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503A - Tent - Google Patents

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503A
KR20200131503A KR1020190056210A KR20190056210A KR20200131503A KR 20200131503 A KR20200131503 A KR 20200131503A KR 1020190056210 A KR1020190056210 A KR 1020190056210A KR 20190056210 A KR20190056210 A KR 20190056210A KR 20200131503 A KR20200131503 A KR 20200131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s
tent
ridge
pair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2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0500B1 (en
Inventor
라제건
Original Assignee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6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500B1/en
Priority to EP20787518.8A priority patent/EP3918156A4/en
Priority to US17/425,704 priority patent/US11834858B2/en
Priority to PCT/KR2020/004861 priority patent/WO2020209649A1/en
Priority to AU2020272417A priority patent/AU2020272417B2/en
Priority to JP2021560601A priority patent/JP7246109B2/en
Priority to CN202080026769.4A priority patent/CN113710861B/en
Publication of KR2020013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5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500B1/en
Priority to US18/481,914 priority patent/US2024002670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nt includes: a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poles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a tent fabric covered on at least a part of the frame; and a pair of ridgepole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frame to an outer side of the predetermined space to support the tent fabric, wherein the ridgepoles have each one e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ach of the other ends extended in directions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b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the tent has a structure which can minimize the deflection of the tent fabric to secure enough space between the frame and the tent fabric.

Description

텐트{TENT}Tent{TENT}

본 발명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텐트 천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텐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n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a sufficient space between the frame and the tent cloth.

통상적으로, 레인 플라이(rainfly)를 사용하는 텐트에서, 텐트 입구부의 공간 확보와 통풍성의 향상을 위하여, 레인 플라이가 내부 텐트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구조들이 제안되고 있다.In general, in a tent using a rainfly, structures for supporting the rain fl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tent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secure space at the entrance of the tent and improve ventilation.

종래의 텐트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텐트는 프레임의 정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태의 복수의 처마 폴(eave pole)을 가지고 있다. 이 처마 폴이 레인 플라이의 역할을 하는 텐트 천을 지지함으로써 레인 플라이와 내부 텐트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ent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ten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plurality of cantilever-shaped eave pole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top of the frame. This eave pole supports the tent fabric, which acts as a rain fly, thereby securing a gap between the rain fly and the inner tent.

그런데, 이러한 텐트에서는 처마 폴이 지면과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고, 텐트 천은 처마 폴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처마 폴과 면 접촉하기 때문에, 처마 폴에는 전체 길이를 따라 아래쪽으로 인장력(tension)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처마 폴이 아래쪽으로 처짐으로써 텐트 입구의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지 못하고 통풍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처마 폴의 처짐은 처마 폴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더욱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such a tent, since the eave pole extends approximately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and the tent clot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eave pole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eave pole, a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eave pole downward along the entire length. do.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aves poles are sagging downward, so that the space at the entrance of the tent cannot be sufficiently secured, and ventilation properties are also reduc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ag of the eave pole increases as the length of the eave pole increases.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9,366,054호U.S. Patent Publication No. 9,366,05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텐트 천의 처짐을 최소화하여 프레임과 텐트 천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ten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a sufficient space between the frame and the tent fabric by minimizing sagging of the tent fabric.

일 예에서, 텐트는 복수의 폴들이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씌어지는 텐트 천 및 프레임 상에서 소정 공간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텐트 천을 지지하는 한 쌍의 리지폴을 포함하며, 리지폴들은, 각각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며, 각각의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In one example, the tent is a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poles are combin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a tent cloth covered on at least a part of the frame, and a pair of ridge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a predetermined space on the frame Including a pole, the ridge poles, each e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each other end is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다른 예에서, 한 쌍의 리지폴들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 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strap installed across the pair of ridge poles.

또 다른 예에서, 프레임과 리지폴들의 일단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for separ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frame and the ridge poles.

또 다른 예에서, 프레임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지붕폴과, 일단은 지붕폴의 적어도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다리폴을 포함하며, 한 쌍의 리지폴은, 각각의 일단이 지붕폴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지붕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rame includes a roof pol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bridge pole having one end coupl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roof pol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ground, and the pair of ridge poles has each end It is coupled to the roof pole, and each other end may extend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of pole.

또 다른 예에서, 지붕폴과 리지폴들의 일단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커넥터는, 지붕폴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리지폴들의 일단들이 삽입되는 한 쌍의 통형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a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connector for separ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roof pole and the ridge poles, and the connector is formed on a body portion through which the roof pole is inserted, and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ends of the ridge poles are inserted It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cylindrical parts.

또 다른 예에서, 커넥터는, 한 쌍의 통형부와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리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rib formed between the pair of cylindrical portions and the body portion to connect them to each other.

또 다른 예에서, 각각의 일단은 지붕폴의 양단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향으로 연장되어 텐트 천을 지지하는 한 쌍의 뿔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one end of each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of pole, and each other end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horn bars extending upward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tent cloth.

또 다른 예에서, 지붕폴은, 상측으로 구부러진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roof pole may have an arch shape bent upward.

또 다른 예에서, 프레임은, 각각의 양단이 지면에 고정되는 아치 형상의 복수의 단위폴들을 포함하고, 단위폴들은 그 중심부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리지폴들은, 각각의 일단이 단위폴들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arch-shaped unit poles, each of which ends are fixed to the ground, the unit poles are arranged so that their centers cross each other, and the ridge poles, each end of the unit poles Can be combined in the center.

또 다른 예에서, 단위폴들과 리지폴들의 일단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커넥터는, 각각의 단위폴들이 각각 관통하여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상하로 나란하게 형성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한 쌍의 리지폴이 삽입되는 한 쌍의 통형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a connector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separ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unit poles and the ridge poles, wherein the connector is a body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each of the unit poles are respectively inserted through are vertically formed And, it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cylindrical portions into which a pair of ridge poles are inserted.

또 다른 예에서, 일단은 지붕폴들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상향으로 연장되어, 텐트 천을 지지하는 뿔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one end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oof poles, and the other end extends upwardly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horn for supporting the tent fabric.

또 다른 예에서, 단위폴들과 리지폴들의 일단들 및 뿔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커넥터는, 각각의 단위폴들이 각각 관통하여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상하로 나란하게 형성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리지폴들의 일단들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통형부와, 몸체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뿔대가 삽입되는 제2 통형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a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connector for separ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unit poles and the ridge poles and the horn bar, and the conn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each of the unit poles penetrates and is inserted vertically. The formed body part, a pair of first cylindrical parts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and into which one ends of the ridge poles are inserted, and a second part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and into which the horn bars are inserted. It can have a cylindrical part.

또 다른 예에서, 프레임 상에서 소정 공간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되, 한 쌍의 리지폴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텐트 천을 지지하는 한 쌍의 보조 리지폴을 더 포함하고, 보조 리지폴들은, 각각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며, 각각의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rame is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a predetermined space, and further includes a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installed below the pair of ridge poles to support the tent cloth, and the auxiliary ridge poles are each one end Thes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ach other end may extend upwardly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또 다른 예에서, 보조 리지폴들 각각은, 단위폴들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단위폴들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each of the auxiliary ridge poles may be coupled to the unit poles so as to cross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unit poles.

또 다른 예에서, 단위폴과 보조 리지폴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보조 커넥터와, 한 쌍의 보조 리지폴들의 일단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2 보조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a first auxiliary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unit pole and the auxiliary ridge pole to each other, and a second auxiliary connector for connecting ends of the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to each other may be further included.

또 다른 예에서, 제1 보조 커넥터는, 단위폴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부와, 몸체부에 형성되고 보조 리지폴을 수용하는 개구를 구비하며, 제2 보조 커넥터는, 한 쌍의 보조 리지폴이 각각 삽입되고, 한 쌍의 보조 리지폴이 형성하는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를 이루며 일체로 결합된 한 쌍의 통형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irst auxiliary connector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nit pole is inserted, and an opening formed in the body portion to receive the auxiliary ridge pole, and the second auxiliary connector includes a pair of Each of the auxiliary ridge poles are inserted, forming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angle formed by the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and may have a pair of tubular portions integrally coupled.

또 다른 예에서, 일단은 지붕폴 및 한 쌍의 리지폴의 일단들과 결합되고,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상향으로 연장되어 텐트 천을 지지하는 뿔대 및 각각의 리지폴의 중앙부가 하향으로 휘어지도록 각 리지폴의 타단과 뿔대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 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one end is combined with one end of a roof pole and a pair of ridge poles, and the other end extends vertically upwards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tent fabric and the central part of each ridge pole is bent downward.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string for fixing b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each ridge pole and the other end of the horn bar to be secured.

또 다른 예에서, 지붕폴과, 한 쌍의 리지폴의 일단들과, 뿔대의 일단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커넥터는, 지붕폴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하여 형성되며, 리지폴들의 일단들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통형부와, 몸체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뿔대가 삽입되는 제2 통형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roof pole, and the end of the pair of ridge poles,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for separ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horn, the connector, a body portion through which the roof pole is inserted, and the body portion A pair of first cylindrical portions formed by protruding obliquely downward from the to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to which one ends of the ridge poles are inserted, and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formed by protruding upward from the top of the body portion, and into which the horn bars are inserted. Can be equipped.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그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그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그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그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 및 도 5c는 그에 적용되는 커넥터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그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pplied thereto.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pplied thereto.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pplied thereto.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pplied thereto.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B and 5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connectors applied thereto.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pplied thereto.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obstructs an understanding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실시예Embodiment 1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그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프레임(110), 텐트 천(120) 및 한 쌍의 리지폴(130)을 포함한다.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pplied thereto. 1A, the 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10, a tent cloth 120, and a pair of ridge poles 130.

프레임(110)은 복수의 폴(111, 112)들이 결합되어 텐트의 골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텐트 내부에 소정 공간(110a)을 형성한다. 프레임(11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지붕폴(roof pole, 111)과, 일단은 지붕폴(111)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다리폴(112)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수평 방향이란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지붕폴(111)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대들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다리폴(112)은 지면에 의해 지지되어 완성된 텐트가 지면에 흔들림 없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 frame 110 is a structure of a tent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oles 111 and 112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110a inside the tent. The frame 110 includes a roof pole 111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leg poles 11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of pole 111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ground. 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extending approximately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roof pole 111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an serve as a girder for supporting a large load, and the bridge pole 112 is supported by the ground so that the completed tent can be installed on the ground without shaking. have.

텐트 천(120)은 프레임(110)의 위에 씌어져 프레임(110)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110a)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다. 텐트 천(1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텐트 내부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고, 텐트 천(12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은 텐트의 내부와 통하는 출입구(110b)가 될 수 있다.The tent cloth 120 is covered on the frame 110 and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pace 110a formed by the frame 110. A space surrounded by the tent cloth 120 may be used as a space inside the tent, and a portion not surrounded by the tent cloth 120 may be an entrance 110b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tent.

한 쌍의 리지폴(130)은 프레임 상에서 내측 공간(110a)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텐트 천(120)을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지폴(130)들은 각각의 일단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한 쌍의 리지폴(130)은 각각의 일단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이에 따라 텐트 천(120)은 프레임(110)의 정상부에서 지붕폴(111)에 접촉하지 않고 복수의 리지폴(130)들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A pair of ridge poles 130 are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inner space 110a on the frame to support the tent cloth 120.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each of the ridge poles 130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extends obliquely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 pair of ridge poles 130 extend away from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around one end. Accordingly, the tent cloth 120 is fixe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ridge poles 130 without contacting the roof pole 111 at the top of the frame 110.

복수의 리지폴(130)들은 수평 방향에 대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리지폴(130)들은 그 자유 단부에서 텐트 천(120)과 점 접촉하면서 텐트 천(120)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텐트 천(120)에 의해 리지폴(130)들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리지폴이 수평 방향으로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되고, 리지폴(130)의 처짐량도 작아진다. 따라서 텐트 천(120)이 정상부가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출입구 부분에서 텐트 천(120)의 끝단을 위로 올림으로써, 넓은 내부의 공간과 높은 출입구를 가지는 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ridge poles 130 protrud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idge poles 130 may support the tent fabric 120 while making point contact with the tent fabric 120 at their free ends. Therefore,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ridge poles 130 by the tent cloth 120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ridge pole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idge pole 130 The amount of deflection of is also small. Therefore, by preventing the top portion of the tent cloth 120 from sagging downward, the end of the tent cloth 120 is raised upward at the entrance, thereby providing a tent having a wide interior space and a high entrance.

또한, 텐트 천(120)이 프레임(110)뿐만 아니라 리지폴(130)에 의해서도 지지되므로 텐트 천(120)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텐트의 구조적 강성 역시 더욱 향상되어 바람과 같은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nt cloth 120 is supported not only by the frame 110 but also by the ridge pole 130, the tent cloth 120 can be more stably fixed, and accordingly,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tent is further improved, such as wind. Resistance to external impact can be increased.

아울러, 텐트 천(120)이 프레임(110), 즉 지붕폴(111)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프레임(110)과 텐트 천(120) 사이에 바람이 통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환기에도 유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nt cloth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frame 110, that is, the roof pole 111, a space through which wind can pass is formed between the frame 110 and the tent cloth 120, so that ventilation may be advantageous.

한편, 한 쌍의 리지폴(130)은 각각의 일단이 지붕폴(111)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지붕폴(11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텐트 천(120)은 지붕폴(111)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경우보다 더욱 넓은 범위에서 리지폴(130)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그만큼 내부에 넓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ridge poles 130 have one end coupled to the roof pole 111, and each other end extends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of pole 111. Accordingly, the tent cloth 120 may be supported by the ridge poles 130 in a wider range than when supported only by the roof pole 111, and a wide space may be provided therein.

또한, 리지폴(130)을 포함하지 않는 기존의 텐트는, 텐트 천의 외형이 돔과 같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리지폴(130)이 그 자유 단부에서 텐트 천(120)을 지지함으로써 텐트의 외형이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텐트의 출입구(110b)의 형상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tent that does not include the ridge pole 130, while the outer shape of the tent cloth is formed in a round shape like a dome, th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dge pole 130 is a tent cloth at its free end. By supporting 120, the outer shape of the tent is formed in an angled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A, the shape of the entrance 110b of the tent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한 쌍의 리지폴(130)들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 끈(135)을 더 포함한다. 연결 끈(135)은 한 쌍의 리지폴(130)의 각각의 자유 단부 사이에 고정되어, 한 쌍의 리지폴(130)들을 내측으로 당겨 리지폴(130)들이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끈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에 따른 텐트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string 135 installed across the pair of ridge poles 130. The connection string 135 is fixed between the free ends of each of the pair of ridge poles 130, and pulls the pair of ridge poles 130 inward to further prevent the ridge poles 130 from sagging downward. have. These connecting straps may be substantially equally applied to t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지붕폴(111)은 상측으로 구부러진 아치 형상을 가진다. 지붕폴(111)이 아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더욱 넓은 내부 공간(110a)을 갖는 텐트를 제공할 수 있고, 환기에도 더욱 유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roof pole 111 has an arch shape bent upward. Since the roof pole 111 is formed in an arch shape, a tent having a wider inner space 110a can be provided, and ventilation can be further advantageous.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프레임(110)과 리지폴(130)들의 일단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140)를 포함한다. 즉, 지붕폴(111)과 리지폴(130)들은 커넥터(14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or 140 for separ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frame 110 and the ridge poles 130. That is, the roof pole 111 and the ridge pole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or 140.

도 1b를 참조하면, 커넥터(140)는 지붕폴(111)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몸체부(150)와, 몸체부(150)의 상단에 형성되고 리지폴(130)들의 일단들이 삽입되는 한 쌍의 통형부(151)를 구비한다. 몸체부(150)에는 지붕폴(111)이 관통하도록 관통홀(160)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통형부(151)에는 각각 리지폴(130)들의 일단들이 삽입되도록 삽입홀(161)이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B, the connector 140 includes a body portion 150 through which the roof pole 111 is inserted, and a pair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50 and into which one ends of the ridge poles 130 are inserted. It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151 of. A through hole 160 is formed in the body part 150 to allow the roof pole 111 to pass therethrough, and an insertion hole 161 is formed in the pair of tubular parts 151 so that one end of the ridge pole 130 is inserted. Is formed.

또한, 커넥터(140)는 한 쌍의 통형부(151)와 몸체부(150) 사이에 형성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리브(155)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보강리브(155)는 몸체부(150)의 양측면으로부터 한 쌍의 통형부(151)의 하면으로 연장된 판상형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강리브(155)에 의해, 커넥터(140)에 결합된 폴들에 힘이 가해질 때, 커넥터(140)가 변형되어 폴들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140 includes a reinforcing rib 155 formed between a pair of cylindrical portions 151 and the body portion 150 to connect them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reinforcing rib 155 is made of a plate-shaped member extending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15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air of tubular portions 151. By such a reinforcing rib 155,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poles coupled to the connector 140, the connector 140 is deformed to prevent the poles from being distorted.

한편, 지붕폴(111)과 다리폴(112) 역시 커넥터(141)를 통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터(14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넥터(141)에는 지붕폴(111)과 다리폴(112)이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지붕폴(111), 다리폴(112) 및 한 쌍의 리지폴(130)들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커넥터들(140, 141)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텐트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of pole 111 and the leg pole 112 may als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or 141, the shape of the connector 14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n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connector 141 so that the roof pole 111 and the leg pole 112 are inserted. The roof pole 111, the leg pole 112, and the pair of ridge poles 130 are coupled by the connectors 140 and 141 so as to be detachable, respectively, so that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tent may be easy.

한편, 이상에서는 프레임(110)의 외측에만 텐트 천(120)이 덮이는 것만을 예시로서 설명하였으나, 프레임(110)의 내측에 내부 텐트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내부 텐트는 스트랩 등을 통하여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고, 텐트 천(120)은 프레임(110) 위에 씌워져 레인 플라이의 역할을 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tent cloth 120 is covered only on the outside of the frame 110, but an inner ten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rame 110. In this case, the inner tent is supported by the frame 110 through a strap or the like, and the tent cloth 120 is covered on the frame 110 to serve as a rain fly.

제2 실시예Embodiment 2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그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트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pplied thereto. Hereinafter, a t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However,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equivalent configuration as the 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지붕폴(211) 및 다리폴(212)로 이루어지는 프레임(210)과, 텐트 천(220)과, 한 쌍의 리지폴(230)을 구비한다. 앞서 살펴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지붕폴(111)의 양단에 각각 복수 개(2개)의 다리폴(112)이 연결되는 데 비하여(도 1a 참조), 제2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지붕폴(211)의 양단에 각각 1개의 다리폴(212)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As shown in Figure 2a, the t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210 made of a roof pole 211 and a leg pole 212, a tent cloth 220, and a pair of ridge poles. It has (230). In the 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wo) leg poles 112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oof pole 111 (see FIG. 1A), whereas the t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leg pole 212 is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roof pole 211.

이때 한 쌍의 리지폴(230)은, 지붕폴(21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따라서 텐트 천(220)이 텐트에 씌워지면 수직 방향에서 봤을 때 텐트의 내부 공간이 완전히 가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우천 시에 비 또는 눈이 텐트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ridge poles 230 extend to protrude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of pole 211. Therefore, when the tent cloth 220 is covered with the tent, the inner space of the tent may be completely covered when viewed from a vertical direction, and accordingly, an effect of preventing rain or snow from entering the tent during rain can be obtained.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한 쌍의 뿔대(27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차이가 있다. 한 쌍의 뿔대(270)는, 각각의 일단이 지붕폴(210)의 양단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향으로 연장되어 텐트 천(220)을 지지한다. 한 쌍의 뿔대(270)는 각각의 타단이 지붕폴(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고, 텐트 천(220)이 한 쌍의 리지폴(230) 및 한 쌍의 뿔대(27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더욱 넓은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horn bars 270. A pair of horn bars 270, each one end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of pole 210, each other end is obliquely extending up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tent cloth 220. A pair of horn bars 270 may extend so that the other ends of each of the other en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of pole 211, and the tent cloth 220 is a pair of ridge poles 230 and a pair of horn bars ( By being supported by 270), it can be stably supported in a wider range.

한편, 지붕폴(211)과 한 쌍의 리지폴(230)은 제1 커넥터(240)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지붕폴(211)과 1개의 다리폴(212) 및 뿔대(270)는 제2 커넥터(241)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Meanwhile, the roof pole 211 and the pair of ridge poles 2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nector 240, and the roof pole 211, one leg pole 212, and the horn stem 270 are second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connectors 241.

제1 커넥터(240)의 형상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에 적용되는 커넥터(1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커넥터(241)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1개의 다리폴(212)이 삽입되는 제1 통형부(251)와, 지붕폴(211)이 삽입되는 제2 통형부(252)와, 뿔대(270)가 삽입되는 제3 통형부(253) 및 보강리브(255)를 구비한다. 제1 통형부(251), 제2 통형부(252) 및 제3 통형부(253)에는 각각 폴들이 삽입되도록 삽입홀(261, 262, 263) 형성되어 있다.The shape of the first connector 24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nector 140 applied to the 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shown in FIG. 2B, the second connector 241 includes a first cylindrical portion 251 into which one leg pole 212 is inserted, and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252 into which the roof pole 211 is inserted. And, it includes a third cylindrical portion 253 and a reinforcing rib 255 into which the horn stem 270 is inserted. Insertion holes 261, 262, and 263 are formed in the first tubular portion 251, the second tubular portion 252, and the third tubular portion 253 so that poles are inserted, respectively.

제1 통형부(251)와 제2 통형부(252)는 지붕폴(211)과 다리폴(212) 사이의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를 이루면서, 지붕폴(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제3 통형부(253)는 제1 통형부(251)와 제2 통형부(252) 사이에서 뿔대(27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보강리브(255)는 제1 통형부(251)와 제3 통형부(253), 제2 통형부(252)와 제3 통형부(253) 및 제1 통형부(251)와 제2 통형부(252)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251 and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252 form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angle between the roof pole 211 and the leg pole 212 and exten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of pole 211 And the third cylindrical portion 253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rn stem 270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251 and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252. In addition, the reinforcing rib 255 includes a first cylindrical portion 251 and a third cylindrical portion 253,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252 and a third cylindrical portion 253, and a first cylindrical portion 251 and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It is formed to connect the cylindrical portion 252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지붕폴(211)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1개의 다리폴(212)이 연결됨으로써, 보다 간소한 구조를 가지면서 내부에 넓은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으로 이물질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환기에도 유리한 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one leg pole 212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roof pole 211, thereby forming a wide space inside while having a simpler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and provide a tent which is advantageous for ventilation.

제3 실시예Embodiment 3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그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pplied thereto. Hereinafter, a t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However,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equivalent configuration as the 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프레임(310), 텐트 천 및 한 쌍의 리지폴(330)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텐트 천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프레임(310)이 복수의 단위폴(311)들을 포함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차이가 있다. 단위폴(311)이란 각각의 양단이 지면에 고정되는 아치 형상의 폴들을 말한다.3A, a t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310, a tent cloth, and a pair of ridge poles 33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llustration of the tent cloth has been omitted. The t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frame 310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poles 311. The unit pole 311 refers to arcuate poles in which both ends of each are fixed to the ground.

복수의 단위폴(311)들은 각각의 중심부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즉, 복수의 단위폴(311)들은 상하로 중첩되되 그 중심부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리지폴(330)들은 각각의 일단이 단위폴(311)들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텐트 천을 지지한다.The plurality of unit poles 311 are disposed so that the centers of each of them cross each other. That is, the plurality of unit poles 311 are overlapped vertically, but the centers thereof ar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In addition, each of the ridge poles 330 has one end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unit poles 311, and each other end extends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tent cloth.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 역시 단위폴(311)들과 리지폴(330)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340)를 더 포함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커넥터(340)는 각각의 단위폴(311)들이 각각 관통하여 삽입되는 몸체부(350)와, 몸체부(350)의 상단에 형성되고 한 쌍의 리지폴(330)이 삽입되는 한 쌍의 통형부(351) 및 보강리브(355)를 구비한다.The t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lso further includes a connector 340 for separatingly connecting the unit poles 311 and the ridge poles 330. Referring to FIG. 3B, the connector 340 includes a body portion 350 through which each unit pole 311 is inserted, and a pair of ridge poles 33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350. It includes a pair of tubular portions 351 and reinforcing ribs 355 to be inserted.

몸체부(350)에는 단위폴(311)들이 삽입되도록 복수의 관통홀(360)이 상하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통형부(351)에는 한 쌍의 리지폴(330)이 삽입되도록 삽입홀(361)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리브(355)는 몸체부(350)의 양측면에서 한 쌍의 통형부(351)의 하면을 향해 돌출되어 몸체부(350)와 통형부(351)를 서로 연결한다.In the body portion 35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60 are formed vertically so that the unit poles 311 are inserted, and a pair of ridge poles 330 are inserted into the pair of tubular portions 351. An insertion hole 361 is formed. The reinforcing ribs 355 protrude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350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pair of cylindrical portions 351 to connect the body portion 350 and the cylindrical portion 351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단위폴(311)들에 의해 프레임(310)이 형성되고, 한 쌍의 리지폴(330)은 폴들이 중첩되어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단위폴(311)들의 중심부에 결합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더욱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 역시 리지폴(330)이 그 자유 단부에서 텐트 천을 지지함으로써, 텐트의 외형이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며, 이에 따라 더욱 넓은 출입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frame 310 is formed by a plurality of unit poles 311, and a pair of ridge poles 330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nit poles 311 that can support a large load by overlapping the poles. By being combin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nt that can more stably resist external shocks. In addition, in the t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ridge pole 330 supports the tent fabric at its free end, the outer shape of the tent is formed in an angular shape, thereby forming a wider entrance space.

제4 실시예Embodiment 4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그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텐트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pplied thereto. Hereinafter, a te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However,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equivalent configurations as the t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복수의 단위폴(411)을 구비하는 프레임(410), 텐트 천, 한 쌍의 리지폴(430) 및 뿔대(470)를 포함한다. 즉 제4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뿔대(47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상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차이가 있다. 뿔대(470)의 일단은 지붕폴(411)들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상향으로 연장되어 텐트 천을 지지한다.4A, the t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410 having a plurality of unit poles 411, a tent cloth, a pair of ridge poles 430, and a horn stem 470. Include. That is, the t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t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horn 470. One end of the horn stand 470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oof poles 411, and the other end extends vertically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tent cloth.

한편, 복수의 단위폴(411), 한 쌍의 리지폴(430) 및 뿔대(470)는 커넥터(44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커넥터(440)는 각각의 단위폴(411)들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홀(460)이 상하로 나란하게 형성된 몸체부(450)와, 몸체부(450)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리지폴(430)들의 일단들이 삽입되는 한 쌍의 통형부(451)와, 몸체부(450)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수직하게 돌출하여 형성되며, 뿔대(470)가 삽입되는 제2 통형부(452)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unit poles 411, a pair of ridge poles 430, and the horn stem 47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or 440. Referring to FIG. 4B, the connector 440 includes a body part 450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460 into which each of the unit poles 411 are inserted is vertically aligned, and an upper end of the body part 45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formed by protru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450 and a pair of cylindrical portions 451 into which one ends of the ridge poles 430 are inserted, and the horn stem 470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452 is inserted.

제1 통형부(451)에는 리지폴(430)들이 삽입되도록 삽입홀(461)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통형부(452)에는 뿔대(47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46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리브(455)는 몸체부(450)의 양측면에서 각각의 제1 통형부(451)의 하면을 향해 돌출하여 몸체부(450)와 제1 통형부(451)를 서로 연결하고, 각각의 제1 통형부(451)의 상면에서 제2 통형부(452)의 양측면으로 돌출하여 제1 통형부(451)와 제2 통형부(452)를 서로 연결한다.An insertion hole 461 is formed in the first tubular portion 451 so that the ridge poles 430 are inserted, and an insertion hole 462 is formed in the second tubular portion 452 so that the horn stem 470 is inserted. . And the reinforcing ribs 455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body part 450 toward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cylindrical parts 451 to connect the body part 450 and the first cylindrical part 451 to each other.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451 and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45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451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452.

본 실시예에 따르면, 텐트 천이 리지폴(430) 및 뿔대(47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텐트 천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프레임(410)과 텐트 천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통풍에 더욱 유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nt cloth may be supported more stably by being supported by the ridge pole 430 and the horn stem 47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rame 410 and the tent cloth may be increased, so that ventilation may be more advantageous. .

제5 실시예Embodiment 5

도 5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 및 도 5c는 그에 적용되는 커넥터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텐트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B and 5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connectors applied thereto. Hereinafter, a te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However,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equivalent configurations as the t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프레임(510), 텐트 천(520), 한 쌍의 리지폴(530) 및 한 쌍의 보조 리지폴(535)을 포함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한 쌍의 보조 리지폴(535)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상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차이가 있다.5A and 5B, the ten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510, a tent cloth 520, a pair of ridge poles 530, and a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535. Include. The ten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t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535.

보조 리지폴(535)이란 프레임(510) 상에서 프레임(510)의 내부 공간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텐트 천(520)을 지지하는 폴을 말한다. 보조 리지폴(535)은 한 쌍의 리지폴(530)보다 하측에 설치되며 여러 쌍의 보조 리지폴(535)이 구비된다.The auxiliary ridge pole 535 refers to a pole installed on the frame 510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510 to support the tent cloth 520. The auxiliary ridge pole 535 is installed below the pair of ridge poles 530, and several pairs of auxiliary ridge poles 535 are provided.

보조 리지폴(535)들은 각각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며, 각각의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상향으로 연장되어 텐트 천(520)을 지지한다. 한 쌍의 보조 리지폴(535)은 단위폴(511)들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프레임(510)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보조 리지폴(535)은 단위폴(511)들이 교차되는 프레임(510)의 상단 중심부와 단위폴(511)이 지면에 고정되는 부분 사이에서 인접하게 위치하는 단위폴(511)들에 각각 결합되되, 각각의 단위폴(511)과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보조 리지폴(535)들은 한 쌍의 리지폴(530)과 각각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Each of the auxiliary ridge poles 535 has one e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ach other end is obliquely extended up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tent cloth 520. A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535 are installed on the frame 510 so as to cross the unit poles 5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535 is a unit pole positioned adjacent between the upper center of the frame 510 where the unit poles 511 intersect and the portion where the unit pole 511 is fixed to the ground. Doedoe coupled to each of the 511, each extended to cross the unit pole (511). In addition, the auxiliary ridge poles 535 are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air of ridge poles 530, respectively.

복수의 단위폴(511)들과 한 쌍의 리지폴(530)은 커넥터(54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커넥터(540)의 형상은 상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에 적용되는 커넥터(3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도 3b 참조).The plurality of unit poles 511 and the pair of ridge poles 5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or 540. The shape of the connector 54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nector 340 applied to the t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see FIG. 3B).

한편, 한 쌍의 보조 리지폴(535)은 제1 보조 커넥터(541)를 통해 단위폴(511)들과 서로 연결되고, 한 쌍의 보조 리지폴(535)의 일단들은 제2 보조 커넥터(542)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53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unit poles 511 through the first auxiliary connector 541, and one end of the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535 is a second auxiliary connector 542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먼저,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보조 커넥터(541)는 단위폴(511)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582)이 형성된 몸체부(581)와, 보조 리지폴(535)이 삽입되도록 몸체부(581)에 형성된 개구(583)와, 개구(583)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몸체부(581)에 힌지 결합된 커버(584)를 구비한다. 도 5(b)에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커버(584)가 개구(583)를 개방하는 상태로 회전되어 있으면 보조 리지폴(535)이 개구(583)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고, 도 5(b)에 실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보조 리지폴(535)이 개구(583)에 수용된 후 커버(584)가 개구(583)를 폐쇄하는 상태로 회전하여 고정되면, 보조 리지폴(535)이 개구(58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보조 리지폴(535)은 단위폴(511)의 외측 측면에 결합된다.First, referring to FIG. 5B, the first auxiliary connector 541 has a body portion 581 having a through hole 582 through which the unit pole 511 is inserted, and the body portion 581 to which the auxiliary ridge pole 535 is inserted. An opening 583 formed in the portion 581 and a cover 584 hinged to the body portion 581 to open or close the opening 583 are provided. 5(b), if the cover 584 is rotated to open the opening 583, the auxiliary ridge pole 535 can be inserted into and received in the opening 583. As indicated by a solid line in 5(b), after the auxiliary ridge pole 535 is accommodated in the opening 583, the cover 584 is rotated to close the opening 583 and fixed, the auxiliary ridge pole 535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pening 583. Accordingly, the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535 are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unit pole 511.

그러나 제1 보조 커넥터(541)가 보조 리지폴(535)을 수용하기 위해 커버(584)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보조 리지폴(535)이 개구(583)를 향해 가압되고, 개구(583)를 형성하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되어 보조 리지폴(535)이 개구(583)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However, the cover 584 is not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first auxiliary connector 541 to accommodate the auxiliary ridge pole 535, for example, the auxiliary ridge pole 535 is pressed toward the opening 583, and the opening ( The protrusion protruding to form the 583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 the outside and then restored so that the auxiliary ridge pole 535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opening 583.

그리고 도 5c를 참조하면, 제2 보조 커넥터(542)는 보조 리지폴(535)들의 일단들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통형부(591)를 포함한다. 한 쌍의 통형부(591)는 한 쌍의 보조 리지폴(535)이 형성하는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를 이루며 일체로 결합된다.And referring to FIG. 5C, the second auxiliary connector 542 includes a pair of tubular portions 591 into which one ends of the auxiliary ridge poles 535 are respectively inserted. The pair of tubular portions 591 form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angle formed by the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535 and are integrally coupled.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보조 리지폴(535)이 한 쌍의 리지폴(530)과 함께 텐트 천(520)을 지지함으로써, 텐트 천(520)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510) 전체에 걸쳐 프레임(510)과 텐트 천(520)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통풍에 유리하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텐트의 외형이 각진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넓은 출입구 및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535 support the tent fabric 520 together with a pair of ridge poles 530, so that the tent fabric 520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as well as the frame (510) It is advantageous for ventilation since a space can be secured between the frame 510 and the tent cloth 520 throughou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A, the outer shape of the tent may be formed in an angular polygonal shape, thereby securing a wide entrance and an inner space.

제6 실시예Embodiment 6

도 6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그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텐트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pplied thereto. Hereinafter, a ten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However,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equivalent configuration as the 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지붕폴(611)과 다리폴(612)을 구비하는 프레임(610), 텐트 천(620) 및 한 쌍의 리지폴(6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6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뿔대(670)를 더 포함하는 점과 한 쌍의 리지폴(630)의 형상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차이가 있다.6A, the ten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610 having a roof pole 611 and a leg pole 612, a tent cloth 620, and a pair of ridge poles 630. Includes. In addition, the ten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horn stem 670 and the shape of the pair of ridge poles 630.

뿔대(670)는 그 일단은 지붕폴(611) 및 한 쌍의 리지폴(630)과 결합되고, 그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향으로 연장되어 텐트 천(620)을 지지한다. 그리고 각각의 리지폴(630)은 각각의 일단이 지붕폴(611)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지붕폴(61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이때, 연결 끈(635)이 각 리지폴(630)의 타단과 뿔대(670)의 타단을 연결하여 고정한다.One end of the horn stand 670 is coupled with the roof pole 611 and a pair of ridge poles 630, and the other end extends vertically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tent cloth 620. In addition, each ridge pole 630 has one end coupled to the roof pole 611 and each other end extends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of pole 611. At this time, the connection string 635 connects and fixes the other end of each ridge pole 630 and the other end of the horn bar 670.

제1 실시예와 달리, 각각의 리지폴(630)은 중앙부가 하향으로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즉, 각각의 리지폴(630)은 지붕폴(611)로부터 수평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러나 연결 끈(635)이 각 리지폴(630)의 타단과 뿔대(670)의 타단을 연결하여 리지폴(630)들을 상측으로 당겨 고정함으로써, 각각의 리지폴(630)의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휘어진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each of the ridge poles 630 has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curved downward. That is, each of the ridge poles 630 extends obliquely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roof pole 611. However, the connection string 635 connects the other end of each ridge pole 630 to the other end of the horn bar 670 and pulls the ridge poles 630 upward to fix the other end of each ridge pole 6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bends obliquely upwards against.

한편, 뿔대(670)의 타단이 한 쌍의 리지폴(630)의 타단들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지붕은 텐트의 최상단부로부터 텐트의 출입구(610b)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horn stem 670 is extended to protrude upwardly than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ridge poles 630, and accordingly, the roof of th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entrance of the tent from the top end of the tent (610b) It has a shape inclined downward toward.

제6 실시예에 따른 텐트 역시 지붕폴(611)과, 한 쌍의 리지폴(630)들의 일단들과, 뿔대(670)의 일단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640)를 포함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커넥터(640)는 지붕폴(611)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몸체부(650)와, 몸체부(650)의 상단에서 돌출하여 형성되어 리지폴(630)의 일단들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통형부(651)와, 몸체부(650)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뿔대(670)가 삽입되는 제2 통형부(652)를 구비한다.The ten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also includes a roof pole 611 and a connector 640 for detach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pair of ridge poles 630 and one end of the horn stem 670. 6B, the connector 640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650 through which the roof pole 611 is inserted, and the ends of the ridge pole 630 are inserted. A pair of first cylindrical portions 651 and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652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650 and into which the horn stem 670 is inserted.

몸체부(650)에는 단위폴(611)이 삽입되도록 관통홀(660)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제1 통형부(651)에는 한 쌍의 리지폴(630)이 삽입되도록 삽입홀(6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통형부(652)에는 뿔대(67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6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강리브(655)는 몸체부(650)의 양측면에서 한 쌍의 제1 통형부(651)의 하면을 향해 돌출하여 몸체부(650)와 제1 통형부(651)를 서로 연결하고, 각각의 제1 통형부(651)의 상면에서 제2 통형부(652)의 양측면으로 돌출하여 제1 통형부(651)와 제2 통형부(652)를 서로 연결한다.The body portion 65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660 so that the unit pole 611 is inserted, and an insertion hole 661 so that a pair of ridge poles 630 are inserted into the pair of first cylindrical portions 651 ) Is formed, and an insertion hole 662 is formed in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652 so that the horn stem 670 is inserted. In addition, the reinforcing rib 655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650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pair of first cylindrical portions 651 to connect the body portion 650 and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651 to each other,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651 and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65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s 651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652.

이때, 한 쌍의 제1 통형부(651)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하여 형성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리지폴(630)이 지붕폴(611)로부터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그 타단이 연결 끈(635)에 의해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휘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first cylindrical portions 651 are formed to protrude obliquely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pair of ridge poles 630 are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roof pole 611 While extending, the other end may be bent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connecting string 635.

또한, 지붕폴(611)과 다리폴(612) 역시 커넥터(641)를 통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마찬가지로 커넥터(64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roof pole 611 and the leg pole 612 may also b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or 641, and the shape of the connector 64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like the 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르면, 텐트의 내부 공간(610a)이 넓고 출입구(610b)가 높고, 강성이 뛰어나며, 환기에 유리한 텐트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뿔대(670)와 한 쌍의 리지폴(630)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텐트의 외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ner space (610a) of the tent is wide, the entrance (610b) is high, the rigidity is excell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nt advantageous for ventilation, as well as the horn stand 670 and a pair of ridge poles 630 You can easily adjust the appearance of the tent by properly adjusting the length of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프레임
111: 지붕폴
112: 다리폴
120: 텐트 천
130: 리지폴
135: 연결 끈
140: 커넥터
141: 커넥터
150: 몸체부
151: 통형부
155: 보강리브
160: 관통홀
161: 삽입홀
110: frame
111: roof pole
112: bridge pole
120: tent cloth
130: Rigifall
135: connecting strap
140: connector
141: connector
150: body
151: cylindrical part
155: reinforcing rib
160: through hole
161: insertion hole

Claims (18)

복수의 폴들이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씌어지는 텐트 천; 및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소정 공간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하는 한 쌍의 리지폴을 포함하며,
상기 리지폴들은, 각각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며, 각각의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텐트.
A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poles are combin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 tent cloth cover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rame; And
It includes a pair of ridge poles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of the predetermined space on the frame to support the tent cloth,
The ridge poles have one e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ach other end is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s in different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지폴들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 끈을 더 포함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1,
Tent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string installed across the pair of ridge po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리지폴들의 일단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1,
A tent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for separ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frame and the ridge po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지붕폴과, 일단은 상기 지붕폴의 적어도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다리폴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리지폴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지붕폴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지붕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ncludes a roof pol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roof pol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ground,
The pair of ridge poles, each end is coupled to the roof pole, each other end extends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of pole, t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폴과 상기 리지폴들의 일단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지붕폴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리지폴들의 일단들이 삽입되는 한 쌍의 통형부를 구비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for separ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roof pole and the ridge pole,
The connector, the tent having a body portion through which the roof pole is inserted, and a pair of cylindrical portion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into which one end of the ridge poles are inser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한 쌍의 통형부와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리브를 더 구비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reinforcing rib formed between the pair of cylindrical portions and the body portion to connect them to each other, the tent.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일단은 상기 지붕폴의 양단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하는 한 쌍의 뿔대를 더 포함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4,
Each end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of pole, and each other end further comprises a pair of horns extending upward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tent cloth, t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폴은, 상측으로 구부러진 아치 형상을 갖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4,
The roof pole has an arch shape bent upward, a 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각각의 양단이 지면에 고정되는 아치 형상의 복수의 단위폴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폴들은 그 중심부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지폴들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단위폴들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arch-shaped unit poles each of which ends are fixed to the ground,
The unit poles are arranged so that their centers cross each other,
The ridge poles, each end of the tent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unit pol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폴들과 상기 리지폴들의 일단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각각의 단위폴들이 각각 관통하여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상하로 나란하게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리지폴이 삽입되는 한 쌍의 통형부를 구비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for separ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unit poles and the ridge poles,
The connector includes a body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each of the unit pole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is vertically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air of cylindrical portion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into which the pair of ridge poles are inserted With a tent.
제9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지붕폴들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하는 뿔대를 더 포함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9,
One end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oof poles, the other end extends upwardly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ent further comprising a horn for supporting the tent cloth.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폴들과 상기 리지폴들의 일단들 및 상기 뿔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각각의 단위폴들이 각각 관통하여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상하로 나란하게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리지폴들의 일단들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통형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뿔대가 삽입되는 제2 통형부를 구비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for separably connecting the unit poles and one ends of the ridge poles and the horn rod,
The connector includes a body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each of the unit pole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is vertically formed,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one ends of the ridge poles are inserted A tent having a pair of first cylindrical portions and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into which the horns are inser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소정 공간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리지폴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하는 한 쌍의 보조 리지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리지폴들은, 각각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며, 각각의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상향으로 연장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9,
Doedoe install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predetermined space on the frame,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installed below the pair of ridge poles to support the tent cloth,
The auxiliary ridge poles have one e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ach other end extending upwardly obliquely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direc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지폴들 각각은, 상기 단위폴들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단위폴들에 각각 결합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13,
Each of the auxiliary ridge poles is coupled to the unit poles so as to traverse between the unit poles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폴과 상기 보조 리지폴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보조 커넥터와, 상기 한 쌍의 보조 리지폴들의 일단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2 보조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14,
The tent further comprises a first auxiliary connector connecting the unit pole and the auxiliary ridge pole to each other, and a second auxiliary connector connecting one end of the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to each oth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커넥터는, 상기 단위폴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 리지폴을 수용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보조 커넥터는, 상기 한 쌍의 보조 리지폴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리지폴이 형성하는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를 이루며 일체로 결합된 한 쌍의 통형부를 구비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auxiliary connector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nit pole is inserted, and an opening formed in the body portion to receive the auxiliary ridge pole,
The second auxiliary connector, wherein each of the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is inserted, forming an angle corresponding to an angle formed by the pair of auxiliary ridge poles, and having a pair of tubular portions integrally coupled to the tent .
제4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지붕폴 및 상기 한 쌍의 리지폴의 일단들과 결합되고, 타단은 수평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하는 뿔대; 및
상기 각각의 리지폴의 중앙부가 하향으로 휘어지도록 상기 각 리지폴의 타단과 상기 뿔대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 끈을 더 포함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4,
One e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roof pole and the pair of ridge poles, and the other end extends upwardly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tent cloth; And
Tent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string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other end of each ridge pole and the other end of the horn bar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each ridge pole is bent downwar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폴과, 상기 한 쌍의 리지폴의 일단들과, 상기 뿔대의 일단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지붕폴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리지폴들의 일단들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통형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뿔대가 삽입되는 제2 통형부를 구비하는, 텐트.
The method of claim 17,
The roof pole, and one end of the pair of ridge poles,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for separ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horn,
The connector includes a body portion through which the roof pole is inserted, and a pair of first cylindrical portions formed by protruding downwardly obliquely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into which one ends of the ridge poles are inserted, It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top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into which the horn is inserted, a tent.
KR1020190056210A 2019-04-10 2019-05-14 Tent KR1022305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210A KR102230500B1 (en) 2019-05-14 2019-05-14 Tent
EP20787518.8A EP3918156A4 (en) 2019-04-10 2020-04-09 Tents
US17/425,704 US11834858B2 (en) 2019-04-10 2020-04-09 Tents
PCT/KR2020/004861 WO2020209649A1 (en) 2019-04-10 2020-04-09 Tents
AU2020272417A AU2020272417B2 (en) 2019-04-10 2020-04-09 Tents
JP2021560601A JP7246109B2 (en) 2019-04-10 2020-04-09 tent
CN202080026769.4A CN113710861B (en) 2019-04-10 2020-04-09 Tent with cover
US18/481,914 US20240026703A1 (en) 2019-04-10 2023-10-05 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210A KR102230500B1 (en) 2019-05-14 2019-05-14 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503A true KR20200131503A (en) 2020-11-24
KR102230500B1 KR102230500B1 (en) 2021-03-22

Family

ID=7367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210A KR102230500B1 (en) 2019-04-10 2019-05-14 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50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973Y1 (en) * 2003-02-20 2003-06-02 라제건 A Connector of Tent Pole
KR200359060Y1 (en) * 2004-05-19 2004-08-16 라제건 Removable Shade Tent
US20040226224A1 (en) * 2003-05-15 2004-11-18 American Recreation Products, Inc. Tent with truss system
US9366054B2 (en) 2013-12-12 2016-06-14 Ki Ho Jin Foldable t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973Y1 (en) * 2003-02-20 2003-06-02 라제건 A Connector of Tent Pole
US20040226224A1 (en) * 2003-05-15 2004-11-18 American Recreation Products, Inc. Tent with truss system
KR200359060Y1 (en) * 2004-05-19 2004-08-16 라제건 Removable Shade Tent
US9366054B2 (en) 2013-12-12 2016-06-14 Ki Ho Jin Foldable 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500B1 (en) 202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5638B1 (en) Multiple peak cable tent
US7299813B2 (en) Foldable tent
KR101397032B1 (en) Collapsible canopy frame and canopy using it
CN113710861B (en) Tent with cover
KR101999194B1 (en) Mast Structure for Supporting Multi-Purpose Traffic Lights of Two-Stage Cross Beam
US20030089390A1 (en) Steel pole for a rectangular dome-shaped tent
US20050205124A1 (en) Collapsible shelter having a reinforced truss and telescoping leg
KR102230500B1 (en) Tent
KR101397640B1 (en) Membrane structures of the stands
US20020170588A1 (en) Tower-type sunshade
KR101883734B1 (en) Tension adjusting apparatus for uniformly distributed load in a corner of tent structure
JP4819499B2 (en) Dormitory folding tent
KR102230499B1 (en) Tent
EP1055042B1 (en) Multiple peak cable tent
KR101967361B1 (en) Protective cover of Pagora pillars
KR20220051576A (en) Tent
JP3409265B2 (en) Large dome with membran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220034493A (en) Tent and tent assembly
KR102662403B1 (en) Large tent
EP1905927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ents
KR102649309B1 (en) Fence connection bracket structure
KR102414426B1 (en) Railing structure of deck road
KR102556943B1 (en) Canopy with construction stability
US1286190A (en) Support for tents and the like.
KR200250667Y1 (en) Wind resistance 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