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109A -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109A
KR20200133109A KR1020190057833A KR20190057833A KR20200133109A KR 20200133109 A KR20200133109 A KR 20200133109A KR 1020190057833 A KR1020190057833 A KR 1020190057833A KR 20190057833 A KR20190057833 A KR 20190057833A KR 20200133109 A KR20200133109 A KR 20200133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unit
sensing
sensing electrodes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묵
이동희
이병일
안수창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57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3109A/ko
Publication of KR20200133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5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using electric, e.g. electrostatic methods or magnet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6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도전성 물질을 이용한 격자회로를 구성하여 격자에 검출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먼지량과 먼지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전성 물질을 이용한 격자회로를 구성하여 격자에 검출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먼지량과 먼지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기 속에는 0.1㎛ 내지 100㎛의 지름을 지닌 다양한 부유 먼지가 존재하는데, 그 중 지름이 2.5㎛ 이하의 먼지를 미세먼지 "PM 2.5"로 구분하고 있으며, 지름이 2.5㎛~10㎛를 미세먼지 "PM 10"으로 구분하고 있다.
PM 2.5는 장기간 흡입 시, 코 점막에 의해 걸러지지 않고 폐포까지 깊숙히 침투하여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기관지염, 폐기종, 폐포 손상 등과 함께 조기 사망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환경부나 각 지자체에서는 국민과 주민의 건강 보호하기 위해 미세먼지의 발생원인을 제도적으로 규제하는 한편 미세먼지 발생지역, 발생시기 및 발생 농도 등을 지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미세먼지측정장치를 특정장소에 설치한 뒤 상황판이나 일일예보를 통해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지하고 있다.
미세먼지 측정법으로는 크게 여과지법, 베타선흡수법, 마이크로 밸런스법, 광 산란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여과지법은 현장에서 여과지에 포집하여 포집된 분진의 질량을 측량하는 방식으로, 고용량 시료채취법과 저용량 시료채취법으로 세분되며, 측정기간이 길고 정밀측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베타선법(β-Ray Absorption Method)은 대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10㎛ 이하의 입자상 물질을 일정시간 여과지 위에 포집하여 베타선(β-Ray)을 투과시켜 입자상 물질의 중량 농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으로, 시료 도입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베타선을 조사하여 베타선의 투과율을 계산해서 미세먼지 농도값으로 검출하는데 실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마이크로 밸런스법은 샘플 공기를 여과지로 여과하면서 미세먼지의 질량 변화량을 모니터링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미세먼지가 축적되면 수시로 여과지를 교체해야 하므로 가변적인 미세먼지 발생량 변화에 적시에 대응하기 어렵고, 매우 고가인 단점이 있다.
광 산란법은 빛을 이용하는 기술로, 측정용 광원이 깨끗한 공기 중에서 일직선으로 직진하다 먼지 등과 만나게 되면 산란을 일으키게 되며, 산란된 입자(산란광량)를 측정하여 입자의 분리 및 크기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 산란법은 빛의 산란횟수로 입자의 개수를 알 수 있고 산란 광량으로 먼지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어 센서의 펄스신호를 가지고 프로그램 처리하여 측정값을 보여주게 되는데, 빛과 입자의 교차구간 측정이 곤란하고 오차 범위가 너무 커서 국내환경법규상으로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53104호(발명의 명칭: 광학식 초미세먼지 측정 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전성 물질을 이용한 격자회로를 구성하여 격자에 검출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먼지량과 먼지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로서, 미세먼지가 부착되면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감지전극이 일정 간격(d)의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감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전극을 지지하는 기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감지부는 측정 대상 미세먼지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감지전극의 간격을 1㎛ ~10㎛ 범위 중 어느 하나의 간격을 갖도록 서로 다르게 구성된 복수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감지전극은 메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감지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부착된 미세먼지의 크기를 산출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측정부는 상기 감지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부착된 미세먼지의 양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부착된 미세먼지가 감지전극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감지전극에 고온의 발생을 유도하는 전류를 공급하는 미세먼지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방법은 a) 감지부가 미세먼지의 부착 여부에 따라 감지전극으로부터 감지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b) 측정부가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기신호에 기초한 미세먼지의 크기, 미세먼지의 양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c) 상기 측정부의 측정이 완료되면, 미세먼지 제거부가 감지전극으로 고온의 발생을 유도하는 전류를 공급하여 부착된 미세먼지를 상기 감지전극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c) 단계는 감지부로부터 감지전극의 전기신호가 초기화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전성 물질을 이용한 격자회로를 구성하여 격자에 검출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먼지량과 먼지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격자회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감지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감지부에 설치된 메쉬 구조를 갖는 격자회로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격자회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감지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감지부에 설치된 메쉬 구조를 갖는 격자회로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100)는 감지부(110)와, 측정부(120)와, 미세먼지 제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110)는 미세먼지(200)가 부착되면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이 일정 간격(d)의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구성으로서, 기판부(111)와, 격자 회로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판부(111)는 격자 회로부(112)에 설치된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PDMS, PI, PET, PO, PVC, PC, PE, PP, PS 등의 유연한(Flexible) 재질 또는 단단하게 경직되어 휨(Bowing) 발생을 방지하는 리지드(Rigid)한 재질의 투명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부(111)는 플라스틱 또는 PMMA, PUA, PET, PI 등의 고분자 소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격자 회로부(112)는 일정 크기의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이 일정 간격(d), 예를 들면, 0.1㎛ ~ 10㎛ 간격으로 배치된 격자 형상의 m×n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지고, 미세먼지(200)가 부착되면 일정 크기의 전기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간격을 0.1㎛ ~ 10㎛ 간격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간격은 측정 대상 미세먼지(200)의 크기에 따라 변경 설치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은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고, ITO, InO2, SnO2, Ni, Au, Pd, Ag, Pt, Ti, Al, Cr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 합금, 또는 전기가 흐르는 도체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은 전류가 공급되면,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에서 열이 발생되도록 저항성 재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110)는 측정 대상 미세먼지(2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복수의 감지부(110a, 110b, 110c)를 추가 구성할 수 있다.
즉, 입자의 크기가 지름 10㎛ 이하의 PM10, 지름 2.5㎛ 이하인 PM2.5, 지름 1.0㎛ 이하인 PM1.0 등 측정 대상 미세먼지(200)의 입자 크기에 따라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간격 또는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크기 서로 다르게 구성된 제1 감지부(110a), 제2 감지부(110b) 내지 제n 감지부(110c)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n 감지부(110a, 110b, 110c)는 측정 대상 미세먼지(200)의 크기에 따라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간격을 1㎛ ~10㎛ 범위 중 어느 하나의 간격을 갖는 메쉬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부(110a)는 측정 대상 미세먼지(200)의 입자 크기가 10㎛ 이상인 미세먼지를 측정하기 위해 감지전극의 간격(D1)을 10㎛로 구성하고, 제2 감지부(110b)는 입자 크기가 2.5㎛ 이상, 10㎛ 이하인 미세먼지를 측정하기 위해 감지전극의 간격(D2)을 2.5㎛로 구성하며, 제n 감지부(110c)는 입자크기가 1㎛ 이상, 2.5㎛ 이하인 미세먼지를 측정하기 위해 감지전극의 간격(D3)을 1㎛로 구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n 감지부(110a, 110b, 110c)는 미세먼지의 이동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미세먼지의 입자 크기에 따라 감지부의 메쉬 구조에 부착되거나 또는 감지부의 메시 구조를 통과하여 다음 감지부의 메쉬 구조에 부착되도록 하여 미세먼지의 크기와 먼지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정부(120)는 감지부(110)의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에 부착된 미세먼지(200)의 크기를 산출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감지부(110)의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과 제어선을 통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정부(120)는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에 부착된 미세먼지(200)의 양을 산출한다.
즉, 상기 측정부(120)는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에 미세먼지(200)가 부착되면, 상기 미세먼지(200)가 부착된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위치 정보와, 상기 미세먼지(200)의 부착으로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통해 페루프를 형성하는 감지전극의 갯수를 산출하여 부착된 미세먼지(200)의 크기를 계산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200)의 크기는 측정 대상 미세먼지(200)의 입자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된 제1 감지부(110a), 제2 감지부(110b) 내지 제n 감지부(110c)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120)는 미세먼지(200)가 부착된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위치 분포를 분석하여 감지부(110)에 부착된 미세먼지(200)의 양을 산출한다.
상기 미세먼지 제거부(130)는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에 부착된 미세먼지(200)를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과 전원공급선을 통해 연결되고, 부착된 미세먼지(200)가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에서 고온이 발생되도록 유도하는 전류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제거부(130)는 측정부(120)에서 산출되는 미세먼지(200)의 크기 및 미세먼지(200)의 양이 '0'이거나, 또는 감지부(11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전기신호가 '0'(초기화) 될 때까지 전류를 공급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감지부(110)가 미세먼지(200)의 부착 여부에 따라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으로부터 감지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측정단계(S100)를 수행한다.
즉,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에 미세먼지(200)가 부착되면, 상기 미세먼지(200)과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 사이에 폐루프를 형성하여 전기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100 단계에서 감지부(110)는 입자의 크기가 지름 10㎛ 이상의 PM10, 입자의 크기가 지름 10㎛ 이하 2.5㎛ 이상인 PM2.5, 입자의 크기가 지름 2.5㎛ 이하 1.0㎛ 이상인 PM1.0 등 측정 대상 미세먼지(200)의 입자 크기에 따라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간격 또는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크기 서로 다르게 구성된 격자 구조 또는 메쉬 구조의 제1 감지부(110a), 제2 감지부(110b) 내지 제n 감지부(110c)가 순차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S100 단계의 측정을 통해 출력되는 전기신호는 측정부(120)로 입력되고,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입력된 전기신호에 기초한 미세먼지(200)의 크기, 미세먼지(200)의 양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산출단계(S110)를 수행한다.
즉, 상기 S110 단계에서, 측정부(120)는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에 미세먼지(200)가 부착되면, 상기 미세먼지(200)가 부착된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위치 정보와, 상기 미세먼지(200)의 부착으로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통해 페루프를 형성하는 감지전극의 갯수를 산출하여 부착된 미세먼지(200)의 크기를 계산한다.
또한, 상기 S110 단계에서 상기 측정부(120)는 측정 대상 미세먼지(200)의 입자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된 메쉬 구조의 제1 감지부(110a), 제2 감지부(110b) 내지 제n 감지부(110c)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미세먼지(200)의 크기를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110 단계에서 상기 측정부(120)는 미세먼지(200)가 부착된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위치 분포 또는 먼지 갯수를 분석하여 감지부(100)에 부착된 미세먼지(200)의 양을 산출한다.
상기 측정부(120)의 측정이 완료되면, 감지부(110)가 초기화 되도록 미세먼지 제거부(130)는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에 부착된 미세먼지(200)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에서 고온이 발생되도록 유도하는 전류를 공급하여 부착된 미세먼지(200)를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S120)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제거부(130)는 상기 S120 단계를 감지부(11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전기신호가 '0'인 상태로 초기화될 때까지 수행한다.
따라서, 도전성 물질을 이용한 격자회로를 구성하여 격자에 검출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먼지량과 먼지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미세먼지 측정장치
110 : 감지부
110a, 제1 감지부
110b : 제2 감지부
110c : 제n 감지부
111 : 기판부
112 : 격자회로부
112a : 제1 감지전극
112b : 제2 감지전극
112c : 제3 감지전극
112d : 제4 감지전극
120 : 측정부
130 : 미세먼지 제거부
200 : 미세먼지

Claims (10)

  1. 미세먼지(200)가 부착되면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이 일정 간격(d)의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감지부(110)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10)는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을 지지하는 기판부(1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10)는 측정 대상 미세먼지(2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간격을 1㎛ ~10㎛ 범위 중 어느 하나의 간격을 갖도록 서로 다르게 구성된 복수의 감지부(110a, 110b, 110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은 메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부착된 미세먼지(200)의 크기를 산출하는 측정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부착된 미세먼지(200)의 양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된 미세먼지(200)가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에 고온의 발생을 유도하는 전류를 공급하는 미세먼지 제거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8. a) 감지부(110)가 미세먼지(200)의 부착 여부에 따라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으로부터 감지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b) 측정부(120)가 상기 감지부(110)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기신호에 기초한 미세먼지(200)의 크기, 미세먼지(200)의 양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c) 상기 측정부(120)의 측정이 완료되면, 미세먼지 제거부(130)가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으로 고온의 발생을 유도하는 전류를 공급하여 부착된 미세먼지(200)를 상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감지부(110)로부터 감지전극(112a, 112b, 112c, 112d)의 전기신호가 초기화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방법.
KR1020190057833A 2019-05-17 2019-05-17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방법 KR20200133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833A KR20200133109A (ko) 2019-05-17 2019-05-17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833A KR20200133109A (ko) 2019-05-17 2019-05-17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109A true KR20200133109A (ko) 2020-11-26

Family

ID=7367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833A KR20200133109A (ko) 2019-05-17 2019-05-17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31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829B1 (ko) 2021-09-24 2022-09-29 주식회사 로보테크 면 요리 시스템
KR102456316B1 (ko) 2022-06-30 2022-10-19 주식회사 로보테크 미니 면 조리장치
KR102474668B1 (ko) 2021-09-24 2022-12-06 주식회사 로보테크 면류 삶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104B1 (ko) 2016-09-30 2018-04-27 주식회사동일기연 광학식 초미세먼지 측정 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104B1 (ko) 2016-09-30 2018-04-27 주식회사동일기연 광학식 초미세먼지 측정 센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829B1 (ko) 2021-09-24 2022-09-29 주식회사 로보테크 면 요리 시스템
KR102474668B1 (ko) 2021-09-24 2022-12-06 주식회사 로보테크 면류 삶는 장치
KR102456316B1 (ko) 2022-06-30 2022-10-19 주식회사 로보테크 미니 면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3109A (ko)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962013B1 (ko) 초미세먼지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N101368938B (zh) 一种防尘网堵塞程度检测装置和方法、及电子设备
AU2012291824B2 (en) Sensing systems
CN112304820B (zh) 流体组合物传感器设备及其使用方法
EP2370802A1 (en) Sensor for sensing airborne particles
AU2018308192B2 (en) A particle detection device and a method for detecting airborne particles
EP2384823B1 (de) Luftstrahlsieb
JP5443787B2 (ja) 空気中の繊維を高精度でカウントする装置
CN104316720B (zh) 自适应流速变化的电荷感应在线粉尘检测装置及其方法
EP3211397B1 (en) Test film for detecting surface particles in clean room
CN101183250A (zh) 用于粉料管道气力输送监测的智能化装置
US20180164202A1 (en) Particle sensor and particle sensing method
EP3192580B1 (en) Acoustic aided air filter and a method of air filtration thereof
EP3557180A1 (en) Blast wave detector
Ngo et al. Measurement of PM 2.5 mass concentration using an electrostatic particle concentrator-based quartz crystal microbalance
CN109883909B (zh) 一种粉尘浓度测量装置
KR102377017B1 (ko) 미세먼지 측정 조립체 및 이를 갖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그리고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갖는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Imani et al. The influence of air flow velocity and particle size on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passive electrostatic aerosol samplers
KR100985025B1 (ko) 미세먼지 분리 측정장치
CN102004070B (zh) 一种液体中颗粒物检测系统
Solari et al. Digital Twin Based on Historical Data and Simulation Results: Fault Detection and Estimation of the Remaining Useful Life of a Cyclone Bag Filter
CN208399319U (zh) 一种集成式扬尘综合检测装置
Kenny et al. Aspiration and sampling efficiencies of the TSP and louvered particulate matter inlets
KR102293453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에어 클리닝 유닛의 유량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