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110A -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110A
KR20200134110A KR1020190059748A KR20190059748A KR20200134110A KR 20200134110 A KR20200134110 A KR 20200134110A KR 1020190059748 A KR1020190059748 A KR 1020190059748A KR 20190059748 A KR20190059748 A KR 20190059748A KR 20200134110 A KR20200134110 A KR 20200134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ocurrency
unit
account
electronic walle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욱
김세현
Original Assignee
웰스트리에스지 유한회사 (영업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스트리에스지 유한회사 (영업소) filed Critical 웰스트리에스지 유한회사 (영업소)
Priority to KR102019005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110A/ko
Priority to PCT/KR2020/006633 priority patent/WO2020235942A1/ko
Priority to SG11202112915VA priority patent/SG11202112915VA/en
Priority to US17/613,063 priority patent/US20220224530A1/en
Publication of KR20200134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3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combining multiple encryption tools for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06Q20/4097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using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devices and transaction partners
    • G06Q20/40975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using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devices and transaction partners using encryption there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은 단말기에 설치되어 설정된 개인 키가 입력되면, 암호화폐의 거래를 설정할 수 전자지갑부;
전자지갑부로부터 입금정보를 수신해 저장하고, 전자지갑부에서 수신된 입금정보와 저장하고 있던 출금정보를 전자지갑부로 전송하는 분산스토리지부;
기준사용자정보가 설정되어 전자지갑부와 연계하여 작동하며 기준사용자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면 회수정보를 발생시키는 분실입증부 및 설정회사가 관리하며 전자지갑부로부터 거래에 대응해 암호화폐를 제1계좌에 저장하고 출금정보에 대응해 저장된 암호화폐를 제1계좌에서 인출하고, 분실입증부로부터 회수정보가 입력되면 암호화폐를 상기 제1계좌에서 회수하여 제2계좌로 입금하는 계좌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System For Recovering Lost Cryptocurrency}
본 발명은 전자지갑을 관리하는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이다.
현대 사회에서 개인에게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많은 것들이 디지털화 되어 가고 있다. 일례로, 채권 및 돈 등이 디지털화되어 가고 있다. 디지털화 되어 가는 것의 일환으로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는 화폐 즉, 암호화폐가 개발되고 있다. 암호화폐는 개인 키(Private Key)를 트루크립트(True Crypt)로 암호화한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암호화폐는 주로 온라인 상에서 거래된다는 점에서 전문 해커에서 쉽게 해킹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일례로, 클라우드 서버에 개인 키를 저장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가 해킹되었을 때 개인 키의 유출에 인해 분실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개인 키(Private key code), 복원문구(mnemonic), 지갑 암호를 분실하는 경우, 암호화폐를 쉽게 회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현재에는 해킹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전자지갑 기능을 비롯해, 개인 키(Private key code), 복원문구(nmemonic), 지갑 암호를 분실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분실 사실을 입증하면 암호화폐를 회수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도록 하는 기술 및 기능을 갖는 전자기갑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4208호 (공고일자: 2018.10.04)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개인 키(Private key)나 복수 개의 복원문구(mnemonic)등을 분실한 경우에도, 사용자 본인을 입증하면, 분실한 전자지갑에 들어 있는 암호화폐를 회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새 전자지갑에 전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자지갑을 분실하는 경우에도 암호화폐 복원을 보증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은, 단말기에 설치되어 설정된 개인 키가 입력되면, 암호화폐의 거래를 설정할 수 전자지갑부;
상기 전자지갑부로부터 상기 입금정보를 수신해 저장하고, 상기 전자지갑부에서 수신된 입금정보와 저장하고 있던 출금정보를 상기 전자지갑부로 전송하는 분산스토리지부;
기준사용자정보가 설정되어 상기 전자지갑부와 연계하여 작동하며 상기 기준사용자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면 회수정보를 발생시키는 분실입증부;
설정회사가 관리하며 상기 전자지갑부로부터 거래에 대응해 암호화폐를 제1계좌에 저장하고 상기 출금정보에 대응해 저장된 암호화폐를 상기 제1계좌에서 인출하고, 상기 분실입증부로부터 상기 회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암호화폐를 상기 제1계좌에서 회수하여 제2계좌로 입금하는 계좌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은 사용자가 개인 키 (Private key)나 복수 개의 복원문구(mnemonic)등을 분실한 경우에도, 사용자 본인을 입증하면 분실한 암호화폐를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새로운 전자지갑에 회수한 암호화폐를 입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 키(Private Key)를 클라우드와 같은 공중 망(Public network)에 두지 않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하여 사용자의 재산을 해킹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은 분실했던 암호화폐를 복구하며, 암호화폐를 해킹으로 부터 안전하게 지키며 사용자의 부주위 및 해킹 등에 대한 금전적인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이 암호화폐 거래소 방식으로 작동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이 개인 지갑주소 권한 제공방식으로 작동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입증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실입증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설정에 따라 분실된 암호화폐가 회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청구항을 비롯해 청구항을 뒷받침하는 설명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이 간결해질 수 있도록 도 1을 참조하여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이를 이용해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1)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여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1)은 개인 키(Private key)나 복수 개의 복원문구(mnemonic)등 자신을 입증할 수 있는 데이터를 분실한 경우 또는 암호화폐를 보관 중인 전자지갑을 분실한 경우에 사용자가 본인을 입증하면 분실한 암호화폐를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회수한 암호화폐를 사용자가 설정한 새 계좌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1)은 분실했던 암호화폐를 복구하고 해킹으로 부터 안전하게 지키며 사용자의 부주위 및 해킹 등에 의한 금전적인 피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1)은 전자지갑부(10), 분산스토리지부(20), 분실입증부(30), 계좌관리부(4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1)은 구성요소 간 유기적인 작동을 통해, 암호화폐 거래소방식 및 개인 지갑주소 권한 제공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언급한 암호화폐 거래소 방식과 개인 지갑주소 권한 제공방식에 대한 설명은 뒤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1)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자지갑부(10)는 암호화폐의 입금정보가 설정되고, 출금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지갑부(10)는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데이터통신 가능하며 프로그램이 설치 가능한 모바일기기 또는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전자지갑부(10)는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구동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개인 키(Private key)나 복수 개의 복원문구(mnemonic)등이 입력되면 암호화폐의 거래를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지갑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보관중인 암호화폐를 다른 계좌로 입금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지갑부(10)는 개인 키 또는 복원문구 등이 입력되면 암호화폐의 데이터 및 출금정보의 데이터 등을 복수 개의 분할데이터로 분할하여 분산스토리지부(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지갑부(10)에 의해 분할된 분할데이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스토리지부(20)는 전자지갑부(10)로부터 입금정보 즉, 입금데이터를 수신해 저장한다. 그리고 전자지갑부(10)에서 수신된 입금정보와 과거의 출금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분산스토리지부(20)는 제1분산스토리지(201) 내지 제x분산스토리지(20x)로 구성된다. 제1분산스토리지(201) 내지 제x분산스토리지(20x)는 인터넷 상에 분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 및 저장이 가능한 하나의 노드점 서버가 될 수 있다. 제1분산스토리지(201) 내지 제x분산스토리지(20x)는 전자지갑부(10)에서 데이터 전송요청이 전달되면, 연결데이터가 동일한 분할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형성하여 전자지갑부(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지갑부(10)는 제1분할데이터에 형성된 제1연결데이터와 제2분할데이터에 형성된 제2연결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제1분할데이터와 제2분할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취합하여 암호화폐의 거래내역의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지갑부(10)는 분산스토리지부(20)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취합으로 형성된 암호화폐의 거래내역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실입증부(30)를 통해 계좌관리부(40)에 암호화폐의 출금을 요청할 수 있다.
분실입증부(30)는 기준사용자정보가 설정되어 전자지갑부(10)와 연계하여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지문 및 동공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분실입증부를 사용하기 전 기준사용자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분실입증부(30)는 설정된 기준사용자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정보의 수신여부에 따라 회수정보를 발생시키거나 발생시키지 않은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아울러, 분실입증부(30)는 분산스토리지부(20)에서 전송한 데이터들로부터 취합된 데이터 즉, 잔고확인 데이터가 수신되면 전자지갑부(10)에서 설정된 출금정보를 계좌관리부(40)에 전송할 수 있다.
계좌관리부(40)는 암호화된 사용자의 아이디, 코드 및 계좌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될 수 있다. 아울러, 계좌관리부(40)는 설정된 회사 즉, 설정회사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계좌관리부(40)는 사용자가 설정한 제1계좌 그리고 제2계좌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1계좌에 있는 암호화폐를 제2계좌에 전송할 수 있다. 계좌관리부(40)는 분실입증부(30)를 입출정보가 수신되면 제1계좌에서 암호화폐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계좌관리부(40)는 분실입증부(30)로부터 분실입증부(30)를 통해 회수정보가 입력되면 암호화폐를 제1계좌에서 회수하여 제2계좌로 입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좌관리부(40)는 사용자가 제1계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데이터를 분실하더라도 제1계좌에 있는 암호화폐를 제2계좌로 회수하여 사용자가 암호화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이 암호화폐 거래소 방식으로 작동되는 상태와 개인 지갑주소 권환 제공방식으로 작동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암호화폐 거래소 방식에서 암호화폐의 입금과 출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지갑주소 권한 제공방식과 암호화폐를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분실입증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분실입증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암호화폐 거래소 방식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사용자가 입금하는 모든 암호 회사계좌로 옮겨서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분실입증부(30)를 포함하여, 분실입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암호화폐 거래소 방식은 전자지갑부(10)를 중심으로 하여 암호화폐를 설정회사에서 관리하는 제1계좌로 입금할 수 있도록 하고, 제1계좌에서 암호화폐를 출금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A가 전자지갑부의 제1계좌에 100ETH을 입금하면, 전자지갑부(10)는 분산스토리지부(20)에 제1계좌에 대한 입금정보를 전송한다. 아울러, 전자지갑부(10)는 입금된 100ETH를 계좌관리부(40)에 설정 되어 있는 제1계좌 및 제1계좌와 연계된 계좌에 전송한다. 아울러,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A가 전자지갑부의 제1계좌에서 50ETH을 출금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지갑부(10)는 분산스토리지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제1계좌에 대한 잔고 확인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전자지갑부(10)는 확인된 잔고 확인정보와 출금하고자 하는 암호화폐를 대비하여, 잔고가 출금하고자 하는 암호화폐보다 큰 경우, 계좌관리부(40)에 출금정보를 전송한다.
계좌관리부(40)는 출금정보를 수신한 후, 제1계좌 및 제1계좌와 연계된 계좌에서 암호화폐를 출금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 지갑주소 권한 제공방식은 분실입증부(30)를 중심으로 하여, 설정회사에서 관리하는 제1계좌에 입금되어 있는 암호화폐를 제2계좌로 입금한다. 아울러, 암호화폐 거래소 방식은 암호화폐 거래소 방식과 달리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분실입증부(30)의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암호화폐 거래소 방식은 분실입증부(30)에서 발생된 회수정보가 계좌관리부(40)에 전송되면 계좌관리부(40)가 제1계좌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분실입증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동공확인 및 지문 감지 등 생물학적 감지보안 방식으로 사용자를 감지하며 회수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분실입증부(30)는 발생시킨 회수정보를 계좌관리부(40)에 전송할 수 있다. 계좌관리부(40)는 회수정보를 수신하면 이 신호를 통해 제1계좌한 후, 제1계좌에 있는 암호화폐를 기 설정된 제2계좌에 전송한다.
아울러, 분실입증부(30)는 특정회사의 지갑 어플리케이션에 분산 어플리케이션(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분실입증부(30)는 삼성 월렛에 옵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분실입증부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옵션으로 제공될 경우, 분실입증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App탭을 터치하는 단계, DApp 화면에서 Lost Proof/Assurance를 터치하는 단계, Lost Proof/Assurance 화면이 나타나면 동의 터치하는 단계, 토큰 리스트에서 Lost Proof/Assurance 설정 버튼을 활성화 시키는 단계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실입증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하며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여 새로운 계좌로 입금한다.
도 6은 도 5의 설정에 따라 분실된 암호화폐가 회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1계좌의 개인 키(Private key)이나 12개의 월렛 복원문구 (mnemonic)를 분실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DApp탭을 터치하는 과정, DApp 화면에서 Lost Proof/Assurance를 터치하는 과정, Lost Proof/Assurance 화면이 나타나면 동의 터치하는 과정, 메뉴버튼을 터치하는 과정, 그리고 분실 토큰 복원을 터치하는 과정, 복원버튼을 터치하는 과정 및 확인 터치 후, 지문 및 동공을 인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1)은 이와 같은 일련의 진행을 통해 제1계좌에 있는 암호화폐를 회수하여, 제2계좌로 입금시킨다.
이와 같이,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1)은 사용자가 개인 키 (Private key)나 복수 개의 복원문구(mnemonic)등을 분실한 경우에도, 사용자 본인을 입증하면 분실한 전자지갑에 들어 있는 암호화폐를 회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새 전자지갑에 전송하며 암호화폐가 안정적으로 관리될 수 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
10: 전자지갑부 100: 단말기
20: 분산스토리지부 201: 제1분산스토리지
202: 제2분산스토리지 20x: 제x분산스토리지
30: 분실입증부 40: 계좌관리부

Claims (1)

  1. 단말기에 설치되어 설정된 개인 키가 입력되면, 암호화폐의 거래를 설정할 수 전자지갑부;
    상기 전자지갑부로부터 상기 입금정보를 수신해 저장하고, 상기 전자지갑부에서 수신된 입금정보와 저장하고 있던 출금정보를 상기 전자지갑부로 전송하는 분산스토리지부;
    기준사용자정보가 설정되어 상기 전자지갑부와 연계하여 작동하며 상기 기준사용자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면 회수정보를 발생시키는 분실입증부;
    설정회사가 관리하며 상기 전자지갑부로부터 거래에 대응해 암호화폐를 제1계좌에 저장하고 상기 출금정보에 대응해 저장된 암호화폐를 상기 제1계좌에서 인출하고, 상기 분실입증부로부터 상기 회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암호화폐를 상기 제1계좌에서 회수하여 제2계좌로 입금하는 계좌관리부를 포함하는,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
KR1020190059748A 2019-05-21 2019-05-21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 KR20200134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748A KR20200134110A (ko) 2019-05-21 2019-05-21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
PCT/KR2020/006633 WO2020235942A1 (ko) 2019-05-21 2020-05-21 분실된 개인 키를 복원하는 시스템
SG11202112915VA SG11202112915VA (en) 2019-05-21 2020-05-21 System for restoring lost private key
US17/613,063 US20220224530A1 (en) 2019-05-21 2020-05-21 System for restoring lost private 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748A KR20200134110A (ko) 2019-05-21 2019-05-21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110A true KR20200134110A (ko) 2020-12-01

Family

ID=7379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748A KR20200134110A (ko) 2019-05-21 2019-05-21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1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208B1 (ko) 2018-04-24 2018-10-04 (주)에스씨씨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와 전자지갑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208B1 (ko) 2018-04-24 2018-10-04 (주)에스씨씨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와 전자지갑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4997B2 (en) Authentication in ubiquitous environment
RU2747947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ерсональн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и верификации
US10680808B2 (en) 1:N biometric authentication, encryption, signature system
US20200119904A1 (en) Tamper-proof privileged user access system logs
US201502077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redentials
US20100138347A1 (en) Account Transaction Management Using Dynamic Account Numbers
CN101517562A (zh) 通过多个模式对一次性密码的用户进行注册和验证的方法以及记录有执行该方法的程序的计算机可读记录介质
JP2005327235A (ja) 暗号化バックアップ方法および復号化リストア方法
US10193884B1 (en) Compliance and audit using biometric tokenization
EP3206329B1 (en) Security check method, device, terminal and server
JP2008269381A (ja) 認証サーバ及びオンラインサービスシステム
JP2010165323A (ja) 生体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
US6606387B1 (en) Secure establishment of cryptographic keys
KR101876672B1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전자 서명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US11936651B2 (en) Automated account recovery using trusted devices
JP2020035106A (ja) 仮想通貨管理システム、仮想通貨管理方法及び仮想通貨管理プログラム
FR3033205A1 (fr) Procede de transaction sans support physique d'un identifiant de securite et sans jeton, securise par decouplage structurel des identifiants personnels et de services.
KR20200134110A (ko) 분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시스템
JP5688127B2 (ja) 行動パターン認証による振込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7145273A1 (ja) ユーザ認証装置
KR101619282B1 (ko) 클라우드 기반 비밀번호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701024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61302A (ja) 署名システム
CN113421085B (zh) 一种智能卡动态密码认证方法及系统
JP5574005B2 (ja) 生体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