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638A - Detailed procedure means for requesting clothes-making - Google Patents

Detailed procedure means for requesting clothes-ma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638A
KR20200134638A KR1020190060353A KR20190060353A KR20200134638A KR 20200134638 A KR20200134638 A KR 20200134638A KR 1020190060353 A KR1020190060353 A KR 1020190060353A KR 20190060353 A KR20190060353 A KR 20190060353A KR 20200134638 A KR20200134638 A KR 20200134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production
request
area
design dra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3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8923B1 (en
Inventor
지승현
Original Assignee
지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승현 filed Critical 지승현
Priority to KR102019006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923B1/en
Publication of KR2020013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6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9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request device for requesting clothing production. The work request device for requesting clothing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ftware device element for requesting clothing production work, and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consists of one work request form as a whole. The work request form comprises: a basic information region in which basic information related to production-requested clothing is written; a style/name region in which a style number of the production-requested clothing and name of a designer are written; a size region in which the size of the production-requested clothing is written; a design drawing insertion region into which a design drawing of the shape of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oduction-requested clothing is inserted; a precaution region in which precaution or reference when producing the production-requested clothing is written; and a sample region into which a sample photo or picture of at least one among clothing texture and color of the production-requested clothing, and buttons or accessories attached to clothing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lothing producer can not only accurately produce clothing according to demand of a clothing production requester, but also accurately produce clothing that clearly reflects design change content by easily accessing the design change content.

Description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Detailed procedure means for requesting clothes-making}TECHNICAL FIELD [Detailed procedure means for requesting clothes-making]

본 발명은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의류 제작 의뢰자가 의류 제작자에게 의류 제작을 의뢰할 때, 의류 제작과 관련된 하나의 정형화된 작업 의뢰 포맷을 이용하여 작업을 의뢰함으로써, 의류 제작자가 의류 제작 의뢰자의 요구대로 의류를 정확히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request device for requesting clothing production,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clothing production requester requests a clothing manufacturer to produce clothing, by using a standardized work request format related to clothing production, , It relates to a work requesting device for requesting clothing production that enables a clothing manufacturer to accurately manufacture clothing as requested by a clothing production client.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와 전자 마케팅 등을 통한 상거래 시스템이 급속히 확대되었다. 이러한 서비스는 고객이 물건을 구입하기 위하여 매장을 직접 방문하고 물품을 선택하던 종래의 상거래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는 계기가 되었다. 그에 따라 고객은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가정에서 특정 상품을 검색하여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거나 결제 및 특정 서비스를 주문할 수 있는 것이다.Recently, the commerce system through e-commerce and e-marketing using the Internet has rapidly expanded. This service was an opportunity to radically change the conventional commerce system in which customers directly visit stores and select products to purchase products. Accordingly, a customer can search for a specific product at home and purchase a desired product or order payment and specific services without visiting a store.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 상거래를 구현한 쇼핑몰 사이트를 방문하여 여러 가지 제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필요한 물품을 구입할 수도 있고,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의 쇼핑몰 사이트에도 접속하여 물품을 손쉽게 주문할 수가 있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의류에 있어서는 비교적 전자상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 중 하나로 의류는 사용자가 직접 실물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보거나 착용해 봄으로써 비로소 해당 물품(의류)에 대한 만족감이나 신뢰감이 생기게 되는 까다로운 특성 때문이다.For example, a user may visit a shopping mall site that implements electronic commerce and search for information on various products to purchase necessary goods, and can easily order goods by accessing not only domestic but also foreign shopping mall sites. In spite of this situation, e-commerce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in clothing.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s that clothing is a tricky characteristic that a user can see the real thing with their own eyes, touch it with their hands, or wear it, thereby creating a feeling of satisfaction or trust for the item (clothing).

한편, 현재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의류의 제작과정과 유통과정을 살펴보면, 의류 도매업자는 디자인 업자에게 디자인을 의뢰하고, 디자인 업자는 디자인 내용을 제작자에게 주어 샘플이 제작된다. 그리고 제작된 샘플은 디자인 업자의 검토를 거쳐 의류 도매업자에게 인도되어 도매업자로부터 최종 승인되면, 제작자에 의해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고, 생산된 의류는 도매업자로부터 소매업자에게 넘겨져 개인 구매자에게 판매된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distribution process of clothing currently conducted offline, a clothing wholesaler requests a design from a design vendor, and a design vendor gives the design content to the producer to produce a sample. Then, the produced sample is delivered to a clothing wholesaler after review by a design company, and when final approval from the wholesaler, mass production is performed by the manufacturer, and the produced clothing is handed over from the wholesaler to the retailer and sold to individual buyers.

이러한 의류 제작 과정은 여러 사업자가 복잡하게 연계되어 있으므로, 상품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하청업체 중 어느 한 곳에서 제품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 책임소재가 불분명하여 수습이 어려우며, 디자인의 변경 및 소량 생산이 어렵다.Since these garment manufacturing processes are complexly linked, it takes a lot of time to manufacture products, and if a product defect occurs in one of the subcontractors, the responsibility is unclear and it is difficult to deal with it. Production is difficul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3769호(특허문헌 1)에는 "의류 멀티 밴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 바, 이에 따른 의류 멀티 밴드 시스템은 컨텐츠공급자들이 자신의 컨텐츠를 등록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시장을 형성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컨텐츠 공급자와 거래처와 쇼핑몰과 입점샵들을 결합시켜 소비자와 거래처가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용이하게 제작하고 생산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운영서버와, 부여받은 권한을 토대로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컨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자 단말기와, 부여받은 어드민을 토대로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각각의 컨텐츠 공급자가 등록한 다양한 컨텐츠를 관리하고, 각각의 컨텐츠가 적용된 의류 상품을 판매하고 생산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기와, 상기 운영서버를 통해 판매되는 의류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컨텐츠공급자어드민영역부, 관리자어드민영역부, 마켓플레이스영역부, 배송영역부, ERP모듈영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03769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lothing multi-band system". Accordingly, the clothing multi-band system provides a market where content providers can register their own contents to obtain profits.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is, an operation server that manages to easily manufacture and produce various kinds of clothing desired by consumers and customers by combining content providers, customers, shopping malls, and stores, and access to the operation server based on the granted authority. A plurality of supplier terminals for registering their own content, and a manager terminal for managing various contents registered by each content provider by accessing the operation server based on the given admin, and selling and producing clothing products to which each content is applied. And, a purchaser terminal for purchasing clothing products sol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and the operation server includes a content provider admin area, an administrator admin area, a marketplace area, a delivery area, and an ERP module area.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by doing.

이상과 같은 특허문헌 1의 경우, 각각의 디자이너들이 컨텐츠를 판매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업체들과 교류할 수 있는 시장을 형성함으로써, 디자이너들은 제작업체로부터 해방되어 자신만의 컨텐츠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시장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소비자들은 디자이너들이 올린 컨텐츠를 토대로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구입할 수 있으며, 거래처는 디자이너들이 업로드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새로운 종류의 다양한 의류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의류 제작 의뢰자(예컨대, 디자이너)가 의류 제작자에게 자신이 디자인한 의류를 제작 의뢰할 때 하나의 정형화된 의류 제작용 작업지시(작업의뢰) 수단이 없어, 의류 제작자는 작업 의뢰자(디자이너)가 요구하는 작업의 상세한(구체적인) 내용을 정확히 알기 어렵고, 또한 중간에 디자인의 변경 사항 등이 있을 경우 그러한 변경 사항을 제대로 접수하기 어려움에 따라, 의류 제작자는 의류 제작 의뢰자의 요청대로 의류를 정확히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market where each designer can sell content and exchange with various companies based on this, designers can be freed from production companies and earn profits with their own content. The advantage of securing a market, consumers can purchase various kinds of clothing they want based on the contents uploaded by designers, and the customer can easily produce a variety of new types of clothing by using the contents uploaded by designers. There is this. However, in Patent Document 1, there is no one standardized means of ordering (work request) for fabrication of clothing when a clothing production client (e.g., a designer) requests a clothing manufacturer to produce clothing designed by him. As it is difficult to know exactly the detailed (specific) details of the work requested by the work requester (designer), and if there are design changes in the middle, it is difficult to properly receive such changes. I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anufacture clothing as it i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3769호(2018.09.21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03769 (registered on September 21, 20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의류 제작 의뢰자가 의류 제작자에게 의류 제작을 의뢰할 때, 의류 제작과 관련된 하나의 정형화된 작업 의뢰 포맷을 이용하여 작업을 의뢰함으로써, 의류 제작자가 의류 제작 의뢰자의 요구대로 의류를 정확히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when a clothing production client requests a clothing manufacturer to produce clothing,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s a work using a standardized work request format related to clothing produc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ork request device for requesting clothing production that enables a clothing manufacturer to accurately produce clothing as requested by a clothing production clien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ork request device for requesting fabrication of clot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의류 제작 작업을 의뢰하기 위한 하나의 소프트웨어적인 장치 요소로서, 화면에 표시된 모습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작업 의뢰서 양식으로 구성되며,As a software device element for requesting a garment manufacturing job, the appearance on the screen is composed of a single job request form as a whole.

상기 작업 의뢰서 양식은The above work request form

제작 의뢰 의류와 관련된 기본 정보가 기재되는 기본 정보 영역과;A basic information area in which bas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is described;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스타일 번호와 디자이너의 성명이 기재되는 스타일/성명 영역과;A style/name area in which the style number of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and the designer's name are written;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사이즈가 기재되는 사이즈 영역과;A size area in which the size of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is described;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이 삽입되는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과;A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into which design drawings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are inserted;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제작 작업시 주의 사항 또는 참고 사항이 기재되는 주의 사항 영역; 및A notice area in which precautions or reference items are written in the production of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And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옷감(천) 재질, 색상, 옷에 부착되는 단추나 액세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견본(샘플) 사진이나 그림이 삽입되는 견본 영역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ample area into which a sample (sample) photo or picture of at least one of the fabric (cloth) material, color, and buttons or accessories attached to the clothes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기본 정보 영역에 기재되는 기본 정보는 상표(브랜드)명이 기재되는 "브랜드", 계절이 기재되는 "시즌", 의류의 종류가 기재되는 "아이템", 제작 의뢰 날짜가 기재되는 "의뢰일", 제작 의뢰를 한 곳이 기재되는 "의뢰처", 의류 제작자로부터의 납기 요망 일자가 기재되는 "납기일"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asic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basic information area includes "brand" in which the trademark (brand) name is written, "season" in which the season is written, "item" in which the type of clothing is written, and "request date" in which the production request date is written. It may include items such as ", "request destination" in which the place where the production request was made, and "delivery date" in which the delivery date requested from the garment manufacturer is described.

또한, 상기 사이즈 영역에 기재되는 사이즈는 목의 하단부에서 허리까지의 길이인 "총장", 양 어깨 간의 너비인 "어깨너비", 팔과 연결되는 어깨 끝에서 옷소매 끝까지의 길이인 "소매기장"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described in the size area is "total length" which is the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neck to the waist, "shoulder width" which is the width between the shoulders, and "sleeve length" which is the length from the end of the shoulder connected to the arm to the end of the sleeve. Can contain items.

또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은 작업 의뢰자가 삽입된 디자인 도면상의 특정 부분에 마우스 포인트를 위치시킨 후 드래그(drag)를 하면, 마우스 포인트를 위치시킨 지점으로부터 드래그를 멈춘 지점까지 지시 화살표가 생성되며, 이 지시 화살표의 주변 영역에 작업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콘텐츠)을 기재 및/또는 사진 (또는 그림)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when a task client places a mouse point on a specific part of the inserted design drawing and then drags, an indication arrow is generated from the point where the mouse point is placed to the point where the drag is stopped, It may be provided with a function that enables detailed content (content) related to the work and/or uploading a photo (or picture) in the area around the indicator arrow.

또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은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이 삽입되되, 하나의 화면에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이 일정 부분 겹치도록 삽입되거나,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이 완전히 분리되어 삽입되거나,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이 서로 다른 화면에 각각 삽입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design drawings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are inserted, but the front and rear views are partially overlapped on a single screen, or the front and rear views are completely Separately inserted, or the front and rear views may be inserted into different screens.

이때,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은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이 삽입되되,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이 서로 다른 화면에 각각 삽입되고, 또 다른 화면에 옆면 모습이 더 삽입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also preferably,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design drawings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are inserted, but the front view and the rear view are inserted into different screens, respectively, and a side view on another screen This may be inserted further.

또한, 상기 사이즈 영역과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 영역에 기재된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항목에 기재되어 있는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중 사용자(작업 의뢰자)에 의해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재값을 변경(확대 또는 축소)하여 기재할 경우,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삽입된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에서 각각 해당하는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부분이 그에 상응하여 도면상에서 사이즈가 변경(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ize area and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among the total length, shoulder width, and sleeve length described in the items "total length", "shoulder width" and "sleeve length" described in the size area, the user (work requester) In the case of changing (enlarging or reducing) at least one of the listed values according to the above, the corresponding "total length" and "in the design drawings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back views of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inserted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respectively," Shoulder width" and "sleeve length"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by changing their size (enlarged or reduced) on the drawing accordingly.

또한, 상기 사이즈 영역과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삽입된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상에서 사용자(작업 의뢰자)에 의해 디자인 의류의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을 마우스 포인트의 드래그에 의해 변경(확대 또는 축소)시킬 경우, 상기 사이즈 영역에 기재되어 있는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중 해당하는 부분의 값이 그에 상응하여 변경(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ize area and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the "president" of the design clothing by a user (work requester) on the design drawing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inserted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When changing (enlarging or reducing) at least one of "shoulder width" and "sleeve length" by dragging a mouse point,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total length, shoulder width, and sleeve length described in the size area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value is changed (enlarged or reduced) accordingly and displayed.

또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있어서,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삽입된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상에서 사용자(작업 의뢰자)에 의해 마우스 포인트의 드래그에 의해 디자인 의류의 품을 줄일 경우, 그 하부 영역의 사이즈도 상응하여 줄어든 상태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the product of the design clothing is selected by dragging a mouse point on the design drawing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inserted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If reduced, the size of the lower region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in a correspondingly reduced state.

또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있어서,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삽입된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상에서 사용자(작업 의뢰자)에 의해 마우스 포인트의 드래그에 의해 각 나라의 성인 남녀 표준체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나라의 성인 남녀 표준체형 데이터에 맞추어 디자인 의류의 소매 길이 및/또는 허리둘레를 변경시킬 경우, 소매길이 및/또는 허리둘레가 변경된 상태의 디자인 도면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adult men and women of each country by dragging a mouse point on the design drawing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back views of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inserted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If the sleeve length and/or waist circumference of the design clothing is changed based on the standard body shap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adult male and female standard body shape data of the country, the design drawing with the sleeve length and/or waist circumference changed can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hav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 제작 의뢰자가 의류 제작자에게 의류 제작을 의뢰할 때, 의류 제작과 관련된 하나의 정형화된 작업지시 포맷을 이용하여 작업지시를 내림으로써, 의류 제작자가 의류 제작 의뢰자의 요구대로 의류를 정확히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류 제작 의뢰자가 디자인 변경 내용도 작업지시 포맷을 이용하여 전달함으로써 의류 제작자는 디자인 변경 내용도 쉽게 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자인 변경 내용이 제대로 반영된 의류를 또한 정확히 제작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clothing production client requests a clothing manufacturer to produce clothing, by giving a work order using one standardized work order format related to clothing production, the clothing manufacturer can meet the request of the clothing production client.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accurately produce clothing, the apparel maker can easily access the design changes as the apparel production requester delivers the design changes using the work order format, and accordingly, the apparel in which the design changes are properly reflected is also accurately produ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지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의류 디자인 도면에서의 앞주머니는 외부 부착형, 단추는 콤비 단추로 제작되어야 함을 작업 지시(의뢰)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의류 디자인 도면에서의 앞주머니는 몸체 바탕과 다른 원단, 하단은 땀 처리가 되어야 함을 작업 지시(의뢰)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의류 디자인 도면에서의 앞주머니가 몸체 바탕과 다른 색상으로 제작되어야 함을 작업 지시(의뢰)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의류 디자인 도면에서의 펜꽂이용 주머니 입구 턱부위의 색상을 몸체 바탕과 같은 계열의 더 진한 색상으로 제작되어야 함을 작업 지시(의뢰)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ork instruction device for requesting a garment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work order (request) that a front pocket in a clothing design drawing should be made of an external attachment type and a button should be made of a combination butt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ork order (request) that the front pocket in the clothing design drawing should be a fabric different from the body base and the lower end should be treated with sweat.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ork order (request) that a front pocket in a clothing design drawing should be manufactured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a body base.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ork order (request) that the color of the chin at the entrance of the pen holder pocket in the clothing design drawing should be made with a darker color of the same series as the body bas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nd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module", and "devic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that proces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a combination of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지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ork ordering apparatus for requesting fabrication of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100)는,의류 제작 작업을 의뢰하기 위한 하나의 소프트웨어적인 장치 요소(즉,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로서, 화면에 표시된 모습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작업 의뢰서 양식으로 구성되며, 작업 의뢰자(예를 들면, 의류 디자이너)가 작업 지시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는 하나의 플랫폼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1, a work request apparatus 100 for requesting a clothing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ftware device element (ie, one application program) for requesting a clothing production operation, and the appearance displayed on the screen is Overall, it is composed of a single work request form, and serves as a platform through which a work requester (eg, a clothing designer) can perform work instructions using a computer.

상기 작업 의뢰 장치(100)를 구성하는 작업 의뢰서 양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정보 영역(110), 스타일/성명 영역(120), 사이즈 영역(130),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140), 주의 사항 영역(150), 견본 영역(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work request form constituting the work request device 100 is a basic information area 110, a style/name area 120, a size area 130, and a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140. , A notice area 150, and a sample area 160.

기본 정보 영역(110)에는 제작 의뢰 의류와 관련된 기본 정보가 기재된다. 이와 같은 기본 정보의 기재는 작업 의뢰자(예를 들면, 의류 디자이너)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의류 디자이너가 아닌 사람에 의해 기재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기본 정보 영역(110)에 기재되는 기본 정보는 상표(브랜드)명이 기재되는 "브랜드", 계절이 기재되는 "시즌", 의류의 종류(예를 들면, "남성복 콤비 상의", "여성복 원피스" 등)가 기재되는 "아이템", 제작 의뢰 날짜가 기재되는 "의뢰일", 제작 의뢰를 한 곳(예를 들면, "ΔΔ 의상실", "□□ 패션" 등)이 기재되는 "의뢰처", 의류 제작자로부터의 납기 요망 일자가 기재되는 "납기일"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basic information area 110, bas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is described. The description of such basic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by a work requester (eg, a clothing designer) or the like. Of course, it may be written by someone who is not a clothing designer. Here, the basic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basic information area 110 as described above is the "brand" in which the trademark (brand) name is written, the "season" in which the season is written, the type of clothing (for example, "men's wear combination top", "Item" in which "Women's Dress", etc.) is written, "Request date" in which production request date is written, and "Delta Dressing Room", "□□ Fashion", etc. in which the production request was made. It may include an item of "Delivery Date" in which a request destination" and a delivery date requested date from a garment manufacturer are described.

스타일/성명 영역(120)에는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스타일 번호(의류 디자인에 따라 붙이는 특정 번호)와 디자이너의 성명이 기재된다.In the style/name area 120, the style number (a specific number attached according to the clothing design) and the designer's name of the clothing requested for production are described.

사이즈 영역(130)에는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사이즈가 기재된다. 이와 같은 사이즈 영역(130)에 기재되는 사이즈는 목의 하단부에서 허리까지의 길이인 "총장", 양 어깨 간의 너비인 "어깨너비", 팔과 연결되는 어깨 끝에서 옷소매 끝까지의 길이인 "소매기장"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시 도면에는 사이즈 항목에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항목, 예를 들면, "품", "허리둘레"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In the size area 130, the size of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is described. The size described in the size area 130 is "total length", which is the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neck to the waist, "shoulder width", which is the width between the shoulders, and the length from the end of the shoulder connected to the arm to the end of the sleeve It may include the item "inscrip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drawing, the size item is shown as including the total length, shoulder width, and sleeve leng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items such as "width" and "waist circumference" may be further included.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140)에는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이 삽입된다. 여기서, 반드시 이와 같이 디자인 도면이 삽입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디자인 도면 대용 디자인 사진이 삽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140)과 관련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Design drawings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are inserted into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140. Here,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inserting the design drawing as described above, and in some cases, a design photograph may be inserted instead of the design drawing.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140 will be described again later.

주의 사항 영역(150)에는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제작 작업시 주의 사항 또는 참고 사항(예를 들면, 원단은 양모: 20∼30%, 마 또는 면: 20∼30%가 혼용된 제일 모직 원단 사용 요망)이 기재된다.In the precaution area 150, precautions or notes for the production of the requested garment (for example, the fabric is wool: 20-30%, hemp or cotton: 20-30% is mixed with the first wool fabric required ) Is written.

견본 영역(160)에는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옷감(천) 재질, 색상, 옷에 부착되는 단추나 액세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견본(샘플) 사진이나 그림이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다.In the sample area 160, a photo or picture of at least one sample (sample) of the fabric (cloth) material, color, and buttons or accessories attached to the clothes is inserted as shown.

한편,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140)은 작업 의뢰자(예컨대, 디자이너)가 삽입된 디자인 도면상의 특정 부분에 마우스 포인트를 위치시킨 후 드래그(drag)를 하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포인트를 위치시킨 지점으로부터 드래그를 멈춘 지점까지 지시 화살표가 생성되며, 이 지시 화살표의 주변 영역에 작업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콘텐츠)(예를 들면, "이 주머니는 외부 부착형", "이 단추는 콤비 단추" 등)을 기재 및/또는 사진(또는 그림)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는 콘텐츠의 기재와 함께 콤비 단추 사진이 업로드된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도 2는 의류 디자인 도면에서의 앞주머니는 외부 부착형, 단추는 콤비 단추로 제작되어야 함을 작업 지시(의뢰)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의류 디자인 도면(예컨대, 콤비 상의)에서의 앞주머니가 몸체 바탕과 다른 원단으로 제작되어야 하고, 콤비 상의 하단은 땀 처리가 되어야 함을 작업 지시(의뢰)한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의류 디자인 도면(예컨대, 콤비 상의)에서의 앞주머니가 몸체 바탕과 다른 색상으로 제작되어야 함을 작업 지시(의뢰)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의류 디자인 도면(예컨대, 콤비 상의)에서의 펜꽂이용 주머니 입구 턱부위의 색상을 몸체 바탕과 다른 색상으로 하되, 몸체 바탕과 같은 계열의 더 진한 색상으로 제작되어야 함을 작업 지시(의뢰)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140 is, as shown in Figs. 2 to 5, when a task client (eg, a designer) places a mouse point on a specific part of the inserted design drawing and then drags it. , A pointer arrow is created from the point where the mouse point is placed to the point where the drag is stopped, and specific content (content) related to the task (for example, "This pocket is externally attached", The button may have a function of allowing a description and/or uploading of a photo (or picture) (such as "combi button"). In the example of FIG. 2, it is shown that a photo of a combination button is uploaded together with description of content. Here, FIG. 2 shows an example in which a work order (request) that the front pockets in the clothing design drawing should be made of an external attachment type and the button should be made of a combination button, and FIG. 3 is a clothing design drawing (eg, on a combination). The front pocket should be made of a different fabric from the body base, and the lower part of the combi top is shown an example in which the work order (request) should be performed, and FIG. 4 shows the front pocket in the clothing design drawing (e.g., combi top). It shows an example of a work order (request) that it should be made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ckground, and FIG. 5 is a color of the chin at the entrance of the pen holder pocket in the clothing design drawing (eg, on a combination) to be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body. , This is an example of a work order (request) that should be made in a darker color of the same series as the body base.

또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140)은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이 삽입되되,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화면에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이 일정 부분 겹치도록 삽입되거나,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이 완전히 분리되어 삽입되거나,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이 서로 다른 화면에 각각 삽입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140, design drawings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are inserted, but as shown in FIGS. 1 to 5, the front view and the rear view are displayed on one screen. It may be inserted so as to overlap a certain portion, the front view and the back view may be completely separated and inserted, or the front view and the back view may be inserted into different screens.

이때,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140)은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이 삽입되되,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이 서로 다른 화면에 각각 삽입되고, 또 다른 화면에 옆면 모습이 더 삽입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also preferably,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140, design drawings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are inserted, but the front and rear view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different screens, and another screen More side faces may be inserted in the.

또한, 상기 사이즈 영역(130)과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140)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 영역(130)에 기재된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항목에 기재되어 있는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중 사용자(작업 의뢰자)에 의해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재값을 변경(확대 또는 축소)하여 기재할 경우,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140)에 삽입된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에서 각각 해당하는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부분이 그에 상응하여 도면상에서 사이즈가 변경(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ize area 130 and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140, the total length, shoulder width, and length described in the items "total length", "shoulder width", and "sleeve length" described in the size area 130,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inserted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140 when at least one of the listed values is changed (enlarged or reduced) by the user (work requester) among the sleeves In the design drawing of, the corresponding "total length", "shoulder width", and "sleeve length" portions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after their size is changed (enlarged or reduced) on the drawing accordingly.

또한, 상기 사이즈 영역(130)과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140)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140)에 삽입된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상에서 사용자(작업 의뢰자)에 의해 디자인 의류의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을 마우스 포인트의 드래그에 의해 변경(확대 또는 축소)시킬 경우, 상기 사이즈 영역(130)에 기재되어 있는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중 해당하는 부분의 값이 그에 상응하여 변경(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ize area 130 and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140, the user (work requester) on the design drawing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inserted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140 If at least one of the "total length", "shoulder width", and "sleeve length" of the design clothing is changed (enlarged or reduced) by dragging a mouse point, the size described in the size area 130 Th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total length, shoulder width, and sleeve length may be changed (enlarged or reduced) accordingly and displayed.

또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140)에 있어서,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삽입된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상에서 사용자(작업 의뢰자)에 의해 마우스 포인트의 드래그에 의해 디자인 의류의 품(도 1 참조)을 줄일 경우, 그 하부 영역의 사이즈도 상응하여 줄어든 상태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140, design clothing by dragging a mouse point by a user (work requester) on the design drawing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inserted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When the product (see FIG. 1) is reduced, the size of the lower region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in a correspondingly reduced state.

또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140)에 있어서,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삽입된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상에서 사용자(작업 의뢰자)에 의해 마우스 포인트의 드래그에 의해 각 나라의 성인 남녀 표준체형 데이터(예를 들면, 팔의 길이나 허리 둘레 등)에 기초하여 해당 나라의 성인 남녀 표준체형 데이터에 맞추어 디자인 의류의 소매 길이 및/또는 허리둘레를 변경시킬 경우, 소매길이 및/또는 허리둘레가 변경된 상태의 디자인 도면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140, each country by dragging a mouse point on the design drawing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inserted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If the sleeve length and/or waist circumference of the design clothing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standard adult male and female body shape data of the country based on the standard adult male and female body shape data (for example, arm length or waist circumference, etc.) / Or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design drawing in a state in which the waist circumference is changed.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지시 장치는 의류 제작 의뢰자가 의류 제작자에게 의류 제작을 의뢰할 때, 의류 제작과 관련된 하나의 정형화된 작업지시 포맷을 이용하여 작업지시를 내림으로써, 의류 제작자가 의류 제작 의뢰자의 요구대로 의류를 정확히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류 제작 의뢰자가 디자인 변경 내용도 작업지시 포맷을 이용하여 전달함으로써 의류 제작자는 디자인 변경 내용도 쉽게 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자인 변경 내용이 제대로 반영된 의류를 또한 정확히 제작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clothing production requester requests a clothing manufacturer to produce clothing, the work instruction device for requesting clothing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sues a work order using one standardized work order format related to clothing production. In addition, the apparel maker can not only accurately produce the appare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apparel production client, but also the apparel production requester communicates the design changes using the work order format, so that the apparel maker can easily access the design changes and design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curately produce clothing in which the changes are properly reflected.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f-explanatory to the technician.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 발명)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
110: 기본 정보 영역 120: 스타일/성명 영역
130: 사이즈 영역 140: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
150: 주의 사항 영역 160: 견본 영역
100: (Invention) Work request device for requesting clothing production
110: basic information area 120: style/statement area
130: size area 140: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150: note area 160: sample area

Claims (10)

의류 제작 작업을 의뢰하기 위한 하나의 소프트웨어적인 장치 요소로서, 화면에 표시된 모습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작업 의뢰서 양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작업 의뢰서 양식은
제작 의뢰 의류와 관련된 기본 정보가 기재되는 기본 정보 영역과;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스타일 번호와 디자이너의 성명이 기재되는 스타일/성명 영역과;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사이즈가 기재되는 사이즈 영역과;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이 삽입되는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과;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제작 작업시 주의 사항 또는 참고 사항이 기재되는 주의 사항 영역; 및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옷감(천) 재질, 색상, 옷에 부착되는 단추나 액세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견본(샘플) 사진이나 그림이 삽입되는 견본 영역을 포함하는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
As a software device element for requesting a garment manufacturing job, the appearance on the screen is composed of a single job request form as a whole.
The above work request form
A basic information area in which bas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is described;
A style/name area in which the style number of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and the designer's name are written;
A size area in which the size of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is described;
A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into which design drawings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are inserted;
A notice area in which precautions or reference items are written in the production of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And
A work request device for requesting a fabrication of clothing including a sample area into which a photograph or picture of at least any one of a fabric (cloth) material, color, and buttons or accessories attached to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보 영역에 기재되는 기본 정보는 상표(브랜드)명이 기재되는 "브랜드", 계절이 기재되는 "시즌", 의류의 종류가 기재되는 "아이템", 제작 의뢰 날짜가 기재되는 "의뢰일", 제작 의뢰를 한 곳이 기재되는 "의뢰처", 의류 제작자로부터의 납기 요망 일자가 기재되는 "납기일" 항목을 포함하는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ic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basic information area includes "brand" in which the trademark (brand) name is written, "season" in which the season is written, "item" in which the type of clothing is written, "request date" in which the production request date is written, A work requesting device for requesting a garment production, including a "request destination" in which a manufacturing request is made, and a "delivery date" in which a delivery request date from a garment manufacturer is describ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 영역에 기재되는 사이즈는 목의 하단부에서 허리까지의 길이인 "총장", 양 어깨 간의 너비인 "어깨너비", 팔과 연결되는 어깨 끝에서 옷소매 끝까지의 길이인 "소매기장" 항목을 포함하는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izes described in the size area include "total length" which is the length from the lower part of the neck to the waist, "shoulder width" which is the width between the shoulders, and "sleeve length" which is the length from the end of the shoulder connected to the arm to the end of the sleeve of the clothes. A work request device for requesting fabrication of clothing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은 작업 의뢰자가 삽입된 디자인 도면상의 특정 부분에 마우스 포인트를 위치시킨 후 드래그(drag)를 하면, 마우스 포인트를 위치시킨 지점으로부터 드래그를 멈춘 지점까지 지시 화살표가 생성되며, 이 지시 화살표의 주변 영역에 작업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콘텐츠)을 기재 및/또는 사진(또는 그림)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when a task client places a mouse point on a specific part of the inserted design drawing and then drags, an indication arrow is generated from the point where the mouse point is placed to the point where the drag is stopped. A work requesting device for requesting a garment production, having a function of uploading a description and/or a picture (or picture) of specific content (content) related to the work in the area around the arr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은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이 삽입되되, 하나의 화면에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이 일정 부분 겹치도록 삽입되거나,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이 완전히 분리되어 삽입되거나,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이 서로 다른 화면에 각각 삽입되는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design drawings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are inserted, but the front and rear views are partially overlapped on one screen, or the front and rear views are completely separated. A work request device for requesting clothing production that is inserted or inserted into different screens with the front and rear view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은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이 삽입되되,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이 서로 다른 화면에 각각 삽입되고, 또 다른 화면에 옆면 모습이 더 삽입되는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design drawings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are inserted, but the front view and the rear view are inserted into different screens, respectively, and the side view is further inserted into another screen. Work request device for reque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 영역과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 영역에 기재된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항목에 기재되어 있는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중 사용자(작업 의뢰자)에 의해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재값을 변경(확대 또는 축소)하여 기재할 경우,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삽입된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에서 각각 해당하는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부분이 그에 상응하여 도면상에서 사이즈가 변경(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ize area and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at least by the user (work requester) among the total length, shoulder width, and sleeve length described in the items "total length", "shoulder width" and "sleeve length" described in the size area. In the case of changing (enlarging or reducing) any of the listed values, the corresponding "total length" and "shoulder width" in the design drawings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back views of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inserted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A work requesting device for requesting a garment production, configured such that the ", "sleeve length" part is correspondingly changed (enlarged or reduced) in the drawing to be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 영역과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삽입된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상에서 사용자(작업 의뢰자)에 의해 디자인 의류의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을 마우스 포인트의 드래그에 의해 변경(확대 또는 축소)시킬 경우, 상기 사이즈 영역에 기재되어 있는 총장, 어깨너비, 소매기장 중 해당하는 부분의 값이 그에 상응하여 변경(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ize area and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the "total length" and the "shoulder" of the design clothing by the user (work requester) on the design drawing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s of the fabrication request clothing inserted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When changing (enlarging or reducing) at least one of the width" and "sleeve length" by dragging the mouse point, th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total length, shoulder width, and sleeve length described in the size area is A work request device for requesting clothing production that is configured to be changed (expanded or reduced) correspondingly to be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있어서,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삽입된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상에서 사용자(작업 의뢰자)에 의해 마우스 포인트의 드래그에 의해 디자인 의류의 품을 줄일 경우, 그 하부 영역의 사이즈도 상응하여 줄어든 상태로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when reducing the article of design clothing by dragging a mouse point on the design drawing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 of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inserted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 A work request device for requesting clothing production, configured to display the size of the lower area in a correspondingly reduc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있어서, 디자인 도면 삽입 영역에 삽입된 상기 제작 의뢰 의류의 2차원 전면 및 후면 모습의 디자인 도면상에서 사용자(작업 의뢰자)에 의해 마우스 포인트의 드래그에 의해 각 나라의 성인 남녀 표준체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나라의 성인 남녀 표준체형 데이터에 맞추어 디자인 의류의 소매 길이 및/또는 허리둘레를 변경시킬 경우, 소매길이 및/또는 허리둘레가 변경된 상태의 디자인 도면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adult male and female standard body types in each country by dragging a mouse point on the design drawing of the two-dimensional front and rear view of the production request clothing inserted in the design drawing insertion area If the sleeve length and/or waist circumference of the design clothing is changed based on the data based on the standard adult male and female body shape data of the country, a design drawing in which the sleeve length and/or waist circumference is changed is requested to be displayed. For work request device.
KR1020190060353A 2019-05-23 2019-05-23 Detailed procedure means for requesting clothes-making KR1022289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353A KR102228923B1 (en) 2019-05-23 2019-05-23 Detailed procedure means for requesting clothes-ma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353A KR102228923B1 (en) 2019-05-23 2019-05-23 Detailed procedure means for requesting clothes-ma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638A true KR20200134638A (en) 2020-12-02
KR102228923B1 KR102228923B1 (en) 2021-03-18

Family

ID=7379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353A KR102228923B1 (en) 2019-05-23 2019-05-23 Detailed procedure means for requesting clothes-ma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9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373A (en) * 2020-12-11 2022-06-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ashion goods design and advertisemen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fashion trends and advertisement feedba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984A (en) * 2002-11-14 2003-04-18 김재호 System and Method for garment related service on Internet
KR101903769B1 (en) 2018-01-27 2018-11-30 (주)나라물산 A multi band system
KR101937483B1 (en) * 2018-02-14 2019-04-11 (주)나라물산 Clothing production system communicated with designer
KR101974573B1 (en) * 2018-07-26 2019-05-02 심원희 Online shoping mall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984A (en) * 2002-11-14 2003-04-18 김재호 System and Method for garment related service on Internet
KR101903769B1 (en) 2018-01-27 2018-11-30 (주)나라물산 A multi band system
KR101937483B1 (en) * 2018-02-14 2019-04-11 (주)나라물산 Clothing production system communicated with designer
KR101974573B1 (en) * 2018-07-26 2019-05-02 심원희 Online shoping mal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373A (en) * 2020-12-11 2022-06-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ashion goods design and advertisemen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fashion trends and advertisement feed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923B1 (en)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3839B2 (en)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sharing an image of a virtual try-on scene
US10032215B2 (en) Virtual showroom system and method
US8117089B2 (en) System for segmentation by product category of product images within a shopping cart
US7149710B1 (en) Virtual showroom system and method
WO2013148646A1 (en) Personalized virtual shopping assistant
KR100900507B1 (en) System for selling clothes designed by buyers or sellers over the internet and method of selling clothes using the same
KR20030030984A (en) System and Method for garment related service on Internet
KR20010097554A (en) Tailored buying system using 3d body figure
US20020077922A1 (en)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mass customization of products
KR20110045137A (en) Clothes sale mediation server and control method of clothes sale mediation system including the clothes sale mediation server
KR102228923B1 (en) Detailed procedure means for requesting clothes-making
KR20110093622A (en) Online clothing design and trade system
KR101563617B1 (en) Simul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cyber user model
KR101740623B1 (en) online marke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00030624A (en) Fashion Miscellaneous Goods Exclusive Using Cyber Mall and Composing Method thereof
KR20010096903A (en) Electronic commerce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JP2019095897A (en) Merchandise provision server and merchandise regular provision system
JP200237326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e sales of fashion merchandise
US20100151430A1 (en) Identifying a body shape
KR20070107518A (en) Making and marketing method of clothes using a internet
KR20030086364A (en) Method for fitting on network
KR20050114020A (en)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an articles of apparel and clothing accessories using the online virtual wearing service
WO2024080939A2 (en) This algorithm system explains a dress that is sold online or in-store, whether this dress is fit a person's body based on body measurements captured from the 3d body scanner
US20180374137A1 (en) Online garment design and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Crawford Fit Me--the Right Size for Online Apparel Sa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