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612A - Electric precipitator apparatus for platform of station - Google Patents

Electric precipitator apparatus for platform of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612A
KR20200135612A KR1020190060286A KR20190060286A KR20200135612A KR 20200135612 A KR20200135612 A KR 20200135612A KR 1020190060286 A KR1020190060286 A KR 1020190060286A KR 20190060286 A KR20190060286 A KR 20190060286A KR 20200135612 A KR20200135612 A KR 20200135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washing water
adsorption belt
plat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2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9793B1 (en
Inventor
문상철
이진운
이상린
황재동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793B1/en
Priority to CN202010289741.1A priority patent/CN111905927B/en
Priority to US16/855,978 priority patent/US11524305B2/en
Publication of KR2020013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6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7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03C3/361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static mechanical means, e.g. defl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8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2Cleaning travelling work, e.g. a web, articles on a conveyor
    • B08B1/165
    • B08B1/2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device installed between platforms of subways and the like to efficiently remove fine dus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device installed between platforms to collect dust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a plurality of guide vanes separately installed o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 dust collecting modul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including dust by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to which voltage is applied and a dust collecting electrode which is grounded and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a washing water supply unit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dust collecting module.

Description

승강장 집진 장치{ELECTRIC PRECIPITATOR APPARATUS FOR PLATFORM OF STATION}Platform dust collector {ELECTRIC PRECIPITATOR APPARATUS FOR PLATFORM OF STATION}

본 발명은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 전철 등의 승강장 사이에 설치되는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du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device installed between platforms such as subways and trains.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 등과 같은 입자상 오염물을 제거하는 장치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며, 그 중의 하나인 전기집진기는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다량의 전자(이온)를 생성하고, 이때 생성된 전자(이온)는 주위의 공기 분자를 이온화 시킨다. 전기 집진기에서 이온화된 공기 분자는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 물질(미세먼지 등)과 결합하여 입자상 물질은 하전(전기적인 극성을 가짐)되고, 하전된 입자상 물질은 정전기력에 의하여 집진극에 포집된다.Devices for removing particulate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and one of them, the electric precipitator, generates a large amount of electrons (ions) by generating corona discharge, and the generated electrons (ions) Ionizes the air molecules around it. Air molecules ionize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re combined with particulate matter (fine dust, etc.) contained in the air, and the particulate matter is charged (having electrical polarity), and the charged particulate matter is trapped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by electrostatic force.

전기 집진기는 일정 간격으로 집진극이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배치되고, 집진극과 집진극 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극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방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에 코로나 방전 현상이 발생하는 구조이며 통상적으로 집진극과 방전극 모두 전기적인 도체 재질을 사용한다.The electric dust collec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dust collecting electrode is electrically ground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discharge electrode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is installed betwee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a corona discharge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generally, an electrical conductor material is used for both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the discharge electrode.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에 코르나 방전이 형성되므로 방전극과 집진극에 많은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의 간격이 커지면 집진 효율이 저하되고, 코로나 방전을 위해서 큰 전압이 인가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면 집진 효율이 향상되지만, 방전극과 집진극을 견고하고 지지하지 못하면 방전극과 집진극이 단락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Since a corna discharge is formed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vibration occurs i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increases,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decreases, and a problem arises that a large voltage must be applied for corona discharg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is reduced,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but if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re not firmly suppor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may be shorted.

최근 지하철은 버스와 더불어 주요 교통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지하철은 안전성과 시간의 정확성 및 경제적인 면에서 다른 교통수단보다 가장 우수하기 때문에 국민들의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Recently, the subway is used as a major means of transportation along with buses, and since the subway is superior to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in terms of safety, accuracy of time, and economy, i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daily life of the people.

하지만 이용 승객의 급증 및 대기오염의 심화 등은 미세먼지, 이산화탄소(CO₂), 아황산가스(SO2), 일산화탄소(CO) 등의 오염물질을 증가시켜 터널 내부의 공기질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rapid increase of passengers and the intensification of air pollution are increasing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carbon dioxide (CO2), sulfur dioxide (SO2), and carbon monoxide (CO), resulting in a sharp decline in air quality inside the tunnel.

지하철 터널 내부의 공기 중의 오염물질 중에서 특히 심각한 것은 지하철 터널 내부에 존재하는 고농도의 미세먼지이다. 국내의 지하철 터널 내부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는 열차가 운행하는 시간에는 약 300-400㎍/㎥ 정도의 고농도 상태이며, 이러한 터널 내부의 고농도 미세먼지는 승강장으로 유입될 수 있다.Among the pollutants in the air inside the subway tunnel, a particularly serious one is the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that exists inside the subway tunnel.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nside the subway tunnel in Korea is in a high concentration of about 300-400㎍/㎥ during the time the train is running, and the high concentration fine dust inside the tunnel can flow into the platform.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7998호(2014.04.22)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87998 (2014.04.22)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지하철 등의 승강장 사이에 설치되어 미세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Based on the technical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between platforms such as subways and can efficiently remove fine dus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승강장 사이에 설치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 장치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베인,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접지되는 집진극을 포함하여 먼지를 포함하는 집진 모듈, 및 상기 집진 모듈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공급부를 포함한다. A dust collecting device installed between platform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llect dust, is installed in a housing having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and i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respectively, to prevent inflow and discharge of air. A plurality of guide vanes for guiding, a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to which voltage is applied, and a dust collecting module including dust including a dust collecting electrode grounded, and washing water sprayed to the dust collecting module And a washing water supply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이웃하는 2개의 레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열차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공기를 유입하고 배출할 수 있다.The housing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between two adjacent rails, and air may be introduced and discharged using wind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trai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집진 장치는 상기 가이드 베인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베인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개구가 설치된 방향으로 열차가 진입할 때에는 상기 제1 개구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 베인의 외측 단부가 상기 열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을 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개구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 베인의 외측 단부는 전방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guide vane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guide vane,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first opening when the train enter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pening is installed. The outer end of the guide vane installed in the train may be controlled to face rearward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in, and the outer end of the guide vane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may be controlled to face the front si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집진 장치는 상기 집진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 모듈에서 낙하하는 세정수를 수용하는 세정수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 처리부는, 상기 세정수를 수용하는 수조와,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 흡착 벨트와, 상기 흡착 벨트와 연결되어 상기 흡착 벨트를 이동시키는 롤러와, 상기 흡착 벨트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서 상기 흡착 벨트에서 이탈시키는 스크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ng module to receive washing water falling from the dust collecting module, and 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includes a water tank receiving the washing water And, an adsorption belt connected in a caterpillar shape, a roller connected to the adsorption belt to move the adsorption belt, and a scraper for scraping off dust attached to the adsorption belt and leaving the adsorption bel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흡착 벨트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dsorption bel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mesh shap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흡착 벨트의 일부는 상기 세정수에 잠기고 상기 흡착 벨트의 다른 부분은 상기 세정수보다 더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A part of the adsorption bel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and another part of the adsorption belt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shing wat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스크래퍼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봉과 상기 회전 봉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되 회전 봉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패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scrap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tating rod rotatably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paddles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수조의 바닥에서 세워져 설치된 지지 막대와 지지 막대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crap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rod erect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and a tip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support rod and having elasticit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세정수 처리부는 2개의 지지 롤러와 상기 지지 롤러들 사이에 배치되되 흡착 벨트의 하단이 상부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1 방향 전환 롤러와 흡착 벨트의 하단이 하부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2 방향 전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에는 상기 스크래퍼가 위치하는 공간과 나머지 공간을 분리하는 차단벽이 설치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two support rollers and the support rollers, the first direction change rolle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adsorption belt to move upward and the lower end of the adsorption belt moves downward. And a second direction change roller that supports so as to be supported, and a barrier wall separating the space in which the scraper is located from the remaining space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tank.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1 방향 전환 롤러는 상기 흡착 벨트가 상기 차단벽의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2 방향 전환 롤러는 상기 흡착 벨트가 상기 차단벽의 상단보다 더 하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conversion roll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adsorption belt to be position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barrier wall, and the second direction conversion roller supports the adsorption belt to be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barrier wall. It can be supported to be located 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제2 방향 전환 롤러와 상기 지지 롤러 사이에서 흡착 벨트와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scrap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direction conversion roller and the support roller so as to contact the adsorption bel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스크래퍼의 하부에는 분리 용기가 설치되고, 상기 분리 용기는 상기 차단벽에 의하여 분리된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A separation container may be installed under the scrap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paration container may be located in a space separated by the barrier wal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흡착 벨트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래퍼의 하부에는 상기 흡착 벨트에서 이탈된 먼지를 수용하는 분리 용기가 설치될 수 있다.The adsorption bel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scraper is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and a separation container for receiv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belt is installed below the scraper. I ca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방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방전극들을 지지하는 제1 세팅 빔과, 상기 방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세팅 빔을 통해서 상기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하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dust collecting modu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ower slots into which the discharge electrodes are inserted are formed to support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the first setting beam is formed to be connected in a stack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electrodes to provide the first setting beam. A lower frame that supports and applies a voltage to the discharge electrode through the first setting beam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집진 모듈은 하부 절연 애자와 상기 하부 절연 애자를 관통하는 단자봉을 갖는 절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절연 연결부재에 매달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modu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connection member having a lower insulating insulator and a terminal rod penetrating the lower insulating insulator, and the lower frame may be installed to be suspended from the insulating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집진 모듈은 복수의 상기 절연 연결부재를 삽입하는 관형 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절연 애자는 상기 관형 거더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modu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ubular girder for inserting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nnecting members, and the lower insulating insulator may be mounted inside the tubular gird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1 세팅 빔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로 이어진 하부 측벽, 상기 하부 측벽에서 측방향으로 이어진 중간 지지부, 상기 중간 지지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중간 지지부와 마주하되 상기 중간 지지부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절곡판, 상기 절곡판에서 상부로 이어진 상부 측벽, 및 상기 상부 측벽에서 방전극을 향하여 절곡되되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상단 지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파이프와 상기 하부 파이프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 프레임과, 상기 돌출 프레임의 측부 및 상부로 돌출된 거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 프레임은 상기 바닥판과 상기 중간 지지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setting bea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late and a lower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upward, an intermediate support part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lower side wall, and bent at the intermediate support part to face the intermediate support part. A bent plate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an upper sidewall extending upward from the bent plate, and an upper support jaw bent from the upper sidewall toward the discharge electrode and having a plurality of slots, and the lower frame has a tubular shape. And a lower pipe made of a lower pipe, a plurality of protruding frames protruding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lower pipe, and a mounting frame protruding from a side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frame, wherein the mounting frame is insert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part I ca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집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극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2개의 제2 세팅 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극에는 상기 집진극의 측단으로 돌출된 보강 막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세팅 빔은 하판, 상기 하판에서 절곡되어 상부로 이어진 제1 측판, 상기 제1 측판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판과 마주하게 배치된 상판, 상기 상판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측판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2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판의 하부에 배치된 바닥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막대는 상기 바닥 지지부에 거치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modu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wo second setting beams in which a plurality of slots into which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are inserted are formed to maintain an interval betwee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includes A reinforcing rod protruding to the side is installed, and the second setting beam is a lower plate, a first side plate bent from the lower plate and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an upper plate bent at the first side plate and disposed to face the lower plate, and bent at the upper plate And a second side plate disposed to face the first side plate, and a floor support portion bent at the second side plate and disposed under the lower plate, and the reinforcing rod may be mounted on the floor support por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집진 모듈에 가압력을 적용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prestress locking memb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modu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tress locking member fixed inside th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modu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방전극에 고정되되 상기 집진극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1 타이 로드와 상기 집진극에 고정되되 상기 방전극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2 타이 로드, 상기 제1 타이 로드들 중 일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집진극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된 절연 애자와 상기 절연 애자에 결합 설치되며 하부로 돌출된 가압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막대는 상기 집진극 지지대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modu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ie rod fix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and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 second tie rod fixed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installed to penetrate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first tie. And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 supports to which some of the rods are fixed, and the prestress locking member includes a casing, an insulating insulator installed in the casing, and a pressure rod coupled to the insulating insulator and protruding downward, and the pressure rod May be installed to press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support inwar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장 사이에 가이드 베인을 갖는 집진 장치가 설치되어 열차의 진행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배출될 수 있으며, 승강장 사이에서 먼지를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 guide vane is installed between platforms,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and discharged as the train progresses, and dust can be efficiently collected between platfor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집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잘라 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집진 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집진 장치가 레일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처리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전극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이 결합된 상태에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팅 빔과 집진극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연결부재, 관형 거더, 및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연결부재와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세정수를 처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처리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처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tform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nding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tform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rails.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discharge electr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electr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electrode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first setting beam and a discharge electr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tting beam and the discharge electrode are combined.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second setting beam and a dust collecting electr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ulating connecting member, a tubular girder, and a lower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ulating connecting member and a lower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stress 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view showing a prestress lock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installed under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and to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since various transformations can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can be provid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comprise' or'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집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잘라 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집진 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집진 장치가 레일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nding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1, and FIG.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latform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tform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rail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를 따른 집진 장치(1000)는 지하철 등의 역사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또는 연소 가스 등에서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집진 장치(1000)은 지하철의 승강장(17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이웃하는 2개의 레일(17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집진 장치(1000)가 레일(1720) 사이에 설치되면 열차(1730)가 이동할 때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공기를 유입하고 배출할 수 있다. 하나의 지하철 역에는 복수의 집진 장치(10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집진 장치(1000)는 기둥(10)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 device installed in a station such as a subway station to remove dust from air or combustion gases.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latform 1710 of the subway, and in particular, may be installed between two adjacent rails 1720.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0 is installed between the rails 1720, air may be introduced and discharged using wind generated when the train 1730 move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devices 1000 may be installed in one subway station,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s 10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pillar 10 interposed therebetween.

집진 장치(1000)는 하우징(1200), 집진 모듈(100), 세정수 공급부(1300), 세정수 처리부(1400), 퍼지 공기 공급부(1600), 제어부(1800), 및 가이드 베인(1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0 includes a housing 1200, a dust collecting module 100, a washing water supply unit 1300, a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1400, a purge air supply unit 1600, a control unit 1800, and a guide vane 1230. Can include.

하우징(1200)은 내부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상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은 타원기둥 또는 원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200)의 마주하는 양쪽 측면에는 제1 개구(1210)와 제2 개구(1220)가 형성되며, 제1 개구(1210)와 제2 개구(1220)는 하우징(1200)에서 레일(1720)을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200)의 상부 또는 측면에는 광고판이 설치될 수 있다.The housing 1200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having an inner sp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ousing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 oval cylinder or a cylinder. A first opening 1210 and a second opening 12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200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opening 1210 and the second opening 1220 are provided with a rail 1720 in the housing 1200. It can be formed on the side facing toward. Meanwhile, an advertisement board may be installed on the top or side of the housing 1200.

가이드 베인(1230)은 제1 개구(1210)와 제2 개구(1220)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안내하는데, 하우징(1200)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판으로 이루어진다. 제1 개구(1210)와 제2 개구(1220)에는 복수의 가이드 베인(1230)이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열된다. 가이드 베인(1230)은 하우징(1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 베인(1230)에는 가이드 베인(1230)을 회전시키는 모터 또는 엑츄에이터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베인(1230)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The guide vanes 1230 are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1210 and the second opening 1220, respectively, to guide the inflow and discharge of air, and are formed of plate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200. A plurality of guide vanes 12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e first opening 1210 and the second opening 1220. The guide vane 123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housing 1200, and a motor or an actuator for rotating the guide vane 1230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vane 12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uide vane 1230 may be fixed so as not to rotate.

가이드 베인(1230)에는 가이드 베인(12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180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는데, 제어부(1800)는 열차(1730)의 진입에 따라 가이드 베인(12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구(1210)가 설치된 방향으로 열차(1730)가 진입할 때에는 제어부(1800)는 제1 개구(1210)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1230)의 외측 단부가 열차(173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을 향하도록 제어하고, 제2 개구(1220)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1230)은 외측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 개구(1210)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1230)과 제2 개구(1220)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1230)은 서로 평행하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열차(1730)가 진입할 때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공기가 가이드 베인(1230)의 안내를 받아서 제1 개구(1210)로 유입되었다가 제2 개구(1220)로 배출될 수 있다. A control unit 1800 for controlling rotation of the guide vane 1230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vane 1230, and the control unit 1800 may rotate the guide vane 1230 as the train 1730 enters. . For example, when the train 1730 enter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pening 1210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1800 determines that the outer end of the guide vane 1230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1210 i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in 1730 The guide vane 1230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1220 may be controlled to face the rear based on the reference, and the outer end of the guide vane 1230 may be controlled to face the front side. In this case, the guide vanes 1230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1210 and the guide vanes 1230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1220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is, air may be guided by the guide vane 1230 by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train 1730 enters into the first opening 1210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1220.

한편, 제1 개구(1210)의 열차가 이탈할 때에는 제어부(1800)는 제1 개구(1210)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1230)의 외측 단부가 열차(173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하도록 제어하고, 제2 개구(1220)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1230)은 외측 단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 개구(1210)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1230)과 제2 개구(1220)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1230)은 서로 평행하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열차(1730)가 이탈할 때 발생하는 음압에 의하여 공기가 가이드 베인(1230)의 안내를 받아서 제2 개구(1220)로 유입되었다가 제1 개구(1210)로 배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in in the first opening 1210 leaves, the controller 1800 makes the outer end of the guide vane 1230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1210 face forward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in 1730. In addition, the guide vane 1230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122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outer end faces rearward. In this case, the guide vanes 1230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1210 and the guide vanes 1230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1220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is, air may be guided by the guide vane 1230 and introduced into the second opening 1220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210 due to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train 1730 leaves.

한편, 제어부(1800)는 제2 개구(1220)쪽으로 열차(1730)가 진입할 때에는 제2 개구(1220)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1230)의 외측 단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제어되고, 제2 개구(1220) 쪽에서 열차(1730)가 이탈할 때에는 제2 개구(1220)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1230)의 외측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 개구(1210)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1230)은 제2 개구(1220)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1230)과 평행하게 제어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train 1730 enters the second opening 1220, the control unit 1800 controls the outer end of the guide vane 1230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1220 to face the rear, and the second opening ( When the train 1730 deviates from the side 1220, the outer end of the guide vane 1230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1220 may be controlled to face the front. In this case, the guide vane 1230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1210 may be controlled parallel to the guide vane 1230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1220.

이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열차의 이동에 따라 변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집진 장치(1000)가 별도의 송풍기를 갖지 않음에도 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키고 배출시켜서 구동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driving power can be reduced by easily introducing and discharging air even though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0 does not have a separate blower by using the pressur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rain.

세정수 공급부(1300)는 세정수 공급라인(1310)과 세정수 펌프(1320)와 분사라인(1340)을 포함한다. 세정수 공급라인(1310)은 하우징(1200)의 하부에 배치된 수조(1410)에 삽입된 관으로 이루어지며, 수조(1410)에서 하우징(1200)의 상부까지 이어져 설치된다. 세정수 펌프(1320)는 세정수 공급라인(1310)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이동시킨다. 분사라인(1340)은 집진 모듈(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집진 모듈(100)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한다. 분사라인(1340)에는 노즐이 설치될 수 있으며, 분사라인(1340)은 방전극(12)과 집진극(13)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설치될 수 있다. 세정수 공급부(1300)는 간헐적으로 작동하며, 예를 들어 수시간 마다 수분씩 작동할 수 있다. 세정수가 공급될 때에 방전극(1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300 includes a washing water supply line 1310, a washing water pump 1320 and a spray line 1340. The washing water supply line 1310 is made of a pipe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1410 disposed under the housing 1200, and is installed extending from the water tank 141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200. The washing water pump 1320 is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supply line 1310 to move the washing water. The spray line 1340 is installed above the dust collection module 100 and sprays washing water toward the dust collection module 100. A nozzle may be installed in the spray line 1340, and the spray line 1340 may be connected in a stack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electrode 12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300 operates intermittently, and for example, may operate several minutes every several hours.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12.

퍼지 공기 공급부(1600)는 공기 펌프(1610)와 공기 공급관(16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기 공급관(1620)은 관형 거더(48)와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와 연결되어 관형 거더(48)와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에 퍼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purge air supply unit 1600 may include an air pump 1610 and an air supply pipe 1620, and the air supply pipe 1620 is connected to the tubular girder 48 and the prestress locking member 70 to form a tubular girder 48 And purge air may be supplied to the prestress locking member 70.

세정수 공급부(1300)는 집진 모듈(100)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집진극(13)에 부착된 먼지를 이탈시킨다. 세정수 공급부(1300)는 집진 모듈(10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만 작동한다.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300 sprays the washing water to the dust collecting module 100 to remove dust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300 operates only when a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module 100.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처리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우징의 하부에는 세정수 처리부(1400)가 배치되는데, 세정수 처리부(1400)는 집진 모듈(100)에서 낙하하는 세정수를 수용하고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를 고형화 한다. 세정수 처리부(1400)는 세정수를 저장하는 수조(1410)와 수조(1410)의 상부에 설치된 흡착 벨트(1420)와 흡착 벨트(1420)를 이동시키는 롤러와 흡착 벨트(1420)에 부착된 먼지를 이탈시키는 스크래퍼(1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는 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세정수로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사용되면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2 and 5, a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1400 is disposed under the housing, and 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1400 receives the washing water falling from the dust collecting module 100 and is included in the washing water. Solidifies the dust. 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1400 includes a water tank 1410 for storing washing water, a roller for moving the adsorption belt 1420 and adsorption belt 1420 installed above the water tank 1410, and dust attached to the adsorption belt 1420. It may include a scraper (1450) for separating. Here, the washing water may be made of water or an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When an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is used as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power can be improved.

수조(1410)는 하우징(1200)의 바닥 위에 배치되며 세정수 공급부(1300)를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를 하부에서 저장한다. 수조(1410)에는 세정수의 보충을 위한 세정수 보충라인이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세정수 보충라인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 tank 1410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1200 and stores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300 from the bottom. A washing water replenishing line for replenishing washing water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1410, and a valve may be installed in the washing water replenishing line.

흡착 벨트(1420)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착 벨트(1420)가 메쉬로 이루어지면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는 흡착 벨트(1420)에 부착되고, 세정수는 흡착 벨트(1420)를 통과하여 수조(1410)로 이동할 수 있다.The adsorption belt 1420 may have a mesh shape, and may be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When the adsorption belt 1420 is made of a mesh, the dust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is attached to the adsorption belt 1420, and the washing water passes through the adsorption belt 1420 to move to the water tank 1410.

즉, 흡착 벨트(1420)는 날줄과 씨줄이 얽힌 그물 구조로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착 벨트(1420)를 이루는 와이어에는 먼지의 흡착을 위한 복수의 미세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돌기는 0.1mm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돌기를 의미한다. 한편, 흡착 벨트(1420)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흡착 벨트(1420)가 메쉬로 이루어지면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는 흡착 벨트(1420)에 부착되고, 세정수는 흡착 벨트(1420)를 통과하여 수조(1410)로 이동할 수 있다.That is, the adsorption belt 1420 may be formed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mesh as a mesh structure in which the blade and the transverse are entangl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for adsorption of dust may be formed on the wire constituting the adsorption belt 1420. Here, the fine protrusion means a protrus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0.1 mm. Meanwhile, the adsorption belt 1420 may be formed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When the adsorption belt 1420 is made of a mesh, the dust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is attached to the adsorption belt 1420, and the washing water passes through the adsorption belt 1420 to move to the water tank 1410.

흡착 벨트(1420)는 길이 방향 단부가 연결되어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다. 흡착 벨트(1420)의 하부는 세정수에 잠기며 흡착 벨트(1420)의 상부는 세정수 보다 더 상부에 위치되어 세정수 밖으로 노출된다. 하부에 배치된 흡착 벨트(1420)는 세정수 내부를 이용하면서 먼지를 흡착하고, 상부에 배치된 흡착 벨트(1420)는 낙하하는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를 흡착한다. 노출된 부분이 먼지를 흡착하고 스크래퍼(145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The adsorption belt 1420 is formed by connecting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n endless track. The lower portion of the adsorption belt 1420 is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belt 142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shing water and is exposed outside the washing water. The adsorption belt 1420 disposed at the bottom adsorbs dust while using the inside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adsorption belt 1420 disposed at the top adsorbs dust contained in the falling wash water. The exposed portion may adsorb dust and move toward the scraper 1450.

흡착 벨트(1420)에는 흡착 벨트(1420)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복수의 롤러들이 설치되는데, 롤러는 흡착 벨트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지지 롤러(1431, 1432)와 지지 롤러들(1431, 1432) 사이에 배치되되 하부에 배치된 흡착 벨트(1420)가 상하방향으로 굽어지도록 지지하는 제1 방향 전환 롤러(1433)와 제2 방향 전환 롤러(1434)를 포함한다. 지지 롤러(1431, 1432)는 흡착 벨트(1420)에서 내측을 향하는 면과 맞닿고, 제1 방향 전환 롤러(1433)는 흡착 벨트(1420)의 외측에 맞닿으며, 제2 방향 전환 롤러(1434)는 흡착 벨트(1420)의 과 외측을 향하는 면에 맞닿는다. The adsorption belt 14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that support and move the adsorption belt 1420, the rollers being two support rollers 1431, 1432 and support rollers 1431 located at both ends of the adsorption bel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ncludes a first direction switching roller 1433 and a second direction switching roller 1434 disposed between the 1432 and supporting the suction belt 1420 disposed at the lower side to b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rollers (1431, 1432) abut against the inner side of the adsorption belt (1420), the first direction conversion roller (1433) abuts the outside of the adsorption belt (1420), the second direction conversion roller (1434) Abuts against the surface of the adsorption belt 1420 and facing the outside.

제1 방향 전환 롤러(1433)는 흡착 벨트(1420)의 하단이 상부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며, 이에 따라 흡착 벨트(1420)의 하단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측 지지 롤러(1432)에서 제1 방향 전환 롤러(1433)로 갈수록 상부로 흡착 벨트(1420) 사이의 간격은 감소한다. 제2 방향 전환 롤러(1434)는 제1 방향 전환 롤러(1433)와 지지 롤러(1431) 사이에 배치되며 흡착 벨트(1420)의 하단이 상부로 경사지도록 지지한다. The first direction conversion roller 1433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adsorption belt 1420 to move upward, and 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adsorption belt 1420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first support roller 1432 The distance between the adsorption belts 1420 to the top decreases as the direction shifting roller 1433 goes toward the top. The second direction change roller 1434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irection change roller 1433 and the support roller 1431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belt 1420 so as to incline upward.

제2 방향 전환 롤러(1434)에 의하여 흡착 벨트(1420)의 하단은 차단벽(1415)의 상단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1 방향 전환 롤러(1433)는 흡착 벨트(1420)가 차단벽(1415)의 상단보다 더 위로 이동하도록 지지하여, 흡착 벨트(1420)와 차단벽(1415)의 간섭을 방지하고, 제2 방향 전환 롤러(1434)는 흡착 벨트(1420)의 하단이 차닥벽(1415)보다 더 아래로 위치하도록 하여 먼지 덩어리가 차단벽(1415)을 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스크래퍼(1450)는 제2 방향 전환 롤러(1434)와 지지 롤러(1431)와 사이에서 흡착 벨트(1420)와 맞닿는다.The lower end of the adsorption belt 1420 is positioned further below the upper end of the barrier wall 1415 by the second direction change roller 1434. That is, the first direction change roller 1433 supports the adsorption belt 1420 to move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barrier wall 1415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adsorption belt 1420 and the barrier wall 1415, The two-way switching roller 1434 makes the lower end of the adsorption belt 1420 be positioned below the shield wall 1415 so that the dust lumps do not exceed the barrier wall 1415. On the other hand, the scraper 1450 abuts against the suction belt 1420 between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roller 1434 and the support roller 1431.

수조(1410)에는 차단벽(1415)이 설치되는데, 차단벽(1415)은 스크래퍼(1450)가 위치하는 공간과 나머지 공간을 분리한다. 차단벽(1415)은 제1 방향 전환 롤러(1433)와 제2 방향 전환 롤러(1434)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차단벽(1415)은 스크래퍼(145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 전환 롤러(1433)는 차단벽(1415)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A barrier wall 1415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410, and the barrier wall 1415 separates the space where the scraper 1450 is located and the remaining space. The blocking wall 141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roller 1432 and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roller 143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the blocking wall 1415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craper 1450. The first direction change roller 1433 may be located above the blocking wall 1415.

스크래퍼(1450)는 수조 내에 설치되며, 흡착 벨트(1420)의 하부와 맞닿아 흡착 벨트(1420)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서 흡착 벨트(1420)에서 이탈시킨다. 스크래퍼(1450)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봉(1451)과 회전 봉(1451)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패들(1452)을 포함한다. 패들(1452)은 회전 봉(1451)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 봉(1451)에는 복수의 패들(1452)이 회전 봉(1451)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패들(1452)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흡착 벨트(1420)와 맞닿아 먼지를 긁어 낸다. 회전 봉(1451)에는 회전 봉(1451)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The scraper 1450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and abuts against the lower portion of the adsorption belt 1420 to scrape off the dust attached to the adsorption belt 1420 to separate from the adsorption belt 1420. The scraper 1450 includes a rotating rod 1451 rotatably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paddles 1452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1451. The paddle 1452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1451, and a plurality of paddles 145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rod 145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1451. The paddle 1452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abuts against the suction belt 1420 to scrape off dust. A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ng rod 1451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rod 1451.

스크래퍼(1450)에 의하여 이탈된 먼지 덩어리는 고형화되어 수조(1410)의 바닥에 축적되며 수조(1410)의 상부에는 비교적 깨끗한 세정수가 위치하게 된다. 먼지 덩어리는 차단벽(1415)에 의하여 분할된 공간 내에 위치하므로 나머지 부분의 세정수는 정화될 수 있다.The dust lumps separated by the scraper 1450 are solidified and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1410, and relatively clean washing water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water tank 1410. Since the dust lump is located in the space divided by the barrier wall 1415, the remaining part of the washing water can be purified.

한편, 스크래퍼(1450)의 하부에는 먼지 덩어리는 수용하는 분리 용기(1460)가 설치될 수 있다. 분리 용기(1460)는 차단벽(1415)에 의하여 분리된 공간 내에 위치하며, 삼각형의 종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 용기(1460) 내부의 먼지 덩어리가 쉽게 분리 용기에서 이탈하지 못하며,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분리 용기를 교체하는 것으로 세정수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Meanwhile, a separation container 1460 for accommodating a lump of dust may be installed under the scraper 1450. The separation container 1460 is located in a space separated by the blocking wall 1415 and may be formed to have a triangular end. Accordingly, dust lumps inside the separation container 1460 cannot easily be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container, and the washing water can be easily managed by periodically replacing the separation container by an operator.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수조(1410)에 저장된 세정수가 배출되지 않고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세정수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조(1410) 바닥의 먼지 덩어리를 제거하고, 세정수를 교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410 is not discharged and may be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In addition, when the washing water needs to be replaced, the operator can remove the dust lump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1410 and replace the washing water.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discharge electr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ollowing dust collecting pole.

도 2,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집진 모듈(100)은 방전극(12), 집진극(13), 제1 타이 로드(16), 제2 타이 로드(17), 제1 세팅 빔(14), 제2 세팅 빔(15), 절연 연결부재(40),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 하부 프레임(30), 및 관형 거더(48)를 포함한다.2, 6 to 8, the dust collecting module 100 includes a discharge electrode 12, a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a first tie rod 16, a second tie rod 17, and a first setting. It includes a beam 14, a second setting beam 15, an insulating connecting member 40, a prestress locking member 70, a lower frame 30, and a tubular girder 48.

방전극(12)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방전극(12)에는 복수의 개구(122)가 형성된다. 방전극(12)은 높이가 폭보다 더 큰 사각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구(122)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전극(12)의 엣지 부분에는 복수의 방전핀이 형성된다. 방전핀은 침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전극(12)의 외측 단부 및 개구(122)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열될 수 있다.The discharge electrode 12 has a flat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openings 122 are formed in the discharge electrode 12. The discharge electrode 12 may be formed of a square plate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a width. The opening 122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ins are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the discharge electrode 12. The discharge pins may have a needle shape,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i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electrode 12 and the opening 122.

방전극(12)은 측단에서 돌출된 복수의 보강 돌기(125)를 포함하며, 보강 돌기(125)는 방전극의 양쪽 측단 및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보강 돌기(125)에는 보강판(126)이 부착되는데, 보강판(126)은 대략 L자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판(126)은 제1 세팅 빔(14)에 결합되어 방전극(12)을 지지한다. 또한 방전극(12)에는 제2 타이 로드(17)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 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electrode 12 includes a plurality of reinforcing protrusions 125 protruding from side ends, and the reinforcing protrusions 125 are formed at both side ends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scharge electrode, respectively. A reinforcing plate 126 is attached to the reinforcing protrusion 125, and the reinforcing plate 126 may be formed of an approximately L-shaped plate. The reinforcing plate 126 is coupled to the first setting beam 14 to support the discharge electrode 12.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holes 123 through which the second tie rod 17 passes may be formed in the discharge electrode 12.

집진극(13)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집진극(13)에는 제1 타이 로드(16)가 관통하는 복수의 제2 홀(133)이 형성된다. 집진극(13)은 높이가 폭보다 더 큰 사각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is made of a flat plate, and a plurality of second holes 133 through which the first tie rod 16 passes are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may be formed of a square plate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a width.

집진극(13)은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어 집진극(13)을 지지하는 보강 막대(131)를 포함한다. 보강 막대(131)는 집진극(13)의 양쪽 측단으로 돌출되도록 집진극(13)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includes a reinforcing rod 131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to support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The reinforcing rod 131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so as to protrude to both side ends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복수의 방전극(12)과 집진극(13)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복수의 집진극(13) 사이에 방전극(12)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집진극(13)과 방전극(12)의 간격(G1)은 50mm~7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12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discharge electrodes 12 ar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betwee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13. The distance G1 betwee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and the discharge electrode 12 may be 50 mm to 70 mm.

집진극(13)의 상부와 하부의 측단에는 회피 홈(135)이 형성되고, 제1 세팅 빔(14)은 회피 홈(135)이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회피 홈(135)의 상단은 제1 보강 막대보다 더 위에 형성되어 집진극(13)이 방전극(12)과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voidance grooves 135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 ends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and the first setting beam 14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a portion in which the avoidance groove 135 is formed. The upper end of the avoidance groove 135 is formed higher than the first reinforcing rod to prevent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from being short-circuited with the discharge electrode 12.

방전극(12)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는데, 이에 의하여 방전극(12)과 집진극(13)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정전기력이 발생한다. 코로나 방전과 정전기력이 발생한 영역으로 공기 및 액적이 이동하는 중에 입자상 물질은 코로나 방전으로 생성된 이온(전자)와 결합하여 하전되고, 하전된 입자상 물질은 정전기력으로 집진극(13)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먼지 및 미세 액적은 집진극(13)에 부착되어 배출 공기에서 제거된다.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12, whereby a corona discharge occurs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12 and the dust collection electrode 13, and an electrostatic force is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of air and droplets to the area where corona discharge and electrostatic force are generated, particulate matter is charged by binding with ions (electrons) generated by corona discharge, and the charged particulate matter is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by electrostatic force. Accordingly, dust and fine droplets are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and removed from the exhaust air.

제1 타이 로드(16)는 복수의 방전극(12)에 끼움 결합 설치되는데, 집진극(13)에 형성된 제2 홀(13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집진극(13)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The first tie rod 16 is fitt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12 and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hole 133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and does not contact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제1 타이 로드(16)의 길이 방향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 타이 로드(16)는 방전극 지지대(6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극 지지대(60)는 적층된 방전극(12)들의 제일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방전극(12)의 폭방향으로 이어져 설치되되 상부 지지판(61), 상부 지지판(61)에서 절곡되어 하부로 이어진 사이드 지지판(62), 사이드 지지판(62)에서 절곡되어 상부 지지판(61)과 평행하게 배치된 하부 지지판(63)을 포함한다. 사이드 지지판(62)에 제1 타이 로드(16)가 결합되며, 하부 지지판(63)은 상부 지지판(61)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다. 방전극 지지대(60)는 절연 장치를 매개로 하우징(1200)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A thread is form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tie rod 16, and the first tie rod 16 may be fix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support 60. As shown in FIG. 9, the discharge electrode support 60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stacked discharge electrodes 12, respectively, and is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charge electrode 12, but the upper support plate 61 and the upper support plate 61 It includes a side support plate 62 bent at a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and a lower support plate 63 bent at the side support plate 62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pport plate 61. The first tie rod 16 is coupled to the side support plate 62, and the lower support plate 63 has a smaller width than the upper support plate 61. The discharge electrode support 60 may b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200 via an insulating device.

한편, 제2 타이 로드(17)는 복수의 집진극(13)에 끼움 결합 설치되는데, 제2 타이 로드(17)는 방전극(12)에 형성된 제1 홀(12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방전극(12)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제2 타이 로드(17)의 길이 방향 단부는 집진극 지지대(80)에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tie rod 17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13, and the second tie rod 17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first hole 123 formed in the discharge electrode 12 to pass through the discharge electrode ( 12) do not contac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tie rod 17 may be fixed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support 80.

제1 타이 로드(16)와 제2 타이 로드(17)에는 방전극(12)과 집진극(13)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가 설치될 수 있다. 방전극(12)에 설치된 스페이서는 제2 홀(133)을 관통하되 길이방향 단부가 방전극(12)의 표면에 맞닿도록 설치되고, 집진극(13)에 설치된 스페이서는 제1 홀(123)을 관통하되 길이방향 단부가 집진극(13)의 표면에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타이 로드(16)와 제2 타이 로드(17)는 부도체로 이루어진다.A spacer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tie rod 16 and the second tie rod 17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12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The spacer installed in the discharge electrode 12 penetrates the second hole 133, but the longitudinal end thereof is installed to abut the surface of the discharge electrode 12, and the spacer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penetrates the first hole 123 However, the longitudinal end may be installed so as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The first tie rod 16 and the second tie rod 17 are made of a non-conductor.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이 결합된 상태에서 잘라 본 단면도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first setting beam and a discharge electrod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tting beam and the discharge electrode are combined.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세팅 빔(14)은 방전극(12)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제1 세팅 빔(14)에는 방전극(12)의 측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슬롯(148)이 형성된다. 제1 세팅 빔(14)에는 보강 돌기(125) 및 보강판(126)이 삽입 설치되는데, 보강 판은 제1 세팅 빔(1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보강판(126)의의 하단은 제1 세팅 빔(14) 에 지지된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first setting beam 14 is formed to be connect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electrode 12, and a plurality of side ends of the discharge electrode 12 are inserted into the first setting beam 14. A slot 148 is formed. A reinforcing protrusion 125 and a reinforcing plate 126 are inserted into the first setting beam 14, and the reinforcing plate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first setting beam 14, and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126 is a first It is supported by the setting beam 14.

제1 세팅 빔(14)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바닥판(141)과 바닥판(141)에서 상부로 이어진 하부 측벽(142), 하부 측벽(142)에서 측방향으로 이어진 중간 지지부(143), 중간 지지부(143)에서 절곡되어 중간 지지부(143)와 마주하는 절곡판(144), 절곡판(144)에서 상부로 이어진 상부 측벽(145), 상부 측벽(145)에서 방전극(12)을 향하여 절곡된 상단 지지턱(146)을 포함한다. 슬롯(148)은 상단 지지턱(146)에 형성되며, 보강판(126)의 하단은 중간 지지부(143)에 거치된다. 절곡판(144)은 중간 지지부(143)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지며, 중간 지지부(143)는 절곡판(144)과 마주하는 부분 및 상단 지지턱(146)과 마주하는 부분을 갖는다.The first setting beam 14 includes a bottom plate 141 formed parallel to the ground, a lower side wall 142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plate 141, an intermediate support 143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lower side wall 142, The bending plate 144 which is bent at the intermediate support 143 and faces the intermediate support 143, the upper side wall 145 connected to the upper side from the bending plate 144, and the upper side wall 145 are bent toward the discharge electrode 12 It includes an upper support jaw 146. The slot 148 is formed on the upper support jaw 146, and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126 is mounted on the intermediate support 143. The bending plate 144 has a smaller width than the intermediate support 143,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143 has a portion facing the bent plate 144 and a portion facing the upper support jaw 146.

상부 측벽(145)은 하부 측벽(142)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하부 측벽(142)에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한편, 보강 돌기(125)의 일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부 측벽(145)과 하부 측벽(142)은 각각 보강 돌기(125)의 측단과 맞닿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sidewall 145 is formed parallel to the lower sidewall 142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wall 142 at an interval. On the other hand, one portion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 125 is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other portion, and the upper sidewall 145 and the lower sidewall 142 may be coupled so as to contact the side ends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 125, respectively.

보강판(126)은 제1 세팅 빔(14)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방전극(1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판(126)은 제1 세팅 빔(14)에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다. 방전극(12)의 두께는 최소화되어야 하며, 전기 전도성이 우수해야 하는데, 방전극(12)의 전도성이 높고 두께가 얇으면 용접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방전극(12)에 보강 판이 설치되므로 방전극(12)이 제1 세팅 빔(14)에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126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setting beam 14 and may be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ischarge electrode 12. Accordingly, the reinforcing plate 126 can be easily welded to the first setting beam 14. The thickness of the discharge electrode 12 should be minimized,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should be excellent. However, if the conductivity of the discharge electrode 12 is high and the thickness is thin, welding is difficul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reinforc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discharge electrode 12, the discharge electrode 12 can be easily welded to the first setting beam 14.]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팅 빔과 집진극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second setting beam and a dust collecting electr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세팅 빔(15)은 집진극(13)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제2 세팅 빔(15)에는 집진극(13)의 측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슬롯(157)이 형성된다. 슬롯(157)은 제2 세팅 빔(15)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12, the second setting beam 15 is formed to be connect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and a plurality of slots into which the side ends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setting beam 15 157 is formed. The slots 157 ar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etting beam 15.

보강 막대(131)는 집진극(13)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데, 제2 세팅 빔(15)에는 보강 막대(131)가 삽입 설치된다. 보강 막대(131)는 제2 세팅 빔(15)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보강 막대(131)의 하단은 제2 세팅 빔(15)에 지지된다.The reinforcing rod 131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respectively, and the reinforcing rod 131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second setting beam 15. The reinforcing rod 131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setting beam 15, and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rod 131 is supported by the second setting beam 15.

제2 세팅 빔(15)은 하판(152), 하판(152)에서 절곡되어 상부로 이어진 제1 측판(153), 제1 측판(153)에서 절곡되어 하판(152)과 마주하게 배치된 상판(154), 상판(154)에서 절곡되어 제1 측판(153)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2 측판(156), 및 제2 측판(156)에서 절곡되어 하판(152)의 하부에 배치된 바닥 지지부(151)를 포함한다. 하판(152)과 제1 측판(153)에 보강 막대(131)가 삽입 설치되며, 보강 막대(131)의 하단은 바닥 지지부(151)의 상면과 맞닿아 거치된다. 보강 막대(131)는 제2 세팅 빔(15)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팅 빔(15)은 서포팅 브라켓(1530)을 매개로 하우징(1200)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서포팅 브라켓(1530)은 하우징(1200)에 고정되며, 부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setting beam 15 is a lower plate 152, a first side plate 153 bent at the lower plate 152 a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and an upper plate disposed to face the lower plate 152 by bending at the first side plate 153 154), a second side plate 156 bent at the upper plate 154 and disposed to face the first side plate 153, and a floor support portion bent at the second side plate 156 and disposed under the lower plate 152 ( 151). A reinforcing rod 131 is inserted into the lower plate 152 and the first side plate 153, and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rod 131 is moun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support part 151. The reinforcing rod 131 may be fixed to the second setting beam 15 by welding.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setting beam 15 may b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200 via the supporting bracket 1530. The supporting bracket 1530 is fixed to the housing 1200 and may be made of a non-conductor.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100)은 제1 타이 로드(16), 제2 타이 로드(17), 제1 세팅 빔(14), 제2 세팅 빔(15)에 의하여 방전극(12)과 집진극(13)의 간격이 유지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by the first tie rod 16, the second tie rod 17, the first setting beam 14, and the second setting beam 15.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12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is maintained and can be stably fix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연결부재, 관형 거더, 및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연결부재와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ulating connection member, a tubular girder, and a lower fram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ulating connection member and a lower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0,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 프레임(30)은 방전극(12) 및 집진극(13)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절연 연결부재(4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나의 집진 모듈(100)에는 2개의 하부 프레임(30)이 설치되며, 하부 프레임(30)은 2개의 연결 막대(36)에 의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13, and 14, the lower frame 30 is formed to be connect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electrode 12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and is supported by the insulating connection member 40. Two lower frames 30 are installed in one dust collecting module 100, and the lower frames 30 may be fixed to each other by two connecting rods 36.

하부 프레임(30)은 대략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파이프(31)와 하부 파이프(31)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 프레임(32)과, 돌출 프레임(32)의 측부 및 상부로 돌출된 거치 프레임(35)을 포함한다. 하부 파이프(31)는 사각 단면을 갖는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 프레임(32)은 하부 파이프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판과 상판에서 하부로 굽어진 두개의 측판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 프레임(35)은 제1 세팅 빔(14)과 결합되어 제1 세팅 빔(14)을 지지한다. 거치 프레임(35)은 바닥판(141)과 중간 지지부(143) 사이에 삽입되어 제1 세팅 빔(14)과 결합되며, 하부 프레임(30)은 2개의 거치 프레임(3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부 프레임(30)은 높은 전압으로 대전되며 제1 세팅 빔(14)과 방전극(12)도 하부 프레임(30)을 통해서 고압으로 대전된다. 여기서 방전극(12)의 대전 전압은 25,000V~75,000V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frame 30 includes a lower pipe 31 having a substantially tub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frames 32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ower pipe 31, and a mounting protruding to the side and upper portions of the protruding frame 32 It includes a frame (35). The lower pipe 31 may be formed of a pip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The protruding frame 32 may be fixed to the side of the lower pipe, and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n upper plate and two side plates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The mounting frame 35 is coupled with the first setting beam 14 to support the first setting beam 14. The mounting frame 35 is inserted between the bottom plate 141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143 to be coupled to the first setting beam 14, and the lower frame 30 may include two mounting frames 35 . Meanwhile, the lower frame 30 is charged with a high voltage, and the first setting beam 14 and the discharge electrode 12 are also charged with a high voltage through the lower frame 30. Here, the charging voltage of the discharge electrode 12 may be 25,000V to 75,000V.

한편, 하부 프레임(30) 중 제일 상부에 배치된 하부 프레임(30)에는 절연 연결부재(40)가 설치되어 고압으로 대전된다. 하부에 배치된 하부 프레임(30)은 연결 막대(36)를 매개로 대전될 수 있다. 절연 연결부재(40)에는 방전극(12)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단자봉(42)과 절연을 위한 하부 절연 애자(41)가 설치된다. 절연 연결부재(40)의 하부에는 하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홀을 통해서 단자봉(42)은 하부로 돌출되어 하부 프레임(30)에 고정된다. 단자봉(42)에는 하부 프레임(30)을 지지하기 위한 앵커(미도시)가 설치된다.Meanwhile, an insulating connecting member 40 is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30 disposed at the top of the lower frame 30 to be charged with high pressure. The lower frame 30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may be 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rod 36. The insulating connection member 40 is provided with a terminal rod 42 for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discharge electrode 12 and a lower insulating insulator 41 for insulation. A hole for injecting ai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ulating connecting member 40 may be formed, through which the terminal rod 42 protrudes downward and is fixed to the lower frame 30. An anchor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lower frame 30 is installed on the terminal rod 42.

이에 따라 하부 프레임(30)과 제1 세팅 빔(14)을 통해서 방전극(12)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30)은 절연 연결부재(40)에 매달린 구조로 설치된다.Accordingly,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12 through the lower frame 30 and the first setting beam 14. In addition, the lower frame 30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spended from the insulating connecting member 40.

절연 연결부재(40)는 내부 공간을 갖는 관형 거더(48)에 삽입 설치되며, 관형 거더(48)는 하부 프레임(30)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관형 거더(48)는 하우징(1200) 내벽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관형 거더(48)에는 공기 공급관(1620)이 설치될 수 있다. 관형 거더(48)의 하부에는 퍼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홀(44)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sulating connecting member 4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tubular girder 48 having an inner space, and the tubular girder 48 is formed to be connec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wer frame 30. The tubular girder 48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200, and an air supply pipe 1620 may be installed in the tubular girder 48. A discharge hole 44 through which purge air is discharged may be formed under the tubular girder 48.

관형 거더(48)의 내부에는 하부 절연 애자(41)를 지지하는 거치대(46)가 설치되며 하부 절연 애자(41)는 거치대(46) 상에 거치된다. 절연 연결부재(40)에는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이 연결되며, 단자봉(42)은 하부 절연 애자(41)를 매개로 관형 거더(48)에 고정 설치되어 절연된다. 단자봉(42)은 하부 절연 애자(41)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단자봉(42)의 상단에는 전력 공급 라인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봉(42)은 고압으로 대전되고, 관형 거더(48)는 접지될 수 있다.Inside the tubular girder 48, a cradle 46 supporting the lower insulating insulator 41 is installed, and the lower insulating insulator 41 is mounted on the cradle 46. A power supply for applying a high voltage is connected to the insulating connecting member 40, and the terminal rod 42 is fixedly installed and insulated by the tubular girder 48 via the lower insulating insulator 41. The terminal rod 42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lower insulating insulator 41, and a power supply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rod 42. Accordingly, the terminal rod 42 is charged with a high voltage, and the tubular girder 48 can be grounded.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stress 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side view showing the prestress 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는 하우징(1200)의 내벽에 고정되며, 케이싱(73)과 케이싱(73) 내에 설치된 절연 애자(75)와 절연 애자(75)에 결합 설치된 가압 막대(71)를 포함한다. 집진 모듈(100)의 하나의 측면에는 2개의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가 설치되며, 하나의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는 상부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15 and 16, the prestress locking member 70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200, and the casing 73 and the insulating insulator 75 and the insulating insulator 75 installed in the casing 73 It includes a pressure rod 71 installed coupled to. Two prestress locking members 70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module 100, one prestress locking member 70 is disposed at the top, and the other prestress locking member 70 is disposed at the bottom. I can.

케이싱(73)은 내부 공간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싱(73)의 일측에는 하우징(1200)에 고정되기 위한 브라켓(76)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케이싱(73)에는 공기 유입구(731)가 설치되고 공기 유입구(731)에는 공기 공급관(1620)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73) 내부로 유입된 퍼지 공기는 하부로 배출되면서 수분에 의한 단락을 방지한다.The casing 73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ner space, and a bracket 76 for fixing to the housing 1200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ing 73. In addition, an air inlet 731 may be installed in the casing 73 and an air supply pipe 1620 may be connected to the air inlet 731. The purge air introduced into the casing 73 is discharged to the bottom to prevent a short circuit due to moisture.

절연 애자(75)는 케이싱(73)의 상부에 고정된 상부 애자(75a), 케이싱(73)의 하부에 고정된 하부 애자(75b), 상부 애자(75a)와 하부 애자(75b)를 연결하는 절연관(75c)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막대(71)는 절연 애자(75)에 고정 설치되며,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의 하부로 돌출된다. The insulating insulator 75 connects the upper insulator 75a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73, the lower insulator 75b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sing 73, and the upper insulator 75a and the lower insulator 75b. It may include an insulating tube (75c). The pressure rod 7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sulating insulator 75 and protrud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tress locking member 70.

가압 막대(71)에는 집진극 지지대(80)와 결합되는데,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는 집진극 지지대(80)를 중앙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집진극 지지대(80)는 적층된 집진극들(13)의 제일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집진극(13)의 폭방향으로 이어져 설치된다. 집진 모듈(100)의 측단에는 제2 타이 로드(17)와 결합된 복수의 집진극 지지대(80)가 설치되며,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는 이들 중 2개의 집진극 지지대(8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pressure rod 71 is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support 80, and the prestress locking member 70 is installed to press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support 80 to the center.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support 80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stacked dust collecting electrodes 13, respectively, and is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3 to be installed. At the side end of the dust collecting module 100,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ole supports 80 coupled with the second tie rod 17 are installed, and the prestress locking member 70 is coupled to two of the dust collecting pole supports 80. I can.

집진극 지지대(80)는 상부 지지판(81), 상부 지지판(81)에서 절곡되어 하부로 이어진 사이드 지지판(82), 사이드 지지판(82)에서 절곡되어 상부 지지판(81)과 평행하게 배치된 하부 지지판(83)을 포함한다. 사이드 지지판(82)에 제2 타이 로드(17)가 결합되며, 하부 지지판(83)은 상부 지지판(81)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다. The dust collecting pole support 80 includes an upper support plate 81, a side support plate 82 bent at the upper support plate 81 a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and a lower support plate bent at the side support plate 82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upper support plate 81. It includes (83). The second tie rod 17 is coupled to the side support plate 82, and the lower support plate 83 has a smaller width than the upper support plate 81.

이와 같이 집진극 지지대(81)가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로 설치되면 집진 모듈(100)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Whe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support 81 is installed in a state pressed by the prestress locking member 70 as described above, vib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module 100 can be efficiently reduc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세정수를 처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처리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Hereinafter,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installed under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세정수 처리부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17 and 18, since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except for 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the same configuration is repeated. Is omitted.

세정수 처리부(2400)는 하우징(2200)의 바닥에 배치되어 집진 모듈에서 낙하하는 세정수를 수용하고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를 고형화 한다. 세정수 처리부(2400)는 세정수를 저장하는 수조(2410)와 수조(2410)의 상부에 설치된 흡착 벨트(2420)와 흡착 벨트(2420)를 이동시키는 롤러(2430)와 흡착 벨트(2420)에 부착된 먼지를 이탈시키는 스크래퍼(2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는 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세성수로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사용되면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2400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2200 to receive washing water falling from the dust collecting module and solidifies dust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2400 includes a water tank 2410 for storing washing water, an adsorption belt 242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2410, and a roller 2430 and an adsorption belt 2420 for moving the adsorption belt 2420. It may include a scraper (2450) for separating the attached dust. Here, the washing water may be made of water or an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When an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is used as the washing water, cleaning power can be improved.

수조(2410)는 하우징(2200)의 바닥 위에 배치되며 세정수 공급부(2300)를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를 하부에서 저장한다. 수조(2410)에는 세정수의 보충을 위한 세정수 보충라인(2460)이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세정수 보충라인(2460)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 tank 2410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2200 and stores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2300 from the bottom. A washing water replenishment line 2460 for replenishing washing water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410, and a valve may be installed in the washing water replenishment line 2460.

흡착 벨트(2420)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착 벨트(2420)가 메쉬로 이루어지면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는 흡착 벨트(2420)에 부착되고, 세정수는 흡착 벨트(2420)를 통과하여 수조로 이동할 수 있다.The adsorption belt 2420 may have a mesh shape, and may be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When the adsorption belt 2420 is made of a mesh, dust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adheres to the adsorption belt 2420, and the washing water passes through the adsorption belt 2420 to move to the water tank.

흡착 벨트(2420)는 길이 방향 단부가 연결되어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다. 흡착 벨트(2420)의 하부는 세정수에 잠기며 흡착 벨트(2420)의 상부는 세정수 보다 더 상부에 위치되어 세정수 밖으로 노출된다. 즉, 종단면이 납작한 고리 형태의 흡착 벨트(2420)에서 높이방향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하부는 세정수에 잠기고, 상부는 세정수에 밖에서 위치할 수 있다. 흡착 벨트(2420)는 편평한 상면과 편평한 하면 및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만곡된 측면을 갖는데, 편평한 하면은 세정수 속에 위치하고, 편평한 상면은 세정수 밖에 위치한다.The adsorption belt 2420 is formed by connecting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n endless track. The lower portion of the adsorption belt 2420 is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belt 242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shing water to be exposed outside the washing water. That is, in the ring-shaped adsorption belt 2420 having a flat longitudinal section, the lower portion may be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and the upper portion may be located outside the washing water based on the center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The adsorption belt 2420 has a flat upper surface and a flat lower surface, and a curved sid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e flat lower surface is located in the washing water, and the flat upper surface is located outside the washing water.

하부에 배치된 흡착 벨트(2420)는 세정수 내부를 이용하면서 먼지를 흡착하고, 상부에 배치된 흡착 벨트(2420)는 낙하하는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를 흡착한다.The adsorption belt 2420 disposed at the bottom adsorbs dust while using the inside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adsorption belt 2420 disposed at the upper adsorbs dust contained in the falling wash water.

2개의 롤러(2430)는 흡착 벨트(2420)의 길이 방향 양쪽 단부에서 흡착 벨트(2420)를 지지한다. 롤러(2430)에는 롤러(2430)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연결되어 흡착 벨트(2420)를 이동시킨다. 롤러(2430)는 간헐적으로 작동되되 세정수가 공급되는 동안만 작동될 수 있다.Two rollers 2430 support the suction belt 2420 at both ends of the suction belt 24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otor for rotating the roller 2430 is connected to the roller 2430 to move the adsorption belt 2420. The roller 2430 is operated intermittently, but can be operated only while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스크래퍼(2450)는 흡착 벨트(2420)의 하부와 맞닿아 흡착 벨트(2420)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서 흡착 벨트(2420)에서 이탈시킨다. 스크래퍼(2450)는 지지 막대(2451)와 지지 막대(2451)의 상부에 고정된 팁부(245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막대(2451)는 수조(2410)에 고정되되 수조의 바닥에서 세워져 설치된다. 팁부(2452)는 지지 막대(2451)에 대하여 경사지게 상부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래퍼(2450)에 의하여 이탈된 먼지 덩어리는 고형화되어 수조(2410)의 바닥에 축적되며 수조(2410)의 상부에는 비교적 깨끗한 세정수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의 세정수는 세정수 공급부(2300)로 공급되어 추가적인 세정에 사용될 수 있다.The scraper 2450 abuts against the lower portion of the adsorption belt 2420 to scrape off the dust attached to the adsorption belt 2420 to separate from the adsorption belt 2420. The scraper 2450 may include a support rod 2451 and a tip portion 2452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2451. The support rod 2451 is fixed to the water tank 2410 and is installed standing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The tip portion 2452 protrudes upward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od 2451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dust lump separated by the scraper 2450 solidifies and accumulates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410, and relatively clean washing water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water tank 2410. The upper washing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2300 and used for additional washing.

이에 따라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수조(2410)에 저장된 세정수가 배출되지 않고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세정수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조(2410) 바닥의 먼지 덩어리를 제거하고, 세정수를 교체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410 is not discharged and can be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In addition, when the washing water needs to be replaced, the operator can remove the dust lump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410 and replace the washing water.

이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먼지 덩어리가 수조(2410) 바닥에 가라앉아 세정수가 정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정수의 사용 기간이 증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the washing water may be purified by sinking dust lumps on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410, and thus, the use period of the washing water may be increas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처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Hereinafter,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세정수 처리부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9, since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except for 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a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3000)는 습식 집진장치로 이루어지며, 하우징(3200) 내부에 삽입된 세정수 처리부(3400)를 포함한다. 하우징(3200)은 대략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우징(3200)의 하부 일 측면에는 흡착 벨트(3420)가 돌출되는 개구(3250)가 형성된다.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made of a wet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includes a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3400 inserted into the housing 3200. The housing 320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an opening 3250 through which the adsorption belt 3420 protrudes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housing 3200.

세정수 처리부(3400)는 집진 모듈을 통과한 세정수를 저장하고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한다. 세정수 처리부(3400)는 세정수를 저장하는 수조(3410)와 수조(3410)의 상부에 설치된 흡착 벨트(3420)와 흡착 벨트(3420)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롤러와 흡착 벨트(3420)에 부착된 먼지를 이탈시키는 스크래퍼(3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는 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세정수로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사용되면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3400 stores wash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ust collection module and separates dust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3400 is attached to a water tank 3410 for storing washing water, a plurality of rollers for moving the adsorption belt 3420 and the adsorption belt 342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3410 and the adsorption belt 3420 It may include a scraper (3450) for separating the dust. Here, the washing water may be made of water or an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When an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is used as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power can be improved.

수조(3410)는 하우징(3200)의 바닥 위에 배치되며 세정수 공급부(3300)를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를 저장한다. 흡착 벨트(3420)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흡착 벨트(3420)는 날줄과 씨줄이 얽힌 그물 구조로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착 벨트(3420)를 이루는 와이어에는 먼지의 흡착을 위한 복수의 미세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돌기는 0.1mm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돌기를 의미한다. 한편, 흡착 벨트(3420)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흡착 벨트(3420)가 메쉬로 이루어지면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는 흡착 벨트(3420)에 부착되고, 세정수는 흡착 벨트(3420)를 통과하여 수조로 이동할 수 있다.The water tank 3410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3200 and stores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3300. The adsorption belt 3420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That is, the adsorption belt 3420 may be formed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mesh as a mesh structure in which the blade and the transverse are entangl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for adsorption of dust may be formed on the wire forming the adsorption belt 3420. Here, the fine protrusion means a protrus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0.1 mm. Meanwhile, the adsorption belt 3420 may be formed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on. When the adsorption belt 3420 is made of a mesh, the dust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is attached to the adsorption belt 3420, and the washing water passes through the adsorption belt 3420 to move to the water tank.

흡착 벨트(3420)는 길이 방향 단부가 연결되어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다. 흡착 벨트(3420)의 하부는 세정수에 담기며 흡착 벨트(3420)의 상부는 세정수 보다 더 상부에 배치되어 세정수 밖으로 노출된다. The adsorption belt 3420 is formed by connecting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caterpillar shape. The lower portion of the adsorption belt 3420 is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belt 3420 is disposed above the washing water to be exposed outside the washing water.

흡착 벨트(3420)에는 흡착 벨트(3420)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복수의 롤러들이 설치되는데, 롤러는 흡착 벨트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지지 롤러(3431, 3432)와 흡착 벨트(3420)가 상하방향으로 굽어지도록 지지하는 2개의 제1 방향 전환 롤러(3433, 3435)와 제1 방향 전환 롤러(3433, 3435)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흡착 벨트(3420)가 측방향으로 굽어지도록 지지하는 제2 방향 전환 롤러(3434, 3436)를 포함한다. 지지 롤러(3431, 3432)는 흡착 벨트(3420)에서 내측을 향하는 면과 맞닿고, 제1 방향 전환 롤러(3433, 3435)는 흡착 벨트(3420)의 상면과 맞닿으며, 제2 방향 전환 롤러(3434, 3436)는 흡착 벨트(3420)의 하면과 맞닿는다.The adsorption belt 34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that support and move the adsorption belt 3420, and the rollers include two support rollers 3431 and 3432 located at both ends of the adsorption bel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dsorption belt 3420. Two first direction conversion rollers (3433, 3435) and the first direction conversion rollers (3433, 3435) are supported to b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direction to support the suction belt (3420) to be bent in the lateral direction. It includes a direction change roller (3434, 3436). The support rollers 3431 and 3432 abut the inner side of the adsorption belt 3420, the first direction change rollers 343 and 3435 abut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belt 3420, and the second direction change roller ( The 3434 and 3436 abut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belt 3420.

지지 롤러(3431)는 수조 내에 위치하고, 지지 롤러(3432)는 하우징(3200)의 외측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흡착 벨트(3420)의 일부는 하우징(32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흡착 벨트(3420)는 개구(3250)를 통해서 하우징(32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하우징(3200)의 외벽에는 스크래퍼(3450)가 설치되며 스크래퍼(3450)는 흡착 벨트(3420)의 폭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스크래퍼(3450)는 흡착 벨트의 하면과 맞닿아 흡착 벨트(3420)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서 흡착 벨트(3420)에서 이탈시킨다. 스크래퍼(3450)의 하부에는 흡착 벨트(3420)에서 이탈된 먼지 덩어리가 수용되는 분리 용기(3460)가 설치된다.The support roller 3431 is located in the water tank, and the support roller 3432 is located outside the housing 3200, and thus, a part of the adsorption belt 3420 may protrude outside the housing 3200. The suction belt 342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200 through the opening 3250. A scraper 3450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housing 3200, and the scraper 3450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sorption belt 3420. The scraper 3450 abuts against the lower surface of the adsorption belt to scrape off the dust attached to the adsorption belt 3420 to separate from the adsorption belt 3420. A separating container 3460 is installed under the scraper 3450 to accommodate a lump of dust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belt 3420.

이와 같이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래퍼(3450)가 하우징(3200)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흡착 벨트(3420)에 부착된 먼지를 수조(3410)에서 분리하여 수용함으로써 세정수를 보다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scraper 3450 is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3200, the dust adhered to the adsorption belt 3420 is separated from the water tank 3410 to accommodate the cleaning water.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al scope of the claims.

1000: 집진 장치
1200, 2200, 3200: 하우징
1210: 제1 개구
1220: 제2 개구
1230: 가이드 베인
1300: 세정수 공급부
1310: 세정수 공급라인
1320: 세정수 펌프
1340: 분사라인
1400, 2400, 3400: 세정수 처리부
1410, 2410, 3410: 수조
1415: 차단벽
1420, 2420, 3420: 흡착 벨트
1431, 1432: 지지 롤러
1434: 제2 방향 전환 롤러
1433: 제1 방향 전환 롤러
1450, 2450, 3450: 스크래퍼
1451: 회전 봉
1452: 패들
1460: 분리 용기
1600: 퍼지 공기 공급부
1610: 공기 펌프
1620: 공기 공급관
1710: 승강장
1720: 레일
1730: 열차
1800: 제어부
100: 집진 모듈
12: 방전극
125: 보강 돌기
126: 보강판
13: 집진극
131: 보강 막대
16: 제1 타이 로드
17: 제2 타이 로드
14: 제1 세팅 빔
141: 바닥판
142: 하부 측벽
143: 중간 지지부
144: 절곡판
146: 상단 지지턱
148, 157: 슬롯
15: 제2 세팅 빔
151: 바닥 지지부
152: 하판
153: 제1 측판
154: 상판
156: 제2 측판
30: 하부 프레임
31: 하부 파이프
32: 돌출 프레임
35: 거치 프레임
40: 절연 연결부재
41: 하부 절연 애자
42: 단자봉
46: 거치대
48: 관형 거더
60: 방전극 지지대
61, 81: 상부 지지판
62, 82: 사이드 지지판
63, 83: 하부 지지판
70: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
71: 가압 막대
73: 케이싱
75: 절연 애자
76: 브라켓
80: 집진극 지지대
1000: dust collector
1200, 2200, 3200: housing
1210: first opening
1220: second opening
1230: guide vane
1300: washing water supply
1310: washing water supply line
1320: washing water pump
1340: spray line
1400, 2400, 3400: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1410, 2410, 3410: water tank
1415: barrier
1420, 2420, 3420: suction belt
1431, 1432: support roller
1434: second direction change roller
1433: first direction change roller
1450, 2450, 3450: scraper
1451: rotating rod
1452: paddle
1460: separation vessel
1600: purge air supply
1610: air pump
1620: air supply pipe
1710: platform
1720: rail
1730: train
1800: control unit
100: dust collection module
12: discharge electrode
125: reinforcement protrusion
126: reinforcement plate
13: dust collection pole
131: reinforcement rod
16: first tie road
17: second tie road
14: first setting beam
141: bottom plate
142: lower side wall
143: intermediate support
144: bending plate
146: upper support jaw
148, 157: slot
15: second setting beam
151: floor support
152: lower plate
153: first side plate
154: top plate
156: second side plate
30: lower frame
31: lower pipe
32: protruding frame
35: mounting frame
40: insulation connecting member
41: lower insulator
42: terminal rod
46: cradle
48: tubular girder
60: discharge electrode support
61, 81: upper support plate
62, 82: side support plate
63, 83: lower support plate
70: prestress locking member
71: pressure rod
73: casing
75: insulator
76: bracket
80: dust collecting pole support

Claims (20)

승강장 사이에 설치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 장치로서,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베인;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접지되는 집진극을 포함하여 먼지를 포함하는 집진 모듈; 및
상기 집진 모듈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A dust collecting device installed between platforms to collect dust,
A housing having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A plurality of guide vane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to guide air inflow and outflow;
A dust collecting module installed in the housing, including a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to which voltage is applied, and a dust collecting electrode to be grounded and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to be grounded; And
A washing water supply unit for spraying washing water onto the dust collecting module;
Platform dust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이웃하는 2개의 레일 사이에 설치되어 열차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공기를 유입하고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s installed between two adjacent rails, wherein the ai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using wi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rai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베인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개구가 설치된 방향으로 열차가 진입할 때에는 상기 제1 개구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 베인의 외측 단부가 상기 열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을 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개구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 베인의 외측 단부는 전방을 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guide vane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guide vane,
When the train enter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pening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er end of the guide vane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to face rearward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in, and is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The landing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end of the guide vane is controlled to face the fro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 모듈에서 낙하하는 세정수를 수용하는 세정수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 처리부는,
상기 세정수를 수용하는 수조와,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 흡착 벨트와,
상기 흡착 벨트와 연결되어 상기 흡착 벨트를 이동시키는 롤러와,
상기 흡착 벨트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서 상기 흡착 벨트에서 이탈시키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disposed under the dust collecting module to receive washing water falling from the dust collecting module,
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A water tank accommodating the washing water,
An adsorption belt formed by connecting in a caterpillar shape,
A roller connected to the adsorption belt to move the adsorption belt,
And a scraper that scrapes off the dust attached to the adsorption belt and detaches from the adsorption bel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벨트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adsorption belt is a platform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esh shap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벨트의 일부는 상기 세정수에 잠기고 상기 흡착 벨트의 다른 부분은 상기 세정수보다 더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Part of the adsorption belt is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and the other part of the adsorption bel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shing wate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봉과 상기 회전 봉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되 회전 봉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scraper comprises a rotating rod rotatably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paddles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수조의 바닥에서 세워져 설치된 지지 막대와 지지 막대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scraper comprises a support rod erected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and a tip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support rod and having elasticity.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처리부는 2개의 지지 롤러와 상기 지지 롤러들 사이에 배치되되 흡착 벨트의 하단이 상부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1 방향 전환 롤러와 흡착 벨트의 하단이 하부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2 방향 전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에는 상기 스크래퍼가 위치하는 공간과 나머지 공간을 분리하는 차단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two support rollers and the support rollers, a first direction change roller that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adsorption belt to move upward, and a second direction change that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adsorption belt to move downward. Including rollers,
A landing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barrier wall separating the space in which the scraper is located and the remaining spac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전환 롤러는 상기 흡착 벨트가 상기 차단벽의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2 방향 전환 롤러는 상기 흡착 벨트가 상기 차단벽의 상단보다 더 하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direction conversion roller supports the adsorption belt to be positioned above an upper end of the barrier wall, and the second direction conversion roller supports the adsorption belt to be positioned lower than an upper end of the barrier wall. Platform dust collecting devic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제2 방향 전환 롤러와 상기 지지 롤러 사이에서 흡착 벨트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scraper is a landing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butting with the adsorption belt between the second direction switching roller and the support roller.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의 하부에는 분리 용기가 설치되고, 상기 분리 용기는 상기 차단벽에 의하여 분리된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A separation container is installed below the scraper, and the separation container is located in a space separated by the barrier wall.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벨트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래퍼의 하부에는 상기 흡착 벨트에서 이탈된 먼지를 수용하는 분리 용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adsorption bel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scraper is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and a separation container for receiv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belt is installed below the scrap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방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방전극들을 지지하는 제1 세팅 빔과, 상기 방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세팅 빔을 통해서 상기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하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ing module includes a first setting beam having a plurality of slots into which the discharge electrodes are inserted to support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connected in a stack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electrodes to support the first setting beam, and A platform dust collec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ower frame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discharge electrode through.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은 하부 절연 애자와 상기 하부 절연 애자를 관통하는 단자봉을 갖는 절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절연 연결부재에 매달리도록 설치된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dust collecting module further includes an insulating connection member having a lower insulating insulator and a terminal rod penetrating the lower insulating insulator, and the lower frame is installed to be suspended from the insulating connection member.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은 복수의 상기 절연 연결부재를 삽입하는 관형 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절연 애자는 상기 관형 거더 내부에 거치된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dust collect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tubular girder for inserting a plurality of the insulating connecting members, and the lower insulating insulator is mounted inside the tubular girder.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팅 빔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로 이어진 하부 측벽, 상기 하부 측벽에서 측방향으로 이어진 중간 지지부, 상기 중간 지지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중간 지지부와 마주하되 상기 중간 지지부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절곡판, 상기 절곡판에서 상부로 이어진 상부 측벽, 및 상기 상부 측벽에서 방전극을 향하여 절곡되되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상단 지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파이프와 상기 하부 파이프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 프레임과, 상기 돌출 프레임의 측부 및 상부로 돌출된 거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 프레임은 상기 바닥판과 상기 중간 지지부 사이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setting beam includes a bottom plate and a lower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upward, an intermediate support part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lower side wall, and bent at the intermediate support part to face the intermediate support part, but have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intermediate support part. A bent plate having a bent plate, an upper sidewall extending upward from the bent plate, and an upper support jaw bent from the upper sidewall toward the discharge electrode and having a plurality of slots,
The lower frame includes a lower pipe in a tubular shape, a plurality of protruding frames protruding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lower pipe, and a mounting frame protruding from a side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frame,
The mounting frame is a platform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between the floor plate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집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극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2개의 제2 세팅 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극에는 상기 집진극의 측단으로 돌출된 보강 막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세팅 빔은 하판, 상기 하판에서 절곡되어 상부로 이어진 제1 측판, 상기 제1 측판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판과 마주하게 배치된 상판, 상기 상판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측판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2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판의 하부에 배치된 바닥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막대는 상기 바닥 지지부에 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ing module further includes two second setting beams in which a plurality of slots into which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are inserted are formed to maintain an interval betwee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A reinforcing rod protruding to a side end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is installed o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The second setting beam is a lower plate, a first side plate bent from the lower plate and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an upper plate bent at the first side plate and disposed to face the lower plate, and the second setting beam is bent at the upper plate and disposed to face the first side plate. A second side plate, and a bottom support portion bent at the second side plate and disposed under the lower plate,
The reinforcing rod is a landing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floor suppo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집진 모듈에 가압력을 적용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prestress locking memb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prestress locking member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while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the dust collecting module.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방전극에 고정되되 상기 집진극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1 타이 로드와 상기 집진극에 고정되되 상기 방전극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2 타이 로드, 상기 제1 타이 로드들 중 일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집진극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된 절연 애자와 상기 절연 애자에 결합 설치되며 하부로 돌출된 가압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막대는 상기 집진극 지지대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The dust collecting module,
A first tie rod fix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and installed to penetrate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 second tie rod fixed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installed to penetrate the discharge electrode,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 supporters to which some of the first tie rods are fixed Including,
The prestress locking member includes a casing, an insulating insulator installed in the casing, and a pressure rod coupled to the insulating insulator and protruding downward,
The pressure rod is a platform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to press the dust collecting pole support inward.
KR1020190060286A 2019-05-09 2019-05-22 Electric precipitator apparatus for platform of station KR1022097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286A KR102209793B1 (en) 2019-05-22 2019-05-22 Electric precipitator apparatus for platform of station
CN202010289741.1A CN111905927B (en) 2019-05-09 2020-04-14 Dust collecting device
US16/855,978 US11524305B2 (en) 2019-05-09 2020-04-22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286A KR102209793B1 (en) 2019-05-22 2019-05-22 Electric precipitator apparatus for platform of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612A true KR20200135612A (en) 2020-12-03
KR102209793B1 KR102209793B1 (en) 2021-02-01

Family

ID=7377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286A KR102209793B1 (en) 2019-05-09 2019-05-22 Electric precipitator apparatus for platform of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79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2041A (en) * 2022-03-24 2022-06-03 合肥巍华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Movable stereo garage fills electric pile
CN114572041B (en) * 2022-03-24 2024-05-10 合肥巍华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Movable type stereo garage charging pi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957A (en) * 1992-09-28 1994-04-28 오오가 노리오 Cathode ray tube focusing correction circuit
JPH10244183A (en) * 1997-03-06 1998-09-14 Mitsubishi Heavy Ind Ltd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method of backwashing and scavenging same
JPH1147520A (en) * 1997-08-05 1999-02-23 Masuki Takasu Brush filter
KR20110024429A (en) * 2009-09-02 2011-03-09 (주)거진아이템 A air clean system for subway
KR101387998B1 (en) 2013-10-24 2014-04-22 한국기계연구원 Fine particle reduction equipment for subway tunnel
JP2014100642A (en) * 2012-11-19 2014-06-05 Zesu:Kk Electric dust colle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957A (en) * 1992-09-28 1994-04-28 오오가 노리오 Cathode ray tube focusing correction circuit
JPH10244183A (en) * 1997-03-06 1998-09-14 Mitsubishi Heavy Ind Ltd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method of backwashing and scavenging same
JPH1147520A (en) * 1997-08-05 1999-02-23 Masuki Takasu Brush filter
KR20110024429A (en) * 2009-09-02 2011-03-09 (주)거진아이템 A air clean system for subway
JP2014100642A (en) * 2012-11-19 2014-06-05 Zesu:Kk Electric dust collector
KR101387998B1 (en) 2013-10-24 2014-04-22 한국기계연구원 Fine particle reduction equipment for subway tunn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2041A (en) * 2022-03-24 2022-06-03 合肥巍华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Movable stereo garage fills electric pile
CN114572041B (en) * 2022-03-24 2024-05-10 合肥巍华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Movable type stereo garage charging p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793B1 (en)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8857B2 (en) Dual flow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111905927B (en) Dust collecting device
CN111974547B (en) Horizontal dust collecting device and dust collecting method using same
KR102209792B1 (en) Dust collecting tower
KR102209791B1 (en) Horizontal type electric precipitator apparatus
US7297182B2 (en)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treating oxidized biomass effluent
KR101610240B1 (en)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US200602309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e gas desulphurization
JP4894739B2 (en) Wet electric dust collector
KR102079796B1 (en) Electric precipitator module desulfurization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JPH0335983B2 (en)
KR101901572B1 (en) Ship exhaust gas removal technology
RU2512333C2 (en) Device for separation of excessively sprayed lacquer
KR102209793B1 (en) Electric precipitator apparatus for platform of station
CN103920589A (en) Rotary demister
JPS58395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lytically cleaning emulsion and contaminated water
CA1098052A (en) Dust precipitator
US9126221B2 (en) System for coating objects having a coating booth and an electrostatically operating separation unit
EP2614894A1 (en) Improved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225473B1 (en) Electric precipitator apparatus
KR20210003364A (en) Electric precipitator method
EP0860196B1 (en) Flue gas treating process and apparatus
US6190630B1 (en) Flue gas treating process and apparatus
CN111001269B (en) Dust collection module and desulfurization device provided with same
KR102441995B1 (en) Ai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