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214A -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214A
KR20200138214A KR1020207026974A KR20207026974A KR20200138214A KR 20200138214 A KR20200138214 A KR 20200138214A KR 1020207026974 A KR1020207026974 A KR 1020207026974A KR 20207026974 A KR20207026974 A KR 20207026974A KR 20200138214 A KR20200138214 A KR 20200138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mission
signal
pilot signal
ld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9729B1 (ko
Inventor
라클란 브루스 미카엘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38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7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processes or methods for the generation
    • H04J15/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기술은,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할 때,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처리하고,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복조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파일럿 신호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ISDB-T나 ATSC 등의 방송 방식에 대응한 방송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본 기술은,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방송 방식으로서, 일본 등이 채용하는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에 있어서는, 방송 신호의 다중화 방식으로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 채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ARIB STD-B31 2.2판 일반사단법인 전파산업회
그런데,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차세대를 겨냥한 고도화의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 차세대의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있어서는, FDM 외에, 시분할 다중화 방식(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이나 계층 분할 다중화 방식(LDM: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등의 다중화 방식을 사용한 방송 시스템이 검토되고 있다. 한편, 각종 다중화 방식을 채용한 방송 시스템을 구축할 때에는,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할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ISDB-T,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DVB-T2,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ittee) 3.0 등의 방송 방식에는, 변동하는 무선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 전송 데이터 외에, SP(Scattered Pilot) 신호 등의 파일럿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 파일럿 신호로는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송신 신호 전체의 전송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본 기술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는,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할 때, LDM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복조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수신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있어서는,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할 때, LDM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가 처리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가 복조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는,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송신할 때, LDM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변조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송신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있어서는,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송신할 때, LDM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가 처리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가 변조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따르면,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송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차세대의 ISDB-T의 파일럿 신호에 의한 오버헤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BPSK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신호 공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파일럿 신호에 LDM을 실시한 경우의 BPSK에 있어서의 신호 공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TDM을 적용한 경우의 송신 전력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LDM을 적용한 경우의 송신 전력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LDM을 적용한 경우의 송신 전력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파일럿 신호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송신측의 처리와 수신측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ISDB-T에 대응한 물리층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ISDB-T에 대응한 물리층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ATSC에 대응한 물리층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ATSC에 대응한 물리층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FDM을 채용한 경우의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TDM을 채용한 경우의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기술을 적용한 컴퓨터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기로 한다.
1. 본 기술의 실시 형태
2. 변형예
3. 컴퓨터의 구성
<1. 본 기술의 실시 형태>
(전송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가 논리적으로 집합한 것을 말한다.
도 1에 있어서, 전송 시스템(1)은, 송신 장치(10) 및 수신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신 장치(10)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방송의 프로그램 등의 송신(전송)을 행한다.
즉, 송신 장치(10)는,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의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송신의 대상인 전송 데이터로서, 그 전송 데이터에 필요한 송신 처리를 행한다. 송신 장치(10)는, 전송 데이터에 송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송신 신호(방송 신호)를 예를 들어 지상파나, 위성 회선, 케이블(유선 회선) 등의 전송로를 통하여 송신한다. 송신 장치(10)가 송신하는 송신 신호(방송 신호)에는, 프로그램의 콘텐츠 등의 전송 데이터 외에, 파일럿 신호가 포함된다.
수신 장치(20)는, 송신 장치(10)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송신 신호(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그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전송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복원하여 재생한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는, 영상(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나, 음성(소리)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로서 구성되고, 프로그램의 콘텐츠 등으로서의 영상을 표시하고, 음성을 출력한다.
(송신 장치의 구성예)
도 2는, 도 1의 송신 장치(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송신 장치(10)는, 상위층 처리부(101) 및 물리층 처리부(102)를 포함한다.
상위층 처리부(101)에는, 프로그램의 콘텐츠 영상이나 음성 등이 공급된다. 상위층 처리부(101)는, 프로그램의 콘텐츠 영상이나 음성 등으로부터, 상위층에서 규정되는 포맷의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위층의 처리를 행하고, 물리층 처리부(102)에 공급한다.
즉, 상위층 처리부(101)는, 예를 들어 상위층의 처리로서, 콘텐츠의 영상이나 음성의 인코드 등을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영상이나 음성 등을 포함하는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물리층 처리부(102)에 공급한다. 또한, 전송 데이터에는, 영상이나 음성 이외의 데이터, 예를 들어 시그널링이나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등도 포함해도 된다.
물리층 처리부(102)는,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공급되는 전송 데이터에 대해, 물리층의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 이 송신 신호는,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 등의 방송 신호로 된다. 또한, 송신 신호에는, 전송 데이터 외, 파일럿 신호가 포함된다. 즉, 전송 데이터는, 파일럿 신호를 제외한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물리층 처리부(102)는, 변조부(111)를 포함한다. 변조부(111)는, 전송 데이터에 대한 변조 처리를 행한다. 이 변조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전송로 부호화나,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의 연산, GI(Guard Interval)의 부가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전송로 부호화에서는, 예를 들어 오류 정정 부호화나, 전송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캐리어의 변조로서의 매핑(전송 데이터의 IQ 콘스텔레이션 상으로의 매핑), 주파수 인터리브, 시간 인터리브 등이 행해진다.
(수신 장치의 구성예)
도 3은, 도 1의 수신 장치(2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수신 장치(20)는, 물리층 처리부(201) 및 상위층 처리부(202)를 포함한다.
물리층 처리부(201)는, 송신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송신 신호(예를 들어, OFDM 신호 등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그 송신 신호에 대해, 물리층의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전송 데이터를, 상위층 처리부(202)에 공급한다.
물리층 처리부(201)는, 복조부(211)를 포함한다. 복조부(211)는, 송신 신호에 대한 복조 처리를 행한다. 이 복조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직교 복조나 FFT의 연산, 전송로 복호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전송로 복호에서는, 예를 들어 시간 디인터리브, 주파수 디인터리브, 데이터 캐리어의 복조로서의 디매핑, 오류 정정 복호 등이 행해진다.
상위층 처리부(202)는, 물리층 처리부(201)로부터 공급되는 전송 데이터에 대해, 상위층의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프로그램의 콘텐츠 영상이나 음성을, 후단의 디스플레이나 스피커에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전송 시스템(1)에서는, 송신 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소정의 방송 방식에 준거한 송신 신호(OFDM 신호 등의 방송 신호)가 수신 장치(20)에 의해 수신된다. 여기서, 소정의 방송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ISDB-T(차세대의 ISDB-T를 포함함)나, 미국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방식인 ATSC(차세대의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방식의 하나인 ATSC3.0을 포함함) 등의 방송 방식을 포함한다.
그런데, OFDM 신호 등의 방송 신호의 물리층의 오버헤드로서는, 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나 GI(Guard Interval) 등이 상정된다.
도 4는, 차세대의 ISDB-T의 파일럿 신호에 의한 오버헤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파일럿 패턴마다, FFT 사이즈가, 8K, 16K, 32K인 경우에 있어서의 오버헤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파일럿 패턴으로서,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신호, Lch 신호, SP(Scattered Pilot) 신호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SP」로 계속되는 숫자가,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 방향의 간격 주기 Dx와, 시간 방향의 간격 주기 Dy를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SP 3_2」는,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 방향의 간격 주기 Dx=3, 시간 방향의 간격 주기 Dy=2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6K, 32K인 FFT 사이즈의 SP 3_1과, 8K, 16K, 32K인 FFT 사이즈의 SP 3_2, SP 6_1과, 8K, 16K, 32K인 FFT 사이즈의 SP 3_4, SP 6_2, SP12_1에서는, 오버헤드가 8% 이상이 된다. 이와 같이, 8% 이상의 오버헤드를 갖는 SP 패턴이 다수 존재하고 있어, 파일럿 신호가 비효율적이 될 가능성이 있다.
도 5는, BPSK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신호 공간(IQ 콘스텔레이션)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에서는, 180°분리된 두 위상을 사용하지만, 그것들의 신호점은, 실축(횡축 I)에 있어서, 0°(도 5의 A의 (1,0))와, 180°(도 5의 B의 (-1,0))에 도시된다. 그 때문에, 잘못된 내용으로 복호될 가능성이 낮아, BPSK인 변조 방식은, 로버스트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파일럿 신호에 LDM을 실시한 경우의 BPSK에 있어서의 신호 공간(IQ 콘스텔레이션)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LDM에서는, 전력에 차를 두어 계층을 다중화하는 방식이며, 송신 전력을 나누어 2층 이상(이하, 코어 레이어(CL: Core Layer)와 인핸스드 레이어(EL: Enhanced Layer)의 2층의 경우를 설명함)로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코어 레이어에 대한 인핸스드 레이어의 분만큼, 신호점이 어긋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A에서는, 코어 레이어의 신호 벡터 CA와, 인핸스드 레이어의 신호 벡터 EA를 합성한 위치가 신호점이 되기 때문에, 도 5의 A에 나타낸 0°의 신호점과 비교하여 어긋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의 B에서는, 코어 레이어의 신호 벡터 CB와, 인핸스드 레이어의 신호 벡터 EB를 합성한 위치가 신호점이 되기 때문에, 도 5의 B에 나타낸 180°의 신호점과 비교하여 어긋나 있다.
이와 같이, 파일럿 신호에 LDM을 실시한 경우, 송신 신호점이 어긋나게 되기는 하지만, 적절한 파라미터의 조건이 부여되면, 파일럿 신호 전체에 대한 영향을 적게 할(인핸스드 레이어의 신호가 노이즈가 되지만 그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로서는, 예를 들어 코어 레이어와 인핸스드 레이어의 전력 비를 나타내는 인젝션 레벨 등의 인젝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기술에서는, 파일럿 신호에 LDM을 실시할 때, LDM의 코어 레이어와 인핸스드 레이어 중, 코어 레이어에는 실제의 파일럿 신호(기지의 신호)를 포함하도록 하고, 인핸스드 레이어에는 전송 데이터(파일럿 신호를 제외한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파일럿 신호로서, 특히 SP 신호를 대표하여 설명하지만, CP(Continual Pilot) 신호나, TMCC 신호, AC(Auxiliary Channel) 신호 등의 다른 파일럿 신호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파일럿 신호에 LDM을 실시할 때, 인핸스드 레이어에, 전송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레이어에는, 실제의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파일럿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복조할 수 있다(예를 들어, TMCC이나 AC에 파일럿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복조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레이어의 로버스트성에 따라, 당해 코어 레이어의 채널 추정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핸스드 레이어에 의한 채널 추정의 영향이지만, 노이즈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으면, 영향이 커질 가능성은 있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변조 방식으로서, BPSK를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BPSK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QPSK(Quaternary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256QAM, 1024QAM, 4096QAM 등의 다른 변조 방식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LDM의 송신 전력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LDM을 사용한 경우의 송신 전력과의 비교를 위해, TDM을 사용한 경우의 송신 전력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는, 송신 전력의 레벨이, 0 내지 100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도 7의 A는, 노이즈가 없는 경우를 나타내는 한편, 도 7의 B는, 노이즈가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LDM을 사용한 경우의 송신 전력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단, 도 8은, 데이터 캐리어(데이터 심볼)의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한편, 도 9는, 파일럿 신호(예를 들어 SP 신호)의 송신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코어 레이어는, 전력 레벨이 부스트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9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의 송신 전력은, 도 8에 도시한 데이터 캐리어의 송신 전력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는, 인젝션 레벨을 3㏈로 한 경우에, 노이즈가 없을 때를 도 8의 A에 나타내는 한편, 노이즈가 있을 때를 도 8의 B에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인젝션 레벨을, 6㏈로 한 경우에, 노이즈가 없을 때를 도 8의 C에 나타내는 한편, 노이즈가 있을 때를 도 8의 D에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파일럿 신호에 LDM을 적용할 때, 코어 레이어와 인핸스드 레이어에, 실제의 파일럿 신호를 포함한 경우에, 노이즈가 없을 때를 도 9의 A에 나타내는 한편, 노이즈가 있을 때를 도 9의 B에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코어 레이어와 인핸스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파일럿 신호를 사용하여 채널 추정 등이 행해진다.
그에 비해, 본 기술에서는, 파일럿 신호에 LDM을 적용할 때, 코어 레이어에, 실제의(원래의)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한편, 인핸스드 레이어에는, 전송 데이터(의 일부)을 포함하도록 한다. 즉, LDM에서는, 송신 전력을 나누어 2층 이상(예를 들어, 코어 레이어와 인핸스드 레이어)으로 보내되, 실제의 파일럿 신호를 코어 레이어로 전송함과 함께, 그 상층의 인핸스드 레이어를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보내도록 한다. 또한, 여기서는, 코어 레이어를, 보다 로버스트한 레이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있어서는, 파일럿 신호에 LDM을 적용할 때, 인핸스드 레이어에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 경우에, 노이즈가 없을 때를 도 9의 C에 나타내는 한편, 노이즈가 있을 때를 도 9의 D에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9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이즈가 있는 경우에는, 파일럿 신호에 대해, 인핸스드 레이어(로 전송되는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가 노이즈가 되는데, 그 영향을 적게 하기(파일럿 신호 전체에 대한 영향을 적게 하기) 위해, 적절한 파라미터의 조건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인젝션 레벨이 증가함과 함께(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로부터 6㏈로 증가한 경우에), 증가된 노이즈(도 9의 D의 「Noise」)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그것을 고려하여, 적절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면 된다. 또한, 여기서는, 인젝션 레벨로서, 3㏈와 6㏈를 나타내었지만, 예를 들어 9㏈ 등이 사용되도록 해도 되고, 인젝션 레벨이 증가할수록, 스킴이 양호해지는 것이 상정된다(즉, 인핸스드 레이어가 작을수록, 노이즈의 영향은 적어진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LDM으로서, 코어 레이어와 인핸스드 레이어의 2층의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2층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코어 레이어의 상층이, 인핸스드 레이어가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인핸스드 레이어는, 코어 레이어의 하층이어도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일럿 신호는, 도면 중의 동그라미 표시로 나타낸 복수의 전송 심볼에 대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10에 있어서는, 주파수 방향과 시간 방향으로 표시되는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전송 심볼에 대해, SP3_4에 따른 분포로, 파일럿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 즉, 도 10에서, 파일럿 신호는, 주파수 방향의 간격 주기 Dx=3, 시간 방향의 간격 주기 Dy=4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파일럿 신호에서는, LDM이 실시되고, 코어 레이어에 실제의 파일럿 신호를 포함됨과 함께, 인핸스드 레이어에 전송 데이터(의 일부)가 포함된다.
다음에,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송신측의 송신 장치(10)와, 수신측의 수신 장치(2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송신측의 처리와 수신측의 처리의 흐름)
우선,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송신측의 처리와 수신측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스텝 S11에 있어서, 송신 장치(10)의 상위층 처리부(101)는, 상위층의 처리를 행한다. 이 상위층의 처리에서는, 프로그램의 콘텐츠 영상이나 음성 등에 기초하여, 전송 데이터가 생성된다.
스텝 S12에 있어서, 송신 장치(10)의 물리층 처리부(102)는, 물리층의 처리를 행한다. 이 물리층의 처리에서는, 전송 데이터를 변조함으로써 송신 신호가 생성되고, 생성된 송신 신호가, 송신용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된다. 송신 장치(10)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는, 수신용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 장치(20)에 의해 수신된다.
스텝 S21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의 물리층 처리부(201)는, 물리층의 처리를 행한다. 이 물리층의 처리에서는, 수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전송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한, 물리층의 처리의 상세는, 도 12 또는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22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의 상위층 처리부(202)는, 상위층의 처리를 행한다. 이 상위층의 처리에서는, 전송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의 콘텐츠 영상이나 음성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나 스피커에 출력된다.
(ISDB-T에 대응한 물리층의 처리)
다음에,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1의 스텝 S21의 처리에서 실행되는 물리층의 처리의 일례로서, ISDB-T에 대응한 물리층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단, 도 12의 설명 시에는, 적절히, 도 13에 도시한 모식도를 참조하기로 한다.
스텝 S211에 있어서, 물리층 처리부(201)는, 데이터를 복조한다.
여기서는, 파일럿 신호(예를 들어 SP 신호)에는 LDM이 적용되고, 코어 레이어가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고, 인핸스드 레이어가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인핸스드 레이어를 포함한 부분이 노이즈(도면 중의 「Noise」)에 상당하고 있다(도 13의 A). 또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코어 레이어는, 전력 레벨이 부스트되어 있다.
스텝 S212에 있어서, 물리층 처리부(201)는, 파일럿 신호를 사용한 채널 추정과 등화 처리를 행한다.
단, 이 파일럿 신호는, 노이즈(도면 중의 「Noise」)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채널 추정이나 등화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데이터 캐리어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의 수신 특성의 열화가 개선된다(도 13의 B).
스텝 S213에 있어서, 물리층 처리부(201)는, 코어 레이어의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또한, 여기서는, 예를 들어 코어 레이어를 보다 로버스트한 레이어로 함으로써, 노이즈를 포함하는 파일럿 신호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스텝 S214에 있어서, 물리층 처리부(201)는, 노이즈를 추정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OFDM 프레임에 포함되는 TMCC 신호나 AC 신호의 파일럿 신호를 사용한 노이즈 추정을 행할 수 있다(도 13의 C). 또한,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신호는, 복조 처리 등을 행하기 위한 전송 제어 정보이다. 또한, AC(Auxiliary Channel) 신호는, 방송에 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한다.
스텝 S215에 있어서, 물리층 처리부(201)는, LDM이 적용된 파일럿 신호(예를 들어 SP 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예를 들어 기지의 SP 신호)와 추정 노이즈를 제거한다.
여기서는, 도 13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신호(SP 신호)에 LDM을 실시한 경우에, 코어 레이어에는 실제의 파일럿 신호(기지의 SP 신호)가 포함되고, 인핸스드 레이어에는 전송 데이터(의 일부)가 포함되고, 또한 노이즈(S214의 처리에서 추정된 추정 노이즈에 상당)이 부가되어 있다. 그 때문에, LDM이 적용된 파일럿 신호(SP 신호)로부터, 기지의 SP 신호와 추정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인핸스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데이터, 즉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13의 E).
스텝 S216에 있어서, 물리층 처리부(201)는, 인핸스드 레이어의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복조한다.
여기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의 SP 신호와 추정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인핸스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전송 데이터(의 일부)가 복조된다(도 13의 E). 이와 같이 하여, 파일럿 신호에 LDM을 실시하여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 경우에, 당해 전송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216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도 11의 스텝 S21의 처리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ATSC에 대응한 물리층의 처리)
다음에,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1의 스텝 S21의 처리에서 실행되는 물리층의 처리의 일례로서, ATSC에 대응한 물리층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단, 도 14의 설명 시에는, 적시, 도 15에 도시한 모식도를 참조하기로 한다.
스텝 S231에 있어서, 물리층 처리부(201)는, 데이터를 복조한다. 여기서는, 파일럿 신호에는 LDM이 적용되고, 코어 레이어가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고, 인핸스드 레이어가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인핸스드 레이어를 포함한 부분이 노이즈(도면 중의 「Noise」)에 상당한다(도 15의 A). 또한, 데이터 캐리어에도 LDM이 적용되고, 코어 레이어와 인핸스드 레이어가 존재하고 있다(도 15의 A).
스텝 S232에 있어서, 물리층 처리부(201)는, 노이즈를 포함하는 파일럿 신호를 사용한 채널 추정과 등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채널 추정이나 등화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LDM이 실시된 데이터 캐리어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의 수신 특성의 열화가 개선된다(도 15의 B).
스텝 S233에 있어서, 물리층 처리부(201)는, 코어 레이어의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또한, 여기서도, 예를 들어 코어 레이어를 보다 로버스트한 레이어로 함으로써, 노이즈를 포함하는 파일럿 신호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스텝 S234에 있어서, 물리층 처리부(201)는, 코어 레이어를 캔슬한다. 여기서는, 코어 레이어와, 인핸스드 레이어와, 노이즈의 합계를 생각하였을 때, 코어 레이어의 부분을 캔슬함으로써, 인핸스드 레이어와 노이즈의 부분이 남게 된다(도 15의 C, D). 바꾸어 말하면, 인핸스드 레이어를 포함한 노이즈에 상당하는 부분(도 15의 A, B의 「Noise」)이 얻어진다.
스텝 S235에 있어서, 물리층 처리부(201)는, 노이즈를 추정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CP(Continual Pilot) 신호를 사용한 노이즈 추정을 행할 수 있다(도 15의 D).
스텝 S236에 있어서, 물리층 처리부(201)는, 추정 노이즈를 제거한다. 여기서는, 파일럿 신호 외에도, 데이터 캐리어에도 LDM이 적용되고, 인핸스드 레이어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추정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인핸스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도 15의 D, E).
스텝 S237에 있어서, 물리층 처리부(201)는, 인핸스드 레이어의 데이터를 복조한다. 여기서는, LDM이 적용된 데이터 캐리어와 파일럿 신호로부터, 인핸스드 레이어의 데이터로서, 전송 데이터(의 일부)가 각각 얻어진다(도 15의 E).
스텝 S237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도 11의 스텝 S21의 처리로 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상, 송신측의 송신 장치(10)와, 수신측의 수신 장치(2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수신측의 물리층의 처리(도 11의 S21)로서, ISDB-T에 대응한 물리층의 처리(도 12)와, ATSC에 대응한 물리층의 처리(도 14)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물리층의 처리는 일례이며, 방송 방식에 따른 물리층의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에, 방송 신호의 다중화 방식으로서, FDM 또는 TDM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의 배치예에 대해 설명한다.
(FDM의 예)
도 16은, FDM을 채용한 경우의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DM은, 복수의 송신 신호(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여 하나의 전송로로 전송을 행하도록 하는 다중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현행의 ISDB-T에서는, 방송 신호의 다중화 방식으로서, FDM이 채용되고 있다.
도 16에 있어서는, 도면 중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을 주파수(Freq)의 방향이라 하고, 도면 중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는 방향을 시간(Time)의 방향이라 했을 때에 있어서의, FDM을 적용한 경우의 물리층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FDM을 적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35세그먼트로 주파수 분할하는 경우에, 중앙의 A 계층을 9세그먼트로 구성하고, 좌우의 B 계층을 나머지 26세그먼트(각각 13세그먼트)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A 계층과 B 계층의 계층마다 다른 변조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를, 보다 로버스트의 변조 방식이 실시된 한쪽의 계층에만 포함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 계층과 B 계층에 적용되는 변조 방식이 각각 예를 들어 QPSK와 1024QAM인 경우에, 보다 로버스트의 변조 방식이 실시되고 있는 A 계층에만,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가 포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방송 신호의 다중화 방식으로서, FDM을 채용하는 경우에, A 계층에만,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 즉 LDM이 실시된 파일럿 신호이며, 코어 레이어에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고, 인핸스드 레이어에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함으로써, 채널 추정이나 등화 처리를 행할 때에는, 당해 인핸스드 레이어를 포함한 부분이 노이즈에 상당하게 되지만, 그 영향이 A 계층만으로 되도록 할(B 계층에 영향이 미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A 계층은, 보다 로버스트의 변조 방식(예를 들어, QPSK)이 적용된 계층이기 때문에,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함으로써, 노이즈를 포함하는 파일럿 신호를 사용한 채널 추정이나 등화 처리를 행하게 되어도, 그 영향은 매우 적은 것이 된다(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A 계층과 B 계층의 2 계층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3 이상의 계층이어도 마찬가지로, 보다 로버스트의 변조 방식이 적용되어 있는 계층에,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가 포함되도록 하면 된다.
(TDM의 예)
도 17은, TDM을 채용한 경우의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TDM은, 복수의 송신 신호(방송 신호)를 시간적으로 배열하여 하나의 전송로로 전송을 행하도록 하는 다중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차세대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방송 방식의 하나인 ATSC3.0에서는, 방송 신호의 다중화 방식으로서, TDM이 채용되고 있다.
도 17에 있어서는, 도면 중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을 주파수(Freq)의 방향이라 하고, 도면 중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는 방향을 시간(Time)의 방향이라 했을 때에 있어서의, TDM을 적용한 경우의 물리층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예에서는, 시간적으로 선행한 제1 층(계층)과, 당해 제1 층에 이은 제2 층(계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층이나 제2 층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들 층은, 예를 들어 물리층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이나 서브프레임 등으로 바꾸어 말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 층과 제2 층의 계층(층)마다 다른 변조 방식을 적용한 경우에,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를, 보다 로버스트의 변조 방식이 실시된 한쪽의 계층(층)에만 포함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층과 제2 층에 적용되는 변조 방식이 각각 예를 들어 1024QAM과 QPSK인 경우에, 보다 로버스트의 변조 방식이 실시되고 있는 제2 층에만,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가 포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방송 신호의 다중화 방식으로서, TDM을 채용하는 경우에, 보다 로버스트의 변조 방식이 실시되어 있는 계층(층)에만,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 즉 LDM이 실시된 파일럿 신호이며, 코어 레이어에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고, 인핸스드 레이어에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함으로써, 채널 추정이나 등화 처리를 행할 때에는, 당해 인핸스드 레이어를 포함한 부분이 노이즈에 상당하게 되지만, 그 영향이 다른 층에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로버스트의 변조 방식(예를 들어, QPSK)이 적용된 계층(층)에만,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함으로써, 노이즈를 포함하는 파일럿 신호를 사용한 채널 추정이나 등화 처리를 행하게 되어도, 그 영향은 매우 적은 것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에 의하면, 송신 신호(OFDM 신호 등의 방송 신호)의 다중화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FDM이나 TDM을 채용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에 LDM을 적용하여, 코어 레이어에(실제의)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한편, 인핸스드 레이어에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함으로써,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로서, SP 신호를 대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SP 신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CP 신호, TMCC 신호, AC 신호 등의 다른 파일럿 신호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본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신호는, 본 기술의 발명자에 의한, 상세한 시뮬레이션의 결과, 찾아낸 것이다. 이하의 그 일례로서, 차세대의 ISDB-T를 상정한 시뮬레이션의 결과와, ATSC3.0을 상정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낸다.
(차세대의 ISDB-T를 상정)
ㆍ 1 프레임당 총 셀 수
최대로 288 SP/segment * 35 segment * 56 symbols/frame=564,480cells
ㆍ4096QAM:
-564480*12=6773760 bits=6.7 Mbps(max)
-부호화율이 12/16인 경우에는 5.1 Mbps
ㆍ1024QAM:
-564480*10=5644800 bits=5.6 Mbps(max)
-부호화율이 12/16인 경우에는 4.2 Mbps
ㆍ256QAM:
-564480*8=4515840 bits=4.5 Mbps(max)
-부호화율이 12/16인 경우에는 3.4 Mbps
(ATSC3.0을 상정)
ㆍLarger Data Rate for Enhanced Layer
ㆍVV323
-CL: QPSK CR=7/15
-EL: 256QAM CR=10/15
-SP8_2(every 16 carriers), GI4_768, Symbols 108
-Frame Length=250 ms
ㆍNoC(16FFT) 13825
ㆍData Carriers per Symbol: 12863(non data carriers=962)
ㆍSP Carriers per Symbol: 864
ㆍTotal SP carriers per frame: 864*108=93, 312 cells
ㆍExtra Data Rate=93312*8 bits/cell=746, 496 bit=750 kbit->약 3 Mbps
부호화율이 10/15인 경우에는, 497,664*4=1.99 Mbps
ㆍData for EL=12863*108*8=11,113,632bit=11.1 Mbit->약 44 Mbps
부호화율이 10/15인 경우에는, 7,409,088*4=29.636 Mbps
ㆍ전송 용량 증가=6.7%
<2. 변형예>
상술한 설명으로서는, 방송 방식으로서, 일본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ISDB(특히, 차세대의 ISDB-T)와, 미국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방식인 ATSC(특히, ATSC3.0)를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유럽의 각국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DVB(특히, 차세대의 DVB-T) 등의 다른 방송 방식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방송 신호의 전송로(방송 전송로)로서는, 지상파 방송 외, 예를 들어 방송 위성(BS: Broadcasting Satellite)이나 통신 위성(CS: Communications Satellite) 등을 이용한 위성 방송이나, 케이블 텔레비전(CATV) 등의 유선 방송 등이어도 된다.
또한, 도 1의 전송 시스템(1)에 있어서는, 송신 장치(10)가 단독으로, 멀티플렉서 등의 상위층 처리부(101)와, 변조부(111) 등의 물리층 처리부(102)를 갖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의 시스템에서는, 상위층 처리부(101)와 물리층 처리부(102)는 다른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상위층 처리부(101)를 갖는 제1 방송 서버(상위층 서버)를 방송국 내에 설치하는 한편, 물리층 처리부(102)를 갖는 제2 방송 서버(물리층 서버)를 송신소에 설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송신 장치(10)(또는 전송 시스템(1))는, 방송 시스템이며, 하나 또는 복수의 방송 서버로 구성된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전송로로서, 지상파 방송 등의 방송 전송로를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방송 전송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셀룰러 방식의 통신(예를 들어, LTE-Advanced나 5G 등)이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무선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 전송로를 전송되는 통신 신호(송신 신호)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즉, 이 경우, 송신 장치(10)(또는 전송 시스템(1))는, 통신 시스템(무선 통신 시스템)이며,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서버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수신 장치(2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이나 휴대 전화기, 태블릿형 컴퓨터 등의 통신 기능을 갖는 기기로 된다.
<3. 컴퓨터의 구성>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도 18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예를 들어, 상술한 송신측의 처리, 또는 수신측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컴퓨터(10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1), ROM(Read Only Memory)((1002)), RAM(Random Access Memory)(1003)은, 버스(10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10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에는, 입력부(1006), 출력부(1007), 기록부(1008), 통신부(1009) 및 드라이브(10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10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 폰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10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기록부(1008)는, 하드 디스크나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0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드라이브(10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1000)에서는, CPU(1001)가, ROM(1002)나 기록부(1008)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 및 버스(1004)를 통하여, RAM(10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컴퓨터(1000)(CPU(10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1000)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를 드라이브(10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를 통하여, 기록부(10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통신부(1009)에서 수신하여, 기록부(10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 밖에, 프로그램은, ROM(1002)나 기록부(10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처리는,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로 행해질 필요는 없다. 즉,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처리는,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어, 병렬 처리 혹은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할 때,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복조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2)
상기 LDM의 코어 레이어는,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LDM의 인핸스드 레이어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수신 장치.
(3)
상기 송신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4)
상기 방송 신호는,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의해 다중화되어 있는
상기 (3)에 기재된 수신 장치.
(5)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된 층은, 각각 다른 변조 방식이 실시된 제1 계층과 제2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제1 계층과 상기 제2 계층 중, 보다 로버스트의 변조 방식이 실시된 한쪽의 계층에 포함되는
상기 (4)에 기재된 수신 장치.
(6)
상기 방송 신호는,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Terrestrial)에 준거한 신호인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수신 장치.
(7)
상기 방송 신호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에 의해 다중화되어 있는
상기 (3)에 기재된 수신 장치.
(8)
시간 방향으로 분할된 층은, 각각 다른 변조 방식이 실시된 제1 계층과 제2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제1 계층과 상기 제2 계층 중, 보다 로버스트의 변조 방식이 실시된 한쪽의 계층에 포함되는
상기 (7)에 기재된 수신 장치.
(9)
상기 방송 신호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ittee)에 준거한 신호인
상기 (7) 또는 (8)에 기재된 수신 장치.
(10)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할 때, LDM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복조하는
수신 방법.
(11)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송신할 때, LDM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변조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12)
상기 LDM의 코어 레이어는,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LDM의 인핸스드 레이어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송신 장치.
(13)
상기 송신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송신 장치.
(14)
상기 방송 신호는, FDM에 의해 다중화되어 있는
상기 (13)에 기재된 송신 장치.
(15)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된 층은, 각각 다른 변조 방식이 실시된 제1 계층과 제2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제1 계층과 상기 제2 계층 중, 보다 로버스트의 변조 방식이 실시된 한쪽의 계층에 포함되는
상기 (14)에 기재된 송신 장치.
(16)
상기 방송 신호는, ISDB-T에 준거한 신호인
상기 (14) 또는 (15)에 기재된 송신 장치.
(17)
상기 방송 신호는, TDM에 의해 다중화되어 있는
상기 (13)에 기재된 송신 장치.
(18)
시간 방향으로 분할된 층은, 각각 다른 변조 방식이 실시된 제1 계층과 제2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제1 계층과 상기 제2 계층 중, 보다 로버스트의 변조 방식이 실시된 한쪽의 계층에 포함되는
상기 (17)에 기재된 송신 장치.
(19)
상기 방송 신호는, ATSC에 준거한 신호인
상기 (17) 또는 (18)에 기재된 송신 장치.
(20)
송신 장치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가,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송신할 때, LDM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변조하는
송신 방법.
1: 전송 시스템
10: 송신 장치
20: 수신 장치
101: 상위층 처리부
102: 물리층 처리부
111: 변조부
201: 물리층 처리부
202: 상위층 처리부
211: 복조부
1000: 컴퓨터
1001: CPU

Claims (20)

  1.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할 때,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복조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LDM의 코어 레이어는,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LDM의 인핸스드 레이어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신호는,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의해 다중화되어 있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된 층은, 각각 다른 변조 방식이 실시된 제1 계층과 제2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제1 계층과 상기 제2 계층 중, 보다 로버스트한 변조 방식이 실시된 한쪽의 계층에 포함되는
    수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Terrestrial)에 준거한 신호인
    수신 장치.
  7.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할 때, LDM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복조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LDM의 코어 레이어는,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LDM의 인핸스드 레이어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신호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에 의해 다중화되어 있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시간 방향으로 분할된 층은, 각각 다른 변조 방식이 실시된 제1 계층과 제2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제1 계층과 상기 제2 계층 중, 보다 로버스트한 변조 방식이 실시된 한쪽의 계층에 포함되는
    수신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 준거한 신호인
    수신 장치.
  10.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할 때, LDM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복조하고,
    상기 LDM의 코어 레이어는,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LDM의 인핸스드 레이어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신호는, FDM에 의해 다중화되어 있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된 층은, 각각 다른 변조 방식이 실시된 제1 계층과 제2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제1 계층과 상기 제2 계층 중, 보다 로버스트한 변조 방식이 실시된 한쪽의 계층에 포함되는
    수신 방법.
  11.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송신할 때, LDM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변조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LDM의 코어 레이어는,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LDM의 인핸스드 레이어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신호는, FDM에 의해 다중화되어 있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된 층은, 각각 다른 변조 방식이 실시된 제1 계층과 제2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제1 계층과 상기 제2 계층 중, 보다 로버스트한 변조 방식이 실시된 한쪽의 계층에 포함되는
    송신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ISDB-T에 준거한 신호인
    송신 장치.
  17.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송신할 때, LDM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변조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LDM의 코어 레이어는,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LDM의 인핸스드 레이어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신호는, TDM에 의해 다중화되어 있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시간 방향으로 분할된 층은, 각각 다른 변조 방식이 실시된 제1 계층과 제2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제1 계층과 상기 제2 계층 중, 보다 로버스트한 변조 방식이 실시된 한쪽의 계층에 포함되는
    송신 장치.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ATSC에 준거한 신호인
    송신 장치.
  20. 송신 장치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가,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송신할 때, LDM을 실시한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변조하고,
    상기 LDM의 코어 레이어는, 상기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LDM의 인핸스드 레이어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신호는, FDM에 의해 다중화되어 있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된 층은, 각각 다른 변조 방식이 실시된 제1 계층과 제2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제1 계층과 상기 제2 계층 중, 보다 로버스트한 변조 방식이 실시된 한쪽의 계층에 포함되는
    송신 방법.
KR1020207026974A 2018-03-30 2019-03-15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KR102549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67909 2018-03-30
JP2018067909A JP7091779B2 (ja) 2018-03-30 2018-03-30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PCT/JP2019/010764 WO2019188395A1 (ja) 2018-03-30 2019-03-15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214A true KR20200138214A (ko) 2020-12-09
KR102549729B1 KR102549729B1 (ko) 2023-07-03

Family

ID=6805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974A KR102549729B1 (ko) 2018-03-30 2019-03-15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51355B2 (ko)
EP (1) EP3780429A4 (ko)
JP (1) JP7091779B2 (ko)
KR (1) KR102549729B1 (ko)
BR (1) BR112020019015A2 (ko)
PH (1) PH12020551537A1 (ko)
TW (1) TWI820096B (ko)
WO (1) WO2019188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7383B (zh) * 2020-05-26 2023-04-18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发送/接收方法、装置、介质、基站、接收机、层分复用传输系统
JP7451446B2 (ja) 2021-02-16 2024-03-18 株式会社東芝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11689306B2 (en) * 2021-05-19 2023-06-27 Hughes Network Systems, Llc TDM and TDMA concurrent mode transmis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6354A1 (zh) * 2015-11-05 2017-05-11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WO2017170110A1 (ja) * 2016-03-30 2017-10-0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2018046458A (ja) * 2016-09-15 2018-03-22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065B1 (ko) * 2014-07-09 2022-03-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레이어드 디비전 멀티플렉싱을 이용한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신 방법
CN110661590B (zh) * 2015-03-09 2021-04-20 第一媒体有限责任公司 系统发现与信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6354A1 (zh) * 2015-11-05 2017-05-11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WO2017170110A1 (ja) * 2016-03-30 2017-10-0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2018046458A (ja) * 2016-09-15 2018-03-22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IB STD-B31 2.2판 일반사단법인 전파산업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91779B2 (ja) 2022-06-28
EP3780429A1 (en) 2021-02-17
KR102549729B1 (ko) 2023-07-03
US11451355B2 (en) 2022-09-20
WO2019188395A1 (ja) 2019-10-03
TWI820096B (zh) 2023-11-01
EP3780429A4 (en) 2021-05-05
US20210028904A1 (en) 2021-01-28
TW201944753A (zh) 2019-11-16
JP2019180008A (ja) 2019-10-17
BR112020019015A2 (pt) 2020-12-29
PH12020551537A1 (en)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5253B2 (en) Transmitter, recei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49729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EP2400704B1 (en)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and receiving system with channel estimation
CN107210838B (zh) 基站装置及终端装置
EP22595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ple pilot signals in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TW201642639A (zh) 用於減少信號中波峰至平均功率比之設備及方法
TWI741420B (zh) 送訊裝置、送訊方法、收訊裝置及收訊方法
JP7310983B2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US10855506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7214910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7268343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ang et al. Performance of the DVB-T2 system with MIMO Spatial Multiplexing
JP2017225092A (ja) 送信装置、受信装置、フレーム構成方法、チップ、およびプログラム
Chandra Kala et al. An Efficient Hierarchical Modulation bas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ransmission Scheme for Digital Video Broadcasting
JP2019106700A (ja) 送信機、受信機、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