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950A -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950A
KR20200137950A KR1020200005751A KR20200005751A KR20200137950A KR 20200137950 A KR20200137950 A KR 20200137950A KR 1020200005751 A KR1020200005751 A KR 1020200005751A KR 20200005751 A KR20200005751 A KR 20200005751A KR 20200137950 A KR20200137950 A KR 20200137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hearing
information
dat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학
오수희
김진숙
진인기
이경원
방정화
이재희
Original Assignee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950A/ko
Publication of KR2020013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평가 모듈에 의해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적합모듈에 의해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후속조치모듈에 의해 상기 파라미터에 의해 보정된 보청기와 관련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CONTROL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OF HEARING AID SUITABILI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는 난청자의 청력 보강을 위한 장치로, 마이크를 통해 소리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리를 강화하여 난청자의 청력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보청기의 효율적인 구매 및 사용을 위하여 보청기적합관리(hearing aid fitting management)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보청기적합관리 서비스를 통해 보청기 사용자는 체계적인 적합과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보청기 적합관리는 여러 나라에서 각각의 방법으로 실행하고 있으며 보청기관련 전문 서적에서도 다양하고 세부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있으나 서비스 범위와 행위가 다양하여 국가/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지침이 부재한 현실이다. 따라서, 보청기 적합관리는 기존에 수행하고 있는 다양한 내용, 절차, 방법 등을 참고로 국내에서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핵심적 보청기 적합관리 요인과 절차로 구성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구성요소와 절차를 따라 고객을 대응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보청기 적함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40269호, 2014.08.29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평가 모듈에 의해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적합모듈에 의해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후속조치모듈에 의해 상기 파라미터에 의해 보정된 보청기와 관련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청각 상태에 대응되는 보청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보청기를 상기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하여 획득된 보청기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시험착용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할 보청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착용할 보청기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귀의 인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각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배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배경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난청 상태에 대한 기초정보, 난청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상황에 대한 기초정보, 적합한 보청기에 대한 기초정보 및 청능훈련에 대한 기초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초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기초정보를 바탕으로 상세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설문문항에 대한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답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답변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난청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 난청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상황에 대한 상세정보, 적합한 보청기에 대한 상세정보 및 청능훈련에 대한 상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세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각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도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순음청력검사데이터, 어음청각검사데이터, 음향반사역치데이터, 불쾌음량레벨데이터 및 최대쾌적음량레벨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외이도 상태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순음청력검사데이터, 어음청각검사데이터, 음향반사역치데이터, 불쾌음량레벨데이터 및 최대쾌적음량레벨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귀의 인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귀 인상 직접 채취 또는 귀 인상을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귀 인상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도를 포함하는 외이에 대한 3D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채취한 귀 인상을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도 모형을 제작하거나 3D 이미지를 바탕으로 외이도 모형을 제작하기 위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3D 프린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한 보청기로부터 보청기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보청기에 대한 사용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보정된 보청기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된 보청기에 대한 사용데이터는 커플러 측정 데이터, 실이측정 데이터, 음장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생활 공간에서의 배경 소음에 대한 정보,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어음인지 정도와 발화 속도에 대한 정보 및 일반인의 평균 발화 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배경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청능훈련프로그램에 포함될 배경 소음 및 발화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배경 소음 및 발화 속도를 바탕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청능훈련프로그램 및 보청기 착용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청능훈련프로그램은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배경정보에 따라 시각단서, 음소, 단어 및 문장의 난이도, 문장 길이, 환경음 및 음악의 포함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방법은, 복수의 보청기 사용자의 배경정보, 상기 설문문항에 대한 답변정보 및 상기 답변정보로부터 획득된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보청기 사용자의 청능훈련프로그램 및 보청기 착용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제1 클러스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2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제2 클러스터를 획득하는 단계; 새로운 제1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배경정보 및 답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클러스터 중 상기 획득한 제1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배경정보 및 답변정보와 관련된 제1-1 클러스터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2 클러스터 중 상기 제1-1 클러스터와 기 설정된 거리내에 존재하는 제2-1 클러스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1제 클러스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 및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보청기 사용자는 자신에게 최적화된 보청기를 사용하고,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보청기 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적합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귀인상 채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합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속조치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청각(hearing)이란 소리를 탐지, 변별, 확인 및 인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난청인(hearing impaired)이란 한쪽 또는 양쪽 귀의 청력이 손상된 사람을 의미한다. 보청기(hearing aid)란 난청 보상을 목적으로 소리 신호의 처리를 위해 고안된 전기 음향적 착용 장치를 의미한다. 보청기 시스템(hearing aid system)이란 한쪽 또는 양쪽 보청기, 귀꽂이, 원격조종장치, 접속기 등 관련 구성요소로 구성된 개별 맞춤형 시스템을 의미한다. 보청기 전문가(hearing aid professional)란 난청인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청각평가, 보청기의 선택, 조절, 검증, 청능훈련 등을 포함하는 보청기 적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청각학적 역량을 갖춘 사람을 의미한다. 고객(client) 또는 보청기 사용자란 보청기 전문가 또는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보청기 적합관리 서비스를 받는 사람을 의미한다. 보청기 적합관리(hearing aid fitting management) 평가모듈, 적합모듈 및 후속조치모듈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관리체계로 상담, 청각검사, 보청기 시험착용, 보청기 선택, 귀 인상채취, 보청기 조절, 검증, 고객교육, 청능훈련, 결과측정 및 종합보고서 작성의 11개 구성요소를 시행하여 보청기를 착용한 난청인의 가청력 개선, 어음지각 향상 및 보청기의 지속적 사용과 관리를 돕는 체계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청능재활(auditory rehabilitation)이란 보청기 조절, 상담, 교육 및 다양한 훈련을 통해 청각능력과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평가모듈(assessment module)이란 보청기 적합 전 단계의 5개 구성요소인 상담, 청각검사, 보청기 시험착용, 보청기 선택 및 귀 인상채취와 구성요소 간의 절차를 포함하는 보청기 적합관리의 과정을 의미한다. 적합모듈(fitting module)이란 보청기 적합 단계의 3개 구성요소인 보청기 조절, 검증 및 고객교육과 구성요소 간의 절차를 포함하는 보청기 적합관리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후속조치모듈(follow-up module)이란 보청기 적합 후 단계의 3개 구성요소인 청능훈련, 결과측정 및 종합보고서 작성과 구성요소 간의 절차를 포함하는 보청기 적합관리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상담(counseling)이란 고객 또는 그 가족에게 고객의 난청상태, 난청으로 인한 어려움, 보청기 적합, 청능훈련 등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지원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청각평가(hearing evaluation)란 보청기 선택 전에 청력역치 및 어음인지 능력을 측정하여 고객의 청력손실 형태와 정도 및 의사소통 정도를 파악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보청기 시험착용(hearing aid trial)이란 고객의 난청 상태에 적합한 보청기를 선택하기 위하여 보청기 선택 전 단계에서 고객의 청력 상태에 맞추어 조절한 보청기를 실제 경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보청기 선택(hearing aid selection)이란 보청기 시험착용 결과, 청각 배경정보 등을 근거로 고객에게 적합한 보청기 종류를 결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귀 인상 채취(ear impression)란 귀꽂이 또는 보청기 외형을 제작하기 위하여 외이도와 갑개 부분의 모양을 본 뜨는 과정을 의미한다. 보청기 조절(hearing aid adjustment)이란 보청기 착용시 물리적 편안함을 위하여 보청기의 외형적 특성 및 착용상태를 점검하여 필요시 변경하고, 또한 어음인지능력 향상과 음향적 편안함을 고려하여 청각평가 결과와 처방법을 근거로 보청기의 전기음향적 특징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보청기 조절 검증(verification for hearing aid adjustment)이란 커플러 측정, 실이측정 또는 음장측정과 전기음향 및 심리음향적 측면의 설문지 응답을 통하여 보청기 조절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고객교육(client education)이란 보청기 작동방법, 보청기 점검방법 및 보청기 사용시 발생가능한 문제 해결방법 등 보청기 사용과 관련된 정보와 보청기에 대한 고객의 현실적 기대치 확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청능훈련(auditory training)이란 난청인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일정 기간에 걸친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듣기연습과 의사소통전략을 포함한 학습 과정을 의미한다. 착용 결과측정(outcome measurements)이란 음향 및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보청기 사용자의 착용 결과를 다차원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어음지각 정도, 객관적 혜택, 소리의 질적 향상, 듣기 위한 노력 정도의 변화, 보청기 사용빈도, 만족도 등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를 모두 포함한다. 종합보고서(comprehensive report) 또는 결과 보고서란 보청기 적합관리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정보를 반영하는 보고서를 의미한다. 귀꽂이(ear mold)란 개별적으로 제작하거나 선택한 보청기와 외이도 간의 기계음향적 연결장치를 의미한다. 고객 배경정보(client profile)란 고객의 청각적 배경정보뿐 아니라 청각기능, 사회적 상황, 활동 기회, 보청기의 필요성, 기대치 등을 포함하는 청각 관련 포괄적 정보를 의미한다. 적합 시스템(fitting system)이란 보청기 조절을 위해 사용하는 컴퓨터 및 적합 소프트웨어 등의 장비 세트를 의미한다. 보청기 초기설정(pre-setting of hearing aids)이란 적합공식 및 관련 청각 정보를 근거로 한 보청기 조절을 의미한다. 미세조율(fine-tuning)이란 개별 난청인의 필요 및 선호에 가장 잘 부합하도록 하는 보청기 시스템의 조율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서버(10) 및 전자 장치(20)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10)는 전자 장치(20)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기 위한 구성이다. 서버(10)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의 메모리는 평가모듈, 적합모듈 및 후속조치모듈을 포함하여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가모듈은 보청기 사용자의 상담 내용,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검사, 보청기 시험 착용, 보청기 선택 및 귀 인상 채취와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적합모듈은 보청기 조절, 보청기 조절 검증, 고객 교육과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후속조치모듈은 청능훈련, 결과측정 및 종합보고서와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평가 모듈은 보청기 사용자의 상담 내용과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평가모듈은 보청기 사용자 또는 그 가족에게 고객의 난청상태, 난청으로 인한 어려움, 보청기 적합, 청능훈련 등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평가모듈은 보청기에 대한 현실적 기대치를 확립하고 난청과 관련된 정서적 불안 요소까지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가모듈은 시각 및 소근운동 손상같이 보청기 조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 배경정보 수집을 위해 평가모듈은 과학적으로 검증된 심리음향적 설문지와 심리사회적 설문지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평가모듈은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의 선택을 위하여 순음청력역치와 어음인지도 평가를 통해서 청력손실의 형태와 정도 및 의사소통능력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가모듈은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순음청력검사 및 어음청각검사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순음청력검사는 KS I ISO 8253-1에 따르며 필요시 차폐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평가 모듈은 기도의 경우, 500 Hz, 1 000 Hz, 2 000 Hz, 3 000 Hz, 4 000 Hz, 6 000 Hz 및 8 000 Hz 의 주파수에서 청각 역치를 결정하고, 골도의 경우, 500 Hz, 1 000 Hz, 2 000 Hz 및 4 000 Hz의 주파수에서 청각 역치를 결정할 수 있다. 어음청각검사는, KS I ISO 8253-3 규정하는 어음검사 도구와 절차에 의해 검증될 수 있다. 이때, 어음은 이어폰을 통해 한쪽 귀에 또는 음장에서 양쪽 귀에 제시할 수 있으며. 실제 환경을 대표하기 위해서 조용한 환경 보다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 어음을 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평가 모듈은 필요한 경우, 음향반사역치 측정, 불쾌음량레벨 측정, 최대쾌적음량레벨 측정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평가모듈은 보청기 선택 전 단계에서 청각평가 결과 및 청각 배경정보를 근거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상태에 맞추어 선택하고 조절한 검사용 보청기를 판단하고, 보청기 사용자가 검사용 보청기를 사용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는 보청기 사용자의 보청기 사용에 대한 현실적인 기대치를 확립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용 보청기는 양쪽 귀 시험착용 상태에서 음장검사(KS I ISO 8253-3)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가모듈은 보청기 시험착용 결과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평가모듈은 보청기의 형태, 사용자의 해부학적 특징 및 미적 요인을 바탕으로 보청기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평가모듈은 귀꽂이, 보청기 형태, 환기구 및 보청기의 기타 물리음향적 특징을 더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귀걸이형 또는 고막형 보청기등 맞춤형 보청기인 경우, 평가모듈은 귀의 인상 채취를 통해 귀꽂이 또는 보청기 외형을 제작하기 위하여 외이도와 갑개 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적합모듈은 보청기의 적합에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합모듈은 보청기 착용시 물리적 편안함을 위한 물리적 조절과 어음인지능력 향상 및 음향적 편안함을 위한 전기음향적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리적 조절은 보청기 외형, 착용 상태, 귀꽂이 등과 관련된 조절이며,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착용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착용의 편안함이 최적화 될 때까지 물리적 특성을 변경하고 수정할 수 있다. 전기음향적 조절은 입력된 보청기 사용자 배경정보 데이터 및 음향적 커플링 특징에 따라 적합공식을 선택하여 이득, 최대출력, 압축비율, 압축역치, 압축시간, 해제시간 등 보청기의 전기음향적 특성을 일차적으로 결정하고 보청기를 초기설정 한하기 위한 조절이며, 이차적으로 보청기 사용자와의 밀접한 상호작용을 통해 보청기 사용자의 필요와 선호도에 따라 보청기 시스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청기 사용자가 만족하도록 전기음향적 특성을 미세조율하는 조절이다.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불만족스럽다는 데이터를 수집하면, 적합모듈은 보청기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보청기를 미세조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적합모듈은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보청기 이미지를 수신하여 보청기 외관을 확인하고, (예: 상처를 줄 수 있는 흠집, 주문한 부품 등), 보청기 착용상태를 확인하며, 보청기 성능을 확인하고(KS C IEC 60118-7 참조), 음질, 어음인지도 등을 확인하고, 피드백, 폐쇄현상 등을 확인하고, 다양한 소리 크기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적합모듈은 보청기 조절 검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합모듈은 커플러 측정, 실이측정 또는 음장측정, 설문지 응답 등을 통하여 보청기 조절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적합모듈은 보청기 검사박스 내부에 위치한 보청기를 커플러에 연결하여 소리를 제시한 뒤 비교하는 커플러 이득 또는 실제 귀에서 보청기 착용전후를 비교하는 실이이득과 음장에서 보청기 착용전후를 비교하는 음장이득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청기 조절에 대한 결과를 검증할 수 있다. 또는, 적합모듈은 설문지를 사용한 주관적 응답을 통해서 보청기 조절 후 청각능력의 향상을 검증하거나, 보청기의 물리적 조절 상태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적합모듈은 보청기 사용자가 특정 소음 상황에서 불쾌감이 없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청각배경정보를 바탕으로 녹음된 보청기 사용자의 실제 일상 상황과 비슷한 배경소음을 전자 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 적합모듈은 KS C IEC 60118-7에 따라 커플러를 측정한 데이터, IEC 61669에 따라 측정된 실이측정 데이터, KS I ISO 8253-2따라 측정된 음장검사 데이터, 설문지 평가에 따른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정기 적합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적합모듈은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보청기 사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 교육에 대한 사항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모듈은 보청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보청기 작동 방법, 문제 해결법, 보청기 점검 방법 및 보청기 사용과 관련된 필요 정보를 제공하고 보청기 착용과 보청기에 대한 보청기 사용자의 현실적 기대치 확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보청기 사용 경험이 없는 사용자에게는 조절된 보청기 및 이용 가능한 보조 청각 장비에 대해 포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후속조치모듈은 청능훈련을 시행하고 보청기 착용과 관련된 전반적 결과를 측정한 뒤 결과에 따라 종합보고서를 작하기 위한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후속조치모듈은 다양한 환경에서의 보청기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청능훈련프로그램은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배경정보에 따라 배경소음 유무, 시각단서 유무, 음소, 단어, 문장 수준, 문장 길이, 발화 속도, 환경음 종류 및 음악 종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후속조치모듈은 보청기 사용자의 음향 및 심리적 측면과 관련된 착용 효과를 다차원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보청기 사용자의 어음지각 정도, 객관적 이득, 소리의 질적 향상, 듣기 위한 노력 정도에서의 변화, 보청기 사용빈도, 심리음향적 혜택, 심리사회적 혜택, 만족도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후속조치모듈은 상기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결과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는 보청기 사용자의 보청기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서버(10)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자 장치(20)는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어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는 보청기로 구현되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보청기 사용자의 데이터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20)는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엑세서리 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텍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 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20)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Digital Video Disk player),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20)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적합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00에서, 서버(10)는 평가모듈에 의해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서버(10)는 적합모듈에 의해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서버(10)는 보청기의 물리적 특성 또는 음향적 특성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라미터는 각각의 조건에 따라 하기 공식이 적용되어 산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X1은 HTL(Hearing Threshold Level), X2는 입력음의 크기, Y(XX)는 조건 XX에서의 파라미터로 정의한다. 또한, 산출된 Y(XX)<0인 경우 Y(XX)=0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파라미터는 8개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8개의 주파수 대역은 중심 주파수 250Hz에 대한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500Hz에 대한 제2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800Hz에 대한 제3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1000Hz에 대한 제4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1600Hz에 대한 제5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2500Hz에 대한 제6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4000Hz에 대한 제7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6000Hz에 대한 제8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은 중심 주파수를 바탕으로 결정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8개의 주파수 대역은 0Hz~400Hz, 350Hz~750Hz, 700Hz~950HZ, 900HZ~1500Hz, 1400HZ~2300Hz, 2200Hz~3600Hz, 3500Hz~5500HZ, 5000HZ~11000Hz일 수 있다.
제1 실시예로, 확장역치레벨(ET)이 ET30, X2=<30dB SPL(Sound Pressure Level)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ET30)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714X1 + 0.041X2 - 37.2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630X1 + 0.201X2 - 20.36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598X1 + 0.251X2 - 13.206,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566X1 + 0.288X2 - 3.016,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548X1 + 0.289X2 - 0.327,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513X1 + 0.289X2 + 2.93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302X1 + 0.167X2 + 4.2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240X1 + 0.128X2 + 1.266일 수 있다.
제2 실시예로, 확장역치레벨(ET)이 ET40, X2=<40dB SPL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ET40)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714X1 + 0.016X2 - 37.2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630X1 + 0.075X2 - 20.36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598X1 + 0.094X2 - 13.206,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566X1 + 0.108X2 - 3.016,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548X1 + 0.108X2 - 0.327,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513X1 + 0.108X2 + 2.93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302X1 + 0.063X2 + 4.2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240X1 + 0.048X2 + 1.266일 수 있다.
제3 실시예로, X2=<40dB SPL이고, 선형 증폭 방식을 이용하는 보청기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Lin1)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714X1 - 37.2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630X1 - 20.36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598X1 - 13.206,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566X1 - 3.016,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548X1 - 0.327,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513X1 + 2.93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302X1 + 4.2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240X1 + 1.266일 수 있다.
제4 실시예로, X2=<50dB SPL이고, 선형 증폭 방식을 이용하는 보청기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Lin2)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714X1 - 37.2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630X1 - 20.36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598X1 - 13.206,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566X1 - 3.016,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548X1 - 0.327,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513X1 + 2.93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302X1 + 4.2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240X1 + 1.266일 수 있다.
제5 실시예로, X2=<60dB SPL이고, 선형 증폭 방식을 이용하는 보청기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Lin3)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714X1 - 37.2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630X1 - 20.36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598X1 - 13.206,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566X1 - 3.016,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548X1 - 0.327,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513X1 + 2.93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302X1 + 4.2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240X1 + 1.266일 수 있다.
제6 실시예로, 압축역치레벨(CT)이 CT31, X2>=31dB SPL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CT31)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714X1 - 0.062X2 - 34.1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630X1 - 0.301X2 - 5.31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598X1 - 0.377X2 + 5.644,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566X1 - 0.432X2 + 18.584,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548X1 - 0.433X2 + 21.323,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513X1 - 0.433X2 + 24.58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302X1 - 0.250X2 + 16.7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240X1 - 0.192X2 + 10.866일 수 있다.
제7 실시예로, 압축역치레벨(CT)이 CT41, X2>=41dB SPL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CT41)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714X1 - 0.062X2 - 34.1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630X1 - 0.301X2 - 5.31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598X1 - 0.377X2 + 5.644,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566X1 - 0.432X2 + 18.584,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548X1 - 0.433X2 + 21.323,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513X1 - 0.433X2 + 24.58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302X1 - 0.250X2 + 16.7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240X1 - 0.192X2 + 10.866일 수 있다.
제8 실시예로, 압축역치레벨(CT)이 CT51, X2>=51dB SPL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CT51)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714X1 - 0.062X2 - 34.1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630X1 - 0.301X2 - 5.31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598X1 - 0.377X2 + 5.644,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566X1 - 0.432X2 + 18.584,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548X1 - 0.433X2 + 21.323,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513X1 - 0.433X2 + 24.58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302X1 - 0.250X2 + 16.7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240X1 - 0.192X2 + 10.866일 수 있다.
제9 실시예로, 압축역치레벨(CT)이 CT61, X2>=61dB SPL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CT61)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714X1 - 0.078X2 - 33.507,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630X1 - 0.37625X2 +2.211,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598X1 - 0.47125X2 + 15.069,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566X1 - 0.540X2 + 29.384,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548X1 - 0.54125X2 + 32.148,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513X1 - 0.54125X2 + 35.409,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302X1 - 0.3125X2 + 23.02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240X1 - 0.240X2 + 15.666일 수 있다.
제10 실시예로, 압축역치레벨(CT)이 CT71, X2>=71dB SPL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CT71)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714X1 - 0.103333X2 - 30.0097,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630X1 - 0.501667X2 +14.75267,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598X1 - 0.628333X2 + 30.77733,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566X1 - 0.720X2 + 47.384,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548X1 - 0.7217X2 + 50.192,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513X1 - 0.7217X2 + 53.453,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302X1 - 0.41667X2 + 33.43767,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240X1 - 0.320X2 + 23.666일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서버(10)는 후속조치모듈에 의해 단계 S200에서 획득한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보정된 보청기와 관련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보청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00 내지 S30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10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청각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태 정보는 보청기 사용자의 배경정보를 바탕으로 수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11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배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보청기 사용자의 배경정보는 사용자의 청각과 관련된 다양한 모든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청기 사용자의 배경정보는 난청이 최초 발생한 시간 정보, 대략적인 난청 정도에 대한 정보, 보청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나이 정보, 질병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2에서, 서버(10)는 수집된 배경정보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난청 상태에 대한 기초정보, 난청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상황에 대한 기초정보, 적합한 보청기에 대한 기초정보 및 청능훈련에 대한 기초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초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초정보는 보청기에 대한 기대치 정보, 난청과 관련된 정서적 불안 요소와 관련된 정 보, 그외 시각 및 소근운동손상같이 보청기 조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수집된 배경정보가 기초정보를 파악하기에 부족한 경우, 전자 장치(20)로 추가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족한 정보는 이후 설문문항을 통해 보충될 수 있다.
단계 S113에서, 서버(10)는 획득된 기초정보를 바탕으로 상세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세정보란 보청기 사용자 개인에게 최적화된 정보일 수 있다. 서버(10)는 기초정보를 바탕으로 부족한 정보에 대한 설문문항을 획득하고, 획득된 설문문항을 전자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14에서, 서버(10)는 설문문항에 대한 보청기 사용자의 답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15에서, 서버(10)는 답변정보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난청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 난청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상황에 대한 상세정보, 적합한 보청기에 대한 상세정보 및 청능훈련에 대한 상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 단계 S120에서, 서버(10)는 수집된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이때 수집된 상태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청기 사용자의 난청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 난청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상황에 대한 상세정보, 적합한 보청기에 대한 상세정보 및 청능훈련에 대한 상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세정보일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서버(10)는 평가된 청각 상태에 대응되는 보청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보청기를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하여 획득된 보청기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시험착용데이터란 보청기 사용자가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16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도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17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순음청력검사데이터, 어음청각검사데이터, 음향반사역치데이터, 불쾌음량레벨데이터 및 최대쾌적음량레벨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31에서, 서버(10)는 외이도 상태에 대한 데이터 및 보청기 사용자의 순음청력검사데이터, 어음청각검사데이터, 음향반사역치데이터, 불쾌음량레벨데이터 및 최대쾌적음량레벨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시험착용데이터란, 보청기 사용자가 보청기를 사용하면서 획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청기 사용자는 보청기 사용에 따라 보청기가 귀에 맞지 않아 통증을 느끼거나, 보청기가 쉽게 빠지는 등의 물리적으로 불편한 점이 발견되면 외이도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시험착용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가 압력 센서를 구비한 보청기인 경우, 전자 장치(20)는 전자 장치(20)에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에서의 적정 압력과 감지된 압력을 비교할 수 있다. 감지된 압력이 적정 압력보다 높은 경우, 전자 장치(20)는 보청기가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의 압력센서는 보청기가 보청기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어 보청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형 보청기의 경우, 압력 센서는 외이도와 밀착되는 전자 장치(20)의 표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귀걸이형 보청기의 경우, 압력 센서는 사용자의 외부 귓바퀴와 밀착되는 전자 장치(20)의 표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가 충격 센서를 구비한 보청기의 경우, 일정 시간동안 전자 장치(20)에 가해진 충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보청기가 보청기 사용자의 귀에서 자주 떨어지는 경우, 보청기의 떨어짐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2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충격이 일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전자 장치(20)는 감지 횟수를 시험착용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서버(10)는 순음청력검사 또는 어음청각검사에 대한 데이터를 시험착용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는 순음청력검사 또는 어음청각검사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보청기 사용자의 상세정보를 바탕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전자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는 전송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시험착용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서버(10)는 음향반사역치데이터, 불쾌음량레벨데이터 및 최대쾌적음량레벨데이터를 시험착용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서버(10)는 시험착용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할 보청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상세정보를 바탕으로 보청기를 1차 선택하고, 1차 선택된 보청기에 대한 시험착용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를 2차로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청기 사용자는 자신에게 최적화된 보청기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 서버(10)는 착용할 보청기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보청기 사용자의 귀의 인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보청기의 전기음향적 특성뿐만 아니라 물리적 특성까지 고려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귀의 인상을 채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귀인상 채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51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귀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는 사용자의 귀 전면, 외이도 및 귓바퀴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10)는 후술하는 단계 S152에서 외이에 대한 3D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에 대한 정확한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에는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를 판단하기 위한 가이드 오브젝트가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원형의 물체로서, 보청기 사용자는 외이 주변 얼굴에 가이드 오브젝트를 부착하고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서버(10)는 가이드 오브젝트의 실제 크기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가이드 오브젝트의 실제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에 대한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10)는 부착된 가이드 오브젝트로부터 기울기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가이드 오브젝트가 정확한 원형의 모양인 경우, 서버(10)는 이미지에 포함된 가이드 오브젝트를 바탕으로 기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이미지에 포함된 가이드 오브젝트가 원형으로 존재한다면, 이미지는 가이드 오브젝트의 정면에서 촬영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미지에 포함된 가이드 오브젝트가 타원형으로 존재한다면, 이미지는 가이드 오브젝트의 측면에서 촬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는 이미지에 포함된 타원형 가이드 오브젝트의 장축 및 단축의 길이를 바탕으로 이미지가 가이드 오브젝트 대비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에 대한 기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서버(10)는 이미지에 포함된 가이드 오브젝트의 크기 정보, 이미지에 포함된 가이드 오브젝트의 기울기 정보 및 실제 가이드 오브젝트의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의 실제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52에서, 서버(1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도를 포함하는 외이에 대한 3D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53에서, 서버(10)는 3D 이미지를 바탕으로 귀인상을 제작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3D 프린터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0)는 3D 이미지로부터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할 보청기를 바로 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합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한 보청기로부터 보청기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서버(10)는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청기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보청기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상술한 다양한 보청기 사용자의 기초정보, 상세정보, 시험착용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230에서, 서버(10)는 획득된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보청기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가 보청기를 보정한다 함은, 보청기를 보정할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자 장치(20)로 송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히 전자 장치(20)가 보청기인 경우에는, 직접 보청기를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S240에서, 서버(10)는 보정된 보청기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정된 보청기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속조치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310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생활 공간에서의 배경 소음에 대한 정보,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발화 속도에 대한 정보 및 일반인의 평균 발화 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서버(10)는 수집된 배경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청능훈련프로그램에 포함될 배경 소음 및 발화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서버(10)는 상기 결정된 배경 소음 및 발화 속도를 바탕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청기 사용자의 발화 속도가 일반인의 평균 발화 속도보다 느린 경우,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발화 속도를 기준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의 발화 속도를 결정하고, 점차적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의 발화 속도를 일반인의 평균 발화 속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보청기 사용자의 발화 속도가 일반인의 평균 발화 속도보다 빠른 경우, 서버(10)는 일반인의 평균 발화 속도를 기준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의 발화 속도를 결정하고, 점차적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의 발화 속도를 보청기 사용자의 발화 속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주변 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댁내에서의 배경 소음 정보, 직장에서의 배경 소음 정보, 이동 경로에서의 배경 소음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배경 소음 정보를 바탕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청능훈련프로그램 및 보청기 착용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서버(10)는 수신한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결과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41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보청기 사용자 각각에 대한 복수의 제1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데이터는 배경정보, 상기 설문문항에 대한 답변정보 및 상기 답변정보로부터 획득된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10)는 배경정보, 배경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기초정보, 기초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설문문항, 설문문항에 대한 답변정보 및 답변정보로부터 생성된 결과정보 모두를 제1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서버(10)는 획득된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된 제1 데이터는 제1 사용자에 대한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 제2 사용자에 대한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정보 등으로 그룹화 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제2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2 데이터는 청능훈련프로그램 및 보청기 착용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제1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제1 클러스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복수의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유사한 데이터끼리 그룹화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로, 서버(10)는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에 대한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서버(10)는 복수의 배경정보 클러스터, 기초정보 클러스터, 설문문항 클러스터, 답변정보 클러스터 및 결과정보 클러스터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는 각각의 배경정보 클러스터, 기초정보 클러스터, 설문문항 클러스터, 답변정보 클러스터 및 결과정보 클러스터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는 제1 배경정보 클러스터와 연관된 제1 기초정보 클러스터, 제1 기초정보 클러스터와 연관된 제1 설문문항 클러스터, 제1 설문문항 클러스터와 연관된 제1 답변정보 클러스터 및 제1 답변정보 클러스터와 연관된 제1 결과정보 클러스터는 매칭하여 하나의 제1 그룹을 획득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서버(10)는 각각의 배경정보 클러스터, 기초정보 클러스터, 설문문항 클러스터, 답변정보 클러스터 및 결과정보 클러스터에 대한 모든 클러스터들을 매칭하여 그룹화 할 수 있다. 서버(10)는 그룹화된 복수의 그룹에 대한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제1 클러스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제1 데이터에 포함된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를 각각 분류하고, 분류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가 아닌 가상의 (이상적인)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사용자에 대한 제1 데이터를 바탕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실제 사용자가 설문문항에 대한 답변정보를 잘못 입력하여 정확한 상세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 분류 및 분석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들이 획득한 정보만을 바탕으로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에 대한 그룹을 생성하는 경우, 상술한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계 S44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제2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제2 클러스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서버(10)는 새로운 제1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배경정보 및 답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10)는 제1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 모두를 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46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제1 클러스터 중 제1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배경정보 및 답변정보와 관련된 제1-1 클러스터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7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제2 클러스터 중 제1-1 클러스터와 기 설정된 거리내에 존재하는 제2-1 클러스터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80에서, 서버(10)는 제2-1 클러스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 및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다.
즉, 제1 보청기 사용자는 제1-1 클러스터에 속한 보청기 사용자와 유사한 배경정보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서버(10)는 제1-1 클러스터의 사용자와 연관된 제2-1 클러스터를 획득하고, 제2-1클러스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2-1 클러스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 및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서버(10)는 복수의 보청기 사용자의 시험착용데이터를 저장하고,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제3 클러스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는 복수의 제3 클러스터 중 제1-1 클러스터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제3-1 클러스터를 판단하고, 복수의 제2 클러스터 중 제3-1 클러스터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제2-1 클러스터를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서버(10)는 제2-1 클러스터가 제1-1 클러스터 및 제3-1 클러스터 모두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가 되도록 제2-1 클러스터를 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실시예예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링 과정은 보청기의 물리적 특징 및 전기음향적 특징을 구분하여 따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는 보청기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 복수의 제1 데이터로 하여 제1 클러스터를 획득하고, 보청기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청능훈련프로그램 및 보청기 착용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복수의 제2 데이터로 하여 제2 클러스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별개로, 서버(10)는 보청기의 전기음향적 특성에 대한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 복수의 제1 데이터로 하여 제1 클러스터를 획득하고, 보청기의 전기음향적 특성에 대한 청능훈련프로그램 및 보청기 착용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복수의 제2 데이터로 하여 제2 클러스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서로 독립된 특성을 가지는 물리적 특성과 전기음향적 특성에 대하여는 독립적으로 판단하여 제1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 및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프로세서(102)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9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획득하고,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신규 학습용 데이터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 라벨링된 정보가 소정의 제1 기준값 이상의 정확도로 획득되는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상기 신규 학습용 데이터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추출된 학습용 데이터가 삭제된 상기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된 모델을 다시 학습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02)는 프로세서(102)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4)에는 프로세서(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서버
20 : 전자 장치

Claims (1)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평가 모듈에 의해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적합모듈에 의해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후속조치모듈에 의해 상기 파라미터에 의해 보정된 보청기와 관련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200005751A 2020-01-16 2020-01-16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137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751A KR20200137950A (ko) 2020-01-16 2020-01-16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751A KR20200137950A (ko) 2020-01-16 2020-01-16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255A Division KR102069892B1 (ko) 2019-05-29 2019-05-29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950A true KR20200137950A (ko) 2020-12-09

Family

ID=7378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751A KR20200137950A (ko) 2020-01-16 2020-01-16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79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2441A1 (en) * 2022-08-25 2024-02-29 Cochlear Limited Targeted training for recipients of medical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269B1 (ko) 2012-12-21 2014-09-12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사용자 적응 방식을 위한 보청기의 피팅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269B1 (ko) 2012-12-21 2014-09-12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사용자 적응 방식을 위한 보청기의 피팅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2441A1 (en) * 2022-08-25 2024-02-29 Cochlear Limited Targeted training for recipients of medical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9213B2 (ja) 聴力プロファイル検査システム及び方法
EP2238899B1 (en) Efficient evaluation of hearing ability
Keidser et al. Self-fitting hearing aids: Status quo and future predictions
Jorgensen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hearing aids: Opportunity not an obstacle
CN109729485A (zh) 用于调整助听器装置的方法、设备及计算机程序
US9288593B2 (en) Visually-based fitting of hearing devices
US200500853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habilitating a medical condition across multiple dimensions
US10609493B2 (en) Method for adjusting hearing aid configuration based on pupillary information
WO2020212404A1 (en) Hearing test system
KR102069892B1 (ko)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93365B1 (ko) 시험착용데이터 기반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US20220369053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fitting hearing assistance devices
KR20200137950A (ko)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Hazan et al. Home-Based Audiometry With a Smartphone App: Reliable Results?
KR102093367B1 (ko)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93366B1 (ko) 귀 인상 정보를 바탕으로 관리되는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93364B1 (ko) 사용자 배경 정보를 바탕으로 구현되는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Jensen et al. Common configurations of real-ear aided response targets prescribed by NAL-NL2 for older adults with mild-to-moderate hearing loss
KR102093368B1 (ko) 한국어에 특화된 최적증폭을 위한 보청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93370B1 (ko) 압축역치레벨에 대한 최적증폭을 위한 보청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93369B1 (ko) 확장역치레벨에 대한 최적증폭을 위한 보청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US20170367663A1 (en) Method and device for effective audible alarm settings
KR102069893B1 (ko) 최적증폭을 위한 보청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137951A (ko) 최적증폭을 위한 보청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Pittman et al. Vocal biomarkers of mild-to-moderate hearing loss in children and adults: Voiceless sibi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