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301A -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301A
KR20200132301A KR1020190057597A KR20190057597A KR20200132301A KR 20200132301 A KR20200132301 A KR 20200132301A KR 1020190057597 A KR1020190057597 A KR 1020190057597A KR 20190057597 A KR20190057597 A KR 20190057597A KR 20200132301 A KR20200132301 A KR 20200132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data
information
user terminal
con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흥
Original Assignee
소프트런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프트런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프트런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7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2301A/ko
Priority to PCT/KR2019/006342 priority patent/WO2020230941A1/ko
Priority to US16/516,587 priority patent/US20200364693A1/en
Publication of KR20200132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301A/ko
Priority to KR1020210103809A priority patent/KR20210101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with the personal data of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사용자 단말기가 센서부 또는 통신부를 통해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고려하여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기초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CESSING DATA USING TRANSA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소비 생활에 있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페이먼트 방법이나, 거래 방법 등을 활용한 트랜잭션 행위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이러한 트랜잭션행위에 대한 분석과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트랜잭션 행위를 수행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트랜잭션 행위 관리 방법은 트랜잭션 행위 자체 기록에 집중이 되어 있어 사용자와 관련된 의미 있는 정보와 연관시켜 활용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트랜잭션 행위와 대응되어 수신되는 트랜잭션 데이터 및 수신 시점에 센싱된 맥락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트랜잭션 정보들을 활용한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센서부 또는 통신부를 통해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고려하여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맥락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서버로부터 맥락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기초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맥락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가상 공간을 렌더링하고, 가상 공간 내에서의 상기 속성 정보와 대응되도록 상기 결제 데이터의 배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배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상기 가상 공간 내에 배치시켜 출력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맥락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에서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결제 수단 정보, 결제 기간 정보, 결제 금액, 결제 발생 위치, 결제 시점, 및 결제 수단에 대한 누적 사용 금액을 포함하는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생성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 만이 출력되도록 변경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는 사용자의 트랜잭션 행위와 대응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외부의 다른 서버를 통해서 수신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는 기 설정된 발생 조건과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발생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맥락 데이터는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의 수신 이전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가 발생된 경우,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가 발생했던 발생 시점과 관련하여 검출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맥락 데이터는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인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생성된 것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사진, 포스팅, 메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센서부 또는 통신부를 통해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고려하여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맥락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서버로부터 맥락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기초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맥락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가상 공간을 렌더링하고, 가상 공간 내에서의 상기 속성 정보와 대응되도록 상기 결제 데이터의 배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배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상기 가상 공간 내에 배치시켜 출력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맥락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에서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결제 수단 정보, 결제 기간 정보, 결제 금액, 결제 발생 위치, 결제 시점, 및 결제 수단에 대한 누적 사용 금액을 포함하는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생성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 만이 출력되도록 변경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는 사용자의 트랜잭션 행위와 대응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외부의 다른 서버를 통해서 수신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는 기 설정된 발생 조건과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발생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는 기 설정된 발생 조건과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발생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맥락 데이터는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의 수신 이전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가 발생된 경우,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가 발생했던 발생 시점과 관련하여 검출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맥락 데이터는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인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생성된 것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사진, 포스팅, 메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트랜잭션 정보들을 활용한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가공 시스템의 예시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 통신 서버, 데이터 처리 서버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가공 시스템의 예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 통신 서버, 데이터 처리 서버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데이터 가공 시스템에 의해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트랜잭션(TRANSACTION) 데이터는 사용자의 행위와 대응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특정시간, 특정위치 방문, 상기 특정시간에서의 특정위치에서 모바일 수단을 이용한 트랜잭션 행위 일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의 형태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발신되는 단문 메시지, 인터넷 망을 통해 수발신되는 푸쉬 메시지,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수발신되는 메시지 등과 같이 다양하며,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맥락 데이터로 파악된 정보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트랜잭션 행위에 대응해 추론된 의미 데이터를 말하며, 사용자의 위치, 시간,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정보, 사용자가 트랜잭션의 내용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 맥락 데이터를 통해 수집된 발생 위치, 발생 시간, 이전의 트랜잭션 정보, 미래의 트랜잭션 정보, 군집화된 트랜잭션 정보의 클러스터링 등을 조합시켜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가공 시스템의 예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가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통신 서버(200), 데이터 처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통신사 서버(200) 및/또는 데이터 처리 서버(300)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로,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프로세서, 저장 매체, 통신 모듈, 입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행위와 관련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트랜잭션 데이터 및/또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과 연계된 맥락 데이터를 수집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데이터,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 트랜잭션 데이터 및/또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과 연계된 맥락 데이터를 결합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통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트랜잭션 데이터 및/또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을 전송한다. 통신 서버(200)는 단문 메시지의 형태 또는 푸쉬 메시지의 형태로 트랜잭션 데이터 및/또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을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트랜잭션 데이터,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 트랜잭션 데이터 및/또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과 연계하여 수집된 맥락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의 발생에 대한 추론된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데이터 및/또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을 수신하여 맥락 데이터를 검출하고, 트랜잭션 데이터,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 맥락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 제어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입력부(140), 표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저장부(130), 통신부(120)에 의해 제어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저장부(13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어부(110)가 저장부(13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요청)이 통신부(12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서버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을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제어부(110)나 저장부(130)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저장부(13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부(120)를 통해 저장부(13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저장 매체(130)에 로딩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4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5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150)는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5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출력부(15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출력부(15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출력부(15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온/습도 센서, 적외선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위치 센서(예컨대, GPS), 기압 센서, 근접 센서,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센서부(16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기울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위치한 방향 및 사용자 단말기(100)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6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감지되는 사용자 입력의 시간 길이 및 사용자 입력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30)는 수신부(131), 맥락 데이터 추출부(132), 맥락 데이터 처리부(133),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 생성부(134), 진위성 판단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31)는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사용자의 트랜잭션 행위와 대응되는 트랜잭션 데이터 및/또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을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부(131)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는 기 설정된 발생 조건과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맥락 데이터 추출부(132)는 센서부(160) 또는 주변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생성한다. 맥락 데이터 추출부(132)는 센서부 또는 주변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의 맥락 데이터를 생성한다. 맥락 데이터 추출부(132)는 위치 정보, 날씨 정보, 생체 정보 등을 센싱하거나 주변 전자 기기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맥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맥락 데이터는 위치 정보, 날씨 정보, 생체 정보 등과 같은 센싱 데이터 및 검출된 신호 등과 같은 주변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맥락 데이터는 위치 정보, 날씨 정보, 생체 정보 등과 같은 센싱 데이터 및 검출된 신호 등과 같은 주변 환경과 관련된 정보 및 트랜잭션 데이터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와 연계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에 검출되거나 센싱된 위치 정보를 트랜잭션 행위와 연계시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와 연계하여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수신된 신호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수신 시점(또는 발생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주변 장치들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말한다. 수신된 신호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수신 시점과 인접한 목표 시간 구간 동안 수신된 트랜잭션 데이터와 연계된다. 수신된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및 방문 장소 등을 알려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인접한 시점에 생성되는 컨텐츠 및/또는 발생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서 생성되는 컨텐츠 일 수 있다.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인접하여 사진 찍기 애플리케이션, SNS 애플리케이션, 글쓰기 애플리케이션, 메모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그룹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생성될 수 있다.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인접하여 생성되는 것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맥락 데이터 처리부(133)는 트랜잭션 데이터가 수신되면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서버(300)로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맥락 데이터 처리부(133)는 트랜잭션 데이터 및 맥락 데이터를 고려하여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수단 정보, 할부 정보, 트랜잭션 금액, 발생 위치(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오프라인 상에서의 지점, 온라인 상에서의 웹 사이트 및 클릭 등의 이동 경로 정보), 발생 시점, 누적 발생 금액을 맥락 데이터(위치 정보, 위치와 대응되는 주소 정보, 방문 장소의 상호명 또는 지명 등)와 연결 시켜 생성될 수 있다.
맥락 데이터 처리부(133)는 트랜잭션의 발생 위치의 위치 정보, 트랜잭션 금액의 메뉴 정보, 트랜잭션 시점의 타이밍 정보 등의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수신한다. 트랜잭션 발생 시점의 타이밍 정보는 해당 결제 시점의 방문 고객의 수, 연령대 정보, 방문 고객 그룹의 성격(가족, 연인, 친구, 동료 등), 테이블의 트랜잭션 금액, 해당 일자 내의 발생 순서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타이밍 정보는 복수의 모바일 기기들을 통해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의미, 가치, 평가 등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유사한 성격의 방문 및 트랜잭션 발생이 몰려 있는 시간 구간의 트랜잭션 발생 시점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트랜잭션 발생 시점의 타이밍 정보는 트랜잭션 발생 시점의 가치, 의미, 평가 등과 비례하여 판단될 수 있다.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 생성부(134)는 트랜잭션 데이터, 맥락 데이터를 조합하거나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기초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가상 공간의 시각화된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 및 맥락 데이터를 연결시켜 가상 공간에 배치시킨 데이터를 말한다. 가상 공간 내에서의 트랜잭션 데이터의 배치 정보는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의 속성 정보 또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의 배치 정보는 가상 공간의 성격에 따라 위치 관련 속성 정보, 시간 관련 속성 정보, 금액 관련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 생성부(134)는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트랜잭션 데이터에 대해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 생성부(134)는 소정의 기준으로 선별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 무작위로 선별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 또는 발생된 모든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서버(300)로 전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위치 범위 내에서 발생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서 발생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 등을 데이터 처리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는 생성 즉시 데이터 처리 서버(300)로 전달되거나, 일정 단위로 패킷화하여 데이터 처리 서버(300)로 전달될 수 있다.
진위성 판단부(135)는 트랜잭션 데이터 또는 트랜잭션-맥락 데이터의 진위성을 판단한다. 진위성은 실제 발생된 트랜잭션 데이터 또는 트랜잭션-맥락 데이터인지 여부일 수 있다. 진위성 판단부(135)는 트랜잭션 데이터 및 맥락 데이터를 비교하여 트랜잭션 데이터의 진위성을 판단할 수 있다. 진위성 판단부(135)는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기초로 트랜잭션 데이터의 진위성을 판단할 수 있다. 진위성 판단부(135)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통해 획득된 트랜잭션 발생 위치 및 맥락 데이터를 통해 획득된 트랜잭션의 발생 시점의 위치 정보 사이의 일치 여부를 이용하여 트랜잭션 데이터의 진위성을 판단할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의 진위성이 TRUE인 경우,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맥락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위치 및 트랜잭션 관련 발생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트랜잭션 데이터의 진위성을 TRUE로 판단할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발생처 정보가 맥락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위치와 인접한 경우, 예를 들어, 위치가 발생처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50m 이내인 경우, 트랜잭션 데이터의 진위성을 TRUE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 통신 서버(200), 데이터 처리 서버(3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잭션 데이터 및/또는 맥락 데이터를 기초로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트랜잭션 행위와 대응되어 생성되는 트랜잭션 데이터들 또는 맥락 데이터들을 취합하여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 서버(200)로부터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410). 통신 서버(200)는 금융사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트랜잭션 데이터를 정해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의 수신 사용자 단말기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통해 분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센서부 또는 주변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수집한다(S420). 사용자 단말기(100)는 센서부 또는 주변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의 맥락 데이터를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 날씨 정보, 생체 정보 등을 센싱하거나 주변 전자 기기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맥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맥락 데이터는 위치 정보, 날씨 정보, 생체 정보 등과 같은 센싱 데이터 및 검출된 신호 등을 조합하여 맥락 데이터를 생성하고, 맥락 데이터 및 트랜잭션 데이터와 연계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와 연계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가 수신 또는 발생된 시점에 검출되거나 센싱된 위치 정보를 트랜잭션 발생과 연계시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와 연계하여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수신된 신호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주변 장치들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말한다. 수신된 신호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수신 시점과 같은 목표 시점과 인접하여 수신된 트랜잭션 데이터와 연계된다. 수신된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및 방문 장소 등을 알려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인접한 시점에 생성되는 컨텐츠 및/또는 발생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서 생성되는 컨텐츠 일 수 있다.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인접하여 사진 찍기 애플리케이션, SNS 애플리케이션, 글쓰기 애플리케이션, 메모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그룹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생성될 수 있다.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인접하여 생성되는 것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고려하여 트랜잭션 데이터에서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430).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트랜잭션 수단 정보, 할부 정보, 트랜잭션 금액, 트랜잭션 발생 위치, 트랜잭션 발생 시점, 누적 사용 금액을 맥락 데이터(위도, 경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위치와 대응되는 주소 정보, 방문 장소의 상호명 또는 지명 등)와 연결시켜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데이터 처리 서버(300)로 트랜잭션-맥락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요청한다(S440).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수신한다(S450).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발생 위치의 위치 정보, 트랜잭션 금액의 메뉴 정보, 트랜잭션 시점의 타이밍 정보 등의 맥락 데이터를 수신한다. 트랜잭션 발생 시점의 타이밍 정보는 해당 트랜잭션 시점의 방문 고객의 수, 연령대 정보, 방문 고객 그룹의 성격(가족, 연인, 친구, 동료 등), 테이블의 트랜잭션 금액, 당일 내의 방문 순서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타이밍 정보는 복수의 모바일 기기들을 통해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의미, 가치, 평가 등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유사한 성격의 방문 및 트랜잭션이 몰려 있는 시간 구간의 트랜잭션 발생 시점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트랜잭션 발생 시점의 타이밍 정보는 결제 시점의 가치, 의미, 평가 등과 비례하여 판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트랜잭션 데이터 및 서버에 저장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트랜잭션 데이터의 진위성을 판단하고, 진위성이 있는 트랜잭션 데이터에 대한 트랜잭션 발생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60). 여기서, 트랜잭션 데이터는 금융사 서버를 통해 획득되거나,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기초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S470).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 및 맥락 데이터를 연결시키거나,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기초로 가상 공간에 배치시킨 데이터를 말한다. 가상 공간 내에서의 트랜잭션 데이터의 배치 정보는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 또는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의 배치 정보는 위치, 시간, 트랜잭션 금액 중 적어도 하나의 인자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데이터 중에서, 카드 사용처 정보를 추출한다(S510).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 데이터, 또는 트랜잭션 발생처의 진위성을 판단한다(S520). 맥락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위치 및 트랜잭션 발생처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트랜잭션 데이터의 진위성을 TRUE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데이터가 진위한 경우, 진위성이 TRUE이고, 이런 경우,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포털 서버, SNS 서버, 금융사 서버 등)로부터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S530). 외부의 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SNS 서버에 업로드되는 포스팅에 포함된 사진, 표현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 방식을 통해 맥락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데이터 및 맥락 데이터를 조합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출력한다(S540).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기초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는 발생된 트랜잭션 행위와 대응되어 생성되며, 복수의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들은 각 배치 정보에 따라 가상 공간에 렌더링 된다. 배치 정보는 위치, 방향, 크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는 그 카테고리에 따라서 다른 배치 정보로 변환되어 카테고리와 부합된 가상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로 변환하고,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의 의미를 시각적으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데이터로부터 트랜잭션 금액, 발생 장소, 트랜잭션 발생 시점을 추출한다(S610).
사용자 단말기(100)는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트랜잭션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트랜잭션 금액이 일정 금액 이상, 트랜잭션 발생 위치가 기 설정된 '서울의 경리단길 근처', 트랜잭션 발생 시점이 기 설정된 '밤 10시부터 밤 12시' 등과 같이, 소정의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소정의 기준을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트랜잭션 데이터인 경우, 트랜잭션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요청 패킷을 생성한다(S630). 사용자 단말기(100)는 데이터 요청 패킷을 이용하여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요청한다(S640).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데이터 및 맥락 데이터를 조합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S65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가공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 통신 서버(200), 데이터 처리 서버(300), 금융사 서버(4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가공 시스템은 금융사 서버(4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금융사 서버(400)는 복수의 모바일 기기들에 의한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트랜잭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금융사 서버(400)는 데이터 처리 서버(300)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특정 사용자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S81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 서버(200)로부터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을 수신하거나, 자체적으로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을 발생 시킬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은 기 설정된 발생 조건과 일치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다. 통신 서버(200)는 금융사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을 정해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은 카드 사용과 대응되어 발생되는 알림으로, 시각적 또는 청각적 데이터로 구현되며, 도 4의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 데이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센서부 또는 주변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과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수집한다(S820). 사용자 단말기(100)는 센서부 또는 주변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이 수신된 시점의 맥락 데이터를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 날씨 정보, 생체 정보 등을 센싱하거나 주변 전자 기기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맥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맥락 데이터는 위치 정보, 날씨 정보, 생체 정보 등과 같은 센싱 데이터 및 검출된 신호 등을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 및/또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과 연계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과 연계된 위치 정보,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이 수신된 시점에 검출되거나 센싱된 위치 정보를 트랜잭션 수단의 사용과 연계시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과 연계하여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수신된 신호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주변 장치들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말한다. 수신된 신호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의 수신 시점과 같은 목표 시점과 인접하여 수신된 트랜잭션 데이터와 연계된다. 수신된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이동 경로 및 방문 장소 등을 알려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인접한 시점에 생성되는 컨텐츠 및/또는 발생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서 생성되는 컨텐츠 일 수 있다.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인접하여 사진 찍기 애플리케이션, SNS 애플리케이션, 글쓰기 애플리케이션, 메모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그룹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생성될 수 있다. 맥락 데이터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인접하여 생성되는 것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금융사 서버(400)로 트랜잭션 데이터를 요청한다(S830). 금융사 서버(400)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의 수신 시간 및 맥락 데이터의 위치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검색한다(S840).
사용자 단말기(100)는 금융사 서버(400)로부터 사용자의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수신한다(S850).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서 금융사 서버(400)에 접속하여 정보 요청 및 수신에 대한 동의, 승인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금융사 서버(400)에 대해서 사전 절차를 수행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발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생성한다(S860).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870).
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880).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들을 다양한 기준으로 클러스터링 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들의 트랜잭션 발생 순서를 분석함으로써, 소비 행위와 관련된 사회적 의미, 예를 들어 소비의 시계열적인 순서 및 의미를 산출할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소비들의 순서를 표현하도록 생성할 수 있다. 트랜잭션 발생의 빈도수가 높은 일자를 선택하여, 해당 일자에 이루어진 제1-1 소비, 제1-2 소비, 제1-3 소비의 순서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소비들의 순서를 표현할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예를 들어 2일 간격, 3일 간격, 일주일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제2-1 소비, 제2-2 소비, 제2-3 소비의 순서를 기초로 표현될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트랜잭션 금액의 변화 추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들을 통해 위치 이동에 따른 결제 금액의 크기의 변화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지역에서의 평균 결제 금액이 X원이고, B 지역에서의 평균 결제 금액이 Y원 등을 각 지역 별 평균 결제 금액을 표현하거나 지역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컨텐츠에 평균적인 크랜잭션 금액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아이템들을 배치시켜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 통신 서버(200), 데이터 처리 서버(300), 금융사 서버(4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91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 서버(200)로부터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을 수신하거나 자체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센서부 또는 주변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과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수집한다(S920).
사용자 단말기(100)는 금융사 서버(400)로 사용자의 인접한 트랜잭션 행위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요청한다(S930). 여기서, 인접한 트랜잭션 행위는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모든 트랜잭션 행위를 말하며,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의 발생 시간과 인접한 시간의 트랜잭션 행위, 또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의 발생 위치와 인접한 트랜잭션 행위를 말할 수 있다.
금융사 서버(400)는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의 수신 시간 및 맥락 데이터의 위치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와 인접한 트랜잭션 행위와 관련된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검색하고(S940), 사용자 단말기(100)로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전달한다(S950).
사용자 단말기(100)는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서버(300)로 전달한다(S960).
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수신한 트랜잭션 데이터 알림, 맥락 데이터, 트랜잭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생성한다(S970). 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들을 다양한 기준으로 분석하여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980).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들을 다양한 기준으로 클러스터링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위치 대응 공간, 시점 대응 공간, 결제액 대응 공간 등과 같은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생성된 공간 내에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들의 결제 위치 또는 사용자 위치 등을 기초로 위치 대응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들의 결제 금액, 개당 단가 등을 기초로 결제액 대응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들의 결제 순서를 분석함으로써, 소비의 시계열적인 순서 및 의미를 산출할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소비들의 순서를 표현하도록 생성할 수 있다. 결제 발생의 빈도수가 높은 일자를 선택하여, 해당 일자에 이루어진 제1-1 소비, 제1-2 소비, 제1-3 소비의 순서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소비들의 순서를 표현할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예를 들어 2일 간격, 3일 간격, 일주일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제2-1 소비, 제2-2 소비, 제2-3 소비의 순서를 기초로 표현될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결제 금액의 변화 추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는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들을 통해 위치 이동에 따른 결제 금액의 크기의 변화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지역에서의 평균 결제 금액이 X원이고, B 지역에서의 평균 결제 금액이 Y원 등을 각 지역 별 평균 결제 금액을 표현하거나 지역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컨텐츠에 평균 결제 금액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아이템들을 배치시켜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입력된 분류 기준에 따라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트랜잭션 발생 위치, 트랜잭션 영역 또는 구역, 트랜잭션 시간, 트랜잭션 발생 연령대 등으로 한정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 관련 빅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0은 데이터 가공 시스템의 데이터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점에 설치된 POS기(100, 102)를 통해 카드 트랜잭션 행위가 수행되면, 금융사 서버(400)는 트랜잭션 행위와 대응되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금융사 서버(400)는 트랜잭션 행위의 주체인 사용자의 단말기(100)로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트랜잭션 데이터(D1)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수집하거나 외부의 장비를 통해 수신한 맥락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잭션 데이터로부터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D3)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D3)를 배치시킨다. 여기서, 가상 공간은 지도 등과 같은 위치 대응 공간일 수 있다. 위치 대응 공간에서는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관련 데이터, 예를 들어 트랜잭션 발생 위치 등을 기초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의 배치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공간은 캘린더, 타임 테이블 등과 같은 시간 대응 공간일 수 있다. 시간 대응 공간에서는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관련 데이터, 예를 들어 발생 시간 등을 기초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의 배치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금액 대응 공간에서는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에 포함된 금액 관련 데이터, 예를 들어 총 트랜잭션 금액, 개당 단가 등을 기초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의 배치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가상 공간은 위치, 시간 등과 같이 복합적인 정보들과 대응되어 생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의 배치 정보는 위치 관련 데이터 및 시간 관련 데이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가상 공간은 트랜잭션 금액 및 연령대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의 배치 정보는 트랜잭션 금액 관련 데이터 및 연령대 관련 데이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D3)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기준으로 클러스터링하여 변환될 수 있다. 그룹핑되어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D31, D32, D33, D34와 같이 가상 공간 내에 배치시킨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통신 서버
300: 데이터 처리 서버
400: 금융사 서버

Claims (16)

  1. 사용자 단말기가 센서부 또는 통신부를 통해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고려하여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기초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맥락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가상 공간을 렌더링하고, 가상 공간 내에서의 상기 속성 정보와 대응되도록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의 배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배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상기 가상 공간 내에 배치시켜 출력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맥락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에서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수단 정보, 발생 기간 정보, 발생 금액, 발생 위치, 발생 시점, 및 해당 수단에 대한 누적 금액을 포함하는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생성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 만이 출력되도록 변경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는
    사용자의 트랜잭션 행위와 대응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외부의 다른 서버를 통해서 수신된 맥락 데이터와 연계되어 생성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는
    기 설정된 발생 조건과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발생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락 데이터는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의 수신 이전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가 발생된 경우,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관련하여 검출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락 데이터는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인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생성된 것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사진, 포스팅, 메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9.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센서부 또는 통신부를 통해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고려하여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기초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맥락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가상 공간을 렌더링하고, 가상 공간 내에서의 상기 속성 정보와 대응되도록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의 배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배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를 상기 가상 공간 내에 배치시켜 출력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맥락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맥락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에서 트랜잭션 행위에 대한, 수단 정보, 발생 기간 정보, 발생 금액, 발생 위치, 발생 시점, 및 해당 수단에 대한 누적 금액을 포함하는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를 생성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트랜잭션 가공 데이터 만이 출력되도록 변경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맥락 데이터는
    사용자의 트랜잭션 행위와 대응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외부의 다른 서버를 통해서 수신된 맥락 데이터와 연계되어 생성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는
    기 설정된 발생 조건과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발생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맥락 데이터는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의 수신 이전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가 발생된 경우,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관련하여 검출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맥락 데이터는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의 발생 시점과 인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생성된 것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사진, 포스팅, 메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57597A 2019-05-16 2019-05-16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32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597A KR20200132301A (ko) 2019-05-16 2019-05-16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CT/KR2019/006342 WO2020230941A1 (ko) 2019-05-16 2019-05-27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6/516,587 US20200364693A1 (en) 2019-05-16 2019-07-19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cessing data using transaction information
KR1020210103809A KR20210101178A (ko) 2019-05-16 2021-08-06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597A KR20200132301A (ko) 2019-05-16 2019-05-16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809A Division KR20210101178A (ko) 2019-05-16 2021-08-06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301A true KR20200132301A (ko) 2020-11-25

Family

ID=732307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597A KR20200132301A (ko) 2019-05-16 2019-05-16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03809A KR20210101178A (ko) 2019-05-16 2021-08-06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809A KR20210101178A (ko) 2019-05-16 2021-08-06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64693A1 (ko)
KR (2) KR20200132301A (ko)
WO (1) WO2020230941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9821A1 (en) * 2010-10-29 2012-05-03 Jesse Barbour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al-time online transaction risk and fraud analytics and management
KR101406528B1 (ko) * 2011-01-14 2014-06-13 주식회사 팬택 소비패턴 제공 및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1554063B1 (ko) 2013-03-12 2015-09-18 김재준 이동 경로 기반의 복합 스마트 라이프 제공 시스템
KR101646312B1 (ko) * 2013-12-06 2016-08-08 조은영 개인행동기반 관심 대상 및 선호 분야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EP3485447A4 (en) * 2016-07-14 2019-07-31 Aptus Business Logic Pte Ltd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MANAGING DATA RELATING TO A POINT OF SALE TRANSACTION
KR101868583B1 (ko) * 2017-08-14 2018-06-19 박종엽 객관적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가맹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178A (ko) 2021-08-18
US20200364693A1 (en) 2020-11-19
WO2020230941A1 (ko)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3819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to-do list of user
US9639174B2 (en) Mobile device display content based on shaking the device
US11334914B2 (en) Mapping mobile device interactions and location zones in a venue for use in sending notifications
US10467601B1 (en) Itemized digital receipts
CN105677697B (zh) 提供兴趣点的方法及其电子装置
US20220172179A1 (en) Itemized digital receipts
US201800395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ntinuous task triggering
US20180089372A1 (en) Identifying non-routine data in provision of insights
US20200034893A1 (en) Social infusion of media content
JP7252748B2 (ja) 情報推薦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6130386B2 (ja) モバイル広告用ブリッジページ
CN107590676A (zh) 提供个性化服务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KR20180105464A (ko) 웹과 관련된 데이터에서 아이템을 검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607919B1 (ko) 메신저에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검색 결과를 정렬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20200219183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convenience functions related to bank account transaction history based on messenger
JP6100832B2 (ja) メッセンジャの対話内容に基づいて推薦検索語を提供する方法と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US20210019822A1 (en) Associating merchant data or item data with a monetary transaction based on a location of a user device
US20220405075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uto download applications from a website based on user context
KR20200132301A (ko)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107605A (ko) 가계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070454B1 (en) System for routing functionality packets based on monitoring real-time indicators
US11068552B2 (en) Updating social media post based on subsequent related social media content
US20130325619A1 (en) Saving electronic coupons for future use
US20220164534A1 (en) Techniques for selecting content to include in user communications
US20150373130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celebrities and f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