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930A -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930A
KR20200131930A KR1020190056258A KR20190056258A KR20200131930A KR 20200131930 A KR20200131930 A KR 20200131930A KR 1020190056258 A KR1020190056258 A KR 1020190056258A KR 20190056258 A KR20190056258 A KR 20190056258A KR 20200131930 A KR20200131930 A KR 20200131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hanger
base
vegetation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159B1 (ko
Inventor
이장원
김재홍
Original Assignee
테라아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라아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라아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159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24F2003/165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에 놓여지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지지연결부(22)를 통해 설치되는 모듈안착판(20)과 상기 베이스(10)와 모듈안착판(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는 물탱크(30)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안착판(20)에는 식물이 자라는 식생모듈(21)이 다수개 적층되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0)와 모듈안착판(20)에는 고정컬럼(36)이 연결되어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컬럼(36)의 걸이채널(38)에는 연결구(40)의 컬럼걸이(42)가 이동가능하게 걸어지고 상기 연결구(40)의 모듈걸이(43)는 식생모듈(21)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컬럼걸이(42)와 모듈걸이(43) 사이에는 신축부(45)가 있어서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베이스(10)의 양 측면(13)의 가상의 연장면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모듈안착판(20)의 측면(25)과 물통(30)의 측면(33)도 같도록 되어 공기정화장치가 벽면(50)의 모서리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Air purifying device using plant}
본 발명은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에 두어 식물에 의한 공기정화작용을 이용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많은 시간을 활동하는 도시인들에게는 실내공기의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내공간에는 가스성 유해물질을 발생시키는 많은 오염원들이 있어서 예전에는 자주 환기하여 가스성 유해물질을 제거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미세먼지 때문에 실내를 환기하는 것이 어려워지면서 실내공기 자체를 정화하는 것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 중에 하나가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이다.
식물은 살아 있는 생물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성장하기 위해 물 공급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자동으로 물을 공급할 수 없는 환경의 실내에서는 물 공급을 위해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또한 식물이 자람에 따라 공기정화장치의 무게중심이 달라질 수 있는데, 특히 높이방향으로 식생모듈을 적층하여 만드는 공기정화장치의 경우에는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그리고, 도시의 땅값이 계속해서 상승하면서, 실내공간에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고정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2306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14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생모듈의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탱크가 서랍식으로 되어 있으면서도 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층된 식생모듈과 고정컬럼과의 거리가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지지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위치되는 모듈안착판과, 상기 모듈안착판에 적층되어 안착되고 식물이 자라는 식생모듈과, 상기 베이스와 모듈안착판 사이의 공간에 서랍식으로 안착되어 상기 식생모듈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베이스와 모듈안착판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상기 식생모듈을 지지하는 고정컬럼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물탱크가 안착되는 상면이 있고 양측에는 연장면이 서로 소정의 각도로 만나는 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의 선단을 연결하는 전면과 상기 측면의 후단을 연결하는 배면이 형성된다.
상기 모듈안착판 그리고 상기 물탱크의 양 측면의 연장면이 만나는 각도는 상기 베이스의 양 측면이 만나는 각도와 같도록 된다.
상기 베이스, 지지연결부 그리고 모듈안착판은 분해조립이 가능하다.
상기 모듈안착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방수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 중앙영역에는 식생모듈을 통과한 물이 물탱크로 전달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모듈안착판의 상면 선단에는 상기 물탱크로 물을 주입하는 물투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컬럼과 식생모듈 사이에는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를 가지는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고정컬럼의 걸이채널에 이동가능하게 걸어지는 컬럼걸이와, 상기 컬럼걸이와 상기 신축부를 통해 연결되는 모듈걸이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걸이는 적층되어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식생모듈에 걸어지는 상단걸이와 적층되어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식생모듈에 걸어지는 하단걸이가 연결대에 의해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에는 상기 상단걸이와 하단걸이 사이가 벌어지고 오므러지도록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물탱크가 모듈안착판과 베이스 사이의 공간에 서랍식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모듈안착판의 배수구를 통해 식생모듈을 통과한 물이 물탱크로 전달되고 모듈안착판 선단의 물주입구를 통해 물이 물탱크로 공급될 수 있고 모듈안착판 후단의 호스통과공을 통해서는 펌프에 의해 퍼올려진 물이 식생모듈로 전달될 수 있도록 호스가 연장된다. 따라서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에서 물공급 및 순환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식생모듈과 고정컬럼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길이가 조절되는 신축부가 있어서 식물이 자라는 정도에 따라 식생모듈의 설치상태를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모듈안착판, 물탱크 등의 측면의 가상의 연장면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되어 있어, 벽면의 모서리에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다수개를 벽면에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거나, 소정의 공간에 원형으로 둘러 다수개를 설치할 수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듈안착판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물탱크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연결구와 고정컬럼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연결구가 2개의 식생모듈에 동시에 걸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연결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장치가 벽면 사이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을 보인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의 장치가 벽면에 인접하여 2개가 설치되는 것을 보인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장치 4개가 기둥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보인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에는 베이스(10)가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공기정화장치의 가장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바닥에 놓여지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10)는 횡단면이 부채꼴 형상으로 되는데, 내부가 빈공간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의 빈 공간은 상기 베이스(10)의 하부로 개방된다.
상기 베이스(10)의 상면(1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로 볼 때, 부채꼴 형상으로 된다. 상기 상면(12)의 선단 중앙에는 손삽입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삽입홈(12')은 아래에서 설명될 물탱크(30)를 사용자가 취급할 때 손을 삽입하는 부분이다.
상기 상면(12)의 양측에는 측면(13)이 있는데, 상기 측면(13)은 베이스의 양측을 형성하는 것으로, 양측의 측면(13)은 베이스(10)의 선단으로 갈수록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다. 상기 측면(13)의 선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전면(13')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전면(13')이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전면(13')은 양측의 측면(13) 선단을 연결하는 평면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13')의 반대쪽에는 배면(13")이 있는데, 상기 배면(13')은 양측의 측면(13)의 후단을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베이스(10)에서 양측의 측면(13) 사이의 각도는 대략 90도 내외가 된다. 이는 베이스(10)를 실내공간의 모서리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를 실내공간의 모서리에만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베이스(10) 4개를 원형으로 둘러 위치되게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공기정화장치 4개가 하나의 기둥을 형성한다. 그리고 베이스(10) 2개를 인접하여 설치하고 벽면에 양측의 베이스의 측면(13)이 마주보도록, 즉 반원형으로 2개의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상면(12)에서 양측의 측면(13)과 배면(13")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연장되게 스톱리브(1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톱리브(14)는 아래에서 설명될 물탱크(30)가 안착되는 위치를 규제하는 것이다. 상기 스톱리브(14)와 상기 상면(12)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다수개의 고정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공(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지지부(22)의 하단이 끼워진다.
상기 베이스(10)의 배면(13")에는 제1컬럼고정대(18)가 있다. 상기 제1걸럼고정대(18)에는 중력방향으로 삽입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컬럼(36)의 하단이 삽입된다. 상기 삽입공(18')의 횡단면은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이다. 하지만, 상기 삽입공(18')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에 연결지지부(22)에 의해 지지되도록 모듈안착판(20)이 설치된다. 상기 모듈안착판(20)에는 식생모듈(21)이 설치된다. 상기 식생모듈(21)은 식물이 심어지고 자라는 부분이다. 상기 식생모듈(21)은 상기 모듈안착판(20)의 상면(24)에 안착된다. 상기 식생모듈(21)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상기 식생모듈(21)은 상기 모듈안착판(20)에 안착되었을 때, 상면(24)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지지부(22)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또는 원통형상이다. 상기 연결지지부(22)는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10)에 하단이 삽입되고, 상단은 상기 모듈안착판(20)의 저면에 삽입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지지부(22)의 형상이 다수개의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이지만, 상기 연결지지부(22)는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지지부(22)가 횡단면이 'V'자 형인 판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지지부(22)에 의해 상기 베이스(10)와 모듈안착판(20)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듈안착판(20)의 상면(24)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방수리브(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수리브(24')는 상기 모듈안착판(20)의 상면(24)에 낙하된 물이 모듈안착판(20)의 상면(24) 가장자리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방수리브(24')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방수리브(24')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 상기 식생모듈(21)이 안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모듈안착판(20)의 양쪽에는 측면(25)이 있는데, 상기 측면(25)은 상기 베이스(10)의 측면(13)과 같이 선단으로 갈수록 양측의 것이 서로 멀어지도록 된다. 상기 측면(25)의 선단을 연결하도록 전면(25')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모듈안착판(20)의 전면(25')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모듈안착판(20)의 전면(25')이 평면으로 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모듈안착판(20)의 상면(24) 중앙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에 배수구(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26)에 의해 물이 아래에서 설명될 물탱크(3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26)가 형성된 영역은 모듈안착판(20)의 상면(24)의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이는 식생모듈(21)을 통과하고 나온 물이 모듈안착판(20)의 상면(24) 다른 영역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모듈안착판(20)의 상면(24)에서 상기 전면(25')에 인접한 상기 방수리브(24')의 내측 영역에는 물주입구(27)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물주입구(27)는 아래에서 설명될 물탱크(30)로 물을 주입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물주입구(27)는 상기 식생모듈(21)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모듈안착판(20)에는 또한 상기 배면(25")에 인접한 위치에 호스통과공(27')이 있다. 상기 호스통과공(27')은 상기 식생모듈(2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호스는 아래에서 설명될 물통(30)의 내부공간(32)에 있는 펌프에 의해 가압되어 전달되는 물이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전면(25')의 반대쪽에는 배면(25")이 있고 상기 배면(25")에 제2컬럼고정대(28)가 있다. 상기 제2컬럼고정대(28)를 관통하여서는 삽입공(28')이 있다. 상기 삽입공(28')을 관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컬럼(36)이 통과한다.
상기 베이스(10), 모듈안착판(20) 그리고 연결지지부(2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물탱크(30)가 안착된다. 상기 물탱크(3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32)은 상기 물탱크(30)의 상부로 개방된다. 상기 내부공간(32)에는 식물에게 제공될 물이 채워진다. 상기 물탱크(30)도 양측의 측면(33)과, 상기 측면(33)의 선단을 연결하는 전면(33') 그리고 상기 측면(33)의 후단을 연결하는 배면(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탱크(30)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베이스(10)나 모듈안착판(20)가 거의 같도록 된다.
상기 베이스(10)의 제1컬럼고정대(18)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모듈안착판(20)의 제2컬럼고정대(28)를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어 고정컬럼(36)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컬럼(3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걸이채널(3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3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구(40)의 컬럼걸이(42)가 삽입된다. 상기 걸이채널(38)은 본 실시례에서는 고정컬럼(36)의 횡단면이 사각형상인데, 4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걸이채널(38)은 하나만이 상기 고정컬럼(36)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상기 고정컬럼(36)과 상기 식생모듈(21)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결구(40)가 사용된다. 참고로 상기 식생모듈(21)의 저면은 식생모듈(21)의 선단쪽이 후단쪽에 비해 상대적 높게 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식생모듈(21)을 상기 모듈안착판(20) 상에 안착시켰을 때 선단부가 후단부에 비해 약간 높게 형성된다. 이는 식물이 자라서 커지게 되었을 때 식물을 포함한 식생모듈(21)의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옮겨갈 것을 대비한 것이다.
상기 연결구(40)에는 모듈걸이(43)가 있다. 상기 모듈걸이(43)는 식생모듈(21)에 걸어져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컬럼걸이(42)와 모듈걸이(43) 사이에는 신축부(45)가 있다. 상기 신축부(45)는 종단면이 물결형상으로 되어 상기 컬럼걸이(42)와 모듈걸이(43) 사이의 거리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듈걸이(43)는 적층되어 있는 2개의 식생모듈(21)에 동시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단걸이(46)와 하단걸이(47)가 서로 마주보게 되어 있고, 상단걸이(46)에는 한쌍의 걸이리브(46')가 있고, 하단걸이(47)에도 한쌍의 걸이리브(47')가 있다. 이들 걸이리브(46')(47') 쌍에서 상단걸이(46)와 하단걸이(47)의 선단에 있는 것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아 식생모듈(21)에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상단걸이(46)와 하단걸이(47)는 연결대(4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대(48)는 상기 상단걸이(46)와 하단걸이(47)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연결한다. 상기 연결대(48)의 양단, 즉 상기 상단걸이(46)와 하단걸이(47)에 대응 되는 위치에는 손잡이(49)가 상단걸이(46)와 하단걸이(47)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2개의 손잡이(49)를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상단걸이(46)와 하단걸이(47) 사이가 벌어지게 되어 식생모듈(21)에 착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49)에는 마찰리브(49')가 다수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와 모듈안착판(20)의 사이 공간에 물탱크(30)를 서랍식으로 넣고, 상기 모듈안착판(20) 상에는 식생모듈(21)을 다수개 적층한다. 상기 식생모듈(21)은 상기 고정컬럼(36)과 연결구(4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40)는 하나가 동시에 상하로 적층된 2개의 식생모듈(21)에 걸어져서 식생모듈(21)을 고정컬럼(36)에 연결하여 적층된 식생모듈(21)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연결구(40)에는 신축부(45)가 있어서 상기 고정컬럼(36)과 식생모듈(21) 사이의 거리가 고정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거리차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상기 식생모듈(21)에서 식물이 자람에 따라서 적층된 식생모듈(21)의 무게중심이 변할 수 있는데, 이를 흡수하여 적층된 식생모듈(21)이 무너지지 않도록 한다.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상기 식생모듈(21)은 수평면 상에 놓았을 때 선단이 후단에 비해 약간 높게 되어, 다수개의 식생모듈(21)을 적층하면 적층된 식생모듈(21)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상기 연결구(40)의 신축부(45)가 이 기울어짐을 흡수하면서 적층된 식생모듈(21)들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벽면(50)이 서로 직교하는 모서리에 놓여져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서리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됨에 의해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50)에 2개가 횡단면이 반원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간에 4개가 횡단면이 원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가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은, 상기 베이스(10), 모듈안착판(20), 물통크(30)의 형상이 이에 적합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10)의 양 측면(13)의 연장면이 90도를 이루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물탱크(3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면(12)에 안착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모듈안착판(20)의 배수구(26) 및 물주입구(27)가 물탱크(30)의 내부공간(32) 입구와 서로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30)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물주입구(27)를 통해 물탱크(30)의 내부공간(32)으로 물을 주입할 수 있고, 상기 호스통과공(27')을 통과하는 호스로 펌프를 통해 내부공간(32)의 물을 적층되어 있는 식생모듈(21)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식생모듈(21)에 공급된 물은 적층된 식생모듈(21)을 지나면서 식물에 흡수된다. 식생모듈(21)을 통과하면서 식물에 흡수되지 않은 물은 최하층의 식생모듈(21)을 통과하여 상기 배수구(26)를 통해 다시 물탱크(30)의 내부공간(32)으로 들어간다.
상기 식생모듈(21)을 상기 고정컬럼(36)에 연결하는 연결구(40)는 상기 컬럼걸이(42)가 고정컬럼(36)의 걸이채널(38)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여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연결구(40)의 모듈걸이(43)에서 상단걸이(46)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적층된 식생모듈(21)에 걸어지고, 하단걸이(47)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적층된 식생모듈(21)에 걸어진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례에서와 같이 3개의 식생모듈(21)이 적층된 경우에는 2개의 연결구(40)가 사용된다.
상기 모듈걸이(43)의 조작은 상기 손잡이(49) 2개를 사용자가 잡고 서로 인접하도록 탄성변형시키면 상기 상단걸이(46)와 하단걸이(47)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적층된 식생모듈(21)중 상부의 것에는 상기 상단걸이(46)의 걸이리브(46') 쌍이 걸어지고, 적층된 식생모듈(21)의 하부의 것에는 상기 하단걸이(47)의 걸이리브(47')쌍이 걸어지도록 위치시킨 후에 상기 손잡이(49)에 가해지던 힘을 제거하면 된다.
이때, 상기 신축부(45)의 연장방향은 상기 고정컬럼(36)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도록 상기 컬럼걸이(42)의 위치조절이 이루어지면 된다. 상기 고정컬럼(36)의 길이는 식생모듈(21)이 적층되는 높이와 대응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 물탱크(30)는 필요시에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면(12)에서 서랍식으로 외부로 빼낼 수 있다. 상기 손삽입홈(12')에 사용자가 손을 넣고 물탱크(30)를 잡아서 빼내면 된다. 이와같은 구조는 상기 식생모듈(21)의 적층된 상태를 훼손하지 않고 물탱크(30)의 유지보수를 할 수 있어 공기정화장치의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베이스(10), 모듈안착판(20), 물탱크(30) 등의 양 측면(13,25,33)을 연장한 면이 직교하도록 되어 있으나, 측면(13,25,33)이 만나는 각도는 90도 +10도에서 -10 사이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이는 모서리의 각도에 따라 달리 될 수 있고 설치되는 벽면(50)의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0 : 베이스 12: 상면
12': 손삽입홈 13: 측면
13': 전면 13": 배면
14: 스톱리브 16: 고정공
18: 제1컬럼고정대 18': 삽입공
20: 모듈안착판 22: 연결지지부
24: 상면 24': 방수리브
25: 측면 25': 전면
25": 배면 26: 배수구
27: 물주입구 27': 호스통과공
28: 제2컬럼고정대 28': 삽입공
30: 물탱크 32: 내부공간
33: 측면 33': 전면
33": 배면 36: 고정컬럼
38: 걸이채널 40: 연결구
42: 컬럼걸이 43: 모듈걸이
45: 신축부 46: 상단걸이
46': 걸이리브 47: 하단걸이
47': 걸이리브 48: 연결대
49: 손잡이 50: 벽면

Claims (8)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지지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위치되는 모듈안착판과,
    상기 모듈안착판에 적층되어 안착되고 식물이 자라는 식생모듈과,
    상기 베이스와 모듈안착판 사이의 공간에 서랍식으로 안착되어 상기 식생모듈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베이스와 모듈안착판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상기 식생모듈을 지지하는 고정컬럼을 포함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물탱크가 안착되는 상면이 있고 양측에는 연장면이 서로 소정의 각도로 만나는 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의 선단을 연결하는 전면과 상기 측면의 후단을 연결하는 배면이 형성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안착판 그리고 상기 물탱크의 양 측면의 연장면이 만나는 각도는 상기 베이스의 양 측면이 만나는 각도와 같도록 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연결부 그리고 모듈안착판은 분해조립이 가능한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안착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방수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 중앙영역에는 식생모듈을 통과한 물이 물탱크로 전달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모듈안착판의 상면 선단에는 상기 물탱크로 물을 주입하는 물투입구가 형성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컬럼과 식생모듈 사이에는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를 가지는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고정컬럼의 걸이채널에 이동가능하게 걸어지는 컬럼걸이와, 상기 컬럼걸이와 상기 신축부를 통해 연결되는 모듈걸이를 포함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걸이는 적층되어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식생모듈에 걸어지는 상단걸이와 적층되어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식생모듈에 걸어지는 하단걸이가 연결대에 의해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에는 상기 상단걸이와 하단걸이 사이가 벌어지고 오므러지도록 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0190056258A 2019-05-14 2019-05-14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199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258A KR102199159B1 (ko) 2019-05-14 2019-05-14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258A KR102199159B1 (ko) 2019-05-14 2019-05-14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930A true KR20200131930A (ko) 2020-11-25
KR102199159B1 KR102199159B1 (ko) 2021-01-07

Family

ID=7364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258A KR102199159B1 (ko) 2019-05-14 2019-05-14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7472A (zh) * 2022-05-30 2022-08-09 宁波天瑞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066A (ko) 2014-04-24 2015-11-03 테라아미주식회사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 및 상기 식물재배 화분을 이용한 실내정원 장치
KR20170001487A (ko) 2015-06-26 2017-01-04 테라아미주식회사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
KR20170115412A (ko) * 2016-04-07 2017-10-17 테라아미주식회사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걸이구 및 상기 걸이구를 이용한 화분 설치 구조물
KR20190032700A (ko) * 2017-09-19 2019-03-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066A (ko) 2014-04-24 2015-11-03 테라아미주식회사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 및 상기 식물재배 화분을 이용한 실내정원 장치
KR20170001487A (ko) 2015-06-26 2017-01-04 테라아미주식회사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
KR20170115412A (ko) * 2016-04-07 2017-10-17 테라아미주식회사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걸이구 및 상기 걸이구를 이용한 화분 설치 구조물
KR20190032700A (ko) * 2017-09-19 2019-03-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7472A (zh) * 2022-05-30 2022-08-09 宁波天瑞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
CN114877472B (zh) * 2022-05-30 2023-11-17 宁波天瑞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159B1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870B2 (en) Multifunctional hanging-type plant-growing assembly
EP3405021B1 (en) Plant growing systems and methods
JP5877796B2 (ja) 壁面植栽システム
KR100771486B1 (ko) 조경용 화분 집합구조물
US7913452B1 (en) Plant pot arrangement
US20010047617A1 (en) Portable hydroponic garden apparatus
US20170181393A1 (en) Assembly for vertical plant array
US5377624A (en) Abalone farming system
US9462755B1 (en) Modular wall assembly for promoting vertical vegetative growth
KR20140022177A (ko)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벽면녹화장치
KR20120014528A (ko) 벽면식재장치
JP2014064517A (ja) 室内空気清浄緑化装置
CA2937824A1 (en) A stackable planting system layer quarter section
KR102199159B1 (ko)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US20150296725A1 (en) Aeroponic and Drip Gardener System
KR20130004204U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WO2019191833A1 (en) Container for plant cultivation with sloping fertigation troughs
EP3846612A1 (en) Hydroponic tower assemblies and methods
JP5694222B2 (ja) 植物栽培装置
KR102257401B1 (ko)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화분 걸이구 및 상기 화분 걸이구를 이용한 화분 설치 구조물
KR20130130200A (ko) 공기 청정 분수 화분
JP2014239666A (ja) 植栽装置
WO2016117779A1 (ko) 수경재배장치
KR102038523B1 (ko)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WO2019086242A1 (en) Vertical growing system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