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286B1 - Wearable assistance device - Google Patents
Wearable assistanc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9286B1 KR102149286B1 KR1020180103020A KR20180103020A KR102149286B1 KR 102149286 B1 KR102149286 B1 KR 102149286B1 KR 1020180103020 A KR1020180103020 A KR 1020180103020A KR 20180103020 A KR20180103020 A KR 20180103020A KR 102149286 B1 KR102149286 B1 KR 1021492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plate
- groove
- mounting portion
- opening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 주변에 장착되는 손목밴드부; 손목밴드부와 연결되며, 수평판과 수평판의 상부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전면에 위치한 개구부를 제외하고 양측면 및 후면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받침부; 및 받침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이다.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ristband unit mounted around a user's wrist;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wristband portion and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horizontal plate, and including stepped portion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and rear surfaces except for an opening located in the front side; And it includes a mounting portion slidingly coupled to the suppo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장착하기 위한 웨어러블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auxiliary device for mounting an external wearable device.
일반적으로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는 시계, 스마트 밴드, 카메라 부착용 밴드, 기타 폰 부착용 부착밴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손목 착용 웨어러블 장치는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보조 장치와 이에 고정되는 휴대용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때 휴대용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는 생체신호 측정기기, 바코드 스캐너 및 카드 단말기 등이 있다.In general, wearable devices worn on the wrist include watches, smart bands, camera attachment bands, and other phone attachment attachment bands. Such a wrist wearable device includes a wearable auxiliary device worn on a wrist and a portable external wearable device fixed thereto. At this time, as portable external wearable devices, there are bio-signal measuring devices, barcode scanners and card terminals.
특히, 근래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카드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용 카드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카드단말기를 각각 별도로 잡은 상태에서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방식으로 카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양 손으로 각각 스마트폰과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카드를 받아 카드단말기에 끼우고 결제버튼을 눌러 카드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인출되는 영수증을 끊어 손님에게 전달해줄 수 밖에 없어 편의성 및 사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양 손으로 각각 스마트폰과 카드단말기를 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결제버튼을 누르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을 바닥에 내려놓거나 손님에게 들도록 양해를 구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은 물론 불편함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recently, a portable card terminal that allows card payment to be made using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s used, but in this case, card payment is made by Bluetooth or Wi-Fi method while the user holds the smartphone and the card terminal separately. So, while holding the smartphone and the terminal with both hands, receive the card with one hand, insert the card into the card terminal, press the payment button to make the card payment, and cut the withdrawn receipt and deliver it to the custom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ience and usability are greatly degraded, and since you have to hold the smartphone and the card terminal with both hands, in order to press the payment button, you have to put the smartphone down on the floor or ask the customer for understanding. There is a problem that discomfort follows.
한편,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0644321호는 휴대용 무선 신용카드 조회단말기를 개시하고 있다.Meanwhile,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44321 discloses a portable wireless credit card inquiry terminal.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용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고정되는 장착부를 손목밴드부에 구비된 받침부에 슬리이딩 결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apable of slidingly coupling a mounting portion to which a portable external wearable device is fixed to a support portion provided in a wristband portion.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 주변에 장착되는 손목밴드부; 손목밴드부와 연결되며, 수평판과 수평판의 상부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전면에 위치한 개구부를 제외하고 양측면 및 후면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받침부; 및 받침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이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ristband unit mounted around a user's wrist;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wristband portion and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horizontal plate, and including stepped portion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and rear surfaces except for an opening located in the front side; And it includes a mounting portion slidingly coupled to the suppor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웨어러블 보조 장치를 사용자의 손에 착용한 상태로 받침부로부터 장착부에 고정된 휴대용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손쉽게 탈착하여 사용하고,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받침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분실할 염려가 없으며, 보관 장소에서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찾기 위한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external wearable device fixed to the mounting part from the base is easily detached and used while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is worn on the user's hand, and can be coupled to the base through sliding coupling. I can. Accordingly, there is no fear of losing the external wearable device, and there is no need to waste time searching for the external wearable device in the storage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받침부와 장착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upport part and a mounting part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position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of the degree used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at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specific to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fair use of the stated disclosure by unscrupulous infringers.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p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본 발명의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탈착할 수 있는 손목 착용 장치일 수 있다. 상술한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란 생체신호 측정기기, 바코드 스캐너, 카드 단말기, 가전기기, 게임기, 드론, 가상현실 장치, 및 증강현실 장치와 통신모듈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워치, 스마트폰, 테블릿 PC, 입력 장치, 제어 장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wrist wearing devic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n external wearable device. The above-described external wearable device refers to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a barcode scanner, a card terminal, a home appliance, a game device, a drone, a virtual reality device, and a smart device (for example, a smart watch, a smart phone) connected to an augmented reality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 Tablet PC, input device, control devic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의 (a)는 받침부(20)와 받침부의 양측에 결합된 손목밴드부(10)를 도시한 것이며, 도 1의 (b)는 받침부(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장착부(30)와 장착부(30)에 고정되는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40)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of FIG. 1 shows th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 주변에 장착되는 손목밴드부(10), 손목밴드부(10)와 연결되며, 수평판(20a)과 수평판(20a)의 상부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전면에 위치한 개구부를 제외하고 양측면 및 후면에 형성되는 단턱부(20b)를 포함하는 받침부(20) 및 받침부(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장착부(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이에 따라, 받침부(20)로부터 장착부(30)에 장착된 휴대용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40)를 손쉽게 탈착할 수 있으며, 다시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받침부(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40)를 분실할 염려가 없으며, 보관 장소에서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40)를 찾기 위한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다. Accordingly, the portable external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웨어러블 보조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Specifically,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받침부와 장착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D’의 단면에 대하여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40)가 고정된 장착부(30)가 받침부(20)에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upport part and a mounting part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손목밴드부(10), 받침부(20), 장착부(30), 지지부(35) 및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specifically,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손목밴드부(10)는 일반적인 시계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부(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The
받침부(20)는 수평판(20a)과 수평판(20a)의 상부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전면에 위치한 개구부를 제외하고 양측면 및 후면에 형성되는 단턱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20)의 개구부는 단턱부(20b) 사이의 개구된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수평판(20a)의 하부면은 손목 착용감을 부여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받침부(20)는 단턱부(20b)의 양측면에 위치하되, 음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 홈(20c)을 포함하며, 장착부(30)는 슬라이드 홈(20c)에 삽입되도록 양측면에 양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 부(30a)를 포함할 수 있다.The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홈(20c)은 받침부(20)의 횡단면에 대하여 단턱부(20b)의 내측면에 음각으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더 깊게 파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홈(20c)에 대응하게 형성된 슬라이드 부(30a)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드 홈(20c) 및 슬라이드 부(30a)에 의해, 받침부(20)에 장착부(30)를 슬라이딩 결합할 경우,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Illustratively, referring to FIG. 2, the
받침부(20)는 단턱부(20b)의 후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수평판(20a)의 단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수평판(20a)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출부(21)를 포함하고, 장착부(30)는 돌출부(21)가 삽입되도록 장착부(30)의 일측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홈(31)을 포함할 수 있다.The
예시적으로, 돌출부(21)는 수평판(20a)의 단변의 길이 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고, 제1홈(31)은 장착부(30)의 단변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 일 수 있다. 이때, 장착부(30)가 받침부(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외력에 의해서 돌출부(21)가 제1홈(3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부(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장착부(30)는 돌출부(21) 및 제1홈(3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Exemplarily, the
예를 들어, 돌출부(21)의 길이는 수평판(20a)의 단변의 길이의 절반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외력에 의해 돌출부(21)가 장착부(30)의 제1홈(3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또한 받침부(20)는 개구부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되, 수평판(20a)의 상부면 가운데 형성되는 오목부(22)와 개구부로부터 오목부(22)로 직교하도록 형성된 제2홈(23)을 포함하고, 장착부(30)는 오목부(22)에 삽입되도록 장착부(30)의 타측 하부면에 형성되는 볼록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장착부(30)가 받침부(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볼록부(32)가 제2홈(23)을 따라 이동하며, 외력에 의해서 오목부(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부(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장착부(30)는 볼록부(32) 및 오목부(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받침부(20)에 장착부(30)를 고정하는 경우, 받침부(20)의 상부면에 양각으로 형성된 돌출부(21) 및 음각으로 형성된 오목부(22)와 장착부(30)의 하부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제1홈(31)과 양각으로 형성된 볼록부(32)가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받침부(20)에 대한 장착부(3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fixing the
지지부(35)는 장착부(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40)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부(35)는 장착부(3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 고정되는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40)의 하부면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40)는 카드, 바코드 및 NFC 리더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결제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제 단말기(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 40)는 손목에 착용될 정도로 작고 가볍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배달 서비스에 사용되는 결제단말기가 한손에 가득 차게 들리거나, 별도의 가방에 넣어질 정도로 큰 것에 비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xternal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보조 장치를 착용한 운전자의 경우, 물품의 배달 시에는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40)를 손목에 착용하고 있다가 결제할 때는 받침부(20)로부터 장착부(30)를 슬라이딩 분리하여, 장착부(30)의 상부의 지지부(35)에 고정 및 지지된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40)를 통해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river wearing the wearable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손목밴드부(10)에 연결된 받침부(2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b)는 지지부(35)의 하부에 연결된 장착부(30)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plan view of the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부(20)의 개구부(C)는 단턱부(22b) 사이의 개구된 공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받침부(20)의 개구부(C)는 슬라이드 홈(22c)에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개구부(C)의 길이(B)가 단턱부(22b)의 간격의 길이(A)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장착부(30)는 개구부(C)와 대응하도록 일단으로 갈수록 양측이 확장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3, the opening C of the
즉, 받침부(20)의 개구부(C)의 길이(B)가 슬라이드 홈(20c)이 형성된 단턱부(22b)의 간격의 길이(A) 보다 크게 형성되되, 개구부(C)가 슬라이드 홈(22c)에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받침부(20)의 슬라이드 홈(20c)과 장착부(30)의 슬라이드 부(30a)의 위치를 정확하게 대응시키지 않더라도, 개구부(C)를 통해, 손쉽게 슬라이딩 결합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length (B) of the opening (C) of the receiving portion (20) is formed larger than the length (A) of the gap between the stepped portion (22b) in which the slide groove (20c) is formed, the opening (C) is the slide groove ( Because it is formed to extend obliquely to 22c), even if the position of the slide groove (20c) of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slide portion (30a) of the mounting portion (30) do not correspond accurately, through the opening (C), it can be easily slidably coupled. I ca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form it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손목밴드부
20: 받침부
20a: 수평판
20b: 단턱부
20c: 슬라이드 홈
21: 돌출부
22: 오목부
23: 제2홈
30: 장착부
31: 제1홈
32: 볼록부
35: 지지부
40: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10: wristband part
20: base
20a: horizontal plate
20b: stepped portion
20c: slide groove
21: protrusion
22: recess
23: second groove
30: mounting part
31: first groove
32: convex
35: support
40: external wearable device
Claims (11)
사용자의 손목 주변에 장착되는 손목밴드부;
상기 손목밴드부와 연결되며,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상부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전면에 위치한 개구부를 제외하고 양측면 및 후면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고정 및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단턱부의 양측면에 위치하되, 음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 홈;
상기 단턱부의 후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수평판의 단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수평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출부;
상기 개구부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되, 상기 수평판의 상부면 가운데 형성되는 오목부; 및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오목부로 직교하도록 형성된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양측면에 양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 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부의 일측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홈; 및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부의 타측 하부면에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홈은 상기 장착부의 단변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장착부가 상기 받침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볼록부가 상기 제2홈을 따라 이동하며, 외력에 의해서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것이고,
외력에 의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홈에 삽입되는 것이고,
상기 받침부의 개구부는 상기 단턱부 사이의 개구된 공간을 의미하며, 슬라이드 홈에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되,
상기 개구부의 길이가 상기 단턱부의 간격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도록 일단으로 갈수록 양측이 확장 형성되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In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 wristband unit mounted around a user's wrist;
A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wristband part and formed along an edge of a horizontal plat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and including stepped part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and rear surfaces except for an opening located in the front side;
A mounting portion sliding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 fixing and supporting an external wearable devic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The support part
A pair of slide groove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tepped portion and formed in an intaglio;
A protrusion disposed adjacent to a rea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and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along a length direction of a short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A concav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ed in the middle of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And
And a second groove formed to be orthogonal to the concave portion from the opening,
The mounting part
A pair of slide portions formed in embossed shape on both sides to be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A first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so that the protrusion is inserted; And a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The first groove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When the mounting portion is slidingly coupled to the support,
The convex portion moves along the second groove and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by an external force,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by an external force,
The opening of the support part means an open space between the stepped parts, and is formed to extend obliquely to the slide groove,
The length of the opening is formed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gap of the stepped portio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to expand toward one end so as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Wearable auxiliary device.
상기 수평판의 하부면은 손목 착용감을 부여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is formed in a curve to give a wrist fit,
Wearable auxiliary device.
상기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카드, 바코드 및 NFC 리더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결제 단말기인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rnal wearable device is a payment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ard, a barcode, and an NFC reader module,
Wearable auxiliary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3020A KR102149286B1 (en) | 2018-08-30 | 2018-08-30 | Wearable assistanc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3020A KR102149286B1 (en) | 2018-08-30 | 2018-08-30 | Wearable assistanc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5533A KR20200025533A (en) | 2020-03-10 |
KR102149286B1 true KR102149286B1 (en) | 2020-08-28 |
Family
ID=6980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3020A KR102149286B1 (en) | 2018-08-30 | 2018-08-30 | Wearable assistanc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928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94445A (en) * | 2020-03-11 | 2021-11-03 | Grayer Michael | Wearable payment receiv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3921B1 (en) * | 2011-02-15 | 2013-05-14 | (주) 큐인테크 | Usb device having card-shaped body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70549B2 (en) * | 2007-09-07 | 2013-02-05 | Nike, Inc. |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
-
2018
- 2018-08-30 KR KR1020180103020A patent/KR10214928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3921B1 (en) * | 2011-02-15 | 2013-05-14 | (주) 큐인테크 | Usb device having card-shaped bod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5533A (en) | 2020-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23443B2 (en) | Consumer product attachment systems having locking or expansion characteristics | |
CN205358486U (en) | Can remove belt, can wear electronic equipment and attach system of connecing | |
US11004066B2 (en) | Components for enhancing or augmenting wearable accessories by adding electronics thereto | |
US9106310B2 (en) | Apparatus for securing memory modules and/or subscriber identity module in an electronic device | |
KR200466058Y1 (en) | Cover Case For Portable Divice Having Support Function | |
KR102149286B1 (en) | Wearable assistance device | |
KR101041556B1 (en) | Folding type portable glasses | |
US10330955B2 (en) | Spectacles with personal accessories | |
KR20170035319A (en) | Attachable/detachable electronic device | |
KR20150004419U (en) | Multi functional all-in-one POS device attachable of various modular parts | |
KR101946952B1 (en) | Mobile phone case | |
KR102306904B1 (en) | 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 |
CN203618949U (en) | Wearable sensing device | |
KR102109505B1 (en) |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for card storage and retrieval | |
KR20180096641A (en) | Protection | |
JP2017102727A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KR102425526B1 (en) | Card case | |
KR101709636B1 (en)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
US20170070257A1 (en) | Cover set | |
KR20130077421A (en) | Mobile phone cases | |
KR102200869B1 (en) | Smart phone supporting cradle | |
KR20160003288U (en) | Mobile phone case | |
KR20130093332A (en) | A case for portable terminal | |
KR101578617B1 (en) | Portable phone case with card holder | |
EP3832545A1 (en) | Wearable or portable device for electronic identific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