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796A - 엔진효율 향상 촉매조성물 공급을 위한 촉매용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촉매조성물 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엔진효율 향상 촉매조성물 공급을 위한 촉매용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촉매조성물 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796A
KR20200134796A KR1020190060823A KR20190060823A KR20200134796A KR 20200134796 A KR20200134796 A KR 20200134796A KR 1020190060823 A KR1020190060823 A KR 1020190060823A KR 20190060823 A KR20190060823 A KR 20190060823A KR 20200134796 A KR20200134796 A KR 20200134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atalyst
pipe
ga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김도현
김준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김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김도현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1020190060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796A/ko
Publication of KR2020013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2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6Ruthenium, rhodium, osmium or iridium
    • B01J23/462Ruthe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용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촉매조성물을 담는 촉매용기, 상기 촉매용기의 상부에서 용기를 닫아주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 상부에 통공되는 2개의 관통홀 중 일측에 삽입되는 기화가스관, 상기 기화가스관은 기화가스를 이송하며, 상기 기화가스관과 연결되는 연결분기관, 상기 연결분기관의 일측으로는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공기는 이송된 기화가스와 혼합되어 혼합기체를 이루며, 타측으로 연결된 노즐관로 혼합기체를 이송하며, 상기 노즐관은 엔진 흡기라인방향으로 개구되어 혼합기체를 이송해 내연기관의 연소행정시 연료와 혼합기체가 혼합되어 완전연소를 이루도록 하며, 유해배출가스를 저감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용기장치는 내연기관의 연소 시 혼합기체를 주입하여 동력장치의 연소를 촉진함으로 완전연소를 유도하고, 폭발력을 높여 연비의 향상 및 엔진출력의 증강을 이루며, 유해배출가스저감, 엔진소음감소의 효과를 이뤄내는 것이다.

Description

엔진효율 향상 촉매조성물 공급을 위한 촉매용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촉매조성물 공급방법{Combustion aids for improving engine efficiency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본 발명은 엔진효율 향상 촉매조성물 공급을 위한 촉매용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내연기관에서 연소시 촉매용기에 담긴 백금 및 루테늄 등의 촉매조성물이 기화되어 기화가스를 이루고, 상기 기화가스는 통공된 2개의 관통홀의 일측에 결합되는 기화가스관으로 기화가스가 이송되고, 상기 기화가스관과 연결된 연결분기관으로 기화가스가 이송되며, 상기 연결분기관의 일측으로 들어오는 공기와 기화가스가 혼합되어 혼합기체를 이루며, 상기 혼합기체는 엔진 흡기라인 방향으로 개구된 노즐관로 이송되며, 상기 엔진 흡기라인로 혼합기체가 공급되어 자동차 및 내연기관을 소유한 동력장치 흡기라인의 연소진행시 이송된 혼합기체를 통해 연소효율이 향상되어 출력증강, 연비향상, 매연감소의 효율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가가 불안정하게 등락을 반복하면서 이제는 생활에 필수 용품이 된 자동차의 유지에도 유가의 등락이 부담으로 다가오면서 자연스럽게 연비가 자동차 구매의 중요한 선택요건으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이와같이 기술과 더불어 동력장치의 발전이 영위되면서 인류의 편의성을 충족시키는 반면 자동차의 증가에 따른 배기가스 배출의 문제가 환경의 오염의 문제점이 발생되어왔다.
따라서 연비의 향상과 배기가스 배출의 문제를 잡기 위해서는 기존의 동력장치들의 가동방법에 관련구조를 알아야 연비의 증진 및 배기가스 배출의 감소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자동차 및 동력장치의 엔진 또는 디젤기관이나 가스터빈은 연료와 공기를 혼합주입하여 엔진의 실린더 내부로 유입시키고, 혼합된 공기를 유입점화 시켜서 동력을 얻는 것으로 LPG, 가솔린 또는 경유 등을 주된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자동차 및 동력장치의 엔진은 분사되는 연료가 연소할 수 있도록 공기여과기에서 흡입된 공기를 필터에서 정화한 후 기화기나 분사기로 분사되는 연료와 혼합하여 폭발시켜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엔진의 출력은 회전수와 배기량 및 실린더속의 혼합기체 압력에 비례하는 것이므로 배기량과 엔진의 회전수가 정해진 상태에서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혼합기체의 압력을 높여야 하며, 혼합기체의 압력을 높이기 위한 일련의 과정으로는 공기 흡입도를 증가시켜 연료와 공기의 완전한 혼합이 이뤄지도록 구성해야한다.
그러나 밀폐된 실린더 속에서의 연료와 공기의 혼합은 압축 및 점화하여 연료속의 탄소를 급속히 연소시키며 연소 후 가스는 외부로 배출하며 이때 공기를 흡입하는데 외부로 버리는 기체가 질소산화물로 이루어진 배기가스이므로 배기가스를 저감시키는 촉매의 역할이 대두되어져왔다.
이와같이 연소효율향상조성물 기체의 역할은 연료가 실린더에서 연소가 이루어진 뒤 배출되는 질소산화물로 이루어진 유해 배기가스를 환경에 무해하게 처리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자동차에서 배출하는 유해가스는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입자상 물질(PM), 매연, 질소산화물(NOx)등이 배출되며 질소산화물(NOx)를 제외하면 연료가 완전히 연소되지 못하면서 발생되는 결과물이다.
실린더 내부는 고온, 고압이라는 조건이 유지되므로 질소가 산소와 반응하면서 질소산화물이 생성되는데 이때 연소 촉매가 투입되면 실린더 내에서의 저온연소를 유도하여 질소산화물 저감에 효과가 있다.
종래의 기술로는 공개특허인 차량용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련한 내용이 있다.
차량용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장치에는 내연기관의 공기 흡입구로 공급하는 공급라인을 통해 음이온이 공급되어지고 공급된 음이온을 통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킨다라고 기재되어 있지만, 음이온으로 연소효율을 증진 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더불어 배출가스의 절감을 통해 환경문제를 정화할 수 있는 여건이 부족하여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연소의 향상과 더불어 유해배출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장치 형성이 필요 되어졌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9743호(2013. 11. 01)
본 발명은 엔진효율 향상 촉매조성물 공급을 위한 촉매용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소행정시 내연기관으로 혼합기체를 공급하여, 엔진출력의 증강과 연비 향상 및 엔진 소음의 감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백금과 루테늄 등을 성분으로 하는 촉매조성물을 기화시킨 기화가스는 공기와 혼합되어 내연기관의 흡기라인로 공급된다. 상기 내연기관은 흡기행정으로 실린더에 공기를 공급하고 압축행정에서 실린더의 공기를 압축하면서 연료를 분사시켜 폭발을 일으켜 동력을 얻게 된다.
상기 실린더에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행정시 공급되는 공기에 상기 촉매조성물을 기화시킨 기화가스를 혼합시킨 혼합가스를 실린더에 공급하고 혼합기체를 압축할 때 연료를 분사시키게 되면 엔진의 출력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 촉매조성물이 기화된 기화가스는 촉매용기의 헤드부에 착설된 기화가스관을 통해 이송된다. 상기 기화가스관은 엔진 흡기라인으로 직접연결하거나 공기의 공급을 위하여 연결분기관을 상기 기화가스관과 노즐관 사이에 끼워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분기관의 일측은 기화가스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노즐관과 연결되며, 다른 개구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기화가스관의 기화가스와 혼합되어 노즐관으로 유입된다. 상기 연결분기관은 기화가스관과 노즐관 사이에 1~3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분기관 사이는 짧은 노즐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 상부에 통공된 2개의 관통홀 중 일측으로 공기관이 삽입되고, 상기 공기관을 통하여 촉매용기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며, 공기관은 촉매용기 내부의 촉매조성물에 잠겨지지 않도록 삽입된다.
상기 공기관은 촉매용기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려도 촉매용기 내부의 촉매조성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룸 내부의 충격과 진동으로 인한 보호용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가 형성되어 엔진룸 내부로 탈 부착이 편리하도록 형성된 보호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용기장치는 촉매조성물을 담는 촉매용기, 상기 촉매용기를 닫아주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 상부에 통공된 2개의 관통홀중 일측에 삽입되어 기화가스를 배출하는 기화가스관, 상기 기화가스관과 연결되어 기화가스를 이송하는 연결분기관 상기 연결분기관의 일측에서 공기가 주입되며 주입된공기는 기화가스와 혼합되어 혼합기체를 이루며, 상기 혼합기체는 연결분기관과 연결되며 엔진 흡기라인으로 개구되는 노즐관을 통해 연소행정진행시 상기 혼합기체를 이송해준다.
상기 노즐관로 이송된 기화가스와 공기는 혼합기체를 이뤄 엔진 흡기라인으로 이송되고, 상기 엔진 흡기라인으로 이송된 혼합기체는 내연기관의 흡기라인으로 공급되며, 상기 내연기관에서 연료와 혼합기체와 섞여 연소 될 때 연소를 촉진함으로 완전연소를 유도하고,상기 완전연소를 통해 연비의 향상을 이끌어내며 촉매조성물의 성분을 통해 유해배출가스의 저감을 이끌어낸다.
본 발명은 촉매조성물을 기화시켜 공기와 기화가스가 혼합된 혼합기체를 엔진 흡기라인으로 이송하고, 이송된 혼합기체를 통해 흡기라인에서 연소행정진행시 엔진출력증강, 연비향상, 엔진소음 감소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촉매용기장치는 백금 및 루테늄 등의 촉매조성물과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체를 내연기관에 공급함에 있어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유해배출가스의 저감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및 동력장치의 엔진룸 일측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를 통해 안정적으로 혼합기체를 공급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촉매용기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용기속에 용기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외부용기 외부의 덮개부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부용기 외부용기에 돌출된 공기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용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소효율향상조성물의 기화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기체를 제공함으로, 내연기관의 엔진출력 및 연비의 향상을 이끌고 연소 시 발생되는 유해배출가스를 저감시켜 질소산화물 및 일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저감 시키는 효과가 있다.
미세먼지 및 대기환경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에 노후된 경유차의 운행 제한 및 2부제, 3부제와 같은 차량운행의 제한을 통해 유해배출가스의 저감을 이끌어내는 분위기와 더불어 미세먼지를 잡기위한 정부의 규제를 통해 유해배출가스의 허용치를 초과하는 노후된 경유차는 운행을 제한함과 같이 유해배출가스의 저감이 절대적으로 필요시 되어져가고 있다.
또한, 유가의 증가로 인해 자동차의 선택시 연비의 효율이 좋은 것을 선택하는 방향으로 차량의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다. 본원발명은 연비를 좋게 하면서도 엔진출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촉매조성물을 자동차에 공급하기 위하여 안전한 촉매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촉매용기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자동차의 엔진룸에 탈부착하기 쉬운 보호용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연소과정은 흡기라인에 형성된 실린더가 피스톤 운동시 연료와 공기를 주입함으로 연소하여 추진력을 얻는데, 흡기라인에 공기가 주입되는 통로인 엔진 흡기라인에 촉매조성물의 기화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체를 공급함으로 유해배출가스의 저감 및 엔진출력의 증강을 통한 연비의 향상을 특징으로한다.
아래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인 내연기관 엔진효율향상을 위한 촉매용기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촉매용기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용기속에 용기가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외부용기 외부의 덮개부가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외부용기 외부용기에 돌출된 공기관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내연기관의 엔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흡기라인에서의 피스톤 운동을 진행할 시 공기와 혼합된 촉매조성물 기화가스를 내연기관 흡기라인에 전달해야 한다. 이에 대한 첫 단계로 촉매용기에 담긴 촉매조성물을 기화 시켜야하며, 두 번째 단계는 기화된 기체가스를 공기와 혼합하여 이송시켜야 한다. 마지막 단계로 노즐관을 통해 이송된 혼합기체를 엔진 흡기라인에 이송하여 내연기관의 흡기라인에 공급하여야 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원발명은 촉매조성물을 수용하는 촉매용기(50), 상기 촉매용기(50)의 상부 입구를 막아주는 헤드부(51), 상기 헤드부(51) 상부에 통공된 2개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 중 한개에 삽입되어 기화가스를 촉매용기로부터 배출시키는 기화가스관(53), 상기 기화가스관(53)과 연결되어 기화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주는 연결분기관(55), 상기 연결분기관(55)과 연결되고 엔진 흡기라인에 삽입되는 노즐관(57)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분기관에서 기화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체는 엔진 흡기라인에 삽입된 노즐관을 통하여 상기 엔진 흡기라인에 공급되고, 흡기라인의 공기와 한번 더 혼합되어 자동차 엔진의 흡기행정으로 연결된다. 상기 흡기라인을 통하여 흡입된 혼합기체는 실린더에서 분사된 연료와 함께 압축되며, 압축될 때 전기 불꽃 또는 압축에 의해 연료가 연소되면서 폭발되며, 이 때 촉매조성물로부터 기화된 기화가스가 엔진효율을 급격하게 높여주게 된다.
상기 촉매용기(50)에는 촉매조성물이 담기며, 상기 촉매조성물의 구성으로는 백금과 루테늄을 중심으로 백금, 게르마늄,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전이금속, 광물질, 바나듐 등과 같은 PH조절제를 혼합하여 액체로 촉매조성물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촉매용기(50)는 금속성분의 촉매가 포함되어 있으며, 금속성분의 촉매로 인해 용기의 변질을 방지 하고자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며, 플라스틱의 용기를 사용함으로 인해 촉매제의 효과가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촉매조성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촉매용기(50)의 상부에서 막음재의 역할을 하는 헤드부(51), 상기 촉매용기(50)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를 통해 홈부가 맞물려 차폐되며 상기 헤드부(51)의 상부에는 통공된 2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관통홀의 다른 한개의 구멍에는 공기관(52)이 삽입되어 촉매용기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공기관(52)은 촉매용기(5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혔을때 촉매조성물이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해 주며, 촉매조성물이 촉매용기(50) 안에 계속적으로 수용되어 촉매용기(50)외부로 촉매조성물의 흐름을 방지하여 준다.
이때, 상기 공기관(52)은 촉매조성물에 잠겨지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관(52)의 길이 및 직경을 달리 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촉매용기(50) 내부에 담기는 촉매조성물의 높이보다 1~20mm 이격된 위치에 상기 공기관(52)을 위치시키며, 상기 공기관(52)이 촉매조성물에 잠기지 않도록 형성한다.
또한, 연소행정진행시 흡기라인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촉매용기(50)에 담긴 촉매조성물이 기화되며, 기화 발생시 상기 공기관(52)으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촉매조성물이 파동을 이루며 기화 발생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부(51)의 상부에 통공된 관통홀의 타측으로는 기화가스관(53)이 삽입되고, 상기 기화가스관(53)은 기화된 촉매조성물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직경은 1~10mm의 크기를 가지며 1~3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화가스관(53)과 연결되는 연결분기관(55), 상기 연결분기관(55)은 길이방향으로 한개 이상의 연결분기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분기관의 일측으로는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기화가스관(53)을 통해 이송된 기화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혼합기체를 형성하며, 타측으로 연결된 노즐관(57)로 혼합기체가 이송된다.
상기 연결분기관(55)의 직경은 1∼10mm의 크기를 가지며, T자 혹은 +(십자)의 형태로 구성하고, 이송을 위한 바람직한 직경은 1~3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화가스관(53) 및 연결분기관(55), 노즐관(57)은 PVC, 실리콘, 우레탄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며, 1~10mm의 직경을 가지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분기관(55)은 차량의 크기에 따라 연결분기관의 개수를 달리하여 혼합기체를 이송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보통 승용차의 경우 연결분기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1~3개의 연결분기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대형차의 경우 3개 이상의 연결분기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분기관는 차량의 크기에 따라 달리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분기관(55)과 연결된 노즐관(57)은 연결분기관에서 혼합된 혼합기체를 엔진에서 연료와 함께 혼합될 수 있도록 엔진 흡기라인에 삽입된다.
상기 혼합기체는 내연기관의 흡기라인에 공급되어 연소작용이 진행될 시 연소의 효율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자동차의 매연을 절감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이때, 자동차에서 배출하는 유해가스는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입자상 물질(PM), 매연, 질소산화물(NOx)등이 배출되며 질소산화물(NOx)를 제외하면 연료가 완전히 연소되지 못하면서 발생되는 결과물이다.
따라서, 상기 노즐관(57)로 이송된 기화가스 및 공기는 내연기관의 흡기라인으로 공급되어 내연기관의 엔진이 연료와 공기를 통해 연소를 촉진함으로 완전연소를 유도하고, 폭발력을 향상시켜 엔진의 출력을 증강시키고, 연비의 향상의 효과가 있으며, 엔진소음의 감소를 이루며, 유해배출가스의 저감을 이끌어낸다.
도 2는 자동차의 엔진룸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촉매용기(50)의 내부 구성물의 잔여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게이지부(6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용기(6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부(62), 상기 고정부(62)는 동력장치의 엔진룸 일측에 밀착 고정될수 있도록 형성되며, 한 개 이상 다수개의 형태 구성되고, 선 혹은 튜브로 연결고정하여 엔진룸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용기(60)의 내측에 형성되는 보충재(63), 상기 보충재(63)는 충격의 완화효과가 있으며,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며, 구성성분으로는 방열재 및 흡습성이 좋은 수지성분의 금속 혹은 탄소재료나 세라믹소재 같은 고방열 복합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용기(60)의 외면은 스테인레스 강의 소재로 제작되며, 외부의 공기에 의한 녹을 방지하고, 충격에서 보호되며, 내부 구성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해 준다.
도 3은 외부용기의 외면을 커버로 감싸게 형성하여 지퍼부(71)가 형성된 도면을 도시한 부분이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퍼부가 형성된 보호용기(60) 덮개는 열과 공기의 접촉으로 인한 외면의 녹 등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지퍼로 탈부착하기 쉬우며, 일측에 구멍을 형성하여 촉매조성물의 정도를 측정 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부용기 보호용기에 돌출된 공기관의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보호용기(60)의 외주면 상부에 통공된 구멍으로 공기관(52)을 토출시켜 공기와의 통행을 이루고, 도 2와 달리 고정부(62)를 구성하여 엔진룸에 결합되는 부분을 특색화한 것이다.
상기 보호용기(60)는 외주면 상부에 통공되어 토출되는 공기관(52), 상기 공기관(52)은 일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며, 촉매용기(50)로 공기를 유입해주는 것은 차체 혹은 동력장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보호용기(60)의 크기가 변화되어 지며 이에 따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부에 통공된 관통홀로 삽입이 되거나 현 도 4처럼 외부로 공기관이 토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62)의 모습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부분처럼 고정부가 형성되어 고정부로 동력장치의 연결선 혹은 케이블 타이등과 같이 묶을수 있는 것으로 형성이 되어 있지만 도 4에서는 외주면의 타측으로 통공된 관통홀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가 결합되고, 외주면의 통공된 관통홀에 삽입된 수나사를 외주면에 결합시켜주며, 너트로 결합된 수나사산의 타측으로 중공의 관통홀이 형성된 너트형이 수나사산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관통홀 너트형에 수나사가 더 결합되어 형태의 변형을 자유롭게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홀너트형에 수나사가 결합되며 관통홀너트형은 5 ~ 360ㅀ의 회전을 이루며 회전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엔진룸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도 1 내지 도 2에 기재된 고정부(62)의 형태보다 위치의 제약없이 고정을 형성할 수 있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 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내연기관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용기장치
50 : 촉매용기 51 : 헤드부 52 : 공기관
53 : 기화가스관 55 : 연결분기관 57 : 노즐관
58 : 마개 60 : 보호용기 61 : 게이지부
62 : 고정부 63 : 보충재 64 : 관통홀
70 : 덮개부 71 : 지퍼부

Claims (5)

  1. 내연기관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용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촉매용기장치(100)는 촉매조성물을 담는 촉매용기(50);
    상기 촉매용기(50)의 상부 입구를 막아주는 헤드부(51);
    상기 헤드부(51) 상부 통공된 2개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 중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촉매용기(50)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관(52);
    상기 관통홀 중 또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기화된 기화가스를 배출하는 기화가스관(53);
    상기 기화가스관은 엔진의 흡기라인에 삽입되어 혼합기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용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가스관(53)의 길이방향에 연결되어 기화가스와 공기를 혼합시켜 주는 연결분기관(55)이 1 ~ 3개 더 포함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분기관(55)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엔진의 흡기라인에 삽입된 노즐관(5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용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용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촉매용기를 담아 엔진룸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보호용기(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용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분기관(55) 및 기화가스관(53), 노즐관(57)의 직경은 1~10mm의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는 PVC, 실리콘, 우레탄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용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용기(50)를 수용하는 보호용기(60)는 외측으로 고정부(6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62)는 엔진룸에 고정되어 촉매용기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용기장치




KR1020190060823A 2019-05-23 2019-05-23 엔진효율 향상 촉매조성물 공급을 위한 촉매용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촉매조성물 공급방법 KR20200134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23A KR20200134796A (ko) 2019-05-23 2019-05-23 엔진효율 향상 촉매조성물 공급을 위한 촉매용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촉매조성물 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23A KR20200134796A (ko) 2019-05-23 2019-05-23 엔진효율 향상 촉매조성물 공급을 위한 촉매용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촉매조성물 공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796A true KR20200134796A (ko) 2020-12-02

Family

ID=7379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823A KR20200134796A (ko) 2019-05-23 2019-05-23 엔진효율 향상 촉매조성물 공급을 위한 촉매용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촉매조성물 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7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261A (ko) * 2021-01-28 2022-08-04 이광표 내연기관용 연소촉매제 및 그 주입장치
KR20220109554A (ko) * 2021-01-29 2022-08-05 이광표 내연기관용 연소촉매제 피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743A (ko) 2012-04-24 2013-11-01 (주)이에스티텍 차량용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743A (ko) 2012-04-24 2013-11-01 (주)이에스티텍 차량용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261A (ko) * 2021-01-28 2022-08-04 이광표 내연기관용 연소촉매제 및 그 주입장치
KR20220146392A (ko) * 2021-01-28 2022-11-01 이광표 내연기관용 연소촉매제
KR20220109554A (ko) * 2021-01-29 2022-08-05 이광표 내연기관용 연소촉매제 피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9026A (en) Engine NOx reduction
EP2378094A1 (en) Ammonia-burn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240277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412961A1 (en)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638139B1 (en) ENGINE NOx REDUCTION SYSTEM
CN101849088A (zh) 用于使燃料在压燃式发动机中进行基本无NOx燃烧的发动机系统和方法
US5640845A (en) Nitrogen spark denoxer
KR20200134796A (ko) 엔진효율 향상 촉매조성물 공급을 위한 촉매용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촉매조성물 공급방법
KR20120009451A (ko)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FI980181A0 (fi) Dieseltyyppinen polttomoottori kaasun polttamiseksi sekä menetelmä polttoaineen syöttämiseksi sellaiseen moottoriin
US5381659A (en) Engine exhaust reburner system and method
JP2009085168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ouremenos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and emission studies for vaporized diesel fuel and gasoline as supplements in swirl-chamber diesel engines
US5381660A (en) Engine exhaust reburner system and method
KR960015459B1 (ko) 엔진의 연소를 증진시키는 방법
Govindaraj et al. Comparison of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2-wheeler fuelled with gasoline and Hydrogen
Abouemara et al. Emission Control Technologies in Spark Ignition Engines
WO2001083646A3 (en) Liquefied gas fuel for compression ignition engines
EP0773360A1 (en) An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for a combustion apparatus
KR20210014995A (ko) 엔진출력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조성물용기 및 이를 이용한 촉매연소장치
KR100859964B1 (ko) 유해배기가스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가스연료차량
JPH11335681A (ja) 圧縮点火機関用液化石油ガス燃料
KR100563929B1 (ko) 차량용 연료공급장치
KR100241285B1 (ko) 내연기관의 린번시스템
WO2023105433A1 (en) Fuel system for a spark igni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