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620A -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 - Google Patents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620A
KR20200132620A KR1020190091732A KR20190091732A KR20200132620A KR 20200132620 A KR20200132620 A KR 20200132620A KR 1020190091732 A KR1020190091732 A KR 1020190091732A KR 20190091732 A KR20190091732 A KR 20190091732A KR 20200132620 A KR20200132620 A KR 20200132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eatment
facial
impedanc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요즈마비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요즈마비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요즈마비엠텍
Publication of KR2020013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로서,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안면용 전극과 구강용 전극으로 인가하는 고주파 발생기;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안면용 전극 및 구강용 전극으로 인가하여 안면용 전극과 구강용 전극 사이의 안면 조직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BIA(Body Impedance Analysis) 모듈; 상기 고주파 발생기 및 BIA 모듈 중 어느 하나와 안면용 전극 및 구강용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칭 회로; 고주파 치료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고주파 전류 또는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인가하는 안면용 전극; 사용자의 구강 내 피부에 고주파 전류 또는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인가하는 구강용 전극; 및 고주파 치료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치료기는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에 대응하여 치료 설정 정보를 저장한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원격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고주파 치료기는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를 원격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치료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치료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RADIOFREQUENCY THERAPEUTIC APPARATUS BASED ON STATUS INFORMATION OF FACICIAL TISSUES}
본 발명은 고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치료기는 환부에 300kHz~5000kHz의 고주파 전류를 흘리면 저항체인 피부를 통과하면서 열 에너지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피부의 콜라겐 생성, 색소 제거 등으로 피부의 생리 작용을 촉진하여 피부를 팽팽하게 하고 미백 효과를 기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주파 치료기는 사용자의 얼굴에 직접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여 환부를 가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온도가 높을수록 치료 효과가 높지만 안면 화상이나 안면 홍조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 온도를 높이 올릴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고주파 치료기는 얼굴 부분의 온도를 40~45℃정도로 제한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구강 내의 피부에 사용할 때는 얼굴쪽의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가열하더라도 상처나 흉이 보이지 않으므로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광대와 입 꼬리 사이 부분은 기존의 방법으로는 효과를 보기 어려운 부위이나 구강 내 자극 방법을 사용하면 효과적으로 해당 부위의 얼굴을 매끈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종래의 고주파 치료기는 얼굴 등과 같은 외부 피부에서 사용하는 것만 제안되어 있고, 구강 내에서 고주파 치료기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특별히 제안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출원인은 "구강용 고주파 치료기(특허등록번호 제10-1845017호, 2018.04.03 공고)"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고주파 치료기(100)는 고주파 전류가 저항체인 피부를 통과하여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게 되는데, 안면 조작의 두께 및 조성에는 개인 차가 있다. 따라서,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인 출력을 인가하게 되면 치료 효과가 사람에 따라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5017호, 2018.04.03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료 대상인 사용자의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출력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에 기초한 원격 서버에서의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출력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고주파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로서,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안면용 전극과 구강용 전극으로 인가하는 고주파 발생기;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안면용 전극 및 구강용 전극으로 인가하여 안면용 전극과 구강용 전극 사이의 안면 조직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BIA(Body Impedance Analysis) 모듈; 상기 고주파 발생기 및 BIA 모듈 중 어느 하나와 안면용 전극 및 구강용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칭 회로; 고주파 치료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고주파 전류 또는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인가하는 안면용 전극; 사용자의 구강 내 피부에 고주파 전류 또는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인가하는 구강용 전극; 고주파 치료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치료기는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에 대응하여 치료 설정 정보를 저장한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원격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고주파 치료기는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를 원격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치료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치료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고주파 발생기, BIA 모듈 및 스위칭 회로와 연결되며, 스위칭 회로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스위칭 회로에 의해 고주파 발생기 및 BIA 모듈 중 어느 하나가 안면용 전극 및 구강용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고주파 치료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스위칭 회로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BIA 모듈과 안면용 전극 및 구강용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어 신호에 의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발생시켜 안면용 전극과 구강용 전극 사이의 안면 조직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치료 대상 정보와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 정보를 원격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상기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에 상응하는 치료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스위칭 회로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고주파 발생기와 안면용 전극 및 구강용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어 신호에 의해 고주파 발생기로부터 상기 치료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안면용 전극과 구강용 전극으로 인가하여 사용자의 안면 피부 및 구강 내 피부에 대한 고주파 치료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료 대상 정보는, 치료 대상인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체중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현재까지의 치료 주기/회수 정보, 치료할 부위의 치료 전/후 사진을 포함하는 사용자별 치료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임피던스 정보는 BIA 모듈의 동작에 의해 측정된 안면 조직의 임피던스 값인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치료 설정 정보는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에 상응하여 최적의 출력 조건으로 설정된 고주파 발생기의 출력 조건 정보로서, 출력 전류값, 치료 시간, 치료 간격 및 치료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서버에 저장된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에 기초하여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료 대상인 사용자의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출력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에 기초한 원격 서버에서의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출력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고주파 치료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원격 서버(200)에서 딥 러닝 알고리듬에 의해 학습된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치료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원격 서버(200)에서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를 학습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100, 이하 간단히 "고주파 치료기(100)"라 한다)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주파 치료기(100)는, 고주파 발생기(10), BIA(Body Impedance Analysis) 모듈(20), 제어부(30), 안면용 전극(40), 구강용 전극(50) 및 스위칭 회로(60)를 포함한다.
또한, 고주파 치료기(100)는 원격 서버(200)와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고주파 발생기(10)는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안면용 전극(40)과 구강용 전극(50)으로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제어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고주파 전류를 발생하여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어댑터(미도시)에 결합된 안면용 전극(40) 및 구강용 전극(50)으로 고주파 전류를 전달한다. 고주파 발생기(10) 자체는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BIA(Body Impedance Analysis) 모듈(20)은 안면용 전극(40)과 구강용 전극(50) 사이의 안면 조직의 임피던스(Impedance)를 측정하는 수단이다.
BIA 모듈(20)은, 제어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안면용 전극(40) 및 구강용 전극(50)으로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인가하여 안면용 전극(40)과 구강용 전극(50) 사이의 안면 조직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을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이 때, 안면용 전극(40)과 구강용 전극(50) 중 어느 하나는 중성 전극(neutral electrode)로 작용하게 되고, BIA 모듈(20)은 중성 전극으로 작용하는 전극과 다른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측정된 임피던스 값을 제어부(30)로 전송한다.
한편, 고주파 발생기(10)와 BIA 모듈(20)은 스위칭 회로(60)를 통해 안면용 전극(40) 및 구강용 전극(50)과 연결되는데, 스위칭 회로(60)의 동작에 의해 고주파 발생기(10)와 BIA 모듈(20) 중 어느 하나만이 안면용 전극(40) 및 구강용 전극(50)과 연결된다.
스위칭 회로(60)는, 고주파 발생기(10) 및 BIA 모듈(20)과 안면용 전극(40) 및 구강용 전극(50) 사이에서 제어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고주파 발생기(10) 및 BIA 모듈(20) 중 어느 하나와 안면용 전극(40) 및 구강용 전극(5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면용 전극(40)은 고주파 치료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고주파 전류 또는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이며, 구강용 전극(50)은 사용자의 구강 내 피부에 고주파 전류 또는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면용 전극(40) 및 구강용 전극(50)은 스위칭 회로(60)에 의해 고주파 발생기(10) 및 BIA 모듈(20)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안면용 전극(40)과 구강용 전극(50)은 하나의 어댑터(미도시)에 연결되며, 어댑터는 케이블에 의해 고주파 발생기(10) 및 BIA 모듈(20)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안면용 전극(40)은 원형의 평판형 전극일 수 있으며, 구강용 전극(50)은 구강 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막대형으로 연장된 팁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전극(40,50)들의 형태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30)는 고주파 치료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30)는 고주파 발생기(10), BIA 모듈(20) 및 스위칭 회로(60)와 연결되며, 스위칭 회로(6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스위칭 회로(60)에 의해 고주파 발생기(10) 및 BIA 모듈(20) 중 어느 하나가 안면용 전극(40) 및 구강용 전극(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고주파 발생기(10)와 전극(40,50)들이 연결된 경우 제어부(30)는 제어 신호에 의해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전극(40,50)들을 통해 구강 내 및 안면 피부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도록 하고(치료 모드), BIA 모듈(20)과 전극(40,50)들이 연결된 경우 제어 신호에 의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발생시켜 전극(40,50)들을 통해 안면용 전극(40)과 구강용 전극(50) 사이의 안면 조직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도록 한다(측정 모드).
고주파 치료기(100)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을 시작하게 되면, 고주파 치료기(100)는 측정 모드로 스위칭하고, 측정 모드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정보는 치료 대상 정보와 함께 원격 서버(200)로 전송되고, 원격 서버(200)는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에 기초하여 치료 설정 정보를 고주파 치료기(100)로 전송한다.
이와 함께, 고주파 치료기(100)의 제어부(30)는 치료 모드로 전환하고, 원격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치료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고주파 전류를 안면용 전극(40) 및 구강용 전극(50)으로 인가하여 사용자의 안면 피부 및 구강 내 피부에 대한 고주파 치료를 수행하도록 한다.
원격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고주파 치료기(100)와 연결되며, 고주파 치료기(100)로부터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상응하는 치료 설정 정보를 고주파 치료기(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원격 서버(200)는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에 대응하여 치료 설정 정보를 저장한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에서, 치료 대상 정보는, 치료 대상인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체중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와 현재까지의 치료 주기/회수 정보, 치료할 부위의 치료 전/후 사진 등과 같은 사용자별 치료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은 BIA 모듈(20)의 동작에 의해 측정된 안면 조직의 임피던스 값을 의미한다.
한편, 치료 설정 정보는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에 상응하여 최적의 출력 조건으로 설정된 고주파 발생기(10)의 출력 조건 정보로서, 예컨대 출력 전류값, 치료 시간, 치료 간격 및 치료 시간 등과 같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는 예컨대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Deep learning neural network)를 통해 학습될 수 있다.
또한,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고주파 치료기(100)의 제어부(30)에 동기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고주파 치료기(100)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고주파 치료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고주파 치료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고주파 치료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측정 모드로 스위칭된다(S100). 즉, 제어부(30)는 스위칭 회로(6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BIA 모듈(20)과 전극(40,50)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BIA 모듈(20)은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전극(40,50)에 인가하여 사용자의 안면 피부와 구강 내 피부 사이의 안면 조직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임피던스 값을 임피던스 정보로서 원격 서버(200)로 전달한다(S110).
이와 함께 고주파 치료기(100)의 제어부(30)는 치료 대상 정보를 원격 서버(200)로 전달한다(S120).
전술한 바와 같이, 치료 대상 정보는, 치료 대상인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체중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와 현재까지의 치료 주기/회수 정보, 치료할 부위의 치료 전/후 사진 등과 같은 사용자별 치료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서버(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치료 대상 정보와 임피던스 정보에 기초하여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치료 설정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치료 설정 정보를 고주파 치료기(100)로 전송한다(S130,S140).
한편, 제어부(30)는 상기 단계(S110) 이후, 고주파 치료기(100)를 치료 모드로 스위치한다(S150). 즉, 제어부(30)는 스위칭 회로(6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고주파 발생기(10)와 전극(40,50)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단계(S130,S14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치료 설정 정보가 원격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면, 고주파 치료기(100)의 제어부(30)는 해당 치료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고주파 발생기(10)의 고주파 출력 조건을 설정하여(S160) 해당 고주파 출력 조건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 고주파 발생기(10)로 전송하여 고주파 발생기(10)에서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고주파 치료를 수행하도록 한다(S170).
여기에서, 치료 설정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 전류값, 치료 시간, 치료 간격 및 치료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제어부(30)는 이러한 치료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고주파 출력 조건을 설정하고 이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고주파 발생기(10)로 전달한다.
고주파 발생기(10)는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고주파 전류를 전극(40,50)에 인가함으로써 고주파 출력 조건에 상응하는 고주파 전류를 해당 치료 시간, 치료 간격 및 치료 횟수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 피부 및 구강 내 피부에 인가함으로써 고주파 치료를 수행한다.
고주파 치료를 수행하면서, 제어부(30)는 치료 시간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80), 치료 시간이 종료된 경우 고주파 발생기(1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고주파 발생기(10)에서 고주파 전류의 발생을 중지시키고(S190), 고주파 치료기(10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와 함께, 제어부(30)는 치료 완료 후의 치료 대상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원격 서버(200)로 전송하여(S200) 원격 서버(200)에서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원격 서버(200)로 전송된 치료 대상 정보는 예컨대 딥 러닝 알고리즘(Deep learning algorithm)의 학습 데이터로 사용되며 학습을 통해 치료 효과를 점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치료 대상 정보에 포함된 치료 부위의 사진은 영상 처리 과정을 거쳐 영상의 주름, 잡티, 여드름 등의 형태적인 부분과 피부의 톤, 밝기 등의 색상적인 부분에 대한 특징(feature)을 추출하여 신경망(neural network)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은 원격 서버(200)에서 딥 러닝 알고리듬에 의해 학습된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치료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 치료 전 사용자의 치료 부위의 이미지, 치료 조건(치료 간격(interval)/회수(count)) 등과 같은 치료 대상 정보와 BIA 모듈(20)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정보를 미리 학습된 딥 러닝 신경망(Deep learning neural network)의 분류기(classifier,201)로 입력시킨다.
이 때, 이전에 학습되었던 가중치(weight)와 바이어스(bias)값을 분류기(201)로 전달한다.
한편, 치료 전 사용자의 치료 부위의 이미지는, 이미지 처리부(202)로 전달되고, 이미지 처리부(202)는 이미지 처리를 위해 정규화(normalization)를 수행하고, 특징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feature extraction) 과정을 수행하고, 추출된 특징을 분류기(201)로 전달한다.
분류기(201)는 사용자 정보, 치료 전 사용자의 치료 부위의 이미지, 치료 조건(치료 간격(interval)/회수(count)) 등과 같은 치료 대상 정보와 BIA 모듈(20)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정보와 가중치/바이어스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출력 조건으로 설정된 치료 설정 정보를 출력하고 이를 고주파 치료기(100)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치료 설정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 전류값, 치료 시간, 치료 간격 및 치료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원격 서버(200)에서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를 학습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정보, 치료 전 사용자의 치료 부위의 이미지, 치료 조건(치료 간격(interval)/회수(count)) 등과 같은 치료 대상 정보와 BIA 모듈(20)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정보와 함께, 치료 후의 이미지를 딥 러닝 신경망으로 전달하여 분류기(classifier,201)를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의사의 분석 결과(diagnosis)와 치료 대상자인 사용자의 문진 결과 또는 설문 조사 결과 정보도 분류기(201)에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의해 분류기(201)를 학습시키고 학습 결과인 가중치 및 바이어스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딥 러닝 신경망을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기타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서는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를 딥 러닝 신경망에 의해 학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 기타 다양한 종래 알려져 있는 학습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
10...고주파 발생기
20...BIA(Body Impedance Analysis) 모듈
30...제어부
40...안면용 전극
50...구강용 전극
60...스위칭 회로

Claims (6)

  1.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로서,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안면용 전극과 구강용 전극으로 인가하는 고주파 발생기;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안면용 전극 및 구강용 전극으로 인가하여 안면용 전극과 구강용 전극 사이의 안면 조직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BIA(Body Impedance Analysis) 모듈;
    상기 고주파 발생기 및 BIA 모듈 중 어느 하나와 안면용 전극 및 구강용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칭 회로;
    고주파 치료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고주파 전류 또는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인가하는 안면용 전극;
    사용자의 구강 내 피부에 고주파 전류 또는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인가하는 구강용 전극; 및
    고주파 치료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치료기는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에 대응하여 치료 설정 정보를 저장한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원격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고주파 치료기는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를 원격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치료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치료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주파 발생기, BIA 모듈 및 스위칭 회로와 연결되며, 스위칭 회로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스위칭 회로에 의해 고주파 발생기 및 BIA 모듈 중 어느 하나가 안면용 전극 및 구강용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주파 치료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스위칭 회로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BIA 모듈과 안면용 전극 및 구강용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어 신호에 의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임피던스 측정 전류를 발생시켜 안면용 전극과 구강용 전극 사이의 안면 조직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치료 대상 정보와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 정보를 원격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상기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에 상응하는 치료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스위칭 회로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고주파 발생기와 안면용 전극 및 구강용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어 신호에 의해 고주파 발생기로부터 상기 치료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안면용 전극과 구강용 전극으로 인가하여 사용자의 안면 피부 및 구강 내 피부에 대한 고주파 치료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료 대상 정보는, 치료 대상인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체중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현재까지의 치료 주기/회수 정보, 치료할 부위의 치료 전/후 사진을 포함하는 사용자별 치료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임피던스 정보는 BIA 모듈의 동작에 의해 측정된 안면 조직의 임피던스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치료 설정 정보는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에 상응하여 최적의 출력 조건으로 설정된 고주파 발생기의 출력 조건 정보로서, 출력 전류값, 치료 시간, 치료 간격 및 치료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원격 서버에 저장된 신체 성분-설정 출력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치료 대상 정보 및 임피던스 정보에 기초하여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
KR1020190091732A 2019-05-17 2019-07-29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 KR202001326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7976 2019-05-17
KR1020190057976 2019-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620A true KR20200132620A (ko) 2020-11-25

Family

ID=7364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732A KR20200132620A (ko) 2019-05-17 2019-07-29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26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0552A (zh) * 2021-01-21 2021-06-01 深圳市东迪欣科技有限公司 一种电刺激治疗仪负载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017B1 (ko) 2017-07-21 2018-04-03 주식회사 비엠텍월드와이드 구강용 고주파 치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017B1 (ko) 2017-07-21 2018-04-03 주식회사 비엠텍월드와이드 구강용 고주파 치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0552A (zh) * 2021-01-21 2021-06-01 深圳市东迪欣科技有限公司 一种电刺激治疗仪负载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870552B (zh) * 2021-01-21 2024-03-26 深圳市东迪欣科技有限公司 一种电刺激治疗仪负载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2127B2 (en) Optical vestibular stimulator
EP0197889B1 (fr) Dispositif de stimulation neuro-musculaire électrique
JP2009543621A (ja) 人体の神経に対する経皮刺激システム
TWI604837B (zh) Intelligent physiological response feedback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137865B1 (ko) 휴대용 다기능 피부 미용 치료기
JP2018007998A (ja) 生体刺激具
KR20190099371A (ko) 피부 미용 및 치료 시스템
KR20200132620A (ko) 안면 조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최적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
KR102214521B1 (ko) 미용에 사용하는 복합 전극패드를 이용한 미용기기와 그 방법
US20060178660A1 (en) System for the stimulation of acupuncture points
JP2008528136A (ja) 電解脱毛装置
KR20190103535A (ko) 분리형 카트리지를 구비한 피부미용 치료기
Kaikkonen et al. Retinal temperature determination based on photopic porcine electroretinogram
JP2001014082A (ja) 神経インターフェイスシステム
CN204562882U (zh) 一种便携式激光艾灸仪
KR101472116B1 (ko) 쿨링과 심부열 치료를 통합한 척추 교정 고주파 치료 장치
CN208888607U (zh) 一种信号发生装置以及具有信号发生装置的设备
CN207992737U (zh) 一种信号发生装置以及具有信号发生装置的设备
CN212651230U (zh) 一种电子针灸设备
JPH1157030A (ja) 治療器
KR20210068813A (ko) 딥러닝 기반 고주파 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220256976U (zh) 一种产后盆底肌群康复仪
CN109976199A (zh) 一种信号发生装置以及具有信号发生装置的设备
CN211066610U (zh) 一种脊椎损伤测试设备
US2024010889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manage microcurrent therapy d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