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113A -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113A
KR20200138113A KR1020200162034A KR20200162034A KR20200138113A KR 20200138113 A KR20200138113 A KR 20200138113A KR 1020200162034 A KR1020200162034 A KR 1020200162034A KR 20200162034 A KR20200162034 A KR 20200162034A KR 20200138113 A KR20200138113 A KR 20200138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bile
mobile terminal
displayed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슬기
이예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62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8113A/ko
Publication of KR2020013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실행되면 자동음성안내를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자동음성안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시작되면,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 또는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 각각에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진행 정보가 표시되고, (3)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버튼이 선택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터치가 입력되거나 또는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선택된 버튼, 입력된 터치 또는 인식된 음성에 따라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OF PROVIDING MOBILE SHOPPING SERVICE}
본 발명은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이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인터넷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전자상거래의 비중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상거래는 생활용품, 가정용품, 전자제품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상품 영역에까지 확대되어 가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기기(스마트 기기)의 발전으로 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대중은 편리한 환경을 제공받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시간 및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상시 소지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언제든지 상품 주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성행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쇼핑 서비스는, 소비자는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도록 하고, 판매자는 상담원 고용이나 운영비용 등을 절약하여 더욱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물건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을 통해 상품을 주문할 경우, 제휴업체 애플리케이션(앱, App)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구매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오픈마켓 앱을 통해 상품을 선택하여 장바구니로 옮긴 다음, 할인 가능한 쿠폰을 적용하고 배송지 정보를 입력한 후 주문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는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에 기반하고 있어 색맹, 색약, 실명 등의 장애를 앓고 있는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모바일 기기 화면의 터치 위치의 파악이 어려워 위와 같은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소리나 촉각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도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3347호(모바일 쇼핑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2010. 11. 2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주된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이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실행되면 자동음성안내를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자동음성안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시작되면,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 또는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 각각에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진행 정보가 표시되고, (3)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버튼이 선택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터치가 입력되거나 또는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선택된 버튼, 입력된 터치 또는 인식된 음성에 따라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하 또는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은 패턴 또는 색상으로 구분되고,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진행 정보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버튼 중 제1 볼륨 조절 버튼 및 제2 볼륨 조절 버튼은 각각 상기 상하로 이등분된 화면에서 상부화면 및 하부화면에 대응되거나, 상기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에서 우측화면 및 좌측화면에 대응되고, 상기 (3) 단계는, 상기 제1 볼륨 조절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상부화면 또는 우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 또는 우측화면이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제2 볼륨 조절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하부화면 또는 좌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하부화면 또는 좌측화면이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상기 선택된 버튼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상품 검색이 수행되면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의 키워드에 대한 음성을 입력 받는 과정 및 상기 음성의 인식에 따라 상품을 검색하고, 상품의 검색 결과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상기 상품의 검색 결과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상하 또는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 각각에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품의 명칭 및 가격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과정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스크롤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상품의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탭핑 동작이 입력되면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상기 선택된 버튼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상품 추천이 수행되면 사용자의 구매이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였던 상품과 연관된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상품의 리스트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버튼 중 볼륨업 및 볼륨다운 버튼은 각각 상기 상하로 이등분된 화면에서 상부화면 및 하부화면에 대응되고, 상기 상부화면에는 쇼핑몰의 쇼핑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하부화면에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되, 상기 (3) 단계는,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상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검색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추천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하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어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검색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추천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이후,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상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품의 키워드에 관한 음성 검색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하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쇼핑몰의 상품 추천 리스트가 제공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어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이후,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상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 리스트가 제공되고,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하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어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이후,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상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확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서비스가 제공되며,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하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확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쿠폰 받기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잇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하여 수행되는 좌측방향의 스와이핑 및 우측방향의 스와이핑은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처리 방식에 대응되고, 상기 (3) 단계는, 상기 좌측방향의 스와이핑이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기고, 상기 우측방향의 스와이핑이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구매가 진행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터치가 입력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 또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실행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시선 추적 센서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의 시선 추적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상기 (2)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의 시선 추적이 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음성안내와 함께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i)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실행되면 자동음성안내를 제공하는 단계, (ii) 상기 자동음성안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시작되면,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해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 각각에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진행 정보가 표시되고, (iii)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스와이핑이 인식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터치가 입력되거나 또는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스와이핑, 입력된 터치 또는 인식된 음성에 따라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은 패턴 또는 색상으로 구분되고,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진행 정보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과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은 각각 상기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에서 우측화면 및 좌측화면에 대응되고, 상기 (iii)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우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우측화면이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좌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좌측화면이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는, 상기 인식된 스와이핑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상품 검색이 수행되면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의 키워드에 대한 음성을 입력 받는 과정 및 상기 음성의 인식에 따라 상품을 검색하고, 상품의 검색 결과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는, 상기 상품의 검색 결과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 각각에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품의 명칭 및 가격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과정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스크롤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상품의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탭핑 동작이 입력되면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는, 상기 인식된 스와이핑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상품 추천이 수행되면 사용자의 구매이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였던 상품과 연관된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상품의 리스트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과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은 각각 상기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에서 우측화면 및 좌측화면에 대응되고, 상기 우측화면에는 쇼핑몰의 쇼핑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좌측화면에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되, 상기 (iii)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우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검색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추천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좌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어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검색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추천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우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품의 키워드에 관한 음성 검색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좌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쇼핑몰의 상품 추천 리스트가 제공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어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우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 리스트가 제공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좌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어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우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확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서비스가 제공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좌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확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쿠폰 받기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볼륨업 버튼 및 볼륨다운 버튼은 각각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처리 방식에 대응되고, 상기 (iii) 단계는, 상기 볼륨업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기고,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구매가 진행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터치가 입력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 또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실행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시선 추적 센서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의 시선 추적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상기 (ii)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의 시선 추적이 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음성안내와 함께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해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음성 안내 서비스, 볼륨 조절 버튼, 화면 스와이핑, 탭핑, 스크롤, 접근성 모드 등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색맹, 색약, 실명 등의 장애를 앓고 있는 시각장애인들이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세부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양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모바일 기기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세부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명세서 전체에 대하여 동일/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단계" 및 "과정"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 또는 어떠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이나 연동"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구비 또는 마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구비 또는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분산되어 실시되는 구성요소들은 특별한 제한이 있지 않는 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요소는 제2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요소도 제1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모바일 쇼핑을 제공하는 쇼핑몰 서버(100)와 모바일 기기(200)를 통해 구현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절차들은 쇼핑몰 서버(100)와 모바일 기기(200)가 각각 또는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쇼핑몰 서버(100)란 사용자들이 온라인으로 물건을 사고 팔 수 있는 전자상거래 공간을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하며, 온라인 웹 사이트 또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모바일 또는 모바일 기기(200)란 본래 스마트폰(smartphone)과 태블릿(tablet)PC 등과 같이 이동 중 사용이 가능한 컴퓨터 환경을 뜻하며, 일반적으로는 사람이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화된 전자 기기와 단말을 의미한다. 이와 함께,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 또는 모바일 쇼핑몰 서비스는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해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쇼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은 wi-fi, 4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1)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실행되면 자동음성안내를 제공하는 단계(s310), (2) 상기 자동음성안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시작되면,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s320)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 또는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 각각에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진행 정보가 표시되고, (3)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버튼이 선택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터치가 입력되거나 또는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선택된 버튼, 입력된 터치 또는 인식된 음성에 따라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수행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자동음성안내를 수행하는 (1) 단계(s310)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색맹이나 색약 장애를 앓고 있는 시각 장애인은 음성안내 서비스 없이도 모바일 쇼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더하여, (3) 단계(s330)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터치가 입력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 또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하로 이등분된 화면 중 어느 한 화면의 중심부에 터치가 입력되면 일정 세기의 진동이 1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이등분된 화면의 두 화면 모두에 동시적으로 터치가 입력되거나 상하로 이등분된 화면의 기설정된 분단 라인에 터치가 입력되면 일정 세기의 진동이 2회 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각 경우에 있어서 진동의 세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또는 햅틱 반응을 통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의 특정 영역을 정확하게 터치하였는지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1) 단계(s310)는,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실행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시선 추적 센서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의 시선 추적을 수행하는 단계로 구현될 수 있고, 이 때, (2) 단계(s320)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의 시선 추적이 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음성안내와 함께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의 시선 추적 기능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시선을 추적할 경우 시선이 추적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의 시선 추적이 되지 않으면 곧바로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여 시각장애인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하 또는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은 패턴 또는 색상으로 구분되고,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진행 정보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하로 이등분된 두개의 화면에는 각기 다른 색상의 바탕화면을 갖고 각기 다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이등분된 두개의 화면은 각기 다른 패턴을 갖는 바탕화면을 표시하거나 서로 보색 관계를 갖는 바탕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색맹이나 색약 또는 시력이 낮은 노약자들의 경우에도 두 화면의 영역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버튼 중 제1 볼륨 조절 버튼 및 제2 볼륨 조절 버튼은 각각 상기 상하로 이등분된 화면에서 상부화면 및 하부화면에 대응되거나, 상기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에서 우측화면 및 좌측화면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 단계(s330)는, 상기 제1 볼륨 조절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상부화면 또는 우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 또는 우측화면이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제2 볼륨 조절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하부화면 또는 좌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하부화면 또는 좌측화면이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다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들이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음량 버튼이나 음성을 이용하여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상술한 (3) 단계(s330)의 세부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 단계(s330)는, 상기 선택된 버튼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상품 검색이 수행되면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의 키워드에 대한 음성을 입력 받는 과정(s401) 및 상기 음성의 인식에 따라 상품을 검색하고, 상품의 검색 결과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과정(s4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 단계(s330)는, 상기 상품의 검색 결과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상하 또는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 각각에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품의 명칭 및 가격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과정(s403)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스크롤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상품의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탭핑 동작이 입력되면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는 과정(s40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a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 단계(s330)는, 상기 선택된 버튼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상품 추천이 수행되면 사용자의 구매이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였던 상품과 연관된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s405) 및 상기 상품의 리스트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과정(s4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모바일 기기에 포함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모바일 쇼핑 관련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편리하게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버튼 중 볼륨업 및 볼륨다운 버튼은 각각 상기 상하로 이등분된 화면에서 상부화면 및 하부화면에 대응되고, 상기 상부화면에는 쇼핑몰의 쇼핑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하부화면에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위 구현예에서, 상기 (3) 단계(s330)는,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상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검색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추천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하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과정(s40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구현예에서, 상기 (3) 단계(s330)는,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어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검색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추천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이후,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상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품의 키워드에 관한 음성 검색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하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쇼핑몰의 상품 추천 리스트가 제공되는 과정(s4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위와 같은 구현예에서, 상기 (3) 단계(s330)는,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어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이후,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상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 리스트가 제공되고,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하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과정(s4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3) 단계(s330)는,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어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이후,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상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확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서비스가 제공되며,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하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확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쿠폰 받기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s410)을 더 포함할 수 잇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하여 수행되는 좌측방향의 스와이핑 및 우측방향의 스와이핑은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처리 방식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 단계(s330)는, 상기 좌측방향의 스와이핑이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기고, 상기 우측방향의 스와이핑이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구매가 진행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양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스크롤 동작이 입력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탭핑 동작이 입력되면 특정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제공될 수 있다.
스크롤 동작은 사람이 모바일 기기의 화면의 상(아래에서 위), 하(위에서 아래, 좌(우측에서 좌측), 우(좌측에서 우측)으로 손가락, 터치펜 등의 접촉 수단을 이용하여 튕기듯이 터치 또는 슬라이딩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탭핑 동작은 사람이 손가락, 터치펜 등의 접촉 수단을 이용하여 화면을 빠르게 복수회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스크롤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상품의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다음 페이지 또는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탭핑 동작이 입력되면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스크롤 동작이나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탭핑 동작이 입력되면 상품의 명칭이나 가격 등의 정보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스크롤 동작이나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탭핑 동작이 입력되면 상품의 구매를 위한 장바구니에 해당 페이지에 표시된 상품이 담기거나 해당 상품에 대한 리뷰를 음성으로 전해주는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모바일 기기에 대한 여러 동작들에 따른 서비스가 위 기능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얼마든지 수행되도록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모바일 기기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기기의 이등분된 화면에 각각 서로 다른 쇼핑 정보가 담기도록 본 발명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시작되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에 각각 서로 다른 바탕 색상을 갖고 서로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글자가 표시되고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된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이등분된 화면 각각에 담긴 정보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후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대한 동작이 모바일 기기에 입력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서로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글자가 표시되고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형성된 페이지가 담긴 화면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버튼 중 볼륨업 및 볼륨다운 버튼은 각각 상하로 이등분된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서 상부화면 및 하부화면에 대응되고, 상기 상부화면에는 쇼핑몰의 쇼핑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하부화면에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여기서, 상하로 이등분된 두개의 화면은 각기 다른 패턴을 갖는 바탕화면을 표시하거나 서로 보색 관계를 갖는 바탕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상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검색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추천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하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는 것에 이어서, 또 다시,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상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품의 키워드에 관한 음성 검색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하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쇼핑몰의 상품 추천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설명되는 모바일 쇼핑의 상품 검색 서비스와 상품 추천 서비스 등은 모바일 기기의 접근성 모드 등을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와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키워드를 음성으로 모바일 기기에 입력하면 모바일 기기는 상기 키워드에 관한 상품리스트 또는 추천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회원 정보 변경 서비스, 쿠폰 받기 서비스 등에도 역시 모바일 기기의 접근성 모드와 음성 안내 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는 것에 이어서,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상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하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예에서,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어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이후, 재차, 상기 볼륨업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상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확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하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확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하부화면에 쿠폰 받기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대한 특정 동작이 모바일 기기에 입력되면 특정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소리나 촉각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음성 안내 서비스, 볼륨 조절 버튼, 화면 스와이핑, 탭핑, 스크롤, 접근성 모드 등 모바일 기기에 적용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색맹, 색약, 실명 등의 장애를 앓고 있는 시각장애인이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역시,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쇼핑을 제공하는 쇼핑몰 서버(100)와 모바일 기기(200)를 통해 구현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절차들은 쇼핑몰 서버(100)와 모바일 기기(200)가 각각 또는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이며,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대부분의 기능들은 이하에서 설명될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들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i)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실행되면 자동음성안내를 제공하는 단계(s810), (ii) 상기 자동음성안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시작되면,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해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s820)를 포함하되, 상기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 각각에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진행 정보가 표시되고, (iii)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스와이핑이 인식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터치가 입력되거나 또는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스와이핑, 입력된 터치 또는 인식된 음성에 따라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수행되는 단계(s8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자동음성안내를 수행하는 (i) 단계(s810)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iii) 단계(s830)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터치가 입력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 또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하로 이등분된 화면 중 어느 한 화면의 중심부에 터치가 입력되면 일정 세기의 진동이 1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이등분된 화면의 두 화면 모두에 동시적으로 터치가 입력되거나 상하로 이등분된 화면의 기설정된 분단 라인에 터치가 입력되면 일정 세기의 진동이 2회 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각 경우에 있어서 진동의 세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또는 햅틱 반응을 통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의 특정 영역을 정확하게 터치하였는지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i) 단계(s810)는,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실행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시선 추적 센서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의 시선 추적을 수행하는 단계로 구현될 수 있고, 이 때, (ii) 단계(s820)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의 시선 추적이 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음성안내와 함께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해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의 시선 추적 기능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시선을 추적할 경우 시선이 추적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의 시선 추적이 되지 않으면 곧바로 모바일 쇼핑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여 시각장애인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스와이핑이란, 사람이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 대하여 손을 이용해서 왼쪽(우측에서 좌측)이나 오른쪽(좌측에서 우측)으로 쓸어내리는 동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은 패턴 또는 색상으로 구분되고,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진행 정보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과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은 각각 상기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에서 우측화면 및 좌측화면에 대응되고, 상기 (iii)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우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우측화면이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좌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좌측화면이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세부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s830)는, 상기 인식된 스와이핑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상품 검색이 수행되면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의 키워드에 대한 음성을 입력 받는 과정(s901) 및 상기 음성의 인식에 따라 상품을 검색하고, 상품의 검색 결과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과정(s9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ii) 단계(s830)는, 상기 상품의 검색 결과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 각각에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품의 명칭 및 가격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과정(s903)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스크롤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상품의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탭핑 동작이 입력되면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는 과정(s90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a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ii) 단계(s830)는, 상기 인식된 스와이핑에 따라 상기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상품 추천이 수행되면 사용자의 구매이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였던 상품과 연관된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s905) 및 상기 상품의 리스트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과정(s90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의 일 구현예로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과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은 각각 상기 좌우로 이등분된 화면에서 우측화면 및 좌측화면에 대응되고, 상기 우측화면에는 쇼핑몰의 쇼핑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좌측화면에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위 구현예에서, 상기 (iii) 단계(s830)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우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검색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추천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좌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과정(s907)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현예에서, 상기 (iii) 단계(s830)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어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검색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상기 쇼핑몰의 상품 추천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우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품의 키워드에 관한 음성 검색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좌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쇼핑몰의 상품 추천 리스트가 제공되는 과정(s9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현예에서, 상기 (iii) 단계(s830)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어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우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 리스트가 제공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좌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과정(s9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현예에서, 상기 (iii) 단계(s830)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어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제공 페이지 이동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좌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우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확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 변경 서비스가 제공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한 우측 방향의 스와이핑이 인식되면 상기 좌측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우측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쿠폰 정보 확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좌측화면에 쿠폰 받기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s9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볼륨업 버튼 및 볼륨다운 버튼은 각각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처리 방식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 단계는, 상기 볼륨업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기고, 상기 볼륨다운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구매가 진행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예컨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제1항에 의한 장치 및 방법.
KR1020200162034A 2020-11-27 2020-11-27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38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034A KR20200138113A (ko) 2020-11-27 2020-11-27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034A KR20200138113A (ko) 2020-11-27 2020-11-27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763A Division KR102317746B1 (ko) 2018-10-17 2018-10-17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113A true KR20200138113A (ko) 2020-12-09

Family

ID=7378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034A KR20200138113A (ko) 2020-11-27 2020-11-27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81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347A (ko) 2009-05-15 2010-11-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쇼핑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347A (ko) 2009-05-15 2010-11-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쇼핑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5801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用のロイヤルティアカウント及びプライベートラベルアカウント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CN107408256B (zh) 优化的物品属性比较
EP4113411A1 (en)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US9141192B2 (en) Interactive digital catalogs for touch-screen devices
JP2017523534A (ja) ユーザ優先対話型コンポーネントを有するモバイル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N106339436B (zh) 一种基于图片的购物方法及移动终端
Tsai et al. Design of a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An example of demonstrated usability
US201503480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information displayed on touch-screens based on location data
KR102317746B1 (ko)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CN104333503B (zh) 即时通讯场景中的对话显示方法及装置
CN111602110B (zh) 信息提供装置、信息提供方法以及非暂时性记录介质
CN107479726B (zh) 一种信息输入方法及电子设备
CN103914255B (zh) 金融看盘的多模式自选股报价视图装置及方法
KR20200138113A (ko)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602109B (zh) 信息提供装置、信息提供方法以及非暂时性记录介质
KR101725355B1 (ko)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장치
Huang et al. A Toolkit for Prototyping Tabletop-Centric Cross-Device Interaction
KR20200097429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10570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JP6787984B2 (ja) 電子書籍提供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2018049320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6257523A (zh) 移动终端及其用户配置文件使用方法
KR20210016846A (ko) 금융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 방법
JP202317934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88327B1 (ko) 전자책 상의 컨텐츠에 대해 토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