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654A -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654A
KR20200137654A KR1020190064372A KR20190064372A KR20200137654A KR 20200137654 A KR20200137654 A KR 20200137654A KR 1020190064372 A KR1020190064372 A KR 1020190064372A KR 20190064372 A KR20190064372 A KR 20190064372A KR 20200137654 A KR20200137654 A KR 20200137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havior information
consensus algorithm
verifying
validity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1803B1 (ko
Inventor
정희원
이성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06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803B1/ko
Priority to CN202080034890.1A priority patent/CN113811910A/zh
Priority to US17/615,237 priority patent/US20220239482A1/en
Priority to PCT/KR2020/006841 priority patent/WO2020242190A1/ko
Publication of KR2020013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노드의 특정 행위정보의 유효성 검증시, 그 이전 행위정보들을 기반으로 유효성을 검증하는 합의알고리즘이 적용됨으로써, 정형화된 합의알고리즘이 아닌, 가변적으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BEHAVIOR INFORMATION PROOF METHOD BY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비트코인 등과 같은 분산형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노드들간에 서로 주고받는 가상화폐의 거래를 지속적으로 기록하는 거래기록장부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거래기록장부의 기능을 하는 블록체인이 분산형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필요한 이유는 가상화폐가 실물의 물리적 화폐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 아니라 가상적으로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최초 생성된 100원의 가상화폐는 시간이 흐르면서 시스템 내에서 총합의 개념으로는 언제나 존재하지만, 그 형태는 1원씩 백번으로 나누어져 시스템내 100개의 노드에 각각 위치한 100개의 전자지갑에 존재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다른 가상화폐 200원과 결합하여 특정 노드의 지갑에서 300원 속에 포함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현재 거래하는 가상화폐가 정당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는 결국 그 가상화폐가 최초 생성될 때부터 현재까지 거래 내역을 역추적하여 최초 생성될 당시부터 현재까지 일관성 있게 정당성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
은행과 같은 중앙서버가 총괄적으로 가상화폐를 관리하는 경우에는 중앙서버에서 이러한 가상화폐 거래기록을 총괄적으로 기록하지만, 블록체인의 경우에는 분산형 노드들로 이루어진 분산형 시스템 내에서 노드들에 의해 기록되고 있으며, 이에 블록체인이 거래될 때마다 그 거래내용을 암호화하여 블록을 생성하고 새롭게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결합하여 거래장부를 업데이트 한다.
블록체인의 암호화의 강점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기록된 내용이 연쇄적으로 해쉬값으로 엮여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한 개의 특정 해쉬값이 아니라 거래시스템 내 전체 거래의 암호를 풀어내지 못하는 한 거래내용을 조작할 수 없다는 점과, 또한, 시시각각으로 다시 거래되는 내용이 블록으로 생성되어 블록체인에 결합되는 과정에 있고, 또한, 그 거래장부가 분산형으로 여러 노드에 존재하기 때문에 현대의 컴퓨터로는 수백년간의 시간이 걸려도 전체적으로 블록체인 암호를 해독하거나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거래 시스템을 해킹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화폐는 기존의 블록체인에 기재된 거래내역을 통해 정당성이 검증될 수 있고, 그 거래 내역을 현실적으로 조작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신뢰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에서는 시시각각으로 이루어지는 거래가 전체 노드에 전파되고, 암호화되어 블록으로 새롭게 거래기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새로운 블록은 다시 블록체인에 결합하는 작업이 끊임없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새롭게 이루어지는 거래내역들을 함께 묶어서 일정한 주기(예를 들면, 1분, 3분, 10분 등) 동안 한개의 새로운 블록으로 생성하고, 그 블록이 정당성을 가지면 기존의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과정을 소위 “작업증명(proof of work)”이라고 한다.
한편, 블록체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와 같은 정형화된 합의 방식 이외에, 각 행위들의 유효성을 가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합의알고리즘의 개발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27373호 (채굴 제한을 위한 합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블록윈도우 모듈 및 관리 서버 그리고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특정 노드의 특정 행위정보의 유효성 검증시, 그 이전 행위정보들을 기반으로 유효성을 검증하는 합의알고리즘이 적용됨으로써, 정형화된 합의알고리즘이 아닌, 가변적으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a) n개(n은 자연수)의 노드(N_n) 중 어느 하나인 노드(N_a, a는 n 이하의 자연수)의 k번째 행위정보(H_k)(k는 자연수)에 대해, 다른 노드들이 합의알고리즘(CA)에 의해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및 (b) 상기 k번째 행위정보(H_k)가 유효하다고 검증된 경우, 상기 k번째 행위정보(H_k)를 블록(B)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블록(B)을 블록체인(BC) 상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합의알고리즘(CA)은, k번째 행위정보(H_k)의 유효성 검증시, k-1번째 행위정보(H_k-1)까지의 총 행위정보들(
Figure pat00001
)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합의알고리즘(CA)은, 각 노드별로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합의알고리즘(CA)은, 상기 n개의 노드(N_n) 중 기설정된 조건에 의해 그룹화된 노드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합의알고리즘(CA)은, k번째 행위정보(H_k)의 유효성 검증시, k-1번째 행위정보(H_k-1) 이하의 행위정보 중 선택된 m번째 행위정보(H_m, m은 k-1 이하의 자연수)까지의 총 행위정보들(
Figure pat00002
)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노드의 특정 행위정보의 유효성 검증시, 그 이전 행위정보들을 기반으로 유효성을 검증하는 합의알고리즘이 적용됨으로써, 정형화된 합의알고리즘이 아닌, 가변적으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중, 합의알고리즘에 의한 블록 생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중, 각 노드별 일부 또는 전부가 상이한 합의알고리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중, 기설정된 조건에 의해 그룹화된 노드들에게 적용되는 합의알고리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중, 다른 합의알고리즘에 의한 블록 생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중, 합의알고리즘에 의한 블록 생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중, 각 노드별 일부 또는 전부가 상이한 합의알고리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중, 기설정된 조건에 의해 그룹화된 노드들에게 적용되는 합의알고리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중, 다른 합의알고리즘에 의한 블록 생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은, (a) n개(n은 자연수)의 노드(N_n) 중 어느 하나인 노드(N_a, a는 n 이하의 자연수)의 k번째 행위정보(H_k)(k는 2 이상의 자연수)에 대해, 다른 노드들이 합의알고리즘(CA)에 의해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및 (b) k번째 행위정보(H_k)가 유효하다고 검증된 경우, k번째 행위정보(H_k)를 블록(B)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B)을 블록체인(BC) 상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a) 단계는, n개(n은 자연수)의 노드(N_n) 중 어느 하나인 노드(N_a, a는 n 이하의 자연수)의 k번째 행위정보(H_k)(k는 2 이상의 자연수)에 대해, 다른 노드들이 합의알고리즘(CA)에 의해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n개의 노드(n은 자연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블록 생성 권한을 부여받은 다수로 정의된다.
합의알고리즘(CA)은, 노드(N_a, a는 n 이하의 자연수 중 하나)의 k번째 행위정보(H_k)(k는 2 이상의 자연수)에 대해,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른 노드들이 합의한 규약(백서, 룰(rule))으로 정의된다.
한편, 이러한 합의알고리즘(CA)은, 노드(N_a)의 k번째 행위정보(H_k)의 유효성 검증시, k-1 번째 행위정보(H_k-1)까지의 총 행위정보들(
Figure pat00003
)을 이용한다.
일예로, 노드(N_a)의 첫번째 행위정보(H_1)가 유효하지 않고, 두번째 행위정보(H_2) 역시 유효하지 않으나, 세번째 행위정보(H_3)가 유효하다고 판정된 경우, 합의알고리즘(CA)은, 네번째 행위정보(H_4)의 유효성 판단시, 첫번째 행위정보(H_1), 두번째 행위정보(H_2), 세번째 행위정보(H_3)를 이용하여(
Figure pat00004
), 세번째 행위정보(H_3)가 유효함을 근거로, 네번째 행위정보(H_4)의 유효성을 인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노드(N_a)의 첫번째 행위정보(H_1)가 유효하지 않고, 두번째 행위정보(H_2)가 유효하지 않으나, 세번째 행위정보(H_3)가 유효하다고 판정된 경우, 합의알고리즘(CA)은, 네번째 행위정보(H_4)의 유효성 판단시, 첫번째 행위정보(H_1)로부터 세번째 행위정보(H_3)까지 중(
Figure pat00005
), 유효한 세번째 행위정보(H_3)가 존재하므로, 네번째 행위정보(H_4)의 유효성을 인정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합의알고리즘(CA)은, 각 노드들이 어떻게 합의를 하느냐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특정 노드의 행위정보의 유효성이 가변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합의알고리즘(CA)은, 각 노드별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합의알고리즘(CA)은, 노드 1(N_1)의 각 행위정보, 노드 2(N_2)의 각 행위정보, 노드 3(N_3)의 각 행위정보 등, 각 노드별 행위정보들의 유효성을 검증할 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합의알고리즘(CA)은, 각 노드별로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1(N_1)의 k번째 행위정보(H_k)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합의알고리즘(CA_1), 노드 2(N_2)의 k번째 행위정보(H_k)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합의알고리즘(CA_2), 노드 n-1(N_n-1)의 k번째 행위정보(H_k)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합의알고리즘(CA_n-1) 그리고 노드 n(N_n)의 k번째 행위정보(H_k)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합의알고리즘(CA_n)은 각각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일예로, 노드 1(N_1)의 k번째 행위정보(H_k)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합의알고리즘(CA_1)으로부터 노드 n-1(N_n-1)의 각각 k번째 행위정보(H_k)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합의알고리즘(CA_n-1)까지는 동일하나, 노드 n(N_n)의 k번째 행위정보(H_k)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합의알고리즘(CA_n)은 다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합의알고리즘(CA)은, n개의 노드(N_n) 중 기설정된 조건에 의해 그룹화된 노드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노드 1(N_1)과 노드 2(N_2)는 동일한 합의알고리즘(CA_1)에 의해 각 행위정보(H_k)의 유효성이 검증되고, 노드 n-1(N_n-1)과 노드 n(N_n)은 동일한 합의알고리즘(CA_2)에 의해 각 행위정보(H_k)의 유효성이 검증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여기서 일예로, n개의 노드(N_n)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기설정된 조건에 의해 그룹화를 할 때, 그 그룹화의 유효성은, 다수결의 원칙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전체 노드들 중 2/3 이상의 노드들이 찬성하면 그룹화의 유효성이 인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기설정된 조건'의 경우, 일예로, 동일 또는 유사한 성격의 행위정보(H_k)를 갖는지에 따른 조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합의알고리즘(CA)은, k번째 행위정보(H_k)의 유효성 검증시, k-1번째 행위정보(H_k-1) 이하의 행위정보 중 선택된 m번째 행위정보(H_m, m은 k-1 이하의 자연수)까지의 총 행위정보들(
Figure pat00006
)을 이용한다.
일예로, 노드(N_a)의 첫번째 행위정보(H_1)가 유효하지 않고, 두번째 행위정보(H_2) 역시 유효하지 않으며, 세번째 행위정보(H_3) 내지 5번째 행위정보(H_5)가 유효하고, 6번째 행위정보(H_6)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합의알고리즘(CA)은, 7번째 행위정보(H_7)의 유효성 검증시, 6번째 행위정보(H_6) 이하의 행위정보들(H_1~H_6) 중 선택된 3번째 행위정보(H_3)까지의 총 행위정보들(
Figure pat00007
)을 이용하여, 세번째 행위정보(H_3)가 유효함을 근거로, 7번째 행위정보(H_7)의 유효성을 인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b) 단계는, k번째 행위정보(H_k)가 유효하다고 검증된 경우, k번째 행위정보(H_k)를 블록(B)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B)을 블록체인(BC) 상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블록체인(BC)은 모든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수많은 컴퓨터에 이를 동시에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며, ‘블록(block)’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chain)’ 형태로 연결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물론, k번째 행위정보(H_k)가 유효하지 않다고 검증된 경우, k번째 행위정보(H_k)는 블록(B)으로 생성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노드의 특정 행위정보의 유효성 검증시, 그 이전 행위정보들을 기반으로 유효성을 검증하는 합의알고리즘이 적용됨으로써, 정형화된 합의알고리즘이 아닌, 가변적으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A : 합의알고리즘
BC : 블록체인
B : 블록

Claims (5)

  1. (a) n개(n은 자연수)의 노드(N_n) 중 어느 하나인 노드(N_a, a는 n 이하의 자연수)의 k번째 행위정보(H_k)(k는 2 이상의 자연수)에 대해, 다른 노드들이 합의알고리즘(CA)에 의해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및
    (b) 상기 k번째 행위정보(H_k)가 유효하다고 검증된 경우, 상기 k번째 행위정보(H_k)를 블록(B)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블록(B)을 블록체인(BC) 상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합의알고리즘(CA)은,
    k번째 행위정보(H_k)의 유효성 검증시, k-1번째 행위정보(H_k-1)까지의 총 행위정보들(
    Figure pat00008
    )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합의알고리즘(CA)은,
    각 노드별로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합의알고리즘(CA)은,
    상기 n개의 노드(N_n) 중 기설정된 조건에 의해 그룹화된 노드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합의알고리즘(CA)은,
    k번째 행위정보(H_k)의 유효성 검증시, k-1번째 행위정보(H_k-1) 이하의 행위정보 중 선택된 m번째 행위정보(H_m, m은 k-1 이하의 자연수)까지의 총 행위정보들(
    Figure pat00009
    )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KR1020190064372A 2019-05-31 2019-05-31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KR102191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372A KR102191803B1 (ko) 2019-05-31 2019-05-31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CN202080034890.1A CN113811910A (zh) 2019-05-31 2020-05-27 基于区块链的行为信息证明方法
US17/615,237 US20220239482A1 (en) 2019-05-31 2020-05-27 Method for verifying activity information by means of blockchain
PCT/KR2020/006841 WO2020242190A1 (ko) 2019-05-31 2020-05-27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372A KR102191803B1 (ko) 2019-05-31 2019-05-31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654A true KR20200137654A (ko) 2020-12-09
KR102191803B1 KR102191803B1 (ko) 2020-12-16

Family

ID=7355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372A KR102191803B1 (ko) 2019-05-31 2019-05-31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39482A1 (ko)
KR (1) KR102191803B1 (ko)
CN (1) CN113811910A (ko)
WO (1) WO202024219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373B1 (ko) 2017-08-29 2018-02-08 주식회사 더블체인 채굴 제한을 위한 합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블록윈도우 모듈 및 관리 서버 그리고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3140A (ko) * 2017-04-05 2018-10-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113145A (ko) * 2017-04-05 2018-10-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실시간 거래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6467540B1 (ja) * 2018-03-10 2019-02-13 株式会社bitFlyer 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トランザクションを検証するための方法及び当該ネットワークを構成するためのノード
KR101979586B1 (ko) * 2018-12-19 2019-05-17 주식회사 마크애니 블록 체인 기반으로 관리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그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5920B1 (en) * 2014-05-21 2016-08-02 Amazon Technologies, Inc. Data integrity verification
KR101784219B1 (ko) * 2016-06-15 2017-10-12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기관 제증명서류 위변조 검증시스템 및 방법
KR101796690B1 (ko) * 2016-06-28 2017-11-10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펌웨어 무결성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357405A (zh) * 2016-09-19 2017-01-25 弗洛格(武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一致性算法的数据管理方法及系统
CN108665359B (zh) * 2017-03-29 2020-08-18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区块链处理方法、记账节点及验证节点
CN109214818B (zh) * 2017-06-30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跨链交易方法及装置
US11334678B2 (en) * 2017-07-06 2022-05-17 Chromaway Ab Method and system for a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US20190012595A1 (en) * 2017-07-07 2019-01-10 Pointr Data, Inc. Neural network consensus using blockchain
US10949511B2 (en) * 2017-11-30 2021-03-1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Multicomputer processing for data authentication using a blockchain approach
CN107819792A (zh) * 2017-12-13 2018-03-20 清华大学 一种区块链网络和行为有效性验证方法及系统
CN108122165B (zh) * 2017-12-15 2020-10-30 北京中电普华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区块链共识方法及系统
JP2019145925A (ja) * 2018-02-16 2019-08-29 株式会社bitFlyer 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トランザクションを検証するための方法及び当該ネットワークを構成するためのノード
CN108390891A (zh) * 2018-03-28 2018-08-10 电子科技大学天府协同创新中心 基于私有区块链的信息保护方法
CN108711052B (zh) * 2018-05-18 2021-04-30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信息验证系统
CN108846673B (zh) * 2018-07-02 2022-10-11 苏州我的打工人力资源有限公司 一种区块数据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1929482B1 (ko) * 2018-08-13 2019-03-12 (주)아사달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KR101975822B1 (ko) * 2018-10-26 2019-05-08 (주)리그시스템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경량화된 고성능 블록체인 기반 합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140A (ko) * 2017-04-05 2018-10-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113145A (ko) * 2017-04-05 2018-10-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실시간 거래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27373B1 (ko) 2017-08-29 2018-02-08 주식회사 더블체인 채굴 제한을 위한 합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블록윈도우 모듈 및 관리 서버 그리고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6467540B1 (ja) * 2018-03-10 2019-02-13 株式会社bitFlyer 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トランザクションを検証するための方法及び当該ネットワークを構成するためのノード
KR101979586B1 (ko) * 2018-12-19 2019-05-17 주식회사 마크애니 블록 체인 기반으로 관리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그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11910A (zh) 2021-12-17
KR102191803B1 (ko) 2020-12-16
US20220239482A1 (en) 2022-07-28
WO2020242190A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1011B2 (ja) セキュアな投票及び配布に利用されるブロックチェーンが実装された計数システム及び方法
Bhutta et al. A survey on blockchain technology: Evolution, architecture and security
US10846416B2 (en) Method for managing document on basis of blockchain by using UTXO-based protocol, and document management server using same
KR102315473B1 (ko) 병렬-처리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170092B1 (en) Document authentication certification with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iques
Burkhardt et al. Distributed ledger
EP3449452B1 (en) Implementing logic gate functionality using a blockchain
US20190149337A1 (en) Implementing logic gate functionality using a blockchain
Androulaki et al. Endorsement in hyperledger fabric
JP2020511017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ベースのデジタル証明書を実装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537774B1 (ko) 기밀 지식의 특화된 증명을 제공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2020511018A (ja) デジタル・マーク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172514B1 (ko) 블록체인 기반 테스트 데이터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 노드 장치
Graf et al. A security framework for distributed ledgers
Ahmed et al. Understanding blockchain: platforms, applications and implementation challenges
Zhang et al. Deconstructing Blockchains: Concepts, Systems, and Insights.
Ngamsuriyaroj et al. Package delivery system based on Blockchain infrastructure
WO2018105038A1 (ja) 通信装置及び分散型元帳システム
Junis et al. A revisit on blockchain-based smart contract technology
KR102191803B1 (ko)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Haffke Technical analysis of established blockchain systems
US20230179424A1 (en) Compressible blockchains
KR102494873B1 (ko) 일반 연산 검증용 영지식 증명 서킷 기반 가상머신을 구현하기 위한 거래 수행장치
Kiran et al. Blockchain technology-a sturdy protective shield
Stampernas Blockchain technologies and smart contracts in the context of the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