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674A - 청력 손실을 수용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청력 손실을 수용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674A
KR20200138674A KR1020200064781A KR20200064781A KR20200138674A KR 20200138674 A KR20200138674 A KR 20200138674A KR 1020200064781 A KR1020200064781 A KR 1020200064781A KR 20200064781 A KR20200064781 A KR 20200064781A KR 20200138674 A KR20200138674 A KR 20200138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personal
gain
level
hearing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6227B1 (ko
Inventor
존 우드러프
야킨 아즈미
이안 엠. 피쉬
징 시아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6/872,068 external-priority patent/US11418894B2/en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138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7Frequency adjustment, e.g. tone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Processing of the speech or voice signal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4Time compression or expansion
    • G10L21/057Time compression or expansion for improving intelligi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46Volume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05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of digital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2Manually-operated control
    • H03G5/02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 H03G5/16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0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comprising pocket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4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differentiation between music and non-music signal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musical parameters, e.g. based on tempo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41Adaptation of stereophonic signal reproduc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3Signal processing in hearing aids to enhance the speech intelligi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Abstract

미디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수용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이 기술된다. 본 방법은, 사용자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는 각자의 평균 이득 레벨들 및 각자의 이득 컨투어들을 갖는 수 개의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신호의 입력 레벨 및 입력 주파수에 기초하여 오디오 입력 신호를 향상시키기 위해 오디오 입력 신호에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순응적 오디오 출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신호는, 사용자의 청력 손실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명확하게 인지하는 스피치 또는 음악을 전달하기 위해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다른 태양들이 또한 설명되고 청구된다.

Description

청력 손실을 수용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MEDIA SYSTEM AND METHOD OF ACCOMMODATING HEARING LOSS}
본 출원은 2019년 6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55,951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가특허 출원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한다.
기술분야
오디오 능력들을 갖는 미디어 시스템들과 관련된 태양들이 개시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게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데 사용되는 미디어 시스템들과 관련된 태양들이 개시된다.
오디오-가능 디바이스들, 예컨대 랩톱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또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에게 오디오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오디오-가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할 수 있다. 오디오 콘텐츠는 음악 파일, 팟캐스트, 가상 어시스턴트 메시지 등과 같은 사전저장된 오디오 콘텐츠일 수 있으며, 이는 스피커에 의해 사용자에게 재생된다. 대안으로, 재구성된 오디오 콘텐츠는 실시간 오디오 콘텐츠, 예컨대 전화 통화, 화상 회의 등으로부터의 오디오 콘텐츠일 수 있다.
노이즈 노출, 노화, 또는 다른 인자들이 개인으로 하여금 청력 손실을 경험하게 할 수 있다. 개인들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심지어 청각 장애를 갖는 것으로 진단되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있다고 생각될 수 있다. 즉, 모든 개인은 표준(norm)과는 상이한 일부 주파수 종속적 라우드니스 지각(loudness perception)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차이들은 인간 집단에 걸쳐서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인간 집단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의 스펙트럼에 대응할 수 있다. 각각의 개인이 상이하게 듣는다는 것을 고려하면, 수 명의 개인들에게 동일한 방식으로 재구성된 오디오 콘텐츠는 각각에 의해 상이하게 경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에서 유의한 청력 손실을 갖는 사람은 그 주파수에서의 유의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의 재생을 머플링되는(muffled) 것으로서 경험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특정 주파수에서 청력 손실을 갖지 않는 사람은 동일한 오디오 콘텐츠의 재생을 또렷한 것으로서 경험할 수 있다.
개인은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디오 콘텐츠의 재생을 수정하도록 오디오-가능 디바이스들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에서 유의한 청력 손실을 갖는 사람은 재구성된 오디오의 라우드니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오디오 신호 볼륨의 전체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한 조정들은 수정된 재생이 사람의 청력 손실을 보상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재생을 수정하기 위한 볼륨 조정은 개인화된 방식으로 청력 손실을 보상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의 전체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이 라우드니스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사용자가 전체 범위에 걸쳐서 청력 손실을 경험하는지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라우드니스는 가청 주파수들의 범위에 걸쳐서 증가된다. 그러한 광범위한 레벨 조정들의 결과는 사용자에게 불편할 정도로 시끄럽고 방해되는 청취 경험일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수용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이 기술된다. 일 태양에서, 미디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재생될 수 있는 오디오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수 개의 오디오 필터들, 예컨대 수 개의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로부터, 오디오 필터, 예컨대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선택함으로써, 그리고 오디오 필터를 오디오 입력 신호에 적용함으로써 본 방법을 수행한다. 오디오 필터는 개인 오디오 필터, 예컨대 사용자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일 수 있다.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의 선택은, 각자의 사전설정된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로부터 미디어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은 사전설정된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을 보상하는데, 그 이유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이,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의 평균 손실 레벨들 및 손실 컨투어(contour)들에 대응하는 각자의 평균 이득 레벨들 및 각자의 이득 컨투어들을 갖기 때문이다.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는 오디오 입력 신호의 입력 레벨 및 입력 주파수에 기초하여 오디오 입력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미보정된 오디오 입력 신호가 재생된 경우에 그러했던 것처럼 머플링되는 것이 아니라) 재구성된 오디오 출력 신호로부터의 사운드를 정상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의 선택은 간략하고 수월한 등록 프로세스(enrollment process)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제1 오디오 신호는 하나 이상의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들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이한 평균 이득 레벨들을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제1 그룹을 사용하여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 동안 출력된다. 제1 오디오 신호는 상이한 라우드니스들에서 오디오 콘텐츠, 예컨대 스피치를 경험하는 사용자에게 재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청적이거나 바람직한 라우드니스를 선택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미디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들 또는 제1 그룹의 하나 이상의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을 사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 것에 응답하여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의 선택을 수신한다.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의 선택은 제1 오디오 신호, 예컨대 스피치 신호가 사용자에게 가청적인 레벨로 출력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의 선택은 제1 오디오 신호가 선호되는 라우드니스로 출력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은,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을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의 각자의 평균 이득 레벨은 개인 평균 이득 레벨과 동일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상이한 이득 컨투어들을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제2 그룹을 사용하여 등록 프로세스의 제2 스테이지 동안 제2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제2 그룹은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 동안 이루어진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탐색(exploration)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그룹 내의 각각의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는 제1 스테이지 동안 이루어진 가청도 선택에 대응하는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제2 오디오 신호는, 상이한 음색 또는 음조 설정들로 오디오 콘텐츠, 예컨대 음악을 경험하고, 바람직한 음색 또는 음조 설정을 선택하는 사용자에게 재생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미디어 시스템은,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 것에 응답하여, 개인 이득 컨투어의 선택을 수신한다. 미디어 시스템은, 개인 이득 컨투어를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의 각자의 이득 컨투어는 개인 이득 컨투어와 동일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등록 프로세스는 사전설정된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을 사용하여 재생하기 위해 제1 및 제2 오디오 신호들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 집단에서의 가장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오디오 필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필터들은, 대안으로, 사용자의 청력도(audiogram)에 밀접하게 관련되는 인간 집단으로부터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개인 청력도를 수신할 수 있고, 개인 청력도에 기초하여, 청력도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은 사용자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을 포괄하는 수 개의 사전설정된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이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미디어 시스템은, 결정된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을 결정할 수 있고,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 또는 제2 스테이지에서 오디오의 제시 동안 그들 오디오 필터들을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은 등록 프로세스를 활용하지 않고서 사용자의 청력도에 직접 기초하여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개인 청력도를 수신할 수 있고, 개인 청력도에 기초하여, 청력도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은 사용자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과 가장 긴밀하게 매칭하는 사전설정된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청력도는 사용자가 평균 청력 손실 레벨 및 손실 컨투어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미디어 시스템은 청력도에 맞는 사전설정된 청력 손실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미디어 시스템은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시스템은, 청력도의 평균 청력 손실 레벨에 대응하는 평균 이득 레벨을 갖고/갖거나 손실 컨투어에 대응하는 이득 컨투어를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은,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할 때, 오디오 입력 신호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로서 오디오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의 모든 태양들의 총망라 목록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이 앞서 요약된 다양한 태양들의 모든 적당한 조합들로부터 실시될 수 있는 모든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물론,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개시되고 본 출원과 함께 제출된 청구범위에서 특히 지적된 것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한 조합들은 상기의 발명의 내용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특정한 이점들을 갖는다.
도 1은 일 태양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일 태양에 따른, 감각신경성(sensorineural) 청력 손실을 갖는 개인들에 대한 라우드니스 곡선들의 그래프이다.
도 3은 일 태양에 따른, 상이한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을 갖는 개인들에 의해 인지된 라우드니스를 정규화하는 데 필요한 증폭들의 그래프이다.
도 4는 일 태양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수용하기 위해 오디오 입력 신호에 적용되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의 도면이다.
도 5는 일 태양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도의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태양에 따른,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의 도면들이다.
도 9는 일 태양에 따른, 청력 손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표현하는 다중대역 압축 이득 테이블의 도면이다.
도 10은 일 태양에 따른, 청력 손실을 수용하기 위해 오디오 입력 신호를 향상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태양에 따른, 제1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도면이다.
도 12는 일 태양에 따른, 등록 절차의 제2 스테이지에서 탐색을 위한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그룹들의 선택의 도면이다.
도 13은 일 태양에 따른, 제2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일 태양에 따른, 상이한 이득 컨투어들을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선택들의 도면들이다.
도 15는 일 태양에 따른, 개인 평균 이득 레벨 및 개인 이득 컨투어를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일 태양에 따른, 제1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일 태양에 따른, 상이한 평균 이득 레벨들을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선택들의 도면들이다.
도 18은 일 태양에 따른, 제2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일 태양에 따른, 상이한 이득 컨투어들을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선택들의 도면들이다.
도 20은 일 태양에 따른, 개인 평균 이득 레벨 및 개인 이득 컨투어를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각각, 일 태양에 따른, 개인 청력도에 기초하여 수 개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 및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각각, 일 태양에 따른, 개인 청력도에 기초하여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 및 도면이다.
도 23은 일 태양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태양들은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수용하기 위한 미디어 시스템 및 그의 사용 방법을 기술한다. 미디어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어폰과 같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렌더링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 예컨대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워치 등일 수 있고,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는 단지 몇 가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만을 예를 들면, 헤드폰, 헤드셋, 컴퓨터 스피커 등과 같은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태양들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이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특정 태양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중 하나 이상이 없이, 또는 다른 알려진 방법들 및 구성들과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태양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들, 치수들 및 프로세스들과 같은 많은 특정 세부사항들이 기재된다. 다른 경우에, 널리 공지된 프로세스들 및 제조 기법들은 설명을 불필요하게 불명료하게 하지 않기 위해 특별히 상세히 기술되지 않았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일 태양", "태양",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대한 언급은 기술되는 특정 특징, 구조, 구성,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태양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다양한 곳에서 어구 "일 태양", "태양",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출현이 반드시 동일한 태양을 지칭하지는 않는다. 또한, 특정 특징들, 구조들, 구성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태양들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설명 전반에 걸친 상대적 용어들(relative terms)의 사용은 상대 위치 또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 앞에(in front of)"는 기준점으로부터 떨어진 제1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유사하게, "~ 뒤에(behind)"는 기준점으로부터 멀고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용어들은 상대 기준 프레임들을 확립하기 위해 제공되며, 미디어 시스템의 사용 또는 배향을 하기의 다양한 태양들에 기술된 특정 구성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일 태양에서, 미디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미디어 시스템은, 경도(mild)든 중등도(moderate)든, 사용자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보상은 개인화될 수 있는데, 이는, 보상이 오디오 입력 신호의 밸런스 또는 전체 레벨만을 조정하기보다는 개인의 고유한 청력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레벨 종속적 및 주파수 종속적 방식으로 오디오 입력 신호를 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디어 시스템은 간략하고 수월한 등록 프로세스 동안 이루어진 선택들에 기초하여 오디오 튜닝을 개인화할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 동안, 사용자는 상이한 방식들로 필터링된 수 개의 오디오 신호들로부터 사운드들을 경험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개인 오디오 설정들을 선택하기 위해 경험들의 주관적인 평가들 또는 비교들에 기초하여 양자 택일(binary choice)들을 할 수 있다. 개인 오디오 설정들은 선호되는 오디오 필터의 평균 이득 레벨 및 이득 컨투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개인 오디오 설정들을 선택했을 때, 미디어 시스템은 오디오 입력 신호의 입력 레벨 및 입력 주파수에 기초하여 오디오 입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개인 오디오 설정들을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오디오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신호의 재생은 사용자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게 명확한 스피치 또는 음악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은 오디오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하거나 송신하는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 및 오디오 출력 신호(또는 오디오 출력 신호로부터 유도된 신호)를 사운드로 변환하는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는 스마트폰이다. 그러나,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는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워치, 텔레비전 등과 같은 다른 타입들의 오디오-가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는 이어폰(유선형(corded) 또는 무선형)이다. 그러나,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는 헤드폰과 같은 오디오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다른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는, 또한,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의 내부 또는 외부 스피커, 예컨대 스마트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워치, 텔레비전 등의 스피커일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미디어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미디어 시스템(100)이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수용하기 위해 오디오 입력 신호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미디어 시스템(100)은 오디오 입력 신호에 사용자의 개인화된 오디오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개인화된 미디어 향상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청취 선호도들 및/또는 청취 능력들을 수용하는 오디오 콘텐츠의 재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을 갖는 개인들에 대한 라우드니스 곡선들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은 지배적 타입의 청력 손실이지만, 다른 타입들의 청력 손실, 예컨대 전도성 청력 손실(conductive hearing loss)이 존재한다.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을 갖는 개인들은 정상 청취자들보다 더 높은 가청도 임계치들을 갖지만, 유사하게, 시끄러운 레벨들을 불편한 것으로서 경험한다. 전도성 청력 손실을 갖는 개인들에 대한 라우드니스 곡선들은 상이할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전도성 청력 손실을 갖는 개인들은 정상 청력을 갖는 그들의 상대방들에 비해 더 높은 가청도 임계치들 및 불편할 정도로 시끄러운 레벨을 갖는다. 라우드니스 레벨 곡선들(200)이 예로서 사용된다.
사용자의 청취 선호도들 및/또는 청취 능력들은 주파수 종속적 및 레벨 종속적이다. 청각 장애를 갖는 개인들은, 더 적은 청력 손실을 갖는 개인들과 동일한 인지된 라우드니스에 도달하기 위해 그들의 귀 내에 더 높은 음압(sound pressure) 레벨을 필요로 한다. 그래프는 라우드니스 레벨 곡선들(200)을 도시하는데, 이들은 특정 주파수, 예컨대 1 ㎑에서 수 명의 개인들에 대한 음압 레벨(SPL)의 함수로서, 인지되는 라우드니스(PHON)를 설명한다. 곡선(202)은 1:1 기울기 및 원점 0을 갖는데, 그 이유는 라우드니스 단위(예컨대, 50 PHON)가 정상 청력 청취자에 의해 대응하는 SPL(예컨대, 50 dB SPL)의 1 ㎑ 음조의 인지되는 라우드니스로서 정의되기 때문이다. 대조적으로, 손상된 청력(204)을 갖는 개인은 음압 레벨이 임계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어떠한 인지되는 라우드니스도 갖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인이 60 dB의 청력 손실을 가질 때, 개인은 음압 레벨이 60 dB에 도달할 때까지 라우드니스를 인지하지 않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상이한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을 갖는 개인들에 의해 인지된 라우드니스를 정규화하는 데 필요한 증폭들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개인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청력 손실을 갖는 개인의 귀 내의 음압 레벨을 상승시키도록 입력 신호에 이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래프는, 도 2의 라우드니스 레벨 곡선들을 갖는, 개인들에 대한 음압 레벨의 함수로서 정상 청력 라우드니스를 매칭시키는 데 필요한 이득을 설명하는 이득 곡선들(302)을 도시한다. 특정 주파수에서, 정상 청력(202)을 갖는 개인은 어떠한 증폭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 분명한데, 그 이유는, 명백하게, 개인이 모든 음압 레벨들에서 정상 청력 라우드니스를 이미 갖고 있기 때문이다. 대조적으로, 손상된 청력(204)을 갖는 개인은 도 2의 임계 레벨 아래, 예컨대 60 dB 아래의 인가된 사운드를 인지하기 위해 낮은 음압 레벨들에서 유의한 증폭을 요구한다.
개인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요구되는 증폭의 양은 음압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더 구체적으로, 청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요구되는 증폭의 양은 주파수 및 입력 신호 레벨 둘 모두에 의존한다. 즉, 오디오 입력 신호의 입력 신호 레벨이 주어진 주파수에 대해 더 높은 음압 레벨을 생성할 때, 주파수에서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더 적은 증폭이 요구된다. 유사하게, 개인들의 청력 손실은 주파수 종속적이며, 따라서, 라우드니스 레벨 곡선들 및 이득 곡선들은 다른 주파수, 예컨대, 2 ㎑에서 상이할 수 있다. 예로서, 이득 곡선들이 손상된 청력(1 ㎑보다는 2 ㎑에서 청력 손실이 더 많음)을 갖는 개인에 대해 상방으로 시프트되는 경우, 정상적으로 그 주파수에서의 사운드를 인지하기 위해 더 많은 증폭이 요구된다. 따라서, 오디오 입력 신호의 입력 신호 레벨이 특정 주파수(2 ㎑)에서의 컴포넌트들을 가질 때, 그 주파수에서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더 많은 증폭이 요구된다. 오디오 입력 신호의 입력 레벨 및 입력 주파수에 기초하여 오디오 입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오디오 입력 신호를 조정하는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다중대역 상향 압축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중대역 상향 압축은, 적절하게 또는 정상적으로 시끄러운 것으로 이미 인지되어 있는 사운드들을 조정하지 않고서, 너무 조용한 것으로 인지되거나 또는 인지되지 않는 사운드들을 가청 범위 내로 가져옴으로써 오디오 콘텐츠의 원하는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다중대역 상향 압축은, 청력이 손상된 개인이 사운드들을 정상적으로 인지하게 하도록 레벨 종속적 및 주파수 종속적 방식으로 오디오 입력 신호를 부스트할 수 있다. 청력이 손상된 개인의 라우드니스 레벨 곡선의 정규화는 소정 레벨들 또는 주파수들에서 과다-증폭 또는 과소-증폭을 회피할 수 있으며, 이는 단순히 볼륨을 턴업(turn up)하고 전체 가청 주파수 범위에 걸쳐서 오디오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것과 연관된 문제들을 회피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수용하기 위해 오디오 입력 신호에 적용되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위의 논의에 비추어, 미디어 시스템(100)은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오디오 입력 신호(404)에 적용함으로써 개인의 청력 손실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는 오디오 입력 신호(404)를, 개인에 의해 정상적으로 인지될 오디오 출력 신호(406)로 변환할 수 있다. 예로서, 오디오 입력 신호(404)는 전화 통화 시의 스피치, 오디오 트랙 내의 음악, 가상 어시스턴트로부터의 음성, 또는 다른 오디오 콘텐츠를 표현할 수 있다. 파선형 및 점선형 인출 라인들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다중대역 상향 압축 없이 재구성될 때, 소정 주파수들에서의 사운드는 정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반면(실선형 인출 라인에 의해 나타내짐), 다른 주파수들에서의 사운드들은 조용하게(누그러진(dull) 또는 머플링된 채로) 인지되거나 전혀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다양한 밀도의 파선형 및 점선형 인출 라인들에 의해 나타내짐). 대조적으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오디오 입력 신호(404)에 적용한 후에, 생성된 오디오 출력 신호(406)는 정상적으로 인지되는 소정 주파수들에서의 사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실선형 인출 라인들에 의해 표시됨). 따라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는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에 의해 사용자에게 재생되는 사운드를 향상시키기 위해 스피치, 음악, 및 다른 오디오 콘텐츠 내의 세부사항을 복원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도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가 오디오 입력 신호(404)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해 어떻게 선택되거나 결정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자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이 어떻게 식별되고 사용자 특정적 다중대역 압축 필터에 맵핑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사용자의 개인 청력도(500)는 주파수의 함수로서 가청 임계치들을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청력도 곡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청력도 곡선(502a)은 사용자의 우측 귀에 대한 가청 임계치들을 표현할 수 있고, 제2 청력도 곡선(502b)은 사용자의 좌측 귀에 대한 가청 임계치들을 표현할 수 있다. 개인 청력도(500)는 알려진 기법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평균 청력 손실(504)은 청력도 곡선들(502a, 502b)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곡선들 모두에 대한 평균 청력 손실(504)은 도시된 예에서 30 dB일 수 있다. 따라서, 개인 청력도(500)는, 예컨대 500 ㎐ 내지 8000 ㎑에서, 사용자의 평균 청력 손실 및 인간의 주 가청 범위에 걸친 주파수 종속적 청력 손실 둘 모두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지칭되는 주 가청 범위는 20 ㎐ 내지 20 ㎑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인간의 가청 범위보다 작을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인간 집단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의 도면들을 포함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은 레벨 및 컨투어 파라미터들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청력 손실 프로파일의 레벨 파라미터는 순수 음조 청력검사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평균 청력 손실을 나타낼 수 있다. 컨투어 파라미터는 가청 주파수 범위에 걸친 청력 손실 변동들, 예컨대 청력 손실이 소정 주파수들에서 더 두드러지는지의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은 레벨 및 컨투어 파라미터들에 따라 그룹화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은 실제 청력도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인간 집단에서 발견되는 청력 손실에 대한 가장 보편적인 프로파일들이다.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은 고유 레벨 및 컨투어 파라미터들을 갖는 3차원 공간의 청력도들에서 보편적인 청력도를 대표할 수 있다.
도 6은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의 제1 그룹(602)을 도시한다. 제1 그룹(602) 내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은 청취자들이 경도의 청력 손실을 갖는 것에 대응하는 레벨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602)의 프로파일들의 평균 청력 손실(604)은 20 dB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그룹(602) 내에 포함된 각각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은 동일한 평균 청력 손실(604)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은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제1 그룹(602)은 상이한 컨투어 파라미터들을 갖는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컨투어 파라미터들은 편평한 손실 컨투어(606), 노치형 손실 컨투어(608), 및 경사진 손실 컨투어(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형상들은 각자의 주파수들에서 뚜렷한 청력 손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평한 손실 컨투어(606)는 낮은 대역 주파수에서, 예컨대 500 ㎐에서 노치형 손실 컨투어(608) 또는 경사진 손실 컨투어(610)보다 더 많은 청력 손실을 가질 수 있다. 대조적으로, 노치형 손실 컨투어(608)는 중간 대역 주파수에서, 예컨대 4 ㎑에서 편평한 손실 컨투어(606) 또는 경사진 손실 컨투어(610)보다 더 많은 청력 손실을 가질 수 있다. 경사진 손실 컨투어(610)는 높은 대역 주파수에서, 예컨대 8 ㎑에서 편평한 손실 컨투어(606) 또는 노치형 손실 컨투어(608)보다 더 많은 청력 손실을 가질 수 있다.
청력 손실 프로파일 형상들은 다른 일반화된 특이점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평한 손실 컨투어(606)는 노치형 손실 컨투어(608) 및 경사진 손실 컨투어(610)에 비해 청력 손실의 최소 변동을 가질 수 있다. 즉, 편평한 손실 컨투어(606)는 각각의 주파수에서 더 일관된 청력 손실을 나타낸다. 또한, 노치형 손실 컨투어(608)는 동일한 곡선에 대한 다른 주파수들에서보다 중간 대역 주파수에서 더 많은 청력 손실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의 제2 그룹(702)의 도면을 도시한다. 각각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 그룹들의 평균 청력 손실은 도 6 내지 도 8로부터 순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2 그룹(702) 내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은 청취자들이 경도의 청력 손실 내지 중등도의 청력 손실을 갖는 것에 대응하는 레벨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그룹(702)의 평균 청력 손실(704)은 35 dB일 수 있다. 그러나, 제2 그룹(702)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은 상이한 컨투어 파라미터들, 예컨대, 편평한 손실 컨투어(706), 노치형 손실 컨투어(708), 및 경사진 손실 컨투어(710)를 가질 수 있다. 인간 집단에 걸친 청력 손실에서의 규칙성들로 인해, 각각의 레벨 그룹의 형상들은 형상별로 관련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손실 컨투어들(706 내지 710)의 형상들은 손실 컨투어들(606 내지 610)에 대해 전술된 일반화된 특이점들을 공유할 수 있지만, 형상들은 동일하게 스케일링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치형 손실 컨투어(708)는 도 7의 다른 손실 컨투어들에 비해 중간 대역 주파수에서 최고 손실을 가질 수 있지만, 노치형 손실 컨투어(708)의 최대 손실은 (도 6의 중간 대역 주파수에 비해) 높은 대역 주파수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은 인간 집단에서의 경도의 청력 손실 내지 중등도의 청력 손실을 갖는 사람들의 가장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을 표현할 수 있다.
도 8은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의 제3 그룹(802)의 도면을 도시한다. 제3 그룹(802)의 평균 청력 손실(804)은 제2 그룹(702)의 평균 청력 손실(704)보다 높을 수 있다. 제3 그룹(802)의 평균 청력 손실은 중등도의 청력 손실을 갖는 사람들을 대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 청력 손실(804)은 50 dB일 수 있다. 다른 그룹들과 마찬가지로, 제3 그룹(802)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은 형상이 상이할 수 있고, 편평한 손실 컨투어(806), 노치형 손실 컨투어(808), 및 경사진 손실 컨투어(810)를 포함한다. 손실 컨투어들(806 내지 810)의 형상들은 손실 컨투어들(606 내지 610 또는 706 내지 710)과 관련하여 전술된 일반화된 특이점들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은 인간 집단에서의 중등도의 청력 손실을 갖는 사람들의 가장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을 표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은 미디어 시스템(100)에 의해 저장된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해 9개의 사전설정들을 표현한다. 더 구체적으로, 미디어 시스템(100)은 전술된 청력도들의 3D 공간으로부터 취해진 임의의 수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 사전설정들을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사전설정은 개인 청력도(500)와 비교될 수 있는 레벨 및 컨투어 파라미터 조합을 가질 수 있다. 그룹들(602, 702, 802)의 9개의 사전설정들 중 하나는 개인 청력도(500)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검사에 의해, 도 5의 개인 청력도(500)는 제2 그룹(702)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가장 가까운 평균 청력 손실 레벨(35 dB에 비교되는 30 dB)을 가지며, 편평한 손실 컨투어(706)에 밀접하게 관련된 형상을 나타낸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편평한 손실 컨투어(706)는 개인 청력도(500)를 갖는 사용자의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로서 식별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청력도들과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 사이의 비교는 예로서 도입되며, 도 21 및 도 22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다시 언급될 것이다. 이러한 스테이지에서, 본 예는 (인간 집단으로부터 결정되고 미디어 시스템(100) 내에 사전설정으로서 저장된 바와 같이) 모든 개인이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과 밀접하게 매칭되는 실제 청력 손실(청력도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음)을 가질 수 있다는 개념을 명확히 한다. 실제 청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미디어 시스템(100)은 밀접하게 매칭되는 청력 손실 프로파일에 대응하고 그를 보상하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적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청력 손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표현하는 다중대역 압축 이득 테이블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은 각자의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로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들(602 내지 802)의 어느 청력 손실 프로파일이든 개인 청력도(500)와 가장 밀접하게 매칭되는 것은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에 맵핑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수 개의 사전설정된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 및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수 개의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을, 예컨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는 다중대역 압축 이득 테이블일 수 있다. 다중대역 압축 이득 테이블은, 개인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고, 이에 의해, 개인화된 미디어 향상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특정적 규정(prescription)일 수 있다. 일 태양에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는 입력 레벨(902) 및 입력 주파수(904)에 기초하여 오디오 입력 신호(404)를 증폭하는 데 사용된다. 오디오 입력 신호(404)의 입력 레벨(902)은 낮은 음압 레벨들로부터 높은 음압 레벨들에 걸쳐 있는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예로서, 오디오 입력 신호(404)는, 예를 들어, 20 dB일 수 있는 이득 테이블의 좌측에 도시된 음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신호(404)의 입력 주파수(904)는 가청 주파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예로서, 오디오 입력 신호(404)는, 예를 들어, 8 ㎑일 수 있는 이득 테이블의 상단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신호(404)의 입력 레벨(902) 및 입력 주파수(904)에 기초하여, 미디어 시스템(100)은, 특정 이득 레벨, 예컨대 30 dB가 오디오 입력 신호(404)에 적용되어 오디오 출력 신호(406)를 생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도 2 및 도 3의 청력 손실 및 이득 곡선들과 부합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9의 이득 테이블 예는, 사용자의 각각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에 대해, 대응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가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도록 결정되거나 선택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은 주파수들에서의 개인의 청력 손실에 역으로 대응하는 각각의 입력 주파수에서 이득 레벨들을 정의할 수 있다. 예로서, 제2 그룹(702) 내의 편평한 손실 컨투어(706)와 매칭하는 개인 청력도(500)를 갖는 사용자는 500 ㎐에서보다 8 ㎑에서 오디오 입력 신호(404)를 더 많이 증폭하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가질 수 있다. 가청 주파수에 걸친 이득 테이블에 의해 적용되는 이득은 손실 컨투어에 의해 표현되는 청력 손실을 무효화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청력 손실을 수용하기 위해 오디오 입력 신호를 향상시키는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은 오디오 콘텐츠의 개인화된 향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1002)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각자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수 개의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로부터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 프로세스는 다양한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되고 도 22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선택은 사용자의 개인 청력도를 사전설정된 청력 손실 프로파일과 매칭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미디어 시스템(100)의 일부 사용자들은 매칭을 위해 이용가능한 기존의 청력도를 갖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그러한 청력도들이 이용가능할 때라 하더라도, 상이한 사용자들에 의한 라우드니스 지각들의 역치상(supra-threshold) 차이들이 있을 수 있다. 그렇더라도, 예를 들어, 유사한 청력도들을 갖는 2명의 사용자들은 주어진 주파수에서 음압 레벨들을 주관적으로 상이하게 경험할 수 있는데, 예컨대 제1 사용자는 음압 레벨을 편하게 생각할 수 있고, 제2 사용자는 음압 레벨을 불편하게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청력도 데이터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오디오 필터 선택을 사용자에게 개인화하는 데 있어서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청력도 데이터에 의해 완전히 캡처되지 않는 선호도들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반드시 개인 청력도와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았던 상이한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데 있어서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사용자의 청력 선호도들을 수용하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의 선택을 하게 하는 데 편리하고 소음에 강건한 등록 절차가 사용될 수 있다. 등록 절차는 사전결정된 인구통계학(demographic)의 가장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에 의해 변경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들을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등록 절차들 동안, 예컨대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 중 하나 이상의 선택들을 행할 수 있고, 사용자 선택들을 통해,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를 위한, 오디오 입력 신호에 적용할 적절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결정하고/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등록 절차들의 수 개의 실시예들이 하기에서 기술된다. 등록 절차들은 수 개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실시예들의 스테이지들 중 하나 이상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5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 재생된 오디오 신호가 가청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등록 절차를 기술하며, 도 16 내지 도 20은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 상이한 평균 이득 레벨들을 갖는 오디오 필터들의 그룹으로부터의 선호되는 오디오 필터를 나타내는 제1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등록 절차를 기술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제1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등록 프로세스 동안, 미디어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들을 사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들은, 오디오 신호가 사용자에 의한 청취를 위해 상이한 라우드니스들에서 재생될 수 있게 하도록 적용되는 스칼라 이득 레벨들(광대역 또는 주파수 독립적 이득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시스템은 스피커에 의한 사용자에게로의 재생을 위해 제1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오디오 신호는 스피치, 예컨대 전세계로부터의 언어들로 말해진 기록된 인사말들을 포함하는 스피치 파일을 표현할 수 있다. 스피치는 (음악과 비교하여) 이득 레벨들 사이의 양호한 콘트라스트를 제공하고, 따라서,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 동안 적절한 평균 이득 레벨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 동안, 오디오 입력 신호(404)는 제1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로 사용자를 위해 재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치 신호는 낮은 레벨, 예컨대 40 dB 이하로 출력될 수 있다. 제1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은 상이한 평균 청력 손실 레벨들, 예컨대 레벨들(604, 704, 또는 804)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0 dB 이하의 레벨은, 평균 청력 손실 레벨(604)을 갖지만 가능하게는 청력 손실 레벨들(704, 804)은 갖지 않는 인구통계학에 의해 들릴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제1 증폭 레벨로의 제1 오디오 신호의 재생 동안, 사용자는 미디어 시스템(100)의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 상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청도 선택 요소(1102) 또는 불가청도 선택 요소(1104)를 선택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설정을 청취한 후에, 사용자는, 출력 오디오 신호가 사용자에게 가청적인 라우드니스를 갖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선택을 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레벨이 가청적임을 나타내기 위해 가청도 선택 요소(1102)를 선택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사용자는 출력 레벨이 불가청적임을 나타내기 위해 불가청도 선택 요소(1104)를 선택할 수 있다.
가청도 선택 요소(1102) 또는 불가청도 선택 요소(1104)의 선택을 행한 후에, 사용자는 선택 요소(1106)를 선택하여 선택을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이 가청도 선택 요소(1102)의 선택을 수신할 때, 시스템은, 출력 오디오 신호가 사용자에게 가청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선택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제1 스테이지의 제1 단계 동안 가청도 선택 요소(1102)의 선택을 수신할 때,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이 경도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 그룹의 평균 청력 손실 레벨(604)에 대응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청력 손실 프로파일 그룹은 등록 절차의 제2 스테이지에서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추가 탐색을 위한 기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제1 단계 동안의 불가청도 선택 요소(1104)의 선택은 등록 절차가 등록 절차의 제1 스테이지의 제2 단계로 진행하게 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의 제2 단계에서, 제1 오디오 신호는 제2 증폭 레벨로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치 신호는 더 높은 레벨, 예컨대 55 dB로 출력될 수 있다. 제2 설정을 청취한 후에, 사용자는 스피치 신호가 가청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가청도 선택 요소(1102) 또는 불가청도 선택 요소(1104)를 선택할 수 있다.
가청도 선택 요소(1102) 또는 불가청도 선택 요소(1104)의 선택을 행한 후에, 사용자는 선택 요소(1106)를 선택하여 선택을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은 출력 오디오 신호가 사용자에게 가청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선택에 기초하여,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제1 스테이지의 제2 단계 동안 가청도 선택 요소(1102)의 선택을 수신할 때,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이 경도 내지 중등도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 그룹의 평균 청력 손실 레벨(704)에 대응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청력 손실 프로파일 그룹은 등록 절차의 제2 스테이지에서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추가 탐색을 위한 기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시스템이 제2 단계 동안 불가청도 선택 요소(1104)의 선택을 수신할 때,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이 중등도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 그룹의 평균 청력 손실 레벨(804)에 대응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청력 손실 프로파일 그룹은 등록 절차의 제2 스테이지에서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추가 탐색을 위한 기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1 오디오 신호는 이득이 증가하는 순서로 하나 이상의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들을 사용하여 제1 스테이지 동안 생성되고/되거나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오디오 신호는 사용자가 등록 절차의 제1 스테이지를 통해 진행함에 따라 제1 단계 동안 40 dB로 그리고 이어서 제2 단계 동안 55 dB로 출력될 수 있다. 증가하는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들을 사용한 스피치 신호의 재생은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이 결정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의 결정은 가청도 선택 요소(1102)의 선택 또는 불가청도 선택 요소(1104)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치 신호가 55 dB로 출력될 때 사용자가 가청도 선택 요소(1102)를 선택하는 경우, 경도 내지 중등도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이 결정된다. 대조적으로, 사용자가 55 dB로 스피치 신호를 출력한 후에 불가청도 선택 요소(1104)를 선택하는 경우, 중등도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이 결정된다.
제1 오디오 신호는 교정된 레벨로 설정될 수 있고, 따라서,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 동안의 볼륨 조정이 불허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미디어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제1 오디오 신호의 출력 동안 미디어 시스템(100)의 볼륨 조정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 동안 미디어 시스템(100)의 볼륨 제어부들을 록아웃(lock out)함으로써, 청력 손실을 보상하는 이득 레벨들은, 테스트되고 있는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들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벨들은 평가 동안 고정되는 사전결정된 레벨들에서의 스피치 자극을 이용하여 탐색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등록 절차의 제2 스테이지에서 탐색을 위한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그룹들의 선택들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등록 절차의 제1 스테이지 동안의 선택들은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그룹들이 등록 절차의 제2 스테이지 동안의 탐색에 이용가능해지게 한다.
스피치 신호가 등록 절차의 제1 스테이지의 제1 단계 동안 제1 레벨, 예컨대 40 dB로 제시될 때, 사용자는 출력 오디오 신호가 가청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선택을 행한다. 가청도 선택 요소(1102)의 선택은 제1 레벨이 가청적임을 나타내고, 제1 단계 가청도 선택(1200)으로 지칭될 수 있다. 시스템은, 제1 단계 가청도 선택(1200)에 기초하여,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 및/또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1F, 1N, 1S)의 제1 그룹이 사용자의 개인 평균 이득 레벨과 동일한 각자의 평균 이득 레벨들을 갖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시스템은, 제1 단계 가청도 선택(1200)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이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 또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1F, 1N, 1S)의 제1 그룹의 평균 이득 레벨들 중 하나라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는 제로의 평균 이득 레벨을 가질 수 있고, 필터들의 제1 그룹은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의 제1 그룹(602)에 대응하는 평균 이득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필터들 중 하나 이상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등록 절차의 제2 스테이지 동안 탐색되어 결정을 추가로 좁히도록 할 수 있다.
스피치 신호가 등록 절차의 제1 스테이지의 제2 단계 동안 제2 레벨, 예컨대 55 dB로 제시될 때, 사용자는 출력 오디오 신호가 가청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선택을 행한다. 가청도 선택 요소(1102)의 선택은 제2 레벨이 가청적임을 나타내고, 제2 단계 가청도 선택(1204)으로 지칭될 수 있다. 시스템은, 제2 단계 가청도 선택(1204)에 기초하여,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2F, 2N, 2S)의 제2 그룹이 사용자의 개인 평균 이득 레벨과 동일한 평균 이득 레벨을 갖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은 제2 그룹의 평균 이득 레벨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그룹의 필터들은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의 제2 그룹(702)에 대응하는 평균 이득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제2 그룹의 오디오 필터들 중 하나 이상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등록 절차의 제2 스테이지 동안 탐색될 수 있다.
제2 레벨에서의 스피치 신호의 제시 동안의 불가청도 선택(1104)의 선택은 제2 레벨이 불가청적임을 나타내고, 제2 단계 불가청도 선택(1206)으로 지칭될 수 있다. 시스템은, 제2 단계 불가청도 선택(1206)에 기초하여,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3F, 3N, 3S)의 제3 그룹이 사용자의 개인 평균 이득 레벨과 동일한 평균 이득 레벨을 갖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은 제3 그룹의 평균 이득 레벨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그룹의 필터들은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의 제3 그룹(802)에 대응하는 평균 이득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제3 그룹의 오디오 필터들 중 하나 이상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등록 절차의 제2 스테이지 동안 탐색될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의 제2 스테이지에서, 사용자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결정된 그룹(들)을 탐색하여 개인 이득 컨투어를 선택할 수 있다. 개인 이득 컨투어는, 오디오 입력 신호 음조 특성들을 사용자의 취향(liking)으로 조정하는 (편평한, 노치형, 또는 경사진) 사용자 선호되는 이득 컨투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제2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등록 프로세스 동안, 미디어 시스템(100)은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그룹을 사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오디오 신호는 음악, 예컨대 녹음된 음악을 포함하는 음악 파일을 표현할 수 있다. 음악은 (스피치와 비교할 때) 음색 사이에 양호한 콘트라스트를 제공하고, 따라서, 등록 프로세스의 제2 스테이지 동안 적절한 이득 컨투어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스피치 대신에 제2 스테이지 동안 음악을 재생하는 것은 사용자의 음색 또는 음조 선호도가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게 한다.
제2 스테이지 동안, 오디오 입력 신호(404)는 상이한 음조 향상 설정들로 사용자를 위해 순차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단계 가청도 선택(1200), 제2 단계 가청도 선택(1204), 또는 제2 단계 불가청도 선택(1206)에 응답하여 결정된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그룹(들)은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데 사용된다. 그룹들의 구성원들 각각은 상이한 이득 컨투어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 이외의) 각각의 그룹은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의 편평한 손실 컨투어에 대응하는 편평한 오디오 필터,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의 노치형 손실 컨투어에 대응하는 노치형 오디오 필터, 및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의 경사진 손실 컨투어에 대응하는 경사진 오디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손실 컨투어들 및 손실 컨투어들과 각자의 이득 컨투어들 사이의 역관계를 참조하면, 편평한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가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고, 노치형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가 중간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고, 경사진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가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오디오 필터들은 상이한 주파수들이 상이한 청력 손실 컨투어들에 대응하여 표명(pronounce)되도록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제2 오디오 신호에 적용된다.
사용자는 제1 재생 설정으로 제2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현재 튜닝 요소(1304)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계 가청도 선택(1200)이 도 12에서 이루어졌을 때, 제2 오디오 신호는 현재 튜닝으로서 오디오 필터링(제로 이득 필터) 없이 재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설정의 이득 컨투어와는 상이한 각자의 이득 컨투어를 갖는 제2 오디오 필터로 제2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도록, 변경된 튜닝 요소(1306)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된 튜닝은 (1F) 오디오 필터로 제2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호되는 설정, 예컨대 사용자가 제2 오디오 신호의 음악을 더 잘 들을 수 있게 하는 튜닝을 식별했을 때, 사용자는 선택 요소(1106)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으로, 사용자는, 예컨대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 또는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 상의 버튼을 탭핑함으로써, 물리적 스위치를 통해 선택을 행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상이한 이득 컨투어들을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선택들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등록 프로세스의 제2 스테이지 동안, 상이한 향상 설정들이 사용자에게 제시되고, 사용자는 선호되는 설정을 선택할 것을 요청받는다. 향상 설정들은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 동안 이루어진 선택에 기초하여 제2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그룹을 포함한다. 그룹 내의 오디오 필터들은 상이한 손실 컨투어들을 갖는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2 단계 가청도 선택(1204)이 도 12에서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시스템은 탐색을 위해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제2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현재 튜닝 요소(1304)의 선택은 도 7의 편평한 손실 컨투어(706)에 대응하는 편평한 이득 컨투어(2F) 오디오 필터를 사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대조적으로, 변경된 튜닝 요소(1306)의 선택은 도 7의 노치형 손실 컨투어(708)에 대응하는 노치형 이득 컨투어(2N) 오디오 필터를 사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사용자는 선호되는 설정을 선택할 수 있고, 이어서, 선택 요소(1106)를 선택하여 제2 스테이지 내의 다음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튜닝 요소(1304)를 선택하여, 편평한 손실 컨투어에 대응하는 필터를 선택하고 다음 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의 제2 스테이지는 도 14a의 그리드를 가로지르는 수직 방향의 모든 이득 컨투어 설정들의 제시를 요구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2 스테이지 동안 현재 튜닝, 예컨대 (2F)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때라 하더라도, 등록 프로세스는 현재 튜닝과 후속 튜닝 사이의 추가 비교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는 후속 튜닝들이 도 14a의 그리드의 컬럼(column)들에 도시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추가의 변경된 튜닝들은 가능한 평균 이득 레벨 설정들 각각에 대한 경사진 손실 컨투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상이한 이득 컨투어들을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선택들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등록의 제2 스테이지 내의 다음 동작에서, 제2 오디오 신호는 이전에 선택된 이득 컨투어 설정 및 다음 이득 컨투어 설정(2S)에 대응하는 (2F)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등록의 제2 스테이지 동안 제2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모든 튜닝들은 동일한 평균 이득 레벨을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 음조 조정들의 비교를 위해 제2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편평한 이득 컨투어(2F), 노치형 이득 컨투어(2N), 및 경사진 이득 컨투어(2S)는 모두 등록의 제1 스테이지 동안 결정된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을 가질 수 있다.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은, 예를 들어 경도 내지 중등도의 청력 손실 그룹 프로파일에 대한 평균 이득 손실(704)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든 필터들에 의해 변경되는 제2 오디오 신호를 청취했을 때, 사용자는 선호되는 튜닝, 예컨대, 변경된 튜닝(1306)을 선택할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은 개인 이득 컨투어(1402)의 선택으로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이득 컨투어(1402)는 경사진 이득 컨투어(2S)일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와는 대조적으로, 미디어 시스템(100)의 볼륨 조정은 제2 오디오 신호의 출력 동안 인에이블될 수 있다. 볼륨 조정을 허용하는 것은 상이한 오디오 신호 조정들의 음조 특성들 사이를 구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볼륨 제어부(1302)(도 13)를 사용하여 미디어 시스템(100)의 볼륨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사용자가 각각의 음조 설정들 사이의 차이들을 들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등록 프로세스의 제2 스테이지는 사용자가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모든 주파수들을 여기시키는 음악 자극을 이용하여 이득 컨투어들을 탐색할 수 있게 하고, 볼륨 변화들은 사용자가 변경된 음악 자극들의 음조 특성들 사이를 구별할 수 있게 하도록 조장된다.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들의 제시 시퀀스는, 사용자가 먼저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을 결정하고 이어서 개인 이득 컨투어를 결정하는 등록 프로세스를 통해 진행(step through)할 수 있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먼저, 제1 오디오 신호가 가청적이 되는 설정을 선택함으로써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을 선택할 수 있고, 이어서, 형상 축을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그리드를 통해 진행함으로써 개인 이득 컨투어(1402)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드의 각각의 정사각형은 각자의 평균 이득 레벨 및 이득 컨투어를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표현하고, 따라서, 도시된 예(3x3 그리드)는 등록 프로세스에 기인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가 9개의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9개의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상정한다. 이러한 입도 레벨, 예컨대 3개의 레벨 그룹들 및 3개의 컨투어 그룹들은, 선택된 사전설정이 그들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과 정확하게 매칭했든 매칭하지 않았든, 사용자들이 일관되게 선호한 사전설정을 선택하도록 사용자들을 일관되게 유도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등록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사전설정들의 수는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는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을 갖는 오디오 필터 그룹들의 선택을 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4개 이상의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들을 통해 진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유사하게,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이득 컨투어들이 그리드의 형상 축을 가로질러서 표현되어 사용자가 상이한 음조 향상들을 평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개인 평균 이득 레벨 및 개인 이득 컨투어를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흐름도는 컬럼들 및 로우(row)들을 갖는 오디오 필터 그리드로부터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기 위한 등록 프로세스 스테이지들을 예시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등록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먼저, 컨투어들의 추가 탐색을 위해 오디오 필터 그리드 내의 정확한 컬럼을 결정하도록 레벨들을 탐색할 수 있게 한다. 동작(1502)에서,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에서, 사용자는 사전결정된 레벨, 예컨대 40 dB 레벨에서 오디오 신호를 청취한다. 사전결정된 레벨은 스피치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에 기인하는 제시 레벨이다. 동작(1504)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현재 제시 레벨을 들을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 오디오 필터로부터 생성된 40 dB 레벨을 들을 수 있는 경우, 사용자는 현재 레벨을 개인 평균 이득 레벨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식별하기 위해 가청도 선택 요소(1102)를 선택한다. 그러한 경우에, 시스템은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이 제로 이득 필터 또는 (1F, 1N, 1S) 오디오 필터 그룹의 평균 이득 레벨이라고 결정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불가청도 선택 요소(1104)를 선택하는 경우, 동작(1506)에서, 제1 결정 시퀀스는 다음 사전결정된 레벨, 예컨대 55 dB 레벨로 반복된다. 다음 사전결정된 레벨은 스피치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다음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에 기인하는 제시 레벨이다. 오디오 신호는 동작(1502)에서 다음 사전결정된 레벨로 제시될 수 있다. 동작(1504)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현재 레벨을 들을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현재 레벨을 들을 수 있는 경우, 사용자는 현재 레벨을 개인 평균 이득 레벨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식별하기 위해 가청도 선택 요소(1102)를 선택한다. 그러한 경우에, 시스템은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이 (2F, 2N, 2S) 오디오 필터 그룹의 평균 이득 레벨이라고 결정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불가청도 선택 요소(1104)를 선택하는 경우, 시스템은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이 (3F, 3N, 3S) 오디오 필터 그룹의 평균 이득 레벨이라고 결정한다. 반복 동안 사용자가 가청적인 것으로 선택하는 레벨은 어느 것이든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의 결정을 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청 레벨을 선택할 때, 시스템은 선택된 사전결정된 이득 레벨에 대응하는 평균 이득 레벨들을 갖는 오디오 필터 그룹들을 추가 탐색을 위해 결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은 가청도 선택들로부터 결정될 수 있고, 등록 프로세스는 제2 스테이지로 계속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등록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선택된 오디오 필터 그룹들 내의 이득 컨투어들을 탐색하여, 오디오 필터 그리드 내의 정확한 로우를 결정하고, 따라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표현하는 그리드 내의 정사각형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동작(1508)에서, 등록 프로세스의 제2 스테이지에서, 사용자는 수 개의 형상 오디오 신호들을 비교한다.
특별한 경우에, 사용자는 제1 단계 가청도 선택(1200)을 행하고, 시스템은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 또는 (1F, 1N, 1S) 오디오 필터 그룹이 사용자의 개인 평균 이득 레벨에 대응한다고 결정한다. 그러한 경우에, 음악 파일은 결정 시퀀스(1508)에서 재생된다. 결정 시퀀스(1508)에서, 음악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또는 필터 없음)와 음악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저이득의 편평한 오디오 필터(1F) 사이에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가, 예컨대 현재 튜닝 요소(1304)를 통해 다시 선택되는 경우, 프로세스는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를 저이득의 노치형 오디오 필터(1N)와 비교하기를 반복할 수 있다.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가, 예컨대 현재 튜닝 요소(1304)를 통해 다시 선택되는 경우, 등록 프로세스는 종료될 수 있고, 어떠한 오디오 필터도 오디오 입력 신호(404)에 적용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수 개의 레벨 및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 위의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시퀀스를 통해 흐름도가 진행될 때,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정상 청력을 갖는다고 결정하고, 시스템의 디폴트 오디오 설정에 대해 어떠한 조정들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또한, 제로의 개인 평균 이득 레벨 및 비-조정의 개인 이득 컨투어를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로서 프레임화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비-제로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을 선택하는 이벤트에서, 예컨대 제1 스테이지 동안 제2 단계 가청도 선택(1204) 또는 제2 단계 불가청도 선택(1206)이 선택되거나, 또는 제2 스테이지의 초기 동작(1508)에서 (1F) 또는 (1N) 오디오 필터들이 선택되는 이벤트에서, 동작(1508)에서의 형상 오디오 신호 비교는 음악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비-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들 사이에서의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단계 가청도 선택(1204)이 추가 탐사를 위해 (2F, 2N, 2S) 오디오 필터 그룹의 선택을 구동했다면, 동작(1508)에서, (2F) 오디오 필터는 현재 튜닝으로서 음악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고, 저레벨 노치형 오디오 필터(2N)는 변경된 튜닝으로서 음악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들은 각자의 형상 오디오 신호들로서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동작(1510)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개인 이득 컨투어(1402)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개인 이득 컨투어(1402)는, 사용자가 모든 형상 오디오 신호들을 청취하고 선호되는 형상 오디오 신호를 선택한 후에 선택된다. 예를 들어, 동작(1508)에서 사용자가 (2N) 오디오 필터 위의 (2F)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경우, (2F) 오디오 필터는 개인 이득 컨투어(1402)에 대한 후보이다. 동작(1512)에서, 제2 스테이지는 다음 형상 오디오 신호 비교에 대해 반복된다. 예를 들어, 이전 반복 동안 선택된 (2F) 오디오 필터는 음악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고, 저레벨의 경사진 오디오 필터(2S)는 음악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들은 동작(1508)에서 각자의 형상 오디오 신호들로서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선호되는 형상 오디오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동작(1510)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개인 이득 컨투어(1402)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S)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오디오 필터를 선택했고 모든 형상 오디오 신호들이 선택을 위해 사용자에게 제시되었음을 고려할 때, 미디어 시스템(100)은 선택을 개인 이득 컨투어(1402)로서 식별한다.
레벨 및 컨투어 설정들이 탐색된 후에, 동작(1002)에서, 미디어 시스템은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선택한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예컨대 제1 스테이지로부터 결정된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을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제2 스테이지로부터 결정된 개인 이득 컨투어(1402)를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드 내의 특정 정사각형을 식별한다. 개인 평균 이득 레벨 및 개인 이득 컨투어(1402)를 갖는 선택된 필터는 검증 동작에서의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검증 동작에서, 오디오 신호, 예컨대 음악 오디오 신호는 등록 프로세스 동안 식별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사용하여 미디어 시스템(100)에 의해 출력 및 재생될 수 있다. 검증 동작은, 조정이 사실상 개선임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선택된 사전설정과 정상 재생(조정 없음) 사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가 청취 경험을 개선시킨다고 동의할 때, 사용자는 등록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 요소, 예컨대 "완료(done)"를 선택할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의 마지막에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는 사용자의 선호되는 개인 평균 이득 레벨 및/또는 개인 이득 컨투어(1402)를 갖는 오디오 필터로서 식별된다. 따라서, 동작(1002)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등록 프로세스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개인 평균 이득 레벨을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개인 이득 컨투어(1402)를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등록 절차는 도 11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전술된 프로세스와는 상이할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가 도 16 내지 및 도 20과 관련하여 하기에서 기술된다. 도 11 내지 도 15의 실시예와 같이, 도 16 내지 도 20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 선택들을 통해,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를 위한, 오디오 입력 신호에 적용할 적절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결정하고/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제1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등록 프로세스 동안, 미디어 시스템(100)은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제1 그룹을 사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디오 신호는 스피치, 예컨대 전세계로부터의 언어들로 말해진 기록된 인사말들을 포함하는 스피치 파일을 표현할 수 있다. 스피치는 (음악과 비교하여) 이득 레벨들 사이의 양호한 콘트라스트를 제공하고, 따라서,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 동안 적절한 평균 이득 레벨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 동안, 오디오 입력 신호(404)는 상이한 향상 설정들로 사용자를 위해 순차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이한 평균 이득 레벨들을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이 제1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어, 상이한 평균 청력 손실 레벨들, 예컨대 레벨들(604, 704 또는 804)에 대응하는 상이한 평균 이득 레벨들에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미디어 시스템(100)의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 상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현재 튜닝 요소(1602)를 선택하여 제1 증폭 레벨로 제1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게 할 수 있다. 제1 설정을 청취한 후에, 사용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경된 튜닝 요소(1604)를 선택하여 제1 증폭 레벨보다 높은 제2 증폭 레벨로 제1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호되는 설정, 예컨대 사용자가 제1 오디오 신호의 스피치를 더 잘 들을 수 있게 하는 튜닝을 식별했을 때, 사용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 요소(1606)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으로, 사용자는, 예컨대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 또는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 상의 버튼을 탭핑함으로써, 물리적 스위치를 통해 선택을 행할 수 있다. 현재 튜닝 요소(1602)가 인에이블되는 동안 사용자가 선택 요소(1606)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은 개인 평균 이득 레벨(1702)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개인 평균 이득 레벨(1702)은, 사용자가 현재 튜닝을 사용하여 등록 프로세스를 계속하기로 결정할 때 제1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평균 이득 레벨일 수 있다. 대안으로, 사용자는 변경된 튜닝 요소(1604)가 인에이블된 등록을 계속하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선택은 등록 프로세스가 제1 스테이지에서 다음 동작으로 진행하게 한다. 다음 동작에서, 제1 오디오 신호는 다른 쌍의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에 의해 재구성될 수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상이한 평균 이득 레벨들을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선택들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 동안, 상이한 향상 설정들이 청취자에게 제시되고, 청취자는 선호되는 설정을 선택할 것을 요청받는다. 향상 설정들은 제1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제1 그룹을 포함하고, 필터들은 상이한 평균 이득 레벨들을 갖는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튜닝은 초기에 제로 평균 이득 레벨일 수 있다(입력 신호에 적용되는 어떠한 이득 레벨도 없음, 또는 "오프(off)"). 변경된 튜닝은 도 6의 제1 그룹(602)에서의 손실 컨투어들 중 하나(제1 레벨, 편평한 컨투어)에 대응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1F)일 수 있다. 제1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는 후속 튜닝들이 도 17a의 그리드의 상단 로우에 도시되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추가의 변경된 튜닝들 (2F) 및 (3F)는 도 7의 제2 그룹(702)의 손실 컨투어(제2 레벨, 편평한 컨투어) 및 도 8의 제3 그룹(802)의 손실 컨투어(제3 레벨, 편평한 컨투어)에 대응한다. 도 17a에 도시된 제1 스테이지에서, 사용자는 현재 튜닝 및 변경된 튜닝이 적용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고, 변경된 튜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더 큰 이득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나타낸다. 도 17b를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상이한 평균 이득 레벨들을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선택들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등록의 제1 스테이지에서의 다음 동작에서, 제1 오디오 신호는 현재 튜닝으로서 (1F)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제1 오디오 신호는, 또한, 변경된 튜닝으로서 (2F)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등록의 제1 스테이지 동안 제1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모든 튜닝들은 동일한 이득 컨투어를 갖는다. 예를 들어, 튜닝들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편평한 손실 컨투어들에 대응하는 필터들일 수 있고, 따라서, 모두, 편평한 이득 컨투어들을 가질 수 있다(편평한 손실 컨투어들에 역으로 관련됨). 따라서, 도 17b에서의 현재 튜닝은 도 6의 평균 손실 레벨(604)에 대응하는 평균 이득 레벨을 가질 수 있고, 변경된 튜닝은 도 7의 평균 손실 레벨(704)에 대응하는 평균 이득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필터들 둘 모두에 의해 변경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청취했을 때, 사용자는 현재 튜닝을 선호되는 튜닝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선택을 개인 평균 이득 레벨(1702), 예컨대 20 dB의 선택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7b에서의 변경된 튜닝을 선호한다고 하면, 변경된 튜닝의 선택은 등록 프로세스가 제1 스테이지 내의 다음 동작으로 진행하게 할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다음 동작에서, 제1 오디오 신호는 도 7 및 도 8에서 손실 컨투어들에 대응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 (2F) 및 (3F)를 사용하여 재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간결성을 위해 그러한 동작의 설명이 생략된다.
일 태양에서, 제1 오디오 신호는 평균 이득 레벨들이 증가하는 순서로 제1 그룹의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예를 들어, 도 17a에서, 제1 오디오 신호에는 제로 이득의 현재 튜닝 및 도 6의 평균 청력 손실(604), 예컨대 20 dB 평균 이득 레벨에 대응하는 변경된 튜닝 (1F)가 제시되었다. 도 17b에서, 제1 오디오 신호에는 도 6 및 도 7의 평균 청력 손실, 예컨대 20 dB 및 35 dB 평균 이득 레벨들에 대응하는 튜닝들 (1F) 및 (2F)가 제시되었다. 따라서, 오디오 신호 변경들은 이득이 증가하는 순서로 제시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증가하는 순서로의 오디오 신호 레벨 비교들의 제시는 등록 프로세스를 더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 이득 레벨보다 큰 제3 이득 레벨을 원하지만 제1 이득 레벨보다 큰 제2 이득 레벨을 원하지 않는 것은 드물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2 이득 레벨 위의 제1 이득 레벨을 선택한 경우에 제3 이득 레벨을 제시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추가 비교(제3 이득 레벨과 제1 이득 레벨을 비교하는 것)의 제거는 등록 프로세스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제1 오디오 신호는 청취 경험에 대한 사실성을 제공하기 위해 일부 노이즈가 내장되게 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오디오 신호는 스피치를 표현하는 스피치 신호 및 노이즈를 표현하는 노이즈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치 신호 및 노이즈 신호는 특정 비로 내장되어, 제1 오디오 신호의 레벨 증가가 스피치 파일에서의 스피치 및 노이즈 오디오 콘텐츠 둘 모두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치 신호 대 노이즈 신호의 비는 10 내지 30 dB의 범위, 예컨대 15 dB에 있을 수 있다. 그 비는 노이즈가 스피치를 압도(overpower)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높을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평균 이득 레벨 증가에 의한 노이즈의 점진적 증폭은, 사용자가,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불필요하게 부스트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것을 단념(deter)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내장된 노이즈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지만 과보상하지는 않는 증폭 레벨을 선택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실성을 제공한다.
제1 오디오 신호는 교정된 레벨로 설정될 수 있고, 따라서,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 동안의 볼륨 조정이 불허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미디어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제1 오디오 신호의 출력 동안 미디어 시스템(100)의 볼륨 조정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 동안 미디어 시스템(100)의 볼륨 제어부들을 록아웃함으로써, 청력 손실을 보상하는 이득 레벨들은, 테스트되고 있는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평균 이득 레벨들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벨들은 고정된 레벨에서 스피치 자극을 이용하여 탐색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 동안 개인 평균 이득 레벨(1702)의 선택을 허용하는 것에 더하여, 등록 프로세스는 개인 이득 컨투어를 선택하는 제2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이득 컨투어는, 오디오 입력 신호 음조 특성들을 사용자의 취향으로 조정하는 (편평한, 노치형, 또는 경사진) 사용자 선호되는 이득 컨투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제2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등록 프로세스 동안, 미디어 시스템(100)은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제2 그룹을 사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오디오 신호는 음악, 예컨대 녹음된 음악을 포함하는 음악 파일을 표현할 수 있다. 음악은 (스피치와 비교할 때) 음색 사이에 양호한 콘트라스트를 제공하고, 따라서, 등록 프로세스의 제2 스테이지 동안 적절한 이득 컨투어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스피치 대신에 제2 스테이지 동안 음악을 재생하는 것은 사용자의 음색 또는 음조 선호도가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게 한다.
제2 스테이지 동안, 오디오 입력 신호(404)는 상이한 음조 향상 설정들로 사용자를 위해 순차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데 사용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제2 그룹은 상이한 이득 컨투어들을 가질 수 있다. 제2 그룹은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의 편평한 손실 컨투어에 대응하는 편평한 오디오 필터,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의 노치형 손실 컨투어에 대응하는 노치형 오디오 필터, 및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의 경사진 손실 컨투어에 대응하는 경사진 오디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손실 컨투어들 및 손실 컨투어들과 각자의 이득 컨투어들 사이의 역관계를 참조하면, 편평한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가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고, 노치형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가 중간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고, 경사진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가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오디오 필터들은 상이한 주파수들이 상이한 청력 손실 컨투어들에 대응하여 표명되도록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제2 오디오 신호에 적용된다.
사용자는 각자의 이득 컨투어를 갖는 제1 오디오 필터로 제2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현재 튜닝 요소(1602)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설정을 청취한 후에, 사용자는 제1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와는 상이한 각자의 이득 컨투어를 갖는 제2 오디오 필터로 제2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도록, 변경된 튜닝 요소(1604)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호되는 설정, 예컨대 사용자가 제2 오디오 신호의 음악을 더 잘 들을 수 있게 하는 튜닝을 식별했을 때, 사용자는 선택 요소(1606)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으로, 사용자는, 예컨대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 또는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 상의 버튼을 탭핑함으로써, 물리적 스위치를 통해 선택을 행할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상이한 이득 컨투어들을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선택들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등록 프로세스의 제2 스테이지 동안, 상이한 향상 설정들이 청취자에게 제시되고, 청취자는 선호되는 설정을 선택할 것을 요청받는다. 향상 설정들은 제2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제2 그룹을 포함하고, 필터들은 상이한 손실 컨투어들을 갖는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튜닝은, 초기에, 도 6의 편평한 손실 컨투어(606)에 대응하는 편평한 이득 컨투어(1F)일 수 있다. 변경된 튜닝은 도 6의 노치형 손실 컨투어(608)에 대응하는 (1N)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일 수 있다. 사용자는 편평한 손실 컨투어에 대응하는 필터를 선호할 수 있고, 선택 요소(1606)를 선택하여 제2 스테이지 내의 다음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는 도 17a의 그리드를 가로질러서 수평 방향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모든 평균 이득 레벨 설정들의 제시를 요구하지 않았던 반면에, 등록 프로세스의 제2 스테이지는 도 19a의 그리드를 가로질러서 수직 방향으로의 모든 이득 컨투어 설정들의 제시를 요구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2 스테이지 동안 현재 튜닝을 선택하는 때라 하더라도, 등록 프로세스는 현재 튜닝과 후속 튜닝 사이의 추가 비교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는 후속 튜닝들이 도 19a의 그리드의 컬럼들에 도시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추가의 변경된 튜닝들은 가능한 평균 이득 레벨 설정들 각각에 대한 경사진 손실 컨투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상이한 이득 컨투어들을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선택들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등록의 제2 스테이지 내의 다음 동작에서, 제2 오디오 신호는 이전에 선택된 이득 컨투어 설정 및 다음 이득 컨투어 설정(1S)에 대응하는 (1F)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등록의 제2 스테이지 동안 제2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모든 튜닝들은 동일한 평균 이득 레벨을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 음조 조정들의 비교를 위해 제2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편평한 이득 컨투어(1F), 노치형 이득 컨투어(1N), 및 경사진 이득 컨투어(1S)는 모두 등록의 제1 스테이지 동안 선택된 개인 평균 이득 레벨(1702)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모든 필터들에 의해 변경되는 제2 오디오 신호를 청취했을 때, 사용자는 선호되는 튜닝, 예컨대, 변경된 튜닝을 선택할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은 개인 이득 컨투어(1902)의 선택으로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이득 컨투어(1902)는 경사진 이득 컨투어(1S)일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와는 대조적으로, 미디어 시스템(100)의 볼륨 조정은 제2 오디오 신호의 출력 동안 인에이블될 수 있다. 볼륨 조정을 허용하는 것은 상이한 오디오 신호 조정들의 음조 특성들 사이를 구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볼륨 제어부(2302)(도 18)를 사용하여 미디어 시스템(100)의 볼륨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사용자가 각각의 음조 설정들 사이의 차이들을 들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등록 프로세스의 제2 스테이지는 사용자가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모든 주파수들을 여기시키는 음악 자극을 이용하여 이득 컨투어들을 탐색할 수 있게 하고, 볼륨 변화들은 사용자가 변경된 음악 자극들의 음조 특성들 사이를 구별할 수 있게 하도록 조장된다.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들의 제시 시퀀스는 사용자가 제1 스테이지 동안 수평 방향으로 그리고 제2 스테이지 동안 수직 방향으로 그리드를 통해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먼저, 레벨 축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그리드를 통해 진행함으로써 개인 평균 이득 레벨(1702)을 선택할 수 있고, 이어서, 형상 축을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그리드를 통해 진행함으로써 개인 이득 컨투어(1902)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드의 각각의 정사각형은 각자의 평균 이득 레벨 및 이득 컨투어를 갖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표현하고, 따라서, 도시된 예(3x3 그리드)는 등록 프로세스에 기인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가 9개의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9개의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상정한다. 이러한 입도 레벨, 예컨대 3개의 레벨 그룹들 및 3개의 컨투어 그룹들은, 선택된 사전설정이 그들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과 정확하게 매칭했든 매칭하지 않았든, 사용자들이 일관되게 선호한 사전설정을 선택하도록 사용자들을 일관되게 유도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등록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사전설정들의 수는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는 사용자들이 더 많은 컬럼들을 갖는 그리드를 가로질러서 4개 이상의 평균 이득 레벨들을 통해 진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유사하게,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이득 컨투어들이 그리드의 형상 축을 가로질러서 표현되어 사용자가 상이한 음조 향상들을 평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개인 평균 이득 레벨 및 개인 이득 컨투어를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흐름도는 컬럼들 및 로우들을 갖는 오디오 필터 그리드로부터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기 위한 등록 프로세스 스테이지들을 예시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등록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먼저, 오디오 필터 그리드 내의 정확한 컬럼을 결정하도록 레벨들을 탐색할 수 있게 한다. 동작(2002)에서, 등록 프로세스의 제1 스테이지에서, 사용자는 수 개의 레벨 오디오 신호들, 예컨대 현재 이득 레벨 및 다음 이득 레벨을 비교한다. 예를 들어,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이득 없음 또는 "오프")는 현재 이득 레벨로서 스피치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고, 저이득의 편평한 오디오 필터(1F)는 다음 이득 레벨로서 스피치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들은 각자의 레벨 오디오 신호들로서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동작(2004)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현재 레벨에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에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를 개인 이득 레벨(1702)로서 선택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다음 오디오 레벨, 예컨대 (1F)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경우, 동작(2006)에서, 제1 결정 시퀀스는 다음 레벨 오디오 신호 비교에 대해 반복된다. 예를 들어, (1F) 필터는 현재 이득 레벨로서 스피치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고, 중간 이득의 편평한 오디오 필터(2F)는 다음 이득 레벨로서 스피치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들은 동작(2002)에서 각자의 레벨 오디오 신호들로서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선호되는 레벨 오디오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동작(2004)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현재 레벨에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현재 레벨에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는 시스템이 개인 이득 레벨(1702)로서 결정하는 현재 레벨을 선택한다. 사용자가 다음 레벨에 더 많이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음 이득 레벨을 선택하고, 시스템은 레벨 오디오 신호들의 다음 그룹의 비교를 허용하는 것을 반복한다. 예를 들어, 시퀀스는 사용자가, 또한, 중간 이득의 편평한 오디오 필터(2F)와 고이득의 편평한 오디오 필터(3F)를 비교할 수 있게 하도록 진행한다. 반복 동안 사용자가 선택하는 현재 레벨은 어느 것이든 개인 평균 이득 레벨(1702)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선택된 필터가 (다음 오디오 필터와 비교되는) 현재 오디오 필터일 때의 프로세스 내의 지점에서 사용자가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 (1F) 필터, (2F) 필터, 또는 (3F) 필터를 선택할 때, 선택된 오디오 필터는 개인 이득 컨투어(1702)를 갖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고, 등록 프로세스는 제2 스테이지로 계속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등록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선택된 이득 레벨 내의 이득 컨투어들을 탐색하여, 오디오 필터 그리드 내의 정확한 로우를 결정하고, 따라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표현하는 그리드 내의 정사각형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동작(2008)에서, 등록 프로세스의 제2 스테이지에서, 사용자는 수 개의 형상 오디오 신호들을 비교한다.
특별한 경우에, 사용자는 제1 스테이지 동안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를 개인 이득 레벨로서 선택한다. 그러한 경우에, 스피치 파일은 결정 시퀀스(2008)에서 재생된다. 결정 시퀀스(2002)와 유사하게, 결정 시퀀스(2008)에서, 스피치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와 스피치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저이득의 노치형 오디오 필터(1N) 사이에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가 다시 선택되는 경우, 프로세스는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를 고이득의 경사진 오디오 필터(1S)와 비교하기를 반복할 수 있다.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가 다시 선택되는 경우, 등록 프로세스는 종료될 수 있고, 어떠한 오디오 필터도 오디오 입력 신호(404)에 적용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수 개의 레벨 및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 위의 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시퀀스를 통해 흐름도가 진행될 때,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정상 청력을 갖는다고 결정하고, 시스템의 디폴트 오디오 설정에 대해 어떠한 조정들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사용자가 제1 스테이지 동안 비-제로 개인 이득 레벨을 선택하는 이벤트에서, 동작(2008)에서의 형상 오디오 신호 비교는 음악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비-제로 이득 오디오 필터들 사이에서의 것이다. 예를 들어, 동작(2004)에서 (1F) 오디오 필터가 개인 이득 레벨로서 선택된 경우에, 동작(2008)에서, (1F) 오디오 필터가 음악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고, 저레벨의 노치형 오디오 필터(1N)가 음악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들은 각자의 형상 오디오 신호들로서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동작(2010)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개인 이득 컨투어(1902)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개인 이득 컨투어(1902)는, 사용자가 모든 형상 오디오 신호들을 청취하고 선호되는 형상 오디오 신호를 선택한 후에 선택된다. 예를 들어, 동작(2008)에서 사용자가 (1N) 오디오 필터 위의 (1F)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경우, (1F) 오디오 필터는 개인 이득 컨투어(1902)에 대한 후보이다. 동작(2012)에서, 제2 스테이지는 다음 형상 오디오 신호 비교에 대해 반복된다. 예를 들어, 이전 반복 동안 선택된 (1F) 오디오 필터는 음악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고, 저레벨의 경사진 오디오 필터(1S)는 음악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들은 동작(2008)에서 각자의 형상 오디오 신호들로서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선호되는 형상 오디오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동작(2010)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개인 이득 컨투어(1902)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S)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오디오 필터를 선택했고 모든 형상 오디오 신호들이 선택을 위해 사용자에게 제시했음을 고려할 때, 미디어 시스템(100)은 선택을 개인 이득 컨투어(1902)로서 식별한다.
레벨 및 컨투어 설정들이 탐색된 후에, 동작(1002)에서, 미디어 시스템은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선택한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예컨대 개인 평균 이득 레벨(1702)을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개인 이득 컨투어(1902)를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드 내의 특정 정사각형을 식별한다. 개인 이득 레벨(1702) 및 개인 이득 컨투어(1902)를 갖는 선택된 필터는 검증 동작에서의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검증 동작에서, 오디오 신호, 예컨대 음악 오디오 신호는 등록 프로세스 동안 식별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사용하여 미디어 시스템(100)에 의해 출력 및 재생될 수 있다. 검증 동작은, 조정이 사실상 개선임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선택된 사전설정과 정상 재생(조정 없음) 사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가 청취 경험을 개선시킨다고 동의할 때, 사용자는 등록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 요소, 예컨대 "완료"를 선택할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의 마지막에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는 사용자의 선호되는 개인 평균 이득 레벨(1702) 및 개인 이득 컨투어(1902)를 갖는 오디오 필터로서 식별된다. 따라서, 동작(1002)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등록 프로세스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개인 평균 이득 레벨(1702)을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개인 이득 컨투어(1902)를 갖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선택할 수 있다.
전술된 등록 프로세스들은, 사용자의 실제 청력 손실이 시스템에 의해 저장된 보편적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 사전설정들과 유사할 것이라는 가정에 기초하여, 미디어 시스템(100)을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의 선택을 향하게 한다. 사용자의 개인 청력도(500)에 대한 어떠한 지식도 등록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데 필수적이지 않다. 그러나, 개인 청력도(500)가 이용가능할 때, 그것은 전술된 선택 프로세스만큼 양호한 또는 그보다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개인 청력도에 기초하여 수 개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 및 도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개인 청력도(500)는, 전술된 등록 프로세스에서 사용하기 위해 저장된 일반적인 사전설정들과 비교하여, 사용자 특정적 사전설정들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청력도(500)가 알려져 있는 경우, 미디어 시스템(100)은 알려진 청력도를 포괄하는 청력 손실 프로파일 사전설정들 및 대응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특정적 사전설정들의 결정은 등록 프로세스 동안 선택을 위해 이용가능한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 의한 개인 사전설정의 선택 시에 더 큰 입도를 허용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등록 프로세스 동안 선택을 위해 사전설정들이 이용가능해지게 하는 개인 청력도(500)의 사용은, 특히, 드문 청력 손실 프로파일을 갖는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은 동작(2102)에서 개인 청력도(500)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2104)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개인 청력도(500)에 기초하여 수 개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2110)을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동작(2106)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특정적 청력 손실 프로파일 사전설정들에 대응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 및/또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은 양호한 청취 경험을 보장하도록 사용자에 대해 개인화된 사용자 특정적 사전설정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평균 청력 손실(504)은 개인 청력도(500)로부터 결정될 수 있고, 결정되는 수 개의 사용자 특정적 사전설정들은, 개인 청력도(500)의 평균 청력 손실 값과 유사한 평균 청력 손실 값을 각각 갖는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사용자 특정적 사전설정들 각각에 대한 평균 청력 손실 값들은 개인 청력도(500)의 평균 청력 손실 값의 사전결정된 차이, 예컨대 +/-10 dB 청력 손실 내에 있다.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특정적 사전설정들 각각은, 사전설정들의 평균 손실 레벨들이 유사하다 하더라도, 상이한 청력 손실 컨투어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 중 하나는 증가하는 주파수에 따라 점진적으로 약화되는 편평한 손실 컨투어(2112)를 가질 수 있고,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 중 하나는 약 4 ㎑에서 상향 변곡점을 갖는 편평한 손실 컨투어(2114)를 가질 수 있고,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 중 하나는 약 2 ㎑에서 하향 변곡점을 갖는 편평한 손실 컨투어(2116)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손실 컨투어들은 인간 집단 중에서는 드문 것일 수 있지만, 미디어 시스템(100)은 등록 프로세스 동안 드문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오디오 필터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사용자 특정적 사전설정들에 대응하는 결정된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은 스피치 및/또는 음악 오디오 신호들에 적용된다. 더 구체적으로, 오디오 필터들은 도 20과 관련하여 기술된 시퀀스와 같은 결정 트리에서 평가될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는 데 사용되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로서 오디오 필터들 중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2108)에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는 동작(1004)(도 10)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 개의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2110)로부터 선택된다.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개인 청력도에 기초하여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 및 도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개인 청력도(500)는,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에 저장되고/되거나 그에 이용가능한 사전설정들의 범위로부터 특정 청력 손실 프로파일 및 대응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개인 청력도(500)는 알려진 청력도에 가장 밀접하게 대응하는 사전설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동작(2202)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개인 청력도(500)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2204)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개인 청력도(500)에 기초하여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2205)을 결정하고/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2205)은 미디어 시스템(100)에 저장되거나 그에 이용가능한 수 개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2205)의 선택은 개인 청력도(500)를 알려진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맞추기 위한 알고리즘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미디어 시스템(100)은 개인 청력도(500)와 동일한 평균 청력 손실 및 청력 손실 컨투어를 갖는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2205)을 선택할 수 있다. 가장 가까운 매칭이 발견될 때, 미디어 시스템(100)은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2205)을 선택할 수 있고,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2205)에 대응하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를 결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동작(2206)에서,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2205)에 대응하는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선택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동작(1004)(도 10)에서, 전술된 선택 프로세스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선택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가 오디오 입력 신호(404)에 적용된다. 오디오 입력 신호(404)에 대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의 적용은 오디오 출력 신호(406)를 생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는 오디오 입력 신호(404)의 입력 레벨(902) 및 입력 주파수(904)에 기초하여 오디오 입력 신호(404)를 증폭할 수 있다. 증폭은 사용자가 오디오 입력 신호(404)를 정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오디오 입력 신호(404)를 부스트할 수 있다.
동작(1006)(도 10)에서, 오디오 출력 신호(406)는 미디어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출력된다. 오디오 출력 신호(406)는 출력 디바이스에 의한 재생을 위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오디오 출력 신호(406)를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로 송신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는 오디오 출력 신호(406)를 수신할 수 있고, 오디오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재생할 수 있다. 재구성된 오디오는 전화 통화, 개인 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 가상 어시스턴트의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에 의해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로 전달되는 임의의 다른 오디오 콘텐츠로부터의 오디오일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 태양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는 특정 기능에 적합한 회로부를 갖는 몇 가지 타입의 휴대용 디바이스들 또는 장치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그에 따라, 도식화된 회로부는 제한이 아닌 예로서 제공된다.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는 전술된 상이한 기능들 및 능력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프로세서들(2302)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의 디바이스 프로세서(들)(2302)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은, 비일시적 기계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디바이스 메모리(2304)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명령어들은, 전술된 방법들에 따라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에 기초하여,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오디오 입력 신호(404)를 튜닝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들 및/또는 액세스가능성 엔진을 갖는 운영체제 프로그램의 형태의 것일 수 있다. 디바이스 프로세서(들)(2302)는, 또한,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되는 전화 또는 음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에 의해 제어되는 전화기 및/또는 음악 재생 기능들과 연관된 청력도들 또는 오디오 신호들을 포함한 오디오 데이터(2306)를 디바이스 메모리(2304)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그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디바이스 프로세서(들)(2302)는 제어 루프들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다른 전자 컴포넌트들로부터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고/하거나 다른 전자 컴포넌트들로 출력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는 마이크로폰(들), 메뉴 버튼들, 또는 물리적 스위치들로부터 입력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는 오디오 출력 신호(406)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의 디바이스 스피커(이는 내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일 수 있음) 및/또는 외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출력 신호(406)를 수신하는 유선 또는 무선 이어폰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 및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의 프로세서(들)는 각자의 RF 회로들에 접속되어, 오디오 신호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링크는 블루투스 표준을 사용하여 무선 접속에 의해 확립될 수 있고, 디바이스 프로세서(2302)는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출력 신호(406)를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로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출력 디바이스는 오디오 출력 신호(406)를 수신하고 프로세싱하여, 오디오 콘텐츠를 사운드, 예컨대 전화 통화, 팟캐스트, 음악 등으로서 재생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는 오디오 출력 신호(406)를 수신하고 재생하여, 이어폰 스피커로부터의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는 이어폰 프로세서(2320) 및 이어폰 메모리(2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 프로세서(2320) 및 이어폰 메모리(2322)는 전술된 디바이스 프로세서(2302) 및 디바이스 메모리(2304)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 디바이스(102)는 오디오 입력 신호(404),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 또는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 중 하나 이상을 이어폰 프로세서(2320)로 송신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는 등록 프로세스 및/또는 오디오 렌더링 프로세스에서의 입력 신호들을 사용하여, 개인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402)를 사용하여 오디오 출력 신호(406)를 생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이어폰 프로세서(2320)는 오디오 출력 신호(406)를 생성하도록 그리고 이어폰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재생을 위한 신호를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은 수 개의 이어폰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단일 이어폰만이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는 좌측 채널 오디오 출력을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04)는 우측 채널 오디오 출력을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태양은 개인화된 미디어 향상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수집 및 사용이다. 본 개시내용은,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이러한 수집된 데이터가 특정 개인을 고유하게 식별하거나 또는 그와 연락하거나 그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개인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음을 고려한다.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는 인구통계학 데이터, 위치-기반 데이터, 전화 번호들, 이메일 주소들, 트위터(TWITTER) ID들, 집 주소들, 사용자의 건강 또는 피트니스 레벨에 관한 데이터 또는 기록들(예컨대, 청력도들, 바이탈 사인(vital sign) 측정치들, 약물 정보, 운동 정보), 생년월일, 또는 임의의 다른 식별 또는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본 기술에서의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이용이 사용자들에게 이득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개인 정보 데이터는 개인화된 미디어 향상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이용은 사용자들이 개선된 오디오 청취 경험을 가질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사용자에게 이득을 주는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다른 이용들이 또한 본 개시내용에 의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건강 및 피트니스 데이터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웰니스(wellness)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웰니스 목표를 추구하기 위한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들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수집, 분석, 공개, 전달, 저장, 또는 다른 사용을 담당하는 엔티티들이 잘 확립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또는 프라이버시 관례들을 준수할 것임을 고려한다. 특히, 이러한 엔티티들은, 대체로 개인 정보 데이터를 사적이고 안전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산업적 또는 행정적 요건들을 충족시키거나 넘어서는 것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을 구현하고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한 정책들은 사용자들에 의해 쉽게 액세스가능해야 하고, 데이터의 수집 및/또는 사용이 변화됨에 따라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사용자들로부터의 개인 정보는 엔티티의 적법하며 합리적인 용도들을 위해 수집되어야 하고, 이들 적법한 용도들을 벗어나서 공유되거나 판매되어서는 안 된다. 추가로, 그러한 수집/공유는 사용자들의 통지된 동의를 수신한 후에 발생해야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엔티티들은, 이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하며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절차들을 고수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임의의 필요한 조처들을 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게다가, 이러한 엔티티들은 널리 인정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에 대한 그들의 고수를 증명하기 위해 제3자들에 의해 그들 자신들이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정책들 및 관례들은 수집된 그리고/또는 액세스된 특정 타입들의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해 조정되고, 관할구역 특정 고려사항들을 포함하여 적용가능한 법률들 및 표준들로 조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소정 건강 데이터의 수집 또는 그에 대한 액세스는 연방법 및/또는 주의 법, 예를 들어 미국 건강 보험 양도 및 책임 법령(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국가들에서의 건강 데이터는 다른 규정들 및 정책들의 적용을 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취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이한 프라이버시 관례들은 각각의 국가의 상이한 개인 데이터 타입들에 대해 유지되어야 한다.
전술한 것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내용은 또한 사용자들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 또는 그에 대한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태양들을 고려한다. 즉,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방지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개인화된 미디어 향상의 경우에, 본 기술은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위한 등록 중 또는 그 이후 임의의 시간에 개인 정보 데이터의 수집 시의 참여의 "동의함" 또는 "동의하지 않음"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의" 및 "동의하지 않음" 옵션들을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본 개시내용은 개인 정보의 액세스 또는 사용에 관한 통지들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그들의 개인 정보 데이터가 액세스될 앱을 다운로드할 시에 통지받고, 이어서 개인 정보 데이터가 앱에 의해 액세스되기 직전에 다시 상기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또는 인가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이용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개인 정보 데이터가 관리되고 취급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의 의도이다. 데이터의 수집을 제한하고 데이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다. 추가로, 그리고 소정의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을 비롯하여, 적용가능할 때,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데이터 식별해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특정 식별자들(예를 들어, 생년월일 등)을 제거함으로써, 저장된 데이터의 양 또는 특이성을 제어함으로써(예를 들어, 주소 레벨보다는 도시 레벨로 위치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식을 제어함으로써(예를 들어, 사용자들에 걸쳐 데이터를 집계함으로써), 그리고/또는 다른 방법들에 의해, 식별해제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이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시된 태양들을 구현하기 위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을 광범위하게 커버하지만,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태양들이 또한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액세스할 필요 없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고려한다. 즉, 본 기술의 다양한 태양들은 이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분의 결여로 인해 동작 불가능하게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등록 프로세스는, 비-개인 정보 데이터 또는 가장 기본적인 최소량의 개인 정보, 예컨대 사용자의 대략적인 연령, 디바이스 프로세서들에 이용가능한 다른 비-개인 정보, 또는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허청과 본 출원에 대해 발행된 임의의 특허의 임의의 독자들이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를 해석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출원인들은 단어 "~하기 위한 수단" 또는 "~하는 단계"가 명시적으로 특정 청구항에 사용되지 않는 한, 첨부된 청구항들 또는 청구항 구성요소들 중 어떠한 것도 35 U.S.C.112(f)를 적용하도록 의도하지 않음을 언급하고자 한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정 예시적인 태양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다 넓은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그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명세서 및 도면들은, 그에 따라, 제한적 의미보다는 오히려 예시적 의미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청력 손실을 수용하기 위해 오디오 입력 신호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미디어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을 사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은 복수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고 각자의 이득 컨투어(gain contour)들을 가짐 -;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을 사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개인 이득 컨투어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개인 오디오 필터가 상기 개인 이득 컨투어와 동일한 각자의 이득 컨투어를 갖는 것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로부터 상기 개인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오디오 입력 신호에 상기 개인 오디오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오디오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개인 오디오 필터는 상기 오디오 입력 신호의 입력 레벨 및 입력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입력 신호를 증폭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의 각자의 이득 컨투어들은 서로 상이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음악을 표현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은 상이한 이득 컨투어들을 갖는 편평한 오디오 필터, 노치형 오디오 필터, 및 경사진 오디오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편평한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는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고, 상기 노치형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는 중간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고, 상기 경사진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동안 상기 미디어 시스템의 볼륨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개인 청력도(audiogram)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상기 개인 청력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상기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개인 청력도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청력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로부터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개인 오디오 필터는 상기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에 의한 재생을 위해 상기 오디오 출력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미디어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 및 상기 복수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은 각자의 이득 컨투어들을 가짐 -;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을 사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을 사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 것에 응답하여, 개인 이득 컨투어의 선택을 수신하도록;
    개인 오디오 필터가 상기 개인 이득 컨투어와 동일한 각자의 이득 컨투어를 갖는 것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복수의 레벨 및 주파수 종속적 오디오 필터들로부터 상기 개인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도록; 그리고
    오디오 입력 신호에 상기 개인 오디오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오디오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 상기 개인 오디오 필터는 상기 오디오 입력 신호의 입력 레벨 및 입력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입력 신호를 증폭함 - 구성된, 미디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의 각자의 이득 컨투어들은 서로 상이한, 미디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음악을 표현하는, 미디어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은 상이한 이득 컨투어들을 갖는 편평한 오디오 필터, 노치형 오디오 필터, 및 경사진 오디오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편평한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는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고, 상기 노치형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는 중간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고, 상기 경사진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는, 미디어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동안 상기 미디어 시스템의 볼륨 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미디어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개인 청력도를 수신하도록;
    상기 개인 청력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을 결정하도록; 그리고
    상기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미디어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개인 청력도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개인 청력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로부터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개인 오디오 필터는 상기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미디어 시스템.
  16.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미디어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미디어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을 사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은 복수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고 각자의 이득 컨투어들을 가짐 -;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을 사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개인 이득 컨투어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개인 오디오 필터가 상기 개인 이득 컨투어와 동일한 각자의 이득 컨투어를 갖는 것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로부터 상기 개인 오디오 필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오디오 입력 신호에 상기 개인 오디오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오디오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개인 오디오 필터는 상기 오디오 입력 신호의 입력 레벨 및 입력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입력 신호를 증폭함 -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의 각자의 이득 컨투어들은 서로 상이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은 상이한 이득 컨투어들을 갖는 편평한 오디오 필터, 노치형 오디오 필터, 및 경사진 오디오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편평한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는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고, 상기 노치형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는 중간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고, 상기 경사진 오디오 필터의 이득 컨투어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이득을 갖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개인 청력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상기 개인 청력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상기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오디오 필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개인 청력도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청력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청력 손실 프로파일들로부터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개인 오디오 필터는 상기 개인 청력 손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200064781A 2019-06-01 2020-05-29 청력 손실을 수용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76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55951P 2019-06-01 2019-06-01
US62/855,951 2019-06-01
US16/872,068 2020-05-11
US16/872,068 US11418894B2 (en) 2019-06-01 2020-05-11 Media system and method of amplifying audio signal using audio filter corresponding to hearing loss prof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674A true KR20200138674A (ko) 2020-12-10
KR102376227B1 KR102376227B1 (ko) 2022-03-17

Family

ID=73264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781A KR102376227B1 (ko) 2019-06-01 2020-05-29 청력 손실을 수용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76227B1 (ko)
CN (2) CN112019974B (ko)
DE (1) DE102020114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7308A1 (en) * 2021-07-08 2023-01-11 Audientes A/S Adaptation methods for hearing aid and hearing aid incorporating such adaptation meth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4775A1 (en) * 2010-08-05 2014-07-10 Ace Communication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elf-Managed Sound Enhancement
KR20180087782A (ko) * 2017-01-25 2018-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68281C2 (ru) * 2013-05-31 2015-11-20 Александр Юрьевич Бредихин Способ компенсации потери слуха в телефонной системе и в мобильном телефонном аппарате
EP3276983A1 (en) * 2016-07-29 2018-01-31 Mimi Hearing Technologies GmbH Method for fitting an audio signal to a hearing device based on hearing-related parameter of the user
TWI623234B (zh) * 2016-09-26 2018-05-01 宏碁股份有限公司 助聽器及其自動分頻濾波增益控制方法
CN108024178A (zh) * 2016-10-28 2018-05-11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分频滤波增益优化方法
DK3484173T3 (en) * 2017-11-14 2022-07-11 Falcom As Hearing protection system with own voice estimation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4775A1 (en) * 2010-08-05 2014-07-10 Ace Communication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elf-Managed Sound Enhancement
KR20180087782A (ko) * 2017-01-25 2018-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114026A1 (de) 2020-12-03
CN114422934A (zh) 2022-04-29
KR102376227B1 (ko) 2022-03-17
CN112019974B (zh) 2022-02-18
CN112019974A (zh)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70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ometric assessment and user-specific audio enhancement
CN107708046B (zh) 用于自我管理的声音增强的方法和系统
US99432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audio perception
US7936888B2 (en) Equ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audiogram
CN101237814B (zh) 用于频谱地调整数字音频信号的数字回放设备和方法及装置
US20180098720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Conducting a Self-Administered Hearing Test
JP2020109968A (ja) ユーザ固有音声情報及びハードウェア固有音声情報に基づくカスタマイズされた音声処理
JP6633681B2 (ja) スマートヘッドフォン装置のパーソナライズ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ES2868886T3 (es) Generación de un fichero de audio adaptado
US20220150626A1 (en) Media system and method of accommodating hearing loss
KR102376227B1 (ko) 청력 손실을 수용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
US101110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difying audio signals based on hearing capabilities of the listener
CN115175076A (zh) 音频信号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93576A (ko) 헬멧에서, 청취자의 청각적 인식 특성을 고려하여, 라이브 전관 방송을 수행하는 방법
US201000402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tory enhancement and hearing conservation
TW202015035A (zh) 音頻修正系統及其使用方法
CN111131989A (zh) 音频修正系统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