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927A - 일체형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927A
KR20200131927A KR1020190056175A KR20190056175A KR20200131927A KR 20200131927 A KR20200131927 A KR 20200131927A KR 1020190056175 A KR1020190056175 A KR 1020190056175A KR 20190056175 A KR20190056175 A KR 20190056175A KR 20200131927 A KR20200131927 A KR 20200131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ase
propellant
fire extinguishing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6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1927A/ko
Publication of KR20200131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68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leas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분리판; 케이스 내부의 제1공간에 고체 상태로 저장되고, 점화시 기체 상태로 변화되어 제1공간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분사제; 제1공간에 분사제와 함께 위치되고, 신호를 전달 받으면 점화되어 분사제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점화체; 및 케이스 내부의 제2공간에 저장되고, 분리판의 이동에 따라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는 소화약제;를 포함하고, 케이스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제1파트와 제2파트로 형성되고, 제1파트와 제2파트는 제1공간이 개방되도록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화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일체형 소화장치{INTEGRATED FIRE EXTINGUISH APPARATUS}
본 발명은 일체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고체 상태로 보관된 분사제와 소화약제가 일체로 저장된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룸에는 유출된 연료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차량에는 소화시스템이 탑재된다. 특히, 종래의 소화시스템은 화재를 감지하면 고압의 질소가 소화액 탱크로 전달되어 노즐을 통하여 소화액을 분사하는 구성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화장치를 포함한 소화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소화장치를 포함한 소화시스템은 화재를 소화시키는 소화액이 저장된 소화액 탱크(10) 및 질소가 압축되어 저장된 질소압력탱크(2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30)는 감지열선(40)을 통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 있고, 화재 감지시 질소압력탱크(2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은 질소압력탱크(20)에는 캡에 부착된 송곳이 슬라이딩되면서 질소압력탱크(20)의 판막을 파열시킴으로써 질소압력탱크(20)에 저장된 고압의 질소가 소화액 탱크(10)로 유동된다. 이에 따라, 소화액 탱크(10)에 저장된 소화액이 노즐(50)을 통하여 엔진룸으로 분사된다.
다만, 종래 기술에 따른 소화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한 충격에 의해 질소압력탱크(20)에 저장된 질소에 누기가 발생되어 압력이 감소되어 화재시 충분한 압력을 발생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질소압력탱크(20)는 화재시 질소가 배출되면 판막이 파열됨에 따라 교체되어야 하는 구성이고, 이를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 및 연결호스 등의 부품들이 더 요구되어 원가 및 교체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683278 B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고체 상태의 분사제와 소화약제가 일체로 보관되고, 점화시 기체 상태의 분사제와 함께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소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소화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분리판; 케이스 내부의 제1공간에 고체 상태로 저장되고, 점화시 기체 상태로 변화되어 제1공간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분사제; 제1공간에 분사제와 함께 위치되고, 신호를 전달 받으면 점화되어 분사제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점화체; 및 케이스 내부의 제2공간에 저장되고, 분리판의 이동에 따라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는 소화약제;를 포함하고, 케이스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제1파트와 제2파트로 형성되고, 제1파트와 제2파트는 제1공간이 개방되도록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리판은 케이스 내부에서 제1공간 또는 제2공간 측으로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공간에 위치되고, 특정 지점에서 분리판의 제1공간 측으로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판은 제1공간과 제2공간 사이에서 케이스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실링될 수 있다.
점화체는 분사제의 중앙부를 관통한 상태로 배치되고, 점화시 방사 방향으로 불을 전달함으로써 외측에 위치된 분사제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분사제에는 점화체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점화체는 케이스로 연장되고, 케이스는 점화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와 제1공간 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는 제2공간 측에서 소화약제가 유동되는 유동라인과 결합되고, 유동라인에는 기설정된 압력 이상에서만 소화약제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개방되는 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파트와 제2파트는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분리시 점화체 또는 분사제는 제1공간의 내부에서 인출 가능할 수 있다.
분사제는 질산칼륨과 솔비톨이 혼합된 KNSB 연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체형 소화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분사제 탱크가 요구되지 않아 레이아웃이 단순화되고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분사제 및 소화약제의 재충전이 가능하여 종래의 일회용이었던 소화장치에 대비하여 교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화장치를 포함한 소화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소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소화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소화장치에 포함된 제1공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소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소화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소화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00);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되고, 케이스(100) 내부의 공간을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으로 구분하는 분리판(200); 케이스(100) 내부의 제1공간(S1)에 고체 상태로 저장되고, 점화시 기체 상태로 변화되어 제1공간(S1)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분사제(300); 제1공간(S1)에 분사제(300)와 함께 위치되고, 신호를 전달 받으면 점화되어 분사제(300)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점화체(500); 및 케이스(100) 내부의 제2공간(S2)에 저장되고, 분리판(200)의 이동에 따라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소화약제(400);를 포함하고, 케이스(100)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제1파트(110)와 제2파트(120)로 형성되고, 제1파트(110)와 제2파트(120)는 제1공간(S1)이 개방되도록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스(100)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원기둥 형상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분리판(200), 분사제(300), 점화체(500) 및 소화약제(400) 등이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제1파트(110) 및 제2파트(120)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파트(110) 및 제2파트(120)가 분리되면 제1공간(S1)이 개방될 수 있다. 제1공간(S1)이 개방됨에 따라 제1파트(110)에 저장되는 점화체(500) 및 분사제(300)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분리판(200)은 케이스(100) 내부의 공간을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특히 케이스(10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분사제(300)가 제1공간(S1)에서 압력이 증가되면, 제2공간(S2) 측으로 이동되어 소화약제(400)가 위치된 제2공간(S2)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분리판(200)은 제1공간(S1)과 제2공간(S2)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해 이동되고, 제1공간(S1)과 제2공간(S2) 사이에서 압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분사제(300)는 제1공간(S1)의 내부에 저장되고, 특히 고체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고체 상태의 분사제(300)는 점화시 기체 상태로 변환되는 고체연료일 수 있다. 특히, 분사제(300)는 고체 상태에서 점화시 다량의 기체가 순간적으로 발생되어 제1공간(S1)의 압력을 급격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점화체(500)는 신호를 전달받으면 불꽃을 점화시키는 점화장치(510)와 점화장치(510)의 불꽃을 신속하게 주위로 전달하는 점화제(520)가 포함될 수 있다. 점화제(520)는 점화장치(51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점화체(5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로부터 화재를 감지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소화약제(400)는 차량 또는 실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액일 수 있다. 소화약제(400)는 케이스(100) 내부의 제2공간(S2)에 저장될 수 있고, 분리판(200)에 의해 가압되면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제2공간(S2)은 분사노즐로 연결되어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소화약제(400)가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제(300)가 고체 상태로 저장되어 차량의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분사제(300)의 압력이 감소되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분사제(300) 탱크 및 이를 소화약제(400) 탱크로 연결하는 연결장치 등이 요구되지 않아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추가로, 케이스(100)의 제1공간(S1)이 개방 가능하도록 제1파트(110)와 제2파트(1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종래의 일회용으로만 사용 가능했던 소화장치에 분사제(300) 등의 교체를 통하여 재사용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분리판(200)은 케이스(100) 내부에서 제1공간(S1) 또는 제2공간(S2) 측으로 케이스(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공간(S1)에 위치되고, 특정 지점에서 분리판(200)의 제1공간(S1) 측으로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600)는 분사제(300) 및 점화체(500)가 위치된 제1공간(S1)의 최소부피를 확보할 수 있다. 분리판(200)은 제1공간(S1)과 제2공간(S2)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해 이동되지만, 고체 상태로 저장되는 분사제(300) 및 점화체(500)는 기체로 변환되기 전에는 압력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스토퍼(600)는 특정 지점에서 분리판(200)이 제1공간(S1) 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600)는 제2공간(S2)에 소화약제(400)를 재주입할 때 소화약제(400)의 충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소화약제(400)는 스토퍼(600)에 의해 분리판(200)의 이동이 저지되는 상태까지 제2공간(S2)에 재충전될 수 있다.
분리판(200)은 제1공간(S1)과 제2공간(S2) 사이에서 케이스(100)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실링될 수 있다.
분리판(200)은 외주면이 케이스(100)의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케이스(100)에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분리판(200)은 제1공간(S1)과 제2공간(S2) 사이에서 기체 또는 액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분리판(200)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실링(Sealing)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판(200)의 외주면에는 오일링(210)이 삽입되어 케이스(100)와 사이가 실링될 수 있다.
특히, 분사제(300)가 점화시 제1공간(S1)에서 최대로 약 145 [bar]의 압력이 형성될 수 있고, 분리판(200)은 이러한 고압의 상태에서도 제2공간(S2)과의 실링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소화장치에 포함된 제1공간(S1)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점화체(500)는 분사제(300)의 중앙부를 관통한 상태로 배치되고, 점화시 방사 방향으로 불을 전달함으로써 외측에 위치된 분사제(300)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점화체(500)는 점화시 분사제(300)에 방사 방향으로 불을 전달하도록 분사제(300)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한 경우, 분사제(300)의 중앙부에 위치된 점화체(500)에서 발생한 불이 외부에 위치된 분사제(300)로 동시에 전달되어 소화약제(400)를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분사제(300)에는 점화체(500)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점화체(500)가 연장된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분사제(300)는 중앙부에서 외측방으로 연장된 홈(310)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점화체(500)에 포함된 점화제(520)는 분사제(300)에 형성된 복수의 홈(3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제(300)는 점화체(500)와의 표면적이 증대되어 분사제(300)의 반응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고, 신속하게 소화약제(400)가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점화체(500)는 케이스(100)로 연장되고, 케이스(100)는 점화체(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W)와 제1공간(S1) 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점화체(500)에 포함된 점화장치(510)는 케이스(100) 외부의 와이어(W)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케이스(100)와 분리판(200) 사이의 제1공간(S1)에 위치된 점화체(500)는 케이스(100)를 관통한 와이어(W)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W)는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화재를 감지한 신호를 점화체(500)에 전달하여 점화체(500)를 발화시킬 수 있다.
케이스(100)는 제2공간(S2) 측에서 소화약제(400)가 유동되는 유동라인(700)과 결합되고, 유동라인(700)에는 기설정된 압력 이상에서만 소화약제(400)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개방되는 밸브(7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간(S2)은 케이스(100)를 관통한 유동라인(700)과 결합될 수 있고, 제2공간(S2)의 소화약제(400)는 유동라인(7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유동라인(700)을 통하여 소화약제(400)가 제2공간(S2)으로 재충전될 수도 있다.
유동라인(700)에는 밸브(710)가 형성되어 유동라인(700)을 통한 소화약제(400)의 유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특히, 밸브(710)는 기설정된 압력 이상에서만 소화약제(400)의 유동을 허용하고, 기설정된 압력 미만에서는 소화약제(400)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압력은 예를 들어 20 [bar]일 수 있다. 밸브(710)는 소화약제(400)가 제2공간(S2)에서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에서 제2공간(S2)으로 유입되는 유동 모두를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제1파트(110)와 제2파트(120)는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분리시 점화체(500) 또는 분사제(300)는 제1공간(S1)의 내부에서 인출 가능할 수 있다.
제1파트(110) 및 제2파트(12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을 통하여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제1파트(110)와 제2파트(120)가 분리되면 제1공간(S1)은 개방되고, 제1공간(S1)의 내부에 위치된 점화체(500) 및 분사제(300)가 외부로 인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공간(S1)을 개방하여 사용된 점화체(500) 및 분사제(300)를 교체함으로써 소화장치의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분사제(300)는 질산칼륨과 솔비톨이 혼합된 KNSB 연료일 수 있다. KNSB 고체 연료는 질산칼륨(KNO3)와 솔비톨(C6H14O6)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솔비톨 35%와 질산칼륨 65%을 혼합하고 열을 가해주면 액체 상태로 가변되고, 이를 상온에서 응고시킴으로써 고체 상태의 분사제(300)를 제조할 수 있다.
KNSB 분사제(300)의 밀도는 1.84 [g/㎤]이고, 질산칼륨은 몰질량이 101 [g/mol]이며, 솔비톨은 몰질량이 182 [g/mol]이므로 KNSB의 평균 몰질량은 129[g/mol]일 수 있다.
분사제(300)는 점화시 이산화탄소, 질소 및 수증기를 포함한 기체가 순간적으로 발생하여 소화약제(400)를 분사하는 분사압력을 생성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소화장치를 포함한 소화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기 위하여는 화재시 종래의 질소 탱크에서 공급하는 질소 분사압력(예를 들어, 145 [bar])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목표 압력을 145 [bar]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145 [bar]의 압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초기 부피 8*10^(-4) [㎥]에는 약 0.698 [mol]의 기체가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KNSB의 질량은 129[g/mol] * 0.698 [mol]에 의해 약 90 [g]이 요구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이론값이므로 실험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케이스 200 : 분리판
300 : 분사제 400 : 소화약제
500 : 점화체

Claims (9)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분리판;
    케이스 내부의 제1공간에 고체 상태로 저장되고, 점화시 기체 상태로 변화되어 제1공간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분사제;
    제1공간에 분사제와 함께 위치되고, 신호를 전달 받으면 점화되어 분사제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점화체; 및
    케이스 내부의 제2공간에 저장되고, 분리판의 이동에 따라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는 소화약제;를 포함하고,
    케이스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제1파트와 제2파트로 형성되고, 제1파트와 제2파트는 제1공간이 개방되도록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리판은 케이스 내부에서 제1공간 또는 제2공간 측으로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공간에 위치되고, 특정 지점에서 분리판의 제1공간 측으로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화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분리판은 제1공간과 제2공간 사이에서 케이스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실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점화체는 분사제의 중앙부를 관통한 상태로 배치되고, 점화시 방사 방향으로 불을 전달함으로써 외측에 위치된 분사제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화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분사제에는 점화체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화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점화체는 케이스로 연장되고, 케이스는 점화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와 제1공간 측에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화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는 제2공간 측에서 소화약제가 유동되는 유동라인과 결합되고, 유동라인에는 기설정된 압력 이상에서만 소화약제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개방되는 밸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화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파트와 제2파트는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분리시 점화체 또는 분사제는 제1공간의 내부에서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화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사제는 질산칼륨과 솔비톨이 혼합된 KNSB 연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화장치.
KR1020190056175A 2019-05-14 2019-05-14 일체형 소화장치 KR20200131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175A KR20200131927A (ko) 2019-05-14 2019-05-14 일체형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175A KR20200131927A (ko) 2019-05-14 2019-05-14 일체형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927A true KR20200131927A (ko) 2020-11-25

Family

ID=7364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175A KR20200131927A (ko) 2019-05-14 2019-05-14 일체형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19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168A (ko) 2021-02-08 2022-08-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분사 소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278B1 (ko) 2015-02-17 2016-12-06 김영숙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278B1 (ko) 2015-02-17 2016-12-06 김영숙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168A (ko) 2021-02-08 2022-08-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분사 소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605B1 (ko) 고체 추진제/액체 유형 하이브리드 개스 발생기
CN101970265B (zh) 用于对气囊充气的气体发生器和方法以及气囊模块
US8011303B2 (en) Gas generator
US10173633B2 (en) Hybrid inflator and vehicle safety system comprising said hybrid inflator as well as method of forming a shock wave
US9393929B2 (en) Inflator, module including an inflator, vehicle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5601309A (en) Hybrid gas generator for safety systems in road vehicles
US9463767B2 (en) Bursting diaphragm, especially for an inflator, inflator, airbag module and vehicle safety system
EP1223085A2 (en) Inflator
KR960021959A (ko) 차량의 안전장치용 합성 가스 생성기
US7059633B2 (en) Hybrid gas inflator
EP3132982B1 (en) Perforator and gas discharge device
KR20200131927A (ko) 일체형 소화장치
CN109939388A (zh) 一种汽车用灭火装置及实现方法
JP6675255B2 (ja) ガス発生器
US20170008482A1 (en) Gas generator
JP2005509835A (ja) 活性物質で充填されているまたは充填されることができる保管タンクを有する装置および噴霧するためのユニット
RU2704554C1 (ru) Порошковый огнетушитель
EP1329365A1 (en) Gas generator
US9481339B2 (en) Gas generator
US9623834B1 (en) Filterless dual-stage inflator with baffle system
US4834187A (en) Explosion suppression system
JP2002337660A (ja) プレテンショナおよび関連の改良
KR20020055338A (ko) 소화기
CN104228752B (zh) 一种用于汽车安全气囊的气体燃烧发生器
US20180321019A1 (en) Igni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