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916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916A
KR20200138916A KR1020190065252A KR20190065252A KR20200138916A KR 20200138916 A KR20200138916 A KR 20200138916A KR 1020190065252 A KR1020190065252 A KR 1020190065252A KR 20190065252 A KR20190065252 A KR 20190065252A KR 20200138916 A KR20200138916 A KR 20200138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voice
server
unit
voic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4536B1 (ko
Inventor
강효정
안준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5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536B1/ko
Publication of KR20200138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G10L17/24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the user being prompted to utter a password or a predefined phra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인식부가 음성인식을 활성화 하는 기동어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기동어를 다시 수신한 뒤, 상기 명령어를 수신하여도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는 음성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voice recogni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음성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으로 제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와, 상기 의류처리장치 에서 수신되는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를 통해 세탁 또는 건조를 수행할 때 상기 세탁장치가 제공하는 코스와 옵션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코스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의류에서 이물질과 세제를 분리하는 헹굼행정,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의 전 과정을 수행하는 완성된 사이클을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해당하며, 옵션은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드럼의 회전속도(rpm), 수온, 수위, 스팀공급 등의 강도, 정도와, 상기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의 횟수 등을 조절하는 제어방법에 해당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코스와 복수의 옵션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의류의 양, 의류의 재질, 현재 날씨, 스케쥴 등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맞는 코스와 옵션을 선택한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매번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킬 때마다 코스와 옵션을 직접 입력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의류가 너무 많아 손을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자의 신체가 불편한 경우에는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작동 설정을 변경하고 싶을 때마다,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항상 근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근자에는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여 코스나 옵션을 입력받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한국특허출원공보 제10-2017-0110319호 참조)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여 이와 대응되는 코스와 옵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코스와 옵션을 물리적인 접촉으로 입력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음성인식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발화하는 음성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음성인식부는 주변 소리나 사용자의 다른 음성도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음성인식부가 수신한 모든 소리를 인식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상기 음성인식부는 특정 기동어를 수신하였을 때만 활성화 되어 사용자의 음성 중에 음성명령이 있는지를 인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음성인식부는 상기 기동어를 수신할 때까지 모든 소리를 무시할 수 있어 서버나 제어부의 과부하가 배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사용자는 기동어와 명령어를 항상 같이 발화해야 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명령어만 발화해야 되는 상황에서 기동어도 함께 발화하여 의류처리장치가 명령어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가 명령어를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1(a)를 참조하면, 종래의류처리장치의 기동어는 “엘지트롬”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엘지트롬”을 발화하고 명령어인 “표준코스선택해”를 발화하였을 때, 음성인식부 또는 서버는 상기 명령어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20)가 상기 명령어의 재발화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기동어가 아닌 명령어만 발화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표준코스선택해”를 다시 발화하면 상기 명령어가 인식되어 의류처리장치(20)가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도1(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기동어와 명령어를 구분하지 못할 수도 있고, 기동어와 명령어를 항상 함께 발화해야 하는 것으로 오해하고 있으므로 기동어와 명령어를 함께 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인식부와 서버는 상기 기동어와 명령어가 조합된 명령어가 없으므로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없다. 즉, 기동어는 음성인식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기동어를 반복적으로 발화하면 상기 명령어를 기다리는 음성인식부나 서버가 이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는 반복적으로 다시 명령어를 발화하도록 요청하고, 사용자는 반복적으로 기동어까지 발화하여 음성인식이 불가능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 결과,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명령어를 한번에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가 음성인식 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신뢰성이 급감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언어 습관까지 고려하여 음성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음성인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가 일부 음성명령을 한번에 인식하지 못할 경우, 사용자가 전체 음성명령을 다시 발화하더라도 일부 음성명령까지 인식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음성인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기동어와 명령어를 복수회 발화하더라도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음성인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는 명령어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기동어와 명령어가 조합된 음성을 수신하여도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음성인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음성인식부는 음성인식을 활성화 하는 기동어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기동어를 다시 수신한 뒤, 상기 명령어를 수신하여도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동어를 인식한 후 상기 명령어만 발화한 경우와 같이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기동어와 명령어를 발화하였을 때 뿐만 아니라, 기동어와 기동어 및 명령어를 발화한다고 하더라도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명령어를 미인식하였을 때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를 동시 발화하여도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명령어를 인식하지 못한 상태가 아니라도 기동어를 2회 말하고 명령어를 발화하여도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성인식부는 상기 기동어를 제거하여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음성인식부는 상기 기동어를 제거하여 상기 명령어만 음성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부 또는 상기 서버는 상기 기동어가 조합된 상기 명령어에서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부 또는 상기 서버는 상기 명령어를 복수의 명령어가 기재된 테이블과 매칭하여 인식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명령어에 상기 기동어가 조합되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 음성인식 방법은 기동어를 수신하여 인식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기동어에 부가되는 후속음성의 수신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상기 후속음성에서 상기 명령어가 미인식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명령어의 재발화가 요청되는 요청단계와, 추가 음성명령의 수신을 감지하는 추가감지단계, 상기 추가 음성명령에서 상기 명령어를 인식하는 재인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인식단계는 상기 추가음성명령에서 상기 명령어가 수신되거나,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가 함께 수신된 것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상기 명령어를 인식한다.
상기 추가음성명령에서 상기 기동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포함판단단계와,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가 조합된 상기 추가음성명령에서 상기 명령어를 인식하는 기동어처리단계;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기동어처리단계는 상기 추가음성명령에서 인식된 상기 기동어를 제거하여 상기 명령어를 추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동어처리단계는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를 조합하여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후속음성이 기준시간(t1) 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음성명령 수신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단계에서 상기 추가음성명령이 설정시간(t2)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음성명령 수신을 중단할 수 있다.
이로써, 음성인식부(300)가 불필요하게 음성인식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재인식단계 또는 상기 기동어처리단계는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재인식단계는 상기 음성인식부가 상기 후속음성을 상기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후속음성에서 상기 명령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재인식단계 또는 상기 기동어처리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언어 습관까지 고려하여 음성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가 일부 음성명령을 한번에 인식하지 못할 경우, 사용자가 전체 음성명령을 다시 발화하더라도 일부 음성명령까지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기동어와 명령어를 복수회 발화하더라도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는 명령어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기동어와 명령어가 조합된 음성을 수신하여도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음성인식 방법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한 사용자도 의류처리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음성인식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음성인식 시스템의 서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음성인식 시스템이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음성인식 시스템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상기 컨트롤패널이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전원이 off되었을 때 음성인식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음성인식을 한번에 수행하지 못했을 때 음성인식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11는 도10의 음성인식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2은 도11의 음성인식방법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시스템 은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다른 기기와 통신하거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 20)와 음성 인식 및 가전 제어를 위한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서버(10)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시스템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등 외부단말(40)을 포함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는 내부에 통신 모듈(25)을 구비하여 외부단말(40) 또는 서버(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20)는 의류를 세탁 하거나 건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20)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다양한 코스와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코스는 세탁기에서 사용되는 세탁코스와 건조기에서 사용되는 건조코스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코스가 세탁기에 적용되는 세탁코스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상기 코스는 건조기에 사용되는 건조코스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코스는 의류처리장치를 통해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의류의 이물질과 세제를 분리하는 헹굼행정,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구동이며, 의류의 세탁을 처음부터 끝까지 수행하는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제어방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스는 건조행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코스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과정(washing cycle)과 수분이 함유된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과정(drying cycl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는 일련의 제어방법 제공하는 임의의 코스로 구성될 수 있다. ,
또한, 상기 코스의 옵션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각 행정 반복 횟수,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강도,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드럼의 회전속도, 수온 및 수위의 정도, 스팀공급 등의 여부, 각 행정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제어방법일 수 있다.
즉, 옵션은 상기 코스의 부가적인 조건을 설정하는 임의의 옵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20)는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컨트롤패널(1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00)은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은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음성인식부(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성명령은 사용자의 음성 중 의류처리장치(20)를 실질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음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음성명령은 상기 의류처리장치(2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명령일 수 있고, 상기 의류처리장치(20)에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시킬 수 있는 명령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모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으로써 대부분의 동작이나 조건들을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부(300)로 수신된 음성명령은 상기 컨트롤패널(100)에 구비된 제어부에 의해 인식되거나, 후술하는 음성인식 서버(10)를 통하여 인식될 수 있다. 인식된 음성명령은 이와 대응되는 제어명령으로 전환되어 상기 의류처리가 작동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와 음성인식부(300)의 세부적인 구조와 기능은 후술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코스나 옵션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컨트롤패널(10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들(20)은 통신모듈(25)과 억세스 포인트(30)를 통하여 상기 서버(10)에 통신연결되어 상기 서버(10)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음성인식 시스템 내의 전자 기기들에, 소정 통신 방식에 의한 무선 채널을 할당하고, 해당 채널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가 구비하는 통신 모듈(25)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물론, 홈 어플라이언스(20)는 다른 종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홈 어플라이언스(20)는 NFC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통신 모듈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40) 등과 같은 별도의 수단으로 상기 서버(10)에 접속하여 의류처리장치(2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40)은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의류처리장치나 서버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기기를 의미하고, 외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 모듈을 갖는 기기들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외부단말(40)은 사용자에게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상태정보를 전달하거나, 서버(1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서버(10)에 의한 음성인식을 포함하는 원격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20)을 구매하여 원격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서버(1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측 프로토콜 등이 구비된 제품일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제품으로서 상기 서버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제품을 위해 상기와 같은 통신모듈 및 클라이언트측 프로토콜을 포함한 별도의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별도의 장치를 구매하여 상기 기존 제품에 연결함으로서 음성인식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서버(10)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 회사, 판매 회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서버(10)에 의한 원격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의류처리장치(20)은 자체의 고유한 디바이스ID를 가지고 상기 서버(10)에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20)으로부터 상기 서버(10)에 억세스하면 상기 서버(10)는 상기 디바이스ID를 통해 그 의류처리장치(20)를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에는 상기 디바이스ID와 함께 해당 의류처리장치의 특성정보(예컨대, 제품종류, 모델정보 등등)가 함께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ID는 제품종류나 모델정보와 같은 제품의 특성정보와 관계없이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제품의 특성정보가 함께 코드화되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디바이스ID만을 가지고 상기 서버(10)는 해당 제품의 종류나 모델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서버(10)에 등록된 의류처리장치(20)를 통해서 음성인식을 포함한 각종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의류처리장치 (20)의 디스플레이창(표시부)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그 의류처리장치(20)는 서버(10)에 해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처리장치(20)는 서버(10)에 접속하여 서버(1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프로그램을 받기만 하면 되므로, 의류처리장치(20)의 음성인식에 필요한 특수 마이컴이 아닌 기존 마이컴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경우 의류처리장치(20)는 사용자와 항상 인접한 곳에 위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20)는 집에 있고, 사용자는 회사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의류처리장치(20)을 통해 서버(10)로 해당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들은 많은 경우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이 항상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외부 단말(40)을 통해 상기 음성인식을 위한 서비스를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외부단말(40)에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단말(40)은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어 매우 편리하게 상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응용프로그램들을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를 원격 관리, 원격 제어, 모니터링, 진단, 음성인식 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이 전술한 원격 서비스의 일례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단말(40)은 서버(10)와 직접 통신하고, 상기 서버(1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20)와 통신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 단말(40)을 통해 원격 서비스를 요청하고 서비스 수행 및 완료 등과 같은 정보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20)는 건물 내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건물 내의 AP(30)를 통해 안정적으로 상기 서버(10)와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외부 단말(40)은 상기 서버(10)를 거쳐 상기 의류처리장치(20)와 간접적으로 통신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의류처리장치(20) 의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원격 제어 서비스, 딥러닝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를 요청하고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외부 단말(40), 서비스를 원하는 의류처리장치(20) 그리고 서버(10)와의 관계가 특정될 필요가 있다. 의류처리장치(20)을 통하여 서버(10)에 억세스하는 경우에는 억세스할 때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ID를 통해 억세스함에 따라 서버에 서비스 대상을 특정할 수 있지만 의류처리장치(20)을 통하지 않는 경우에는 서비스 대상의 의류처리장치를 특정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서버(10), 의류처리장치(20), 외부단말(30)의 각 관계가 특정되어 음성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는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서버(10)가 제공하는 사용자 사이트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의류처리장치(20) 고유의 디바이스ID를 입력하면서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자신이 보유한 의류처리장치(20)를 모두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사이트에 등록된 의류처리장치(20)들은 서버(10)에 해당 사용자 ID와 함께 등록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사용자 사이트에서 자동으로 상기 서버에 사용자 ID와 사용자 ID와 매칭된 의류처리장치들의 디바이스ID들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 상기 서버(10)는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의류처리장치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정보와 의류처리장치 정보는 매칭되어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외부 단말(4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을 수도 있다. 물론, 이를 통해서 자신이 보유한 의류처리장치를 모두 등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특정 의류처리장치의 원격 서비스를 위해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 의류처리장치의 원격 서비스를 위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버(1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러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의류처리장치(20)에서 직접 상기 의류처리장치(20)를 서버로 등록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20)를 통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20)를 상기 서버(10)로 등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20)는 상기 서버 주소와 사용자 사이트 주소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의류처리장치(20)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의류처리장치(20)의 정보를 상기 서버(10)로 송신하여 양자 간의 통신이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10)는 의류처리장치(20)와 사용자를 매칭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서버(10)는 특정 사용자가 특정 의류처리장치(20)를 가지고 있다는 것과 상기 특정 제품이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지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어느 경우이든, 사용자가 ID를 발급받는 경우 그 ID는 그 사용자의 의류처리장치 정보, 즉 디바이스ID와 같은 제품의 고유정보와 함께 서버(10)에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와 의류처리장치의 정보는 서로 매칭되어 있으므로, 어느 하나를 통해서 다른 하나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버(10), 외부 단말(40) 또는 의류처리장치(2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접수된 서비스는 운영자가 서버(10)에 해당 관리 서비스를 위한 명령을 내림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서버(10)의 오픈 API를 통해 상기 사용자 사이트, 외부 단말 또는 의류처리장치(20)가 직접 상기 서버(10)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10)에 직접 관리 요청을 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20)을 시작점으로 하여 서버(10)까지의 통신 경로를 고려할 때, AP이후는 공용 인터넷망이며, AP 이전은 사설 인터넷망에 해당한다. 의류처리장치는 (20)은 AP(30)로부터 사설 IP를 부여받게 되며, AP(30) 자체는 고유한 IP를 가지게 된다. 서버(10)도 IP를 가지는데, 서버의 IP는 고유의 IP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통신모듈, 예를 들어 와이파이 모듈은 상기 서버의 고유IP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화 절차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상기 서버의 IP로 접속하여 양자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온라인시스템은 외부기관(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관은 의류의 세탁에 있어서 필요한 지역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이거나, 음성인식에 필요한 기관일 수 있다.
상기 외부기관(50)은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서버(10) 또는 AP(30), 외부단말(40)에 각종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성인식 시스템으로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처리하는 서버 구조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서버의 일실시예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음성인식 서버(10)는 의류처리장치(2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 명령을 판별하는 음성처리 서버(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은 사용자에게 음성을 수신하면 상기 음성을 음성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음성데이터를 상기 음성인식 서버(1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음성처리 서버(11)는 의류처리장치(2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text) 데이터로 변환하며,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음성이 음성 명령인지와, 상기 음성명령이 어떤 명령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 서버(10)는 판별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각종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 서버(1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20)로부터 상기 판별한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판별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연계 서비스 서버(12)와 상기 연계 서비스 서버(12)로부터 수신되는 요청 신호에 기초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의류처리장치(20)로 송신하는 가전 제어 서버(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2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명령 입력을 수신하여 수신한 음성 명령 입력에 기초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처리 서버(11)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음성처리 서버(11)는, 의류처리장치(2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text) 데이터로 변환하는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서버(11a), 상기 자동 음성 인식 서버(11a)로부터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 명령을 판별하며, 상기 판별한 음성 명령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의류처리장치(20)로 송신하는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서버(11b),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20)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20)로 송신하는 텍스트 음성 변환(Text to Speech: TTS) 서버(1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음성 인식 서버(11a)는 의류처리장치(20)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자연어 처리 서버(11b)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자연어 처리 서버(11b)는 상기 자동 음성 인식 서버(11a)로부터 수신한 텍스트 데이터를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하여 음성 명령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자연어 처리 서버(11b)는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사람이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인 자연어를 처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intent)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자연어 처리 서버(11b)는 상기 자동 음성 인식서버(11a)로부터 수신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하여 자연어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음성 명령을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연어 처리 서버(11b)는 사용자가 일상적인 사용 언어로 음성 명령을 입력하더라도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음성 명령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자연어 처리 서버(11b)는 자연어 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신호, 즉, 판별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연계 서비스 서버(12)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연계 서비스 서버(12)는 상기 자연어 처리 서버(11b)로부터 상기 판별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연계 서비스 서버(12)는 판별한 음성 명령이 의류처리장치(20)에 관한 것이면, 상기 가전 제어 서버(13)와 통신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계 서비스 서버(12)는 판별한 음성 명령이 의류처리장치(20)에 관한 것이 아니면, 외부의 외부 서비스(121)와 통신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계 서비스 서버(12)는 판별한 음성 명령이 날씨, 주식, 뉴스 등의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이면, 요청된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해당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계 서비스 서버(12)는 수신한 정보를 음성처리 서버(11)로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자연어 처리 서버(11b)는 수신한 정보를 의류처리장치(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계 서비스 서버(12)는 판별한 음성 명령이 의류처리장치(20)에 관한 것이면, 상기 판별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가전 제어 서버(13)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가전 제어 서버(13)는, 상기 연계 서비스 서버(12)로부터 수신되는 요청 신호에 기초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의류처리장치(2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시작하라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가전 제어 서버(13)는 상기 의류처리장치(20)로 세탁을 시작하라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20)는 상기 가전 제어 서버(13)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20)는 요청받은 동작을 수행한 후 동작을 수행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가전 제어서버(13)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전 제어 서버(13)는 상기 의류처리장치(20)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정보를 상기 연계 서비스 서버(12)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음성처리 서버(11)는 상기 처리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의류처리장치(2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처리 서버(11)는 상기 의류처리장치(20)로부터 상기 처리 결과 정보에 대응하는 출력 문구 텍스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출력 문구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자연어 처리 서버(11b)가 상기 의류처리장치(20)로 송신하는 상기 판별한 음성 명령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는 상기 처리 결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20)는 상기 자연어 처리 서버(11b)로부터 상기 판별한 음성 명령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신호를 상기 판별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응답의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탁 코스를 변경하는 음성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는 세탁 코스를 변경하였음을 나타내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20)는 수신한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텍스트 음성 변환 서버(11c)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신호는 상기 처리 결과 정보에 대응하는 출력 문구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텍스트 음성 변환 서버(11c)는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2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음원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20)는 표시부(130)를 통하여 수신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계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판별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상태 정보를 상기 가전 제어 서버(13)로 요청하고, 상기 가전 제어 서버(13)는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상태 정보를 상기 연계 서비스 서버(12)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가전 제어 서버(13)는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상태 정보가 확보되어 있는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20)로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계 서비스 서버(12)는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별한 음성명령의 지원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가전 제어 서버(13)로 상기 판별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계 서비스 서버(12)는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별한 음성명령의 지원이 불가능한 경우에, 상기 자연어 처리 서버(11b)로 현재 상태에서 지원되지 않는 기능임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의류처리장치(20)는 상기 텍스트 음성 변환 서버(11c)로 음성 데이터를 요청, 수신하여, 현재 상태에서 지원되지 않는 기능임을 알리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처리 서버(11)가 상기 판별한 음성 명령의 지원 가능 유무까지도 판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의 음성 명령의 의도를 분석한 상기 자연어 처리 서버(11b)가 상기 판별한 음성 명령의 지원 가능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판별한 음성 명령이 지원 불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자연어 처리 서버(11b)가 송신하는 상기 판별한 음성 명령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는 상기 판별한 음성 명령이 상기 의류처리장치(20)가 지원하지 않는 기능임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처리 서버(11) 및 이를 포함하는 음성 인식 서버(10)는 자연어 음성처리를 위해 여러 역할을 하는 서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장치(20)는 음성 명령의 수신 및 전처리, 서버 전송까지의 동작을 수행하고, 음성처리 서버(11)는, 음성/텍스트 변환, 의도분석, 명령 식별 등 자연어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처리 서버(11)가 자연어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 내부 임베디드 모듈의 CPU, 메모리 등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연계 서비스 서버(12)는 외부 서비스 및 가전 제어 서버(13)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기초한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20)는 음성처리 서버(11)로부터 음원 파일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안내 메시지를 오디오로 출력함으로써, 청각적 피드백으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화답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20)는 음성처리 서버(11)로부터 음성 파일을 스트리밍으로 전달 받아 사용자에게 음성 안내 메시지를 재생,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20)는 다양한 음원 파일을 저장하고 있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또한, 연계 서비스 서버(12)를 통하여 다른 서버와 충돌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외부 서비스들과의 연계가 가능하다. 또한, 외부 서비스 연동 서버를 통해 의도분석 시 외부 정보를 반영하여 의도분석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서버(10)는 복수의 서버를 통해, 호환성 및 연결성을 확보하고, 최종 제어 명령을 위해 가전 제어 서버(13)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한 가전 제어 사이의 충돌, 또는 외부단말(40)을 통한 가전 제어와 의류처리장치(20)를 통한 음성 입력에 의한 가전 제어 간 충돌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서버(10)은 서버 간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어느 한 서버에 의존하여 특정서버에 부하가 몰리는 것을 줄일 수 있고, 각각의 서버 별 역할이 달라, 특정 서버에서 문제가 생길경우 동일한 역할을 하는 타 서버와의 연계를 통해 쉽게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서버들을 독립적으로 수시로 업데이트할 수 있어, 성능 개선에 유리하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음성처리 서버(11)에서 음성 인식 결과는 텍스트(Text)로 생성되고(S1), 텍스트(Text)에서 바로 키워드가 추출될 수 있다(S2). 또는, 음성처리 서버(11)에서 음성 인식 결과는 텍스트(Text)로 생성되고(S1), 가전 제어 서버(13)는 텍스트(Text)에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S2).
가전 제어 서버(13)는 상기 의류처리장치(20)에 기설정된 복수의 표준 코스들이 저장된 테이블(T1,T2)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의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세탁 코스를 검색하여, 추천 세탁 코스를 판별하는 매칭프로세스(S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전 제어 서버(13)는 상기 제1 테이블(T1)에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의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세탁 코스가 없으면, 상기 복수의 표준 코스들에서 하나 이상의 설정이 변경된 복수의 파생 세탁 코스들이 저장된 제2 테이블(T2)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의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세탁 코스를 검색하여, 추천 세탁 코스를 판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테이블에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음성명령이 발화리스트로 기재되어 있거나, 제어적으로 선행 명령에 해당하는 음성명령이 발화리스트로 기재되어 있다면 음성인식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테이블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음성명령과 관련된 발화리스트가 기재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제2테이블에는 의류처리장치가 코스나 옵션을 수행하는 발화리시트가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전원ON/OFF에 관련된 음성명령을 발화하는 경우, 가전 제어 서버(11)는 제1테이블을 우선 검색하여 음성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매핑 프로세스(S3)에서 가전 제어 서버(13)는 첫번째로 제1 테이블(T1)에서 해당 세탁물 처리기기(200a)가 제공하는 세탁 코스가 있는지를 먼저 검색을 하고, 해당 키워드와 세탁 코스 매핑이 성립되면 매핑된 세탁 코스로 추천 세탁 코스를 설정한다(S4). 매핑 프로세스(S3)에서 가전 제어 서버(13)는 제1 테이블(T1) 원하는 세탁 코스가 없으면, 제2 테이블(T2)에서 해당 세탁 코스가 있는지를 검색하여 추천 세탁 코스로 설정한다(S4).
한편, 제1 테이블(T1)에는 해당 의류처리장치(20)에서 특별히 제공되는 특별 세탁 코스가 저장되고, 제2 테이블(T2)에는 범용의 표준 코스들에서 하나 이상의 설정이 변경된 복수의 파생 세탁 코스들이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가전 제어 서버(13)는 제1 테이블(T1), 제2 테이블(T2) 순서로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세탁 코스를 검색하여 설정할 수 있다. 가전 제어 서버(13)는 제1 테이블(T1), 제2 테이블(T2)에서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세탁 코스가 없으면, 범용의 표준 세탁 코스 중 하나로 추천 세탁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발화와 세탁 코스 설정에 관한 매핑 변환은 제1 테이블(T1), 제2 테이블(T2) 등으로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고, 지속적으로 추가가 되어 새로운 세탁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테이블(T1), 제2 테이블(T2)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처리장치(20)에 저장된 데이터의 변경 없이도, 새로운 세탁 코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테이블(T1)에 전원을 키고 끄는 발화리스트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2테이블(T2)에는 의류처리장치(20)가 제공하는 코스나 옵션들이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전원켜”라는 음성명령을 발화하면, 상기 텍스트로 전환된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제1테이블(T1)과 우선 비교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ON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표준코스로 설정”라는 음성명령을 발화하면, 상기 텍스트로 전환된 음성인식결과를 제1테이블(T1)과 비교한 후, 상기 제2테이블(T2)가 비교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상기 표준코스를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지금까지 음성인식 서버(10)를 통하여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 상기 음성인식 서버(10)가 처리하는 음성인식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150)나 음성인식부(300)가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150) 또는 음성인식부(30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테이블(T1,T2)이 저장된 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텍스트로 직접 전환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T1,T2)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명령과 대응되는 음성이 주파수 파형으로 저장되어 있고,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주파수 파형을 인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상기 주파수 파형과 테이블(T1,T2)을 비교하여 음성명령을 인식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의류처리장치(20)가 서버(10)와 통신연결되지 않아도 음성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음성인식부(300)를 제어하는 마이컴은 병렬연산장치 등 고성능 마이컴으로 구비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20)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1)과, 상기 캐비닛(2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2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20)가 세탁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의류수용부(23,24)는 물을 수용하는 터브(23)와 상기 터브에 수용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드럼(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24)은 회전할 때 의류의 언밸런스를 보정할 수 있는 밸런스부(24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외주면을 관통하여 물 또는 공기가 투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관통홀(24a)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수용부는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은 전방에 투입구와 대응되는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1)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20)는 상기 드럼(24)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모터(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25)는 상기 터브(23)에 결합되어 회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스테이터(251)와,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252)와 상기 로터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터브(23)를 지지하는 지지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8)는 터브(23)의 상부와 캐비닛을 결합시키는 제1지지부(281)와, 상기 터브(23)의 하부와 상기 캐비닛을 결합시키는 제2지지부(28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81)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부(282)는 댐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23)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6)와, 상기 터브(23)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6)는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261)과, 상기 급수관(26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262)와, 상기 급수관과 상기 터브(23)를 연통하는 세제박스(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27)는 상기 터브(23)에 연통되어 상기 캐비닛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관(272)과 상기 터브(23)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27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터브(23)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와, 상기 터브(23)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코스나 옵션을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컨트롤패널(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표시부(130)나 통신모듈(25)을 제어하는 제어하는 특정 제어부와 별도로 구비된 메인 마이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터브(23) 내부의 상태를 가변시킬 수 있는 모든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모터(25)와, 상기 배수펌프(271), 상기 급수밸브(262), 상기 스팀공급부, 상기 히터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의류수용부(23,24) 내부의 상태를 가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25)와, 상기 배수펌프(271), 상기 급수밸브(262), 상기 스팀공급부, 상기 히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므로 구동부(Operating portion, O)로 통칭할 수 있다. 즉, 구동부(O)는 상기 복수의 코스나 옵션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제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20)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의류수용부(23,24)는 의류를 수용하여 회전하는 드럼(24)만 포함할 수 있으며, 급수부(26)나 배수부(27)는 생략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100)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패널(100)은 의류처리장치가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상기 입력부(140,160)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기 표시부(130)와 상기 음성명령을 인식받는 음성인식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컨트롤패널(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마이크(310)와, 상기 제1마이크에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마이크(320)와, 상기 제1마이크(310)와 상기 제2마이크(320)를 제어하는 음성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제어부는 상기 제어부(150)와 별도로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의류처리장치(20)의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세탁과정을 수행하는 임의의 코스 중 어느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도록 구비되는 코스입력부(140)와, 상기 코스의 강도 및 정도를 조절하는 임의의 옵션 중 어느 하나의 옵션을 선택하는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옵션선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코스는 일반적인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방법 또는 그 집합으로 구비되는 제1코스와, 상기 의류의 살균을 수행하는 세탁방법 또는 그 집합 제2코스와, 상기 의류의 재질을 고려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방법 또는 그 집합 제3코스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션은 상기 선택된 코스에서 세탁강도를 조절하는 제1옵션과, 헹굼의 횟수를 조절하는 제2옵션과, 탈수강도를 조절하는 제3옵션과, 의류와 물을 수용하는 터브의 물온도를 결정하는 제4옵션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세탁강도와 상기 탈수강도를 조절하는 것은 세탁행정과 탈수행정에서 상기 드럼의 rpm,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변경 주기 등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코스와 옵션의 분류는 예시일 뿐 여러 형태로 변경되어 상기 분류 및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스선택부(140)는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순차적으로 설정된 또는 표시된 코스가 선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스선택부(140)는 상기 제1코스 중 어느하나가 선택되도록 구비되는 제1코스선택부(141)와, 상기 제2코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비되는 제2코스선택부(142)와, 상기 제3코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비되는 제3코스선택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션선택부(160)도 상기 코스선택부(140)와 같이 반복적으로 입력되어 순차적으로 설정되거나 표시된 코스가 선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션선택부(160)는 상기 선택된 코스에서 세탁강도를 조절하는 제1옵션선택부(161)과, 헹굼의 횟수를 조절하는 제2옵션선택부(162)과, 탈수강도를 조절하는 제3옵션선택부(163)과, 의류와 물을 수용하는 터브의 물 온도를 결정하는 제4옵션선택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션선택부(160)는 각각의 옵션선택부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원하는 옵션이 선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외부에 의류처리장치(20)의 상태나 서버(10)에서 수신한 정보를 시각정보, 소리정보로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코스입력부(140)에서 선택된 코스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131)와, 상기 옵션선택부(160)에서 선택된 옵션을 표시하거나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132)와,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표시부(132)는 디스플레이 액정으로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은 통신모듈(25)과 서버(10)의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와이파이 아이콘과, 음성수신상태를 표시하는 마이크아이콘(132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표시부(132)는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시간표시부(132b)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코스/옵션의 수행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13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7은 음성에서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표시부(130)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음성인식부(300)가 음성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standby)이면, 상기 마이크아이콘(132a)이 점등될 수 있다. 음성인식부(300)에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 또는 통신모듈(25)과 음성인식 서버(10)가 통신 가능한 상태가 음성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마이크아이콘(132a)이 점등된 상태를 확인하고, 음성명령을 발화할 수 있다. 상기 음성명령은 상기 제어부(150)에 상기 구동부(O)를 제어하는 명령을 발생시키는 명령어와, 상기 명령어의 인식을 준비시키는 기동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20)가 전원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음성인식부(300) 또는 상기 통신모듈(25)에는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50)는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O)가 작동하지 않는 한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동부(O)에는 전력을 소모하는 전자제품이 다수 구성되어 있으므로 대기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음성인식부(300)의 음성제어부는 상기 기동어를 자체적으로 수신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기동어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만 상기 명령어를 인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기동어를 인식할 경우에만 상기 명령어를 상기 음성인식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명령어를 자체적으로 인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는 상기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에만 상기 명령어가 어떠한 발화리스트에 매칭되는지 점검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기동어가 인식될 경우에만, 상기 서버(10) 또는 상기 음성ㅇ니식부(300)는 상기 명령어의 인식을 시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모든 음성을 판별하는 경우 상기 음성인식부(300) 또는 상기 서버(10)에 과부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기동어는 “엘지 트롬” 또는 “하이 엘지”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외부단말(40) 등을 통해 다른 기동어로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기동어를 수신하면, 상기 기동어를 수신 완료한 상태와 상기 명령어의 발화를 요청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아이콘(132a)가 깜빡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아이콘(132a)이 깜빡일 때, 상기 명령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상기 명령어를 인식하거나, 상기 명령어가 상기 음성인식 서버(10)를 통해 최종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스피커(133)로 상기 음성명령이 최종 인식되었음을 알리는 소리컨펌(confirm)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소리컨펌(confirm)은 상기 음성인식 서버(10)에서 전술한 음성인식 절차가 모두 완료될 때 상기 스피커(133)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자체적으로 음성인식을 완료할 때 상기 상기 소리컨펌은 상기 스피커(133)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50)에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명령어와 대응되는 제어명령으로 상기 구동부(O)가 구동할 수 있다.
도8은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20)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있지만, 상기 제어부(15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작동이 종료된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제어부(15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도, 별도로 상기 외부전원에서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20)는 상기 제어부(150)에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기동어와 명령어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상기 제어부(15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요청하지 않고, 바로 상기 제어부(150)에 전원을 공급한 뒤 상기 명령어에 관련된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음성명령을 발화하는 것은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전제로 상기 코스나 옵션을 지시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음성인식부(300)나 상기 서버(10)는 상기 음성명령을 인식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의도가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15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 결과, 의류처리장치(20)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상기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음성명령을 제외한 음성명령을 상기 음성인식부가 수신하더라도, 상기 의류처리장치(20)는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음성명령과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제어부(13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와, 상기 음성명령이 인식되어 수신되는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원부(120)가 입력된 후, 상기 코스입력부(140) 또는 상기 옵션입력부(160)가 입력된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명령어 중 상기 제어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명령어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ON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ON하는 음성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5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상기 기동어 뿐만 아니라 명령어까지 인식해야 상기 제어부(15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기동어만 발화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5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서버(10)에 음성명령을 전송하는 것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즉,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상기 기동어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명령어를 수신하도록 활성화 되고, 상기 명령어가 수신되어야만 상기 음성인식부 자체가 상기 명령어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150)에 전력공급을 허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상기 통신모듈(25)을 통해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를 상기 음성인식 서버(10)에서 전달하여 상기 음성인식 서버(10)에서 상기 명령어까지 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음성인식 서버(10)가 상기 제어부(150)에 전력이 공급하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음성명령을 인식하여 처리하는 음성인식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은 상기 음성인식부(300)를 통하여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단계(A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수신단계는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까지 모두 인식한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음성수신단계는 상기 음성인식부(300)에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로 추정되는 음성이 수신된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상기 기동어까지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기동어에 후속하는 음성의 수신확인을 한 단계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든, 상기 음성수신단계(A1)가 수행되면,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ON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전원공급감지단계(A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감지단계(A2)에서 전원이 제어부(150)에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명령어를 확인하여 인식하거나, 상기 통신모듈(25)을 통하여 상기 음성인식 서버(10) 상기 명령어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명령어 처리단계(A3)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명령어 처리단계(A3)는 상기 음성인식부(300) 또는 상기 서버(10)는 현재 제어부(150)가 상기 구동부(O)를 작동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점검단계(A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구동부(O)를 작동하고 있다면, 상기 표시부(130)를 통해 상기 음성명령을 처리할 수 없다는 상태를 표시하는 에러표시단계(A38)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가 구동부(O)를 작동하고 있다면 상기 음성명령을 인식할 필요도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러표시단계(A38)는 즉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구동부(O)를 작동하고 있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150)가 특정 코스와 옵션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20)를 작동시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50)에 전원이 차단되지 않는 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음성명령을 다시 수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130)의 스피커(133)나 제2표시부(13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20)가 현재 작동중인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음성명령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라는 것을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점검단계에서(A31)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구동부(O)를 작동하는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명령어가 수행가능한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A32)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A32)는 상기 음성인식부(300) 또는 상기 음성인식 서버(10)가 상기 후속 음성이 상기 명령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거나, 상기 명령어가 상기 의류처리장치(20)가 지원하는 코스나 옵션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예를들어, 상기 판단단계(A32)는 상기 명령어가 상기 테이블(T)에 기재되어 있는 발화리스트에 대응되는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A32)에서 상기 후속음성이 명령어가 아니거나,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코스나 옵션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에러표시단계(A38)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판단단계(A2)에서 상기 명령어가 어떤 코스나 옵션을 수행하는 것인지 까지 인식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50)에 이미 설정된 선행설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선행확인단계(A33)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코스입력부(140)를 통해 미리 코스를 입력한 상태이거나, 사용자가 음성명령으로 특정 코스나 옵션을 설정한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코스나 옵션으로 상기 구동부(O)를 제어하도록 시작 명령이 수행되기 전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선행확인단계(A33)에서 선행된 코스나 옵션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선행코스나 옵션과 상기 음성명령이 서로 충돌되는지 또는 양립가능한 지를 판단하는 충돌판단단계(A34)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들어, 표준코스가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연한 재질을 세탁하는 란제리코스가 음성명령으로 입력되면 서로 양립할 수 없으므로 충돌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표준코스가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상기 표준 코스의 옵션을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하는 음성명령이 입력되거나, 예약코스에 관한 음성명령이 입력되면 서로 양립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충돌판단단계(A34)에서 선행 설정과 상기 음성명령이 서로 충돌되거나 양립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에러표시단계(A38)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충돌판단단계(A34)에서 선행 설정과 상기 음성명령이 충돌되지 않아 양립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음성명령을 추가로 반영하는 명령설정변경단계(A36)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선행설정과 상기 음성명령 중 어느 하나만 선택할 것을 요청하는 변경의사판단단계(A35)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변경의사판단단계(A35)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행설정을 선택하여 상기 음성명령으로 변경할 의사가 없는 경우에는 선행설정으로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수행단계(A37)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변경의사판단단계(A35)에서 사용자가 음성명령만 선택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선행설정에 상기 음성명령을 반영하길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명령설정변경단계(A36)를 수행한 후에 상기 명령수행단계(A37)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행설정확인단계(A33)에서 선행설정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명령과 대응되는 명령만 수행하는 명령수행단계(A37)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명령수행단계(A37)는 최종 반영된 명령어와 관련된 제어명령으로 구동부(O)를 제어하는 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감지단계(A2)에서 전력이 제어부(150)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인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150)에 전력을 공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전원공급결정단계(A4)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결정단계(A4)는 상기 음성명령이, 상기 의류처리장치(20)가 지원하는 코스나 옵션에 관련된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결정단계(A4)는 상기 음성명령이 상기 명령어가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전원 ON을 요청하는 명령어가 아닌 상기 의류처리장치(20)를 실제로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지 여부를 점검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ON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음성명령이 의류처리장치(2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명령에 관한 명령어라면 상기 명령어가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전원을 ON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있다고 간주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전원을 ON하는 전원공급단계(A51)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단계(A51)은 상기 제어부(150)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단계(A51)가 수행되면, 상기 명령수행단계(A37)가 수행되어 상기 음성명령에 대응되는 코스나 옵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20)가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를 수신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전원이 ON되어 상기 명령어에 대응되는 코스나 옵션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명령어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명령어 외에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지원하는 코스나 옵션에 해당하는 명령어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결정단계(A4)에서 상기 음성명령에 의류처리장치가 지원하는 명령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음성명령을 무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시부(130)에 상기 음성명령을 인식할 수 없거나, 상기 음성명령이 의류처리장치(20)가 지원하는 명령이 없어 상기 음성명령으로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킬 수 없다는 통지가 표시되는 불가표시단계(A52)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불가표시단계(A52)에서는 상기 표시부(130)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ON하라는 요청이 표시되거나, 상기 제어부에 전력이 차단된 상태 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없는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명령어가 수신될 때까지 원상태를 유지할 수도 잇다. 즉, 상기 불가표시단계(A52)는 상기 표시부(130)가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고 대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에 전력이 차단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음성인식을 한번에 수행하지 못했을 때 음성인식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10(a)를 참조하면, 상기 음성인식부(300) 또는 상기 서버(10)는 상기 기동어를 수신하여 인식하였으나, 상기 명령어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에 상기 명령어의 재발화를 요청하는 표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표시부(132)에 “죄송해요. 다시한번 말씀해주세요”와 같은 재발화 요청문구가 표시될 수 있고, 스피커(133)에 “죄송해요. 다시한번 말씀해주세요”와 같은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기동어는 상기 음성인식부를 활성화 시키는데 필요한 음성명령이다. 상기 음성명령을 다시 요청하는 것은 상기 음성인식부가 활성화 된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상기 명령어만 인식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명령어인 “표준코스 선택해”만 발화하면 상기 음성인식이 완료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표준코스 선택해”만 정확히 발화한다면, 음성인식이 완료되어 표시부(130)에 상기 음성인식이 완료된 상태가 통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어처리단계(A3)가 수행될 수 있다.
도10(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130)에 상기 명령어의 재발화를 요청하는 표시가 표시된 경우에, 사용자는 언어습관으로 인해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를 함께 발화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명령어를 온전히 인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엘지트롬”인 기동어와, “표준코스 선택해”인 명령어가 함께 발화되더라도 음성인식이 완료되어 표시부(130)에 상기 음성인식이 완료된 상태가 통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어처리단계(A3)가 수행될 수 있다.
도11는 도10의 음성인식방법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음성수신단계(A1)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음성수신단계(A1)는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기동어를 수신하여 인식하는 기동어 수신단계(A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기동어를 수신하면 활성화되어 후속하는 소리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기동어를 수신하면 부가되는 후속음성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후속 감지단계(A12)를 수행한다. 상기 후속 감지단계(A12)는 상기 기동어에 뒤따르는 음성의 수신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감지단계(A12)는 기준시간(t1) 동안 수행된다.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가 음성인식을 수행할 의사가 없다고 판단하고 음성인식 절차를 종료한다. 이로써, 음성인식부(300)가 불필요하게 소리신호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준시간(t1)은 사용자의 언어습관을 고려할 때 10초에서 30초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후속 감지단계(A12)에서 추가 음성을 수신하면 상기 음성이 명령어인지를 판단하는 명령어 인식단계(A13)가 수행된다. 상기 명령어 인식단계(A13)는 수신된 음성에서 서버(10)나 음성인식부(300)가 상기 명령어를 정확히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나 음성인식부(300)가 상기 명령어를 정확히 매칭시키기 전에, 상기 음성이 상기 명령어에 해당할 확률이 큰 것으로 분류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상기 명령어 인식단계(A13)에서 상기 후속 음성이 명령어에 해당하거나, 명령어에 해당할 확률이 크므로 서버(10)나 음성인식부(300)에서 인식이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음성수신단계(A1)는 종료되어 상기 명령어 처리단계(A3)가 바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명령어 인식단계(A13)에서 상기 후속 음성이 명령어에 해당될 확률이 적거나, 상기 후속 음성 자체가 불명료하여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없다면 사용자에게 상기 후속음성을 재발화하도록 요청하는 재발화 요청단계(A14)가 수행된다.
상기 재발화 요청단계(A14)는 상기 표시부(1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명령어의 재발화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표시부(132)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시 말씀해 주세요” 라는 문구가 표시되거나, 상기 스피커(133)를 통해 음성신호로 요청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재발화 요청단계(A14)가 수행되면, 상기 추가 음성명령을 수신을 감지하는 추가감지단계(A15)를 수행된다.
성가 추가감지단계(A15)에서 상기 추가 음성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추가 음성명령에서 상기 명령어를 다시 인식하는 재인식단계(A17)가 수행된다.
상기 추가감지단계(A15)에서 상기 추가음성명령이 설정시간(t2)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음성인식을 수행할 의사가 없다고 간주하고 상기 음성인식을 종료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불필요하게 활성화 되어 음성을 수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재인식단계(A17)에서도 상기 명령어를 다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재발화 요청단계(A14)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재인식단계(A17)가 N회 이상 반복된 경우에는 에러를 표시하거나 음성인식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재발화 요청단계(A14) 또는 상기 재인식단계(A17)가 N회 이상 반복된 것은 사용자가 명령어를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올바른 명령어를 숙지하여 발화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130)로 “정확한 명령어를 말씀해주세요.” 라는 통지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발화 요청단계(A13)는 상기 명령어를 서버(10)나 음성인식부(300)가 인식하지 못해 발생하는 단계이다. 만약, 기동어까지 인식되지 못했다면,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활성화되지 않아 음성인식 방법 자체가 수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재발화 요청단계(A13)에서 명령어만 정확히 발화할 수 있고, 상기 명령어가 정확이 인식되었다면 상기 명령어 처리단계(A3)가 바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음성인식 방법이나 메커니즘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모든 명령어를 기동어와 함께 발화해야 된다고 오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명령어를 상기 기동어와 함께 다시 발화할 수 있다. 예를들어, “표준코스로 선택”을 발화하기 위해 “엘지트롬”을 함께 발화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 음성인식 방법은 이러한 사용자의 언어습관을 고려하여, 상기 재발화 요청단계(A14) 이후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를 함께 수신하여도 상기 명령어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음성인식 방법은 상기 재발화 요청단계(A13)에서 명령어만 수신할 때 뿐만 아니라,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를 수신하여도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가감지단계에서 상기 명령어만 수신될 뿐만 아니라, 상기 기동어와 상기명령어가 함께 수신되어도 상기 재인식단계(A17)는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음성인식 방법은 상기 추가음성명령에서 상기 기동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동어 수신판단단계(A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동어 수신판단단계(A16)는 상기 추가 음성명령에서 상기 기동어가 상기 명령어와 조합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동어 수신판단단계(A16)에서 상기 명령어만 수신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재인식 단계(A17)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동어 수신판단단계(A16)에서 상기 명령어 뿐만 아니라 상기 기동어까지 포함된 것을 감지하거나 상기 기동어가 포함된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동어를 처리하는 기동어처리단계(A17)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동어 처리단계(A16a)는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를 조합시키는 음성데이터를 형성하거나, 상기 명령어를 추출하다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상기 기동어 처리단계(A16a)는 상기 명령어 외에 상기 기동어가 추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동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상기 기동어 처리단계(A16a)에서 상기 명령어가 인식될 수 있도록 준비되면 상기 재인식단계(A17)가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재발화요청단계(A17)이후 명령어를 다시 발화할 때 뿐만 아니라, 상기 기동어가 조합된 상기 명령어를 발화하여도 상기 명령어가 정확이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절차가 반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음성인식 성능에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12은 도11의 기동어처리단계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2(a)를 참조하면,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 음성인식방법은 상기 음성인식부(300)에서 수신된 음성명령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발화리스트가 기재된 테이블과 대응시켜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음성명령 텍스트를 변환하는 것과, 상기 텍스트를 상기 테이블과 대응시키는 것은 상기 음성인식부(300)가 자제척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음성인식 서버(10)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테이블에 저장된 발화리스트는 상기 명령어에 상기 기동어가 조합된 텍스트(A)가 기재될 수 있다.
즉, 상기 테이블은 상기 명령어와 대응되는 발화리스트 뿐만 아니라, 상기 기동어(A)가 조합된 명령어와 대응되는 발화리스트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음성수신단계에서 상기 기동어가 조합된 상기 명령어를 수신하면,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의 조합 전체를 단순 상기 명령어로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시작”에 관한 명령어와, “엘지트롬 시작” 또는 “하이엘지 시작”을 모두 시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음성인식 서버(10)가 음성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기동어 처리단계(A15a)에서,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가 함께 수신되면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를 조합시킨 데이터로 전환하여 상기 서버(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부(300) 자체가 음성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기동어 처리단계(A15a)에서,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가 함께 수신되면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를 조합한 자체로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도 있다.
도12(b)를 참조하면,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기동어 처리단계(A15a)에서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을 수신하면 상기 기동어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10)를 통해 음성인식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기동어 데이터를 제거하고 상기 명령어 데이터만 상기 음성인식서버(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부(300)를 통해 음성인식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음성명령에서 상기 기동어를 제거하고 상기 명령어만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음성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음성명령을 주파수 또는 파형형태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기동어와 명령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발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음성명령은 앞 파형(I)과 뒤 파형(I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앞 파형(I) 부분을 제거한 후, 상기 뒤 파형만을 상기 서버(10)에 전달하거나 자체적인 음성인식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앞 파형(I)과 뒷파형(II)을 기저장된 기동어 파형과 대응시킨 후, 상기 기동어 파형과 대응되는 파형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명령어를 추출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기동어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기동어를 재수신한뒤, 상기 명령어를 수신하여도 상기 명령어만 상기 음성인식 서버(10)에 전달하거나,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를 조합하여 상기 서버(10)에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부(300)는 상기 기동어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기동어를 재수신한뒤, 상기 명령어를 수신하여도 상기 명령어를 자체적으로 인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음성인식방법은 사용자가 명령어의 발화가 필요한 때에, 기동어를 함께 발화하여도 상기 명령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음성인식 서버 11 : 음성처리 서버 13 : 가전제어 서버 30 : AP
40 : 외부 단말
20 : 의류처리장치 25 : 통신모듈
100 : 컨트롤패널 150 : 제어부
130 : 표시부 140 : 코스인식부 160 : 옵션선택부
300 : 음성인식부 310 : 제1마이크 320 : 제2마이크

Claims (15)

  1.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의 내부상태를 가변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명령을 발생시키는 명령어와 상기 명령어의 인식을 준비시키는 기동어를 포함하는 음성명령을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음성인식부;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음성인식부를 제어할 수 있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인식부는
    상기 기동어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기동어를 다시 수신한 뒤 상기 명령어를 수신하여도
    상기 명령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거나,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음성인식부의 상태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음성명령의 발화를 요청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명령어의 발화를 요청하는 상태정보가 표시되면,
    상기 음성인식부는
    상기 명령어를 상기 기동어와 함께 수신하여도
    상기 명령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거나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부는
    상기 기동어를 제거하여 상기 명령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부는 상기 기동어를 제거하고 상기 명령어 만을 음성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부 또는 상기 서버는
    상기 기동어가 조합된 상기 명령어에서 상기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부 또는 상기 서버는
    상기 명령어를 복수의 명령어가 기재된 테이블과 매칭하여 인식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명령어에 상기 기동어가 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와,
    상기 의류수용부의 내부상태를 가변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명령을 발생시키는 명령어와 상기 명령어의 인식을 준비시키는 기동어를 포함하는 음성명령을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음성인식부와,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음성인식부의 상태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음성명령의 발화를 요청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동어를 수신하여 인식하는 수신단계;
    상기 기동어에 부가되는 후속음성의 수신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후속음성에서 상기 명령어가 미인식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명령어의 재발화가 요청되는 요청단계;
    추가 음성명령의 수신을 감지하는 추가감지단계;
    상기 추가 음성명령에서 상기 명령어를 인식하는 재인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인식단계는
    상기 추가 음성명령에서 상기 명령어가 수신되거나,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가 함께 수신된 것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상기 명령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음성명령에서 상기 기동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포함판단단계와,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가 조합된 상기 추가 음성명령에서 상기 명령어를 인식하는 기동어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어처리단계는
    상기 추가 음성명령에서 인식된 상기 기동어를 제거하여 상기 명령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어처리단계는
    상기 기동어와 상기 명령어를 조합하여 상기 명령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후속음성이 기준시간(t1) 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음성명령 수신을 중단하는 것을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단계에서 상기 추가 음성명령이 설정시간(t2)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음성명령 수신을 중단하는 것을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방법.
  13.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인식단계 또는 상기 기동어처리단계는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음성인식부를 제어하는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인식단계는 상기 음성인식부가 상기 후속음성을 상기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후속음성에서 상기 명령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방법.
  15.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음성인식부를 제어하는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인식단계 또는 상기 기동어처리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방법.






KR1020190065252A 2019-06-03 2019-06-03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 KR102674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52A KR102674536B1 (ko) 2019-06-03 2019-06-03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52A KR102674536B1 (ko) 2019-06-03 2019-06-03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16A true KR20200138916A (ko) 2020-12-11
KR102674536B1 KR102674536B1 (ko) 2024-06-13

Family

ID=7378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252A KR102674536B1 (ko) 2019-06-03 2019-06-03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45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5219A (ko) * 2012-03-15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전원 제어 방법
KR20160013720A (ko) * 2014-07-28 2016-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성 인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음성 인식 방법
KR20190022109A (ko) * 2017-08-25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90023911A (ko) * 2017-08-30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기기 및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90056115A (ko) * 2017-11-16 2019-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음성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8172A (ko) * 2017-11-21 201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5219A (ko) * 2012-03-15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전원 제어 방법
KR20160013720A (ko) * 2014-07-28 2016-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성 인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음성 인식 방법
KR20190022109A (ko) * 2017-08-25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90023911A (ko) * 2017-08-30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기기 및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90056115A (ko) * 2017-11-16 2019-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음성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8172A (ko) * 2017-11-21 201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4536B1 (ko) 202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8067B2 (en)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by voice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10353480B2 (en) Connecting assistant device to devices
WO2019091171A1 (zh) 语音控制智能家电的方法、装置、系统和电子设备
JP2023115067A (ja) アシスタント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音声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ショートカット
US10057125B1 (en) Voice-enabled home setup
RU2544824C2 (ru) Бы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быт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 приведения их в действие
JP4842114B2 (ja) 自動音声認識システムにおける孤立語句コマンド認識及び接続語句コマンド認識の同時対応
CN104131442B (zh) 洗衣机远程控制方法及系统
KR102389594B1 (ko)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기기 및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11615792B2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ppliance control apparatus and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EP3660839A2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voice recognition of home appliance
KR20200014029A (ko)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의 페어링을 설정하는 온라인 시스템
US11749277B2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20024836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s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system containing the same
KR102674536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
KR102674535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
KR10267728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
KR2020013891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
US20220123956A1 (en) Serv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management thereby
KR20210007580A (ko)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음성인식시스템
KR20210007582A (ko)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음성인식시스템
KR20210007581A (ko)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음성인식시스템
KR102628097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CN111240213A (zh) 用于智能家居系统的控制方法
KR20210009247A (ko)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