110 and a light blocking part 2120. That is, the transparent portion 21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area, and the light blocking portion 2120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ransparent portion 2110.

또한, 차광부(2120)에는 관통된 형상의 필름부 버튼홀영역(2121)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buttonhole region 2121 of the film portion having a penetrating shape is formed in the light blocking portion 2120.

또한, 바디부(2200)는 필름부(2100)에 결합된다. 필름부(2100)인 IML 필름의 배면에 사출재가 사출 성형되어 바디부(2200)가 형성됨과 동시에 바디부(2200)는 필름부(2100)에 결합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2200 is coupled to the film portion 2100. The body part 2200 is formed by injection-molding an injection-molded material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lm part 2100, the IML film, and the body part 2200 is coupled to the film part 2100.

그리고 바디부(2200)에는 필름부 버튼홀영역(2121)에 대응되는 바디부 버튼홀영역(221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dy part buttonhole area 2210 corresponding to the film part buttonhole area 2121 is formed in the body part 220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2000)는 윈도우 커버재(1000)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출재가 유출되는 게이트 영역이 필름부 버튼홀영역(2121)의 내부에 형성됨에 따라, 바디부(2200)를 형성하는 사출재의 유동흐름은 바디부 버튼홀영역(2210)으로부터 바디부(2200)의 외주부를 향함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window cover material 1000, the window cover 2000 for the display device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buttonhole area 2121 through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and thus the body 2200 It can be seen that the flow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forming) is directed from the buttonhole region 2210 of the body to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body 2200.

필름부 버튼홀영역 내에는 사출재가 토출되는 필름부 게이트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필름부 게이트 영역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름부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 영역은 필름부 전체 영역에 대하여 중심선을 기준으로 +10 % 내지 -10 % 사이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e buttonhole region of the film part, a gate region of the film part from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is formed, the gate region of the film part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ilm part, as shown in FIG. 6, and the central region is the entire region of the film part. It may be located in a region between +10% and -10% based on the center line of.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2000)에 있어서 바디부(2200)를 형성하는 사출재의 유동흐름은 Moldex3D, Optic Module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window cover 2000 for a display device, the flow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forming the body part 2200 can be checked through Moldex3D and the Optic Modul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implement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is not limiting.

1000: 윈도우 커버재
1100: 필름부
1110: 투명부
1120: 차광부
1121: 필름부 게이트영역
1122: 필름부 버튼홀영역
1200: 바디부
1210: 바디부 게이트영역
1220: 바디부 버튼홀영역
2000: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2100: 필름부
2110: 투명부
2120: 차광부
2121: 필름부 버튼홀영역
2200: 바디부
2210: 바디부 버튼홀영역
1000: window cover material
1100: film part
1110: transparent part
1120: light shielding part
1121: film part gate region
1122: film part buttonhole area
1200: body part
1210: body gate area
1220: body buttonhole area
2000: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2100: film part
2110: transparent part
2120: light shielding part
2121: film part buttonhole area
2200: body part
2210: body buttonhole area

Claims (18)

사출재가 공급되는 필름부 게이트 영역이 형성된 필름부; 및
상기 필름부의 일면에 결합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부 게이트 영역은 상기 필름부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 영역은 필름부 전체 영역에 대하여 중심선을 기준으로 +10 % 내지 -10 %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윈도우 커버재.
A film portion in which a gate region of the film portion to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is supplied is formed; And
Including a body portion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lm portion,
The film part gate region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ilm part,
The central area is formed in an area between +10% and -10% based on the center line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ea of the film unit.
Window cover materi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에는 필름부 버튼영역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필름부 버튼영역에 대응된 바디부 버튼영역이 형성된
윈도우 커버재.
The method of claim 1,
A film button region is further formed in the film part, and a body button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lm button region is formed in the body part.
Window cover material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 게이트 영역은 상기 필름부 버튼영역에 형성된
윈도우 커버재.
The method of claim 2,
The film part gate region is formed in the film part button region
Window cover material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 버튼영역과 상기 바디부 버튼영역은 상기 일면에서 타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윈도우 커버재.
The method of claim 2,
The film part button area and the body part button area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Window cover material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 버튼영역과 상기 바디부 버튼영역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
윈도우 커버재.
The method of claim 4,
The film part button area and the body part button area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Window cover material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투명부와, 상기 투명부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차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게이트 영역과 상기 필름부 버튼 영역은 상기 차광부에 형성된
윈도우 커버재..
The method of claim 5,
The film part includes a transparent part and a light blocking part form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transparent part, and the film gate area and the film part button area are formed in the light blocking part.
Window cover materi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디스플레이영역과 연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 게이트 영역과 상기 필름부 버튼 영역은 상기 연장영역에 형성된
윈도우 커버재.
The method of claim 6,
The light blocking part includes a display area and an extended area, and the film gate area and the film part button area are formed in the extended area.
Window cover material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필름부 게이트 영역에 대응되는 바디부 게이트 영역이 형성된 윈도우 커버재.
The method of claim 2,
A window cover material having a body portion gat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lm portion gate region formed on the body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게이트 영역은 상기 바디부 버튼영역에 형성된
윈도우 커버재.
The method of claim 7,
The body part gate region is formed in the body part button region
Window cover materials.
인서트 필름에 관통된 형상의 필름부 게이트 영역을 상기 인서트 필름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시킨 인서트 필름 프리포밍 단계;
상기 필름 거치부를 금형의 돌출부에 거치하는 인서트 필름 금형 거치단계; 및
상기 인서트 필름에 사출재를 제공하는 사출재 토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 영역은 필름부 전체 영역에 대하여 중심선을 기준으로 +10 % 내지 -10 %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
An insert film preforming step of forming a gate region of a film portion having a shape penetrating through the insert film in a central region of the insert film;
Insert film mold mounting step of mounting the film mounting portion to the protrusion of the mold; And
Including an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of providing an injection material to the insert film,
The central area is formed in an area between +10% and -10% based on the center line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ea of the film unit.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재 토출단계는 상기 인서트 필름의 일면이 상기 금형에 접하도록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필름 게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인서트 필름의 타면으로 사출재를 제공하는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the injection material is provi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insert film through the film gate area while one surface of the insert film is mounted to contact the mold.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재 토출단계는 상기 인서트 필름이 제1 금형에 접하도록 거치되고, 상기 인서트 필름의 타면으로 사출재를 제공하고,
제2 금형을 상기 제1 금형을 향하도록 이동시키는 금형 가압단계를 더 포함하는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is mounted so that the insert film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mold, and the injection material is provi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insert film,
Further comprising a mold pressing step of moving the second mold toward the first mold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필름 프리포밍 단계는 인서트 필름에 단차진 형상의 필름부 버튼영역을 더 형성시키는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sert film preforming step is to further form a stepped button region of the film portion on the insert film.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게이트 영역은 상기 필름부 버튼영역에 형성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lm gate region is formed in the button region of the film unit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 버튼영역을 상기 금형의 단차부에 거치하고, 상기 필름 버튼부 영역이 상기 단차부에 접하도록 상기 필름 버튼부 영역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 suction step of mounting the film button region to a stepped portion of the mold, and providing a suction force to the film button region so that the film button region contacts the stepped portion.
인서트 필름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된 필름 게이트 영역에 대향되는 핫러너가 형성된 제1 금형; 및
상기 제1 금형에 대향된 제2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핫러너는 제1 금형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 영역은 필름부 전체 영역에 대하여 중심선을 기준으로 +10 % 내지 -10 %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윈도우 커버재 제조장치.
A first mold having a hot runner facing the film gate region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insert film; And
Including a second mold facing the first mold,
The hot runner is form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first mold, and the central area is formed in an area between +10% and -10% based on the center line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ea of the film unit.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에는 필름부 버튼영역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윈도우 커버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In the first mold,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region of the film part is formed.
Window cover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투명부와, 상기 투명부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차광부가 형성된 필름부; 및
상기 필름부의 일면에 결합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부에는 필름부 버튼홀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필름부 버튼홀부에 대응되는 바디부 버튼홀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필름부의 내부에 사출재가 공급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부를 형성하는 사출재의 유동흐름은 상기 바디부 버튼홀영역으로부터 바디부의 외주부를 향해 유동되고,
상기 필름부 버튼홀영역 내에는 사출재가 토출되는 필름부 게이트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필름부 게이트 영역은 상기 필름부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 영역은 필름부 전체 영역에 대하여 중심선을 기준으로 +10 % 내지 -10 %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A film portion having a transparent portion and a light blocking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transparent portion; And
Including a body portion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lm portion,
The film part buttonhole region is formed in the film part, the body part buttonhol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lm part buttonhole part is formed in the body part,
The body part is made by supplying an injection material into the film part, and a flow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forming the body part flows from the body part buttonhole area toward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body part,
In the buttonhole area of the film part, a gate area of the film part from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is formed, the gate area of the film part is formed in the center area of the film part, and the center area is +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entire area of the film part. Formed in the area between 10% and -10%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s.
KR1020190133396A 2019-06-03 2019-10-25 Window cover for display, window cover parts, manufactur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49269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5085 2019-06-03
KR1020190065085 2019-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077A true KR20200139077A (en) 2020-12-11
KR102492697B1 KR102492697B1 (en) 2023-01-27

Family

ID=7378614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397A KR102492464B1 (en) 2019-06-03 2019-10-25 Window cover for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0190133394A KR20200139075A (en) 2019-06-03 2019-10-25 Window cover for display, window cover parts, manufactur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0190133396A KR102492697B1 (en) 2019-06-03 2019-10-25 Window cover for display, window cover parts, manufactur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0190133393A KR20200139074A (en) 2019-06-03 2019-10-25 Window cover for display, window cover parts, manufactur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0190133395A KR20200139076A (en) 2019-06-03 2019-10-25 Window cover for display, window cover part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397A KR102492464B1 (en) 2019-06-03 2019-10-25 Window cover for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0190133394A KR20200139075A (en) 2019-06-03 2019-10-25 Window cover for display, window cover parts, manufactur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393A KR20200139074A (en) 2019-06-03 2019-10-25 Window cover for display, window cover parts, manufactur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0190133395A KR20200139076A (en) 2019-06-03 2019-10-25 Window cover for display, window cover part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49246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6020A (en) * 1994-12-05 1996-06-18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Manufacture of key top plate
JP2735287B2 (en) * 1989-04-26 1998-04-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njection molding die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7213683A (en) * 2016-05-30 2017-1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Film in-mold injection molding die assembly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KR20180131206A (en) * 2017-05-31 2018-12-10 (주)엘지하우시스 Method of producing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927A (en) * 2009-10-22 2011-04-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Interior panel manufacture device in a car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2131962B1 (en) * 2013-06-25 2020-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anufacturing device for a 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cover window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5287B2 (en) * 1989-04-26 1998-04-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njection molding die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JPH08156020A (en) * 1994-12-05 1996-06-18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Manufacture of key top plate
JP2017213683A (en) * 2016-05-30 2017-1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Film in-mold injection molding die assembly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KR20180131206A (en) * 2017-05-31 2018-12-10 (주)엘지하우시스 Method of producing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076A (en) 2020-12-11
KR20200139078A (en) 2020-12-11
KR20200139075A (en) 2020-12-11
KR102492464B1 (en) 2023-01-27
KR102492697B1 (en) 2023-01-27
KR20200139074A (en)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2382B2 (en) Method and spray mold assembly for producing an elastomeric skin of at least two elastomeric materials and the elastomeric skin
US5275764A (en) Method of molding a vehicle lamp assembly
US8173244B2 (en) Transparent sheet-like shaped plastic part with concealed sprue mark, and process for producing it
US8075166B2 (en) Vehicle light
CN101019065B (en) Eyeglasse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111527009A (en) Radar-transparent decorative panel for a front grille of a motor vehicle
KR101036698B1 (en) Case of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474976B1 (en) Film or sheet holding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
KR10136907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mblem and emblem
KR20200139077A (en) Window cover for display, window cover parts, manufactur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608698B1 (en) Fram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00628B1 (en) Decorative element for an interior of a motor vehicle, device for an interior of a motor vehicle,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decorative element
KR20020086278A (en) A protective casing for a display screen and a method and tool for manufacturing such a casing
KR100352090B1 (en) Plastic resin article with covering film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6755248B2 (en) How to make a lens for spectacles, a lens made by that method, and a spectacle with that lens
JP2006096025A (en) Injection-molding method of thick molded article
JP2021094729A (en) Two-color molded article and two-color molding method
US11065792B2 (en)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on moulding and IR-compatible display frame
JP2000176965A (en) Injection molding device for plastic part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CN209095900U (en) Plastic cement center injection mold and middle frame structure
CN220582299U (en) Multi-material injection molding shell with appearance without chromatic aberration
JP3006839U (en) Plastic pattern lens
CN206920729U (en) The diaphragm and its frame of frame
KR100441853B1 (en) Elastomeric skin preparation methods and spray molding apparatus consisting of two or more elastomeric materials and elastomeric skins produced by this method
JP2023105467A (en) Resin mol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mo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