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389A -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389A
KR20200135389A KR1020207029016A KR20207029016A KR20200135389A KR 20200135389 A KR20200135389 A KR 20200135389A KR 1020207029016 A KR1020207029016 A KR 1020207029016A KR 20207029016 A KR20207029016 A KR 20207029016A KR 20200135389 A KR20200135389 A KR 20200135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nsmission power
gain
domain resource
magn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홍 첸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5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이 방법은 제 1 디바이스가 제 1 빔 및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의 제 1 채널에 대해 채널 검출을 수행하여,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을 기반으로 하는 라이센스 어시스트 액세스(Licensed-Assisted Access) (LAA-LTE) 시스템에서는 라이센스 스펙트럼 상의 캐리어를 메인 캐리어로, 비라이센스 스펙트럼 상의 캐리어를 서브 캐리어로 사용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여기서, 비라이센스 스펙트럼 상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리슨 비포 토크(Listen Before Talk, LBT)"의 원칙에 따른다. 즉, 통신 디바이스는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의 채널 상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기 전에 채널 검출을 먼저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채널 검출 결과,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경우에만 해당 통신 디바이스는 신호 송신을 수행할 수 있고,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의 채널 상에서의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검출 결과가 채널 사용 중이면 해당 통신 디바이스는 신호 송신을 수행할 수 없다.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기술을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에 적용할 경우, 셀의 공간 다중 전송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빔 포밍(beamforming) 기술이 도입되며, 이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 검출을 수행하는 방법은 연구할 가치가 있는 문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가 제 1 빔 및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의 제 1 채널에 대해 채널 검출을 수행하여,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빔 및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하여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 1 디바이스는 이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경우에 이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는 제 1 송신 전력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와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신호 송신을 위한 제 2 송신 전력 및 채널 검출을 위한 제 1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채널 검출 범위를 데이터 전송 범위 이상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에 의한 다른 통신 링크에 대한 간섭을 피하는 데 유리함과 동시에 데이터의 효과적인 전송을 보장할 수도 있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빔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빔은 상기 제 1 빔과 다르며, 상기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과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빔에 대응하는 공간 영역 커버리지는 이 빔의 대응하는 방향, 커버리지 각도 및 신호 진폭(또는 빔 이득)에 의해 공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신호 수신에 사용되는 제 1 빔에 대응하는 공간 영역 커버리지가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제 2 빔에 대응하는 공간 영역 커버리지와 완전히 동일한 경우, 상기 제 1 빔과 제 2 빔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제 1 빔과 제 2 빔은 다르다. 여기서, 제 1 빔에 대응하는 공간 영역 커버리지가 제 2 빔에 대응하는 공간 영역 커버리지와 완전히 동일하다는 것은, 동일한 신호 진폭을 가정할 때 상기 제 1 빔의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가 상기 제 2 빔의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빔은 제 1 빔 집합 내의 빔이고, 상기 제 2 빔은 제 2 빔 집합 내의 빔이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은 상기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빔의 커버리지 각도는 상기 제 2 빔의 커버리지 각도보다 크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보다 작고,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보다 작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에서 조정량을 뺀 것과 동일하며, 상기 조정량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크기와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의 크기의 차에 따라 결정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보다 크고,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보다 크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에 조정량을 더한 것과 동일하며, 상기 조정량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크기와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의 크기의 차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조정량 X는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과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차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X는 제 1 빔의 빔 이득과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전력 차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X는 제 1 빔의 빔 이득과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에너지 차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X는 제 1 빔의 빔 이득과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신호대 잡음비의 차일 수도 있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보다 크고,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와 같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빔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제 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가 제 1 빔 및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의 제 1 채널에 대해 채널 검출을 수행하여,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경우, 제 1 빔의 커버리지 각도가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제 2 빔의 커버리지 각도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과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빔은 제 1 빔 집합 내의 빔이고, 상기 제 2 빔은 제 2 빔 집합 내의 빔이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빔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 중 어느 한 가지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디바이스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고, 이 프로세서는 이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고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 중 어느 한 가지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 중 어느 한 가지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6 양태에 따르면,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디바이스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고, 이 프로세서는 이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고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 중 어느 한 가지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제 7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가 제공되며, 이 컴퓨터 기록 매체는 상기 양태를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 8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 중 어느 한 가지 선택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제 9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가 제공되며, 이 컴퓨터 기록 매체는 상기 양태를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 10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 중 한 가지 선택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개략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개략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 수단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어드밴스드 롱텀 에볼루션(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NR 시스템의 진화 시스템, 비라이센스 스펙트럼 상의 LTE(LTE-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LTE-U) 시스템, 비라이센스 스펙트럼 상의 NR(NR-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NR-U)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무선 피델리티(Wireless Fidelity, WiFi), 차세대 통신 시스템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통신 시스템은 제한된 수의 연결을 지원하고 실현하기도 쉽지만,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은 종래의 통신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디바이스 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 기계 간(Machine to Machine, M2M) 통신,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및 차량 간(Vehicle to Vehicle, V2V) 통신 등도 지원하게 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통신 시스템은 반송파 결합(Carrier Aggregation, CA)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고,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 시나리오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독립형(Standalone, SA) 네트워킹 시나리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용되는 스펙트럼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라이센스 스펙트럼에 적용될 수 있고,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에 관련하면서 각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며, 여기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 등으로도 불리운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WLAN에서의 스테이션(STAION, ST)일 수 있고, 휴대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국,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디바이스,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핸드 헬드 디바이스, 계산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NR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의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의 차세대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라고도 불리우며, 웨어러블 기술을 사용하여 일상적인 웨어를 스마트 화 설계하여 개발되는 안경, 장갑, 시계, 의류 및 신발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총칭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직접 몸에 착용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의류 또는 액세서리에 통합되는 휴대용 디바이스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디바이스일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소프트웨어 지원, 데이터 상호 작용 및 클라우드 상호 작용을 통해 강력한 기능을 실현한다. 일반적인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에는 풀 기능, 대형, 스마트 폰에 의존하지 않고 완전 또는 부분적인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 또는 스마트 글래스 등이나, 특정 유형의 응용 프로그램 기능에만 초점을 맞춰, 스마트 폰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할 필요가 있는 다양한 사인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팔찌, 스마트 쥬얼리 등이 포함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WLAN에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WCDMA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에서의 진화된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또는 중계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NR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gNB) 또는 미래 진화의 PLMN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셀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이 셀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리소스(예를 들어, 주파수 영역 리소스 또는 스펙트럼 리소스)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이 셀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일 수 있고, 셀은 매크로 기지국에 속할 수도 있고, 소형 셀(Small cell)에 대응하는 기지국에 속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소형 셀에는 메트로 셀(Metr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피코 셀(Pico cell), 펨토셀(Femto cell)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들 소형 셀은 커버리지가 작고 송신 전력이 낮은 특징을 가지며 고속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적합하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 링크 물리 채널에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강화된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물리 HARQ 지시 채널(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HICH), 물리 멀티 캐스트 채널(Physical Multicast Channel, PMCH), 물리 브로드 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운 링크 기준 신호에는 다운 링크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위상 추적 기준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다운 링크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다운 링크 동기화 신호는 통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 및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에 사용될 수 있고, 다운 링크 DMRS는 다운 링크 채널의 복조에 사용될 수 있으며, CSI-RS는 다운 링크 채널의 측정, 다운 링크 시간 - 주파수 동기화 또는 위상 추적에 사용될 수 있고, PT-RS도 다운 링크 채널의 측정, 다운 링크 시간 - 주파수 동기화 또는 위상 추적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상기와 같은 명칭 및 다른 기능의 다운 링크 물리 채널 또는 다운 링크 기준 신호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와 다른 명칭 및 동일한 기능의 다운 링크 물리 채널 또는 다운 링크 기준 신호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 링크 물리 채널에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물리 업 링크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업 링크 기준 신호에는 업 링크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위상 추적 기준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업 링크 DMRS는 업 링크 채널의 복조에 사용될 수 있고, SRS는 업 링크 채널의 측정, 업 링크 시간 - 주파수 동기화 또는 위상 추적에 사용될 수 있으며, PT-RS도 업 링크 채널의 측정, 업 링크 시간 - 주파수 동기화 또는 위상 추적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상기와 같은 명칭 및 다른 기능의 업 링크 물리 채널 또는 업 링크 기준 신호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와 다른 명칭 및 동일한 기능의 업 링크 물리 채널 또는 업 링크 기준 신호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고, 이 방법의 상세한 통신 단계 또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단계 또는 동작은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다른 동작 또는 도 1 내지 도 5의 다양한 동작의 변형을 실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의 각 단계는 각각 도 1 내지 도 5에 제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 있으며, 반드시 도 1 내지 도 5의 모든 동작을 실행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100)의 개략 흐름도이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방법(100)은
제 1 디바이스가 제 1 빔 및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의 제 1 채널에 대해 채널 검출을 수행하여,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S110과,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S12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라이센스 스펙트럼 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채널 접속 절차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채널 접속 절차는, 채널이 유휴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통해 이 채널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특정 대역폭(예를 들어, 20MHz)을 가지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가 현재 유휴 상태에 있는지 여부, 또는 이 주파수 영역 리소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 주파수 영역 리소스가 유휴 상태이거나, 또는 이 주파수 영역 리소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즉,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이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업 링크 전송 또는 다운 링크 전송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주파수 영역 리소스가 유휴 상태가 아니거나, 또는 이 주파수 영역 리소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즉, 채널이 점유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이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사용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빔 및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의 제 1 채널에 대해 채널 검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는 제 1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에너지 검출 역치이고, 선택적으로, 채널 검출은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채널 상의 신호 에너지를 일정 기간 수집하고 에너지 값을 상기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와 비교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에너지 값이 상기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 이상인 경우, 채널이 점유된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불가능함을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신호 에너지 값이 상기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보다 작은 경우,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해당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 상에서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의 크기는 신호 전송을 위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전력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송신 전력이 작을수록 대응하는 에너지 검출 역치는 커질 수 있고, 송신 전력이 클수록 대응하는 에너지 검출 역치는 작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빔(또는 수신 빔)은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공간 영역 수신 필터(Spatial domain reception filter)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하나의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빔(또는 송신 빔)은 하나의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공간 영역 전송 필터(Spatial domain transmission filter)로 이해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동일한 공간 영역 송신 필터를 채용하여 송신된 두 신호의 경우, 이들 두 신호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에 관해 준 코로케이션(Quasi-Co-Located : QCL)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채널 검출에 사용되는 제 1 빔(즉, 하나 또는 복수의 수신 빔)과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제 2 빔(즉, 하나 또는 복수의 송신 빔)은 동일한 빔일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빔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채널 검출에 사용되는 제 1 빔과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제 2 빔이 다른 빔인 경우, 상기 제 1 빔의 공간 영역 커버리지와 상기 제 2 빔의 공간 영역 커버리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은 전 방향일 수 있으며, 즉, 제 1 디바이스는 전 방향성 채널 검출을 수행할 수 있고, 그 다음에 지향성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빔은 데이터 영역의 프리 코딩 처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아날로그 영역의 프리 코딩 처리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데이터 영역 및 아날로그 영역의 프리 코딩 처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송수신 빔(beam)이 완전하게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채널 검출을 수행할 때 통신 디바이스는 거친 방향의 수신 프리 코딩을 사용할 수 있지만, 신호를 송신할 때 통신 디바이스는 미세한 방향의 송신 프리 코딩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의 빔 이득(beamforming gain)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는 전 방향성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할 수 있지만, 빔 이득이 있는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 송신 등을 수행하므로 송수신 빔이 완전하게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 사이의 다운 링크 전송을 예로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gNB1는 UE1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송신 전력 P에 대응하는 에너지 검출 역치에 기초하여 빔 방향 1을 사용하여 UE1의 방향의 간섭에 대해 채널 검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채널이 유휴 상태임을 발견한 경우, gNB1는 송신 전력 P 및 빔 방향 2를 사용하여 UE1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빔 방향 2의 beamforming gain(즉, 빔 이득)이 빔 방향 1의 beamforming gain보다 큰 경우에는 gNB1의 데이터 전송 범위가 gNB1의 채널 검출 범위를 초과하므로, gNB1에서 UE1로의 데이터 전송은 UE1 주변의 통신 링크, 예를 들어 gNB2와 UE2 사이의 통신 링크에 영향을 주게 된다.
상기 기술적 문제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S1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와 다르고, 상기 제 1 송신 전력은 상기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채널 검출 범위가 데이터 전송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에 의한 다른 통신 링크에 대한 간섭을 일으킬 수 있고, 동시에 데이터 전송 범위가 채널 검출 범위를 초과하므로 일부 채널 상의 리소스는 이용 불가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리소스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은 데이터 전송의 실패를 일으키고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제 2 송신 전력 및 채널 검출에 사용되는 제 1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채널 검출 범위를 데이터 전송 범위 이상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에 의한 다른 통신 링크에 대한 간섭을 피하는 데 유리함과 동시에 데이터의 효과적인 전송을 보장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 2 빔과, 상기 제 1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 1 빔은 같을 수도 있고, 또는 다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제 2 송신 전력과 상기 제 1 송신 전력 사이의 관계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채널 검출 범위를 데이터 전송 범위 이상으로 만들 수 있으면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빔에 대응하는 공간 영역 커버리지는 이 빔의 대응하는 방향, 커버리지 각도 및 신호 진폭(즉, 빔 이득)에 의해 공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신호 수신에 사용되는 제 1 빔에 대응하는 공간 영역 커버리지가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제 2 빔에 대응하는 공간 영역 커버리지와 완전히 동일한 경우, 상기 제 1 빔과 제 2 빔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빔과 상기 제 2 빔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제 1 빔에 대응하는 공간 영역 커버리지가 제 2 빔에 대응하는 공간 영역 커버리지와 완전히 동일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빔의 대응하는 방향, 커버리지 각도 및 빔 이득이 상기 제 2 빔의 대응하는 방향, 커버리지 각도 및 빔 이득과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빔의 커버리지 각도가 작을수록 상기 빔에 대응하는 빔 이득은 커지고, 반대로 하나의 빔의 커버리지 각도가 클수록 상기 빔에 대응하는 빔 이득은 작아진다.
도 2에 나타낸 기술적 문제에 기초하여, 다른 실시예로서, S1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빔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2 빔은 상기 제 1 빔과 다르다.
여기서, 제 2 빔과 제 1 빔이 다르다는 것은, 제 1 빔과 제 2 빔의 커버리지 각도 및 신호 진폭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고,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과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채널 검출에 사용되는 제 1 빔과 다른 제 2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따라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빔 및 제 2 빔의 공간 영역 커버리지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예를 들어, 에너지 검출 역치, 신호 송신 전력 또는 제 1 빔 및 제 2 빔의 선택 등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채널 검출 범위가 적어도 데이터 전송 범위를 커버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에 의한 다른 통신 링크에 대한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 2 송신 전력과,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채널 검출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에너지 검출 역치에 대응하는 제 1 송신 전력은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즉,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빔의 공간 영역 커버리지 및 상기 제 2 빔의 공간 영역 커버리지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채널 검출 범위를 데이터 전송 범위 이상으로 만들 수 있으면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빔은 제 1 빔 집합 내의 빔일 수 있고, 상기 제 2 빔은 제 2 빔 집합 내의 빔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1 빔 집합은 채널 검출(또는 신호 수신)에 사용되는 빔의 집합일 수 있고, 상기 제 2 빔 집합은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빔의 집합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빔 집합과 상기 제 2 빔 집합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은 다르다. 예를 들어, 제 1 빔 집합과 제 2 빔 집합에 포함된 빔의 수는 다르고, 제 1 빔 집합은 N 개의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이 N 개의 빔은 상이한 방향에 대응하고, 제 2 빔 집합은 M 개의 빔을 포함하고 M은 양의 정수이며 이 M 개의 빔도 상이한 방향에 대응하고, 제 1 빔 집합 내의 N 개의 빔과 제 2 빔 집합 내의 M 개의 빔은 동일한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에 대응한다. M = 2 * N을 가정하면, 제 1 빔 집합 내의 하나의 빔에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는 제 2 빔 집합 내의 2 개의 빔의 조합에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와 동일하며, 이 경우, 선택적으로, 제 1 빔 집합 내의 하나의 빔의 빔 이득은 제 2 빔 집합 내의 하나의 빔의 빔 이득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또한 빔의 정보 및 송신 전력에 관련하면서 채널 검출 범위가 적어도 데이터 전송 범위를 커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빔 및 상기 제 2 빔의 정보(예를 들어, 대응하는 방향, 커버리지 각도, 신호 진폭 또는 빔 이득)가 결정된 경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 및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채널 검출 범위 및 데이터 전송 범위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송신은 물리 채널의 송신 또는 기준 신호의 송신일 수 있으며, 여기서 물리 채널은 업 링크 물리 채널 또는 다운 링크 물리 채널을 포함하고, 기준 신호는 업 링크 기준 신호 또는 다운 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 상기 제 2 송신 전력, 상기 제 1 빔의 정보 및 상기 제 2 빔의 정보를 자체로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을 먼저 결정하고, 그 다음에 상기 제 1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제 2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을 먼저 결정하고, 그 다음에 상기 제 2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제 1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 1 송신 전력 및 상기 제 2 송신 전력을 동시에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빔, 제 2 빔, 제 1 송신 전력 및 제 2 송신 전력에 대해, 제 1 디바이스는 그 중 임의의 3 개의 파라미터를 통해 제 4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빔, 제 2 빔 및 제 1 송신 전력을 먼저 결정하고, 그 다음에 이들 3 개의 파라미터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 2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빔, 제 2 빔 및 제 2 송신 전력을 먼저 결정하고, 그 다음에 이들 3 개의 파라미터에 따라 제 1 송신 전력을 결정함으로써, 채널 검출을 위한제 1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에너지 검출 역치를 결정할 수 있다.
케이스 1 : 상기 제 1 빔의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가 상기 제 2 빔의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 1 빔의 신호 진폭이 상기 제 2 빔의 신호 진폭보다 작거나, 제 1 빔의 빔 이득이 제 2 빔의 빔 이득보다 작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시나리오이다.
이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빔 및 제 1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하고, 채널 검출이 성공(즉, 채널 검출 결과가 유휴 상태임)한 후, 제 2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2 송신 전력은 제 1 송신 전력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제 1 송신 전력 P1과 제 2 송신 전력 P2의 차가 특정 조정량 X 이상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범위를 채널 검출 범위 내에 포함시킬 수 있고, 즉, 채널 검출 범위는 적어도 데이터 전송 범위를 커버하며, 여기서, 상기 조정량 X는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크기와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의 크기의 차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X는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과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차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X는 제 1 빔의 빔 이득과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전력 차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X는 제 1 빔의 빔 이득과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에너지 차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X는 제 1 빔의 빔 이득과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신호대 잡음비의 차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은 제 1 빔에 대응하는 제 1 프리 코딩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제 1 프리 코딩 이득으로 이해될 수도 있고,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은 제 2 빔에 대응하는 제 2 프리 코딩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제 2 프리 코딩 이득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X는 제 1 프리 코딩 이득과 제 2 프리 코딩 이득의 전력 차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X는 제 1 프리 코딩 이득과 상기 제 2 프리 코딩 이득의 에너지 차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X는 제 1 프리 코딩 이득과 상기 제 2 프리 코딩 이득의 신호대 잡음비의 차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빔 및 제 2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계획이고, 제 1 빔을 사용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할 계획이라고 가정하며, 여기서,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는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를 포함(또는 커버)하고, 제 1 빔의 빔 이득은 3dB, 제 2 빔의 빔 이득은 6dB, 제 2 송신 전력 P2는 17dBm이며,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빔의 빔 이득과 제 2 빔의 빔 이득의 차 X = 6dB - 3dB = 3dB를 결정하고, 상응하여, 제 1 송신 전력 P1은 제 2 송신 전력 P2와 X의 합 이상이어야 하며, 즉, P1은 17 + 3 = 20dBm 이상이어야 하고, 즉, 제 1 디바이스는 20dBm 이상의 제 1 송신 전력에 따라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채널 검출에 사용되는 제 1 빔의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제 2 빔의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보다 큰 경우, 제 1 빔의 빔 이득이 제 2 빔의 빔 이득보다 작으면, 제 1 디바이스는 더 큰 제 1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제 1 디바이스는 더 작은 제 2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범위를 채널 검출 범위 이하로 만들고, 나아가 송신 빔과 수신 빔의 불일치로 인한 다른 통신 링크에 대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케이스 2 : 상기 제 1 빔의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가 상기 제 2 빔의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 1 빔의 신호 진폭이 상기 제 2 빔의 신호 진폭보다 크거나, 제 1 빔의 빔 이득이 제 2 빔의 빔 이득보다 크며,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시나리오이다.
이 경우, 제 1 빔은 복수의 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의 제 1 빔은 3 개의 빔을 포함하고, 제 2 빔은 1 개의 빔을 포함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빔 및 제 1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하고, 채널 검출이 성공(즉, 채널 검출 결과가 유휴 상태임)한 후, 제 2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2 송신 전력은 제 1 송신 전력과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빔 및 제 1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하고, 채널 검출이 성공(즉, 채널 검출 결과가 유휴 상태임)한 후, 제 2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2 송신 전력은 제 1 송신 전력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제 2 송신 전력 P2와 제 1 송신 전력 P1의 차가 특정 조정량 X 이하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범위를 채널 검출 범위 내에 포함시킬 수 있고, 즉, 채널 검출 범위는 적어도 데이터 전송 범위를 커버하며, 여기서, 상기 조정량 X는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의 크기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크기의 차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X는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과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차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X는 제 1 빔의 빔 이득과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전력 차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X는 제 1 빔의 빔 이득과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에너지 차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X는 제 1 빔의 빔 이득과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신호대 잡음비의 차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은 제 1 빔에 대응하는 제 1 프리 코딩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제 1 프리 코딩 이득으로 이해될 수도 있고,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은 제 2 빔에 대응하는 제 2 프리 코딩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제 2 프리 코딩 이득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X는 제 1 프리 코딩 이득과 제 2 프리 코딩 이득의 전력 차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X는 제 1 프리 코딩 이득과 상기 제 2 프리 코딩 이득의 에너지 차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X는 제 1 프리 코딩 이득과 상기 제 2 프리 코딩 이득의 신호대 잡음비의 차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빔 및 제 2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계획이고, 제 1 빔을 사용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할 계획이라고 가정하며, 여기서, 제 1 빔은 2 개의 빔을 포함하고, 제 1 빔에 포함된 2 개의 빔의 연합에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는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를 포함(또는 커버)하며, 제 1 빔에 포함 된 2 개의 빔 중 각 빔의 빔 이득은 6dB, 제 2 빔의 빔 이득은 3dB, 제 2 송신 전력 P2는 20dBm이며,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빔의 빔 이득과 제 2 빔의 빔 이득의 차 X = 6dB - 3dB = 3dB를 결정하고, 상응하여, 제 1 송신 전력 P1은 제 2 송신 전력 P2와 X의 차 이상이어야 하며, 즉, P1은 20 - 3 = 17dBm 이상이어야 하고, 즉, 제 1 디바이스는 17dBm 이상의 제 1 송신 전력에 따라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채널 검출에 사용되는 제 1 빔의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제 2 빔의 대응하는 방향 및 커버리지 각도보다 큰 경우, 제 1 빔의 빔 이득이 제 2 빔의 빔 이득보다 크면, 제 1 디바이스는 더 작은 제 1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제 1 디바이스는 더 큰 제 2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범위를 채널 검출 범위 이하로 만들고, 송신 빔과 수신 빔의 불일치로 인한 다른 통신 링크에 대한 간섭을 줄이면서 데이터 전송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며,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100)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빔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제 1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인 경우,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제 2 빔의 정보는 제 2 디바이스(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즉, 제 1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경우,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제 2 빔의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 및 보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빔의 정보는 상기 제 2 빔의 빔 식별자 또는 상기 제 2 빔에 대응하는 제 2 프리 코딩의 정보, 또는 상기 제 2 빔과의 준 코로케이션 QCL 관계를 만족시키는 기준 신호의 신호 인덱스일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빔의 정보에 따라 채널 검출에 사용되는 제 1 빔의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빔의 공간 영역 커버리지가 상기 제 2 빔의 공간 영역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등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100)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제 2 디바이스(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채널 검출에 사용되는 제 1 빔의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즉, 제 1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경우, 채널 검출에 사용되는 제 1 빔의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 및 보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빔의 정보는 상기 제 1 빔의 빔 식별자 또는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제 1 프리 코딩의 정보, 또는 상기 제 1 빔과의 준 코로케이션 QCL 관계를 만족시키는 기준 신호의 신호 인덱스일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제 2 빔의 정보는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지시될 수 있고, 상기 제 1 빔의 정보는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지시될 수도 있고, 또는 제 2 빔의 정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방법(100)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제 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제 2 디바이스는 신호 송신을 위한 제 2 송신 전력의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에게 지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정보에 따라 채널 검출을 위한 제 1 송신 전력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빔의 정보 또는 상기 제 1 빔의 정보와 결합하여 채널 검출을 위한 제 1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빔과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차에 상기 제 2 송신 전력을 더한 결과를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로 결정할 수 있고,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 상기 제 2 지시 정보 및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동일한 지시 정보일 수도 있고, 상이한 지시 정보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지시 정보, 상기 제 2 지시 정보 또는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기존의 메시지 또는 시그널링, 예를 들어,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등에서 운반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지시 정보를 운반하기 위해 새로운 메시지 또는 시그널링이 추가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400)의 개략 흐름도이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방법(400)은
제 1 디바이스가 제 1 빔 및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의 제 1 채널에 대해 채널 검출을 수행하여,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S410과,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경우, 제 1 빔의 커버리지 각도가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제 2 빔의 커버리지 각도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S42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과 상기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은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이 실시예에서, 채널 검출에 사용되는 제 1 빔의 커버리지 각도는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제 2 빔의 커버리지 각도보다 작고, 즉, 채널 검출 범위는 데이터 전송 범위보다 작거나, 채널 검출 범위는 데이터 전송 범위를 완전하게는 커버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시나리오에서, 이 경우에는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하더라도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이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라이센스 스펙트럼 상의 다른 통신 링크에 대한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빔의 커버리지 각도 및 제 2 빔의 커버리지 각도의 크기를 먼저 판단하고, 커버리지 각도의 크기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빔의 커버리지 각도가 상기 제 2 빔의 커버리지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채널 검출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 1 채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것을 직접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신 리소스의 낭비를 피하고, 또는 상기 제 1 빔의 커버리지 각도가 상기 제 2 빔의 커버리지 각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에 대해 채널 검출을 수행하여 후속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현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빔은 제 1 빔 집합 내의 빔이고, 상기 제 2 빔은 제 2 빔 집합 내의 빔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400)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빔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400)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이상,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하기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장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장치 실시예와 방법 실시예는 서로 대응하고 유사한 설명은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500)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디바이스(500)는
제 1 빔 및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의 제 1 채널에 대해 채널 검출을 수행하여,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510)과,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경우,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52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는 제 1 송신 전력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통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 2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와 다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모듈(520)은 또한,
제 2 빔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제 2 빔은 상기 제 1 빔과 다르고, 상기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과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빔은 제 1 빔 집합 내의 빔이고, 상기 제 2 빔은 제 2 빔 집합 내의 빔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은 상기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빔의 커버리지 각도는 상기 제 2 빔의 커버리지 각도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보다 작고, 상기 제 2 송신 전력은 상기 제 1 송신 전력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에서 조정량을 뺀 것과 동일하며, 여기서, 상기 조정량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크기와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의 크기의 차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보다 크고, 상기 제 2 송신 전력은 상기 제 1 송신 전력과 같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보다 크고, 상기 제 2 송신 전력은 상기 제 1 송신 전력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에 조정량을 더한 것과 동일하며, 여기서, 상기 조정량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크기와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의 크기의 차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모듈(520)은 또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결정 모듈(510)은 또한, 상기 제 2 빔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모듈(520)은 또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모듈(520)은 또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제 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결정 모듈(510)은 또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5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500)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제 1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디바이스(500)에서의 각 유닛의 상기 및 기타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1에 나타낸 방법(100)에서의 제 1 디바이스의 해당 흐름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7의 디바이스(600)는
제 1 빔 및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의 제 1 채널에 대해 채널 검출을 수행하여,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610)과,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경우, 제 1 빔의 커버리지 각도가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제 2 빔의 커버리지 각도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통신 모듈(62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과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빔은 제 1 빔 집합 내의 빔이고, 상기 제 2 빔은 제 2 빔 집합 내의 빔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모듈(620)은 또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결정 모듈(610)은 또한, 상기 제 2 빔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모듈(620)은 또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6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600)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구체적으로, 이 디바이스(600)는 상기 방법(400)에서 설명된 제 1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예를 들어,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구성되거나 또는 그 자체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일 수 있고), 이 디바이스(600)에서의 각 모듈 또는 유닛은 각각, 상기 방법(400)에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700)를 더 제공하고, 상기 디바이스(700)는 도 6의 디바이스(500)일 수 있으며, 도 1의 방법(100)에 대응하는 제 1 디바이스의 내용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700)는 입력 인터페이스(710), 출력 인터페이스(720), 프로세서(730) 및 메모리(740)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710), 출력 인터페이스(720), 프로세서(730) 및 메모리(7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740)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프로세서(730)는 상기 메모리(740) 내의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실행하여, 신호를 수신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710)를 제어하고 신호를 송신하도록 출력 인터페이스(720)를 제어하며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완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7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단순히 "CPU"라 칭함)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730)는 또한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74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730)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740)의 일부는 또한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40)는 또한 디바이스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730) 내의 하드웨어의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완료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어 완료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해당 기술 분야에서의 성숙된 기록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메모리(740)에 배치되며, 프로세서(730)는 메모리(740) 내의 정보를 읽고 그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도 6의 디바이스(500)에 포함된 결정 모듈(510)은 도 8의 프로세서(730)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도 6의 디바이스(500)에 포함된 통신 모듈(520)은 도 8의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710) 및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72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800)를 더 제공하고, 상기 디바이스(800)는 도 7의 디바이스(600)일 수 있으며, 도 4의 방법(400)에 대응하는 제 1 디바이스의 내용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800)는 입력 인터페이스(810), 출력 인터페이스(820), 프로세서(830) 및 메모리(840)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810), 출력 인터페이스(820), 프로세서(830) 및 메모리(8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840)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프로세서(830)는 상기 메모리(840) 내의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실행하여, 신호를 수신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810)를 제어하고 신호를 송신하도록 출력 인터페이스(820)를 제어하며 전술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완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8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단순히 "CPU"라 칭함)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830)는 또한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84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830)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840)의 일부는 또한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840)는 또한 디바이스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830) 내의 하드웨어의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완료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어 완료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해당 기술 분야에서의 성숙된 기록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메모리(840)에 배치되며, 프로세서(830)는 메모리(840) 내의 정보를 읽고 그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도 7의 디바이스(600)에 포함된 결정 모듈(610)은 도 9의 프로세서(830)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도 7의 디바이스(600)에 포함된 통신 모듈(620)은 도 9의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810) 및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82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더 제안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은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명령을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안하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방법의 대응하는 흐름을 실행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실행되는지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상의 제약 조건에 의존한다. 당업자라면 특정 용도별로 부동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재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아니 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그체적인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공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으로도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에 따른 구분이며, 실제로 실현할 때는 다른 구분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가 조합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도 있으며, 혹은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나타내거나 논의된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현될 수 있으며,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도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해결책을 실시하는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고, 또한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공헌한 부분 또는 이 기술 방안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며, 한 대의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에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록 매체는 USB 메모리, 모바일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가능한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대체를 용이하게 구상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40)

  1. 제 1 디바이스가 제 1 빔 및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의 제 1 채널에 대해 채널 검출을 수행하여,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는 제 1 송신 전력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빔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빔은 상기 제 1 빔과 다르며, 상기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과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은 제 1 빔 집합 내의 빔이고, 상기 제 2 빔은 제 2 빔 집합 내의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은 상기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빔의 커버리지 각도는 상기 제 2 빔의 커버리지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보다 작고, 상기 제 2 송신 전력은 상기 제 1 송신 전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에서 조정량을 뺀 것과 동일하며, 상기 조정량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크기와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의 크기의 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보다 크고, 상기 제 2 송신 전력은 상기 제 1 송신 전력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에 조정량을 더한 것과 동일하며, 상기 조정량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크기와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의 크기의 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빔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제 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 디바이스가 제 1 빔 및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의 제 1 채널에 대해 채널 검출을 수행하여,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경우, 제 1 빔의 커버리지 각도가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제 2 빔의 커버리지 각도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과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은 제 1 빔 집합 내의 빔이고, 상기 제 2 빔은 제 2 빔 집합 내의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빔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 빔 및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의 제 1 채널에 대해 채널 검출을 수행하여,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과,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경우,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는 제 1 송신 전력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통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 2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제 2 빔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빔은 상기 제 1 빔과 다르고, 상기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과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은 제 1 빔 집합 내의 빔이고, 상기 제 2 빔은 제 2 빔 집합 내의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은 상기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빔의 커버리지 각도는 상기 제 2 빔의 커버리지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보다 작고, 상기 제 2 송신 전력은 상기 제 1 송신 전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에서 조정량을 뺀 것과 동일하며, 상기 조정량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크기와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의 크기의 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8.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보다 크고, 상기 제 2 송신 전력은 상기 제 1 송신 전력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신 전력의 크기에 조정량을 더한 것과 동일하며, 상기 조정량은 상기 제 2 빔의 빔 이득의 크기와 상기 제 1 빔의 빔 이득의 크기의 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0. 제23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 2 빔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1. 제23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2. 제23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제 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 2 송신 전력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3. 제2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4. 제2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5. 제 1 빔 및 제 1 에너지 검출 역치를 사용하여 비라이센스 캐리어 상의 제 1 채널에 대해 채널 검출을 수행하여,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과,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경우, 제 1 빔의 커버리지 각도가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제 2 빔의 커버리지 각도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빔에 대응하는 방향과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방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은 제 1 빔 집합 내의 빔이고, 상기 제 2 빔은 제 2 빔 집합 내의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빔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빔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0.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207029016A 2018-03-21 2018-03-21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001353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79875 WO2019178776A1 (zh) 2018-03-21 2018-03-21 传输信息的方法和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389A true KR20200135389A (ko) 2020-12-02

Family

ID=6798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016A KR20200135389A (ko) 2018-03-21 2018-03-21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50455B2 (ko)
EP (1) EP3771247B1 (ko)
JP (1) JP2021520088A (ko)
KR (1) KR20200135389A (ko)
CN (1) CN111886886A (ko)
AU (1) AU2018414355A1 (ko)
WO (1) WO2019178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9357B2 (ja) * 2018-06-20 2021-07-07 株式会社東芝 電子装置、システムおよび給電方法
US20210307063A1 (en) * 2020-03-27 2021-09-30 Qualcomm Incorporated Hierarchical sens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15699849B (zh) * 2020-08-07 2024-08-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设备
WO2023050346A1 (zh) * 2021-09-30 2023-04-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能量检测门限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3363B2 (en) * 2014-06-24 2017-08-22 Qualcomm Incorporated CCA clearance in unlicensed spectrum
US10064066B2 (en) * 2014-10-20 2018-08-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6160966B (zh) 2015-03-30 2021-01-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占用信号的发送方法及装置
CN107027123A (zh) * 2016-02-02 2017-08-08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的装置和方法、频谱管理装置
US10568136B2 (en) * 2016-05-23 2020-02-1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transmissions in a customized C-RAN
US10541741B2 (en) * 2016-05-26 2020-01-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switching and reporting
CN107734560B (zh) * 2016-08-12 2023-09-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通信设备及通信系统
WO2019061085A1 (zh) * 2017-09-27 2019-04-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道检测、信息发送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07820259B (zh) * 2017-11-09 2021-06-1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波束的信道空闲的确定方法和设备
US11395154B2 (en) * 2019-04-18 2022-07-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sensing beam for an LBT procure
US11864127B2 (en) * 2019-06-04 2024-01-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automatic association of pathloss reference and spatial relations for fast uplink beam switching
US20210307063A1 (en) * 2020-03-27 2021-09-30 Qualcomm Incorporated Hierarchical sens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11206620B2 (en) * 2020-04-17 2021-12-21 Qualcomm Incorporated Beam gain signa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71247B1 (en) 2023-05-10
JP2021520088A (ja) 2021-08-12
US11350455B2 (en) 2022-05-31
AU2018414355A1 (en) 2020-11-12
WO2019178776A1 (zh) 2019-09-26
US20210007141A1 (en) 2021-01-07
EP3771247A4 (en) 2021-03-10
CN111886886A (zh) 2020-11-03
EP3771247A1 (en)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83596B (zh) 上行链路波束训练
US116223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nel sensing and signal transmission
US1135045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hannel detection on unlicensed carrier
US11510159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1204085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102542968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기기
US11895683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117928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
US11115990B2 (en) UE autonomous beam selection
CN117397173A (zh) 信息传输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5884408B (zh) 用于信号传输的方法和设备
JP2021515428A (ja) 信号伝送方法及び装置、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