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959A - 어항 - Google Patents

어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959A
KR20200134959A KR1020190061214A KR20190061214A KR20200134959A KR 20200134959 A KR20200134959 A KR 20200134959A KR 1020190061214 A KR1020190061214 A KR 1020190061214A KR 20190061214 A KR20190061214 A KR 20190061214A KR 20200134959 A KR20200134959 A KR 20200134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se
floor plate
fish tan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142B1 (ko
Inventor
정충원
Original Assignee
정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충원 filed Critical 정충원
Priority to KR102019006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14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항은 물을 저장하며, 측면, 상부바닥판 및 하부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닥판에 제1개구와 제2개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부바닥판에 제3개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측케이스, 상기 상측케이스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3개구를 통해 상기 상측케이스의 내부에 연통하여 물을 수용하는 하측케이스, 상기 하측케이스의 물을 정화하는 필터,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된 물을 상기 상측케이스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제3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2개구로 이어지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항 {FISHBOWL}
본 발명은 어항에 관한 것이다.
금붕어, 열대어 등의 관상용 물고기를 기르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어항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어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고기의 배설물, 각종 찌꺼기, 먹이 등에 의해 물이 혼탁해지거나 이끼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어항의 수질 상태가 저하되어 세균이 번식하기 쉽고 악취가 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물고기가 쉽게 병에 걸리거나 죽을 수 있다. 따라서 어항의 수질 상태에 따라 주기적으로 물을 갈아줘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가 용이한 어항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항은 물을 저장하며, 측면, 상부바닥판 및 하부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닥판에 제1개구와 제2개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부바닥판에 제3개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측케이스, 상기 상측케이스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3개구를 통해 상기 상측케이스의 내부에 연통하여 물을 수용하는 하측케이스, 상기 하측케이스의 물을 정화하는 필터,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된 물을 상기 상측케이스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제3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2개구로 이어지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바닥판과 상기 하부바닥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개구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바닥판에 접하거나 상기 하부바닥판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3개구를 개폐하고, 제4개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차단판 및 상기 제4개구로부터 상기 제2개구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조절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개구의 내면과 상기 조절관의 외면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관의 상단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에 대응되는 형태의 끝단을 갖는 조절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케이스의 내부를 상하로 분할하며, 제5개구와 제6개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간판, 상기 펌프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6개구에 연결되는 하측관 및 상기 제6개구로부터 상기 제3개구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4개구에 삽입되며, 상기 제3개구보다 작게 형성되는 중간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판 위에 여과재가 설치되며, 상기 중간판 아래에 상기 필터와 상기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개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방되는 상측관 및 상기 상측관으로부터 상기 상측케이스의 상단으로 더 연장되어 개방되는 연장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의 상단의 내경을 가변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의 상단 위를 감싸는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케이스의 하부와 상기 하측케이스의 하부에 서로 대응되는 홈과 훅이 형성되어 맞물림으로써, 상기 하측케이스가 상기 상측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케이스의 하부와 상기 하측케이스의 하부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맞물림으로써, 상기 하측케이스가 상기 상측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항은 수중 생물이 서식하는 상측케이스 및 상측케이스의 내부에 연통하며 필터가 설치되는 하측케이스를 포함하되,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필요시 하측케이스를 분리하여 필터를 교체하거나 하측케이스를 세척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하측케이스를 분리할 때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 사이를 차단하여 상측케이스에 조성된 수중 생물의 서식 환경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2는 도 1에서 상측케이스의 측면과 장식부재를 제거한 모습이다.
도 3은 도 2에서 연장관을 제거한 모습이다.
도 4는 도 3에서 상측케이스의 상부바닥판과 상측관을 제거한 모습이다.
도 5는 도 4에서 상측케이스의 하부바닥판, 차단판, 조절관 및 하측케이스의 측면을 제거한 모습이다.
도 6은 도 5에서 여과재를 제거한 모습이다.
도 7은 도 6에서 중간판 및 중간관을 제거한 모습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의 상측케이스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9는 도 8에서 상측케이스의 하부바닥판을 제거한 모습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항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어항(100, 2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100)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또한 도 2는 도 1에서 상측케이스(110)의 측면(111)과 장식부재(170)를 제거한 모습이며, 도 3은 도 2에서 연장관(160)을 제거한 모습이고, 도 4는 도 3에서 상측케이스(110)의 상부바닥판(112)과 상측관(114)을 제거한 모습이며, 도 5는 도 4에서 상측케이스(110)의 하부바닥판(113), 차단판(121), 조절관(122) 및 하측케이스(130)의 측면(131)을 제거한 모습이고, 도 6은 도 5에서 여과재(151)를 제거한 모습이며, 도 7은 도 6에서 중간판(141)과 중간관(142)을 제거한 모습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100)의 상측케이스(110)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9는 도 8에서 상측케이스(110)의 하부바닥판(113)을 제거한 모습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100)은 상측케이스(110), 차단판(121), 조절관(122), 하측케이스(130), 중간판(141), 중간관(142), 여과재(151), 필터(152) 및 펌프(153)를 포함한다.
상측케이스(110)는 물을 저장하여 물고기, 수초 등의 수중 생물이 서식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측케이스(110)는 측면(111), 상부바닥판(112) 및 하부바닥판(113)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측면(111)이 전체적으로 구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그 상부가 개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부바닥판(112)은 상측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대한 바닥을 이룬다. 또한 상부바닥판(112)에는 제1개구(O1)와 제2개구(O2)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제1개구(O1)는 상측케이스(110)의 물이 아래로 빠져 내려갈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수중 생물, 먹이 등이 함께 빠져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개구(O1)는 비교적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개구(O1)가 상부바닥판(112)에 걸쳐 전체적으로 분포되고, 제2개구(O2)가 상부바닥판(112)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하부바닥판(113)은 상측케이스(110)의 외형에 대한 하면을 이룬다. 또한 하부바닥판(113)은 상부바닥판(112)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부바닥판(112)과 하부바닥판(113)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하부바닥판(113)에는 제3개구(O3)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제3개구(O3)가 하부바닥판(113)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차단판(121)은 상부바닥판(112)과 하부바닥판(113) 사이에 배치된다.
차단판(121)의 직경은 하부바닥판(113)의 제3개구(O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차단판(121)은 하부바닥판(113)에 접하여 제3개구(O3)를 폐쇄할 수도 있고, 하부바닥판(113)으로부터 이격되어 제3개구(O3)를 개방할 수도 있다.
또한 차단판(121)에는 제4개구(O4)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단 제4개구(O4)의 직경은 제3개구(O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관(122)은 차단판(121)의 제4개구(O4)로부터 상부바닥판(112)의 제2개구(O2)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이때 조절관(122)은 차단판(12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형성되어 차단판(121)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조절관(122)의 외경은 상부바닥판(112)의 제2개구(O2)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나아가 제2개구(O2)의 내면과 조절관(122)의 외면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맞물린다. 따라서 조절관(122)이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차단판(121)이 함께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부바닥판(113)에 접할 수 있다. 즉 제3개구(O3)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조절관(122)이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차단판(121)이 함께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하부바닥판(113)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제3개구(O3)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조절관(122)의 길이는 후술할 상측관(11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조절관(122)의 상단이 상측관(114)의 상단 너머로 더 돌출될 수 있다.
하측케이스(130)는 상측케이스(110)의 제1개구(O1)와 제3개구(O3)를 통해 상측케이스(110)의 내부에 연통하여 물을 수용한다.
이러한 하측케이스(130)는 측면(131)과 바닥판(132)을 포함하며, 상측케이스(110)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측케이스(110)의 하부와 하측케이스(130)의 상부에 서로 대응되는 홈과 훅(Hook)이 형성되어 맞물릴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측케이스(110)의 하부에 홈이 형성되고, 하측케이스(130)의 상부에 훅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홈과 훅이 그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측케이스(130)의 측면(131)의 하부 또는 바닥판(132)에는 하측케이스(130)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133)이 설치된다.
중간판(141)은 하측케이스(130)의 내부에 배치되어 하측케이스(130)의 내부를 상하로 분할한다. 이를 위해 중간판(141)의 외경이 하측케이스(13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지지대(134)가 하측케이스(130)의 바닥판(13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중간판(141)이 지지대(134)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지지대(134)가 하측케이스(130)의 측면(13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중간판(141)에는 제5개구(O5)와 제6개구(O6)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제5개구(O5)는 하측케이스(130)의 상부 공간의 물이 아래로 빠져 내려갈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5개구(O5)도 비교적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5개구(O5)가 중간판(141)에 걸쳐 전체적으로 분포되고, 제6개구(O6)가 중간판(141)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하측케이스(130)의 상부 공간, 즉 중간판(141) 위에는 여과재(15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측케이스(130)의 하부 공간, 즉 중간판(141) 아래에는 필터(152)와 펌프(153)가 설치된다. 필터(152)는 하측케이스(130)의 물을 정화하는 역할을 하고, 펌프(153)는 필터(152)에 의해 정화된 물을 상측케이스(1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여과재(151), 필터(152) 및 펌프(153)의 개별적인 구조는 공지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그로부터 쉽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하측관(135)은 펌프(15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중간판(141)의 제6개구(O6)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중간판(141)의 하면에서 제6개구(O6)의 둘레에 홈이 형성되어 하측관(135)이 그 홈에 맞물릴 수 있다. 물론 하측관(135)이 제6개구(O6)에 긴밀하게 연결될 수만 있다면 중간판(141)의 하면에서 제6개구(O6)의 둘레에 돌기가 형성되어 그 돌기가 하측관(135)의 상단에 맞물릴 수도 있을 것이다.
중간관(142)은 중간판(141)의 제6개구(O6)로부터 하부바닥판(113)의 제3개구(O3)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부바닥판(112)의 제2개구(O2)에 삽입된다. 이때 중간관(142)은 중간판(14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형성되어 중간판(141)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중간관(142)의 외경은 제3개구(O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중간관(142)이 제3개구(O3)를 관통하여 연장되더라도 중간관(142) 자체는 제3개구(O3)를 폐쇄하지 않는다.
또한 중간관(142)의 외경은 제2개구(O2)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중간관(142)이 제2개구(O2)에 삽입되었을 때 제2개구(O2)와 중간관(142) 사이에 틈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측관(114)은 상부바닥판(112)의 제2개구(O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방된다. 이때 상측관(114)은 상부바닥판(11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형성되어 상부바닥판(112)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어항(100)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어항(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차단판(121)이 하부바닥판(113)으로부터 이격되어 하부바닥판(113)의 제3개구(O3)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로 가상한다.
이 경우 상측케이스(110)의 물은 상부바닥판(112)의 제2개구(O2)와 하부바닥판(113)의 제3개구(O3)를 통해 하측케이스(130)의 상부 공간으로 내려가 여과재(151)에 의해 일차적으로 여과된다.
이후 여과재(151)에 의해 여과된 물은 중간판(141)의 제5개구(O5)를 통해 하측케이스(130)의 하부 공간으로 내려가 필터(152)에 의해 정화된다.
또한 필터(152)에 의해 정화된 물은 펌프(153)에 의해 하측관(135), 중간관(142) 및 상측관(114)을 차례로 지나 상측케이스(110)의 내부로 들어가며, 전술한 순환이 반복된다.
한편 어항(100)은 연장관(160)과 장식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160)은 상측관(114)으로부터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 개방된다. 이를테면 연장관(160)의 상단이 상측케이스(110)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필터(152)에 의해 정화된 물이 상측케이스(110)의 상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부바닥판(112)의 제1개구(O1)로부터 먼 지점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152)에 의해 정화된 물이 곧바로 제1개구(O1)를 통해 다시 아래로 빠져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연장관(160)의 상단에는 그 내경을 가변함으로써 연장관(16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61)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장식부재(170)가 수도꼭지 모형품(171)과 물레방아 모형품(172)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수도꼭지 모형품(171)은 연장관(160)의 상단 위를 감싸고 있어, 연장관(16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사방으로 튀지 않고 자연스럽게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다. 또한 연장관(160)이 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경우, 마치 수도꼭지 모형품(171)으로부터 공중에서 물이 떨어지는 듯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수도꼭지 모형품(171)의 끝단에 조명이 설치되어 장식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어항(100)을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필터(152)가 오염되거나 하측케이스(130)를 세척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먼저 펌프(153)의 작동을 중단하고, 조절관(122)을 시계 방향으로 돌려 하부바닥판(113)의 제3개구(O3)를 폐쇄한다.
이때 조절관(122)의 상단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요철에 대응되는 형태의 끝단을 갖는 별도의 조절기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상측관(114)으로부터 연장관(160)을 분리한 후 조절관(122)의 상단에 조절기구(180)의 끝단을 체결하여 조절기구(180)를 이용해 조절관(122)을 돌릴 수 있다. 또한 조절기구(180)는 후속 과정을 진행하는 동안 조절관(122)에 계속 결합되어 있어 조절관(122)(다시 말해 차단판(121)의 제4개구(O4))을 폐쇄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조절기구(18)가 구비될 필요 없이, 조절관(122)과 연장관(1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연장관(160)을 돌림으로써 조절관(122)을 돌릴 수도 있다. 이 경우 연장관(160)의 상단은 상측케이스(110)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해 있기 때문에, 제4개구(O4)를 인위적으로 폐쇄하지 않더라도 상측케이스(110)의 물이 연장관(160)으로 넘어가 역류할 염려가 없다.
다음으로 배수관(133)을 개방하여 하측케이스(130)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고, 상측케이스(110)로부터 하측케이스(130)를 분리하여 필터(152)를 교체하거나 하측케이스(130)를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3개구(O3)와 제4개구(O4)를 폐쇄했기 때문에, 상측케이스(110)의 물이 아래로 빠져 내려가지 않으므로, 상측케이스(110)에 조성된 수중 생물의 서식 환경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측케이스(110)에 하측케이스(130)를 다시 결합한 후 조절기구(180)를 이용해 조절관(122)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제3개구(O3)를 개방하고 연장관(160)을 결합하며 펌프(153)를 구동한다. 또한 이와 함께 상측케이스(110)나 하측케이스(130)의 내부에 물을 적절하게 보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항(200)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항(200)은 앞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100)과 비교할 때, 상측케이스(210)의 측면(211)이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점, 상측케이스(210)와 하측케이스(230)가 서로 결합되는 방식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그밖에 다른 사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혹 상이한 부분이 있더라도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기 차이에 대응하여 당연히 변경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도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해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측케이스(210)의 하부와 하측케이스(230)의 상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맞물린다. 따라서 상측케이스(210)에 대해 하측케이스(230)를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돌려 분해하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결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어항(100, 20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항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할 것이다.
100, 200: 어항
110, 210: 상측케이스
111, 211: 상측케이스의 측면
112: 상부바닥판
113: 하부바닥판
114: 상측관
121: 차단판
122: 조절관
130, 230: 하측케이스
131: 하측케이스의 측면
132: 바닥판
133: 배수관
134: 지지대
135: 하측관
141: 중간판
142: 중간관
151: 여과재
152: 필터
153: 펌프
160: 연장관
161: 가이드부재
170: 장식부재
171: 수도꼭지
172: 물레방아
180: 조절기구
O1: 상부바닥판의 제1개구
O2: 상부바닥판의 제2개구
O3: 하부바닥판의 제3개구
O4: 차단판의 제4개구
O5: 중간판의 제5개구
O6: 중간판의 제6개구

Claims (9)

  1. 물을 저장하며, 측면, 상부바닥판 및 하부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닥판에 제1개구와 제2개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부바닥판에 제3개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측케이스,
    상기 상측케이스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3개구를 통해 상기 상측케이스의 내부에 연통하여 물을 수용하는 하측케이스,
    상기 하측케이스의 물을 정화하는 필터,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된 물을 상기 상측케이스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제3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2개구로 이어지는 유로를 포함하는 어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닥판과 상기 하부바닥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개구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바닥판에 접하거나 상기 하부바닥판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3개구를 개폐하고, 제4개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차단판 및
    상기 제4개구로부터 상기 제2개구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조절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개구의 내면과 상기 조절관의 외면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맞물리는 어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의 상단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에 대응되는 형태의 끝단을 갖는 조절기구를 더 포함하는 어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케이스의 내부를 상하로 분할하며, 제5개구와 제6개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간판,
    상기 펌프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6개구에 연결되는 하측관 및
    상기 제6개구로부터 상기 제3개구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4개구에 삽입되며, 상기 제3개구보다 작게 형성되는 중간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판 위에 여과재가 설치되며,
    상기 중간판 아래에 상기 필터와 상기 펌프가 설치되는 어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방되는 상측관 및
    상기 상측관으로부터 상기 상측케이스의 상단으로 더 연장되어 개방되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는 어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의 상단의 내경을 가변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어항.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의 상단 위를 감싸는 부재를 더 포함하는 어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케이스의 하부와 상기 하측케이스의 하부에 서로 대응되는 홈과 훅이 형성되어 맞물림으로써, 상기 하측케이스가 상기 상측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케이스의 하부와 상기 하측케이스의 하부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맞물림으로써, 상기 하측케이스가 상기 상측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항.
KR1020190061214A 2019-05-24 2019-05-24 어항 KR102264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214A KR102264142B1 (ko) 2019-05-24 2019-05-24 어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214A KR102264142B1 (ko) 2019-05-24 2019-05-24 어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959A true KR20200134959A (ko) 2020-12-02
KR102264142B1 KR102264142B1 (ko) 2021-06-11

Family

ID=7379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214A KR102264142B1 (ko) 2019-05-24 2019-05-24 어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012A (ko) 2021-02-09 2022-08-17 윤성민 시인성과 방수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개량형 led 로프 및 그 구동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867Y1 (ko) 1996-12-13 2000-01-15 이용찬 수족관의 여과실 도아
KR20080035229A (ko) 2006-10-19 2008-04-23 양기해 테라리움이 있는 공기정화 이단수족관
KR20100068045A (ko) 2008-12-12 2010-06-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867Y1 (ko) 1996-12-13 2000-01-15 이용찬 수족관의 여과실 도아
KR20080035229A (ko) 2006-10-19 2008-04-23 양기해 테라리움이 있는 공기정화 이단수족관
KR20100068045A (ko) 2008-12-12 2010-06-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012A (ko) 2021-02-09 2022-08-17 윤성민 시인성과 방수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개량형 led 로프 및 그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142B1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0296B2 (ja) 二枚貝等の底棲生物の多段式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バイオフィルター
JP5029854B2 (ja) 二枚貝等の底棲生物の養殖装置
KR20180123881A (ko) 아쿠아포닉스시스템
KR101483606B1 (ko)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KR101293737B1 (ko) 다층사육이 가능한 전복사육수조
KR100875803B1 (ko) 순환 유수식 양어장
KR101698643B1 (ko) 수조용 올인원 여과 장치
KR20100076721A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KR20200134959A (ko) 어항
US10264767B2 (en) Multi-level apartment type three-dimensional water tank
JP3215559U (ja) 養殖水槽
KR101323747B1 (ko) 수족관
US20150034539A1 (en) Algae scrubber macroalgal attachment materials - appendages
JP4746140B1 (ja) 生物育成水槽
JP3184500U (ja) 多段式観賞用水槽
CN215012721U (zh) 水族箱的过滤系统及水族箱
KR101412045B1 (ko) 이중배수장치가 장착된 수서생물 다단시스템 사육용 유리수조
CN113170756A (zh) 水族箱
CN208175803U (zh) 一种自洁自排式鱼花共养装置
JP2554820Y2 (ja) 観賞用鉢物植物への自動底面灌水装置
JP2011250782A (ja) 生物育成水槽
JP2017184643A (ja) ホタル幼虫育成システム及びホタル幼虫育成方法
CN215454767U (zh) 水族箱
TWM505182U (zh) 竹節式魚菜共生裝置
KR102388457B1 (ko) 복층 구조의 수족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