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972A -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972A
KR20200131972A KR1020190056677A KR20190056677A KR20200131972A KR 20200131972 A KR20200131972 A KR 20200131972A KR 1020190056677 A KR1020190056677 A KR 1020190056677A KR 20190056677 A KR20190056677 A KR 20190056677A KR 20200131972 A KR20200131972 A KR 20200131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wire mesh
exercise
vertical
rotar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희
Original Assignee
송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희 filed Critical 송주희
Priority to KR1020190056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1972A/ko
Publication of KR2020013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4Piston pumps comprising a movable cylinder and a stationary piston
    • B05B11/300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 A63B2220/75Humid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센서 기술을 이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게이트웨이 그리고 이를 서비스할 수 있는 관리 서버로 구성되어 환자의 재활 치료에 필요한 운동량 측정 및 운동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의 측정된 근육량과 운동 기기의 무게를 이용하여 최대 근육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최대 근육량에 따른 운동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근육량을 전송받아 상기 관리 서버로 운동 기기의 무게와 함께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에서 전송되는 운동 메커니즘을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폰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Personalized Exercise Recommendation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 기술을 이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게이트웨이 그리고 이를 서비스할 수 있는 관리 서버로 구성되어 환자의 재활 치료에 필요한 운동량 측정 및 운동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도 산업화와 산업 혹은, 교통 재해 등에 의한 신체 장애의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고령화에 의한 신체장애 및 뇌질환의 문제로 인해 의료 및 복지비용 증가에 따른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장애 및 질환의 치료를 위해 재활 치료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재활 운동치료와 재활 훈련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재활 운동치료법에 비해 국산 재활 훈련 기기의 기술은 턱없이 낮아 단순한 기기의 제품군만 출시되고 있으며, 또한 고가의 수입 기기의 경우 의료비용의 증가로 인해 치료 효과 및 이용에 대한 관심이 낮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재활 치료는 환자가 자기 주도하에 운동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크지만 특별한 외적 요인 없이는 환자 스스로 자기 주도하에 운동하지는 않고 있음에 따라 재활 치료의 효과가 극히 낮을 수밖에 없었다.
물론, 종래에는 등록특허공보 제10-082248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근전도신호바이오피드백 게임을 이용한 근육자가 운동 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환자 스스로가 재활 치료에 따른 흥미를 가지면서 적극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은 환자의 선택 혹은, 미리 저장되어 있던 해당 환자의 신체 정보나 운동 이력 정보를 토대로 게임 종목의 난이도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뿐 해당 환자의 현 상태에 따른 고려는 배제됨에 따라 만일, 자의 상태 악화가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오히려 해당 환자의 재활치료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은 환자의 신체 중 팔이나 다리 혹은, 허리 등과 같은 광범위한 부위에 대한 일괄적인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운동목표를 부여하고 근자극신호를 센싱하도록 한 기술일 뿐 편마비 환자나 신경중추계 환자에서 주로 발생되는 특정 부위의 장애에 대한 재활치료에 적용될 수는 없다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실제 해당 환자의 신체 중 특정 부위나 특정 관절에 대한 차등적인 운동효과의 부여는 이루어지지 못하여 전체적인 신체 부위에 따른 운동효과의 불균형이 야기될 수밖에 없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마땅한 대책도 이루어지지 않았던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공보 제10-0822483호
(특허문헌 0002) 국내특허공개번호 2013-004923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센서 기술을 이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게이트웨이 그리고 이를 서비스할 수 있는 관리 서버로 구성되어 환자의 재활치료에 필요한 운동량 측정 및 운동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측정된 근육량과 운동 기기의 무게를 이용하여 최대 근육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최대 근육량에 따른 운동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근육량을 전송받아 상기 관리 서버로 운동 기기의 무게와 함께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에서 전송되는 운동 메커니즘을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폰 게이트웨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하되 입력되는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삽입 결합시키고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철망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해 히터열을 제공하는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수분이 제거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습도센서(7)를 더 설치하여 습도에 따라서 먼지 측정제어부(C)가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습도가 높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높임과 동시에 기준보다 높은 히터열을 공급하고 습도가 낮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낮춤과 동시에 기준보다 낮은 히터열을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철망(10a)은 철망 회전모터(10b)의 축에 탈착 가능하게 수평 가이드 봉(10a-1) 및 하우징의 수직홈(5)에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봉(10a-2)을 결합 설치되어 필요시 수평 가이드 봉(10a-1)을 철망 회전모터(10b)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수직 가이드봉(10a-2)을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하여 철망에 존재하는 오염요소를 제거토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악취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약물을 공급하는 악취 약물 도포기(1160)와; 일측은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약물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웨어러블 환경에서 재활병원, 요양병원, 요양원 등 요양기관과의 B2B2C 수익모델을 통한 새로운 시장 창출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u-Hospital/u_Healthcare등 재활환자와 담당 의료진을 연결시키는 모바일 플랫폼 매체의 개발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심신이 미약한 상태에 있는 재활환자들에게 자신의 운동기록과 상태 호전 추이를 모바일에서 상시 모니터링, 피드백을 하여 환자 스스로 재활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구성도.
도 4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 및 경보출력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작동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집광용 원판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약액 통과용 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구성도.
도 4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 및 경보출력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작동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집광용 원판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약액 통과용 홀 구성도로서,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스마트폰 게이트웨이(20) 및 관리 서버(30)를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근력을 측정하여 출력하며, 그 형태를 밴드형일 수 있다.
이처럼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밴드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재활 환자 등의 사용자는 어디서든지 편리하게 자신의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웰니스 시장 기반 마련에 기여하도록 한다.
그 결과, 누구나 빠르고 정확하고 간편하게 최대 근력(Repetition Maximum)을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측정기의 상품화 및 시장 개척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상품화를 위한 사용자 중심의 UI/UX Application로 개발된다.
특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팔 또는 다리 등 특정 부위에 착용되어 근력의 재활 환자 등의 사용자의 손 또는 다리 등에 부착되어 손 또는 다리 등의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가해지는 인장 강도에 따른 근력을 측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스마트폰 게이트웨이(2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출력되는 재활 환자의 손 또는 다리 등에 부착되어 손 또는 다리 등의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가해지는 인장 강도에 따라 측정된 근력량을 입력받아 이를 관리 서버(30)로 전송한다.
이때, 스마트폰 게이트웨이(20)는 화면 등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어느 부위에서 운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일예로, 스마트폰 게이트웨이(20)는 화면등을 통하여 손, 발 등을 표시하고 이중에서 어는 부분의 운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폰 게이트웨이(20)는 재활 환자 등의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재활 환자 등의 사용자의 이름에 따라 측정된 근력량을 연계하여 관리 서버(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때 스마트폰 게이트웨이(20)는 현재 운동에 사용하고 있는 운동기구의 무게 등을 입력받아 이를 함께 전송한다.
물론, 스마트폰 게이트웨이(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설치된 부위에 대한 정보도 관리 서버(30)로 함께 제공한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 게이트웨이(20)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전송된 근력량의 그래프로 표시한다.
상기 스마트폰 게이트웨이(20)는 관리 서버(30)로 입력받은 운동기구의 무게와 환자 이름 그리고 측정된 근력량을 전송하며, 웹을 통하여 관리 서버(30)로부터 최대 근력량을 전송받아 재활 환자 등의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또한, 스마트폰 게이트웨이(20)는 관리 서버(30)에서 추천되어 제공되는 운동 기구에 대한 운동 메커니즘을 환자 등에게 제공한다.
이때, 추천 가능한 운동 메커니즘은 1)근력강화 운동, 2)지구력 강화 운동, 3)안정성을 위한 근력증강 운동, 4)관절과 근육의 가동성 강화 훈련 등이 있다.
다음으로, 관리 서버(30)는 운동기구의 무게와 근력량 변화에 의한 운동횟수를 이용하여 최대 근육량(1RM: 1 Repetition Maximum)을 산출한다.
이처럼 최대 근력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Wathan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30)는 산출된 최대 근육량을 기준으로 운동 기기의 무게와 횟수를 조절하여, 하나의 운동 기구에 대한 네 가지 운동 메커니즘을 추천한다.
이때, 추천 가능한 운동 메커니즘은 1)근력강화 운동, 2)지구력 강화 운동, 3)안정성을 위한 근력증강 운동, 4)관절과 근육의 가동성 강화 훈련 등이 있다.
이처럼, 관리 서버(3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근력량을 전송받아 최대 근력을 추정하고, 추정된 최대근력과 해당 사용자의 성별, 숙련도에 따라서 사용자가 최적운동 무게 및 그 반복횟수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근력운동 프로그램(즉 운동 메커니즘)을 처방하도록 한다.
이때, 제공되는 근력운동 프로그램은 환자의 운동하기 위한 무게, 운동 반복 횟수, 한 회에 따른 세트수 등의 운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근력량을 전송받아 이를 의사나 재활 치료사 등에게 제공하여 재활 환자의 상태 등을 모니티링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무게 센서(12), 증폭기(14), 결합기(16), 근거리 통신 모듈(18) 및 표시기(20)를 포함한다.
상기 무게 센서(12)는 재활 환자 등의 사용자의 손 또는 다리 등에 부착되어 손 또는 다리 등의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가해지는 인장 강도에 따른 근력을 측정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로드 셀은 출력되는 전압은 매우 낮은 전압이며, 보통 최대치가 50mV정도이다. 따라서, 이를 증폭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증폭기(14)가 구비된다.
상기 증폭기(14)는 상기 무게 센서(12)에서 출력되는 근력에 비례하는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결합기(16)는 상기 무게 센서(12)와 근거리 통신 모듈(18)을 인터페이스하며, 무게 센서(12)에서 측정되고 증폭기(14)에서 증폭된 근력량을 근거리 통신 모듈(18)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결합기(16)는 일예로 아두이노 유노일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8)은 상기 근력량을 스마트폰 게이트웨이(2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18)은 여러가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모듈(BT2.0 모듈)을 이용한다.
한편, 표시기(20)는 결합기(16)에서 제공되는 근력량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폰 게이트웨이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스마트폰 게이트웨이는 근거리 통신부(21), 원거리 통신부(22), 표시부(23), 제어부(24) 및 입력부(2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21)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하여 측정된 근력량을 전송받는다.
그리고, 원거리 통신부(22)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21)를 통하여 전송받은 근력량을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원거리 통신부(22)는 제어부(24)가 입력받은 사용자의 이름과, 운동 기기의 무게 그리고 설치 위치(즉, 손인지 아니면 발인지 등)를 전송한다.
도 4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관리 서버는 컴퓨터 내부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근력량을 전송받아 최대 근력을 추정하고, 추정된 최대근력 등(해당 사용자의 성별, 숙련도 등도 포함할 수 있음)에 따라서 사용자가 최적운동 무게 및 그 반복횟수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근력운동 프로그램(즉, 운동 메커니즘)을 처방하도록 프로그래밍된 PC(31)와, 상기PC(31)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의 측정결과 및 운동 프로그램을 나타낼 수 있는 모니터(32)와, 상기 PC(32)로부터출력되는 사용자의 측정결과 및 처방된 근력운동 프로그램을 소정 용지에 프린트하는 프린터(33)와, 상기 PC(31)가 인터넷과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인터페이스 시켜주는 통신 카드(34)와, 상기 PC(31)에 데이타를 입력하거나 PC(31)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수단인 키보드(35) 그리고 최대 근육량에 따른 추천 가능한 운동 메커니즘등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36)를 구비한다.
상기 PC(31)는 통신 카드(34)를 통하여 스마트폰 게이트웨이로부터 사용자 이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설치 위치, 운동 기기의 무게 그리고 근력량을 전송받아 최대 근육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PC(31)는 메모리(36)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추정된 최대근력과 해당 사용자의 성별, 숙련도에 따라서 사용자가 최적운동 무게 및 그 반복횟수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근력운동 프로그램(즉 운동 메커니즘)을 처방한다.
상기 PC(31)는 이와 같은 전송받은 근육량과 산출된 최대 근육량 그리고 근력 운동 프로그램(즉 운동 메커니즘)을 모니터(32)를 통하여 제공하여 의사나 재활 치료사가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PC(31)는 산출된 최대 근육량 그리고 근력 운동 프로그램(즉 운동 메커니즘)을 통신 카드(34)를 통하여 스마트폰 게이트웨이로 제공한다.
의사나 재활 치료사는 모니터(32)를 통해서 제공되는 최대 근육량과 운동 메커니즘을 보고 필요한 사항등은 키보드(35) 등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단에 먼지 측정수단(1000a)을 더 설치하며, 상기 먼지 측정수단(1000a)의 측정 결과 기준이상의 먼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 출력부(11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주변에 미세먼지가 기준치 이상이므로 현재 머물고 있는 장소에서 벗어나 대피하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1000a)은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하되 입력되는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삽입 결합시키고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철망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해 히터열을 제공하는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수분이 제거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철망(10a)은 철망 회전모터(10b)의 축에 탈착 가능하게 수평 가이드 봉(10a-1) 및 하우징의 수직홈(5)에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봉(10a-2)을 결합 설치되어 필요시 수평 가이드 봉(10a-1)을 철망 회전모터(10b)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수직 가이드봉(10a-2)을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하여 오염요소를 제거토록 구성한다.
그리고, 하우징의 일측에는 습도센서(7)를 더 설치하여 습도에 따라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습도가 높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높임과 동시에 기준보다 높은 히터열을 공급하고 습도가 낮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낮춤과 동시에 기준보다 낮은 히터열을 히터열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A)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1)과,
상기 다수개의 오목렌즈 중에서 일개의 오목렌즈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2)와;
상기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의 정중앙에 결합되어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함몰각도가 다른 렌즈를 적외선 송신소자에 위치시키도록 구동하는 원판 구동모터(3)와;
상기 원판 구동모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먼지의 양이 적으면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 원판을 구동시켜 적외선 송신소자가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에 위치되도록 제어하고, 먼지의 양이 많으면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 원판을 구동시켜 적외선 송신소자가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에 위치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을 유동시켜 먼지 농도를 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제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기본적으로 오목렌즈군(1)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c)를 통해 송신소자의 빛이 출력된다.
그리고, 먼지의 농도가 내려가면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낮은 제 2 오목렌즈(1b)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낮추어서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먼지의 농도가 더 올라가면 함몰각도가 제 2 오목렌즈보다 낮은 제 1 오목렌즈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되며, 이에 다라 송신소자의 광출력을 훨씬 낮추어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먼지의 농도가 올라가면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높은 제 4 오목렌즈(1d)가 송신소자(2)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높여서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몬지의 농도가 더 내려가면 제 4 오목렌즈의 왼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4 오목렌즈보다 더 높은 제 5 오목렌즈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의 광출력을 훨씬 높여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제 3 오목렌즈(1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2 오목렌즈(1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1 오목렌즈(1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b)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4 오목렌즈(1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5 오목렌즈(1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1d)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경보신호 출력수단으로서 악취 약액 도포장치(1100)를 구비하는바, 미세분진이 기준이상이면 악취 약액 도포장치(1100)로부터 악취를 출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장치로부터 멀어지도록 강제한다.
즉, 상기 분진 측정수단(10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진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악취를 도포하는 악취 약액 도포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미세분진이 기준이상이면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악취를 출력하는 것이다.
악취 약액 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배터리(1120)와, 회전모터(1130)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와,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악취 약물 도포기(1160)와, 약액 저장수단(1170)과, 도포기 임시고정수단(11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10)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각종 장치를 내장하여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은 일측이 오픈된 두개의 케이스를 각각 상호 접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가 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부에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수단들과 비슷한 구조이다.
상기 배터리(1120)는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배터리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력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임시저장하여 전력이 필요로하는 각종 장치에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회전모터(1130)는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모터축을 자유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축(1131)은 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형태이다. 즉, 상기 회전모터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며, 모터축의 저면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하는 형태이다.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상기 회전모터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되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된다. 이때,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은 상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형태로 이루어져 회전모터의 모터축의 파형과 상호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한다. 즉, 상하 구동 실린더는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회전모터의 모터축과 동일하게 회전축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회전모터가 회전하면 상하 구동 실린더는 승하강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1110)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상부방향으로 계속 밀어올리는 탄발작용을 하기 때문에 회전모터(130)가 회전시에 회전모터의 모터축(1131)의 파형과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의 파형이 엇걸리면서 상하 구동 실린더가 하강하고, 엇걸림이 끝난후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에 의해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상승하면서 회전축(1141)의 파형과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의 파형이 밀착된다. 따라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회전모터(1130)에 근접하고 이격되는 것이 반복되어 회전모터(1130)를 중심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연속적으로 상하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는 몸체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악취 약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악취 약물 도포기(1160)는 내부에 저장되는 악취 약물을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하며, 이때 악취 약물 도포기(1160)는 상하 구동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작동시에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타격되어 관성의 법칙에 따라 외부로 약물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악취 약액 저장수단(1170)은 내부에 악취 약물을 수납한 상태이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삽입설치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1160)의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출력된다. 즉, 상기 악취 약액 저장수단(1170)은 약물을 저정한 상태이며, 하부가 오픈된 형태로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며,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구동시에 악취 약액 저장수단의 악취 약물이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실제로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은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쉽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일측은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1110)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승하강으로 유동하면서도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으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할 경우 버튼을 눌러서 하우징을 기준으로 악취 약물 도포기의 고정을 해제시켜 악취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로부터 이탈되어 하부로 탈거되도록 한다. 즉,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은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악취 약물 도포기를 임시로 고정하여 동작시에 악취 약물 도포기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고, 악취 약물 도포기 내부에 존재하는 약물을 모두 사용한 다음에는 버튼을 눌러 악취 약물 도포기를 해제후 악취 약액 저장수단을 재수납시키도록 유도한다.
상기 임시고정수단(1180)은 걸림용 후크(1181)와, 연결편(1182)과,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지지용 스프링(1184)과,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푸시버튼(118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용 후크(1181)는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결합홀(1140a) 및 약물 도포기(1160)의 결합홀(1160a)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연결편(1182)은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한다.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1183)는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용 스프링(1184)은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은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인다.
상기 푸시버튼(1186)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10 :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 무게 센서
14 : 증폭기 16 : 결합기
18 : 근거리 통신 모듈 20 : 스마트폰 게이트웨이
21 : 근거리 통신부 22 : 원거리 통신부
23 : 표시부 24 : 제어부
25 : 입력부 30 : 관리 서버
31 : PC 32 : 모니터
33 : 프린터 34 : 통신 카드
35 : 키보드 36 : 메모리

Claims (5)

  1.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측정된 근육량과 운동 기기의 무게를 이용하여 최대 근육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최대 근육량에 따른 운동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근육량을 전송받아 상기 관리 서버로 운동 기기의 무게와 함께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에서 전송되는 운동 메커니즘을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폰 게이트웨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하되 입력되는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삽입 결합시키고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철망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해 히터열을 제공하는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수분이 제거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습도센서(7)를 더 설치하여 습도에 따라서 먼지 측정제어부(C)가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습도가 높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높임과 동시에 기준보다 높은 히터열을 공급하고 습도가 낮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낮춤과 동시에 기준보다 낮은 히터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10a)은 철망 회전모터(10b)의 축에 탈착 가능하게 수평 가이드 봉(10a-1) 및 하우징의 수직홈(5)에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봉(10a-2)을 결합 설치되어 필요시 수평 가이드 봉(10a-1)을 철망 회전모터(10b)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수직 가이드봉(10a-2)을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하여 철망에 존재하는 오염요소를 제거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약물을 공급하는 악취 약물 도포기(1160)와;
    일측은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약물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KR1020190056677A 2019-05-15 2019-05-15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KR20200131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677A KR20200131972A (ko) 2019-05-15 2019-05-15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677A KR20200131972A (ko) 2019-05-15 2019-05-15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972A true KR20200131972A (ko) 2020-11-25

Family

ID=7364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677A KR20200131972A (ko) 2019-05-15 2019-05-15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19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806A (ko) 2021-08-26 2023-03-07 김보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645878B1 (ko) * 2023-11-02 2024-03-11 주식회사 도영아이씨티 웨이트 운동기구 종류별 최대 근력(1rm)을 이용한 운동 강도 제안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806A (ko) 2021-08-26 2023-03-07 김보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645878B1 (ko) * 2023-11-02 2024-03-11 주식회사 도영아이씨티 웨이트 운동기구 종류별 최대 근력(1rm)을 이용한 운동 강도 제안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5483B2 (en) Exercise promotion, measurement, and monitoring system
US7794359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exercising an operator
US20150100104A1 (en) Controller unit for a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orthotic system
KR20200131972A (ko)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KR101723849B1 (ko) 사용자 맞춤형 운동 콘텐츠 제공 방법
KR101638433B1 (ko) 사물인터넷 및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웰니스플랫폼 시스템
KR20060045404A (ko)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기술 기반하에 온/오프라인 서비스를연계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4314A (ko) 운동량을 환산하여 화폐 유통이 가능한 핀테크 시스템
KR101387953B1 (ko) 운동기구 중량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시스템
KR20160065601A (ko) 발달장애 재활을 위한 운동치료시스템
KR20200131974A (ko) 맞춤형 실시간 운동 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0071569A1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휘트니스 케어 시스템
KR101510088B1 (ko) 재활운동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운동 관리방법
KR102061983B1 (ko)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KR20230000234A (ko) 피트니스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afontaine et al. An open vibration and pressure platform for fall prevention with a reinforcement learning agent
KR20200131975A (ko) 외부 생체계측단말기에서 계측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운동처방 및 운동관리 시스템
KR20200131971A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휘트니스 케어 시스템
Ogawa et al. Proposal of Layer-Based IoT System Construction Method and Implementation to Rolling Stand-up Walker
KR20200133033A (ko) 런닝머신 장치
Ogawa et al. Proposal for a layer-based IoT construction method and it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n a rolling stand-up walker
KR102061982B1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휘트니스 케어 시스템
KR20160044829A (ko)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65841B1 (ko) 기립 재활 훈련시스템
KR102298633B1 (ko) 가정용 보행 재활장치 및 재활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