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797A -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797A
KR20200138797A KR1020207031326A KR20207031326A KR20200138797A KR 20200138797 A KR20200138797 A KR 20200138797A KR 1020207031326 A KR1020207031326 A KR 1020207031326A KR 20207031326 A KR20207031326 A KR 20207031326A KR 20200138797 A KR20200138797 A KR 20200138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ging
energy saving
qcl relationship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8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73Predicting channel quality or other radio frequency [R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를 개시하였고,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단말 기기가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반송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에서 QCL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단말 기기는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 빔 및 이에 대응되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 빔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모든 빔에서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의 목적을 달성한다.

Description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METHOD AND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에 관한 것이다.
단말 기기의 전력 절약을 고려하여, 불연속 전송(Discontinuous Reception, DRX) 메커니즘을 도입하였다. 각 DRX 주기(DRX Cycle)에는 온 기간(on duration) 및 슬립 기간(Opportunity for DRX)이 포함되고, 온 기간일 경우 단말 기기는 제어 채널을 검출하고, 슬립 기간일 경우 단말 기기는 제어 채널의 수신(이때 단말 기기는 제어 채널의 블라인드 검출을 정지함)을 정지하여, 전력 소비를 감소시킴으로써, 배터리 사용 시간을 연장시킨다.
5G 시스템에서, 에너지 절약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 절약 신호를 도입하여 단말 기기의 상태를 제어하며,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는 웨이크업 신호일 수 있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의 “온 기간” 내에서 웨이크업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단말 기기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 경우에만, “온 기간”에서 웨이크업되어 PDCCH를 검출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PDCCH를 검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기기의 에너지를 더욱 절약하기 위해 이러한 에너지 절약 신호의 전송 성능을 보장하는 것은, 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에너지 절약 신호와 관련된 다른 신호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전력 소비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단말 기기가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준 공동 위치(Quasi-Co-Location, QCL)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반송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에서 QCL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단말 기기는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 빔 및 이에 대응되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 빔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모든 빔에서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의 목적을 달성한다.
제1 측면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안테나 포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관련된 DMRS 안테나 포트 사이는 QCL 관계를 충족함을 나타낸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지연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평균 지연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의 관계를 충족하는 에너지 절약 신호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미리 저장된 상기 QCL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QCL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 측면의 QCL 관계에 포함되고,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의 최적 수신 빔 및 상기 최적 수신 빔에 대응되는 상기 공간 수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에서 QCL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단말 기기는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 빔 및 이에 대응되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 빔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모든 빔에서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의 목적을 달성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에 기반하여 시간 주파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시간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상기 시간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에너지 절약 신호의 지시에 기반하여, 특정한 페이징 주기에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고 있음을 알게 될 경우, 단말 기기는 상기 페이징 주기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해야 한다. 에너지 절약 신호가 하나의 시퀀스 세그먼트이고 상기 시퀀스에 시간 주파수 동기화의 기능이 구비되면,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에 기반하여 시간 주파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고, 시간 편차 및 주파수 편차 등 정보와 같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시간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간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와 QCL 관계를 충족하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페이징 관련 신호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타이밍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 및 상기 타이밍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 및 상기 타이밍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단말 기기가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준 공동 위치(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 또는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반송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따라서,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에서 QCL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단말 기기는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 빔 및 이에 대응되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 빔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모든 빔에서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의 목적을 달성한다.
제2 측면을 결합하여,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안테나 포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관련된 DMRS 안테나 포트 사이는 QCL 관계를 충족함을 나타낸다.
제2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제2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지연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평균 지연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제2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의 관계를 충족하는 에너지 절약 신호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제2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 측면의 QCL 관계에 포함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의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제2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타이밍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타이밍 관계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제2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QCL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선택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단말 기기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선택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 트랜스시버 및 메모리 상호 간에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할 경우, 상기 실행은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거나, 상기 실행은 상기 단말 기기가 제3 측면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메모리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할 경우, 상기 실행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거나, 상기 실행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제4 측면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8 측면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제2 측면 및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9 측면에 있어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작동될 경우,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0 측면에 있어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작동될 경우,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DRX 주기의 예시도이다.
도 3은 페이징 메시지의 빔 스캐닝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의 흐름 인터랙션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와 관련된 페이징 관련 신호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기기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온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부호 분할 다원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ET)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제3세대 휴대전화 시스템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 5G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적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00)는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00)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단말 기기(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10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으며,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안테나 컨트롤러일 수 있고,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120)를 더 포함한다. 단말 기기(120)는 이동할 수 있거나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120)는 액세스 단말,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가입자망(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휴대용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능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의 PLMN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120) 사이는 기기 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 및 두 개의 단말 기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다른 개수의 단말 기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의 DRX 주기(DRX Cycle)에는, 온 기간(on duration) 및 슬립 기간(Opportunity for DRX)이 포함되고,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가 온 기간 즉 on duration 기간 내에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검출할 수 있고, 단말 기기가 슬립 기간 즉 Opportunity for DRX 내에 PDCCH의 수신(이때 단말 기기는 PDCCH 또는 페이징 메시지의 블라인드 검출을 정지함)을 정지하는 것을 통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킴으로써, 배터리 사용 시간을 연장시킨다. 다시 말해, 웨이크업 기간 동안 단말 기기가 웨이크업 상태에 있음으로써 PDCCH를 검출하고, 슬립 기간 동안 단말 기기는 슬립 상태에 있음으로써 채널 또는 신호의 검출을 수행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로 하여금 주기적으로 온 기간 동안 PDCCH를 검출하도록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DRX 주기를 구성하지만, 단말 기기는 온 기간 동안 기회적으로만 스케줄링되고, 심지어 단말 기기는 서비스 로드가 매우 낮은 경우조차도, 몇 개의 DRX 주기 동안에만 스케줄링된다. DRX 메커니즘을 사용한 페이징 메시지의 경우, 단말 기기에 의해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는 기회는 더욱 적다. 따라서, 단말 기기가 DRX 메커니즘을 구성한 후, 대부분의 DRX 주기의 온 기간 동안 제어 채널을 검출하지 못할 수 있지만, 이러한 DRX의 온 기간 동안 여전히 웨이크업 되므로, 단말 기기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5G 시스템에 에너지 절약 신호(power saving signal)를 도입하여, 에너지 절약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말 기기의 상태를 제어한다.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는 단말 기기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도록, 단말 기기의 웨이크업 및 슬립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는 웨이크업 신호일 수 있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DRX 주기 내의 “온 기간” 동안 웨이크업되도록 단말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단말 기기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 경우, 다음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온 기간” 동안 웨이크업되어 PDCCH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다음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온 기간 내에 여전히 슬립 상태를 유지하고 PDCCH 검출을 진행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의 “온 기간” 내에 슬립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단말 기기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할 경우, PDCCH를 검출하기 위해 다음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온 기간” 내에 정상적으로 웨어크업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 경우, 다음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온 기간 내에 여전히 슬립 상태를 유지하고 PDCCH 검출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타입의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의 에너지 절약에 유리하므로, 에너지 절약 신호(Power Saving Signal)라고 지칭한다.
에너지 절약 신호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켜, 단말 기기의 추가 에너지 절약에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페이징(paging) 메시지의 수신 사이에 준 공동 위치(Quasi-Co-Located, QCL) 관계를 구축하여, 에너지 절약 신호 및 페이징 관련 신호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킨다.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은, 이의 페이징 주기에서의 어느 특정한 프레임(페이징 무선 프레임 또는 페이징 프레임(Paging Frame, PF)이라고 함) 중의 하나의 특정한 서브 프레임(페이징 경우(Paging Occasion, PO)라고 함)에서 수행된다. 단말 기기는 상기 PO에서 단말 기기에 대한 페이징 메시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PO는 서브 프레임이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는 페이징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Paging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P-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되고 페이징 메시지를 지시하는 PDCCH가 있을 수 있다. DRX 메커니즘이 채택되면, 단말 기기는 각 DRX 주기에서 하나의 PO만 검출하면 되고, 다시 말해, 각 단말 기기에 대응하여, 각 페이징 주기마다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서브 프레임이 하나뿐이다.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은, DRX 메커니즘으로 이해될 수도 있으며, 페이징 주기의 길이는 DRX 주기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5G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의 송신을 위해 빔 스캐닝이 지원되어야 하며, 즉 각 PO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전체 셀에서 페이징 메시지의 완전한 커버리지를 보장하기 위해 빔 스캐닝의 방식으로, 각 공간 빔을 사용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PO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셀의 각 위치에 있는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두 검출할 수 있도록, 빔1을 사용하여 빔 N으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400)의 흐름 인터랙션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단말 기기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 기기(120)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110)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방법(400)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410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에너지 절약 신호 및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에 기반하여, 단말 기기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단말 기기로 하여금 에너지 절약 신호 또는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 또는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 및/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반송하기 위한 물리적 다운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QCL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단계 420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상기 QCL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참조 신호(De 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안테나 포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관련된 DMRS 안테나 포트 사이는 QCL 관계를 충족함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QCL 관계는, 지연 시프트(delay spread), 도플러 시프트(Doppler spread), 도플러 시프트(Doppler shift), 평균 지연(average delay)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QCL 관계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DMRS 안테나 포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관련된 DMRS 안테나 포트 사이는, 지연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평균 지연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측면에서 QCL 관계이다.
예를 들어, 에너지 절약 신호 및 페이징 관련 신호의 이 두 가지 신호 사이가 평균 지연, 지연 시프트 측면에서 QCL 관계를 충족하면, 상기 단말 기기는 에너지 절약 신호의 시간 동기화 편차 추정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의 시간 동기화 편차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두 가지 신호 사이가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측면에서 QCL 관계를 충족하면, 단말 기기는 에너지 절약 신호의 주파수 편차 추정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의 주파수 동기화 편차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 기기는 획득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의 시간 동기화 편차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의 주파수 동기화 편차에 기반하여, 페이징 관련 신호에 대해 시간 주파수 편차의 보상을 수행하여, 페이징 관련 신호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에너지 절약 신호 및 페이징 관련 신호의 두 가지 신호 사이가 공간 수신 파라미터 측면에서 QCL 관계를 충족하면, 두 가지 신호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동일한 송신 빔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빔 스캐닝 시나리오의 경우, 페이징 관련 신호 및 에너지 절약 관련 신호 모두 빔 스캐닝 방식으로 송신된다. 단말 기기가 특정 빔(예를 들어, 빔 i)에서 검출한 페이징 관련 신호의 품질이 최적인 경우, 상기 단말 기기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 측면의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빔 i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 품질도 최적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빔 i 및 해당 수신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빔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Spatial domain reception filter)로 이해될 수 있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은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Spatial domain transmission filter)로 이해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동일한 공간 도메인을 사용하여 필터에 의해 송신된 두 개의 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이 두 신호를 공간 수신 파라미터와 상대적인 준 공동 위치(Quasi-Co-Located, QCL)라 지칭할 수 있다.
또 다른 이해는, 두 개의 안테나 포트 사이가 QCL 관계( 또는 QCL 경험이 있고, QCL 관계를 충족하며, 두 안테나 포트 사이는 QCL 관계임)가 있는 경우, 단말 기기는 하나의 안테나 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 또는 채널의 공간 대규모 속성 및/또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spatial Rx parameter) 등은, 다른 안테나 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 또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안테나 포트로부터의 신호 또는 채널의 대규모 속성 및/또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 등은, 다른 안테나 포트의 신호 또는 채널의 대규모 속성 및/또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 등과 동일하다. 상기 대규모 속성은, 예를 들어, 전술한 지연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평균 지연, 평균 이득 등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관련된 DMRS 안테나 포트는, 상기 DMRS 안테나 포트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DMRS 안테나 포트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가 DMRS 시퀀스를 반송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가 하나의 시퀀스 세그먼트인 경우,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는 여전히 하나의 DMRS 안테나 포트와 관련될 수 있다. 상기 DMRS 안테나 포트는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관련된 DMRS 안테나 포트이고,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는 전송을 위해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와 관련된 DMRS 안테나 포트에 매칭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가 빔 스캐닝 방식으로 에너지 절약 신호 및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할 때, 선택적으로,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의 관계를 충족하는 에너지 절약 신호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시간 도메인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소정의 관계를 충족하는 페이징 관련 신호 및 에너지 절약 신호는, 관련된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PO에서, 빔1에 의해 송신된 에너지 절약 신호와 빔1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신호 사이는 시간 도메인에서 T1만큼 이격되고, 빔2에 의해 송신된 에너지 절약 신호와 빔2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신호 사이는 시간 도메인에 T2만큼 이격되며, ……, 다음으로, 빔 N에 의해 송신된 에너지 절약 신호와 빔 N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신호 사이는 시간 도메인에서 Tn만큼 이격된다. T1 내지 Tn은 상기 소정의 관계이고, T1 내지 Tn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또는 부분적으로 동일하다.
빔1에 의해 송신된 에너지 절약 신호는 빔1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신호와 관련된 에너지 절약 신호이고, 빔2에 의해 송신된 에너지 절약 신호는 빔2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신호와 관련된 에너지 절약 신호이며, ……, 다음으로, 빔N에 의해 송신된 에너지 절약 신호는 빔N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신호와 관련된 에너지 절약 신호이다.
따라서, 빔1에 의해 송신된 에너지 절약 신호와 빔1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신호 사이는 QCL이고, 빔2에 의해 송신된 에너지 절약 신호와 빔2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신호 사이는 QCL이며, ……, 다음으로, 빔N에 의해 송신된 에너지 절약 신호와 빔N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신호 사이는 QCL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420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미리 저장된 상기 QCL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선택적으로, 단계 420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QCL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QCL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QCL 관계는 네트워크 기기에 구성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 규정되는 것과 같이 미리 결정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전송 방법(400)은 단계 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QCL 관계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 측면의 QCL 관계에 포함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410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의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네트워크 기기는 동일한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송신한다.
여전히 도 5를 예로 들면, 네트워크 기기는 빔1을 사용하여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고, 빔1을 사용하여 상기 페이징 신호와 관련된 에너지 절약 신호를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페이징 신호와 관련된 에너지 절약 신호는, 상기 페이징 신호가 시간 도메인에서 T1만큼 이격된 에너지 절약 신호이며; 네트워크 기기는 빔2를 사용하여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고, 빔2를 사용하여 상기 페이징 신호와 관련된 에너지 절약 신호를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페이징 신호와 관련된 에너지 절약 신호는, 상기 페이징 신호가 시간 도메인에서 T2만큼 이격된 에너지 절약 신호이며; ……; 다음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빔N을 사용하여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고, 빔N을 사용하여 상기 페이징 신호와 관련된 에너지 절약 신호를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페이징 신호와 관련된 에너지 절약 신호는, 상기 페이징 신호가 시간 도메인에서 Tn만큼 이격된 에너지 절약 신호이다.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QCL 관계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 측면의 QCL 관계에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430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의 최적 수신 빔 및 상기 최적 수신 빔에 대응되는 상기 공간 수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전히 도 5를 예로 들면, 단말 기기는 현재 PO 즉 n 번째 PO에서의 페이징 메시지의 검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의 최적 수신 빔을 선택하고, 예를 들어, N 개의 빔의 페이징 메시지를 검출한 후, 최적의 수신 품질을 가진 페이징 메시지가 빔2에서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임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에너지 절약 신호와 페이징 관련 신호 사이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 측면에서 QCL 관계를 형성하므로, 상기 단말 기기는 빔2 및 빔2에 대응되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예를 들어, 수신 필터의 구성 파라미터 등)을 사용하여, 모든 N 개의 빔에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검출할 필요 없이, 다음 PO 즉 n+1 번째 PO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와 관련된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에서 QCL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단말 기기는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 빔 및 이에 대응되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 빔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모든 빔에서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의 목적을 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에 기반하여 시간 주파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시간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430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상기 시간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가 에너지 절약 신호의 지시에 기반하여, 특정한 페이징 주기에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알면, 단말 기기는 상기 페이징 주기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해야 한다. 에너지 절약 신호가 하나의 시퀀스 세그먼트이고 상기 시퀀스에 시간 주파수 동기화의 기능이 구비되면,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에 기반하여 시간 주파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시간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간 편차 및 주파수 편차 등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간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와 QCL 관계를 충족하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페이징 메시지 및 스케줄링 페이징 메시지의 PDCCH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타이밍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단계 410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타이밍 관계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타이밍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관계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될 수 있거나, 타이밍 관계는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 미리 결정된 것과 같이 단말 장치에 미리 저장된다.
여기서, 단계 430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QCL 관계 및 상기 타이밍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 및 상기 타이밍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타이밍 관계는, 즉 네트워크 기기가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과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시간 사이의 시간 관계이며, 단말 기기가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과 단말 기기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사이의 시간 관계이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밍 관계가 에너지 절약 신호가 이와 관련된 페이징 관련 신호보다 시간 길이 TA만큼 빠르면, 단말 기기는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시간 길이 TA 이후에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와 상기 QCL 관계를 충족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PDCCH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 기기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PO를 결정한 후,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위치도 결정함으로써,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응한 시간 위치에서 상기 QCL 관계를 충족하는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페이징 관련 신호의 수신은 QCL 관계를 충족하므로, 단말 기기는 페이징 관련 신호 수신 조건 및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신호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단말 기기는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 조건 및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페이징 관련 신호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따라 확정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장치를 설명하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 특징은 아래 장치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6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600)는 처리 유닛(610) 및 송수신 유닛(620)을 포함하고, 여기서,
처리 유닛(610)은,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준 공동 위치(QCL)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반송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송수신 유닛(620)은, 상기 처리 유닛(610)에 의해 결정된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페이징 관련 신호의 수신은 QCL 관계를 충족하므로, 단말 기기는 페이징 관련 신호의 수신 조건 및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신호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단말 기기는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 조건 및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페이징 관련 신호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안테나 포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관련된 DMRS 안테나 포트 사이는 QCL 관계를 충족함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QCL 관계는, 지연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평균 지연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의 관계를 충족하는 에너지 절약 신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6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에 미리 저장된 상기 QCL 관계를 획득하거나; 상기 송수신 유닛(620)을 통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QCL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QCL 관계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 측면의 QCL 관계에 포함되고, 여기서, 상기 송수신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의 최적 수신 빔, 및 상기 최적 수신 빔에 대응되는 상기 공간 수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에 기반하여 시간 주파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시간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송수신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상기 처리 유닛(61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시간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타이밍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송수신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QCL 관계 및 상기 타이밍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QCL 관계 및 상기 타이밍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단말 기기(600)는 상기 신호 전송 방법(400)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상응한 조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7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700)는 처리 유닛(710) 및 송수신 유닛(7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처리 유닛(710)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고;
송수신 유닛(720)은,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준 공동 위치(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 또는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처리 유닛(71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반송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페이징 관련 신호의 수신은 QCL 관계를 충족하므로, 단말 기기는 페이징 관련 신호의 수신 조건 및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신호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단말 기기는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 조건 및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페이징 관련 신호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안테나 포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관련된 DMRS 안테나 포트 사이는 QCL 관계를 충족함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QCL 관계는, 지연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평균 지연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의 관계를 충족하는 에너지 절약 신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QCL 관계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 측면의 QCL 관계에 포함되고, 여기서, 상기 송수신 유닛(720)은 구체적으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의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710)은 또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타이밍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송수신 유닛(720)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밍 관계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720)은 또한,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QCL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600)는 상기 신호 전송 방법(400)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상응한 조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은 에 따라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8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810), 트랜스시버(820) 및 메모리(83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810), 트랜스시버(820) 및 메모리(830) 상호 간에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830)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810)는 상기 트랜스시버(820)가 신호를 수신 또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상기 메모리(830)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3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방법(400)에서의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상응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3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방법(400)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상응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기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통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어셈블리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역할을 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을 통해, 많은 형태의 RAM을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너스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출원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온 칩의 하나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9의 시스템 온 칩(900)은 입력 인터페이스(901), 출력 인터페이스(9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03), 메모리(904)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901), 출력 인터페이스(902), 상기 프로세서(903) 및 메모리(904)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903)는 상기 메모리(904) 중의 코드를 실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수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903)는 방법에서의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상응한 조작을 구현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903)는 방법(400)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상응한 조작을 구현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이해하여야 할 것은, 본 출원 실시예에서, “A에 상응하는(대응되는) B”는 B와 A가 서로 관련되며, A에 따라 B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A에 따라 B를 결정하는 것은 단지 A에 따라 B를 결정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A 및/또는 다른 정보에 따라 B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공개된 실시양태에서 설명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는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각 특정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장치 실시예는 다만 개략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다만 논리적 기능 분할이며, 실제 구현 시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가 다른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이 무시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 또는 논의된 서로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아닐 수 있고, 유닛으로 나타낸 부재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하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모니터링 유닛에 통합되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별도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방안은 실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방안의 부분이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가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디스켓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의 변화 또는 교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30)

  1.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준 공동 위치(QCL)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반송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안테나 포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관련된 DMRS 안테나 포트 사이는 QCL 관계를 충족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지연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평균 지연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의 관계를 충족하는 에너지 절약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미리 저장된 상기 QCL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QCL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 측면의 QCL 관계에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의 최적 수신 빔 및 상기 최적 수신 빔에 대응되는 상기 공간 수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에 기반하여 시간 주파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시간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상기 시간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타이밍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 및 상기 타이밍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QCL 관계 및 상기 타이밍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9.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준 공동 위치(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 또는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반송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안테나 포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관련된 DMRS 안테나 포트 사이는 QCL 관계를 충족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지연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평균 지연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의 관계를 충족하는 에너지 절약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 측면의 QCL 관계에 포함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의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타이밍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타이밍 관계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QCL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6. 단말 기기로서,
    페이징 관련 신호와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준 공동 위치(QCL)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유닛 -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반송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결정된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안테나 포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관련된 DMRS 안테나 포트 사이는 QCL 관계를 충족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지연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평균 지연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의 관계를 충족하는 에너지 절약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에 미리 저장된 상기 QCL 관계를 획득하고; 또는,
    상기 송수신 유닛을 통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QCL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 측면의 QCL 관계에 포함되고, 상기 송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의 최적 수신 빔, 및 상기 최적 수신 빔에 대응되는 상기 공간 수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에 기반하여 시간 주파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시간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시간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타이밍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QCL 관계 및 상기 타이밍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QCL 관계 및 상기 타이밍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4. 네트워크 기기로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 유닛; 및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준 공동 위치(QCL)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 또는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 유닛 -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반송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안테나 포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의 수신과 관련된 DMRS 안테나 포트 사이는 QCL 관계를 충족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지연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시프트, 평균 지연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는,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의 관계를 충족하는 에너지 절약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QCL 관계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 측면의 QCL 관계에 포함되고, 상기 송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의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관련된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9.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와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사이의 타이밍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에 따라 상기 타이밍 관계, 상기 에너지 절약 신호 및 상기 페이징 관련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30.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QCL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KR1020207031326A 2018-03-30 2018-03-30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KR202001387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81456 WO2019183965A1 (zh) 2018-03-30 2018-03-30 信号传输的方法和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797A true KR20200138797A (ko) 2020-12-10

Family

ID=6806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326A KR20200138797A (ko) 2018-03-30 2018-03-30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546852B2 (ko)
EP (2) EP4221371A1 (ko)
JP (1) JP2021520700A (ko)
KR (1) KR20200138797A (ko)
CN (2) CN116437428A (ko)
AU (1) AU2018415388A1 (ko)
TW (1) TW201943301A (ko)
WO (1) WO20191839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6752A1 (en) * 2018-07-06 2020-01-09 Z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CN111278027B (zh) * 2019-02-02 2021-11-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节能信号检测方法、资源确定方法及相关设备
CN113260022B (zh) * 2020-02-07 2022-12-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及设备
WO2022032678A1 (zh) * 2020-08-14 2022-02-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设备、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9279A1 (en) 2013-05-21 2014-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aging in a beam form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4426830B (zh) * 2013-09-06 2019-03-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载波中参考运营的信令发送方法、系统和网络侧
JP6602756B2 (ja) 2014-06-05 2019-11-06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方法
US10721640B2 (en) * 2014-08-08 2020-07-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WO2017222309A1 (en) 2016-06-21 2017-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aging in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282861B (zh) * 2017-01-05 2022-07-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寻呼信息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03165A (zh) 2020-11-06
EP4221371A1 (en) 2023-08-02
EP3771263A4 (en) 2021-03-10
EP3771263A1 (en) 2021-01-27
CN116437428A (zh) 2023-07-14
US11546852B2 (en) 2023-01-03
US20210007051A1 (en) 2021-01-07
TW201943301A (zh) 2019-11-01
EP3771263B1 (en) 2023-04-26
AU2018415388A1 (en) 2020-11-19
JP2021520700A (ja) 2021-08-19
WO2019183965A1 (zh)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87349B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network node
US1190289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network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US20210014786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115468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
CN110892770A (zh) 传输信号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EP3627905B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3028413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3179548B (zh) 时频资源确定方法、装置、芯片及计算机程序
US20240056975A1 (en) Power Saving Techniques for Network-Controlled Repeaters
CN113016222A (zh) 一种信号接收方法、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