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582A - Adapter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 Google Patents

Adapter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582A
KR20200132582A KR1020190058331A KR20190058331A KR20200132582A KR 20200132582 A KR20200132582 A KR 20200132582A KR 1020190058331 A KR1020190058331 A KR 1020190058331A KR 20190058331 A KR20190058331 A KR 20190058331A KR 20200132582 A KR20200132582 A KR 20200132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dapter
fastening frame
wireless recognition
recognition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3581B1 (en
Inventor
구은경
Original Assignee
구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은경 filed Critical 구은경
Priority to KR102019005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581B1/en
Priority to JP2019233544A priority patent/JP6916862B2/en
Publication of KR20200132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5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5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for mounting a user terminal on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comprising: a fastening frame to which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is fastened to a lower part; and a bracket including an elastic portion fastened at an upper side of the fastening frame, mounting the user terminal on an upper part, and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a pressing portion connected to the elastic portion and moving the elastic portion up and down by being pressed.

Description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ADAPTER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Adapter for wireless recognition reader {ADAPTER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본 발명은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제품에 붙이는 태그(Tag)에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자체 안테나를 갖추고 있으며, 리더기(Reader)로 하여금 태그(Tag)의 정보를 읽고, 인공위성이나 이동통신망과 연계하여 정보시스템과 통합하여 사용되는 활동 또는 칩을 말한다.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ntains information on the entire process of production, distribution, storage, and consumption in a tag attached to a product, and has its own antenna, and allows a reader to read the tag information. , It refers to an activity or chip that is used in connection with an information system in connection with an artificial satellite 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동통신의 발달과 실시간 처리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RFID 태그 판독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RFID리더기를 장착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and a growing demand for real-time processing, a device for attaching an RFID reader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ading an RFID tag has been developed.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리더기를 장착하기 위해, 자석을 이용하여 리더기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에 장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석의 자기장이 판독 장치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영향을 미치므로 비록 자장 차폐의 역할을 하는 철판을 부착하더라도 여전히 오작동의 위험이 있다. 또한, 자석을 이용한 부착 정도가 견고하지 못해 사용하는 도중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리더기의 방향이 틀어지거나, 리더기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되기 쉬우므로 사용이 쉽지 않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mount a reader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eader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agne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affects the reading devi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still a risk of malfunction even if a steel plate serving as a magnetic field shield is attached. In addition, since the degree of attachment using a magnet is not robust, the orientation of the read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hanged during use, or the reader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king it difficult to use.

또한,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말기를 1-2개씩 항상 소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거래시 대금을 결제하는 방법은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지는 소액결제에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며, 그 요금 청구 방식도 대부분 단말기 사용 요금에 합산하여 청구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민이 소지하고 있는 개인의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RFID 태그를 판독할 수 있는 리더기 시스템의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리더기가 필요하다.In addition, due to the rapid spread of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st people always have 1-2 terminals at all times. The method of paying for transactions using such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used for micropayments made over the Internet. It is common, and the billing method is usually charged in addition to the terminal usage fe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of a reader system capable of reading an RFID tag us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n individual possessed by most of the public.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reader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a terminal held by the use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355357호 (2004.06.2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355357 (2004.06.2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RFID 리더기에 사용자 단말기를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capable of easily attaching and detaching a user terminal to an RFID reader.

또한, 휴대가 가능한 RFID 리더기 모듈을 제공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that provides a portable RFID reader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인식리더기에 사용자 단말기를 장착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에 있어서, 하부에 무선인식리더기가 체결되는 체결 프레임; 및 상기 체결프레임의 상측에서 체결되고, 상부에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되되,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어 가압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for mounting a user terminal to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comprising: a fastening frame to which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is fastened to a lower portion; And a bracket that is fasten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astening frame, and a user terminal is mounted thereon, and includes an elastic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a pressing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elastic portion and moves the elastic portion up and down as the elastic portion is pressed. It provides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that includes.

또한, 상기 체결 프레임은, 상기 탄성부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가압부의 하측에서 상기 가압부와 소정 간격 거리를 가지도록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frame, the fixing block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portio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comprising a; a depress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ressing portion at a lower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탄성부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이 상기 체결 프레임의 연결된 상태에서, 일면이 상기 고정블록의 타면과 접촉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고정블록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가 상승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고정블록과 이격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portion, and in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frame, a protrusion having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block, In this state, as the pressing portion is pressed, the elastic portion rises, so that the protrusion portion may provide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spaced apart from the fixed block.

또한, 상기 탄성부는 양 단이 연결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1 슬릿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양 단이 연결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2 슬릿의 내측에 형성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part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slit that is bent so that both ends are not connected, and the pressing part provides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slit that is bent so that both ends are not connected. can do.

또한, 상기 체결 프레임의 상면에는, 양 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의 상부와 연결되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후면 및 상기 정렬부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frame, alignment portions protrud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from both sides; A protrusion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alignment portion and protruding inwardly; And a stopper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lignment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또한,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정렬부의 내측벽을 따라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되며, 상기 스토퍼와 맞닿아 슬라이딩이 중단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comprising a; a locking part guided and sli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alignment part and stops sliding in contact with the stopper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스토퍼와 상기 고정블록 사이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고정블록과 접촉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이 고정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stopper and the fixing block, the lock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the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block,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to which the fastening frame and the bracket are fix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RFID 리더기에 사용자 단말기를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capable of easily attaching and detaching a user terminal to an RFID reader.

또한, 휴대가 가능한 RFID 리더기 모듈을 제공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that provides a portable RFID reader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가 리더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리더기의 설치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프레임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에 작동부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showing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according to FIG. 1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dapter for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of Figure 6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is fastened to a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part of the reader
10 is a view showing a lower surface of a fasten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views showing that an operation unit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views showing another form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apter 1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dapter 1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는 브라켓(10) 및 체결 프레임(20)을 포함한다.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는 무선인식리더기(1000)에 사용자 단말기를 장착할 수 있다. 이때,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는 무선인식리더기(1000)에 용이하게 체결 및 탈착이 가능하다. 1 and 2, the adapter 1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includes a bracket 10 and a fastening frame 20. The adapter 1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may mount a user terminal on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1000. At this time, the adapter 1 for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can be easily fastened and detached from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1000.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된 상태에서, 브라켓(10)에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되고, 체결 프레임(20)이 무선인식리더기(1000)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0)은 상부에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되고, 하부에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체결 프레임(20)은 하부에 무선인식리더기(1000)가 체결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10 and the fastening frame 20 are fastened, the user terminal is mounted on the bracket 10 and the fastening frame 20 may be fastened to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1000. Specifically, a user terminal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acket 10 and a fastening frame 2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In addition, the fastening frame 20 may be fastened to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1000 below.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The bracket 10 and the fastening frame 20 may be fastened in a sliding manner.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을 나타낸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showing a bracke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10)은 탄성부(11), 가압부(12), 제1 슬릿(110), 제2 슬릿(120), 돌기부(13), 걸림부(14) 및 지지부(15)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bracket 10 includes an elastic part 11, a pressing part 12, a first slit 110, a second slit 120, a protrusion 13, a locking part 14 And it may include a support (15).

브라켓(10)은 상면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브라켓(10)은 일 면에서 양 측이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 단말기의 하면과 측면을 감쌀 수 있다. A user terminal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10. As an example, the bracket 1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both sides are bent on one surface, and may wrap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구체적으로, 브라켓(10)은 평면부(101), 측면부(102) 및 단차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racket 10 may include a flat portion 101, a side portion 102, and a step portion 103.

평면부(101)는 사용자 단말기의 하면을 감싸는 부분이고, 측면부(102)는 평면부(101)의 양측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 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부분이다.The flat portion 101 is a portion surroun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ide portion 102 is formed to be bent at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101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단차부(103)는 평면부(101) 내측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03)는 평면부(101)에서 단차지게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부(101)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되었을 때, 단차부(103)는 사용자 단말기의 하면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The stepped portion 103 may be formed in a region inside the flat portion 101. The stepped portion 103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is stepped downward from the flat portion 101. Accordingly, when the user terminal is positioned on the flat portion 101, the step portion 103 may be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탄성부(11)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1)는 브라켓(10)의 단차부(103)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11)는 양 단이 연결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1 슬릿(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슬릿(11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슬릿(110) 내측에 탄성부(11)가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11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The elastic portion 11 may be formed on the stepped portion 103 of the bracket 10. Specifically, the elastic portion 11 may be formed by a first slit 110 that is bent so that both ends are not connected. For example, the first slit 110 may be formed in a'C' shape. An elastic portion 11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slit 110.

제1 슬릿(110)에 의해 탄성부(11)의 복수의 모서리가 브라켓(10)과 이격됨으로써, 탄성부(11)가 소정 간격 내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rners of the elastic portion 11 are spaced apart from the bracket 10 by the first slit 110, so that the elastic portion 11 may move up and down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가압부(12)는 브라켓(10)의 단차부(103)에서 탄성부(1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2)가 가압됨에 따라 탄성부(11)가 소정 간격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12)는 양 단이 연결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2 슬릿(1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슬릿(120)은 곡선 형태일 수 있으며, 'U'자 형태 또는 일부가 개방된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슬릿(120) 내측에 가압부(12)가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1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elastic portion 11 at the step portion 103 of the bracket 10. As the pressing portion 12 is pressed, the elastic portion 11 may move up and down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Specifically, the pressing part 12 may be formed by a second slit 120 that is bent so that both ends are not connected. For example, the second slit 120 may have a curved shape, and may be formed in a'U' shape or a circular shape in which a part is opened. A pressing part 12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slit 120.

또한, 가압부(12)는 단차부(103)에서 형성되되, 단차부(103)보다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가압부(12)는 단차부(103)의 상면과 브라켓(10)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12 is formed in the step portion 103, it may be positioned so as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step portion 103. That is, the pressing portion 12 may protrude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10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10.

제2 슬릿(120)에 의해 가압부(12)의 둘레 중 일부가 브라켓(10)과 이격됨으로써, 가압부(12)가 가압되는 외부의 힘에 따라 소정 간격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pressing unit 12 is spaced apart from the bracket 10 by the second slit 120, so that the pressing unit 12 can move up and down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to be pressed.

가압부(12)가 하측으로 눌려지는 힘을 받는 경우, 가압부(12)가 하강하면서, 가압부(12)와 연결된 탄성부(11)가 소정 간격 상승하게 된다. When the pressing portion 12 receives a force pressed downward, the pressing portion 12 descends, and the elastic portion 11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12 ris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돌기부(13)는 탄성부(11)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13)는 탄성부(11)의 타측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portion 11. Specifically, the protrusion 13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o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ortion 11.

돌기부(13)는 후술할 체결 프레임(20)의 고정블록(21)과 접촉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3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xing block 21 of the fastening frame 20 to be described later.

걸림부(14)는 브라켓(10)의 평면부(101) 하면에서 단차부(103)의 양 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locking portions 14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tepped portion 103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portion 101 of the bracket 10.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걸림부(14)는 단차부(103)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단차부(103)의 양 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걸림부(14)가 서로 이격되어 단차부(103) 양 측 각각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one or more locking portions 14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step portion 103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tep portion 103 by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the two locking portions 1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tep portion 103, respectively.

걸림부(14)는 후술할 체결 프레임(20)의 정렬부(23) 및 스토퍼(25)와 접촉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14 may be in contact with the alignment portion 23 and the stopper 25 of the fastening frame 20 to be described later.

지지부(15)는 체결 프레임(20)의 정렬부(23)와 접촉되어, 브라켓(10)이 체결 프레임(20)에서 슬라이딩될 때, 슬라이딩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support portion 15 is in contact with the alignment portion 23 of the fastening frame 20, and when the bracket 10 slides in the fastening frame 20, the sliding can be stopp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지지부(15)는 전방에 형성된 걸림부(14)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5)는 브라켓(10)의 양 측에서 걸림부(14)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5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locking part 14 formed in the front. 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15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10 outside the locking portion 1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프레임(20)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fram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체결 프레임(20)은 고정블록(21), 함몰부(22), 정렬부(23), 돌출부(24), 스토퍼(25) 및 가이드부(26)를 포함할 수 있다.5, the fastening frame 20 may include a fixing block 21, a depression 22, an alignment portion 23, a protrusion 24, a stopper 25, and a guide portion 26. .

고정블록(21)은 체결 프레임(2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block 21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frame 20.

또한, 고정블록(21)은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된 상태일 때, 탄성부(1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블록(21)의 타면(즉, 후면)은 돌기부(13)의 일면(즉, 전면)과 접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block 21 may be located under the elastic portion 11 when the bracket 10 and the fastening frame 20 are fastened. In this case, the other surface (ie,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block 21 may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ie,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rusion 13.

고정블록(21)의 전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면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side of the fixed block 2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nd the rear side may be formed vertically.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될 때, 브라켓(10)이 체결 프레임(20)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0)의 돌기부(13)는 고정블록(21)의 전면 경사를 따라 가이드되어 탄성부(11)가 소정 높이 상승한 후, 브라켓(10)이 후방으로 보다 더 슬라이딩되면 돌기부(13)가 고정블록(21)의 후면에 위치되어, 돌기부(13)의 일면과 고정블록(21)의 후면이 접촉될 수 있다. When the bracket 10 and the fastening frame 20 are fastened, the bracket 10 may slide backward from the fastening frame 20.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3 of the bracket 10 is guided along the front slope of the fixing block 21 so that the elastic part 11 rises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n when the bracket 10 slides further back, the protrusion 13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lock 21, and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3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lock 21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수직하게 형성된 고정블록(21)의 후면과 돌기부(13)의 전면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브라켓(10)이 체결 프레임(20)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Since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ly formed fixing block 2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rusion 13 contact each other, the bracket 10 cannot be moved forward from the fastening frame 20. Accordingly,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10 and the fastening frame 20 are fastened may be fixed.

함몰부(22)는 체결 프레임(20) 내에서 일 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2)는 고정블록(2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recessed part 22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region within the fastening frame 20. The depression 22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fixed block 21.

또한, 함몰부(22)는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된 상태일 때, 가압부(12)의 하측에서 가압부(12)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2)는 가압된 상기 가압부(12)가 하강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racket 10 and the fastening frame 20 are fastened, the recessed portion 22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essing portion 1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12. The depression 22 may be a space in which the pressurized pressing portion 12 can descend.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을 탈착할 경우, 가압부(12)를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가압부(12)가 가압되면 탄성부(11)가 소정 높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12)는 함몰부(22) 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탄성부(11)는 단턱부 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When the bracket 10 and the fastening frame 20 are detached, the pressing portion 12 may be pressed downward. When the pressing portion 12 is pressed, the elastic portion 11 rises to a predetermined height. At this time, the pressing part 12 descends toward the recessed part 22, and the elastic part 11 rises toward the stepped part.

탄성부(11)가 상측으로 변형됨에 따라, 탄성부(11) 하부에서 돌출된 돌기부(13)도 함께 상승된다. 돌기부(13)가 상승됨에 따라, 돌기부(13)와 고정블록(21)은 서로 비접촉상태가 될 수 있다. As the elastic portion 11 is deformed upward, the protrusion 13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11 also rises. As the protrusion 13 is raised, the protrusion 13 and the fixed block 21 may be in a non-contact state with each other.

정렬부(23)는 체결 프레임(20)의 상면 양 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렬부(23)는 함몰부(22)의 양 측 각각에서 체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즉, 전후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alignment part 23 may b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frame 20. Specifically, the alignment portion 23 may b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e,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astening frame 20 on each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22.

정렬부(23)는 체결 프레임(20) 상측에서 슬라이딩 체결되는 브라켓(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0)의 걸림부(14)가 정렬부(23)의 내측벽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브라켓(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alignment part 23 may guide the sliding of the bracket 10 that is slidably fasten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astening frame 20. Specifically, the locking portion 14 of the bracket 10 may be mov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alignment portion 23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bracket 10.

돌출부(24)는 정렬부(23)의 상부와 연결되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두 개의 돌출부(24)는 서로 이격되어 정렬부(23)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24)는 체결 프레임(20)과 수평 방향으로 정렬부(23)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24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lignment part 23 to protrude inward. For example, the two protrusions 2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protrude into the alignment part 23. That is, the protrusion 24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lignment unit 2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fastening frame 20.

스토퍼(25)는 돌출부(24)의 후면 및 정렬부(23)의 내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스토퍼(25)는 체결 프레임(20)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25)는 돌출부(24)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The stopper 25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rotrusion 2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lignment portion 23. That is, the stopper 25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astening frame 20. In this case, the stopper 25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rotrusion 24.

돌출부(24)와 스토퍼(25)는 'ㄱ'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The protrusion 24 and the stopper 25 may form a'L' shape.

브라켓(10)이 체결 프레임(20)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체결될 때, 브라켓(10)은 전방측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브라켓(10)의 걸림부(14)가 체결 프레임(20)의 정렬부(23) 내측벽을 따라 전방에서 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후, 걸림부(14)의 후측 단부가 스토퍼(25)에 의해 슬라이딩이 중단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0)의 지지부(15)는 정렬부(23)의 전방 단부와 접촉되어, 일 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When the bracket 10 is slid and fastened on the fastening frame 20, the bracket 10 may slide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fter the locking portion 14 of the bracket 10 slid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along the inner wall of the alignment portion 23 of the fastening frame 20, the rear end of the locking portion 14 is attached to the stopper 25. The sliding can be stopped by this. 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15 of the bracket 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alignment portion 23 and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가이드부(26)는 함몰부(22)의 양 측 각각에 배치되되, 정렬부(23)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정렬부(23)보다 내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26 is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22,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alignment portion 2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of the alignment portion 23.

가이드부(26)는 체결 프레임(20)에 체결되는 브라켓(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정렬부(23)와 가이드부(26) 사이에서 걸림부(14)가 이동될 수 있다.The guide part 26 may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bracket 10 fastened to the fastening frame 20. That is, the locking portion 14 may be moved between the alignment portion 23 and the guide portion 26.

도 6은 도 1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dapter 1 for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according to FIG. 1, and FIG. 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dapter 1 for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of FIG. 6.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은 체결 프레임(2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체결될 수 있다.6 and 7, the frame may be slidably moved on the fastening frame 20 to be fastened.

구체적으로, 브라켓(10) 하면에서 전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걸림부(14)가 체결 프레임(20) 상에서 전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돌출부(24)와 교차되도록, 브라켓(10)이 체결 프레임(2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4)는 정렬부(23)와 가이드부(26) 사이 간격 내에 위치된 상태이다.Specifically, the bracket 10 is so that the locking portions 14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bracket 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bracket 10 crosses the protrusions 24 spaced apart from the front and rear sides on the fastening frame 20 It may be located on the fastening frame 20. At this time, the locking portion 14 is located within the gap between the alignment portion 23 and the guide portion 26.

다시 말해, 브라켓(10)에 배치된 두 개의 걸림부(14) 중 전방의 걸림부(14)는 체결 프레임(20)에 배치된 두 개의 돌출부(24) 중 전방의 돌출부(24) 전방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의 걸림부(14)는 후방의 돌출부(24)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of the two locking portions 14 arranged on the bracket 10, the front locking portion 14 is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projection 24 of the two projections 24 arranged on the fastening frame 20 In addition, the other locking portion 14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rear protrusion 24.

이 상태에서, 브라켓(1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14)가 돌출부(24) 하측으로 삽입되도록 이동되어, 걸림부(14)가 스토퍼(25)와 충돌하면서 슬라이딩이 중단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5)는 정렬부(23)의 전방 단부와 맞닿을 수 있다.In this state, the bracket 10 can be slid back. Accordingly, the locking portion 14 is moved to be inserted downward of the protrusion 24, so that the sliding can be stopped while the locking portion 14 collides with the stopper 25. In this case, the support part 15 may contact the front end of the alignment part 23.

이러한 상태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10)의 돌기부(13)는 고정블록(21)의 전면 경사를 따라 가이드되어 탄성부(11)가 소정 높이 상승한 후, 브라켓(10)이 후방으로 보다 더 슬라이딩되면 돌기부(13)가 고정블록(21)의 후면에 위치되어, 돌기부(13)의 일면과 고정블록(21)의 후면이 접촉될 수 있다. In this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13 of the bracket 10 is guided along the front slope of the fixing block 21 so that the elastic portion 11 rises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n the bracket 10 moves backward. When it slides further, the protrusion 13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lock 21, so that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3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lock 21 may contact each other.

수직하게 형성된 고정블록(21)의 후면과 돌기부(13)의 전면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브라켓(10)이 체결 프레임(20)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Since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ly formed fixing block 2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rusion 13 contact each other, the bracket 10 cannot be moved forward from the fastening frame 20. Accordingly,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10 and the fastening frame 20 are fastened may be fix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을 탈착할 경우에는, 가압부(12)를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가압부(12)가 가압되면 탄성부(11)가 소정 높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12)는 함몰부(22) 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탄성부(11)는 단턱부 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탄성부(11)가 상측으로 변형됨에 따라, 탄성부(11) 하부에서 돌출된 돌기부(13)도 함께 상승된다. 돌기부(13)가 상승됨에 따라, 돌기부(13)와 고정블록(21)은 서로 비접촉상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racket 10 and the fastening frame 20 are detached, the pressing portion 12 may be pressed downward. When the pressing portion 12 is pressed, the elastic portion 11 rises to a predetermined height. At this time, the pressing part 12 descends toward the recessed part 22, and the elastic part 11 rises toward the stepped part. As the elastic portion 11 is deformed upward, the protrusion 13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11 also rises. As the protrusion 13 is raised, the protrusion 13 and the fixed block 21 may be in a non-contact state with each other.

이 상태에서, 브라켓(1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체결 프레임(20)과 탈착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bracket 10 may slide forward and be detached from the fastening frame 2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가 리더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리더기의 설치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프레임(20)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apter 1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is fastened to a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part of the reader, and FIG. 10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astening frame 20 according to.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리더기는 인식부, 손잡이부 및 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는 다른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8 to 10, the reader may include a recognition part, a handle part, and an installation part. The recognition unit may receive signals from other devi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1000)는 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로 전송되는 정보 판독이 용이하도록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가 설치되는 설치부는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total shape. 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part in which the adapter 1 for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is install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ad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설치부에는 양각부 및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9, a relief portion and an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in the installation portion.

양각부는 체결 프레임(20)이 배치되는 영역내에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양각부는 주변에 홈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양각부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4개의 꼭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embossed portions may be formed within an area in which the fastening frame 20 is disposed. For example, the embossed portion may have a groove formed around it. In addition, the embossed portio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can be formed at four vertices.

삽입홈은 체결 프레임(20)이 배치되는 영역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region where the fastening frame 20 is disposed.

이러한 설치부에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되어, 체결 프레임(20)이 무선인식리더기(1000)에 체결될 수 있다.The fastening frame 20 is fastened to such an installation part, so that the fastening frame 20 may be fastened to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1000.

체결 프레임(20)의 하면에는 음각부(27) 및 체결부(28)가 형성될 수 있다.An intaglio portion 27 and a fastening portion 28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astening frame 20.

음각부(27)는 설치부에 형성된 양각부에 대응되는 형상 및 위치에 형성되며, 양각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taglio portion 27 is formed in a shape an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mbossed portion formed in the installation portion, and may be formed in a size such that the embossed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체결부(28)는 삽입홈에 삽입가능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8)는 삽입홈의 형상, 위치 및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28 may be protrud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fastening part 28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position, and size of the insertion groove.

따라서, 체결 프레임(20)의 음각부(27)에 설치부의 양각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체결 프레임(20) 체결부(28)가 설치부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무선인식리더기(1000)의 설치부에 체결 프레임(20)이 고정됨으로써, 무선인식리더기(1000)에 무신인식리더기용 어댑터가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embossed portion of the installation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oncave portion 27 of the fastening frame 20, and the fastening frame 20, the fastening portion 28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installation portion, and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1000 By fixing the fastening frame 20 to the installation part of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1000, an adapter for a non-recognition reader may be fixed.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에 작동부(30)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1 to 13 are views showing that the operation unit 30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adapter 1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작동부(30)는 브라켓(10)에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가압부(12)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to 13, the operation unit 30 may cause the pressing unit 12 to be pressed downward while the user terminal is mounted on the bracket 10.

작동부(30)는 연결바(31), 편심회전부(32), 샤프트(33) 및 파지부(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part 30 may include a connection bar 31, an eccentric rotation part 32, a shaft 33, and a gripping part 34.

연결바(31)는 가압부(12)의 하부에 연결되어, 편심회전부(3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bar 31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art 12 and connected to the eccentric rotation part 32.

편심회전부(32)는 연결바(3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eccentric rotation part 32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bar 31.

샤프트(33)는 편심회전부(32)에 연결되되, 샤프트(33)의 중점이 편심회전부(32)의 중점과 벗어나도록 샤프트(33)가 편심회전부(32)에 연결될 수 있다.The shaft 33 is connected to the eccentric rotation unit 32, and the shaft 33 may be connected to the eccentric rotation unit 32 so that the center of the shaft 33 deviates from the center of the eccentric rotation unit 32.

샤프트(33)가 회전될 때, 편심회전부(32)가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shaft 33 is rotated, the eccentric rotation unit 32 may be rotated.

파지부(34)는 샤프트(33)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파지부(34)는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의 전방 단부보다 돌출될 수 있다.The gripping part 34 may be disposed at the end of the shaft 33. The gripping part 34 may protrude from the front end of the bracket 10 and the fastening frame 20.

브라켓(10)에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파지부(34)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샤프트(33)가 회전되면서 편심회전부(32)다 일 방향으로 소정 거리 회전된다. 편심회전부(32)가 회전됨에 따라 연결부가 당겨지면서 가압부(12)가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is mounted on the bracket 10, when the gripping part 34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eccentric rotation part 32 is rotat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one direction while the shaft 33 is rotated. As the eccentric rotation unit 32 is rotated, the connection unit is pulled and the pressing unit 12 may be pressed downward.

이와 같이, 작동부(30)가 가압부(12)를 하강으로 가압시킴으로써, 돌기부(13)가 고정블록(21)과 비접촉되어,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이 탈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operation unit 30 presses the pressing unit 12 downward, so that the protrusion 13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xing block 21, so that the bracket 10 and the fastening frame 20 are in a detachable state. I can.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4 and 15 are views showing another form of a bracke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브라켓(10)은 사용자 단말기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탄성부(11), 가압부(12), 걸림부(14) 및 지지부(15)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14 and 15, the bracket 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 terminal. However, the elastic portion 11, the pressing portion 12, the locking portion 14 and the support portion 15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dentically,

브라켓(10)의 평면부(101), 측면부(102)의 형태는 사용자 단말기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flat portion 101 and the side portion 102 of the bracket 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1: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10: 브라켓
101: 평면부 102: 측면부
103: 단차부 11: 탄성부
12: 가압부 13: 돌기부
14: 걸림부 15: 지지부
110: 제1 슬릿 120: 제2 슬릿
20: 체결 프레임 21: 고정블록
22: 함몰부 23: 정렬부
24: 돌출부 25: 스토퍼
26: 가이드부 27: 음각부
28: 체결부 30: 작동부
31: 연결바 32: 편심회전부
33: 샤프트 34: 파지부
1000: 리더기 1100: 인식부
1200: 손잡이부 1300: 설치부
1301: 양각부 1302: 삽입홈
1: Adapter for wireless recognition reader 10: Bracket
101: flat portion 102: side portion
103: step portion 11: elastic portion
12: pressing part 13: protruding part
14: locking portion 15: support portion
110: first slit 120: second slit
20: fastening frame 21: fixing block
22: depression 23: alignment
24: protrusion 25: stopper
26: guide part 27: intaglio part
28: fastening part 30: operating part
31: connecting bar 32: eccentric rotating part
33: shaft 34: grip portion
1000: reader 1100: recognition unit
1200: handle portion 1300: installation portion
1301: embossed portion 1302: insertion groove

Claims (7)

무선인식리더기에 사용자 단말기를 장착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에 있어서,
하부에 무선인식리더기가 체결되는 체결 프레임; 및
상기 체결 프레임의 상측에서 체결되고 상부에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되되,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어 가압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In the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for mounting a user terminal to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Fastening frame to which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And
Including; a bracket that is fasten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astening frame and the user terminal is mounted thereon, and includes an elastic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a pressing portion connected to the elastic portion to move the elastic portion up and down as the elastic portion is pressed. Adapter for wireless recognition rea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프레임은,
상기 탄성부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가압부의 하측에서 상기 가압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frame,
A fixed block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part; And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comprising a; a depression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ess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탄성부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이 상기 체결 프레임의 연결된 상태에서, 일면이 상기 고정블록의 타면과 접촉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고정블록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가 상승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고정블록과 이격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racket is,
A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portion, and having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block while the bracket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fram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block, the elastic part rises as the pressing part is pressed, so that the protru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block.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양 단이 연결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1 슬릿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양 단이 연결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2 슬릿의 내측에 형성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elastic part is formed inside the first slit that is bent so that both ends are not connected,
The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that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slit that is bent so that both ends of the pressing unit are not connect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프레임의 상면에는,
양 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의 상부와 연결되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후면 및 상기 정렬부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The method of claim 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frame,
Alignment portions protrud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from both sides;
A protrusion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alignment portion and protruding inwardly; And
An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having a stopper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lignment uni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정렬부의 내측벽을 따라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되며, 상기 스토퍼와 맞닿아 슬라이딩이 중단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The method of claim 5,
On the bottom of the bracket,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comprising a; guided and slid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alignment portion, the stopper is in contact with the sliding stop.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고정블록 사이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고정블록과 접촉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이 고정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The method of claim 6,
Between the stopper and the fixed block,
The locking part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the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block, the adapter for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to which the fastening frame and the bracket are fixed.
KR1020190058331A 2019-05-17 2019-05-17 Adapter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KR1022035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331A KR102203581B1 (en) 2019-05-17 2019-05-17 Adapter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JP2019233544A JP6916862B2 (en) 2019-05-17 2019-12-24 Wireless recognition reader adap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331A KR102203581B1 (en) 2019-05-17 2019-05-17 Adapter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582A true KR20200132582A (en) 2020-11-25
KR102203581B1 KR102203581B1 (en) 2021-01-18

Family

ID=7345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331A KR102203581B1 (en) 2019-05-17 2019-05-17 Adapter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16862B2 (en)
KR (1) KR10220358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357Y1 (en) 2004-04-07 2004-07-06 (주)모빌아이 Barcode Reader Attached on Mobilephone
KR20080056329A (en) * 2006-12-18 2008-06-23 (주)블루버드 소프트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KR101341333B1 (en) * 2012-11-28 2013-12-16 현대다이모스(주) Locking unit for sliding seat
KR20160001941A (en) * 2014-06-30 2016-01-07 김경훈 portable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KR20160125106A (en) * 2015-04-21 2016-10-31 (주) 유니정보 Smartphones mountable Handheld Bar Code Read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9844U (en) * 1982-12-24 1984-07-05 富士通株式会社 Mounting structure of car phone
JP3845879B2 (en) * 1995-07-12 2006-11-15 富士通株式会社 Mobile phone mounting device
JP2004005028A (en) * 2002-05-30 2004-01-08 Denso Wave Inc Optical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JP2014023141A (en) * 2012-07-23 2014-02-03 Satoru Katsumata Holder for carrying mobile information terminal
JP2013207803A (en) * 2013-05-28 2013-10-07 Panasonic Corp On-vehicle mobile phone charger and vehicl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357Y1 (en) 2004-04-07 2004-07-06 (주)모빌아이 Barcode Reader Attached on Mobilephone
KR20080056329A (en) * 2006-12-18 2008-06-23 (주)블루버드 소프트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KR101341333B1 (en) * 2012-11-28 2013-12-16 현대다이모스(주) Locking unit for sliding seat
KR20160001941A (en) * 2014-06-30 2016-01-07 김경훈 portable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KR20160125106A (en) * 2015-04-21 2016-10-31 (주) 유니정보 Smartphones mountable Handheld Bar Code Re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91065A (en) 2020-11-26
KR102203581B1 (en) 2021-01-18
JP6916862B2 (en)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31156A1 (en) Back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0357210A (en) Contact device
CN100539310C (en) Be used in the chip card contact device on SIM card or the usim card especially
US8597058B2 (en) Card holder
US8184443B2 (en) SIM card retention assembly
KR20100063349A (en) Sim card contacting device for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KR20180095695A (en) Connection uni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203581B1 (en) Adapter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US20030069040A1 (en) Apparatus for inserting a SIM card into a portable data processing / communication device
US20030032450A1 (en) Wireless transmission network card
CN205428065U (en) Modularization POS auxiliary device based on intelligent terminal
US20210135504A1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0482934Y1 (en) Cellular phone sliding case
KR100771425B1 (en) Sim card mounting structure
CN107359461B (en) Ka Gai, card connecto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back card agency
CN102055063B (en) Hand-held device wit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2149286B1 (en) Wearable assistance device
CN210109908U (en) Vending machine warehouse label board mounting structure
KR102109505B1 (en)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for card storage and retrieval
CN110518381A (en) Bracket
KR20110053102A (e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using locking equipment of shopping cart
KR101542458B1 (en) Portable Battery Of Mobile Terminal
CN217279730U (en) Sweep a yard device
CN218038003U (en) Many certificates recognition device of sign indicating number function is swept in area
KR101466964B1 (en) Mobile stamp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