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493A -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493A
KR20200137493A KR1020190063952A KR20190063952A KR20200137493A KR 20200137493 A KR20200137493 A KR 20200137493A KR 1020190063952 A KR1020190063952 A KR 1020190063952A KR 20190063952 A KR20190063952 A KR 20190063952A KR 20200137493 A KR20200137493 A KR 2020013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ethyl
skin elasticity
methylethyl
p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3917B1 (ko
Inventor
정지용
박녹현
최현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06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91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적정 함량 범위로 포함하며, 세포외기질의 분비량을 증가시켜 피부 탄력을 강화함으로써 항노화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REINFORCING SKIN ELASTICITY}
본 발명은 피부 탄력 강화를 통해 항노화 효능을 나타내는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삶의 질 향상과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에 대한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미용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미용 기능성 화장품이 개발되었으며, 특히 피부 주름형성 예방, 완화와 개선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 화장품의 성분이 피부진피에 도달하여 영양분을 공급하는데 한계가 있고, 식품으로 섭취하여 피부에 영양분 또는 기능성분을 공급하여 피부미용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인식의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이너뷰티 식품소재들을 발굴하는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피부는 크게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hypodermis)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 특히 표피의 가장 외층인 각질층은 피부 장벽의 역할을 함으로써 피부로부터 수분과 전해질이 손실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진피층은 콜라겐과 엘라스틴 합성을 통하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고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조직의 결합력 및 탄력성 등에 관여한다(Moskowit, R. W. et al, Role of collagen hydroiysate in bone and joint disease, Semin Arthritis Rheu, 30: 87, 2000). 콜라겐은 형태와 구조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이소폼(isoform)을 구성하며, 사람의 조직에는 총 28가지 콜라겐 이소타입(isotype)이 존재하는데, 이중 피부조직에 존재하는 콜라겐은 타입 1, 3. 4. 6. 7. 13, 14, 17 등이 알려져 있다. 콜라겐 타입 1과 3은 진피층의 세포간질 구성성분을 이루고, 콜라겐 타입 7은 표피와 진피를 연결부위(dermal and epidermal junction)의 주요 구성물질이 된다.
피부결합조직에는 세포외기질 단백질 중 타입 I 콜라겐이 가장 많은 양으로 존재하며, 그 밖에 엘라스틴, 피브로넥틴(fibronectin), 인테그린(integrin), 피브릴린(fibrillin), 프로테오글리칸 등의 단백질들이 존재한다. 새로이 합성된 프로콜라겐은 효소반응을 거쳐 피부세포의 세포외 공간으로 분비된 후 삼중나선구조(triple helix configuration)의 마이크로피브릴(microfibril)을 형성하고, 마이크로피브릴들은 류신-리치 스몰 프로테오글리칸(leucine-rich small proteoglycans)과 결합하여 피브릴(fibril)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만들어진 피브릴들이 모여 피부의 결합력과 탄력성을 제공하는 콜라겐 섬유를 형성하게 된다(Bateman, J.F. et al., Collagen superfamily. Extracellular matrix, Harwood, New York, 2, 22-26, 1996).
이와 같이, 피부의 결합력과 탄력을 증진시켜 항노화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세포외기질 단백질의 양이 중요하여, 세포외기질 단백질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능성 물질에 개발이 시급하다.
한국등록특허 제457949호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종래 미백 기능성 물질로만 인식되었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이용하여 피부 탄력 강화를 통해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1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이고, 상기 X는 CO 또는 CH2=CH2CO 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미백 기능성 물질로만 인식되었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적정량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분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은 세포외 기질 중에서도 1형 프로콜라겐(type 1 procollagen)과 피브로넥틴(fibronectin)의 분비량을 증가시켜, 피부 탄력을 강화시킴으로써 항노화에 효과적이다.
도 1 은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로 처리된 섬유아세포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에 의한 1형 프로콜라겐 분비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에 의한 피브로넥틴 분비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에 의한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분비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에 의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는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는 생물의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얼굴 또는 몸 전체의 외부를 덮는 조직 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멜라솔브(melasolve)라는 상표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2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이고, 상기 X는 CO 또는 CH2=CH2CO 이다.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은 미백 기능을 나타내는 물질로만 인식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이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분비량을 증가시키는 특성을 이용하여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포외기질 중에서도 1형 프로콜라겐(type 1 procollagen)과 피브로넥틴(fibronectin)의 분비량이 증가되어, 피부 탄력 강화를 통한 항노화에 효과적이다.
상기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멜라솔브(melasolve)라는 상표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세포외기질의 발현량 증가 정도가 미미하고, 3 중량% 초과이면 조성물의 안정성과 제형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은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분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과 피부 탄력 강화 기능과의 관계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연구를 통하여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이 세포외 기질, 특히, 세포외 기질 중에서도 1형 프로콜라겐과 피브로넥틴의 분비량을 증가시켜, 피부 탄력 강화를 통한 항노화에 효과적임을 밝혀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은 피부로 적용될 경우, 1형 프로콜라겐 및 피브로넥틴과 같은 세로외 기질의 분비량을 증가시켜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키고, 윤기를 나타내게 하여 노화를 방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피부 탄력 강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체적으로는 피부 탄력 강화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계면 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制汗)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탄력 저하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건조 피부 등의 예방 또는 치료용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연, 경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피부 탄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탄력의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부 탄력 저하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질환으로는 피부건조증(xeroderma), 건선(psoriasis), 어린선(ichthyosis),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01 mg/kg/일 내지 2000 mg/kg/일, 구체적으로는 0.5 mg/kg/일 내지 1500 mg/kg/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1형 프로콜라겐 , 피브로넥틴 MMP -1 분석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에 의한 세포외 기질 분비량 증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인간 피부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를 6공에 1공 당 5X105개씩 파종하여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를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각각 무혈청 배지에 녹여서 각각 0, 1, 5 및 10 ppm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 배양한 후, 섬유아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하기 실험에서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의 함량 대비 100배 희석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즉, 하기 처리군(1 ppm, 5 ppm, 10 ppm)은 상기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내에서 상기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이 각각 0.01 중량%, 0.05 중량% 및 0.1 중량%로 포함된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로 처리된 섬유아세포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처리군 (O ppm)에 비해 처리군(1 ppm, 10 ppm)의 세포 조직이 더 조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된 배양액의 상층액을 떠내어 western blotting assay로 프로콜라겐, 피브로넥틴 및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증감 여부를 보았다. 세포독성을 고려한 농도에서 시험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도 2,3,4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에 의한 1형 프로콜라겐 분비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상기 1형 프로콜라겐 분비량은 미처리군(0 ppm)일 때의 분비량을 1로 하였을 때, 상대적인 분비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의 경우 미처리군(0 ppm)에 비해 1형 프로콜라겐의 세포외 분비량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3은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에 의한 피브로넥틴 분비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의 경우 미처리군(0 ppm)에 비해 피브로넥틴의 세포외 분비량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 5, 10 ppm 처리군 중에서도 5,10 ppm 처리군에서 미처리군(0 ppm) 대비 피브로넥틴 분비량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는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에 의한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분비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의 경우 미처리군(0 ppm)에 비해 MMP-1 분비량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처리군(0 ppm) 대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세포독성 실험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인간 피부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를 6공에 1공 당 5X105개씩 파종하여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를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각각 무혈청 배지에 녹여서 각각 0, 1, 5 및 10 ppm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 배양한 후, 섬유아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이들의 상층액을 떠내어 CCK8(Cell Counting Kit8, Dojindo, CK04-11)를 이용하여 세포수의 증감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에 의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는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의 처리유무 및 처리량에 따른 세포수의 차이가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세포 독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영양 화장수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글리세린 3
부틸렌글리콜 3
프로필렌글리콜 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 1
밀납 4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5
스쿠알란 5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세테아릴 알코올 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2. 영양 로션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3
부틸렌글리콜 3
유동파라핀 5
베타글루칸 7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 1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
스쿠알란 5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5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100
제형예 3. 영양 크림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글리세린 3.5
유동파라핀 3
베타글루칸 7
카보머 7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 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
스쿠알란 3
세타아릴 글루코사이드 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5
폴리솔베이트 60 0.4
트리에탄올아민 1.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4. 국소 투여용 약제( 패취제 )의 제조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국소 투여용 약제(패취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 1
베타-1,3-글루칸 3
디에틸아민 0.7
아황산나트륨 0.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E.O=9) 1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Cetomacrogol 1000) 1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Cetiol LC) 2.5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3
폴리아크릴산(Carbopol 934P) 1
정제수 잔량
100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5-methyl-2-(methylethyl)phenyl (2E)-3-(3,4,5-trimethoxyphenyl)prop-2-enoate)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pat00003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이고, 상기 X는 CO 또는 CH2=CH2CO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3 중량%인,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외기질의 분비량을 증가시키는 것인,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기질은 1형 프로콜라겐(type 1 procollagen) 및 피브로넥틴(fibronectin)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KR1020190063952A 2019-05-30 2019-05-30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KR102633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52A KR102633917B1 (ko) 2019-05-30 2019-05-30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52A KR102633917B1 (ko) 2019-05-30 2019-05-30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493A true KR20200137493A (ko) 2020-12-09
KR102633917B1 KR102633917B1 (ko) 2024-02-06

Family

ID=7378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952A KR102633917B1 (ko) 2019-05-30 2019-05-30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9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949B1 (ko) 2001-09-24 2004-11-18 주식회사 태평양 3,4,5-트리메톡시 페닐아세트산, 3,4,5-트리메톡시 신남산또는 3,4,5-트리메톡시 히드로 신남산의 에스테르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조성물
KR20130083791A (ko) * 2012-01-13 2013-07-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949B1 (ko) 2001-09-24 2004-11-18 주식회사 태평양 3,4,5-트리메톡시 페닐아세트산, 3,4,5-트리메톡시 신남산또는 3,4,5-트리메톡시 히드로 신남산의 에스테르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조성물
KR20130083791A (ko) * 2012-01-13 2013-07-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30083782A (ko) * 2012-01-13 2013-07-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30083779A (ko) * 2012-01-13 2013-07-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30083768A (ko) * 2012-01-13 2013-07-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917B1 (ko)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4016236A1 (ja) 化粧料
US11806384B2 (en) Stem cell stimulating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melasma
KR101663946B1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122455A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JP5787246B2 (ja) 角化細胞遊走・増殖促進剤を含む、創傷治癒剤および褥瘡(床ずれ)治療薬
JP5329830B2 (ja) Scf分泌抑制剤、及び皮脂分泌抑制剤
EP1868632B1 (fr) Composition dermatologique et /ou cosmétique contenant des proteines de la famille des sirt
EP2238981B1 (en) Composition comprising mucilaginous polysaccharides derived from aloe barbadensis combined with liposomes, method for obtaining same and use thereof as a sun protector, an anti-acne agent, an epidermal regenerator and a moisturiser
US20240091171A1 (en) Dermatolog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JP2004131401A (ja) 皮膚化粧料
KR102633917B1 (ko)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JP2018145106A (ja) 皮膚外用組成物
US10406086B2 (en) Moisturizer and cosmetic including the same
WO2006103352A1 (fr) Utilisation de composes inducteurs de la synthese des proteines sirt dans ou pour la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KR20190067701A (ko) 갈근초 및 아데노신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4289434A1 (en) Barrier function improver
KR102419399B1 (ko) 시카케어 크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0895A (ko) 라폰티신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탄력 개선용 조성물
WO2021235275A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20100033729A (ko)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3174219A (ja) ジクロロ酢酸ジイソプロピルアミンを含有する組成物
KR20210066737A (ko) 레티놀과 피루브산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40019216A (ko) 개선된 세포 투과성 핵 수송 억제제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29504B1 (ko) 사이토카인 조합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